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13895A1 -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 - Google Patents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13895A1
WO2020213895A1 PCT/KR2020/004891 KR2020004891W WO2020213895A1 WO 2020213895 A1 WO2020213895 A1 WO 2020213895A1 KR 2020004891 W KR2020004891 W KR 2020004891W WO 2020213895 A1 WO2020213895 A1 WO 20202138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toilet
air
light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48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정치
Original Assignee
박정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치 filed Critical 박정치
Publication of WO20202138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138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re drying toilet for naturally drying manure.
  • Toilets are convenient facilities for disposing of human excrement, and are generally divided into flush toilets and catering toilets.
  • a flush toilet is a method of treating wastewater in a toilet bowl by flow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using water collected in a water tank, and it is widely used in general homes, apartments, and public facilities.
  • the catering toilet is a method that accumulates and collects dirt in a storage space such as a septic tank or sealed concrete installed under the toilet, and then periodically treats it all at once through a manure collection vehicle. It is installed and used.
  •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convenient to install with a simple structure, low cost, effectively prevents the occurrence of odors, and manures using natural air circulation capable of natural decomposition of dirt.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ry toilet.
  • a toilet installed outd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upper body in which a toilet is installed; A lower body installed under the upper body and storing manure therein; An exhaust pipe installed vertically at one edge of the upper body so as to contact the outside air and having a lower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body; Includes.
  • the exhaust pipe is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ember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so that sunlight may be transmitted into the exhaust pipe.
  •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pipe is formed of a light reflecting member that reflects light.
  • an exhaust fan installed above the exhaust pipe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exhaust pipe to the outside; It includes more.
  • the light-transmitting member is formed of glass.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body and an exhaust pipe in FIG. 1.
  •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of air in the toilet of FIG. 1.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mmunication pipe in FIG. 1.
  •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blower exhaust fan 225 electric heater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body and an exhaust pipe in FIG. 1.
  • 4 is a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of air in the toilet of FIG. 1.
  •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mmunication pipe in FIG. 1.
  • the manure drying toilet (hereinafter, toil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body 110, a lower body 120, an exhaust pipe 130, an exhaust fan 140, and a staircase 150.
  • a toilet 111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body 110.
  • the toilet 111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a conventional type, flush type, or face type.
  • the upper body 110 has a toilet 111 installed in each partitioned space while the internal space is partitioned so that two or three people can use it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oilet, or the upper body made in the size of one person
  • a plurality of main bodies 110 may be connected and installed as necessary.
  • the lower body 120 is installed under the upper body 110, and manure discharged from the toilet 111 is stored.
  • the manure can be sto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periodically collected by a manure treatment vehicle and treated for purification or used as compost.
  • the exhaust pipe 130 is vertically installed at one edge of the upper body 110 so as to contact the outside air, and the lower end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body 120.
  • the exhaust fan 140 is installed above the exhaust pipe 130. Inside the exhaust fan 140, a blade (not shown) capable of axial rotation and a bearing (not shown) may be installed to enable rotation of the blade. As the exhaust fan 140 rotates, the air inside the exhaust pipe 1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odor inside the toilet 100 may be quickly discharged.
  • a staircase 15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body 120.
  • the upper body 110 When the upper body 110 is installed higher than the ground, the user can enter and exit the bathroom 100 through the stairs 150.
  • the lower body 120 when the upper body 110 is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as the ground, the lower body 120 may be buried in the ground without the steps 150.
  • the exhaust pipe 130 is installed at one edge of the upper body 110 so as to contact the outside air, and the portion of the exhaust pipe 130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is entirely formed of light-transmitting members 131 and 132. Is formed.
  • the exhaust pipe 130 may be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wo sides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other two sides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two sides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f light-transmitting members 131 and 132 to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exhaust pipe 130 may be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such that a part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part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as a light-transmitting member.
  • the exhaust pipe 130 may be installed in a form spaced apart from one edge of the upper body 110 rather than forming one edge of the upper body 110.
  • the light-transmitting members 131 and 132 are made of glass, resin, etc., and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light transmittance, so that external sunlight can flow into the exhaust pipe 130 through the light-transmitting members 131 and 132. do.
  • the light-transmitting members 131 and 132 may be formed so that the interior of the exhaust pipe 130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in consideration of aesthetics.
  •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pipe 130 not formed of the light-transmitting members 131 and 132 is a light reflecting member 133 that reflects light. 134).
  • the light reflecting members 133 and 134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irror or a mirror stainless.
  • the light reflecting members 133 and 134 reflect or refract light introduced into the exhaust pipe 130 so that the light flowing into the exhaust pipe 130 can be su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body 120.
  • the odor in the toilet 1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manure stored in the lower body 120 is dried to allow natural decomposition.
  • air circulation such as external air -> upper body 110 -> lower body 120 -> exhaust pipe 130 -> external discharge of air is repeatedly performed.
  • the odor caused by the manure in the lower body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flowing into the upper body 110, and fresh air from the outside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body 110 so that the odor does not occur.
  •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manure is dried during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air, and the manure may be finely broken.
  • sunlight can flow into the lower body 120 by the light-transmitting members 131 and 132 and the light reflecting members 133 and 134, and the manure is dried by an increase in the manure temperature of the lower body 120.
  • microorganisms easily multiply, and decomposition can occur actively.
  • the toil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effectively removes odors without supply of power, and enables drying and decomposition of manure.
  • a communication pipe 121 that blocks the inflow of air may be vertically installed below the toilet 111 so that air inside the lower body 120 does not easily flow into the upper body 110.
  • the communication tube 121 is made of a trumpet shape gradually increasing in diamet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a plurality of holes 121a are formed radially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tube 121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manure does not easil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pipe 121 while the manure falls into the interior of the lower body 120 through the toilet 111, so that the communication pipe 121 It is not easily contaminated by and is kept clean.
  • the plurality of holes 121a formed in the communication pipe 121 are 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ipe 121 so as to incline downwar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the air inside the upper body 110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121a is pass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ipe 121 It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lower body 120 through.
  • a cone-shaped dispersion member 122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floor of the lower body 12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pipe 121 installed under the toilet 111 (see FIG. 1 ).
  • Water and manure falling into the interior of the lower body 120 along the communication pipe 121 by the dispersing member 122 are widely distributed arou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dispersing member 122, so that the manure is more evenly accumulated.
  •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ile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oilet 20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n upper body 210, a lower body 220, an exhaust pipe 230, an exhaust fan 240, and a staircase 250.
  • the upper body 210, the lower body 220, the exhaust pipe 230, the exhaust fan 240, and the stairs 250 are the upper body 110, the lower body 120, the exhaust pipe 130, and Since i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exhaust fan 140 and the stairs 150,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body 220 to store manure, and a warm air pipe 226 having an air inlet 226a and an air outlet 226b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on space.
  • a blowing fan 224 is installed at the air inlet 226a of the warm air pipe 226 to supply the warm air to the inside of the warm air pipe 226, and the air inlet 226a and An electric heater 225 for heating air is installed between the blowing fans 224.
  • the hot air pipe 226 is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floor of the receiving space, and one end of the air inlet 226a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220 so that the blowing fan 224 and the electric heater 225 It is installed to face the side,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to face the lower portion of the exhaust pipe 230.
  • a user may control a controller (not shown) or set to operate the blower fan 224 and the electric heater 225 at a predetermined period by a timer (not shown).
  • the air heated by the electric heater 225 is sent to the hot air pipe 226 by the blowing fan 224 while the blowing fan 224 and the electric heater 225 are turned on and off at a certain period of time. Is heated as a whole.
  • the heated air inside the warm air pipe 226 is quickly discharged upwards of the exhaust pipe 230 through the air outlet 226b.
  •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lower body 220 increases rapidly as a whole, and the manure accumulated in the lower body 220 is It can dry quickly.
  • the odor in the lower body 120 can be more effectively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130, Drying and decomposition of manure are actively carried 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 건조를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실은, 내부에 변기가 설치되는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분뇨가 저장되는 하부본체; 외기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의 일측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하단이 상기 하부본체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배기관; 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관은 외기와 접하는 부분이 광투과성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의 내부로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고, 상기 배기관의 내측면은 빛을 반사하는 광반사 부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설치하기가 편리하고, 비용이 적게 들면서, 악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오물의 자연 분해가 가능한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
본 발명은 분뇨를 자연 건조시키기 위한 분뇨 건조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은 사람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편의시설이며, 일반적으로 수세식 화장실과 급취식 화장실로 구분된다.
수세식 화장실은 물탱크에 모아둔 물을 이용하여 변기 내의 오물을 일정량의 물을 흘려서 처리하는 방식이며, 일반 가정이나 아파트 및 공공시설물 등 보편화 되어 사용되고 있다.
급취식 화장실은 변기 하부에 설치된 정화조 또는 밀폐콘크리트 등의 저장 공간에 오물을 축적하여 모아두었다가 분뇨 수거차량 등을 통해 주기적으로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이며, 논, 밭이나 공터 및 건설현장 등 야외에 간이식으로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급취식 화장실은 오물이 저장 공간에 축적되어 일정기간 동안 방치되기 때문에 악취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한 악취가 제대로 순환되지 못해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변기 하부의 저장 공간이나 화장실 내부에 전원을 이용하는 별도의 배기시설을 설치하여 악취를 배출하는 방법들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의 배기시설을 설치하는 방법들은 설치하기가 매우 번거로우면서 비용이 많이 들고,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곳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설치하기가 편리하고, 비용이 적게 들면서 화장실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오물의 자연분해가 가능한 급취식 화장실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설치 하기가 편리하고, 비용이 적게 들면서, 악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오물의 자연 분해가 가능한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야외에 설치되는 화장실은, 내부에 변기가 설치되는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분뇨가 저장되는 하부본체; 외기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의 일측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하단이 상기 하부본체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배기관;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기관은 외기와 접하는 부분이 광투과성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의 내부로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관의 내측면은 빛을 반사하는 광반사 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기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 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투과성 부재는 유리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설치하기가 편리하고, 비용이 적게 들면서, 악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오물의 자연 분해가 가능한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상부본체와 배기관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장실에서 공기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 연통관을 상세히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 분뇨 건조 화장실 110 : 상부 본체
111 : 변기 112 : 문
120 : 하부본체 121 : 연통관
121a : 분산공 122 : 분산부재
123 : 개구부 130 : 배기관
131, 132 : 광투과성 부재 133, 134 : 광반사 부재
140 : 배기팬 150 : 계단
224 : 송풍배기팬 225 : 전기히터
226 : 온풍배관 226a : 공기 유입구
226b : 공기 배출구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상부본체와 배기관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장실에서 공기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 연통관을 상세히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분뇨 건조 화장실(이하, 화장실)(100)은 상부본체(110), 하부본체(120), 배기관(130), 배기팬(140), 계단(150)을 포함한다.
상부본체(110)는 내부에 사용자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출입할 수 있는 문(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본체(110)의 내부에는 변기(111)가 구비된다. 변기(111)는 재래식, 수세식, 포세식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부본체(110)는 화장실의 크기에 따라 2인 또는 3인이 동시 사용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구획되면서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변기(111)를 설치하거나, 1인용의 크기로 제작된 상부본체(110)를 필요에 따라 복수 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하부본체(120)는 상부본체(110) 하부에 설치되고, 변기(111)로부터 배출되는 분뇨가 저장된다. 분뇨는 일정 기간 동안 저장되었다가 주기적으로 분뇨처리차량에 의해 수거되어 정화 처리되거나 퇴비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배기관(130)은 외기와 접하도록 상부본체(110)의 일측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하단이 하부본체(120)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배기팬(140)은 배기관(130)의 상부에 설치된다. 배기팬(140)의 내부에는 축회전이 가능한 날개(미도시)와, 날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배기팬(140)이 회전하면서 배기관(130)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화장실(100) 내부의 악취가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하부본체(120)의 일측에는 계단(1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부본체(110)가 지면보다 높게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계단(150)을 통해 화장실(10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부본체(110)가 지면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경우, 계단(150)이 없는 상태로 하부본체(120)가 땅속에 매립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배기관(130)은 외기와 접하도록 상부본체(110)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고, 외기와 접하는 배기관(130)의 부분은 전체적으로 광투과성 부재(131, 132)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배기관(130)은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사각형 단면 중 두 개의 변은 외부에 노출되고, 나머지 두 개의 변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에 노출되는 두 개의 변은 광투과성 부재(131, 132)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배기관(130)은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원형 단면 중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고,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은 광투과성 부재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기관(130)은 상부본체(110)의 일측 모서리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본체(110)의 일측 모서리에서 이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광투과성 부재(131, 132)는 유리, 수지 등으로 제작되고 광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어, 광투과성 부재(131, 132)를 통해 외부의 태양광이 배기관(1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광투과성 부재(131, 132)는 미관을 고려하여 외부에서 배기관(130)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기관(130) 중 일부가 광투과성 부재(131, 132)로 형성될 경우, 광투과성 부재(131, 132)로 형성되지 않는 배기관(130)의 내측면은 빛을 반사하는 광반사 부재(133, 134)로 형성될 수 있다. 광반사 부재(133, 134)는 예를 들어, 미러 또는 미러 스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반사 부재(133, 134)는 배기관(130) 내부로 유입된 빛을 반사 또는 굴절시켜, 배기관(130) 내부로 유입된 빛이 하부본체(120)의 내부까지 충분히 전달될 수 있게 한다.
광투과성 부재(131, 132)를 통해 배기관(130) 내부로 투과된 태양광은 온실효과에 의해 배기관(130) 내부의 공기를 가열시켜 공기의 밀도차에 의한 공기 순환이 일어나게 하다. 이 과정에서, 화장실(100) 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고 하부본체(120)에 저장되는 분뇨를 건조시켜 자연 분해가 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장실(100)에서 공기 순환에 의해 악취를 배출하고 분뇨를 건조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광투과성 부재(131, 132)를 통해 배기관(130) 내부로 태양광이 유입되면, 배기관(13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서 배기관(130) 내의 공기가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 상승에 의한 압력차이로 인해, 도 4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본체(120)의 공기는 배기관(130)으로, 상부본체(110) 내의 공기는 하부 본체로, 외부의 공기는 상부본체(110) 이동하는 공기 순환이 발생된다.
즉, 본 발명의 화장실(100)에서는 외부 공기 -> 상부본체(110) -> 하부본체(120) -> 배기관(130) -> 공기의 외부 배출과 같은 공기 순환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에 따라, 하부본체(120)의 분뇨에 의한 악취는 상부본체(110)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상부본체(110) 내부로 공급되면서 악취가 나지 않게 된다.
또한, 공기의 배출과정에서 분뇨에 포함된 수분이 건조되어 분뇨가 잘게 부서질 수 있다.
또한, 광투과성 부재(131, 132) 및 광반사 부재(133, 134)에 의해 태양광이 하부본체(120)까지 유입될 수 있고, 하부본체(120)의 분뇨 온도의 상승에 의해 분뇨가 건조되고 미생물이 쉽게 번식하여 분해가 활발히 일어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실(100)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전원의 공급없이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분뇨의 건조 및 분해를 가능하게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변기(111)의 하부에는 하부본체(120) 내부의 공기가 상부본체(110)로 쉽게 유입되지 않도록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연통관(121)이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통관(121)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점차 커지는 나팔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연통관(121)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구멍(121a)이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통관(121)이 나팔 모양을 가지게 되면 분뇨가 변기(111)를 통해 하부본체(120)의 내부로 떨어지는 동안 연통관(121)의 내측면에 쉽게 닿지 않게 되어, 연통관(121)이 분뇨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고 청결하게 유지된다.
연통관(121)에 형성된 복수 개의 구멍(121a)은 연통관(12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관통 형성되고, 복수 개의 구멍(121a)을 통해 상부본체(110)의 내부 공기가 연통관(121)을 통해 하부본체(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본체(120)의 내부로 유입된 빛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고, 하부본체(120) 내부의 공기는 자연스럽게 배기관(130)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며, 악취가 상부본체(110) 쪽으로 쉽게 역류하지 못하게 된다.
하부본체(120)의 내부 바닥에는 변기(111)의 하부에 설치된 연통관(121)의 위치에 맞추어 원뿔 모양의 분산부재(122)가 설치될 수 있다(도 1 참조).
이러한 분산부재(122)에 의해 연통관(121)을 따라 하부본체(120)의 내부로 떨어지는 물과 분뇨가 분산부재(122)의 경사면을 따라 주변으로 넓게 분산되면서 분뇨가 더욱 균일하게 쌓이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200)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장실(200)은 상부본체(210), 하부본체(220), 배기관(230), 배기팬(240), 계단(250)을 포함한다.
상부본체(210), 하부본체(220), 배기관(230), 배기팬(240), 계단(250)은 도 1 에 도시된 상부본체(110), 하부본체(120), 배기관(130), 배기팬(140), 계단(15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본체(220)의 내부에는 분뇨가 저장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의 바닥에는 공기 유입구(226a)와 공기 배출구(226b)가 각각 형성된 온풍배관(226)이 설치된다.
하부본체(220)의 외부 일측에는 온풍배관(226)의 공기 유입구(226a)쪽에 설치되어 온풍배관(226)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송풍팬(224)이 설치되고, 공기 유입구(226a)와 송풍팬(224) 사이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히터(225)가 설치된다.
이때, 온풍배관(226)은 수용공간의 내부 바닥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그 일단은 하부본체(2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공기 유입구(226a)가 송풍팬(224)과 전기히터(225)쪽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배기관(230)의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의 화장실(200)은 사용자가 제어기(미도시)를 제어하거나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송풍팬(224)과 전기히터(225)가 일정 주기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송풍팬(224)과 전기히터(225)가 일정 주기로 온오프 동작되면서 전기히터(225)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송풍팬(224)에 의해 온풍배관(226)으로 보내 온풍배관(226)을 전체적으로 가열하게 된다.
온풍배관(226) 내부의 가열된 공기는 공기 배출구(226b)를 통해 배기관(230)의 위쪽으로 빠르게 배출된다.
온풍배관(226)이 가열됨과 더불어 광투과성 부재를 통해 하부본체(220) 내부로 빛이 투과되면서 하부본체(220)의 내부 온도가 전체적으로 빠르게 상승되며, 하부본체(220)의 내부에 쌓인 분뇨가 빠르게 건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실(200)에서는 배기관(230)과 더불어 하부본체(220)에 추가적인 공기가열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하부본체(120) 내의 악취를 더욱 효과적으로 배기관(130)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하고, 분뇨의 건조 및 분해가 활발하게 일어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Claims (4)

  1. 야외에 설치되는 화장실에 있어서,
    내부에 변기가 설치되는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분뇨가 저장되는 하부본체;
    외기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의 일측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하단이 상기 하부본체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배기관;
    을 포함하는 야외에 설치되는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외기와 접하는 부분이 광투과성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의 내부로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는 야외에 설치되는 화장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내측면은 빛을 반사하는 광반사 부재로 형성되는 야외에 설치되는 화장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
    을 더 포함하는 야외에 설치되는 화장실.
PCT/KR2020/004891 2019-04-15 2020-04-10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 WO202021389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594 2019-04-15
KR1020190043594A KR102097896B1 (ko) 2019-04-15 2019-04-15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3895A1 true WO2020213895A1 (ko) 2020-10-22

Family

ID=7028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4891 WO2020213895A1 (ko) 2019-04-15 2020-04-10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7896B1 (ko)
WO (1) WO20202138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896B1 (ko) * 2019-04-15 2020-04-06 박정치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2428A (en) * 1991-04-18 1993-03-09 Clivus Multrum, Inc. Portable system for treating human waste
KR101563176B1 (ko) * 2014-07-31 2015-11-06 (주)지에스시엔티 이동식화장실
KR101864067B1 (ko) * 2017-01-24 2018-06-01 박정치 분뇨 건조식 화장실
KR20190012358A (ko) * 2017-07-27 2019-02-11 박규찬 간이화장실용 환기장치
KR102097896B1 (ko) * 2019-04-15 2020-04-06 박정치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2428A (en) * 1991-04-18 1993-03-09 Clivus Multrum, Inc. Portable system for treating human waste
KR101563176B1 (ko) * 2014-07-31 2015-11-06 (주)지에스시엔티 이동식화장실
KR101864067B1 (ko) * 2017-01-24 2018-06-01 박정치 분뇨 건조식 화장실
KR20190012358A (ko) * 2017-07-27 2019-02-11 박규찬 간이화장실용 환기장치
KR102097896B1 (ko) * 2019-04-15 2020-04-06 박정치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896B1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39832A1 (ko) 분뇨 건조식 화장실
WO2020105887A1 (ko) 양돈시설 환기시스템
CN104652565B (zh) 一种抽风除臭便器及其抽风除臭装置
KR20140040326A (ko) 애완동물용 털건조, 피부치료, 정신치료 힐링시스템 및 기기
CN110461144B (zh) 宠物用干燥装置
WO2020184852A1 (ko)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EA006534B1 (ru) Аквакультурная система
WO2020213895A1 (ko)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
CN104764134A (zh) 一种嵌入式新风设备
CN106714550A (zh) 宠物马桶
CN204717957U (zh) 一种嵌入式新风设备
KR20110091930A (ko)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KR100692367B1 (ko)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WO2014123377A1 (ko) 공기 처리 장치
CN206238022U (zh) 便于饮水和排粪的节能猪舍
JP2007222700A (ja) し尿浄化システム
KR100357052B1 (ko)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WO2016056700A1 (ko) 사물인터넷과 센서 기반의 벨트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CN212184631U (zh) 一种宠物屋
KR102006620B1 (ko)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
KR20230157764A (ko)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하여 발전이 가능한 분뇨 건조 화장실
KR20020012085A (ko)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CN110839541A (zh) 一种多功能动物护理病房系统
KR200201907Y1 (ko)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US4894872A (en) Waterless sanitation system with venti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918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918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