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957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957A
KR20210026957A KR1020190108458A KR20190108458A KR20210026957A KR 20210026957 A KR20210026957 A KR 20210026957A KR 1020190108458 A KR1020190108458 A KR 1020190108458A KR 20190108458 A KR20190108458 A KR 20190108458A KR 20210026957 A KR20210026957 A KR 20210026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sub
user
offse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화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8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957A/ko
Priority to PCT/KR2020/004873 priority patent/WO2021045342A1/ko
Publication of KR20210026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olour palettes, e.g. look-up tab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Abstract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센서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센서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서브 픽셀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서브 픽셀로 입력되는 계조와 출력휘도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에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서브 픽셀로 입력되는 계조와 출력휘도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룩업 테이블 및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의 위치에 무관하게 고른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여 방송신호 또는 다양한 포맷의 영상 신호/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로서, TV 또는 모니터 등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그 특성에 따라서 액정 패널, 플라즈마 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 형식으로 구현되어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패널 중 하나이다. LCD 패널은 분자의 광학적 이방성 및 편광판의 편광 특성을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투과량을 조절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경량박형, 고해상도, 대 화면화를 실현할 수 있고, 소비전력이 작아 최근 그 응용범위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LCD 패널의 동작 특성에 의하여 시야각의 제한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이 아닌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는 중계조에서 들뜸 현상(black level raise)이 발생하여 영상이 선명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서브 픽셀을, 다양한 각도로 광을 발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적으로 설계하였으나 그 효과가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의 위치에 무관하게 고른 시인성을 제공함으로써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서브 픽셀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1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gray)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상기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단계,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2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은 저계조와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은 고계조와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프셋은 상기 제 1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의 각도 차이가 0이 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프셋은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과 상기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의 신호 차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값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센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상기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서브 픽셀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1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gray)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상기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고,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2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며,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서브 픽셀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1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gray)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상기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동작,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2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의 위치에 무관하게 고른 시인성을 제공함으로써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 및 서브 픽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보는 사용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뜸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많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 구조 또는 기능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대조적으로, 이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설명을 상세하고 완전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설명에 따르면, 본 개시의 범위는 본 실시 예가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임의의 실시예와 함께 구현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개시의 임의의 실시예를 포함함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및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임의의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실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임의의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제시된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예시적인"이라는 단어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사용된"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것으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는 반드시 바람직한 것으로서 해석되거나 다른 실시예들보다 이점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픽셀(140a) 및 서브 픽셀(140b)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구비하여 다양한 포맷의 영상 신호/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복수의 픽셀로 구성되며 하나의 픽셀(140a)는 3개의 서브 픽셀(14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서브 픽셀은 R(Red) 색상의 광을 발할 수 있는 R LCD(Liquid Crystal Display), G(Green) 색상의 광을 발할 수 있는 G LCD 및 B(Blue) 색상의 광을 발할 수 색상의 광을 발할 수 있는 B LCD일 수 있으며, R 성분 값은 R LCD에, G 성분 값은 G LCD에, 그리고 B 성분 값은 B LCD에 입력된다. 각 성분 값에 기초하여 R LCD, G LCD 및 B LCD의 광 출력이 가산되어 다양한 색상을 발하는 광 출력이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개의 서브 픽셀(140b)은 각각이 서로 다른 열림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열림 각도가 달라짐에 따라 출력되는 광의 레벨이 달라져 안구가 인식하는 광의 레벨이 달라질 수 있다.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관련하여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메모리(220), 프로세서(240) 및 센서(2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20)는 사용자의 위치 별로 서브 픽셀(140b)의 열림 각도를 달리하는 복수의 데이터 세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세트는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LUT) 형태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220)는 서브 픽셀(140b)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중앙에 위치한 픽셀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 위치의 각도에 대응하는 만큼의 열림 각도를 가지도록 서브 픽셀(140b)을 제어하는 신호 데이터를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LUT)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 픽셀(140b)에는 서로 다른 룩업 테이블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에 따라 서브 픽셀(140b)의 열림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계조간 색좌표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ACC(adaptive color capture) 데이터, 계조간 응답 속도의 최대치를 결정하기 위한 DCC(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데이터 및 감마(gamma)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감마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서브 픽셀(140b)의 서로 다른 열림 각도와 대응하는 오프셋 신호가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오프셋 신호는 미리 결정된 실험값일 수 있다.
메모리(2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메모리(220)는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메모리(110)에 모든 서브 픽셀에 대한 룩업 테이블이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각각의 서브 픽셀마다 대응하는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40)와 연결되어 메모리(220)에 저장된 데이터는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240)로 전송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24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가 재사용을 위해 메모리(220)로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필요한 경우 메모리(220)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시인성 개선을 위한 여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에서 서브 픽셀(140b) 각각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이 결정될 수 있으며 검출되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로부터 결정된 오프셋이 특정 룩업 테이블에 가산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특정 룩업 테이블에 상기 결정된 오프셋을 가산하여 특정 서브 픽셀에 오프셋이 가산된 룩업 테이블을 적용함으로써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시인성의 개선이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응시하는 사용자의 위치와 관계없이 사용자의 안구가 동일한 레벨의 광을 인식하도록 오프셋이 가산된 복수의 룩업 테이블 중 각각을 각 서브 픽셀(140b)에 적용하여 서브 픽셀을 제어함을 의미한다.
프로세서(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단일 CPU로 구현되어 이미지 프로세싱, 적용될 룩업 테이블을 판단하는 동작,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한 제어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고, CPU, GPU, ISP(Image Signal Processor) 등 복수의 프로세서 및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센서(예를 들어, 카메라)(260)로 하여금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현재 위치를 검출하도록 센서(26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260)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 데이터를 프로세서(240)로 전송하면, 프로세서(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중앙에 위치한 픽셀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제 1 서브 픽셀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40)는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예를 들어, LUT A)에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고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예를 들어, LUT B)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제 1 서브 픽셀 및 제 2 서브 픽셀에 획득된 제 1 룩업 테이블 및 제 2 룩업 테이블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서브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광 레벨을 각각 다르게 인식하도록 복수의 서브 픽셀을 제어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에 오프셋을 가산하여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메모리(220), 영상 신호 처리부(340) 및 제어 신호 생성부(360)을 포함하는 신호 제어부(320) 및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서브 픽셀(140b)로 하여금 열림 각도를 달리하도록 하는 데이터 세트를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UT A는, 서브 픽셀(140b) 중 하나인 R LCD에 적용되어 R LCD로 하여금 입력 영상 신호만큼의 R 색상의 광 레벨을 발하도록 하는, 입력 계조에 대한 R LCD의 방출 광량을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LUT B는, G LCD에 적용되어 G LCD로 하여금 입력 영상 신호만큼의 G 색상의 광 레벨을 발하도록 하는, 입력 계조에 대한 G LCD의 방출 광량을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LUT A가 R LCD에 적용되고 LUT B가 G LCD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R LCD에 LUT B가 적용되고 G LCD에 LUT A가 적용되거나 제 1 픽셀의 R LCD에는 LUT A가 적용되고 제 2 픽셀의 R LCD에는 LUT B가 적용될 수 있다.
LUT A 및 LUT B에 저장된 방출 광량은 사용자가 인식할 필요가 있는 광 레벨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LUT A 또는 LUT B가 적용된 서브 픽셀(140b)은 저장된 방출 광량에 대응되도록 열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복수의 픽셀로 구성되며 각각의 픽셀은 3개의 서브 픽셀로 구성되므로 각각의 서브 픽셀(140b)에는 동일한 LUT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이한 LUT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LUT A 및 LUT B는 메모리(220) 내에서 데이터 형태로 또는 하드웨어 형태로 존재하거나 또는 메모리(220) 외부에서 하드웨어 형태로 존재하여, 필요한 경우 신호 제어부(320)로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LUT A 및 LUT B는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통신부(미도시)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룩업 테이블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특정 룩업 테이블이 특정 서브 픽셀에 적용된다는 것은 특정 서브 픽셀이 입력 계조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광 레벨을 발하도록 특정 서브 픽셀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에 대한 열림 각도를 변화시킴을 의미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룩업 테이블이 각각의 서브 픽셀(140b)에 적용되면 각각의 서브 픽셀(140b)은 열림 각도를 달리할 수 있으며 동일한 룩업 테이블이 각각의 서브 픽셀(140b)에 적용되면 각각의 서브 픽셀(140b)은 동일한 열림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특정 룩업 테이블에 오프셋이 가산되어 새로운 룩업 테이블이 획득되어 상기 새로운 룩업 테이블이 서브 픽셀(140b)에 적용되면, 서브 픽셀(140b)의 열림 각도가 새로운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응되도록 변화될 수 있다.
신호 제어부(320)는 영상 신호 처리부(340) 및 제어 신호 생성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처리부(340)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복수의 서브 픽셀(140b)이 각각 출력할 광 레벨을 입력 영상 데이터와 매칭할 수 있다. 입력 영상 데이터는 영상 신호 처리부(340)에 의해 디지털 형태로 변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픽셀 배열에 맞게 재배열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340)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입력 영상을 올바르게 출력할 수 있도록, 메모리(220)로부터, 복수의 서브 픽셀(140b)에 대한 룩업 테이블(예를 들어, LUT A 또는 LUT B)을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LUT A는 입력되는 계조가 저계조인 경우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이며 LUT B는 입력되는 계조가 고계조인 경우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서브 픽셀에 LUT A가 적용되고 제 2 서브 픽셀에 LUT B가 적용됨을 전제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룩업 테이블이 선택되면 영상 신호 처리부(340)는 서브 픽셀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 생성부(360)로 모든 서브 픽셀(140b)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과 변환된 입력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신호 생성부(36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각도 데이터와 영상 신호 처리부(340)로부터 수신된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서브 픽셀(140b)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 생성부(36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이 이루는 각도의 각도 차이가 0이 되도록 하는 신호인, 제 1 오프셋을 LUT A에 가산할 수 있다. 제 1 오프셋이 LUT A에 가산됨으로써 제 1 룩업 테이블이 획득될 수 있으며 제 1 룩업 테이블이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됨으로써, 사용자 제 1 서브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광 레벨이 0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 1 서브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광 레벨이 0인 것으로 인식되면 사용자의 안구는 제 1 서브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여 암흑 즉, 풀 블랙(full black)인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유사하게, 제어 신호 생성부(360)는 제 2 오프셋을 LUT B에 가산할 수 있다. 이때, 제 2 오프셋은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LUT A)과 상기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LUT B)의 신호 차이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오프셋은, 제 1 오프셋과 제 2 오프셋이 가산되기 전, 제 1 서브 픽셀과 제 2 픽셀이 이루는 각도의 차이를 의미하는 신호 차이일 수 있다.
제 1 룩업 테이블 및 제 2 룩업 테이블이 획득되면, 제어 신호 생성부(360)는 서브 픽셀(140b)을 제어하기 위해 획득된 제 1 룩업 테이블 및 제 2 룩업 테이블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 및 입령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전송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서브 픽셀(140b)을 제어하여 각각의 서브 픽셀(140b)이 전송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열림 각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TV(420)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브 픽셀(140b)은 특정 열림 각도를 갖는 서브 픽셀(460)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림 각도는 TV(420)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 픽셀(440)에 대한 서브 픽셀(460)의 각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픽셀(460)은 TV(420)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 픽셀(440)에 수직인 가상의 수직선(480)과 각도 1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서브 픽셀(460)의 열림 각도는 각도 1일 수 있으나 열림 각도에 대한 정의는 반드시 가상의 수직선(480)을 기준으로 하는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픽셀(440) 또한 반드시 TV(420) 화면의 중앙에 위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예를 들어, TV(420))를 바라보는 사용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픽셀(520)은 TV(420)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 픽셀(440)을 확대한 것이다. TV(420)는 복수의 픽셀로 구성되며 하나의 픽셀은 3개의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서브 픽셀은 R(Red), G(Green) 및 B(Blue) 색상의 광을 발할 수 있는 R LCD, G LCD 및 B LCD 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은 R LCD, G LCD 및 B LC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픽셀(540a)과 서브 픽셀(540b)은 각각에 적용된 룩업 테이블에 대응되도록 열림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픽셀(540a)에는 LUT A가 적용되고 제 2 서브 픽셀(540b)에는 LUT B가 적용되어 제 1 서브 픽셀(540a)과 제 2서브 픽셀(540b)은 서로 다른 열림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 1, 2 서브 픽셀(540a, 540b)이 각각의 열림 각도를 가진 채로 광을 발함에 따라 TV(420) 화면의 정면에 위치한 사용자(560)와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580)는 동일한 입력 영상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레벨의 광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이 중계조의 회색 영상인 경우, 제 1, 2 서브 픽셀(540a, 540b)은 중계조의 회색 영상을 출력 하기 위한 열림 각도만큼 픽셀을 열어 광을 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560)는 중간 레벨의 회색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TV(420) 화면의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580)는 사용자(560)가 인식하는 레벨보다 더 높은 레벨(더 밝은)의 회색을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들뜸 현상(black level raise)은 중계조 128 주변에서, 입력 계조에 대하여 사용자가, 바람직하게 인식하여야 하는 광 인식 레벨(또는 휘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로 광을 인식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들뜸 현상은 사용자(560)와 사용자(580)가 바라보는 제 1, 2서브 픽셀(540a, 540b)의 면적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가 변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바라보는 서브 픽셀의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는 바라보는 서브 픽셀의 면적으로 방출되는 광을 인식할 수 밖에 없으므로, 사용자가 바라보는 서브 픽셀의 면적이 상이하다면 사용자가 인식하는 광의 레벨도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560)와 사용자(580)는 입력 영상이 동일한 중계조의 회색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레벨의 회색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의 위치와 관계없이, 동일한 입력 영상에 대해 동일한 출력 영상을 보기 위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서브 픽셀이 열림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를 조절하여 발하는 광량을 달리하도록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뜸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래프(600)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입력 계조에 대한 사용자의 광 인식 레벨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입력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하는 광 인식 레벨이 다를 수 있다. 곡선(620)은 TV(460) 화면의 정면에 위치한 사용자(560)가 인식하는 광 인식 레벨을 나타낸 것이며 곡선(640)은 TV(460) 화면의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580)가 인식하는 광 인식 레벨을 나타낸 것이다.
곡선(620)을 참조하면, TV(460) 화면의 정면에 위치한 사용자(560)가 인식하는 광 인식 레벨은 입력 계조가 증가함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반대로, 곡선(640)을 참조하면 TV(460) 화면의 측면에 위치한 사용자(580)가 인식하는 광 인식 레벨은 중계조 128 주변에서, 사용자(560)가 인식하는 광 인식 레벨과 다르게, 상대적으로 큰 비율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들뜸 현상으로 인해 사용자(560)와 사용자(580)는 입력 영상이 동일한 중계조의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레벨의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를 조절하여 발하는 광량을 달리하도록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720)가 TV(420) 화면의 정면이 아닌 측면에 위치한 경우, 들뜸 현상으로 인해 사용자(720)는 정면에 위치한 사용자보다 높은 레벨의 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서브 픽셀(140b)의 열림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720)에게 TV(420) 화면의 정면에 위치한 것과 동일한 광 레벨의 영상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720)가 TV(420) 화면의 측면에 위치한 경우, 센서(예를 들어, 카메라)(260)는 사용자(720)의 TV(420)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 픽셀(440)에 대한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센서(260)는 TV(420)의 내부에 내장되어 프로세서(240)와 연결되어 직접 사용자(720)의 위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센서(260)는 TV(420)의 외부 장치로써 사용자(720)의 위치 데이터를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프로세서(24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260)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 데이터를 프로세서(240)로 전송하면, 프로세서(240)는 TV(420)의 중앙에 위치한 픽셀(440)에 수직인 가상의 수직선(480)을 기준으로 현재 사용자의 위치와 픽셀(440)이 이루는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수직선(480)을 기준으로, 사용자(720)의 위치와 픽셀(440)이 이루는 각도가 2임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720)의 위치와 픽셀(440)이 이루는 각도가 2임이 결정되면, 프로세서(240)는, 사용자(720)에게 TV(420) 화면의 정면에 위치한 것과 동일한 광 레벨의 영상을 보여주기 위해, 서브 픽셀(460)의 열림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720)의 위치와 픽셀(440)이 이루는 각도가 결정되면 프로세서(240)는, 픽셀(440)을 구성하는,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의 열림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40)가 제 1 서브 픽셀(540a)과 제 2서브 픽셀(540b)의 열림 각도를 변화시키기 전, 제 1 서브 픽셀(540a)과 제 2서브 픽셀(540b)에는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룩업 테이블이 적용되어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열림 각도를 갖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픽셀(540a)에는 저계조에 대응하는 룩업 테이블이 적용되고 제 2서브 픽셀(540b)에는 고계조에 대응하는 룩업 테이블이 적용될 수 있다.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은 R LCD, G LCD 및 B LC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720)의 위치와 픽셀(440)이 이루는 각도가 2임이 결정되면, 프로세서(240)는 열림 각도를 변화시킴에 있어 기준이 되는 서브 픽셀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준이 되는 서브 픽셀은 상기 기준이 되는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2가 일치되도록 열림 각도를 변화시킬 서브 픽셀을 의미한다.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2가 일치되면,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픽셀(440)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의 각도 차이가 0이 되므로 사용자(720)는 서브 픽셀의 닫힌 면을 볼 수 있다. 사용자(720)가 서브 픽셀의 닫힌 면을 본다는 것은 광의 직진성(Rectilinear Propagation of Light)으로 인해 서브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사용자(720)가 인식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720)가 서브 픽셀의 닫힌 면을 보게 되면, 사용자(720)는 서브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여 암흑 즉, 풀 블랙(full black)인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제 1 서브 픽셀(540a)을 기준이 되는 서브 픽셀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40)는 제 1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2가 일치되도록 하는, 제 1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 1 오프셋은 상기 제 1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픽셀(440) 및 상기 사용자(720)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 2의 각도 차이가 0이 되도록 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제 1 오프셋이 결정되면, 프로세서(240)는 제 1 서브 픽셀(540a)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LUT A)에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과 제 2 서브 픽셀(540b)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LUT B)의 신호 차이인, 제 2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은 각각에 적용된 룩업 테이블에 대응되는 열림 각도를 가지므로 제 2 오프셋은 제 1 서브 픽셀(540a)과 제 2 서브 픽셀(540b)의 열림 각도 차이와 대응될 수 있다.
제 2 오프셋이 결정되면, 프로세서(240)는 제 2 서브 픽셀(540b)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40)는 제 1 룩업 테이블을 제 1 서브 픽셀(540a)에 적용하고 제 2 룩업 테이블을 제 2 서브 픽셀(540b)에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특정 룩업 테이블을 특정 서브 픽셀에 적용함은 상기 특정 서브 픽셀이 방출해야 하는 광 레벨(다르게는, 사용자(720)가 인식해야 하는 광 레벨)과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특정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특정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를 조절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 1 룩업 테이블 및 제 2 룩업 테이블이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에 각각 적용됨에 따라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의 열림 각도가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각각의 서브 픽셀이 방출해야 하는 광 레벨에 대응하는, 데이터와 대응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720)의 위치와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를 결정함에 있어 TV(440)의 중앙에 위치한 픽셀(440)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240)는 TV(440)을 구성하는 모든 픽셀에 대한 사용자(720) 위치의 각도를 픽셀 별로 결정할 수 있으며 모든 픽셀을 위한 제 1 오프셋 및 제 2 오프셋 또한 복수개일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픽셀 내의 제 1 서브 픽셀 및 제 2 서브 픽셀은 동일한 룩업 테이블이 적용되어, TV(440)의 모든 제 1 서브 픽셀 또는 제 2 서브 픽셀이 동일한 열림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후, 결정되는 사용자(720) 위치의 각도에 따라 픽셀 별로 제 1 오프셋 및 제 2 오프셋이 결정될 수 있으므로 TV(440)의 모든 제 1 서브 픽셀 또는 제 2 서브 픽셀은 서로 다른 열림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820에서, 센서(2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예를 들어, TV(420))에 대한 사용자(72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260)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 데이터를 프로세서(240)로 전송하면, 단계 S830에서 프로세서(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예를 들어, TV(420))의 중앙에 위치한 픽셀(440)과 사용자(720)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제 1 서브 픽셀(540a)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픽셀(440)에 수직인 가상의 수직선(480)을 기준으로 현재 사용자의 위치와 픽셀(440)이 이루는 각도를 결정하고 이후, 제 1 서브 픽셀(540a)의 열림 각도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및 픽셀(440)이 이루는 각도의 각도 차이가 0이 되도록 하는, 제 1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에 대한 제 1 오프셋은 실험값일 수 있다. 즉, 특정 각도에 대응하는 위치에 머무르는 사용자로 하여금 풀 블랙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오프셋은 미리 결정된 실험값일 수 있으며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40)는 픽셀(440)과 사용자(720)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가 결정되면 결정된 각도에 대응하는 제 1 오프셋을 메모리(220)에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840에서, 프로세서(240)는 제 1 서브 픽셀(540a)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LUT A)에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850에서 프로세서(240)는 제 2 서브 픽셀(540b)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LUT B)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제 1 룩업 테이블과 제 2 룩업 테이블이 획득되면, 단계 S860에서 프로세서(240)는 제 1 룩업 테이블 및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제 1 룩업 테이블 및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각각의 서브 픽셀이 방출해야 하는 광 레벨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40)는 획득된 데이터를 기초로,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로 하여금 각각이 방출해야 하는 광 레벨을 발할 수 있도록 제 1 서브 픽셀(540a) 및 제 2 서브 픽셀(540b)의 열림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오프셋은 사용자로 하여금 풀 블랙 상태를 인식하도록 하는 값이며 제 2 오프셋은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LUT A)과 상기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LUT B)의 신호 차이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룩업 테이블을 제 1 서브 픽셀(540a)에 적용하고 제 2 룩업 테이블을 제 2 서브 픽셀(540b)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720)는 제 1 서브 픽셀(540a)로 방출되는 광 레벨이 0인 풀 블랙 상태를 인식하고 제 2 서브 픽셀(540b)로부터는 제 2 룩업 테이블이 적용되기 전과는 다른 광 레벨을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2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는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개시는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서브 픽셀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1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gray)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상기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단계;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2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은 저계조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은 고계조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프셋은 상기 제 1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의 각도 차이가 0이 되도록 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프셋은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과 상기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의 신호 차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값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8.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센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상기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서브 픽셀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1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gray)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상기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고,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2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며,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은 저계조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은 고계조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프셋은 상기 제 1 서브 픽셀의 열림 각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의 각도 차이가 0이 되도록 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프셋은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과 상기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는 룩업 테이블의 신호 차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값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서브 픽셀에 대한 제 1 오프셋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1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1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gray)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상기 제 1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1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동작;
    제 2 서브 픽셀에 적용되어 상기 제 2 서브 픽셀로 하여금 입력되는 계조에 대하여 특정 레벨의 광을 발하도록 하는 룩업 테이블에 제 2 오프셋을 가산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서브 픽셀 및 상기 제 2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90108458A 2019-09-02 2019-09-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26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58A KR20210026957A (ko) 2019-09-02 2019-09-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20/004873 WO2021045342A1 (ko) 2019-09-02 2020-04-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58A KR20210026957A (ko) 2019-09-02 2019-09-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957A true KR20210026957A (ko) 2021-03-10

Family

ID=7485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458A KR20210026957A (ko) 2019-09-02 2019-09-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26957A (ko)
WO (1) WO202104534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4849B2 (ko) * 1972-02-21 1977-09-06
JP2007065541A (ja) * 2005-09-02 2007-03-15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JP2016075870A (ja) * 2014-10-09 2016-05-12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階調補正マップ生成装置、階調補正マップ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945583B (zh) * 2017-06-23 2022-04-19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控制显示器上的隐私
KR102349565B1 (ko) * 2017-07-03 2022-01-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눈 움직임에 기초한 회전형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5342A1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8988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method
US101214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wall
JP4555259B2 (ja) 平板表示装置及びその画質制御方法
US1041651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593261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6052309A1 (ja) 映像処理装置、表示装置、配置判定装置、配置判定方法、記録媒体
JP2007226196A (ja) 液晶表示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その階調レベル設定方法
KR102599950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82631B1 (ko)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90073637A (ko) 저계조 단색 영상 보상을 수행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2013502603A5 (ko)
US95640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luminance correction
JP2018036663A (ja) 透明表示装置
WO2019001027A1 (zh) 图像色偏补偿方法、装置及显示设备
KR20200014458A (ko) 색 보상 장치, 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색 보상 방법
US11423866B2 (en)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f application via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US2018028632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2100398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2695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818321B2 (en) Color calibrations for perceptual similarity between multiple displays
US10242648B2 (en) Display device and luminance corre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604729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
TW201820307A (zh) 顯示器的控制方法
KR20160074810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20200080965A (ko) 표시 장치 및 이득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