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25196A1 - 카메라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25196A1
WO2021025196A1 PCT/KR2019/009749 KR2019009749W WO2021025196A1 WO 2021025196 A1 WO2021025196 A1 WO 2021025196A1 KR 2019009749 W KR2019009749 W KR 2019009749W WO 2021025196 A1 WO2021025196 A1 WO 202102519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um
fabric
time series
user
r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97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윤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0974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25196A1/ko
Publication of WO202102519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251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pl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camer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home appliances that receive and process objects. That is, various kinds of home appliances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object and the method of processing the object.
  • Home appliances that receive clothes and process clothes may include a washing machine, dryer, and styler (clothing processor or clothes manager).
  • the clothing may include various objects such as bedding, textile dolls, and shoes, as well as clothes worn by the user.
  • the treatment of clothes may include various treatments such as washing, drying, refreshing, sterilization, etc., and any one clothes treatment device may be provided specialized for a specific treatment process among various treatment processes, and may be provided to perform a plurality of treatment processes. Can be provided.
  • washing machine it may be provided to perform a washing course in which washing and rinsing are performed using washing water and dewatering is performed.
  • a drying or refreshing course in which drying or refreshing is performed using hot air may be provided.
  • These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are provided with various treatment cours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bjec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sub-information in each treatment course.
  • the sub-information includes control conditions such as a driving unit or actuator to perform a processing course.
  • control conditions such as a driving unit or actuator to perform a processing course.
  • the RPM of the drum or pulsator the actual running rate (the total time of the motor on time (the motor on time and the motor off) It can include control conditions, such as the sum of time)), water level (water supply valve), and temperature (heater).
  • Such a home appliance may be extended to a dishwasher that processes dishes or a cooking device that cooks food through food materials.
  • the dishwasher or food ingredients may also be processed through various treatment courses depending on the object being processed or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 an optimum treatment cours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bject or the purpose of the object.
  • the user cannot accurately know such information, and even if he knows i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input such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ly,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does not optimally process the object.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20130044764 discloses a washing machine that detects an object to be washed using a camera, extracts information about an object to be washed, and performs washing using the object information. Through this, even if the user does not accurately recognize the type of the object, the washing machine can provide the optimu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object.
  •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patent 1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cognize the type of the object through the camera,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place the object in front of the camera.
  • the washing machine performs object processing through object inform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ensure that the object is optimally processed. This is because such a camera can only extract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before processing the object, but cannot provide whether or not the object is optimally processed during object processing.
  • washing machine capable of detecting an abnormality by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using a camera.
  •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a door is opened or closed, whether laundry is dissipating or foaming, etc. can be detected through a camera, and when such an abnormal situation is detected, through control of a driving unit, is disclosed.
  •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patent 2 only a method of detecting and coping with an abnormal situation is presented, and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object is being processed optimally.
  • prior patent 2 fails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whether or not an object is being processed optimally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optimally.
  • Friction or impact energy is energy (mechanical force) generated between laundry and drum or between laundry and laundry, and this energy must be effectively generated as the drum rotate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asically solve the problem of home appliances including a conventional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n object is being processed optimally through time series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a camera, and feedback control of a driving unit or an actuator so that the object is optimally processe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improving laundry performance and minimizing damage to the fabric by performing an optimal fabric flow during washing or rinsing.
  •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current object processing situation to a user through time series images or image inform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urrent object handling situation and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same to a user.
  • it i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processing situation that the foam dispersion is being performed for the main dehydration entry, evaluation information that the degree of foam dispersion is one of upper and lower, feedback control information to increase the degree of foam dispersion, and evaluation information after the feedback control.
  •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or animation converted according to the current object processing situ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current object processing situation. do.
  • the step of driving the drum so that the cloth inside the drum flows the step of driving the drum so that the cloth inside the drum flows; Generating a time series image of the flow of the fabric by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drum through a camera in the lifting step; Determining a current flow state of the fabric through the time series image;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fabric drop by controlling the RPM of the drum according to the flow state of the fabric;
  • a control method of a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washing or rinsing by driving the drum with the RPM of the feedback-controlled drum may be provided.
  • a display step of visually providing the time series image to a user through a display may be included. This display step may be performed through a display of the laundry device itself or may be performed through a display of an external terminal (smart phone).
  • the time series image is photographed and generated at a first time interval, and in the display step, a discontinuous time series having a second time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time in the time series image so that the user intuitively grasps the flow state of the fabric
  • the image can be extracted and displayed.
  • the drum rotates once per second, and the gun rises for one second and then falls.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extract and provide a discontinuous time series image so that the user can clearly grasp the flow state of the fabric.
  • It may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time series image to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 the step of providing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current flow state of the fabric identified through the time series image to a user through a user interface may be included.
  • the plurality of fabric flow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nd may include extracting any one evalu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urrent flow state of the fabric from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nformation.
  • the extracted evalu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 an augmented reality image may be prepared and display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nformation.
  • the augmented reality image may be superimposed on the displayed time series image.
  • An animation may be prepared and display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intuitively determines whether the form is appropriate.
  • the animation may be displayed by replacing the time series image.
  • the washing or rinsing step through the feedback-controlled RPM of the drum may be performed by reflecting the RPM information of the drum input by the user.
  • the bandwidth of the drum RPM that can be input by the user is preset.
  •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re-extracted and provided to a user.
  • the RPM feedback control of the drum is performed automatically.
  • RPMs of the drum fed back according to the currently inputted fabric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different.
  • the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fabric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washing course prepared according to the fabric quality. Depending on the washing course, appropriate RPM may be set differently during washing or rinsing.
  • the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fabric includes whether or not the washing power is strengthened and whether the fabric damage is reduced, and within the tumbling RPM section of the fabric, the RPM of the feedback drum may be controlled to increase for strengthening the washing power and decrease for reducing the fabric damage. .
  • the case to form an exterior;
  • a drum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treated;
  • a door provided in the case and selectively opening the inside of the drum;
  • a camera provided on the case or door and photographing the fabric inside the drum to generate a time series image;
  • a motor that drives the drum for processing the fabric;
  •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for rising and falling of the fabric through rotation of the drum, wherein the processor recognizes a sliding state through the time series image when the drum is rotated, and
  • a 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eedback control of the RPM of the drum.
  •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performing dehydration after optimally performing cloth dispersion through an image generated by a camera may be provided. .
  • the steps of driving the drum so that the fabric inside the drum to flow to flow the fabric comprising the steps of driving the drum so that the fabric inside the drum to flow to flow the fabric; Generating a time series image of the flow of the fabric by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drum in the lifting step; Determining a current flow state of the fabric through the time series image; Promoting a foam dispersion by controlling RPM of the drum according to the flow state of the fabric; And after promoting the foam dispersion, there may be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high-speed dehydration by increasing the RPM of the drum.
  • the controller may extract evalu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generated image information and perform feedback control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 a plurality of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able, and a control logic corresponding to each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 a display step of visually providing the time series image to a user through a display may be included. Accordingly, the user can view time series images or images through the display.
  • the time series image is captured and generated at a first time interval, and in the display step, a discontinuous time series image having a second time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time may be extracted and displayed from the time series image.
  • the second time interval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drum RPM. For example, when the drum has a second time interval equal to the rotation time of one revolu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ted images may be very small. Therefore, the flow state or dispersion degree of the fabric cannot be easily grasped.
  • the current drum's RPM should b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shooting time and interval.
  • Time series images or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may be displayed in the same manner in the external terminal. Accordingly, if necessary,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information on the state or state of the clothing processing by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even remotely.
  • It may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the cloth dispersion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current flow state of the cloth identified through the time series image to a user through a user interface.
  • the cloth dispersion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current flow state of the cloth identified through the time series image to a user through a user interface.
  • a plurality of pieces of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nd one of the pieces of evalu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urrent distribution degree may be extracted, and the extracted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a user through a display.
  • An augmented reality image may be prepared and display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degree of dispersion.
  • the augmented reality image may be superimposed on a displayed time series image (preview image).
  • Animation may be prepared and display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pos-dispersity.
  • the animation may be displayed by replacing the time series image.
  • It may include receiving the RPM information of the drum for feedback control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 the current state is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user's input may be requested.
  • the foam dispersion promoting step may be performed based on a preset control logic, and may be performed by reflecting the RPM information of the drum input by the user.
  • evaluation information is preferably re-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user.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and easily recognize that the evaluation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the feedback control is different.
  • the case to form an exterior;
  • a drum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treated;
  • a door provided in the case and selectively opening the inside of the drum;
  • a camera provided on the case or door and photographing the fabric inside the drum to generate a time series image;
  • a motor that drives the drum for processing the fabric;
  •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motor, wherein the processor, when the drum rotates at a low speed, through the time series image to determine the sliding state
  •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um is rotated at a high speed to perform high-speed spin-drying after promoting a cloth dispersion by controlling the RPM of the drum according to the sliding state.
  • the identification of the lactation state and promotion of the foam dispersion may be performed in a certain RPM section. That is, it may be performed in the focal dispersion acceleration section. At this time, grasping, evaluation, and feedback control of the lactation state may be repeated multiple times. The RPM during feedback control may proceed in an increasing or decreasing direction.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image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clothing processing state through the image remotely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n object is being processed optimally through time series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a camera, and feedback control of a driving unit or an actuator so that the object is optimally proces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improving laundry performance and minimizing damage to the fabric by performing an optimal fabric flow during washing or rinsing.
  •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providing a current object processing situation to a user through time series images or image information.
  •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 current object treatment situation and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same to a user.
  • information on a processing situation indicating that the foam dispersion is being performed for the main dehydration entry, evaluation information that the degree of foam dispersion is one of upper and lower, feedback control information to increase the degree of foam dispersion, and evaluation information after the feedback control.
  •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or animation converted according to the current object processing situ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current object processing situation. I can.
  • FIG. 1 shows the appearanc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shows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shows an example of 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time point and acquired image information in a dehydration process
  • FIG. 6 shows a control flow of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shows a control flow of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time point and acquired image information in a washing (rinsing) process
  • FIG. 10 shows an example of converting and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washing (rinsing).
  • FIGS. 1 and 2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shing machine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cabinet 10, the tub 20, the drum 30, and the drum 30 forming the exterior to insert or take out clothes as a treatment object into the drum. It may include a door (60).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door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bject input port 61 of the cabinet 10.
  • the tub 2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and provided to accommodate the drum 30.
  • the drum 30 is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20 and accommodates laundry. An opening is provided in front of the drum 30, and laundry is fed into the drum 30.
  • a through hole 30h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0 so that air and washing water communicate between the tub 20 and the drum 30.
  • the tub 20 and the drum 3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ccordingly,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ub 20 and the drum 30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 3 shows a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drum 30 is rotated based on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ground. Unlike shown, the drum 30 and the tub 20 may have a tilting shape inclined to the rear.
  • the wash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riving unit 40 provided to rotate the drum 30 inside the tub 20.
  • the driving unit 40 includes a motor 41, and the motor 41 includes a stator and a rotor.
  • the rotor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42, and the rotation shaft 42 is connected to the drum 30 to rotate the drum 30 inside the tub 20.
  • the driving unit 40 may include a spider 43.
  • the spider 43 is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drum 30 and the rotation shaft 42 and can be said to be a configuration for uniformly and stabl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 shaft 42 to the drum 30.
  • the spider 43 is coupled to the drum 30 in a form that is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rear wall of the drum 30.
  • the rear wall of the drum 30 is formed in a form recessed into the drum 30.
  • the spider 43 may be coupled in a form further inserted into the drum 30 at the rotational center portion of the drum 30.
  • a lifter 50 is provided inside the drum 30.
  • a plurality of lifters 50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rum 30.
  • the lifter 50 functions to agitate the laundry. For example, as the drum 30 rotates, the lifter 50 raises the laundry upwards.
  • the laundry moved to the top is separated from the lifter 50 by gravity and falls to the bottom. Washing may be performed by the impact force of such laundry falling. Of course, agitation of laundry can improve drying efficiency. Laundry can be evenly distributed back and forth within the drum 30. Accordingly, the lifter 5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rear end of the drum 30 to the front end.
  • FIG 3 shows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control unit or the processor 100 is provided, which may be mounted inside the control panel.
  • the ope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processor.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various hardware.
  • the motor 41, the circulation pump 80, the water supply valve 23, the water level sensor 36, and the like may be appropriately controlled to perform the washing course.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UI) 80.
  • the UI may include various buttons or rotary knobs, and in particular, may include a display. Through the UI, the user can input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to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In addition, through the UI,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may provide the user with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currently being performed.
  • the display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display. Through this, both the user's input of information and the display of inform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n be performed.
  • characters, numbers, or images may be displayed,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ime series images, augmented reality images, or animations may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current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and situ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9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90,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the user's terminal through an external server.
  • a user may input a remote control command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 a remote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rough a server, so that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may be remotely controlled.
  •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may transmit current state information to the server while processing the clothing.
  • the server may transmit this to the user's external terminal.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urrent clothing treatment information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 the camera 70 may be included.
  • the camera 70 may be provided on the door 60 to take a picture of the inside of the drum 30.
  • imag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or a time series image may be generated.
  • the image information is a set of images continuously photograph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when the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user can grasp the current drum rotation and the flow state of the clothing.
  • Time series images can also be referred to as video information.
  • the drum rotates at high speed for example, when the drum rotates at a spin RPM beyond the tumbling RPM, the cloth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um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rum.
  • this spin RPM it is difficult for general users to intuitively grasp the flow state or dispersion degree of clothing.
  •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laundry flows inside the drum as intended during washing or rinsing That is, as the drum rotates, i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user to determine whether the movement of the laundry is insufficient, appropriate, or excessive. This is because the general user cannot well know what the intended flow for the current laundry is.
  • the time series image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information generated at a secon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at is later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between image capture in general image information.
  • Such a time series image may be generated by being extract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or may be generated through an image captured at a secon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 a user when a time series image is displayed, a user can view a discontinuous video.
  •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flow state or dispersion degree of the clothing. That is, even if not a designer or expert of the washing machine, a user can more intuitively grasp the flow state or dispersion degree of clothes through discontinuous time series information rather than continuous image information.
  • this time series imag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lothes are flowing or dispersed as intended by the washing machine itself.
  • the time series image generated through the camera 70 in this embodiment can be used for effective object processing.
  • the flow condition of the fabric is very important.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n optimal flow state of the fabric for optimally performing washing, rinsing and dewatering.
  • dehydration can be said to be a process of centrifuging moisture from clothing by rotating a drum at high spe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high-speed dehydration after the clothes are evenly distributed in the drum. That is, before high-speed dehydration is performed, the flow of clothes should be evenly distributed in the drum, and the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high-speed dehydration. This is important in terms of prevention of vibration and noise and system protection through elimination of eccentricity, and also in terms of effective dehydration. Because, if the fabric is not properly dispersed, a delay or failure may occur in the entry of the high-speed spinner. Due to this, not only does not dewatering properly occur, bu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total washing time may increase.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ncomplete dehydration is perform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dehydration effect and a decrease in user satisfaction.
  • the foam dispersion has been performed simply by determining the degree of eccentricity caused by vibration or flow of the drum. Therefore, the frequency of failure and delay in entering dehydration inevitably increased, resulting in dehydration quality deterio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 if a washing machine designer or developer directly sees the flow of clothes inside the drum and determines whether the flow of clothes is optimally generated and whether cloth dispersion occurs.
  • Device can be provided.
  • the flow or cloth dispersion of the clothes is not optimal,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timum flow or cloth distribution of the clothes through the feedback control of the driving unit or the actuator. Therefore, washing or rinsing can be optimally performed, and a high-quality dehydration effect can be expected.
  • Imag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amera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UI 80. That is, by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such as image information as well as expression means such as characters or figures on the UI, the user can more intuitively grasp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 discontinuous time series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stead of continuous image information. Through this discontinuous time serie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more intuitively grasp the flow state of the fabric.
  • an evaluation of the flow state of the fabric is performed, and such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for feedback control of a driving unit or an actuator.
  •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UI 80. Details 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FIG. 4 shows the control flow steps
  • FIG. 5 shows specific images and the generation time points of the specific images in the dehydration process.
  • image information or time series information using a camera may be used in the dehydration process (S40).
  • the dehydration process Through the image or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dehydration proces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dehydration is smoothly performed or whether it can be smoothly performed. Specifically, the flow or dispersion degree of the fabric can be grasped, and the flow acceleration or dispersion promotion of the fabric can be performed using this, so that optimal dewatering can be performed. More specifically, when dispersing the fabric while rotating the drum at a relatively low RPM before entering the high-speed spinning, i.e., the main spinning, image information or time series information is generated to perform optimal fabric dispersion, and then the main spinner should enter the main spinner. I can.
  • the dehydration process (S50) may be started through the step of promoting foam dispersion and foam dispersion (S41).
  • Foam dispersion can be said to be a step in which the drum is rotated at a relatively low RPM to release the entanglement of the cloth and distribute the cloth evenly inside the drum.
  • the drum drive at this time has approximately 40 to 50 RPM, and can be referred to as tumbling drive.
  • FIG. 5 shows an image ((a)) generated at point A (tumbling driving point) during the dehydration process and an image ((b)) generated at point B (spin driving point at the podispersion acceleration stage) during the dehydration process. Has been.
  • these images may be generated and displayed as moving pictures.
  • a plurality of still images may be used in time series. That is,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fabric is optimally flowing or dispersed through the time series image.
  • time series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S42).
  •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generated and acquired time series information. That is, evaluation of fabric dispersion or evaluation of fabric flow may be performed (S43).
  • a plurality of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nd the controller 100 may extract matching evaluation information from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generated and acquired time series image.
  • the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expressed as “upper, medium, and lower”.
  • the number or method of indicating the degree of fabric dispersion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number or method of indicating the degree of fabric dispersion.
  • the control unit 100 generates evaluation information through time series information, and performs feedback control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formation.
  • drum RPM the variable that is most dependent on the flow rate and dispersion.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variable to be controlled for feedback may be referred to as drum RPM.
  • the fabric dispersion promotion step (S41) is performed through the fed back drum RPM, and it is possible to repeatedly generate time series information and evaluate fabric dispersion.
  • the drum RPM can be controlled to be higher than the current value.
  • the optimum cloth dispersion degree can be obtained through feedback control to increase the drum RPM, and if the cloth dispersion state is bad, the feedback control to decrease the drum RPM.
  • Drum RPM in high-speed dehydration can be said to be approximately 1000 RPM or more.
  • the high-speed dehydration entry is performed after the fabric is evenly distributed in the drum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ersion degree of the fabric is determined by spin RPM Daeyoung before entering the high-speed spinning.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fabric dispersion is determined in the RPM band in which the fabric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um and rotates integrally.
  • a time series image may be generated even when tumbling is driven, it is preferable that a time series image is generated in a spin RPM band.
  • the spin RPM band may be approximately 80 to 120 RPM, and may be extended to around 200 RPM.
  • the spin RPM band is not a simple drum RPM band, but it can be said that it has an upper and lower critical point of the drum RPM, which is feedback-controlled to promote foam dispersion. Therefore,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fabric dispersion promotion section or a feedback control section.
  • the controller 100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drum RPM through feedback control.
  • feedback control is performed to gradually increase the drum RPM, and the foam dispersion can be repeatedly evaluated and reflected.
  • the drum RPM is increased and the foam dispersion is lowered, the drum RPM can be lowered again.
  • the drum RPM is further increased to enter high-speed spin-drying, thereby performing high-speed spin-drying.
  • the dehydration process S40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but may be performed as a part of the washing course. That is, a washing process (S10), a rinsing process (S20), and a spin-dry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ries of steps to perform one washing course. Drainage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washing process S10 and the rinsing process S20 and between the plurality of rinsing processes. When all of the rinsing process S20 is finished, drainage may be finally performed. When the final drainage (S30) is finished, the dehydration process (S40) may be performed.
  • the washing process (S10) may be started while performing a laundry amount detection (S11).
  • a step of receiving a washing course input and a step of receiving a start input are performed first, and then the amount of cloth can be detected while rotating the drum.
  • the detection of the amount of fabric at this time may be performed to determine an approximate amount of load, if it means the amount of fabric. As the amount of fabric to be treated increases, the amount of washing water or the execution time of a washing course may increase for optimal clothing treatment.
  • the cloth soaking may be performed while the water supply (S12) is performed.
  • the water supply S12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and the water supply after the initial water supply may be referred to as an additional water supply.
  • the additional water supply is completely terminated, water supply and bagging are terminated, and main washing (S14) may be performed.
  • the difference in water content may be large depending on the fabric. Therefore, even if the amount of water is the same, the optimum water supply amount is inevitably different in the case of a fabric having a high moisture content and a fabric having a low moisture content. Insufficient water supply amount is disadvantageous to sufficient embedding or detergent dissolution, and excessive water supply amount is disadvantageous to detergent concentr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detect the foam in order to optimally supply the water supply.
  • wool knit is susceptible to fabric damage because it has a high moisture content and is soft.
  • Cotton jeans are less susceptible to fabric damage because they have a relatively low moisture content and are stiff.
  • the foam detection can be performed in the water supply and in the bagging process. Foaming can be detected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cloth detected before watering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y.
  • the level of washing water in the tub may vary at the same amount of cloth and the same water supply. In the case of clothes with high moisture content,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is lowered.
  •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basical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a feature of converting time series image information or evaluation information into intuitive information and displaying it may be added. Therefore, repeated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tents are omitted.
  • a step (S420) of generating time series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generated time series information to the UI may be performed.
  • the treatment of clothing is performed while the clothing or the drum is moving, not in a fixed state. In particular, it is very important how the clothing flows with respect to the drum. If the designer or developer sees the actual dehydration, the flow can be evaluated, bu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see this and perform the flow evaluation.
  • an actual flow image or a discontinuous time series imag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but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evaluate the flow through this.
  • FIG. 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augmented reality image or animation is displayed on an actual image or a time series image.
  • a preview image or image is displayed, and in other words, an augmented reality image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7 in a form superimposed thereon.
  • the cloth dispersion degree can be intuitively displayed through the drum 30 and the cloth S, and the drum 30 and the cloth S may be displayed as rotating.
  • the drum 30 and the fore (S) rotate integrally and the fore (S) can be expressed so that it is evenly distributed and closely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drum.
  •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at the cloth dispersion is optimally performed.
  • the fabric (S) may be marked to rotate with the drum by being concentrated on one side of the drum.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intuitively needs to improve the degree of dispersion. More preferably, the drum and the gun may be vibrating.
  • Preview images or images can be replaced with animations. For example, if only the preview image or image shown in FIG. 7 is omitted, this may be referred to as animation.
  • an actual image, an augmented reality image, or animation may be displayed, and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f necessary.
  • step (S430) of provid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00 to the UI may be performed.
  • the provided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UI 80.
  •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image information and evalu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and it can be seen that feedback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optimal clothing processing is performed through a camera.
  • information on whether feedback control is being performed image information and evaluation information after the feedback control may be displayed.
  • the user can intuitively and clearly recognize that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is smartly processing clothing through the camera.
  • At least one of image information, time series image information, augmented reality image, animation, or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the user's external terminal as well as the UI 80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tself can be used as an extended UI.
  • such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terminal only when feedback control is required through image information or time series image information.
  • image information or time series imag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terminal only when feedback control is required through image information or time series image information.
  • the user can feel the joy of controlling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while looking at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directly, and at the same time feel satisfaction with the clothing treatment.
  • FIG. 8 shows control flow steps
  • FIG. 9 shows specific images and generation times of the specific images in a washing process (rinsing process).
  • image information or time series information using a camera may be used in the washing process (S10).
  • the use of such image information may be used in a process (S14) in which the main washing is perform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That is, this image information can be used in the main washing process in which the water supply is terminated and the drum is driven in earnest to perform washing.
  • this image information can be used in the main washing process in which the water supply is terminated and the drum is driven in earnest to perform washing.
  • the same can be used in the rinsing process (S20).
  • washing may be perform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flow of the fabric, that is, the degree of rise/fall of the fabric is the same as intended. More specifically, when the flow of the fabric is less than intended, the RPM is increased to promote the flow of the fabric, and when the flow of the fabric is larger than the intended flow, the RPM can be decreased to reduce the flow of the fabric.
  • washing is performed through tumbling driving.
  • the driving control of the drum that is, the sliding motion control
  • the sliding motion control is generally performed through a preset tumbling RPM and a preset actual motion rate.
  • the control pattern, particularly the RPM, in this sliding control can be varied.
  • the tumbling drive has approximately 40 to 50 RPM, and can be as high as 60 RPM higher than 50 RPM. It is a drive that applies mechanical force to the laundry while repeating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fabric as the drum rotates. Of course, a step drive that applies a greater mechanical force than such a tumbling drive may be applied, and a rolling drive or a swing drive having a weak mechanical force may also be applied.
  • Optimal driving in the washing process may vary according to the set washing course.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a typical tumbling drive is described with a drum drive in the washing process as an example.
  • FIG. 9 illustrates a change in an image generated according to a time change while a tumbling drive is performed in a washing process.
  • these images may be generated and displayed as moving pictures.
  • a plurality of still images may be used in time series. That is,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fabric flows optimally through the time series image.
  • time series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S141), and the flow state of the fabric may be evaluated (S143).
  • a plurality of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nd the controller 100 may extract matching evaluation information from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generated and acquired time series image.
  • the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expressed as "high, medium, low”.
  • the degree of bubble flow may vary based on the intended fabric flow.
  • the control unit 100 generates evaluation information through time series information, and performs feedback control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formation.
  • drum RPM the variable that is most dependent on the washing motion.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variable to be controlled for feedback may be referred to as drum RPM.
  • the fabric flow control step (S141) is performed by reflecting the feedback drum RPM, and time series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fabric flow evaluated repeatedly.
  • the drum is driven at the current RPM.
  • the treatment of clothing is performed while the clothing or the drum is moving, not in a fixed state. In particular, it is very important how the clothing flows with respect to the drum. If the designer or developer sees the actual washing,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flow, bu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see this and perform the flow evaluation.
  • an actual flow image or a discontinuous time series imag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but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evaluate the flow through this.
  • FIG. 10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augmented reality image or animation is displayed on an actual image or time series image of a fabric flow in a washing process.
  • a preview image or image is displayed, and in other words, an augmented reality image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0 in a form superimposed thereon.
  • the flow of the fabric can be intuitively displayed through the drum 30 and the fabric S, and the drum 30 and the fabric S can be displayed as rotating.
  • Preview images or images can be replaced with animations.
  • an actual image, an augmented reality image, or animation may be displayed, and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f necessary.
  • the step of provid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00 to the UI may be performed.
  • the provided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UI 80.
  • the user can feel the joy of controlling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while looking at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directly, and at the same time feel satisfaction with the clothing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하여, 드럼 내부의 포가 유동되도록 드럼을 구동하는 포유동단계; 상기 포유동단계에서, 카메라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를 촬영하여 포 유동에 대한 시계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통해 현재 포의 유동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포의 유동 상태에 따라, 상기 드럼의 RPM을 피드백 제어하여 포 낙차 를 증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피드백 제어된 드럼의 RPM으로 상기 드럼을 구동하여, 세탁 또는 헹굼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상물을 수용하고 대상물을 처리하는 가전기기는 많은 종류가 있다. 즉, 대상물에 따라 그리고 대상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가전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의류를 수용하고 의류를 처리하는 가전기기는 세탁기, 건조기, 스타일러(의류처리기 또는 의류관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의류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옷뿐만 아니라 침구류, 섬유 인형, 신발 등 다양한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의 처리는 세탁, 건조, 리프레시, 살균 등 다양한 처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의류처리장치는 다양한 처리 과정들 중 특정 처리 과정에 특화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처리 과정들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세탁기의 경우에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 헹굼이 수행되고 탈수가 수행되는 세탁 코스가 수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건조기의 경우에는,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 내지는 리프레시가 수행되는 건조 또는 리프레시 코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들은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처리 코스가 제공되며, 각각의 처리 코스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정보는 처리 코스를 수행하기 위한 구동부나 엑츄에이터 등의 제어 조건들을 포함하며, 일례로 세탁기에서는 드럼이나 펄세이터의 RPM, 실동율(모터의 on 시간을 총 시간(모터의 on 시간과 모터의 off 시간을 합산한 값)), 수위(급수 밸브), 온도(히터) 등의 제어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전기기는 식기를 처리하는 식기세척기나 식재료를 통해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기기 등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나 식재료 또한 처리하는 대상물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처리 코스를 통해 대상물이 처리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또는 대상물의 처리 목적에 따라 최적의 처리 코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대상물의 종류나 처리 목적을 정확하게 입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사용자가 이러한 정보를 정확하게 알 수 없으며, 설령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의류처리장치에서 이러한 다양한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받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가 최적으로 대상물을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KR20130044764 (이하 "선행특허1"이라 한다)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세탁 대상물을 감지하여 세탁 대상물 정보를 추출하고, 세탁 대상물 정보를 이용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정확하게 대상물의 종류를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세탁기에서 대상물에 따라 최적의 처리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1에 따른 세탁기에 따르면, 대상물의 종류를 카메라를 통해서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사용자가 일일이 대상물을 카메라 전방에 위치시켜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또한, 세탁기가 대상물 정보를 통해 대상물 처리를 수행하더라도, 최적으로 대상물을 처리하고 있는지를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카메라는 대상물 처리 전 대상물의 정보만 추출할 수 있을 뿐 대상물 처리 도중에 대상물이 최적으로 처리되고 있는지 여부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KR20160084698 (이하 "선행특허2"라 한다)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세탁기 내부를 촬영하여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도어의 개폐 여부, 세탁물의 발산 여부 또는 거품 발생 여부 등을 카메라를 통해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이상 상황이 감지되면 구동부의 제어를 통해 대처할 수 있는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2에 따른 세탁기에 따르면, 이상 상황을 감지하여 대처하는 방안만이 제시될 뿐 대상물 처리가 최적으로 처리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없다. 즉, 정상적으로 대상물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는 이상 상황이 아니므로, 이상 상황에 따른 구동부의 제어가 후속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선행특허2는 대상물이 최적으로 처리되고 있는지 여부를 제공하고 대상물이 최적으로 처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대상물의 종류, 대상물의 처리 목적 그리고 대상물의 성질(일례로 의류의 포질, 함수율 특성, 빳빳 정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최적으로 대상물의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한편, 세탁기에서의 세탁은 세제, 세탁수 그리고 마찰 또는 충격 에너지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마찰 또는 충격 에너지는 세탁물과 드럼 사이 또는 세탁물과 세탁물 사이에 발생되는 에너지(기계력)로, 이러한 에너지는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발생되어야 한다.
그러나, 세탁 과정에서 드럼의 회전 RPM은 일률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포질이 달라지거나 포량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세탁물에 충분한 기계력이 공급되는지 알 수 없다.
일반적으로는, 포량이 많은 수록 기계력이 제공되는 시간 즉 세탁 시간이 증가하거나 드럼이 구동되는 시간 비율(실동율)을 높일 뿐, 드럼이 구동될 때 세탁물에 충분하고 효과적인 기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알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세탁이나 헹굼 시 세탁물이 드럼 내부에서 효과적으로 움직이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세탁물을 드럼 내부에서 효과적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카메라를 통해서 생성하는 시계열 정보를 통해서, 최적으로 대상물이 처리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최적으로 대상물이 처리되도록 구동부 내지는 엑츄에이터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세탁이나 헹굼 시 최적의 포 유동이 수행되도록 하여 세탁 성능 향상 및 포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현재 대상물 처리 상황을 시계열 이미지나 영상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현재 대상물 처리 상황에 대한 정보와 이에 대한 평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례로, 본 탈수 진입을 위한 포분산을 수행 중이라는 처리 상황 정보, 포분산 정도가 상중하 중 어느 하나라는 평가 정보, 포분산 정도를 높이기 위한 피드백 제어 정보, 피드백 제어 후의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현재 대상물 처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현재 대상물 처리 상황에 따라 변환된 증강 현실 이미지나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하여, 드럼 내부의 포가 유동되도록 드럼을 구동하는 포유동단계; 상기 포유동단계에서, 카메라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를 촬영하여 포 유동에 대한 시계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통해 현재 포의 유동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포의 유동 상태에 따라, 상기 드럼의 RPM을 피드백 제어하여 포 낙차를 증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피드백 제어된 드럼의 RPM으로 상기 드럼을 구동하여, 세탁 또는 헹굼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단계는 세탁장치 자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행되거나 외부 단말기(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시계열 이미지는 제1시간 간격을 두고 촬영되어 생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포의 유동 상태를 파악하도록, 상기 시계열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 간격을 갖는 불연속 시계열 이미지가 추출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례로 드럼의 텀블링 RPM을 60 RPM이라 하면 1초에 드럼이 1 회전하는 것으로 1초 동안 포가 상승 후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포의 유동 상태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불연속 시계열 이미지가 추출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할 수 있다.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통해 파악되는 현재 포의 유동 상태에 대한 평가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포 유동 평가정보는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복수 개의 평가정보 중 현재 포의 유동 상태에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평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평가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포의 유동 상태를 파악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평가정보 각각에 대해 증강 현실 이미지가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되는 시계열 이미지 상에 중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포 유동의 적정 여부를 파악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평가정보 각각에 대해 에니메이션이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에니메이션은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대체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피드백 제어를 위한 드럼의 RPM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제어된 드럼의 RPM을 통한 세탁 또는 헹굼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드럼의 RPM 정보를 반영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드럼 RPM의 대역 폭은 기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백 제어 후 평가정보를 재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RPM 피드백 제어는 자동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의 유동상태가 동일한 상태에서, 현재 입력된 포의 처리정보에 따라 피드백되는 드럼의 RPM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포의 처리정보는, 포질에 따라 마련된 세탁코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세탁코스에 따라 세탁이나 헹굼 시 적정 RPM은 서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포의 처리정보는 세탁력 강화 여부와 포 손상 저감 여부를 포함하고, 포의 텀블링 RPM 구간 내에서, 상기 피드백되는 드럼의 RPM은 세탁력 강화를 위해 증가하고 포 손상 저감을 위해 감소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처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도어; 상기 케이스 또는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 내부의 포를 촬영하여 시계열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포의 처리를 위해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 그리고 상기 드럼 회전을 통한 상기 포의 상승과 낙하를 위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통해 포유동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포유동상태에 따라 포 낙차의 증감을 위하여, 상기 드럼의 RPM을 피드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통해 파악되는 현재 포의 유동 상태에 대한 평가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해 생성되는 이미지를 통해서 최적으로 포 분산이 수행된 후 탈수가 수행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드럼 내부의 포가 유동되도록 드럼을 구동하여 포를 유동시키는 단계; 상기 포유동단계에서 상기 드럼 내부를 촬영하여 포 유동에 대한 시계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통해 현재 포의 유동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포의 유동 상태에 따라 상기 드럼의 RPM을 피드백 제어하여 포분산도를 촉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포분산도 촉진 후, 상기 드럼의 RPM을 높혀 고속 탈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프로세서)는 생성된 이미지 정보와 매칭되는 평가 정보를 추출하여,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피드백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평가 정보는 복수 개로 테이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로직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계열 이미지 내지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시계열 이미지는 제1시간 간격을 두고 촬영되어 생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상기 시계열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 간격을 갖는 불연속 시계열 이미지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물론, 제2시간 간격으로 촬영을 수행하여 불연속 시계열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의 제2시간 간격은 현재의 드럼 RPM을 고려해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드럼이 한 바퀴 회전하는 시간과 동일한 제2시간 간격을 갖는 경우에는 생성된 이미지들 사이에 차이점이 매우 작을 수 있다. 따라서, 포의 유동 상태나 분산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드럼이 한 바퀴 회전하는 시간 동안 일례로 3번 촬영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드럼의 처음 한 바퀴 회전 시에는 초기 회전 구간, 드럼의 다음 한 바퀴 회전 시에는 중기 회전 구간, 그리고 드럼의 마지막 한 바퀴 회전 시에는 말기 회전 구간에 촬영을 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어느 경우나, 현재 드럼의 RPM이 고려되어 촬영 시점과 촬영 간격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로 전송되는 시계열 이미지나 영상 정보는 외부 단말기에서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원격에서도 의류처리장치의 의류 처리 모습이나 상태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통해 파악되는 현재 포의 유동 상태에 대한 포분산도 평가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식하고 판단할 수 없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에 대한 평가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포분산도 평가정보는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복수 개의 평가정보 중 현재 포분산도에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평가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가 정보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포분산도를 파악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평가정보 각각에 대해 증강 현실 이미지가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되는 시계열 이미지(프리뷰 이미지) 상에 중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포분산도를 파악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평가정보 각각에 대해 에니메이션이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상기 에니메이션은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대체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피드백 제어를 위한 드럼의 RPM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최적 포분산 상태가 아닌 경우, 사용자에게 현재 상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포분산도 촉진단계는, 기설정된 제어 로직을 기반으로 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드럼의 RPM 정보를 반영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피드백 제어 후 평가정보를 재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피드백 제어 전후의 평가 정보가 달라짐을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처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도어; 상기 케이스 또는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 내부의 포를 촬영하여 시계열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포의 처리를 위해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 그리고 상기 드럼 회전 시 발생되는 원심력을 통해 탈수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럼의 저속 회전 시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통해 포유동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포유동상태에 따라 상기 드럼의 RPM을 피드백 제어하여 포분산도를 촉진한 후, 상기 드럼을 고속 회전하여 고속 탈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포유동상태 파악 및 포분산도 촉진은 일정 RPM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포분산 촉진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의 포유동상태 파악, 평가 및 피드백 제어는 복수회 반복될 수 있다. 피드백 제어 시의 RPM은 증가 방향 또는 감소 방향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포분산 촉진 구간을 성공적으로 그리고 최적으로 수행한 후, 드럼 RPM을 가속하여 고속 탈수에 의한 본 탈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외부 단말기로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원격으로 의류 처리 상태를 이미지를 통해서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은, 서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카메라를 통해서 생성하는 시계열 정보를 통해서, 최적으로 대상물이 처리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최적으로 대상물이 처리되도록 구동부 내지는 엑츄에이터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세탁이나 헹굼 시 최적의 포 유동이 수행되도록 하여 세탁 성능 향상 및 포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현재 대상물 처리 상황을 시계열 이미지나 영상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현재 대상물 처리 상황에 대한 정보와 이에 대한 평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본 탈수 진입을 위한 포분산을 수행 중이라는 처리 상황 정보, 포분산 정도가 상중하 중 어느 하나라는 평가 정보, 포분산 정도를 높이기 위한 피드백 제어 정보, 피드백 제어 후의 평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현재 대상물 처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현재 대상물 처리 상황에 따라 변환된 증강 현실 이미지나 에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흐름을 도시하고,
도 5는 탈수 과정에서 영상 정보 획득 시점 및 획득된 영상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흐름을 도시하고,
도 7은 탈수 과정에서 생성된 이미지 정보를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흐름을 도시하고,
도 9는 세탁(헹굼) 과정에서 영상 정보 획득 시점 및 획득된 영상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10은 세탁(헹굼) 생성된 이미지 정보를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터브(20), 드럼(30), 그리고 상기 드럼(30)을 개폐하여 드럼 내부로 처리 대상물인 의류를 투입하거나 꺼내도록 구비되는 도어(6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는 캐비닛(10)의 대상물 투입구(61)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터브(2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30)을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드럼(30)은 상기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을 수용한다. 상기 드럼(30)의 전방에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세탁물이 드럼(30)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 드럼(30)의 원주면에는 터브(20)와 드럼(30) 사이에 공기 및 세탁수가 연통되도록 통공(30h)가 형성된다.
상기 터브(20)와 드럼(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20)와 드럼(30)의 내주면과 외주면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드럼(30)이 지면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형태의 세탁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드럼(30)과 터브(20)는 후방으로 기울어진 틸팅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세탁장치는 상기 드럼(30)을 상기 터브(20)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구동부(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40)는 모터(41)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41)는 스테이터와 로터를 포함한다. 상기 로터는 회전축(42)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42)은 드럼(30)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30)을 터브(20) 내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스파이더(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더(43)는 드럼(30)과 회전축(42)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회전축(42)의 회전력을 드럼(30)에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더(43)는 드럼(30)의 후벽에 적어도 일부분 삽입된 형태로 드럼(30)과 결합된다. 이를 위해 드럼(30)의 후벽은 드럼(30) 내부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스파이더(43)는 드럼(30)의 회전 중심 부분에서 더욱 드럼(30) 내측으로 삽입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의 내부에는 리프터(50)가 구비된다. 상기 리프터(50)는 드럼(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50)는 세탁물을 교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례로, 드럼(30)이 회전함에 따라 리프터(50)는 세탁물을 상부로 올리게 된다.
상부로 이동한 세탁물은 중력에 의해서 리프터(50)와 분리되어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러한 세탁물이 낙하에 의한 충격력으로 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세탁물의 교반은 건조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세탁물은 드럼(30) 내부에서 전후로 골고루 분배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터(50)는 드럼(30) 후단에서 전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메인 제어부 또는 프로세서(100)가 구비되며, 이는 컨트롤패널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서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각종 하드웨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모터(41), 순환펌프(80), 급수 밸브(23), 수위 센서(36) 등은 세탁 코스 수행을 위해서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I는 각종 버튼이나 로터리 놉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I를 통해서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에게 대상물 처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를 통해서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입력하고 현재 수행 중인 대상물 처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정보 입력 그리고 의류처리장치의 정보 표시가 모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문자, 숫자 내지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계열 이미지, 증강 현실 이미지 또는 에니메이션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의류처리장치의 현재 대상물 처리 정보 및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통신 모듈(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90)을 통해서 의류처리장치는 외부 서버와 통신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부 서버를 통해서 사용자의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원격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제어 명령은 서버를 통해서 의류처리장치로 전송되어 의류처리장치가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으로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 처리를 명령하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처리를 수행하면서 현재의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이를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현재의 의류처리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는 도어(60)에 구비되어 드럼(3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드럼(30) 내부에서 대상물인 의류의 유동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을 통해서 영상 정보를 생성하거나 시계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정보는 소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촬영된 이미지들의 집합으로, 영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사용자는 현재의 드럼 회전과 의류의 유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시계열 이미지 또한 영상 정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일례로 텀블링 RPM을 넘어서 스핀 RPM으로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 의류는 드럼에 밀착되어 드럼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러한 스핀 RPM에서 일반 사용자는 의류의 유동 상태나 분산 정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세탁이나 헹굼 시 의도되는 바와 같이 세탁물이 드럼 내부에서 유동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어렵다. 즉,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서 세탁물의 움직임이 부족한지, 적정한지 또는 과도한지 여부를 일반 사용자는 판단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현재의 세탁물에 대한 의도된 유동이 무엇인지를 일반 사용자는 잘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시계열 이미지라 함은 일반적인 영상 정보에서의 이미지 촬영 사이의 제1소정시간보다 늦은 제2소정시간 간격으로 생성된 정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계열 이미지는 영상 정보 내에서 추출되어 생성될 수 있고, 제2소정시간 간격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서 생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시계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사용자는 불연속적인 동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시계열 이미지를 통해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의류의 유동 상태나 분산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세탁기의 설계자나 전문가가 아니라 하더라도 연속적인 영상 정보가 아닌 불연속적인 시계열 정보를 통해서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의류의 유동 상태나 분산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시계열 이미지를 통해서, 세탁장치 자체에서 의도된 바와 같이 의류가 유동하는지 또는 분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카메라(70)를 통해서 생성되는 시계열 이미지는 효과적인 대상물 처리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세탁, 헹굼 그리고 탈수가 수행될 때, 포의 유동 상태는 매우 중요하다. 즉, 최적으로 세탁, 헹굼 그리고 탈수가 수행되기 위한 최적의 포의 유동 상태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탈수는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원심 분리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가 드럼 내부에 골고루 분산된 후 고속 탈수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고속 탈수 수행 전에 의류의 유동이 드럼 내부에 골고루 분산되어야 하며, 이후 고속 탈수가 수행되어야 바람직하다. 이는, 편심 해소를 통한 진동 및 소음 방지와 시스템 보호 측면에서 중요하며, 아울러 효과적인 탈수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포가 제대로 분산되지 않는 경우, 고속 탈수 진입에 지연이 발생하거나 실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대로 탈수가 수행되지 않을뿐만 아니라 총 세탁 시간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불완전 탈수가 수행되어 탈수 효과의 저하 및 사용자 만족도 저하를 유발할 유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고속 탈수 수행 전에 포가 적절히 분산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포를 적절히 분산시켜 고속 탈수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단순히 드럼의 진동이나 유동에 의한 편심 정도만 판단하여 포분산이 수행되어 왔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탈수 진입 실패 및 지연 빈도가 높아질 수 밖에 없어서 탈수 품질 저하가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치 세탁기 설계자나 개발자가 드럼 내부의 의류의 유동을 직접 보고 최적으로 의류의 유동이 발생되는지 여부 및 포 분산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과 동일 유사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최적의 의류의 유동이나 포 분산이 아닌 경우, 구동부나 엑츄에이터의 피드백 제어를 통해서 최적의 의류의 유동이나 포 분산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으로 세탁이나 헹굼이 수행될 수 있으며, 고품질의 탈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카메라를 통해 생성되는 이미지 정보는 UI(80)를 통해서 표시될 수 있다. 즉, 문자나 도형과 같은 표현 수단뿐만 아니라 영상 정보와 같은 이미지 정보를 UI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으로 현재의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속적인 영상 정보가 아닌 불연속적인 시계열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불연속적인 시계열 정보를 통해서 포의 유동 상태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포의 유동 상태에 대한 평가가 수행되고, 이러한 평가 정보가 구동부나 엑츄에이터의 피드백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평가 정보가 UI(8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제어 흐름 단계들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탈수 과정에서 특정 이미지들과 상기 특정 이미지들의 생성 시점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정보 내지는 시계열 정보는 탈수 과정(S40)에서 이용될 수 있다. 탈수 과정에서 생성된 이미지 내지는 정보를 통해서, 탈수가 원활히 수행되는지 또는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의 유동이나 분산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포의 유동 촉진이나 분산 촉진을 수행하여, 최적의 탈수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속 탈수 즉 본 탈수 진입 전에 상대적으로 낮은 RPM으로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포를 분산시킬 때, 영상 정보 내지는 시계열 정보를 생성하여 최적의 포 분산을 수행하고, 이후 본 탈수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탈수 과정(S50)은 포분산 및 포분산 촉진단계(S41)를 통해서 시작될 수 있다. 포분산은 드럼을 상대적으로 낮은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포의 엉킴을 풀고 포가 골고루 드럼 내부로 분산되도록 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 때의 드럼 구동은 대략 40 내지 50 RPM을 갖게 되며, 텀블링 구동이라 할 수 있다.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포가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면서 풀리고 분산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텀블링 구동 RPM을 지나 포분산을 촉진하는 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에는, 드럼과 포가 일체로 회전하는 RPM으로 대략 100RPM 전후의 RPM으로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에는 탈수 과정에서 A 시점(텀블링 구동 시점)에서 생성된 이미지((a))와 탈수 과정에서 B 시점(포분산 촉진 단계에서 스핀 구동 시점)에서 생성된 이미지((b))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이미지들은 동영상으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어부(프로세서, 100)에서 포 유동이나 포분산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정지된 이미지들이 시계열적으로 복수 개 사용될 수 있다. 즉 시계열 이미지를 통해서 포가 최적으로 유동하는지 또는 분산되어 있는지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포 분산 단계를 수행하면서 포의 엉킴이 해소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포 분산 촉진 단계(S41)을 수행하면서 포가 제대로 분산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을 위해서, 시계열 정보가 생성(S42)될 수 있다. 생성되어 획득된 시계열 정보를 통해서, 평가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즉, 포 분산도 평가 내지는 포 유동의 평가가 수행(S43)될 수 있다. 평가 정보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생성되어 획득된 시계열 이미지를 분석하여 복수 개의 평가 정보 중 매칭되는 평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최적의 포유동 상태나 포분산 상태를 "상"이라 평가할 수 있는 경우, 평가 정보는 "상, 중, 하"로 나타날 수 있다. 물론, 포 분산도 정도를 나타내는 방법이나 개수는 제한이 없다.
제어부(100)는 시계열 정보를 통해 평가 정보를 생성하고, 평가 정보에 따라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탈수 시의 제어 변수 중 포유동과 포분산에 가장 의존적인 변수는 드럼 RPM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피드백 제어되는 변수는 드럼 RPM이라 할 수 있다.
평가 정보를 통해서, 포 분산 상태가 "중, 하"인 경우, 드럼 RPM을 현재값 보다 낮게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된 드럼 RPM 통해서 포 분산 촉진 단계(S41)가 수행되며, 반복적으로, 시계열 정보 생성과 포 분산도 평가가 될 수 있다.
평가 정보를 통해서, 포 분산 상태가 "상"인 경우, 드럼 RPM을 현재값보다 높게 패드백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된 드럼 RPM을 통해서, 포 분산이 최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도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포 분산 상태가 좋은 경우에는 드럼 RPM을 상승시키는 피드백 제어, 포 분산 상태가 나쁜 경우에는 드럼 RPM을 하강시키는 피드백 제어를 통해서, 최적의 포분산도를 획득할 수 있다.
최적의 포산산도가 획득되는 경우에는, 드럼을 점차 가속 회전시켜 고속 탈수를 수행(S45)할 수 있다. 고속 탈수에서의 드럼 RPM은 대략 1000RPM 이상이라 할 수 있다.
도 5를 통해서, 포 분산 촉진(S41) 단계와 시계열 정보 생성 시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고속 탈수 진입은 포가 골고루 드럼 내부에서 분산되어 밀착된 상태가 된 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속 탈수 진입 전에 포의 분산도는 스핀 RPM 대영에서 판단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드럼 내부에서 포가 밀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RPM 대역에서 포 분산도가 판단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텀블링 구동 시에도 시계열 이미지가 생성될 수는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핀 RPM 대역에서 시계열 이미지가 생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핀 RPM 대역은 대략 80 내지 120 RPM 일 수 있으며, 200 RPM 전후까지 확장될 수 있다. 이때 스핀 RPM 대역은 단순한 드럼 RPM 대역이 아니라 포분산 촉진을 위해 피드백 제어되는 드럼 RPM의 상하 임계점을 갖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포 분산 촉진 구간 내지는 피드백 제어 구간이라 할 수 있다.
드럼을 구동하여 텀블링을 수행한 후, 드럼 RPM이 증가하면서 피드백 제어 구간에 진입할 수 있다. 피드백 제어 구간에 진입함에 따라 카메라를 통해 시계열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포분산도를 평가할 수 있다.
포분산도 평가 결과에 따라, 제어부(100)는 드럼 RPM을 피드백 제어를 통해서 증감하도록 할 수 있다. 포분산도가 만족되면, 점차 드럼 RPM을 증가시키는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며, 반복적으로 포분산도를 평가하여 반영할 수 있다. 물론, 드럼 RPM을 증가시키다가 포분산도가 저하되면 다시 드럼 RPM을 낮출 수 있다.
그러므로, 드럼을 정지하지 않고 피드백 제어 구간에서 드럼 RPM의 증감을 통해서 포분산도를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피드백 제어 구간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드럼 RPM을 더욱 증가시켜 고속 탈수에 진입하여 고속 탈수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 과정(S40)은 독자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세탁 코스의 일부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세탁 과정(S10), 헹굼 과정(S20) 그리고 탈수 과정이 일련의 순서를 거쳐 하나의 세탁 코스가 수행될 수 있다. 세탁 과정(S10)과 헹굼 과정(S20) 사이에 그리고 복수 회의 헹굼 과정들 사이에 배수가 수행될 수 있다. 헹굼 과정(S20)이 모두 종료되면 최종적으로 배수가 수행될 수 있다. 최종 배수(S30)가 종료하면 탈수 과정(S40)이 수행될 수 있다.
세탁 과정(S10)은 포량 감지(S11)를 수행하면서 시작될 수 있다. 물론, 세탁 코스를 입력 받는 단계와 시작 입력을 받는 단계 등이 먼저 수행된 후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의 포량 감지는 포의 양을 의미하면 대략적인 부하량을 판단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처리해야 하는 포의 양이 많을수록, 최적의 의류 처리를 위해서 세탁수의 양이나 세탁 코스 수행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포량 감지가 완료되면, 급수(S12)를 수행하면서 포 적심이 수행될 수 있다. 급수(S12)는 복수 회 수행될 수 있으며, 최초 급수 이후의 급수를 추가 급수라 할 수 있다. 추가 급수가 완전히 종료하면 급수 및 포적심이 종료하고 본 세탁(S14)이 수행될 수 있다.
동일한 무게 및 동일한 체적을 갖는 포라 하더라도, 실제 의류 처리에 있어서 포질이 갖는 의미는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의류 처리는 기본적으로 세탁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지만 포 손상 감소도 매우 중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포질에 따라 함수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동일 포량이라 하더라도 함수율이 높은 포의 경우와 함수율이 낮은 포의 경우, 최적의 급수량은 서로 다를 수 밖에 없다. 급수량의 과소는 충분한 포적심이나 세제 용해에 불리하게 되며, 급수량의 과대는 세제 농도에 불리하다. 따라서, 급수량을 최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포질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례로, 울 재질의 니트는 함수율이 높으면서 부드럽기 때문에 포 손상에 민감하다. 면 재질의 청바지는 함수율이 상대적으로 낮으면서 빳빳하기 때문에 포 손상에 덜 민감하다.
따라서, 부드러운(soft) 의류와 빳빳한(hard) 의류를 구분할 수 있는 포질 감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부드러운 의류의 경우는 세탁력 향상 보다는 오히려 포 손상 감소가 더욱 앞서는 목표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포질 감지는 급수가 수행되고 포적심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급수 전 감지된 포량과 급수량의 상관 관계를 통해서 포질이 감지될 수 있다.
동일한 포량과 동일한 급수량에서 터브 내의 세탁수 수위가 달라질 수 있다. 함수율이 높은 의류의 경우에서 세탁수의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을 통한 포질 감지는 일반적으로 함수율과 관련된 포질 정보만 획득할 수 있을 뿐, 포의 부드러움 정도나 빳빳한 정도에 대한 포질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다. 따라서, 함수율과 관련된 포질 정보에 기반하여 의류처리 제어변수들이 설정되어 의류처리가 수행될 뿐, 더욱 상세한 포질 정보에 기반하여 의류처리가 수행되기 어렵다.
이상에서는, 시계열 이미지 정보를 통한 최적의 탈수가 수행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세탁 코스의 일부로서 이러한 최적 탈수가 수행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할 수 있으며, 다만 시계열 이미지 정보 내지는 평가 정보를 직관적인 정보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특징이 부가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열 정보 생성을 수행하고, 생성된 시계열 정보를 UI에 제공하는 단계(S420)가 수행될 수 있다.
카메라가 제공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최적으로 의류를 처리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는 카메라가 어떻게 이용되고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 의문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생성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함으로써, 보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의류의 처리는 의류나 드럼이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움직이면서 수행된다. 특히, 드럼에 대해서 의류가 어떤 유동을 하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실제 탈수 모습을 설계자나 개발자가 보는 경우 유동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겠지만, 사용자가 이를 보고 유동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실제 포의 유동 영상이나 불연속적인 시계열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지만,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유동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실제 영상이나 시계열 이미지를 변환하거나 전환한 이미지, 증강 현실 또는 에니메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된 정보는 UI(8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은 실제 영상 또는 시계열 이미지 상에 증강 현실 이미지 또는 에니메이션이 디스플레이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프리뷰 영상 또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며, 이에 겹쳐진 형태 다시 말하면 증강 현실 이미지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드럼(30)과 포(S)를 통해 포분산도를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드럼(30)과 포(S)가 회전하는 모습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물론, 느린 속도로 드럼(30)과 포(S)가 회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포의 유동 상태를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증강 현실 또는 에니메이션에서 드럼(30)과 포(S)가 일체로 회전하고 포(S)가 골고루 드럼 내부에 분산되어 밀착되도록 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포분산이 최적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례로, 포(S)의 일부만 드럼의 일측에 몰려 드럼과 함께 회전하도록 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포분산이 정도의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드럼과 포가 진동하는 모습을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프리뷰 영상 또는 이미지가 에니메이션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프리뷰 영상 또는 이미지만 생략되면 이를 에니메이션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실제 이미지, 증강 현실 이미지 또는 에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필요한 경우 평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을 통해서 판단한 평가 정보를 UI에 제공하는 단계(S430)가 수행될 수 있다. 제공된 평가 정보는 UI(8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미지 정보와 평가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서 최적의 의류처리가 수행되도록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특히, 피드백 제어가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피드백 제어 후의 이미지 정보와 평가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메라를 통해서 의류처리장치가 스마트하게 의류를 처리하고 있음을 직관적이고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다. 결국, 최적의 의류 처리를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신뢰와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정보, 시계열 이미지 정보, 증강 현실 이미지, 에니메이션, 또는 평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통신 모듈을 통해서 외부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 자체의 UI(80)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를 확장된 UI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실시간 영상 정보를 볼 수 있다. 물론, 필요한 경우에만 실시간 영상 정보 내지는 이미지 정보를 볼 수도 있다.
일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정보 내지는 시계열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 피드백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만 이러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 제어 전후의 달라진 포의 유동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포 분산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에 대한 이미지 정보와 평가 정보를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원격 제어 입력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일례로, 포 분산도를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드럼 RPM의 증감 여부를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피드백 제어가 수행된 후, 피드백 제어 전후의 달라진 포의 유동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접 의류처리장치를 보면서 의류처리장치를 컨트롤하는 유희를 느낌과 동시에 의류 처리에 대한 만족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탈수 과정에서 이상적이고 효과적인 포분산이 수행되어 원활히 본 탈수가 수행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세탁 과정 또는 헹굼 과정에서 이상적이고 효과적인 포 유동이 수행되어, 최적의 세탁 또는 헹굼이나 의도된 바에 최적으로 부합되는 세탁 또는 헹굼이 수행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탈수 과정에서뿐만 아니라, 세탁물의 유동이 의도된 바와 같이 수행되는지 여부도 매우 중요하다. 일례로, 강력한 세탁이 수행되는 세탁 및 헹굼 과정에서 포량이 과다하여 세탁물의 유동이 의도된 바 보다 적은 경우, 강력한 세탁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반면, 울 또는 실크 소재의 세탁물에서 약한 세탁이 수행되는 세탁 및 헹굼 과정에서 포량이 적은 경우, 세탁물의 유동이 의도된 바 보다 많은 경우, 세탁물의 손상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술한 탈수 과정에서의 세탁물 유동에 대한 이미지 생성 및 이를 통한 피드백 제어가 세탁이나 헹굼 과정에서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제어 흐름 단계들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9는 세탁 과정(헹굼 과정)에서 특정 이미지들과 상기 특정 이미지들의 생성 시점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정보 내지는 시계열 정보는 세탁 과정(S10)에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영상 정보 이용은 세탁 과정 중 본 세탁이 수행되는 과정(S14)에서 이용될 수 있다. 즉, 급수가 종료되고 본격적으로 드럼이 구동되어 세탁이 수행되는 본 세탁 과정에서 이러한 영상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물론, 헹굼 과정(S20)에서도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다.
세탁 과정에서 생성된 이미지 내지는 정보를 통해서, 세탁이 원활히 수행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의 유동 즉 포의 상승/낙하 정도가 의도된 바와 동일하지를 판단하여 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포의 유동이 의도된 바보다 적은 경우에는 RPM을 증가시켜 포의 유동을 촉진시키고, 포의 유동이 의도된 바보다 큰 경우에는 RPM을 감소시켜 포의 유동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은 텀블링 구동을 통해 수행된다. 도시된 포 유동 제어(S141)은 일반적으로 기설정된 텀블링 RPM과 기설정된 실동율을 통해서 드럼의 구동 제어, 다시 말하면 포유동 제어가 수행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포유동 제어에서의 제어 패턴 특히 RPM은 가변될 수 있다.
텀블링 구동은 대략 40 내지 50 RPM을 갖게 되며, 50 RPM 보다 높은 60RPM 정도까지 높아질 수 있다.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포가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면서 세탁물에 기계력을 가하는 구동이다. 물론, 이러한 텀블링 구동보다 더 큰 기계력을 가하는 스텝 구동 등이 적용될 수 있고, 기계력이 약한 롤링 구동 또는 스윙 구동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세탁 과정에서의 최적 구동은 설정된 세탁 코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으로 텀블링 구동을 세탁 과정에서의 드럼 구동을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도 9에는 세탁 과정에서 텀블링 구동이 수행되는 도중 시간 변화에 따라 생성되는 이미지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이미지들은 동영상으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어부(프로세서, 100)에서 포 유동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정지된 이미지들이 시계열적으로 복수 개 사용될 수 있다. 즉 시계열 이미지를 통해서 포가 최적으로 유동하는지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과정(S10, S14)를 수행하면서 시계열 정보를 생성(S141)하고, 포의 유동 상태를 평가(S143)할 수 있다. 평가 정보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생성되어 획득된 시계열 이미지를 분석하여 복수 개의 평가 정보 중 매칭되는 평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최적의 포유동 상태를 "상"이라 평가할 수 있는 경우, 평가 정보는 "상, 중, 하"로 나타날 수 있다. 물론, 포 유동 정도를 나타내는 방법이나 개수는 제한이 없다. 그리고, 포 유동 정도는 의도된 포 유동을 기준으로 달리 나타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시계열 정보를 통해 평가 정보를 생성하고, 평가 정보에 따라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세탁 시의 제어 변수 중 포유동에 가장 의존적인 변수는 드럼 RPM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피드백 제어되는 변수는 드럼 RPM이라 할 수 있다.
평가 정보를 통해서, 포 분산 상태가 "중, 하"인 경우, 드럼 RPM을 현재값 보다 높게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된 드럼 RPM을 반영하여 포 유동 제어 단계(S141)가 수행되며, 반복적으로, 시계열 정보 생성과 포 유동 평가가 될 수 있다.
평가 정보를 통해서, 포 유동 상태가 "상"인 경우, 드럼 RPM을 현재값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포 유동 상태가 최적인 경우에는 드럼 RPM을 유지하는 피드백 제어, 포 유동 상태가 늦은 경우에는 드럼 RPM을 상승시키는 피드백 제어, 그리고 포 유동 상태가 지나치게 과도한 경우에는 드럼 RPM을 감소시키는 피드백 제어를 통해서, 최적의 포 유동을획득할 수 있다.
최적의 포 유동 상태가 획득된 후에는 현재의 RPM 으로 드럼을 구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서도 탈수 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시계열 이미지 정보 내지는 평가 정보를 직관적인 정보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특징이 부가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카메라가 제공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최적으로 의류를 처리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는 카메라가 어떻게 이용되고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 의문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생성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함으로써, 보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의류의 처리는 의류나 드럼이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움직이면서 수행된다. 특히, 드럼에 대해서 의류가 어떤 유동을 하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실제 세탁 모습을 설계자나 개발자가 보는 경우 유동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겠지만, 사용자가 이를 보고 유동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실제 포의 유동 영상이나 불연속적인 시계열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지만,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유동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실제 영상이나 시계열 이미지를 변환하거나 전환한 이미지, 증강 현실 또는 에니메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된 정보는 UI(8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0은 세탁 과정에서의 포 유동에 대한 실제 영상 또는 시계열 이미지 상에 증강 현실 이미지 또는 에니메이션이 디스플레이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프리뷰 영상 또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며, 이에 겹쳐진 형태 다시 말하면 증강 현실 이미지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드럼(30)과 포(S)를 통해 포 유동을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드럼(30)과 포(S)가 회전하는 모습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물론, 느린 속도로 드럼(30)과 포(S)가 회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포의 유동 상태를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증강 현실 또는 에니메이션에서 드럼(30)이 회전하고 포(S)가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는 것이 표현될 수 있다. 도 10의 왼쪽에 도시된 것은 포의 상승 높이가 낮은 일례이고 오른쪽에 도시된 것은 포의 상승 높이가 높은 일례이다.
따라서,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포의 유동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포의 유동 정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프리뷰 영상 또는 이미지가 에니메이션으로 대체될 수 있다.
아울러, 실제 이미지, 증강 현실 이미지 또는 에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필요한 경우 평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을 통해서 판단한 평가 정보를 UI에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제공된 평가 정보는 UI(8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포 유동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에 대한 이미지 정보와 평가 정보를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원격 제어 입력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일례로, 포 유동 정도를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드럼 RPM의 증감 여부를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피드백 제어가 수행된 후, 피드백 제어 전후의 달라진 포의 유동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접 의류처리장치를 보면서 의류처리장치를 컨트롤하는 유희를 느낌과 동시에 의류 처리에 대한 만족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음.

Claims (20)

  1.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하여, 드럼 내부의 포가 유동되도록 드럼을 구동하는 포유동단계;
    상기 포유동단계에서, 카메라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를 촬영하여 포 유동에 대한 시계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통해 현재 포의 유동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포의 유동 상태에 따라, 상기 드럼의 RPM을 피드백 제어하여 포 낙차를 증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피드백 제어된 드럼의 RPM으로 상기 드럼을 구동하여, 세탁 또는 헹굼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 이미지는 제1시간 간격을 두고 촬영되어 생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포의 유동 상태를 파악하도록, 상기 시계열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 간격을 갖는 불연속 시계열 이미지가 추출되어 디스플레이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통해 파악되는 현재 포의 유동 상태에 대한 평가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 유동 평가정보는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복수 개의 평가정보 중 현재 포의 유동 상태에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평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평가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포의 유동 상태를 파악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평가정보 각각에 대해 증강 현실 이미지가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되는 시계열 이미지 상에 중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포 유동 정도를 파악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평가정보 각각에 대해 에니메이션이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니메이션은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대체하여 디스플레이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피드백 제어를 위한 드럼의 RPM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어된 드럼의 RPM을 통한 세탁 또는 헹굼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드럼의 RPM 정보를 반영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백 제어 후 평가정보를 재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RPM 피드백 제어는 자동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의 유동상태가 동일한 상태에서, 현재 입력된 포의 처리정보에 따라 피드백되는 드럼의 RPM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의 처리정보는, 포질에 따라 마련된 세탁코스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의 처리정보는 세탁력 강화 여부와 포 손상 저감 여부를 포함하고, 포의 텀블링 RPM 구간 내에서, 상기 피드백되는 드럼의 RPM은 세탁력 강화를 위해 증가하고 포 손상 저감을 위해 감소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9.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처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도어;
    상기 케이스 또는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 내부의 포를 촬영하여 시계열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포의 처리를 위해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 그리고
    상기 드럼 회전을 통한 상기 포의 상승과 낙하를 위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통해 포유동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포유동상태에 따라 포 낙차의 증감을 위하여, 상기 드럼의 RPM을 피드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 이미지를 통해 파악되는 현재 포의 유동 상태에 대한 평가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PCT/KR2019/009749 2019-08-05 2019-08-05 카메라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102519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9749 WO2021025196A1 (ko) 2019-08-05 2019-08-05 카메라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9749 WO2021025196A1 (ko) 2019-08-05 2019-08-05 카메라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5196A1 true WO2021025196A1 (ko) 2021-02-11

Family

ID=7450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9749 WO2021025196A1 (ko) 2019-08-05 2019-08-05 카메라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10251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80561A1 (de) * 2021-11-10 2023-05-17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stimmen einer mechanischen einwirkung auf wäschestücke und wäschepflegemaschine zu dessen durchführung
US11739461B1 (en) 2022-03-02 2023-08-2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urnover performan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295A (ko) * 2009-04-17 2010-10-27 주식회사 키프라이즈 세탁업소의 세탁공정 진행 과정에 대한 근거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44764A (ko) * 2011-10-24 201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 시스템
KR20160084698A (ko) * 2015-01-06 201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180049718A (ko) * 2016-11-03 2018-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90026517A (ko) * 2017-09-05 2019-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295A (ko) * 2009-04-17 2010-10-27 주식회사 키프라이즈 세탁업소의 세탁공정 진행 과정에 대한 근거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44764A (ko) * 2011-10-24 201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 시스템
KR20160084698A (ko) * 2015-01-06 201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180049718A (ko) * 2016-11-03 2018-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90026517A (ko) * 2017-09-05 2019-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80561A1 (de) * 2021-11-10 2023-05-17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stimmen einer mechanischen einwirkung auf wäschestücke und wäschepflegemaschine zu dessen durchführung
US11739461B1 (en) 2022-03-02 2023-08-2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urnover perform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3091A2 (en) Washing machine
WO2011078611A1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WO2021025194A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1025196A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012264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0128733A1 (en)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045446A1 (en) WASH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AU2019261205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12265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164548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64357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1137627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060269A1 (en)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apparatus
WO2020122648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025193A1 (ko)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1025192A1 (ko)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1107600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AU2019239493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8030717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8030718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1091135A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탈수 제어 방법
WO2021025209A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3172003A1 (ko)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세탁물 처리 장치
WO2022163958A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1025195A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403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403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