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06485A1 -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 Google Patents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06485A1
WO2021006485A1 PCT/KR2020/007186 KR2020007186W WO2021006485A1 WO 2021006485 A1 WO2021006485 A1 WO 2021006485A1 KR 2020007186 W KR2020007186 W KR 2020007186W WO 2021006485 A1 WO2021006485 A1 WO 202100648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as
valve
liquid fuel
gas cylinde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718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재기
김하성
Original Assignee
김재기
김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기, 김하성 filed Critical 김재기
Publication of WO202100648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064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23D11/44Preheating devices; Vaporising devices
    • F23D11/441Vaporising devices incorporated with burners
    • F23D11/443Vaporising devices incorporated with burners heated by the main burner fl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Definitions

  • the carburetor 220 is bent in a' ⁇ ' shape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and is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gas burner 210, and the igniter 230 and the other side of the gas burner 210 Thermocouple 240 is mounted adjacent.
  • the vaporized fuel vaporized through the vaporizer 220 is delivered to the gas regulator 120 through the copper supply pipe 250 and then supplied to the gas burner 210 again.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ure 5 (a) is a view showing a view from the top of th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b) is a view of th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It is a diagram showing.
  • a tripod 260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unit 200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so that the cooking container can be stably seated.
  • Airgel is a highly porous nanostructure, consisting of silicon dioxide (SiO2) yarns that are 1/10000 thick of hair, intertwined like a non-woven fabric, and air molecules are contained between the yarn and the yarn, so air occupies most of the total volume. Has excellent properties.
  • the seating groove 114 recessed in the fron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 cylinder 110 is engaged with the container guide 403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rotating ring 400.
  • the nozzle injection end 112 inside the gas cylinder 110 is disposed toward an upper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ating groove 114.
  • first syringe needle pipe 311 and the second syringe needle pipe 312 are thin pipes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supply pipe 250, the supply amount of gaseous fuel G is small in the initial state. Weak firepower is provided.
  • the fixed iron core 404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rotation ring 400 is placed on the top of the one-way clutch 151, so that the rotation ring 400 rotates even if the user releases his or her hand. You can keep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공급부, 연소부, 밸브조립체 및 회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시간이 지나도 강력한 화력을 유지할 수 있고, 가스통에 잔존하는 액체연료를 모두 소모하여 화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단열부를 이용하여 연소부에서 발생한 열이 가스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간이 지나도 계속하여 강력한 화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가스통에 남은 액체연료가 모두 소모될 때까지 일정한 화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가스레인지는 부피가 작아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가스점화장치로서, 가정이나 업소 등 실내에서는 물론 야외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하는 취사도구이다.
휴대용 가스레인지는 보통 일회용 가스통을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가스통에 충전되는 주연료는 가연성 액화부탄가스로서 천연가스나 석유분해가스에 함유되며, 상온·상압 하에서는 무색의 기체로 존재하고 공기나 산소가 존재하면 쉽게 연소되는 특성을 가진다.
종래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가스통 내부에는 대부분 액체연료가 저장되며, 나머지 상부 공간에 액체연료가 기화된 상태의 기체연료가 일부 충진된다. 종래 휴대용 가스레인지는 이러한 기체연료를 이용하여 화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종래 휴대용 가스레인지는 가스통 내부에 액체연료가 충분한 초기 상태에서는 기화된 기체연료에 가해지는 내부압이 크므로 화력이 비교적 좋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액체연료가 감소하고 내부압이 줄어들면 기체연료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화력이 점차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화의 특성상 가스통이 차가워지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가스 공급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온이 낮은 늦가을이나 겨울철에는 가스통 내부의 분자 활동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불이 제대로 켜지지 않거나 또는 액체연료가 많이 남은 상태에서도 새로운 가스통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이러한 가스통 냉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연소부에서 발생한 열을 일부 가스통 방향으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가스통이 과열되면서 내부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폭발이나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고기 불판 등 가열 면적이 넓은 조리기구를 올려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나아가, 종래 휴대용 가스레인지는 가스통에 연료가 조금 남아있는 상태에서는 제대로된 화력을 공급하기 어려우므로 가스통에 잔존하는 연료를 구멍을 뚫어 배출시킨 후 폐기 처분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매우 비경제적이며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요인이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사기바늘관을 통해 가스통 내부의 액체연료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시간이 지나도 강력한 화력을 유지할 수 있는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통에 잔존하는 액체연료를 모두 소모하여 화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단열부를 이용하여 연소부에서 발생한 열이 가스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가스통이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가스조절기와 연결되어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절손잡이 및 가스통을 연결캡에 탈착시키는 탈착손잡이가 그 전방면에 설치되는 연료공급부; 상기 연료공급부의 측부에 배치되며, 가스연소기가 장착되어 기화기를 통해 기화된 기화연료가 공급·연소되는 연소부; 상기 연료공급부의 가스통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된 액체연료 또는 기체연료를 기화기 방향으로 배출하며, 가스밸브를 일시적으로 개방시키는 밸브손잡이가 그 전방면에 설치되는 밸브조립체; 및 상기 연결캡의 외주면에 결합된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되며, 회전손잡이가 장착되어 가스통을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링;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가스통의 상하가 반전되어 선택적으로 가스통 내부의 액체연료의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에서 상기 가스통의 전방에는 주입단부와 배출단부를 구비한 노즐이 결합되고, 상기 가스통의 전방 외주면에는 회전링에 돌출 형성된 용기가이드와 맞물릴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의 주입단부는 배출단부와 직교하도록 절곡 연장되어 안착홈 방향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에서 상기 가스통이 안착되어 용기가이드와 안착홈이 상부를 향할 때, 주입단부는 가스통 내부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기체연료가 연결캡으로 공급되고, 상기 회전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회전링이 회전되어 용기가이드와 안착홈이 하부를 향할 때, 주입단부는 가스통 내부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액체연료가 연결캡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에서 상기 연료공급부의 내측면에는 탈착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왕복지렛대가 장착되고, 상기 왕복지렛대의 전방 단부에는 회전링의 외측에 돌출된 고정철심이 접촉되어 회전링의 회전을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일방향크러치가 장착되며, 상기 왕복지렛대의 후방 단부에는 가스통의 후방 중심부를 밀어 가스통의 전방 노즐이 연결캡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형의 밀착부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에서 상기 기화기는 상부를 향해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굴곡 형성되어 가스연소기의 일 측부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가스연소기의 타 측부에는 점화기 및 가스연소기로부터 발생한 열을 감지하여 전류로 전환하는 열전대가 인접 장착되며, 상기 기화기를 통해 기화된 기화연료는 공급관을 통해 가스조절기로 전달된 후 가스연소기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에서 상기 밸브조립체는, 일단이 제1주사기바늘관을 통해 연결캡과 연결되어 가스통의 액체연료 또는 기체연료를 공급받고, 타단이 제2주사기바늘관을 통해 기화기와 연결되어 액체연료 또는 기체연료를 배출하는 개폐 가능한 가스밸브; 밸브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하단이 가스밸브의 출구 측에 연결되어 가스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레버; 상기 밸브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말단에 누름편이 돌출되어 밸브레버의 상부를 누름에 따라 밸브레버가 회동하여 가스밸브가 일시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밸브손잡이; 및 상기 밸브레버의 상부에 연결되며 밸브레버를 회동시켜 가스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밸브개방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에서 상기 밸브개방부는 전자석이 내장되어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전자석은 가스연소기에 인접 설치된 열전대가 열을 감지하여 전환한 전류에 의해 작동 가능하며, 상기 전자석의 작동에 의해 밸브개방부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밸브레버가 아래로 회동함에 따라 가스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는, 상기 연료공급부의 측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가이드; 일단이 상기 파이프가이드의 내부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왕복파이프; 일단이 상기 회전손잡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왕복파이프에 연결되며 파이프가이드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로프; 상기 왕복파이프의 타단에 결합되어 왕복파이프를 원복시키는 탄성 재질의 원복스프링; 및 일측이 상기 왕복파이프에 연결되며 조종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조종레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에서 상기 조종레버의 타측에는 회동스토퍼가 하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고, 상기 회동스토퍼는 가스밸브에 연결된 밸브레버의 말단에 가로막혀 왕복파이프의 좌우 이동을 정지함에 따라 회전링의 회전을 정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는, 상기 연료공급부와 연소부 사이에 배치되며 가스연소기로부터 발생된 열이 가스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열부의 내부에는 에어로겔(aerogel)이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기화기를 이용하여 가스통 내부의 액체연료를 기화연료로 전환하여 가스연소기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시간이 지나도 계속하여 강력한 화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사용하여도 강력한 화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조리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고 연료의 사용량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스통에 잔존하는 액체연료를 완전 소모시까지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스통 교체에 따른 경제적인 낭비가 거의 없고, 폐기 처리시에도 안전하며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단열부를 이용하여 연소부에서 발생한 열이 가스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폭발이나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고기 불판 등 가열 면적이 넓은 조리기구(이른바, 과대불판) 사용시에도 가스통이 가열되는 것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줄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통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왕복파이프와 조종레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통이 연료공급부에 안착된 초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전체 작동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손잡이와 밸브손잡이가 작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레버가 조종레버를 가로막아 가스통이 회전할 수 없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손잡이가 작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이 내장된 밸브개방부가 작동하여 조종레버가 회동 가능함에 따라 회전손잡이 및 가스통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는, 가스통이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가스조절기와 연결되어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절손잡이 및 가스통을 연결캡에 탈착시키는 탈착손잡이가 그 전방면에 설치되는 연료공급부; 상기 연료공급부의 측부에 배치되며, 가스연소기가 장착되어 기화기를 통해 기화된 기화연료가 공급·연소되는 연소부; 상기 연료공급부의 가스통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된 액체연료 또는 기체연료를 기화기 방향으로 배출하며, 가스밸브를 일시적으로 개방시키는 밸브손잡이가 그 전방면에 설치되는 밸브조립체; 및 상기 연결캡의 외주면에 결합된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되며, 회전손잡이가 장착되어 가스통을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링; 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부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왕복파이프에 일측이 연결되며, 조종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조종레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는 가스통(1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연료공급부(100), 가스연소기(210)가 장착되어 화력을 제공하는 연소부(200), 가스밸브(310)가 장착되는 밸브조립체(300) 및 가스통(110)을 회전시키는 회전링(400)을 포함한다.
상기 연료공급부(100)에는 안착된 가스통(11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가스통덮개(160)가 설치되고, 가스통덮개(160)의 일지점에는 후술되는 회전손잡이(401)가 통과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장홀(161)이 형성된다.
상기 연료공급부(100)의 전방면에는 화력조절손잡이(121)와 탈착손잡이(140)가 설치되는데, 화력조절손잡이(121)는 가스조절기(120)와 연결되어 가스연소기(210)의 화력을 조절하거나 또는 후술되는 점화기(23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스위치 역할을 하고, 탈착손잡이(140)는 왕복지렛대(150)와 연결되어 가스통(110)을 연결캡(130)에 탈착시킨다.
상기 연소부(200)는 연료공급부(100)의 측부에 배치되며, 기화기(220)를 통해 기화된 기화연료가 가스연소기(210)에 공급되어 연소될 수 있도록 한다. 연소부(200)의 상부에는 삼발이(260)가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조리용기의 하부면을 받치게 된다.
상기 기화기(220)는 상부를 향해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자 형태로 굴곡되어 가스연소기(210)의 일 측부에 인접 배치되고, 가스연소기(210)의 타 측부에는 점화기(230) 및 열전대(240)가 인접 장착된다. 상기 기화기(220)를 통해 기화된 기화연료는 구리 공급관(250)을 통해 가스조절기(120)로 전달된 후 다시 가스연소기(210)로 공급된다.
상기 점화기(230)는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열전대(240)는 가스연소기(210)로부터 발생한 열을 감지하여 전류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열전대(240)에 의해 후술되는 밸브개방부(340)의 전자석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밸브조립체(300)는 연결캡(130)과 기화기(220) 사이를 연결하여 가스통(110)으로부터 공급된 액체연료(L) 또는 기체연료(G)가 기화기(220)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기체연료(G)는 가스연소기(210)에 화력이 점화되지 않은 초반에 공급되어 가스연소기(210)가 점화될 수 있도록 하고, 액체연료(L)는 가스연소기(210)가 점화된 후 공급되어 일정하고 강한 화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밸브조립체(300)의 전방면에는 밸브손잡이(330)가 설치되며, 이러한 밸브손잡이(330)는 초기 화력 점화시 가스밸브(310)를 개방하여 가스연소기(210)에 기체연료(G)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링(400)은 연결캡(13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그 일측에 회전손잡이(401)가 장착되어 가스통(110)을 길이방향 축(전후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킨다. 즉, 가스통(110)은 회전링(400)의 작동에 따라 상하가 반전되어 기체연료(G) 공급에서 액체연료(L) 공급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통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가스통이 연료공급부에 안착된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가스통이 회전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상하 반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통(110)의 내부에는 대부분 액체연료(L)가 저장되고, 나머지 상부 공간에 액체연료가 기화된 상태의 기체연료(G)가 일부 충진된다. 종래 휴대용 가스레인지는 이러한 기체연료(G)를 이용하여 화력을 발생시키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는 액체연료(L)까지 사용하여 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가스통(110)의 전방에는 주입단부(112)와 배출단부(113)를 구비한 노즐(111)이 결합된다. 주입단부(112)는 배출단부(113)와 직교하도록 절곡 연장된다. 즉, 배출단부(113)는 가스통(1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주입단부(112)는 가스통(1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스통(110)의 전방 외주면에는 회전링(400)에 돌출 형성된 용기가이드(403)에 맞물릴 수 있도록 안착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주입단부(112)는 이러한 안착홈(114)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가스통(110)이 연료공급부(100)에 안착된 초기 상태일 때, 안착홈(114)과 주입단부(112)는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가스통(110) 내부의 기체연료(G)가 연결캡(130)과 이어진 주사기바늘관을 통해 가스연소기(210)로 공급된다.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손잡이(401)의 작동에 따라 회전링(400)이 회전되어 가스통(110)의 상하가 반전되었을 때, 안착홈(114)과 주입단부(112)는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가스통(110) 내부의 액체연료(L)가 연결캡(130)과 이어진 주사기바늘관을 통해 공급된다.
상기 연결캡(130)을 통해 공급된 액체연료(L)는 후술되는 제1주사기바늘관(311), 가스밸브(310) 및 제2주사기바늘관(312)을 통해 기화기(220)로 배출되고, 가스연소기(210)의 열에 의해 기화기(220)에서 기화연료로 전환되며, 공급관(250) 및 가스조절기(120)를 거친 후 가스연소기(21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가스통(110)은 그 내부에 잔존하는 액체연료(L)가 모두 소모될 수 있도록 후방이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예컨대, 약 3도 정도) 상측으로 들리도록 장착될 수 있다. 비교를 위해 도면에는 가상의 수평선(점선)이 표시되어 있다.
처음,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불을 켤 때에는 가스통(110) 내부의 기체연료(G)가 주사기바늘관을 통해 가스연소기(210)로 공급되어 불이 켜진다. 가스연소기(210)에 불이 켜지면, 가스통(110)을 회전시켜 액체연료(L)가 주사기바늘관을 통해 기화기(220)로 보내지고, 가스연소기의 열에 의하여 액체연료(L)가 기화연료로 변하면서 가스연소기(210)로 공급되어 연소가 계속된다.
처음, 연소가 시작될 때에는 가느다란 주사기바늘관을 통해 소량의 기체연료(G)가 공급되므로 가스연소기(210)에 불꽃이 약하게 켜지게 된다. 그 다음 가스통(110)을 회전시켜 액체연료(L)가 공급되면, 액체의 높은 밀도로 인해 기화기(220)에서 많은 양의 기화연료가 가스연소기(210)로 공급되면서 화력이 강해지게 된다.
이때, 연소를 시작할 때 기체연료(G)를 공급하여 가스연소기(210)에 불을 켜는 이유는 액체연료(L)로는 연소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처음에는 기체연료(G)를 공급하여 약한 불꽃을 일으키고, 이러한 초기 화력을 이용하여 기화기(220)에서 액체연료(L)를 기화시킨 다음 가스연소기(210)로 공급하여 연소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공급부(100)의 내측면에는 왕복지렛대(150)가 장착된다. 왕복지렛대(150)는 탈착손잡이(140)의 작동에 따라 전후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가스통(110)도 전후로 이동된다.
상기 왕복지렛대(150)의 전방 단부에는 일방향크러치(151)가 장착된다. 일방향크러치(151)는 크러치힌지(152)를 매개로 장착되어 후방을 향해 회동 가능하며, 전체적으로 역 삼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왕복지렛대(150)의 후방 단부에는 가스통(110)의 후방 중심부를 밀어 가스통(110)의 전방 노즐(111)이 연결캡(130)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형의 밀착부(153)가 장착된다.
상기 연결캡(130)의 외주면에는 베어링(402)이 장착되고, 베어링(402)의 외주면에는 회전링(400)이 결합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형의 밀착부(153)와 베어링(402)을 이용하여 가스통(110)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링(400)의 일측에는 가스통(110)의 안착홈(114)과 맞물려 체결되는 용기가이드(403)가 돌출되고, 회전링(400)의 타측에는 일방향크러치(151)에 접촉되는 고정철심(404)이 돌출된다.
상기 용기가이드(403)와 고정철심(404)은 회전링(400)의 반경방향으로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회전링(400)의 회전에 따라 용기가이드(403)는 상부에서 하부로 회전되고, 가스통(110) 역시 상부에서 하부로 회전된다. 회전링(400)의 회전에 따라 고정철심(404)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회전되어 일방향크러치(151)에 접촉된다.
도시된 것처럼 초기 상태에서 왕복지렛대(150)는 후방으로 밀려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스통(110)을 삽입하고 탈착손잡이(140)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왕복지렛대(150)가 전진하며 밀착부(153)가 가스통(110)의 후방 중심부를 밀어 가스통(110)의 노즐(111)이 연결캡(130)에 연결된다. 상기 가스통(110) 내부의 기체연료(G)는 연결캡(130)과 결합된 제1주사기바늘관(311)을 통해 가스밸브(310)로 공급된다.
그 다음 가스연소기(210)가 점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손잡이(401)를 잡고 돌리면, 회전링(400)이 회전하며 가스통(110)의 상하가 반전되고, 가스통(110) 내부의 액체연료(L)가 제1주사기바늘관(311)을 통해 가스밸브(310)로 공급된다. 회전링(400)의 회전 작동 과정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링(400)이 회전하면서 외측에 돌출된 고정철심(404) 역시 회전하게 되고, 고정철심(404)은 일방향크러치(151)를 살짝 밀어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일방향크러치(151)를 통과하여 그 상부에 얹어지게 된다.
상기 회전링(400)이 완전히 회전되면, 고정철심(404)이 일방향크러치(151)에 의해 가로막혀 있으므로 회전링(400)이 원상회복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멈추어 있게 되고, 계속하여 가스통(110) 내부의 액체연료(L)가 공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조립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조립체를 하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조립체(300)는 가스밸브(310), 밸브레버(320), 밸브손잡이(330) 및 밸브개방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연결캡(130)과 기화기(220)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가스밸브(310)는 일단이 제1주사기바늘관(311)을 통해 연결캡(130)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주사기바늘관(312)을 통해 기화기(220)와 연결된다. 가스밸브(310)는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가스밸브(310)가 개방되었을 때 가스통(110) 내부의 기체연료(G) 또는 액체연료(L)가 기화기(220) 방향으로 공급된다.
상기 밸브레버(320)는 밸브축(321)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그 하단이 가스밸브(310)의 출구 측에 연결되어 가스밸브(310)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밸브레버(320)가 아래로 회동하였을 때, 가스밸브(310)의 출구 측은 당겨지면서 개방된다.
상기 밸브손잡이(330)는 밸브레버(320)의 외측을 포개어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며, 밸브축(321)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밸브손잡이(330)의 말단은 밸브레버(320)의 말단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며, 밸브손잡이(330)의 말단에는 누름편(331)이 돌출되어 밸브레버(320)의 말단 상부를 누를 수 있다.
상기 밸브손잡이(330)가 아래로 회동하여 누름편(331)이 밸브레버(320)의 말단을 누르면, 밸브레버(320)가 일시적으로 아래로 회동하며, 이에 따라 가스밸브(310)가 일시적으로 개방된다.
상기 밸브개방부(340)는 밸브레버(320)의 상부에 연결되며 밸브레버(320)를 회동시켜 가스밸브(31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밸브개방부(34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밸브레버(320)는 아래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가스밸브(310)가 개방된다.
한편, 상기 밸브개방부(340)의 내부에는 전자석이 내장되어 밸브개방부(340)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전자석은 열전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열전대(240)가 가스연소기(210)의 열을 감지하여 전환한 전류에 의해 작동한다(도 2 참조).
다시 말하면, 상기 가스밸브(310)는 평상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밸브손잡이(330)를 작동하여 밸브레버(320)를 회동시키면 일시적으로 개방되거나(초기 점화시 사용), 또는 가스연소기(210)의 열에 의해 열전대(240)와 연결된 전자석이 작동하여 밸브개방부(340)가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밸브레버(320)를 회동시키면 개방된다(점화 후 사용).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왕복파이프와 조종레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공급부(100)의 측부에는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가이드(410)가 좌우를 관통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파이프가이드(410)의 내부에는 왕복파이프(420)가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상기 왕복파이프(420)는 로프(430)를 매개로 회전손잡이(401)에 연결되어 있으며, 왕복파이프(420)의 좌측 단부에는 왕복파이프(420)를 원복시킬 수 있도록 탄성 재질의 원복스프링(440)이 장착된다.
상기 회전손잡이(401)에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왕복파이프(420)는 원복스프링(440)의 탄성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가 회전손잡이(401)를 잡고 회전링(400)을 회전시키면 로프(430)에 의해 당겨져서 원복스프링(44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우측으로 이동된다.
물론, 화력 제공이 끝나고 회전링(400)의 거동 정지가 해제되면, 왕복파이프(420)는 다시 원복스프링(440)의 탄성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원상태로 복귀하며, 회전손잡이(401) 역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 왕복파이프(420)에는 조종레버(450)의 일측(도시된 실시예에서 후방측)이 연결된다. 상기 조종레버(450)는 조종축(45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왕복파이프(420)의 작동에 따라 연동하여 회동한다.
즉, 상기 왕복파이프(42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조종레버(450)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왕복파이프(420)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조종레버(450)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조종레버(450)의 타측(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방측)에는 회동스토퍼(452)가 하부를 향해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스토퍼(452)는 밸브레버(320)의 우측 단부에 가로막혀 조종레버(45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점화가 아직 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회동스토퍼(452)는 밸브레버(320)에 가로막혀 조종레버(450)의 시계방향 회동을 가로막고, 이에 연결된 왕복파이프(420) 역시 우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회전손잡이(401)를 이용하여 회전링(400)을 회전시키고자 하여도 조종레버(450)의 멈춤에 의해 회전링(400)이 회전되지 않고, 가스통(110)은 안착홈(114)이 상부에 배치된 그 상태 그대로 있게 된다.
가스연소기(210)가 점화되어 화력을 제공하기 시작하면, 그 열에 의해 열전대(240)와 연결된 전자석이 작동하고, 밸브개방부(340)는 우측으로 이동하며, 밸브레버(320)는 밸브축(321)을 기준으로 아래로 회동한다.
상기 밸브레버(320)가 아래로 회동함에 따라 밸브레버(320)의 우측 단부와 그 상부에 배치된 밸브손잡이(330)의 우측 단부 사이에는 상하로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고, 회동스토퍼(452)는 이러한 공간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손잡이(401)를 이용하여 회전링(400)을 회전시키면, 왕복파이프(420)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조종레버(450) 역시 회동스토퍼(452)가 걸리지 않고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며, 회전링(400)의 회전에 따라 가스통(110)은 안착홈(114)이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하 반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소부(200)의 상부에는 조리용기의 하부면을 받쳐서 조리용기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삼발이(260)가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연료공급부(100)와 연소부(200)의 사이에는 가스연소기(210)로부터 발생된 열이 가스통(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부(500)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부(500)의 내부에는 에어로겔(aerogel)이 내장된다.
에어로겔은 고다공성 나노구조체로서, 머리카락 1/10000 굵기인 이산화규소(SiO2) 실이 부직포처럼 성글게 얽혀서 구성되며, 실과 실 사이에는 공기 분자가 들어 있어 전체 부피 중 대부분이 공기가 차지하고 있으므로 단열·방음 효과가 탁월한 특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열부(500)는 연료공급부(100)와 연소부(200) 사이를 가로막는 수직면(510), 연료공급부(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가스통(110)의 상부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평탄면(520) 및 수직면(510)과 평탄면(520)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면(530)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이때, 상기 평탄면(520)과 삼발이(260)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고기 불판 등 가열 면적이 넓은 조리기구(과대불판)을 사용하여도 평탄면(520)이 가스통(110)의 상부를 덮어 가스통(110)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폭발이나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통이 연료공급부에 안착된 초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전체 작동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사용하기 위해, 우선 사용자는 가스통(110)을 연료공급부(100)에 안착시키고, 연료공급부(100)의 전방면에 설치된 탈착손잡이(140)를 아래로 누른다.
탈착손잡이(140)가 작동되면, 연료공급부(100) 내측면의 왕복지렛대(150)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구형의 밀착부(153)가 가스통(110)의 후방 중심부를 밀어 가스통(110)의 노즐(111)이 연결캡(130)에 연결된다.
이때, 가스통(110)의 전방 외주면에 함몰 형성된 안착홈(114)은 회전링(400)의 외측에 돌출된 용기가이드(403)에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가스통(110) 내부의 노즐 주입단부(112)는 안착홈(114)과 동일한 방향인 상부를 향해 배치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손잡이와 밸브손잡이가 작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레버가 조종레버를 가로막아 가스통이 회전할 수 없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통(110)의 노즐 배출단부(113)가 연결캡(13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밸브손잡이(330)를 누르면서 화력조절손잡이(121)를 돌리면 가스연소기(210)가 점화되며 화력이 발생한다(초기 점화).
이때, 가스통(110)의 주입단부(112)는 상부를 향해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스통(110) 내부의 기체연료(G)가 제1주사기바늘관(311)으로 공급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밸브손잡이(330)를 누르면, 밸브손잡이(330) 말단의 누름편(331)이 밸브레버(320)의 상부를 눌러 밸브레버(320)를 아래로 회동시키고, 가스밸브(310)의 출구 측은 당겨져서 개방된다.
가스밸브(310)의 출구 측이 개방되면, 가스밸브(310)로 주입된 기체연료(G)가 제2주사기바늘관(312), 기화기(220), 공급관(250) 및 가스조절기(120)를 통과하여 가스연소기(210)로 공급되고, 점화기(230)의 스파크에 의해 점화된다.
상기 제1주사기바늘관(311) 및 제2주사기바늘관(312)은 공급관(250)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직경을 가지는 가느다란 관이므로 초기 상태에서는 기체연료(G)의 공급량이 적어 약한 화력이 제공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손잡이가 작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이 내장된 밸브개방부가 작동하여 조종레버가 회동 가능함에 따라 회전손잡이 및 가스통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가스연소기(210)가 점화된 후, 보다 강력한 화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회전손잡이(401)를 잡고 회전링(400)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링(400)이 회전되면, 회전링(400)에 돌출 형성된 용기가이드(403)와 맞물려 있는 안착홈(114)이 회전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스통(110)이 회전되어 상하가 반전된다. 이때, 가스통(110)의 주입단부(112)는 하부를 향해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스통(110) 내부의 액체연료(L)가 제1주사기바늘관(311)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회전링(400)의 회전에 의해 회전손잡이(401)와 로프(430)를 통해 연결된 왕복파이프(420) 역시 우측으로 이동하고, 왕복파이프(420)에 연결된 조종레버(450)는 조종축(45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상기 가스연소기(210)에는 이미 초기 화력이 공급된 상태이므로 열전대(240)에서 전환한 전류에 의해 전자석이 작동하고, 전자석의 작동에 의해 밸브개방부(340)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밸브레버(320)를 아래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조종레버(450)의 전방 측에 형성된 회동스토퍼(452)는 밸브레버(320)의 우측 단부에 걸리지않고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손잡이(401)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종레버(450)는 가스통(110)의 회전을 조종하는 장치로서, 가스연소기(210)에 불이 켜져 있으면 가스통(110)이 회전할 수 있고, 가스연소기(210)에 불이 꺼져 있으면 가스통(110)이 회전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키는 장치이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가스연소기(210)에 불이 꺼져 있으면, 가스밸브(310)가 닫히고 밸브레버(320)가 올라가서 조종레버(450)를 가로막게 되므로 조종레버(450)가 움직이지 못하고 가스통(110)의 회전도 막히게 된다.
반대로,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가스연소기(210)에 불이 켜지면, 가스밸브(310)가 열리고 밸브레버(320)가 아래로 내려가서 조종레버(450)를 가로막지 않게 되므로 가스통(110)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가스통(110) 내부의 액체연료(L)는 기화기(220)로 공급되어 기화된 후 연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조종레버(450)를 이용하여 가스통(110)의 회전을 조종하는 이유는 가스연소기(210)에 불이 켜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액체연료(L)가 절대로 가스연소기(210) 쪽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가스연소기(210)에 불이 켜져 있지 않았을 때 액체연료(L)가 가스연소기(210) 쪽으로 계속 흘러들어가면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조종레버(450)는 가스통(110)의 회전을 제어하는 매우 중요한 안전장치이다.
상기 회전링(400)이 완전히 회전된 이후에는 회전링(400) 외측에 돌출된 고정철심(404)이 일방향크러치(151)의 상부에 놓여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을 떼어도 회전링(400)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스통(110)으로부터 공급된 액체연료(L)는 제1주사기바늘관(311), 가스밸브(310) 및 제2주사기바늘관(312)을 통과하여 기화기(220)로 전달된다. 기화기(220)로 전달된 액체연료(L)는 인접 배치된 가스연소기(210)의 열에 의해 급격하게 기화되어 기화연료로 변환된다.
이러한 기화연료는 구리 공급관(250)을 통해 가스조절기(120)로 전달된 후, 가스조절기(120)와 가스연소기(210)를 연결하는 또 다른 공급관(250)을 통해 가스연소기(210)로 공급되어 연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체연료(G)보다 상대적으로 고밀도인 액체연료(L)를 활용하여 가스연소기(210)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강력한 화력을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통(110) 내부에서 기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액체연료(L)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스통(110)의 냉각 작용이 없고, 액체연료가 모두 소모될 때까지 일정한 압력으로 화력을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가스통(110)에 잔존하는 액체연료(L)를 완전 소모시까지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스통(110) 교체에 따른 경제적인 낭비가 거의 없고, 폐기 처리시에도 안전하고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0)

  1. 가스통이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가스조절기와 연결되어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절손잡이 및 가스통을 연결캡에 탈착시키는 탈착손잡이가 그 전방면에 설치되는 연료공급부; 상기 연료공급부의 측부에 배치되며, 가스연소기가 장착되어 기화기를 통해 기화된 기화연료가 공급·연소되는 연소부; 상기 연료공급부의 가스통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된 액체연료 또는 기체연료를 기화기 방향으로 배출하며, 가스밸브를 일시적으로 개방시키는 밸브손잡이가 그 전방면에 설치되는 밸브조립체; 및 상기 연결캡의 외주면에 결합된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되며, 회전손잡이가 장착되어 가스통을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링; 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부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왕복파이프에 일측이 연결되며, 조종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조종레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통의 전방에는 주입단부와 배출단부를 구비한 노즐이 결합되고, 상기 가스통의 전방 외주면에는 회전링에 돌출 형성된 용기가이드와 맞물릴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의 주입단부는 배출단부와 직교하도록 절곡 연장되어 안착홈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통이 안착되어 용기가이드와 안착홈이 상부를 향할 때, 주입단부는 가스통 내부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기체연료가 연결캡으로 공급되고,
    상기 회전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회전링이 회전되어 용기가이드와 안착홈이 하부를 향할 때, 주입단부는 가스통 내부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액체연료가 연결캡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부의 내측면에는 탈착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왕복지렛대가 장착되고,
    상기 왕복지렛대의 전방 단부에는 회전링의 외측에 돌출된 고정철심이 접촉되어 회전링의 회전을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일방향크러치가 장착되며,
    상기 왕복지렛대의 후방 단부에는 가스통의 후방 중심부를 밀어 가스통의 전방 노즐이 연결캡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형의 밀착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는 상부를 향해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굴곡 형성되어 가스연소기의 일 측부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가스연소기의 타 측부에는 점화기 및 가스연소기로부터 발생한 열을 감지하여 전류로 전환하는 열전대가 인접 장착되며,
    상기 기화기를 통해 기화된 기화연료는 공급관을 통해 가스조절기로 전달된 후 가스연소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조립체는,
    일단이 제1주사기바늘관을 통해 연결캡과 연결되어 가스통의 액체연료 또는 기체연료를 공급받고, 타단이 제2주사기바늘관을 통해 기화기와 연결되어 액체연료 또는 기체연료를 배출하는 개폐 가능한 가스밸브;
    밸브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하단이 가스밸브의 출구 측에 연결되어 가스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레버;
    상기 밸브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말단에 누름편이 돌출되어 밸브레버의 상부를 누름에 따라 밸브레버가 회동하여 가스밸브가 일시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밸브손잡이; 및
    상기 밸브레버의 상부에 연결되며 밸브레버를 회동시켜 가스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밸브개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방부는 전자석이 내장되어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전자석은 가스연소기에 인접 설치된 열전대가 열을 감지하여 전환한 전류에 의해 작동 가능하며,
    상기 전자석의 작동에 의해 밸브개방부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밸브레버가 아래로 회동함에 따라 가스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부의 측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가이드;
    일단이 상기 파이프가이드의 내부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왕복파이프;
    일단이 상기 회전손잡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왕복파이프에 연결되며 파이프가이드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로프; 및
    상기 왕복파이프의 타단에 결합되어 왕복파이프를 원복시키는 탄성 재질의 원복스프링;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레버의 타측에는 회동스토퍼가 하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고,
    상기 회동스토퍼는 가스밸브에 연결된 밸브레버의 말단에 가로막혀 왕복파이프의 좌우 이동을 정지함에 따라 회전링의 회전을 정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부와 연소부 사이에 배치되며 가스연소기로부터 발생된 열이 가스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열부의 내부에는 에어로겔(aerogel)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사기바늘관 및 제2주사기바늘관은 공급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가느다란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주사기바늘관 및 제2주사기바늘관을 이용하여 기체연료 또는 액체연료를 가스밸브를 거쳐 가스연소기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강력한 화력을 제공할 수 있는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PCT/KR2020/007186 2019-07-08 2020-06-03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WO202100648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793A KR102118344B1 (ko) 2019-07-08 2019-07-08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KR10-2019-0081793 2019-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6485A1 true WO2021006485A1 (ko) 2021-01-14

Family

ID=7108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7186 WO2021006485A1 (ko) 2019-07-08 2020-06-03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8344B1 (ko)
WO (1) WO202100648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246Y1 (ko) * 2000-09-28 2001-03-02 김재기 휴대용 가스레인지
KR200319089Y1 (ko) * 2003-04-15 2003-07-10 이종태 휴대용 가스 버너의 가스용기 폭발 방지 구조
KR101410057B1 (ko) * 2013-03-25 2014-06-20 원정제관(주) 휴대용 가스버너 및 이의 제어방법
CN205664432U (zh) * 2016-03-21 2016-10-26 广东工业大学 小型节能型燃气炉
KR101672690B1 (ko) * 2015-01-22 2016-11-04 박만식 가스 스토브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246Y1 (ko) * 2000-09-28 2001-03-02 김재기 휴대용 가스레인지
KR200319089Y1 (ko) * 2003-04-15 2003-07-10 이종태 휴대용 가스 버너의 가스용기 폭발 방지 구조
KR101410057B1 (ko) * 2013-03-25 2014-06-20 원정제관(주) 휴대용 가스버너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72690B1 (ko) * 2015-01-22 2016-11-04 박만식 가스 스토브장치
CN205664432U (zh) * 2016-03-21 2016-10-26 广东工业大学 小型节能型燃气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344B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01260A1 (en) Knob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same
RU2557280C2 (ru) Газовый кухонный прибор
GB2240841A (en) Igniting a vitreous ceramic hotplate of a cooking appliance
WO2021006485A1 (ko) 액체연료의 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CN214536162U (zh) 一种耐高温垃圾焚烧燃烧器
WO2021033877A1 (ko) 휴대용 가스용기 워머
KR200180405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WO2013032209A2 (ko) 가스버너
WO2019147102A1 (ko) 난방 및 조리를 위한 스토브 어셈블리
KR100373457B1 (ko) 휴대용 가스버너의 안전장치
WO2012157809A1 (ko)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WO2018124326A1 (ko) 성화봉의 가스연소장치와 이 가스연소장치를 구비한 성화봉
WO2018021693A1 (ko) 열분해 가스화로 및 열분해 가스화로의 제어 방법
JPH0510226A (ja) 副室式水冷デイーゼルエンジンの予熱装置
WO2004047132A2 (en) Safety shutoff valve of a built-in gas range
WO2022080800A1 (ko) 가스렌지 및 인덕션렌지 겸용 조리장치
WO2022255109A1 (ja) 放散ブリーダー及びコークス炉ガス燃焼方法
WO2023140513A1 (ko) 버너 장치
WO2020175716A1 (ko) 휴대용 스토브
KR200146374Y1 (ko) 오일팬히터의 송풍팬을 이용한 연소공기공급장치
KR0114577Y1 (ko) 가스조리기기의 안전점화장치
JPS6229809Y2 (ko)
KR200240911Y1 (ko) 휴대용가스레인지의소화안전장치
WO2011152632A2 (ko) 가스누출 방지장치
KR100213622B1 (ko) 가스연소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378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378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