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62821A1 - 반사 모듈 - Google Patents

반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62821A1
WO2020262821A1 PCT/KR2020/006281 KR2020006281W WO2020262821A1 WO 2020262821 A1 WO2020262821 A1 WO 2020262821A1 KR 2020006281 W KR2020006281 W KR 2020006281W WO 2020262821 A1 WO2020262821 A1 WO 20202628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il
reflective
coupled
modul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62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금영
김형주
박윤성
맹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티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티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티맥
Publication of WO20202628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628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lection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lection module supporting a tilting structure.
  • cameras are basically employ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and laptops, and cameras for mobile terminals have an auto focus function, a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and a zoom function.
  • the structure of the camera module is complicated and the size of the camera module is increas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camera module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Patent Document 1 KR10-1892857 B1
  • Patent Document 2 KR10-1942743 B1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lective module that connects between a base and a reflective part with a ball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base, and tilts the reflective part through electromagnetic force caused by the interaction of the position magnet and the coil part.
  • a reflectiv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base forming a seating surface, a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seating surface, and a coil unit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 a reflective member positioned opposite to the seating surface, a position magnet coupled to the reflective member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grip force to move the reflective member by an interaction with the coil unit facing the coil unit, and a part of the base is It is coupled, the other part may include an elastic body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reflective member and the position magnet, and a sensor unit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and sensing movement of the position magnet.
  • the elastic body may include an outer portion forming the part, an inner portion disposed inside the outer portion and forming the other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outer portion and the inner portion.
  •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in a form bent at least once.
  • the coil unit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sensor unit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 the coil part may form a hollow part surrounded by a conductive wire, and the sensor part may be coupled to a surface opposite to the part of the circuit board where the hollow part is formed.
  • a sensor unit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sensor unit is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and the sensor unit may be located inside the sensor unit receiving groove.
  • a ball positioned between the seating surface and the reflective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ball may support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flective member.
  • the base includes a ball support portion formed to protrude or depress from the seating surface, and the ball may be seated on the ball support portion.
  •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ball support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 a seating groove formed by being recessed is formed in the seating surface, and the circuit board may be coupled to the seating groove.
  • the circuit board may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a portion coupled to the seating surface.
  • the base may include a path groove formed between the seating surface and a surface adjacent to the seating surface, and the extension portion may extend along the path groove.
  • it may further include a gyro sensor coupled to the extension.
  • the coil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oils, the coil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coils may be disposed orthogonally.
  • the plurality of coils may be arranged to form a square.
  • At least two of the sensor units may be coupled to face different coils.
  • the coil unit may include a substrate unit and a coil pattern unit coupled to the substrate unit and wound at least one turn.
  • the coil pattern part may be print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
  • the coil pattern part includes one coil pattern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 and the other coil pattern part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 and the one coil pattern part and the other coil pattern par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 the substrate portion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the substrate portions are stacked, and the coil pattern portions respectively formed on the plurality of substrate portion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positioning magnet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rough which a central portion is penetrated.
  • the positioning magnet may have a surface opposite to the seating surface magnetized as one pole, and a surface opposite to the reflective member may be magnetized as another electrode.
  • the reflective member may be formed as a mirror.
  • the reflective member may be formed of a prism.
  • the base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prism, and at least a part of the reflective memb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 the reflection module may connect the base and the reflection part with a ball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base, and tilt the reflection part through electromagnetic force caused by the interaction of the position magnet and the coil part.
  • the reflectiv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ilt the reflector by 1 degree in any direc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rom one direction showing a reflective modul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3A is a front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il shape of the coil part of FIG. 2.
  • 3B is a rear view showing the sensor units mount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il unit of FIG. 2.
  •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oi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il sheet of a reflectiv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il sheet of a reflectiv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il portion of a reflectiv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A is a side view in one direction showing a refl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B is a view of a reflectiv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in parallel with a reflective member.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and a reflective member of a reflectiv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direc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rom one direction showing a reflective modul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the camera module includes a housing 10, a first circuit board 20, and an AF module 30.
  • the housing 10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11 and a receiving portion cover 12.
  • Both sides and upper sides of the receiving part 11 are open based on FIG. 2, and sides facing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y one of the side surfaces may have a coupling groove recessed inward.
  • an inclined structure is formed inside the receiving part 11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base 100.
  • two through holes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1.
  • the receiving portion 11 is surrounded by the receiving portion cover 12.
  • the receiving portion cover 12 has a structure covering the upper and side portions of the receiving portion 11.
  • an opening 12a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cover 12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1 so that light is incident.
  • the first circuit board 2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unit 11 while surrounding any one of the open sides of the receiving unit 11.
  • the first circuit board 20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F module 30 includes a carrier 31, a lens unit 32, a transfer ball 33, a second circuit board 34, a hall sensor unit 35, a coil 36, an AF magnet 37, and a yoke. It includes (38).
  • the carrier 31 may accommodate the lens unit 32 because the upper and opposite sides are open.
  • four fixing holes are formed under the carrier 31. Specifically, the fixing hole is form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our transfer balls (33). Accordingly, at least some of the four transfer balls 33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from the outside.
  • the lens unit 32 is a module generally applied to the camera module, and is mounted inside the carrier 31.
  • the lens unit 32 may include a lens exposed to the outside.
  • a lens is an object that finely grinds the surfac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into a spherical surface and collects or radiates light from the object to form an optical image.
  • the lens unit 32 may be disposed so that the lenses face both open sides of the carrier 31.
  • the transfer ball 33 is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our fixing holes of the carrier 31 from the outside. This transfer ball 33 supports the carrier 31 to perform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econd circuit board 34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cond circuit board 34 may be coupled to the recessed coupling groove of the receiving portion 11.
  • two Hall sensor units 35 ar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34.
  • the Hall sensor unit 35 is a Hall sensor that uses the Hall effect and is widely used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camshaft.
  • the Hall sensor unit 35 finds out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by using the Hall effect in which a voltag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urrent and the magnetic field when a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a conductor through which a current flows.
  • two Hall sensor units 35 ar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34 to sense the direction and size of a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coil.
  • the coil 36 is position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34. Further, the coil 36 is composed of two and is mount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34. The coil 3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ircuit board 34 to form an electromagnetic field when current flows to interact with the AF magnet 37.
  • the AF magnet 37 is located above the coil 36.
  • two AF magnets 37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il 36.
  • the AF magnet 37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due to interaction with the coil 36 so that the carrier 31 and the lens 32 can linearly reciprocate.
  • the yoke 38 is located under the second circuit board 34 and may interact with the coil 36 and the AF magnet 37.
  • the reflective module includes a base 100, a coil part 200, a circuit board part 300, a reflective part 400, a position magnet 500, an elastic body 600, and a sensor part 700. ), a ball 800, and a gyro sensor 900.
  • the base 100 may have a tetrahedral shape.
  • the base 100 includes a seating surface 110, a path groove 120, a ball support 130, a seating groove 140, and a sensor receiving groove 150.
  • the seating surface 110 corresponds to an inclined surface of the base 100. Specifically, the seating surface 110 is a surface facing an edge formed by a surfac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 path groove 120 is formed between any one of the surfac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seating surface 110.
  • the path groove 120 is formed between the seating surface 110 and the seating surface 110 and an adjacent surface.
  • the circuit board part 300 is located in the path groove 120.
  • the base 100 is formed with a ball support 130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or recessed from the seating surface 110.
  • the ball support 13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ating surface 110 of the base (100). The arrangement of the ball support part 130 supports the reflective part 400 to be tilted by electromagnetic force without being biased in any direction.
  • a seating groove 140 formed by being recessed is formed in the seating surface 110. Specifically, the center portion of the seating surface 110 is formed to be recessed so that the circuit board portion 300 is inserted. The circuit board part 300 is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140.
  •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unit 300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seating surface 110 may be parallel to the seating surface 110.
  • a sensor unit receiving groove 150 for accommodating the sensor unit 700 is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110.
  • the sensor unit receiving groove 150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base 110 adjacent to the seating surface 110. Referring to (b) of FIG. 3, a sensor unit receiving groove 150 may be formed where the sensor unit 700 is located.
  • 3A is a front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il shape of the coil part of FIG. 2.
  • 3B is a rear view showing the sensor units mount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il unit of FIG. 2.
  •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oi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il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coils.
  • the coil part 200 forms a hollow part 221 surrounded by a conducting wire.
  • the coil unit 200 includes a coil 210, an insulating substrate 220, and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il sheets 230, 240, 250, and 260.
  • the coil unit 200 includes a substrate unit 202 and a winding coil unit 203.
  • the substrate portion 202 forms the base of the coil portion 200.
  • the substrate portion 202 forms an opening 201 penetrating vertically.
  • the opening 201 may function as a lens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lens unit is inserted and coupled.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on which the lens is mounted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201 of the substrate unit 202 to be coupled.
  • the substrate portion 202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substrates 202 are stacked.
  • the winding coil part 203 is coupled to the substrate part 202. It is formed in a form of winding a plurality of times while surrounding the opening 201 of the substrate portion 202 of the winding coil portion 203.
  • the winding coil portion 203 may be formed to be densely formed on the substrate portion 202.
  • the winding coil portion 203 may be formed to be densely located on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substrate portion 202.
  • Both ends of the winding coil unit 203 are composed of signal terminals 204 and 205.
  • the signal terminals 204 and 205 ar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il unit.
  • winding coil unit 203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inding coil unit 203 and the signal terminals 204 and 205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the coil 210 is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A, the coil 210 may have a shape in which parallel lines facing each other and the parallel lines are connected in a semicircle, such as a race track.
  • the coil 210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lurality of coils 211, 212, 213, 214, and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coils 211, 212, 213, 214 (211, 212, 213 and 214) are arranged orthogonally.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oils 211, 212, 213, and 214 are arranged to form a square.
  • the coil 210 may be patterned on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220.
  • the coil 210 includes a first coil 211, a second coil 212, a third coil 213 and a fourth coil 214.
  • the first coil 211 is the longest coil and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220. Specifically, the first coil 211 is positioned under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220 as shown in FIG. 3A.
  • the second coil 212 is the shortest coil and is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220.
  • the third and fourth coils 213 and 214 are formed shorter than the first coil 211 and longer than the second coil 212. These third and fourth coils 213 and 214 ar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ils 211 and 212, and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220.
  • the insulating substrate 220 is where the coil 210 is patterne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portion 300.
  • the insulating substrate 220 has a hollow portion 221 surrounded by a conductive wire and the insulating substrate 220.
  • the coil unit 200 includes at least one coil sheet. Specifically, the coil unit 20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oil sheets are stacked.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il sheet of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il sheet of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figuration of one coil sheet 230 will be described.
  • the coil sheet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coil sheet 230, a lower coil sheet 260, and an intermediate coil sheet 240 and 250.
  • the coil sheets 230, 240, 250, and 260 may have different configurations, but their main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ccordingly, the configuration of the coil sheet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upper coil sheet 230.
  • the coil sheet 230 includes a substrate layer 232 and coil pattern portions 233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bstrate layer 232.
  • the substrate layer 232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 the substrate layer 232 may be formed of a flexible film material.
  • the substrate layer 232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such as polyimide.
  • the substrate layer 232 forms an opening 231 penetrating vertically.
  • the opening 231 of the substrate layer 232 is also aligned with the opening 111 of the base 110.
  • the coil pattern part 233 includes one coil pattern part 234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 202 and the other coil pattern part 236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 202.
  • One coil pattern part 23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232, and the other coil pattern part 236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232.
  • the one side coil pattern part 234 and the other side coil pattern part 236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coil pattern part 233 is coupled to the substrate part 202 and wound at least one turn, and is formed in a form that is wound a plurality of times. Specifically, the coil pattern portion 233 is formed in a spiral shape to surround the opening 231 of the substrate layer 232. The coil pattern portion 233 is print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202, and the coil pattern portions 233 formed on the plurality of substrate portions 20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coil pattern part 233 includes one end (234a, 236a), the other ends (234c, 236c) and winding parts (234b, 236b) wound a plurality of times while connec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substrate layer 232 do.
  • the one side coil pattern part 234 and the other side coil pattern part 236 may be roughly form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ubstrate layer 232 therebetween.
  • One coil pattern part 234 and the other coil pattern part 236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pecifically, one coil pattern portion 234 and the other coil pattern portion 236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via hole 235 penetrating through the substrate layer 232.
  • the via hole 235 penetrates the substrate layer 23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be conductive. It is preferable that the via hole 235 penetrates the substrate layer 232 in a vertical direction, but in some cases, the via hole 235 may be formed to be oblique or bent inside the substrate layer 232.
  • the via hole 235 may connect the inner ends or outer ends of the one side coil pattern part 234 and the other side coil pattern part 236.
  • description will be made by referring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other end 234c of the one side coil pattern part 234 and one end 236a of the other side coil pattern part 236.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234c of the one side coil pattern part 234 and one end 236a of the other side coil pattern part 236 are both inner ends or all outer ends.
  • the other end 234c of the one side coil pattern part 234 and one end 236a of the other side coil pattern part 236 are shown to be both outer ends.
  • One coil pattern portion 234 and the other coil pattern portion 236 are wound in the same direction. Specifically, if the one side coil pattern part 234 is wound in a clockwise direction as viewed from the top while proceeding to one end 234a, the winding part 234b, and the other end 234c, the other side coil pattern part 236 is also wound in a 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same reference while proceeding to one end 236a, the winding portion 236b, and the other end 236c. Of course, the opposite direction is also possible.
  • one coil sheet 230 has one coil pattern part 233 that is electrically wound a plurality of times.
  • one coil pattern part 234 and the other coil pattern part 236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one coil sheet 230 has one coil pattern part 233 that is electrically wound a plurality of times.
  • one coil pattern part 234 and the other coil pattern part The coil patterns 23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oil pattern part 233 that is electrically wound 10 times.
  • the coil sheet 230 further includes insulating coating layers 234d and 236d covering the coil pattern portion 233.
  • the insulating coating layers 234d and 236d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il sheet 230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one coil pattern portion 234 and the other coil pattern portion 236.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 the coil pattern portion 233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inding portions 234b and 236b wound a plurality of times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232 are densely formed.
  • the winding portions 234b and 236b may be formed to be densely formed on an outer edge portion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232. Referring to FIG. 5, the winding portions 234b and 236b are shown to be wound five times, and the winding portions 234b and 236b wound five times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one coil sheet 230.
  • the winding portions 234b and 236b are formed in a form in which adjacent winding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adjacent winding portions 234b and 236b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 adjacent winding portions 234b and 236b may be formed at intervals of 30 ⁇ m from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 the winding portions 234b and 236b may have a width of 25 ⁇ m and may be formed to be located 5 ⁇ m apart from an adjacent winding portion.
  • the coil pattern part 233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h. Referring to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4, the coil pattern portion 233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30 ⁇ m to 80 ⁇ m.
  •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coil pattern part 233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coil pattern part 233. Specifically,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coil pattern part 233 may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coil pattern part 233.
  • the insulating coating layers 234d and 236d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il sheet 230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one coil pattern part 234 and the other coil pattern part 236.
  • the insulating coating layers 234d and 236d are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o prevent an unintended short circuit of the coil pattern portion 233.
  • connection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pattern portions of other coil sheets adjacent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coil sheet 230 are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insulating coating layers 234d and 236d.
  • signal terminals 204 and 205 to which signals are applied to the winding coil part 203 are also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insulating coating layers 234d and 236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below.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il portion of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il unit 200 is configur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coil sheets 230, 240, 250, and 260.
  • coil pattern portions of each coil shee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coil pattern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il sheets 230, 240, 250, 260 electrically connected in this way constitutes the winding coil portion 203 of the coil portion 200.
  • the coil pattern portion of the coil shee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pattern portion of another coil sheet adjacent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 first, two coil sheets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coil sheet located at the top is referred to as a first coil sheet
  • the coil sheet located at the bottom is referred to as a second coil sheet.
  • the first coil sheet 230 is the upper coil sheet 230
  • the second coil sheet 240 is a coil sheet 240 adjacent to the upper coil sheet 230.
  • the other side coil pattern part 236 of the first coil sheet 2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coil pattern part 244 of the second coil sheet 240.
  • the other end 236c of the other side coil pattern part 236 of the first coil sheet 230 and one end 244a of the one side coil pattern part 244 of the second coil sheet 2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 the other end 236c of the other side coil pattern part 236 of the first coil sheet 230 and one end 244a of the one side coil pattern part 244 of the second coil sheet 240 are on the insulating coating layers 236d and 244d. It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covered.
  • the other end 236c of the other side coil pattern part 236 of the first coil sheet 230 and one end 244a of the one side coil pattern part 244 of the second coil sheet 240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 the other end 236c of the other coil pattern part 236 of the first coil sheet 230 and the one end 244a of the coil pattern part 244 of the second coil sheet 240 are both inner ends or outer ends. desirable.
  • the other end 236c of the other side coil pattern part 236 of the first coil sheet 230 and the one end 244a of one side coil pattern part 244 of the second coil sheet 240 are both inner ends. Shown.
  • the other end 236c of the other side coil pattern part 236 of the first coil sheet 230 and one end 244a of the one side coil pattern part 244 of the second coil sheet 240 may directly contact and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some cases,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with solder or other conductive medium therebetween.
  • the coil pattern portion 233 of the first coil sheet 230 and the coil pattern portion 243 of the second coil sheet 240 are wound in the same direction. Specifically, the other side coil pattern portion 236 of the first coil sheet 230 proceeds to one end 236a, the winding portion 236b, and the other end 236c in a clockwi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top downward. If it is wound, one side of the coil pattern portion 244 of the second coil sheet 240 is also wound in a 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same reference while proceeding to one end 244a, a winding portion 244b, and the other end 244c. Of course, the opposite direction is also possible.
  • the coil pattern part of the first coil sheet 230 When the other coil pattern part 236 of the first coil sheet 230 and the coil pattern part 244 of the second coil sheet 2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coil pattern part of the first coil sheet 230
  • the coil pattern portion 233 of the 233 and the second coil sheet 240 functions as a single coil pattern portion 233 that is electrically wound a plurality of times.
  • the coil part 200 has only the first and second coil sheets 230 and 240
  • the coil pattern part 233 of the first coil sheet 230 is formed in a form of winding 10 times by combining the top and the bottom, and the coil pattern part 243 of the second coil sheet 240 is winding 10 times by combining the top and the bottom.
  • the coil unit 200 has a winding coil unit 203 wound a total of 20 times.
  • the coil unit 200 is configur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coil sheets 230, 240, 250, and 260.
  • the coil pattern portions of each of the coil sheets 230, 240, 250, 26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coil pattern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il sheet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is way constitutes the winding coil portion 203 of the coil portion 200.
  • the winding coil part 203 is electrically wound in one direction.
  • the winding coil unit 203 includes signal terminals 204 and 205 to which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wo signal terminals 204 and 205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nding coil unit 203 are formed.
  • the two signal terminals 204 and 205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coil unit 200, respectively, but may be formed on either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coil unit 200.
  • both signal terminals 204 and 205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il unit 200.
  • the coil sheet 230 includes an upper coil sheet 230 located on the uppermost layer, a lower coil sheet 260 located on the lowermost layer, and an intermediate coil sheet 240 located between the upper coil sheet 230 and the lower coil sheet 260. , 250), etc.
  • the coil unit 200 including four coil sheets 230, 240, 250, 26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coil unit 200 includes an upper coil sheet 230, a first intermediate coil sheet 240, a second intermediate coil sheet 250, and a lower coil sheet 260.
  • the winding coil part 203 of the coil part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winding coil part 203 is connected to the coil pattern parts of each coil sheet 230, 240, 250, 260 Is formed.
  • the other end 236c of the other coil pattern portion of the upper coil sheet 230 and one end 244a of the coil pattern portion of the first intermediate coil sheet 2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 the other end 246c of the other coil pattern portion of the first intermediate coil sheet 240 and one end 254a of the coil pattern portion of the second intermediate coil sheet 250 are electrically connected.
  • the other end 256c of the second coil pattern portion of the second intermediate coil sheet 250 and one end 264a of the coil pattern portion 264 of the lower coil sheet are electrically connected.
  • one end 234a of the coil pattern part on one side of the upper coil sheet 230 corresponds to one end of the winding coil part 203.
  • the other end 266c of the other coil pattern portion of the lower coil sheet 260 corresponds to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coil portion 203.
  • One end 234a of the coil pattern portion of the upper coil sheet 230 i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il sheet 23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il sheet 260 through a connection via hole 206 penetrating the entire coil part 20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 a connection signal terminal 205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234a of the coil pattern por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coil sheet 230 through the connection via hole 206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il sheet 260.
  • the connection signal terminal 205 functions as a second signal terminal 205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il sheet 260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outside.
  • the other end 236c of the coil pattern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oil sheet 260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il sheet 260 and functions as a first signal terminal 204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outside.
  • connection via hole 206 may pass through the entire coil unit 200.
  • the connection via hole 206 may be a connection between via holes 206a, 206b, 206c, and 206d formed in each of the coil sheets 230, 240, 250, and 260.
  • the connection via hole 206 is formed in the via hole 206a formed in the upper coil sheet 230, the via hole 206b formed in the first intermediate coil sheet 240, and the second intermediate coil sheet 250. It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il sheet 23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il sheet 260 through the via hole 206c and the via hole 206d formed in the lower coil sheet 260.
  • two signal terminals 204 and 205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il unit 200.
  • the signal terminals 204 and 205 of the coil unit 200 are connected to the spring 400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outside.
  • each signa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upper spring 410 and the lower spring 420 to apply a signal from the outside. I can receive it.
  • two signal terminals 204 and 205 are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il unit 200, they ar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upper spring 410 and the lower spring 420 to transmit signals from the outside.
  • 8A is a side view in one direction showing a refl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8B is a view of a reflectiv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in parallel with a reflective member.
  • the circuit board part 300 includes a circuit board 310, an extension part 320, and an opening 330.
  • the circuit board 310 is coupled to the seating surface 110. Specifically, the circuit board 31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140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unting surface 110.
  • the coil unit 210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310.
  • an opening 330 into which the ball support 130 is inserted is form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310.
  • an extension part 3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ircuit board 310.
  • the extension part 320 extends from a portion coupled to the seating surface 110. Specifically, the extension part 320 extends along the open path groove 120.
  • the reflective part 400 includes a reflective member 410 and a reflective member accommodating part 420.
  • the reflective member 410 is positioned to face the seating surface 110. That is, the reflective member 410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seating surface 110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00.
  • the unique reflective member 410 is coupled to the reflective member receiving portion 420.
  • the reflective member accommodating part 420 has a shape of a plate member accommodating the reflective member 410.
  •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member accommodating portion 420 is formed to be recessed so that the reflective member 410 can be inserted and seated.
  • a central groove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ball 800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member receiving portion 420. Accordingly, the reflective member receiving portion 420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ball 800.
  • stoppers 421 are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member receiving portion 420.
  • the stopper 421 prevents the reflector 400 from tilting any more when the reflective part 400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the reflective member 41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110.
  • the positioning magnet 500 is positioned between the coil unit 200 and the reflective unit 400.
  • the positioning magnet 500 is coupled to the reflective member 410.
  • the positioning magnet 500 is formed in a square shape through which a central portion is penetrated.
  • the surface facing the seating surface 110 is magnetized as one pole, and the surface facing the reflective member 410 is magnetized as the other electrode.
  • the reflective member 410 is formed of a mirror.
  • the position magnet 500 faces the coil unit 200 and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move the reflective member 410 by interaction with the coil unit 200.
  • Part of the elastic body 600 is coupled to the base 100, and another portion of the elastic body 600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reflective member 410 and the position magnet 500.
  • This elastic body 600 includes an outer portion 610, an inner portion 620 and a connection portion 630.
  • the outer part 610 forms the part. Specifically, the outer portion 610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constitutes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elastic body 600.
  • the inner part 620 is located inside the outer part 610 and forms another part. Specifically, the inner part 620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constitutes the innermost part of the elastic body 600. The inner part 620 for this purpose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part 610.
  • an inner hole into which a stopper may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portion 620.
  • connection part 630 connects the outer part 610 and the inner part 620.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art 630 is formed to be bent at least once.
  • the sensor unit 700 is located inside the sensor unit receiving groove 150. At least two of the sensor units 700 are coupled to face different coils.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700 is coupled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310 where the hollow portion 221 is formed.
  • the sensor unit 700 is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310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magnet 500.
  • the sensor unit 700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710 and a second sensor unit 720.
  • the first sensor unit 71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coil 211.
  • the second sensor unit 72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third and fourth coils 213 and 214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sensor unit 710.
  • the ball 800 is located between the seating surface 110 and the reflective member 410. Specifically, the ball 800 suppor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flective member 410 so as to be seated on the ball support 130. The ball 800 supports the reflective part 400 to be easily tilted in any direction.
  • the gyro sensor 900 is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320.
  • Such a gyro sensor 900 is a 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reflective unit 400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ircuit board 300, the reflective unit 400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il unit 200 and the position magnet 500.
  • the attractive force or repulsive force acts, it is moved by 1 degree so as to be close to or away from the seating surface 110.
  • the reflective part 400 can be tilted in any direction by 1 degree, delicate control is possible.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and a reflective member of a reflectiv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direction.
  • the base 100 may have an empty receiving groove 160 as shown in FIG. 9.
  • a reflective member 410 having a tetrahedral shape may be inserted, and the reflective member 410 at this time is formed of a prism.
  • At least part of the reflective member 41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6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착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안착면에 결합되는 회로 기판,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코일부, 안착면과 대향하게 위치하는 반사부재, 반사부재와 결합되고, 코일부와 대향하여 코일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반사부재를 움직이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위치 마그네트, 일부가 베이스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반사부재 및 위치 마그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탄성체 및 회로 기판에 결합되고, 위치 마그네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반사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사 모듈
본 발명은 반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틸팅 구조를 지원하는 반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용 카메라에는 자동 초점 기능, 손떨림 보정 기능 및 줌 기능 등이 부가되고 있다.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크기가 증가되어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의 장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손떨림 보정을 위하여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를 직접 움직이는 경우에는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 자체의 무게와,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다른 부체들의 무게를 모두 고려하여야 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구동력이 필요하게 되어, 전력 소모가 심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1892857 B1
(특허문헌 2) KR10-1942743 B1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베이스와 반사부 사이를 베이스의 중심에 삽입되는 볼로 연결하고, 위치 마그네트와 코일부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을 통하여 반사부를 틸팅시키는 반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사 모듈은, 안착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안착면에 결합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코일부;
상기 안착면과 대향하게 위치하는 반사부재, 상기 반사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코일부와 대향하여 상기 코일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반사부재를 움직이는 구력을 생성하는 위치 마그네트, 일부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반사부재 및 상기 위치 마그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탄성체 및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위치 마그네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일부를 형성하는 외측부, 상기 외측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내측부 및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한번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도선으로 둘러싸인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중공부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는 상기 센서부를 수용하는 센서부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부 수용홈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과 상기 반사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기 반사부재의 중심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안착면에서 돌출 또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볼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볼 지지부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중앙부에는 상기 볼 지지부가 삽입되는 개구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는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회로 기판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안착면에 결합된 부분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과 인접한 면 사이에 형성되는 경로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경로홈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는 자이로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코일 중 적어도 두 개는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2개가 서로 다른 코일과 대향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기판부 및 상기 기판부에 결합되어 적어도 한 바퀴 이상 감겨진 형태의 코일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패턴부는 상기 기판부의 일 표면에 인쇄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패턴부는, 상기 기판부의 일면에 형성된 일측 코일 패턴부 및 상기 기판부의 타면에 형성된 타측 코일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코일 패턴부와 상기 타측 코일 패턴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복수 개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기판부에 각각 형성된 코일 패턴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마그네트는 중심 부분이 관통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마그네트는 상기 안착면과 대향하는 면이 일극으로 착자되어 있고, 상기 반사부재와 대향하는 면이 타극으로 착자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거울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프리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프리즘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은 베이스와 반사부 사이를 베이스의 중심에 삽입되는 볼로 연결하고, 위치 마그네트와 코일부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을 통하여 반사부를 틸팅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은 어느 방향으로든 반사부를 1도씩 틸팅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코일부의 코일 형상을 상세히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의 (b)는 도 2의 코일부의 배면에 서로 수직하게 장착된 센서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의 코일 시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의 코일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의 코일부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을 반사부재와 평행하도록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의 베이스 및 반사부재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에 대해서 설명하되, 반사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0), 제1 회로 기판(20) 및 AF모듈(3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수용부(11) 및 수용부 커버(12)를 포함한다.
수용부(11)는 도 2를 기준으로 양측 및 상측이 개방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면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결합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의 내부에는 경사진 구조물이 형성되어 베이스(100)와 접하게 된다. 아울러, 수용부(11)의 하면은 2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수용부(11)는 수용부 커버(12)에 의해 둘러싸인다.
수용부 커버(12)는 수용부(11)의 상부 및 측부를 덮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수용부(11)의 하면과 대향하는 수용부 커버(12)의 상면에는 광이 입사되도록 개구부(1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0)는 수용부(11)의 개방된 양측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면서 수용부(11)에 결합된다. 이때, 제1 회로 기판(20)은 연성인쇄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F모듈(30)은 캐리어(31), 렌즈부(32), 이송볼(33), 제2 회로 기판(34), 홀센서부(35), 코일(36), AF 마그네트(37) 및 요크(38)를 포함한다.
캐리어(31)는 상부 및 마주보는 양측이 개방되어 있어 렌즈부(32)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케리어(31)의 하부에는 4개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홀은 4개의 이송볼(33)의 직경보다 가로 및 세로가 작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고정홀은 외부로부터 4개의 이송볼(3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렌즈부(32)은 카메라 모듈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모듈로서, 캐리어(31)의 내부에 안착된다. 렌즈부(32)은 외부로 노출된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는 유리와 같이 투명한 물질의 면을 구면으로 곱게 갈아 물체로부터 오는 빛을 모으거나 발산시켜 광학적 상을 맺게 하는 물체이다. 렌즈부(32)은 렌즈가 캐리어(31)의 개방된 양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송볼(33)은 외부로부터 캐리어(31)의 4개의 고정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이러한 이송볼(33)은 캐리어(31)가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2 회로 기판(34)은 제1 회로 기판(20)과 마찬가지로 연성인쇄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회로 기판(34)은 수용부(11)의 함몰된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로 기판(34)의 일면에는 2개의 홀센서부(35)가 안착된다.
홀센서부(35)는 홀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캠축의 위치를 측정하는 곳에 많이 사용되는 홀센서이다. 홀센서부(35)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자기장을 걸어 주면 전류와 자기장에 수직 방향으로 전압이 발생하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를 알아낸다. 이를 위한 홀센서부(35)는 제2 회로 기판(34)의 일면에 2개가 장착되어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를 센싱한다.
코일(36)은 제2 회로 기판(34)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코일(36)은 2개로 구성되어 제2 회로 기판(34)에 안착된다. 이러한 코일(36)은 제2 회로 기판(3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자기장을 형성하여 AF 마그네트(37)와 상호작용하게 된다.
AF 마그네트(37)는 코일(36)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AF 마그네트(37)는 코일(36)과 대응하여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AF 마그네트(37)는 코일(36)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캐리어(31) 및 렌즈(32)가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요크(38)는 제2 회로 기판(34)의 하부에 위치하고, 코일(36) 및 AF 마그네트(37)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은 베이스(100), 코일부(200), 회로 기판부(300), 반사부(400), 위치 마그네트(500), 탄성체(600), 센서부(700), 볼(800) 및 자이로센서(900)를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사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00)는 안착면(110), 경로홈(120), 볼 지지부(130), 안착홈(140) 및 센서부 수용홈(150)을 포함한다.
안착면(110)은 베이스(100)의 경사진 면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안착면(110)은 서로 수직한 면이 이루는 모서리와 대향하는 면이다. 서로 수직한 면 중 어느 하나와 안착면(110) 사이에는 경로홈(120)이 형성된다.
경로홈(120)은 안착면(110)과 안착면(110)과 인접한 면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로홈(120)에는 회로 기판부(300)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100)는 안착면(110)에서 돌출 또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볼 지지부(130)가 형성된다. 특히, 볼 지지부(130)는 베이스(100)의 안착면(110) 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볼 지지부(130)의 배치는 반사부(400)가 어느 방향으로도 치우침이 없이 전자기력에 의한 틸팅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한편, 안착면(110)에는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홈(14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안착면(110)의 중앙부에는 회로 기판부(300)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착홈(140)에는 회로 기판부(300)가 결합된다.
안착면(110)의 중앙부에 삽입 결합된 회로 기판부(300)의 일면은 안착면(110)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안착면(110)에는 센서부(700)를 수용하는 센서부 수용홈(150)이 형성된다.
센서부 수용홈(150)은 안착면(110)과 인접한 베이스(110)에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센서부(700)가 위치하는 곳에 센서부 수용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a)는 도 2의 코일부의 코일 형상을 상세히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의 (b)는 도 2의 코일부의 배면에 서로 수직하게 장착된 센서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의 저면사시도이다.
코일부(200)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한다. 코일부(200)는 도선으로 둘러싸인 중공부(221)를 형성한다. 이러한 코일부(200)는 코일(210), 절연기판(220) 및 제1, 2, 3, 4 코일 시트(230, 240, 250, 260)를 포함한다.
또한, 코일부(200)는 기판부(202) 및 권선코일부(203)를 포함한다.
기판부(202)는 코일부(200)의 베이스를 이룬다. 기판부(202)는 상하로 관통된 개구(201)를 형성한다. 개구(201)는 렌즈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렌즈삽입구로 기능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렌즈가 탑재된 렌즈부의 외주면이 기판부(202)의 개구(20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기판부(202)는 복수 개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된다.
권선코일부(203)는 기판부(202)에 결합된다. 권선코일부(203)의 기판부(202)의 개구(201)를 둘러싸면서 복수 회 권선된 형태로 형성된다. 권선코일부(203)는 기판부(202)에서 밀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권선코일부(203)는 기판부(202)에서 외측 테두리 부분에 밀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권선코일부(203)의 양단은 신호 단자(204, 205)로 구성된다. 신호단자(204, 205)는 코일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권선코일부(203) 및 신호 단자(204, 205)의 더욱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코일(210)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코일(210)은 경기 트랙과 같이 마주보는 평행선과 상기 평행선을 반원으로 잇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코일(210)은 복수의 코일(211, 212, 213, 214)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코일(211, 212, 213, 214) 중 적어도 두 개(211과 212, 213과 214)는 직교하게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코일(211, 212, 213, 214)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또한, 코일(210)은 절연기판(220)의 일면에 패턴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코일(210)은 제1 코일(211), 제2 코일(212), 제3 코일(213) 및 제4 코일(214)을 포함한다.
제1 코일(211)은 가장 길게 형성되는 코일로서, 절연기판(220)의 일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코일(211)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기판(220)의 일면 하부에 위치한다.
제2 코일(212)은 가장 짧게 형성되는 코일로서, 절연기판(220)의 일면 상부에 위치한다.
제3, 4 코일(213, 214)은 제1 코일(211)보다 짧고 제2 코일(212)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3, 4 코일(213, 214)은 제1, 2 코일(211, 212) 사이에 위치하고, 절연기판(220)의 일면 양측에 위치한다.
절연기판(220)은 코일(210)이 패턴형성되는 곳으로서, 회로 기판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절연기판(220)은 도선과 절연기판(220)으로 둘러싸인 중공부(221)가 형성된다.
코일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시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코일부(200)는 복수의 코일 시트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코일 시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코일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하나의 코일 시트(2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코일 시트는 상부 코일 시트(230), 하부 코일 시트(260) 및 중간 코일 시트(240, 250)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코일 시트(230, 240, 250, 260)는 일부 구성이 상이할 수 있으나, 주요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상부 코일 시트(230)를 기준으로 코일 시트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코일 시트(230)는 기판층(232) 및 기판층(232)의 상하면에 형성된 코일패턴부(233)를 포함한다.
기판층(232)은 절연 재질로 형성된다. 기판층(232)은 연성의 필름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층(232)은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층(232)은 상하로 관통된 개구(231)를 형성한다. 기판층(232)의 개구(231)도 베이스(110)의 개구(111)와 정렬되어 있다.
코일패턴부(233)는 기판부(202)의 일면에 형성된 일측 코일 패턴부(234) 및 기판부(202)의 타면에 형성된 타측 코일 패턴부(236)를 포함한다. 일측 코일패턴부(234)는 기판층(232)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고, 타측 코일패턴부(236)는 기판층(232)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일측 코일 패턴부(234)와 타측 코일 패턴부(236)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코일패턴부(233)는 기판부(202)에 결합되어 적어도 한 바퀴 이상 감겨진 형태로서, 복수 회 권선된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코일패턴부(233)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기판층(232)의 개구(231)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한 코일 패턴부(233)는 기판부(202)의 일 표면에 인쇄된 형태로서, 복수 개의 기판부(202)에 각각 형성된 코일 패턴부(233)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코일패턴부(233)는 기판층(232)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일단(234a, 236a), 타단(234c, 236c) 및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면서 복수 회 권선된 권선부(234b, 236b)를 포함한다. 일단(234a, 236a)과 타단(234c, 236c)은 권선부(234b, 236b)를 기준으로 한 위치에 따라 권선부(234b, 236b)의 내부에 위치한 내측단 및 권선부(234b, 236b)의 외부에 위치한 외측단 중 각각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는 대략적으로 기판층(232)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내측단끼리 또는 외측단끼리는 기판층(232)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는 기판층(232)을 관통하는 비아홀(235)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비아홀(235)은 기판층(232)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도전성으로 형성된다. 비아홀(235)은 기판층(232)을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비아홀(235)은 기판층(232)의 내부에서 비스듬하거나 굴곡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비아홀(235)은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내측단끼리 또는 외측단끼리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측 코일패턴부(234)의 타단(234c)과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일단(236a)이 연결되는 것으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일측 코일패턴부(234)의 타단(234c)과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일단(236a)은 모두 내측단이거나 모두 외측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첨부한 도면에서는 일측 코일패턴부(234)의 타단(234c)과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일단(236a)은 모두 외측단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는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된다. 구체적으로, 일측 코일패턴부(234)가 일단(234a), 권선부(234b) 및 타단(234c)으로 진행하면서 상부에서 하방을 바라봤을 때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다면, 타측 코일패턴부(236)도 일단(236a), 권선부(236b) 및 타단(236c)으로 진행하면서 동일한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다. 물론, 반대 방향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렇게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하나의 코일 시트(230)는 전기적으로 복수 회 권선된 하나의 코일패턴부(233)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일측 코일패턴부(234)가 5회 권선된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 코일패턴부(236)가 5회 권선된 형태로 형성되면,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10회 권선된 코일패턴부(23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코일 시트(230)는 코일패턴부(233)를 덮는 절연 코팅층(234d, 236d)을 더 포함한다. 절연 코팅층(234d, 236d)은 코일 시트(23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어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코일패턴부(233)는 기판층(232)의 일면에서 복수 회 권선된 권선부(234b, 236b)가 밀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권선부(234b, 236b)는 기판층(232)의 일면에서 외측 테두리 부분에 밀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면, 권선부(234b, 236b)는 5회 권선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5회 권선된 권선부(234b, 236b)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여 있다.
도 6은 하나의 코일 시트(230)의 일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권선부(234b, 236b)는 인접한 권선부끼리 서로 이격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인접한 권선부(234b, 236b)는 미리 정해진 간격(a)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인접한 권선부(234b, 236b)는 서로 30㎛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권선부(234b, 236b)는 그 폭이 25㎛로 형성되고, 인접한 권선부와 5㎛ 떨어져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일패턴부(233)는 미리 정해진 두께(h)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코일패턴부(233)는 30㎛ 내지 8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패턴부(233)의 두께를 조절하여 코일패턴부(233)의 전기적인 저항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패턴부(233)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코일패턴부(233)의 전기적인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연 코팅층(234d, 236d)은 코일 시트(23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어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절연 코팅층(234d, 236d)은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코일패턴부(233)의 의도하지 않은 단락 등을 방지한다.
그러나 코일 시트(230)에서 상부 또는 하부에 인접하는 다른 코일시트의 코일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는 절연 코팅층(234d, 236d)에 덮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권선코일부(203)에 신호가 인가되는 신호 단자(204, 205)도 절연 코팅층(234d, 236d)에 덮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코일부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코일부(200)는 복수의 코일 시트(230, 240, 250, 260)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적층된 코일 시트(230, 240, 250, 260)는 각 코일 시트의 코일패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코일 시트(230, 240, 250, 260)의 코일패턴부는 코일부(200)의 권선코일부(203)를 구성한다.
코일 시트의 코일패턴부는 상하로 인접한 다른 코일 시트의 코일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먼저 2개의 코일 시트가 상하로 인접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부에 위치한 코일 시트를 제1 코일 시트라고 하고, 하부에 위치한 코일 시트를 제2 코일 시트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본 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코일 시트(230)는 상부 코일 시트(230)이고, 제2 코일 시트(240)는 상부 코일 시트(230)의 바로 아래 인접한 코일시트(240)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는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타단(236c)과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의 일단(244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타단(236c)과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의 일단(244a)은 절연 코팅층(236d, 244d)에 덮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타단(236c)과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의 일단(244a)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게 된다.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타단(236c)과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의 일단(244a)은 모두 내측단이거나 외측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는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타단(236c)과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의 일단(244a)은 모두 내측단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타단(236c)과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의 일단(244a)은 직접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 사이에 솔더 또는 기타 도전성 매개물을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코일 시트(230)의 코일패턴부(233)와 제2 코일 시트(240)의 코일패턴부(243)는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된다. 구체적으로,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가 일단(236a), 권선부(236b) 및 타단(236c)으로 진행하면서 상부에서 하방을 바라봤을 때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다면,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도 일단(244a), 권선부(244b) 및 타단(244c)으로 진행하면서 동일한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다. 물론, 반대 방향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렇게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와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되면, 제1 코일 시트(230)의 코일패턴부(233)와 제2 코일 시트(240)의 코일패턴부(233)는 전기적으로 복수회 권선된 하나의 코일패턴부(233)로 기능하게 된다.
만약, 코일부(200)가 제1, 제2 코일 시트(230, 240)만을 가지는 것
을 가정하여 설명해보도록 한다. 제1 코일 시트(230)의 코일패턴부(233)가 상부와 하부 합쳐서 10회 권선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2 코일 시트(240)의 코일패턴부(243)가 상부와 하부 합쳐서 10회 권선된 형태로 형성되면, 코일부(200)는 총 20회 권선된 권선코일부(203)를 가지게 된다.
이하, 도 7을 다시 참조하여 복수의 코일 시트(230)가 적층된 코일부(200)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코일부(200)는 복수의 코일 시트(230, 240, 250, 260)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각 코일 시트(230, 240, 250, 260)의 코일패턴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코일 시트의 코일패턴부는 코일부(200)의 권선코일부(203)를 구성한다.
권선코일부(203)는 전기적으로 일 방향으로 권선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권선코일부(203)는 외부에서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는 신호 단자(204, 205)를 포함한다. 신호 단자(204, 205)는 권선코일부(203)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가 형성된다.
2개의 신호 단자(204, 205)는 코일부(2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코일부(20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2개의 신호 단자(204, 205)가 코일부(200)의 하면에 모두 형성된 것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코일 시트(230)는 최상층에 위치하는 상부 코일 시트(230), 최하층에 위치하는 하부 코일 시트(260) 및 상부 코일 시트(230)와 하부 코일 시트(26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코일 시트(240, 250)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코일부(200)가 4개의 코일 시트(230, 240, 250, 260)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코일부(200)는 상부 코일 시트(230), 제1 중간 코일 시트(240), 제2 중간 코일 시트(250) 및 하부 코일 시트(260)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코일부(200)의 권선코일부(203)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권선코일부(203)는 각 코일 시트(230, 240, 250, 260)의 코일패턴부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의 타단(236c)과 제1 중간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의 일단(244a)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 그리고 제1 중간 코일 시트(240)의 타측 코일패턴부의 타단(246c)과 제2 중간 코일 시트(250)의 일측 코일패턴부의 일단(254a)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중간 코일 시트(250)의 타측 코일패턴부의 타단(256c)과 하부 코일 시트의 일측 코일패턴부(264)의 일단(264a)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연결된 권선코일부(203)에서 상부 코일 시트(230)의 일측 코일패턴부의 일단(234a)은 권선코일부(203)의 일단에 해당한다. 그리고 하부 코일 시트(260)의 타측 코일패턴부의 타단(266c)은 권선코일부(203)의 타단에 해당한다.
상부 코일 시트(230)의 일측 코일패턴부의 일단(234a)은 코일부(200) 전체를 관통하는 연결 비아홀(206)을 통해 상부 코일 시트(230)의 상면에서 하부 코일 시트(260)의 하면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코일 시트(260)의 하면에는 상기 연결 비아홀(206)을 통해 상부 코일 시트(230)의 일측 코일패턴부의 일단(23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신호 단자(205)가 형성된다. 연결신호 단자(205)는 하부 코일 시트(260)의 하면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받는 제2 신호 단자(205)로 기능한다.
하부 코일 시트(260)의 타측 코일패턴부의 타단(236c)은 하부 코일 시트(260)의 하면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받는 제1 신호 단자(204)로 기능한다.
연결 비아홀(206)은 코일부(200) 전체를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비아홀(206)은 각각의 코일 시트(230, 240, 250, 260)에 형성된 비아홀(206a, 206b, 206c, 206d)들이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 비아홀(206)은 상부 코일 시트(230)에 형성된 비아홀(206a), 제1 중간 코일 시트(240)에 형성된 비아홀(206b), 제2 중간 코일 시트(250)에 형성된 비아홀(206c) 및 하부 코일 시트(260)에 형성된 비아홀(206d)을 통해 상부 코일 시트(230)의 상면에서 하부 코일 시트(260)의 하면까지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성을 통해 코일부(200)의 하면에는 2개의 신호 단자(204, 205)가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코일부(200)의 상면에 2개의 신호 단자(204, 205)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코일부(200)의 신호 단자(204, 205)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스프링(400)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신호 단자(204, 205)가 코일부(200)의 상면에 하나, 하면에 하나 형성되는 경우에 각각의 신호 단자는 상부 스프링(410)과 하부 스프링(420)과 각각 연결되어 외부에서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그러나 신호 단자(204, 205)가 코일부(200)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한 면에 2개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부 스프링(410)과 하부 스프링(42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을 반사부재와 평행하도록 바라본 도면이다.
회로 기판부(300)는 회로 기판(310), 연장부(320) 및 개구(330)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310)은 안착면(1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회로 기판(310)은 안착면(1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안착홈(14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회로 기판(310)의 일면에는 코일부(210)가 결합된다.
또한, 회로 기판(310)의 중앙부에는 볼 지지부(130)가 삽입되는 개구(330)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나아가, 회로 기판(310)의 일단에는 연장부(320)가 형성된다.
연장부(320)는 안착면(110)에 결합된 부분에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연장부(320)는 개방된 경로홈(120)을 따라 연장된다.
반사부(400)는 반사부재(410) 및 반사부재 수용부(420)를 포함한다.
반사부재(410)는 안착면(110)과 대향하게 위치한다. 즉, 반사부재(410)는 베이스(100)의 하면을 기준으로 경사진 안착면(110)과 평행하도록 위치한다.
싱가한 반사부재(410)는 반사부재 수용부(420)에 결합된다.
반사부재 수용부(420)는 반사부재(410)를 수용하는 판부재 형상을 가진다. 반사부재 수용부(420)의 일면은 반사부재(410)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재 수용부(420)의 타면 중심에는 볼(8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중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재 수용부(420)는 볼(800)과 접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반사부재 수용부(420)의 타면에는 4개의 스토퍼(4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421)는 반사부(400)가 반사부재(410)의 평면을 기준으로 틸팅되어 안착면(110)에 접하게 될 경우, 반사부(400)가 더 이상 틸팅되지 않도록 한다.
위치 마그네트(500)는 코일부(200)와 반사부(400) 사이에 위치한다. 위치 마그네트(500)는 반사부재(410)와 결합된다. 위치 마그네트(500)는 중심 부분이 관통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위치 마그네트(500)는 안착면(110)과 대향하는 면이 일극으로 착자되어 있고, 반사부재(410)와 대향하는 면이 타극으로 착자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사부재(410)는 거울로 형성된다. 상기한 위치 마그네트(500)는 코일부(200)와 대향하여 코일부(20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반사부재(410)를 움직이는 구동력을 생성한다.
탄성체(600)는 일부가 베이스(100)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반사부재(410) 및 위치 마그네트(50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체(600)는 외측부(610), 내측부(620) 및 연결부(630)를 포함한다.
외측부(610)는 상기 일부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외측부(610)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가지고 탄성체(600)의 최외부를 구성한다.
내측부(620)는 외측부(6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내측부(620)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가지고 탄성체(600)의 최내부를 구성한다. 이를 위한 내측부(620)는 외측부(610)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내측부(620)의 적어도 일부에는 스토퍼가 삽입될 수 있는 내측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630)는 외측부(610)와 내측부(62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630)는 적어도 한번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센서부(700)는 센서부 수용홈(150)의 내부에 위치한다. 센서부(700)는 적어도 2개가 서로 다른 코일과 대향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700)는 회로 기판(310)의 중공부(221)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면에 결합된다.
또한, 센서부(700)는 회로 기판(310)의 타면에 결합되어 위치 마그네트(5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러한 센서부(700)는 제1 센서부(710) 및 제2 센서부(720)를 포함한다.
도 3의 (a), (b)를 참조하면, 제1 센서부(710)는 제1 코일(211)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부(720)는 제3, 4 코일(213, 214)과 평행하고 제1 센서부(710)와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볼(800)은 안착면(110)과 반사부재(410) 사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볼(800)은 볼 지지부(130)에 안착되도록 반사부재(410)의 중심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볼(800)은 반사부(400)가 어느 방향으로도 쉽게 틸팅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자이로센서(900)는 연장부(320)에 결합된다. 이라한 자이로센서(900)는 공지기술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의 (a), (b)를 참조하면, 반사부(400)는 회로 기판부(30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부(200)와 위치 마그네트(500)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이 발생하여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함에 따라 안착면(110)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1도씩 움직이게 된다.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은 반사부(400)를 어느 방향으로든 1도씩 틸팅시킬 수 있어 섬세한 제어가 가능하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을 설명하도록 하되,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의 베이스 및 반사부재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에서 베이스(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수용홈(16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60)에는 사면체 형상의 반사부재(41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의 반사부재(410)는 프리즘으로 형성된다.
반사부재(410)는 적어도 일부가 수용홈(160)에 수용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반사 모듈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하우징
11: 수용부
12: 수용부 커버
12a: 개구부
20: 제1 회로 기판
30: AF모듈
31: 캐리어
32: 렌즈부
33: 이송볼
34: 제2 회로 기판
35: 홀센서
36: 코일
37: AF 마그네트
38: 요크
100: 베이스
110: 안착면
120: 경로홈
130: 볼 지지부
140: 안착홈
150: 센서부 수용홈
160: 수용홈
200: 코일부
210: 코일
211: 제1 코일
212: 제2 코일
213: 제3 코일
214: 제4 코일
220: 절연기판
221: 중공부
230: 제1 코일 시트
232: 기판부
233: 코일 패턴부
234: 일측 코일 패턴부
236: 타측 코일 패턴부
240: 제2 코일 시트
243: 코일패턴부
244: 일측 코일 패턴부
246: 타측 코일 패턴부
250: 제3 코일 시트
254: 일측 코일 패턴부
256: 타측 코일 패턴부
260: 제4 코일 시트
264: 일측 코일 패턴부
266: 타측 코일 패턴부
300: 회로 기판부
310: 회로 기판
320: 연장부
330: 개구
400: 반사부
410: 반사부재
420: 반사부재 수용부
421: 스토퍼
500: 위치 마그네트
600: 탄성체
610: 외측부
620: 내측부
630: 연결부
700: 센서부
710: 제1 센서부
720: 제2 센서부
800: 볼
900: 자이로센서

Claims (26)

  1. 안착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안착면에 결합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코일부;
    상기 안착면과 대향하게 위치하는 반사부재;
    상기 반사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코일부와 대향하여 상기 코일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반사부재를 움직이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위치 마그네트;
    일부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반사부재 및 상기 위치 마그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탄성체; 및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위치 마그네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반사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일부를 형성하는 외측부;
    상기 외측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내측부; 및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반사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한번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반사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타면에 결합되는 반사 모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도선으로 둘러싸인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중공부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면에 결합되는 반사 모듈.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는 상기 센서부를 수용하는 센서부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부 수용홈의 내부에 위치하는 반사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과 상기 반사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볼을 더 포함하는 반사 모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기 반사부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반사 모듈.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안착면에서 돌출 또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볼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볼 지지부에 안착되는 반사 모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중앙부에는 상기 볼 지지부가 삽입되는 개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반사 모듈.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는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회로 기판이 결합되는 반사 모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안착면에 결합된 부분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반사 모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과 인접한 면 사이에 형성되는 경로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경로홈을 따라 연장되는 반사 모듈.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는 자이로센서를 더 포함하는 반사 모듈.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코일 중 적어도 두 개는 직교하게 배치되는 반사 모듈.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반사 모듈.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2개가 서로 다른 코일과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반사 모듈.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기판부; 및
    상기 기판부에 결합되어 적어도 한 바퀴 이상 감겨진 형태의 코일 패턴부를 포함하는 반사 모듈.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패턴부는 상기 기판부의 일 표면에 인쇄된 형태인 반사 모듈.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패턴부는,
    상기 기판부의 일면에 형성된 일측 코일 패턴부; 및
    상기 기판부의 타면에 형성된 타측 코일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코일 패턴부와 상기 타측 코일 패턴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사 모듈.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복수 개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기판부에 각각 형성된 코일 패턴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사 모듈.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마그네트는 중심 부분이 관통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반사 모듈.
  2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마그네트는 상기 안착면과 대향하는 면이 일극으로 착자되어 있고, 상기 반사부재와 대향하는 면이 타극으로 착자되어 있는 반사 모듈.
  2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거울로 형성되는 반사 모듈.
  2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프리즘으로 형성되는 반사 모듈.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프리즘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반사 모듈.
PCT/KR2020/006281 2019-06-25 2020-05-13 반사 모듈 WO202026282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925A KR102258454B1 (ko) 2019-06-25 2019-06-25 반사 모듈
KR10-2019-0075925 2019-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2821A1 true WO2020262821A1 (ko) 2020-12-30

Family

ID=74060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6281 WO2020262821A1 (ko) 2019-06-25 2020-05-13 반사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8454B1 (ko)
WO (1) WO202026282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4281A (en) * 1995-12-05 2000-11-07 Smiths Industries Aerospace & Defense Systems, Inc. Flexible lead electromagnetic coil assembly
KR20090084505A (ko) * 2008-02-01 2009-08-05 (주)캠톤 영상촬영장치의 손떨림 보정을 위한 틸트구동장치
KR20160042066A (ko) * 2013-08-08 2016-04-18 애플 인크. 미러 틸트 작동
KR20180097228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80102946A (ko) * 2017-03-08 2018-09-18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4281A (en) * 1995-12-05 2000-11-07 Smiths Industries Aerospace & Defense Systems, Inc. Flexible lead electromagnetic coil assembly
KR20090084505A (ko) * 2008-02-01 2009-08-05 (주)캠톤 영상촬영장치의 손떨림 보정을 위한 틸트구동장치
KR20160042066A (ko) * 2013-08-08 2016-04-18 애플 인크. 미러 틸트 작동
KR20180097228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80102946A (ko) * 2017-03-08 2018-09-18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454B1 (ko) 2021-05-31
KR20210000590A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35784A1 (en) Camera module and camera device
WO2017191927A1 (en) Dual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9182307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WO2017003140A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1155809A2 (ko) 소형 카메라 엑츄에이터 및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
WO2018212616A1 (ko) 카메라 모듈
WO2017090940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8012813A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7007249A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7010745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6126061A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8056770A1 (ko) 카메라 렌즈 배럴, 카메라 모듈 및 광학 장치
WO2018021740A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7188771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7179845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8182239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9066530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20004975A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WO2017039292A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20213862A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7078392A1 (ko) 카메라 모듈
WO2020004935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WO2021020738A2 (ko) 카메라 모듈
WO2017196023A1 (en) Camera module and auto focusing method thereof
WO2020242039A1 (ko) 액체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328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328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