WO2021066383A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66383A1
WO2021066383A1 PCT/KR2020/012875 KR2020012875W WO2021066383A1 WO 2021066383 A1 WO2021066383 A1 WO 2021066383A1 KR 2020012875 W KR2020012875 W KR 2020012875W WO 2021066383 A1 WO2021066383 A1 WO 202106638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alue
chromaticity
luminance
determining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28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광돈
이재성
이태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873042.4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24378A4/en
Publication of WO202106638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66383A1/ko
Priority to US17/710,074 priority patent/US2022022309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6Colour space transform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isplay device displaying an imag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in order to correct the uniformity of the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a correction factor is calculated for each device and applied to an image signal.
  • a display device capable of correcting uniformit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 a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has 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an image and can display an image based on a broadcast signal or image signal/image data in various formats, and is implemented as a TV or a monitor.
  • a display panel is implemented in various configuration types such as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plasma panel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nd is applied to various display devices.
  • Such a display device includes a number of devices, and each device generates light of a different wavelength and intensity depending on the process. At this time, different light outputs, such as luminance and chromaticity, are generated for each device in the reproduced image. Therefore, for the same input image signal, the color of the image signal may be reproduced slightly differently. In addition, if the light output of each element of the high-resolution display device is not uniform with each other, problems such as screen blur may occur.
  • determining a first chromaticity value corresponding to a first grayscale value of the element, the first chromaticity value and a target value for a relationship between chromaticity and luminance Based on, determining a first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uminance value, determining a second grad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uminance value, and determining a second chromaticity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adation value Determining, based on the second chromaticity value and the target value, determining a second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romaticity value, and determining a chromaticity and luminance correction coefficient based on the second luminance value It may include the step of.
  • a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of a display device may include applying the correction factor to chromaticity and luminance components of a pixel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vice.
  • the correction f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ratio of the second luminance value to the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gray scale value.
  •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ment of a display device may include determining the first chromaticity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ayscale value using grayscale-chromaticity modeling.
  •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econd gray level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rightness value using gray scale-luminance modeling may include.
  • the determining of the correc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erform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a difference between a reference chromaticity value and the second chromaticity value or a difference between a reference luminance value and the second luminanc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Can be performed until
  •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memory and at least one processor, and the at least one processor determines a first chromaticity value corresponding to a first gray scale value of an element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Based on a first chromaticity value and a target value for a relationship between chromaticity and luminance, a first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romaticity value is determined, a second grad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uminance value is determined, and the second Determine a second chromaticity value corresponding to the gradation value, based on the second chromaticity value and the target value, determine a second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romaticity value, and chromaticity and luminance based on the second luminance value
  • the correction factor of can be determined.
  • the recording medium causes the display device to have a first chromaticity value corresponding to a first gray scale value of the element. Determining, based on the first chromaticity value and a target value for a relationship between chromaticity and luminance, determining a first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romaticity value, and a seco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luminance value Determining a gradation value, determining a second chromaticity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adation value, determining a second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romaticity value based on the second chromaticity value and the target value Commands for performing an operation to perform an operation and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 correction coefficient of chromaticity and luminance based on the second luminance value may be stored.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amut that can be recognized by an ey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2B is a diagram showing R, G, and B components for ea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2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roma value and a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a color gam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2D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pplying a correction factor to chromaticity and luminance components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btaining a luminance value based on a target value and a chromaticity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uminance and chromaticity.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correction coefficients for chromaticity and lumin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correction coefficients for chromaticity and lumin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chromaticity value and a luminance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8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chromaticity and a luminance correction coefficient based on a determined luminance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8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pplying correction coefficients to chromaticity and luminance components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Includ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uni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memory 110 and a processor 120.
  • the memory 110 includes grayscale-chromaticity modeling data, grayscale-luminance modeling data, and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a correction factor for all elements (eg, LED devices) of the display device 100
  • Data, reference chromaticity values, and reference luminance values can be stored.
  • the memory 11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20 and data stored in the memory 110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20 if necessary. If necessary, the processor 120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for correcting the uniformity of the device using data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10.
  • the correction coefficient may be determined for each element for all pixels, and the 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is applied to the chromaticity and luminance components of each element to correct the uniformity of the element.
  • the uniformity of the device means the luminance, chromaticity, or uniformity of the luminance and chromaticity of light output and measured from each device, and the uniformity correction refers to a certain level when each device emits light of a certain gradation value. It means that a correction factor is applied to the luminance and chromaticity components of each device to output light of the luminance and chromaticity of. Accordingly, when the gradation values of the elements whose uniformity is corrected are changed equally, the luminance and chromaticity levels of light output from all the elements may be changed to the same level.
  • the memory 110 must remain data even when power supplied to the display device 100 is cut off, and may be provided as a writable nonvolatile memory (Writable ROM) to reflect changes. That is, the memory 110 may be provided with either a flash memory, an EPROM, or an EEPROM.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described that gradation-chromaticity modeling data, gradation-luminance modeling data, and algorithm data for determining correction coefficients for all devices are stored in one memory 110, but limited to this. However, the display device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mories for storing correction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each element.
  • the processor 1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 the processor 120 may set a target value for a relationship between chromaticity and luminance prior to determining the correction coefficient.
  • the correction factor may include the ratio of the finally determined luminance value to the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gray scale value, but this is for matching with the correction framework of the device for uniformity correction, so the correction factor must be the luminance It is not limited to a ratio of values.
  • the target value refers to a chromaticity valu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gradation value and an eye response value to a luminance value that must be recognized by a color receptor in the eyeball so that the eyeball can identify the correct color.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a first chromaticity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ayscale value, determine a first luminance value based on the first chromaticity value and the target value, and determine a second grayscal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uminance value. have. Thereafter,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a second chromaticity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ayscale value, and may determine the second luminance value again based on the second chromaticity value and the target value. When the second luminance value is determined,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chromaticity and luminance correction coefficients based on the second luminance value.
  • the processor 120 determines the correction coefficient a defined number of times, or until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chromaticity value and the finally determined chromaticity value 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luminance value and the finally determined luminance value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 can. 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erform all operations described below. A detailed method of determining the correction fact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B.
  • FIG.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romaticity diagram 200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ye can recognize a specific color through a combination of chromaticity and luminance using three color receptors.
  • the response value of the receptor for chromaticity and luminance may be converted into X, Y, and Z.
  • the response values (X, Y, Z), chromaticity values (x, y) and luminance values (Y) may have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1):
  • the gamut 200 of FIG. 2A shows colors recognized by the eyeball according to chromaticity values (x, y). Accordingly, a target value for a relationship between chromaticity and luminance may correspond to a specific point in the gamut 200.
  • 2B is a diagram showing R, G, and B components for ea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ments of the display device 100 can emit light of colors R (Red), G (Green), and B (Blue), respectively, where the R component value is in the R LED, the G component value is in the G LED, and the B component The value is entered into the B LED. Based on the value of each component, the light outputs of R LED, G LED and B LED are added to form a light output emitting various colors.
  • the display panel 210 of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and each pixel 220a is R LED, G LED, and B LED ( 220b).
  • the matrix 230 is an eye respons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measured chromaticity value and luminance value for the light output of the R LED, G LED and B LED of a specific pixel.
  • a measuring instrument (not shown) can measure the current chromaticity value and luminance value from the light output of the R LED, G LED and B LED 220b of the element 220a, and the measured chromaticity value of the R LED
  • eye respons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luminance values may be X mesR , Y mesR , and Z mesR .
  • 2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ye response value corresponding to a gam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target white 240 In order for the device to output a desired color and ensure the uniformity of the device, the target white 240 must be output when all of the maximum light output from the devices R LED, G LED and B LED are added.
  • the matrix 250 is an eye response value corresponding to a chroma value and a luminance value of each of the R LED, G LED and B LED for outputting the target white 240.
  • the eye response values may be X tgt,R , Y tgt,R , Z tgt,R of the matrix 250.
  • 2D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pplying a correction factor to chromaticity and luminance components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processor 120 may apply the correction factor 260 to the chromaticity and luminanc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device.
  • the result of applying the correction factor 260 can be seen through FIG. 2D.
  • the matrix 230 and the correction factor 260 of eye respons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hromaticity values and luminance values of the currently measured R LED, G LED and B LED of the device are calculated, the target white 240 is calculated.
  • a matrix 250 of eye respons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hromaticity values and luminance values of R LED, G LED and B LED for outputting may be derived.
  • the correction coefficient 260 may have a form of a 3x3 matrix in order to derive the matrix 250 by being calculated with the matrix 230.
  • the target value may be an eye respons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hromaticity and luminance in the gamut 200 that the device needs to implement.
  • the target value may have the form of a 3x1 matrix corresponding to each column in the matrix 250.
  • the target value may be an eye response value for the chromaticity and luminance components that the R LED, G LED, and B LED lightly output in order to implement the target white 2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arget value may be a specific point on the gamut 200 at which all devices can output the same output for the same input.
  • Chromaticity values (x, y) for configuring the target white 240 may be determined. Thereafter, the luminance values of the R LED, G LED, and B LED for configuring the target white 240 may be determined through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s (2), (3), and (4).
  • the luminance values of R LED, G LED and B LED, Y tgt, R , Y tgt, G , Y tgt, B need to be determined. have.
  • the relational expression (3) can be obtained by separating the constant and the unknown luminance value by applying the relational expression (1).
  • relational expression (4) can be obtained by converting the relational expression (3) into a matrix form.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btaining a luminance value based on a target value and a chromaticity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luminance values of R LED, G LED and B LED for realizing the target value may be obtained based on the target value and the chromaticity value through the above relational equation (4).
  • the matrix 320 may be a chromaticity value for the target R color and an eye response value corresponding to the luminance value.
  • the chromaticity values of the R LED, G LED and B LED for the target R color which are constants, can be determined by the matrix 310, and the R LED, G LED and B LED light for implementing the target R color through matrix calculation.
  • the eye response value for the luminance component of the output may be obtained in the form of a matrix 300.
  • RY i+1,R of the matrix 300 is the eye response value for the luminance component of the light output of R LED for implementing the target R color
  • GY i+1, R is G for implementing the target R color.
  • the eye response value for the luminance component of the light output of the LED, BY i+1,R may be an eye response value for the luminance component of the light output of the B LED for realizing the target R color.
  • the matrix 350 and R LED representing the eye respons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hroma value and luminance value for the target G color
  • the eye response values for the luminance components of the R LED, G LED and B LED light outputs for implementing the target R color through matrix calculation of the matrix 340 representing the chromaticity values of G LED and B LED are matrix 330 Can be obtained in the form. Therefore, RY i+1,G of the matrix 330 is the eye response value for the luminance component of the light output of the R LED for implementing the target G color, and GY i+1, G is G for implementing the target G color.
  • the eye response value for the luminance component of the light output of the LED, BY i+1,G may be an eye response value for the luminance component of the light output of the B LED for realizing the target G color.
  • the processor 120 may obtain the matrices 360, 370, and 380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target R and G colors.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the target white 230 as a reference target value and may determine target R, G, and B colors for implementing the target white 230. If the R LED, G LED and B LED output light according to the target R, G, and B colors, the eye can recognize the white color.
  •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uminance and chromaticity.
  • the graph 400 shows the change of the chromaticity value with respect to the luminance value of an actual device. As shown in FIG. 4, when a target value of an actual device is determined and the luminance component is corrected, the chroma components (x, y) are changed toget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a different result slightly different from the initially determined target value.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correction coefficients for chromaticity and lumin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grayscale-chromaticity modeling and grayscale-luminance modeling for all pixels may be required for each device.
  • the gradation-chromaticity modeling is modeled by measuring a chromaticity value corresponding to a gradation value input to each device, and the gradation-luminance modeling may be modeled by measuring a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a gradation value input to each device.
  • the gradation-chromaticity and gradation-luminance modeling method measures all chromaticity values and luminanc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total gradation values (0 to 255) for each device, or by measuring the chromaticity values and luminance value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gradation value. There may be a method of interpolating a chroma value and a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gradation values through a form of a power function.
  • the memory 110 may store modeling data
  • the processor 120 may use the stored modeling data to determine a correction coefficient.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a first chromaticity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ayscale value of the device by using grayscale-chromaticity modeling.
  • the specific chromaticity valu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grayscale value in the grayscale-chromaticity modeling is linear and has a one-to-one matching relationship with the grayscale value, one chromaticity value may correspond to one grayscale value.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chroma values (x, y, z) for each of the R LED, G LED, and B LED when a different first gray scale value is input to each of the R LED, G LED, and B LED. .
  • the processor 120 determines chroma values (R x , R y )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ay level value of the input R LED using gray level-chromatic modeling.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the first chromaticity values G x, G y , and G z of the G LED and the first chroma values B x, B y , and B z of the B LED.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a first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romaticity value through the relational equation (4) from the determined first chromaticity value and the target value.
  • the determined first luminance value may be an eye response value to a luminance component of light output.
  • the first luminance value determined through matrix calculation may be a luminance value of each of R LED, G LED, and B LED for implementing the target value, and may be in the form of a 3x1 matrix.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a second grad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uminance value by using gradation-luminance modeling.
  • one grayscale value may correspond to one luminance value.
  • the determined first luminance values may be different for each of the R LED, G LED, and B LED, a total of three second luminance values determined using grayscale-luminance modeling may be.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a second chromaticity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ayscale value of the device using grayscale-chromaticity modeling. Since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second chromaticity value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first chromaticity value,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 step S550 the processor 120 calculates a second chromaticity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romaticity value through the relational equation (4) from the determined second chromaticity value and the target value in the same manner as in step S520. You can decide.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chromaticity and luminance correction coefficients from the determined second luminance value.
  • the correction coefficient for uniformity correction may include a ratio of the second luminance value to the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gray scale value.
  • the correction coefficient determined based on one target value may include a total of three elements. Accordingly, when three target values, which are target R color, target G color, and target B color, are determined based on the target white, the 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may include a total of nine elements.
  • Each of the nine elements for determining the correction factor is a luminance value for the light that each of the R LED, G LED and B LED must emit in order to implement the target R color, target G color, and target B color.
  • the three elements for the target R color are the ratio of the second luminance value of the R LED to the maximum luminance value of the R LED, and the second luminance of the G LED to the maximum luminance value of the G LED. It may include a value ratio and a ratio of the second luminance value of the B LED to the maximum luminance value of the B LED.
  • six elements for target G color and target B can be determined.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the correction coefficient in the form of a 3x3 matrix of nine elements for determining the correction coefficient.
  • the correction coefficient includes the ratio of the luminance value and may be in the form of a 3x3 matrix, this is not necessarily limited because it is for matching with the correction framework of the device for uniformity correc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correction coefficients for chromaticity and lumin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Steps S610 to S650 for determining the first chromaticity value, the second chromaticity value, the first luminance value, the second luminance value, and the second gradation value are the same as steps S510 to S550,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luminance value and the second luminance value 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luminance value and the second luminanc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 the processor 120 may return to step S610 and repeat the process up to step S650.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chromaticity value and the second chromaticity value 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luminance value and the second luminanc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a chromaticity and a luminance correction coefficient in step S670. Since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correction factor has been described in step S560,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steps S610 to S650 may be repeated to determine a chroma value and a luminance value for a target value based on a comparison of the reference chroma value and the reference luminance value.
  • the initially determined target value can be implemented even in an environment in which both luminance and chromaticity are changed, so that the uniformity of the device for light output of the device can be corrected.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how many times the current steps S610 to S650 have been repeated. Specifically,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second chromaticity value, the second gradation value, or the second luminance value is a value determined by repeating steps S610 to S650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refore, if the current second chromaticity value, second grayscale value, or second luminance value is a value determined through repetition of a predefined number of times,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the chromaticity and luminance correction coefficients in step S670. have.
  • the processor 120 returns to step S610 and repeats the process up to step S650. can do.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chromaticity value and a luminance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the first chromaticity values of the R LED, G LED, and B L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ayscale value using the grayscale-chromaticity modeling 700.
  • Lines 702, 704, 706, 708, 710, and 712 are graphs obtained by measuring chromaticity values in the gamut 200 corresponding to grayscale values input to a specific device.
  • the lines 702 and 704 are the first chromaticity values on the color gamut 200 of the R L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ay scale value
  • the lines 706 and 708 are the color gamut 200 of the G L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ay scale values.
  • the lines 710 and 712 may be the first chromaticity values in the gamut 200 of the B L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ay scale value.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chromaticity values (x, y, z) for each of the R LED, G LED, and B LED through the relational equation (1). For example, the processor 120 uses (R xi , R yi , R zi ) in which the first chromaticity value of the R L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ay scale value corresponds to the first column of the matrix 702 through the relational equation (1). Can be determined.
  • the processor 120 calculates a first chromaticity value (G xi , G yi , G zi ) of the G LED and a first chroma value (B xi , B yi , B zi ) of the B L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ay scale value. You can decide.
  • the i displayed in each chromaticity value may mean that the currently input first gray scale value is the i-th input.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a first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romaticity value through matrix calculation of the target value 722 and the matrix 720.
  • the matrix 724 may mean each first luminance value of R LED, G LED, and B L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roma value.
  • the first luminance value of light output that R LED corresponding to 1 chromaticity value should emit is RY i+1
  • the first luminance value of light output that G LED should emit is GY i+1
  • LED B The first luminance value of light output that should be emitted may be BY i+1.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a second grad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uminance value using the gradation-luminance modeling 730.
  • Line 732 is a graph obtained by measuring a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gray scale value of the R LED of a specific pixel. Accordingly, when the first luminance value of the R LED is determined,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the second luminance value of the R LED from the line 732. Similarly,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a second luminance value of the G LED from line 734 and a second luminance value of the G LED from line 736.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the second chromaticity values of the R LED, G LED, and B L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ay level value again using the gray level-chromaticity modeling 700. Thereafter, when the second chromaticity value is determined,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the second luminance value through matrix calculation of the target value and the second chromaticity value.
  • a luminance value for realizing a target value may be determined by re-crystallizing a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a changed chromaticity value by using gradation-chromaticity and gradation-luminance modeling.
  • the series of processes of determining the second luminance value may be repe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may be repeated until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chromaticity value and the second chromaticity value or the reference luminance value and the second luminance value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 the gradation-chromaticity and gradation-luminance modeling method measures all chromaticity values and luminanc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total gradation values (0 to 255), or measures the chromaticity values and luminance value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gradation value. There may be a method of interpolating chroma values and luminance values. In addition, grayscale-chromaticity and grayscale-luminance modeling may be different for each device.
  • FIG. 8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chromaticity and a luminance correction coefficient based on a determined luminance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processor 120 may finally determine a second luminance value for implementing the target value 722. For example,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the second luminance value 808 of the R LED, the second luminance value 810 of the G LED, and the second luminance value 812 of the B LED to implement the target value 722. You can decide.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a chromaticity and a luminance correction factor for implementing the target value from the second luminance values 808 and 810 812 of the R LED, G LED and B LED.
  • the correction coefficient includes three elements.
  • the processor 120 is the ratio of the second luminance value 808 of the R LED to the luminance value 802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gray scale value of the R LED, The ratio of the second luminance value 810 of the R LED to the luminance value 804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gradation value of the G LED and the second of the R LED to the luminance value 806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gradation value of the R LED. It may be a ratio of the luminance value 812.
  •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a second luminance value for implementing the target R color, the target G color, and the target B color. Accordingly,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a total of nine elements for configuring the correction coefficient. When nine elements are determined,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a chromaticity and luminance correction coefficient for implementing the target value, and the correction coefficient may be in the form of a 3x3 matrix 820.
  • max(RY) is the luminance value 802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grayscale value of the R LED
  • max(GY) is the luminance value 804 and max(BY)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grayscale value of the G LED. It may mean a luminance value 806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gray scale value of the B LED.
  • RY R is the determined second luminance value 808
  • GY R is the determined second luminance value 810
  • BY R is the determined second luminance value 812.
  • column 1 in the matrix 820 represents a correction factor for implementing the target R color.
  • column 2 may represent a correction factor for implementing the target G color
  • column 3 may represent a correction factor for implementing the target B color.
  • Matrix 830 is a simplified notation of matrix 820. Accordingly, the matrix 830 may correspond to the correction coefficient 820 of chromaticity and luminance for realizing the target value.
  • the correction coefficient is in the form of a 3x3 matrix and may include the ratio of the finally determined luminance value to the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gray scale value, but this is for matching with the correction framework of the device for uniformity correction,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8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pplying correction coefficients to chromaticity and luminance components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processor 120 may correct the uniformity by applying the correction coefficient to the chromaticity and luminance components of the pixel values corresponding to the device.
  • One way to apply the correction factor is to calculate the matrix product of the matrix 230 related to the chroma values and luminance values of the currently measured R LED, G LED and B LED in the correction coefficient matrix 830 as shown in FIG. 8B. It is to do.
  • a matrix 250 related to the chromaticity and luminance components of the R LED, G LED, and B LED corrected as a result of the matrix multiplication may be determined.
  • Column 1 of matrix 250 is the eye response value for the corrected R LED chromaticity and luminance values
  • column 2 is the eye response value for the corrected G LED chromaticity and luminance values
  • column 1 is the corrected B LED It may be an eye response value to the chromaticity value and luminance value of.
  • an eye response value for the chromaticity value and the luminance value of the target white 230 may be determined.
  • a correction coefficient is calculated for each device for all pixels and applied to an image sign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rrect uniformity.
  •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memory 110) readable by a machine (eg, display device 100 or computer). It can be implemented as software including them.
  • the processor of the device eg, the processor 120
  • the processor of the device may invoke at least one instruction amo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from a storage medium and execute it. This enables the device to be operated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according to the at least one command invoked.
  •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executable by an interpreter.
  •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 non-transitory onl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a signal (e.g., electromagnetic waves), and this term refers to the case where data is semi-permanently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emporary storage cases.
  • a signal e.g., electromagnetic waves
  • a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ovided by being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 Computer program products can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 Computer program products ar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or two user devices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between, e.g. smartphones).
  •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 two user devices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between, e.g. smartphones).
  • At least a part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generated in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such as a server of a manufacturer, a server of an application store, or a memory of a relay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1 색도값을 결정하고, 제 1 색도값 및 색도 및 휘도 간의 관계에 대한 목표치에 기초하여, 제 1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1 휘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2 계조값을 결정하고, 제 2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2 색도값을 결정하고, 제 2 색도값 및 상기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2 휘도값을 결정하여 제 2 휘도값에 기초하여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개시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균일성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소자별로 보정계수를 산출하여 영상신호에 적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균일성을 보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여 방송신호 또는 다양한 포맷의 영상 신호/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로서, TV 또는 모니터 등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그 특성에 따라서 액정 패널, 플라즈마 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 형식으로 구현되어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이런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많은 소자들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소자들은 공정에 따라, 각각 다른 파장과 세기의 빛을 발생 시킨다. 이 때, 재현되는 영상에서 각 소자마다 서로 다른 광 출력인 휘도 및 색도가 발생한다. 따라서 동일한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하여 그 영상 신호의 색상이 조금씩 다르게 재현될 수 있다. 또한,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소자의 광 출력이 서로 균일하지 않다면, 화면 번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소자의 광 출력을 균일하게 하는 보정(Calibration)의 필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소자의 균일성을 위해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산출하여 영상에 보정계수를 적용하는 종래 기술들이 존재하였지만, 휘도를 변경하게 되면 색도도 함께 변경되어 정확한 보정이 불가능 하였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제어방법은 상기 소자의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1 색도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색도값 및 색도 및 휘도 간의 관계에 대한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1 휘도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2 계조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2 색도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색도값 및 상기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2 휘도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휘도값에 기초하여,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제어방법은 상기 보정계수를 상기 소자에 대응되는 픽셀값의 색도 및 휘도 성분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정계수는 최대 계조값에 대응하는 휘도에 대한 상기 제 2 휘도값의 비율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제어방법은 계조-색도 모델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색도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제어방법은 제 2 계조값을 결정함에 있어서, 계조-휘도 모델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휘도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계조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정의된 횟수만큼 수행되거나 참조 색도값과 상기 제 2 색도값의 차이 또는 참조 휘도값과 상기 제 2 휘도값의 차이가 임계치 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1 색도값을 결정, 상기 제 1 색도값 및 색도 및 휘도 간의 관계에 대한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1 휘도값을 결정, 상기 제 1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2 계조값을 결정, 상기 제 2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2 색도값을 결정, 상기 제 2 색도값 및 상기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2 휘도값을 결정 및 상기 제 2 휘도값에 기초하여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를 제어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상기 소자의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1 색도값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1 색도값 및 색도 및 휘도 간의 관계에 대한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1 휘도값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1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2 계조값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2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2 색도값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2 색도값 및 상기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2 휘도값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휘도값에 기초하여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색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소자에 대한 R, G, B 성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역에 대응하는 색도값 및 휘도값 나타낸 도면이다.
도 2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자의 색도 및 휘도 성분에 보정계수를 적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표치와 색도값에 기초하여 휘도값을 구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휘도와 색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도값과 휘도값을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정된 휘도값에 기초하여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자의 색도 및 휘도 성분에 보정계수를 적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많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 구조 또는 기능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대조적으로, 이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설명을 상세하고 완전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설명에 따르면, 본 개시의 범위는 본 실시 예가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임의의 실시예와 함께 구현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개시의 임의의 실시예를 포함함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및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임의의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실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임의의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제시된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예시적인"이라는 단어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사용된"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것으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는 반드시 바람직한 것으로서 해석되거나 다른 실시예들보다 이점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든 소자(예를 들면, LED 소자)에 대한 계조-색도 모델링 데이터, 계조-휘도 모델링 데이터, 보정계수 결정을 위한 알고리즘 데이터, 참조 색도값 및 참조 휘도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프로세서(120)와 연결되어 메모리(110)에 저장된 데이터는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120)로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필요한 경우 메모리(110)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소자의 균일성 보정을 위한 여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에서 보정계수는 모든 픽셀에 대하여 소자별로 결정될 수 있으며 결정된 보정계수는 각 소자의 색도 및 휘도 성분에 적용되어 소자의 균일성이 보정된다. 본 개시에서 소자의 균일성이란, 각 소자에서 출력되어 측정되는 광의 휘도, 색도 또는 휘도 및 색도의 균일성을 의미하며, 균일성 보정이라 함은 각 소자가 일정한 계조값의 빛을 발하는 경우 일정한 레벨의 휘도 및 색도의 광을 출력하도록, 각 소자의 휘도 및 색도 성분에 보정계수를 적용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균일성이 보정된 소자들의 계조값이 동일하게 변화되는 경우, 모든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휘도 및 색도 레벨은 동일한 레벨로 변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메모리(110)는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메모리(110)에 모든 소자에 대한 계조-색도 모델링 데이터, 계조-휘도 모델링 데이터 및 보정계수 결정을 위한 알고리즘 데이터 등을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각 소자마다 대응하는 보정계수의 저장을 위한 복수의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보정계수를 결정하기에 앞서 색도 및 휘도 간의 관계에 대한 목표치(target)를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보정계수는 최대 계조값에 대응하는 휘도에 대한 최종적으로 결정된 휘도값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균일성 보정을 위한 소자의 보정 프레임워크와 매칭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보정계수가 휘도값의 비율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목표치란 안구가 올바른 색상을 식별할 수 있도록, 안구 내의 색채 수용기가 인식해야 하는, 특정 계조값에 대응하는 색도값 및 휘도값에 대한 안구 반응값을 의미한다.
프로세서(120)는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1 색도값을 결정하고, 제 1 색도값 및 목표치에 기초하여 제 1 휘도값을 결정하며 제 1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2 계조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20)는 제 2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2 색도값을 결정하여 제 2 색도값 및 목표치에 기초하여 다시 제 2 휘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휘도값이 결정되면, 프로세서(120)는 제 2 휘도값에 기초하여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정의된 횟수만큼 보정계수를 결정하거나 참조 색도값과 최종적으로 결정된 색도값의 차이 또는 참조 휘도값과 최종적으로 결정된 휘도값의 차이가 임계치 이하가 될 때까지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프로세서(120)는 이하 설명하는 모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도 5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색역(Chromaticity Diagram)(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안구는 세 개의 색채 수용기를 이용하여 색도와 휘도의 조합을 통해 특정 색상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색도와 휘도에 대한 수용기의 반응 값은 X, Y, Z로 변환될 수 있다. 반응값(X, Y, Z), 색도값(x, y) 및 휘도값(Y)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1)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CTKR2020012875-appb-img-000001
관계식 (1)
도 2a의 색역(200)은 안구가 인식하는 색상을 색도값(x, y)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색도 및 휘도 간의 관계에 대한 목표치는 색역(200)의 특정 포인트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소자에 대한 R, G, B 성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자는 각각 R(Red), G(Green) 및 B(Blue) 색상의 광을 발할 수 있으며, R 성분 값은 R LED에, G 성분 값은 G LED에, 그리고 B 성분 값은 B LED에 입력된다. 각 성분 값에 기초하여 R LED, G LED 및 B LED의 광 출력이 가산되어 다양한 색상을 발하는 광 출력이 형성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각 픽셀(220a)은 각각 R, G, B 색상을 광 출력하는 R LED, G LED 및 B LED(220b)로 구성된다. 이 때, 행렬(230)은 특정 픽셀의, R LED, G LED 및 B LED 의 광 출력에 대한, 현재 측정된 색도값 및 휘도값에 대응하는 안구 반응값이다. 예를 들어, 계측기(미도시)는 소자(220a)의 R LED, G LED 및 B LED(220b)의 광 출력으로부터, 현재 색도값 및 휘도값을 계측할 수 있으며, 계측된 R LED의 색도값 및 휘도값에 대응하는 안구 반응값은 X mesR, Y mesR, Z mesR 일 수 있다.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역에 대응하는 안구 반응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소자가 원하는 색상을 출력하여 소자의 균일성이 보장(guaranteed)되기 위해서는, 소자 R LED, G LED 및 B LED가 출력하는 최대치 광을 모두 가산하는 경우 타겟 화이트(240)가 출력될 수 있어야 한다. 행렬(250)은 타겟 화이트(240)를 출력하기 위한 R LED, G LED 및 B LED 각각의 색도값 및 휘도값에 대응하는 안구 반응값이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R LED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용체가 인식하는 경우 안구 반응값은 행렬(250)의 X tgt,R, Y tgt,R, Z tgt,R 일 수 있다.
도 2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자의 색도 및 휘도 성분에 보정계수를 적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세서(120)는, 소자의 균일성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계수(260)를 결정하게 되면, 소자에 대응되는 색도 및 휘도 성분에 상기 보정계수(260)를 적용할 수 있다. 보정계수(260)가 적용된 결과를 도 2D를 통해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자의 현재 측정된 R LED, G LED 및 B LED 의 색도값 및 휘도값에 대응하는 안구 반응값의 행렬(230)과 보정계수(260)를 연산하면, 타겟 화이트(240)를 출력하기 위한 R LED, G LED 및 B LED 각각의 색도값 및 휘도값에 대응하는 안구 반응값의 행렬(250)이 도출될 수 있다. 이때, 보정계수(260)는 행렬(230)과 연산되어 행렬(250)을 도출하기 위해 3x3 행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목표치는 소자가 구현할 필요가 있는 색역(200) 상의 색도와 휘도에 대응하는, 안구 반응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치는 행렬(250)에서 각 열에 해당하는 3x1 행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목표치는 타겟 화이트(240)를 구현하기 위해 R LED, G LED 및 B LED가 광 출력하는 색도 및 휘도 성분에 대한 안구 반응값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아니다. 목표치는 모든 소자가 동일한 입력에 대하여 동일한 출력을 낼 수 있는 색역(200) 상의 특정 포인트일 수 있다.
타겟 화이트(240)을 구성하기 위한 색도값(x, y) (예를 들어, 행렬(250)에 대응하는 색역(200) 상의 R, G, B 포인트))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타겟 화이트(240)을 구성하기 위한 R LED, G LED 및 B LED 의 휘도값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2), 관계식(3) 및 관계식(4)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KR2020012875-appb-img-000002
관계식 (2)
관계식(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개시의 목표치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R LED, G LED 및 B LED의 휘도값인 Y tgt,R, Y tgt,G, Y tgt,B, 값이 결정될 필요가 있다.
상기 관계식(1)을 적용하여 상수와 미지수인 휘도값을 분리하면 관계식(3)을 획득할 수 있다.
Figure PCTKR2020012875-appb-img-000003
관계식 (3)
이후, 관계식(3)을 행렬 형태로 변환화면 관계식(4)를 획득할 수 있다.
Figure PCTKR2020012875-appb-img-000004
관계식(4)
관계식(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목표치가 결정되면, 상수인 색도값과 목표치로부터, 목표치를 구현하기 위한 R LED, G LED 및 B LED의 목표 휘도값 Y tgt,R, Y tgt,G, Y tgt,B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표치와 색도값에 기초하여 휘도값을 구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게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계식(4)를 통해 목표치와 색도값에 기초하여 목표치를 구현하기 위한 R LED, G LED 및 B LED의 휘도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렬(320)은 목표 R 색상에 대한 색도값 및 휘도값에 대응하는 안구 반응값일 수 있다. 이때, 상수인, 목표 R 색상에 대한 R LED, G LED 및 B LED의 색도값이 행렬(310)로 결정될 수 있으며 행렬 계산을 통해 목표 R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R LED, G LED 및 B LED 광 출력의 휘도 성분에 대한 안구 반응값을 행렬(300) 형태로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행렬(300)의 RY i+1,R은 목표 R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R LED의 광 출력의 휘도 성분에 대한 안구 반응값, GY i+1,R은 목표 R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G LED의 광 출력의 휘도 성분에 대한 안구 반응값, BY i+1,R은 목표 R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B LED의 광 출력의 휘도 성분에 대한 안구 반응값일 수 있다.
목표 R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행렬(300)을 획득한 것과 유사하게, 목표 G 색상이 결정되면, 목표 G 색상에 대한 색도값 및 휘도값에 대응하는 안구 반응값을 나타내는 행렬(350) 및 R LED, G LED 및 B LED의 색도값을 나타낸 행렬(340)의 행렬 계산을 통해 목표 R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R LED, G LED 및 B LED 광 출력의 휘도 성분에 대한 안구 반응값을 행렬(330) 형태로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행렬(330)의 RY i+1,G은 목표 G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R LED의 광 출력의 휘도 성분에 대한 안구 반응값, GY i+1,G은 목표 G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G LED의 광 출력의 휘도 성분에 대한 안구 반응값, BY i+1,G은 목표 G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B LED의 광 출력의 휘도 성분에 대한 안구 반응값일 수 있다. 목표 B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120)는 목표 R, G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행렬(360, 370, 380)을 획득할 수 있다.
소자가 올바르게 광을 출력하기 위해, 프로세서(120)는 기준 목표치로 타겟 화이트(230)를 결정할 수 있으며 타겟 화이트(230)를 구현하기 위한 목표 R, G, B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목표 R, G, B 색상에 따라 R LED, G LED 및 B LED가 광을 출력하게 되면 안구는 화이트 색상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휘도와 색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래프(400)는 실제 소자의 휘도값에 대한 색도값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소자의 목표치를 결정하여 휘도 성분을 보정하게 되면 색도 성분(x, y)이 함께 변경된다. 따라서, 처음 결정된 목표치와는 다소 상이한 상이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휘도와 색도가 모두 변경되는 환경에서도 처음 결정된 목표치 구현하기 위해, 계조-색도 및 계조-휘도의 관계를 개별적으로 고려하여 보정계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정계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모든 픽셀에 대한 계조-색도 모델링 및 계조-휘도 모델링이 소자별로 필요할 수 있다. 계조-색도 모델링은 각 소자에 입력되는 계조값에 대응하는 색도값을 측정하여 모델링한 것이며 계조-휘도 모델링은 각 소자에 입력되는 계조값에 대응하는 휘도값을 측정하여 모델링한 것일 수 있다.
계조-색도, 계조-휘도 모델링 방식은 소자별로, 전 계조값(0 내지 255)에 대응하는 모든 색도값과 휘도값을 측정하거나 특정 계조값에 대응하는 색도값과 휘도값을 측정하여 알파-베타 형태의 전력함수 형태를 통해 나머지 계조값에 대응하는 색도값과 휘도값을 보간(interpolation) 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계조-색도, 계조-휘도 모델링이 결정되면 메모리(110)는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20)는 보정계수를 결정하기 위해 저장된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 에서, 프로세서(120)는 계조-색도 모델링을 이용하여 소자의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1 색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계조-색도 모델링의 특정 계조값에 대응하는 특정 색도값은 선형적이며 계조값과 일대일 매칭 관계를 가지므로, 하나의 계조값에 대해서 하나의 색도값이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소자별로 R LED, G LED, B LED에 입력되는 계조값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계조-색도 모델링을 이용하여 결정된 제 1 색도값은 총 9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R LED, G LED, B LED 각각에 상이한 제 1 계조값이 입력되면 R LED, G LED, B LED 각각에 대한 색도값(x, y, z)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R LED의 제 1 계조값이 입력되면 계조-색도 모델링을 이용하여, 입력된 R LED의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색도값(R x, R y)를 결정하고 상기 관계식(1)을 통해 R LED의 제 1 색도값(R x, R y, R z)을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프로세서(120)는 G LED의 제 1 색도값(G x, G y, G z) 및 B LED의 제 1 색도값(B x, B y, B z)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색도값이 결정되면 단계 S520 에서,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제 1 색도값과 목표치로부터 상기 관계식(4)를 통해 제 1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1 휘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결정되는 제 1 휘도값은 광 출력의 휘도 성분에 대한 안구 반응값일 수 있다.
행렬 계산을 통해 결정되는 제 1 휘도값은 목표치를 구현하기 위한 R LED, G LED, B LED 각각의 휘도값일 수 있으며 3x1 행렬의 형태일 수 있다.
제 1 휘도값이 결정되면 단계 S530에서, 프로세서(120)는 계조-휘도 모델링을 이용하여 제 1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2 계조값을 결정할 수 있다.
계조-휘도 모델링의 제 1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2 계조값은 선형적이며 제 1 휘도값과 일대일 매칭 관계를 가지므로, 하나의 휘도값에 대해서 하나의 계조값이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제 1 휘도값은 R LED, G LED, B LED 별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계조-휘도 모델링을 이용하여 결정된 제 2 휘도값은 총 3개일 수 있다.
제 2 계조값이 결정되면 단계 S550에서, 프로세서(120)는 계조-색도 모델링을 이용하여 소자의 제 2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2 색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색도값을 결정하는 방법은 제 1 색도값을 결정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색도값이 결정되면 단계 S550에서, 프로세서(120)는 단계 S520과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된 제 2 색도값과 목표치로부터 상기 관계식(4)를 통해 제 2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2 휘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휘도값이 결정되면 단계 S560에서,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제 2 휘도값으로부터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균일성 보정을 위한 보정계수는 최대 계조값에 대응하는 휘도값에 대한 제 2 휘도값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 LED, G LED 및 B LED는 상이한 제 2 휘도값을 각각 가질 수 있으므로, 하나의 목표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보정계수는 총 3개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타겟 화이트를 기준으로 목표 R 색상, 목표 G 색상 및 목표 B 색상인 3개의 목표치를 결정하게 되면, 결정되는 보정계수는 총 9개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9개의 엘리먼트 중 각각은 목표 R 색상, 목표 G 색상 및 목표 B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R LED, G LED 및 B LED 각각이 방출해야 하는 광에 대한 휘도값이다. 구체적으로, 목표 R 색상이 결정되면, 목표 R 색상에 대한 3개의 엘리먼트는 R LED의 최대 휘도값에 대한 R LED의 제 2 휘도값 비율, G LED의 최대 휘도값에 대한 G LED의 제 2 휘도값 비율 및 B LED의 최대 휘도값에 대한 B LED의 제 2 휘도값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목표 G 색상 및 목표 B에 대한 6개의 엘리먼트가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보정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9개의 엘리먼트를 3x3행렬 형태로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보정계수가 휘도값의 비율을 포함하고 3x3행렬 형태일 수 있으나, 이는 균일성 보정을 위한 소자의 보정 프레임워크와 매칭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 1 색도값, 제 2 색도값, 제 1 휘도값, 제 2 휘도값 및 제 2 계조값을 결정하기 위한 단계 S610 내지 S650은 단계 S510 내지 S55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휘도값이 결정되면 단계 S660에서, 프로세서(120)는 참조 색도값과 제 2 색도값의 차이 또는 참조 휘도값과 제 2 휘도값의 차이가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참조 색도값과 제 2 색도값의 차이 또는 참조 휘도값과 제 2 휘도값의 차이가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프로세서(120)는 단계 S610로 회기하여 단계 S650까지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참조 색도값과 제 2 색도값의 차이 또는 참조 휘도값과 제 2 휘도값의 차이가 임계치 이하라면, 프로세서(120)는 단계 S670에서,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방법은 단계 S560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참조 색도값과 참조 휘도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목표치에 대한 색도값과 휘도값을 결정하기 위해 단계 S610 내지 S650을 반복(iteration)할 수 있다. 단계 S610 내지 S650을 반복함으로써, 휘도와 색도가 모두 변경되는 환경에서도 처음 결정된 목표치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소자의 광 출력을 위한 소자의 균일도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610 내지 S650의 반복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프로세서(120)는 현재 단계 S610 내지 S650가 몇 번 반복된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현재의 제 2 색도값, 제 2 계조값 또는 제 2 휘도값이 미리 정의된 횟수만큼의 단계 S610 내지 S650가 반복되어 결정된 값인지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제 2 색도값, 제 2 계조값 또는 제 2 휘도값이 미리 정의된 횟수만큼의 반복을 통해 결정된 값이라면, 프로세서(120)는 단계 S670 에서,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현재의 제 2 색도값, 제 2 계조값 또는 제 2 휘도값이 미리 정의된 횟수만큼의 반복을 통해 결정된 값이 아니라면, 프로세서(120)는 단계 S610로 회기하여 단계 S650까지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도값과 휘도값을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프로세서(120)는 제 1 계조값이 입력되면 계조-색도 모델링(700)을 이용하여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R LED, G LED, B LED의 제 1 색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선(702, 704, 706, 708, 710, 712)은 특정 소자에 입력되는 계조값에 대응하는, 색역(200) 상의 색도값을 측정하여 그래프화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선(702, 704)은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R LED의 색역(200) 상의 제 1 색도값, 선(706, 708)은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G LED의 색역(200) 상의 제 1 색도값이며 선(710, 712)은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B LED의 색역(200) 상의 제 1 색도값일 수 있다.
색역(200) 상의 색도값이 결정되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관계식(1)을 통해 R LED, G LED, B LED 각각에 대한 색도값(x, y, z)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상기 관계식(1)을 통해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R LED의 제 1 색도값이 행렬(702)의 1열에 대응하는 (R xi, R yi, R zi)임을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프로세서(120)는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G LED의 제 1 색도값(G xi, G yi, G zi) 및 B LED의 제 1 색도값(B xi, B yi, B zi)을 결정할 수 있다. 각 색도값에 표시된 i는 현재 입력된 제 1 계조값이 i번째 입력임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색도값이 결정되면 프로세서(120)는 목표치(722)와 행렬(720)의 행렬 계산을 통해 제 1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1 휘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행렬(724) 제 1 색도값에 대응하는 R LED, G LED, B LED의 각각의 제 1 휘도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색도값에 대응하는 R LED가 방출해야 하는 광 출력의 제 1 휘도값은 RY i+1, G LED가 방출해야 하는 광 출력의 제 1 휘도값은 GY i+1이며 B LED가 방출해야 하는 광 출력의 제 1 휘도값은 BY i+1일 수 있다.
제 1 휘도값이 결정되면 프로세서(120)는 계조-휘도 모델링(730)을 이용하여 제 1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2 계조값을 결정할 수 있다. 선(732)은 특정 픽셀의 R LED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휘도값을 측정하여 그래프화한 것이다. 따라서, R LED의 제 1 휘도값이 결정되면 프로세서(120)는 선(732)으로부터 R LED의 제 2 휘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프로세서(120)는 선(734)으로부터 G LED의 제 2 휘도값 및 선(736)으로부터 G LED의 제 2 휘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조-색도 모델링(700)을 참조하면 계조값이 제 1 계조값에서 제 2 계조값으로 변화됨에 따라 계조값에 대응하는 색도값이 함께 변화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2 계조값이 결정되면 프로세서(120)는 계조-색도 모델링(700)을 이용하여 다시 제 2 계조값에 대응하는 R LED, G LED, B LED의 제 2 색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 2 색도값이 결정되면 프로세서(120)는 목표치와 제 2 색도값의 행렬 계산을 통해 제 2 휘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목표치를 구현하기 위해 특정 색도값에 대응하는 휘도값을 결정하면, 변경된 계조값으로 색도값이 함께 변화됨을 알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조-색도 및 계조-휘도 모델링을 이용하여, 변화된 색도값에 대응하는 휘도값을 다시 결정화여 목표치를 구현하기 위한 휘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휘도값을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은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반복될 수 있으며 참조 색도값과 제 2 색도값 또는 참조 휘도값과 제 2 휘도값의 차이가 임계치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계조-색도, 계조-휘도 모델링 방식은 전 계조값(0 내지 255)에 대응하는 모든 색도값과 휘도값을 측정하거나 특정 계조값에 대응하는 색도값과 휘도값을 측정하여 나머지 계조값에 대응하는 색도값과 휘도값을 보간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계조-색도, 계조-휘도 모델링은 소자별로 상이할 수 있다.
도 8a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정된 휘도값에 기초하여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프로세서(120)는 최종적으로 목표치(722)를 구현하기 위한 제 2 휘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목표치(722)를 구현하기 위한 R LED의 제 2 휘도값(808), G LED의 제 2 휘도값(810) 및 B LED의 제 2 휘도값(812)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휘도값이 결정되면 프로세서(120)는 R LED, G LED 및 B LED의 제 2 휘도값(808, 810 812)로부터 목표치를 구현하기 위한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목표치가 목표 R 색상인 경우 보정계수는 3개의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목표치가 목표 R 색상인 경우, 상기 3개의 엘리먼트는 R LED의 최대 계조값에 대응하는 휘도값(802)에 대한 R LED의 제 2 휘도값(808)의 비율, G LED의 최대 계조값에 대응하는 휘도값(804)에 대한 R LED의 제 2 휘도값(810)의 비율 및 R LED의 최대 계조값에 대응하는 휘도값(806)에 대한 R LED의 제 2 휘도값(812)의 비율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목표 R 색상, 목표 G 색상, 목표 B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제 2 휘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보정계수를 구성하기 위한 총 9개의 엘리먼트를 결정할 수 있다. 9개의 엘리먼트가 결정되면 프로세서(120)는 목표치를 구현하기 위한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때 보정계수는 3x3 행렬(820)의 형태일 수 있다.
행렬(820)에서 max(RY)는 R LED의 최대 계조값에 대응하는 휘도값(802), max(GY)는 G LED의 최대 계조값에 대응하는 휘도값(804) 및 max(BY)는 B LED의 최대 계조값에 대응하는 휘도값(806)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제 2 휘도값이 목표 R 색상과 관련된 경우, RY R은 결정된 제 2 휘도값(808), GY R은 결정된 제 2 휘도값(810) 및 BY R은 결정된 제 2 휘도값(812)일 수 있다. 이때, 행렬(820)에서 1열은 목표 R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보정계수를 나타낸다. 유사하게 행렬(820)에서 2열은 목표 G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보정계수 이며 3열은 목표 B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보정계수를 나타낼 수 있다.
행렬(830)은 행렬(820)의 간략화된 표기이다. 따라서, 행렬(830)은 목표치를 구현하기 위한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820)와 대응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보정계수가 3x3 행렬의 형태이고 최대 계조값에 대응하는 휘도에 대한 최종적으로 결정된 휘도값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균일성 보정을 위한 소자의 보정 프레임워크와 매칭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자의 색도 및 휘도 성분에 보정계수를 적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정계수가 결정되면 프로세서(120)는 보정계수를 소자에 대응되는 픽셀값의 색도 및 휘도 성분에 적용하여 균일도를 보정할 수 있다. 보정계수를 적용하는 한가지 방식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계수 행렬(830)에 현재 측정된 R LED, G LED 및 B LED 의 색도값 및 휘도값과 관련된 행렬(230)을 행렬곱 계산 하는 것이다. 행렬곱의 결과로 보정된 R LED, G LED 및 B LED의 색도 및 휘도 성분과 관련된 행렬(250)이 결정될 수 있다. 행렬(250)의 1열은 보정된 R LED의 색도값과 휘도값에 대한 안구 반응값, 2열은 보정된 G LED의 색도값과 휘도값에 대한 안구 반응값, 1열은 보정된 B LED의 색도값과 휘도값에 대한 안구 반응값일 수 있다. 또한 행렬(250)의 각 행을 가산하게 되면 타겟 화이트(230)의 색도값과 휘도값에 대한 안구 반응값이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자의 균일성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휘도와 색도가 모두 변경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모든 픽셀에 대하여 소자별로 보정계수를 산출하여 영상신호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균일성을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자의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1 색도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색도값 및 색도 및 휘도 간의 관계에 대한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1 휘도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2 계조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2 색도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색도값 및 상기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2 휘도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휘도값에 기초하여,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를 상기 소자에 대응되는 픽셀값의 색도 및 휘도 성분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는 최대 계조값에 대응하는 휘도에 대한 상기 제 2 휘도값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도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계조-색도 모델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색도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계조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계조-휘도 모델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휘도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계조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정의된 횟수만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참조 색도값과 상기 제 2 색도값의 차이 또는 참조 휘도값과 상기 제 2 휘도값의 차이가 임계치 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제어방법.
  8.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의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1 색도값을 결정; 상기 제 1 색도값 및 색도 및 휘도 간의 관계에 대한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1 휘도값을 결정;
    상기 제 1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2 계조값을 결정;
    상기 제 2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2 색도값을 결정;
    상기 제 2 색도값 및 상기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2 휘도값을 결정; 및
    상기 제 2 휘도값에 기초하여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계수를 상기 소자에 대응되는 픽셀값의 색도 및 휘도 성분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는 최대 계조값에 대응하는 휘도에 대한 상기 제 2 휘도값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계조-색도 모델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색도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계조-휘도 모델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휘도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계조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미리 정의된 횟수만큼 상기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참조 색도값과 상기 제 2 색도값의 차이 또는 참조 휘도값과 상기 제 2 휘도값의 차이가 임계치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자를 제어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상기 소자의 제 1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1 색도값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1 색도값 및 색도 및 휘도 간의 관계에 대한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1 휘도값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1 휘도값에 대응하는 제 2 계조값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2 계조값에 대응하는 제 2 색도값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2 색도값 및 상기 목표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색도값에 대응하는 제 2 휘도값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휘도값에 기초하여 색도 및 휘도의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CT/KR2020/012875 2019-10-02 2020-09-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106638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873042.4A EP4024378A4 (en) 2019-10-02 2020-09-23 DISPLAY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 THEREOF
US17/710,074 US20220223090A1 (en) 2019-10-02 2022-03-31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503 2019-10-02
KR1020190122503A KR20210039822A (ko) 2019-10-02 2019-10-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7/710,074 Continuation US20220223090A1 (en) 2019-10-02 2022-03-31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6383A1 true WO2021066383A1 (ko) 2021-04-08

Family

ID=7533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2875 WO2021066383A1 (ko) 2019-10-02 2020-09-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23090A1 (ko)
EP (1) EP4024378A4 (ko)
KR (1) KR20210039822A (ko)
WO (1) WO20210663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2259A1 (zh) * 2021-05-31 2022-12-08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的控制方法、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7578B (zh) * 2020-09-02 2022-02-22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的设置方法及显示面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5798A (ja) * 1998-06-12 1999-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の補正データ生成方法
US20170330498A1 (en) * 2016-05-13 2017-11-16 Synaptics Japan Gk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 color adjustment
KR20180050054A (ko) * 2016-11-04 201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지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80062571A (ko) * 2016-11-30 2018-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보상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장치
JP2019003128A (ja) * 2017-06-19 2019-01-10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表示ドライバの設定方法、色調整装置、プログラム及び表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1621B2 (ja) * 2003-10-23 2006-03-01 株式会社ナナオ 表示特性較正方法、表示特性較正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055283B2 (en) * 2013-03-15 2015-06-09 Apple Inc. Methods for display uniform gray tracking and gamma calibration
CN110197642B (zh) * 2019-05-30 2020-12-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三基色亮度校正关系的获取方法、显示器的校正方法及校正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5798A (ja) * 1998-06-12 1999-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の補正データ生成方法
US20170330498A1 (en) * 2016-05-13 2017-11-16 Synaptics Japan Gk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 color adjustment
KR20180050054A (ko) * 2016-11-04 201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지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80062571A (ko) * 2016-11-30 2018-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보상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장치
JP2019003128A (ja) * 2017-06-19 2019-01-10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表示ドライバの設定方法、色調整装置、プログラム及び表示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024378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2259A1 (zh) * 2021-05-31 2022-12-08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的控制方法、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4378A1 (en) 2022-07-06
US20220223090A1 (en) 2022-07-14
KR20210039822A (ko) 2021-04-12
EP4024378A4 (en)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52102A1 (ko) 전자 장치, 그의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 보정 방법 및 보정 시스템
WO2018084516A1 (ko) 전지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7034852B2 (en) Projection system, projector, program,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3751621B2 (ja) 表示特性較正方法、表示特性較正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2106638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008576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same
CN112150972B (zh) 图像补偿方法及装置、显示装置
JP2007122009A (ja) 平板表示装置及びその画質制御方法
CN113495709B (zh) 色彩校正方法、ap芯片、终端和存储介质
WO2017061691A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145577A (ja) 色変換行列作成装置、色変換行列作成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装置
EP098752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color display unit
CN110728953B (zh) 一种灰阶电压校正方法、驱动方法、校正系统和存储介质
JP5326144B2 (ja) ディスプレイを較正する較正システムと方法
WO2022045421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859937B1 (ko) 디스플레이의 그레이 레벨 대 휘도 곡선을 신속히 생성하는방법 및 장치
WO202020448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9146975A1 (ko) 디스플레이에 발생한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전자 장치
WO2021015500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104534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02086A (ko) 표시 패널 및 이의 검사 방법
JP3815542B2 (ja) 色変換装置、色変換係数算出装置、色変換方法、及び色変換係数算出方法
WO2024111991A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학 보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광학 보상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WO2019132445A1 (ko) 디스플레이의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4111993A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학 보상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730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730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