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56243A1 -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56243A1
WO2020256243A1 PCT/KR2019/017671 KR2019017671W WO2020256243A1 WO 2020256243 A1 WO2020256243 A1 WO 2020256243A1 KR 2019017671 W KR2019017671 W KR 2019017671W WO 2020256243 A1 WO2020256243 A1 WO 20202562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epression
extract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767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고병섭
김혜진
양현
육진아
박기선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한의학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02562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562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3Cactaceae (Cactus family), e.g. pricklypear or Cere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pression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fan ma and baengnyeoncho, an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pression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fan ma and baengnyeoncho as an active ingredient,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depression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Japanese yam and baeknyeoncho as an active ingredient, a method of treating depression using the composition, and a mixture extract of yam and baeknyeoncho for the manufacture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pression It is about the use.
  • Depression is a common mental illness, called a cold of the mind, and is a brain disease that can lead to po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n severe cases, can lead to serious consequences of suicide. Fortunately, depression is a disease that can be effectively treated, and it is a medical disease with an initial recovery rate of 70-80% within 2 months. Counseling and psychiatric treatment are essential for depression, and antidepressant administration is essential for moderate to severe depression.
  • antidepressants can improve depression symptoms by increasing decreased serotonin in the brain, and can safely improve depression with few side effects.
  • causes of depression among which biological causes are due to an imbalance of neurotransmitters in the brain.
  • Representative examples of neurotransmitters include histamine, serotonin, and dopamine. It is known that depression of a neurotransmitter in the brain called serotonin is high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 life and environmental stress may be the cause, and stress such as the death of a loved one, separation, loneliness, unemployment, and economic anxiety may cause or worsen depression, and may be caused by physical illness or drugs. .
  • various diseases such as cancer, endocrine system diseases, sudden consciousness disorder caused by blood circulation disorders in the brain, and stroke accompanying motor paralysis can cause depression.
  • various diseases such as cancer, endocrine system diseases, sudden consciousness disorder caused by blood circulation disorders in the brain, and stroke accompanying motor paralysis can cause depression.
  • depression may also be caused by this.
  • Anxiety disorder collectively refers to mental disorders that cause disorders in daily life due to various types of abnormal and pathological anxiety and fear.
  • Anxiety and fear are normal emotional reactions, but beyond the normal range they cause mental distress and physical symptoms. If the sympathetic nerve is excited by anxiety, and physical symptoms such as headache, increased heart rate, increased respiratory rate, and gastrointestinal abnormalities appear and are uncomfortable and difficult to perform daily activities such as family life, work life, and study, it is diagnosed as an anxiety disorder. I can. There are various diagnoses for these anxiety disorders, and each has its own characteristic definition and diagnostic criteria.
  • anxiety disorders include panic disorder, certain phobias (acrophobia, blood phobia, snake phobia, etc.), social phobia,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acute stress disorder.
  • Anxiety disorders include several mental disorders of different personalities, and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causes in a single word because they are complex.
  •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including the lack or excess of neurotransmitters in the cranial nerves, which are responsible for emotional parts such as anxiety or depression, genetically innate predisposition, and functional or structural changes in the brain revealed in brain imaging studies. Even cognitive-behavioral parts of interpreting and judging experiences and current received information can cause pathological anxiety.
  •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r acute stress disorder is mainly caused by accidents or disasters that cause severe mental shock.
  • antidepressants that contain compounds as an active ingredient
  • antidepressants containing praxine as an active ingredient Korean Patent No. 10-2021281
  • ketamine derivatives as an active ingredient.
  • depression treatmen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20859
  • these treatments for depression were able to improve the symptoms of depression themselves, but due to other side effects, they cannot be used for actual treatment of depression.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safer and more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depression.
  •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epression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buckwheat and baeknyeoncho.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treating depression us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depression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fan horse mackerel and Baengnyeoncho.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 composition for improving depression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fan horse mackerel and Baengnyeoncho.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 of a mixed extract of buckwheat and baeknyeoncho for the manufacture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pression.
  •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xed extract of fantail horse and baeknyeoncho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maintenance time of immobile posture due to depression, can increase the level of serotonin in the blood, and can reduce the level of corticosterone in the blood, It could be widely used to improve depression symptoms.
  •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in immobility posture maintenance time of a depressed animal model according to administration of a mixed extract of fan horse and baengnyeoncho.
  •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changes in blood serotonin levels in an animal model of depression according to administration of a mixture extract of yam and Baengnyeoncho.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changes in blood corticosterone levels in an animal model of depression according to administration of a mixed extract of buckwheat and Baengnyeoncho.
  •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changes in serum serotonin content in an ovariectomized mouse model administered with a mixed extract of yam and Baengnyeoncho.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epression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a fan horse extract and a baengnyeoncho extract.
  • dioscorea nipponica Makino refers to a tendril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hemp family.
  • the stem In the form of a stem, the stem extends to the side, sparse branches, and the rootstock has a round barrel shape. It is known to form many roots.
  • rhizomes exhibit an effect pharmacologically, and it is known that it mainly treats symptoms such as arteriosclerosis, myocardial sclerosis, and hyperlipidemia.
  • Prickly Pe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opical naturalized plant belonging to the cactus genus (Opuntia) of the Cactaceae family, and grows wild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such as Jeju Island and Sinan-gun in Korea.
  • the centennial plant has strong drought resistance and
  • the fruit is known to be edible, but pharmacologically, it has antiulcer effect, diuretic effect, antihypertension effect, cholesterol lowering effect, blood sugar lowering effect, antidiabetic effect, wound healing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antioxidant effect, etc. It is known to represent.
  • mixed extract refers to a mixture of a fan horse extract and a baeknyeoncho extrac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mixed extract may be obtained by mixing the obtained fan horse radish extract and Baengnyeoncho extract, respectively, or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a mixture of fan horse mackerel and Baengnyeoncho.
  • the mixing ratio of the fan horse mackerel extract and the Baengnyeoncho extract included in the mixed extrac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as an example, obtained by extracting a mixture of fan horse mackerel and Baengnyeoncho mixed at 1:9 to 9:1 (w/w) It can be, and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obtained by mixing the fan horse mackerel extract and the Baengnyeoncho extract at 1:9 to 9:1 (w/w).
  • extract refers to a liquid component obtained by immersing a target substance in various solvents and then extracting 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t room temperature or warming state, and a resultant product such as a solid component obtained by removing the solvent from the liquid component. Means.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resulting product, it can be comprehensively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of the diluted solution of the resultant, the concentrate thereof,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purified product.
  • the fan hemp extrac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flowers, leaves, fruits, stems, roots, skins, sap, etc. of fan hemp, a dilution or concentrate of the extract, a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the extract, It can be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xtract of all formulations that can be formed by using the extract itself and the extract, such as the preparation or purified product of the extract, or a mixture thereof.
  • the extrac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flowers, leaves, fruits, stems, roots, shells, sap, etc. of a zinnia, a dilution or concentrate of the extract, a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the extract, and adjustment of the extract. It can be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xtract of all formulations that can be formed using the extract itself and the extract, such as a product or a purified product, or a mixture thereof.
  •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fantail horse and baeknyeoncho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extracted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xtraction method include a hot water extraction method, an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a filtration method, a reflux extraction method, and the like, and these may be perform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thods.
  • the type of solvent used for the extr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olvent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xtraction solvent may include water,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one or more, and specifically water may be used.
  • alcohol is used as a solvent, an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may be specifically used.
  • depression refers to a disease that causes a variety of cognitive and psychosomatic symptoms with decreased motivation and depression as main symptoms, resulting in a decrease in daily function, emotions, thoughts It is believed to be a serious disease that causes changes in health, physical condition, and behavior.
  • a representative example is fluoxetine.
  • Fluoxetine is known to improve depression by inhibiting the activity of glutamic acid by enhancing the action of gaba along with serotonin, and by inhibiting the action of various neurotransmitters such as dopamine and norepinephrine.
  • prevention refers to any action that suppresses or delays the onset of depression by administering the mixed extract of fan horse mackerel and baengnyeonch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n individual who has or is likely to have symptoms of depression. can do.
  • treat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any action to improve or benefit the symptoms of depression b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individual suspected of developing depress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ingle formulation, and can be prepared and used as a combined formulation by additionally including a drug known to have an approved anti-depressive effect, and is formulated u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or excipient. It may be manufactured in a form or manufactured by placing it in a multi-volume container.
  • the term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may mean a carrier or diluent that does not stimulate an organism and does not inhibit the biological activity and properties of the compound to be injected.
  • the kind of the carrier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carrier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n be used, and an unnatural carrier can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carrier include saline, sterile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albumin injection solution,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additives such as antioxidants, buffers and/or bacteriostatic agents can be added and used, and diluents, dispersants, surfactants, binders, lubricants, etc. can be additionally added to provide main solutions such as 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and emulsions. It can be formulated and used as a dosage form, pill, capsule, granule or table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mixed extract of fan horse and baeknyeoncho.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generally in an amount of 0.001 to 1000 mg/kg, preferably 0.05 To 200 mg/kg, more preferably 0.1 to 100 mg/kg, may be administered once or several times a day.
  • a specific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for a specific patient is a specific composition, including the type and degree of reaction to be achieved, whether other agents are used in some cases, the patient's age, weight, general health status, It is preferable to apply differently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including sex and diet,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and secretion rate of the composition, treatment period, drugs used with or concurrently with the specific composition, and simila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a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 And can be administered single or multiple.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capable of obtaining the maximum effect in a minimum amount without causing side effects in consideration of all of the above factors, and can be easily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the term "administration” means introduc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atient by any suitable method, an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ral or parenteral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It can be administered through a variety of routes.
  • the method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llow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various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intended administration method.
  •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to mammals including humans at 1 to 20 mg/kg, more preferably 1 to 10 mg/kg for a day, for example, .
  •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several times by dividing the dose.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pression, comprising administering a mixed extract of yam and baeknyeoncho to an individual who exhibits or is likely to develop symptoms of depression.
  • the term "individu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all animals, including humans, which have symptoms of depression or are likely to appear.
  • the animals may be mammals such as cattle, horses, sheep, pigs, goats, camels, antelopes, dogs, cats, etc. in need of treatment for symptoms similar to human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revention or treat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pecifically include the step of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to an individual who exhibits or is likely to develop symptoms of depression.
  • administration means introduc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individual who exhibits or is likely to develop symptoms of depression by any suitable method, an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arget tissue It can be administered through various routes, either oral or parenteral, as long as it can be reached.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depression,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fan ma and baeknyeoncho.
  • yam and Baengnyeoncho are natural substances that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and have proven their stability, they can be prepared and consumed in the form of foods that can prevent or improve depression symptoms while having common sense.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prepare a health functional food with various ingredients used in the preparation of food.
  • Functional food is the same term as 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and refers to foods with high medical and medical effects that have been processed to efficiently display bioregulatory functions in addition to nutritional supply.
  • the food may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such as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pills, etc. in order to obtain a useful effect in preventing or improving depression.
  • the typ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containing the mixed extract of fan horse and baeknyeoncho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examples include various beverages, gums, teas, vitamin complexes, and health supplements.
  • ingredients that do not interfere with the effect of preventing or improving depression symptoms may be added to the food composition, and the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it may contain various herbal extracts, food additive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n additional component, as in ordinary foods.
  • the food supplementary additives are added to prepare health functional foods of each formulation,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such a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and filler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e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etc. are included, but the type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examples.
  • the content of the extract contained in the fo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may be included in 0.01 to 100%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may include additional ingredients that are commonly used in food compositions to improve smell, taste, vision, and the like.
  • vitamins A, C, D, E, B1, B2, B6, B12, niacin, biotin, folate, panthotenic acid,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 minerals such as zinc (Zn), iron (Fe), calcium (Ca), chromium (Cr), magnesium (Mg), manganese (Mn), and copper (Cu) may be included.
  • amino acids such as lysine, tryptophan, cysteine, and valine may be included.
  • preservatives potassium sorbate, sodium benzoate, salicylic acid, sodium dehydroacetate, etc.
  • disinfectants bleached and highly bleached, sodium hypochlorite, etc.
  • antioxidants butylhydroxyanisole (BHA), butylhydroxytoleuene ( BHT), etc.
  • colorants tar color, etc.
  • coloring agents sodium nitrite, sodium nitrite, etc.
  • bleach sodium sulfite
  • seasoning MSG sodium glutamate, etc.
  • sweeteners dulsin, cyclamate, saccharin, sodium, etc.
  • Flavorings vanillin, lactones, etc.
  • expanding agents alum, D-potassium hydrogen stannate, etc.
  • reinforcing agents emulsifying agents, thickening agents (thickening agents), coating agents, gum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at the time of manufacture, it can be prepa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ingredients commonly added in the art.
  • it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side effects that may occur when taking drugs for a long time by using food as a raw material, and it can be excellent in portability.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depression,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fan horse mackerel and Baengnyeoncho.
  • the feed composition may include a feed additive.
  •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n auxiliary feed in the feed management law.
  • the term "feed” may mean any natural or artificial diet, one meal meal, etc., or a component of the one meal meal, for animals to eat, ingest, and digest.
  • the kind of fe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eed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feed include vegetable feeds such as grains, root fruits, food processing by-products, algae, fiber, pharmaceutical by-products, oils and fats, starches, meals or grain by-products; Animal feeds such as proteins, inorganic logistics, oils and fats, minerals, oils and fats, single-cell proteins, zooplanktons or foods.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a mixed extract of buckwheat and chinensis for the manufacture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pression.
  • Example 1 Depression animal model establishment
  • 6-week-old C57BL/6 mice were worn in a breeding room of SPF (specific pathogen free) where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managed, and then acclimated for one week.
  • SPF specific pathogen free
  • 7-week-old mice which had been acclimatized for a week, were subjected to inhibition stress (detention stress) for 21 days for 4 hours every day.
  • the extracts were obtained by extracting the Baengnyeoncho and the fan horse with 70% ethanol for 2 hours at 75 to 80°C using a reflux extractor, respectively. Each obtained extract was placed in a rotary evaporator and centrifuged (8,000 x g, 30 minutes) to obtain a concentrate concentrated to 50%. The obtained concentrate was lyophilized to obtain each of the Baengnyeoncho extract (KC) and the fan horse extract (B).
  • KC Baengnyeoncho extract
  • B fan horse extract
  • the obtained Baengnyeoncho extract (KC) and fan horse extract (B) were mixed in the same amount (w/w) to obtain a mixed extract.
  • KCB extract administration group mixed extracts of Bochamaema and Baengnyeoncho 200 mg/kg administration group, S+KCB200
  • positive control group fluoxetine 20 mg/kg administration group, S+F20
  • mice that did not cause stress were used as the normal group, and mice that caused stress were used as the stress inducing group.
  • a standardized test method FST was performed on each mouse (normal group, stress-inducing group, positive control group, and KCB extract administration group) prepared in Example 1 above.
  •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in immobility posture maintenance time of a depressed animal model according to administration of a mixed extract of fan horse and baengnyeoncho.
  • Each mouse was anesthetized with Avertin to collect whole blood from the abdominal aorta;
  • the collected whole blood was transferred to an SST tube, and when blood coagulation by fibrin was sufficiently progressed, centrifugation was performed at 4,000 rpm for 10 minutes, and serum as a supernatant was collected, paying attention to hemolysis of red blood cells;
  • Each of the collected blood tablets was applied to a serotonin measurement kit (Abcam's Serotonin ELISA Kit; ab133053), and the content of serotonin contained in each serum was measured and compared).
  •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changes in blood serotonin levels in an animal model of depression according to administration of a mixture extract of yam and Baengnyeoncho.
  • the concentration of serotonin in the blood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tress-inducing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 the concentration of serotonin in the bloo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was higher than the level,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level was lower than the serum serotonin level of the positive control group administered with Fluoxetine, which is known as a treatment for depression.
  • Example 3 After blood collection from each mouse prepared in Example 1 (normal group, stress inducing group, positive control group, and KCB extract administration group), the concentration of corticosterone in the blood contained in the collected blood was measured, and then compared with each other ( Fig. 3). At this time, the blood collec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corticosterone in the blood were performed using a method similar to the method of Example 3, except that a corticosterone measurement kit was used instead of a serotonin measurement kit.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changes in blood corticosterone levels in an animal model of depression according to administration of a mixed extract of buckwheat and Baengnyeoncho.
  • the level of corticosterone in the blood was increased in the stress-inducing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but when the mixed extracts of fan horse and Baengnyeoncho were administered after inducing stress, the level of corticosterone in the bloo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It was reduced to a low level, and this effect was confirmed to be the same level as the positive control group administered with Fluoxetine, which is known as a treatment for depression.
  • mice Approximately, 6 weeks old female C57BL/6 mice (negative control, Vehicle); Ovariectomized mice (positive control, OVX); Ovariectomized mice to which 40 ⁇ g/ml of E2 hormone was administered after ovariectomization (comparative group, OVX+E2); Ovariectomized mice (Experimental Group 1, OVX+KCB100) administered with a mixture extract of 100 mg/kg of Japanese yam and Baengnyeoncho after ovarian extraction; Ovariectomized mice (Experimental group 2, OVX+KCB200) to which 200 mg/kg of the mixed extracts of fan horse and Baengnyeoncho were administered after ovarian extraction; And ovariectomized mice (Experimental Group 3, OVX+KCB400) administered with a mixture extract of 400 mg/kg of fan horse and Baengnyeoncho after ovarian extraction were prepared, respectively.
  • OVX+KCB100 Ovariectomized
  •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changes in serum serotonin content in an ovariectomized mouse model administered with a mixed extract of yam and Baengnyeoncho.
  • the content of serotonin in the blood was decreased in the ovariectomized mice (positiv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mice (negative control group), but when the E2 hormone was administered after ovariectomization (comparative group), normal mice (negative contro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serotonin in blood was restored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In addition, after ovariectomization, when the mixed extract of P. chinensis and P.
  • chinensis was administered (experimental groups 1, 2, and 3), the content of serotonin in the bloo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normal mice (negative control group), and specifically 200 mg/kg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st level of serum serotonin was observed in the case of administering the mixed extract of P. chinensis and Baengnyeoncho (Experimental Group 2).

Abstract

본 발명은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우울증을 치료하는 방법 및 상기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울증에 의한 부동자세 유지시간을 감소시키고, 혈중 세로토닌의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혈중 코르티코스테론의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우울증 증상의 개선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우울증을 치료하는 방법 및 상기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우울증은 흔한 정신질환으로 마음의 감기라고도 부르며, 원활하지 못한 대인관계를 야기할 수 있고, 심한 경우 자살이라는 심각한 결과에 이를 수 있는 뇌질환이다. 다행히도 우울증은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는 질환이며, 초기 완쾌율이 2개월 내에 70~80%에 이르는 의학적 질환이다. 우울증에는 상담과 정신과 치료가 필수적이며 중등도 이상의 우울증은 항우울제 투여도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 개발된 항우울제들은 뇌 내의 저하된 세로토닌을 증가시켜 우울 증상을 호전시키고, 부작용이 거의 없이 안전하게 우울증을 개선할 수 있다. 우울증의 원인은 다양한데, 그 중에서 생물학적인 원인이 있는 경우는 뇌의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으로 인한 것이다. 대표적인 신경전달 물질의 예로 히스타민, 세로토닌, 도파민 등이 있다. 흔히 세로토닌이라는 뇌 내 신경전달물질의 저하가 우울증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생활 및 환경 스트레스가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이별, 외로움, 실직, 경제적인 걱정과 같은 스트레스가 우울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으며, 신체적인 질환이나 약물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암, 내분비계 질환, 뇌의 혈액순환장애에 의하여 일어나는 급격한 의식장애와 운동마비를 수반하는 뇌졸중 등 다양한 질환이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갱년기와 같이 나이의 변화에 의하여 신체적인 밸런스가 변화될 경우, 이에 의하여도 우울증이 유발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불안장애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상적, 병적인 불안과 공포로 인하여 일상 생활에 장애를 일으키는 정신 질환을 통칭한다. 불안과 공포는 정상적인 정서 반응이지만, 정상적 범위를 넘어서면 정신적 고통과 신체적 증상을 초래한다. 불안으로 교감신경이 흥분되어 두통, 심장 박동 증가, 호흡수 증가, 위장관계 이상 증상과 같은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 불편하고 가정생활, 직장생활, 학업과 같은 일상 활동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불안장애로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불안장애에는 다양한 진단이 있으며, 각각 특징적인 정의와 진단 기준이 마련되어 있다. 불안장애에 해당하는 질환으로는 공황 장애, 특정 공포증(고소 공포증, 혈액 공포증, 뱀 공포증 등), 사회 공포증, 강박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범 불안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가 포함된다. 불안장애에는 각기 다른 성격의 여러 정신질환이 속해 있어, 복합적이라 원인을 한마디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불안이나 우울 등의 정서적인 부분을 담당하는 뇌신경 내의 신경전달물질의 부족 또는 과다, 유전적으로 타고난 소인, 뇌영상 연구에서 밝혀진 뇌의 기능적 또는 구조적 변화를 포함하여, 사회심리학적인 측면, 과거의 경험과 현재의 받아들인 정보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인지행동적인 부분까지도 병적인 불안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나 급성 스트레스 장애는 극심한 정신적 충격을 일으키는 사고나 재해 등이 원인으로 주로 발병한다.
지금까지 개발된 우울증 치료제는 대부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제가 개발되었는데, 예를 들어,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치료제(한국등록특허 제10-2021281호), 케타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치료제(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20859호)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들 우울증 치료제는 우울증의 증상 자체는 개선시킬 수 있었으나, 다른 부작용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우울증 치료에 사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보다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우울증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발명자들은 보다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우울증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마우스 모델에 투여할 경우, 우울증에 의한 다양한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약학 조성물을 사용하여 우울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울증에 의한 부동자세 유지시간을 감소시키고, 혈중 세로토닌의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혈중 코르티코스테론의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우울증 증상의 개선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우울증 동물모델의 부동자세 유지시간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우울증 동물모델의 혈중 세로토닌 수준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우울증 동물모델의 혈중 코르티코스테론 수준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투여한 난소적출 마우스 모델의 혈중 세로토닌 함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는 부채마 추출물과 백년초 추출물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부채마(Dioscorea nipponica Makino)"란, 마과 식물에 속하는 덩굴성 여러해살이 풀을 의미하는데, 형태적으로 보면 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고, 성글게 가지를 치며, 뿌리줄기는 둥근 통 모양이고, 많은 뿌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약학적으로는 뿌리줄기가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는데, 주로 동맥경화증, 심근경화증, 고지혈증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백년초(Prickly Pear)"란, 선인장과(Cactaceae)의 선인장속(Opuntia)에 속하는 열대성 귀화 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신안군 등 남해안 지방에 자생하고 있다, 상기 백년초는 가뭄 저항성이 강하고 그 열매는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약학적으로는 항궤양 효과, 이뇨 효과, 고혈압 예방 효과,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혈당 저하 효과, 항당뇨 효과, 상처 치유 효과, 항염증 효과, 항산화 효과 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혼합추출물"이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부채마 추출물과 백년초 추출물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각각 수득한 부채마 추출물과 백년초 추출물을 혼합하여 수득할 수도 있고,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물을 추출하여 수득할 수도 있다.
상기 혼합추출물에 포함된 부채마 추출물과 백년초 추출물의 혼합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1:9 내지 9:1(w/w)로 혼합된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물을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부채마 추출물과 백년초 추출물을 1:9 내지 9:1(w/w)로 혼합하여 수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이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부채마 추출물은 부채마의 꽃, 잎, 열매, 줄기, 뿌리, 껍질, 수액 등을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백년초 추출물 역시 백년초의 꽃, 잎, 열매, 줄기, 뿌리, 껍질, 수액 등을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채마 추출물 및 백년초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부채마 및 백년초를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우울증(depression)"이란, 우울장애라고도 호칭되며, 의욕 저하와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을 의미하는데, 감정, 생각, 신체 상태, 그리고 행동 등에 변화를 일으키는 심각한 질환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세로토닌의 흡수를 억제하여 혈중 세로토닌의 농도를 높이는 제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플루옥세틴이 있다. 상기 플루옥세틴은 세로토닌과 함께 가바의 작용을 증진시켜 글루탐산의 활성을 저해하고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우울증을 개선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부채마 및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우울증 증상이 나타나거나 또는 나타날 우려가 있는 개체에 투여하여 우울증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우울증 발병 의심 개체에 투여하여 우울증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일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고, 공인된 우울증 치료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고, 비자연적인 담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항산화제, 완충액 및/또는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희석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부채마 및 백년초 혼합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의 투여량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사람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하루 동안 1 내지 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으로 투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우울증 증상이 나타나거나 또는 나타날 우려가 있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부채마", "백년초" 및 "우울증"에 대하여는 상기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우울증 증상이 나타나거나 또는 나타날 우려가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우울증 증상이 나타나거나 또는 나타날 우려가 있는 개체에 상기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우울증 증상이 나타나거나 또는 나타날 우려가 있는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부채마", "백년초" 및 "우울증"에 대하여는 상기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부채마와 백년초는 천연 물질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안정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상식할 수 있으면서도 우울증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식품의 형태로 제조되어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다양한 성분을 함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는데, 상기 식품은 우울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이 포함된 건강기능식품의 종류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각종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우울증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에 방해가 되지 않는 다른 성분을 추가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식품보조첨가제는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식품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100㎖를 기준으로 1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부채마", "백년초" 및 "우울증"에 대하여는 상기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우울증 동물모델 확립
먼저, 부채마 및 백년초(손바닥 선인장)의 혼합추출물의 우울증 개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구속 스트레스를 이용한 우울증이 유발된 동물 모델을 제작하였다.
대략적으로, 온도 및 습도가 관리되는 SPF(specific pathogen free)등급의 사육실에서 C57BL/6 6주령의 마우스를 입고 후 일주일간 순화를 실시하였다. 일주일간 순화된7주령의 마우스를 우울증을 유도하기 위하여 매일 4시간씩 억제스트레스 (신체구금 스트레스)를 21일 동안 지속하였다.
또한, 부채마 및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대략적으로, 백년초와 부채마를 각각 환류추출기를 이용하여 70% 에탄올로 75 내지 80℃ 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각 추출물을 회전증발기에 넣고, 원심분리하여(8,000 x g, 30분) 50%로 농축한 농축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백년초 추출물(KC) 및 부채마 추출물(B)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백년초 추출물(KC) 및 부채마 추출물(B)을 동량(w/w)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동물모델에 스트레스를 유발함과 동시에, KCB 추출물 투여군(부채마 및 백년초의 혼합추출물 200 mg/kg 투여군, S+KCB200) 또는 양성대조군(우울증 치료제인 Fluoxetine 20 mg/kg 투여군, S+F20)이 첨가된 식이를 3주간 급이시키면서, 주 2회 체중 및 식이의 양을 측정하여 해당 모델의 건강 상태와 각 해당 사료를 섭취가 올바르게 진행되는지 확인하였다. 이때, 정상군으로는 스트레스를 유발하지 않은 마우스를 사용하고, 스트레스 유발군으로는 스트레스를 유발한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동물부동시간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각 마우스(정상군, 스트레스 유발군, 양성대조군 및 KCB 추출물 투여군)를 대상으로 표준화된 검사법인 FST(절망행동검사)를 수행하였다.
대략적으로, 투명 아크릴로 제작된 원통의 Water bath에 25±1℃의 물을 넣고 상기 각 마우스를 꼬리가 바닥에 닿지 않을 높이에 빠뜨린 다음 10분 동안 강제로 예비 수영을 시켰다. 24시간 후에 5분 동안 같은 환경에서 수영을 시키면서 부동자세를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처음 1분간은 적응시키고 4분 동안 이루어졌으며, 비디오카메라로 녹화한 뒤, Video tracking software (SMART 3.0, Panlab, Spai)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실험동물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분석하였다(도 1).
도 1은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우울증 동물모델의 부동자세 유지시간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정상군에 비하여 스트레스 유발군에서는 부동자세 유지시간이 증가하였으나, 스트레스를 유발한 후 부채마 및 백년초의 혼합추출물 투여한 경우에는 부동자세 유지시간이 정상군의 수준으로 감소되었는데, 이러한 효과는 우울증 치료제로 알려진 Fluoxetine을 투여한 양성대조군과 동일한 수준의 효과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세로토닌 혈중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각 마우스(정상군, 스트레스 유발군, 양성대조군 및 KCB 추출물 투여군)로부터 채혈한 후, 채혈된 혈액에 포함된 혈중 세로토닌의 농도를 측정한 후, 상호 비교하였다(도 2). 이때, 채혈 및 혈중 세로토닌의 농도는 다음의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각 마우스를 아르베틴( Avertin)으로 마취하여 복대동맥에서 전혈을 채취하고; 채혈한 전혈은 SST 튜브에 옮긴 후 충분히 섬유소에 의한 혈액응고가 진행되면 4,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적혈구의 용혈 등에 주의하여 상층액인 혈청을 채취하였으며; 채취된 각 혈정을 세로토닌 측정키트(Abcam사의 Serotonin ELISA Kit; ab133053)에 적용하여 각 혈청에 포함된 세로토닌의 함량을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도 2는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우울증 동물모델의 혈중 세로토닌 수준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에서 보듯이, 정상군에 비하여 스트레스 유발군에서는 혈중 세로토닌의 농도가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스트레스를 유발한 후 부채마 및 백년초의 혼합추출물 투여한 경우에는 혈중 세로토닌의 농도가 현저히 증가하여 정상군의 수준보다도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는데, 이러한 수준은 우울증 치료제로 알려진 Fluoxetine을 투여한 양성대조군의 혈중 세로토닌의 농도보다는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코르티코스테론 혈중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각 마우스(정상군, 스트레스 유발군, 양성대조군 및 KCB 추출물 투여군)로부터 채혈한 후, 채혈된 혈액에 포함된 혈중 코르티코스테론의 농도를 측정한 후, 상호 비교하였다(도 3). 이때, 채혈 및 혈중 코르티코스테론의 농도는, 세로토닌 측정키트 대신에 코르티코스테론 측정키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도 3은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우울증 동물모델의 혈중 코르티코스테론 수준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정상군에 비하여 스트레스 유발군에서는 혈중 코르티코스테론 수준이 증가하였으나, 스트레스를 유발한 후 부채마 및 백년초의 혼합추출물 투여한 경우에는 혈중 코르티코스테론 수준이 정상군의 수준보다도 낮은 수준으로 감소되었는데, 이러한 효과는 우울증 치료제로 알려진 Fluoxetine을 투여한 양성대조군과 동일한 수준의 효과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난소적출 마우스의 혈중 세로토닌 농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결과로부터, 구속 스트레스를 이용한 우울증이 유발된 동물 모델에서, 부채마 및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이 우울증 증상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므로, 다른 우울증 모델인 난소적출 마우스를 사용할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6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에서 난소를 적출하여 제작된 난소적출 마우스에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다양한 투여량으로 경구투여한 후, 이들 난소적출 마우스의 혈중 세로토닌의 농도를 비교하였다.
대략적으로, 6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음성대조군, Vehicle); 난소적출 마우스(양성대조군, OVX); 난소적출 후 40㎍/㎖의 E2 호르몬을 투여한 난소적출 마우스(비교군, OVX+E2); 난소적출 후 100 mg/kg의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투여한 난소적출 마우스(실험군 1, OVX+KCB100); 난소적출 후 200 mg/kg의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투여한 난소적출 마우스(실험군 2, OVX+KCB200); 및 난소적출 후 400 mg/kg의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투여한 난소적출 마우스(실험군 3, OVX+KCB400)을 각각 준비하였다.
이어, 상기 실시예 3의 방법으로 각 마우스로부터 채혈한 후, 채혈된 혈액에 포함된 혈중 세로토닌의 농도를 측정한 후, 상호 비교하였다(도 4).
도 4는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투여한 난소적출 마우스 모델의 혈중 세로토닌 함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서 보듯이, 난소적출 마우스(양성대조군)에서는 정상 마우스(음성대조군)에 비하여 혈중 세로토닌의 함량이 감소되었으나, 난소적출 후 E2 호르몬을 투여한 경우(비교군)에는 정상 마우스(음성대조군)의 것과 유사한 수준으로 혈중 세로토닌의 함량이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난소적출 후,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실험군 1, 2 및 3)에는 정상 마우스(음성대조군) 보다도 현저히 증가된 혈중 세로토닌의 함량을 나타냈으며, 특이하게도 200 mg/kg의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실험군 2)에 가장 높은 수준의 혈중 세로토닌의 함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난소적출 마우스에서도, 구속 스트레스를 이용한 우울증이 유발된 동물 모델과 유사하게, 우울증으로 인하여 감소된 혈중 세로토닌의 농도를,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이 회복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므로, 상기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은 우울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부채마(Dioscorea nipponica Makino) 추출물과 백년초(Prickly Pear) 추출물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채마 추출물은 부채마를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것인,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년초 추출물은 백년초를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것인,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부채마 추출물과 백년초 추출물을 1:9 내지 9:1(w/w)로 포함하는 것인,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우울증에 의하여 유발되는 부동자세 유지 증상, 혈중 세로토닌의 수준감소 증상 및 혈중 코르티코스테론의 수준증가 증상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울증은 스트레스성 우울증 또는 갱년기성 우울증인 것인,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약학 조성물을 우울증 증상이 나타나거나 또는 나타날 우려가 있는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8. 부채마(Dioscorea nipponica Makino) 추출물과 백년초(Prickly Pear) 추출물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부채마(Dioscorea nipponica Makino) 추출물과 백년초(Prickly Pear) 추출물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10.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의 용도.
PCT/KR2019/017671 2019-06-17 2019-12-13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25624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1744 2019-06-17
KR10-2019-0071744 2019-06-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6243A1 true WO2020256243A1 (ko) 2020-12-24

Family

ID=7404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7671 WO2020256243A1 (ko) 2019-06-17 2019-12-13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3577B1 (ko)
WO (1) WO202025624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6329A (ko) * 2003-10-28 2007-03-08 바이오플랜타 아르쯔네이미트텔 게엠베하 우울증 치료를 위한 선인장 식물체 일부 및/또는 그추출물의 용도
KR20070105643A (ko) * 2006-04-27 2007-10-31 주식회사 엠웰 백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β­엔돌핀 활성화용 조성물
CN101530532A (zh) * 2008-03-11 2009-09-16 北京凯瑞创新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穿山龙总皂苷元口服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20106914A (ko) * 2011-03-16 2012-09-27 동아제약주식회사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20160048284A (ko) * 2014-10-23 2016-05-0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손바닥 선인장 추출물 및 부채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6329A (ko) * 2003-10-28 2007-03-08 바이오플랜타 아르쯔네이미트텔 게엠베하 우울증 치료를 위한 선인장 식물체 일부 및/또는 그추출물의 용도
KR20070105643A (ko) * 2006-04-27 2007-10-31 주식회사 엠웰 백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β­엔돌핀 활성화용 조성물
CN101530532A (zh) * 2008-03-11 2009-09-16 北京凯瑞创新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穿山龙总皂苷元口服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20106914A (ko) * 2011-03-16 2012-09-27 동아제약주식회사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20160048284A (ko) * 2014-10-23 2016-05-0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손바닥 선인장 추출물 및 부채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042A (ko) 2020-12-28
KR102323577B1 (ko)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34756A2 (ko)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10058926A2 (ko)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Bulfon et al. Effects of P anax ginseng extract in practical diets for rainbow trout (O ncorhynchus mykiss) on growth performance, immune response and resistance to Y ersinia ruckeri
Dulloo et al. Aspirin as a promoter of ephedrine-induced thermogenesis: potential use in the treatment of obesity
WO2019194494A1 (ko)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78555A2 (ko)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212300A1 (ko)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735224B2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WO2020256243A1 (ko) 부채마와 백년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93613A2 (ko)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 체중 감소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84460A1 (ko) 섬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8992B1 (ko)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108748A2 (ko) 합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775087B1 (ko) 멀베로푸란 g, 상게논 g 및 상게놀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8481500B2 (en) Compounds having neuroprotective properties
US20140271908A1 (en) Dietary supplements and method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igraines
KR102120376B1 (ko) 승마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승마에서 유래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25343A1 (ko) 붓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56575A1 (ko) 바우히니아 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31039A (ko) 뇌기능 개선용 영양전달체 조성물
WO2014133276A1 (ko) 북두근, 북두근 추출물, 북두근 오니 또는 북두근 맥아 효소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58046A1 (ko) 고시폴,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11132831A1 (ko) 글루타민의 우울증 예방,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용도
WO2023211146A1 (ko) 2'-fl을 함유하는 도파민 감소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38878A2 (ko) 머스크랫의 사향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340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340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