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45342A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45342A1
WO2021045342A1 PCT/KR2020/004873 KR2020004873W WO2021045342A1 WO 2021045342 A1 WO2021045342 A1 WO 2021045342A1 KR 2020004873 W KR2020004873 W KR 2020004873W WO 2021045342 A1 WO2021045342 A1 WO 202104534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ixel
sub
user
offse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48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피화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104534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453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olour palettes, e.g. look-up tab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even visibility regardless of a location of a user of the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a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has 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an image and can display an image based on a broadcast signal or image signal/image data in various formats, and is implemented as a TV or a monitor.
  • a display panel is implemented in various configuration types such as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plasma panel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nd is applied to various display devices.
  • the LC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s one of the panels widely used in display devices.
  • the LCD panel is a display device that implements an imag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from a light source by using the optical anisotropy of molecules and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a polarizing plate. Its application range is rapidly expanding.
  • the viewing angle is limited by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LCD panel.
  • a user locat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device rather than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an image is not clear due to a black level raise in a repeating tone.
  •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visibility by providing even visibility irrespective of a location of a user of the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a user'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display device, and determining a first offset for a first sub-pixel of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user's position. Step, obtaining a first look-up table by adding the first offset to a look-up table that is applied to the first sub-pixel and causes the first sub-pixel to emit light of a specific level with respect to an input gray level.
  • the step of obtaining a second look-up table by adding a second offset to a look-up table that is applied to a second sub-pixel to cause the second sub-pixel to emit light of a specific level with respect to the input gray level, and the first And controlling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based on a look-up table and a value obtained from the second look-up table.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pixels and subpixels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ning angle of a sub-pix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viewing a display device from different locatio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6 is a view showing a lifting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ngle formed between a display device and a user's pos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a sub-pix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8 is a flowchart for improving visi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etermining of the first offset includes the first offset based on an angle formed by a pixel of the display device and a loc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1 offset.
  • the first lookup table may correspond to a low gray scale.
  • the second lookup table may correspond to a high gray scale.
  • the first offset is such that an angle difference between an opening angle of the first sub-pixel and an angle formed by a pixel of the display device and a location of the user is 0. It may be a signal to
  • the second offset may be a signal difference between a lookup table applied to the first subpixel and a lookup table applied to the second subpixel.
  • the controlling of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look-up tables to correspond to values stored in the first look-up table and the second look-up table. It may include changing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nsor, a memory, and at least one processor,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s the sensor to cause the sensor to detect a user'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display device. Control, and determine a first offset with respect to the first sub-pixel of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user, and apply to the first sub-pixel to cause the first sub-pixel to input gray
  • a first lookup table is obtained by adding the first offset to a lookup table that emits light of a specific level, and applied to a second sub-pixel to cause the second sub-pixel to generate light of a specific level with respect to the input gray level.
  • a second lookup table is obtained by adding a second offset to a lookup table to be generated, and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are determined based on values obtained from the first lookup table and the second lookup table. Can be controlled.
  • the recording medium causes the display device to: detect a location of a user with respect to the display device, the recording medium Determining a first offset for the first sub-pixel of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user's position, applied to the first sub-pixel to cause the first sub-pixel to have a specific level of gray to be input
  •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n operation to be performed may be stored.
  • the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Includ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uni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ixel 140a and a subpixel 140b of a display panel 1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20 that displays an image to display an image based on image signals/image data in various formats.
  • the display panel 12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xels, and one pixel 140a may be composed of three sub-pixels 140b.
  • each sub-pixel can emit light of R LCD (Liquid Crystal Display) that can emit light of R (Red) color, G LCD (which can emit G (Green) color) and light of B (Blue) color.
  • R LCD Liquid Crystal Display
  • G LCD which can emit G (Green) color
  • B blue
  • It may be a B LCD that can emit color light, and the R component value is input to the R LCD, the G component value is input to the G LCD, and the B component value is input to the B LCD.
  • the light outputs of R LCD, G LCD and B LCD are added to form a light output emitting various colors.
  • each of the three sub-pixels 140b may have a different opening angle, and the level of the output light may be changed as the opening angle is different, so that the level of light recognized by the eyeball may be changed.
  • the opening angle of the sub-pixe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isplay device 200 may include a memory 220, a processor 240, and a sensor 260.
  • the memory 220 may store a plurality of data sets having different opening angles of the sub-pixels 140b for each user's loc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ata set is stored in the form of a Look Up Table (LUT).
  • LUT Look Up Table
  • the memory 220 allows the sub-pixel 140b to have an opening angle corresponding to the angle of the user's position based on the pixel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200.
  • the signal data controlling 140b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 Look Up Table (LUT).
  • a different lookup table may be applied to each subpixel 140b, and an opening angle of the subpixel 140b may vary according to the applied lookup table.
  • the plurality of data includes adaptive color capture (ACC) data for minimizing color coordinate deviation between gray levels, 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DCC) data for determining a maximum value of response speed between gray levels, and gamma characteristics. It may be any one of gamma data.
  • ACC adaptive color capture
  • DCC 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 an offset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t opening angle of each sub-pixel 140b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20, and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offset signal may be a predetermined experimental value.
  • the memory 220 must remain data even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display apparatus 200 is cut off, and may be provided as a writable nonvolatile memory (Writable ROM) so as to reflect changes. That is, the memory 220 may be provided as either a flash memory, an EPROM, or an EEPROM.
  • the lookup table for all subpixels is stored in one memory 11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device 200 corresponds to each subpixel. A plurality of memories for storing the lookup table may be provided.
  • the memory 22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240 and data stored in the memory 220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240 if necessary. Conversely,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or 240 may be transmitted to the memory 220 for reuse. If necessary, the processor 240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for improving visibility using data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20.
  • the processor 240 may determine a lookup table applied to each of the subpixels 140b, and an offset determined from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user position may be added to the specific lookup table.
  • the processor 240 may improve visibility by adding the determined offset to a specific lookup table and applying the lookup table to which the offset is added to a specific subpixel.
  • the improvement of visibility means that each of a plurality of lookup tables to which an offset is added so that the user's eyeball recognizes the same level of light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user gazing at the display apparatus 200 is each subpixel 140b. It means to control the sub-pixel by applying to.
  • the processor 24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 the processor 24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PU to perform image processing,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a lookup table to be applied, and a control operation for other components, or a plurality of processors such as CPU, GPU, and ISP (Image Signal Processor). And it may be implemented as an IP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 the processor 240 may control the sensor 260 to cause the sensor (eg, a camera) 260 to detect a current position of the user's display device 200.
  • the processor 240 When the sensor 260 detects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transmits the location data to the processor 240, the processor 240 is based on an angle formed by the user's location based on a pixel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device 200. A first offset for the first sub-pixel may be determined. Thereafter, the processor 240 obtains a first lookup table by adding a first offset to a lookup table (eg, LUT A) applied to the first subpixel, and obtains a lookup table applied to the second subpixel (for example, For example, a second lookup table may be obtained by adding a second offset to LUT B).
  • a lookup table eg, LUT A
  • the processor 240 applies the first lookup table and the second lookup table obtained to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to determine the light level emitted by the user from the plurality of subpixels.
  • a plurality of sub-pixels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y are recognized differently.
  • a method of controlling a sub-pixel by adding an offset to a lookup tab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8.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isplay device 200 includes a signal controller 320 including a memory 220, an image signal processor 340,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360, and a display panel 120. I can.
  • the memory 220 may store,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a data set that causes the sub-pixels 140b to vary the opening angle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 LUT A is applied to the R LCD, one of the sub-pixels 140b, to cause the R LCD to emit the light level of the R color as much as the input image signal. It may be data to include.
  • the LUT B may be data including an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G LCD with respect to the input gray level, which is applied to the G LCD and causes the G LCD to emit a light level of G color equal to the input image signal.
  • LUT A is applied to R LCD and LUT B is applied to G LCD,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 LUT B may be applied to R LCD and LUT A may be applied to G LCD, or LUT A may be applied to R LCD of a first pixel and LUT B may be applied to R LCD of a second pixel.
  • the sub-pixel 140b to which LUT A or LUT B is applied may adjust the opening angle to correspond to the stored amount of emitted light. .
  • LUT A and LUT B exist in the form of data in the memory 220 or in the form of hardware, or exist in the form of hardware outside the memory 220, and if necessary, the signal controller 320 provides data for improving visibility. Can be transmitted.
  • LUT A and LUT B may be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may receive a lookup table b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server.
  • each subpixel 140b when a specific lookup table is applied to a specific sub-pixel, it means that the opening angle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of the specific sub-pixel with respect to the screen is changed so that the specific sub-pixel emits a predetermined light level with respect to the input gray level. do. Therefore, if different lookup tables are applied to each subpixel 140b, each subpixel 140b may have a different opening angle, and if the same lookup table is applied to each subpixel 140b, each subpixel 140b may have the same opening angle.
  • the opening angle of the subpixel 140b will be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data stored in the new lookup table. I can.
  • the signal controller 320 may include an image signal processor 340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360.
  •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340 may analyze the input image data and match light levels to be output by the plurality of sub-pixels 140b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respectively, with the input image data.
  • the input image data is converted into a digital form by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340 and may b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pixel arrangement of the display panel 120.
  •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340 converts the input image data into a digital form and at the same time, the display panel 120 looks up the plurality of sub-pixels 140b from the memory 220 so that the input image can be correctly output. You can select a table (e.g., LUT A or LUT B).
  • LUT A is a lookup table applied when an input gray level is a low gray level
  • LUT B may be a lookup table applied when an input gray level is a high gray level. It is assumed that LUT A is applied to the pixel and LUT B is applied to the second sub-pix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mage signal processor 340 may transmit the lookup table applied to all the subpixels 140b and the converted input image data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60 in order to control the subpixels.
  •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60 controls the sub-pixel 140b based on the user's angle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location and a lookup table received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or 340.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the purpose.
  •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360 may generate a first offset, which is a signal that cau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sub-pixel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angl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pixel of the display device to be zero. Can be added to LUT A. As the first offset is added to the LUT A, a first look-up table may be obtained. As the first look-up table is applied to the first sub-pixel,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light level emitted from the user first sub-pixel is zero.
  •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60 may add the second offset to the LUT B.
  • the second offset may be a signal difference between the look-up table LUT A applied to the first sub-pixel and the look-up table LUT B applied to the second sub-pixel.
  • the second offset may be a signal difference indicating a difference between an angle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pixel before the first offset and the second offset are added.
  •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360 includes a control signal and comma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ok-up table and the second look-up table obtained to control the sub-pixel 140b.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panel 120. Thereafter, the display panel 120 may control each sub-pixel 140b to correspond to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so that each sub-pixel 140b has an opening angle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ning angle of a sub-pix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a TV 420 and is not limited thereto.
  • each sub-pixel 140b may be a sub-pixel 460 having a specific opening angle.
  • the opening angle may be an angle of the sub-pixel 460 with respect to the pixel 44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V 420 screen.
  • the sub-pixel 460 may form an angle 1 with a virtual vertical line 480 perpendicular to the pixel 44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V 420 screen.
  • the opening angle of the sub-pixel 460 may be angle 1 , but the definition of the opening angl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mbodiment based on the virtual vertical line 480, and the pixel 440 is also necessarily a TV. (420) It does not have to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viewing the display apparatus 200 (eg, the TV 420) from different locatio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pixel 520 is an enlarged pixel 440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TV 420 screen.
  • the TV 4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xels, and one pixel may include three sub-pixels.
  • each of the sub-pixels may be R LCD, G LCD, and B LCD capable of emitting light of R (Red), G (Green), and B (Blue) colors.
  • the first sub-pixel 540a and the second sub-pixel 540b may be any one of R LCD, G LCD, and B LC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sub-pixel 540a and the sub-pixel 540b may have an opening angle to correspond to a lookup table applied to each of the sub-pixels 540a and 540b.
  • LUT A is applied to the first sub-pixel 540a
  • LUT B is applied to the second sub-pixel 540b, so that the first sub-pixel 540a and the second sub-pixel 540b have different opening angles. Can have.
  • the user 560 located in front of the TV 420 and the user 580 located on the side are Nevertheless, it can recognize different levels of light.
  • the input image is a gray image of a gray scale
  • the first and second sub-pixels 540a and 540b may open a pixel by an opening angle for outputting a gray image of the gray scale to emit light.
  • the user 560 can recognize the gray level of the middle level.
  • the user 580 located on the side of the screen of the TV 420 may recognize a higher level (brighter) gray than the level recognized by the user 560.
  • the black level raise recognizes light at a relatively high level compared to the light recognition level (or luminance) that the user should preferably recognize with respect to the input gradation, around the repeating gradation 128. it means.
  • This excitation phenomenon is because the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sub-pixels 540a and 540b viewed by the user 560 and the user 58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opening angle of the sub-pixel changes, the area of the sub-pixel viewed by the user may vary. Since the user has no choice but to recognize the light emitted to the area of the sub-pixel viewed, if the area of the sub-pixel viewed by the user is different, the level of light recognized by the user is also different. Accordingly, the user 560 and the user 580 may recognize different levels of gray even though the input image is a gray image of the same gray scale.
  • FIG. 6 is a view showing a lifting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graph 600 represents the user's light recognition level for the input grayscale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 the light recognition level recognized by the user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user.
  • the curve 620 represents the light recognition level recognized by the user 560 located in front of the TV 460 screen
  • the curve 640 is the light recognition level recognized by the user 580 located on the side of the TV 460 screen. It shows the level.
  • the light recognition level recognized by the user 560 located in front of the screen of the TV 460 increases at a constant rate as the input gray level increases.
  • the light recognition level recognized by the user 580 located on the side of the screen of the TV 460 is relatively different from the light recognition level recognized by the user 560 around the grayscale 128. It can be seen that it increases at a large rate. Accordingly, due to this excitation, the user 560 and the user 580 can recognize images of different levels even though the input image is an image of the same relay tone.
  • a method of controlling a sub-pixel to vary the amount of light emitted by adjusting the opening angle of the sub-pixe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8.
  • FIG. 7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ngle formed between a display device and a user's pos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user 720 When the user 72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TV 420 screen rather than the front side, the user 720 recognizes an image of a higher level than the user located in the front side due to the lifting phenomenon. Accordingly,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gle of the sub-pixel 140b, it is necessary to display an image having the same light level as that located in front of the TV 420 to the user 720.
  • the sensor (eg, camera) 26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TV 420 screen of the user 720.
  •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ixel 440 may be detected.
  • the sensor 260 may be embedded in the TV 420 and connected to the processor 240 to directly transmit the location data of the user 720.
  • the sensor 260 may be an external device of the TV 420 and may transmit location data of the user 720 to the processor 240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 the processor 240 draws a virtual vertical line 480 perpendicular to the pixel 44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V 420.
  • an angle formed between the current user's location and the pixel 440 may be determined.
  • the processor 240 may determine that the angle between the location of the user 720 and the pixel 440 is 2 based on the vertical line 480.
  • the processor 240 displays an image of the same light level as that located in front of the TV 420 screen to the user 720.
  • the opening angle of the sub-pixel 460 may be changed.
  • FIG. 7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a sub-pix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processor 240 when the position of the user 720 and the angle formed by the pixel 440 are determined, the processor 240 comprises the first sub-pixel 540a and the second sub-pixel 540a and the second pixel 440.
  • the opening angle of the sub-pixel 540b may be changed.
  • the processor 240 changes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sub-pixel 540a and the second sub-pixel 540b, the first sub-pixel 540a and the second sub-pixel 540b are different or identical to each other.
  • the look-up table may be applied and may have different or identical opening angles.
  • a lookup table corresponding to a low grayscale may be applied to the first sub-pixel 540a and a lookup table corresponding to a high grayscal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subpixel 540b.
  • the first sub-pixel 540a and the second sub-pixel 540b may be any one of R LCD, G LCD, and B LC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ocessor 240 may determine a sub-pixel that is a reference for changing the opening angle.
  • the reference sub-pixel refers to a sub-pixel whose opening angle is to be changed so that the opening angle of the reference sub-pixel matches 2.
  •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ning angle of the sub-pixel and the angle between the pixel 440 and the user's position becomes 0, so that the user 720 can see the closed surface of the sub-pixel. .
  • the user 720 When the user 720 sees the closed surface of the sub-pixel, it means that the user 720 cannot recognize the light emitted from the sub-pixel due to the rectilinear propagation of light. Accordingly, when the user 720 sees the closed surface of the sub-pixel, the user 720 recognizes that there is no light emitted from the sub-pixel, and recognizes a state of darkness, that is, full black.
  • the processor 240 may determine the first sub-pixel 540a as a reference sub-pixel. Thereafter, the processor 240 may determine a first offset so that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sub-pixel and 2 coincide with each other.
  • the first offset refers to a signal that causes the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sub-pixel and the angle 2 formed by the position of the pixel 440 and the user 720 to be zero.
  • the processor 240 may obtain the first lookup table by adding the first offset to the lookup table LUT A applied to the first subpixel 540a. Also, the processor 240 may determine a second offset, which is a signal difference between the lookup table applied to the first subpixel and the lookup table LUT B applied to the second subpixel 540b.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sub-pixel 540a and the second sub-pixel 540b have opening angles corresponding to the look-up table applied to each, the second offset is the first sub-pixel 540a and the second sub-pixel 540b. It may correspond to the difference in the opening angle of.
  • the processor 240 may obtain the second lookup table by adding the second offset to the lookup table applied to the second subpixel 540b.
  • the processor 240 may apply the first lookup table to the first subpixel 540a and the second lookup table to the second subpixel 540b.
  • applying a specific look-up table to a specific sub-pixel means that data corresponding to the light level (otherwise, the light level that the user 720 must recognize) that the specific sub-pixel should emit from the specific look-up table. It means to obtain and adjust the opening angle of the specific sub-pixel.
  • the opening angles of the first subpixel 540a and the second subpixel 540b May be changed to correspond to data, stored in the lookup table, corresponding to the light level that each sub-pixel should emit.
  • the pixel 44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V 440 is used as a reference,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ocessor 240 may determine the angle of the position of the user 720 with respect to all pixels constituting the TV 440 for each pixel, and may also have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offsets for all pixels. Accordingly, the same look-up table is applied to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in different pixels, so that all the first or second sub-pixels of the TV 440 may have the same opening angle. Thereafter, since the first offset and the second offset may be determined for each pixe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angle of the user 720 position, all the first or second subpixels of the TV 440 may have different opening angles. .
  • FIG. 8 is a flowchart for improving visi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sensor 260 may detect the location of the user 720 with respect to the display device 200 (eg, the TV 420 ).
  • a first offset for the first sub-pixel 540a may be determined based on an angle formed between the positioned pixel 440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720.
  • the processor 240 determines the current user's position and the angle formed by the pixel 440 based on the virtual vertical line 480 perpendicular to the pixel 440, and then, the first sub-pixel 540a is A first offset may be determined such that an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opening angle and the angle formed by the user's position and the pixel 440 becomes zero.
  • the first offset for the angle corresponding to the user's position may be an experimental value. That is, the first offset, which enables a user stay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ngle to recognize the full black state, may be a predetermined experimental value and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20. Accordingly,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position of the pixel 440 and the user 720 is determined, the processor 240 may request the memory 220 for a first offset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ngle.
  • step S840 the processor 240 may obtain the first lookup table by adding the first offset to the lookup table LUT A applied to the first subpixel 540a.
  • step S850 the processor 240 may obtain a second look-up table by adding a second offset to the look-up table LUT B applied to the second sub-pixel 540b.
  • the processor 240 determines the first and second subpixels 540a and 540a based on the values obtained from the first lookup table and the second lookup table. 540b)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the processor 240 may obtain data from the first lookup table and the second lookup table, corresponding to the light level that each subpixel should emit. Thereafter, based on the acquired data, the processor 240 causes the first sub-pixel 540a and the second sub-pixel 540b to emit light levels that should be emitted from each of the first sub-pixel 540a and the second sub-pixel 540b. The opening angle of the second sub-pixel 540b may be changed.
  • the first offset is a value tha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e full black state
  • the second offset is a lookup table (LUT A) applied to the first subpixel and a lookup table (LUT B) applied to the second subpixel. It may be a signal difference of. Accordingly, by applying the first look-up table to the first sub-pixel 540a and the second look-up table to the second sub-pixel 540b, the user 720 provides the light level emitted to the first sub-pixel 540a. The zero full black state may be recognized, and a different light level from the second sub-pixel 540b than before the second lookup table was applied may be recognized.
  •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memory 220) readable by a machine (eg, display device 200 or computer). It can be implemented as software including them.
  • the processor of the device eg, the processor 240
  • the processor of the device may invoke at least one instruction amo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from a storage medium and execute it. This enables the device to be operated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according to the at least one command invoked.
  •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executable by an interpreter.
  •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 non-transitory onl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a signal (e.g., electromagnetic waves), and this term refers to the case where data is semi-permanently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emporary storage cases.
  • a signal e.g., electromagnetic waves
  • a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ovided by being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 Computer program products can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 Computer program products ar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or two user devices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between, e.g. smartphones).
  •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 two user devices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between, e.g. smartphones).
  • At least a part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generated in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such as a server of a manufacturer, a server of an application store, or a memory of a relay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서브 픽셀에 대한 제1 오프셋을 결정하고, 제1 서브 픽셀로 입력되는 계조와 출력휘도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룩업 테이블에 제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고, 제2 서브 픽셀로 입력되는 계조와 출력휘도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룩업 테이블에 제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고, 제1 및 제2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서브 픽셀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개시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의 위치에 무관하게 고른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여 방송신호 또는 다양한 포맷의 영상 신호/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로서, TV 또는 모니터 등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그 특성에 따라서 액정 패널, 플라즈마 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 형식으로 구현되어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패널 중 하나이다. LCD 패널은 분자의 광학적 이방성 및 편광판의 편광 특성을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투과량을 조절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경량박형, 고해상도, 대 화면화를 실현할 수 있고, 소비전력이 작아 최근 그 응용범위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LCD 패널의 동작 특성에 의하여 시야각의 제한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이 아닌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는 중계조에서 들뜸 현상(black level raise)이 발생하여 영상이 선명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서브 픽셀을, 다양한 각도로 광을 발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적으로 설계하였으나 그 효과가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의 위치에 무관하게 고른 시인성을 제공함으로써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서브 픽셀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1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gray)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상기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단계,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2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의 위치에 무관하게 고른 시인성을 제공함으로써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 및 서브 픽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보는 사용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뜸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은 저계조와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은 고계조와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프셋은 상기 제 1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의 각도 차이가 0이 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프셋은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과 상기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의 신호 차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값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센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상기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서브 픽셀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1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gray)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상기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고,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2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며,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서브 픽셀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1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gray)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상기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동작,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2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많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 구조 또는 기능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대조적으로, 이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설명을 상세하고 완전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설명에 따르면, 본 개시의 범위는 본 실시 예가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임의의 실시예와 함께 구현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개시의 임의의 실시예를 포함함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및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임의의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실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임의의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제시된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예시적인"이라는 단어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사용된"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것으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는 반드시 바람직한 것으로서 해석되거나 다른 실시예들보다 이점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픽셀(140a) 및 서브 픽셀(140b)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구비하여 다양한 포맷의 영상 신호/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복수의 픽셀로 구성되며 하나의 픽셀(140a)는 3개의 서브 픽셀(14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서브 픽셀은 R(Red) 색상의 광을 발할 수 있는 R LCD(Liquid Crystal Display), G(Green) 색상의 광을 발할 수 있는 G LCD 및 B(Blue) 색상의 광을 발할 수 색상의 광을 발할 수 있는 B LCD일 수 있으며, R 성분 값은 R LCD에, G 성분 값은 G LCD에, 그리고 B 성분 값은 B LCD에 입력된다. 각 성분 값에 기초하여 R LCD, G LCD 및 B LCD의 광 출력이 가산되어 다양한 색상을 발하는 광 출력이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개의 서브 픽셀(140b)은 각각이 서로 다른 열림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열림 각도가 달라짐에 따라 출력되는 광의 레벨이 달라져 안구가 인식하는 광의 레벨이 달라질 수 있다.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관련하여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메모리(220), 프로세서(240) 및 센서(2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20)는 사용자의 위치 별로 서브 픽셀(140b)의 열림 각도를 달리하는 복수의 데이터 세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세트는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LUT) 형태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220)는 서브 픽셀(140b)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중앙에 위치한 픽셀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 위치의 각도에 대응하는 만큼의 열림 각도를 가지도록 서브 픽셀(140b)을 제어하는 신호 데이터를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LUT)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 픽셀(140b)에는 서로 다른 룩업 테이블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에 따라 서브 픽셀(140b)의 열림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계조간 색좌표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ACC(adaptive color capture) 데이터, 계조간 응답 속도의 최대치를 결정하기 위한 DCC(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데이터 및 감마(gamma)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감마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서브 픽셀(140b)의 서로 다른 열림 각도와 대응하는 오프셋 신호가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오프셋 신호는 미리 결정된 실험값일 수 있다.
메모리(2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메모리(220)는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메모리(110)에 모든 서브 픽셀에 대한 룩업 테이블이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각각의 서브 픽셀마다 대응하는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40)와 연결되어 메모리(220)에 저장된 데이터는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240)로 전송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24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가 재사용을 위해 메모리(220)로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필요한 경우 메모리(220)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시인성 개선을 위한 여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에서 서브 픽셀(140b) 각각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이 결정될 수 있으며 검출되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로부터 결정된 오프셋이 특정 룩업 테이블에 가산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특정 룩업 테이블에 상기 결정된 오프셋을 가산하여 특정 서브 픽셀에 오프셋이 가산된 룩업 테이블을 적용함으로써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시인성의 개선이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응시하는 사용자의 위치와 관계없이 사용자의 안구가 동일한 레벨의 광을 인식하도록 오프셋이 가산된 복수의 룩업 테이블 중 각각을 각 서브 픽셀(140b)에 적용하여 서브 픽셀을 제어함을 의미한다.
프로세서(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단일 CPU로 구현되어 이미지 프로세싱, 적용될 룩업 테이블을 판단하는 동작,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한 제어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고, CPU, GPU, ISP(Image Signal Processor) 등 복수의 프로세서 및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센서(예를 들어, 카메라)(260)로 하여금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현재 위치를 검출하도록 센서(26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260)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 데이터를 프로세서(240)로 전송하면, 프로세서(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중앙에 위치한 픽셀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제 1 서브 픽셀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40)는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예를 들어, LUT A)에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고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예를 들어, LUT B)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제 1 서브 픽셀 및 제 2 서브 픽셀에 획득된 제 1 룩업 테이블 및 제 2 룩업 테이블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서브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광 레벨을 각각 다르게 인식하도록 복수의 서브 픽셀을 제어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에 오프셋을 가산하여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메모리(220), 영상 신호 처리부(340) 및 제어 신호 생성부(360)을 포함하는 신호 제어부(320) 및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서브 픽셀(140b)로 하여금 열림 각도를 달리하도록 하는 데이터 세트를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UT A는, 서브 픽셀(140b) 중 하나인 R LCD에 적용되어 R LCD로 하여금 입력 영상 신호만큼의 R 색상의 광 레벨을 발하도록 하는, 입력 계조에 대한 R LCD의 방출 광량을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LUT B는, G LCD에 적용되어 G LCD로 하여금 입력 영상 신호만큼의 G 색상의 광 레벨을 발하도록 하는, 입력 계조에 대한 G LCD의 방출 광량을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LUT A가 R LCD에 적용되고 LUT B가 G LCD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R LCD에 LUT B가 적용되고 G LCD에 LUT A가 적용되거나 제 1 픽셀의 R LCD에는 LUT A가 적용되고 제 2 픽셀의 R LCD에는 LUT B가 적용될 수 있다.
LUT A 및 LUT B에 저장된 방출 광량은 사용자가 인식할 필요가 있는 광 레벨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LUT A 또는 LUT B가 적용된 서브 픽셀(140b)은 저장된 방출 광량에 대응되도록 열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복수의 픽셀로 구성되며 각각의 픽셀은 3개의 서브 픽셀로 구성되므로 각각의 서브 픽셀(140b)에는 동일한 LUT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이한 LUT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LUT A 및 LUT B는 메모리(220) 내에서 데이터 형태로 또는 하드웨어 형태로 존재하거나 또는 메모리(220) 외부에서 하드웨어 형태로 존재하여, 필요한 경우 신호 제어부(320)로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LUT A 및 LUT B는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통신부(미도시)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룩업 테이블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특정 룩업 테이블이 특정 서브 픽셀에 적용된다는 것은 특정 서브 픽셀이 입력 계조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광 레벨을 발하도록 특정 서브 픽셀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에 대한 열림 각도를 변화시킴을 의미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룩업 테이블이 각각의 서브 픽셀(140b)에 적용되면 각각의 서브 픽셀(140b)은 열림 각도를 달리할 수 있으며 동일한 룩업 테이블이 각각의 서브 픽셀(140b)에 적용되면 각각의 서브 픽셀(140b)은 동일한 열림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특정 룩업 테이블에 오프셋이 가산되어 새로운 룩업 테이블이 획득되어 상기 새로운 룩업 테이블이 서브 픽셀(140b)에 적용되면, 서브 픽셀(140b)의 열림 각도가 새로운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응되도록 변화될 수 있다.
신호 제어부(320)는 영상 신호 처리부(340) 및 제어 신호 생성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처리부(340)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복수의 서브 픽셀(140b)이 각각 출력할 광 레벨을 입력 영상 데이터와 매칭할 수 있다. 입력 영상 데이터는 영상 신호 처리부(340)에 의해 디지털 형태로 변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픽셀 배열에 맞게 재배열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340)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입력 영상을 올바르게 출력할 수 있도록, 메모리(220)로부터, 복수의 서브 픽셀(140b)에 대한 룩업 테이블(예를 들어, LUT A 또는 LUT B)을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LUT A는 입력되는 계조가 저계조인 경우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이며 LUT B는 입력되는 계조가 고계조인 경우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서브 픽셀에 LUT A가 적용되고 제 2 서브 픽셀에 LUT B가 적용됨을 전제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룩업 테이블이 선택되면 영상 신호 처리부(340)는 서브 픽셀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 생성부(360)로 모든 서브 픽셀(140b)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과 변환된 입력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신호 생성부(36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각도 데이터와 영상 신호 처리부(340)로부터 수신된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서브 픽셀(140b)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 생성부(36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이 이루는 각도의 각도 차이가 0이 되도록 하는 신호인, 제 1 오프셋을 LUT A에 가산할 수 있다. 제 1 오프셋이 LUT A에 가산됨으로써 제 1 룩업 테이블이 획득될 수 있으며 제 1 룩업 테이블이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됨으로써, 사용자 제 1 서브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광 레벨이 0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 1 서브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광 레벨이 0인 것으로 인식되면 사용자의 안구는 제 1 서브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여 암흑 즉, 풀 블랙(full black)인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유사하게, 제어 신호 생성부(360)는 제 2 오프셋을 LUT B에 가산할 수 있다. 이때, 제 2 오프셋은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LUT A)과 상기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LUT B)의 신호 차이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오프셋은, 제 1 오프셋과 제 2 오프셋이 가산되기 전, 제 1 서브 픽셀과 제 2 픽셀이 이루는 각도의 차이를 의미하는 신호 차이일 수 있다.
제 1 룩업 테이블 및 제 2 룩업 테이블이 획득되면, 제어 신호 생성부(360)는 서브 픽셀(140b)을 제어하기 위해 획득된 제 1 룩업 테이블 및 제 2 룩업 테이블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 및 입령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전송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서브 픽셀(140b)을 제어하여 각각의 서브 픽셀(140b)이 전송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열림 각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TV(420)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브 픽셀(140b)은 특정 열림 각도를 갖는 서브 픽셀(460)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림 각도는 TV(420)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 픽셀(440)에 대한 서브 픽셀(460)의 각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픽셀(460)은 TV(420)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 픽셀(440)에 수직인 가상의 수직선(480)과 각도 1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서브 픽셀(460)의 열림 각도는 각도 1일 수 있으나 열림 각도에 대한 정의는 반드시 가상의 수직선(480)을 기준으로 하는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픽셀(440) 또한 반드시 TV(420) 화면의 중앙에 위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예를 들어, TV(420))를 바라보는 사용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픽셀(520)은 TV(420)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 픽셀(440)을 확대한 것이다. TV(420)는 복수의 픽셀로 구성되며 하나의 픽셀은 3개의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서브 픽셀은 R(Red), G(Green) 및 B(Blue) 색상의 광을 발할 수 있는 R LCD, G LCD 및 B LCD 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은 R LCD, G LCD 및 B LC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픽셀(540a)과 서브 픽셀(540b)은 각각에 적용된 룩업 테이블에 대응되도록 열림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픽셀(540a)에는 LUT A가 적용되고 제 2 서브 픽셀(540b)에는 LUT B가 적용되어 제 1 서브 픽셀(540a)과 제 2서브 픽셀(540b)은 서로 다른 열림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 1, 2 서브 픽셀(540a, 540b)이 각각의 열림 각도를 가진 채로 광을 발함에 따라 TV(420) 화면의 정면에 위치한 사용자(560)와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580)는 동일한 입력 영상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레벨의 광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이 중계조의 회색 영상인 경우, 제 1, 2 서브 픽셀(540a, 540b)은 중계조의 회색 영상을 출력 하기 위한 열림 각도만큼 픽셀을 열어 광을 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560)는 중간 레벨의 회색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TV(420) 화면의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580)는 사용자(560)가 인식하는 레벨보다 더 높은 레벨(더 밝은)의 회색을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들뜸 현상(black level raise)은 중계조 128 주변에서, 입력 계조에 대하여 사용자가, 바람직하게 인식하여야 하는 광 인식 레벨(또는 휘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로 광을 인식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들뜸 현상은 사용자(560)와 사용자(580)가 바라보는 제 1, 2서브 픽셀(540a, 540b)의 면적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가 변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바라보는 서브 픽셀의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는 바라보는 서브 픽셀의 면적으로 방출되는 광을 인식할 수 밖에 없으므로, 사용자가 바라보는 서브 픽셀의 면적이 상이하다면 사용자가 인식하는 광의 레벨도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560)와 사용자(580)는 입력 영상이 동일한 중계조의 회색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레벨의 회색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의 위치와 관계없이, 동일한 입력 영상에 대해 동일한 출력 영상을 보기 위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서브 픽셀이 열림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를 조절하여 발하는 광량을 달리하도록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뜸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래프(600)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입력 계조에 대한 사용자의 광 인식 레벨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입력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하는 광 인식 레벨이 다를 수 있다. 곡선(620)은 TV(460) 화면의 정면에 위치한 사용자(560)가 인식하는 광 인식 레벨을 나타낸 것이며 곡선(640)은 TV(460) 화면의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580)가 인식하는 광 인식 레벨을 나타낸 것이다.
곡선(620)을 참조하면, TV(460) 화면의 정면에 위치한 사용자(560)가 인식하는 광 인식 레벨은 입력 계조가 증가함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반대로, 곡선(640)을 참조하면 TV(460) 화면의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580)가 인식하는 광 인식 레벨은 중계조 128 주변에서, 사용자(560)가 인식하는 광 인식 레벨과 다르게, 상대적으로 큰 비율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들뜸 현상으로 인해 사용자(560)와 사용자(580)는 입력 영상이 동일한 중계조의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레벨의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를 조절하여 발하는 광량을 달리하도록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720)가 TV(420) 화면의 정면이 아닌 측면에 위치한 경우, 들뜸 현상으로 인해 사용자(720)는 정면에 위치한 사용자보다 높은 레벨의 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서브 픽셀(140b)의 열림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720)에게 TV(420) 화면의 정면에 위치한 것과 동일한 광 레벨의 영상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720)가 TV(420) 화면의 측면에 위치한 경우, 센서(예를 들어, 카메라)(260)는 사용자(720)의 TV(420)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 픽셀(440)에 대한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센서(260)는 TV(420)의 내부에 내장되어 프로세서(240)와 연결되어 직접 사용자(720)의 위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센서(260)는 TV(420)의 외부 장치로써 사용자(720)의 위치 데이터를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프로세서(24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260)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 데이터를 프로세서(240)로 전송하면, 프로세서(240)는 TV(420)의 중앙에 위치한 픽셀(440)에 수직인 가상의 수직선(480)을 기준으로 현재 사용자의 위치와 픽셀(440)이 이루는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수직선(480)을 기준으로, 사용자(720)의 위치와 픽셀(440)이 이루는 각도가 2임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720)의 위치와 픽셀(440)이 이루는 각도가 2임이 결정되면, 프로세서(240)는, 사용자(720)에게 TV(420) 화면의 정면에 위치한 것과 동일한 광 레벨의 영상을 보여주기 위해, 서브 픽셀(460)의 열림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720)의 위치와 픽셀(440)이 이루는 각도가 결정되면 프로세서(240)는, 픽셀(440)을 구성하는,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의 열림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40)가 제 1 서브 픽셀(540a)과 제 2서브 픽셀(540b)의 열림 각도를 변화시키기 전, 제 1 서브 픽셀(540a)과 제 2서브 픽셀(540b)에는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룩업 테이블이 적용되어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열림 각도를 갖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픽셀(540a)에는 저계조에 대응하는 룩업 테이블이 적용되고 제 2서브 픽셀(540b)에는 고계조에 대응하는 룩업 테이블이 적용될 수 있다.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은 R LCD, G LCD 및 B LC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720)의 위치와 픽셀(440)이 이루는 각도가 2임이 결정되면, 프로세서(240)는 열림 각도를 변화시킴에 있어 기준이 되는 서브 픽셀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준이 되는 서브 픽셀은 상기 기준이 되는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2가 일치되도록 열림 각도를 변화시킬 서브 픽셀을 의미한다.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2가 일치되면,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픽셀(440)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의 각도 차이가 0이 되므로 사용자(720)는 서브 픽셀의 닫힌 면을 볼 수 있다. 사용자(720)가 서브 픽셀의 닫힌 면을 본다는 것은 광의 직진성(Rectilinear Propagation of Light)으로 인해 서브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사용자(720)가 인식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720)가 서브 픽셀의 닫힌 면을 보게 되면, 사용자(720)는 서브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여 암흑 즉, 풀 블랙(full black)인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제 1 서브 픽셀(540a)을 기준이 되는 서브 픽셀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40)는 제 1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2가 일치되도록 하는, 제 1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 1 오프셋은 상기 제 1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픽셀(440) 및 상기 사용자(720)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 2의 각도 차이가 0이 되도록 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제 1 오프셋이 결정되면, 프로세서(240)는 제 1 서브 픽셀(540a)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LUT A)에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과 제 2 서브 픽셀(540b)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LUT B)의 신호 차이인, 제 2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은 각각에 적용된 룩업 테이블에 대응되는 열림 각도를 가지므로 제 2 오프셋은 제 1 서브 픽셀(540a)과 제 2 서브 픽셀(540b)의 열림 각도 차이와 대응될 수 있다.
제 2 오프셋이 결정되면, 프로세서(240)는 제 2 서브 픽셀(540b)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40)는 제 1 룩업 테이블을 제 1 서브 픽셀(540a)에 적용하고 제 2 룩업 테이블을 제 2 서브 픽셀(540b)에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특정 룩업 테이블을 특정 서브 픽셀에 적용함은 상기 특정 서브 픽셀이 방출해야 하는 광 레벨(다르게는, 사용자(720)가 인식해야 하는 광 레벨)과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특정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특정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를 조절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 1 룩업 테이블 및 제 2 룩업 테이블이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에 각각 적용됨에 따라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의 열림 각도가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각각의 서브 픽셀이 방출해야 하는 광 레벨에 대응하는, 데이터와 대응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720)의 위치와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를 결정함에 있어 TV(440)의 중앙에 위치한 픽셀(440)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240)는 TV(440)을 구성하는 모든 픽셀에 대한 사용자(720) 위치의 각도를 픽셀 별로 결정할 수 있으며 모든 픽셀을 위한 제 1 오프셋 및 제 2 오프셋 또한 복수개일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픽셀 내의 제 1 서브 픽셀 및 제 2 서브 픽셀은 동일한 룩업 테이블이 적용되어, TV(440)의 모든 제 1 서브 픽셀 또는 제 2 서브 픽셀이 동일한 열림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후, 결정되는 사용자(720) 위치의 각도에 따라 픽셀 별로 제 1 오프셋 및 제 2 오프셋이 결정될 수 있으므로 TV(440)의 모든 제 1 서브 픽셀 또는 제 2 서브 픽셀은 서로 다른 열림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820에서, 센서(2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예를 들어, TV(420))에 대한 사용자(72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260)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 데이터를 프로세서(240)로 전송하면, 단계 S830에서 프로세서(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예를 들어, TV(420))의 중앙에 위치한 픽셀(440)과 사용자(720)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제 1 서브 픽셀(540a)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픽셀(440)에 수직인 가상의 수직선(480)을 기준으로 현재 사용자의 위치와 픽셀(440)이 이루는 각도를 결정하고 이후, 제 1 서브 픽셀(540a)의 열림 각도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및 픽셀(440)이 이루는 각도의 각도 차이가 0이 되도록 하는, 제 1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에 대한 제 1 오프셋은 실험값일 수 있다. 즉, 특정 각도에 대응하는 위치에 머무르는 사용자로 하여금 풀 블랙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오프셋은 미리 결정된 실험값일 수 있으며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40)는 픽셀(440)과 사용자(720)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가 결정되면 결정된 각도에 대응하는 제 1 오프셋을 메모리(220)에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840에서, 프로세서(240)는 제 1 서브 픽셀(540a)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LUT A)에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850에서 프로세서(240)는 제 2 서브 픽셀(540b)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LUT B)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제 1 룩업 테이블과 제 2 룩업 테이블이 획득되면, 단계 S860에서 프로세서(240)는 제 1 룩업 테이블 및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제 1 룩업 테이블 및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각각의 서브 픽셀이 방출해야 하는 광 레벨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40)는 획득된 데이터를 기초로,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로 하여금 각각이 방출해야 하는 광 레벨을 발할 수 있도록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의 열림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오프셋은 사용자로 하여금 풀 블랙 상태를 인식하도록 하는 값이며 제 2 오프셋은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LUT A)과 상기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LUT B)의 신호 차이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룩업 테이블을 제 1 서브 픽셀(540a)에 적용하고 제 2 룩업 테이블을 제 2 서브 픽셀(540b)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720)는 제 1 서브 픽셀(540a)로 방출되는 광 레벨이 0인 풀 블랙 상태를 인식하고 제 2 서브 픽셀(540b)로부터는 제 2 룩업 테이블이 적용되기 전과는 다른 광 레벨을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2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는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개시는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서브 픽셀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1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gray)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상기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단계;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2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은 저계조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은 고계조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프셋은 상기 제 1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의 각도 차이가 0이 되도록 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프셋은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과 상기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의 신호 차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값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8.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센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상기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서브 픽셀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1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gray)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상기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고,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2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며,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은 저계조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은 고계조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프셋은 상기 제 1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의 각도 차이가 0이 되도록 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프셋은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과 상기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의 신호 차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값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서브 픽셀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1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gray)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상기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동작;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2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CT/KR2020/004873 2019-09-02 2020-04-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104534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58 2019-09-02
KR1020190108458A KR20210026957A (ko) 2019-09-02 2019-09-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5342A1 true WO2021045342A1 (ko) 2021-03-11

Family

ID=7485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4873 WO2021045342A1 (ko) 2019-09-02 2020-04-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26957A (ko)
WO (1) WO202104534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4849B2 (ko) * 1972-02-21 1977-09-06
JP2007065541A (ja) * 2005-09-02 2007-03-15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US20160104434A1 (en) * 2014-10-09 2016-04-14 Nec Display Solutions, Ltd. Display apparatus, gradation correction map generating device, gradation correction map generating method, and program
WO2018236387A1 (en) * 2017-06-23 2018-12-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 OF CONFIDENTIALITY ON DISPLAYS
WO2019009883A1 (en) * 2017-07-03 2019-01-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OTARY MICRO-LED DISPLAY DEVICES BASED ON OCULAR MOVEM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4849B2 (ko) * 1972-02-21 1977-09-06
JP2007065541A (ja) * 2005-09-02 2007-03-15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US20160104434A1 (en) * 2014-10-09 2016-04-14 Nec Display Solutions, Ltd. Display apparatus, gradation correction map generating device, gradation correction map generating method, and program
WO2018236387A1 (en) * 2017-06-23 2018-12-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 OF CONFIDENTIALITY ON DISPLAYS
WO2019009883A1 (en) * 2017-07-03 2019-01-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OTARY MICRO-LED DISPLAY DEVICES BASED ON OCULAR MOV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957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8270B1 (ko) 전자 장치, 그의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 보정 방법 및 보정 시스템
JP4555259B2 (ja) 平板表示装置及びその画質制御方法
WO2019114369A1 (zh) 基色转换方法及其转换器、显示控制方法、显示装置
WO2018084516A1 (ko) 전지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792847B2 (en) Active video projection screen
US9324283B2 (en)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2150972B (zh) 图像补偿方法及装置、显示装置
CN107316602B (zh) N基色显示屏的显示控制方法、装置及显示器件
WO2018117754A1 (en)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color temperature of image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WO2021020670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037178A1 (zh) 图像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WO2019001027A1 (zh) 图像色偏补偿方法、装置及显示设备
WO202106638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14458A (ko) 색 보상 장치, 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색 보상 방법
WO2020101229A1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2007591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I752697B (zh) 輝度補償方法、輝度補償電路及顯示裝置
WO202104534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2045421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034953A1 (ko)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1221112A (ja) 表示装置
US10506209B2 (en) Image output control device, image output control method, image outpu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10685607B2 (en) Adjustment method for display de-Mura
WO201804391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CN112820224B (zh) 显示设备的显示控制方法及其装置、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600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600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