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96238A1 - 도전성 입자 및 이를 갖는 신호 전송 커넥터 - Google Patents

도전성 입자 및 이를 갖는 신호 전송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96238A1
WO2020096238A1 PCT/KR2019/014008 KR2019014008W WO2020096238A1 WO 2020096238 A1 WO2020096238 A1 WO 2020096238A1 KR 2019014008 W KR2019014008 W KR 2019014008W WO 2020096238 A1 WO2020096238 A1 WO 202009623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nductive particle
particles
particle bod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400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오창수
김보현
윤성호
Original Assignee
(주)티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스이 filed Critical (주)티에스이
Priority to US17/289,023 priority Critical patent/US11763959B2/en
Priority to CN201980069585.3A priority patent/CN112930574B/zh
Publication of WO202009623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962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05K1/092Dispersed materials, e.g. conductive pastes or in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42Shape of an individual partic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63Details about a collection of p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25Sockets, i.e. female type connectors comprising metallic connector elements integrated in, or bonded to a common dielectric suppor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0Using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s; Using laser light
    • H05K2203/104Using magnetic force, e.g. to align particles or for a temporary connection during proces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6Inspection; Monitoring; Aligning
    • H05K2203/162Testing a finished product, e.g. heat cycle testing of solder joi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14Shaping of the substrate, e.g. by mou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ductive partic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ductive transmission part provided in a conductive portion of a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connected to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 semiconductor package and used to transmit electrical signals and a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having the same.
  • a semiconductor package it is manufactured through a pre-process, a post-process, and a test process, and a connector is used in this manufacturing process.
  • the entire process is also called a fab (FAB) process, and is a process of forming an integrated circuit on a wafer made of single crystal silicon.
  • the post process is also called an assembly process, which separates the wafer into individual chips, connects conductive leads or balls to the chip to enable connection of electrical signals with external devices, and an epoxy resin to protect the chip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 This is a process of forming a semiconductor package by molding with the same resin.
  • the test process is a process of testing whether a semiconductor package is operating normally and selecting good and bad products.
  • test socket i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integrated circuit test tester and used for inspection of a semiconductor package.
  • the tester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for test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to be connected to the test socket and outputs it to the semiconductor package, and then tests whether the semiconductor package operates normally using the electrical signal input through the test socket. As a result, the semiconductor package is determined to be good or bad.
  • FIG. 1 is a view showing a test sock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 the test socket 10 includes a conductive part 12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17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16 and an insulating part 13 serving as an insulating layer between the conductive parts 12. do.
  •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conductive part 12 contact the terminal 17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16 and the conductive pad 15 of the test board 14 connected to the test equipment, respectively, and the terminal 17 and the conductive pad 15 Electrical connection.
  • the conductive portion 12 is formed by mixing the conductive particles 12a and the silicone rubber 13a and acts as a conductor through which electricity flows. As the conductive particles 12a, uneven and irregular conductive particles 12a are used.
  • the conductive portion 12 of the conventional test socket 10 is pressurized up and down in order to increase contact characteristics upon contact for testing the semiconductor element 16.
  • the conductive portion 12 is pressurized,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12a of the upper layer portion are pushed downward,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12a of the middle layer portion are gradually pushed sideways.
  • the conductive particles 12a repeatedly exhibit irregular movemen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conductive portion 12 repeatedly contacts the terminal 17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16.
  • the movemen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12a causes irregular scrub between the conductive particles 12a, and if the irregular scrubbing between the conductive particles 12a continues, the plat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particles 12a Peeling may deteriorate electrical properties.
  • irregular scrubbing between the conductive particles 12a damages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particles 12a,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life of the test socket 10 is shorten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irregular scrub (scrub) phenomenon between the conductive particles, and improved conductive particles to improve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nd It is to provide a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having this.
  •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are connected to an electronic component to a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supported so that a plurality of conductive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n insulating portion made of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so as to transmit electric signals.
  • the provided conductive particles comprising: a conductive particle body having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which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jections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edg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one end being flush with one surfac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and the other end being flush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and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 a tooth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grooves provided between the particle projections, the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are inserted into the conductive particle grooves of other conductive particles, the tooth portion is engaged with the tooth portions of the other conductive particles and electrical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the conductive portion to be connected to.
  • At least a portion of the edges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may be formed of an arcuate curved surface, and the teeth may be disposed on an arcuate curved surfac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edge.
  • the tooth portion may be divided into a first tooth portion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and a second tooth portion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includes a central portion, a first arch portion provided in an arcuate shape at one end of the central portion, and a second arch portion provided in an arcuate shape at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portion, wherein the first tooth portion comprises the first It may be disposed at the edge of the arch portion, and the second serration portion may be disposed at the edge of the second arch portion.
  •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 the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becomes narrower as it moves away from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and the conductive particle groove may be formed to become narrower as it becomes closer to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 the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is a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lectronic component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in the elastic insulating material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in which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are align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n insulating portion made of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and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ortions to support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ortion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conductive particles includ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that are disposed flat and parallel to each other.
  •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edg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and a toothed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groove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so that the toothed portions have different conductivity. It may be disposed within the conductive portion to engage the toothed portion of the particle. Therefor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conductive portion is increased, so that the electric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can be increased. Can be extended.
  • FIG. 1 is a view showing a test sock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2 shows a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lectronic component connected thereto.
  • Figure 3 shows the conductive particles provided in the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conductive particles are arranged in a conductive portion of a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4.
  •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in a conductive portion.
  • FIG. 2 shows a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lectronic component connected thereto
  • FIG. 3 shows conductive particles provided in the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100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by connecting to the electronic component 3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32 of the electronic component 30.
  • the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100 may be used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by connecting to the electronic component 30 and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thereby inspec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through a tester 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have.
  • the conductive portion 11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111 are align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elastic insulating material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32 of the electronic component 30.
  • the conductive parts 110 are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insulating part 130 so as to correspond to the terminals 32 provided in the electronic component 30 to be connected.
  • the elastic insulat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conductive part 110 is a heat-resistant polymer material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for example, silicone rubber, polybutadiene rubber, natural rubber, polyisoprene rubber, styrene-butadiene copolymer rubber, acrylic Nitrile-butadiene copolymer rubber, styrene-butadiene-diene block copolymer rubber, styrene-isoprene block copolymer rubber, urethane rubber, polyester rubber, epichlorohydrin rubber, ethylene-propylene copolymer rubber, ethylene-propylene -Diene copolymer rubber, soft liquid epoxy rubber, and the like can be used.
  • silicone rubber polybutadiene rubber, natural rubber, polyisoprene rubber, styrene-butadiene copolymer rubber, acrylic Nitrile-butadiene copolymer rubber, styrene-butadiene-diene block copoly
  •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constituting the conductive portion 110 may include a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and a tooth portion 117,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magnetism to react by a magnetic field.
  • the conductive particles particles of metal exhibiting magnetic properties such as iron, nickel, and cobalt, or alloy particles thereof, or particles containing these metals or particles as core particles, and gold on the surface of the core particles .
  • a plated magnetic body, or a plated core particle having a conductive magnetic body and a metal having good conductivity may be used.
  •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of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has one surface 113a and the other surface 113b which are disposed flat and parallel to each other.
  •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has a greater width (w) than the thickness (t) and a longer length (h) than the width (w) so that it can be elong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100 within the conductive portion 110. It is made in a large shape.
  •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has a shap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its edges are formed of an arcuate curved surface.
  •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includes a central portion 113, a first arch portion 114 provided in an arcuate shape at one end of the central portion 113, and a second arch portion provided in an arcuate shape at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portion 113. It includes an arch portion 115.
  • the first arch portion 114 and the second arch portion 115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the central portion 113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teeth 117 of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ar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18 and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18 protruding outward from the edg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And conductive particle grooves 119.
  • the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 118 protrudes from the edg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one end of which is flush with one surface 113a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and the other end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It is placed at the same height as the other surface 113b.
  • the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 118 is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as it moves away from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 the conductive particle groove 119 is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as it approaches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between two adjacent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18.
  • the width of the conductive particle groove 119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 118 so that the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 118 can be inserted into the conductive particle groove 119.
  • the toothed portion 117 may be divided into a first toothed portion 121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and a second toothed portion 122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have.
  • the first tooth portion 121 is provided in the first arch portion 114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122 is provided in the second arch portion 115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do.
  • the first tooth portion 121 is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groove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18 and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18 protruding outward from the arcuate edge of the first arch portion 114. (119).
  • the second tooth portion 122 is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18 and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18 protruding outward from the arcuate edge of the second arch portion 115. It includes a groove 119.
  • the conductive particle 111 is such that the conductive portion protrusion 118 is inserted into the conductive particle groove 119 of the other conductive particle 111 so that the toothed portion 117 meshes with the toothed portion 117 of the other conductive particle. It is disposed in the conductive portion 110. 2 and 4,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111 align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mutually engaging each of the teeth 117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djacent ones. Can be connected.
  •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that are relatively disposed on the lower side engage the second teeth portion 122 of the other conductive particles 111 whose first tooth portion 121 is relative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The toothed portion 122 is engaged with the first toothed portion 121 of other conductive particles 111 that are disposed on the lower side.
  •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constituting the conductive portion 1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while the terminals 32 of the electronic component 30 contact the conductive portion 110 and the conductive portions 110 contact each other when receiving compression force. Can form the passage of electrical signals.
  •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ortion 110 or may be finely spaced apart, and when the terminal 32 contacts the conductive portion 110 and the conductive portion 110 is compressed, mutually stable contact Maintain the state to transmit electrical signals.
  •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111 are aligned in a thickness direction by a magnetic field to form the conductive portion 110. That is, when a liquid elastic insulating material contain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111 is injected into a mold and a magnetic field is applied inside the mold,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are concentrated to a relatively strong magnetic field. At this time,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are arranged to elong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ield. That is, when the magnetic field is applied,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are er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18 and the conductive particle grooves 119 constituting the first tooth portion 121 or the second tooth portion 122 are the first arch portion 114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 the first tooth portion 121 or the second tooth portion 122 provided in one conductive particle 1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other conductive particles 111.
  •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are disposed in the conductive portion 110 so that the toothed portion 117 provided therein engages the toothed portion 117 of other conductive particles, thereby causing irregular scrubbing between conductive particles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blem that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damaged by the irregular scrub phenomenon between the conductive particles, or the electrical properties are deteriorated due to the peeling of the plating lay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 the insulating part 130 may be made of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 the insulating part 130 surrounds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0 to support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elastic insulat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insulating portion 13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elastic insulat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conductive portion 110.
  • the support plate 140 is not easily deformed while stably supporting the insulating portion 130 having an elastic force,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ing rigidity sufficient to maintain its shape stably.
  • the support plate 14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metal, or ceramic.
  • an insulating coating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40.
  •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forming the conductive portion 110 protrude from the edg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to the outside.
  • a tooth portion 117 includ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grooves 119 formed between the particle protrusion 118 and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18 is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111 are each tooth portion. 117 are disposed in the conductive portion 110 to mesh with each other.
  •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in the conductive portion 110 is large, and thus, the electric transfer characteristics are excellent, and irregular scrubbing between the conductive particles 111 does not occur as in the prior art, which is also good for long-term use.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 Figure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in the conductive portion.
  • the conductive particle 151 shown in FIG. 6 includes a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and a tooth portion 154 disposed at the edg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A plurality of such conductive particles 151 are connected to contact each other to form a conductive portion 150.
  •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is made of a circular shape having a larger width than the thickness and being flat and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be elong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in the conductive portion 150.
  • the toothed portion 154 includes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55 protruding outward from the edg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grooves 156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55. It includes.
  • the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 155 protrudes from the edg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one end of which is placed at the same height as one surfac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the same as the other surfac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It is placed at a height.
  • the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 155 is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as it moves away from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 the conductive particle groove 156 is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as it approaches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between two adjacent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55.
  • the width of the conductive particle grooves 156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55 so that the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55 of the other conductive particles 151 can be inserted into the conductive particle grooves 156.
  • the conductive particles 151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55 are inserted into the conductive particle grooves 156 of the other conductive particles 151, and the tooth portions 154 of the conductive particles 151 having different tooth portions 154 are different. It is disposed in the conductive portion 150 to mesh with.
  •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151 in the conductive portion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mutually engaging the teeth 154 with each other adjacent vertically.
  • the conductive particles 151 are disposed in the conductive portion 150 so that the toothed portion 154 provided therein meshes with the toothed portion 154 of the other conductive particle 151, so that the conductive particles within the conductive portion 150 ( 151) has a large contact area, and thus has excellent electrical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has a long lifespan because irregular scrubbing between conductive particles 151 does not occur.
  • one conductive particle 15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151 adjacent thereto.
  • the conductive particles 151 are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151 disposed in the circumference, as well as other conductive particles 151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and further expanded in the conductive portion 150 An electrical signal path can be formed.
  • FIGS. 7 and 8 show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ductive particle 161 shown in FIG. 7 includes a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and a toothed portion 163.
  •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is as shown in FIGS. 2 to 4, and has a larger width than a thickness and a larger length than the width.
  •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includes a central portion 113, a first arch portion 114 provided arcuately at one end of the central portion 113, and a second arch portion provided arcuately at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portion 113. (115).
  • the toothed portion 163 has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64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edg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grooves 165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64 It includes.
  • the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64 are narrower in width as they move away from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and have a sharp end.
  • the conductive particle groove 165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width becomes narrower as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approaches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between the two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64.
  • the toothed portion 163 is a first toothed portion 167 provided in the first arch portion 114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and a second arced portion 115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It is divided into 2 toothed parts 168.
  • the conductive particles 161 also have a tooth portion 163 of the conductive particles 161 having different tooth portions 163 in such a way that the conductive particle projections 164 are inserted into the conductive particle grooves 165 of the other conductive particles 161. ) To be connected to other conductive particles 161 to form a conductive portion having excellent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 the toothed portion 163 is provided on the arcuate curved surface of the edg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12, it is possible to form an extended electrical signal path in the conductive portion by engaging with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161.
  • the conductive particle 171 shown in FIG. 8 includes a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and a tooth portion 173 disposed at the edg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A plurality of these conductive particles 17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onductive portion.
  •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is made of a circular shape having both surfaces that are flat and parallel to each other, such as the conductive particles 151 shown in FIG. 6.
  • the toothed portion 173 includes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74 protruding outward from the edg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grooves 175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74 It includes.
  • the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 174 protrudes from the edg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and as it moves away from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the width becomes narrower, and the tip is formed in a sharp shape.
  • the conductive particle groove 175 is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as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is closer to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between the two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s 174.
  • the conductive particles 171 also have a tooth portion 173 of the conductive particles 171 having different tooth portions 173 in such a way that the conductive particle projections 174 are inserted into the conductive particle grooves 175 of the other conductive particles 171. ) To be connected to other conductive particles 171 to form a conductive portion having excellent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 the tooth portion 173 is provided on the edge of the circular conductive particle body 152, the electrical signal passage extended in the conductive portion by engaging with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171 disposed around the conductive particle 171 Can form.
  •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of the conductive particles has been previously described as having a plate-like shape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thickness and a length greater than the width, but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has a mutually parallel two-sided shape, such as a block shape, in addition to the flat plate shape. It can be changed to various other shapes.
  • the shape of the conductive particle body may tak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d an oval shape.
  • the drawings show that the width of the conductive particle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as the projection of the conductive particle moves away from the body, and the groove of the conductive particle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so as to be closer to the body of the conductive particle.
  • the shape of the conductive particle protrusion or the conductive particle groove may be changed to various other 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성 입자 간의 불규칙적인 스크럽(scrub) 현상을 방지하고, 신호 전달 특성을 향상시킬 될 수 있도록 개선된 도전성 입자 및 이를 갖는 신호 전송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는, 전자부품에 접속하여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도전부가 탄성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절연부에 의해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되는 신호 전송 커넥터에 구비되는 도전성 입자에 있어서, 평평하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일면 및 타면을 갖는 도전성 입자 바디와, 톱니부를 포함한다. 톱니부는, 도전성 입자 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일단부가 도전성 입자 바디의 일면과 같은 높이에 놓이고 타단부가 도전성 입자 바디의 타면과 같은 높이에 놓이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와,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홈을 구비하고, 도전성 입자 돌기가 다른 도전성 입자의 도전성 입자 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톱니부가 다른 도전성 입자의 톱니부와 맞물려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도전부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도전성 입자 및 이를 갖는 신호 전송 커넥터
본 발명은 도전성 입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패키지와 같은 전자부품에 접속하는 신호 전송 커넥터의 도전부에 구비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데 이용되는 도전성 입자 및 이를 갖는 신호 전송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산업분야나 반도체 산업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일예로, 반도체 패키지의 경우, 전 공정, 후 공정 그리고 테스트 공정을 거쳐 제조되며, 이러한 제조공정에 커넥터가 사용된다. 전 공정은 펩(FAB) 공정이라고도 불리며, 단결정 실리콘 재질의 웨이퍼에 집적회로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후공정은 어셈블리 공정이라고도 불리며, 상기 웨이퍼를 각각의 칩들로 분리시키고, 외부 장치와 전기적 신호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칩에 도전성의 리드나 볼을 접속시키고, 칩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에폭시 수지와 같은 수지로 몰딩시킴으로써 반도체 패키지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테스트 공정은 반도체 패키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하는 공정이다.
테스트 공정에 적용되는 핵심 부품 중의 하나가 소위 테스트용 소켓이라 불리는 커넥터이다. 테스트용 소켓은 집적회로 테스트용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어 반도체 패키지의 검사에 이용된다. 테스터는 테스트용 소켓과 접속될 반도체 패키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반도체 패키지로 출력시킨 후, 테스트용 소켓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반도체 패키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그 결과, 반도체 패키지가 양품 또는 불량품으로 결정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테스트용 소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테스트용 소켓(10)은 반도체 소자(16)의 단자(17)와 접촉하는 도전부(12)와, 도전부(12) 사이에서 절연층 역할을 하는 절연부(13)를 포함한다.
도전부(12)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반도체 소자(16)의 단자(17)와 테스트 장비와 연결된 테스트 보드(14)의 도전 패드(15)와 접촉하여 단자(17)와 도전 패드(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준다.
도전부(12)는 도전성 입자(12a)와 실리콘 고무(13a)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전기가 흐르는 도체로 작용한다. 도전성 입자(12a)로는 울퉁불퉁한 비정형 도전성 입자(12a)가 이용된다.
종래의 테스트용 소켓(10)의 도전부(12)는 반도체 소자(16)의 테스트를 위한 접촉 시 접촉 특성을 높이기 위해 상하로 압력을 받는다. 도전부(12)가 가압되어 상층부의 도전성 입자(12a)는 아래로 밀려나고 중층부의 도전성 입자(12a)는 옆으로 조금씩 밀려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테스트용 소켓(10)은 도전부(12)가 반도체 소자(16)의 단자(17)와 반복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도전성 입자(12a)가 반복적으로 상하 방향의 불규칙적인 움직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러한 도전성 입자(12a)의 움직임은 도전성 입자(12a) 간의 불규칙적인 스크럽(scrub) 현상을 일으키며, 도전성 입자(12a) 간의 불규칙적인 스크럽 현상이 지속되면 도전성 입자(12a)의 표면에 형성된 도금층이 벗겨져 전기적 특성이 악화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입자(12a) 간의 불규칙적인 스크럽 현상은 도전성 입자(12a)의 표면을 손상시켜 결과적으로 테스트용 소켓(10)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전성 입자 간의 불규칙적인 스크럽(scrub) 현상을 방지하고, 신호 전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도전성 입자 및 이를 갖는 신호 전송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는, 전자부품에 접속하여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도전부가 탄성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절연부에 의해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되는 신호 전송 커넥터에 구비되는 도전성 입자에 있어서, 평평하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일면 및 타면을 갖는 도전성 입자 바디; 및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일단부가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일면과 같은 높이에 놓이고 타단부가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타면과 같은 높이에 놓이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와, 상기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홈을 갖는 톱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입자 돌기가 다른 도전성 입자의 도전성 입자 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톱니부가 다른 도전성 입자의 톱니부와 맞물려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도전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는 아치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톱니부는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 가장자리의 아치형 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톱니부는,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 1 톱니부와,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제 2 톱니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일단부에 아치형으로 구비되는 제 1 아치부와, 상기 중앙부의 타단부에 아치형으로 구비되는 제 2 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톱니부는 상기 제 1 아치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톱니부는 상기 제 2 아치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입자 돌기는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성 입자 홈은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전송 커넥터는, 전자부품에 접속하여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신호 전송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와 접속할 수 있도록 탄성 절연물질 내에 다수의 도전성 입자가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복수의 도전부; 및 탄성 절연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도전부 주위를 둘러싸서 상기 복수의 도전부를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입자는, 평평하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일면 및 타면을 갖는 도전성 입자 바디와,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일단부가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일면과 같은 높이에 놓이고 타단부가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타면과 같은 높이에 놓이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와, 상기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홈을 갖는 톱니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입자 돌기가 다른 도전성 입자의 도전성 입자 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톱니부가 다른 도전성 입자의 톱니부와 맞물려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도전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는 도전성 입자 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 및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홈을 포함하는 톱니부를 구비함으로써, 그 톱니부가 다른 도전성 입자의 톱니부와 맞물리도록 도전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전부 내에서 도전성 입자 간의 접점 면적이 증대되어 신호 전송 커넥터의 전기 전달 특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종래와 같이 도전성 입자 간의 불규칙적인 스크럽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쉽게 손상되지 않아 신호 전송 커넥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테스트용 소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커넥터와 이와 접속하는 전자부품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커넥터에 구비되는 도전성 입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커넥터의 도전부에서 도전성 입자가 배열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입자가 도전부에서 배열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 및 이를 갖는 신호 전송 커넥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커넥터와 이와 접속하는 전자부품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커넥터에 구비되는 도전성 입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커넥터(100)는 전자부품(30)에 접속하여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전자부품(30)의 단자(32)와 접속할 수 있는 복수의 도전부(110)와, 복수의 도전부(110) 주위를 둘러싸서 복수의 도전부(110)를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절연부(130)와, 절연부(130)와 결합되어 절연부(130)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신호 전송 커넥터(100)는 전자부품(30)에 접속하여 전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테스터를 통한 전자부품의 검사, 또는 전자부품과 다양한 전자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전부(110)는 전자부품(30)의 단자(32)와 접속할 수 있도록 탄성 절연물질 내에 다수의 도전성 입자(111)가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전부(110)는 복수 개가 접속 대상이 되는 전자부품(30)에 구비되는 단자(32)에 대응하도록 절연부(130)의 내측에 이격 배치된다.
도전부(110)를 구성하는 탄성 절연물질로는 가교 구조를 갖는 내열성의 고분자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폴리부타디엔 고무, 천연 고무, 폴리이소플렌 고무,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스틸렌-부타디엔-디엔 블럭 공중합체 고무, 스틸렌-이소플렌 블럭 공중합체 고무, 우레탄 고무, 폴리에스테르계 고무, 에피크롤히드린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고무, 연질 액상 에폭시 고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전부(110)를 구성하는 도전성 입자(111)는 도전성 입자 바디(112)와, 톱니부(117)를 포함하고, 자장에 의해 반응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입자로는 철, 니켈, 코발트 등의 자성을 나타내는 금속의 입자, 혹은 이들의 합금 입자, 또는 이들 금속을 함유하는 입자 또는 이들 입자를 코어 입자로 하고 그 코어 입자의 표면에 금, 은, 팔라듐, 라듐 등의 도전성이 양호한 금속이 도금된 것, 또는 비자성 금속 입자, 글래스 비드 등의 무기 물질 입자, 폴리머 입자를 코어 입자로 하고 그 코어 입자의 표면에 니켈 및 코발트 등의 도전성 자성체를 도금한 것, 또는 코어 입자에 도전성 자성체 및 도전성이 양호한 금속을 도금한 것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전성 입자(111)의 도전성 입자 바디(112)는 평평하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일면(113a) 및 타면(113b)을 갖는다. 도전성 입자 바디(112)는 도전부(110) 내에서 신호 전송 커넥터(100)의 두께 방향으로 길게 세워질 수 있도록 두께(t)보다 폭(w)이 크고, 폭(w)보다 길이(h)가 큰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도전성 입자 바디(112)는 그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아치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즉, 도전성 입자 바디(112)는 중앙부(113)와, 중앙부(113)의 일단부에 아치형으로 구비되는 제 1 아치부(114)와, 중앙부(113)의 타단부에 아치형으로 구비되는 제 2 아치부(115)를 포함한다. 제 1 아치부(114)와 제 2 아치부(115)는 중앙부(113)를 사이에 두고 대칭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입자(111)의 톱니부(117)는 도전성 입자 바디(112)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118)와,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118)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홈(119)을 포함한다.
도전성 입자 돌기(118)는 도전성 입자 바디(112)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되, 그 일단부가 도전성 입자 바디(112)의 일면(113a)과 같은 높이에 놓이고 그 타단부가 도전성 입자 바디(112)의 타면(113b)과 같은 높이에 놓인다. 또한, 도전성 입자 돌기(118)는 도전성 입자 바디(112)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도전성 입자 홈(119)은 이웃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도전성 입자 돌기(118) 사이에 도전성 입자 바디(112)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전성 입자 홈(119)에 도전성 입자 돌기(118)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도전성 입자 홈(119)의 폭은 도전성 입자 돌기(118)의 폭보다 크다.
톱니부(117)는 도전성 입자 바디(112)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 1 톱니부(121)와, 도전성 입자 바디(112)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제 2 톱니부(122)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톱니부(121)는 도전성 입자 바디(112)의 제 1 아치부(114)에 구비되고, 제 2 톱니부(122)는 도전성 입자 바디(112)의 제 2 아치부(115)에 구비된다. 제 1 톱니부(121)는 제 1 아치부(114)의 아치형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118)와,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118)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홈(119)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톱니부(122)는 제 2 아치부(115)의 아치형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118)와,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118)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홈(119)을 포함한다.
이러한 도전성 입자(111)는 도전성 입자 돌기(118)가 다른 도전성 입자(111)의 도전성 입자 홈(119)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톱니부(117)가 다른 도전성 입자의 톱니부(117)와 맞물리도록 도전부(110) 내에 배치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호 전송 커넥터(100)의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111)는 상하로 인접하는 것끼리 각각의 톱니부(117)가 상호 맞물림으로써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도전성 입자(111)는 그 제 1 톱니부(121)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다른 도전성 입자(111)의 제 2 톱니부(122)와 맞물리고, 그 제 2 톱니부(122)가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다른 도전성 입자(111)의 제 1 톱니부(121)와 맞물리게 된다.
도전부(110)를 구성하는 도전성 입자들(111)은 전자부품(30)의 단자(32)가 도전부(110)에 접촉하여 도전부(110)가 압축력을 받을 때 서로 접촉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전성 입자들(111)은 도전부(110) 내에서 접촉되어 있거나 또는 미세하게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며, 단자(32)가 도전부(110)에 접촉하여 도전부(110)가 압축되면 상호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신호 전송 커넥터(100)의 제조 시 다수의 도전성 입자(111)는 자기장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어 도전부(110)를 구성할 수 있다. 즉, 금형 내에 다수의 도전성 입자(111)가 함유된 액상의 탄성 절연물질을 주입하고 금형 내부에 자기장을 가하면 도전성 입자들(111)이 상대적으로 자기장이 강한 부위로 집중된다. 이때, 도전성 입자들(111)은 자기장의 영향으로 두께 방향으로 길게 세워지도록 정렬된다. 즉, 자기장이 작용할 때, 도전성 입자(111)는 자기장 방향으로 세워져 정렬된다.
도전성 입자(111)가 자기장 속에 놓일 때,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톱니부(117)에 자력이 생기게 되며, 톱니부(117)와 다른 도전성 입자(111)의 톱니부(117) 간에 인력이 작용함으로써, 상하로 인접하는 도전성 입자들(111)의 단부는 서로 도킹(docking)된다. 따라서, 도전성 입자들(111) 간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도전성 입자들(111)이 각각의 톱니부(117)가 서로 맞물리도록 원활하게 정렬될 수 있다.
더욱이, 제 1 톱니부(121) 또는 제 2 톱니부(122)를 구성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118)와 도전성 입자 홈(119)은 도전성 입자 바디(112)의 제 1 아치부(114) 또는 제 2 아치부(115) 각각의 아치형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므로, 하나의 도전성 입자(111)에 구비되는 제 1 톱니부(121) 또는 제 2 톱니부(122)는 복수의 다른 도전성 입자(111)의 톱니부(117)와 맞물릴 수 있다. 즉, 도전성 입자(111)는 그 상하측으로 이와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다른 도전성 입자(111)뿐만 아니라, 다소 기울어진 상태로 그 상하측에 배치되는 다른 도전성 입자(111)와도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입자(111)의 접점 면적이 증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더욱 안정적인 신호 전달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도전성 입자(111)는 이에 구비되는 톱니부(117)가 다른 도전성 입자의 톱니부(117)와 맞물리도록 도전부(110) 내에 배치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도전성 입자 간의 불규칙적인 스크럽 현상이 발생하거나, 도전성 입자 간의 불규칙적인 스크럽 현상에 의해 도전성 입자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도전성 입자의 도금층이 벗겨져 전기적 특성이 악화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절연부(130)는 탄성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부(130)는 복수의 도전부(110) 주위를 둘러싸서 복수의 도전부(110)를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한다. 절연부(130)를 구성하는 탄성 절연물질은 도전부(110)를 구성하는 탄성 절연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40)는 탄성력을 갖는 절연부(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쉽게 변형되지 않고, 그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정도의 강성을 갖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140)는 합성수지, 금속, 세라믹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40)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지지 플레이트(140)의 표면에 절연성 피막이 코팅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커넥터(100)는 도전부(110)를 형성하는 도전성 입자(111)가 도전성 입자 바디(112)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118) 및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118)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홈(119)을 포함하는 톱니부(117)를 구비하고, 다수의 도전성 입자(111)가 각각의 톱니부(117)가 서로 맞물리도록 도전부(110)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도전부(110) 내에서 도전성 입자(111) 간의 접점 면적이 커서 전기 전달 특성이 우수하고, 종래와 같이 도전성 입자(111) 간의 불규칙적인 스크럽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장시간 사용에도 양호한 신호 전송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입자가 도전부에서 배열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도전성 입자(151)는 도전성 입자 바디(152)와, 도전성 입자 바디(152)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톱니부(154)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전성 입자(151)는 복수 개가 상호 접촉하도록 연결되어 도전부(150)를 형성한다.
도전성 입자 바디(152)는 도전부(150) 내에서 두께 방향으로 길게 세워질 수 있도록 두께보다 폭이 크고, 평평하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양면을 갖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톱니부(154)는 도전성 입자 바디(152)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155)와,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155)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홈(156)을 포함한다.
도전성 입자 돌기(155)는 도전성 입자 바디(152)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되, 그 일단부가 도전성 입자 바디(152)의 일면과 같은 높이에 놓이고 그 타단부가 도전성 입자 바디(152)의 타면과 같은 높이에 놓인다. 또한, 도전성 입자 돌기(155)는 도전성 입자 바디(152)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도전성 입자 홈(156)은 이웃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도전성 입자 돌기(155) 사이에 도전성 입자 바디(152)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전성 입자 홈(156)에 다른 도전성 입자(151)의 도전성 입자 돌기(155)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도전성 입자 홈(156)의 폭은 도전성 입자 돌기(155)의 폭보다 크다.
이러한 도전성 입자(151)는 도전성 입자 돌기(155)가 다른 도전성 입자(151)의 도전성 입자 홈(156)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톱니부(154)가 다른 도전성 입자(151)의 톱니부(154)와 맞물리도록 도전부(150) 내에 배치된다. 도전부(150) 내에서 복수의 도전성 입자(151)는 상하로 인접하는 것끼리 각각의 톱니부(154)가 상호 맞물림으로써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입자(151)는 이에 구비되는 톱니부(154)가 다른 도전성 입자(151)의 톱니부(154)와 맞물리도록 도전부(150) 내에 배치됨으로써, 도전부(150) 내에서 도전성 입자(151) 간의 접점 면적이 커서 전기 전달 특성이 우수하고, 도전성 입자(151) 간의 불규칙적인 스크럽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수명이 길다.
특히, 도전성 입자(151)의 톱니부(154)는 원형의 도전성 입자 바디(152)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므로, 하나의 도전성 입자(151)는 이와 인접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전성 입자(151)는 그 상하측으로 이와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다른 도전성 입자(151)뿐만 아니라, 그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151)와도 맞물려 도전부(150) 내에서 더욱 확장된 전기 신호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7에 나타낸 도전성 입자(161)는 도전성 입자 바디(112)와, 톱니부(163)를 포함한다. 도전성 입자 바디(112)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으로 두께보다 폭이 크고, 폭보다 길이가 큰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도전성 입자 바디(112)는 중앙부(113)와, 중앙부(113)의 일단부에 아치형으로 구비되는 제 1 아치부(114)와, 중앙부(113)의 타단부에 아치형으로 구비되는 제 2 아치부(115)를 포함한다.
톱니부(163)는 도전성 입자 바디(112)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164)와,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164)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홈(165)을 포함한다. 도전성 입자 돌기(164)는 도전성 입자 바디(112)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져 끝단이 뾰족한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도전성 입자 홈(165)은 두 개의 도전성 입자 돌기(164) 사이에 도전성 입자 바디(112)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톱니부(163)는 도전성 입자 바디(112)의 제 1 아치부(114)에 구비되는 제 1 톱니부(167)와, 도전성 입자 바디(112)의 제 2 아치부(115)에 구비되는 제 2 톱니부(168)로 구분된다.
이러한 도전성 입자(161) 역시, 도전성 입자 돌기(164)가 다른 도전성 입자(161)의 도전성 입자 홈(165)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톱니부(163)가 다른 도전성 입자(161)의 톱니부(163)와 맞물리도록 다른 도전성 입자(161)와 연결되어 신호 전송 특정이 우수한 도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톱니부(163)가 도전성 입자 바디(112) 가장자리의 아치형 곡면에 마련되므로, 복수의 도전성 입자(161)와 맞물려 도전부 내에서 확장된 전기 신호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도전성 입자(171)는 도전성 입자 바디(152)와, 도전성 입자 바디(152)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톱니부(173)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전성 입자(171)는 복수 개가 상호 접촉하도록 연결되어 도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전성 입자 바디(152)는 도 6에 나타낸 도전성 입자(151)와 같이 평평하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양면을 갖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톱니부(173)는 도전성 입자 바디(152)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174)와,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174)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홈(175)을 포함한다. 도전성 입자 돌기(174)는 도전성 입자 바디(152)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되, 도전성 입자 바디(152)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져 끝단이 뾰족한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도전성 입자 홈(175)은 두 개의 도전성 입자 돌기(174) 사이에 도전성 입자 바디(152)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도전성 입자(171) 역시, 도전성 입자 돌기(174)가 다른 도전성 입자(171)의 도전성 입자 홈(175)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톱니부(173)가 다른 도전성 입자(171)의 톱니부(173)와 맞물리도록 다른 도전성 입자(171)와 연결되어 신호 전송 특정이 우수한 도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톱니부(173)가 원형의 도전성 입자 바디(152) 가장자리에 마련되므로, 도전성 입자(171)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171)와 맞물려 도전부 내에서 확장된 전기 신호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서서는 도전성 입자의 도전성 입자 바디가 두께보다 폭이 크고, 폭보다 길이가 큰 평판형 모양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전성 입자 바디는 평판형 이외에, 블록 모양 등 상호 평행한 양면을 갖는 다양한 다른 모양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성 입자 바디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전성 입자의 도전성 입자 돌기가 도전성 입자 바디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감소하는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도전성 입자 홈이 도전성 입자 바디에 가까워질 수 있도록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도전성 입자 돌기나 도전성 입자 홈의 형상은 그 이외의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전자부품에 접속하여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도전부가 탄성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절연부에 의해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되는 신호 전송 커넥터에 구비되는 도전성 입자에 있어서,
    평평하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일면 및 타면을 갖는 도전성 입자 바디; 및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일단부가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일면과 같은 높이에 놓이고 타단부가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타면과 같은 높이에 놓이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와, 상기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홈을 갖는 톱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입자 돌기가 다른 도전성 입자의 도전성 입자 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톱니부가 다른 도전성 입자의 톱니부와 맞물려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도전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는 아치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톱니부는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 가장자리의 아치형 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는,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 1 톱니부와,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제 2 톱니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일단부에 아치형으로 구비되는 제 1 아치부와,
    상기 중앙부의 타단부에 아치형으로 구비되는 제 2 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톱니부는 상기 제 1 아치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톱니부는 상기 제 2 아치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입자 돌기는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성 입자 홈은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입자.
  7. 전자부품에 접속하여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신호 전송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와 접속할 수 있도록 탄성 절연물질 내에 다수의 도전성 입자가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복수의 도전부; 및
    탄성 절연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도전부 주위를 둘러싸서 상기 복수의 도전부를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입자는,
    평평하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일면 및 타면을 갖는 도전성 입자 바디와,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일단부가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일면과 같은 높이에 놓이고 타단부가 상기 도전성 입자 바디의 타면과 같은 높이에 놓이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와, 상기 복수의 도전성 입자 돌기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홈을 갖는 톱니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입자 돌기가 다른 도전성 입자의 도전성 입자 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톱니부가 다른 도전성 입자의 톱니부와 맞물려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도전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커넥터.
PCT/KR2019/014008 2018-11-06 2019-10-23 도전성 입자 및 이를 갖는 신호 전송 커넥터 WO2020096238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89,023 US11763959B2 (en) 2018-11-06 2019-10-23 Electroconductive particles and signal-transmitting connector having same
CN201980069585.3A CN112930574B (zh) 2018-11-06 2019-10-23 导电性粒子及具有其的信号传输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086 2018-11-06
KR1020180135086A KR102444643B1 (ko) 2018-11-06 2018-11-06 도전성 입자 및 이를 갖는 신호 전송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6238A1 true WO2020096238A1 (ko) 2020-05-14

Family

ID=7061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4008 WO2020096238A1 (ko) 2018-11-06 2019-10-23 도전성 입자 및 이를 갖는 신호 전송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63959B2 (ko)
KR (1) KR102444643B1 (ko)
CN (1) CN112930574B (ko)
WO (1) WO2020096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484A1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스노우 도전성 입자 및 이를 갖는 검사용 소켓
KR102474337B1 (ko) * 2020-08-28 2022-12-0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접속용 커넥터
KR20240051450A (ko) * 2022-10-13 2024-04-22 (주)포인트엔지니어링 마이크로 금속 성형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340B1 (ko) * 2014-12-26 2016-01-18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적 검사 소켓 및 전기적 검사 소켓용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
KR20160046621A (ko) * 2014-10-21 2016-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칩 패키지 테스트용 테스트 소켓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196093A1 (ko) * 2016-05-11 2017-11-1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용 소켓 및 도전성 입자
KR20180051174A (ko) * 2016-11-08 2018-05-16 주식회사 대성엔지니어링 테스트 소켓
KR101901982B1 (ko) * 2017-07-19 2018-09-2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용 소켓 및 도전성 입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66B1 (ko) * 2012-06-18 2013-12-09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관통공이 형성된 도전성 입자를 가지는 검사용 소켓 및 그 제조방법
KR101525520B1 (ko) 2015-02-03 2015-06-03 (주)티에스이 결합 형상의 도전성 입자를 가지는 검사용 소켓
KR101769882B1 (ko) * 2016-02-15 2017-09-05 (주)티에스이 검사용 소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621A (ko) * 2014-10-21 2016-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칩 패키지 테스트용 테스트 소켓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86340B1 (ko) * 2014-12-26 2016-01-18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적 검사 소켓 및 전기적 검사 소켓용 도전성 입자의 제조방법
WO2017196093A1 (ko) * 2016-05-11 2017-11-1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용 소켓 및 도전성 입자
KR20180051174A (ko) * 2016-11-08 2018-05-16 주식회사 대성엔지니어링 테스트 소켓
KR101901982B1 (ko) * 2017-07-19 2018-09-2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용 소켓 및 도전성 입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63959B2 (en) 2023-09-19
KR102444643B1 (ko) 2022-09-19
US20220005626A1 (en) 2022-01-06
CN112930574B (zh) 2022-09-13
KR20200052025A (ko) 2020-05-14
CN112930574A (zh)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96238A1 (ko) 도전성 입자 및 이를 갖는 신호 전송 커넥터
WO2014129784A1 (ko) 고밀도 도전부를 가지는 테스트용 소켓
JP4240724B2 (ja) 異方導電性シートおよびコネクター
WO2011149203A2 (ko) 스프링 콘택트 구조
WO2016126024A1 (ko) 결합 형상의 도전성 입자를 가지는 검사용 소켓
WO2013151316A1 (ko) 고밀도 도전부를 가지는 테스트용 소켓 및 그 제조방법
WO2015012498A1 (ko) 도전성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WO2021137527A1 (ko) 테스트 소켓 조립체
WO2017023037A1 (ko) 테스트용 소켓
WO2019168251A1 (ko) 이동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한 테스트 소켓 및 그 테스트 소켓을 포함한 테스트 장치
US20040051541A1 (en) Contact structure with flexible cable and probe contact assembly using same
KR20070100935A (ko) 이방 도전성 커넥터 및 회로 장치의 전기적 검사 장치
WO2014204161A2 (ko) 검사용 인서트
WO2018221886A1 (ko) 수직형 프로브핀 및 이를 구비한 프로브핀 조립체
WO2014104782A1 (ko) 테스트 소켓 및 소켓본체
WO2018128361A1 (ko) Dc 패러미터 테스트를 위한 수직형 울트라-로우 리키지 프로브 카드
JP4415968B2 (ja) 異方導電性シートおよびコネクター並びに異方導電性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3100560A1 (ko) 전기적 콘택터 및 전기적 콘택터의 제조방법
WO2011162430A1 (ko) 핸들러용 인서트
JP2004335450A (ja) 異方導電性コネクターおよび回路装置の電気的検査装置
KR20130023819A (ko) 테스트 소켓
WO2023080533A1 (ko) 테스트 소켓
WO2020230945A1 (ko) 스프링 콘택트 및 스프링 콘택트 내장 소켓
WO2016167412A1 (ko) 고주파 디바이스 테스트용 양방향 도전성 소켓, 고주파 디바이스 테스트용 양방향 도전성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45577A1 (ko) 신호 전송 커넥터용 도전부 보호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갖는 신호 전송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810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810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