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71708A1 -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 Google Patents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71708A1
WO2020071708A1 PCT/KR2019/012740 KR2019012740W WO2020071708A1 WO 2020071708 A1 WO2020071708 A1 WO 2020071708A1 KR 2019012740 W KR2019012740 W KR 2019012740W WO 2020071708 A1 WO2020071708 A1 WO 202007170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copolymer
residue
weight
parts
dicarbox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27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동준
강병국
심진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EP19869164.4A priority Critical patent/EP3845581B1/en
Priority to US17/282,462 priority patent/US20210380799A1/en
Priority to JP2021517847A priority patent/JP7284812B2/ja
Publication of WO202007170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71708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99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ycloaliph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20Polyesters having been prepared in the presence of compounds having one reactive group or more than two reactiv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40Polyesters derived from ester-forming derivatives of polycarboxylic acids or of polyhydroxy compounds, other than from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40Polyesters derived from ester-forming derivatives of polycarboxylic acids or of polyhydroxy compounds, other than from esters thereof
    • C08G63/42Cyclic ethers; Cyclic carbonates; Cyclic sulfites; Cyclic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63/668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72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05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4Gas barrier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30Applications used for thermoform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ester copolymer having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an article contain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lyester copolymer applicable to the extrusion blow molding (EBM) method.
  • EBM extrusion blow molding
  • polyester Since polyester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heat resistance, transparency and gas barrier properties, it is most suitable as a material for containers for beverage filling, packaging films, audio and video films, and is used in large quantities. In addition, it is widely produced worldwide as an industrial material such as medical fibers and tire cords. Polyester sheets or sheet materials have good transparency and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nd are widely used as materials for cases, boxes, partitions, store shelves, protective panels, blister packaging, building material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 an IBM (injection blow molding) method is mainly applied, and through this, mass production is possible. Further, in the case of amorphous polyester among polyesters, an EBM (extrusion blow molding) method can be applied.
  • EBM injection blow molding
  • polyethylene (PE) and polypropylene (PP) account for more than 50% of the total market
  • PVC, PETG, and PC which are represented by transparency, account for the rest.
  • PETG glycol-modified poly (1,4-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 PETG glycol-modified poly (1,4-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 the market is gradually increasing as it can reduce the loss of appearance transparency.
  • PETG has the chemical and chemical advantages of polyester, and due to its non-crystalline nature, it is possible to produce products through the EBM method in the lower temperature range than IBM, especially to manufacture containers.
  • PETG has a low viscosity, so molding is not possible without sufficiently lowering the molding temperature, and has a relatively low viscosity than PE or PP, making it difficult to make a large parison.
  • the low viscosity of the PETG also makes it difficult to apply the multihead method that can make multiple parisons among the EBM methods, but when applied to the multihead metho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he parison, which makes production difficult.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ester copolymer having excellent process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cle comprising the polyester copolymer.
  • the present invention 1) a residue of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2) residues of diol components including cyclohexanedimethanol, ethylene glycol, and isosorbide; And 3) an intrinsic viscosity of 0.75 to 0.82 dl / g, comprising a residue of a tri-functional compound.
  • the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olymer prepared by copolymerizing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diol component, and relates to a polyester copolymer produced by participating in a reaction in a trifunctional compound in the copolymerization process.
  • 'residue' means a certain portion or unit included in the result of the chemical reaction when a specific compound participates in the chemical reaction and derived from the specific compound.
  • each of the 'residue'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or the 'residue' of the diol component is a portion or diol component derived from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 the polyester copolymer formed by the esterification reaction or the condensation polymerization reaction. It means the part derived from.
  • the 'residue' of the trifunctional compound means a portion derived from the trifunctional compound in the ester structure in which the functional group is formed by the esterification reaction with the diol component.
  •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e main monomer constituting the polyester copolymer together with the diol component.
  • the dicarboxylic acid contains terephthalic acid, an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weather resistance of the polyester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by terephthalic acid.
  •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or a mixture thereof in addition to terephthalic acid.
  •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other than terephthalic acid is preferably included in 1 to 3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total dicarboxylic acid component.
  •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having 8 to 20 carbon atoms, preferably 8 to 14 carbon atoms, or a mixture thereof.
  • aromatic dicarboxylic acid such as isophthalic acid, 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 naphthalenedicarboxylic acid, diphenyl dicarboxylic acid, 4,4'-stilbendicarboxylic acid, 2, 5-furandicarboxylic acid, 2,5-thiophenedicarboxylic acid, and the like, but the specific examples of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having 4 to 20 carbon atoms, preferably 4 to 12 carbon atoms, or a mixture thereof.
  • There are linear, branched or cyclic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such as maleic acid, fumaric acid, adipic acid, glutaric acid, and azelaic acid, but specific examples of the aliphatic dicarboxylic acid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diol compon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e main monomer constituting the polyester copolymer together with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described above.
  • the diol component includes cyclohexanedimethanol, ethylene glycol, and isosorbide.
  • the cyclohexane dimethanol (for example, 1,2-cyclohexane dimethanol, 1,3-cyclohexane dimethanol or 1,4-cyclohexane dimethanol), the transparency and impact resistance of the polyester copolymer prepared It is an ingredient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 the cyclohexane dimethanol residue is included in an amount of 30 to 7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diol component residue.
  • the ethylene glycol is a component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transparency and impact strength of the polyester copolymer prepared with cyclohexanedimethanol.
  • the ethylene glycol residue is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2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diol component residue.
  • the isosorbide is used to improve the processability of the polyester copolymer produced. Although the transparency and impact strength of the polyester copolymer are improved by the diol component of cyclohexane dimethanol and ethylene glycol, the shear fluidization property must be improved and the crystallization rate must be delayed for processability. Cyclohexane dimethanol and ethylene It is difficult to achieve its effect with glycol alone. Accordingly, when isosorbide is included as a diol component, the shear fluidization property is improved and the crystallization rate is delayed while transparency and impact strength are maintained, thereby improving the processability of the produced polyester copolymer.
  • the isosorbide residue is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diol component residue.
  • the trifunctional compou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polyester copolyme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diol component, and is a component added to further improve processability, particularly shear fluidization properties.
  • a shear fluidization property is required that maintains a low viscosity in the high shear stress section inside the screw of the molding machine and shows a high viscosity in the parison formation sec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low.
  • This shear fluidization property prevents friction heat from being generate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olding temperature set in the molding machine by minimizing the heat generated by shear stress friction generated inside the screw and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parison itself.
  • the processability of the produced polyester copolymer can be improved, but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form a branch or graft in the main chain of the polyester copolymer in order to improve shear fluidization properties. In this case, crystallization is difficult compared to a simple linear polyester copolymer, which means an improvement in shear fluidization properties.
  • the functional group means tricarboxylic acid or anhydride thereof. More preferably, the tri-functional compound is benzene-1,2,3-tricarboxylic acid, benzene-1,2,3-tricarboxylic acid anhydride, benzene-1,2,4-tricarboxylic acid, or benzene- 1,2,4-tricarboxylic acid anhydride.
  • the residue of the trifunctional compound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ester copolymer. If the content exceeds 1 part by weigh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ransparency of the produced polyester copolymer is lowered, and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0.01 part by weigh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mprovement in processability is negligible.
  • the polyester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copolymerizing the aforementioned dicarboxylic acid component, diol component, and trifunctional compound. At this time, the copolymerization may sequentially perform an esterification reaction and a polycondensation reaction.
  • the esterification reaction is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an esterification reaction catalyst, and an esterification reaction catalyst containing a zinc-based compound may be used.
  • an esterification reaction catalyst containing a zinc-based compound may be used.
  • zinc-based catalysts include zinc acetate, zinc acetate dihydrate, zinc chloride, zinc sulfate, zinc sulfide, zinc carbonate, zinc citrate, zinc gluconate, or mixtures thereof.
  • the esterification reaction may be performed at a pressure of 0 to 10.0 kg / cm 2 and a temperature of 150 to 300 ° C.
  • the esterification reaction condition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pecific properties of the polyester to be produced, the ratio of each component, or process conditions.
  • preferred examples of the esterification reaction conditions include 0 to 5.0 kg / cm 2, more preferably 0.1 to 3.0 kg / cm 2 pressure; The temperature of 200-270 degreeC, More preferably, it is 240-260 degreeC.
  • esterification reaction may be performed in a batch or continuous manner, and each raw material may be separately input, but is added in a slurry form in which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trifunctional compound are mixed with a diol component. It is desirable to do.
  • diol components such as isosorbide, which is a solid content at room temperature, may be dissolved in water or ethylene glycol, and then mixed with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such as terephthalic acid to form a slurry.
  • a slurry may also be prepared by mixing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such as tetephthalic acid with other diol components.
  • water may be additionally added to the mixed slurry to help increase the fluidity of the slurry.
  • the molar ratio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the diol component participating in the esterification reaction may be 1: 1.05 to 1: 3.0.
  • the molar ratio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diol component is less than 1.05, unreacted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remain dur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and transparency of the resin may be lowered.
  • the molar ratio exceeds 3.0, the polymerization rate is low. Loss or productivity of the polyester copolymer may be lowered.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may be performed by reacting the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at a temperature of 150 to 300 ° C. and a reduced pressure of 600 to 0.01 mmHg for 1 to 24 hours.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may include a reaction temperature of 150 to 300 ° C, preferably 200 to 290 ° C, more preferably 260 to 280 ° C; And 600 to 0.01 mmHg, preferably 200 to 0.05 mmHg, and more preferably 100 to 0.1 mmHg under reduced pressure.
  • a reaction temperature of 150 to 300 ° C preferably 200 to 290 ° C, more preferably 260 to 280 ° C
  • 600 to 0.01 mmHg preferably 200 to 0.05 mmHg, and more preferably 100 to 0.1 mmHg under reduced pressure.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hen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occurs outside the temperature range of 150 to 300 ° C, when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ceeds to 150 ° C or less, the by-product glycol of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cannot be effectively removed out of the system, resulting in low intrinsic viscosity of the final reaction produc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ing polyester resin may be deteriorated, and when the reaction proceeds to 300 ° C or higher, the likelihood of the appearance of the produced polyester resin becoming yellow increases.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may be performed for a necessary time until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final reaction product reaches an appropriate level, for example, an average residence time of 1 to 24 hours.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may use a polycondensation catalyst comprising a titanium-based compound, a germanium-based compound, an antimony-based compound, an aluminum-based compound, a tin-based compound or a mixture thereof.
  • titanium-based compound examples include tetraethyl titanate, acetyltripropyl titanate, tetrapropyl titanate, tetrabutyl titanate, 2-ethylhexyl titanate, octylene glycol titanate, lactate titanate, and triethanolamine titanate Nate, acetylacetonate titanate, ethyl acetoacetic ester titanate, isostearyl titanate, titanium dioxide, and the like.
  • germanium-based compound examples include germanium dioxide, germanium tetrachloride, germanium ethylene glycoloxide, germanium acetate, copolymers using them, or mixtures thereof.
  • germanium dioxide can be used, and as the germanium dioxide, both crystalline or amorphous, and glycol solubility can also be used.
  • the polyester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rinsic viscosity of 0.75 to 0.82 dl / g, preferably 0.78 to 0.80 dl / g.
  •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intrinsic viscosity is embodied in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 the polyester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lt viscosity at a shear rate of 210 ° C. and 0.5 s ⁇ 1 of 8000 Pa.s or higher, and a melt viscosity at a shear rate of 210 ° C. and 500 s ⁇ 1 . Is 1200 Pa.s or less. Further, preferably, the polyester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lt viscosity of 2000 Pa.s or less at 210 ° C and a shear rate of 200 s -1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icle comprising the polyester copolymer.
  • the polyester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particularly has excellent shear fluidization characteristics, and thus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various transparent containers through the EBM method.
  • TPA terephthalic acid
  • EG ethylene glycol
  • CHDM 1,4-cyclohexanedimethanol
  • ISB isosorbide
  • Zinc acetate was added and mixed with 20 parts by weight of zinc acetate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ared mixture, and the esterific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at a pressure of 2.0 kg / cm 2 and 255 ° C. for about 260 minutes.
  • the esterification reaction is completed, when 80% to 99% of the by-product water flows out of the system, 200 ppmw of germanium dioxide is added to the total reactant weight (based on the central element), and the reaction is performed under vacuum of 0.5 mmHg and 275 ° C. And proceeded (polycondensation reaction), and when the target viscosity was reached, the reaction was terminated to obtain a polyester copolymer.
  • a co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MA content was changed to the content in Table 1 below.
  • a co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MA was not used.
  • a co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SB was not used.
  • a co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ISB was not used.
  • a co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SB and TMA were not used.
  • the capacity of the moldable bottle 500 mL, 1 L, and 2 L were molded in 2 heads. Specifically, a bottle was formed by forming a parison at a temperature of about 190 to 210 ° C in a Bekum EBM facility.
  • Drop strength height The bottle prepared in 3) was filled with wate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dition of the bottle was maintained when falling at a drop height of 1 m and 1.5 m, and the maximum drop height maintained is shown in Table 1 below. .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가공성이 우수하며, 특히 전단 유동화 특성이 우수하여 EBM 공법을 통한 각종 투명 용기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본 발명은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EBM(extrusion blow molding) 공법에 적용가능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는 기계적 강도, 내열성, 투명성 및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음료 충전용 용기나, 포장용 필름, 오디오, 비디오용 필름 등의 소재로서 가장 적합하여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의료용 섬유나 타이어코드 등의 산업 자재로서도 전세계적으로 널리 생산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시트(sheet)나 판재는 투명성이 양호하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케이스, 박스, 파티션, 점포 선반, 보호패널, 블리스터 패키징, 건축자재, 인테리어 내외장재 등의 재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 제품을 만드는 방법으로는, IBM(injection blow molding) 공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중 비정질의 폴리에스테르의 경우에는, EBM(extrusion blow molding) 공법을 적용할 수 있다. EBM에 적용하는 고분자는,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이 전체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투명성으로 대표되는 PVC나 PETG, PC 등이 그 나머지를 차지한다.
이중 우수한 내화학성을 가지는 PETG(glycol-modified poly(1,4-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는 주로 화장품 용기를 비롯한 염색약, 세제통 등에 사용이 되며, 우수한 내화학성은 강한 용매나 용제 또는 생활용품의 세척제 등에 의한 외관 투명도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시장이 점차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PETG는 폴리에스테르의 내화학성적 장점을 가지며 비결정성인 특징으로 인해 IBM 보다 온도가 낮은 영역에서 EBM 공법을 통한 제품 생산, 특히 용기의 제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PE나 PP에 비해 PETG는 점도가 낮아 충분히 성형온도를 낮추지 않으면 성형이 불가능하고, PE나 PP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를 가지고 있어 큰 패리슨(parison)을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PETG의 낮은 점도는 EBM 공법 중 여러 개의 패리슨을 만들 수 있는 다중헤드 방식의 적용 또한 어렵게 하는데, 다중 헤드 방식에 적용할 경우 패리슨의 길이 차이가 발생하여 생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 2)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에틸렌 글리콜, 및 아이소소바이드를 포함하는 디올 성분의 잔기; 및 3) 3 관능기 화합물의 잔기를 포함하는, 고유점도 0.75 내지 0.82 dl/g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용어의 정의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올 성분이 공중합되어 제조되는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중합 과정에서 3 관능기 화합물이 반응에 참여하여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잔기'는 특정한 화합물이 화학 반응에 참여하였을 때, 그 화학 반응의 결과물에 포함되고 상기 특정 화합물로부터 유래한 일정한 부분 또는 단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 또는 디올 성분의 '잔기' 각각은,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축중합 반응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부터 유래한 부분 또는 디올 성분으로부터 유래한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3 관능기 화합물의 '잔기'는 상기 관능기가 상기 디올 성분과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형성되는 에스터 구조에서 상기 3 관능기 화합물에서 유래한 부분을 의미한다.
디카르복실산 성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디올 성분과 함께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주요 단량체를 의미한다. 특히,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며, 테레프탈산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내열성, 내화학성, 내후성 등의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외에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테레프탈산 이외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총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탄소수 8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4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4,4'-스틸벤디카르복실산, 2,5-퓨란디카르복실산, 2,5-티오펜디카르복실산 등이 있으나,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탄소수 4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 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3-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프탈산, 세바식산, 숙신산, 이소데실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아디픽산, 글루타릭산, 아젤라이산 등의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등이 있으나,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올 성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올 성분은 상술한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함께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주요 단량체를 의미한다. 특히, 상기 디올 성분은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에틸렌 글리콜, 및 아이소소바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예를 들어, 1,2-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3-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은,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투명성과 내충격강도의 향상에 기여하는 성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중량부 대비 30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에틸렌 글리콜은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과 함께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투명성과 내충격강도의 향상에 기여하는 성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틸렌글리콜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아이소소바이드는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술한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과 에틸렌 글리콜의 디올 성분에 의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투명성과 내충격강도가 향상되나, 가공성을 위하여 전단 유동화 특성이 개선되어야 하고 결정화 속도가 지연되어야 하는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과 에틸렌 글리콜 만으로는 이의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다. 이에 디올 성분으로서 아이소소바이드를 포함할 경우, 투명성과 내충격강도가 유지되면서도 전단 유동화 특성이 개선되고 결정화 속도가 지연됨으로써,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가공성이 개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이소소바이드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된다.
3 관능기 화합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3 관능기 화합물은 상술한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디올 성분 외에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성분으로서, 가공성, 특히 전단 유동화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성분이다.
EBM 공법에서는, 성형기의 스크류 내부의 높은 전단응력 구간에서는 낮은 점도를 유지하고, 전단응력이 낮은 패리슨 형성 구간에서는 높은 점도를 나타내는 전단 유동화 특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단 유동화 특성은, 스크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전단응력 마찰에 의한 발생열을 최소화하고, 패리슨 자체의 온도를 낮추어 줌으로서 성형기에 설정한 성형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마찰열이 발생되는 것을 막아 준다.
또한, 더 높은 전단응력을 받은 멀티헤드 EBM의 경우 1개의 스크류에서 여러 개의 패리슨을 만드는데, 높은 압출량을 위하여 스크류의 RPM이 더욱 높아져 더 높은 전단응력을 받게 되므로, 보다 우수한 전단 유동화 특성이 요구된다.
상술한 디올 성분의 조절을 통하여,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가공성이 개선될 수 있으나, 특히 전단 유동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주사슬에 브랜치 또는 그라프트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단순한 선형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 비하여 결정화를 어렵게 하며, 이는 전단 유동화 특성의 향상을 의미한다.
후술할 실시예와 같이, 상기 3 관능기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하여 가공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론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주사슬에 브랜치 또는 그라프트의 형성을 통하여 복잡한 사슬로 제조된 것에 기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능기란 트리카르복시산 또는 이의 안하이드라이드를 의미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 관능기 화합물은, 벤젠-1,2,3-트리카르복시산, 벤젠-1,2,3-트리카르복시산 안하이드라이드, 벤젠-1,2,4-트리카르복시산, 또는 벤젠-1,2,4-트리카르복시산 안하이드라이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 관능기 화합물의 잔기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투명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가공성의 개선이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다.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상술한 디카르복실산 성분, 디올 성분, 및 3 관능기 화합물을 공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중합은 에스테르화 반응과 중축합 반응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에스테르화 반응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하며, 아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아연계 촉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연 아세테이트, 아연 아세테이트 디하이드레이트, 염화아연, 황산아연, 황화아연, 탄산아연, 아연 시트레이트, 글루콘산 아연, 또는 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0 내지 10.0 kg/㎠의 압력 및 150 내지 300℃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조건은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적인 특성, 각 성분의 비율, 또는 공정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조건의 바람직한 예로, 0 내지 5.0 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kg/㎠의 압력; 200 내지 270℃,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260℃의 온도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배치(batch)식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각각의 원료는 별도로 투입될 수 있으나, 디올 성분에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3 관능기 화합물을 혼합한 슬러리 형태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온에서 고형분인 아이소소바이드 등의 디올 성분은 물 또는 에틸렌글리콜에 용해시킨 후, 테레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에 혼합하여 슬러리로 만들 수 있다. 또는, 60℃ 이상에서 아이소소바이드가 용융된 후, 테테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기타 디올 성분을 혼합하여 슬러리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된 슬러리에 물을 추가로 투입하여 슬러리의 유동성 증대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에 참여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올 성분의 몰비는 1:1.05 내지 1:3.0 일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디올 성분의 몰비가 1.05 미만이면, 중합 반응 시 미반응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잔류하여 수지의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몰비가 3.0을 초과할 경우 중합 속도가 낮아지거나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생산성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150 내지 300℃ 온도 및 600 내지 0.01 mmHg의 감압 조건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중축합 반응은, 15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90℃, 보다 바람직하게는 260 내지 280℃의 반응 온도; 및 600 내지 0.01 mmHg,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0.05 mmH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0.1 mmHg의 감압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의 감압 조건을 적용함에 따라서 중축합 반응의 부산물인 글리콜을 계외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중축합 반응이 400 내지 0.01 mmHg 감압 조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부산물의 제거가 불충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축합 반응이 150 내지 300℃ 온도 범위 밖에서 일어나는 경우, 축중합 반응이 150℃ 이하로 진행되면 중축합 반응의 부산물인 글리콜을 효과적으로 계외로 제거하지 못해 최종 반응 생성물의 고유 점도가 낮아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300℃ 이상으로 반응이 진행될 경우,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외관이 황변(yellow)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상기 중축합 반응은 최종 반응 생성물의 고유 점도가 적절한 수준에 이를 때까지 필요한 시간 동안, 예를 들면, 평균 체류 시간 1 내지 24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축합 반응은 티타늄계 화합물, 게르마늄계 화합물, 안티몬계 화합물, 알루미늄계 화합물, 주석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중축합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티타늄계 화합물의 예로는, 테트라에틸 티타네이트, 아세틸트리프로필 티타네이트, 테트라프로필 티타네이트,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 2-에틸헥실 티타네이트, 옥틸렌글리콜 티타네이트, 락테이트 티타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티타네이트, 아세틸아세토네이트 티타네이트, 에틸아세토아세틱에스테르 티타네이트, 이소스테아릴 티타네이트, 티타늄 디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게르마늄계 화합물의 예로는 게르마늄 디옥사이드, 게르마늄 테트라클로라이드, 게르마늄 에틸렌글리콕시드, 게르마늄 아세테이트, 이들을 이용한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게르마늄 디옥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게르마늄 디옥사이드로는 결정성 또는 비결정성 모두를 사용할 수 있고, 글리콜 가용성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고유 점도가 0.75 내지 0.82 dl/g이고, 바람직하게는 0.78 내지 0.80 dl/g이다. 상기 고유 점도의 측정 방법은 후술할 실시예에서 구체화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210℃ 및 0.5 s-1의 전단 속도에서 용융 점도가 8000 Pa.s 이상이고, 210℃ 및 500 s-1의 전단 속도에서 용융 점도가 1200 Pa.s 이하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210℃ 및 200 s-1의 전단 속도에서 용융 점도가 2000 Pa.s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가공성이 우수하며, 특히 전단 유동화 특성이 우수하여 EBM 공법을 통한 각종 투명 용기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7L 용적의 반응기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TPA(terephthalic acid), EG(ethylene glycol), CHDM(1,4-cyclohexanedimethanol), 및 ISB(isosorbide)를 투입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TMA(trimellitic anhydride)를 하기 표 1의 함량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제조한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아연 아세테이트를 20 ppmw을 첨가 및 혼합하고, 2.0 kg/cm2의 압력 및 255℃ 조건에서 약 260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켰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된 후, 부산물인 물이 계외로 80 내지 99% 유출되었을 때, 전체 반응물의 중량에 대하여 게르마늄 디옥사이드 200 ppmw를 투입(중심원소 기준)하고 0.5 mmHg의 진공 및 275℃ 조건에서 반응을 진행하고(중축합 반응), 목표 점도에 도달하였을 때 반응을 종료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얻었다.
실시예 2
TMA 함량을 하기 표 1의 함량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TMA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ISB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ISB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ISB와 TMA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공중합체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물성을 평가하였다.
1) 고유 점도: 150℃ 오르쏘클로로페놀(OCP)에 0.12% 농도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용해시킨 후, 35℃의 항온조에서 우벨로드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Haze: 두께 3 mm의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시편을 제조하여, ASTM D1003에 따라 측정하였다.
3) 성형 가능한 병의 용량: 500 mL, 1L, 및 2L로 2 head에서 성형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Bekum EBM 설비에서 190~210℃ 내외의 온도에서 패리슨을 형성하여 병을 성형하였다.
4) 낙하강도 높이: 상기 3)에서 제조한 병에 물을 채우고, 낙하 높이 1 m, 1.5 m에서 낙하하였을 때 병의 상태가 유지되는지 확인하였으며, 유지되는 최대 낙하 높이를 이하 표 1에 기재하였다.
상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12740-appb-T000001
5) 용융 점도: TA Instruments사의 어드밴스드 레오메트릭 익스팬션 시스템(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ARES)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 대한 질소 하 210℃에서 0.5 ~ 500 s-1의 전단 속도에서 용융 점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시에는 직경이 25 mm인 페러렐 플레이트를 약 1.5 ~ 2 mm 간격으로 평행하게 위치시켜 사용하였다.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12740-appb-T000002

Claims (10)

1)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잔기;
2)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에틸렌 글리콜, 및 아이소소바이드를 포함하는 디올 성분의 잔기; 및
3) 3 관능기 화합물의 잔기를 포함하고,
고유점도가 0.75 내지 0.82 dl/g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중량부 대비 30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글리콜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소소바이드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관능기 화합물은, 벤젠트리카르복시산, 또는 이의 안하이드라이드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관능기 화합물은, 벤젠-1,2,3-트리카르복시산, 벤젠-1,2,3-트리카르복시산 안하이드라이드, 벤젠-1,2,4-트리카르복시산, 또는 벤젠-1,2,4-트리카르복시산 안하이드라이드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관능기 화합물의 잔기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210℃ 및 0.5 s-1의 전단 속도에서 용융 점도가 8000 Pa.s 이상이고, 210℃ 및 500 s-1의 전단 속도에서 용융 점도가 1200 Pa.s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210℃ 및 200 s-1의 전단 속도에서 용융 점도가 2000 Pa.s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물품.
PCT/KR2019/012740 2018-10-05 2019-09-30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WO202007170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869164.4A EP3845581B1 (en) 2018-10-05 2019-09-30 Polyester copolymer having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product comprising same
US17/282,462 US20210380799A1 (en) 2018-10-05 2019-09-30 Polyester copolymer having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product including the same
JP2021517847A JP7284812B2 (ja) 2018-10-05 2019-09-30 加工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共重合体およびこれを含む物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66 2018-10-05
KR1020180119266A KR102593363B1 (ko) 2018-10-05 2018-10-05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1708A1 true WO2020071708A1 (ko) 2020-04-09

Family

ID=7005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2740 WO2020071708A1 (ko) 2018-10-05 2019-09-30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80799A1 (ko)
EP (1) EP3845581B1 (ko)
JP (1) JP7284812B2 (ko)
KR (1) KR102593363B1 (ko)
TW (1) TWI799650B (ko)
WO (1) WO2020071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713B1 (ko) * 2019-02-11 2023-09-07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압출 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CN116348526A (zh) * 2020-11-11 2023-06-27 Sk化学株式会社 具有优异的强度的聚酯共聚物以及包含该聚酯共聚物的产品
CN117586487B (zh) * 2024-01-19 2024-04-02 山东瑞丰高分子材料股份有限公司 高温耐候pctg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776A (ko) * 2012-06-05 2013-12-1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6102173A (ja) * 2014-11-28 2016-06-02 三菱化学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
WO2017038949A1 (ja) * 2015-09-04 2017-03-09 三菱化学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該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並びに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20170037588A (ko) * 2017-03-21 2017-04-0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아이소소바이드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7562A (ko) * 2018-03-12 2019-09-20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5104B2 (en) * 2003-12-16 2008-03-18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polycarbonate blends useful for extrusion blow-molding
KR20110028696A (ko) * 2009-09-14 2011-03-2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아이소소바이드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639631B1 (ko) * 2009-12-28 2016-07-1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장식 물질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제품
US20130029068A1 (en) * 2011-07-28 2013-01-31 Eastman Chemical Company Extrusion blow molded articles
KR101952941B1 (ko) * 2012-06-05 2019-02-27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093771B2 (en) * 2014-04-25 2018-10-0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olyester resi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ester resin, and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polyester resin
WO2018101320A1 (ja) * 2016-11-30 2018-06-07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エステル、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6866681B2 (ja) * 2017-02-21 2021-04-2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トナーの製造方法
KR102576713B1 (ko) * 2019-02-11 2023-09-07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압출 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776A (ko) * 2012-06-05 2013-12-1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6102173A (ja) * 2014-11-28 2016-06-02 三菱化学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
WO2017038949A1 (ja) * 2015-09-04 2017-03-09 三菱化学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該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並びに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20170037588A (ko) * 2017-03-21 2017-04-0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아이소소바이드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7562A (ko) * 2018-03-12 2019-09-20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80799A1 (en) 2021-12-09
TW202028291A (zh) 2020-08-01
JP2022503977A (ja) 2022-01-12
EP3845581A4 (en) 2022-04-06
KR20200039387A (ko) 2020-04-16
TWI799650B (zh) 2023-04-21
KR102593363B1 (ko) 2023-10-23
EP3845581A1 (en) 2021-07-07
EP3845581B1 (en) 2024-04-03
JP7284812B2 (ja)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8031B1 (en) Polyester resi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20071708A1 (ko)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WO2013062286A1 (ko)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KR102576713B1 (ko) 압출 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WO2012105770A2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83652B1 (ko)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TW201906893A (zh) 聚酯樹脂及其製備方法及其所製得的樹脂模造物件
KR102583653B1 (ko)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WO2013073818A1 (ko)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유산 수지 및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블렌드 및 이를 이용한 성형제품
TW202200668A (zh) 包括再生單體的聚酯共聚物
WO2020032399A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30399461A1 (en) Polyester copolymer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product comprising the same
KR20230004123A (ko)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KR20220064311A (ko) 강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JP2002060472A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及び成形品
JP2001072752A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691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1784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8691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