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91305A1 - 안정성이 우수한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정성이 우수한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91305A1
WO2020091305A1 PCT/KR2019/014043 KR2019014043W WO2020091305A1 WO 2020091305 A1 WO2020091305 A1 WO 2020091305A1 KR 2019014043 W KR2019014043 W KR 2019014043W WO 2020091305 A1 WO2020091305 A1 WO 202009130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oil
seed oil
cosmetic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40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러브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러브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러브바드
Publication of WO202009130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913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5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stabili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it is sensitive to the temperature of the skin, so it is easily applied, improved on the hands or sticky, and melts at room temperature or is not easily broken by external shock.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 cosmetic having a solid dosage form has excellent adhesion, has excellent ability to cover skin defects, and has excellent color expression, so it is used as various types of cosmetics such as foundation, two-way cake, lipstick, and shadow. have.
  • Such a solid cosmetic is prepared by mixing various types of powders for expressing color while simultaneously covering the underlying wax and oil and skin defects.
  •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98941 disclos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wax, a pigment, and a volatile oil having a melting point of 60 to 100 °C, but is simply a mixture of wax and volatile oil in the form of a mixture by temperature and stimul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ormulation was unstable because each component was separated. In addition, excessive wax is introduced to improve the melting poi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lossiness is lowered and the spreadability is lowered.
  • the above-mentioned solid cosmetic is mainly used for color cosmetics or sunscreens, and cosmetics containing skin-effective ingredients have a narrow range of desirable melting points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solid formulation while containing skin-effective ingredients. It is not being utiliz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solid cosmetic product comprising the solid cosmetic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nflower seed oil (helianthus annuus seed oil), beads wax (beeswax), phytosteryl / isostearyl / cetyl / stearyl / behenyl dimer dilinolinate (phytosteryl / isostearyl / It provides a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etyl / stearyl / behenyl dimer dilinoleate, sorbitan olivate, and cetearyl ethylhexanoat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sunflower seed oil (helianthus annuus seed oil) 40 to 55% by weight, beads wax (beeswax) 16 to 22% by weight, phytosteryl / isostearyl / cetyl / ste 1 to 5% by weight of aryl / behenyl dimer dilinoleate (phytosteryl / isostearyl / cetyl / stearyl / behenyl dimer dilinoleate), 0.5 to 3.5% by weight of sorbitan olivate and cetearyl ethylhexanoate ) 0.5 to 3% by weight.
  • sunflower seed oil helianthus annuus seed oil
  • beads wax beeswax
  • phytosteryl / isostearyl / cetyl / ste 1 to 5% by weight of aryl / behenyl dimer dilinoleate phytosteryl / i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ctyldodecanol (octyldodecanol), shea butter (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sweet almond oil (prunus amygdalus dulcis (sweet almond) oil), stearyl heptanoate (stearyl heptanoate), tocopheryl Acetic acid (tocopheryl acetate), trihydroxystearin (trihydroxystearin), glyceryl caprylate (glyceryl caprylate) and alpha-bisabolol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 polyethylene (polyethylene),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olive oil (olea europaea (olive) fruit oil ), coconut palm oil (cocos nucifera (coconut) oil), sweet almond oil (prunus amygdalus dulcis (sweet almond) oil), shea butter (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silica silylate, safflower seed oil (carthamus tinctorius (safflower) seed oil), tocopheryl acetate, camellia sinensis seed oil, camellia japonica seed oil, argania spinosa kernel oil, queensland Nut oil (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jojoba seed oil (simmondsia chinensis (jojoba)
  • the solid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ardness of 45 to 65gf.
  • the present invention also, sunflower seed oil (helianthus annuus seed oil), beads wax (beeswax), phytosteryl / isostearyl / cetyl / stearyl / behenyl dimer dilinoleate (phytosteryl / isostearyl / cetyl / stearyl / behenyl) melting and mixing a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dimer dilinoleate, sorbitan olivate and cetearyl ethylhexanoate at 80 to 85 ° C; And curing the mixture at 15 to 20 ° C for 50 to 60 minutes.
  • sunflower seed oil helianthus annuus seed oil
  • beads wax beeswax
  • phytosteryl / isostearyl / cetyl / stearyl / behenyl dimer dilinoleate phytosteryl / isostearyl / cetyl / stearyl / behen
  • the soli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a stick form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because it can be applied evenly without the need of a user tapping or rubbing it on a desired part.
  •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skin can be effectively delivered to the skin, and the skin has excellent spreadability and no greasy or sticky feeling.
  • the solid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being excellent in stability without blending or breaking the formulation while being safe to the skin and having excellent skin applicability by mixing more than 97% of natural ingredients.
  • Figure 1 (a) is an image comparing the appearance of the solid stick-type cosmetic product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 Figure 1 (b) is an image comparing the appearance of the state of pushing the solid stick-type cosmetic product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 Figure 2 (a) shows the state after applying the solid stick cosmetic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3 to the skin.
  • Figure 2 (b) is an image comparing the appearance of the cosmetic after applying the solid stick cosmetic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4 to the skin.
  • Example 3 is an image comparing the appearance of the stick-shaped cosmetic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5 and 6.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spreadability, improved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and containing skin-effective ingredients.
  • the solid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natural derived ingredients in an amount of 97% or more to be safe for the skin and excellent in skin applicability.
  • the solid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nflower seed oil (helianthus annuus seed oil), beads wax (beeswax), phytosteryl / isostearyl / cetyl / stearyl / behenyl dimer dilinoleate (phytosteryl / isostearyl / cetyl / stearyl / behenyl dimer dilinoleate), sorbitan olivate and cetearyl ethylhexanoate.
  • the composition is 40 to 55% by weight of sunflower seed oil (helianthus annuus seed oil) based on the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beeswax (beeswax) 16 to 22% by weight, phytosteryl / isostearyl / cetyl / stearyl / beta 1 to 5% by weight of henyl dimer dilinoleate (phytosteryl / isostearyl / cetyl / stearyl / behenyl dimer dilinoleate), 0.5 to 3.5% by weight of sorbitan olivate and 0.5 to 3.5% by weight of cetearyl ethylhexanoate It is preferred to include 3% by weight.
  • the solid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as a solid cosmetic product that maintains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even if it contains skin efficacy ingredients when mixed at the compositional ratio as described above, has no cracking in external impact, has good spreadability and has no stickiness.
  • the sunflower seed oil is an oil extracted from sunflower seeds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vitamins A and E, and is known to have a good moisturizing effect and to prevent skin aging.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ntains 40 to 55% by weight of the sunflower seed oil, more preferably 45 to 53%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the beads wax (beeswax) is an animal solid wax collected from a honeycomb by a heat pressing method, a solvent extraction method, etc., and the main components are palmitic acid ester and seric acid of melicyl alcohol.
  • the beads wax is preferably contained in 16 to 22% by weight relative to the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the phytosteryl / isostearyl / cetyl / stearyl / behenyl dimer dilinoleate may be used in an amount of 1 to 5% by weight as a skin conditioning agent and thickener.
  • the sorbitan olivate (sorbitan olivate) is a vegetable sugar produced by the ester reaction of sorbitol and olive oil fatty acids, preferably 0.5 to 3.5% by weight.
  • cetearyl ethylhexanoate preferably contains 0.5 to 3% by weight relative to the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 additional additives depending on the type of functional component.
  • the additive may be contained in 11.5 to 42%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is to provide a whitening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octyldodecanol (octyldodecanol), shea butter (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sweet almond oil (prunus amygdalus dulcis (sweet almond) ) oil), a group consisting of stearyl heptanoate, tocopheryl acetate, trihydroxystearin, glyceryl caprylate and alpha-bisabolol It may include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 the octyldodecanol is a skin softener and a solvent, and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to 16%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the shea butter can be used as a skin conditioning agent, moisture barrier, thickener, and the like, and is preferably contained in 3 to 7% by weight.
  • the sweet almond oil is used as a fragrance and water vapor evaporation group, preferably 1 to 5% by weight.
  • additives are preferably used within the range of 0.1 to 3% by weight, respectively.
  • the composition may provide a resilient functional cosmetic, for which the additive is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 polyethylene, methyl methacryl Late cross polymer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olive oil (olea europaea (olive) fruit oil), coconut palm oil (cocos nucifera (coconut) oil), sweet almond oil (prunus amygdalus dulcis (sweet almond) oil), shea butter ( 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silica silylate, carthamus tinctorius (safflower) seed oil, tocopheryl acetate, green tea seed oil (camellia sinensis seed oil), camellia seed Oil (camellia japonica seed oil), argania spinosa kernel oil, queensland nut oil (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jojoba seed oil (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 the additive is capry
  • the solid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 preferably having a hardness of 45 to 65gf when considering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preadability and stickiness.
  • Solid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elting and mixing the components at 80 to 85 °C; And curing the mixture at 15 to 20 ° C for 50 to 60 minutes.
  • the temperature exceeds 90 ° C in the mixing step, it is preferable to melt-mix in the range of 80 to 85 ° C because denaturation of components occurs.
  • the step of solidifying by curing at 15 to 20 ° C is important. If the curing is too short, a problem of easily breaking the solid phase may occur when used. Therefore, the curing is preferably performed for 50 to 60 minutes.
  • the molten mixture was filled in a stick container and then cooled at 18 ° C. for 60 minutes to prepare a solid stick cosmetic composition.
  • Example 1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used as it is, and the mixture was dissolved at 90 ° C to prepare a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mparative Example 5), and was rested at 10 ° C for 30 minutes to prepare a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mparative Example 6).
  • the solid stick of Example 1 has a smooth cross-section and is stab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but the solid stick of Comparative Example 1 has a smooth surface and a gap is formed in the rim, thereby showing an unstable formulation. .
  • the solid stick prepa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of an even and smooth surface without lifting, but the stick of Comparative Example 5 in which the melting temperature was set high and the stick of Comparative Example 6 in which tissue paper was performed at a low temperature for a short time are It can be seen that the edge portion is lifted or an oil band is form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형으로 제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손으로 두드리거나 문질러 바를 필요없이 고르게 도포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온도에 감응하여 피부로 녹아 드는 제형으로서 피부 유효 성분이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피부에 발림성이 우수하고 번들거림이나 끈적거림이 없다. 본 발명의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유래 성분을 97% 이상으로 배합하여 피부에 안전하고 피부 적용성이 뛰어나면서도, 제형이 흘러내리거나 깨어짐이 없이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정성이 우수한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안정성이 우수한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의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쉽게 발리고 손에 묻거나 끈적거림이 개선되며 실온에서 녹거나 외부 충격에 쉽게 깨어지지 않는 안정성이 향상된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형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는 밀착감이 우수하며, 피부의 결점을 커버하는 능력이 뛰어날 뿐 아니라, 색감의 표현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파운데이션, 투웨이 케이크, 립스틱, 쉐도우 등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형 화장료는 바탕이 되는 왁스 및 오일과 피부의 결점을 커버하면서 동시에 색감 표현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분체가 혼합됨으로써 제조된다.
한편, 이러한 고형 화장료에 주재료로 사용되는 왁스는 대부분 상온에서는 고체 상태로 유지되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융해되어 액상으로 변화됨에 따라, 고형 화장료의 제형이 안정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5164호에서는 왁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커버력이 높고 도포하는 힘에 의해 고체에서 젤 상태로 변화되어 보다 매끄러운 발림성을 갖는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왁스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과도한 오일이 사용되어 화장료의 제형이 무르고 피부에 도포 시 번들거림이 심하며 쉽게 지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오일에 의한 발한(Sweating) 현상이 나타나며 융점이 낮아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형이 물러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융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왁스와 오일을 동시에 사용하면서도 제형이 안정하고 번들거림이 적으며 광택감이 우수한 화장료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8941호와 같이 오일과 왁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화장료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8941호에서는 60 내지 100℃의 융점을 갖는 왁스, 색소, 휘발성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단순히 왁스와 휘발성 오일이 혼합된 혼합물 형태로서 온도 및 자극에 의해 각 성분들이 분리되어 제형이 불안정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융점 향상을 위해 과도하게 왁스가 투입되어 광택감이 저하되고 발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고형 화장료는 주로 색조 화장품이나 자외선 차단제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피부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으로는 바람직한 융점 범위가 협소하고 피부 효능 성분을 함유하면서 고체 제형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 아직까지 활용되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림성이 우수하고 제형의 안정성이 향상되며, 피부 효능 성분을 함유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바라기씨 오일(helianthus annuus seed oil), 비즈왁스(beeswax),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phytosteryl/isostearyl/cetyl/stearyl/behenyl dimer dilinoleate),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및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cetearyl ethylhexanoate)을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해바라기씨 오일(helianthus annuus seed oil) 40 내지 55중량%, 비즈왁스(beeswax) 16 내지 22중량%,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phytosteryl/isostearyl/cetyl/stearyl/behenyl dimer dilinoleate) 1 내지 5중량%,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0.5 내지 3.5중량% 및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cetearyl ethylhexanoate) 0.5 내지 3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l), 시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스위트아몬드오일(prunus amygdalus dulcis (sweet almond) oil),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stearyl heptanoate),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트라이하이드록시스테아린(trihydroxystearin),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및 알파-비사보롤(bisabolol)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올리브오일(olea europaea (olive) fruit oil), 코코넛야자오일(cocos nucifera (coconut) oil), 스위트아몬드오일(prunus amygdalus dulcis (sweet almond) oil), 시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실리카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 잇꽃씨오일(carthamus tinctorius (safflower) seed oil),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녹차씨오일(camellia sinensis seed oil), 동백나무씨오일(camellia japonica seed oil), 아르간커넬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퀸즈랜드넛오일(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마카다미아씨오일(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메도우폼씨오일(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 아보카도오일(persea gratissima (avocado) oil), 모나스커스추출물(monascus extract), 레몬밤잎추출물(melissa officinalis leaf extract), 오레가노꽃/잎/줄기추출물(origanum vulgare flower/leaf/stem extract), 라벤더추출물(lavandula angustifolia (lavender) extract), 애플민트잎추출물(mentha rotundifolia leaf extract), 로즈마리추출물(rosmarinus officinalis (rosemary) extract), 마카뿌리추출물(lepidium meyenii root extract), 바질잎추출물(ocimum basilicum (basil) leaf extract), 스피어민트추출물(mentha viridis (spearmint) extract), 쑥국화추출물(tanacetum vulgare extract), 타라곤잎/줄기추출물(artemisia dracunculus (tarragon) leaf/stem extract), 타임추출물(thymus vulgaris (thyme) extract), 지모뿌리추출물(anemarrhena asphodeloides root extract), 서양산딸기잎추출물(rubus fruticosus (blackberry) leaf extract), 샤프란꽃추출물(crocus sativus flower extract),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알파-비사보롤(bisabolol),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판테놀(panthenol), 정제수(water), 말토텍스트린(maltodextrin),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5(palmitoyl tripeptide-5) 및 향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경도가 45 내지 65gf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해바라기씨 오일(helianthus annuus seed oil), 비즈왁스(beeswax),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phytosteryl/isostearyl/cetyl/stearyl/behenyl dimer dilinoleate),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및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cetearyl ethylhexanoate)을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80 내지 85℃에서 용융시키고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15 내지 20℃에서 50 내지 60분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형으로 제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손으로 두드리거나 문질러 바를 필요없이 고르게 도포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온도에 감응하여 피부로 녹아 드는 제형으로서 피부 유효 성분이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피부에 발림성이 우수하고 번들거림이나 끈적거림이 없다. 본 발명의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유래 성분을 97% 이상으로 배합하여 피부에 안전하고 피부 적용성이 뛰어나면서도, 제형이 흘러내리거나 깨어짐이 없이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고체 스틱형 화장료 제품의 외형을 비교한 이미지이다.
도 1(b)는 실시예 1과 비교예 2의 고체 스틱형 화장료 제품을 밀어올린 상태의 외형을 비교한 이미지이다.
도 2(a)는 실시예 1과 비교예 3의 고체 스틱 화장품을 피부에 바른 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b)는 실시예 1과 비교예 4의 고체 스틱 화장품을 피부에 바른 후의 화장품의 외형을 비교한 이미지이다.
도 3은 실시예 1과 비교예 5 및 6의 스틱형 화장품의 외형을 비교한 이미지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발림성이 우수하고 제형의 안정성이 향상되며, 피부 효능 성분을 함유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유래 성분을 97% 이상으로 배합하여 피부에 안전하고 피부 적용성이 뛰어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해바라기씨 오일(helianthus annuus seed oil), 비즈왁스(beeswax),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phytosteryl/isostearyl/cetyl/stearyl/behenyl dimer dilinoleate),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및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cetearyl ethylhexanoate)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해바라기씨 오일(helianthus annuus seed oil) 40 내지 55중량%, 비즈왁스(beeswax) 16 내지 22중량%,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phytosteryl/isostearyl/cetyl/stearyl/behenyl dimer dilinoleate) 1 내지 5중량%,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0.5 내지 3.5중량% 및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cetearyl ethylhexanoate) 0.5 내지 3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조성비로 혼합되는 경우 피부 효능 성분을 함유하더라도 제형의 안정성이 유지되고 외부 충격에 깨어짐이 없으며 발림성이 좋고 끈적거림이 없는 고체형 화장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해바라기씨 오일은 해바라기 씨앗에서 채취한 오일로 비타민 A와 E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보습효과가 좋고 피부노화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해바라기씨 오일을 전체 조성물 중 40 내지 55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45 내지 53중량%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비즈왁스(beeswax)는 벌집에서 가열압착법·용제추출법 등에 의해 채취하는 동물성 고체 왁스로서 주성분은 멜리실알코올의 팔미트산 에스터와 세로트산이다. 상기 비즈왁스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16 내지 22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phytosteryl/isostearyl/cetyl/stearyl/behenyl dimer dilinoleate)는 피부컨디셔닝제 및 점증제로서 1 내지 5중량%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는 소르비톨과 올리브 오일 지방산의 에스테르 반응으로 만들어지는 식물성 당으로서, 0.5 내지 3.5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cetearyl ethylhexanoate)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능성 성분의 종류에 따라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11.5 내지 42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백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l), 시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스위트아몬드오일(prunus amygdalus dulcis (sweet almond) oil),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stearyl heptanoate),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트라이하이드록시스테아린(trihydroxystearin),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및 알파-비사보롤(bisabolol)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옥틸도데칸올은 피부유연화제 및 용제로서,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6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어버터는 피부 컨디셔닝제, 수분차단제, 점증제 등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3 내지 7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트아몬드오일은 향료 및 수분증발차단체로서 사용되며, 1 내지 5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첨가제들은 각각 0.1 내지 3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탄력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첨가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올리브오일(olea europaea (olive) fruit oil), 코코넛야자오일(cocos nucifera (coconut) oil), 스위트아몬드오일(prunus amygdalus dulcis (sweet almond) oil), 시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실리카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 잇꽃씨오일(carthamus tinctorius (safflower) seed oil),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녹차씨오일(camellia sinensis seed oil), 동백나무씨오일(camellia japonica seed oil), 아르간커넬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퀸즈랜드넛오일(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마카다미아씨오일(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메도우폼씨오일(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 아보카도오일(persea gratissima (avocado) oil), 모나스커스추출물(monascus extract), 레몬밤잎추출물(melissa officinalis leaf extract), 오레가노꽃/잎/줄기추출물(origanum vulgare flower/leaf/stem extract), 라벤더추출물(lavandula angustifolia (lavender) extract), 애플민트잎추출물(mentha rotundifolia leaf extract), 로즈마리추출물(rosmarinus officinalis (rosemary) extract), 마카뿌리추출물(lepidium meyenii root extract), 바질잎추출물(ocimum basilicum (basil) leaf extract), 스피어민트추출물(mentha viridis (spearmint) extract), 쑥국화추출물(tanacetum vulgare extract), 타라곤잎/줄기추출물(artemisia dracunculus (tarragon) leaf/stem extract), 타임추출물(thymus vulgaris (thyme) extract), 지모뿌리추출물(anemarrhena asphodeloides root extract), 서양산딸기잎추출물(rubus fruticosus (blackberry) leaf extract), 샤프란꽃추출물(crocus sativus flower extract),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알파-비사보롤(bisabolol),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판테놀(panthenol), 정제수(water), 말토텍스트린(maltodextrin),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5(palmitoyl tripeptide-5) 및 향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45 내지 65gf의 경도를 갖는 것이 발림성과 끈적거림 등의 물성을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을 80 내지 85℃에서 용융시키고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15 내지 20℃에서 50 내지 60분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혼합 단계에서 온도가 90℃를 넘게 되면 성분들의 변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80 내지 85℃의 범위에서 용융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성분들의 용융 혼합 이후에, 15 내지 20℃에서 경화시켜 고체화를 하는 단계가 중요한데, 상기 경화를 너무 짧게 시키면 사용시 고체상이 쉽게 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화는 50 내지 60분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고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
메인믹서 탱크에 하기 표 1의 성분을 혼합하고 83℃로 가열하여 액체화시킨 후 교반하였다.
용융된 혼합물을 스틱 용기에 충진한 다음 18℃에서 60분간 냉각시켜 고체 스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해바라기씨오일 48.80 38.00 57.00 38.5 48.00
비즈왁스 19.00 30.00 10.00 22 14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3.70 3.50 6.00 5.00 5.00
솔비탄올리베이트 2.00 2.00 1.00 4.50 7.00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1.50 1.50 1.00 5.00 1.00
옥틸도데칸올 13.00 13.00 13.00 13.00 13.00
시어버터 5.00 5.00 5.00 5.00 5.00
스위트아몬드오일 3.00 3.00 3.00 3.00 3.00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1.50 1.50 1.50 1.50 1.5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50 0.50 0.50 0.50 0.50
트라이하이드록시스테아린 0.80 0.80 0.80 0.80 0.80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70 0.70 0.70 0.70 0.70
알파-비사보롤 0.50 0.50 0.50 0.50 0.50
(중량%)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또한,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하되, 혼합물의 용해를 90℃에서 수행하여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비교예 5), 10℃에서 30분만 휴지시켜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비교예 6).
실험예: 고형 화장료 조성물 물성 시험
도 1(a) 및 (b)는 각각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2의 고체 스틱형 화장료 제품의 외형을 비교한 이미지이다.
도 1(a)에서, 실시예 1의 고체 스틱은 매끄러운 단면을 가지며 용기 내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았으나, 비교예 1의 고체 스틱은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테두리에 틈이 형성되어 제형이 불안정한 모습을 나타내었다.
도 1(b)에서 고체 스틱을 밀어내었을 때, 실시예 1의 스틱은 깔끔한 단면이 그대로 위로 올라와서 제형이 안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2의 스틱은 제형이 무르고 표면이 매끄럽지 않으며 형상이 무너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a) 및 (b)는 고체 스틱 화장품을 피부에 바른 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a)에서 실시예 1의 고체 스틱은 피부에 균일하게 발라지며 번들거리지 않고 끈적거림이 없다.
반면, 비교예 3의 고체 스틱은 바르는 과정에서 덩어리가 묻어나와 제형이 무너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스틱의 테두리부가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부서진 것을 알 수 있다.
도 2(b)에서 해바라기씨유를 과량 사용하고 비즈 왁스를 소량 사용하였으며, 솔비탄올리베이트를 과량 사용한 비교예 4의 고체 스틱은 1회 사용으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형상이 완전히 무너진 것이 확인된다.
제조 방법에 따른 고체 스틱의 외형을 비교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고체 스틱은 들뜸이 없이 고르고 매끈한 면으로 제조되었으나, 용융 온도를 높게 설정한 비교예 5의 스틱 및 휴지를 낮은 온도에서 짧은 시간 실시한 비교예 6의 스틱은 테두리부가 들뜨거나 오일띠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해바라기씨 오일(helianthus annuus seed oil), 비즈왁스(beeswax),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phytosteryl/isostearyl/cetyl/stearyl/behenyl dimer dilinoleate),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및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cetearyl ethylhexanoate)을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해바라기씨 오일(helianthus annuus seed oil) 40 내지 55중량%, 비즈왁스(beeswax) 16 내지 22중량%,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phytosteryl/isostearyl/cetyl/stearyl/behenyl dimer dilinoleate) 1 내지 5중량%,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0.5 내지 3.5중량% 및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cetearyl ethylhexanoate) 0.5 내지 3중량%을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l), 시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스위트아몬드오일(prunus amygdalus dulcis (sweet almond) oil),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stearyl heptanoate),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트라이하이드록시스테아린(trihydroxystearin),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및 알파-비사보롤(bisabolol)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올리브오일(olea europaea (olive) fruit oil), 코코넛야자오일(cocos nucifera (coconut) oil), 스위트아몬드오일(prunus amygdalus dulcis (sweet almond) oil), 시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실리카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 잇꽃씨오일(carthamus tinctorius (safflower) seed oil),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녹차씨오일(camellia sinensis seed oil), 동백나무씨오일(camellia japonica seed oil), 아르간커넬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퀸즈랜드넛오일(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마카다미아씨오일(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메도우폼씨오일(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 아보카도오일(persea gratissima (avocado) oil), 모나스커스추출물(monascus extract), 레몬밤잎추출물(melissa officinalis leaf extract), 오레가노꽃/잎/줄기추출물(origanum vulgare flower/leaf/stem extract), 라벤더추출물(lavandula angustifolia (lavender) extract), 애플민트잎추출물(mentha rotundifolia leaf extract), 로즈마리추출물(rosmarinus officinalis (rosemary) extract), 마카뿌리추출물(lepidium meyenii root extract), 바질잎추출물(ocimum basilicum (basil) leaf extract), 스피어민트추출물(mentha viridis (spearmint) extract), 쑥국화추출물(tanacetum vulgare extract), 타라곤잎/줄기추출물(artemisia dracunculus (tarragon) leaf/stem extract), 타임추출물(thymus vulgaris (thyme) extract), 지모뿌리추출물(anemarrhena asphodeloides root extract), 서양산딸기잎추출물(rubus fruticosus (blackberry) leaf extract), 샤프란꽃추출물(crocus sativus flower extract),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알파-비사보롤(bisabolol),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판테놀(panthenol), 정제수(water), 말토텍스트린(maltodextrin),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5(palmitoyl tripeptide-5) 및 향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가 45 내지 65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6. 해바라기씨 오일(helianthus annuus seed oil), 비즈왁스(beeswax),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phytosteryl/isostearyl/cetyl/stearyl/behenyl dimer dilinoleate),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및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cetearyl ethylhexanoate)을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80 내지 85℃에서 용융시키고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15 내지 20℃에서 50 내지 60분간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제품의 제조방법.
PCT/KR2019/014043 2018-10-29 2019-10-24 안정성이 우수한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9130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16 2018-10-29
KR1020180129916A KR102159744B1 (ko) 2018-10-29 2018-10-29 안정성이 우수한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1305A1 true WO2020091305A1 (ko) 2020-05-07

Family

ID=7046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4043 WO2020091305A1 (ko) 2018-10-29 2019-10-24 안정성이 우수한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9744B1 (ko)
WO (1) WO20200913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3810A (zh) * 2021-09-16 2023-03-21 科丝美诗株式会社 包含粉体的棒状油分散化妆品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058B1 (ko) * 2020-09-29 2022-11-30 주식회사 맥클린코스메틱 식물성 오일을 함유한 클렌징 밤
KR102404483B1 (ko) * 2021-09-29 2022-06-07 코스맥스 주식회사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39916B1 (ko) * 2021-10-12 2022-09-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식물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비수계 오일밤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5301A (ko) * 2007-03-19 2008-09-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퍼프 사용에 적합한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그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00039083A (ko) * 2008-10-07 2010-04-15 (주)아모레퍼시픽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입술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9404A (ko) * 2009-11-27 2011-06-02 한국콜마 주식회사 물로 워시오프 할 수 있는 스틱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9160A (ko) * 2014-03-19 2015-10-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중공성의 스타이렌/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유중수형의 자외선차단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KR101823018B1 (ko) * 2010-11-04 2018-02-01 (주)아모레퍼시픽 입술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891B1 (ko) * 2005-12-30 2007-08-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133098B1 (ko) * 2011-07-14 2012-04-04 주식회사 에버코스 고형 화장료 제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5301A (ko) * 2007-03-19 2008-09-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퍼프 사용에 적합한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그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00039083A (ko) * 2008-10-07 2010-04-15 (주)아모레퍼시픽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입술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9404A (ko) * 2009-11-27 2011-06-02 한국콜마 주식회사 물로 워시오프 할 수 있는 스틱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823018B1 (ko) * 2010-11-04 2018-02-01 (주)아모레퍼시픽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9160A (ko) * 2014-03-19 2015-10-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중공성의 스타이렌/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유중수형의 자외선차단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3810A (zh) * 2021-09-16 2023-03-21 科丝美诗株式会社 包含粉体的棒状油分散化妆品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744B1 (ko) 2020-09-24
KR20200048163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91305A1 (ko) 안정성이 우수한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0736836B2 (en) Method of treating external tissues with waxes
WO2002030384A2 (de) Kosmetische zubereitung mit pflanzenextrakten
WO2018097584A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2573766A (zh) 防晒剂组合物
DE102011001611B4 (de) Schminkzusammensetzung
EP1313443A1 (de) Hochviskoses kosmetisches produkt
KR101139069B1 (ko) 내기후성 화장품 착화합물
WO2016209023A1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CN1324380A (zh) 凝胶组合物
WO2015108383A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7509107A5 (ko)
JP4864414B2 (ja) 油性固形化粧料
EP1335957A1 (de) Kosmetikstift
KR101566826B1 (ko) 커버력과 보습력이 우수한 파우더 조성물
WO2020171352A1 (ko) 쇠비름 추출물 및 고순도 옥타데카디엔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040352A1 (ko) 스틱형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CN110339081A (zh) 一种稳定的油溶多肽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869224A (zh) 包含发酵神经酰胺黄油的油分散固体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DE102005033009A1 (de) Zubereitung, insbesondere pharmazeutische, dermatologische oder kosmetische Zubereitung sowi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CN110934779A (zh) 一种全天然润唇膏及其制备方法
JPS63290809A (ja) 口唇用化粧料
WO2003094869A1 (de) Lipidhaltige kosmetische zubereitung
DE19621575A1 (de) Stift mit hohem ätherischen Ölgehalt
KR102527894B1 (ko) 색조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791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6/10/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791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