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704B1 - 급유용 노즐 - Google Patents

급유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704B1
KR102062704B1 KR1020190089036A KR20190089036A KR102062704B1 KR 102062704 B1 KR102062704 B1 KR 102062704B1 KR 1020190089036 A KR1020190089036 A KR 1020190089036A KR 20190089036 A KR20190089036 A KR 20190089036A KR 102062704 B1 KR102062704 B1 KR 102062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main body
fluid
mesh block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성
서성기
Original Assignee
서일캐스팅 주식회사
에스제이플로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캐스팅 주식회사, 에스제이플로텍(주) filed Critical 서일캐스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9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704B1/ko
Priority to PCT/KR2020/002624 priority patent/WO20210153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본체, 본체의 일단에 결합 설치하며, 내측에는 유로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유입 소켓, 본체의 타단에 결합 설치하며, 내측에는 유로와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 소켓, 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며,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1개구부가 형성된 제1메쉬블럭부, 제1메쉬블럭부에 마주보는 상태로 접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며, 제1개구부를 통과한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2개구부가 형성된 제2메쉬블럭부를 구비하며, 제1메쉬블럭부와 제2메쉬블럭부는, 본체 내 유로의 이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는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되는 급유용 노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급유용 노즐{Nozzle for oil supply}
본 발명은 유체가 유로를 통해 이동 토출시 고압력 및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급유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삭 기계나 드릴링 머신과 같은 공작 기계에 의하여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피가공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할 때에, 피가공물과 칼날의 접촉 부분과 그 주위에 가공액을 공급함으로써 가공 중 발생하는 열을 식히거나, 피가공물의 잘린 부스러기를 가공 지점으로부터 제거한다.
이때, 피가공물과 칼날의 접촉부에서 높은 압력과 마찰 저항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절삭열은 칼날 끝을 마모시키거나 강도를 떨어뜨려, 칼날 등 공구의 수명을 감소시킨다. 또한, 피가공물의 잘린 부스러기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으면 가공 중에 칼날 끝에 달라붙어 가공 정밀도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여기서, 가공액은 공구와 피가공물 사이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고 절삭열을 제거하며, 피가공물의 표면으로부터 잘린 부스러기를 제거하는 세척 작용도 행한다. 이를 위해 가공액은 마찰 계수가 작고, 끓는점이 높으며, 칼날과 피가공물의 접촉부에 잘 침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가공액을 칼날과 피가공물과의 접촉부에 강제적으로 침입시키기 위해 가스를 분출하는 가스 분출 수단을 가공 장치에 설치하는 기술이 일본특허공개 평11-254281호(1999.09.21)에 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공작 기계에 가공액을 분사하는 수단에 더하여 가스를 고속 및 고압으로 분출하는 수단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고 장치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연삭 장치에서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삭 숫돌의 외주면을 따라서 함께 회전하는 공기로 인해 숫돌과 피가공물의 접촉부에 가공액이 충분히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연삭 숫돌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것만으로는 가공액을 충분히 침투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가공열을 충분히 냉각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유로를 흐르는 유체에 압력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기포가 발생되게 하면서 사용처로 토출되는 유체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유용 노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 설치하며, 내측에는 유로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유입 소켓, 상기 본체의 타단에 결합 설치하며, 내측에는 유로와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 소켓,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며,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1개구부가 형성된 제1메쉬블럭부, 상기 제1메쉬블럭부에 마주보는 상태로 접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며, 제1개구부를 통과한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2개구부가 형성된 제2메쉬블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메쉬블럭부와 제2메쉬블럭부는, 본체 내 유로의 이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는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되는 급유용 노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메쉬블럭부와 제2메쉬블럭부는, 본체의 내부에 복수 설치하며, 복수의 상기 제1메쉬블럭부와 제2메쉬블럭부는,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번갈아가면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메쉬블럭부 및 제2메쉬블럭부는, 상기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의 뿔 형상부재가 결합된 마름모 단면형상을 가지는 메쉬구성부 및, 복수의 메쉬구성부가 상호 중심부 외측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하면서 복수의 메쉬구성부 사이에 제1개구부 또는 제2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쉬구조체와, 상기 메쉬구조체의 외곽 영역을 감싼 상태로 연결 지지하며, 본체의 내측에 대응되게 삽입 설치하는 관 형태의 메쉬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게 복수의 설치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쉬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설치가이드홈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메쉬 프레임의 외주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설치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 소켓의 유입구에는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유입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 소켓의 배출구에는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배출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구조체는 복수의 메쉬구성부를 중심부에서 외측면 원주방향으로 상호 90도 간격으로 연결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구성부는, 상기 본체 내 유체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뿔 형태의 선측연장단, 상기 선측연장단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뿔 형태의 후측연장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유용 노즐은, 유체가 본체 내부로 유입시, 제1메쉬블럭부의 마름모 단면형상을 가지는 메쉬구성부에 충돌하면서 제1개구부로 통과한 후, 다시 제2메쉬블럭부의 마름모 단면형상을 가지는 메쉬구성부에 충돌하면서 제2개구부로 통과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면서 이동하게 되는 바, 미세기포를 발생시킴과 더불어 유체의 압력이 증대된 상태로 본체의 외부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유용 노즐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1메쉬블럭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1메쉬블럭부의 부분 절개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제1메쉬블럭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제2메쉬블럭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유용 노즐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급유용 노즐은, 본체(100), 유입 소켓(200), 배출 소켓(300), 제1메쉬블럭부(400), 제2메쉬블럭부(5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유체를 이동시키도록 유로가 형성된 관 형태를 가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본체(100)의 길이방향 일단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유로를 통해 이동한 후, 본체(100)의 길이방향 타단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에는 이후 설명될 제1메쉬블럭부(400)와 제2메쉬블럭부(500)를 삽입 설치시, 본체(100)의 내부에 일정한 위치상태로 삽입을 가능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가이드홈(110)이 형성된다. 즉, 설치가이드홈(110)은 본체(100)의 내주면 길이방향 일단에서 길이방향 타단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메쉬블럭부(400)와 제2메쉬블럭부(500)를 본체(100) 내부에 복수를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면서 배치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걸림상태로 가이드되게 한다. 여기서, 설치가이드홈(110)은 본체(100)의 내주면 원둘레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메쉬블럭부(400)와 제2메쉬블럭부(500)를 안정적인 걸림상태로 이동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 길이방향 일단 및 길이방향 타단에는 이후 설명될 유입 소켓(200) 및 배출 소켓(300)을 각각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 소켓(200)은 본체(100)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라인(도면미도시)과 연결되어, 본체(100)로 유체를 유입되게 하는 연결부재이다. 이러한, 유입 소켓(200)은 내측에 본체(100)의 유로와 연결되는 유입구(201)가 형성된 관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유입 소켓(200)의 외주면에는 본체(100)의 길이방향 일단 내측에 삽입 상태로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 소켓(200)의 외측에는 유입 소켓(200)의 외주면과 본체(100)의 길이방향 일단 내주면 사이의 틈을 통해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도면미도시)를 삽입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 소켓(200)의 유입구(201) 출구측은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유입테이퍼부(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테이퍼부(210)는 유입구(201)에서 본체(100)의 유로로 유체 이동시, 유체가 본체(100)의 유로에 넓게 확산상태로 유입되면서 이후 설명될 제1메쉬블럭부(400)와 제2메쉬블럭부(500)에 형성된 전체의 제1개구부(412) 및 제2개구부(511) 부분을 통한 유체 통과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유입 소켓(200)의 유입테이퍼부(210)가 형성된 내주면 부분에는 원둘레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홈(도면미도시)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테이퍼부(210)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은 유입구(201)에서 본체(100)의 유로로 유체의 공급시 소용돌이 상태로 이동되게 하면서 선측에 배치된 제1메쉬블럭부(400) 전체 부분과의 안정적인 충돌을 통한 미세기포 발생율을 증대되게 한다.
상기 배출 소켓(300)은 본체(100)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전달받는 배출라인(도면미도시)과 연결되어, 본체(100)로부터 유체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연결부재이다. 이러한, 배출 소켓(300)은 내측에 본체(100)의 유로와 연결되는 배출구(301)가 형성된 관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배출 소켓(300)의 외주면에는 본체(100)의 길이방향 타단 내측에 삽입 상태로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 소켓(300)의 외측에는 배출 소켓(300)의 외주면과 본체(100)의 길이방향 타단 내주면 사이의 틈을 통해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도면미도시)를 삽입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 소켓(300)의 배출구(301) 입구측은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배출테이퍼부(310)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테이퍼부(310)는 본체(100)에서 외부로 유체 이동 배출시, 유체가 압축상태로 고압 분사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배출 소켓(300)의 배출테이퍼부(310)가 형성된 내주면 부분에는 원둘레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홈(도면미도시)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테이퍼부(310)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은 배출 소켓(300)의 배출구(301)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소용돌이 상태로 이동되게 하면서 배출 소켓(300) 외부로 유체의 배출시 분사 배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메쉬블럭부(400) 및 제2메쉬블럭부(500)는 유입 소켓(200)을 통해 본체(100)의 내측 유로로 유입되는 유체에 무수한 미세기포를 형성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1메쉬블럭부(400) 및 제2메쉬블럭부(500)는 본체(100) 내측에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접하도록 삽입 설치한다. 이때, 제1메쉬블럭부(400) 및 제2메쉬블럭부(500)는 본체(100)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본체(100)의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충돌을 통한 미세기포 발생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제1메쉬블럭부(400) 및 제2메쉬블럭부(500)는 유체의 충돌을 통한 미세기포 발생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각각 복수개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 복수의 상기 제1메쉬블럭부(400)와 제2메쉬블럭부(500)는 본체(100)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번갈아가면서 순차적으로 배치되게 본체(100)의 내측에 삽입 설치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메쉬블럭부(400) 및 제2메쉬블럭부(500)는, 메쉬구조체(410,510), 메쉬프레임(420,520)을 포함한다.
상기 메쉬구조체(410,510)는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충돌하면서 미세기포를 발생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메쉬구조체(410,510)는 각각 복수의 메쉬구성부(411,511)에 의해 구성되는데, 메쉬구성부(410,510)는 본체(100)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의 뿔 형상부재가 결합된 마름모 단면형상을 가진다. 즉, 메쉬구성부(411,511)는 본체(100)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외경크기가 커지는 뿔 형상의 선측연결단(411a,511a)과, 본체(100)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외경크기가 작아지는 뿔 형상의 후측연결단(411b,511b)을 포함한다. 이때, 선측연결단(411a,511a)과 후측연결단(411b,511b)은 다각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메쉬구조체(410,510)는 복수의 메쉬구성부(411,511)를 상호 연결 결합시켜 메쉬구성부(411,511)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을 통해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제1개구부(412) 또는 제2개구부(512)가 형성되게 한다. 즉, 메쉬구조체(410,510)는 복수의 메쉬구성부(411,511)를 상호 결합시켜 형성할 때, 메쉬구성부(411,511)가 상호 중심부 외측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한다. 이때, 복수의 메쉬구성부(411,511)는 중심부에서 외측면 원주방향으로 상호 90도 간격 이격된 상태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상기 메쉬구조체(410,510)는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이동시, 제1개구부(412) 또는 제2개구부(512)를 통과할 때, 선측연결단(411a,511a) 부분에서는 유체를 압축상태로 제1개구부(412) 또는 제2개구부(512)로 이동되게 하고, 후측연결단(411b,511b) 부분에서는 제1개구부(412) 또는 제2개구부(512)를 통과하는 유체가 확산 상태로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메쉬블럭부(400)의 메쉬구조체(410)에 형성된 제1개구부(412)의 위치와, 제2메쉬블럭부(500)의 메쉬구조체(510)에 형성형된 제2개구부(512)의 위치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메쉬블럭부(400)와 제2메쉬블럭부(500)가 상기 본체(100) 내부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제1개구부(412)와 제2개구부(512)는 본체(100) 내 유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된다. 이같이, 제1개구부(412)와 제2개구부(512)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본체(100) 내에서 제1메쉬블럭부(400)와 제2메쉬블럭부(500)를 통해 유체의 이동시, 유체가 제1메쉬블럭부(400)의 선측연결단(411a) 및 제2메쉬블럭부(500)의 선측연결단(511a)에 각각 충돌되게 하면서 미세기포의 발생이 증대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메쉬블럭부(400)의 메쉬구성부(411) 외주면 및 제2메쉬블럭부(500)의 메쉬구성부(511)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유체가이드홈(도면미도시)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체가이드홈은 제1개구부(412) 또는 제2개구부(512)를 통과하는 유체가 소용돌이 상태로 이동되게 하면서 유체의 분사배출력을 증대시켜 메쉬구성부(411,511)의 선측연결단(411a,511a)과의 유체 충돌시 미세기포 발생을 증대되게 한다.
상기 메쉬프레임(420,520)은 메쉬구성부(411)를 본체(100)의 내측에 삽입 상태로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즉, 메쉬프레임(420,520)은 메쉬구조체(410,510)의 외곽 영역을 감싼 상태로 메쉬구조체(410,510)를 결합상태로 지지한다. 이러한, 메쉬프레임(420,520)은 내측에 메쉬구조체(410,51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양단으로 개방된 관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메쉬프레임(420,520)은 본체(100) 내측에 대응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메쉬프레임(420,520)의 외주면이 본체(10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쉬프레임(420,520)의 외주면에는 본체(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설치가이드홈(110)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설치가이드돌기(421,52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설치가이드돌기(421,521)는 메쉬프레임(420,520)의 외주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메쉬프레임(420,520)을 본체(100) 내측에 삽입 설치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메쉬블럭부(400)와 제2메쉬블럭부(500)는 본체(100) 내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가 메쉬구성부(411,511)의 선측연결단(411a)에 의해 충돌되게 함과 더불어 메쉬구성부(411,51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1개구부(412) 및 제2개구부(512)를 통과하기 전까지는 압축상태로 이동하고, 제1개구부(412) 및 제2개구부(512)를 통과한 후에는 팽창되게 하면서 미세기포의 발생률을 높이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급유용 노즐은, 유체가 본체(100) 내부로 유입시, 제1메쉬블럭부(400)의 마름모 단면형상을 가지는 메쉬구성부(411)에 충돌하면서 제1개구부(412)로 통과한 후, 다시 제2메쉬블럭부(500)의 마름모 단면형상을 가지는 메쉬구성부(511)에 충돌하면서 제2개구부(512)로 통과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면서 이동하게 되는 바, 미세기포를 발생시킴과 더불어 유체의 압력이 증대된 상태로 본체(100)의 외부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설치가이드홈
200: 유입 소켓 210: 유입테이퍼부
300: 배출 소켓 310: 배출테이퍼부
400: 제1메쉬블럭부 410,510: 메쉬구조체
420,430: 메쉬프레임 500: 제2메쉬블럭부

Claims (7)

  1.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 설치하며, 내측에는 유로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유입 소켓과;
    상기 본체의 타단에 결합 설치하며, 내측에는 유로와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 소켓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며,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1개구부가 형성된 제1메쉬블럭부; 및
    상기 제1메쉬블럭부에 마주보는 상태로 접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며, 제1개구부를 통과한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2개구부가 형성된 제2메쉬블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메쉬블럭부와 제2메쉬블럭부는, 본체 내 유로의 이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는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메쉬블럭부 및 제2메쉬블럭부는,
    상기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의 뿔 형상부재가 결합된 마름모 단면형상을 가지는 메쉬구성부 및, 복수의 메쉬구성부가 상호 중심부 외측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하면서 복수의 메쉬구성부 사이에 제1개구부 또는 제2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쉬구조체와,
    상기 메쉬구조체의 외곽 영역을 감싼 상태로 연결 지지하며, 본체의 내측에 대응되게 삽입 설치하는 관 형태의 메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급유용 노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메쉬블럭부와 제2메쉬블럭부는, 본체의 내부에 복수 설치하며,
    복수의 상기 제1메쉬블럭부와 제2메쉬블럭부는,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번갈아가면서 배치하는 급유용 노즐.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게 복수의 설치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쉬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설치가이드홈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메쉬 프레임의 외주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설치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된 급유용 노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 소켓의 유입구에는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유입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 소켓의 배출구에는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배출테이퍼부가 형성된 급유용 노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쉬구조체는 복수의 메쉬구성부를 중심부에서 외측면 원주방향으로 상호 90도 간격으로 연결 결합한 급유용 노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쉬구성부는,
    상기 본체 내 유체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뿔 형태의 선측연장단과,
    상기 선측연장단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본체 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뿔 형태의 후측연장단을 포함하는 급유용 노즐.
KR1020190089036A 2019-07-23 2019-07-23 급유용 노즐 KR102062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036A KR102062704B1 (ko) 2019-07-23 2019-07-23 급유용 노즐
PCT/KR2020/002624 WO2021015384A1 (ko) 2019-07-23 2020-02-24 급유용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036A KR102062704B1 (ko) 2019-07-23 2019-07-23 급유용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704B1 true KR102062704B1 (ko) 2020-01-06

Family

ID=6915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036A KR102062704B1 (ko) 2019-07-23 2019-07-23 급유용 노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2704B1 (ko)
WO (1) WO20210153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384A1 (ko) * 2019-07-23 2021-01-28 서일캐스팅 주식회사 급유용 노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267B1 (ko) * 2013-07-31 2013-10-17 조성제 절삭유용 미세기포 발생 장치
KR101350135B1 (ko) * 2013-01-08 2014-01-08 여승훈 유체 소용돌이 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5543B2 (ja) * 2002-07-05 2006-10-18 ビック工業株式会社 流体吐出管構造体
KR101835986B1 (ko) * 2016-07-25 2018-03-07 시오 컴퍼니 리미티드 유체 공급관
KR102062704B1 (ko) * 2019-07-23 2020-01-06 서일캐스팅 주식회사 급유용 노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135B1 (ko) * 2013-01-08 2014-01-08 여승훈 유체 소용돌이 발생장치
KR101319267B1 (ko) * 2013-07-31 2013-10-17 조성제 절삭유용 미세기포 발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384A1 (ko) * 2019-07-23 2021-01-28 서일캐스팅 주식회사 급유용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5384A1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4329B (zh) 流體供給管、工具機、淋浴噴嘴、以及流體混合裝置
US10668438B2 (en) Fluid supply pipe
EP2546026B1 (en) Apparatus for formation of laterally directed fluid jets
JP4015392B2 (ja) 本体の枝路出口と通路との交差領域を研削する方法
TWI694866B (zh) 流體供給裝置,流體供給裝置的內部結構體,以及具有該流體供給裝置的機床、淋浴噴頭、流體混合裝置及水耕栽培裝置
KR102062704B1 (ko) 급유용 노즐
EP3539721B1 (en) Multi-jet abrasive head
KR101319267B1 (ko) 절삭유용 미세기포 발생 장치
US20190176284A1 (en) Nozzle, nozzle module, and machine tools provided with them
US20190240632A1 (en)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CN111558807A (zh) 流体供给装置、内部构造体及其制造方法
JP6385263B2 (ja) ドライ加工装置
KR102062703B1 (ko) 급유용 노즐 삽입체
JP2942168B2 (ja) ブラスト加工における加工パターンの拡大方法及び装置
JP7355377B2 (ja) 流体供給装置
KR200493723Y1 (ko) 세정기
JP6889475B2 (ja) 内部構造体及びそれを収納した流体供給管
KR101595418B1 (ko) 건식 세척장치용 분사노즐
KR20180026431A (ko) 유체 공급관
SU81657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полости изделий
RU1812058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борки мелкодисперсной стружки
KR20230172209A (ko) 유체 공급용 미세기포 발생 장치
RU2575033C1 (ru) Кавитационная форсунка
JP2021120173A (ja) 内部構造体及びそれを収納した流体供給管
ITRE20060062A1 (it) Dispositivo di turbolazione del liquido di lavaggio per testine a getto rotante, particolarmente di macchine idropulitric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