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55029A1 - 조리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55029A1
WO2020055029A1 PCT/KR2019/011393 KR2019011393W WO2020055029A1 WO 2020055029 A1 WO2020055029 A1 WO 2020055029A1 KR 2019011393 W KR2019011393 W KR 2019011393W WO 2020055029 A1 WO2020055029 A1 WO 20200550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ntrol command
frame
content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139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연지은
전경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9859665.2A priority Critical patent/EP3846115A4/en
Priority to US17/275,333 priority patent/US11721053B2/en
Publication of WO20200550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550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liance generating a cooking content using an image and an input control command of a food to be cooked during a cooking oper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the cooking device is a device configured to cook food.
  • the cooking appliance 100 may correspond to a microwave oven, oven, induction, or the like.
  • an imaging device has been provided in a cooking appliance to generate an image of food to be cooked.
  • the captured image does not include information on the control command for the cook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must remember the control command for the cooking process.
  •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generating cooking content using an image of a food to be cooked during a cooking operation and an input control command.
  • the cooking appliance includes a driving device that performs cooking on a food to be cooked, an input device that receives a control command for a cooking operation of the cooking device from a user, and photographs the food to be cooked It includes an imaging device and a processor that controls the driving device to perform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trol command, wherein the processor controls the imaging device so that the food to be cooked is photographed, and An edited image may be generated by analyzing each of a plurality of frames, and cooked content may be generated using the edited image and the input control command.
  • the control method of the cooking appliance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the cooking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from a user, the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trol command using a driving device Performing steps, photographing food to be cooked, analyzing each of a plurality of frames of the photographed image to generate an edited image, and generating cooking content using the edited image and the input control command It can contain.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oking content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mple configu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n edited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n edited video for each func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6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user's cooking content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cook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0 is a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oking content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11 is a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using cooking cont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oking content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oking content utilization system 10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oking devices 100-1 and 100-2 and an external device 200.
  • the plurality of cooking devices 100-1 and 100-2 are devices configured to cook food.
  • the plurality of cooking devices 100-1 and 100-2 may correspond to a microwave oven, oven, induction, or the like.
  • a plurality of cooking equipment may perform a plurality of functions for cooking food.
  • the plurality of functions may correspond to roasting, drying, thawing, fermentation, air frying, and steam functions,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 the first cooking appliance 100-1 may receiv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operation from the user in order to perform the cooking operation. Specifically, one function among a plurality of functions may be selected, and a command for setting options such as temperature or cooking time for the function may be input. For example, a user may select a roasting function and receive a setting option to perform cooking for 1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180 degrees.
  • the first cooking appliance 100-1 may photograph food that is a cooking target while performing a cooking operation. Specifically, while the first cooking appliance 100-1 performs a cooking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a user, during the cooking operation using an imaging device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first cooking appliance 100-1. You can photograph food that is the subject of cooking.
  • the first cooking appliance 100-1 may edit the captured image to generate an edited image, and generate cooked content using the generated edited image, control commands input from a user, and metadata related to the cooking operation. have.
  • the user can check the edited image of the cooking process included in the cooking content, and if the user desires, the first cooking appliance 100-1 may use the same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cooking content.
  • the cooking process can be performed.
  • the first cooking appliance 100-1 may transmit the cooking content generat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to the external device 200.
  • the external device 200 may store cooking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cooking appliance 100-1.
  • the external device 200 may correspond to a server, a smartphone, a PC, etc.,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 the external device 200 may transmit the requested cooking content to the second cooking device 100-2. .
  • the second cooking device 100-2 may play the edited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cooking content to the user, and when a command for performing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oking content is input from the user, control included in the cooking content By extracting a command, the same coo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 the cooking appliance may generate cooking content based on an image photographing the cooking process, input control commands, and metadata related to the cooking operation, and the external device receives and stores the generated cooking content, and stores the stored cooking content. It may be sent back to the cooking appliance that needs, and the cooking appliance may perform the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content using the received cooking content without a user's specific control command for the cooking operation.
  • a general user can easily perform a cooking operation using cooking content generated by a cooking expert, and when a plurality of cooking contents are stored in an external device, data that is the basis for research on food recipes can be secured. have. Also, only edited images included in cooking content may be extracted and used for other purposes.
  • a cooking expert can create and upload cooking content related to making a cream puff.
  • Ordinary users can receive and play the edited video about the cream puff cooking process included in the cooking content through the cooking device, and if they want to perform the same puff cream cooking process, they can enter a command in the cooking device to perform the same cooking process have.
  • the cooking appliance may perform the same cooking operation using a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cooking content.
  • the cooking expert may control the cooking appliance to perform a plurality of roasting functions having different set temperatures and set tim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cipe of the A dish. Also, the cooking appliance may generate a plurality of cooking content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oking operations having different setting options and transmit the generated cooking content to an external device. In addition, a cooking expert may analyze recipes of a plurality of cooking contents to perform recipe development.
  • a family can complete a dish using a cooking appliance together, and extract an edited image from the cooking content for the finished dish and store it separately.
  • the edited image of the finished dish may be transmitted to a refrigerato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so that the refrigerator plays the edited image through a display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 the cooking content generated by the first cooking appliance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the second cooking appliance receives the cooking content generated from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external device.
  • the first cooking device and the second cooking device may directly implement communication to transmit and receive cooking content.
  • the cooking content utilization system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including two cooking devices, it may be implemented in a manner including one or three or more cooking devices.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mple configu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oking appliance 100 includes a driving device 110, an input device 120, an imaging device 130, and a processor 140.
  • the driving device 110 is a device that performs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functions of the cooking device 100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the roasting function is input, the driving device 1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applying heat having a high temperature, such as 100 degrees or more, to the food. In addition, when the fermentation function is input, the driving device 1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applying heat of a temperature of about 40 degrees to food for 10 hours.
  • the driving device 110 may sequentially perform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commands.
  • the driving device 110 may perform a roasting function at 180 degrees, which is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1, for 10 minutes, and then may perform a roasting function at 160 degrees, which is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2, for 5 minutes.
  • the input device 120 may receive a function selection and setting options for the selected function from the user.
  • the functions may include roasting, drying, thawing, fermentation, air frying, and steam functions.
  • the input device 120 may receive one of a plurality of functions from a user, and may receive setting options such as a set temperature or a set time for the function.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120 may select a roasting function from a user, and receive a setting option to perform the roasting function for 10 minutes at 180 degrees.
  • the input device 120 may receive a command for a cooking mod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trol commands from a user.
  • a user may receive a command for cooking mode A consisting of a control command 1 corresponding to 'performing a grilling function at 180 degrees for 10 minutes' and a control command 2 corresponding to a 'performing grilling function at 160 degrees for 5 minutes'. You can.
  • the input device 120 may receive a setting command for a method of photographing food to be cooked from a user. Meanwhile, the operation of setting the photographing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140.
  • the input device 120 may receive input through a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170.
  • the input device 120 may be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keyboard, mouse, or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with a touch screen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display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imaging device 130 acquires a captured image or a captured image of a predetermined area.
  • the imaging device 13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oking chamber (not shown)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100 to acquire a captured image or a captured image of a predetermined area in the cooking chamber.
  • the preset region is a unique sensing distance through which the imaging device 130 can sense light and a spatial rang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imaging device 130, and it is possible to clearly check how food to be cooked changes through the cooking process. It may correspond to a possible area.
  • the position in which the imaging device 130 is dispos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any position that can photograph food to be cooked is sufficient.
  • the imaging device 130 may photograph food that is a cooking target when the driving device 110 performs a cook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command. In addition, when the cooking operation of the driving device 110 is completed, the imaging device 130 may complete the shooting operation.
  • the processor 140 performs control for each component in the cooking appliance 100. Specifically, when a control command for a specific function is input,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driving device 110 to perform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trol command.
  •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imaging device 130 to photograph food that is a cooking target.
  • the processor 140 may receive a setting for a photographing method from a user through the input device 120 prior to performing the photographing. Specifically, the processor 140 may receive a setting for a shooting speed such as “FAST, NORMAL, SLOW” from the user. In addition,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imaging device 130 to photograph the food to be cooked according to the setting for the input photographing method.
  •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imaging device 130 to photograph the food to be cooked at a low speed.
  • the processor 140 may edit the captured image to generate an edited image. Specifically, the processor 140 may analyze each of a plurality of frames to identify frames in which a change compared to a previous frame has occurred more than a preset ratio, and generate an edited image using the checked frames.
  • the processor 140 edits an image using a frame at a time when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device 110 is changed accor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commands among the plurality of frames. You can create
  • the processor 140 edits using a frame at a time when the driving device 110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1 and a frame at a time when the driving device 110 stops an existing operation and performs a new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2. You can create an image.
  • the processor 140 may check a function input from a user, select some frames from a plurality of frames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function, and generate an edited image using the selected frame. Meanwhil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selecting a frame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fun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processor 140 may check a frame corresponding to an additionally received time point among a plurality of frames, and generate an edited image using the checked frame.
  • the control command for changing the set temperature from the user to 160 degrees while the driving device 110 is performing the roasting function at 180 degrees for 5 minutes as a control command of 'performing a grilling function for 10 minutes at 180 degrees' is input.
  • the processor 140 may check a frame corresponding to 5 minutes, which is a time point at which a control command is additionally input, from among the entire 10-minute images, and generate an edited image using the checked frame.
  • the method of editing the captured imag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 the processor 140 may generate cooked content using the edited image and the input control command.
  • the cooking content refers to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a control image corresponding to a cooking process displayed in the edited image and the edited image.
  • the user can check the cooking process through the edited image included in the cooking content, and if the cooking process is desired to perform the same cooking process, the cooking appliance may perform the same cooking process using a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cooking content. Can be controlled.
  • the processor 140 may generate cooking content to include an image or subtitle correspon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to the edited video. For example, when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performing a grilling function for 10 minutes at 180 degrees' is input, the processor 140 may include an image or subtitle corresponding to 'a grilling function for 10 minutes at 180 degrees' in the edited image. Cooking content may be generated by performing additional editing.
  • the processor 140 may generate cooking content using the previously input control command and the additionally input control command.
  • the processor 140 may check the metadata related to performing the cooking operation, and generate the cooking content using the checked metadata.
  • the processor 140 may use the generated cooking content to perform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content. Specifically, the processor 140 may generate cooking content and store it. Thereafter, when a control command is input to perform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ed cooking content from the user, the processor 140 extracts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stored cooking content and operates the driving device 110 to operate according to the extracted control command. Can be controlled.
  • the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imaging devices, and a plurality of images photographed from the plurality of imaging devices You can create an edited video using.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oking appliance 100 includes a driving device 110, an input device 120, an imaging device 130, a processor 140, a memory 150, and a communication device It may be composed of 160 and the display 170.
  • the driving device 110, the input device 120, the imaging device 130, and the processor 140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configuration of FIG. 1, and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 the memory 150 stores various data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such as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processor 140. Specifically, the memory 150 may store a number of application programs driven by the cooking appliance 100 and data and commands for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 the memory 150 is accessed by the processor 140, and data read / write / modify / delete / update by the processor 140 may be performed.
  • the memory 150 may be implemented as a storage medium in the cooking appliance 100, as well as an external storage medium, a removable disk including a USB memory, and a web server through a network.
  • the memory 150 may store cooking content. Specifically, the memory 150 may store cooking content generated by the cooking appliance 100 itself, and when receiving the cooking content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60, may store the received cooking content.
  • the memory 150 may store information on a cooking mode command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trol commands.
  • the memory 15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oking mode A consisting of a control command 1 corresponding to 'performing a grilling function at 180 degrees for 10 minutes' and a control command 2 corresponding to 'performing a grilling function at 160 degrees for 5 minutes'. Can be saved.
  • the communication device 16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and can receive various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 the communication device 16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n internet network, as well as a universal serial bus (USB) port or wireless communication (eg, WiFi 802.11a / b / g / n, NFC, and Bluetooth) ports are also available.
  •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PC, a laptop, a smartphone, a server, or a separate cooking appliance.
  • the communication device 160 may transmit and receive cooking content through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device 160 may transmit the cooking content directly generated by the cooking appliance 100 to an external device, and receive the cooking content from the external device.
  • the processor 140 may receive a specific cooking content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60, and may control the driving device 110 to perform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oking content. Meanwhil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 the display 170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oking appliance 100. Specifically, the display 170 may display an operating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or a user interface window for selecting a function and setting option selected by the user.
  • the display 170 may indicate that the cooking appliance 100 is performing a fermentation function, or may display an interface window so that the user can select how long the fermentation function is set to operate. .
  • the display 170 may reproduce an image captured through the imaging device 130.
  • the user may edit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input device 120. Specifically, the user may check some of the images desired to be edited among all the captured images reproduced through the display 170, and may select some images to be used as the edited images through the input device 120.
  • the processor 140 may generate an edited image using some of the selected images.
  • the display 170 may play the edited image included in the cooking content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generate food to be cooked, and generate cooking content including an input control command.
  • the generated cooking content can be stored and then the same coo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inputting a separate control command,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 the generated cooking content can be shared with an external device, the cooking content can be utilized as data that is the basis of recipe development.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n edited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processor 140 may analyze each of a plurality of frames to identify frames in which a change compared to a previous frame occurs more than a predetermined ratio, and generate an edited image using the checked frames.
  • the preset ratio corresponds to a ratio in which a change in food to be cooked is sufficiently generated compared to a previous frame as the cooking process proceeds.
  • the predetermined ratio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and can be determined through repeated experiments.
  • the processor 140 compares the N-th frame with the N-1-th frame, and a change in the N-th frame compared to the N-1-th frame occurs more than a preset ratio.
  • the edited image may be generated using the Nth frame.
  • the frame of FIG. 4B may correspond to the Nth frame
  • the frame of FIG. 4A may correspond to the N-1th frame.
  • the processor 140 may check whether a change in the frame of FIG. 4B compared to the frame of FIG. 4A occurs more than a predetermined ratio. If the condition of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is satisfied, the processor 140 may generate an edited image using the frame of FIG. 4B.
  • the processor 140 may analyze each of a plurality of frames, and identify a region of interest in which food to be cooked is located in the captured image. In addition, for each frame, a frame in which the region of interest has changed more than a predetermined ratio can be ident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a previous frame to generate an edited image.
  • the processor 140 may identify a region of interest in which the muffin contained in the foil is located from each frame of FIGS. 4A and 4B. In addition, the processor 140 may compare the region of interest in the frame of FIG. 4B and the region of interest in FIG. 4A to determine whether the region of interest in the frame of FIG. 4B has changed more than a predetermined ratio. If it satisfies the condition above a predetermined ratio, the processor may generate an edited image using the frame of FIG. 4B.
  • the processor 140 may generate an edited image using the checked frame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frames after the checked frame.
  • the processor 140 may include N frames and M frames (N + 1, N + 2, ...) after the N-th frame. , N + Mth frame).
  • a method of analyzing each of a plurality of frames to generate an edited imag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n edited image for each func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n editing method table displaying information on an editing metho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functions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may be checked.
  • a time point corresponding to a main cooking process of the cooking operation may be different.
  • a time point at which the fermentation process is actively performed may correspond to an intermediate time point of 6 hours among the entire fermentation time.
  • the roasting function is performed for 15 minutes, the point in time when the food is cooked may correspond to 10 minutes, which is 2/3 of the total roasting time.
  • the processor 140 may edit the captured image using a feature that a viewpoint corresponding to a main cooking process i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functions.
  • the processor 140 may first check which function is a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functions. In addition, the processor 140 may check what editing method corresponds to the checked function using the editing method table of FIG. 5. In addition, the processor 140 may edit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confirmed editing method.
  • the processor 140 may confirm that the editing method A corresponding to the fermentation function is the editing method A from the editing method table. Further, according to the editing method A, it is possible to edit the captured image.
  • the point of time corresponding to the main cooking proces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tting option selected by the user.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is a “roast” function, and there may be a case where “180 °” is input as a set temperature.
  •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is a 'roast' function, and there may be a case where '150 degrees' is input as a set temperature.
  • the editing method table may provide different editing methods, considering the selected setting options, even if they are the same function as the grilled A, grilled B, and grilled C of FIG. 5.
  • each of a plurality of editing methods may be set to use an image for a specific viewpoint, or may be set to use the method described in FIG. It is not limited to.
  • the editing method table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including information on a function and an editing method, but in implementation, information on setting option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unction and specifics on the editing method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and information that may be further included is not limited thereto.
  • FIG. 5 although it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determining an editing method based on a selected function and a selected setting option, it may be implemented in a manner of determining an editing method based on other factors.
  • 6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user's cooking content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processor 140 may receive cooked content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60, extract a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received cooked content, and correspond to the cooked content received using the extracted control command
  • the driving device 110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a cooking operation.
  • the processor 140 before receiving the entirety of the specific cooking content, the processor 140 provides some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cooking content to the user, receives one of the plurality of cooking content from the user, and receives the selected cooking content. You can.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thumbnail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oking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processor 140 may receive a plurality of thumbnai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oking contents from an external device, display them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170, and receive a single thumbnail from the user.
  • the processor 140 receives four thumbnai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ur cooking contents of the whole roast, eggplant roast, chocolate cookie, and wedge potato, and displays it through the display 170. It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In addition, one of the four thumbnails displayed by the user may be selected.
  • the thumbnail is an image representing the edited video, and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various methods.
  • a frame at the time when the cooking operation is completed can be used as a thumbnail.
  • a frame in which a change compared to a previous frame is greater than a preset ratio may be used as a thumbnail.
  • a frame to be used as a thumbnail may be directly selected by a user.
  • the method of selecting a thumbnail imag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 the processor 140 may receive cook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humbnail from an external device.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laying an edited image of cook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processor 140 may extract the edited image from the received cooking content and reproduce the extracted image through the display 170.
  • the processor 140 may receive cook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hocolate cookie from an external server.
  • the edited image may be extracted from the received cooking content, and the edited image containing the chocolate cookie cooking process may be reproduced through the display.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perform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an edite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processor 140 may receive confirmation from the user whether or not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oking content is performed.
  • the processor 140 inputs a 'start cooking' command at the bottom right of the display 170 while the edited image containing the cooking process of the chocolate cookie is being played, the chocolat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okie cooking content is performed.
  • the processor 140 may extract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received cooking content and control the driving device 110 to operate according to the extracted control command.
  • the processor 140 may provide som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oking contents to the user, receive one cooking content from the user, receive the selected cooking content, and perform a corresponding cooking operation.
  • a method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thumbnails, a method of playing an edited image, and a method of selecting whether to proceed with the edited image are not limited to the methods illustrated in FIGS. 6 to 8.
  • the method of receiving one of the plurality of cooking contents from the user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of using the thumbnail of each of the cooking content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cook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control command for a cooking ope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is received from a user (S910). Specifically, one function among a plurality of functions of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selected, and a command for setting options such as temperature or cooking time for the function may be input.
  •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trol command is performed using the driving device (S920). Then, the food to be cooked is photographed (S930).
  • a user can input a setting for a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 a food to be cooked according to the received setting.
  • each of a plurality of frames of the captured image is analyzed to generate an edited image (S940). For example, by analyzing each of a plurality of frames of the captured image, it is possible to identify frames in which a change compared to a previous frame occurs at a preset ratio or more, and an edited image may be generated using the checked frames.
  • each of the plurality of frames it is possible to identify a region of interest in which food to be cooked is located in the captured image.
  • a frame in which the region of interest has changed more than a predetermined ratio can be ident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a previous frame to generate an edited image.
  • an edited image may be generated using the checked frame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frames after the checked frame.
  • an edited image may be generated using a frame at a time when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device is changed accor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commands among the plurality of frames.
  • a function input from a user may be checked, and some frames among a plurality of frames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function, and an edited image may be generated using the selected frame.
  • an edited image may be generated using the checked frame by checking a frame corresponding to an additionally received time point among a plurality of frames.
  • the cooked content is generated using the edited image and the input control command (S950).
  • the cooking content refers to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a control image corresponding to a cooking process displayed in the edited image and the edited image.
  • cooking content may be generated to include an image or a subtitle correspon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to the edited video.
  • the additionally input control command may be added to generate cooking content.
  • a plurality of thumbnai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oking contents may be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 the received plurality of thumbnails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and a single thumbnail may be selected from the user.
  • the cooking content can b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Specifically, the cook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selected by the user may be received.
  • the edited image may be extracted from the received cooking content and displayed.
  • the user can confirm whether the edited video is displayed. Specifically, when the playback of the edited video is completed, or when a cooking start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while the edited video is being played, the user may be checked whether or not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oking content is performed.
  • a control command may be extracted from the received cooking content, and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content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extracted control command. Specifically, when the user checks whether the edited video is in progress,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oking content may be performed.
  • control method of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food to be cooked and generating cooked content including the inputted control command, so that the generated cooked content is stored and thereafter the same without inputting a separate control comm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ooking operation,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user convenience.
  • the generated cooking content can be shared with an external device, the cooking content can be utilized as data that is the basis of recipe development, and the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oking content is received by receiving the cooking content from the external device. It can be easily performed,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user convenience.
  • the control method as shown in FIG. 9 may be executed on a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configuration of FIG. 2 or 3, and may also be performed on a cooking appliance having other configurations.
  •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execution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and the execu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 the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means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time, such as registers, caches, and memory.
  •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 FIG. 10 is a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oking content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 the first cooking appliance 100-1 may receive a control command for a cooking operation from a user (S1010).
  • the first cooking appliance 100-1 may control the driving device to perform the cook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command, and photograph the food to be cooked using the imaging device when performing the cooking operation (S1020).
  • the first cooking appliance 100-1 may analyze each of a plurality of frames of the photographed image to generate an edited image (S1030). In addition, the first cooking appliance 100-1 may generate cooking content using the edited image and the input control command (S1040).
  • Steps S1010 to S1040 described above are overlapped with those described above in FIG. 9, and detailed operation methods are omitted.
  • the first cooking device 100-1 may transmit the generated cooking content to the external device 200 (S1050).
  • the external device 200 may correspond to a server, a smartphone, a PC, etc.,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 the external device 200 may store the received cooking content (S1060).
  • the second cooking device 100-2 may request specific cooking content from a plurality of cooking contents stored by the external device 200 (S1070).
  • the specific cooking content may be cooking content of the selected thumbnail.
  • the external device 200 may transmit the requested cooking content to the second cooking device 100-2 (S1080).
  • the second cooking device 100-2 may perform a cooking operation using the received cooking content.
  • the second cooking device 100-2 may extract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oking content and perform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hereto.
  • control method of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benefit that a plurality of cooking appliances can share various cooking contents through an external device, thereby increasing recipe development and user convenience.
  • the control method as shown in FIG. 10 may be executed on a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configuration of FIG. 2 or 3, and may also be performed on a cooking appliance having other configurations.
  •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execution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and the execu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 11 is a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using cooking cont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 the first cooking appliance 100-1 may generate cooking content according to steps S1010 to S1040 described above (S1110).
  • the first cooking device 100-1 may transmit the generated cooking content to the first external device 200-1 (S1120).
  • the first external device 200-1 may correspond to a server,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 the first external device 200-1 may store the received cooking content (S1130).
  • a plurality of thumbnail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oking contents may b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external device 200-2 (S1140).
  • the second external device 200-2 may be a smart phone, a PC, a laptop, etc.,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 the second external device 200-2 may display the received plurality of thumbnails to the user, and receive a single thumbnail from the user (S1150). When the second external device 200-2 receives one thumbnail, the second external device 200-2 may request information about cooking content for the selected thumbnail (S1160).
  • the first external device 200-1 may transmit the requested cooking content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200-2 (S1170).
  • the second external device 200-2 may extract the edited image from the received cooking content and display it to the us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edited video displayed by the user proceeds.
  • the second external device 200-2 extracts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oking content and transmits the extracted control command to the second cooking device 100-2. It can be (S1180).
  • the second cooking device 100-2 may be a cooking device used by a user of the second external device 200-2.
  • the second cooking device 100-2 may perform a cooking operation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S1190).
  • control method of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disclosure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cooking content using the second external device without performing the selection of the cooking content through the second cooking appliance, and thus the edited image on the second cooking appliance Even if it does not have a display for displaying, it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a cook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oking content.
  • the control method as shown in FIG. 11 may be executed on a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configuration of FIG. 2 or 3, and may also be performed on a cooking appliance having other configurations.
  •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execution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and the execu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 Oven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조리 기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조리 기기는, 조리 대상인 식품에 대한 조리를 수행하는 구동 장치, 사용자로부터 조리 기기의 조리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장치,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하기 위한 촬상 장치 및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조리 대상인 식품이 촬영되도록 촬상 장치를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고, 편집 영상 및 입력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조리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본 개시는 조리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 동작 중 조리 대상 식품을 촬영한 영상 및 입력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식품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전자레인지, 오븐, 인덕션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최근에는 조리 기기에 촬상 장치가 구비되어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촬영 영상에는 조리 과정에 대한 제어 명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아, 사용자가 해당 조리 과정에 대한 제어 명령을 기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조리 동작 중 조리 대상 식품을 촬영한 영상 및 입력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 대상인 식품에 대한 조리를 수행하는 구동 장치, 사용자로부터 상기 조리 기기의 조리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장치, 상기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하기 위한 촬상 장치 및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리 대상인 식품이 촬영되도록 상기 촬상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편집 영상 및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조리 기기의 조리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 영상 및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콘텐츠 활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간단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집 영상의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기능별 편집 영상의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조리 콘텐츠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콘텐츠의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콘텐츠 활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그리고,
도 11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콘텐츠 활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콘텐츠 활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 콘텐츠 활용 시스템(1000)은 복수의 조리 기기(100-1, 100-2) 및 외부 장치(200)로 구성된다.
복수의 조리 기기(100-1, 100-2)는 식품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조리 기기(100-1, 100-2)는 전자레인지, 오븐, 인덕션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복수의 조리 기기(100-1, 100-2)는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능은 구이, 건조, 해동, 발효, 에어프라이 및 스팀 기능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는다.
제1 조리 기기(100-1)는 조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조리 동작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고, 해당 기능에 대한 온도 또는 조리 시간 등의 설정 옵션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구이 기능을 선택하고, 180도의 온도로 10분간 조리를 수행하도록 설정 옵션을 입력받을 수 잇다.
제1 조리 기기(100-1)는 조리 동작을 수행하면서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리 기기(100-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조리 동작을 수행하면서 제1 조리 기기(10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조리 동작 중에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조리 기기(100-1)는 촬영한 영상을 편집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편집 영상,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 및 조리 동작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조리 콘텐츠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조리 콘텐츠에 포함된 조리 과정에 대한 편집 영상을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한다면 제1 조리 기기(100-1)는 조리 콘텐츠에 포함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동일한 조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조리 기기(100-1)는 외부 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해 생성한 조리 콘텐츠를 외부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제1 조리 기기(100-1)로부터 수신한 조리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200)는 서버, 스마트폰, PC 등에 해당될 수 있으며,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외부 장치(200)는 제2 조리 기기(100-2)로부터 저장된 조리 콘텐츠 중 특정 조리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요청된 조리 콘텐츠를 제2 조리 기기(100-2)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조리 기기(100-2)는 수신한 조리 콘텐츠에 포함된 편집 영상을 사용자에게 재생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해당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에 대한 수행 명령을 입력받으면, 조리 콘텐츠에 포함된 제어 명령을 추출하여, 동일한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리 기기는 조리 과정을 촬영한 영상과 입력된 제어 명령 및 조리 동작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조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외부 장치는 생성된 조리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조리 콘텐츠를 필요로 하는 조리 기기에 다시 송신할 수 있으며, 조리 기기는 조리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구체적인 제어 명령 없이도 수신한 조리 콘텐츠를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 사용자는 요리 전문가가 생성한 조리 콘텐츠를 이용하여 손쉽게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외부 장치에 복수의 조리 콘텐츠가 저장되는 경우 음식 레시피에 대한 연구에 기초가 되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콘텐츠에 포함된 편집 영상만을 추출하여 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리 전문가가 슈크림 만들기와 관련된 조리 콘텐츠를 생성하여 외부 서버에 업로드 할 수 있다. 일반 사용자는 조리 기기를 통해 조리 콘텐츠에 포함된 슈크림 조리 과정에 대한 편집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고, 동일한 슈크림 만들기 조리 과정의 수행을 원하는 경우 동일한 조리 과정을 수행하도록 조리 기기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 기기는 해당 조리 콘텐츠에 포함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동일한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요리 전문가는 A 요리의 레시피 개발을 위해, 설정 온도 및 설정 시간을 달리한 복수의 구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조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 기기는 설정 옵션을 달리한 복수의 조리 동작 각각에 대한 복수의 조리 콘텐츠를 생성하여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요리 전문가는 복수의 조리 콘텐츠를 분석하여 레시피 개발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가족이 함께 조리 기기를 이용하여 요리를 완성하고, 완성된 요리에 대한 조리 콘텐츠로부터 편집 영상을 추출하여 이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냉장고에 완성된 요리에 대한 편집 영상을 송신하여 냉장고가 냉장고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편집 영상을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조리 기기가 생성한 조리 콘텐츠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고, 제2 조리 기기가 외부 장치로부터 생성한 조리 콘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제1 조리 기기와 제2 조리기기가 직접 통신을 수행하여 조리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조리 콘텐츠 활용 시스템이 2개의 조리 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1개 또는 3개 이상의 조리 기기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간단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는 구동 장치(110), 입력 장치(120), 촬상 장치(130) 및 프로세서(140)로 구성된다.
구동 장치(110)는 상술한 조리 기기(100)의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구동 장치(110)는 구이 기능이 입력되면 식품에 100도 이상과 같은 높은 온도의 열을 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110)는 발효 기능이 입력되면 식품에 40도 내외의 온도의 열을 10시간 동안 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장치(110)는 복수의 제어 명령으로 구성된 조리 모드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해당 복수의 제어 명령 각각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80도에서 10분간 구이 기능 수행’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1 및 ‘160도에서 5분간 구이 기능 수행’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2로 구성된 조리 모드A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구동 장치(110)는 제어 명령1 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인 180도에서 10분간 구이 기능을 수행하고, 이후 제어 명령2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인 160도에서 5분간 구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 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 및 선택된 기능에 대한 설정 옵션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능은 구이, 건조, 해동, 발효, 에어프라이 및 스팀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입력받을 수 있고, 해당 기능에 대한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시간 등 설정 옵션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구이 기능을 선택받고, 180도로 10분 동안 구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 옵션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제어 명령으로 구성된 조리 모드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180도에서 10분간 구이 기능 수행’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1 및 ‘160도에서 5분간 구이 기능 수행’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2로 구성된 조리 모드A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조리 대상인 식품의 촬영 방법에 대한 설정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촬영 방법을 설정하는 동작은 프로세서(140)의 동작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입력 장치(120)는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메뉴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120)는 복수의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후술할 디스플레이(17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촬상 장치(130)는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촬영 이미지 또는 촬영 영상을 취득한다. 구체적으로, 촬상 장치(130)는 조리 기기(100) 내부의 조리실(미도시)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조리실 내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촬영 이미지 또는 촬영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영역은 촬상 장치(130)가 빛을 감지할 수 있는 고유의 감지 거리 및 촬상 장치(130)의 배치 위치에 따른 공간적 범위로, 조리 대상인 식품이 조리 과정을 통해 변화하는 모습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촬상 장치(130)가 배치되는 위치는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으며,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 족하다.
그리고 촬상 장치(130)는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구동 장치(110)가 조리 동작을 수행시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장치(110)의 조리 동작이 완료되면 촬상 장치(130)는 촬영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조리 기기(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해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특정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구동 장치(110)가 조리 동작을 수행 시,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하도록 촬상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촬영을 수행하기에 앞서, 입력 장치(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촬영 방법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FAST, NORMAL, SLOW”와 같은 촬영 속도에 대한 설정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입력된 촬영 방법에 대한 설정에 따라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하도록 촬상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촬영 속도에 대한 설정으로 “SLOW”를 입력받은 경우, 프로세서(140)는 조리 대상인 식품을 저속 촬영하도록 촬상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이전 프레임 대비 변화가 기설정된 비율 이상 발생한 프레임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이전 프레임 대비 변화가 기설정된 비율 이상 발생한 프레임을 확인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제어 명령으로 구성된 조리 모드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복수의 프레임 중 복수의 제어 명령 각각에 따라 구동 장치(110)의 동작이 변경되는 시점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80도에서 10분간 구이 기능 수행’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1 및 ‘160도에서 5분간 구이 기능 수행’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2로 구성된 조리 모드A에 대한 명령이 입력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어 명령1에 따라 구동 장치(110)가 동작하는 시점의 프레임과 이후 제어 명령2에 따라 구동 장치(110)가 기존 동작을 멈추고 새로운 동작을 수행하는 시점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기능을 확인하여, 입력된 기능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 중 일부 프레임을 선택하고, 선택한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입력된 기능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프레임을 선택하는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조리 동작 수행 중에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추가적으로 입력받은 경우, 복수의 프레임 중 추가적으로 입력받은 시점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확인하여, 확인한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장치(110)가 ‘180도에서 10분간 구이 기능 수행’의 제어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180도로 구이 기능을 5분째 수행하고 있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설정 온도를 160도로 변경하는 제어 명령을 추가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전체 10분짜리 영상 중 추가적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은 시점인 5분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확인하고, 확인한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는 방법은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편집 영상 및 입력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리 콘텐츠는, 편집 영상 및 편집 영상에서 표시하는 조리 과정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조리 콘텐츠에 포함된 편집 영상을 통해 조리 과정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한 조리 과정과 동일한 조리 과정의 수행을 원하는 경우, 조리 기기가 조리 콘텐츠에 포함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동일한 조리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편집 영상에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이미지 또는 자막을 포함하도록 조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80도에서 10분간 구이 기능 수행’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이 입력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편집 영상에 ‘180도에서 10분간 구이 기능’에 대응되는 이미지 또는 자막을 포함하도록 추가적인 편집을 수행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조리 동작 수행 중에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추가적으로 입력받은 경우, 기존에 입력된 제어 명령 및 추가적으로 입력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조리 동작 수행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리 동작 수행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란, 조리 동작의 수행 시간, 조리 기기(100)의 온도 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조리 기기(100) 내부 온도, 조리 기기(100)의 도어 개폐 감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조리 기기(100)의 도어 개폐 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생성한 조리 콘텐츠를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조리 콘텐츠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저장한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프로세서(140)는 저장한 조리 콘텐츠로부터 제어 명령을 추출하고, 추출한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동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하나의 촬상 장치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조리 기기는 복수의 촬상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촬상 장치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조리 기기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구동 장치(110), 입력 장치(120), 촬상 장치(130), 프로세서(140), 메모리(150), 통신 장치(160) 및 디스플레이(170)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장치(110), 입력 장치(120), 촬상 장치(130) 및 프로세서(140)는 도 1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150)는 프로세서(14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조리 기기(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50)는 조리 기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조리 기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50)는 프로세서(140)에 의해 액세스 되며, 프로세서(140)에 의한 데이터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50)는 조리 기기(100)내의 저장매체뿐만 아니라, 외부 저장 매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50)는 조리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50)는 조리 기기(100) 자체가 생성한 조리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고, 통신 장치(160)로부터 조리 콘텐츠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조리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50)는 복수의 제어 명령으로 구성된 조리 모드 명령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는 ‘180도에서 10분간 구이 기능 수행’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1 및 ‘160도에서 5분간 구이 기능 수행’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2로 구성된 조리 모드A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장치(160)는 외부 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외부 장치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60)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802.11a/b/g/n, NFC, Bluetooth)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PC, 노트북, 스마트폰, 서버 또는 별개의 조리 기기 등일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60)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조리 콘텐츠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60)는 조리 기기(100)에서 직접 생성한 조리 콘텐츠를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조리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통신 장치(16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특정 조리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조리 콘텐츠를 이용하여 그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디스플레이(170)는 조리 기기(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70)는 조리 기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 및 설정 옵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70)는 조리 기기(100)가 발효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발효 기능을 몇 시간 동안 동작하도록 설정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70)는 촬상 장치(13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입력 장치(1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재생된 전체 촬영된 영상 중에서 편집을 원하는 일부 영상을 확인할 수 있고, 입력 장치(120)를 통해 편집 영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일부 영상을 선택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선택받은 일부 영상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7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조리 콘텐츠에 포함된 편집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촬영 영상에는 조리 과정에 대한 제어 명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아, 사용자가 해당 조리 과정에 대한 제어 명령을 기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촬영 영상이 외부에 공유되더라도 다른 사용자는 촬영 영상의 조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조리 기기에 어떠한 제어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지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 및 입력된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조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한 조리 콘텐츠를 저장하여 이후에 동일한 조리 동작을 별도의 제어 명령 입력 없이 수행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생성한 조리 콘텐츠를 외부 장치로 공유할 수 있으므로, 조리 콘텐츠는 레시피 개발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로부터 조리 콘텐츠를 수신하여, 수신한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집 영상의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이전 프레임 대비 변화가 기설정된 비율 이상 발생한 프레임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비율이란, 조리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조리 대상인 식품의 변화가 이전 프레임 대비 충분히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비율에 해당한다. 기설정된 비율은 임의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된 영상에 1000개의 프레임이 포함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N번째 프레임과 N-1번째 프레임을 비교하여, N-1번째 프레임 대비 N번째 프레임의 변화가 기설정된 비율 이상 발생한 경우, N번째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호일에 담긴 머핀 반죽이 조리 기기(100) 내에서 구워지는 영상의 일부 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b의 프레임은 N번째 프레임에 해당하고, 도 4a의 프레임은 N-1번째 프레임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도 4a의 프레임 대비 도 4b의 프레임의 변화가 기설정된 비율 이상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기설정된 비율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도 4b 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조리 대상인 식품이 위치하는 관심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프레임에 대하여 이전 프레임과 비교를 통해 관심 영역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 변화한 프레임을 확인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도 4a 및 도 4b 각각의 프레임으로부터 호일에 담긴 머핀이 위치하는 관심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도 4b의 프레임 내 관심 영역과 도 4a의 프레임 내 관심 영역을 비교하여 도 4b의 프레임 내 관심 영역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 변화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기설정된 비율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도 4b 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방식에 따라 기설정된 비율 이상 변화한 프레임을 확인한 경우, 확인한 프레임 및 확인한 프레임 이후의 기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가 기설정된 비율 이상 변화한 프레임으로 N번째 프레임을 확인한 경우, 프로세서(140)는 N번째 프레임 및 N번째 프레임 이후의 M개의 프레임(N+1, N+2,…, N+M번째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은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기능별 편집 영상의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의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는 편집 방법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편집 방법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 복수의 기능 각각에 따라 조리 동작의 주요 조리 과정에 대응되는 시점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효 기능이 전체 1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경우, 발효 과정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시점은 전체 발효 시간 중 중간 시점인 6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반면, 구이 기능이 15분 동안 수행되는 경우, 음식이 익어가는 모습이 부각되는 시점은 전체 구이 시간 중 2/3 시점인 10분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기능 각각에 따라 주요 조리 과정에 대응되는 시점이 상이하다는 특징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기능 중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이 어떠한 기능인지 먼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도 5의 편집 방법 테이블을 이용하여 확인한 기능에 대응되는 편집 방법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확인한 편집 방법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이 ‘발효’ 기능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편집 방법 테이블로부터 발효 기능에 대응되는 편집 방법이 편집 방법A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편집 방법A에 따라 촬영된 영상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기능이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 옵션에 따라 주요 조리 과정에 대응되는 시점이 상이할 수 있는바, 편집 방법 테이블은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 옵션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편집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이 ‘구이’ 기능이고, ‘180도’를 설정 온도로 입력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이 ‘구이’ 기능이고, ‘150도’를 설정 온도로 입력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당한 고온으로 구이 동작을 수행하므로 음식이 익어가는 모습이 부각되는 시점이 더 빠르게 올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된 기능 및 설정 옵션 정보를 모두 고려하면 주요 조리 과정에 대응되는 시점을 더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편집 방법 테이블은 도 5의 구이 A, 구이 B 및 구이 C와 같이 동일한 기능이라 하더라도 선택된 설정 옵션까지 고려하여 각각 상이한 편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편집 방법A 내지 편집 방법F와 같은 복수의 편집 방법 각각은 특정 시점에 대한 영상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고, 도 4에서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는다.
한편, 도 5를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편집 방법 테이블은 기능 및 편집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설정 옵션에 대한 정보, 편집 방법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더 포함할 수 있는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5를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선택된 기능 및 선택된 설정 옵션을 기초로 편집 방법을 결정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다른 요인을 기초로 편집 방법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조리 콘텐츠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40)는 통신 장치(16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조리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조리 콘텐츠에 포함된 제어 명령을 추출하고, 추출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수신한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특정 조리 콘텐츠의 전체를 수신하기 이전에 사용자에게 복수의 조리 콘텐츠에 대한 일부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조리 콘텐츠 중 하나를 선택받아, 선택받은 조리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가 복수의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조리 콘텐츠를 선택받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로부터 복수의 조리 콘텐츠에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썸네일을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통삼겹 구이, 가지 구이, 초콜렛 쿠키, 웨지 감자의 4개의 조리 콘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4개의 썸네일을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4개의 썸네일 중에서 하나의 썸네일을 선택받을 수 있다.
여기서 썸네일은 편집 영상을 대표하는 이미지로, 다양한 방식에 따라 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동작이 완료된 시점의 프레임을 썸네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이전 프레임 대비 변화가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 프레임을 썸네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로부터 썸네일로 활용할 프레임을 직접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썸네일 이미지를 선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되는 조리 콘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콘텐츠의 편집 영상의 재생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프로세서(140)는 수신한 조리 콘텐츠로부터 편집 영상을 추출하고,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추출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4개의 썸네일 중 초콜렛 쿠키의 썸네일을 선택한 경우, 프로세서(140)는 초콜렛 쿠키에 대응되는 조리 콘텐츠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한 조리 콘텐츠로부터 편집 영상을 추출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초콜렛 쿠키 조리 과정이 담긴 편집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 실시 예에 따른 편집 영상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프로세서(140)는 편집 영상의 재생이 완료되거나, 편집 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조리 시작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사용자에게 해당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의 수행 여부를 확인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초콜렛 쿠키의 조리 과정이 담긴 편집 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170)의 우측 하단의 ‘조리 시작’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초콜렛 쿠키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의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조리 동작의 수행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프로세서(140)는 수신한 조리 콘텐츠로부터 제어 명령을 추출하고, 추출한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동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조리 콘텐츠에 대한 일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조리 콘텐츠를 선택받아, 선택받은 조리 콘텐츠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썸네일을 표시하는 방법 및 편집 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편집 영상에 대한 진행 여부를 선택받는 방법은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방법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조리 콘텐츠 중 하나의 조리 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방법은 도 6 내지 도 8에서 상술한 각 조리 콘텐츠의 썸네일을 이용하는 방법에 한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콘텐츠의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조리 기기의 조리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S910). 구체적으로, 조리 기기의 복수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고, 해당 기능에 대한 온도 또는 조리 시간 등의 설정 옵션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한다(S920). 그리고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한다(S930). 또한, 사용자로부터 촬영 방법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설정에 따라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된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한다(S940). 예를 들어, 촬영된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이전 프레임 대비 변화가 기설정된 비율 이상 발생한 프레임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조리 대상인 식품이 위치하는 관심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프레임에 대하여 이전 프레임과 비교를 통해 관심 영역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 변화한 프레임을 확인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술한 방식에 따라 기설정된 비율 이상 변화한 프레임을 확인한 경우, 확인한 프레임 및 확인한 프레임 이후의 기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복수의 제어 명령으로 구성된 조리 모드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복수의 프레임 중 복수의 제어 명령 각각에 따라 구동 장치의 동작이 변경되는 시점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기능을 확인하여, 입력된 기능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 중 일부 프레임을 선택하고, 선택한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조리 동작 수행 중에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추가적으로 입력받은 경우, 복수의 프레임 중 추가적으로 입력받은 시점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확인하여, 확인한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편집 영상 및 입력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한다(S950). 여기서 조리 콘텐츠는, 편집 영상 및 편집 영상에서 표시하는 조리 과정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편집 영상에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이미지 또는 자막을 포함하도록 조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리 동작 수행 중에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추가적으로 입력받은 경우, 추가적으로 입력된 제어 명령을 추가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리 동작 수행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서버로부터 복수의 조리 콘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한 복수의 썸네일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썸네일을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로부터 조리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썸네일에 대응되는 조리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조리 콘텐츠로부터 편집 영상을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된 편집 영상에 대한 진행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확인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집 영상의 재생이 완료되거나, 편집 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조리 시작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사용자에게 해당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의 수행 여부를 확인받을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조리 콘텐츠에서 제어 명령을 추출하고, 추출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된 편집 영상에 대한 진행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확인받으면, 수신된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 및 입력된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조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바, 생성한 조리 콘텐츠를 저장하여 이후에 별도의 제어 명령의 입력 없이 동일한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생성한 조리 콘텐츠를 외부 장치로 공유할 수 있으므로, 조리 콘텐츠는 레시피 개발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부터 조리 콘텐츠를 수신하여, 수신한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9와 같은 제어 방법은, 도 2 또는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조리 기기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조리 기기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비일시적인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콘텐츠 활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조리 기기(100-1)는 사용자로부터 조리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1010). 그리고 제1 조리 기기(100-1)는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조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 장치를 제어하고, 조리 동작 수행 시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할 수 있다(S1020).
그리고 제1 조리 기기(100-1)는 촬영된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1030). 그리고 제1 조리 기기(100-1)는 편집 영상 및 입력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1040).
상술한 S1010 내지 S1040 단계는 도 9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바, 구체적인 동작 방법은 생략한다.
제1 조리 기기(100-1)는 생성한 조리 콘텐츠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1050). 이때 외부 장치(200)는 서버, 스마트폰, PC 등에 해당될 수 있으며,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외부 장치(200)는 수신한 조리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S1060).
그리고 제2 조리 기기(100-2)는 외부 장치(200)가 저장한 복수의 조리 콘텐츠 중 특정 조리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S1070). 여기서 특정 조리 콘텐츠는,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썸네일 중 하나의 썸네일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경우, 선택받은 썸네일의 조리 콘텐츠일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200)는 제2 조리 기기(100-2)에 요청받은 조리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S1080). 그리고 제2 조리 기기(100-2)는 수신한 조리 콘텐츠를 이용하여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조리 기기(100-2)는 조리 콘텐츠로부터 제어 명령을 추출하여 이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조리 기기가 외부 장치를 통해 다양한 조리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바, 레시피 개발 및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0과 같은 제어 방법은, 도 2 또는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조리 기기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조리 기기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비일시적인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1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콘텐츠 활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제1 조리 기기(100-1)는 상술한 S1010 내지 S1040단계에 따라 조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1110). 그리고 제1 조리 기기(100-1)는 생성한 조리 콘텐츠를 제1 외부 장치(200-1)로 전송할 수 있다(S1120). 이때 제1 외부 장치(200-1)는 서버에 해당될 수 있으며,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1 외부 장치(200-1)는 수신한 조리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S1130). 그리고 제2 외부 장치(200-2)로부터 복수의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을 전송할 수 있다(S1140). 여기서 제2 외부 장치(200-2)는 스마트폰, PC, 노트북 등에 해당될 수 있으며,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외부 장치(200-2)는 수신한 복수의 썸네일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썸네일을 선택받을 수 있다(S1150). 제2 외부 장치(200-2)는 하나의 썸네일을 선택받으면, 선택받은 하나의 썸네일에 대한 조리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160).
그리고 제1 외부 장치(200-1)는 요청받은 조리 콘텐츠를 제2 외부 장치(200-2)에 전송할 수 있다(S1170). 그리고 제2 외부 장치(200-2)는 수신한 조리 콘텐츠로부터 편집 영상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표시한 편집 영상에 대한 진행 여부를 확인받을 수 있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표시한 편집 영상에 대한 진행을 확인받은 경우, 제2 외부 장치(200-2)는 조리 콘텐츠로부터 제어 명령을 추출하고, 추출한 제어 명령을 제2 조리 기기(100-2)에 송신할 수 있다(S1180). 여기서 제2 조리 기기(100-2)는 제2 외부 장치(200-2)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조리 기기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조리 기기(100-2)는 수신한 제어 명령을 기초로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190).
따라서, 본 개시의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제2 조리 기기를 통해 조리 콘텐츠의 선택을 수행하지 않고, 제2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바, 제2 조리기기에 편집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선택된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1과 같은 제어 방법은, 도 2 또는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조리 기기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조리 기기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비일시적인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5)

  1. 조리 기기에 있어서,
    조리 대상인 식품에 대한 조리를 수행하는 구동 장치;
    사용자로부터 상기 조리 기기의 조리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장치;
    상기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하기 위한 촬상 장치; 및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리 대상인 식품이 촬영되도록 상기 촬상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편집 영상 및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하는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이전 프레임 대비 변화가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 프레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조리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이전 프레임 대비 변화가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 프레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프레임 및 상기 확인된 프레임 이후의 기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조리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제어 명령으로 구성된 조리 모드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복수의 제어 명령 각각에 따라 상기 구동 장치의 동작이 변경되는 시점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조리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리 기기의 복수의 기능 중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기능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촬영된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중 일부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조리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리 동작 수행 중에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추가로 입력받으면, 상기 추가 제어 명령을 입력받은 시점의 프레임을 추가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추가 제어 명령을 추가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하는 조리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편집 영상에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이미지 및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상기 조리 콘텐츠를 생성하는 조리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조리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조리 콘텐츠로부터 제어 명령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복수의 조리 콘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썸네일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썸네일 중 하나의 썸네일을 선택받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되는 조리 콘텐츠를 수신하는 조리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조리 콘텐츠에서 편집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편집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표시된 편집 영상에 대한 진행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확인받으면 상기 수신된 조리 콘텐츠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
  11.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조리 기기의 조리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조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조리 대상인 식품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 영상 및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조리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이전 프레임 대비 변화가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 프레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이전 프레임 대비 변화가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 프레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프레임 및 상기 확인된 프레임 이후의 기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제어 명령으로 구성된 조리 모드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복수의 제어 명령 각각에 따라 상기 구동 장치의 동작이 변경되는 시점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리 기기의 복수의 기능 중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기능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촬영된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중 일부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 방법.
PCT/KR2019/011393 2018-09-13 2019-09-04 조리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0055029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859665.2A EP3846115A4 (en) 2018-09-13 2019-09-04 COOKING DEVICE AND ITS CONTROL PROCESS
US17/275,333 US11721053B2 (en) 2018-09-13 2019-09-04 Coo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814A KR20200030955A (ko) 2018-09-13 2018-09-13 조리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18-0109814 2018-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5029A1 true WO2020055029A1 (ko) 2020-03-19

Family

ID=6977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1393 WO2020055029A1 (ko) 2018-09-13 2019-09-04 조리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21053B2 (ko)
EP (1) EP3846115A4 (ko)
KR (1) KR20200030955A (ko)
WO (1) WO202005502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19745A (zh) * 2023-09-28 2023-12-29 火星人厨具股份有限公司 基于菜谱的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319745B (zh) * 2023-09-28 2024-05-24 火星人厨具股份有限公司 菜谱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908A (ko) * 2020-09-18 2022-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41611A (ko) 2020-09-25 2022-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11181A (ko) * 2021-07-13 2023-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3249334A1 (ko) * 2022-06-23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9455A (ja) * 2005-05-23 2006-12-07 Toshiba Corp レシピ作成キッチンシステムおよび調理機器
KR20080066161A (ko) * 2007-01-11 2008-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101559980B1 (ko) * 2014-04-11 2015-10-13 주식회사 컴투루 조리 방법 생성 장치,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23006A (ko) * 2014-08-20 2016-03-03 이효섭 레시피 컨텐츠의 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074522A1 (en) * 2015-09-10 2017-03-16 Brava Home, Inc. In-oven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747A (ko) 2005-02-02 2006-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서버용 전자렌지 조리영상표시시스템 및 그 방법
US9012814B2 (en) * 2007-01-11 2015-04-21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for cook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cooking device
KR101457087B1 (ko) 2014-02-07 2014-10-31 주식회사 아두봇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음식 요리 시스템
WO2015153667A2 (en) * 2014-03-31 2015-10-08 Gopro, Inc. Distributed video processing and selective video upload in a cloud environment
JP6439137B2 (ja) * 2014-10-17 2018-12-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360056B1 (ko) 2015-07-03 2022-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EP4140370A1 (en) * 2015-07-21 2023-03-01 Breville USA, Inc. Food preparation control system
US11388788B2 (en) * 2015-09-10 2022-07-12 Brava Home, Inc. In-oven camera and computer vision systems and methods
US20170188741A1 (en) * 2015-12-31 2017-07-06 C. Douglass Thomas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Cooking Information
KR102467319B1 (ko) 2016-03-11 2022-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및 그 제어방법
US10398260B2 (en) * 2016-03-1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15926A (ko) * 2016-08-04 201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8077562A (ja) 2016-11-07 2018-05-17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および加熱調理システム
EP3765970A4 (en) * 2018-03-14 2021-12-08 Hestan Smart Cooking, Inc. RECIPE CONVERS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9455A (ja) * 2005-05-23 2006-12-07 Toshiba Corp レシピ作成キッチンシステムおよび調理機器
KR20080066161A (ko) * 2007-01-11 2008-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101559980B1 (ko) * 2014-04-11 2015-10-13 주식회사 컴투루 조리 방법 생성 장치,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23006A (ko) * 2014-08-20 2016-03-03 이효섭 레시피 컨텐츠의 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074522A1 (en) * 2015-09-10 2017-03-16 Brava Home, Inc. In-oven camer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846115A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19745A (zh) * 2023-09-28 2023-12-29 火星人厨具股份有限公司 基于菜谱的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319745B (zh) * 2023-09-28 2024-05-24 火星人厨具股份有限公司 菜谱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51458A1 (en) 2022-02-17
KR20200030955A (ko) 2020-03-23
EP3846115A1 (en) 2021-07-07
US11721053B2 (en) 2023-08-08
EP3846115A4 (en)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55029A1 (ko) 조리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5037851A1 (ko) 스크린 샷 처리 디바이스 및 그 방법
WO2016068622A1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WO2019027090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95073A1 (zh) 一种视频处理方法、装置及图像系统
WO2015126044A1 (ko)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718858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7014394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WO2018076433A1 (zh) 多开应用程序方法、多开应用程序装置及终端
WO201715994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713134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6137134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60220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by using line interaction
WO2023153834A1 (ko) 편집 기능을 갖는 3d 웹사이트 제작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0226289A1 (en) Electronic apparatus, user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user terminal
WO2018048178A1 (en) Display device
WO2022065641A1 (ko)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87131A1 (ko) 조리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7188568A1 (en)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scrap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2034935A1 (ko) 맞춤 광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136615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63548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3234430A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39104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249334A1 (ko) 조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596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8596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