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15601A1 - 이차전지 분리막 접힘 방지를 위한 분리막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분리막 접힘 방지를 위한 분리막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15601A1
WO2021015601A1 PCT/KR2020/095067 KR2020095067W WO2021015601A1 WO 2021015601 A1 WO2021015601 A1 WO 2021015601A1 KR 2020095067 W KR2020095067 W KR 2020095067W WO 2021015601 A1 WO2021015601 A1 WO 202101560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sealing
heating blocks
pair
upp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950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민재
김종훈
황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7/252,83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862809B2/en
Priority to CN202080004357.0A priority patent/CN112616322B/zh
Priority to EP20844263.2A priority patent/EP3836271B1/en
Publication of WO202101560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1560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01M50/406Moulding; Emboss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ling device and method for a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more specifically, a sealing device that is installed on a production line of semi-finished monocells or semi-finished half-cells to prevent folding of the separators to seal the separators And to the method.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ing high energy density and operating potential, long cycle life, and low self-discharge rate have been commercialized and widely used.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to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e applied, respectively, are dispos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n exterior material, that is, a battery case, for sealing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positive electrode/separator/cathode structure constituting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jelly-roll type (winding type), a stack type (stack type), and a stack/folding type of a mixture thereof according to its structure. have.
  • the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is coated wit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etc. on a metal foil used as a current collector, dried and pressed, cut into a band of a desired width and length, and separated from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using a separator, and then spirally It is manufactured by winding it.
  • the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is suitable for cylindrical batteries.
  • a stacked or stacked/folded electrode assembly is a structure in which anode and cathode units are sequentially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t is easy to obtain a square shape.
  • the stacked or stacked/folded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repeats monocells 110 hav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104 / upper separator 101 / negative electrode plate 103 / lower separator 102 structure as shown in FIG. 1.
  • a method of stacking or folding using a continuous separator film, or a method of adding an anode above and below the half cells 120 of the upper separator 101 / negative electrode plate 103 / lower separator 102 structure Can be obtained with
  •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technical background, and it is easy to apply to the existing cell semi-finished production line, and by bonding both the edge lines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along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It is to provide a sealing device and a method capable of blocking exposure to the source.
  • a first sealing unit provided to seal a first region specified outside an edg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plate among places where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face each other; And a second sealing unit provided to seal a second region specified outside an edge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plate among places where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face each other.
  • the electrode plate, the upper separator and the lower separator further comprises a transfer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in one direction, the first sealing unit and the second sealing unit are synchronized with the transfer unit at a preset speed so as to vertically move It is provided, and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can be pressurized and fused by heat.
  • the second sealing unit is provided to be assembled to the first sealing unit, and may be reassembled to the first sealing unit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electrode plate.
  • the first sealing unit may include: a first upper heating block for applying pressure and heat to a first region of the upper separation membrane; And a first lower heating block provided to be vertically symmetrical with the first upper heating block to apply pressure and heat to the first region of the lower separation membrane.
  • the first upper heating block is provided in a pair, the pair of first upper heating block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extend side by side in one direction, and the first lower heating block is provided in a pair, and the one
  • the pair of first lower heating blocks may be vertically symmetrically provided with the pair of first upper heating blocks.
  • Each of the second sealing units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upper heating block, and the pair of first heating block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air of first upper heating blocks.
  • a plurality of second upper heating blocks coupled to upper heating blocks and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the second region of the upper separation membrane; And a plurality of second lower heating blocks each provided in a one-to-one symmetrical vertically with the second upper heating blocks,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lower heating blocks, and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the second region of the lower separator.
  • the pair of first upper heating blocks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and the second upper heating blocks each have a connection portion having a stepped at least at one end thereof, and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selectively force-fit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grooves.
  • connection portion may be fixed and released with bolts in the grooves of the pair of first upper heating blocks.
  • a separation membrane sealing method including sealing both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so that the electrode plat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provided.
  • At least one of the lower separator/cathode plate/the upper separator/cathode plate and half-cell semi-finished products stacked in the order of the lower separator/cathode/upper separator may be used as a sealing target.
  • the low voltage defect rat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blocking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electrode in a semi-finished cell product.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semi-finished cell products schematically showing a stacked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emi-finished mono cell and a semi-finished half cell.
  • FIG. 2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cell semi-finished product.
  •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separation membrane sealing process of a cell semi-finished product using the separation membrane sea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lan view of the cell semi-finished product after the final cutting of FIG. 4.
  •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sealing unit and a second sea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lan view of a first upper heating block and a second upper heating block assembled together in FIG. 6.
  • 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joint portion of the first upper heating block and the second upper heating block of FIG. 7.
  • the separator sealing device includes a first sealing unit 10, a second sealing unit 20, and a transfer unit 30, and as shown in FIGS. 3 to 4, a cell that is continuously supplied Before the final cutting of the semi-finished product (see FIG. 1 ), a process of bonding the upper separator 101 and the lower separator 102 to each other may be performed.
  • the cell semi-finished product refers to a cell semi-finished product before final cutting.
  • the cell semi-finished product before the final cutting is the lower separator 102 in the form of a continuous film / negative plates 103 having a certain widt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separator 102 / in the form of a continuous film on the negative plates 103 It may be composed of an upper separator 101, or may be composed of positive electrode plates 104 that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eparator 101.
  • the cell semi-finished products before the final cutting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in one direction by the transfer unit 30, and the first sealing unit 1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20 Separation membrane portions D1 and D2 that are predetermined may be sealed.
  • the first sealing unit 1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20 may operat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ransfer unit 30 at a preset speed.
  • the transfer unit 30 stops opera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first sealing unit 1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20 may operate (up-down motion) to pressurize and thermally fuse the separation membrane portions D1 and D2 requiring sealing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 the cell pressing operation of the first sealing unit 1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20 is released, and the transfer unit 30 operates again to move the semi-finished cells before cutting.
  • a final semi-finished mono-cell or semi-finished half-cell may be completed by finally cutting the separator using a cutter (not shown).
  • the first sealing unit 1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20 are means for bonding the two semi-finished cell separators, that is, the upper separator 101 and the lower separator 102, to each other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and the first sealing
  • the unit 10 may be configured to apply heat and pressure to the first zone D1, and the second sealing unit 20 to apply heat and pressure to the second zone D2.
  • the first sealing unit 1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20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heating blocks including a heating wire.
  • the first zone D1 (refer to FIG. 5) refers to the outer edg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plate among the places where the upper separator 101 and the lower separator 102 face each other, that is, the outer side of both short sides of the electrode plate.
  • the second region D2 refers to the outer edge of the electrode plat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plate, that is, the outer side of both long sides, among places where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101 and 102 face each other.
  • the first sealing unit 10 may include first upper heating blocks 11 and 12 and first lower heating blocks 13 and 14 as shown in FIG. 6.
  • first upper heating blocks 11 and 12 Two of the first upper heating blocks 11 and 12 are paired, and they are spaced apart (Y-axis direction) by approximately the length of a semi-finished cell, and extend side by side in one direction (X-axis direction).
  • the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upper heating blocks 11 and 12 corresponds to approximately the width of three semi-finished unit cells before cutting.
  • the extension length may be configured to be longer or shorter than in this embodiment.
  • the first lower heating blocks 13 and 14 are provided to be vertically symmetrical to the first upper heating blocks 11 and 12. That is, the first lower heating blocks 13 and 14 may also have two as a pair, and may be provid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the pair of first upper heating blocks 11 and 12.
  • the first sealing unit 10 composed of a pair of first upper heating blocks 11 and 12 and a pair of first lower heating blocks 13 and 14 is composed of two separators of a plurality of semi-finished cells. It may operate to apply heat and pressure by vertically contacting the first zones D1 of.
  • the first zones (D1) of the upper separator 101 of the plurality of semi-finished cells can be pressed downward by the first upper heating blocks 11 and 12 at once,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separator 102 One zone (D1) may also be pressed upwardly by the first lower heating block (13, 14) at a time. At this time, the first region D1 of the upper separator 101 and the first region D1 of the lower separator 102 may be in contact and fused to each other by heat.
  • the second sealing unit 20 is a means for sealing the second region (D2) of the upper separation membrane 101 and the lower separation membrane 102 facing each other that cannot be sealed with the first sealing unit 10.
  • a plurality of second upper heating blocks 21 and a plurality of second lower heating blocks 23 are included.
  • the second upper heating blocks 21 extend in a direction (Y-axis direction) crossing the pair of first upper heating blocks 11 and 12,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first upper heating blocks are mutually extended. It may be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upper heating blocks 11 and 12 at position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locks 11 and 12.
  • the second lower heating blocks 23 are provided to be vertically symmetrical with the second upper heating blocks 21.
  • the second lower heating blocks 23 have a one-to-one symmetrical shape up and down with the second upper heating blocks 21, respectively, to be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lower heating blocks 13 and 14. It is prepared to be able to.
  • the second upper heating blocks 21 and the second lower heating blocks 23 are heating block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zones D2 of semi-finished cell products, and, like the first sealing unit 10, Although pressurized, heat and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zones D2 of the two separators.
  • the second zones D2 of the upper separator 101 of the plurality of semi-finished cells can be pressed downward by the second upper heating blocks 21 at once,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separator 102
  • the second zones D2 of may also be pressed upwardly by the second lower heating blocks 23.
  • the second region D2 of the upper separator 101 and the second region D2 of the lower separator 102 may contact each other and be fused to each other by heat.
  • the separator sealing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fter the final cutting,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D1 and D2 of the upper separator 101 and the lower separator 102, that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plate and By completely bonding the upper separator 101 and the lower separator 102 facing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emi-finished cell products in which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electrode plate (cathode plate) is blocked can be produced.
  • the low-voltage defect rat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ventional one.
  • the final cell semi-finished products 110 can be continuously mass-produced by synchronizing the speed with the transfer unit 30 to continuously move the semi-finished cells before cutting along the production progress direction and sealing the separators of the semi-finished cells. have.
  • first sealing unit 1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20 may be provided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with each other.
  • an assembly and disassembly configuration of the first sealing unit 1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20 will be described.
  • a plurality of grooves H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in the pair of first upper heating blocks 11 and 12, and the plurality of grooves H Select one of the second upper heating blocks (21) by fitting the end of the second upper heating block (21) into the corresponding groove (H), a pair of first upper heating blocks (11, 12) Can be combined with
  • the second upper heating blocks 21 have a connection part 21a with a step formed at both ends, and the connection part 21a is in the groove H of the first upper heating blocks 11 and 12. It can be seated in a force-fitting method, and can be fixed and released in the groove (H) with a bolt (B). Although not shown, a threaded hole may be provided in the groove H of the connection part 21a and the first upper heating blocks 11 and 12 so that the bolt B can be vertically fastened.
  •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upper heating blocks 21 can be adjusted or the number of the second upper heating blocks 21 can be adjusted or the number thereof can be further increased, so that a single separator sealing device can cope with sealing separators of various semi-finished cells of different widths.
  • the cell semi-finished products before cutting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by the transfer unit 30 along the production progress direction (X-axis direction).
  • the cell semi-finished products before cutting are in the order of the lower separator 102 / negative electrode plate 103 / upper separator 101 / positive electrode plate 104 in the order of stacked monocell semi-finished products or lower separator 102 / negative electrode / upper separator 101 in this order. It may be a stacked half-cell semi-finished product.
  • the first sealing unit 1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2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ell semi-finished product production line as described above, and may operat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ransfer unit 30. As shown in Fig. 4, when the three semi-finished cells of the transfer unit 30 reach the sealing process area, the first sealing unit 1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20 are integrally op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set in advance. For a period of time, the first section D1 and the second section D2 of each semi-finished cell are pressed and fused by heat. When the pre-set time elapses, the first sealing unit 10 and the second sealing unit 20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nd the next unsealed three cell semi-finished products are located in the sealing process area by the transfer unit 30. .
  • the cell semi-finished products that have undergone such a sealing process may be cut one by one with a cutter (not shown) while moving along the production line to be produced in the form of a final unit cell semi-finished product.
  • the separation membrane folding problem can be solv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separator sealing device and the separator seal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nocells or half-cell semi-finished products having different widths can be mass-produced in the same production l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실링 장치는, 전극판을 사이에 둔 상측 분리막과 하측 분리막을 접합하는 분리막 실링 장치로서, 상기 상측 분리막과 상기 하측 분리막이 마주하는 곳들 중, 상기 전극판의 폭 방향에 따른 가장자리 외측으로 특정되는 제1 구역을 실링하게 마련되는 제1 실링 유닛; 및 상기 상측 분리막과 상기 하측 분리막이 마주하는 곳들 중, 상기 전극판의 길이 방향에 따른 가장자리 외측으로 특정되는 제2 구역을 실링하게 마련되는 제2 실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 분리막 접힘 방지를 위한 분리막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본 발명은 이차전지 분리막의 실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리막의 접힘을 방지하기 위해 모노셀 반제품 또는 하프셀 반제품의 생산 라인 상에 설치되어 분리막을 실링할 수 있는 실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9년 07월 22일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출원 번호 제10-2019-0088483호에 대한 우선권주장출원으로서,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최근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 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조립체와,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는 그것의 구조에 따라 크게 젤리-롤형(권취형), 스택형(적층형) 및 이들의 혼합 형태인 스택/폴딩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는, 집전체로 사용되는 금속 호일에 전극 활물질 등을 코팅하고 건조 및 프레싱한 후, 소망하는 폭과 길이의 밴드 형태로 재단하고 분리막을 사용하여 음극과 양극을 격막한 후 나선형으로 감아 제조된다.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는 원통형 전지에 적합하다.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의 전극조립체는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양극 및 음극 단위체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구조로서, 각형의 형태를 얻기가 용이하다.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리튬 이차전지는 예컨대, 도 1과 같은 양극판(104)/상측 분리막(101)/음극판(103)/ 하측 분리막(102) 구조의 모노셀(mono cell, 110)들을 반복 적층하거나 연속적인 분리막 필름을 이용하여 폴딩하는 방식, 또는 상측 분리막(101)/음극판(103)/ 하측 분리막(102) 구조의 하프셀(half cell, 120)들의 위,아래에 양극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얻어질 수 있다.
한편,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리튬 이차전지는 이차전지가 자가 방전율 이상의 전압 강하 거동을 보이는 저전압 불량 셀이 발견되기도 하는데, 이는 조립 과정에서 분리막의 가장자리가 접히거나 찢김으로서 양극과 음극이 직접 마주하게 됨으로써 이들이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것이 주 원인이다. 이에, 도 2와 같이, 셀 반제품의 폭 방향의 상측 분리막(101)과 하측 분리막(102)의 가장자리(S)를 접합하여 분리막 접힘 현상을 방지하는 방안이 종래 기술로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셀 반제품의 폭 방향만 실링해서는 상측 분리막(101)과 하측 분리막(102) 사이의 전극의 외부 노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 셀 반제품의 길이 방향으로도 상측 분리막(101)과 하측 분리막(102)의 가장자리를 추가로 접합하여 전극의 노출을 원천 차단하여 저전압 불량률을 더욱 개선하고자 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기존 셀 반제품 생산 라인에 적용이 용이하고 폭 방향과 길이 방향에 따른 상측 분리막과 하측 분리막의 가장자리 라인을 모두 접합하여 셀 반제품에서 전극의 외부 노출을 원천 차단시킬 수 있는 실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판을 사이에 둔 상측 분리막과 하측 분리막을 접합하는 분리막 실링 장치로서,
상기 상측 분리막과 상기 하측 분리막이 마주하는 곳들 중, 상기 전극판의 폭 방향에 따른 가장자리 외측으로 특정되는 제1 구역을 실링하게 마련되는 제1 실링 유닛; 및 상기 상측 분리막과 상기 하측 분리막이 마주하는 곳들 중, 상기 전극판의 길이 방향에 따른 가장자리 외측으로 특정되는 제2 구역을 실링하게 마련되는 제2 실링 유닛을 포함하는 분리막 실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극판, 상기 상측 분리막과 상기 하측 분리막을 연속해서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링 유닛과 상기 제2 실링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과 미리 설정된 속도로 동기화되어 상하 운동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을 가압하고 열로 융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 유닛은 상기 제1 실링 유닛에 조립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전극판의 폭에 따라 상기 제1 실링 유닛에 재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 유닛은, 상기 상측 분리막의 제1 구역에 압력과 열을 가하는 제1 상부 히팅블록; 및 상기 제1 상부 히팅블록과 상하로 대칭되게 마련되어 상기 하측 분리막의 제1 구역에 압력과 열을 가하는 제1 하부 히팅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히팅블록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은 소정 간격 상호 이격되어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1 하부 히팅 블록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하부 히팅 블록들은 상기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들과 상하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 유닛은, 각각 상기 제1 상부 히팅블록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간 상기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들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들에 결합하고 상기 상측 분리막의 제2 구역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다수의 제2 상부 히팅블록들; 및 각각 상기 제2 상부 히팅블록들과 상하로 일대일 대칭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하부 히팅블록들에 결합하고 상기 하측 분리막의 제2 구역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다수의 제2 하부 히팅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들은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홈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상부 히팅블록들은 각각 적어도 일단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홈들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의 홈속에서 볼트로 고정 및 고정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술한 분리막 실링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상측 분리막과 상기 하측 분리막을 실링하는 분리막 실링 방법으로서,
상기 전극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을 모두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 실링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 실링 방법은, 상기 하측 분리막/음극판/상기 상측 분리막/양극판 순으로 적층된 모노셀 반제품 및 상기 하측 분리막/음극/상측 분리막 순으로 적층된 하프셀 반제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링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셀 반제품에서 전극의 외부 노출을 원천 차단하여 저전압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존 반제품 생산 라인과 속도 동기화하여 셀 반제품을 연속해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모노 셀 반제품과 하프셀 반제품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셀 반제품들의 단면도들이다.
도 2는 종래 셀 반제품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실링 장치를 이용한 셀 반제품의 분리막 실링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의 최종 커팅 후 셀 반제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실링 유닛 및 제2 실링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상호 조립된 제1 상부 히팅블록과 제2 상부 히팅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상부 히팅블록과 제2 상부 히팅블록의 결합 부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실링 장치는 제1 실링 유닛(10)과, 제2 실링 유닛(20) 그리고 이송 유닛(30)을 포함하고,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셀 반제품을 최종 커팅하기 전에 (도 1 참조) 상측 분리막(101)과 하측 분리막(102)을 셀 단위로 접합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셀 반제품은 최종 커팅 전의 셀 반제품을 말한다. 최종 커팅 전의 셀 반제품은 연속된 필름 형태의 하측 분리막(102)/ 상기 하측 분리막(102) 위에 일정 폭을 갖고 상호 이격 배치되는 음극판(103)들 / 상기 음극판(103)들 위에 연속된 필름 형태의 상측 분리막(101)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상측 분리막(101) 위에 소정 폭을 갖고 상호 이격 배치되는 양극판(104)들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최종 커팅 전 셀 반제품들, 즉 모노셀 반제품들 또는 하프셀 반제품들은 이송 유닛(30)에 의해 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제1 실링 유닛(10)과 제2 실링 유닛(20)에 의해 예정된 분리막 부위(D1,D2)가 실링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 유닛(10)과 제2 실링 유닛(20)은 이송 유닛(30)과 미리 설정된 속도로 동기화되어 작동할 수 있다.
이를테면, 커팅 전 셀 반제품들 중 일부가 분리막 실링 공정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이송 유닛(30)이 일정시간 동안 작동을 멈춘다. 이때 제1 실링 유닛(10)과 제2 실링 유닛(20)이 실링이 필요한 분리막 부위(D1,D2)를 일정시간 동안 가압 및 열 융착하도록 작동(상하 운동)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 실링 유닛(10)과 제2 실링 유닛(20)의 셀 가압 동작이 해제되고 이송 유닛(30)이 다시 작동하여 커팅 전 셀 반제품들을 이동시킨다. 이후 커터기(미도시)를 사용하여 분리막을 최종 커팅함으로써 최종 모노셀 반제품 또는 하프셀 반제품이 완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실링 유닛(10) 및 제2 실링 유닛(2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링 유닛(10)과 제2 실링 유닛(20)은 열과 압력을 가하여 셀 반제품의 2장의 분리막, 즉 상측 분리막(101)과 하측 분리막(102)을 서로 접착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1 실링 유닛(10)은 제1 구역(D1)에 열과 압력을 가하고, 상기 제2 실링 유닛(20)은 제2 구역(D2)에 열과 압력을 가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실링 유닛(10)과 제2 실링 유닛(20)은 예컨대, 내부에 열선이 들어있는 히팅 블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구역(D1)이란 (도 5 참조) 상측 분리막(101)과 하측 분리막(102)이 마주하는 곳 중 전극판의 폭 방향에 따른 가장자리 외측, 즉 전극판의 양쪽 단변의 외측을 지칭하고 제2 구역(D2)이란 상측 분리막(101)과 하측 분리막(102)이 마주하는 곳 중 전극판의 길이 방향에 따른 가장자리 외측, 즉 양쪽 장변의 외측을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실링 유닛(1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부 히팅블록(11,12)과 제1 하부 히팅블록(13,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히팅블록(11,12)은 2개를 한 쌍으로 하고, 이들은 대략 셀 반제품의 길이만큼 (Y축 방향) 이격 배치되고 일 방향(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부 히팅블록(11,12)이 연장 길이는 대략 커팅 전 단위 셀 반제품 3개의 폭에 해당한다. 물론, 상기 연장 길이는 본 실시예보다 길거나 짧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하부 히팅블록(13,14)은 상기 제1 상부 히팅블록(11,12)에 상하로 대칭되게 마련된다. 즉, 제1 하부 히팅블록(13,14)도 2개를 한 쌍으로 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11,12)들과 대칭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같이,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11,12)들과 한 쌍의 제1 하부 히팅블록(13,14)들로 구성된 제1 실링 유닛(10)은 다수의 셀 반제품들의 2장의 분리막의 제1 구역(D1)들에 상하로 접촉하여 열과 압력을 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셀 반제품들의 상측 분리막(101)의 제1 구역(D1)들은 한꺼번에 상기 제1 상부 히팅블록(11,12)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고, 동시에 하측 분리막(102)의 제1 구역(D1)들도 한꺼번에 상기 제1 하부 히팅블록(13,14)에 의해 상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때 상측 분리막(101)의 제1 구역(D1)과 하측 분리막(102)의 제1 구역(D1)이 접촉하고 열에 의해 서로 융착될 수 있다.
한편, 제2 실링 유닛(20)은 상기 제1 실링 유닛(10)으로 실링할 수 없는 서로 마주하는 상측 분리막(101)과 하측 분리막(102)의 제2 구역(D2)을 실링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수의 제2 상부 히팅블록(21)들과 다수의 제2 하부 히팅블록(23)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상부 히팅블록(21)들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11,12)들에 교차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간 상기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11,12)들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11,12)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 히팅블록(23)들은, 상기 제2 상부 히팅블록(21)들과 상하로 대칭되게 마련된다. 다시 말하면, 제2 하부 히팅블록(23)들은 상기 제2 상부 히팅블록(21)들과 상하로 일대일 대칭적 형상이고,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 하부 히팅블록(13,14)들에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 같은 제2 상부 히팅블록(21)들과 제2 하부 히팅블록(23)들은 셀 반제품들의 제2 구역(D2)들에 대응하는 히팅블록들로서 상기 제1 실링 유닛(10)과 같이 셀 반제품들을 가압하되, 2장의 분리막의 제2 구역(D2)들에 열과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다수의 셀 반제품들의 상측 분리막(101)의 제2 구역(D2)들은 한꺼번에 상기 제2 상부 히팅블록(21)들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고, 동시에 하측 분리막(102)의 제2 구역(D2)들도 한꺼번 상기 제2 하부 히팅블록(23)들에 의해 상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때 상측 분리막(101)의 제2 구역(D2)과 하측 분리막(102)의 제2 구역(D2)이 접촉하고 열에 의해 서로 융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과 동작을 하는 분리막 실링 장치에 의하면, 최종 커팅 후, 상측 분리막(101)과 하측 분리막(102)의 제1 구역(D1)과 제2 구역(D2), 즉 전극판의 폭 방향과 길이 방향 외측에서 마주하는 상측 분리막(101)과 하측 분리막(102)이 완전히 접합 됨으로써 상기 전극판(음극판)의 외부 노출이 원천 차단된 셀 반제품들이 생산될 수 있다. 이 같은 셀 반제품(110)들을 사용하여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리튬 이차전지를 조립하게 되면 종래보다 리튬 이차전지의 저전압 불량률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이송 유닛(30)과 속도를 동기화를 하여 생산 진행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커팅 전 셀 반제품들을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셀 반제품들의 분리막을 실링 처리를 함으로써 최종 셀 반제품(110)들을 연속해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실링 유닛(10)과 제2 실링 유닛(20)은 상호 간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실링 유닛(10)과 상기 제2 실링 유닛(20)의 조립 및 분해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제1 상부 히팅블록(11,12)과 제2 상부 히팅블록(21)의 조립 및 분해 구성은, 제1 하부 히팅블록(13,14)과 제2 하부 히팅블록(23)의 조립 및 분해 구성과 동일하므로, 제1 하부 히팅블록(13,14)과 제2 하부 히팅블록(23)의 조립 및 분해 구성의 설명은 다음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11,12)들에는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홈(H)들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홈(H)들 중 하나를 선택해 해당 홈(H)에 제2 상부 히팅블록(21)의 단부를 끼워 맞추어 넣는 방식으로 제2 상부 히팅블록(21)들을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11,12)들에 결합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상부 히팅블록(21)들은 양단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21a)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21a)는 제1 상부 히팅블록(11,12)의 홈(H)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안착될 수 있으며, 볼트(B)로 상기 홈(H)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될 수 있다. 미도시 하였으나, 상기 연결부(21a)와 제1 상부 히팅블록(11,12)의 홈(H)에는 볼트(B)가 수직으로 체결 끼워질 수 있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 상부 히팅블록(21)들 간의 간격을 조정하거나 그 개수를 더 가감할 수 있어 하나의 분리막 실링 장치로 폭이 다른 다양한 셀 반제품들의 분리막을 실링 하는데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분리막 실링 장치에서 히팅블록들 중 일부가 손상되었을 경우, 해당 히팅블록만 교체하면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분리막 실링 장치의 관리, 보수의 측면에서도 효과적일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분리막 실링 장치를 사용하여 셀 반제품들의 분리막을 실링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커팅 전 셀 반제품들은 이송 유닛(30)에 의해 생산 진행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커팅 전 셀 반제품들은 하측 분리막(102)/음극판(103)/상측 분리막(101)/양극판(104) 순으로 적층된 모노셀 반제품 또는 하측 분리막(102)/음극/상측 분리막(101) 순으로 적층된 하프셀 반제품일 수 있다.
제1 실링 유닛(10)과 제2 실링 유닛(20)은 위와 같은 셀 반제품 생산 라인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송 유닛(30)의 동기화되어 작동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이송 유닛(30) 3개의 셀 반제품들이 실링 공정 영역에 도달하게 되면, 제1 실링 유닛(10)과 상기 제2 실링 유닛(20)이 일체로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여 미리 세팅된 시간동안 각 셀 반제품의 제1 구역(D1)과 제2 구역(D2)을 가압하고 열로 융착시킨다. 상기 미리 세팅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1 실링 유닛(10)과 제2 실링 유닛(20)이 원위치되고 이송 유닛(30)에 의해 다음 미실링 상태의 3개의 셀 반제품들이 실링 공정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실링 공정을 거친 셀 반제품들은 생산 라인을 따라 옮겨 가면서 커터기(미도시)로 하나씩 커팅(cutting)되어 최종 단위 셀 반제품 형태로 생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분리막 실링 장치 및 분리막 실링 방법의 실시를 통해 분리막 접힘 문제가 해결될 수 있고, 동일 생산 라인에서 폭이 다른 다양한 모노셀 또는 하프셀 반제품들이 대량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Claims (10)

  1. 전극판을 사이에 둔 상측 분리막과 하측 분리막을 접합하는 분리막 실링 장치로서,
    상기 상측 분리막과 상기 하측 분리막이 마주하는 곳들 중, 상기 전극판의 폭 방향에 따른 가장자리 외측으로 특정되는 제1 구역을 실링하게 마련되는 제1 실링 유닛; 및
    상기 상측 분리막과 상기 하측 분리막이 마주하는 곳들 중, 상기 전극판의 길이 방향에 따른 가장자리 외측으로 특정되는 제2 구역을 실링하게 마련되는 제2 실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실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 상기 상측 분리막과 상기 하측 분리막을 연속해서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링 유닛과 상기 제2 실링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과 미리 설정된 속도로 동기화되어 상하 운동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을 가압하고 열로 융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실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 유닛은 상기 제1 실링 유닛에 조립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전극판의 폭에 따라 상기 제1 실링 유닛에 재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실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 유닛은,
    상기 상측 분리막의 제1 구역에 압력과 열을 가하는 제1 상부 히팅블록; 및
    상기 제1 상부 히팅블록과 상하로 대칭되게 마련되어 상기 하측 분리막의 제1 구역에 압력과 열을 가하는 제1 하부 히팅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실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히팅블록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은 소정 간격 상호 이격되어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1 하부 히팅블록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하부 히팅블록들은 상기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들과 상하로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실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 유닛은,
    각각 상기 제1 상부 히팅블록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간 상기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들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들에 결합하고 상기 상측 분리막의 제2 구역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다수의 제2 상부 히팅블록들; 및
    각각 상기 제2 상부 히팅블록들과 상하로 일대일 대칭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하부 히팅블록들에 결합하고 상기 하측 분리막의 제2 구역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다수의 제2 하부 히팅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실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들은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홈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상부 히팅블록들은 각각 적어도 일단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홈들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억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실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상부 히팅블록의 홈속에서 볼트로 고정 및 고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실링 장치.
  9. 제1항에 따른 분리막 실링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상측 분리막과 상기 하측 분리막을 실링하는 분리막 실링방법으로서,
    상기 전극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을 모두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 실링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하측 분리막/음극판/상측 분리막/양극판 순으로 적층된 모노셀 반제품 또는 하측 분리막/음극/상측 분리막 순으로 적층된 하프셀 반제품을 실링 대상으로 하는 분리막 실링방법.
PCT/KR2020/095067 2019-07-22 2020-04-14 이차전지 분리막 접힘 방지를 위한 분리막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WO2021015601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52,839 US11862809B2 (en) 2019-07-22 2020-04-14 Separator sea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bending of separator of secondary battery
CN202080004357.0A CN112616322B (zh) 2019-07-22 2020-04-14 用于防止二次电池的隔板弯曲的隔板密封设备和方法
EP20844263.2A EP3836271B1 (en) 2019-07-22 2020-04-14 Separator sea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bending of separator of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483 2019-07-22
KR1020190088483A KR102468395B1 (ko) 2019-07-22 2019-07-22 이차전지 분리막 접힘 방지를 위한 분리막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5601A1 true WO2021015601A1 (ko) 2021-01-28

Family

ID=7419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95067 WO2021015601A1 (ko) 2019-07-22 2020-04-14 이차전지 분리막 접힘 방지를 위한 분리막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62809B2 (ko)
EP (1) EP3836271B1 (ko)
KR (1) KR102468395B1 (ko)
CN (1) CN112616322B (ko)
WO (1) WO2021015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814B1 (ko) * 2021-03-08 2023-02-08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이차전지의 전극체 제조 장치
KR20230071749A (ko) 2021-11-16 2023-05-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40000820A (ko)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해액이 주액된 전지셀을 이송시키는 셔틀 장치
KR20240012949A (ko) 2022-07-21 2024-01-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해액이 주액된 전지셀을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031Y1 (ko) * 1999-10-07 2000-03-15 양승한 물리 치료대
KR20120052041A (ko) * 2010-11-15 2012-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세퍼레이터 실링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WO2014080544A1 (ja) * 2012-11-21 2014-05-30 長野オートメーション株式会社 極板をセパレータで挟む装置
KR101823176B1 (ko) * 2013-12-02 2018-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포장용 실링 툴
KR20190045602A (ko) *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90088483A (ko) 2016-12-02 2019-07-26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신규 엔도-β-N-아세틸글루코사미니다아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7230A (ja) * 2004-11-17 2006-06-08 Sony Corp 電池および電池製造方法
KR100824897B1 (ko) * 2005-12-29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전지 및 그 형성 방법
JP4943025B2 (ja) 2006-03-10 2012-05-30 リッセル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893461B2 (ja) 2011-04-07 2016-03-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方法
JP6022784B2 (ja) * 2011-04-07 2016-1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セパレータ溶着装置、およびセパレータの溶着方法
JP2013166287A (ja) * 2012-02-15 2013-08-29 Tokyo Electron Ltd 熱融着装置及び熱融着方法
KR20150112377A (ko) * 2014-03-28 2015-10-07 주식회사 폴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밀봉시험용 접합장치
KR102407509B1 (ko) * 2015-05-11 2022-06-13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파우치 실링 장치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2082654B1 (ko) 2016-02-11 2020-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물 코팅부, 점착부 및 비점착부가 형성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단위셀
KR20170124298A (ko) 2016-05-02 2017-1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KR102207132B1 (ko) 2017-01-09 2021-0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링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셀용 전극조립체
JP2018120803A (ja) 2017-01-27 2018-08-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フィルム外装電池
JP6862639B2 (ja) * 2017-06-23 2021-04-21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ヒートブロック
KR102051336B1 (ko) * 2018-01-10 2019-12-04 한국기계연구원 히트블럭과 금형의 평면간 밀착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031Y1 (ko) * 1999-10-07 2000-03-15 양승한 물리 치료대
KR20120052041A (ko) * 2010-11-15 2012-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세퍼레이터 실링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WO2014080544A1 (ja) * 2012-11-21 2014-05-30 長野オートメーション株式会社 極板をセパレータで挟む装置
KR101823176B1 (ko) * 2013-12-02 2018-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포장용 실링 툴
KR20190088483A (ko) 2016-12-02 2019-07-26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신규 엔도-β-N-아세틸글루코사미니다아제
KR20190045602A (ko) *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836271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36271B1 (en) 2023-06-28
US11862809B2 (en) 2024-01-02
EP3836271A4 (en) 2021-11-03
US20210167461A1 (en) 2021-06-03
KR102468395B1 (ko) 2022-11-16
CN112616322B (zh) 2023-11-21
KR20210011261A (ko) 2021-02-01
EP3836271A1 (en) 2021-06-16
CN112616322A (zh)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15601A1 (ko) 이차전지 분리막 접힘 방지를 위한 분리막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WO2014123363A1 (ko) 스텝 유닛셀을 포함하는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WO2014042424A1 (ko) 2차 전지 내부 셀 스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셀 스택
WO2020204407A1 (ko)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WO2016056764A1 (ko) 양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5046894A1 (ko)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WO2020075966A1 (ko)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WO2018066820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135470A1 (ko)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WO2016089144A2 (ko)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WO2014133303A1 (ko) 안정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바이셀 및 그 제조방법
WO2015034172A1 (ko) 둘 이상의 부재들로 이루어진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각형 전지셀
WO2013137575A1 (ko) 신규한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9132137A1 (ko) 이차전지의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WO2018221828A1 (ko) 배터리 팩
WO2015030333A1 (ko) 폴리머 2차전지 셀용 전극조립체
WO2010062037A2 (ko) 이차전지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WO2020111533A1 (ko) 전기 저항 용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지 제조 방법
CN113871570B (zh) 一种极片、卷芯及电池
WO2022139520A2 (ko) 단위셀, 단위셀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WO2019151626A1 (ko) 전극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066360A1 (ko) 원통형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139519A1 (ko) 단위셀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WO2022139518A1 (ko) 단위셀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WO2023018209A1 (ko) 3면 실링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돌출부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442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442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309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