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54665A1 -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54665A1
WO2021054665A1 PCT/KR2020/012083 KR2020012083W WO2021054665A1 WO 2021054665 A1 WO2021054665 A1 WO 2021054665A1 KR 2020012083 W KR2020012083 W KR 2020012083W WO 2021054665 A1 WO2021054665 A1 WO 20210546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d
auxiliary
cooking container
suppor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20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경찬
Original Assignee
(주)홍산경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홍산경금속 filed Critical (주)홍산경금속
Priority to US17/606,11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133083A1/en
Priority to JP2021563365A priority patent/JP7200402B2/ja
Publication of WO20210546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546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4Knobs, e.g. for li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having an auxiliary lid, and more specifically, a lid is manufactured from a glass material that can see through the inside, but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lid while overcoming the disadvantages of the glass material through structural improvement.
  •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li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cooking.
  •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is commonly used to seal the opening of a cooking container (pot, frying pan, etc.) to overflow food or shorten the cooking time.
  • a lid is usually formed of a glass material and a metal material, and in recent years, it has been provided in various forms with added functionality beyond a simple cover concept.
  • the auxiliary lid is provided so that the auxiliary lid can be opened and closed at any time during cooking, so that seasonings and ingredients can be added, and a lid shaped to prevent overflowing from boiling is typical.
  •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with a stirring function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71833 (announced on April 23, 2019) has been proposed.
  • the lid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means to have an agitation function, while an auxiliary lid is provided so that ingredients or seasonings can be added at any time during cooking.
  • a hole of a certain size is formed through the lid, and an auxiliary lid capable of covering the hole is provided.
  • this processing is only possible with metal lid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lid was manufactured with a glass material that can see through the inside, but it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lid while overcoming the disadvantages of the glass material through structural improvement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cooking. It is intended to provide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having an auxiliary lid to be orde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glass material, and the lid body is divided into a main lid and an auxiliary lid; A support that is supported by the main lid and forms a through hole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auxiliary lid;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upport to the main lid, and opening the main lid may open the entire opening of the cooking container, and opening the auxiliary lid may open a portion of the opening of the cooking contain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 the main lid and the auxiliary lid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hole for mounting the handle is formed.
  • the fixing member is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main lid and the support, and is configured to be firmly supported.
  • the inner wall forming the through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ttling jaw is 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sealing force while stably placing the auxiliary lid.
  • a packing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auxiliary lid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mprove the sealing force.
  • a lid is manufactured using glass that can see through the inside, and the lid body is divided into a main lid and an auxiliary lid, and a through hole opened and closed by the auxiliary lid is provided with a support on the main lid. It show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cooking by providing an auxiliary lid while overcoming the shortcomings of the glass material through structural improvement form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having an auxiliary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lid for a cooking vessel having an auxiliary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b”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ixing member.
  •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and fixing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having an auxiliary l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 showing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having an auxiliary l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b” is a support
  • "a” to “d” of FIG.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of FIG. 6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 "b”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fixing member.
  • the lid 100 for a cooking container having an auxiliary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 lid body 110, a support 120, and a fixing member 130.
  • the lid body 110 is formed of a glass material, and is divided into a main lid 112 and an auxiliary lid 116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lid body 110 made of a glass material that is difficult to process is presented, and the lid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is easy to process is not presented herein.
  • glass materials although they can see the inside and are easy to clean, they are limited in processing due to problems such as damage, so they cannot be used in various forms compared to metal materials, especially auxiliary lids (116).
  • auxiliary lids 116
  • it may not be possible to add a function having a function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bove-described disadvantages are overcome through structural improvement.
  • the lid body 110 may have a circular plate, a square plate, or a dome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and this one shape is divided into a main lid 112 and an auxiliary lid 116.
  • the size of the divided main lid 112 and the auxiliary lid 116 is not limited, but it would be desirable to form the size of the auxiliary lid 116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main lid 112.
  • the auxiliary lid 116 is literally provided to be used as an auxiliary,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larger than the main lid 112.
  • the main lid 112 and the auxiliary lid 116 are provided with mounting holes 114 and 118 so that the handle (A) for easy opening and closing is fastened.
  • the mounting hole 114 formed in the main lid 112 may be equipped with an operating means having a built-in device that enables a rotating operation while functioning as a handle mentioned in the background art (refer to No. 10-1971833). It is natural that there is. And, it is also good to improve the sealing force by providing a packing 119 at the edge of the auxiliary lid 116.
  • the support 120 is supported by the main lid 112 by the auxiliary lid 116 on one side of the main lid 112 A through hole 122 of a predetermined size to be opened and closed is formed.
  • This support 120 takes a form that is supported as if wrapped along the edge side of the main lid 112 in order to be firmly supported, and the through hole 122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auxiliary lid 116 is provided with the main lid 112 The type formed on one side is most preferred.
  • the support 120 has a simple "O” shape, a "C” shape, and a "c” shape It should be noted that a type in which a handle fastening hole 124 is formed in the center as shown in “d” is also possible.
  • the support 120 is satisfied if it is a type that forms a through hole 122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auxiliary lid 116 while one end of the support 120 is supported by the main lid 112, and the
  • the support 120 is preferably formed of a solid metal wire, but it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is strong and strong against heat.
  • the fixing member 130 is to fix the support 120 to the main lid 112, but does not limit the material, it is preferably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having good adhesion and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at is, as shown in "a" and "b" of FIG. 6, while being formed to completely surround the support 120 along the edge of the main cover 112, the main cover 112 and the support 120 are fastened. As a result, when the silicone material to be the fixing member 130 is applied along the edge of the main lid 112, it is hardened and the support 120 is firmly fastened.
  • the supporter 120 when the silicon is applied, the supporter 120 is formed so that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122 is formed with the settling jaw 140 so that the aforementioned auxiliary lid 116 is stably placed, as well as sealing force. It is desirable to improve.
  • the fixing member 130 may be used as a medium, but it is obvious that it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120. Subsequently, it is preferable to form a protrusion 132 protruding downwar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30 so that when the lid body 100 is covered, it is st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and has excellent sealing force.
  • This fixing member 130 is provided to fix the support 120 to the main lid 112, and as shown,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type that completely surrounds the support 120, and only a part is applied depending on conditions. It is obvious that it can also be formed.
  •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and fixing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pport 120 is mounted on the main lid 112 so that one end of the support 120 is supported, and then a fixing member 130 formed by applying silicone along the edge of the main lid 112 It is fixed. At this time, it will be natural to use a mold fram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hape as widely known when applying silicon to be the fixing member 130.
  • the fixing member 130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main lid 112 while completely enclosing the support 120 so that the support 120 is firmly fix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ettling step 140 i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122 formed by the support 120 when the silicon is applied.
  • FIG. 8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9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d 100 for a cooking container having an auxiliary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seal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200, and when the main lid 112 is opened, the entire opening is opened. ,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auxiliary lid 116 is opened, a part of the opening is opened. The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nvenience of use is greatly improved because the user can easily input additional seasonings, food ingredients, etc. by opening only the auxiliary lid 116 without opening the main lid 112 during cooking.
  • a lid made of a glass material will also lead a further developed kitchen culture by proposing to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lid 116 through structural improvement.
  • cooking container lid 110 lid bod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for a cooking container having an auxiliary lid used for the cooking container, and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유리를 소재로 뚜껑을 제조하되, 구조적 개선을 통해 유리소재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보조뚜껑을 구비하여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유리를 소재로 뚜껑을 제조하되, 뚜껑본체를 메인뚜껑과 보조뚜껑으로 분할 구성하고, 메인뚜껑에 지지대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구조적 개선을 통해 유리소재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보조뚜껑을 구비토록 함으로써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본 발명은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유리를 소재로 뚜껑을 제조하되, 구조적 개선을 통해 유리소재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보조뚜껑을 구비하여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용 뚜껑은 조리용기(냄비, 프라이팬 등)의 개구부를 밀폐하여 음식물이 넘치거나 조리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뚜껑은 통상, 유리소재 및 금속소재로 형성되며, 근래에 들어서는 단순한 덮개 개념을 넘어 기능성이 부가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보조뚜껑을 구비하여 조리 중 수시로 보조뚜껑을 열고 닫을 수 있어 양념이나 식재료를 투입할 수 있고,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태의 뚜껑이 대표적이다.
일예로,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971833호(2019.04.23. 공고)의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이 제시되고 있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뚜껑에 작동수단을 구비토록 하여 교반기능을 가지도록 하면서, 보조뚜껑을 구비하여 조리 중 수시로 식재료나 양념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 공보의 뚜껑을 살펴보면, 뚜껑에 일정 크기의 홀을 관통 성형하고, 그 홀을 덮을 수 있는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공은 금속소재의 뚜껑에만 가능한 단점이 있다. 만약, 유리소재로 된 뚜껑에 홀을 가공하게 되면 홀의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홀을 형성한 주변이 약해져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소재로 된 뚜껑에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유리를 소재로 뚜껑을 제조하되, 구조적 개선을 통해 유리소재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보조뚜껑을 구비하여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리소재로 형성되며, 메인뚜껑 및 보조뚜껑으로 분할 구성된 뚜껑본체; 상기 메인뚜껑에 지지되면서 상기 보조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메인뚜껑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메인뚜껑을 열면 조리용기의 개구부 전체를 개방할 수 있고, 상기 보조뚜껑을 열면 조리용기의 개구부 일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뚜껑 및 보조뚜껑에는 손잡이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메인뚜껑의 가장자리 및 지지대를 감싸듯이 형성되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공을 형성하는 내벽에는 상기 보조뚜껑을 안정적으로 안치하면서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치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뚜껑의 가장자리에는 패킹이 구비되어서 밀폐력을 더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유리를 소재로 뚜껑을 제조하되, 뚜껑본체를 메인뚜껑과 보조뚜껑으로 분할 구성하고, 메인뚜껑에 지지대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구조적 개선을 통해 유리소재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보조뚜껑을 구비토록 함으로써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뚜껑본체를 보인 사시도.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보인 사시도이며, "b"는 지지대의 체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보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b"는 고정부재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설치 고정하는 과정을 보인 개략도.
도 8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b"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결합관계를 보인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뚜껑본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보인 사시도이며, "b"는 지지대의 체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보인 사시도 및 평면도이며,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b"는 고정부재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100)은 크게 뚜껑본체(110), 지지대(120) 및 고정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뚜껑본체(110)는 유리소재로 형성되며, 도 1 및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뚜껑(112) 및 보조뚜껑(116)으로 분할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조리 과정에서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가공이 어려운 유리소재로 된 뚜껑본체(110)를 제시하고 있으며, 가공이 용이한 금속소재의 뚜껑은 본원에서 제시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 유리소재의 경우 내부를 투시할 수 있고, 세척이 용이한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파손 등의 문제로 가공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금속소재에 비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 특히 보조뚜껑(116)을 구비하는 기능을 부가하지 못하고 있을 실정이나, 본원에서는 구조적 개선을 통해 상기한 단점을 극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뚜껑본체(110)는 용기의 형태에 따라 원판, 사각판 혹은 돔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며, 이 하나의 형태가 메인뚜껑(112)과 보조뚜껑(116)으로 분할 구성되는 것이고, 분할 구성된 메인뚜껑(112)과 보조뚜껑(116)의 크기를 한정하지는 않으나, 보조뚜껑(116)의 크기를 메인뚜껑(11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보조뚜껑(116)은 말그대로 보조적으로 사용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메인뚜껑(112)보다 크게 형성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메인뚜껑(112)과 보조뚜껑(116)에는 장착공(114,118)이 형성되어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A)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메인뚜껑(112)에 형성된 장착공(114)에는 배경기술(제10-1971833호 참조)에서 언급하고 있는 손잡이 기능을 하면서도 회전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가 내장된 작동수단이 장착될 수도 있음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뚜껑(116)의 가장자리에는 패킹(119)을 구비함으로써 밀폐력을 증진시키는 것도 좋다.
상기 지지대(120)는 도 2 및 도 4의 "a" 및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뚜껑(112)에 지지되면서 상기 메인뚜껑(112) 일측에 상기 보조뚜껑(116)에 의해 개폐되는 소정크기의 관통공(122)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120)는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메인뚜껑(112)의 가장자리 측면을 따라 감싸듯이 지지되는 형태를 취하면서 보조뚜껑(116)에 의해 개폐될 관통공(122)을 메인뚜껑(112) 일측에 형성하는 타입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한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의 "a"내지 "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대(120)는 단순한 "O"자 형태, "C"자 형태, "ㄷ"자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에 손잡이 체결공(124)을 형성한 타입도 가능함을 인지해야 된다. 결국, 상기 지지대(120)는 어떠한 형상을 가지던 일단이 상기 메인뚜껑(112)에 지지되면서 상기 보조뚜껑(116)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관통공(122)을 형성하는 타입이면 만족하며, 상기 지지대(120)는 견고한 금속 와이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열에 강하면서 견고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지지대(120)를 메인뚜껑(112)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소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밀착력이 좋고 인체에도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의 "a" 및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뚜껑(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지지대(120)를 완전히 감싸듯이 형성되면서 메인뚜껑(112)과 지지대(120)를 체결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130) 될 실리콘 소재를 메인뚜껑(112)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하게 되면 굳어지면서 상기 지지대(120)를 견고하게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리콘을 도포할 때 지지대(120)가 형성하고 있는 관통공(122)의 내벽에 안치턱(140)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보조뚜껑(116)이 안정적으로 안치되도록 함은 물론이고 밀폐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안치턱(140)을 형성함에 있어 고정부재(130)를 매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지지대(120)에 형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계속해서, 상기 고정부재(130)의 하면에는 하향 돌출된 돌출부(132)를 형성하여 뚜껑본체(100)를 덮을 때 용기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면서 밀폐력이 우수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부재(130)는 지지대(120)를 메인뚜껑(112)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지지대(120)를 완전히 감싸는 타입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여건에 따라 일부만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대의 설치 및 고정하는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설치 고정하는 과정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메인뚜껑(112)에 지지대(120)의 일단이 지지되도록 장착한 다음, 메인뚜껑(112) 가장자리를 따라 실리콘을 도포하여 형성된 고정부재(130)로 인해 지지대(12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부재(130)가 될 실리콘 도포시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형태에 맞게 제조된 금형틀을 이용하게 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렇게 고정부재(130)가 지지대(120)를 완전히 감싸면서 메인뚜껑(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대(120)를 단단히 고정하게 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때, 상기 실리콘을 도포할 때 지지대(120)가 형성하는 관통공(122) 내벽에 안치턱(14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b"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결합관계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 링 형태가 아니라 단면상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뚜껑(112)을 끼운 상태에서 고정부재(130)가 될 실리콘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듯, 상기 지지대(12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형상에 따라 고정부재(130) 또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다. 결국, 본원에서는 지지대(120)가 어떠한 형상을 가지던 메인뚜껑(112)에 지지되면서 일측에 관통공(122)을 형성하는 것이 주요 특징이고, 고정부재(130) 또한 어떠한 형태이던 메인뚜껑(112)에 지지된 지지대(120)를 고정할 수 있는 타입이면 충분함을 분명히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100)은 용기(200)의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메인뚜껑(112)을 열게 되면 개구부 전체를 개방하게 되고, 보조뚜껑(116)을 열게 되면 개구부 일부를 열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조리 중 메인뚜껑(112)을 열지 않고 보조뚜껑(116)만을 열어서 부수적인 양념, 식재료 등을 쉽게 투입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결국, 유리소재로 되는 뚜껑도 구조적인 개선을 통해 보조뚜껑(116)을 구비할 수 있도록 제안함으로써 한층 더 발전되는 주방문화를 선도하게 될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부호의 설명]
100 : 조리용기용 뚜껑 110 : 뚜껑본체
112 : 메인뚜껑 114 : 장착공
116 : 보조뚜껑 118 : 장착공
119 : 패킹 120 : 지지대
122 : 관통공 124 : 체결공
130 : 고정부재 140 : 안치턱
200 : 용기 A : 손잡이
본 발명은 조리용기에 사용되는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5)

  1. 유리소재로 형성되며, 메인뚜껑 및 보조뚜껑으로 분할 구성된 뚜껑본체;
    상기 메인뚜껑에 지지되면서 상기 보조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메인뚜껑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메인뚜껑을 열면 조리용기의 개구부 전체를 개방할 수 있고, 상기 보조뚜껑을 열면 조리용기의 개구부 일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뚜껑 및 보조뚜껑에는 손잡이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메인뚜껑의 가장자리 및 지지대를 감싸듯이 형성되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을 형성하는 내벽에는 상기 보조뚜껑을 안정적으로 안치하면서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치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뚜껑의 가장자리에는 패킹이 구비되어서 밀폐력을 더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PCT/KR2020/012083 2019-09-20 2020-09-08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WO202105466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06,113 US20220133083A1 (en) 2019-09-20 2020-09-08 Cooking container lid having auxiliary lid
JP2021563365A JP7200402B2 (ja) 2019-09-20 2020-09-08 補助蓋を備える調理容器用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913A KR102048856B1 (ko) 2019-09-20 2019-09-20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KR10-2019-0115913 2019-09-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54665A1 true WO2021054665A1 (ko) 2021-03-25

Family

ID=6873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2083 WO2021054665A1 (ko) 2019-09-20 2020-09-08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33083A1 (ko)
JP (1) JP7200402B2 (ko)
KR (1) KR102048856B1 (ko)
CN (1) CN112535412A (ko)
WO (1) WO20210546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856B1 (ko) * 2019-09-20 2019-11-26 주식회사 램프쿡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KR200493626Y1 (ko) * 2020-05-25 2021-05-06 주식회사 지에스메탈 부분 개폐가 가능한 냄비형 요리도구용 뚜껑
KR102427609B1 (ko) * 2022-06-08 2022-08-01 (주) 인스템 회전식 인덕션솥 요리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7277A (ko) * 1985-03-01 1986-10-10 훽스트-러셀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라브단 유도체의 제조방법
JP2005095544A (ja) * 2003-09-24 2005-04-14 Kanechu Kk 蓋体および加熱容器
KR20060109076A (ko) * 2005-04-13 2006-10-19 이양희 조리용기용 뚜껑
KR101303997B1 (ko) * 2013-04-02 2013-09-04 김윤환 에코 프라이팬 뚜껑
KR102048856B1 (ko) * 2019-09-20 2019-11-26 주식회사 램프쿡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0813A (en) * 1916-02-12 1917-01-02 Kittie M Koopmann Cooking-pot cover.
US4832225A (en) * 1988-03-25 1989-05-23 Benjamin Larry R Splash deflector for cooking containers
JP3900635B2 (ja) * 1997-11-28 2007-04-04 憲 長尾 調理鍋の蓋
KR19990069931A (ko) * 1998-02-16 1999-09-06 윤기삼 조리용기용 강화유리 뚜껑의 림 고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용 뚜껑
US20040195238A1 (en) * 2003-04-01 2004-10-07 Spring Usa Corporation Hinged pot cover
US7364048B2 (en) * 2003-07-01 2008-04-29 Dart Industries Inc. Cheese server
CN2643798Y (zh) * 2003-07-18 2004-09-29 洪元瑞 一种防油溅锅盖
US20060054625A1 (en) * 2004-09-10 2006-03-16 Schwarz Stefan H Ergonomic tint plug
AU2005302611A1 (en) * 2004-10-29 2006-05-11 Behr Process Corporation Package for sale, storage and application of two-part coatings
US7617948B2 (en) * 2006-10-17 2009-11-17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imited Cookware with multiple component lid
FR2917280B1 (fr) * 2007-06-15 2012-07-20 Seb Sa Couvercle d'article culinaire avec fonction egouttage et large vision
KR20070114087A (ko) * 2007-10-16 2007-11-29 신우현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
CN201452911U (zh) * 2009-05-22 2010-05-12 魏敏时 锅盖镶边的密封结构
WO2013116502A1 (en) * 2012-01-31 2013-08-08 Felipe Correa Multi-use cooking system
TWM491419U (zh) * 2014-07-29 2014-12-11 zheng-hong Cai 多用途鍋
KR20170002761U (ko) * 2016-01-25 2017-08-02 주식회사 아가프라 음식물 보관용 실리콘 용기
CN206174311U (zh) * 2016-11-15 2017-05-17 上海浚源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玻璃采光顶
CN208551185U (zh) * 2017-08-18 2019-03-01 江门市盈德钢化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防烫伤的玻璃锅盖
CN208822441U (zh) * 2017-11-10 2019-05-07 郭志量 锅盖的硅胶密封圈的安装结构
CN208677109U (zh) * 2018-04-11 2019-04-02 浙江爱仕达电器股份有限公司 锅盖密封胶圈及锅盖
KR102149183B1 (ko) * 2019-04-19 2020-08-28 (주)홍산경금속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7277A (ko) * 1985-03-01 1986-10-10 훽스트-러셀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라브단 유도체의 제조방법
JP2005095544A (ja) * 2003-09-24 2005-04-14 Kanechu Kk 蓋体および加熱容器
KR20060109076A (ko) * 2005-04-13 2006-10-19 이양희 조리용기용 뚜껑
KR101303997B1 (ko) * 2013-04-02 2013-09-04 김윤환 에코 프라이팬 뚜껑
KR102048856B1 (ko) * 2019-09-20 2019-11-26 주식회사 램프쿡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856B1 (ko) 2019-11-26
JP2022529851A (ja) 2022-06-24
CN112535412A (zh) 2021-03-23
US20220133083A1 (en) 2022-05-05
JP7200402B2 (ja)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54665A1 (ko) 보조뚜껑을 구비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WO2020022640A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WO2017104898A1 (ko) 전기 가열 조리기
AU2002240844A1 (en) Shielding element for electric and/or electronic components of an electric and/or electronic circuit
WO2017052164A1 (ko) 전자레인지용 밥솥
DE29609130U1 (de) Leicht zu öffnender Dosendeckel
DE50012699D1 (de) Getränkedose
WO2012047022A2 (ko) 다기능 냄비
EP1137356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ally heated vessels
DE60003294D1 (de) Gefäss zum Kochen von Nahrungsmitteln
DE69018478D1 (de) Behälter und deckel zu seinem verschluss.
WO2011046251A1 (ko) 병마개 조립체
KR20100010006U (ko) 패킹 끼움턱이 형성된 조리용 용기뚜껑
KR20110000479U (ko)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구조
KR101343151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CN207544930U (zh) 烹饪器具
KR101432964B1 (ko)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뚜껑
KR102261566B1 (ko) 조리 장치
AU5172099A (en) Pressure cooker with bayonet closure and pouring spout
WO2013187538A1 (ko) 오토밴팅이 가능한 전자 렌지용 밀폐형 용기 뚜껑
CN208274486U (zh) 烹饪器具
CN208725477U (zh) 密封圈和烹饪器具
CN205338772U (zh) 一种智能漂流浴缸
CN220512676U (zh) 排气锅
CN208973480U (zh) 一种防溅油效果好的玻璃锅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666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6336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666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