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54886A1 - 열분해 소각장치 - Google Patents

열분해 소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54886A1
WO2020054886A1 PCT/KR2018/010683 KR2018010683W WO2020054886A1 WO 2020054886 A1 WO2020054886 A1 WO 2020054886A1 KR 2018010683 W KR2018010683 W KR 2018010683W WO 2020054886 A1 WO2020054886 A1 WO 202005488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ozzle
unit
air
incineration
pyro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06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탄상원
안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티코리아
탄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티코리아, 탄상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티코리아
Priority to CA3116304A priority Critical patent/CA3116304A1/en
Priority to PCT/KR2018/010683 priority patent/WO2020054886A1/ko
Priority to US17/275,540 priority patent/US20210325036A1/en
Publication of WO202005488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548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2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a vertical, substantially cylindrical,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3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comminuting or cr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using gaseous or 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3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the waste being subjected to a whirling movement, e.g. cyclonic inci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0Portable or mobile inci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60Mobile furnace
    • F23G2203/601Mobile furnace carried by a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5/00Waste feed arrangements
    • F23G2205/12Waste feed arrangements using convey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yrolysis incineration device for incineration of waste and other fue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yrolysis incineration device capable of more effectively pyrolysis by increasing a combustion rate.
  • metal waste can be melted and reused, and food waste can be decomposed in a biological or chemical manner.
  • food waste can be decomposed in a biological or chemical manner.
  • Most wastes that are difficult to recycle or difficult to disassemble can be disposed of by incineration.
  • even other wastes that can be processed can be disposed of by incineration if necessary.
  • thermal energy can be obtained from wastes as fuel, which can be utilized.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other forms of usable energy sources through processes such as gasific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excessive combustion gas is generated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of fuel (waste), toxic components are mixed into the combustion gas, or excessively untreated residue is generated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Improvement was needed.
  •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nd to provide a pyrolysis incineration device capable of more effectively pyrolysis by increasing a combustion rate.
  • the pyrolysis and incineration apparatus includes a furnace having a combustion space therein, and a rod-shaped air introduction pip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combustion space to provide air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space, and A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for spray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introduction pip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concentrated nozzles radially dispos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at the top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and the first layer separation
  • a curtain nozzle unit for spray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introduction pip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diffusion nozzles arranged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at the bottom of the nozzle portion, and introducing the air below the curtain nozzle portion
  • At least one spray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introducing pipe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concentrated nozzles arranged radially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 a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portion a plurality of third concentration nozzles arranged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at the bottom of
  • the first diffusion nozzle may spray air so that at least a portion overlaps with air injected from the adjacent first diffusion nozzle.
  • the first concentrated nozzle may spray air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air injected from the adjacent first concentrated nozzle.
  • the first concentration nozzle may jet air in a straight lin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urnace in a horizontal direction.
  • the second diffusion nozzle sprays ai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the air injection area may be extended at an acute ang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jection direction.
  • the incineration unit is disposed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between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portion and the curtain nozzle portion and at the lower end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at a wider interval than the gap between the first concentration nozzles.
  • a blocking nozzl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arranged fourth concentration nozzles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incine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circulation nozzle unit for inject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introduction pipe including a diffusion nozzle.
  • the end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is located below the fuel inlet of the furnace and a blocking cover including a bevel surface may be combined.
  • the curtain nozzle portion and the circulation nozzle portion may form a pair of circulating flows circulat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in a space between the two.
  • the incine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gnition unit including a fluid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combustible fluid toward the fuel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space, and a heat source disposed in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combustible fluid inside the combustion space.
  • an ignition unit including a fluid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combustible fluid toward the fuel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space, and a heat source disposed in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combustible fluid inside the combustion space.
  • the incine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space, and a control unit to block the injection of the combustible fluid by controlling the fluid injection unit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exceeds a set temperature. .
  • the incine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heat exchange passage disposed to circulate around the furnace and heat exchange with the furnace therein.
  • the incineration unit further includes a stirring module that moves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urnace and stirs sediment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urnace, and a purge gas injection nozzle that sprays purge gas in a direction toward the precipitate on one side of the stirring module. It can contain.
  • the stirring module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ncludes a movable bar connected to a driving device and a contact ba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movable bar to perform a stirring operation, and the purge gas injection module is formed outside the movable bar, and inside the movable bar
  • a furnace may be connected to the purge gas injection nozzle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purge gas flows may be formed.
  • th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transport vehicle in which a loading space is formed, and the incineration unit is mounted in the loading space to incinerate incinerators.
  • th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obile fuel supply unit including a bogie part connected to the transport vehicle and a pulverization module mounted on the bogie part.
  • a mobile fuel supply unit including a bogie part connected to the transport vehicle and a pulverization module mounted on the bogie part.
  • the pyrolysis and inciner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ransport conveyor,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truck and the transport vehicle, and has both ends exte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ulverizing module and the upper fuel inlet of the furnace, respectively.
  • the car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transport vehicle by a traction device, and the transport conveyor may be loaded and transported in the loading space.
  • the incineration unit may be operated by moving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at the bottom and moving it out of the loading space.
  • one or more circulating spaces or circulating layers in which fluid circulation is performed in an incinerator can be solved to eliminate local temperature differences and maintain the processing temperature uniformly.
  • the air required for combustion is also circulated in the circulation space and can be supplied very efficiently.
  • by using a finely structured and organically arranged air circulatio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form such a fluid circulation space or circulation layer very effectively.
  •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recover the thermal energy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the combustion process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nd the generation of sediment and the like during combustion can be minimized to continuously process.
  • incinerator it is possible to move the incinerator to a place that requires treatment of waste, etc., so that it can be easily pyrolysed at the place, and it can be crushed and put directly in the treatment place, so it is very convenient and efficient to perform pyrolysi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cineration unit of th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of FIG. 1.
  • FIG.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air introduction pipe and each nozzle part of the incineration unit of FIG. 2.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a curtain nozzle unit, and a cut-off nozzle unit between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and the curtain nozzle unit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and the circulation nozzle unit cut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circulation nozzle part cut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an air introducing pipe.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t-off nozzle portion cut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 FIG. 8 and 9 are operation views of the incineration unit of FIG. 2.
  • FIG. 10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incineration unit of FIG. 2.
  • FIG. 11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incineration unit of FIG. 2.
  • FIG. 12 is a block diagram of a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showing an incineration unit and a mobile fuel supply unit of th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of FIG. 13.
  • FIG. 14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entire pyrolysis and incineration apparatus of FIG. 12.
  • 15 is a block diagram of a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cineration' has the same meaning as 'fuel' and may be waste. Fuel or incineration or waste are all the same in that they are injected into the furnace and burned. Therefore, even if it is described as fuel or incineration or waste in the specifica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is refers to the same object that is all introduced and burned in the furnac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cineration unit of th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of FIG. 1
  • FIG. 3 is air of the incineration unit of FIG. It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troduction pipe and each nozzle. (FIG. 2 is shown without the conveyor of FIG. 1 and the air supply structure is further shown).
  • th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1 can form a plurality of fluid circulation spaces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nside the furnace 10 of the incineration unit 1b to perform pyrolysis treatment more effectively. That is, the incineration unit 1b is a furnace 10 (furnace) in which a combustion space (see 10a in FIG. 2) is formed therein, and a rod provided vertically inside the combustion space and providing air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space.
  • the incineration unit 1b is a furnace 10 (furnace) in which a combustion space (see 10a in FIG. 2) is formed therein, and a rod provided vertically inside the combustion space and providing air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space.
  • It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 structures arranged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each of the shape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and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It is formed in a characteristic structure including a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10, a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30, a curtain nozzle unit 120, and a circulation nozzle unit 140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 each nozzle unit is made of a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nozzles (concentrated nozzles, diffusion nozzles) of a single type or different types arranged organically with each other, and these structures are variously applied in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positions. do.
  • a plurality of circulating spaces (or circulating layers) made of different layers can be very effectively formed in the combustion space in the furnace 10 by using the nozzle structure or the arrangement of the nozzles.
  • the present invention can strengthen or adjust the fluid circulation structure in the combustion space by including the blocking nozzle unit 160 and the recirculation nozzle unit 150, and unnecessarily scattering of residue or sediment burned in the combustion space. You can also stop things.
  •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see 110 in FIG. 2),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see 130 in FIG. 2), the curtain nozzle unit (see 120 in FIG. 2), and the circulation nozzle unit (FIG. 2) (See 140 in), using the nozzle structure or the arrangement of the nozzle of the shut-off nozzle unit (see 160 in FIG. 2), the recirculating nozzle unit (see 150 in FIG. 2), the combustion space in the furnace 10 is clearly partitioned from each other.
  • a variety of useful effects can be obtained, such as forming an air circulation layer (or circulation space), maintaining it continuously, strengthening or adjusting the fluid circulation structure, and reducing scattering of debris and sediments in the combustion space. . Due to this, a very effective pyrolysis treatment is possible.
  • the incineration unit 1b is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structure described in detail) and organically disposed in the furnace 10 having a combustion space therein,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inside the furnace 10, and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Nozzle structure and nozzle arrangement structure of one nozzle part).
  •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furnace 10 is formed of a cylinder having a combustion space 10a formed therein.
  • the furnace 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may be deformed into other shapes as necessary.
  • the furnace 10 may be formed in various various forms within a limit in which a combustion space is formed inside.
  • the furnace 10 may be made of metal and may include a metal or other material other than metal, such as a heat storage material.
  • An exhaust port 12 for exhausting combustion gas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urnace 10 and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an external exhaust pipe.
  • a fuel inlet 1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urnace 10 to receive fuel such as waste through the fuel inlet 11.
  • a transfer conveyor (see 20 in FIG. 1) is disposed above the fuel inlet 11 of the furnace 10 to continuously supply fuel (which may be crushed incinerator composed of waste, etc.).
  • a heat exchange passage 13 is installed around the furnace 10 as shown in FIG. 2. That is, it may be disposed to circulate around the furnace 10 and may include a heat exchange passage 13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fluid passes.
  • the heat exchange passage 13 heats the heat exchange fluid passing through the inside with the furnace 10, there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 fluid.
  • a fluid such as water may be used as a heat exchange flui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heat exchange passage 13 and then discharge it.
  • an injection pipe 13a and a discharge pipe 13b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 passage 13 are formed, so that the heat exchange fluid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pipe 13a,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 passage 13, and then discharge pipe 13b. Can be discharged.
  • the furnace 10 may be used alone, but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incineration units 1b are mounted, a plurality of furnace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used as a module unit.
  • an air introduction pipe 100 is installed inside the combustion space of the furnace 10, as described above.
  •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may receive air from an air supply pipe 170 connected to one side (which may be lower) of the furnace 10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 the air supply pipe 170 is again connected to an air supply structure (for example, may include an air blower, a pump, and a storage tank if necessary) to receive air and provide air to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side. have.
  •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combustion space as shown.
  •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is formed in a rod shape and the end is closed as shown.
  • the end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is located below the fuel inlet 11 of the furnace 10, and a blocking cover 101 including a comb 101a can be coupled. That is, fuel such as waste may be injected from the fuel inlet 11 positioned above the air introducing pipe 100 and the end portion (especi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introducing pipe 100 is oblique to prevent the fuel from falling.
  • It may be formed of a closed structure including (101a).
  • the blocking cover 101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or the like, if necessary.
  • the inclined surface 101a may be modified in various various forms including an inclined surface formed of a flat surface or a curved surface.
  • each nozzle portion is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and a plurality of nozzles are formed by radially arranging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respectively.
  • each nozzle unit serves to divide and maintain the above-described air circulation space (or circulation layer)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induces more effective air circulation inside the circulation space or the circulation layer And amplifies the combustion effect and prevents heat leakage [curtain nozzle part, circulation nozzle part, recirculation nozzle part], prevents scattering of combustion debris, etc. and reduces heat leakage with the layer separation nozzle part [blocking] Nozzle part]
  • One or more nozzles of various types are formed by organically combining to more effectively perform the like.
  • each nozzle unit may be arranged in the order shown in FIG. 2. That is,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10, the blocking nozzle unit 160, and the curtain nozzle unit 120 are arranged in pairs on the top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and the second under the curtain nozzle unit 120.
  • the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30 and the circulation nozzle unit 140 are arranged in pairs, and at least one is disposed, and a recirculation nozzle unit 150 spaced apart from the circulation nozzle unit 140 is disposed below the circulation nozzle unit 140,
  • the blocking nozzle unit 160 may be disposed again at the lower end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 FIG.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air introduction pipe and each nozzle unit of the incineration unit of FIG. 2, and FIG. 4 is a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a curtain nozzle unit, and a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between the curtain nozzle unit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off nozzle part cut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air introducing pipe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part and the circulation nozzle part cut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air introducing pipe
  • Fig. 6 is a recirculating nozzle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cut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t-off nozzle portion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centrated nozzles 111 arranged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on the top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Includ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is injected.
  • the first concentration nozzle 111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injection port does not change as shown in FIG. 3, and thus the air A is injected in a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 4 (a). That is, the first concentration nozzle 111 injects air (A) in a straight lin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urnace (see 10 in FIG. 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lso, the air injected from the adjacent first concentration nozzle 111 ( Air is injected so as not to overlap with A).
  • air (A) flows that are sprayed in a straight line from different first concentration nozzles 111 and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are formed.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centration nozzles 111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cessary.
  •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10 may use the first concentration nozzle 111 to form a layer of air diffused in a radial shape that does not overlap with each other on the top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10 may use this to block the flow of heat to the upper portion with the blocking nozzle uni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prevent leakage of heat.
  • fuel such as waste may pass through it and easily fall in the direction of gravity.
  •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30 may also be formed in the same form as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10 to exhibit the same effect.
  • the curtain nozzle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diffusion nozzles 121 arranged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at the bottom of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10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diffusion nozzle 121 has a diameter of an injection hole that extends from the end. Therefore, as shown in FIG. 4 (c), the injection region of the air A is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jection direction. Due to this, the air A injected from the first diffusion nozzle 121 may overlap with the air A injecte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adjacent first diffusion nozzle 121.
  • the first diffusion nozzle 121 sprays air so that at least a portion overlaps with the air A injected from the adjacent first diffusion nozzle 121.
  • air (A) flows in the form of a curtain that is widely sprayed radially at least partially from the different first diffusion nozzles 121 in a form overlapping each other.
  • air (A)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FIG. 3 perpendicular to the injection direction.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diffusion nozzles 121 may also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cessary.
  • the curtain nozzle unit 120 may use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diffusion nozzle 121 to form a very wide extended air injection area at the upper end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Through this, the flow of fluid passing through the curtain nozzle unit 120 can be effectively blocked, and thus gas, which has not already been burned, can be maintained under the curtain nozzle unit 120 to be more completely burn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incompletely burned gas and the like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top of the furnace (see 10 in FIG. 2). In addition, since the air (A) is supplied in a relatively large amount,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form a circulating flow, and at the same time, by increasing the air (A) supply amount, the thermal reaction can be rapidly promoted.
  • a blocking nozzle unit 16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10 and the curtain nozzle unit 120 and at the lower end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as shown in FIG. 3.
  • the blocking nozzle unit 160 is disposed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ourth concentration nozzles 161 arranged at wider intervals than the intervals between the first concentration nozzles 111 .
  • the fourth concentration nozzle 161 is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ncentration nozzle 111 described above. Therefore, air A can be injected in a straight line. That is, it is possible to form a radial air (A) flow that is injected in a straight line having a relatively sparse arrangement as shown in Figure 4 (b) to the blocking nozzle 160.
  • the blocking nozzle unit 160 may have the same shap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to form the same air (A) flow as illustrated in FIG. 7.
  • the blocking nozzle unit 160 is located at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to effectively prevent scattering of impurities, etc., generated during combustion.
  • the blocking nozzle unit 160 at the bottom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furnace (see 10 in FIG. 2) (or the combustion space in the furnace), so that combustion sediment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urnace 10 is stored. You can prevent it from moving upwards.
  • the blocking nozzle unit 160 is formed in the form of a nozzle of a non-diffusion centralized nozzle (fourth concentration nozzle) and the gaps between the nozzles are arranged widely, thereby interacting with combustion sediments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urnace 10. Can be minimized.
  • the blocking nozzle unit 160 is formed in a form capable of minimizing the flow of unnecessary deposits or debris.
  • the blocking nozzle unit 160 at the upper end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has a wider inter-nozzle spacing than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10 described above, so that fuel such as waste passes through it and is easily mov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t can fall.
  •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ncentration nozzles 131 arranged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below the curtain nozzle unit 120. Includ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is injected.
  • the second concentration nozzle 13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concentration nozzle 111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structure of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30 or the arrangement of the nozzle is also the structure of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10 described abov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ir flow generated thereby is formed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ir flow in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10 (see FIG. 5 (a)).
  •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10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and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30 is located at least one is formed below the curtain nozzle unit 120 described above. There is a difference in my number. That is,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30 may exert the same effect as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10 described above at a different location from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10.
  • a plurality of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s 130 may b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as shown.
  •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30 is formed in a pair with the circulation nozzle unit 140 at the bottom thereof, so, as with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30, at least one circulation nozzle unit 140 is formed. You can.
  •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30 is used to divide one or more fluid circulation spaces, and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30 is formed using a circulation nozzle section 140 formed in pairs at the bottom of the circulation space. Fluid circulation can be created very effectively inside.
  • the circulation nozzle unit 140 is between the plurality of third concentration nozzles 141 and the third concentration nozzles 141 arranged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at the bottom of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30.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diffusion nozzles 142 disposed in,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is injected.
  • the third concentration nozzle 14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concentration nozzle and the second concentration nozzle described above
  • the second diffusion nozzle 142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diffusion nozzle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air is inject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third concentration nozzle 141, and the injection region can be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jection direction with the second diffusion nozzle 142.
  • the second diffusion nozzle 142 sprays air in a horizontal direction, but the air injection area may be extended at an acute ang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jection direction.
  • the third concentration nozzle 141 and the second diffusion nozzle 142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to expand the spray region between the flows of air A injected in a straight line.
  • the flow of air (A) can be organically formed.
  • the circulation nozzle unit 140 can very easily create a circulating fluid flow by using the third concentration nozzle 141 and the second diffusion nozzle 142 together.
  • the second diffusion nozzle 142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diffusion nozzle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same effect as the diffusion nozzle described above. That is, since the air (A) is relatively largely injected and supplied, a circulating flow can be more easily 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heat reaction can be rapidly promoted by increasing the air (A) supply.
  • air (A) flow can be indu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FIG. 3 perpendicular to the injection direction.
  • a recirculation nozzle unit 150 spaced apart from the circulation nozzle unit 140 is formed under the circulation nozzle unit 140.
  • the recirculation nozzle unit 150 is disposed at the highest temperature inside the combustion space and is formed alone. That is, unlike the pair of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the curtain nozzle unit, and the blocking nozzle unit between the two and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and the circulation nozzle unit, the recirculation nozzle unit 150 is a combustion space. It is arranged alone without pairing with another nozzle part at the point where the temperature inside is the highest.
  • the recirculation nozzle unit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circulation nozzle unit 140 under the circulation nozzle unit 14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fth concentrated nozzles 151 and fifth arranged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Including a plurality of third diffusion nozzles 152 disposed between the centralized nozzles 151, air supplied from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is injected.
  • the recirculation nozzle unit 150 is formed alone to enhance the fluid circulation effect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at is, the fifth concentrated nozzle 151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concentrated nozzle, the second concentrated nozzle, the third concentrated nozzle, and the fourth concentrated nozzle described above, and the aforementioned first diffused nozzle and second diffused nozzle substantially A fluid flow can be created using a combination of the same third diffusion nozzle 152 (see FIG. 6).
  • the effect of expanding the injection region of the third diffusion nozzle 152 it is possible to form a circulating flow by inducing air flow in a direction not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also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it (that is, including the up and down direction). It can perform this function by being placed alone at the highest temperature of.
  • the point where the recirculation nozzle unit 150 is disposed may be, for example, a point between the blocking nozzle unit 160 at the bottom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and the circulation nozzle unit 140 above it.
  •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10,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30, the curtain nozzle unit 120, and the circulation nozzle unit 140 that are combined in different forms and organically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
  • the shut-off nozzle unit 160 and the recirculating nozzle unit 150 the combustion space can be properly partitioned and an effective fluid flow in the partitioned space can be formed to proceed with the combustion process. Due to this, the heated fluid inside the combustion space is circulated in each space during combustion, preventing unnecessary concentration of heat and making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furnace more uniform.
  • the fluid flow is achieved by injection of air, combustion is promoted at a point where air is injected, and thus combustion efficiency may be greatly increased.
  • FIG. 8 and 9 are operation views of the incineration unit of FIG. 2.
  • the fluid circulation space in the furnace 10 may be formed as shown.
  • the blocking nozzle at the lower end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A plurality of fluid circulation spaces, which ar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entire combustion space 10a, are sequentially formed between the unit 160 and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130 to increase combustion efficiency.
  • the curtain nozzle part 120 at the bottom of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part 110 and the circulation nozzle part 140 at the bottom of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part 130 have the aforementioned diffusion nozzles (first diffusion nozzle, second part).
  • a pair of circulating flows A1 and A2 circul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can be formed as shown.
  • the air A injected from the diffusion nozzle is inj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since the injection area is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ir, the vertical velocity component is included in addition to the horizontal velocity compon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m a fluid flow (circulating flow) that circulates more effectively inside the partitioned circulation space using the components of the air flow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downward component of the air (A) injected from the curtain nozzle unit 120 and the upward component of the air (A) injected from the circulation nozzle unit 140 are opposite to each other like a gear in a partitioned space between the two. By rotating in engagement with each other can form a pair of circulating flow (A1, A2) to compensate for the rotational force between each other.
  • the pair of circulating flows may be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form between different circulating nozzle parts 140 and between the circulating nozzle part 140 and the recirculating nozzle part 150, and the recirculating nozzle part ( 150) and the blocking nozzle unit 160 at the bottom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may be formed in a similar form. That is, by the diffusion effect of the air (A) of the nozzle unit including the diffusion nozzle (the first diffusion nozzle of the curtain nozzle unit, the second diffusion nozzle of the circulation nozzle unit, and the third diffusion nozzle of the recirculation nozzle unit), at least 2 within the divided circulation space.
  • the circulating streams of the dogs are paired and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facilitate circulation of the fluid in the combustion space.
  • each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a plurality of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is a concentrated nozzle (first concentration nozzle of the first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second concentration nozzle of the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It is possible to very easily form a fluid circulation spac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circulating flow and the like are partitioned by partitioning the combustion space 10a as shown and focusing without dispersing the air (A) flow.
  • the blocking nozzle unit 160 may be located at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as described above to effectively prevent scattering of impurities, etc., generated during combustion.
  • the air (A) flow is formed inside the combustion space (10a) and the thermal decomposition process can be very efficiently performed.
  • the pyrolysis process fuel such as incinerator or waste crushed through the fuel inlet 11 is continuously injected.
  • the temperature inside the furnace 10 may be increased to a temperature of 1000 degrees Celsius or more by the heat of combustion, and the generated high temperature thermal energy may be stored in a heat storage material constituting the outer wall of the furnace 10. In addi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transfer heat energy to the heat exchange passage 13 surrounding the furnace 10 very easily.
  • the heat exchange fluid (B) i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ipe 13a as described above and heated in the heat exchange passage 13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13b and then used in various ways.
  • the combustion gas C may be exhausted to the exhaust port 12 at the top of the furnace 10.
  • the above-described flow of circulating flow is generated inside each circulation space, and through the rising space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or furnace 10 having relatively little influence of the circulation flow.
  • the combustion gas C may rise and be discharged. That is, the combustion gas (C) is circulated repeatedly along the fluid flow circulating in each partitioned space to be completely burned, and then rises through the rising space adjacent to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or the inner wall of the furnace 10 and naturally Is discharged.
  • the combustion gas (C) is circulated repeatedly along the fluid flow circulating in each partitioned space to be completely burned, and then rises through the rising space adjacent to the air introduction pipe 100 or the inner wall of the furnace 10 and naturally Is discharged.
  • FIG. 10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incineration unit of FIG. 2
  • FIG. 11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incineration unit of FIG. 2.
  • the incineration unit (1b) includes a fluid injection unit 210 for injecting a combustible fluid toward the fuel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space, and a heat source 221 disposed in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combustible fluid inside the combustion space It may include an ignition unit 220.
  • the fluid injection unit 210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nozzle refracted at a certain angle, and a plurality of fluid injection units 210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toward the center of the combustion space.
  • the fluid injection unit 210 may spray a combustible fluid such as oil.
  • the ignition unit 220 may be formed such that a temperature-adjustable heat source 221 (for example, a heating element such as a heating wire or other heat storage material combined) may be located inside the combustion space.
  • a temperature-adjustable heat source 221 for example, a heating element such as a heating wire or other heat storage material combined
  • the fuel injection part 210 injects a combustible fluid while a certain amount of fuel is injected into the furnace 10 and the heat source 221 is heated, automatic ignition in the combustion space is possible.
  • the ignition process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30 and the control unit 240. That is, the incineration unit 1b controls the fluid injection unit 210 when the temperature sensor 23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space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230 exceed the set temperature to eject the combustible flui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240 to block. At the start of the operation, automatic ignition can be star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 the temperature sensor 230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bustion space and exceed the set temperature (for example, may be 200 degrees Celsius) to control the fluid injection unit 210 to control the injection of flammable fluids. Through this control, the pyrolysis process can be more conveniently performed.
  • the incineration unit 1b may include a stirring module 300 that moves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urnace 10 and stirs sediment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urnace 10.
  • Agitation module 300 may be used to automatically mix the precipitate inside the furnace 10 without changing the combustion atmosphere in the furnace 1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tinue the pyrolysis process without interruption while automatically stirring the residues of unburned fuel with the stirring module 300.
  • the stirring module 300 may include, for example, a movable bar 310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ontact bar 311 connected to the end of the movable bar 310, and the like.
  • the movable bar 310 is operat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ontact bar 311 and agitation may be performed.
  • the movable bar 310 may be connected to a driving device 320 and the like, and the driving device 320 may include an actuator such as a motor, chain, belt, or gear, and a power transmission means connected thereto.
  • the incineration unit 1b may include a purge gas injection nozzle 312 for injecting purge gas (refer to the dotted dotted portion outside 312) in a direction toward the sediment on one side of the stirring module 300.
  • the purge gas injection nozzle 312 may be formed outside the movable bar 310 as illustrated, and a flow path connected to the purge gas injection nozzle 312 may be formed inside the movable bar 310.
  • the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purge gas pipe 330 to allow the purge gas to flow therein.
  • the purge gas can be provided by high pressure air, etc., and it can be effectively stirred up to the remaining precipitate by spraying it.
  • the purge gas may also serve as a refrigerant for cooling the stirring module 300. That is, when the stirring module 30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the like, which may be overheated by heat in the combustion space, flow through the inside of the movable bar 310 or the like and use purge gas injected around the stirring module 300 Thus, the stirring module 300 may be cooled to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Through this, the stirring module 300 operates more smoothly, and a double effect in which precipitates are more easily stirred can be obtained. Using the incineration unit 1b in which the stirring module 30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pyrolysis process can also be very effectively performed.
  • FIGS. 12 to 14 a thermal decomposition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escriptions of matters not mentioned separately will be replaced by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s.
  • FIG. 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showing an incineration unit and a mobile fuel supply unit of th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of FIG. 12
  • FIG. 14 is a pyrolysis of FIG. 12 It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entire incinerator.
  • th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1-1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incineration unit 1b can be moved. That is, th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ort vehicle 1a in which a loading space is formed, and an incineration unit 1b mounted in the loading space to incinerate incinerators. The incinerator is put into the furnace 10 of the incineration unit 1b and burned to be thermally decomposed.
  • the pyrolysis incineration device 1-1 can be moved by mounting the incineration unit 1b on the transport vehicle 1a, and through this, it can quickly move to a processing place to proceed with pyrolysis treatment of burning incinerators such as wastes as fuel.
  • the pyrolysis incineration device 1-1 includes a mobile fuel supply unit 1c including a truck unit 40 connected to the transport vehicle 1a and a grinding module 50 mounted on the truck unit 40. (In other words, incineration of waste, etc.) can be provided in an easily processable state, and the fuel can be conveniently supplied using a transport conveyor 20 installed between the truck 40 and the transport vehicle 1a. have.
  • th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1-1 may be largely composed of a transport vehicle 1a, an incineration unit 1b, and a mobile fuel supply unit 1c, as shown in FIGS. 12 and 13.
  • the incineration unit 1b is mounted in the loading space of the transport vehicle 1a as shown and can move together with the transport vehicle 1a. Therefore, the thermal decomposition treatment can be smoothly performed using the incineration unit 1b at various treatment locations.
  • the incineration unit 1b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furnace 10 and the like are coupled to the base portion 30. In addition to the furnace 10, a control panel, an air blower, a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etc. are integrated in the base portion 30.
  • the incineration unit 1b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unit having independence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operated by moving outside the loading space of the transport vehicle 1a.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cineration unit 1b, and it is possible to move the outside of the loading space to operate.
  • a movable fuel supply unit 1c is connected to the transport vehicle 1a on which the incineration unit 1b is mounted to move together.
  • the mobile fuel supply unit 1c includes a truck unit 40 connected to the transport vehicle 1a and a grinding module 50 mounted on the truck unit 40.
  • the grinding module 50 may include a grinding blade that overlaps and rotates with each other. When incineration is put between the grinding blades, it is finely crushed and discharged, so combustion is very easy. Therefore, by moving the crushing module 50 mounted on the cart 40 together with the incineration unit 1b, it is very easy to crush various types of incinerators or various types of incinerators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processing site. Pyrolysis treatment is possible.
  • Transfer conveyor 20 may be installed.
  • the incineration object (ie, fuel) crushed by the transport conveyor 20 can be immediately transported and supplied to the incineration unit 1b.
  • the transport conveyor 20 can be detachably installed, and thus can easily respond even when the position between the transport vehicle 1a and the mobile fuel supply unit 1c is varied during movement. That is, the cart 40 is connected to the transport vehicle 1a by a traction device 41, etc., so that the relative position with the transport vehicle 1a is variable and can be operated. At this time, the transport conveyor 20 is transported separately. It can be loaded and transported in the loading space of the vehicle 1a.
  • the loading capacity of the transport vehicle 1a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r number of the incineration unit 1b, and the size or number of the mobile fuel supply unit 1c can als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incineration unit 1b. have. If necessary, one or more incineration units 1b may be mounted and moved in the loading space of the transport vehicle 1a. The size of the incineration unit 1b, the loading amount, the supply capacity of the mobile fuel supply unit 1c, etc.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satisfy the pyrolysis processing capacity required at the processing location.
  • the incineration unit 1b is configured as a unit type having independence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mounted while changing one or more of them.
  • incinerators can be more effectively processed at a treatment site by using the thermal decomposition incinerator 1-1 including such an incineration unit 1b.
  • incineration materials ie, fuel
  • wastes discharged from the treatment site can be injected into the pulverization module 50 of the mobile fuel supply unit 1c to be finely pulverized, and the conveying conveyor 20 )
  • the incineration unit 1b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ncineration unit 1b.
  • fluid flows that are circulated organically and circulated by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re formed, so that the combustion rate is greatly increased, thereby enabling more effective pyrolysis.
  • the incineration unit 1b can be quickly moved to the corresponding treatment place by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 vehicle 1a, this thermal decomposition process can be easily performed even if there is no appropriate treatment facility at the treatment place. .
  • 15 is a block diagram of a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hermal decomposition incineration apparatus 1-2 is formed to include an access step (31).
  • the access stair 31 is installed to allow access to the loading space of the transport vehicle 1a as shown.
  • the access stair 31 may include a portion located in the loading space and a portion located between the loading space and the ground (referring to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place where the transport vehicle is stopped), and the two portions may be combined by a hinge. Therefore, as shown in Figure 15 (b) is folded or unfolded can be formed to be accessible to the incineration unit (1b).
  • one or more incineration units 1b are mounted in a loading space, and an access stair 31 is installed between them to easily form access to workers.
  • the access step 31 can be folded and transformed into an easy-to-move state as shown in FIG. 15 (b), and the access step 31 as shown in FIG.
  • the operation of the incineration unit 1b and the like can be carried out in a state in which an operator and the like are easily accessible. In this way, the pyrolysis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very easily at the treatment site.
  • Transport vehicle 1b Incineration unit
  • Mobile fuel supply unit 10 Furnace
  • first concentrated nozzle 120 curtain nozzle unit
  • first diffusion nozzle 130 second layer separation nozzle unit
  • second concentrated nozzle 140 circular nozzle unit
  • third diffusion nozzle 160 blocking nozzle unit
  • fluid injection unit 220 ignition unit
  • heat source 230 temperature sensor
  • control unit 300 stirring module
  •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one or more circulating spaces or circulating layers in which fluid circulation in the incinerator is formed, to solve local temperature differences, etc., to maintain a uniform treatment temperature, and to circulate air required for combustion in the circulating spaces. It can supply very efficiently, and it is very useful for waste treatment because it can form such a fluid circulation space or circulation layer very effectively by using a finely structured and organically arranged air circulation structu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recover the thermal energy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and minimize the generation of sediment during combustion, so that the treatment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Pyrolysis is possible, and waste can be directly crushed at the treatment site, so it can be used throughout the waste treatment and related indust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연소율을 높여 보다 효과적으로 열분해가 가능한 열분해 소각장치가 제공된다. 열분해 소각장치는, 연소공간이 형성된 퍼니스(furnace)와, 연소공간 내부에 설치된 봉 형상의 공기도입관과, 공기도입관 상단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1집중노즐을 포함하는 제1층분리노즐부와, 제1층분리노즐부 하단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1확산노즐을 포함하는 커튼노즐부와, 커튼노즐부 하방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2집중노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층분리노즐부, 및 제2층분리노즐부 하단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3집중노즐과 상기 제3집중노즐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2확산노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노즐부를 포함하는 소각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열분해 소각장치
본 발명은 폐기물 등의 연료를 소각하여 처리하는 열분해 소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율을 높여 보다 효과적으로 열분해가 가능한 열분해 소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물품이 제조되어 사용되는 만큼 폐기물도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가 형성된다. 플라스틱에서부터 금속, 음식 쓰레기와 같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폐기물이 버려지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들은 환경오염 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절히 처리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금속 폐기물의 경우 용융시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음식 쓰레기와 같은 경우는 생물학적, 화학적 방식 등으로 분해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처리가 어려운 여러 가지 물품이 존재한다. 재활용이 어렵거나 쉽게 분해하기도 어려운 대부분의 폐기물들은 소각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처리가 가능한 폐기물이라도 필요에 따라 소각하여 처리할 수 있다.
폐기물을 소각하여 처리하는 경우에는, 폐기물을 연료로 하여 열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가스화 등의 과정을 통해 다른 형태의 사용 가능한 에너지원을 얻을 수도 있다. 반면, 연료(폐기물)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연소가스가 과도하게 발생하거나, 연소가스에 유독 성분이 섞여 배출되거나, 불완전 연소로 인해 완전히 처리되지 않은 찌꺼기 등이 과량 생성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였다.
또한, 폐기물 처리설비 등이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즉시 폐기물을 처리하여야 할 필요가 생길 수 있고, 처리설비 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화장치 등도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아 보다 효과적으로 소각하여 처리해야 할 필요가 있으나, 이에 대해서도 마땅한 해결책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4535, (2017.03.0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소율을 높여 보다 효과적으로 열분해가 가능한 열분해 소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열분해 소각장치는, 내부에 연소공간이 형성된 퍼니스(furnace)와, 상기 연소공간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연소공간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를 제공하는 봉 형상의 공기도입관과, 상기 공기도입관 상단에 상기 공기도입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1집중노즐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도입관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사하는 제1층분리노즐부와, 상기 제1층분리노즐부 하단에 상기 공기도입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1확산노즐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도입관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사하는 커튼노즐부와, 상기 커튼노즐부 하방에 상기 공기도입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2집중노즐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도입관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층분리노즐부와, 상기 제2층분리노즐부 하단에 상기 공기도입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3집중노즐 및 상기 제3집중노즐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2확산노즐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도입관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노즐부를 포함하는 소각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확산노즐은 인접한 제1확산노즐에서 분사되는 공기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1집중노즐은 인접한 제1집중노즐에서 분사되는 공기와 중첩되지 않도록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1집중노즐은 수평 방향으로 상기 퍼니스의 내측면에 직선형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2확산노즐은 수평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되 분사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의 분사영역이 예각을 이루며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소각유닛은, 상기 제1층분리노즐부와 상기 커튼노즐부의 사이 및 상기 공기도입관의 하단에 상기 공기도입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집중노즐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제4집중노즐을 포함하는 차단노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각유닛은, 상기 순환노즐부 하부에 상기 순환노즐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공기도입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5집중노즐 및 상기 제5집중노즐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3확산노즐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도입관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사하는 재순환노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도입관의 끝단부는 상기 퍼니스의 연료 투입구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빗면을 포함하는 차단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튼노즐부와 상기 순환노즐부는 둘 사이의 공간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순환하는 순환류의 쌍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소각유닛은, 상기 연소공간으로 투입된 연료를 향해 가연성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 및 상기 연소공간 내부의 상기 가연성유체의 분사방향에 배치된 열원을 포함하는 점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각유닛은, 상기 연소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유체분사부를 제어하여 상기 가연성유체의 분사를 차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각유닛은, 상기 퍼니스 둘레를 순환하도록 배치되어 내부로 퍼니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각유닛은, 상기 퍼니스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퍼니스 저면에 쌓인 침전물을 교반하는 교반모듈, 및 상기 교반모듈의 일 측에 상기 침전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퍼지가스를 분사하는 퍼지가스 분사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모듈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구동장치에 연결된 가동바와, 상기 가동바 끝에 연결되어 교반작업을 진행하는 접촉바를 포함하고, 상기 퍼지가스 분사모듈은 상기 가동바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동바 내부로는 상기 퍼지가스 분사노즐과 연결되며 퍼지가스를 유동시키는 유동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분해 소각장치는, 적재 공간이 형성된 이송차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각유닛은 상기 적재공간에 탑재되어 소각물을 소각할 수 있다.
상기 열분해 소각장치는, 상기 이송차량에 연결된 대차부와, 상기 대차부에 탑재된 분쇄모듈을 포함하는 이동식 연료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분해 소각장치는, 상기 대차부와 상기 이송차량 사이에 설치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분쇄모듈의 하부와 상기 퍼니스의 연료 투입구 상부로 연장된 이송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차부는 상기 이송차량에 견인장치로 연결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적재공간에 적재되어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소각유닛은 하부에 복수 개의 이동바퀴가 형성되어, 상기 적재공간 외부로 이동시켜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각로(furnace) 내 유체 순환이 이루어지는 순환공간 또는 순환층을 하나 또는 그 이상 형성하여 국부적인 온도 차 등을 해소하고 균일하게 처리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소에 필요한 공기도 순환공간 내에서 순환시키며 매우 효율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다. 또한, 세밀하게 구조화되고 유기적으로 배치된 공기 순환구조를 이용하여, 이러한 유체 순환공간 또는 순환층을 매우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소과정에서 생성된 열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고, 연소과정을 효율적으로 진행 가능하며, 연소 시 침전물 등의 발생도 최소화하여 연속적으로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등의 처리가 필요한 장소로 소각로를 이동시켜 해당 장소에서 매우 용이하게 열분해 처리할 수 있으며, 처리장소에서 폐기물 등을 바로 분쇄하여 투입이 가능하므로 매우 편리하고 효율적인 열분해 처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분해 소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열분해 소각장치의 소각유닛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소각유닛의 공기도입관 및 각 노즐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층분리노즐부, 커튼노즐부, 및 제1층분리노즐부와 커튼노즐부 사이의 차단노즐부를 공기도입관의 해당 위치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제2층분리노즐부, 및 순환노즐부를 공기도입관의 해당 위치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재순환노즐부를 공기도입관의 해당 위치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차단노즐부를 공기도입관의 해당 위치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2의 소각유닛의 작동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소각유닛의 제1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의 소각유닛의 제2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분해 소각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3의 열분해 소각장치의 소각유닛 및 이동식 연료공급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열분해 소각장치 전체의 작동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분해 소각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소각물'은 '연료'와 동일한 의미이며 폐기물 등일 수 있다. 연료 또는 소각물 또는 폐기물은 소각유닛의 퍼니스 내부로 투입되어 연소되는 점에서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명세서 상에서 연료 또는 소각물 또는 폐기물 등으로 기재하더라도 이는 모두 퍼니스 내 투입되어 연소되는 동일 대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분해 소각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분해 소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열분해 소각장치의 소각유닛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소각유닛의 공기도입관 및 각 노즐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컨베이어가 없는 상태로 도시되었고 공기 공급구조가 추가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분해 소각장치(1)는 소각유닛(1b)의 퍼니스(10) 내부에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유체 순환공간을 형성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열분해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즉, 소각유닛(1b)은 내부에 연소공간(도 2의 10a참조)이 형성된 퍼니스(10)(furnace)와, 연소공간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연소공간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를 제공하는 봉 형상의 공기도입관(100)과, 각각 공기도입관(10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노즐구조를 포함하며, 공기도입관(100)의 수직방향(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1층분리노즐부(110), 제2층분리노즐부(130), 커튼노즐부(120), 순환노즐부(140)를 포함하는 특징적인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각각의 노즐부는 단일 형태 또는 서로 유기적으로 배치된 서로 다른 형태의 노즐[집중노즐, 확산노즐]을 복수 개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조가 각각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노즐구조 또는 노즐의 배치구조를 이용하여 퍼니스(10) 내 연소공간에 서로 다른 층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순환공간(또는 순환층)을 매우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노즐부(160), 및 재순환노즐부(150)를 포함함으로써 연소공간 내 유체 순환구조를 강화하거나 조정할 수 있고, 연소공간 내부에서 연소된 찌꺼기 또는 침전물 등이 불필요하게 비산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제1층분리노즐부(도 2의 110참조), 제2층분리노즐부(도 2의 130참조), 커튼노즐부(도 2의 120참조), 순환노즐부(도 2의 140참조), 차단노즐부(도 2의 160참조), 재순환노즐부(도 2의 150참조)의 노즐구조 또는 노즐의 배치구조를 이용하여, 퍼니스(10) 내 연소공간에 서로 명확히 구획된 공기 순환층(또는 순환공간)을 형성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유체 순환구조를 강화하거나 조정하고, 연소공간 내부의 찌꺼기나 침전물 등의 비산도 줄이는 등의 매우 다양하고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매우 효과적인 열분해 처리가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특징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분해 소각장치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소각유닛과 퍼니스 내부의 구조 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를 포함하는 장치의 작동과정 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소각유닛(1b)은 내부에 연소공간이 형성된 퍼니스(10), 퍼니스(10) 내부의 공기도입관(100), 공기도입관(100)에 세밀하게 구조화되고 유기적으로 배치된 공기 순환구조(전술한 노즐부의 노즐구조 및 노즐 배치구조)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퍼니스(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연소공간(10a)이 형성된 통체로 형성된다. 퍼니스(1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밖의 다른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퍼니스(10)는 내부에 연소공간이 형성된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퍼니스(10)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축열재와 같이 금속 또는 금속 아닌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퍼니스(10)의 상단부에는 연소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외부의 배기관 등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퍼니스(10) 일 측에는 연료 투입구(11)가 형성되어 있어 연료 투입구(11)를 통해 폐기물 등의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퍼니스(10)의 연료 투입구(11) 상방에는 이송컨베이어(도 1 의 20참조)가 배치되어 연료(폐기물 등으로 구성된 파쇄된 소각물일 수 있다)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다.
퍼니스(10)의 둘레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통로(13)가 설치된다. 즉, 퍼니스(10) 둘레를 순환하도록 배치되어 내부로 열교환유체를 통과시키는 열교환통로(13)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통로(13)는 내부를 통과하는 열교환유체를 퍼니스(10)와 열교환시키며 이를 통해 열교환유체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등의 유체를 열교환유체로 하여 열교환통로(13) 내부에서 온도를 상승시킨 후 배출할 수 있다. 퍼니스(10)에는 열교환통로(13)와 연결된 주입관(13a)과 배출관(13b)이 형성되어 있어 열교환유체가 주입관(13a)으로 주입되어 열교환통로(13)를 통과한 후 배출관(13b)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퍼니스(10) 가동 시에 발생하는 연소열을 열교환통로(13) 내부를 통과하는 열교환유체에 전달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열교환유체는 배출된 후 온수 소비처 등에 공급되는 등의 방식으로 매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퍼니스(10)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소각유닛(1b)이 복수 개 탑재되는 등의 경우에는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모듈 단위로 사용될 수도 있다. 퍼니스(10)의 연소공간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도입관(100)이 설치된다. 공기도입관(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니스(10)의 일 측(하부일 수 있다)에 접속된 공기공급관(170)으로부터 공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 공기공급관(170)은 다시 공기 공급구조(예를 들어, 에어블로워, 펌프, 필요에 따라 저장탱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받고 공기도입관(100) 측에 제공할 수 있다.
공기도입관(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공간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공기도입관(100)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끝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다. 공기도입관(100)의 끝단부는 퍼니스(10)의 연료 투입구(11)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빗면(101a)을 포함하는 차단커버(101)가 결합될 수 있다. 즉, 공기도입관(100)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연료 투입구(11)로부터 폐기물 등의 연료가 투입될 수 있고 연료의 낙하를 방해하지 않도록 공기도입관(100) 끝단부(특히, 상단부)는 빗면(101a)을 포함하는 폐쇄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커버(101)는 공기도입관(100)에서 분리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빗면(101a)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도입관(100)의 서로 다른 위치에는 전술한 제1층분리노즐부(110), 제2층분리노즐부(130), 커튼노즐부(120), 순환노즐부(140), 차단노즐부(160), 재순환노즐부(150)가 형성된다. 각 노즐부는 공기도입관(100)의 수직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며 각각 복수 개의 노즐이 공기도입관(100) 외주부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특히, 각 노즐부는 전술한 공기 순환공간(또는 순환층)을 구획하고 유지하는 역할[제1층분리노즐부, 제2층분리노즐부], 순환공간 또는 순환층 내부의 보다 효과적인 공기 순환을 유도하고, 연소효과를 증폭하고, 열기누출을 차단하는 역할[커튼노즐부, 순환노즐부, 재순환노즐부], 연소 찌꺼기 등의 비산을 방지하며 층분리노즐부와 함께 열기 누출을 감소시키는 역할[차단노즐부]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양한 형태의 노즐이 유기적으로 조합되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노즐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공기도입관(100) 상단에 제1층분리노즐부(110), 차단노즐부(160), 커튼노즐부(120)가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커튼노즐부(120) 하방에 제2층분리노즐부(130)와 순환노즐부(140)가 쌍을 이루어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순환노즐부(140) 하방에 순환노즐부(140)로부터 이격된 재순환노즐부(150)가 배치되고, 공기도입관(100) 하단부에 다시 차단노즐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튼노즐부(120)와 순환노즐부(140)의 사이, 서로 다른 순환노즐부(140)의 사이, 순환노즐부(140)와 재순환노즐부(150)의 사이, 및 재순환노즐부(150)와 공기도입관(100) 하단의 차단노즐부(160)의 사이 등에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유체 순환공간(또는 순환층)이 매우 효과적으로 형성된다. 이하, 이러한 배치순서를 기준으로 각 노즐부의 구체적인 위치, 노즐구조, 배치와 작용효과 등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소각유닛의 공기도입관 및 각 노즐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1층분리노즐부, 커튼노즐부, 및 제1층분리노즐부와 커튼노즐부 사이의 차단노즐부를 공기도입관의 해당 위치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5는 제2층분리노즐부, 및 순환노즐부를 공기도입관의 해당 위치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6은 재순환노즐부를 공기도입관의 해당 위치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7은 차단노즐부를 공기도입관의 해당 위치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층분리노즐부(110)는 공기도입관(100) 상단에 공기도입관(10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1집중노즐(111)을 포함하여, 공기도입관(100)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사한다. 제1집중노즐(1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구의 직경이 변화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A)를 일직선 상으로 분사한다. 즉, 제1집중노즐(111)은 수평 방향으로 퍼니스(도 3의 10참조)의 내측면에 직선형으로 공기(A)를 분사하며, 또한, 인접한 제1집중노즐(111)에서 분사되는 공기(A)와 중첩되지 않도록 공기를 분사한다. 이로 인해 도 4의 (a) 와 같이 서로 다른 제1집중노즐(111)로부터 일직선 상으로 분사되고 서로 중첩되지 않는 방사형으로 분사되는 공기(A)흐름이 형성된다. 제1집중노즐(111) 사이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제1층분리노즐부(110)는 제1집중노즐(111)을 이용하여 공기도입관(100) 상단에 서로 중첩되지 않는 방사형으로 확산된 공기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층분리노즐부(110)는 이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차단노즐부(160)와 함께 상부로 진행하는 유체 흐름을 막아 열기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분사되는 공기(A)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이 있는바 폐기물 등 연료가 이를 통과하여 중력 방향으로 용이하게 낙하할 수 있다. 제2층분리노즐부(130) 역시 제1층분리노즐부(1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이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커튼노즐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층분리노즐부(110) 하단에 공기도입관(10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1확산노즐(121)을 포함하여, 공기도입관(100)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사한다. 제1확산노즐(121)은 제1집중노즐(111)과는 달리 분사구의 직경이 끝단부에서 확장된다. 따라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A)의 분사영역이 분사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넓게 확장된다. 이로 인해 제1확산노즐(121)에서 분사된 공기(A)는 적어도 일부가 인접한 제1확산노즐(121)에서 분사된 공기(A)와 중첩될 수 있다. 즉, 제1확산노즐(121)은 제1집중노즐(111)과는 달리 인접한 제1확산노즐(121)에서 분사되는 공기(A)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공기를 분사한다. 이로 인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제1확산노즐(121)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형태로 방사형으로 넓게 분사된 커튼 형태의 공기(A)흐름이 형성된다. 또한, 분사방향과 수직한 도 3의 상하 방향으로도 공기(A)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제1확산노즐(121) 사이의 간격 역시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커튼노즐부(120)는 이러한 제1확산노즐(121)의 배치를 이용하여 매우 넓게 확장된 공기분사영역을 공기도입관(100) 상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튼노즐부(120)를 통과하는 유체 흐름을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따라서 미처 연소가 완료되지 않은 가스 등도 커튼노즐부(120) 하방에 유지하여 보다 완전하게 연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퍼니스(도 2의 10참조) 상부로 불완전 연소된 가스 등이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공기(A)를 상대적으로 대량 분사하여 공급하므로 보다 용이하게 순환류를 형성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공기(A) 공급량을 증가시켜 열반응도 빠르게 촉진할 수 있다.
제1층분리노즐부(110)와 커튼노즐부(120) 사이, 및 공기도입관(100)의 하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노즐부(160)가 형성된다. 차단노즐부(160)는 공기도입관(10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제1집중노즐(111) 사이의 간격보다는 넓은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제4집중노즐(161)을 포함한다. 제4집중노즐(161)은 전술한 제1집중노즐(1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일직선 상으로 공기(A)를 분사할 수 있다. 즉, 차단노즐부(160)로 도 4의 (b)와 같이 상대적으로 성긴 배열을 갖는 일직선으로 분사되는 방사형의 공기(A)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차단노즐부(160)는 동일한 형태가 공기도입관(100) 하단에도 형성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공기(A)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차단노즐부(160)는 공기도입관(100)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위치하여 연소 시 생성되는 불순물 등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특히, 공기도입관(100) 하단의 차단노즐부(160)는 퍼니스(도 2의 10참조)(또는 퍼니스 내 연소공간)의 저면 바로 위쪽에 위치하여 퍼니스(10) 저면에 쌓인 연소 침전물 등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차단노즐부(160)는 확산되지 않는 집중노즐(제4집중노즐)의 노즐 형태로 형성되고 노즐 사이의 간격도 넓게 배열되어 있어 퍼니스(10) 저면에 쌓인 연소 침전물 들과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불필요한 침전물 또는 찌꺼기 등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로 차단노즐부(160)가 형성된다. 또한, 공기도입관(100) 상단부의 차단노즐부(160)는 전술한 제1층분리노즐부(110)보다도 노즐 간 간격이 넓게 배열되는바 폐기물 등의 연료가 이를 통과하여 중력 방향으로 용이하게 낙하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층분리노즐부(130)는 커튼노즐부(120) 하방에 공기도입관(10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2집중노즐(131)을 포함하여, 공기도입관(100)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사한다. 제2집중노즐(131)은 실질적으로 전술한 제1집중노즐(111)과 동일하며 따라서 제2층분리노즐부(130)의 구조나 노즐 배치도 전술한 제1층분리노즐부(11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로 인해 생성되는 공기 흐름도 제1층분리노즐부(110)의 공기 흐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도 5의 (a)참조). 다만, 제1층분리노즐부(110)는 공기도입관(100)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제2층분리노즐부(130)는 전술한 커튼노즐부(120)의 하방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므로 위치나 개수에는 차이가 있다. 즉, 제2층분리노즐부(130)는 제1층분리노즐부(110)와는 다른 위치에서 전술한 제1층분리노즐부(110)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2층분리노즐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층분리노즐부(130)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연소공간 내 구획된 유체 순환공간의 개수도 증가된다. 제2층분리노즐부(130)는 그 하단의 순환노즐부(140)와 쌍을 이루어 형성되며, 따라서 제2층분리노즐부(130)와 마찬가지로 순환노즐부(140) 역시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층분리노즐부(130)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유체 순환공간을 구획하고, 제2층분리노즐부(130) 하단에 쌍으로 형성된 순환노즐부(140)를 이용하여 구획된 순환공간 내부에 매우 효과적으로 유체 순환흐름을 조성할 수 있다.
순환노즐부(140)는 제2층분리노즐부(130) 하단에 공기도입관(10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3집중노즐(141) 및 제3집중노즐(141)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2확산노즐(142)을 포함하여, 공기도입관(100)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사한다. 제3집중노즐(141)은 전술한 제1집중노즐, 제2집중노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2확산노즐(142)은 전술한 제1확산노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3집중노즐(141)로 일직선 상으로 공기를 분사하고, 제2확산노즐(142)로 분사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사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제2확산노즐(142)은 수평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되 분사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의 분사영역이 예각을 이루며 확장될 수 있다. 특히,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집중노즐(141)과 제2확산노즐(142)을 서로 교차 배열하여 일직선 상으로 분사되는 공기(A)의 흐름 사이에 분사영역이 확장되는 공기(A) 흐름을 유기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순환노즐부(140)는 이와 같이 제3집중노즐(141)과 제2확산노즐(142)을 함께 활용함으로써 순환하는 유체 흐름을 매우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제1확산노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확산노즐(142)을 이용하여, 전술한 확산노즐과 같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즉, 공기(A)를 상대적으로 대량 분사하여 공급하므로 보다 용이하게 순환류를 형성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공기(A) 공급량을 증가시켜 열반응도 빠르게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분사영역이 확장되므로 분사방향과 수직한 도 3의 상하 방향으로도 공기(A)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순환노즐부(140)의 하부에는 순환노즐부(140)로부터 이격된 재순환노즐부(150)가 형성된다. 재순환노즐부(150)는 특히, 연소공간 내부의 온도가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단독으로 형성된다. 즉, 전술한 제1층분리노즐부, 커튼노즐부, 및 둘 사이의 차단노즐부로 이루어진 쌍, 제2층분리노즐부와 순환노즐부로 이루어진 쌍과는 달리, 재순환노즐부(150)는 연소공간 내부의 온도가 가장 높은 지점에 다른 노즐부와 쌍을 이루지 않고 단독으로 배치된다. 재순환노즐부(150)는 순환노즐부(140) 하부에 순환노즐부(140)로부터 이격되어 공기도입관(10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5집중노즐(151) 및 제5집중노즐(151)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3확산노즐(152)을 포함하여, 공기도입관(100)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사한다.
재순환노즐부(150)는 단독으로 형성되어 해당 위치에서 유체 순환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집중노즐, 제2집중노즐, 제3집중노즐, 제4집중노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5집중노즐(151)과, 전술한 제1확산노즐, 제2확산노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3확산노즐(152)의 조합을 이용하여 유체 흐름을 조성할 수 있다(도 6참조). 특히 제3확산노즐(152)의 분사영역 확장 효과에 의해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그와 수직한 방향(즉, 상하 방향을 포함함)으로 공기 흐름을 유도하여 순환흐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연소공간 내부의 온도가 가장 높은 지점에 단독으로 배치되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재순환노즐부(150)가 배치되는 지점은 예를 들어, 공기도입관(100) 하단의 차단노즐부(160)와 그 상방의 순환노즐부(140) 사이의 일 지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로 조합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 유기적으로 배치된 제1층분리노즐부(110), 제2층분리노즐부(130), 커튼노즐부(120), 순환노즐부(140), 차단노즐부(160), 재순환노즐부(150)를 이용하여 연소공간을 적절히 구획하고 구획된 공간 내 효과적인 유체 흐름을 조성하여 연소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소 시 연소공간 내부의 가열된 유체는 각 공간 안에서 순환되며 불필요한 열의 집중을 막고 퍼니스 전체의 온도를 보다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체 흐름은 공기의 분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바 공기가 분사되는 지점에서 연소가 촉진되어 연소 효율도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소각유닛의 구체적인 작동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2의 소각유닛의 작동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퍼니스(10) 내 유체 순환공간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층분리노즐부(110)와 제2층분리노즐부(130)의 사이, 서로 다른 제2층분리노즐부(130)의 사이, 공기도입관(100) 하단부의 차단노즐부(160)와 제2층분리노즐부(130)의 사이 등에 전체 연소공간(10a)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획된 복수 개의 유체 순환공간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연소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특히, 제1층분리노즐부(110) 하단의 커튼노즐부(120), 제2층분리노즐부(130) 하단의 순환노즐부(140)는 전술한 확산노즐(제1확산노즐, 제2확산노즐)의 확산 효과에 의해 둘 사이의 공간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순환하는 순환류의 쌍(A1, A2)을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할 수 있다.
즉, 확산노즐로부터 분사된 공기(A)는 수평 방향으로 분사되되 그와 수직한 방향으로 분사영역이 확장되므로, 수평 방향의 속도 성분 외에 수직 방향 속도 성분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류의 성분을 이용하여 구획된 순환 공간 내부에 보다 효과적으로 순환하는 유체 흐름(순환류)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커튼노즐부(120)에서 분사된 공기(A)의 하향 성분과 순환노즐부(140)에서 분사된 공기(A)의 상향 성분은 둘 사이의 구획된 공간 안에서 마치 기어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맞물려 회전하며 서로 간의 회전력을 보상하는 순환류의 쌍(A1, A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순환류의 쌍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순환노즐부(140)의 사이, 순환노즐부(140)와 재순환노즐부(150)의 사이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순환노즐부(150)와 공기도입관(100) 하단의 차단노즐부(160) 사이에도 일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확산노즐(커튼노즐부의 제1확산노즐, 순환노즐부의 제2확산노즐, 재순환노즐부의 제3확산노즐)을 포함하는 노즐부의 공기(A) 확산효과에 의해, 구획된 순환 공간 안에서 적어도 2개의 순환류가 쌍을 이루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맞물려 회전하며 연소공간 내 유체를 용이하게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층분리노즐부(제1층분리노즐부, 복수 개의 제2층분리노즐부)는 집중노즐(제1층분리노즐부의 제1집중노즐, 제2층분리노즐부의 제2집중노즐)을 이용하여 공기(A) 흐름을 분산시키지 않고 집중시켜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공간(10a)을 구획하고 그 사이에 상기한 순환류 등이 순환하는 유체 순환공간을 매우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차단노즐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도입관(100)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위치하여 연소 시 생성되는 불순물 등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A) 흐름을 연소공간(10a) 내부에 형성하며 열분해 과정을 매우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열분해 과정은 연료 투입구(11)를 통해 파쇄된 소각물 또는 폐기물 등의 연료가 지속적 투입되며 진행된다. 퍼니스(10) 내부의 온도는 연소열에 의해 섭씨 천도 이상의 온도로 상승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성된 고온 열에너지를 퍼니스(10) 외벽을 이루는 축열재 등에 축열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퍼니스(10)를 둘러싸는 열교환통로(13)에도 매우 용이하게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열교환유체(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입관(13a)을 통해 주입되며 열교환통로(13) 내부에서 가열되어 배출관(13b)으로 배출된 후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열분해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연소가스(C)는 퍼니스(10) 상단의 배기구(12)로 배기될 수 있다.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순환공간 내부에는 전술한 순환류의 흐름이 생성되어 있는바, 상대적으로 순환류의 영향이 적은 공기도입관(100) 또는 퍼니스(10) 내벽과 인접한 상승공간을 통해서 연소가스(C)가 상승하여 배출될 수 있다. 즉, 연소가스(C)는 구획된 각 공간 안에서 순환하는 유체 흐름을 따라 반복적으로 순환하여 완전 연소되고, 그 이후 공기도입관(100) 또는 퍼니스(10) 내벽과 인접한 상승공간을 통해 상승하며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이와 같이 연소공간(10a) 내 구획된 유체 순환공간을 조성하여 불완전 연소에 따른 문제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소각유닛의 변형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도 2의 소각유닛의 제1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2의 소각유닛의 제2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소각유닛(1b)은 연소공간으로 투입된 연료를 향해 가연성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210), 및 연소공간 내부의 가연성유체의 분사방향에 배치된 열원(221)을 포함하는 점화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소각유닛(1b) 시동 시에도 별도의 작업인원 없이 보다 안전하게 점화하여 열분해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유체분사부(210)는 예를 들어, 일정각도로 굴절된 노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소공간의 중앙을 향해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유체분사부(210)는 예를 들어, 오일 등의 가연성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점화부(220)는 온도 조절이 가능한 열원(221)(예를 들어, 열선이나 그 밖의 축열물질 등이 조합된 발열체 등일 수 있다) 이 연소공간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료가 퍼니스(10) 내 일정량 투입되고 열원(221)이 발열된 상태에서 유체분사부(210)가 가연성유체를 분사하면 연소공간 내 자동 점화가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점화과정은 온도센서(230)와 제어부(240)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소각유닛(1b)은 연소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30), 및 온도센서(230)의 측정값이 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유체분사부(210)를 제어하여 가연성유체의 분사를 차단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시작 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자동 점화를 시작할 수 있으며, 이후 연료(폐기물 등 소각대상)가 지속적으로 투입되어 연소가 진행되면 별도의 가연성유체의 분사가 불필요할 수 있으므로, 온도센서(230)로 연소공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설정온도(예를 들어, 섭씨 200도일 수 있다)를 초과하면 유체분사부(210)를 제어하여 가연성유체의 분사를 차단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통해서 보다 편리하게 열분해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소각유닛(1b)은 퍼니스(10)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며 퍼니스(10)의 저면에 쌓인 침전물을 교반하는 교반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교반모듈(300)을 이용하여 퍼니스(10) 내 연소 분위기를 변동시키지 않고 퍼니스(10) 내부에서 자동으로 침전물을 섞어줄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처 연소되지 않은 연료의 찌꺼기 등을 교반모듈(300)로 자동 교반하면서 열분해 과정을 중단 없이 지속할 수 있다. 교반모듈(300)은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가동바(310)와 가동바(310) 끝에 연결된 접촉바(31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바(310)를 가동시켜 접촉바(311)의 위치를 변경시키며 교반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가동바(310)는 구동장치(320) 등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장치(320)는 모터, 체인, 벨트, 기어 등의 액츄에이터와 이에 연결된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소각유닛(1b)은 교반모듈(300)의 일 측에 침전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퍼지가스(312 외측의 점선도시부분 참조)를 분사하는 퍼지가스 분사노즐(312)을 포함할 수 있다. 퍼지가스 분사노즐(3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바(310) 외측에 형성될 수 있고 가동바(310) 내부로는 퍼지가스 분사노즐(312)과 연결된 유동로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동로는 퍼지가스관(330)과 연결되어 퍼지가스를 내부로 유동시킬 수 있다. 퍼지가스는 고압공기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분사하여 남아있는 침전물까지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이러한 퍼지가스는 교반모듈(300)을 냉각하는 냉매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교반모듈(300)이 금속재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 연소공간 내부의 열에 의해 과열될 수 있는바 가동바(310) 등의 내부를 통해 유동하여 교반모듈(300) 주변으로 분사되는 퍼지가스를 이용하여 교반모듈(300)을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냉각시켜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교반모듈(300)이 보다 원활하게 동작하며 침전물도 보다 용이하게 교반되는 이중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교반모듈(300)이 형성된 소각유닛(1b)을 이용하여 역시 매우 효과적으로 열분해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분해 소각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별도로 언급되지 않은 사항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분해 소각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열분해 소각장치의 소각유닛 및 이동식 연료공급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열분해 소각장치 전체의 작동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열분해 소각장치(1-1)는 소각유닛(1b)의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분해 소각장치(1-1)는 적재공간이 형성된 이송차량(1a), 및 적재공간에 탑재되어 소각물을 소각하는 소각유닛(1b)을 포함한다. 소각물은 소각유닛(1b)의 퍼니스(10)에 투입되어 연소됨으로써 열분해 처리된다. 열분해 소각장치(1-1)는 이송차량(1a)에 소각유닛(1b)을 탑재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처리장소로 신속히 이동하여 폐기물 등 소각물을 연료로 연소하는 열분해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열분해 소각장치(1-1)는 이송차량(1a)에 연결된 대차부(40)와 대차부(40)에 탑재된 분쇄모듈(50)을 포함하는 이동식 연료공급부(1c)를 포함하여 연료(즉, 폐기물 등의 소각물)를 손쉽게 처리 가능한 상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대차부(40)와 이송차량(1a) 사이에 설치된 이송컨베이어(20)를 이용하여 이러한 연료를 편리하게 공급해 줄 수 있다.
열분해 소각장치(1-1)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이송차량(1a), 소각유닛(1b), 및 이동식 연료공급부(1c)로 구성될 수 있다. 소각유닛(1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차량(1a)의 적재공간에 탑재되며 이송차량(1a)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처리장소에서 소각유닛(1b)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열분해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소각유닛(1b)은 퍼니스(10) 등이 베이스부(30)에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30)에는 퍼니스(10)외에도 제어반, 에어블로워, 모터 등의 구동장치 등이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소각유닛(1b)은 이와 같이 독립성을 갖는 유닛 형태로 구성되어 이송차량(1a)의 적재공간 외부로 이동하여 작동시킬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소각유닛(1b) 하부에 복수 개의 이동바퀴가 형성되어 적재공간 외부로 이동시켜 작동시키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소각유닛(1b)이 탑재된 이송차량(1a)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연료공급부(1c)가 연결되어 함께 이동한다. 이동식 연료공급부(1c)는 이송차량(1a)에 연결된 대차부(40)와 대차부(40)에 탑재된 분쇄모듈(50)을 포함한다. 분쇄모듈(50)은 서로 중첩되어 회전하는 분쇄날을 포함할 수 있다. 분쇄날 사이로 소각물을 투입하면 잘게 분쇄되어 배출되므로 매우 용이하게 연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대차부(40)에 탑재된 분쇄모듈(50)을 소각유닛(1b)과 함께 이동시켜 해당 처리장소에서 생성된 다양한 크기의 소각물이나 정형화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소각물들을 매우 용이하게 파쇄하여 열분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차부(40)와 이송차량(1a)의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가 각각 분쇄모듈(50)의 하부와 소각유닛(1b)의 퍼니스(10)의 연료 투입구(11) 상부로 연장된 이송컨베이어(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송컨베이어(20)로 파쇄된 소각대상(즉, 연료)을 즉시 이송하여 소각유닛(1b)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송컨베이어(20)는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동 중에 이송차량(1a)과 이동식 연료공급부(1c) 사이의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즉, 대차부(40)는 이송차량(1a)에 견인장치(41) 등으로 연결되어 이송차량(1a)과의 상대위치가 가변되며 운항할 수 있고, 이때 이송컨베이어(20)는 분리하여 이송차량(1a)의 적재공간에 적재하여 이송할 수 있다.
이송차량(1a)의 적재용량은 소각유닛(1b)의 크기나 개수 등을 고려하여 알맞게 조정 가능하며 이동식 연료공급부(1c)의 크기나 개수도 소각유닛(1b)의 처리용량 등에 따라서 알맞게 조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소각유닛(1b)을 이송차량(1a)의 적재공간에 탑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처리장소에서 요구하는 열분해 처리용량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소각유닛(1b)의 크기, 탑재량, 이동식 연료공급부(1c)의 공급용량 등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소각유닛(1b)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독립성을 갖는 유닛형태로 구성되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변동시켜가며 탑재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러한 소각유닛(1b)을 포함하는 열분해 소각장치(1-1)를 이용하여 처리장소에서 여러 종류의 소각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장소에서 배출된 폐기물 등의 소각물(즉, 연료)을 이동식 연료공급부(1c)의 분쇄모듈(50)에 투입하여 잘게 분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송컨베이어(20)를 따라 소각유닛(1b)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소각유닛(1b)의 퍼니스(10)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서로 유기적으로 구획되어 순환하는 유체 흐름이 형성되는바 연소율이 크게 증가하여 보다 효과적인 열분해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열분해 과정을 이송차량(1a)의 이동에 의해 소각유닛(1b)이 해당 처리장소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진행할 수 있으므로 처리장소에 마땅한 처리설비가 없는 경우에도 매우 용이한 열분해 처리가 가능하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분해 소각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별도로 언급되지 않은 사항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분해 소각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분해 소각장치(1-2)는 액세스계단(31)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액세스계단(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차량(1a)의 적재공간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액세스계단(31)은 적재공간에 위치하는 부분과 적재공간과 지면(이송차량이 정차한 처리장소의 바닥을 말함)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두 부분이 힌지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히거나 펼쳐지며 소각유닛(1b)에 접근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5의 (a)와 같이 하나 이상의 소각유닛(1b)을 적재공간에 탑재하고 그 사이에 액세스계단(31)을 설치하여 작업자 등의 접근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처리장소까지 이동하는 경우 도 15의 (b)와 같이 액세스계단(31)을 접어 이동이 용이한 상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처리장소에서 도 15의 (a)와 같이 액세스계단(31)을 펼쳐 작업자 등의 접근이 용이한 상태로 소각유닛(1b) 등을 운전하여 처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역시 처리장소에서 매우 용이하게 열분해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부호의 설명]
1, 1-1, 1-2: 열분해 소각장치
1a: 이송차량 1b: 소각유닛
1c: 이동식 연료공급부 10: 퍼니스(furnace)
10a: 연소공간 11: 연료 투입구
12: 배기구 13: 열교환통로
13a: 주입관 13b: 배출관
20: 이송컨베이어 30: 베이스부
31: 액세스계단 40: 대차부
41: 견인장치 50: 분쇄모듈
100: 공기도입관 101: 차단커버
101a: 빗면 110: 제1층분리노즐부
111: 제1집중노즐 120: 커튼노즐부
121: 제1확산노즐 130: 제2층분리노즐부
131: 제2집중노즐 140: 순환노즐부
141: 제3집중노즐 142: 제2확산노즐
150: 재순환노즐부 151: 제5집중노즐
152: 제3확산노즐 160: 차단노즐부
161: 제4집중노즐 170: 공기공급관
210: 유체분사부 220: 점화부
221: 열원 230: 온도센서
240: 제어부 300: 교반모듈
310: 가동바 311: 접촉바
312: 퍼지가스 분사노즐 320: 구동장치
330: 퍼지가스관 A: 공기
A1, A2: 순환류 B: 열교환유체
C: 연소가스
본 발명은, 소각로 내 유체 순환이 이루어지는 순환공간 또는 순환층을 하나 또는 그 이상 형성하여 국부적인 온도 차 등을 해소하고 균일하게 처리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연소에 필요한 공기도 순환공간 내에서 순환시키며 매우 효율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으며, 세밀하게 구조화되고 유기적으로 배치된 공기 순환구조를 이용하여 이러한 유체 순환공간 또는 순환층을 매우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폐기물 처리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연소과정에서 생성된 열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고, 연소 시 침전물 등의 발생도 최소화하여 연속적으로 처리를 진행할 수 있으며, 폐기물 등의 처리가 필요한 장소로 소각로를 이동시켜 해당 장소에서 매우 용이하게 열분해 처리가 가능하고, 처리장소에서 폐기물 등을 바로 분쇄하여 투입이 가능하므로 폐기물 처리 및 그와 관련된 산업 전반에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19)

  1. 내부에 연소공간이 형성된 퍼니스(furnace)와,
    상기 연소공간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연소공간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를 제공하는 봉 형상의 공기도입관과,
    상기 공기도입관 상단에 상기 공기도입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1집중노즐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도입관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사하는 제1층분리노즐부와,
    상기 제1층분리노즐부 하단에 상기 공기도입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1확산노즐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도입관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사하는 커튼노즐부와,
    상기 커튼노즐부 하방에 상기 공기도입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2집중노즐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도입관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층분리노즐부와,
    상기 제2층분리노즐부 하단에 상기 공기도입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3집중노즐 및 상기 제3집중노즐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2확산노즐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도입관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노즐부를 포함하는 소각유닛을 포함하는 열분해 소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산노즐은 인접한 제1확산노즐에서 분사되는 공기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열분해 소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중노즐은 인접한 제1집중노즐에서 분사되는 공기와 중첩되지 않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열분해 소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중노즐은 수평 방향으로 상기 퍼니스의 내측면에 직선형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열분해 소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확산노즐은 수평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되 분사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의 분사영역이 예각을 이루며 확장되는 열분해 소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유닛은, 상기 제1층분리노즐부와 상기 커튼노즐부의 사이, 및 상기 공기도입관의 하단에 상기 공기도입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집중노즐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제4집중노즐을 포함하는 차단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열분해 소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유닛은, 상기 순환노즐부 하부에 상기 순환노즐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공기도입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5집중노즐 및 상기 제5집중노즐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3확산노즐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도입관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사하는 재순환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열분해 소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도입관의 끝단부는 상기 퍼니스의 연료 투입구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빗면을 포함하는 차단커버가 결합된 열분해 소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노즐부와 상기 순환노즐부는 둘 사이의 공간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순환하는 순환류의 쌍을 형성하는 열분해 소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유닛은, 상기 연소공간으로 투입된 연료를 향해 가연성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 및 상기 연소공간 내부의 상기 가연성유체의 분사방향에 배치된 열원을 포함하는 점화부를 더 포함하는 열분해 소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유닛은, 상기 연소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유체분사부를 제어하여 상기 가연성유체의 분사를 차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열분해 소각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유닛은, 상기 퍼니스 둘레를 순환하도록 배치되어 내부로 퍼니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통로를 더 포함하는 열분해 소각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유닛은, 상기 퍼니스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퍼니스 저면에 쌓인 침전물을 교반하는 교반모듈, 및 상기 교반모듈의 일 측에 상기 침전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퍼지가스를 분사하는 퍼지가스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열분해 소각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모듈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구동장치에 연결된 가동바와,
    상기 가동바 끝에 연결되어 교반작업을 진행하는 접촉바를 포함하고,
    상기 퍼지가스 분사모듈은 상기 가동바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동바 내부로는 상기 퍼지가스 분사노즐과 연결되며 퍼지가스를 유동시키는 유동로가 형성된 열분해 소각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적재 공간이 형성된 이송차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각유닛은 상기 적재공간에 탑재되어 소각물을 소각하는 열분해 소각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차량에 연결된 대차부와, 상기 대차부에 탑재된 분쇄모듈을 포함하는 이동식 연료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열분해 소각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와 상기 이송차량 사이에 설치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분쇄모듈의 하부와 상기 퍼니스의 연료 투입구 상부로 연장된 이송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열분해 소각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는 상기 이송차량에 견인장치로 연결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적재공간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열분해 소각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유닛은 하부에 복수 개의 이동바퀴가 형성되어, 상기 적재공간 외부로 이동시켜 작동 가능한 열분해 소각장치.
PCT/KR2018/010683 2018-09-12 2018-09-12 열분해 소각장치 WO202005488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3116304A CA3116304A1 (en) 2018-09-12 2018-09-12 Pyrolysis incineration system
PCT/KR2018/010683 WO2020054886A1 (ko) 2018-09-12 2018-09-12 열분해 소각장치
US17/275,540 US20210325036A1 (en) 2018-09-12 2018-09-12 Pyrolytic inci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0683 WO2020054886A1 (ko) 2018-09-12 2018-09-12 열분해 소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4886A1 true WO2020054886A1 (ko) 2020-03-19

Family

ID=6977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0683 WO2020054886A1 (ko) 2018-09-12 2018-09-12 열분해 소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25036A1 (ko)
CA (1) CA3116304A1 (ko)
WO (1) WO2020054886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0731A (ja) * 1996-03-14 1997-09-22 Power Reactor & Nuclear Fuel Dev Corp 焼却炉内攪拌装置
JP2003222315A (ja) * 2002-01-30 2003-08-08 Maejima Fumio 車両搭載移動式一般雑芥焼却装置
JP2005188850A (ja) * 2003-12-26 2005-07-14 Medeiakku Aporon:Kk 小型ガス化焼却炉
KR100918942B1 (ko) * 2009-04-18 2009-09-25 (주)비앤지테크 고체연료 연소시스템
KR101398103B1 (ko) * 2013-06-10 2014-05-27 고명한 폐기물 소각장치
KR20180104437A (ko) * 2017-03-13 2018-09-21 주식회사 아이디티코리아 이동식 열분해 소각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0731A (ja) * 1996-03-14 1997-09-22 Power Reactor & Nuclear Fuel Dev Corp 焼却炉内攪拌装置
JP2003222315A (ja) * 2002-01-30 2003-08-08 Maejima Fumio 車両搭載移動式一般雑芥焼却装置
JP2005188850A (ja) * 2003-12-26 2005-07-14 Medeiakku Aporon:Kk 小型ガス化焼却炉
KR100918942B1 (ko) * 2009-04-18 2009-09-25 (주)비앤지테크 고체연료 연소시스템
KR101398103B1 (ko) * 2013-06-10 2014-05-27 고명한 폐기물 소각장치
KR20180104437A (ko) * 2017-03-13 2018-09-21 주식회사 아이디티코리아 이동식 열분해 소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16304A1 (en) 2020-03-19
US20210325036A1 (en)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166B1 (ko) 이동식 열분해 소각장치
US47462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containing organic contaminants
US49253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containing organic contaminants
KR101237761B1 (ko) 비산재 분리 기능을 갖는 원심형 연속 연소장치
US47668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containing organic contaminants
US5129334A (en) Aggregate dryer and soil incinerator having low NOx emissions
WO2010085099A2 (ko) 가연성 폐물질을 연료로 활용하는 열회수 소각 연소로
JP7130693B2 (ja) 燃焼装置
KR20010029405A (ko) 로터리 킬른
WO2020054886A1 (ko) 열분해 소각장치
KR100678563B1 (ko) 드럼에 수용된 폐기물을 소각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910165B1 (ko) 열분해 소각장치
KR100254036B1 (ko) 하/폐수 슬러지의 건조 소각장치
KR200408326Y1 (ko) 연소기의 연소실 내 공기 공급장치
KR100339484B1 (ko)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KR200443057Y1 (ko) 폐기물 소각 장치
KR100666043B1 (ko) 연소기의 연소실 내 공기 공급장치
KR102046329B1 (ko) 온수 및 열풍용 소각 장치
KR200422220Y1 (ko) 폐기물 소각 장치
KR100230188B1 (ko) 복합형 소각장치
WO2020105799A1 (ko) 미세먼지가 저감되는 용해로 시스템
JP2003138275A (ja) プラスチックの溶融油化装置
JP3744401B2 (ja) 加熱処理方法と加熱処理装置
KR101899583B1 (ko) 가연성 폐물질을 연료로 활용하는 열회수 소각 연소로의 연소촉진장치
KR20010088721A (ko) 폐기물 완전 연소에 의한 온수공급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336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116304

Country of ref document: CA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8/07/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336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