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620B1 -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620B1
KR102006620B1 KR1020180130672A KR20180130672A KR102006620B1 KR 102006620 B1 KR102006620 B1 KR 102006620B1 KR 1020180130672 A KR1020180130672 A KR 1020180130672A KR 20180130672 A KR20180130672 A KR 20180130672A KR 102006620 B1 KR102006620 B1 KR 102006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eceiving
tank
toile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명식
Original Assignee
한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식 filed Critical 한명식
Priority to KR1020180130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84Mix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10Temperature conditions for biological treatment
    • C02F2301/106Thermophilic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의 생존률을 높이되 가이드홈을 통해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변기부재가 설치되어 배변(排便)작용에 의한 배설물을 수용하며, 해당 배설물을 분해하기 위한 미생물재료가 수용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재 내부로 유입된 배설물과 미생물재료를 교반하는 교반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 외면에 구비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수용부재 내부온도가 설정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온도유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유지부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여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 온도를 유지시키는 제1발열부재나 소정온도를 갖는 액체의 순환에 의해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제2발열부재 중 어느 하나인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The sweeping type purification system by using no water in toilet}
본 발명은 미생물의 생존률을 높이되 가이드홈을 통해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 화장실이나 생활오수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는 부영양화 원인물질인 질소(N)와 인(P)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심한 악취가 발생된다.
오수에 포함된 질소(N)와 인(P)은 미생물의 활동 및 증식을 위한 단백질과 핵산 합성의 영양분으로 작용하게 되며, 잉여분은 제거되거나 방류되어 부영양화와 같은 수질 오염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오수에 포함된 질소(N)와 인(P)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생물학적 처리공정 또는 화학적 처리장치 및 기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에 화장실 혹은 오수처리시설은 유지관리가 불편하고 환경영향의 부담으로 화학적 처리공정을 적용하기가 곤란한 실정이다.
그 일 예로서, 자연발효 방식의 이동식, 고정식 화장실이나 거기에 화장실 내부의 악취를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기포 발생장치를 갖춘 포세식 화장실 등이 있으나 분뇨가 저류조에 쌓여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악취가 심하고, 해충 발생으로 비위생적이며, 또한 정기적으로 분뇨 및 오수를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과 수거한 분뇨 및 오수폐기시 2차적인 환경 오염원이 되고 있어 사실상 운영이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용으로 설치되는 공원, 산책로, 강변로 및 등산로 화장실은 효율적인 유지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공용 화장실의 유지관리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21856호“무수 변기를 이용한 소멸식 정화장치”가 공개되었다.
도 1에는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321856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화장실의 오수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하였는 바,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화장실의 오수 처리 시스템은 무수 변기(80)의 하측에 구비된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와 그 중간에 커터펌프(82)가 설치된 연결관(83)으로 연결된 폭기조(84)들과; 상기 폭기조(84)들과 저류조를 연결하여 상기 저류조에 저장되는 분뇨가 연속적으로 순환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다른 연결관(8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화장실의 오수 처리 시스템에 대한 작용으로서는 무수변기(80)에서 배출된 오수가 저류조로 유입되면, 저류조에서 오수는 다시 연결관(83)을 따라 이동하여 커터펌프(82)에 의해 분쇄되면서 폭기조(84)로 이송된다.
이후 오수는 폭기조(84)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제거되고, 동시에 오수에서 발생되는 무색 무취의 가스는 배기구(86)를 통해 대기 중으로 빠져나간다. 정화된 오수는 연결관(83) 통하여 저류조로 복귀한 뒤 연결관(83)을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과정을 재차 순환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화장실의 오수 처리 시스템은 오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사계절이 뚜렷한 국내의 환경에서 그 온도 차이에 의해 폭기조에 투입된 미생물의 생존확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오수 이외에 다른 이물질(에를 들어, 기저귀나 생리대 등)이 투입되는 경우에 커터펌프가 파손될 우려가 있어 오수의 정화가 불가능한 것은 물론, 유지보수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도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외기 온도에 따른 미생물의 생존률을 확보하되 오수 이외에 다른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현저히 저하시켜 경제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는 배설물 정화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는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변기부재가 설치되어 배변(排便)작용에 의한 배설물을 수용하며, 해당 배설물을 분해하기 위한 미생물재료가 수용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재 내부로 유입된 배설물과 미생물재료를 교반하는 교반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 외면에 구비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수용부재 내부온도가 설정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온도유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유지부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여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 온도를 유지시키는 제1발열부재나 소정온도를 갖는 액체의 순환에 의해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제2발열부재 중 어느 하나인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발열부재는 상기 수용부재 외면을 직접적으로 가열하거나 상기 제2발열부재를 순환하는 액체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발열부재는 상기 수용부재 외면을 감싸되 상기 변기부재와 액체가 순환가능하게 관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재 외면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에어쟈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는 상부는 상기 변기부재가 설치되는 덮개에 의해 개폐되되 내부는 상기 교반부재에 의해 배설물과 미생물재료가 교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되 상기 수용탱크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일 방향으로 수집되어 상기 덮개의 개방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수용탱크 내부와 연통되되 상기 수용탱크에서 발생한 악취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홈은 소정지름을 갖도록 형성된 상기 수용탱크의 바닥면 중앙으로 이물질이 안내되어 모아질 수 있는 회오리(tornado)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의 끝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웃하게 요철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수용탱크 외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을 제공하여 미생물이 수용된 수용공간부의 내부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어 해당 미생물의 생존률을 높이는 효과를 갖되, 상기 수용탱크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을 회오리 형상의 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수용탱크 중심부로 이동시켜 관리자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경제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오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에 대한 수용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수용탱크의 가이드홈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대한 작용관계도.
도 7은 도 5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에 대한 덮개와 교반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변기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A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이하, 간략하게 '처리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인 처리장치(1)는 야외에 구비되는 화장실(WC)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주택이나 상가 등의 화장실에도 설치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1)는 크게 수용부재(100), 교반부재(200) 및 온도유지부(3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재(100)는 변기부재(400)를 통해 유입되는 배변(排便)작용에 의한 배설물과 해당 배설물을 분해하기 위한 미생물재료가 수용되되 후술하는 교반부재(200)에 한정된 공간 내에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컨대 수용탱크(110) 및 덮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탱크(110)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원통형의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개방된 상부는 덮개(1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수용탱크(11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부(111)에는 배설물과 미생물재료가 교반부재(200)에 의해 혼합될 수 있도록 하며, 그 내부 바닥면에는 회오리(tornado)형상의 가이드홈(113)이 형성되어 이물질이 상기 교반부재(200)의 구성인 샤프트 축(210) 방향으로 안내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가이드홈(113)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13)이 서로 이어진 회오리 형상이거나 또는 샤프트 축(210)을 중심으로 곡선 형상을 갖게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즉, 변기부재(400)의 변기(410)를 통해 수용공간부(111)로 유입되는 것은 당연히 배설물만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기저귀, 생리대, 다양한 쓰레기 등의 이물질(F)이 함께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에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탱크(110) 바닥면이 평탄하게 되면 교반을 위한 교반날개(211) 하부와 해당 바닥면(117)이나 상기 수용탱크(110) 내측면 사이의 이격부(D)에 상기 이물질(F)이 끼어 이동과 동시에 상기 교반날개(211)의 회전에 간섭을 주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상기 교반날개(211)의 회전이 정지되어 그 과부하에 의해 교반모터(220)가 파손되어 잦은 유지보수를 실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경제적인 낭비는 물론, 야외화장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그 피해가 고스란히 전달되게 된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게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117)에 회오리 형상의 가이드홈(113)을 형성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부(D)에 이물질(F)이 끼어도 상기 가이드홈(113)에 의해 교반날개(211)가 용이하게 회전하여 해당 이물질(F)이 상기 이격부(D)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용탱크(110)의 바닥면(117) 중앙부에 위치하는 샤프트 축(210) 방향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는 덮개(120)의 개방을 통해 해당 이물질(F)을 상기 수용탱크(11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회전하는 샤프트 축(210) 방향으로 수집되는 이물질(F)은 그 종류에 따라 배설물과 섞이지 못하고 상기 샤프트 축(210)과 근접하게 해당 배설물이 지속적으로 쌓이는 현상에 의해 그 쌓여진 배설물 외부로 노출되어 관리자에 의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홈(113)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으로 끝단에 서로 대칭되게 요철부(115)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요철부(115)를 통해 이격부(D)에 끼인 이물질(F)의 이탈이 더욱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이물질(F)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상기 가이드홈(113)으로 유입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변기부재(400)는 사용자가 앉아서 배변을 실행하고, 온수공급함(420)에 수용된 물을 이용하여 배설물을 정화조(미도시) 등으로 흘려보내는 통상의 좌식으로 이루어진 변기(toilet)를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변기는 물을 이용하여 배설물을 흘려보내는 것이 아닌, 해당 배설물이 덮개(120)를 통해 수용공간부(111)로 바로 유입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변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물이 수용되는 보충탱크는 후술하는 온도유지부(300)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인 것이라는 점에 유의한다(도 10 참조).
수용탱크(110)에 수용된 배설물은 교반부재(200)에 의해 미생물재료와 혼합되어 미생물에 의해 분해 후, 소멸(소변은 후술하는 온도유지부의 온도에 의해 대부분 증발)되어 관리자가 일일이 해당 배설물을 상기 수용탱크(110)에서 제거하지 않게 사용된다.
여기서 미생물재료는 음식물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미생물(microorganism)을 의미하며, 해당 미생물의 개체수 증가와 생명력 연장을 위해 톱밥 등과 같은 보조재료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아울러 배설물을 분해한 미생물은 배출가스를 방출하게 되며, 해당 가스는 해당 배설물이 갖는 악취가스와 함께 배기관(121)을 통해 외부로 정화되어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후술하는 온도유지부(300)에 의해 생존에 필요한 적정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덮개(120)는 상술한 수용탱크(1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되 변기부재(4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변기부재(400)를 통해 유입되는 배설물이 상기 수용탱크(110) 내부로 유입하며, 상기 수용탱크(110) 내부에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배기관(121) 및 흡입모터(123)를 포함한다.
덮개(120)는 전체적으로 소정지름을 갖는 원형의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으로 이루어진 제1몸체(120a)와 제2몸체(120b)를 포함하는 두 몸체로 이루어져 경첩 등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그 회전에 의해 수용탱크(110) 상부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컨대 제1몸체(120a)는 수용탱크(110)의 개방된 상부에 고정결합하며, 그 중앙부에는 수용탱크(110) 내부에 수직되게 설치된 샤프트 축(210) 상부가 관통하여 교반부재(200)에 의해 상기 샤프트 축(210)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제2몸체(120b)는 제1몸체(120a)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그 회전에 의해 수용공간부(111)가 개폐되어 관리자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또는 제2몸체(120a,120b)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는 변기부재(4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변기부재(400)를 통해 유입되는 배설물이 수용공간부(111)에 직접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 유입관(125)이 수직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또는 제2몸체(120a,120b) 상부에는 하부가 수용공간부(111)와 연통되게 연장형성되되 상부는 흡입모터(123)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모터(123)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부(111)에서 생성된 가스(악취가스와 배출가스 등)가 수용탱크(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배기관(121)이 형성된다.
아울러 흡입모터(123)에 의해 흡입된 가스는 별도의 정화수단(미도시)을 통해 가스가 정화되어 배출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교반부재(200)는 상술한 수용부재(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설물과 미생물재료가 용이하게 교반(혼합)되어 해당 미생물재료에 의해 해당 배설물의 분해가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샤프트 축(210) 및 교반모터(2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샤프트 축(210)은 원통 형상을 갖는 수용탱크(110) 내측 중앙부에 수직되게 설치되되 하부는 상기 수용탱크(110) 바닥면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부는 제1몸체(120a)를 관통하여 교반모터(2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도 10 참조).
샤프트 축(210) 외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교반날개(211)가 외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교반날개(211)는 상기 샤프트 축(2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되 수직방향으로 대향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된다.
교반날개(211)는 배설물과 미생물재료의 원활한 교반을 위해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샤프트 축(210) 최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교반날개(211)의 하단은 수용탱크(110)의 바닥면과 이격부(D)를 갖도록 설치되어 회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교반날개(211)는 샤프트 축(210) 외면과 이어지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클램프 등으로 상기 샤프트 축(2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교반모터(220)는 제1몸체(120a) 상부에 고정설치되되 관리자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하여 샤프트 축(21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교반모터(220)는 제1몸체(120a)를 관통하여 수용탱크(110)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 축(210) 상부와 직접연결되거나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기어와 체인 등에 의해 상기 샤프트 축(21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온도유지부(300)는 수용공간부(111)의 내부온도를 외부환경의 영향이 없이 항시 일정하게 유지하여 미생물이 생활이나 번식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갖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발열하는 제1발열부재(310) 또는 온수의 순환시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제2발열부재(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예컨대 제1발열부재(310)는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명하는 통상의 히터를 의미하며, 상기 히터는 봉의 형상이나 열선 등으로 이루어져 수용탱크(110) 외면에 구비된다.
수용탱크(110) 외면에 구비된 제1발열부재(310)는 수용탱크(110) 외면에 직접적인 열을 가하여 수용공간부(111)의 내부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서는 보온커버(311)로 상기 제1발열부재(310)가 구비된 상기 수용탱크(110)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열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때, 수용탱크(110) 내부에는 수용공간부(111) 내부의 온도를 확인하는 온도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상기 수용공간부(111)의 내부온도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헌데, 이러한 제1발열부재(310)는 그 발열온도에 의해 수용탱크(110) 외면에 온도차에 의한 결로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결로는 상기 제1발열부재(310)의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져오게 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용공간부(111)의 온도를 적정온도(약 23 ~ 26℃)로 유지하기 위해 제2발열부재(32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2발열부재(320)는 전원인가에 의한 발열방식이 아닌, 순환가능한 온수에 의해 간적적으로 수용탱크(110)를 가열하여 수용공간부(111) 내부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에어쟈켓(321) 및 온수공급함(420)을 포함한다.
에어쟈켓(321)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되 그 내부에는 온수와 같은 액체가 이동하기 위한 이동로(323)가 형성되며, 수용탱크(110) 외면을 띠 형상을 감싸 상기 이동로(323)를 이동하는 온수의 온도에 의해 상기 수용탱크(110)가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받아 수용공간부(111)의 내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에어쟈켓(321)은 온수공급함(420)과 관 연결되는 연결관(327)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온수가 순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이동로(323)는 하나의 에어쟈켓(321)에 독립적으로 분할되게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로 형성된 각각의 상기 이동로(323)에는 연결관(327)가 개별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이동로(323)와 온수공급함(420)이 서로 온수가 순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1 참조).
아울러 에어쟈켓(321)과 온수공급함(420) 사이에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순환펌프(325)가 구비되어 온수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온수는 영하권의 외기온도에 의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동액이 더 포함되거나 상술한 제1발열부재(310)를 온수공급함(420) 내부에 수중히터로 온수에 침전시켜 해당 온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수용탱크(110) 외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을 제공하여 미생물이 수용된 수용공간부(111)의 내부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어 해당 미생물의 생존률을 높이는 효과를 갖되, 상기 수용탱크(110)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을 회오리 형상의 가이드홈(113)을 통해 상기 수용탱크(110) 중심부로 이동시켜 관리자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경제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
100: 수용부재 110: 수용탱크
111: 수용공간부 113: 가이드홈
115: 요철부 120: 덮개
121: 배기관 123: 흡입모터
125: 유입관 200: 교반부재
210: 샤프트 축 211: 교반날개
220: 교반모터 300: 온도유지부
310: 제1발열부재 311: 보온커버
320: 제2발열부재 321: 에어쟈켓
323: 이동로 325: 순환펌프
400: 변기부재 410: 변기
420: 온수공급함

Claims (4)

  1.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변기부재(400)가 설치되어 배변(排便)작용에 의한 배설물을 수용하며, 해당 배설물을 분해하기 위한 미생물재료가 수용하는 수용부재(100);
    상기 수용부재(100)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재(100) 내부로 유입된 배설물과 미생물재료를 교반하는 교반부재(200); 및
    상기 수용부재(100) 외면에 구비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수용부재(100) 내부온도가 설정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온도유지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유지부(30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여 상기 수용부재(100)의 내부 온도를 유지시키는 제1발열부재(310)나 소정온도를 갖는 액체의 순환에 의해 상기 수용부재(100)의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제2발열부재(320) 중 어느 하나인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재(100)는 상부는 상기 변기부재(400)가 설치되는 덮개(120)에 의해 개폐되되 내부는 상기 교반부재(200)에 의해 배설물과 미생물재료가 교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수용탱크(110), 상기 수용탱크(110) 내부 바닥면(117)에 형성되되 상기 수용탱크(11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일 방향으로 수집되어 상기 덮개(120)의 개방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홈(113) 및 상기 수용탱크(110) 내부와 연통되되 상기 수용탱크(110)에서 발생한 악취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기관(121)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홈(113)은 상기 교반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소정지름을 갖도록 형성된 상기 수용탱크(110)의 바닥면(117) 중앙으로 이물질이 안내되어 모아질 수 있는 회오리(tornado)형상이며,
    상기 가이드홈(113)의 끝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웃하게 요철부(115)가 더 형성되며,
    상기 교반부재(200)는 상기 수용탱크(110)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되 하부는 상기 수용탱크(110)의 바닥면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부는 상기 수용탱크(110) 상부에 구비된 교반모터(22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샤프트 축(210)과, 상기 샤프트 축(210) 외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연장형상되되 상기 샤프트 축(2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며, 각각 소정을 경사각을 갖게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향되지 않도록 형성된 교반날개(211)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축(210) 최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교반날개(211) 하단은 상기 수용탱크(110)의 바닥면과 이격부(D)를 갖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용탱크(110)가 상기 교반날개(211)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그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113)에 삽입된 이물질의 배출되어 상기 샤프트 축(210) 방향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열부재(310)는 상기 수용부재(100) 외면을 직접적으로 가열하거나 상기 제2발열부재(320)를 순환하는 액체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발열부재(320)는 상기 수용부재(100) 외면을 감싸되 상기 변기부재(400)와 액체가 순환가능하게 관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재(100) 외면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에어쟈켓(3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80130672A 2018-10-30 2018-10-30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 KR102006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672A KR102006620B1 (ko) 2018-10-30 2018-10-30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672A KR102006620B1 (ko) 2018-10-30 2018-10-30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620B1 true KR102006620B1 (ko) 2019-08-02

Family

ID=6761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672A KR102006620B1 (ko) 2018-10-30 2018-10-30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6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419B1 (ko) * 2021-04-23 2021-11-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덕양아그로텍 식물의 뿌리 발근을 촉진하는 액상비료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061Y1 (ko) * 2005-12-30 2006-03-15 (주) 한국클리버스 분뇨 처리 장치
KR20110009269U (ko) * 2010-03-24 2011-09-30 이지알테크 주식회사 배설물 처리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친환경 화장실 설비
KR101363592B1 (ko) * 2013-06-21 2014-02-27 (주)이지스 수질안정화를 위한 회전형 반응수단을 갖는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061Y1 (ko) * 2005-12-30 2006-03-15 (주) 한국클리버스 분뇨 처리 장치
KR20110009269U (ko) * 2010-03-24 2011-09-30 이지알테크 주식회사 배설물 처리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친환경 화장실 설비
KR101363592B1 (ko) * 2013-06-21 2014-02-27 (주)이지스 수질안정화를 위한 회전형 반응수단을 갖는 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419B1 (ko) * 2021-04-23 2021-11-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덕양아그로텍 식물의 뿌리 발근을 촉진하는 액상비료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742B1 (ko) 화장실의 배설물 유기질 퇴비화 제조장치
KR920003773B1 (ko) 배설물 처리용 이동 시스템
JP2006516005A (ja) 排泄物処理装置
KR20160081874A (ko) 발효 소멸 재래식 화장실
CN104150596B (zh) 分散式生活污水一体化处理装置及处理方法
KR101619376B1 (ko)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
CN112806888A (zh) 生物降解装置、智能生态环保厕所及人体排泄物生态处理方法
KR100892862B1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KR102006620B1 (ko)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
CN210748975U (zh) 一种无水免冲生态蹲厕
CN106698877A (zh) 一种用于公共厕所污染治理的方法
CN111839317A (zh) 一种无水免冲生态蹲厕以及净化分解方法
KR19990039464A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CN103735212B (zh) 一种免冲水厕所及粪便原地处理方法
KR20140117136A (ko) 중수도(재사용)시스템 화장실
KR101028516B1 (ko) 순환수세 발효식 화장실
KR20160026083A (ko) 이동식 화장실
JPH08243534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CN209890467U (zh) 一种生物环保厕所
JP2011190629A (ja) 無放流型水循環式簡易水洗トイレ、及び無放流型水循環式簡易水洗トイレにおける汚水の浄化方法
CN208640575U (zh) 一种村落生态旱厕系统
JPH07265842A (ja) 有機廃棄物連続分解処理装置
KR100742673B1 (ko) 건조 발효식 화장실
KR200351775Y1 (ko) 음이온 고속발효식 화장실
CN203709919U (zh) 一种免冲水厕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