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677Y1 -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677Y1
KR200370677Y1 KR20-2004-0027589U KR20040027589U KR200370677Y1 KR 200370677 Y1 KR200370677 Y1 KR 200370677Y1 KR 20040027589 U KR20040027589 U KR 20040027589U KR 200370677 Y1 KR200370677 Y1 KR 200370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manure
septic tank
ventilation pip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치
Original Assignee
박정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치 filed Critical 박정치
Priority to KR20-2004-0027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6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6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화장실 내부에 형성된 변기부(100)와, 상기 변기부(100) 하부에 위치하여 투여되는 분뇨 저장하는 정화조(200)를 갖춘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변기부(100)를 통해 투여되는 분뇨(500)가 천천히 흘러내리면서 건조 및 부패되도록 상기 정화조(200) 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다수의 걸림부(310)를 갖는 건조판(300)과, 상기 정화조(200)의 환기를 위해 정화조(200) 외부로 도출되고, 그 상단 부위에 햇빛이 유입되는 투명유리(410)가 설치된 환기관(400)과, 상기 환기관(400)의 내벽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투명유리(410)를 통해 유입된 햇빛을 정화조(200) 내부로 조사할 수 있는 반사경(420)과, 상기 환기관(400)의 외측 일부분에 투명유리(431)를 통해 밀폐 설치되어 온실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온실(430)을 포함하는 장치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태양 빛을 정화조 내부로 조사하여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분뇨를 건조시킴과 아울러 미생물 활성화를 통해 분뇨를 보다 빠르게 썩여 퇴비화 할 수 있고, 자연대류현상을 통해 정화조 속의 오염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화장실 내부의 환기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APPARATUS FOR DRYING HUMAN EXCREMENT OF TOILET}
본 고안은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선 출원된 이동식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가 이동식 화장실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던 것을 개선하여 정화조가 지하에 매설된 고정식 화장실과 같은 보다 넓은 범위에 확대 적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존 화장실의 환기 기능을 강화시킨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하수도에 연결된 수세식 화장실이 아닌 이동식 화장실이나 정화조가 지하에 매설된 재래식 화장실의 경우에는 정화조에 분뇨 등의 오물이 일정량 차게 되면, 별도의 정화차량을 이용하여 분뇨 등의 오물을 수거해서 별도의 장소에 매립하거나, 분뇨 자체를 정화 건조시켜 퇴비로 활용하거나, 정화되지 않은 분뇨를 거름 등에 혼합하여 퇴비 생산에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화차량을 이용하여 분뇨를 처리하는 방법은 개별적으로는 정화차량 사용에 따른 부대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는 분뇨 수거 후 정화되지 않은 분뇨 등의 오물을 처리하기 위한 공간 확보 및 정화처리 시설확보 등에 경제적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경우에 따라서는 정화되지 않은 분뇨 등의 오물을 하수 등에 그대로 흘려보냄으로써,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높은 것이 사실이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본 출원인에 의해 연구 개발된 이동식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가 선 출원된 바 있었다.
즉, 본 출원인에 의해 2002년 3월 21일자로 출원되어 선 등록된 국내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79600호(2002년06월12일, 등록)에 의한 이동식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내부(20)의 하단부에 형성된 변기부(32)와, 상기 변기부(32)의 하부 측에 위치되며, 변기부(32)에서 발생된 분뇨(50)를 저장하도록 형성된 분뇨저장부(48)와, 상기 변기부(32)의 하부 측으로 떨어지는 분뇨(50)를 분뇨저장부(48)에 흘러내리면서 건조되도록 사선지게 형성된 걸림부(36)를 갖는 건조판(38)과, 상기 건조판(38)의 하부 측에 일정간격 띄운 상태로 지그재그 되도록 위치되며, 흐르는 분뇨(50)가 지연되게 흘러내리면서 건조되게 형성된 걸림부(42)를 갖는 지연건조판(40)과, 상기 분뇨저장부(48)의 내부온도를 태양열에 의해 상승시키도록 일측 벽에 형성된 태양열흡수판(30)과, 상기 태양열흡수판(30)의 작동이 없을 시에 분뇨저장부(48)의 내부를 가열하도록 형성된 온도감지센서(29)를 갖는 가열전구(28)와, 상기 분뇨저장부(48)내의 수분 및 냄새를 배출시키도록 형성된 강제송풍팬(34)을 갖는 배출부(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를 제공하고 것으로 청구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 건조판(38) 및 지연건조판(40)은 하부 측으로 연이어 지게 지그재그 식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청구되어 있었다.
이러한 이동식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를 통해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분뇨(50)를 건조시켜 퇴비화 할 수 있고, 이렇게 분뇨(50)를 퇴비화 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분뇨(50)를 하수 등으로 흘려버려 자연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선 출원된 상기 이동식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는 그 적용 범위에 있어서, 이동식 화장실에만 국한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상기 분뇨저장부(48)(혹은 정화조)가 지하에 매설된 고정식(혹은 재래식) 화장실의 경우에는 태양열을 흡수할 수 있는 상기 태양열흡수판(30)을 설치하는데 제약이 있기 때문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선 출원된 이동식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의 경우, 상기 태양열흡수판(30)이 빛을 받아들일 수 있는 투명글라스나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분뇨저장부(48)의 내부가 외부에서 투시 가능하게 되고, 이로인해 분뇨(50) 등의 오물이 외부로 보여지기 때문에 사용자 및 주변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이동식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의 경우, 분뇨(50)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수분 및 냄새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배출부(24)상에 형성된 바람개비를 통해 외부에서 부는 바람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그 효과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물론, 바람이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강제송풍팬(34)을 배출부(24)상에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강제송풍팬(34)은 상기 바람개비의 회전을 감지하여 온/오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 실제적으로 그 설치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강제송풍팬(34)이 배출부(24) 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부(24)를 통해 수분 및 냄새(암모니아가스, 메탄가스 등)가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상기 강제송풍팬(34)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쉽게 부식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 및 그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선 출원된 이동식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의 단점을 보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 이동식 화장실만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던 분뇨 건조장치를 보다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함과 동시에 기존 화장실의 환기 기능을 강화시킨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정화조로부터 외부로 환기를 위해 설치된 환기관 내부에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아 복사열을 제공함과 동시에 정화조 내부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경을 설치하고, 상기 환기관의 외측 일부에 온실효과를 제공하는 밀폐된 온실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환기관을 통해 정화조 내부로 태양 빛을 조사하여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분뇨를 건조시킴과 아울러 미생물 활성화를 통해 분뇨를 보다 빠르게 썩여 퇴비화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정화조에서 외부로 도출된 환기관 내부를 태양의 복사열 및 온실에 의한 온실효과를 이용하여 가열함에 따라 상기 환기관과 정화조 사이에서 온도차이에 의한 자연대류현상이 원활하게 일어나면서 정화조 속의 오염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화장실 내부의 환기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본 출원인에 선 출원된 이동식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에 분뇨 건조장치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화장실에 분뇨 건조장치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중 환기관의 구성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변기부 200 : 정화조
210 : 태양열흡수판 300, 300' : 건조판 및 지연건조판
310, 310' : 걸림부 400 : 환기관
410, 431 : 투명유리 420 : 반사경
430 : 온실 440 : 벤치레이터
500 : 분뇨 600 : 가열전구
610 : 감지센서 700 : 공기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장실 내부에 형성된 변기부와, 상기 변기부 하부에 위치하여 투여되는 분뇨 저장하는 정화조를 갖춘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변기부를 통해 투여되는 분뇨가 천천히 흘러내리면서 건조 및 부패되도록 상기 정화조 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그 경사면에 일정높이 돌출된 다수의 걸림부를 갖는 건조판과, 상기 정화조의 환기를 위해 정화조 외부로 도출되고, 그 상단 부위에 햇빛이 유입되는 투명유리가 설치된 환기관과, 상기 환기관의 내벽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투명유리를 통해 유입된 햇빛을 정화조 내부로 조사할 수 있는 반사경과, 상기 환기관의 외측 일부분에 투명유리를 통해 밀폐 설치되어 온실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온실과, 상기 정화조 내부로 햇빛의 조사가 없을 때 작동하여 정화조의 내부를 가열하도록 정화조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가열전구를 포함하는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에 분뇨 건조장치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화장실에 분뇨 건조장치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중 환기관의 구성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는, 기본적으로 화장실의 밀폐된 정화조 내에 햇빛을 조사하여 이 햇빛(태양열)에 의해 분뇨의 건조 시간을 최대한 줄여줌과 동시에 정화조 내부에서 햇빛으로 인해 미생물의 활동이 왕성하게 일어나 분뇨의 부패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분뇨를 퇴비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분뇨의 건조 및 부패 과정에서 증발하는 수분 및 암모니아가스, 메탄가스와 같은 냄새요인에 의한 악취 등을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켜 화장실 내부의 환기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환기 기능을 강화시키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는, 하수도에 연결된 수세식 화장실이 아닌 통상의 이동식 화장실 및 정화조가 지하에 매설된 고정식(혹은 재래식) 화장실에 적용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분뇨 건조장치가 적용되는 화장실은, 사용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화장실 내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변기부(100)와, 상기 변기부(100) 하부에 위치하여 분뇨 및 소변 등의 오물을 받아 저장할 수 있는 정화조(200)를 갖추고 있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분뇨 건조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로는, 도 4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조(200)로부터 외부로 환기를 위한 정화조 외부로 도출되면서 그 상단 부위에 햇빛이 유입되는 투명유리(410)가 설치된 환기관(400)과, 상기 환기관(400)의 내벽 전체에 설치되어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아 복사열을 제공함과 동시에 햇빛을 반사시켜 정화조(200) 내부로 조사할 수 있는 반사경(420)과, 상기 환기관(400)의 외측 일부에 투명유리(431) 등을 통해 밀폐 설치되어 온실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온실(430)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환기관(400)은 원형단면 혹은 반사경(420) 설치에 용이한 사각단면 형상을 갖는 관이나 덕트 형상 등 다양한 구조로 제작 가능하다.
즉, 상기 환기관(400) 내벽 전체에 걸쳐 반사경(420)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반사경(420)을 설치하여 상단부위에서 하단부위로 햇빛을 반사시켜 환기관(400)의 최하단 개구부(402)를 통해 조사 가능한 구조이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특히, 상기 환기관(400)의 내벽에 별도의 반사경이 설치되는 구조뿐만 아니라 환기관(400)의 내벽 자체가 반사경(420)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환기관(400)의 내벽 자체가 반사경(420)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환기관(400) 자체가 강화유리 등의 재질로 제작되고, 그 외주면에 불투명막이 코팅되는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환기관(400) 내벽에 별도의 반사경(420)이 설치되는 구조인 경우에는 환기관(400)이 최소한 2개 부분으로 쪼개진 상태로 제작된 후, 상기 반사경(420)이 내벽 전체에 설치된 다음, 용접 및 접착제와 같은 주지 관용되는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분리된 환기관(400)을 조립 결합하는 방법으로 제작 가능하다.
상기 환기관(400)의 상부에 위치한 투명유리(410)는 햇빛이 환기관(4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상기 환기관(400)을 구성하는 재질에 따라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고, 환기관(400) 자체가 강화유리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환기관(4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투명유리(410)의 높이(혹은 길이)는 환기관(400)의 설치되는 외부 환경 및 환기관(400)의 직경 등을 고려하여 충분하게 햇빛이 유입될 수 있도록 그때 그때의 상황에 맞게 설계됨은 자명하다.
이처럼 상기 환기관(400)은 일정한 규격으로 다양하게 제작 가능함은 물론, 환기관(400)이 설치되는 주어진 환경에 따라 그 사양을 선택적으로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환기관(400)의 중앙부위 외측면에 마련되는 온실(430)은 환기관(400) 내부를 가열하여 환기관(400) 내부의 온도가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온도차이에 의한 자연대류가 촉진되어 원활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보조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온실(430)은 햇빛이 투과하여 그 내부에서 온실효과를 통해 환기관(400) 내부의 온도상승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즉, 상기 온실(430)은 햇빛이 투과할 경우에 온실효과가 매우 뛰어난 비닐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 온실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온실(430)을 구성하는 데 무방하다.
그러나, 비닐 재질을 이용하여 온실(430)을 구성할 경우에는 온실효과가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은 있으나, 외부에서 온실(430)에 작용할 수 있는 외력 및 각종 부하로부터 견뎌낼 수 있는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온실(430)은 일정한 수준의 강도(내구성)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강화유리와 같은 투명유리(431)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환기관(400)의 최상단 부위인 배출구(401)에는 환기관(400)을 통한 환기 기능(정화조 내의 오염공기 배출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도록 바람 혹은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흡출기의 일종인 벤치레이터(44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벤치레이터(440)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무동력 벤치레이터나, 전원공급을 통한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 벤치레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동력 및 동력을 겸할 수 있는 벤치레이터(44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무동력 및 동력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벤치레이터(440)를 사용함으로써,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는 바람에 의한 무동력으로 벤치레이터(440)가 작동하도록 하고, 바람이 불지 않거나 바람이 불어도 벤치레이터(440)가 회전하는 데 미약한 바람이 불 경우에는 전원공급을 통해 벤치레이터(440)가 동력 구동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화장실 내부 및 정화조(200)의 환기 기능이 항상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벤치레이터(440)가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으나, 상기 벤치레이터(440) 자체에서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벤치레이터(440)가 설정된 회전속도 이하로 작동할 경우에 이를 센서에서 감지하여 벤치레이터(440)에 전원이 온/오프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주지 관용되는 일반적인 제어기술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벤치레이터(44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그 회전 상태에 따라 전원 공급을 온/오프 하는 제어기술은 현재의 제어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주지 관용되는 공지의 기술로 충분히 구현 가능한 것임으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환기관(400)은, 상기 투명유리(410)를 통과한 햇빛이 상기 환기관(400) 내부에서 반사경(420)을 통해 반사되어 상기 정화조(200) 내부까지 조사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환기관(400)의 상부 투명유리(410)를 통해 햇빛이 환기관(400)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환기관(400) 내벽 전체에 걸쳐 장착된 반사경(420)에 의해 환기관(400) 내부 전체에 햇빛이 전달되면서 상기 환기관(400) 하단 개구부(402)를 통해 정화조(200) 내부에 햇빛을 제공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햇빛이 환기관(400)을 통해 정화조(200) 내부에 제공되게 되면, 상기 햇빛(태양열)에 의해 정화조(20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정화조(200) 내부의 미생물의 활동이 왕성하게 활성화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건조판(300)에서 자연건조 되는 분뇨(500)의 건조효율 및 부패속도를 보다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환기관(400)은, 상기 정화조(2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 및 암모니아가스, 메탄가스와 같은 각종 악취 등으로 오염된 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환기관(400)의 상부 투명유리(410)를 통해 햇빛이 환기관(400)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환기관(400) 내벽 전체에 걸쳐 장착된 반사경(420)에 의해 환기관(400) 내부 전체에 햇빛이 전달되면서 환기관(400) 내부가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환기관(400)의 외측에 형성된 온실(430)에서도 햇빛(태양열)을 받아 온실효과에 의해 환기관(400) 내부를 가열하게 됨으로써, 상기 환기관(400)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상승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환기관(400)과 정화조(200)사이에서의 온도차이 및 환기관(4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간 후의 압력차이로 인해 환기관(400)을 통한 자연대류현상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정화조(200) 속의 오염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환기관(400) 상단부위에 설치된 벤치레이터(440)가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환기관(400)과 정화조(200) 사이의 온도차에 의한 자연대류현상과 함께 상기 벤치레이터(440)의 작동에 의해 정화조(200)의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데 보다 더 효과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환기관(400) 내부를 가열하여 환기관(400)과 정화조(200) 사이의 온도차에 의한 자연대류현상과 상기 벤치레이터(440) 작동에 의한 강제 배출기능이 혼합됨으로써, 정화조(200) 내부의 오염공기를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환기 기능을보다 강화시키는 측면을 갖는 것이다.
즉, 상기 환기관(400)을 통해 정화조(200)의 수분 및 냄새를 배출시키므로 화장실 내부는 상부 측 공기홀(700) 등으로 외부의 쾌적한 공기가 유입되므로 사용자는 화장실 사용 시 불쾌감을 유발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분뇨 건조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조(200) 내에 설치되는 건조판(300)에 그 구조적 특징이 있다.
즉, 종래 선 출원된 이동식 화장실의 분뇨 건조장치에서 기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분뇨(500)가 변기부(100)를 통해 정화조(200) 내로 투여될 때, 분뇨(500)가 정화조(200) 바닥으로 곧바로 떨어지지 않고 정화조(200) 내에 조사되는 햇빛을 받아 오랜 시간에 걸쳐 천천히 건조 및 부패되면서 흐르도록 상기 변기부(100) 하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건조판(300)이 상기 정화조(200) 내에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건조판(300)에는 건조판(300) 상으로 떨어진 분뇨(500)가 경사진 건조판(300)을 타고 곧바로 흘러 내려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정 높이를 갖는 걸림부(310)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10)는 건조판(300)으로 떨어진 분뇨(50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둑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하나의 걸림부(310)에 걸림부(310)의 높이보다 더 많은 양의 분뇨(500)가 투입되어 쌓이게 되면, 그 다음 형성된 걸림부(310)로 분뇨(500)가 넘쳐흐르면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건조판(300) 상에 형성된 걸림부(310)의 구조로 인해 투입되는 분뇨(500)가 쌓이는 두께 층이 얇아짐으로 정화조(200) 내에서 보다 쉽게 자연 건조될 수 있고, 부패되는 속도가 더욱 빨라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판(300)의 하부에는 분뇨(500)의 흐름을 보다 지연시켜 오랜시간 건조 및 부패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지그재그 식으로 배치되는 지연건조판(300')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지연건조판(300') 상에는 상기 건조판(300)과 마찬가지로, 일정 높이를 갖으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걸림부(3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건조판(300)에서 건조되지 못한 분뇨(500)가 상기 지연건조판(300')을 거치면서 분뇨(500)가 더욱 천천히 흘러 이동하게 됨에 따라 좀 더 오랜 시간 건조 및 부패과정이 수행되어 최종적으로 정화조(200) 바닥으로 떨어지기 전에 최대한 건조 및 부패가 일어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건조판(300) 및 지연건조판(300')의 구조를 응용하여 상기 변기부(100)를 통해 투여되는 분뇨(500)의 흐름을 더욱더 늦춰 보다 건조 및 부패시간을 오랫동안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연건조판(300')의 하부에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지연건조판을 지그재그 식으로 배치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판(300) 및 지연건조판(300')에 분뇨(500)가 달라붙어 잘 흘러내리지 못할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세식 화장실처럼 약간의 물을 내릴 수 있도록 하여 쌓인 분뇨(500)를 흘러내리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환기관(400)을 통해 정화조(200) 내부에 햇빛을 제공하지 못해 정화조(200)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지 못할 경우, 즉 태양이 없는 저녁이나 장마철과 같이 햇빛에 의한 정화조(200) 내부를 가열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정화조(200) 내부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전구(600)를 정화조(200) 일측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열전구(600)는 정화조(200)의 내부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센서(610)에 의해 일정온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에 자동적으로 켜짐으로써, 정화조(20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가열전구(600)의 설치위치는 가열전구(600)가 별도의 전원 공급을 통해 작동되고, 일정시간이 사용 후에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충분히 교체 가능한 위치에 장착되도록 설계됨은 자명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분뇨 건조장치는 정화조(200)가 외부로 노출된 이동식 화장실과, 정화조(200)가 지하에 매설된 고정식(혹은 재래식) 화장실의 구조적 차이에 따라 그 구성에 약간의 차이를 두고 있다.
즉, 상기 이동식 화장실의 경우에는 정화조(200) 외벽면에 태양열을 흡수할 수 있는 태양열흡수판(210)을 더 구비하고 있는 반면에, 정화조(200)가 지하에 매설되는 고정식 화장실의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태양열흡수판(210)을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고정식 화장실에서는 별도의 태양열흡수판(210)이 설치되지 않는 구조적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을 이동식 화장실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환기관(400)을 통해 자연스럽게 정화조(200) 내에 햇빛을 조사하여 분뇨의 자연건조 및 부패시킬 수있는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태양열흡수판(210)의 기능을 통해 보다 건조효율 및 부패속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그 응용범위가 좀 더 확대되고 보다 상승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점은 본 고안의 제1실시에 및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참조도면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확인 할 수 있는 바, 도 2에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써 상기 이동식 화장실에 분뇨 건조장치를 적용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써 상기 고정식 화장실에 분뇨 건조장치를 적용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이러한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구조적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식 화장실은 그 구조적 특징상 상기 정화조(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정화조(200)의 외부 벽면을 통해 태양열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정화조(200)의 일측 벽면 혹은 사방 벽면을 통해 태양열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는, 종래 기술에서 밝힌 바 있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이동식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에도 잘 나타나 있다.
즉, 상기 정화조(200)의 일측면에 태양열흡수판(210)을 설치하여 태양이 떠 있는 동안은 태양열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전술한 선 출원된 분뇨 건조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태양열흡수판(210)이 투명글라스나 강화유리로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경우에는 이를개선하여 불투명유리나, 불투명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종래 기술에서 문제점으로 지적한 상기 정화조(200) 내부가 상기 태양열흡수판(210)을 통해 투시되어 분뇨(500) 등의 오물이 사용자나 주변사람들에게 보임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혐오감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기 태양열흡수판(210)은 상기 환기관(400)을 통해 정화조(200) 내부로 조사되는 햇빛과 더불어 태양으로부터 공급되는 태양열을 흡수하여 정화조(200) 내부의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높여줌으로써, 분뇨(500)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보다 빨리 증발시킴과 동시에 보다 쉽게 부패하도록 도와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를 통해 분뇨(500)의 수분이 제거되어 건조됨과 동시에 분뇨(500)에 섞여 있는 미생물에 의해 부패되어 퇴비화 된 분뇨(500)가 일정정도 정화조(200)에 차게 되면, 통상적으로 상기 이동실 화장실의 정화조(200)에 마련된 수거문(220) 및 고정식 화장실의 정화조(200)에 마련된 별도의 정화조뚜껑(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긁어내어 처리하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화장실의 분뇨 건조장치에 따르면, 상기 환기관을 통해 햇빛이 직접 정화조 내부로 조사되어 분뇨를 자연건조 및 부패시킬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태양열흡수판 및 가열전구에 의해 분뇨의 건조효율 및 부패속도를 촉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춰 분뇨에 함유된 수분을 최대한 제거하여 퇴비 형태로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분뇨 처리의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환기관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화장실 내부의 환기 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화장실을 사용하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분뇨를 정화조 자체적으로 퇴비화 시킴으로써, 분뇨 처리에 따른 공간확보 및 정화시설 확보에 따른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정화시키지 않은 상태로 분뇨를 하수 등에 흘려버릴 수 있다는 종래의 문제점을 크게 개선함으로써, 화장실의 분뇨로 인한 자연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화장실의 분뇨 건조장치를 통해 건조 및 부패되어 퇴비화된 분뇨는 그 부피가 상대적으로 대폭 줄어들기 때문에 분뇨가 정화조에 일정량 채워져 정화차량 등을 통해 수거해야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폭 늘어나게 되어, 결과적으로 분뇨 처리에 따른 부대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5)

  1. 화장실 내부에 형성된 변기부(100)와, 상기 변기부(100) 하부에 위치하여 투여되는 분뇨 저장하는 정화조(200)를 갖춘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변기부(100)를 통해 투여되는 분뇨(500)가 천천히 흘러내리면서 건조 및 부패되도록 상기 정화조(200) 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그 경사면에 일정높이 돌출된 다수의 걸림부(310)를 갖는 건조판(300)과,
    상기 정화조(200)의 환기를 위해 정화조(200) 외부로 도출되고, 그 상단 부위에 햇빛이 유입되는 투명유리(410)가 설치된 환기관(400)과,
    상기 환기관(400)의 내벽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투명유리(410)를 통해 유입된 햇빛을 정화조(200) 내부로 조사할 수 있는 반사경(420)과,
    상기 환기관(400)의 외측 일부분에 투명유리(431)를 통해 밀폐 설치되어 온실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온실(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200) 내부가 설정된 온도이하로 떨어질 때 작동하여 정화조(200)의 내부를 가열하도록 정화조(200)의 내부 일측에 가열전구(6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관(400)의 배출구(401)에는 벤치레이터(4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판(300)의 하부에서 분뇨(500)의 흐름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걸림부(310')를 갖는 지연건조판(300')이 건조판(300)과 일정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식으로 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 건조장치가 이동식 화장실에 적용될 경우, 상기 정화조(200) 내부온도를 태양열에 의해 상승시킬 수 있도록 정화조(200)의 외관 벽에 불투명유리와 같은 태양열흡수판(2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KR20-2004-0027589U 2004-09-24 2004-09-24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KR200370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589U KR200370677Y1 (ko) 2004-09-24 2004-09-24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589U KR200370677Y1 (ko) 2004-09-24 2004-09-24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677Y1 true KR200370677Y1 (ko) 2004-12-23

Family

ID=4944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589U KR200370677Y1 (ko) 2004-09-24 2004-09-24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6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367B1 (ko) * 2006-05-25 2007-03-12 박정치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KR101647448B1 (ko) * 2015-02-23 2016-08-10 (주)지에스시엔티 분뇨 제거용 미생물 제조방법 및 분뇨 소멸 악취 제거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367B1 (ko) * 2006-05-25 2007-03-12 박정치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WO2007139274A1 (en) * 2006-05-25 2007-12-06 Jong Chi Park Apparatus for drying human excrement of toilet
KR101647448B1 (ko) * 2015-02-23 2016-08-10 (주)지에스시엔티 분뇨 제거용 미생물 제조방법 및 분뇨 소멸 악취 제거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895B1 (ko) 발효 소멸 재래식 화장실
US4608175A (en) Integral waste disposal system
KR101864067B1 (ko) 분뇨 건조식 화장실
US4096592A (en) Composting toilet
KR100692367B1 (ko)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CN203361682U (zh) 用于多层楼房建筑内的蚯蚓堆肥型免水生态厕所
JP4693916B2 (ja) 無水屎尿処理方法と無水屎尿処理トイレシステム
CN105201057A (zh) 一种用于公共卫生间的除臭设备
KR20100106040A (ko) 친환경 조립식 웰빙주택.
KR200370677Y1 (ko)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US5171434A (en) Effluent recycling sanitation system
KR20100043119A (ko) 친환경 자연건강 웰빙주택.
US5342516A (en) Biological waste conversion system
JP2004526890A (ja) トイレシステム
CN109330457A (zh) 一种环保卫生旱厕
CN201234950Y (zh) 节能减排风干旱厕装置
ES2350407T3 (es) Contenedor combinado de heces y orina.
JPH0754392A (ja) 下水道施設内悪臭ガス引抜き設備
KR101700168B1 (ko) 오폐수관 악취정화를 위한 전기정화시스템
US5573661A (en) Retrofit waste vault system
KR200279600Y1 (ko) 이동식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JP2001239281A (ja) 屎尿処理装置
CN203856041U (zh) 一种用于公共卫生间的除臭设备
CN207934101U (zh) 一种用于建筑楼宇的雨污水处理装置
JP3867195B2 (ja) 浸出液処理水の最終処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