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590A - 반사 모듈 - Google Patents

반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590A
KR20210000590A KR1020190075925A KR20190075925A KR20210000590A KR 20210000590 A KR20210000590 A KR 20210000590A KR 1020190075925 A KR1020190075925 A KR 1020190075925A KR 20190075925 A KR20190075925 A KR 20190075925A KR 20210000590 A KR20210000590 A KR 20210000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eflective
coupled
modul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8454B1 (ko
Inventor
윤금영
김형주
박윤성
맹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티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티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티맥
Priority to KR102019007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454B1/ko
Priority to PCT/KR2020/006281 priority patent/WO2020262821A1/ko
Publication of KR2021000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착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안착면에 결합되는 회로 기판,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코일부, 안착면과 대향하게 위치하는 반사부재, 반사부재와 결합되고, 코일부와 대향하여 코일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반사부재를 움직이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위치 마그네트, 일부가 베이스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반사부재 및 위치 마그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탄성체 및 회로 기판에 결합되고, 위치 마그네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반사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사 모듈{A reflect module}
본 발명은 반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틸팅 구조를 지원하는 반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용 카메라에는 자동 초점 기능, 손떨림 보정 기능 및 줌 기능 등이 부가되고 있다.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크기가 증가되어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의 장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손떨림 보정을 위하여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를 직접 움직이는 경우에는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 자체의 무게와,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다른 부체들의 무게를 모두 고려하여야 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구동력이 필요하게 되어, 전력 소모가 심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1892857 B1
(특허문헌 2) KR10-1942743 B1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베이스와 반사부 사이를 베이스의 중심에 삽입되는 볼로 연결하고, 위치 마그네트와 코일부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을 통하여 반사부를 틸팅시키는 반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사 모듈은, 안착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안착면에 결합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코일부;
상기 안착면과 대향하게 위치하는 반사부재, 상기 반사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코일부와 대향하여 상기 코일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반사부재를 움직이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위치 마그네트, 일부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반사부재 및 상기 위치 마그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탄성체 및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위치 마그네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일부를 형성하는 외측부, 상기 외측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내측부 및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한번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도선으로 둘러싸인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중공부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는 상기 센서부를 수용하는 센서부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부 수용홈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과 상기 반사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기 반사부재의 중심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안착면에서 돌출 또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볼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볼 지지부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중앙부에는 상기 볼 지지부가 삽입되는 개구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는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회로 기판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안착면에 결합된 부분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과 인접한 면 사이에 형성되는 경로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경로홈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는 자이로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코일 중 적어도 두 개는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2개가 서로 다른 코일과 대향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기판부 및 상기 기판부에 결합되어 적어도 한 바퀴 이상 감겨진 형태의 코일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패턴부는 상기 기판부의 일 표면에 인쇄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패턴부는, 상기 기판부의 일면에 형성된 일측 코일 패턴부 및 상기 기판부의 타면에 형성된 타측 코일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코일 패턴부와 상기 타측 코일 패턴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복수 개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기판부에 각각 형성된 코일 패턴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마그네트는 중심 부분이 관통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마그네트는 상기 안착면과 대향하는 면이 일극으로 착자되어 있고, 상기 반사부재와 대향하는 면이 타극으로 착자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거울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프리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프리즘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은 베이스와 반사부 사이를 베이스의 중심에 삽입되는 볼로 연결하고, 위치 마그네트와 코일부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을 통하여 반사부를 틸팅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은 어느 방향으로든 반사부를 1도씩 틸팅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코일부의 코일 형상을 상세히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의 (b)는 도 2의 코일부의 배면에 서로 수직하게 장착된 센서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의 코일 시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의 코일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의 코일부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을 반사부재와 평행하도록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의 베이스 및 반사부재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에 대해서 설명하되, 반사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0), 제1 회로 기판(20) 및 AF모듈(3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수용부(11) 및 수용부 커버(12)를 포함한다.
수용부(11)는 도 2를 기준으로 양측 및 상측이 개방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면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결합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의 내부에는 경사진 구조물이 형성되어 베이스(100)와 접하게 된다. 아울러, 수용부(11)의 하면은 2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수용부(11)는 수용부 커버(12)에 의해 둘러싸인다.
수용부 커버(12)는 수용부(11)의 상부 및 측부를 덮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수용부(11)의 하면과 대향하는 수용부 커버(12)의 상면에는 광이 입사되도록 개구부(1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0)는 수용부(11)의 개방된 양측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면서 수용부(11)에 결합된다. 이때, 제1 회로 기판(20)은 연성인쇄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F모듈(30)은 캐리어(31), 렌즈부(32), 이송볼(33), 제2 회로 기판(34), 홀센서부(35), 코일(36), AF 마그네트(37) 및 요크(38)를 포함한다.
캐리어(31)는 상부 및 마주보는 양측이 개방되어 있어 렌즈부(32)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케리어(31)의 하부에는 4개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홀은 4개의 이송볼(33)의 직경보다 가로 및 세로가 작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고정홀은 외부로부터 4개의 이송볼(3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렌즈부(32)은 카메라 모듈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모듈로서, 캐리어(31)의 내부에 안착된다. 렌즈부(32)은 외부로 노출된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는 유리와 같이 투명한 물질의 면을 구면으로 곱게 갈아 물체로부터 오는 빛을 모으거나 발산시켜 광학적 상을 맺게 하는 물체이다. 렌즈부(32)은 렌즈가 캐리어(31)의 개방된 양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송볼(33)은 외부로부터 캐리어(31)의 4개의 고정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이러한 이송볼(33)은 캐리어(31)가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2 회로 기판(34)은 제1 회로 기판(20)과 마찬가지로 연성인쇄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회로 기판(34)은 수용부(11)의 함몰된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로 기판(34)의 일면에는 2개의 홀센서부(35)가 안착된다.
홀센서부(35)는 홀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캠축의 위치를 측정하는 곳에 많이 사용되는 홀센서이다. 홀센서부(35)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자기장을 걸어 주면 전류와 자기장에 수직 방향으로 전압이 발생하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를 알아낸다. 이를 위한 홀센서부(35)는 제2 회로 기판(34)의 일면에 2개가 장착되어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를 센싱한다.
코일(36)은 제2 회로 기판(34)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코일(36)은 2개로 구성되어 제2 회로 기판(34)에 안착된다. 이러한 코일(36)은 제2 회로 기판(3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자기장을 형성하여 AF 마그네트(37)와 상호작용하게 된다.
AF 마그네트(37)는 코일(36)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AF 마그네트(37)는 코일(36)과 대응하여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AF 마그네트(37)는 코일(36)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캐리어(31) 및 렌즈(32)가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요크(38)는 제2 회로 기판(34)의 하부에 위치하고, 코일(36) 및 AF 마그네트(37)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은 베이스(100), 코일부(200), 회로 기판부(300), 반사부(400), 위치 마그네트(500), 탄성체(600), 센서부(700), 볼(800) 및 자이로센서(900)를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사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00)는 안착면(110), 경로홈(120), 볼 지지부(130), 안착홈(140) 및 센서부 수용홈(150)을 포함한다.
안착면(110)은 베이스(100)의 경사진 면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안착면(110)은 서로 수직한 면이 이루는 모서리와 대향하는 면이다. 서로 수직한 면 중 어느 하나와 안착면(110) 사이에는 경로홈(120)이 형성된다.
경로홈(120)은 안착면(110)과 안착면(110)과 인접한 면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로홈(120)에는 회로 기판부(300)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100)는 안착면(110)에서 돌출 또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볼 지지부(130)가 형성된다. 특히, 볼 지지부(130)는 베이스(100)의 안착면(110) 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볼 지지부(130)의 배치는 반사부(400)가 어느 방향으로도 치우침이 없이 전자기력에 의한 틸팅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한편, 안착면(110)에는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홈(14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안착면(110)의 중앙부에는 회로 기판부(300)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착홈(140)에는 회로 기판부(300)가 결합된다.
안착면(110)의 중앙부에 삽입 결합된 회로 기판부(300)의 일면은 안착면(110)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안착면(110)에는 센서부(700)를 수용하는 센서부 수용홈(150)이 형성된다.
센서부 수용홈(150)은 안착면(110)과 인접한 베이스(110)에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센서부(700)가 위치하는 곳에 센서부 수용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a)는 도 2의 코일부의 코일 형상을 상세히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의 (b)는 도 2의 코일부의 배면에 서로 수직하게 장착된 센서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의 저면사시도이다.
코일부(200)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한다. 코일부(200)는 도선으로 둘러싸인 중공부(221)를 형성한다. 이러한 코일부(200)는 코일(210), 절연기판(220) 및 제1, 2, 3, 4 코일 시트(230, 240, 250, 260)를 포함한다.
또한, 코일부(200)는 기판부(202) 및 권선코일부(203)를 포함한다.
기판부(202)는 코일부(200)의 베이스를 이룬다. 기판부(202)는 상하로 관통된 개구(201)를 형성한다. 개구(201)는 렌즈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렌즈삽입구로 기능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렌즈가 탑재된 렌즈부의 외주면이 기판부(202)의 개구(20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기판부(202)는 복수 개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된다.
권선코일부(203)는 기판부(202)에 결합된다. 권선코일부(203)의 기판부(202)의 개구(201)를 둘러싸면서 복수 회 권선된 형태로 형성된다. 권선코일부(203)는 기판부(202)에서 밀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권선코일부(203)는 기판부(202)에서 외측 테두리 부분에 밀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권선코일부(203)의 양단은 신호 단자(204, 205)로 구성된다. 신호단자(204, 205)는 코일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권선코일부(203) 및 신호 단자(204, 205)의 더욱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코일(210)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코일(210)은 경기 트랙과 같이 마주보는 평행선과 상기 평행선을 반원으로 잇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코일(210)은 복수의 코일(211, 212, 213, 214)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코일(211, 212, 213, 214) 중 적어도 두 개(211과 212, 213과 214)는 직교하게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코일(211, 212, 213, 214)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또한, 코일(210)은 절연기판(220)의 일면에 패턴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코일(210)은 제1 코일(211), 제2 코일(212), 제3 코일(213) 및 제4 코일(214)을 포함한다.
제1 코일(211)은 가장 길게 형성되는 코일로서, 절연기판(220)의 일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코일(211)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기판(220)의 일면 하부에 위치한다.
제2 코일(212)은 가장 짧게 형성되는 코일로서, 절연기판(220)의 일면 상부에 위치한다.
제3, 4 코일(213, 214)은 제1 코일(211)보다 짧고 제2 코일(212)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3, 4 코일(213, 214)은 제1, 2 코일(211, 212) 사이에 위치하고, 절연기판(220)의 일면 양측에 위치한다.
절연기판(220)은 코일(210)이 패턴형성되는 곳으로서, 회로 기판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절연기판(220)은 도선과 절연기판(220)으로 둘러싸인 중공부(221)가 형성된다.
코일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시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코일부(200)는 복수의 코일 시트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코일 시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코일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하나의 코일 시트(2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코일 시트는 상부 코일 시트(230), 하부 코일 시트(260) 및 중간 코일 시트(240, 250)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코일 시트(230, 240, 250, 260)는 일부 구성이 상이할 수 있으나, 주요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상부 코일 시트(230)를 기준으로 코일 시트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코일 시트(230)는 기판층(232) 및 기판층(232)의 상하면에 형성된 코일패턴부(233)를 포함한다.
기판층(232)은 절연 재질로 형성된다. 기판층(232)은 연성의 필름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층(232)은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층(232)은 상하로 관통된 개구(231)를 형성한다. 기판층(232)의 개구(231)도 베이스(110)의 개구(111)와 정렬되어 있다.
코일패턴부(233)는 기판부(202)의 일면에 형성된 일측 코일 패턴부(234) 및 기판부(202)의 타면에 형성된 타측 코일 패턴부(236)를 포함한다. 일측 코일패턴부(234)는 기판층(232)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고, 타측 코일패턴부(236)는 기판층(232)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일측 코일 패턴부(234)와 타측 코일 패턴부(236)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코일패턴부(233)는 기판부(202)에 결합되어 적어도 한 바퀴 이상 감겨진 형태로서, 복수 회 권선된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코일패턴부(233)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기판층(232)의 개구(231)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한 코일 패턴부(233)는 기판부(202)의 일 표면에 인쇄된 형태로서, 복수 개의 기판부(202)에 각각 형성된 코일 패턴부(233)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코일패턴부(233)는 기판층(232)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일단(234a, 236a), 타단(234c, 236c) 및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면서 복수 회 권선된 권선부(234b, 236b)를 포함한다. 일단(234a, 236a)과 타단(234c, 236c)은 권선부(234b, 236b)를 기준으로 한 위치에 따라 권선부(234b, 236b)의 내부에 위치한 내측단 및 권선부(234b, 236b)의 외부에 위치한 외측단 중 각각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는 대략적으로 기판층(232)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내측단끼리 또는 외측단끼리는 기판층(232)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는 기판층(232)을 관통하는 비아홀(235)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비아홀(235)은 기판층(232)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도전성으로 형성된다. 비아홀(235)은 기판층(232)을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비아홀(235)은 기판층(232)의 내부에서 비스듬하거나 굴곡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비아홀(235)은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내측단끼리 또는 외측단끼리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측 코일패턴부(234)의 타단(234c)과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일단(236a)이 연결되는 것으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일측 코일패턴부(234)의 타단(234c)과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일단(236a)은 모두 내측단이거나 모두 외측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첨부한 도면에서는 일측 코일패턴부(234)의 타단(234c)과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일단(236a)은 모두 외측단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는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된다. 구체적으로, 일측 코일패턴부(234)가 일단(234a), 권선부(234b) 및 타단(234c)으로 진행하면서 상부에서 하방을 바라봤을 때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다면, 타측 코일패턴부(236)도 일단(236a), 권선부(236b) 및 타단(236c)으로 진행하면서 동일한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다. 물론, 반대 방향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렇게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하나의 코일 시트(230)는 전기적으로 복수 회 권선된 하나의 코일패턴부(233)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일측 코일패턴부(234)가 5회 권선된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 코일패턴부(236)가 5회 권선된 형태로 형성되면,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10회 권선된 코일패턴부(23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코일 시트(230)는 코일패턴부(233)를 덮는 절연 코팅층(234d, 236d)을 더 포함한다. 절연 코팅층(234d, 236d)은 코일 시트(23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어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코일패턴부(233)는 기판층(232)의 일면에서 복수 회 권선된 권선부(234b, 236b)가 밀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권선부(234b, 236b)는 기판층(232)의 일면에서 외측 테두리 부분에 밀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면, 권선부(234b, 236b)는 5회 권선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5회 권선된 권선부(234b, 236b)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여 있다.
도 6은 하나의 코일 시트(230)의 일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권선부(234b, 236b)는 인접한 권선부끼리 서로 이격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인접한 권선부(234b, 236b)는 미리 정해진 간격(a)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인접한 권선부(234b, 236b)는 서로 30㎛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권선부(234b, 236b)는 그 폭이 25㎛로 형성되고, 인접한 권선부와 5㎛ 떨어져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일패턴부(233)는 미리 정해진 두께(h)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코일패턴부(233)는 30㎛ 내지 8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패턴부(233)의 두께를 조절하여 코일패턴부(233)의 전기적인 저항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패턴부(233)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코일패턴부(233)의 전기적인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연 코팅층(234d, 236d)은 코일 시트(23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어 일측 코일패턴부(234)와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절연 코팅층(234d, 236d)은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코일패턴부(233)의 의도하지 않은 단락 등을 방지한다.
그러나 코일 시트(230)에서 상부 또는 하부에 인접하는 다른 코일시트의 코일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는 절연 코팅층(234d, 236d)에 덮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권선코일부(203)에 신호가 인가되는 신호 단자(204, 205)도 절연 코팅층(234d, 236d)에 덮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코일부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코일부(200)는 복수의 코일 시트(230, 240, 250, 260)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적층된 코일 시트(230, 240, 250, 260)는 각 코일 시트의 코일패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코일 시트(230, 240, 250, 260)의 코일패턴부는 코일부(200)의 권선코일부(203)를 구성한다.
코일 시트의 코일패턴부는 상하로 인접한 다른 코일 시트의 코일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먼저 2개의 코일 시트가 상하로 인접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부에 위치한 코일 시트를 제1 코일 시트라고 하고, 하부에 위치한 코일 시트를 제2 코일 시트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본 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코일 시트(230)는 상부 코일 시트(230)이고, 제2 코일 시트(240)는 상부 코일 시트(230)의 바로 아래 인접한 코일시트(240)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는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타단(236c)과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의 일단(244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타단(236c)과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의 일단(244a)은 절연 코팅층(236d, 244d)에 덮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타단(236c)과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의 일단(244a)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게 된다.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타단(236c)과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의 일단(244a)은 모두 내측단이거나 외측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는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타단(236c)과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의 일단(244a)은 모두 내측단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의 타단(236c)과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의 일단(244a)은 직접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 사이에 솔더 또는 기타 도전성 매개물을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코일 시트(230)의 코일패턴부(233)와 제2 코일 시트(240)의 코일패턴부(243)는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된다. 구체적으로,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가 일단(236a), 권선부(236b) 및 타단(236c)으로 진행하면서 상부에서 하방을 바라봤을 때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다면,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도 일단(244a), 권선부(244b) 및 타단(244c)으로 진행하면서 동일한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다. 물론, 반대 방향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렇게 제1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236)와 제2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24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되면, 제1 코일 시트(230)의 코일패턴부(233)와 제2 코일 시트(240)의 코일패턴부(233)는 전기적으로 복수회 권선된 하나의 코일패턴부(233)로 기능하게 된다.
만약, 코일부(200)가 제1, 제2 코일 시트(230, 240)만을 가지는 것
을 가정하여 설명해보도록 한다. 제1 코일 시트(230)의 코일패턴부(233)가 상부와 하부 합쳐서 10회 권선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2 코일 시트(240)의 코일패턴부(243)가 상부와 하부 합쳐서 10회 권선된 형태로 형성되면, 코일부(200)는 총 20회 권선된 권선코일부(203)를 가지게 된다.
이하, 도 7을 다시 참조하여 복수의 코일 시트(230)가 적층된 코일부(200)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코일부(200)는 복수의 코일 시트(230, 240, 250, 260)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각 코일 시트(230, 240, 250, 260)의 코일패턴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코일 시트의 코일패턴부는 코일부(200)의 권선코일부(203)를 구성한다.
권선코일부(203)는 전기적으로 일 방향으로 권선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권선코일부(203)는 외부에서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는 신호 단자(204, 205)를 포함한다. 신호 단자(204, 205)는 권선코일부(203)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가 형성된다.
2개의 신호 단자(204, 205)는 코일부(2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코일부(20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2개의 신호 단자(204, 205)가 코일부(200)의 하면에 모두 형성된 것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코일 시트(230)는 최상층에 위치하는 상부 코일 시트(230), 최하층에 위치하는 하부 코일 시트(260) 및 상부 코일 시트(230)와 하부 코일 시트(26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코일 시트(240, 250)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코일부(200)가 4개의 코일 시트(230, 240, 250, 260)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코일부(200)는 상부 코일 시트(230), 제1 중간 코일 시트(240), 제2 중간 코일 시트(250) 및 하부 코일 시트(260)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코일부(200)의 권선코일부(203)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권선코일부(203)는 각 코일 시트(230, 240, 250, 260)의 코일패턴부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코일 시트(230)의 타측 코일패턴부의 타단(236c)과 제1 중간 코일 시트(240)의 일측 코일패턴부의 일단(244a)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 그리고 제1 중간 코일 시트(240)의 타측 코일패턴부의 타단(246c)과 제2 중간 코일 시트(250)의 일측 코일패턴부의 일단(254a)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중간 코일 시트(250)의 타측 코일패턴부의 타단(256c)과 하부 코일 시트의 일측 코일패턴부(264)의 일단(264a)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연결된 권선코일부(203)에서 상부 코일 시트(230)의 일측 코일패턴부의 일단(234a)은 권선코일부(203)의 일단에 해당한다. 그리고 하부 코일 시트(260)의 타측 코일패턴부의 타단(266c)은 권선코일부(203)의 타단에 해당한다.
상부 코일 시트(230)의 일측 코일패턴부의 일단(234a)은 코일부(200) 전체를 관통하는 연결 비아홀(206)을 통해 상부 코일 시트(230)의 상면에서 하부 코일 시트(260)의 하면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코일 시트(260)의 하면에는 상기 연결 비아홀(206)을 통해 상부 코일 시트(230)의 일측 코일패턴부의 일단(23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신호 단자(205)가 형성된다. 연결신호 단자(205)는 하부 코일 시트(260)의 하면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받는 제2 신호 단자(205)로 기능한다.
하부 코일 시트(260)의 타측 코일패턴부의 타단(236c)은 하부 코일 시트(260)의 하면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받는 제1 신호 단자(204)로 기능한다.
연결 비아홀(206)은 코일부(200) 전체를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비아홀(206)은 각각의 코일 시트(230, 240, 250, 260)에 형성된 비아홀(206a, 206b, 206c, 206d)들이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 비아홀(206)은 상부 코일 시트(230)에 형성된 비아홀(206a), 제1 중간 코일 시트(240)에 형성된 비아홀(206b), 제2 중간 코일 시트(250)에 형성된 비아홀(206c) 및 하부 코일 시트(260)에 형성된 비아홀(206d)을 통해 상부 코일 시트(230)의 상면에서 하부 코일 시트(260)의 하면까지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성을 통해 코일부(200)의 하면에는 2개의 신호 단자(204, 205)가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코일부(200)의 상면에 2개의 신호 단자(204, 205)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코일부(200)의 신호 단자(204, 205)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스프링(400)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신호 단자(204, 205)가 코일부(200)의 상면에 하나, 하면에 하나 형성되는 경우에 각각의 신호 단자는 상부 스프링(410)과 하부 스프링(420)과 각각 연결되어 외부에서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그러나 신호 단자(204, 205)가 코일부(200)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한 면에 2개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부 스프링(410)과 하부 스프링(42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을 반사부재와 평행하도록 바라본 도면이다.
회로 기판부(300)는 회로 기판(310), 연장부(320) 및 개구(330)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310)은 안착면(1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회로 기판(310)은 안착면(1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안착홈(14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회로 기판(310)의 일면에는 코일부(210)가 결합된다.
또한, 회로 기판(310)의 중앙부에는 볼 지지부(130)가 삽입되는 개구(330)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나아가, 회로 기판(310)의 일단에는 연장부(320)가 형성된다.
연장부(320)는 안착면(110)에 결합된 부분에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연장부(320)는 개방된 경로홈(120)을 따라 연장된다.
반사부(400)는 반사부재(410) 및 반사부재 수용부(420)를 포함한다.
반사부재(410)는 안착면(110)과 대향하게 위치한다. 즉, 반사부재(410)는 베이스(100)의 하면을 기준으로 경사진 안착면(110)과 평행하도록 위치한다.
싱가한 반사부재(410)는 반사부재 수용부(420)에 결합된다.
반사부재 수용부(420)는 반사부재(410)를 수용하는 판부재 형상을 가진다. 반사부재 수용부(420)의 일면은 반사부재(410)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재 수용부(420)의 타면 중심에는 볼(8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중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재 수용부(420)는 볼(800)과 접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반사부재 수용부(420)의 타면에는 4개의 스토퍼(4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421)는 반사부(400)가 반사부재(410)의 평면을 기준으로 틸팅되어 안착면(110)에 접하게 될 경우, 반사부(400)가 더 이상 틸팅되지 않도록 한다.
위치 마그네트(500)는 코일부(200)와 반사부(400) 사이에 위치한다. 위치 마그네트(500)는 반사부재(410)와 결합된다. 위치 마그네트(500)는 중심 부분이 관통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위치 마그네트(500)는 안착면(110)과 대향하는 면이 일극으로 착자되어 있고, 반사부재(410)와 대향하는 면이 타극으로 착자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사부재(410)는 거울로 형성된다. 상기한 위치 마그네트(500)는 코일부(200)와 대향하여 코일부(20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반사부재(410)를 움직이는 구동력을 생성한다.
탄성체(600)는 일부가 베이스(100)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반사부재(410) 및 위치 마그네트(50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체(600)는 외측부(610), 내측부(620) 및 연결부(630)를 포함한다.
외측부(610)는 상기 일부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외측부(610)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가지고 탄성체(600)의 최외부를 구성한다.
내측부(620)는 외측부(6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내측부(620)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가지고 탄성체(600)의 최내부를 구성한다. 이를 위한 내측부(620)는 외측부(610)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내측부(620)의 적어도 일부에는 스토퍼가 삽입될 수 있는 내측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630)는 외측부(610)와 내측부(62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630)는 적어도 한번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센서부(700)는 센서부 수용홈(150)의 내부에 위치한다. 센서부(700)는 적어도 2개가 서로 다른 코일과 대향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700)는 회로 기판(310)의 중공부(221)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면에 결합된다.
또한, 센서부(700)는 회로 기판(310)의 타면에 결합되어 위치 마그네트(5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러한 센서부(700)는 제1 센서부(710) 및 제2 센서부(720)를 포함한다.
도 3의 (a), (b)를 참조하면, 제1 센서부(710)는 제1 코일(211)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부(720)는 제3, 4 코일(213, 214)과 평행하고 제1 센서부(710)와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볼(800)은 안착면(110)과 반사부재(410) 사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볼(800)은 볼 지지부(130)에 안착되도록 반사부재(410)의 중심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볼(800)은 반사부(400)가 어느 방향으로도 쉽게 틸팅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자이로센서(900)는 연장부(320)에 결합된다. 이라한 자이로센서(900)는 공지기술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의 (a), (b)를 참조하면, 반사부(400)는 회로 기판부(30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부(200)와 위치 마그네트(500)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이 발생하여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함에 따라 안착면(110)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1도씩 움직이게 된다.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은 반사부(400)를 어느 방향으로든 1도씩 틸팅시킬 수 있어 섬세한 제어가 가능하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을 설명하도록 하되,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의 베이스 및 반사부재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듈에서 베이스(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수용홈(16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60)에는 사면체 형상의 반사부재(41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의 반사부재(410)는 프리즘으로 형성된다.
반사부재(410)는 적어도 일부가 수용홈(160)에 수용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반사 모듈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하우징
11: 수용부
12: 수용부 커버
12a: 개구부
20: 제1 회로 기판
30: AF모듈
31: 캐리어
32: 렌즈부
33: 이송볼
34: 제2 회로 기판
35: 홀센서
36: 코일
37: AF 마그네트
38: 요크
100: 베이스
110: 안착면
120: 경로홈
130: 볼 지지부
140: 안착홈
150: 센서부 수용홈
160: 수용홈
200: 코일부
210: 코일
211: 제1 코일
212: 제2 코일
213: 제3 코일
214: 제4 코일
220: 절연기판
221: 중공부
230: 제1 코일 시트
232: 기판부
233: 코일 패턴부
234: 일측 코일 패턴부
236: 타측 코일 패턴부
240: 제2 코일 시트
243: 코일패턴부
244: 일측 코일 패턴부
246: 타측 코일 패턴부
250: 제3 코일 시트
254: 일측 코일 패턴부
256: 타측 코일 패턴부
260: 제4 코일 시트
264: 일측 코일 패턴부
266: 타측 코일 패턴부
300: 회로 기판부
310: 회로 기판
320: 연장부
330: 개구
400: 반사부
410: 반사부재
420: 반사부재 수용부
421: 스토퍼
500: 위치 마그네트
600: 탄성체
610: 외측부
620: 내측부
630: 연결부
700: 센서부
710: 제1 센서부
720: 제2 센서부
800: 볼
900: 자이로센서

Claims (26)

  1. 안착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안착면에 결합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코일부;
    상기 안착면과 대향하게 위치하는 반사부재;
    상기 반사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코일부와 대향하여 상기 코일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반사부재를 움직이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위치 마그네트;
    일부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반사부재 및 상기 위치 마그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탄성체; 및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위치 마그네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반사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일부를 형성하는 외측부;
    상기 외측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내측부; 및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반사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한번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반사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타면에 결합되는 반사 모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도선으로 둘러싸인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중공부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면에 결합되는 반사 모듈.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는 상기 센서부를 수용하는 센서부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부 수용홈의 내부에 위치하는 반사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과 상기 반사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볼을 더 포함하는 반사 모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기 반사부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반사 모듈.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안착면에서 돌출 또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볼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볼 지지부에 안착되는 반사 모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중앙부에는 상기 볼 지지부가 삽입되는 개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반사 모듈.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는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회로 기판이 결합되는 반사 모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안착면에 결합된 부분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반사 모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과 인접한 면 사이에 형성되는 경로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경로홈을 따라 연장되는 반사 모듈.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는 자이로센서를 더 포함하는 반사 모듈.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코일 중 적어도 두 개는 직교하게 배치되는 반사 모듈.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반사 모듈.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2개가 서로 다른 코일과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반사 모듈.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기판부; 및
    상기 기판부에 결합되어 적어도 한 바퀴 이상 감겨진 형태의 코일 패턴부를 포함하는 반사 모듈.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패턴부는 상기 기판부의 일 표면에 인쇄된 형태인 반사 모듈.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패턴부는,
    상기 기판부의 일면에 형성된 일측 코일 패턴부; 및
    상기 기판부의 타면에 형성된 타측 코일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코일 패턴부와 상기 타측 코일 패턴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사 모듈.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복수 개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기판부에 각각 형성된 코일 패턴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사 모듈.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마그네트는 중심 부분이 관통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반사 모듈.
  2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마그네트는 상기 안착면과 대향하는 면이 일극으로 착자되어 있고, 상기 반사부재와 대향하는 면이 타극으로 착자되어 있는 반사 모듈.
  2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거울로 형성되는 반사 모듈.
  2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프리즘으로 형성되는 반사 모듈.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프리즘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반사 모듈.
KR1020190075925A 2019-06-25 2019-06-25 반사 모듈 KR102258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925A KR102258454B1 (ko) 2019-06-25 2019-06-25 반사 모듈
PCT/KR2020/006281 WO2020262821A1 (ko) 2019-06-25 2020-05-13 반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925A KR102258454B1 (ko) 2019-06-25 2019-06-25 반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590A true KR20210000590A (ko) 2021-01-05
KR102258454B1 KR102258454B1 (ko) 2021-05-31

Family

ID=74060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925A KR102258454B1 (ko) 2019-06-25 2019-06-25 반사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8454B1 (ko)
WO (1) WO202026282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4281A (en) * 1995-12-05 2000-11-07 Smiths Industries Aerospace & Defense Systems, Inc. Flexible lead electromagnetic coil assembly
KR20180097228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80102946A (ko) * 2017-03-08 2018-09-18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4505A (ko) * 2008-02-01 2009-08-05 (주)캠톤 영상촬영장치의 손떨림 보정을 위한 틸트구동장치
US9285566B2 (en) * 2013-08-08 2016-03-15 Apple Inc. Mirror tilt actu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4281A (en) * 1995-12-05 2000-11-07 Smiths Industries Aerospace & Defense Systems, Inc. Flexible lead electromagnetic coil assembly
KR20180097228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80102946A (ko) * 2017-03-08 2018-09-18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2821A1 (ko) 2020-12-30
KR102258454B1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8892B2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275228B2 (en) Lens driving unit, and a camera module and an optical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US11709374B2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CN105988177B (zh) 透镜移动装置、摄像装置模块以及包括该模块的光学设备
KR100850544B1 (ko) 모바일 기기용 엑츄에이터
US20160018624A1 (en) Lens Actuator
US20110096178A1 (en) Photography device with anti-shake function
CN104935792A (zh) 透镜移动单元及其摄像模组
CN105319664A (zh) 透镜移动器件、摄像头模块和光学装置
US9369619B2 (en) Camera module having structure to reduce flare phenomenon
KR2015004268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KR102560085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11903142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same
US20210063762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US10419650B2 (en) Camera module having a soldering portion coupling a driving device and a circuit board
CN116088124A (zh) 透镜驱动装置以及包括其的摄像机模块和光学仪器
KR100836129B1 (ko) 모바일 기기용 엑츄에이터
JP6006044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2258454B1 (ko) 반사 모듈
KR20230022195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1948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CN109143721B (zh) 光学部件用倾斜活动装置、摄像装置、光学装置以及电子设备
KR102189884B1 (ko) 렌즈 구동 장치
KR102510574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