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59025A1 -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59025A1
WO2020159025A1 PCT/KR2019/011233 KR2019011233W WO2020159025A1 WO 2020159025 A1 WO2020159025 A1 WO 2020159025A1 KR 2019011233 W KR2019011233 W KR 2019011233W WO 2020159025 A1 WO2020159025 A1 WO 202015902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ell
peptide
cells
fnin2
different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12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인호
이은주
아마드쿠르시드
도경오
정지헌
김병길
시바파타크
이동목
이선주
문익재
전성국
김상아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8771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1321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8771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53895B1/ko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015902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590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8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or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ovel peptides and their use to promote cell adhesi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 Integrins are a family of glycoprotein membrane receptors that mediate cell-matrix and cell-cell interactions. Integrins are heterodimers composed of ⁇ and ⁇ subunits. So far, at least 24 distinct integrin heterodimers comprising 18 ⁇ and 8 ⁇ subunits have been reported. Integrins mediate cell adhesion and migration through specific interactions with different extracellular matrix (ECM) proteins.
  • ECM extracellular matrix
  • Fibronectin is a high molecular weight (about 440 kDa) glycoprotein of the extracellular matrix that binds to integrins as well as other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Fibronectin exists as a dimer of two monomers linked by disulfide bonds at the C-terminus.
  • Each fibronectin monomer has a molecular weight of 230-250 kDa containing three types of domains, Form I, Form II and Form III.
  • Type I and II domains are stabilized by intrachain disulfide bonds, but type III domains do not contain any disulfide bonds. The absence of disulfide bonds can lead to flexibility in the structure of the FN type III domai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ll culture method for promoting cell adhesion and cell proliferation using the peptid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ptide having a cell adhesion, cell proliferation or cell differentiation promoting activity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SEQ ID NO: 2 or SEQ ID NO: 3.
  • It may be a peptide having a cell adhesion, cell proliferation or cell differentiation promoting activ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C-terminus of the peptide is amidated.
  • It may be a peptide having a cell adhesion, cell proliferation or cell differentiation promoting activ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C-terminus of the peptide is amidated and the N-terminus is acetylated.
  • the cell may be a peptide having a cell adhesion, cell proliferation or cell differentiation promoting activ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tem cell, myoblast or epithelial cell.
  • the cell differentiation may be a peptide having cell adhesion, cell proliferation or cell differentiation promoting activ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ll culture medium composition comprising the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um additive for cell culture comprising the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first coating the culture dish with dopamine (Dopamine) or tannic acid (Tannic acid); Second coating the primary coated culture dish with the peptide according to claim 1; And culturing the cells in the secondary coated culture dish.
  • Dopamine dopamine
  • Tinic acid tannic acid
  • novel peptides (FNIN2, FNIN2-1, FNIN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promote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2) promote the proliferation of 3D cells, 3) promote adhesion of poorly attached cells, etc. It can be used as a substance.
  • FN human fibronectin
  • 2A is PatchDock and FireDock protocol data showing the interaction of FNIN2-*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integrin ⁇ 5 ⁇ 1.
  • 2B is PatchDock and FireDock protocol data showing the interaction of FNIN2-*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integrin ⁇ v ⁇ 3.
  • 2C is PatchDock and FireDock protocol data showing the interaction of FNIN2-* peptid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integrin ⁇ IIb ⁇ 3.
  • 2D is PatchDock and FireDock protocol data showing the interaction of FNIN3-*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integrin ⁇ 5 ⁇ 1.
  • 2E is PatchDock and FireDock protocol data showing the interaction of FNIN3-* peptid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integrin ⁇ v ⁇ 3.
  • 2F is PatchDock and FireDock protocol data showing the interaction of FNIN3-*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integrin ⁇ IIb ⁇ 3.
  • 3A is a graph showing the proliferation of human fat-derived MSCs according to the FNIN2-* and FNIN3-* peptide treat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B is a result of Western Blot method to confirm whether the expression of Bcl2 and Bax proteins according to FNIN2-* or FNIN3-* peptide treatment.
  • Figure 4A is a cell picture and ALP staining measurements (Control values) stained with ALP in cells that induced bone differentiation for 12 days by treating OM, OM+FN, OM+FNIN2-* or OM+FNIN3-*, respectively. It is a graph showing 1).
  • Figure 4B is an AZ, OM+FN, OM+FNIN2-* or OM+FNIN3-* treated with alizarin red stained cell pictures and staining measurements of cells that induced bone differentiation for 24 days ( It is a graph showing Control value is 1 and relative value is calculated).
  • Figure 5A is a mouse myoblast cell line (C2C12 cells) and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vitronectin (VTN), FN, collagen), FNIN2-* or FNIN3-* peptide-added alginate bead is cultured for 14 days, and then cell proliferation Cell picture (SEM).
  • VTN vitrronectin
  • FN FN
  • collagen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 SEM cell proliferation Cell picture
  • 5B is a graph showing cell proliferation in 3D culture according to the extracellular matrix (vitronectin (VTN), FN, collagen), FNIN2-*, FNIN3-* of FIG. 5A.
  • FIG. 6 is a graph showing HBEpiC cell viability according to pD+FNIN2-*, pTA+FNIN2-*, pD+FNIN3-* or pTA+FNIN3-* coating. Cell viability is relative to the value of cells grown in control.
  • the present inventors designed a novel peptide based on human fibronectin (FN) protein to develop a novel peptide having an activity of promoting cell adhesion, cell proliferation or cell differentiation.
  • FN human fibronectin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ole or action of each region of a human fibronectin (FN) protein.
  • FN fibronectin
  • the amino acid region at positions 1267-1540 of the regions of the FN protein is known to act as an important part for integrin binding and promote cell adhesion, proliferation, and signaling.
  • 10-20 amino acid sequence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274 amino acid sites at the positions of 1,267-1,540 of human FN protein, and various mimic peptides were designed using amino acid position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 novel peptide represented by SEQ ID NO: 1 is referred to as'FNIN2'
  • novel peptide represented by SEQ ID NO: 2 is'FNIN2-1'
  • novel peptide represented by SEQ ID NO: 3 is named'FNIN3'.
  • FNIN2-*, FNIN2-1-*, FNIN3-* means a peptide in which the C-terminus of the peptide is amidated
  • *-FNIN2 *-FNIN3 is the acetyl at the N-terminus of the peptide Refers to an acetylated peptide.
  • *-FNIN2-* means a peptide in which the C-terminal of the peptide is amidated and the N-terminal is acetylated.
  • Table 1 shows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novel peptid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 the integrin and the attachment portion were designed around the center, and to confirm this, the FNIN2-*, FNIN2-1-*, and FNIN3-* peptides were combined with three integrins ( ⁇ 5 ⁇ 1, ⁇ v ⁇ 3, ⁇ IIb ⁇ 3). Energy was measured.
  • Table 2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binding energy of the novel peptid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ree integrins ( ⁇ 5 ⁇ 1, ⁇ IIb ⁇ 3, ⁇ v ⁇ 3) and the binding energy of FN protein and integrin.
  • the peptide having the largest binding energy with integrin ⁇ 5 ⁇ 1 was FNIN2-* ( ⁇ 5 ⁇ 1/FN: -58.51, ⁇ 5 ⁇ 1/FNIN2-*: -77.86), and the peptide having the largest binding energy with integrin ⁇ v ⁇ 3 was FNIN2-1-*( ⁇ IIb ⁇ 3/FN: -40.91, ⁇ IIb ⁇ 3/FNIN2-1-*: -66.58).
  • the peptide having the largest binding energy with integrin ⁇ IIb ⁇ 3 was FNIN2-1-* ( ⁇ IIb ⁇ 3 /FN: -25.27, ⁇ v ⁇ 3/FNIN2-1-*: -79.13).
  • FIG. 2A shows the present invention using PatchDock and FireDock protocols.
  • Analy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FNIN2-* peptide and integrin ⁇ 5 ⁇ 1 in FIG. 2B is FNIN2-* peptide and integrin ⁇ v ⁇ 3
  • FIG. 2C is FNIN2-* peptide and integrin ⁇ IIb ⁇ 3
  • FIG. 2D is FNIN3-*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 Integrin ⁇ 5 ⁇ 1 FIG. 2E is PatchDock and FireDock protocol data showing the interaction of FNIN3-* peptide with integrin ⁇ v ⁇ 3
  • FIG. 2F is FNIN3-* peptide with integrin ⁇ IIb ⁇ 3.
  • the pep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synthesized by requesting Peptron (South Korea).
  • Example 1 FNIN2-* or FNIN3-* Fat derived from peptide treatment Mesenchymal cells Proliferation of (MSCs)
  • MSCs (Incheon, South Korea) were cultured in MEM-alpha modified media (Hyclone, USA) +10% FBS (Hyclone, USA) +1% P/S (Hyclone, USA), passage 6-8 Burned cells were used for the study.
  • MSCs (1 ⁇ 10 4 cells/mL) were added to a 96 well cell culture dish and attached for 24 hours, followed by treatment with 250, 500, 1000, 2000 nM of FNIN2-* or FNIN3-* and 72 Incubated for hours. After incubation, cell proliferation was confirmed using a Cell Counting Kit (CCK8).
  • 3A is a graph showing the proliferation of human fat-derived MSCs according to the FNIN2-* and FNIN3-* peptide treat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B is a result of Western Blot method to confirm whether the expression of Bcl2 and Bax proteins according to FNIN2-* or FNIN3-* peptide treatment.
  • Example 2 FNIN2-* or FNIN3-* Fat derived from peptide treatment Mesenchymal cells Bone cell differentiation (MSCs)
  • Bone differentiation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MSCs according to FNIN2-* or FNIN3-* peptide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evaluated.
  • Figure 4A is a cell picture and ALP staining measurements (Control values) stained with ALP in cells that induced bone differentiation for 12 days by treating OM, OM+FN, OM+FNIN2-* or OM+FNIN3-*, respectively. It is a graph showing 1). ALP expression increases the amount of inorganic phosphate associated with bone mineralization.
  • Figure 4B is an AZ, OM+FN, OM+FNIN2-* or OM+FNIN3-* treated with alizarin red stained cell pictures and staining measurements of cells that induced bone differentiation for 24 days ( It is a graph showing Control value is 1 and relative value is calculated). Alizarin red staining indicates mineral deposits.
  • FNIN2-* or FNIN3-* in alizarin red staining Mineral deposition increased in the peptide-treated cells.
  • Example 3 FNIN2-* or FNIN3-* 3D culture cell proliferation observation according to peptide treatment
  • alginate bead containing C2C12 cells from Passage 7 (myoblast cell line of mice) was made. Based on a total of 5 mL to be put into the syringe, add 1.3% (0.065 g) of alginate powder to the PBS solution minus the amount of cells 3 ⁇ 10 6 /mL and the concentration of collagen type I 1 mg/mL.
  • a sample of positive control beads was prepared by melting for about 1 hour.
  • Negative control beads samples were prepared by adding only alginate powder (0.065 g) in 5 mL of PBS solution.
  • the peptide-added beads sample was prepared by inserting FNIN2-* or FNIN3-* at a concentration of 1000 nM instead of collagen type I.
  • a crosslinking solution is alginate-cell-ECM, alginate-cell-FNIN2-* or alginate-cell- FNIN3-*
  • a crosslinking reaction was performed for 2 minutes.
  • the bead which had a round bead form, was immersed in the culture solution and cultured until 14 days.
  • the cells were cultured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FBS to 20%, and the medium was changed every 3 days.
  • the alginate beads were placed in 24-well plates one by one as much as possible, and then lyophilized to remove moisture. Then, the beads were taken out and cut in half so as not to be broken using a scalpel, and then observ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 Figure 5A is a mouse myoblast cell line (C2C12 cells) and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vitronectin (VTN), FN, collagen), FNIN2-* or FNIN3-* peptide-added alginate bead is cultured for 14 days, and then cell proliferation Cell picture (SEM).
  • VTN vitrronectin
  • FN FN
  • collagen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 SEM cell proliferation Cell picture
  • 5B is a graph showing cell proliferation in 3D culture according to the extracellular matrix (vitronectin (VTN), FN, collagen), FNIN2-*, FNIN3-* of FIG. 5A.
  • the cells grown in the bead added with FNIN2-* or FNIN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increases cell proliferation compared to cells grown in bead with extracellular matrix protein added. have.
  • Example 4 FNIN2-* or FNIN3-* Observation of cell adhesion effect by peptide treatment
  • FNIN2-* In the case of low-molecular weight peptides, it is difficult to attach to the culture dish compared to proteins because of the relatively lack of functional groups. So the correct FNIN2-* Alternatively, a double coating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 cell adhesion efficacy of FNIN3-*. After attaching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cell culture dish coated with polymerized dopamine (pD) or polymerized tannic acid (pTA), after coating the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HBEpiC cells, the adhesion efficiency of the cells was verified. .
  • pD polymerized dopamine
  • pTA polymerized tannic acid
  • HBEpiC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 BEpiCGS bronchial epithelial cell growth supplements
  • penicillin/streptomycin Thermo Fisher Scientific, USA
  • the culture dish was coated with polymerized dopamine (pD, Dopamine HCl, Sigma-Aldrich, USA) and polymerized tannic acid (pTA, Tannic acid, Sigma-Aldrich, USA), washed twice after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one day. .
  • FNIN2-* 1 ⁇ M or FNIN3-* 1 ⁇ M was added to the washed culture dish and left at 37° C. for 1 hour.
  • the HBEpiC cells (40,000 cells/well, 48 well plate) were placed in a coated dish, incubated for 4 hours, washed, and further cultured for 44 hours.
  • FIG. 6 is a graph showing HBEpiC cell viability according to pD+FNIN2-*, pTA+FNIN2-*, pD+FNIN3-* or pTA+FNIN3-* coating. Cell viability is relative to the value of cells grown in control.
  • Viability of the cells of the cell culture in the coated petri dish was 27%, 20 ⁇ g / cm 2 pTA 37%, 25% at 30 ⁇ g / cm 2 pTA in 10 ⁇ g / cm 2 pTA compared to Control, 40 ⁇ g / cm It increased by 21% at 2 pTA.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ovel peptides and their use to promote cell adhesi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 SEQ ID NO: 3 TVYAVTGRGDSPASSKP (amino acid length: 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의 피브로넥틴(fibronectin; FN) 단백질의 일부 중 인테그린(integrin)과 결합하는 아미노산 부위로부터 유도되어,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FNIN2(서열번호 1), FNIN2-1(서열번호 2), FNIN3(서열번호 3)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에 대한 것이다.
인테그린(integrin)은 세포-매트릭스 및 세포-세포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당단백질 막 수용체 패밀리이다. 인테그린은 α 및 β 서브유니트로 이루어진 이종이량체이다. 지금까지, 18개 α 및 8개 β 서브유니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4개의 별개의 인테그린 이종이량체가 보고되었다. 인테그린은 상이한 세포외 매트릭스(ECM) 단백질과의 특이적 상호작용을 통해 세포의 고착 및 이동을 매개한다.
여러 인테그린은 피브로넥틴(fibronectin; FN)에 존재하는 Arg-Gly-Asp (RGD) 모티프를 통해 피브로넥틴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들 인테그린은 5αv 인테그린(ανβ1, ανβ3, ανβ5, ανβ6, 및 ανβ8) 및 2개의 β1 인테그린(α5β1 및 α8β1)을 포함한다. 피브로넥틴은 다른 세포외 매트릭스 단백질 뿐만 아니라 인테그린에 결합하는 세포외 매트릭스의 고분자량(약 440kDa)의 당단백질이다. 피브로넥틴은 C-말단에서 디설파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단량체의 이량체로서 존재한다. 각각의 피브로넥틴 단량체는 3개 유형의 도메인, I형, II형 및 III형을 함유하는 230 내지 25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I형 및 II형 도메인은 쇄내 디설파이드 결합에 의해 안정화되지만 III형 도메인은 임의의 디설파이드 결합을 함유하지 않는다. 디설파이드 결합의 부재는 FN III형 도메인의 구조에서 유연성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인테그린 및 피브로넥틴과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인테그린에 결합하는 피브로넥틴 유래 신규 펩티드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세포 배양용 배지 조성물 또는 세포 배양을 위한 배지 첨가제 용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펩티드를 이용하여 세포 부착 및 세포 증식을 증진시키는 세포 배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세포 부착, 세포 증식 또는 세포 분화 촉진 활성을 갖는 펩티드를 제공한다.
상기 펩티드의 C-말단이 아마이드화(amidation)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부착, 세포 증식 또는 세포 분화 촉진 활성을 갖는 펩티드일 수 있다.
상기 펩티드의 C-말단이 아마이드화(amidation)되고, N-말단이 아세틸화(acetylation)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부착, 세포 증식 또는 세포 분화 촉진 활성을 갖는 펩티드일 수 있다.
상기 세포는 줄기세포, 근아세포 또는 상피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부착, 세포 증식 또는 세포 분화 촉진 활성을 갖는 펩티드일 수 있다.
상기 세포 분화는 중간엽줄기세포의 골 분화(osteogenic differenti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부착, 세포 증식 또는 세포 분화 촉진 활성을 갖는 펩티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배양을 위한 배지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파민(Dopamine) 또는 탄닌산(Tannic acid)으로 배양접시를 1차 코팅하는 단계; 상기 1차 코팅된 배양접시를 제1항에 따른 펩티드로 2차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코팅된 배양접시에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부착 및 세포 증식을 증진시키는 세포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펩티드들(FNIN2, FNIN2-1, FNIN3)는 1) 줄기세포의 증식 및 분화 촉진, 2) 3차원 세포의 증식 촉진, 3) 부착이 잘되지 않는 세포의 부착 촉진 등을 위한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사람의 피브로넥틴(fibronectin; FN) 단백질의 각 영역들의 역할 또는 작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FNIN2-* 펩티드와 인테그린 α5β1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PatchDock 및 FireDock 프로토콜 데이터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FNIN2-* 펩티드와 인테그린 αvβ3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PatchDock 및 FireDock 프로토콜 데이터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FNIN2-* 펩티드와 인테그린 αIIbβ3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PatchDock 및 FireDock 프로토콜 데이터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FNIN3-* 펩티드와 인테그린 α5β1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PatchDock 및 FireDock 프로토콜 데이터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FNIN3-* 펩티드와 인테그린 αvβ3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PatchDock 및 FireDock 프로토콜 데이터이다.
도 2F는 본 발명의 FNIN3-* 펩티드와 인테그린 αIIbβ3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PatchDock 및 FireDock 프로토콜 데이터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FNIN2-*, FNIN3-* 펩티드 처리에 따른 사람의 지방유래 MSCs의 증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FNIN2-* 또는 FNIN3-* 펩티드 처리에 따른 Bcl2 및 Bax 단백질의 발현여부를 Western blot법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4A는 OM, OM+FN, OM+FNIN2-* 또는 OM+FNIN3-*를 각각 처리하여 12일 동안 골 분화를 유도한 세포에서 ALP를 염색한 세포사진 및 ALP 염색도 측정값(Control 값을 1로 하고 상대값을 계산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B는 OM, OM+FN, OM+FNIN2-* 또는 OM+FNIN3-*를 각각 처리하여 24일 동안 골 분화를 유도한 세포를 알리자린 레드(alizarin red) 염색한 세포사진 및 염색도 측정값(Control 값을 1로 하고 상대값을 계산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는 마우스 근아세포주(C2C12 세포) 및 세포외기질 단백질(vitronectin(VTN), FN, collagen), FNIN2-* 또는 FNIN3-* 펩티드가 첨가된 alginate bead를 14일 동안 배양시킨 후 세포의 증식을 나타내는 세포사진(SEM)이다.
도 5B는 도 5A의 세포외기질(vitronectin(VTN), FN, collagen), FNIN2-*, FNIN3-* 처리에 따른 3차원 배양 내 세포증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pD+FNIN2-*, pTA+FNIN2-*, pD+FNIN3-* 또는 pTA+FNIN3-* 코팅에 따른 HBEpiC 세포 생존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세포 생존능은 control에서 성장한 세포 값에 대한 상대값이다.
본 발명자들 세포 부착, 세포 증식 또는 세포 분화 촉진 활성을 가지는 신규한 펩티드를 개발하기 위하여 사람의 피브로넥틴(fibronectin; FN) 단백질을 바탕으로 신규 펩티드를 디자인하였다.
도 1은 사람의 피브로넥틴(fibronectin; FN) 단백질의 각 영역들의 역할 또는 작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FN 단백질의 영역들 중 1267-1540 위치의 아미노산 영역은 인테그린(integrin)과 결합에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하며, 세포의 부착, 증식 및 신호전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람의 FN 단백질 1,267-1,540 위치의 274 개 아미노산 부위에서 10-20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아미노산의 위치 변화, 결실, 추가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방 펩티드가 디자인되었고, 각 펩티드 서열의 고유성 (https://research.bioinformatics.udel.edu/peptidematch/index.jsp) 및 물질 화학적 속성이 분석되었다 (https://www.thermofisher.com/kr/ko/home/life-science/protein-biology/peptides-proteins/custom-peptide-synthesis-services/peptide-analyzing-tool.html).
또한, PatchDock 및 FireDock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합성된 펩티드와 인테그린(α5β1, αvβ3 및 αIIbβ3)과의 상호작용이 분석되었다(도 2A 내지 도 2F).
본 발명에서 다음 3가지의 신규한 펩티드가 세포 부착, 세포 증식 또는 세포 분화 촉진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서열번호 1: LSISPSDNAVVLTNLLPTGE (아미노산 길이: 20)
- 서열번호 2: LSISPSDNAVVLTNLLPGTE (아미노산 길이: 20)
- 서열번호 3: TVYAVTGRGDSPASSKP (아미노산 길이: 18)
본 발명에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신규 펩티드는 'FNIN2',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신규 펩티드는 'FNIN2-1',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신규 펩티드는 'FNIN3'으로 명명된다.
본 발명에서, FNIN2-*, FNIN2-1-*, FNIN3-* 은 펩티드의 C-말단이 아마이드화(amidation)된 펩티드를 의미하며, *-FNIN2, *-FNIN3 은 펩티드의 N-말단이 아세틸화(acetylation)된 펩티드를 의미한다. 또한 *-FNIN2-*은 펩티드의 C-말단이 아마이드화(amidation), N-말단이 아세틸화(acetylation) 된 펩티드를 의미한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펩티드의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KR2019011233-appb-I000001
* GRAVY: 소수성 지수의 전체 평균(Grand Average of Hydropathy)
* Mw: Molecular weight
본 발명에서 제작한 펩티드의 경우 인테그린과 부착부분을 중심으로 디자인하였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FNIN2-*, FNIN2-1-*, FNIN3-* 펩티드와 3개의 인테그린(α5β1, αvβ3, αIIbβ3)과의 결합에너지를 측정하였다.
표 2는 본 발명의 신규 펩티드들과 3개의 인테그린(α5β1, αIIbβ3, αvβ3)과의 결합에너지와, FN 단백질과 인테그린의 결합에너지를 비교한 결과이다.
[표 2]
Figure PCTKR2019011233-appb-I000002
인테그린 α5β1과 가장 큰 결합에너지를 가진 펩티드는 FNIN2-* (α5β1/FN: -58.51, α5β1/FNIN2-*: -77.86)이었으며, 인테그린 αvβ3 와 가장 큰 결합에너지를 가진 펩티드는 FNIN2-1-*(αIIbβ3/FN: -40.91, αIIbβ3/FNIN2-1-*: -66.58)이었다. 또한 인테그린 αIIbβ3와 가장 큰 결합에너지를 가진 펩티드는 FNIN2-1-*(αIIbβ3 /FN: -25.27, αvβ3/ FNIN2-1-*: -79.13)이었다.도 2A 는 PatchDock 및 FireDock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FNIN2-* 펩티드와 인테그린 α5β1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것이고, 도 2B는 FNIN2-* 펩티드와 인테그린 αvβ3, 도 2C는 FNIN2-* 펩티드와 인테그린 αIIbβ3, 도 2D는 본 발명의 FNIN3-* 펩티드와 인테그린 α5β1, 도 2E는 FNIN3-* 펩티드와 인테그린 αvβ3, 도 2F는 FNIN3-* 펩티드와 인테그린 αIIbβ3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PatchDock 및 FireDock 프로토콜 데이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는 펩트론사(South Korea)에 의뢰하여 합성되었다.
실시예 1: FNIN2-* 또는 FNIN3-* 펩티드 처리에 따른 지방유래 중간엽세포 (MSCs)의 증식
본 발명의 FNIN2-* 또는 FNIN3-* 펩티드 처리에 따른 MSCs의 증식을 평가하였다.
MSCs (Incheon, South Korea)는 MEM-alpha modified media (Hyclone, USA) +10% FBS (Hyclone, USA) +1% P/S (Hyclone, USA)에서 배양하였으며, 계대배양(passage) 6-8번 세포를 연구에 이용하였다.
펩티드의 효과 검증을 위해 MSCs (1×104 cells/mL)를 96 well 세포배양접시에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킨 후, 250, 500, 1000, 2000 nM의 FNIN2-* 또는 FNIN3-* 처리하고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Cell Counting Kit (CCK8)을 이용하여 세포의 증식을 확인하였다.
도 3A는 본 발명의 FNIN2-*, FNIN3-* 펩티드 처리에 따른 사람의 지방유래 MSCs의 증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에 보이는 바와 같이, FNIN2-* 또는 FNIN3-* 펩티드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MSCs의 증식 역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FNIN2-* 또는 FNIN3-* 펩티드 처리에 따른 사람의 지방유래 MSCs에서 세포의 사멸억제 단백질인 Bcl2 및 사멸관련 마커인 Bax 단백질의 발현여부를 Western blot법으로 확인하였다.
도 3B는 FNIN2-* 또는 FNIN3-* 펩티드 처리에 따른 Bcl2 및 Bax 단백질의 발현여부를 Western blot법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3B에 보이는 바와 같이, FNIN2-* 또는 FNIN3-* 펩티드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 사멸억제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은 증가하였으며, 사멸관련 마커인 Bax 의 발현은 감소되었다.
실시예 2: FNIN2-* 또는 FNIN3-* 펩티드 처리에 따른 지방유래 중간엽세포 (MSCs)의 골 세포 분화
본 발명의 FNIN2-* 또는 FNIN3-* 펩티드 처리에 따른 MSCs의 골 분화(osteogenic differentiation)를 평가하였다.
MSCs (1×103 cells/mL)를 96 well 세포배양접시에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 시킨 후 Osteogenic media(OM), OM+0.1mg/mL의 FN, OM+0.1mg/mL의 FNIN2-* 또는 OM+0.1mg/mL의 FNIN3-*를 각각 처리하고, 골 분화 12일 후 alkaline phosphatase(ALP) 염색법, 골 분화 24일 후 alizarin red 염색법을 통해 확인하고 염색도를 정량화하였다. 대조군(Control)은 MSCs를 골분화 배지(OM) 처리없이 분화시킨 것이다.
도 4A는 OM, OM+FN, OM+FNIN2-* 또는 OM+FNIN3-*를 각각 처리하여 12일 동안 골 분화를 유도한 세포에서 ALP를 염색한 세포사진 및 ALP 염색도 측정값(Control 값을 1로 하고 상대값을 계산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ALP 발현은 골 광화(bone mineralization)와 관련된 무기 인산염의 양을 증가시킨다.
도 4A에 보이는 바와 같이, MSCs 분화 동안 FNIN2-* 또는 FNIN3-* 처리한 세포에서 골 형성 가능성을 나타내는 ALP 활성이 증가하였다.
도 4B는 OM, OM+FN, OM+FNIN2-* 또는 OM+FNIN3-*를 각각 처리하여 24일 동안 골 분화를 유도한 세포를 알리자린 레드(alizarin red) 염색한 세포사진 및 염색도 측정값(Control 값을 1로 하고 상대값을 계산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알리자린 레드 염색은 광물질 침착을 나타낸다.
도 4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알리자린 레드(alizarin red) 염색에서 FNIN2-* 또는 FNIN3-* 펩티드를 처리한 세포에서 광물질 침착이 증가하였다.
실시예 3: FNIN2-* 또는 FNIN3-* 펩티드 처리에 따른 3차원 배양 세포 증식관찰
(1) 3차원 배양
Passage 7의 C2C12세포 (쥐의 근아세포주)를 넣은 alginate bead를 만들었다. Syringe 안에 들어갈 총 5 mL을 기준으로 했을 때, 세포 3 × 106/mL 와 collagen type I 1 mg/mL 농도의 양을 뺀 PBS 용액에 alginate powder를 1.3% (0.065 g)을 넣어 65℃에 약 1시간 가량 녹여 positive control beads 샘플을 제작하였다. Negative control beads 샘플은 PBS 용액 5 mL에 alginate powder (0.065 g)만 넣어 제작하였다. 펩티드 첨가 beads 샘플은 collagen type I 대신 FNIN2-* 또는 FNIN3-*를 1000 nM 농도로 넣고 제작하였다. PBS 용액과 alginate powder만 넣은 상태로 65℃에서 1시간 동안 녹인 후, vortex를 통해 뭉친 가루를 잘 풀어준 뒤 37℃에서 30분 가량 용액을 식혀준 후 각각의 샘플 기준에 맞게 collagen type I, FNIN2-* 또는 FNIN3-* 펩티드를 첨가하고 세포 3 × 106 1mL을 넣어 골고루 섞어주었다. 점도가 있는 물질에 사용되는 pipet과 tip을 사용하여 세포가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최소 100회 이상 균질 하게 섞어주었다. 짧은 원심분리를 거쳐 벽면에 묻어있던 잔여물들을 정리해준 다음 가교 용액인 1%의 CaCl2 용액이 담긴 곳에서 일정 거리를 띄워 alginate-cell-ECM, alginate-cell-FNIN2-* 또는 alginate-cell-FNIN3-* 펩티드가 섞인 용액을 떨어뜨린 후 2분간 가교반응을 진행하였다. 가교반응이 일어나면서 동그란 bead 형태를 갖추게 된 bead는 배양액에 담겨 14일 까지 배양하였다. Alginate beads에서 세포를 배양할 때 일반 2D 배양 조건과는 다르게 FBS의 농도를 20%로 높여 세포를 배양하였으며, 3일에 한 번씩 배지를 교체해 주었다. 실험을 위해 3D 지지체 안에 있는 세포를 회수할 때는 총 5개의 bead를 한번에 계수(count)하였으며, bead 1개당 1 mL의 50 mM EDTA 용액을 사용하여 20분간 방치하여 형성되었던 가교반응을 풀어 주었다. 방치 후에 덩어리진 alginate bead가 있을 수 있어 충분히 풀어준 뒤 15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를 진행하였다. PBS 용액을 사용하여 세척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세포를 분리해냈다. 동일한 방법으로 7, 10, 14일째 되는 날 세포를 회수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2)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lginate beads 내부의 모습을 SEM으로 촬영하기 위해 alginate beads를 24-well plate에 하나씩 물기가 최대한 제거된 상태로 넣은 다음 동결건조를 통해 수분을 날렸다. 그 후 beads를 꺼내어 메스를 이용하여 부스러지지 않도록 반으로 절단 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5A는 마우스 근아세포주(C2C12 세포) 및 세포외기질 단백질(vitronectin(VTN), FN, collagen), FNIN2-* 또는 FNIN3-* 펩티드가 첨가된 alginate bead를 14일 동안 배양시킨 후 세포의 증식을 나타내는 세포사진(SEM)이다.
도 5B는 도 5A의 세포외기질(vitronectin(VTN), FN, collagen), FNIN2-*, FNIN3-* 처리에 따른 3차원 배양 내 세포증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 또는 도 5B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FNIN2-* 또는 FNIN3-* 첨가된 bead에서 성장한 세포는 세포외기질 단백질이 첨가된 bead에서 성장한 세포에 비해 세포 증식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FNIN2-* 또는 FNIN3-* 펩티드 처리에 따른 세포부착 효과 관찰
저 분자량 펩티드의 경우 기능성 그룹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단백질에 비해 배양접시에 부착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정확한 FNIN2-* 또는 FNIN3-*의 세포 부착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이중 코팅 방법을 사용하였다. 중합된 도파민(pD) 또는 중합된 탄닌산(pTA)이 코팅되어 있는 세포배양접시에 본 발명의 펩티드를 추가 처리하여 코팅한 후 사람의 기관지 상피세포인 HBEpiC 세포를 넣은 후 세포의 부착효율을 검증하였다.
(1) 세포배양
펩티드 처리에 따른 세포의 부착을 관찰하기 위해 배양접시에 부착이 잘 되지 않는 사람의 기관지 상피세포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HBEpiC)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기관지 상피세포는 기관지 상피세포 배양액 (BEpiCM, ScienCell, USA)에 기관지 상피세포 성장보조물 (BEpiCGS, ScienCell, USA)과 penicillin/streptomycin (Thermo Fisher Scientific, USA)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2) 세포배양접시 코팅
중합된 도파민 (pD, Dopamine HCl, Sigma-Aldrich, USA)과 중합된 탄닌산(pTA, Tannic acid, Sigma-Aldrich, USA)으로 배양접시를 코팅하고, 하루 동안 실온에 방치한 후 2번을 세척하였다. 세척한 배양접시에 FNIN2-* 1 μM 또는 FNIN3-* 1 μM을 첨가한 후 37℃에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HBEpiC 세포(40,000 cells/ well, 48 well plate)를 코팅한 배양접시에 넣고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척을 하고 44시간 동안 추가배양 하였다.
(3) 생존률 검증
배양 44시간 후 20 μL의 PBS에 용해된 20 μg의 MTT를 각 웰에 첨가하고 37 ℃에서 3 시간 동안 방치 하였다. 반응액을 제거하고 100 ㎕의 DMSO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보라색의 formazan crystals/DMSO를 450 rpm에서 3 분간 DMSO에 완전히 용해시키고,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6은 pD+FNIN2-*, pTA+FNIN2-*, pD+FNIN3-* 또는 pTA+FNIN3-* 코팅에 따른 HBEpiC 세포 생존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세포 생존능은 control에서 성장한 세포 값에 대한 상대값이다.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pD+FNIN2-* 코팅된 배양접시에서 배양된 세포의 세포의 생존능(cell viability)은 Control(아무것도 코팅하지 않은 배양접시에서 배양된 세포)에 비해 1 μg/cm2 pD 에서 18%, 5 μg/cm2 pD에서 30%, 10 μg/cm2 pD에서 20% 증가하였다.
pTA+FNIN2-* 코팅된 배양접시에서 배양된 세포의 세포의 생존능은 Control에 비해 10 μg/cm2 pTA 에서 27%, 20 μg/cm2 pTA 에서 37%, 30 μg/cm2 pTA에서 25%, 40 μg/cm2 pTA에서 21% 증가하였다.
pD+FNIN3-* 코팅된 배양접시에서 배양된 세포의 세포의 생존능은 Control에 비해 1 μg/cm2 pD 에서 40% 증가하였다.
pTA+FNIN3-* 코팅된 배양접시에서 배양된 세포의 세포의 생존능은 Control에 비해 20 μg/cm2 pTA 에서 34% 증가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에 대한 것이다.
서열번호 1: LSISPSDNAVVLTNLLPTGE (아미노산 길이: 20)
서열번호 2: LSISPSDNAVVLTNLLPGTE (아미노산 길이: 20)
서열번호 3: TVYAVTGRGDSPASSKP (아미노산 길이: 18)

Claims (8)

  1.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세포 부착, 세포 증식 또는 세포 분화 촉진 활성을 갖는 펩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의 C-말단이 아마이드화(amidation)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부착, 세포 증식 또는 세포 분화 촉진 활성을 갖는 펩티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의 C-말단이 아마이드화(amidation)되고, N-말단이 아세틸화(acetylation)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부착, 세포 증식 또는 세포 분화 촉진 활성을 갖는 펩티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줄기세포, 근아세포 또는 상피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부착, 세포 증식 또는 세포 분화 촉진 활성을 갖는 펩티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분화는 중간엽줄기세포의 골 분화(osteogenic differenti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부착, 세포 증식 또는 세포 분화 촉진 활성을 갖는 펩티드.
  6. 제1항에 따른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배지 조성물.
  7. 제1항에 따른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배양을 위한 배지 첨가제.
  8. 도파민(Dopamine) 또는 탄닌산(Tannic acid)으로 배양접시를 1차 코팅하는 단계;
    상기 1차 코팅된 배양접시를 제1항에 따른 펩티드로 2차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코팅된 배양접시에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부착 및 세포 증식을 증진시키는 세포 배양 방법.
PCT/KR2019/011233 2019-02-01 2019-08-31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WO202015902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3336 2019-02-01
KR20190013335 2019-02-01
KR10-2019-0013335 2019-02-01
KR10-2019-0013336 2019-02-01
KR10-2019-0087718 2019-07-19
KR10-2019-0087719 2019-07-19
KR1020190087718A KR102013218B1 (ko) 2019-02-01 2019-07-19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fnin2 및 이의 용도
KR1020190087719A KR102053895B1 (ko) 2019-02-01 2019-07-19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fnin3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59025A1 true WO2020159025A1 (ko) 2020-08-06

Family

ID=7184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1233 WO2020159025A1 (ko) 2019-02-01 2019-08-31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159025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0691A (en) * 1992-12-10 1998-11-24 Furcht; Leo T. Method for treating ischemia using polypeptides with fibronectin activity
US20030065136A1 (en) * 1996-07-12 2003-04-03 Mcgill University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ng cell adhesion
KR100885071B1 (ko) * 2002-05-14 2009-02-2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세포에 부착하는 올리고펩타이드
KR101010284B1 (ko) * 2007-07-04 2011-0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hsrn-rgd 포함 올리고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KR101575226B1 (ko) * 2013-07-16 2015-12-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도파민이 결합된 생리활성 펩타이드로 고정화된 고분자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3218B1 (ko) * 2019-02-01 2019-08-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fnin2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0691A (en) * 1992-12-10 1998-11-24 Furcht; Leo T. Method for treating ischemia using polypeptides with fibronectin activity
US20030065136A1 (en) * 1996-07-12 2003-04-03 Mcgill University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ng cell adhesion
KR100885071B1 (ko) * 2002-05-14 2009-02-2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세포에 부착하는 올리고펩타이드
KR101010284B1 (ko) * 2007-07-04 2011-0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hsrn-rgd 포함 올리고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KR101575226B1 (ko) * 2013-07-16 2015-12-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도파민이 결합된 생리활성 펩타이드로 고정화된 고분자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3218B1 (ko) * 2019-02-01 2019-08-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fnin2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Putten et al. Entry of OpaA+ gonococci into HEp‐2 cells requires concerted action of glycosaminoglycans, fibronectin and integrin receptors
WO2011049263A1 (ko) 혈소판풍부혈장(prp)을 활성화하여 조직재생을 유도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53895B1 (ko)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fnin3 및 이의 용도
WO2016153256A1 (ko) 접착성 펩타이드 및 그 용도
US20170319665A1 (en) Novel treatment of retina and nerve using laminin
EP3213762B1 (en) Novel treatment of cornea using laminin
WO2017022981A1 (ko) 합성 펩타이드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조방법
JP2018527404A (ja) 環状rgd細胞結合モチーフ及びその使用
WO2020159025A1 (ko)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WO2016208879A1 (ko) 인 비트로 섬유증 모델,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2013218B1 (ko)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fnin2 및 이의 용도
WO2013165120A1 (ko) 신경능선줄기세포의 배양방법 및 그 용도
WO2020184975A1 (ko) 신경 줄기세포의 구형배양 방법
WO2021085818A1 (ko) 숙신화 콜라겐-피브리노겐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Kelley et al. Variation in cytoskeletal assembly during spreading of progressively subcultivated human embryo fibroblasts (IMR-90)
WO2016186482A1 (en) Method of producing cross-linked polyvinylalcohol-extracelluar matrix composite and polyvinylalcohol-extracelluar matrix composite produced thereby
WO2016195247A2 (ko) 전기·기계적 자극을 가하여 줄기세포를 심근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WO2017034211A1 (ko) 무기물 표면 접착 또는 코팅용 단백질 접착제
WO2020242045A1 (ko) 토마티딘 처리를 통한 줄기세포의 성숙화된 심근세포로의 분화유도 촉진 방법
WO2022114798A1 (ko) 자연살해세포 nkg2d 수용체에 결합하는 sars-cov-2 s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자연살해세포 활성 증가 및 감염병,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4163371A1 (ko) 세포외기질 단백질-골미네랄 복합체를 함유하는 조직 구조 모사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1129607A2 (en) Method for increasing stem cell activity and stem cells produced thereby
Luo et al. Promotion of differentiating bone marrow mesenchymal stromal cells (BMSCs) into cardiomyocytes via HCN2 and HCN4 cotransfection
Zhang et al. Uniformly-aligned gelatin/polycaprolactone fibers promote proliferation in adipose-derived stem cells and have distinct effects on cardiac cell differentiation
NO149631B (no) Analogi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biologisk aktive polypepti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129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29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