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764A -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하여 발전이 가능한 분뇨 건조 화장실 - Google Patents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하여 발전이 가능한 분뇨 건조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764A
KR20230157764A KR1020220057364A KR20220057364A KR20230157764A KR 20230157764 A KR20230157764 A KR 20230157764A KR 1020220057364 A KR1020220057364 A KR 1020220057364A KR 20220057364 A KR20220057364 A KR 20220057364A KR 20230157764 A KR20230157764 A KR 20230157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duct
air
lower body
venturi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0399B1 (ko
Inventor
박정치
Original Assignee
박정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치 filed Critical 박정치
Priority to KR1020220057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0399B1/ko
Publication of KR20230157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0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0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10/00Solar heat collectors using working fluids
    • F24S10/40Solar heat collectors using working fluids in absorbing elements surrounded by transparent enclosures, e.g. evacuated solar collectors
    • F24S10/45Solar heat collectors using working fluids in absorbing elements surrounded by transparent enclosures, e.g. evacuated solar collectors the enclosure being cylind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10/00Solar heat collectors using working fluids
    • F24S10/70Solar heat collectors using working fluids the working fluids being conveyed through tubular absorbing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3/0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 F24S23/7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 F24S23/74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with trough-shaped or cylindro-parabolic reflectiv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하여 분뇨를 자연 건조시킬 수 있으며, 미생물에 의한 자연분해가 이루어지며, 자연 대류에 의한 발전이 가능한 분뇨 건조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야외에 설치되는 화장실은, 내부에 변기가 설치되는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분뇨가 저장되는 하부본체; 외기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의 외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하단이 상기 하부본체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배기관; 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하부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본체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수직덕트; 상기 제1 수직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수직덕트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벤츄리형 연결관; 상기 벤츄리형 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 벤츄리형 연결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 수직덕트; 상기 벤츄리형 연결관 내부에 설치되는 팬유닛; 상기 팬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팬유닛의 회전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기;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본체 내의 공기가 상기 제1 수직덕트로 유입되고, 상기 벤츄리형 연결관을 통과하면서 속도가 증가되어 팬유닛의 팬을 회전시킴으로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고, 비용이 적게 들면서 악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 발전도 가능한 분뇨 건조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하여 발전이 가능한 분뇨 건조 화장실 {Manure drying toilet that can generate electricity using natural air circulation}
본 발명은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하여 분뇨를 자연 건조시킬 수 있고 발전이 가능한 분뇨 건조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은 사람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편의시설이며, 일반적으로 수세식 화장실과 급취식 화장실로 구분된다.
수세식 화장실은 물탱크에 모아둔 물을 이용하여 변기 내의 오물을 일정량의 물을 흘려서 처리하는 방식이며, 일반 가정이나 아파트 및 공공시설물 등 보편화 되어 사용되고 있다.
급취식 화장실은 변기 하부에 설치된 정화조 또는 밀폐콘크리트 등의 저장 공간에 오물을 축적하여 모아두었다가 분뇨 수거차량 등을 통해 주기적으로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이며, 논, 밭이나 공터 및 건설현장 등 야외에 간이식으로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급취식 화장실은 오물이 저장 공간에 축적되어 일정기간 동안 방치되기 때문에 악취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한 악취가 제대로 순환되지 못해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변기 하부의 저장 공간이나 화장실 내부에 전원을 이용하는 별도의 배기시설을 설치하여 악취를 배출하는 방법들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의 배기시설을 설치하는 방법들은 설치하기가 매우 번거로우면서 비용이 많이 들고,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곳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고,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하여 비용이 적게 들면서 화장실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 발전도 가능한 급취식 화장실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406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고, 비용이 적게 들면서 악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 발전도 가능한 분뇨 건조 화장실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야외에 설치되는 화장실은, 내부에 변기가 설치되는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분뇨가 저장되는 하부본체; 외기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의 외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하단이 상기 하부본체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배기관;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기관은, 상기 하부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본체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수직덕트; 상기 제1 수직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수직덕트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벤츄리형 연결관; 상기 벤츄리형 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 벤츄리형 연결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 수직덕트; 상기 벤츄리형 연결관 내부에 설치되는 팬유닛; 상기 팬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팬유닛의 회전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기;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본체 내의 공기가 상기 제1 수직덕트로 유입되고, 상기 벤츄리형 연결관을 통과하면서 속도가 증가되어 팬유닛의 팬을 회전시킴으로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직덕트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원통형으로 설치되고, 광투과성 부재로 형성되는 히팅자켓;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히팅자켓은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어 태양광에 의해 가열될 수 있고,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제2 수직덕트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자켓의 외주면을 소정 각도만큼 둘러싸도록 호형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내측면이 반사재질로 형성되는 반사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플레이트는 상기 제2 수직덕트에 연결되는 회전결합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히팅자켓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고, 비용이 적게 들면서 악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 발전도 가능한 분뇨 건조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배기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장실에서 공기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연통관을 상세히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배기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배기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장실에서 공기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연통관을 상세히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분뇨 건조 화장실(이하, 화장실)(100)은 상부본체(110), 하부본체(120), 배기관(130), 배기팬(140), 계단(150)을 포함한다.
상부본체(110)는 내부에 사용자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출입할 수 있는 문(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본체(110)의 내부에는 변기(111)가 구비된다. 변기(111)는 재래식, 수세식, 포세식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부본체(110)는 화장실의 크기에 따라 2인 또는 3인이 동시 사용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구획되면서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변기(111)를 설치하거나, 1인용의 크기로 제작된 상부본체(110)를 필요에 따라 복수 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하부본체(120)는 상부본체(110) 하부에 설치되고, 변기(111)로부터 배출되는 분뇨가 저장된다. 분뇨는 일정 기간 동안 저장되었다가 주기적으로 분뇨처리차량에 의해 수거되어 정화 처리되거나 퇴비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배기관(130)은 외기와 접하도록 상부본체(110)의 외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하단이 하부본체(120)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배기팬(140)은 배기관(130)의 상부에 설치된다. 배기팬(140)의 내부에는 축회전이 가능한 날개(미도시)와, 날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된다. 배기팬(140)이 회전하면서 배기관(130)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화장실(100) 내부의 악취가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본체(120)의 일측에는 계단(1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부본체(110)가 지면보다 높게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계단(150)을 통해 화장실(10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부본체(110)가 지면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경우, 계단(150)이 없는 상태로 하부본체(120)가 땅속에 매립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배기관(130)은 외기와 접하도록 상부본체(110)의 외부에 설치된다.
배기관(130)은 제1 수직덕트(131), 벤츄리형 연결관(132), 제2 수직덕트(133), 팬유닛(137), 발전기(138), 히팅자켓(134), 반사플레이트(136)를 포함한다.
제1 수직덕트(131)는 하부본체(120)와 연결되어 하부본체(120) 내부의 공기가 직접 유입된다.
벤츄리형 연결관(132)은 제1 수직덕트(131)와 연결되고 제1 수직덕트(13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제2 수직덕트(133)는 벤츄리형 연결관(132)과 연결되고, 벤츄리형 연결관(13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제2 수직덕트(133)는 제1 수직덕트(131)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팬유닛(137)은 벤츄리형 연결관(132) 내부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팬을 포함한다. 발전기(138)는 팬유닛(137)과 연결되어 팬의 회전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하부본체(120)로부터 제1 수직덕트(131)로 유입된 공기가 직경이 작아지는 벤츄리형 연결관(132) 내부를 빠르게 통과하면서 팬유닛(137)의 팬을 회전시키며, 이에 의해 팬유닛(137)과 연결된 발전기(138)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생산될 수 있다. 하부본체(120)로부터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발전기(138)를 구동시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성능을 더욱 확실하게 발휘하기 위해 복수 개의 팬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히팅자켓(134)은 제2 수직덕트(133)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원통형으로 설치된다. 히팅자켓(134)은 광투과성 부재로 형성되어, 히팅자켓(134)을 통해 외부의 태양광이 히팅자켓(134)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히팅자켓(134)은 미관을 고려하여 외부에서 히팅자켓(134)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히팅자켓(134)은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어 태양광에 의해 가열될 수 있고, 가열된 공기는 제2 수직덕트(133)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히팅자켓(134)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2 수직덕트(133)는 광투과성 부재로 형성되어, 히팅자켓(134)을 통해 유입되는 태양광이 제2 수직덕트(133)로도 충분히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반사플레이트(136)는 히팅자켓(134)의 외주면을 소정 각도만큼 둘러싸도록 호형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은 태양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내측면이 반사재질로 형성된다. 반사플레이트(136)는 제2 수직덕트(133)에 연결되는 회전결합부(13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히팅자켓(134)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반사플레이트(136)는 히팅자켓(134)을 통해 유입되는 빛을 반사 또는 굴절시켜, 태양광이 제2 수직덕트(133) 내부까지 충분히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조의 반사플레이트(136)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태양이 비추는 방향에 맞추어 그 방향을 조절하여 위치시키면 반사플레이트(136)에 의해 태양열이 집중되면서 반사되고, 이에 의해 히팅자켓(134)과 제2 수직덕트(133) 사이의 공기가 더욱 빠르게 가열된다.
히팅자켓(134)을 통해 제2 수직덕트(133) 내부로 투과된 태양광은 온실효과에 의해 제2 수직덕트(133) 내부의 공기를 가열시켜 공기의 밀도차에 의한 공기 순환이 일어나게 한다. 이 과정에서, 화장실(100) 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고 하부본체(120)에 저장되는 분뇨를 건조시켜 자연 분해가 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장실(100)에서 공기 순환에 의해 악취를 배출하고 분뇨를 건조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히팅자켓(134)을 통해 제2 수직덕트(133)가 가열되거나 제2 수직덕트(133) 내부로 태양광이 유입되면, 배기관(13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서 배기관(130) 내의 공기가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 상승에 의한 압력차이로 인해, 도 3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본체(120)의 공기는 배기관(130)으로, 상부본체(110) 내의 공기는 하부 본체로, 외부의 공기는 상부본체(110) 이동하는 공기 순환이 발생된다.
즉, 본 발명의 화장실(100)에서는 외부 공기 -> 상부본체(110) -> 하부본체(120) -> 배기관(130) -> 공기의 외부 배출과 같은 공기 순환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에 따라, 하부본체(120)의 분뇨에 의한 악취는 상부본체(110)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상부본체(110) 내부로 공급되면서 악취가 나지 않게 된다.
또한, 공기의 배출과정에서 분뇨에 포함된 수분이 건조되어 분뇨가 잘게 부서질 수 있다.
또한, 히팅자켓(134) 및 반사플레이트(136)에 의해 태양광이 유입되면서, 하부본체(120)의 분뇨 온도의 상승에 의해 분뇨가 건조되고 미생물이 쉽게 번식하여 분해가 활발히 일어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실(100)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전원의 공급없이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분뇨의 건조 및 분해를 가능하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변기(111)의 하부에는 하부본체(120) 내부의 공기가 상부본체(110)로 쉽게 유입되지 않도록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연통관(121)이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통관(121)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점차 커지는 나팔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연통관(121)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구멍(121a)이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통관(121)이 나팔 모양을 가지게 되면 분뇨가 변기(111)를 통해 하부본체(120)의 내부로 떨어지는 동안 연통관(121)의 내측면에 쉽게 닿지 않게 되어, 연통관(121)이 분뇨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고 청결하게 유지된다.
연통관(121)에 형성된 복수 개의 구멍(121a)은 연통관(12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관통 형성되고, 복수 개의 구멍(121a)을 통해 상부본체(110)의 내부 공기가 연통관(121)을 통해 하부본체(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기관(130)의 공기가 가열되면, 하부본체(120) 내부의 공기는 자연스럽게 배기관(130)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며, 악취가 상부본체(110) 쪽으로 쉽게 역류하지 못하게 된다.
하부본체(120)의 내부 바닥에는 변기(111)의 하부에 설치된 연통관(121)의 위치에 맞추어 원뿔 모양의 분산부재(122)가 설치될 수 있다(도 1 참조).
이러한 분산부재(122)에 의해 연통관(121)을 따라 하부본체(120)의 내부로 떨어지는 물과 분뇨가 분산부재(122)의 경사면을 따라 주변으로 넓게 분산되면서 분뇨가 더욱 균일하게 쌓이게 된다.
도 5는 도 2의 배기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히팅자켓(134)의 내측면에는 제2 수직덕트(133)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접촉부재(160)가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된다.
접촉부재(160)는 히팅자켓(134)의 내측면에서 제2 수직덕트(133)의 외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되면서, 접촉부재(160)의 단부는 제2 수직덕트(133)와 소정 면적에 걸쳐 접촉된다.
접촉부재(160)의 표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개구(161)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재(160)는 속이 빈 형태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접촉부재(160)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는 개구(161)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접촉부재(160)는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태양광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제2 수직덕트(133)로 전달하여, 제2 수직덕트(133)가 빨리 가열되게 한다.
또한, 접촉부재(160)에 형성되는 개구(161)는 태양광에 의해 가열된 접촉부재(160) 주위의 공기가 다른 부분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하여, 히팅자켓(134)의 내측면이 더욱 빨리 가열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의 화장실에서는 히팅자켓(134)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접촉부재(160)에 의해 태양광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자켓(134)의 열과 공기가 제2 수직덕트(133)로 더욱 쉽고 빠르게 전달되게 하여, 화장실 내부에서 공기 순환이 더욱 원활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200)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장실(200)은 상부본체(210), 하부본체(220), 배기관(230), 배기팬(240), 계단(250)을 포함한다.
상부본체(210), 하부본체(220), 배기관(230), 배기팬(240), 계단(250)은 도 1 에 도시된 상부본체(110), 하부본체(120), 배기관(130), 배기팬(140), 계단(15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본체(220)의 내부에는 분뇨가 저장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의 바닥에는 공기 유입구(226a)와 공기 배출구(226b)가 각각 형성된 온풍배관(226)이 설치된다.
하부본체(220)의 외부 일측에는 온풍배관(226)의 공기 유입구(226a)쪽에 설치되어 온풍배관(226)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송풍팬(224)이 설치되고, 공기 유입구(226a)와 송풍팬(224) 사이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히터(225)가 설치된다.
이때, 온풍배관(226)은 수용공간의 내부 바닥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그 일단은 하부본체(2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공기 유입구(226a)가 송풍팬(224)과 전기히터(225)쪽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배기관(230)의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의 화장실(200)은 사용자가 제어기(미도시)를 제어하거나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송풍팬(224)과 전기히터(225)가 일정 주기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송풍팬(224)과 전기히터(225)가 일정 주기로 온오프 동작되면서 전기히터(225)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송풍팬(224)에 의해 온풍배관(226)으로 보내 온풍배관(226)을 전체적으로 가열하게 된다.
온풍배관(226) 내부의 가열된 공기는 공기 배출구(226b)를 통해 배기관(230)의 위쪽으로 빠르게 배출된다.
온풍배관(226)이 가열됨과 더불어 광투과성 부재를 통해 하부본체(220) 내부로 빛이 투과되면서 하부본체(220)의 내부 온도가 전체적으로 빠르게 상승되며, 하부본체(220)의 내부에 쌓인 분뇨가 빠르게 건조될 수 잇다.
하부본체(220)로부터 제1 수직덕트(231)로 유입된 공기가 직경이 작아지는 벤츄리형 연결관(232) 내부를 빠르게 통과하면서 팬유닛(237)의 팬을 회전시키며, 이에 의해 팬유닛(237)과 연결된 발전기(238)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생산될 수 있다.
발전기(238)에 의해 생산된 전기는 축전기에 의해 저장되었다가, 송풍팬(224)과 전기히터(225)를 가동하기 위한 전원이 될 수 있다.
히팅자켓(234)에는 태양광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흐린 날, 비오는 날과 같이 태양광이 적은 날에는 발전기(238)에 의해 생산된 전기가 송풍팬(224) 또는 전기히터(225)로 공급되게 하여, 강제 공기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실(200)에서는 배기관(230)과 더불어 하부본체(220)에 추가적인 공기가열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하부본체(220) 내의 악취를 더욱 효과적으로 배기관(230)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하고, 분뇨의 건조 및 분해가 활발하게 일어나게 하면서, 발전기(238)에 의해 생산된 전기가 송풍팬(224) 또는 전기히터(225)로 공급되게 하여 태양광이 적은 날에 강제 공기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분뇨 건조 화장실
110 : 상부본체
111 : 변기
112 : 문
120 : 하부본체
121 : 연통관
121a : 분산공
122 : 분산부재
123 : 개구부
130 : 배기관
131 : 제1 수직덕트
132 : 벤츄리형 연결관
133 : 제2 수직덕트
134 : 히팅자켓
135 : 회전결합부
136 : 반사플레이트
137 : 팬유닛
138 : 발전기
140 : 배기팬
150 : 계단
160 : 접촉부재
161 : 개구
224 : 송풍배기팬
225 : 전기히터
226 : 온풍배관
226a : 공기 유입구
226b : 공기 배출구

Claims (4)

  1. 야외에 설치되는 화장실에 있어서,
    내부에 변기가 설치되는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분뇨가 저장되는 하부본체;
    외기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의 외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하단이 상기 하부본체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배기관;
    을 포함하는 야외에 설치되는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상기 하부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본체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수직덕트;
    상기 제1 수직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수직덕트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벤츄리형 연결관;
    상기 벤츄리형 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 벤츄리형 연결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 수직덕트;
    상기 벤츄리형 연결관 내부에 설치되는 팬유닛;
    상기 팬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팬유닛의 회전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기;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본체 내의 공기가 상기 제1 수직덕트로 유입되고, 상기 벤츄리형 연결관을 통과하면서 속도가 증가되어 팬유닛의 팬을 회전시킴으로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야외에 설치되는 화장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덕트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원통형으로 설치되고, 광투과성 부재로 형성되는 히팅자켓;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히팅자켓은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어 태양광에 의해 가열될 수 있고,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제2 수직덕트로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야외에 설치되는 화장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자켓의 외주면을 소정 각도만큼 둘러싸도록 호형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내측면이 반사재질로 형성되는 반사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플레이트는 상기 제2 수직덕트에 연결되는 회전결합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히팅자켓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한, 야외에 설치되는 화장실.
KR1020220057364A 2022-05-10 2022-05-10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하여 발전이 가능한 분뇨 건조 화장실 KR102680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364A KR102680399B1 (ko) 2022-05-10 2022-05-10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하여 발전이 가능한 분뇨 건조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364A KR102680399B1 (ko) 2022-05-10 2022-05-10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하여 발전이 가능한 분뇨 건조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764A true KR20230157764A (ko) 2023-11-17
KR102680399B1 KR102680399B1 (ko) 2024-07-01

Family

ID=8896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364A KR102680399B1 (ko) 2022-05-10 2022-05-10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하여 발전이 가능한 분뇨 건조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03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100B1 (ko) * 2015-08-24 2016-12-20 박정치 자연대류를 이용한 환기 및 발전장치
KR101864067B1 (ko) 2017-01-24 2018-06-01 박정치 분뇨 건조식 화장실
KR102097896B1 (ko) * 2019-04-15 2020-04-06 박정치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100B1 (ko) * 2015-08-24 2016-12-20 박정치 자연대류를 이용한 환기 및 발전장치
KR101864067B1 (ko) 2017-01-24 2018-06-01 박정치 분뇨 건조식 화장실
KR102097896B1 (ko) * 2019-04-15 2020-04-06 박정치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0399B1 (ko) 202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3817B1 (en) Raw sewage drying apparatus
KR960004768B1 (ko) 시뇨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CN110191665B (zh) 粪尿干燥式洗手间
US20220240734A1 (en) Solid-liquid Separation Anti-soiling Toilet, Mounting Method and Application of Solid-liquid Separation Anti-soiling Toilet
KR102097896B1 (ko)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한 분뇨 건조 화장실
KR102680399B1 (ko) 자연 공기 순환을 이용하여 발전이 가능한 분뇨 건조 화장실
KR100692367B1 (ko)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KR960013345B1 (ko) 시뇨건조장치
KR101931613B1 (ko) 건조장치
CN106725144B (zh) 一种除掉镜面水气的装置
KR102006620B1 (ko)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
AU642315B2 (en) Combination sterilized hot-water and incineration system
CN109138520B (zh) 一种适用于农村的环保公共卫生间
US9301659B1 (en) High efficiency evaporative/dehydration toilets
KR20120003346A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KR101205547B1 (ko) 야외 화장실의 자연 채광 장치
KR200370677Y1 (ko)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KR100337186B1 (ko) 소각식 변기
KR101562800B1 (ko) 건조기에 연설되는 태양광 모듈의 구동수단
CN214091202U (zh) 一种带有自动通风功能的泡沫移动厕所
KR102395578B1 (ko) 태양광을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이 구비된 차량의 실내 온도 조절장치
KR20140125024A (ko) 태양전지와 자연 바람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20150008571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0467034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10026856A (ko) 태양에너지로 가열한 고온공기 공급 장치 및 이용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