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05885A1 -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05885A1
WO2020105885A1 PCT/KR2019/014415 KR2019014415W WO2020105885A1 WO 2020105885 A1 WO2020105885 A1 WO 2020105885A1 KR 2019014415 W KR2019014415 W KR 2019014415W WO 2020105885 A1 WO2020105885 A1 WO 202010588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boron
less
weight
hot work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44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재훈
이태호
이창훈
하헌영
김성대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010588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058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ron-containing stainless ste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secure neutron shielding performance through the addition of boron, while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hyper-eutectic boride precipitates by the addition of cobalt to ho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ron-containing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hot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with improved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boron-containing stainless steel Since boron-containing stainless steel has excellent neutron shielding performance and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it is used in a nuclear fuel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nuclear fuel used in nuclear power plants.
  • boron-containing stainless steels are, from a metallurgical point of view, a process alloy of austenite and boride [(Cr, Fe) 2 B], and in addition to the boride itself being soft (fragile), boride and austeni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hot workability is poor because the difference in strength at the interface of the phase is large and cracks are easily propagated.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74218 discloses austenite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 the neutron shielding performance through the addition of boron, while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over-process boride precipitates by the addition of cobalt to improve the hot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of hot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of boron-containing stainless steel and It is to provide the manufacturing method.
  • the boron-containing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hot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is carbon (C): 0.15 wt% or less, manganese (Mn): 2.0 wt% or less, silicon (Si): 1.0% by weight or less, chromium (Cr): 18 to 20% by weight, nickel (Ni): 12 to 15% by weight, boron (B): 0.20 to 2.75% by weight, cobalt (Co): 3 to 10% by weight and the rest It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iron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 the stainless steel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of sulfur (S): 0.04% by weight or less, phosphorus (P): 0.06% by weight or less, and nitrogen (N): 0.01% by weight or less.
  • the cobalt (Co) is more preferably added at 3.5 to 4.5% by weight.
  • the stainless steel has a tensile strength (TS) of 720 MPa or more and an elongation (EL) of 4% or more.
  • the fraction of the overprocess boride precipitate has 1 vol% or less of the total volume of the stainless steel.
  • the overprocess boride precipitate is (Fe, Cr) 2 B precipitate.
  • Method for producing a boron-containing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hot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is (a) carbon (C): 0.15% by weight or less, manganese (Mn): 2.0% by weight or less, Silicon (Si): 1.0 wt% or less, Chromium (Cr): 18 to 20 wt%, Nickel (Ni): 12 to 15 wt%, Boron (B): 0.20 to 2.75 wt%, Cobalt (Co): 3 to Casting molten steel containing 10% by weight and the remaining iron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b) hot and cold rolling the cast steel; And (c) annealing heat treatment and pickling of the cold rolled steel.
  • the steel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sulfur (S): 0.04% by weight or less, phosphorus (P): 0.06% by weight or less, and nitrogen (N): 0.01% by weight or less. .
  • the fraction of the over-process boride precipitate has 1 vol% or less of the total volume of stainless steel.
  • the over-process boride precipitate is (Fe, Cr) 2 B precipitate.
  • the stainless steel has a tensile strength (TS) of 720 MPa or more and an elongation (EL) of 4% or more.
  • the boron-containing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hot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an secure neutron shielding performance through the addition of boron, while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over-process boride precipitates by adding cobalt, thereby providing hot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Improve it.
  • the boron-containing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hot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ave a fraction of over-process (Fe, Cr) 2 B precipitates of 1 vol% or less of the total volume to improve hot workability.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secure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by securing a tensile strength (TS) of 720 MPa or higher and an elongation (EL) of 4% or higher.
  • TS tensile strength
  • EL elongation
  • Example 1 is a SEM photograph showing a specimen according to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4.
  • Figure 2 is a SEM photograph showing a specimen according to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5.
  • Figure 3 is a SEM photograph showing a specimen according to Example 4 and Comparative Example 6.
  • Figure 4 is a phase equilibrium for the specimen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3 and Example 2.
  •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phas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ddition amount of boron and cobalt in the 17Cr-12Ni component system.
  •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phas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addition amount of boron and cobalt in the 20Cr-12Ni component system.
  • the boron-containing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hot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aims to have a tensile strength (TS) of 720 MPa or more and an elongation (EL) of 4% or more.
  • the boron-containing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hot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is carbon (C): 0.15 wt% or less, manganese (Mn): 2.0 wt% or less, silicon (Si): 1.0 wt%
  • Cr chromium
  • Ni nickel
  • Ni 12 to 15%
  • boron B
  • cobalt Co
  • the stainless steel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sulfur (S): 0.04% by weight or less, phosphorus (P): 0.06% by weight or less, and nitrogen (N): 0.01% by weight or less.
  • the cobalt (Co) is more preferably added in 3.5 to 4.5% by weight.
  • the stainless steel preferably has a fraction of over-process boride precipitate having 1 vol% or less of the total volume of stainless steel.
  • the over-process boride precipitate is (Fe, Cr) 2 B precipitate.
  • Carbon (C) is an effective element to increase strength by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 the carbon (C) is preferably added at a content ratio of 0.15%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0.05 to 0.15%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mount of carbon (C) added is less than 0.05%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properly exhibit the effect of increasing strength.
  • the addition amount of carbon (C) exceeds 0.15% by weight it is easily combined with a carbide-forming element such as chromium (Cr) effective for corrosion resistance, thereby lowering the chromium (Cr) content around the grain boundaries to reduce corrosion resistance.
  • Manganese (Mn) is a deoxidizing element that lowers the oxygen concentration in molten steel and is a necessary component for refining.
  • the manganese (Mn) is preferably added at a content ratio of 2.0%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0.5 to 2.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when the addition amount of manganese (Mn) exceeds 2.0% by weight, corrosion resistance is lowered, and the residual of induced radioactivity increases.
  • the silicon (Si) is preferably added at a content ratio of 1.0%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0.1 to 1.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silicon (Si) is added in an amount exceeding 1.0 wt%, there is a problem of deteriorating weldability and hot workability.
  • Chromium (Cr)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stainless steel and is an effective element for forming a passivation film required to secure the surface corrosion resistance of stainless steel.
  • the chromium (Cr) is preferably added in a content ratio of 18 to 2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mount of chromium (Cr) added is less than 18% by weight, difficulty in securing heat resistance may follow.
  • the amount of chromium (Cr) is added in excess of 20% by weight, the ferrite phase is a generated element, and thus, excessive ⁇ -ferrite phase remains, thereby reducing the hot workability.
  • Nickel (Ni)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stainless steel along with chromium, and is an element that stabilizes the austenite phase.
  • the nickel (Ni) is preferably added in a content ratio of 12 to 15%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mount of nickel (Ni) added is less than 12%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properly exhibit the above effects.
  • the amount of nickel (Ni) is added in excess of 15% by weight, the effect is saturated, resulting in high cost and a decrease in the liquidus temperature of the steel, resulting in shrinkage defects during casting. It causes it to occur.
  • Boron (B) is an indispensable element for improving neutron shielding performance.
  • the boron (B) is preferably added in a content ratio of 0.20 to 2.75%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ddition amount of boron (B) is less than 0.20% by weight, the addition amount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eutron shielding performance cannot be properly expressed.
  • the amount of boron (B) added exceeds 2.75% by weight, cracks may occur during casting due to excessive formation of boride ⁇ (Cr, Fe) 2 B ⁇ precipitates, or strength, wear resistance, and hot workability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the back.
  • Co Co serves to improve the hot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by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boride precipitates during the casting process.
  • the cobalt (Co) is preferably added in a content ratio of 3 to 10% by weight, more preferably 3.5 to 4.5%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ddition amount of cobalt (Co) is less than 3% by weight, it may be difficult to properly exhibit the effect of improving hot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because the addition amount is insignificant.
  • the amount of cobalt (Co) added exceeds 10% by weight, it can act a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stainless steel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cobalt that is relatively expensive compared to nickel and boron without further effect increase. Can't be
  • S Sulfur
  • S Sulfur
  • S was preferably added as little as possible because it is a component that reduces the hot workability. Therefore, the sulfur (S) was limited to 0.04% by weight or less of the total weight of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Phosphorus (P) is an inevitable impurity contained in steel, which causes grain boundary corrosion during pickling or inhibits hot workability. Therefore, phosphorus (P) was limited to 0.06% by weight or less of the total weight of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Nitrogen (N) is an austenite stabilizing element and is an element that simultaneously improves high temperature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However, when the amount of nitrogen (N) is added in excess of 0.01% by weight, hot workability is deteriorated. Therefore, the nitrogen (N) was limited to 0.01% by weight or less of the total weight of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thod for producing a boron-containing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hot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is (a) carbon (C): 0.15 wt% or less, manganese (Mn): 2.0 wt% or less, silicon (Si): 1.0 Less than wt%, Chromium (Cr): 18 to 20 wt%, Nickel (Ni): 12 to 15 wt%, Boron (B): 0.20 to 2.75 wt%, Cobalt (Co): 3 to 10 wt% and the remaining iron (Fe) and casting a molten steel containing inevitable impurities; (b) hot and cold rolling the cast steel; And (c) annealing heat treatment and pickling the cold-rolled steel.
  • the steel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sulfur (S): 0.04% by weight or less, phosphorus (P): 0.06% by weight or less, and nitrogen (N): 0.01% by weight or less. .
  • the annealing temperature greatly affects residual stress relief, grain refinement and fine carbonitride precipitation.
  • the anneal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carried out under 900 ⁇ 1,100 °C conditions.
  • the annealing temperature is less than 900 ° C, coarse carbides are generated, and the tissue may be uneven.
  • the annealing temperature exceeds 1,100 ° C, crystal grains may be extremely coarsened.
  • the boron-containing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hot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by the above process can secure neutron shielding performance through the addition of boron, while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overprocess boride precipitates by adding cobalt. By doing so, hot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can be improved.
  • the boron-containing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hot work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produc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t process (Fe, Cr) 2 B fraction of less than 1vol% of the total volume produced hot workability It can be improved, and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secure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by securing a tensile strength (TS) of 720 MPa or more and an elongation (EL) of 4% or more.
  • TS tensile strength
  • EL elongation
  • Table 3 shows the mechanical property evaluation results for the specimens according to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 Figure 1 is a SEM photograph showing a specimen according to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4
  • Figure 2 is a SEM photograph showing a specimen according to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5
  • Figure 3 is Example 4 and Comparative Example 6 SEM photograph showing the specimen according to.
  • Table 4 shows the results for the over-process boride precipitate fraction for the specimens according to Examples 5 to 16 and Comparative Examples 7 to 8. At this time, the fraction of precipitated boride precipitates was calculated and represented by thermodynamics calculation at 1257 ° C.
  • the specimen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7 is due to the fact that a small amount of cobalt is added at 1 wt%, so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overprocess (Fe, Cr) 2 B precipitates is not properly exhibited, resulting in an overprocess (Fe, Cr) 2 B precipitate frac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exceeded 1 vol%.
  • Figure 4 shows the phase equilibrium for the specimen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3 and Example 2.
  •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phas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addition amount of boron and cobalt in the 17Cr-12Ni component system
  •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phas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change amount of boron and cobalt in the 20Cr-12Ni component system.
  • the phas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boron and cobalt added at 1257 ° C is increased.
  • the liquid area increases, and on the contrary, the liquid + ultrafine boride area (Liquid + M 2 B) decrea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보론 첨가를 통하여 중성자 차폐 성능 확보가 가능하면서, 코발트 첨가에 의해 과공정 보라이드 석출물 생성을 억제하여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을 향상시킨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은 탄소(C) : 0.15 중량% 이하, 망간(Mn) : 2.0 중량% 이하, 실리콘(Si) : 1.0 중량% 이하, 크롬(Cr) : 18 ~ 20 중량%, 니켈(Ni) : 12 ~ 15 중량%, 보론(B) : 0.20 ~ 2.75 중량%, 코발트(Co) : 3 ~ 10 중량%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론 첨가를 통하여 중성자 차폐 성능 확보가 가능하면서, 코발트 첨가에 의해 과공정(Hyper-eutectic) 보라이드 석출물 생성을 억제하여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을 향상시킨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붕소 함유 스테인리스강은 중성자 차폐 성능이 우수하면서 내식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된 핵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핵연료 저장 용기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붕소 함유 스테인리스강은, 금상학적으로 보면, 오스테나이트와 보라이드[(Cr, Fe) 2B]의 공정형 합금이고, 보라이드 자체가 무른(부서지기 쉬운) 것에 더하여, 보라이드와 오스테나이트 상의 계면에서의 강도 차이가 커서 균열이 전파되기 쉽기 때문에 열간 가공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4218호(2013.07.04.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론 첨가를 통하여 중성자 차폐 성능 확보가 가능하면서, 코발트 첨가에 의해 과공정 보라이드 석출물 생성을 억제하여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을 향상시킨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은 탄소(C) : 0.15 중량% 이하, 망간(Mn) : 2.0 중량% 이하, 실리콘(Si) : 1.0 중량% 이하, 크롬(Cr) : 18 ~ 20 중량%, 니켈(Ni) : 12 ~ 15 중량%, 보론(B) : 0.20 ~ 2.75 중량%, 코발트(Co) : 3 ~ 10 중량%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인리스강은 황(S) : 0.04 중량% 이하, 인(P) : 0.06 중량% 이하 및 질소(N) : 0.01 중량% 이하 중 1종 이상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코발트(Co)는 3.5 ~ 4.5 중량%로 첨가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테인리스강은 720MPa 이상의 인장강도(TS) 및 4% 이상의 연신율(EL)을 갖는다.
상기 스테인리스강은 과공정 보라이드 석출물의 분율이 스테인리스강 전체 부피의 1vol% 이하를 갖는다.[여기서, 상기 과공정 보라이드 석출물은 (Fe, Cr) 2B 석출물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은 (a) 탄소(C) : 0.15 중량% 이하, 망간(Mn) : 2.0 중량% 이하, 실리콘(Si) : 1.0 중량% 이하, 크롬(Cr) : 18 ~ 20 중량%, 니켈(Ni) : 12 ~ 15 중량%, 보론(B) : 0.20 ~ 2.75 중량%, 코발트(Co) : 3 ~ 10 중량%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용강을 주조하는 단계; (b) 상기 주조된 강을 열간 및 냉간 압연하는 단계; 및 (c) 상기 냉간 압연된 강을 소둔 열처리 및 산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강에는 황(S) : 0.04 중량% 이하, 인(P) : 0.06 중량% 이하 및 질소(N) : 0.01 중량% 이하 중 1종 이상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a) 단계 이후, 과공정 보라이드 석출물의 분율이 스테인리스강 전체 부피의 1vol% 이하를 갖는다.[여기서, 상기 과공정 보라이드 석출물은 (Fe, Cr) 2B 석출물이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스테인리스강은 720MPa 이상의 인장강도(TS) 및 4% 이상의 연신율(EL)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은 보론 첨가를 통하여 중성자 차폐 성능 확보가 가능하면서, 코발트 첨가에 의해 과공정 보라이드 석출물 생성을 억제하여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은 과공정 (Fe, Cr) 2B 석출물의 분율이 전체 부피의 1vol% 이하로 생성되어 열간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720MPa 이상의 인장강도(TS) 및 4% 이상의 연신율(EL)의 확보로 고강도 및 고인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4에 따른 시편을 나타낸 SEM 사진.
도 2는 실시예 3 및 비교예 5에 따른 시편을 나타낸 SEM 사진.
도 3은 실시예 4 및 비교예 6에 따른 시편을 나타낸 SEM 사진.
도 4는 비교예 3 및 실시예 2에 따른 시편에 대한 상 평형도.
도 5는 17Cr-12Ni 성분계에서 보론 및 코발트의 첨가량 변화에 따른 상분포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20Cr-12Ni 성분계에서 보론 및 코발트의 첨가량 변화에 따른 상분포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은 720MPa 이상의 인장강도(TS) 및 4% 이상의 연신율(EL)을 갖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은 탄소(C) : 0.15 중량% 이하, 망간(Mn) : 2.0 중량% 이하, 실리콘(Si) : 1.0 중량% 이하, 크롬(Cr) : 18 ~ 20 중량%, 니켈(Ni) : 12 ~ 15 중량%, 보론(B) : 0.20 ~ 2.75 중량%, 코발트(Co) : 3 ~ 10 중량%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테인리스강은 황(S) : 0.04 중량% 이하, 인(P) : 0.06 중량% 이하 및 질소(N) : 0.01 중량% 이하 중 1종 이상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코발트(Co)는 3.5 ~ 4.5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테인리스강은 과공정 보라이드 석출물의 분율이 스테인리스강 전체 부피의 1vol% 이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과공정 보라이드 석출물은 (Fe, Cr) 2B 석출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역할 및 그 함량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탄소(C)
탄소(C)는 고용강화에 의해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유효한 원소이다.
상기 탄소(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강 전체 중량의 0.15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0.15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C)의 첨가량이 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강도 증가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다. 반대로, 탄소(C)의 첨가량이 0.15 중량%를 초과하여 과다 첨가되면, 내식성에 유효한 크롬(Cr)과 같은 탄화물 형성 원소와 쉽게 결합하여 결정립계 주위의 크롬(Cr) 함량을 낮추어 내식성을 감소시킨다.
망간(Mn)
망간(Mn)은 용강 중의 산소 농도를 저하시키는 탈산 원소이고 정련상 필요한 성분이다.
상기 망간(Mn)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강 전체 중량의 2.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2.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망간(Mn)의 첨가량이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식성을 저하시켜, 유도 방사능의 잔류가 많아진다.
실리콘(Si)
실리콘(Si)은 망간(Mn)과 동일하게 용강 중의 산소 농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탈산 원소이다. 또한, 실리콘(Si)은 산화물로 형성될 경우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리콘(Si)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강 전체 중량의 1.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1.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실리콘(Si)의 첨가량이 1.0 중량%를 초과하여 다량 첨가될 경우에는 용접성과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크롬(Cr)
크롬(Cr)은 스테인리스강의 필수 성분으로, 스테인리스강의 표면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동태 피막의 형성에 유효한 원소이다.
상기 크롬(Cr)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강 전체 중량의 18 ~ 2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롬(Cr)의 첨가량이 18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내열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크롬(Cr)의 첨가량이 20 중량%를 초과하여 과대 첨가될 경우에는 페라이트상 생성원소이므로 과다한 δ-페라이트 상이 잔존하여 열간가공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니켈(Ni)
니켈(Ni)은 크롬과 함께 스테인리스강의 필수 성분으로,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시키는 원소이다.
상기 니켈(Ni)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강 전체 중량의 12 ~ 15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Ni)의 첨가량이 1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의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다. 반대로, 니켈(Ni)의 첨가량이 15 중량%를 초과하여 과다 첨가될 경우에는 그 효과가 포화되기 때문에 고비용이 되어 버림과 함께, 강의 액상선 온도의 저하를 초래하여 주조시에 수축공 결함 등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보론(B)
보론(B)은 중성자 차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 불가결한 원소이다.
상기 보론(B)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강 전체 중량의 0.20 ~ 2.75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론(B)의 첨가량이 0.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첨가량이 불충분하여 중성자 차폐 성능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보론(B)의 첨가량이 2.75 중량%를 초과하여 과다 첨가될 경우에는 보라이드{(Cr, Fe) 2B} 석출물의 과다 생성으로 주조시에 균열을 일으키거나, 강도, 내마모성, 열간 가공성 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코발트(Co)
코발트(Co)는 주조 과정에서 보라이드 석출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열간 가공성 및 인장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코발트(Co)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강 전체 중량의 3 ~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4.5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발트(Co)의 첨가량이 3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첨가량이 미미하여 열간 가공성 및 인장 특성 향상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코발트(Co)의 첨가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상승 없이 니켈, 보론 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가인 코발트 첨가량의 증가로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단가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황(S)
황(S)은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성분이기 때문에 최대한 적게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황(S)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강 전체 중량의 0.04 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인(P)
인(P)은 강 중에 포함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로서, 산세시 입계부식을 일으키거나 열간가공성을 저해시킨다. 따라서, 인(P)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강 전체 중량의 0.06 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질소(N)
질소(N)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며, 고온 강도와 내식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다만, 질소(N)의 첨가량이 0.01 중량%를 초과하여 과다 첨가될 경우에는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상기 질소(N)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강 전체 중량의 0.01 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은 (a) 탄소(C) : 0.15 중량% 이하, 망간(Mn) : 2.0 중량% 이하, 실리콘(Si) : 1.0 중량% 이하, 크롬(Cr) : 18 ~ 20 중량%, 니켈(Ni) : 12 ~ 15 중량%, 보론(B) : 0.20 ~ 2.75 중량%, 코발트(Co) : 3 ~ 10 중량%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용강을 주조하는 단계; (b) 상기 주조된 강을 열간 및 냉간 압연하는 단계; 및 (c) 상기 냉간 압연된 강을 소둔 열처리 및 산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강에는 황(S) : 0.04 중량% 이하, 인(P) : 0.06 중량% 이하 및 질소(N) : 0.01 중량% 이하 중 1종 이상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냉간압연 이후 소둔 처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소둔 온도는 잔류 응력 해소, 결정립 미세화 그리고 미세한 탄질화물 석출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본 단계에서, 소둔 온도는 900 ~ 1,100℃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둔 온도가 900℃ 미만일 경우에는 조대한 탄화물이 생성되어 조직이 불균일해질 수 있다. 반대로, 소둔 온도가 1,100℃를 초과할 경우에는 결정립이 극단적으로 조대화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은 보론 첨가를 통하여 중성자 차폐 성능 확보가 가능하면서, 코발트 첨가에 의해 과공정 보라이드 석출물 생성을 억제하여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은 과공정 (Fe, Cr) 2B 석출물의 분율이 전체 부피의 1vol% 이하로 생성되어 열간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720MPa 이상의 인장강도(TS) 및 4% 이상의 연신율(EL)의 확보로 고강도 및 고인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시편 제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화학성분(단위 : 중량%)을 갖는 잉곳을 진공유도용해로에서 제조한 후, 잉곳을 열간 및 냉간 압연을 수행한 후, 1,000℃의 온도에서 소둔 처리한 후, 산세를 수행하여 실시예 1 ~ 16 및 비교예 1 ~ 8에 따른 시편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KR2019014415-appb-img-000001
Figure PCTKR2019014415-appb-img-000002
2. 기계적 물성 평가
표 3은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6에 따른 시편에 대한 기계적 물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4에 따른 시편을 나타낸 SEM 사진이고, 도 2는 실시예 3 및 비교예 5에 따른 시편을 나타낸 SEM 사진이며, 도 3은 실시예 4 및 비교예 6에 따른 시편을 나타낸 SEM 사진이다.
Figure PCTKR2019014415-appb-img-000003
표 1 및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 4에 따른 시편은 목표값에 해당하는 720MPa 이상의 인장강도(TS) 및 4% 이상의 연신율(EL)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 3, 비교예 5 ~ 6은 연신율은 목표값을 만족하였으나, 인장강도가 목표값에 미달하였다.
또한, 비교예 4에 따른 시편은 실시예 2에 따른 시편과 보론이 비슷한 함량으로 첨가되었으나, 코발트의 미첨가로 인하여 실시예 2에 비하여 인장강도가 확연히 낮으면서도 연신율이 급격히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 ~ 4에 따른 시편은 코발트 첨가로 인하여 과공정 (Fe, Cr) 2B 석출물의 생성이 억제되어 비교예 4 ~ 6에 따른 시편에 비하여 과공정 (Fe, Cr) 2B 석출물이 확연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비교예 4 ~ 6에 따른 시편은 코발트가 미첨가되어 조대한 사이즈의 과공정 (Fe, Cr) 2B 석출물이 다량 석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표 4는 실시예 5 ~ 16 및 비교예 7 ~ 8에 따른 시편에 대한 과공정 보라이드 석출물 분율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과공정 보라이드 석물출 분율은 1257℃ 조건에서 열역학 계산에 의해 산출하여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14415-appb-img-000004
표 2 및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5 ~ 16에 따른 시편은 과공정 (Fe, Cr) 2B 석출물 분율이 1vol% 이하를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7에 따른 시편은 코발트 첨가량이 1wt%로 소량 첨가되는데 기인하여 과공정 (Fe, Cr) 2B 석출물의 억제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여 과공정 (Fe, Cr) 2B 석출물 분율이 1vol%를 초과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8에 따른 시편은 보론 첨가량이 2.80wt%로 과도하게 첨가되는데 기인하여 코발트 첨가량이 10wt%로 다량 첨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과공정 (Fe, Cr) 2B 석출물 분율이 목표값을 초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비교예 3 및 실시예 2에 따른 시편에 대한 상 평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3에 따른 시편에 비하여 실시예 2에 따른 시편의 경우,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에 코발트를 더 첨가되어 공융점(eutectic point)이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냉각중 초정 오스테나이트(proeutectic austenite)의 분율 증가로 연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17Cr-12Ni 성분계에서 보론 및 코발트의 첨가량 변화에 따른 상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20Cr-12Ni 성분계에서 보론 및 코발트의 첨가량 변화에 따른 상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57℃ 조건에서 보론 및 코발트의 첨가량에 따른 상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코발트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액상 영역(Liquid Area)이 늘어나고, 반대로 액상 + 초정 보라이드 영역(Liquid + M 2B)이 감소한다.
일 예로, 보론이 2.5wt%로 첨가되고, 코발트가 10wt% 및 2wt%로 첨가되는 것으로 선을 그어보면, 코발트가 10wt%로 첨가되는 경우보다 코발트가 2wt%로 첨가되는 경우가 과공정 보라이드(M 2B) 함량이 늘어나게 된다.
다시 말해, 코발트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액상 + 초정 보라이드 영역(Liquid + M 2B)이 줄어들게 되고, 이 결과 코발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과공정 보라이드의 분율이 감소하여 연신율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탄소(C) : 0.15 중량% 이하, 망간(Mn) : 2.0 중량% 이하, 실리콘(Si) : 1.0 중량% 이하, 크롬(Cr) : 18 ~ 20 중량%, 니켈(Ni) : 12 ~ 15 중량%, 보론(B) : 0.20 ~ 2.75 중량%, 코발트(Co) : 3 ~ 10 중량%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강은
    황(S) : 0.04 중량% 이하, 인(P) : 0.06 중량% 이하 및 질소(N) : 0.01 중량% 이하 중 1종 이상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Co)는
    3.5 ~ 4.5 중량%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강은
    720MPa 이상의 인장강도(TS) 및 4% 이상의 연신율(EL)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강은
    과공정 보라이드 석출물의 분율이 스테인리스강 전체 부피의 1vol% 이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여기서, 상기 보라이드 석출물은 (Fe, Cr) 2B 석출물이다.]
  6. (a) 탄소(C) : 0.15 중량% 이하, 망간(Mn) : 2.0 중량% 이하, 실리콘(Si) : 1.0 중량% 이하, 크롬(Cr) : 18 ~ 20 중량%, 니켈(Ni) : 12 ~ 15 중량%, 보론(B) : 0.20 ~ 2.75 중량%, 코발트(Co) : 3 ~ 10 중량%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용강을 주조하는 단계;
    (b) 상기 주조된 강을 열간 및 냉간 압연하는 단계; 및
    (c) 상기 냉간 압연된 강을 소둔 열처리 및 산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강에는
    황(S) : 0.04 중량% 이하, 인(P) : 0.06 중량% 이하 및 질소(N) : 0.01 중량% 이하 중 1종 이상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
    과공정 보라이드 석출물의 분율이 스테인리스강 전체 부피의 1vol% 이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여기서, 상기 보라이드 석출물은 (Fe, Cr) 2B 석출물이다.]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스테인리스강은 720MPa 이상의 인장강도(TS) 및 4% 이상의 연신율(EL)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PCT/KR2019/014415 2018-11-19 2019-10-30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WO202010588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466A KR102277730B1 (ko) 2018-11-19 2018-11-19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8-0142466 2018-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5885A1 true WO2020105885A1 (ko) 2020-05-28

Family

ID=7077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4415 WO2020105885A1 (ko) 2018-11-19 2019-10-30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7730B1 (ko)
WO (1) WO20201058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07197A (zh) * 2022-12-21 2023-03-17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高硼含量铁素体基硼不锈钢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0363A (en) * 1965-02-01 1967-12-26 Union Carbide Corp Beryllium strengthened iron base alloy
US3772005A (en) * 1970-10-13 1973-11-13 Int Nickel Co Corrosion resistant ultra high strength stainless steel
JPH1161342A (ja) * 1997-08-08 1999-03-05 Mitsubishi Heavy Ind Ltd 高Crフェライト鋼
KR20100011688A (ko) * 2008-07-25 2010-02-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열간 프레스 가공성이 우수한 열처리 강화형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20170074265A (ko) * 2015-12-21 2017-06-30 주식회사 포스코 내크립 특성 및 인장강도가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0363A (en) * 1965-02-01 1967-12-26 Union Carbide Corp Beryllium strengthened iron base alloy
US3772005A (en) * 1970-10-13 1973-11-13 Int Nickel Co Corrosion resistant ultra high strength stainless steel
JPH1161342A (ja) * 1997-08-08 1999-03-05 Mitsubishi Heavy Ind Ltd 高Crフェライト鋼
KR20100011688A (ko) * 2008-07-25 2010-02-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열간 프레스 가공성이 우수한 열처리 강화형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20170074265A (ko) * 2015-12-21 2017-06-30 주식회사 포스코 내크립 특성 및 인장강도가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velopment of Safety Material for Disaster Response/Prevention and Establishing Its Assessment Base",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 December 2017 (2017-12-01), pages 1 - 7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07197A (zh) * 2022-12-21 2023-03-17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高硼含量铁素体基硼不锈钢
CN115807197B (zh) * 2022-12-21 2024-02-06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高硼含量铁素体基硼不锈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730B1 (ko) 2021-07-19
KR20200058639A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12144A1 (ko) 내식성이 우수한 비자성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5099363A1 (ko) 표면 가공 품질이 우수한 저온용강
WO2018074887A1 (ko) 고강도 철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098483A1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저온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9125083A1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WO2020101226A1 (ko) 고강도 비자성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20067686A1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7450A1 (ko) 저온인성 및 후열처리 특성이 우수한 내sour 후판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9117430A1 (ko) 고온 내산화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7477A1 (ko) 내식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6104883A1 (ko) 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0105885A1 (ko)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WO2015137627A1 (ko) 내열 구상흑연주철,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배기계
WO2019124814A1 (ko) 수소유기균열 저항성 및 길이방향 강도 균일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9125025A1 (ko) 고 강도 오스테나이트계 고 망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9125076A1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7222122A1 (ko) 철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085861A1 (ko) 형상이 우수한 극저온용 오스테나이트계 고망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5099214A1 (ko) 강도와 연성이 우수한 열처리 경화형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0085852A1 (ko) 항복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망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1125564A1 (ko) 클램프용 고강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20111478A1 (ko) 고인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경량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WO2020067723A1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0130257A1 (ko) 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0122320A1 (ko) 성형성 및 고온 특성이 우수한 저cr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865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865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