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15384A1 - 급유용 노즐 - Google Patents

급유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15384A1
WO2021015384A1 PCT/KR2020/002624 KR2020002624W WO2021015384A1 WO 2021015384 A1 WO2021015384 A1 WO 2021015384A1 KR 2020002624 W KR2020002624 W KR 2020002624W WO 2021015384 A1 WO2021015384 A1 WO 20210153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sh
fluid
mesh block
open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26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영성
서성기
Original Assignee
서일캐스팅 주식회사
에스아이플로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캐스팅 주식회사, 에스아이플로텍(주) filed Critical 서일캐스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10153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153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for oil supply that generates high pressure and fine bubbles when fluid is discharged while moving through a flow path.
  • the heat generated during processing is cooled by supplying a processing liquid to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workpiece and the blade. Or, remove the cut debris from the workpiece from the processing point.
  • the processing liquid reduces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tool and the workpiece, removes cutting heat, and also performs a cleaning action of removing cut debris from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 the processing liquid must have a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a high boiling point, and be able to penetrate the blade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workpiece well.
  •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254281 (1999.09.21) discloses a technique of installing a gas ejection means for ejecting gas in a processing apparatus in order to force the processing liquid into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blade and the workpie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zzle for refueling that can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and increa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uid discharged to a use place while generating bubbles.
  • a tubular body having a flow path formed therein to move a fluid therein,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an inlet socket having an inlet connected to the flow path inside,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A discharge socket having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a flow path, a first mesh block portion inserted into the body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and the main body facing the first mesh block portion And a second mesh block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through which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passes, and the first mesh block portion and the second mesh block portion move the flow path in the body. It is disposed sequentially in a direction, and the first opening portion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provide a lubrication nozzle that is formed to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based on a direction parallel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in the body.
  • first mesh block portions and the second mesh block portions are installed inside the body, and the plurality of first mesh block portions and the second mesh block portion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luid in the body. I can.
  • first mesh block portion and the second mesh block portion a mesh configuration portion having a rhombic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a pair of horn-shaped members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in the body are combined, and a plurality of mesh configuration portions
  • a plurality of installation guide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extend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ther en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sh frame
  • a plurality of installation guide protrusions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sh frame to be inserted correspondingly.
  • an inlet taper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fluid moving direction may be formed at the inlet port of the inlet socket, and a discharge taper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fluid moving direction may be formed at the outlet port of the discharge socket.
  • the mesh structure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t 90 degree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from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mesh components.
  • the mesh configuration unit has a horn-shaped side extension end that increases in an outer diameter toward a fluid moving direction in the body, and is formed to extend rearward from the side extension end, and an outer diameter becomes smaller as the fluid moves in the body. It may include a posterior extension end of.
  • the nozzle for oil supply when the fluid flows into the body, collides with a mesh component having a rhombic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mesh block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then again has a rhombic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cond mesh block.
  •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second opening while colliding with the mesh constituent having the is moved alternately, thereby generating micro-bubbles and allowing the body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pressure of the fluid is increased.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refueling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1.
  •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mesh block portion shown in FIG. 1.
  • FIG.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mesh block portion shown in FIG. 3.
  • FIG. 5 is a front view of a first mesh block portion shown in FIG. 3.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shown in FIG. 5.
  • FIG. 7 is a front view of a second mesh block portion shown in FIG. 1.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shown in FIG. 7.
  • the nozzle for oil supply includes a main body 100, an inlet socket 200, an outlet socket 300, a first mesh block part 400, and a second mesh block part 500. Are doing.
  • the main body 100 is a portion having a tube shape in which a flow path is formed to move a fluid therein.
  • the fluid flowing into the body 100 through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oves through the flow path, and then is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is in a certain position.
  • An installation guide groove 110 is formed to enable the insertion to be guided. That is, the installation guide groove 110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mesh block part 400 and the second mesh block part 500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 a plurality of the inside is arranged alternately in sequence, it is guided in a locked stat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while maintaining a certain position.
  • the installation guide groove 11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first mesh block part 400 and the second mesh block part 500 are moved to a stable locking state. You can guide.
  • threads may be form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respectively screw the inlet socket 200 and the outlet socket 3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inlet socket 200 is a connection member that is connected to a supply line (not shown) that supplies fluid to the main body 100 and allows fluid to flow into the main body 100.
  • the inlet socket 200 has a tube shape in which an inlet port 201 connected to the flow path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side.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socket 200 may be formed with a screw thread so as to be screwed into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sealing member (not shown) that prevents fluid from lea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socket 200 and one end inner peripheral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socket 200. May be.
  • an inlet taper portion 210 is formed at an outlet side of the inlet port 201 of the inlet socket 200 to in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fluid moving direction.
  • the inlet tapered part 210 is introduced into the flow path of the main body 100 in a wide diffusion state, and the first mesh block part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fluid passage through the entire first opening 412 and the second opening 511 formed in the second mesh block portion 500 is stably performed.
  •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of the inlet socket 200 on which the inlet taper portion 210 i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spiral groove formed in the inlet taper part 210 is a whole part of the first mesh block part 400 disposed on the ship side while being moved in a vortex state when fluid is supplied from the inlet 201 to the flow path of the main body 100 It increases the generation rate of microbubbles through stable collision with
  • the discharge socket 300 is a connection member that is connected to a discharge line (not shown) that receives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100 and allows the fluid to be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100 to the outside.
  • the discharge socket 300 has a tube shape in which an outlet 301 connected to the flow path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side.
  •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socket 300 so as to be screw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 a sealing member (not shown) that prevents fluid from lea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socket 30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of the discharge socket 300. May be.
  • a discharge taper portion 310 having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inlet side of the discharge port 301 of the discharge socket 300 is form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 the discharge taper 310 enables the fluid to be discharged in a compressed state and in a high-pressure spraying state.
  •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on an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discharge socket 300 on which the discharge taper portion 310 i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spiral groove formed in the discharge taper part 310 allows the fluid moving along the discharge port 301 of the discharge socket 300 to be moved in a vortex state, and when the flui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socket 300, the injection discharge force is increased. To be able to increase.
  • the first mesh block part 400 and the second mesh block part 500 are parts for forming innumerable micro-bubbles in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ner flow path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inlet socket 200.
  • the first mesh block part 400 and the second mesh block part 500 are inserted and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inside the main body 100.
  • the first mesh block part 400 and the second mesh block part 500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in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collision of the fluid moving through the flow path of the main body 100 It causes the generation of microbubbles.
  • a plurality of the first mesh block part 400 and the second mesh block part 500 may be inserted and installed in each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increase the generation rate of microbubbles through fluid collision.
  • the plurality of first mesh block parts 400 and the second mesh block parts 500 are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y are sequentially arranged alternately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in the main body 100.
  • the first mesh block unit 400 and the second mesh block unit 500 include mesh structures 410 and 510 and mesh frames 420 and 520.
  • the mesh structures 410 and 510 are portions for generating micro-bubbles while the fluid flowing into the body 100 collides.
  • the mesh structure (410, 510) is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sh configuration (411, 511), the mesh configuration (410, 510) is a pair of horn-shaped members that are mutually symmetric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in the body (100) is combined It has a rhombus cross-sectional shape. That is, the mesh construction parts 411 and 511 have a horn-shaped ship-side connection end 411a, 511a whose outer diameter increases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luid in the body 100, and the outer diameter size increases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luid in the body 100.
  • the front connection ends 411a and 511a and the rear connection ends 411b and 511b are shown to have a polygonal pyramid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cone shape.
  • the mesh structure (410, 510) is a first opening (412) or a second opening through a space generated between the mesh components (411, 511) by interconnecting and coupling a plurality of mesh components (411, 511). Allows the opening 512 to be formed. That is, when the mesh structures 410 and 510 are formed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mesh components 411 and 511 with each other, the mesh components 411 and 511 are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outer surfac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mesh construction units 411 and 511 are combin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9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from the center.
  • the mesh structures 410 and 510 move the fluid flowing into the body 100, when pas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412 or the second opening 512, the side connection ends 411a and 511a Is moved to the first opening 412 or the second opening 512 in a compressed state, and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412 or the second opening 512 at the rear connection ends 411b and 511b Let it move into a diffuse state.
  • the position of the first opening 412 formed in the mesh structure 410 of the first mesh block part 400 and a second opening formed in the mesh structure 510 of the second mesh block part 500 The positions of 512 are formed to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That is, when the first mesh block part 400 and the second mesh block part 500 are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body 100, the first opening part 412 and the second opening part 512 are It is formed to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based o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ner fluid. In this way, the first opening 412 and the second opening 512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so that the fluid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mesh block 400 and the second mesh block 500 in the main body 100. During movement, the fluid collides with the ship-side connection end 411a of the first mesh block part 400 and the ship-side connection end 511a of the second mesh block part 500, thereby increasing the generation of microbubbles.
  • a plurality of fluid guide groov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sh construction unit 411 of the first mesh block unit 400 and the mesh construction unit 511 of the second mesh block unit 500 Not shown) may be formed in a spiral.
  • the fluid guide groove increases the injection and discharge output of the fluid while allowing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412 or the second opening 512 to move in a vortex state, thereby increasing the line-side connection end 411a of the mesh components 411 and 511.
  • the generation of microbubbles is increased.
  • the mesh frames 420 and 520 are frames for supporting the mesh construction part 411 in the inner side of the body 100 in an inserted state. That is, the mesh frames 420 and 520 cover the outer regions of the mesh structures 410 and 510 and support the mesh structures 410 and 510 in a coupled state.
  • the mesh frames 420 and 520 are formed in a tube shape that is open at both ends so as to couple the mesh structures 410 and 510 inside. Further, the mesh frames 420 and 520 are form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sh frames 420 and 520 so that the mesh frames 420 and 520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0.
  • installation guide protrusions 421 and 521 are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mesh frames 420 and 520 so as to be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installation guide grooves 110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a plurality of installation guide protrusions 421 and 521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mesh frames 420 and 520 so that the mesh frames 420 and 520 are inserted into the body 100 to maintain a stable fixed state during installation I can.
  • the first mesh block part 400 and the second mesh block part 500 cause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in the main body 100 to collide with the ship side connection ends 411a of the mesh construction parts 411 and 511 In addition, it moves to a compressed state until it passes through the first opening 412 and the second opening 512 based on the center of the mesh configuration parts 411 and 511, and the first opening 412 and the second opening 512 After passing through, it expands and increases the generation rate of microbubbles.
  • the oil supply nozzle collides with the mesh configuration portion 411 having a rhombic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mesh block portion 400, while the first opening portion 412 After passing through ), the second mesh block part 500 collides with the mesh construction part 511 having a rhombic cross-sectional shape and moves in sequence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opening part 512.
  • the body 1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pressure of the fluid is increa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본체, 본체의 일단에 결합 설치하며, 내측에는 유로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유입 소켓, 본체의 타단에 결합 설치하며, 내측에는 유로와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 소켓, 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며,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1개구부가 형성된 제1메쉬블럭부, 제1메쉬블럭부에 마주보는 상태로 접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며, 제1개구부를 통과한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2개구부가 형성된 제2메쉬블럭부를 구비하며, 제1메쉬블럭부와 제2메쉬블럭부는, 본체 내 유로의 이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는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되는 급유용 노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급유용 노즐
본 발명은, 유체가 유로를 통해 이동하면서 토출될 때 고압력 및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급유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삭 기계나 드릴링 머신과 같은 공작 기계에 의하여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피가공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할 때에, 피가공물과 칼날의 접촉 부분과 그 주위에 가공액을 공급함으로써 가공 중 발생하는 열을 식히거나, 피가공물의 잘린 부스러기를 가공 지점으로부터 제거한다.
이때, 피가공물과 칼날의 접촉부에서 높은 압력과 마찰 저항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절삭열은 칼날 끝을 마모시키거나 강도를 떨어뜨려, 칼날 등 공구의 수명을 감소시킨다. 또한, 피가공물의 잘린 부스러기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으면 가공 중에 칼날 끝에 달라붙어 가공 정밀도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여기서, 가공액은 공구와 피가공물 사이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고 절삭열을 제거하며, 피가공물의 표면으로부터 잘린 부스러기를 제거하는 세척 작용도 행한다. 이를 위해 가공액은 마찰 계수가 작고, 끓는점이 높으며, 칼날과 피가공물의 접촉부에 잘 침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가공액을 칼날과 피가공물과의 접촉부에 강제적으로 침입시키기 위해 가스를 분출하는 가스 분출 수단을 가공 장치에 설치하는 기술이 일본특허공개 평11-254281호(1999.09.21)에 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선출원된 기술은 공작 기계에 가공액을 분사하는 수단에 더하여 가스를 고속 및 고압으로 분출하는 수단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고 장치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연삭 장치에서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삭 숫돌의 외주면을 따라서 함께 회전하는 공기로 인해 숫돌과 피가공물의 접촉부에 가공액이 충분히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연삭 숫돌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것만으로는 가공액을 충분히 침투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가공열을 충분히 냉각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유로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기포가 발생되게 하면서 사용처로 토출되는 유체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유용 노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 설치하며, 내측에는 유로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유입 소켓, 상기 본체의 타단에 결합 설치하며, 내측에는 유로와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 소켓,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며,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1개구부가 형성된 제1메쉬블럭부, 상기 제1메쉬블럭부에 마주보는 상태로 접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며, 제1개구부를 통과한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2개구부가 형성된 제2메쉬블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메쉬블럭부와 제2메쉬블럭부는, 본체 내 유로의 이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는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되는 급유용 노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메쉬블럭부와 제2메쉬블럭부는, 본체의 내부에 복수 설치하며, 복수의 상기 제1메쉬블럭부와 제2메쉬블럭부는,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번갈아가면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메쉬블럭부 및 제2메쉬블럭부는, 상기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의 뿔 형상부재가 결합된 마름모 단면형상을 가지는 메쉬구성부 및, 복수의 메쉬구성부가 상호 중심부 외측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하면서 복수의 메쉬구성부 사이에 제1개구부 또는 제2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쉬구조체와, 상기 메쉬구조체의 외곽 영역을 감싼 상태로 연결 지지하며, 본체의 내측에 대응되게 삽입 설치하는 관 형태의 메쉬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게 복수의 설치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쉬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설치가이드홈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메쉬 프레임의 외주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설치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 소켓의 유입구에는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유입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 소켓의 배출구에는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배출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구조체는 복수의 메쉬구성부를 중심부에서 외측면 원주방향으로 상호 90도 간격으로 연결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구성부는, 상기 본체 내 유체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뿔 형태의 선측연장단, 상기 선측연장단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뿔 형태의 후측연장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유용 노즐은, 유체가 본체 내부로 유입시, 제1메쉬블럭부의 마름모 단면형상을 가지는 메쉬구성부에 충돌하면서 제1개구부로 통과한 후, 다시 제2메쉬블럭부의 마름모 단면형상을 가지는 메쉬구성부에 충돌하면서 제2개구부로 통과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면서 이동하게 되는 바, 미세기포를 발생시킴과 더불어 유체의 압력이 증대된 상태로 본체의 외부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유용 노즐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1메쉬블럭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1메쉬블럭부의 부분 절개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제1메쉬블럭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제2메쉬블럭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VIII-V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유용 노즐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급유용 노즐은, 본체(100), 유입 소켓(200), 배출 소켓(300), 제1메쉬블럭부(400), 제2메쉬블럭부(5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유체를 이동시키도록 유로가 형성된 관 형태를 가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본체(100)의 길이방향 일단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유로를 통해 이동한 후, 본체(100)의 길이방향 타단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에는 이후 설명될 제1메쉬블럭부(400)와 제2메쉬블럭부(500)를 삽입 설치시, 본체(100)의 내부에 일정한 위치상태로 삽입을 가능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가이드홈(110)이 형성된다. 즉, 설치가이드홈(110)은 본체(100)의 내주면 길이방향 일단에서 길이방향 타단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메쉬블럭부(400)와 제2메쉬블럭부(500)를 본체(100) 내부에 복수를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면서 배치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걸림상태로 가이드되게 한다. 여기서, 설치가이드홈(110)은 본체(100)의 내주면 원둘레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메쉬블럭부(400)와 제2메쉬블럭부(500)를 안정적인 걸림상태로 이동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 길이방향 일단 및 길이방향 타단에는 이후 설명될 유입 소켓(200) 및 배출 소켓(300)을 각각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 소켓(200)은 본체(100)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라인(도면미도시)과 연결되어, 본체(100)로 유체를 유입되게 하는 연결부재이다. 이러한, 유입 소켓(200)은 내측에 본체(100)의 유로와 연결되는 유입구(201)가 형성된 관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유입 소켓(200)의 외주면에는 본체(100)의 길이방향 일단 내측에 삽입 상태로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 소켓(200)의 외측에는 유입 소켓(200)의 외주면과 본체(100)의 길이방향 일단 내주면 사이의 틈을 통해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도면미도시)를 삽입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 소켓(200)의 유입구(201) 출구측은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유입테이퍼부(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테이퍼부(210)는 유입구(201)에서 본체(100)의 유로로 유체 이동시, 유체가 본체(100)의 유로에 넓게 확산상태로 유입되면서 이후 설명될 제1메쉬블럭부(400)와 제2메쉬블럭부(500)에 형성된 전체의 제1개구부(412) 및 제2개구부(511) 부분을 통한 유체 통과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유입 소켓(200)의 유입테이퍼부(210)가 형성된 내주면 부분에는 원둘레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홈(도면미도시)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테이퍼부(210)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은 유입구(201)에서 본체(100)의 유로로 유체의 공급시 소용돌이 상태로 이동되게 하면서 선측에 배치된 제1메쉬블럭부(400) 전체 부분과의 안정적인 충돌을 통한 미세기포 발생율을 증대되게 한다.
상기 배출 소켓(300)은 본체(100)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전달받는 배출라인(도면미도시)과 연결되어, 본체(100)로부터 유체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연결부재이다. 이러한, 배출 소켓(300)은 내측에 본체(100)의 유로와 연결되는 배출구(301)가 형성된 관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배출 소켓(300)의 외주면에는 본체(100)의 길이방향 타단 내측에 삽입 상태로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 소켓(300)의 외측에는 배출 소켓(300)의 외주면과 본체(100)의 길이방향 타단 내주면 사이의 틈을 통해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도면미도시)를 삽입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 소켓(300)의 배출구(301) 입구측은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배출테이퍼부(310)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테이퍼부(310)는 본체(100)에서 외부로 유체 이동 배출시, 유체가 압축상태로 고압 분사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배출 소켓(300)의 배출테이퍼부(310)가 형성된 내주면 부분에는 원둘레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홈(도면미도시)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테이퍼부(310)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은 배출 소켓(300)의 배출구(301)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소용돌이 상태로 이동되게 하면서 배출 소켓(300) 외부로 유체의 배출시 분사 배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메쉬블럭부(400) 및 제2메쉬블럭부(500)는 유입 소켓(200)을 통해 본체(100)의 내측 유로로 유입되는 유체에 무수한 미세기포를 형성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1메쉬블럭부(400) 및 제2메쉬블럭부(500)는 본체(100) 내측에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접하도록 삽입 설치한다. 이때, 제1메쉬블럭부(400) 및 제2메쉬블럭부(500)는 본체(100)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본체(100)의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충돌을 통한 미세기포 발생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제1메쉬블럭부(400) 및 제2메쉬블럭부(500)는 유체의 충돌을 통한 미세기포 발생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각각 복수개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 복수의 상기 제1메쉬블럭부(400)와 제2메쉬블럭부(500)는 본체(100)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번갈아가면서 순차적으로 배치되게 본체(100)의 내측에 삽입 설치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메쉬블럭부(400) 및 제2메쉬블럭부(500)는, 메쉬구조체(410,510), 메쉬프레임(420,520)을 포함한다.
상기 메쉬구조체(410,510)는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충돌하면서 미세기포를 발생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메쉬구조체(410,510)는 각각 복수의 메쉬구성부(411,511)에 의해 구성되는데, 메쉬구성부(410,510)는 본체(100)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의 뿔 형상부재가 결합된 마름모 단면형상을 가진다. 즉, 메쉬구성부(411,511)는 본체(100)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외경크기가 커지는 뿔 형상의 선측연결단(411a,511a)과, 본체(100)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외경크기가 작아지는 뿔 형상의 후측연결단(411b,511b)을 포함한다. 이때, 선측연결단(411a,511a)과 후측연결단(411b,511b)은 다각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메쉬구조체(410,510)는 복수의 메쉬구성부(411,511)를 상호 연결 결합시켜 메쉬구성부(411,511)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을 통해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제1개구부(412) 또는 제2개구부(512)가 형성되게 한다. 즉, 메쉬구조체(410,510)는 복수의 메쉬구성부(411,511)를 상호 결합시켜 형성할 때, 메쉬구성부(411,511)가 상호 중심부 외측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한다. 이때, 복수의 메쉬구성부(411,511)는 중심부에서 외측면 원주방향으로 상호 90도 간격 이격된 상태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상기 메쉬구조체(410,510)는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이동시, 제1개구부(412) 또는 제2개구부(512)를 통과할 때, 선측연결단(411a,511a) 부분에서는 유체를 압축상태로 제1개구부(412) 또는 제2개구부(512)로 이동되게 하고, 후측연결단(411b,511b) 부분에서는 제1개구부(412) 또는 제2개구부(512)를 통과하는 유체가 확산 상태로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메쉬블럭부(400)의 메쉬구조체(410)에 형성된 제1개구부(412)의 위치와, 제2메쉬블럭부(500)의 메쉬구조체(510)에 형성형된 제2개구부(512)의 위치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메쉬블럭부(400)와 제2메쉬블럭부(500)가 상기 본체(100) 내부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제1개구부(412)와 제2개구부(512)는 본체(100) 내 유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된다. 이같이, 제1개구부(412)와 제2개구부(512)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본체(100) 내에서 제1메쉬블럭부(400)와 제2메쉬블럭부(500)를 통해 유체의 이동시, 유체가 제1메쉬블럭부(400)의 선측연결단(411a) 및 제2메쉬블럭부(500)의 선측연결단(511a)에 각각 충돌되게 하면서 미세기포의 발생이 증대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메쉬블럭부(400)의 메쉬구성부(411) 외주면 및 제2메쉬블럭부(500)의 메쉬구성부(511)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유체가이드홈(도면미도시)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체가이드홈은 제1개구부(412) 또는 제2개구부(512)를 통과하는 유체가 소용돌이 상태로 이동되게 하면서 유체의 분사배출력을 증대시켜 메쉬구성부(411,511)의 선측연결단(411a,511a)과의 유체 충돌시 미세기포 발생을 증대되게 한다.
상기 메쉬프레임(420,520)은 메쉬구성부(411)를 본체(100)의 내측에 삽입 상태로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즉, 메쉬프레임(420,520)은 메쉬구조체(410,510)의 외곽 영역을 감싼 상태로 메쉬구조체(410,510)를 결합상태로 지지한다. 이러한, 메쉬프레임(420,520)은 내측에 메쉬구조체(410,51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양단으로 개방된 관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메쉬프레임(420,520)은 본체(100) 내측에 대응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메쉬프레임(420,520)의 외주면이 본체(10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쉬프레임(420,520)의 외주면에는 본체(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설치가이드홈(110)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설치가이드돌기(421,52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설치가이드돌기(421,521)는 메쉬프레임(420,520)의 외주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메쉬프레임(420,520)을 본체(100) 내측에 삽입 설치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메쉬블럭부(400)와 제2메쉬블럭부(500)는 본체(100) 내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가 메쉬구성부(411,511)의 선측연결단(411a)에 의해 충돌되게 함과 더불어 메쉬구성부(411,51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1개구부(412) 및 제2개구부(512)를 통과하기 전까지는 압축상태로 이동하고, 제1개구부(412) 및 제2개구부(512)를 통과한 후에는 팽창되게 하면서 미세기포의 발생률을 높이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급유용 노즐은, 유체가 본체(100) 내부로 유입시, 제1메쉬블럭부(400)의 마름모 단면형상을 가지는 메쉬구성부(411)에 충돌하면서 제1개구부(412)로 통과한 후, 다시 제2메쉬블럭부(500)의 마름모 단면형상을 가지는 메쉬구성부(511)에 충돌하면서 제2개구부(512)로 통과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면서 이동하게 되는 바, 미세기포를 발생시킴과 더불어 유체의 압력이 증대된 상태로 본체(100)의 외부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 설치하며, 내측에는 유로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유입 소켓과;
    상기 본체의 타단에 결합 설치하며, 내측에는 유로와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 소켓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며,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1개구부가 형성된 제1메쉬블럭부; 및
    상기 제1메쉬블럭부에 마주보는 상태로 접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며, 제1개구부를 통과한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2개구부가 형성된 제2메쉬블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메쉬블럭부와 제2메쉬블럭부는, 본체 내 유로의 이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는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되는 급유용 노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메쉬블럭부와 제2메쉬블럭부는, 본체의 내부에 복수 설치하며,
    복수의 상기 제1메쉬블럭부와 제2메쉬블럭부는,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번갈아가면서 배치하는 급유용 노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메쉬블럭부 및 제2메쉬블럭부는,
    상기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의 뿔 형상부재가 결합된 마름모 단면형상을 가지는 메쉬구성부 및, 복수의 메쉬구성부가 상호 중심부 외측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하면서 복수의 메쉬구성부 사이에 제1개구부 또는 제2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쉬구조체와,
    상기 메쉬구조체의 외곽 영역을 감싼 상태로 연결 지지하며, 본체의 내측에 대응되게 삽입 설치하는 관 형태의 메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급유용 노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게 복수의 설치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쉬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설치가이드홈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메쉬 프레임의 외주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설치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된 급유용 노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 소켓의 유입구에는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유입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 소켓의 배출구에는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배출테이퍼부가 형성된 급유용 노즐.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쉬구조체는 복수의 메쉬구성부를 중심부에서 외측면 원주방향으로 상호 90도 간격으로 연결 결합한 급유용 노즐.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쉬구성부는,
    상기 본체 내 유체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뿔 형태의 선측연장단과,
    상기 선측연장단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뿔 형태의 후측연장단을 포함하는 급유용 노즐.
PCT/KR2020/002624 2019-07-23 2020-02-24 급유용 노즐 WO202101538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036 2019-07-23
KR1020190089036A KR102062704B1 (ko) 2019-07-23 2019-07-23 급유용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5384A1 true WO2021015384A1 (ko) 2021-01-28

Family

ID=6915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2624 WO2021015384A1 (ko) 2019-07-23 2020-02-24 급유용 노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2704B1 (ko)
WO (1) WO2021015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704B1 (ko) * 2019-07-23 2020-01-06 서일캐스팅 주식회사 급유용 노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3962A (ja) * 2002-07-05 2004-02-05 Bic Kogyo Kk 流体吐出管構造体
KR101319267B1 (ko) * 2013-07-31 2013-10-17 조성제 절삭유용 미세기포 발생 장치
KR101350135B1 (ko) * 2013-01-08 2014-01-08 여승훈 유체 소용돌이 발생장치
KR20180011696A (ko) * 2016-07-25 2018-02-02 시오 컴퍼니 리미티드 유체 공급관
KR102062704B1 (ko) * 2019-07-23 2020-01-06 서일캐스팅 주식회사 급유용 노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3962A (ja) * 2002-07-05 2004-02-05 Bic Kogyo Kk 流体吐出管構造体
KR101350135B1 (ko) * 2013-01-08 2014-01-08 여승훈 유체 소용돌이 발생장치
KR101319267B1 (ko) * 2013-07-31 2013-10-17 조성제 절삭유용 미세기포 발생 장치
KR20180011696A (ko) * 2016-07-25 2018-02-02 시오 컴퍼니 리미티드 유체 공급관
KR102062704B1 (ko) * 2019-07-23 2020-01-06 서일캐스팅 주식회사 급유용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704B1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12802B (zh) 具有改进的内部冷却剂递送的刀架
KR100199782B1 (ko) 물분사 노즐 조립체를 가진 플라즈마 아크토치
WO2021015384A1 (ko) 급유용 노즐
CA2273382C (en) Nozzle for use in a torch head of a plasma torch apparatus
JP2015093219A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およびマイクロバブルスプレー装置
US5553784A (en) Distributed array multipoint nozzle
CN218890707U (zh) 一种雾化芯、喷嘴装置及衣物处理设备
EP0796550B1 (en) Plasma jet converging system
JP7281307B2 (ja) 微細気泡発生ノズル
WO2018151570A1 (ko) 플로우 이중노즐
KR20040111189A (ko) 이중 트위스트 분사노즐
WO2020222504A1 (ko) 급유용 노즐 삽입체
JP7265934B2 (ja) 微細気泡発生ノズル
CN112427782B (zh) 熔化极气体保护焊枪
JP5223581B2 (ja) 空気流による乾燥方法
JP4126273B2 (ja) 最少量の潤滑剤で潤滑個所をミスト潤滑する方法と装置
JP4504641B2 (ja) スプレーノズル及びそれを用いた噴霧方法
JP7329397B2 (ja) 微細気泡発生ノズル本体
DE112015003776T5 (de) Isolierende Führung für einen Plasmabrenner und Ersatzteileinheit
JP7285176B2 (ja) 微細気泡発生ノズル
US6374454B1 (en) Device for cleaning air conduits
US3558064A (en) Injection propulsion device
GB2559732A (en) Wet blasting machines
JP7232713B2 (ja) 微細気泡発生ノズル
CN217394472U (zh) 一种油水气混合式内冷刀具加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435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435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