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13467A1 - 요로 카테터 - Google Patents

요로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13467A1
WO2020013467A1 PCT/KR2019/007331 KR2019007331W WO2020013467A1 WO 2020013467 A1 WO2020013467 A1 WO 2020013467A1 KR 2019007331 W KR2019007331 W KR 2019007331W WO 2020013467 A1 WO2020013467 A1 WO 20200134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lloon
urine
drainage tube
fluid
b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733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대한
Original Assignee
최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한 filed Critical 최대한
Publication of WO20200134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134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4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two or more concentrically arranged tubes for forming a concentric catheter system
    • A61M2025/0006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two or more concentrically arranged tubes for forming a concentric catheter system which can be secured against axial movement, e.g. by using a locking cuf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5/0075Valve means
    • A61M2025/0076Unidirectional valves
    • A61M2025/0078Unidirectional valves for fluid inflow from the body into the catheter lu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025/0079Separate user-activated means, e.g. guidewires, guide tubes, balloon catheters or sheaths, for sealing off an orifice, e.g. a lumen or side holes, of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4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detachable or disposable ballo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inary catheter, and more particularly, a balloon that bulges in a spherical shape at the distal end of the urinary catheter inserted into the bladder to prevent the catheter from being arbitrarily pulled out of the bladder by external force so that it may burst when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relates to a urinary catheter that prevents a wound or laceration caused by the bulging balloon exiting the urinary tract.
  • the catheter refers to a thin tube used for discharging or evaluating the contents of an internal body cavity (pleural cavity, peritoneal cavity), digestive tract, or bladder.
  • an internal body cavity pleural cavity, peritoneal cavity
  • digestive tract or bladder.
  • the catheter is different in shape and thicknes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and urinary catheter is widely used to discharge urine in the bladder, to clean the inside of the bladder, or to inject medicine into the bladder.
  • FIG. 1 One embodiment of such a urinary catheter is shown in FIG. 1.
  • the urinary catheter C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mbodiment shown in FIG. 1 is provided with a hollow drainage tube 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discharging urine, and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drainage tube 10 to enter the bladder. And a plurality of urine inlets 11 formed therethrough so that urine can pass into the drain tube 10, and a distal end portion of the catheter unit 15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rain tube 10 opposite to the urine inlet 11.
  • the urine discharge port 13 provided, the urine discharge port 13 is provided in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unit 15 and the fluid inlet configured to inject the fluid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ain pipe 10 of the double pipe structure 14 and a balloon (balloon) 12 is provided so that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fluid inlet 14 is inflated into a spherical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near the distal end of the drain tube (10).
  • the conventional urinary catheter (C)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o that one drainage tube 10 has a double tube structure so that urine of the bladder is discharged through a urine discharge passage formed at the inner center thereof, and the distal end of the drainage tube located inside the bladder is bladder.
  • the balloon 12 provided near the distal end of the drainage tube 10 is swollen into a sphe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ccording to the injection amount of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fluid inlet 14 so as not to easily fall out to the outside of FIG. 1.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the balloon swells at the distal end of the drainage tube, which is held inside the bladder, to prevent the drainage tube 10 from being randomly pulled out of the bladder.
  • a conventional urinary catheter (C) used as shown in Figure 2 is a bulging balloon inside the bladder of the patient is located in the urine inlet through the urine inlet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drain tube into the drain tube (20) ) To collect urine.
  • the urinary catheter Since the urinary catheter is usually operated under anesthesia, the urinary catheter is maintained through the patient's urethra into the bladder, so when the urinary catheter is installed, the pain is not felt, but the anesthesia is released and the patient is inserted into the bladder. You feel a lot of foreign body.
  • the balloon 12 inflated to a predetermined size in the bladder B is caught by the drainage tube 10 that is pulled outward or is forced out of the bladder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urethra while expanding the bladder inlet.
  • the patient's inner wall of the urethra may cause abrasions or lacerations, and these wounds cause severe pain and the patient must endure severe pain.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92872 (Registration Date: Nov. 2, 2010, Name of Invention: Urethral Catheter)
  • Patent Document 2 Patent Document 2-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30426 (Registration Date: April 20, 2017, Name of the Invention: Urine discharge catheter with a stopper)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balloon urinary catheter described above, when the patient wearing the urinary catheter is forcibly pulled out of the urinary catheter is inflated inside the bladder by the pulling force or pressure When a certain pressure is applied to the balloon, the balloon bursts automatically and the fluid filled inside the balloon escapes, reducing the volume of the balloon, making it easier for the urinary catheter to be pulled out through the urinary trac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rinary catheter that can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has been.
  • the urinary tract catheter comprises a hollow drainage tube having a double tube structure in which a urine discharge path for discharging urine is formed in the center;
  • a urine inlet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netrating portions at the distal end of the drainage tube that enters the bladder to allow urine to flow into the drainage tube;
  • a urine outlet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unit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rine inlet to discharge urine introduced into the urine inlet through a drainage tube;
  • a fluid inlet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catheter unit to be disposed in a y-type with the urine discharge port to enter the fluid through a fluid passage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ainage pipe of a double pipe structure;
  • Balloons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tal end of the drain tube to prevent the distal end of the drain tube located in the bladder is expanded by the entry pressure of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fluid inlet to fall into the urethra; In this expanded state, when a constant force
  • the burst guide portion is made of a configuration that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orthogonal or radial with respect to the tensile force action direction of the drainage tube to be drawn.
  • the burst guide portion may be formed of a thinner than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surrounding balloon, or the material of the left and right balloons may be composed of a joint of heterogeneous materials having different stretching ratios.
  • the urinary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lloon which prevents the catheter from falling out while being placed inside the bladder when the patient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pulls the catheter in a state in which the catheter is attracted to the bladder of the patient and the balloon is inflated. If a certain amount of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let of the bladder and the urinary tract contracts as the exploding guide part provid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inflated balloon or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alloon and the drainage pipe bursts, the fluid filled in the balloon is released. By exiting through to minimize the patient's urethral damage to reduce the patient's pain.
  • FIG. 1 is an enlarged view of one embodiment and a balloon portion of a conventional urinary catheter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n expanded balloon portion and an expanded balloon portion in a urinary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 FIG. 8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fluid is discharged while the induction part bursts due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ladder inlet by the expanded balloon of FIG. 6.
  • Urinary catheter comprises a hollow drain tube consisting of a double tube structur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rine discharge path for discharging urine;
  • a urine inlet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netrating portions at the distal end of the drainage tube that enters the bladder to allow urine to flow into the drainage tube;
  • a urine outlet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unit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rine inlet to discharge urine introduced into the urine inlet through a drainage tube;
  • Balloons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tal end of the drain tube to prevent the distal end of the drain tube located in the bladder is expanded by the entry pressure of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fluid inlet to fall into the urethra; In this expanded state, the fluid filled inside the balloon as the balloon expands
  • FIG 3 is a parti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urinary catheter C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balloon 30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drainage tube 10 is spherically inflated and the balloon 30 is inflated. The enlarged state is shown.
  • the urinary catheter C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3 has a structure in which a burst induction part 35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shape on one outer circumference of a balloon 30 which is inflated into a spherical shape.
  • the burst guide portion 35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ainage tube near the distal end of the drainage tube 10 so as to swell by the injection amount and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fluid injection port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urinary catheter.
  • the fluid filled in the inflated balloon is torn by acting as a guide formed by the balloon 30 formed in the length of the balloon 30, and the balloon 30 inflated to a predetermined size serves as a guide to be torn by the amount of fluid or the fluid injection pressure. It serves as a guide for the balloon to contract while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lloon through the induction part.
  • the burst induction part 35 formed in the balloon 30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right angles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drainage pipe 10
  • the formation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burst induction part 35 is the inner side of the bladder.
  • the installation posi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inlet and the pressure is applied, in particular, may be formed in the balloon itself, but may be configured to place the burst induction portion at the boundary where the balloon and the drain pipe meet.
  •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burst induction part 35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flow characteristics or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balloon 30 that is elastically flowing in the bladder.
  • FIG.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lloon 30 is provided in the distal end of the drain tube 10 in the urinary catheter (C ') shown in FIG.
  • the burst induction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oon is formed in a sheath shape so that the burst induction part is more vulnerable to pressure than other par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lloo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burst induction is easily formed, or the cross section thickness is formed thinner than the surroundings.
  • the induction portion formed with a relatively thin cross-sectional thickness may be torn and the fluid may be discharged so that the balloon shrinks.
  • the urinary catheter C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racted into the bladder B of the patient to force the drainage tube 10 drawn out of the bladder in the expanded state of the balloon 30.
  • the pulling state is shown briefly.
  • the drainage tube moves to the bladder inlet side and near the distal end of the drainage tube 10. While the balloon 30 is also inflated together, one side of the ballo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rinary inlet, which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oon, that is, the urine outlet 40 of the bladder.
  • the balloon which is expanded to a certain size while being located inside the bladder is caught by the inlet of the urethra, that is, the urine outlet 40 of the bladder, and the frictional resistance force. Is generated so that the fluid inside the balloon mov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inage tube 10 is pulled (F direction), and the stretching force is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o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rine outlet 40 while moving (F ′).
  • the tear induction part 35 formed with a relatively thin sheath or cross-sectional thickness is torn, the expanded balloon bursts as shown in FIG. 6, and the fluid that is filled inside the balloon is leaked, and the balloon is contracted.
  • the inner wall of the urethra is not damaged.
  • FIG. 7 schematically shows a state of us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urinary catheter in which the burst induction part 35 is form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rinary catheter moves the fluid inside the balloon by a pulling force (F) when the inflatable balloon is forced to pull the drainage tube from the outside of the bladder by the injection of the fluid into the bladder.
  • a pulling force F ′ is applied to pres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oon, a burst induction part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rainage pipe and the end of the balloon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age pipe which is elongated by the pressing force F ′, and bursts at the rear end of the balloon.
  • the fluid inside the balloon is discharged.
  • the end of the balloon is bond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tal end of the drainage pipe having a double pipe structure so that a predetermined fluid access passage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age pipe, and the discharge of the fluid is blocked, thereby expanding to a predetermined volume by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fluid.
  • the balloon is inflated by forming a sheath shape or a relatively thin cross-section thickness inducing section 35 at the end portion of the balloon or the end portion of the balloon which adheres the balloon expanded by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flui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ain tube.
  • the burst induction part 35 having a weaker strength or adhesive strength than other parts is torn and is configured to naturally discharge the fluid filled in the balloon.
  • the burst-inducing part of the balloon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easily ruptured in the process of being expanded to a spherical shape by making the thickness of the cross section relatively thinner, lowering the contact strength or forming a fine sheath than other surrounding parts, but pulling the drainage tube
  • the external force of the side is applied to the balloon outer surface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direction, it is made of a structure or shape that can be easily broken.
  • the material of the left and right balloons with different dissimilar materials on the basis of the burst induction part for the sake of rupture, and the expansion rate is different, so when the fluid inside the ring is moved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drain pipe,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ner wall of the balloon. Due to the difference in elongation between different dissimilar materials may be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burst induction po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로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소변배출로가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형의 배액관, 배액관의 말단부에 복수 개가 관통 형성된 소변유입구, 소변배출구, 배액관의 외주연에 형성된 유체통로와 연통된 유체주입구, 배액관의 말단 외주연에 구비되는 벌룬을 포함하되, 신체 외부에서 카테터를 잡아당기는 외역에 의하여 상기 벌룬의 팽창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터짐유도부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요로 카테터
본 발명은 요로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광 내부로 삽입된 요로 카테터의 말단부에 구형으로 부풀어 올라 외력에 의해 방광에서 임의로 카테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벌룬이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터질 수 있도록 하여 부풀어 오른 벌룬이 요로를 빠져나오면서 발생되는 상처나 열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요로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라고 하면 신체의 내부 체강(늑막강, 복막강)이나 소화관, 방광 등의 내용액을 배출하거나 배출측정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느다란 관을 의미한다.
이러한 카테터는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모양이나 굵기 등 종류가 다르며, 특히 방광에 차 있는 오줌의 배출이나 방광내부의 세정, 방광 내부에 약 주입 등을 하는데 요로 카테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요로 카테터의 일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로 카테터(C)는 소변을 배출시키기 위한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의 배액관(10)과, 상기 배액관(10)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방광 내부로 진입되어 배액관(10) 내부로 소변이 통과될 수 있도록 복수개가 관통 형성된 소변유입구(11)와, 상기 소변유입구(11)의 반대쪽 배액관(10)의 타측단에 구비되는 카테터 유닛(15)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소변배출구(13), 상기 카테터 유닛(15)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소변배출구(13)와 y형으로 배치되어 2중관 구조의 배액관(10) 외주연으로 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유체주입구(14)와, 상기 유체주입구(14)를 통해 주입된 유체가 배액관(10)의 말단부 근처에서 일정 크기의 구형으로 부풀어 오르도록 구비되는 벌룬(balloon,1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요로 카테터(C)는 하나의 배액관(10)이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져 그 내측 중심부에 형성된 소변배출로를 통해 방광의 소변이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방광 내측에 위치한 배액관의 말단부가 방광 외부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배액관(10)의 말단부 근처에 구비된 벌룬(12)이 유체주입구(14)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의 주입량에 따라 일정 크기의 구(求) 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상태가 도 1의 확대도에 도시되어 있고, 방광 내부에 유치된 배액관의 말단부에 벌룬이 부풀어 올라 배액관(10)이 방광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통상의 요로 카테터(C)는 환자의 방광 내부에 부풀어 오른 벌룬이 위치하면서 배액관의 말단부에 구비된 소변유입구를 통해 배액관 내부로 소변을 유입시켜 소변수집백(20)으로 소변을 수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요로 카테터는 통상 마취 상태에서 수술을 할 때 환자의 요도를 통해 방광 내부로 요로 카테터를 유지시키기 때문에 요로 카테터 설치하는 경우 그 통증을 못 느끼다가 마취가 풀리면서 환자는 방광 내부에 삽입된 카테터에 의해 심한 이물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환자는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요도 및 방광으로 설치된 요로 카테터를 강제로 잡아 당겨 빼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방광(B) 내부에서 일정 크기로 팽창된 벌룬(12)은 외부로 잡아 당겨지는 배액관(10)에 의해 방광 내측 입구에 걸리거나 방광 입구를 팽창시키면서 요도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강제로 빠져 나오면서 환자의 요도 내벽에 찰과상이나 열상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 상처로 인해 심한 고통을 유발하게 되어 환자는 심한 통증을 감내해야만 한다.
한편, 요로 카테터를 강제로 빼낸 후 찰과상이나 열상으로 인해 손상된 환자의 요도에서 출혈이 있기 때문에 배뇨시 혈뇨가 발생됨은 물론 상처부위가 배출되는 소변과 접촉되면서 많은 쓰라림을 발생시키게 되어 환자들은 강제적으로 카테터를 제거한 후에 배뇨시 발생되는 통증이 심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가급적 오랫동안 소변을 참게 된다.
하지만, 환자들이 오랫동안 소변을 참는 과정에서 방광이 팽창하게 되고, 오랜 시간동안 소변을 배출하지 못한 방광은 점점 더 크게 팽창하면서 심하면 방광무력증까지 발전할 수도 있고, 이로 인해 또 다른 질병을 야기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요로 카테터를 사용하는 환자들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요로 카테터를 강제로 빼낼 경우, 방광 내부에서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벌룬에 의해 환자의 요도가 손상을 입어 또 다른 질병을 야기하고 이로 인해 환자의 고통이 배가되는 불편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선행특허문헌)
(특허문헌 1) - 한국 특허등록 제10-0992872호(등록일: 2010.11.02, 발명의 명칭: 요도 카테터)
(특허문헌 2) - 한국 특허등록 제10-1730426호(등록일:2017.04.20, 발명의 명칭: 마개가 구비된 소변배출용 카테터)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벌룬 요로 카테터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요로 카테터를 착용한 환자가 강제로 요로 카테터를 잡아당겨 빼낼 경우 그 잡아당기는 힘 또는 압력에 의해 방광 내부에 팽창되어 있는 벌룬에 일정 압력 이상이 작용할 경우 자동으로 벌룬이 터져 벌룬 내부에 채워진 유체가 빠져나가면서 벌룬의 부피가 축소되어 요로를 통해 요로 카테터의 인출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팽창된 벌룬이 요로를 빠져나오면서 발생되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요로 카테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요로 카테터는 소변을 배출시키기 위한 소변배출로가 중심부에 형성되는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지는 중공형의 배액관; 상기 배액관으로 소변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방광 내부로 진입하는 배액관의 말단부에 복수개가 관통 형성된 소변유입구; 상기 소변유입구의 반대쪽에 구비되는 카테터 유닛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소변유입구로 유입된 소변이 배액관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소변배출구; 이중관 구조의 배액관 외주연에 형성된 유체통로를 통해 유체를 진입시키도록 상기 소변배출구와 y형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카테터 유닛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유체주입구; 상기 유체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유체의 진입압력에 의해 팽창되어 방광 내부에 위치한 배액관의 말단부가 요도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액관의 말단 외주연에 구비되는 벌룬(balloon);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벌룬이 팽창된 상태에서 방광 외부에서 카테터를 잡아 당기는 일정한 힘 또는 압력을 받을 경우 벌룬이 방광 입구에 접촉하면서 발생되는는 접촉압력이나 벌룬 내부의 유체이동 압력에 의해 팽창된 벌룬이 터지면서 벌룬 내부에 채워진 유체가 배출되어 벌룬의 팽창상태가 해제되도록 벌룬 외주연 또는 벌룬과 배액관의 연결부 사이에 터짐유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터짐유도부는 잡아 당겨지는 배액관의 인장력 작용방향에 대해 직각방향 또는 방사형으로 한 개 이상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터짐유도부는 주변 벌룬의 단면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되거나 좌우 벌룬의 소재가 신축률이 다른 이종소재의 접합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로 카테터는 환자의 방광속으로 카테터를 유치시키고 벌룬을 팽창시켜 놓은 상태에서 환자가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카테터를 강제로 잡아당길 경우, 방광 내부에 위치하면서 카테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벌룬이 방광의 입구측에 걸려 일정 이상의 압력이 작용할 경우 팽창된 벌룬의 외주연 일측 또는 벌룬과 배액관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된 터짐유도부가 터지면서 벌룬 내부에 채워져 있던 유체가 빠져나오면서 팽창되었던 벌룬이 수축되면서 요도를 통해 빠져 나오게 됨으로써 환자의 요도 손상을 최소화하여 환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요로 카테터를 강제로 제거하더라도 요도의 손상이 최소화되어 배뇨시 발생되는 통증을 줄여 소변을 참아 발생하게 되는 방광무력증 및 추가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요로 카테터의 일실시예 및 벌룬부위의 확대상태도,
도 2는 종래의 요로 카테터의 선단부가 방광 내부에 위치되어 벌룬이 팽창되어 있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로 카테터에서 벌룬 부위가 팽창된 상태 및 팽창된 벌룬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수직 절단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로 카테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방광 내부로 카테터 선단부를 유치시킨 후에 배액관을 잡아당길 경우 팽창된 벌룬의 터짐유도부가 팽창된 상태도,
도 6은 도 5의 팽창된 벌륜이 방광 입구측에 걸려 작용된 외력에 의해 터짐유도부가 터지면서 유체가 배출되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로 카테터를 환자의 방광 내부로 유치시킨 상태에서 카테터 선단부의 벌룬을 팽창시킨 상태에서 카테터를 잡아당길 경우 팽창된 벌룬의 터짐유도부가 팽창된 상태도,
도 8은 도 6의 팽창된 벌룬이 방광 입구측에 걸려 작용된 외력에 의해 터짐유도부가 터지면서 유체가 배출되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요로 카테터는 소변을 배출시키기 위한 소변배출로가 중심부에 형성되는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지는 중공형의 배액관; 상기 배액관으로 소변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방광 내부로 진입하는 배액관의 말단부에 복수개가 관통 형성된 소변유입구; 상기 소변유입구의 반대쪽에 구비되는 카테터 유닛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소변유입구로 유입된 소변이 배액관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소변배출구; 이중관 구조의 배액관 외주연에 형성된 유체통로를 통해 유체를 진입시키도록 상기 소변배출구와 y형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카테터 유닛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유체주입구; 상기 유체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유체의 진입압력에 의해 팽창되어 방광 내부에 위치한 배액관의 말단부가 요도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액관의 말단 외주연에 구비되는 벌룬(balloon);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벌룬이 팽창된 상태에서 방광 외부에서 카테터를 잡아 당기는 일정한 힘 또는 압력을 받을 경우 벌룬이 방광 입구에 접촉하면서 발생되는는 접촉압력이나 벌룬 내부의 유체이동 압력에 의해 팽창된 벌룬이 터지면서 벌룬 내부에 채워진 유체가 배출되어 벌룬의 팽창상태가 해제되도록 벌룬 외주연 또는 벌룬과 배액관의 연결부 사이에 터짐유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요로 카테터의 기본적인 구성이나 구조 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 위주로 자세한 설명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로 카테터(C′)의 일부 구성도로서, 배액관(10)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벌룬(30)이 구형으로 팽창된 상태 및 팽창된 벌룬(30)의 확대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로 카테터(C′)는 구형으로 부풀어 오르는 벌룬(balloon, 30)의 일측 외주연에 원주형으로 터짐유도부(35)가 형성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부인 상기 터짐유도부(35)는 요로 카테터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유체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의 주입량 및 주입압력에 의해 부풀어 오르도록 배액관(10)의 말단부 근처에서 배액관의 외주연으로 일정 길이 형성된 벌룬(30)에 형성되어 일정 크기로 부풀어 오른 벌룬(30)이 규정 이상으로 주입되는 유체량 또는 유체 주입압력에 의해 찢겨지도록 가이드 역할을 함으로써 팽창된 벌룬 내부에 차 있는 유체가 찢겨지는 터짐유도부를 통해 벌룬 외부로 배출되면서 벌룬이 수축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된 일 실시예의 벌룬(30)에 형성된 터짐유도부(35)는 배액관(10)의 설치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터짐유도부(35)의 형성방향이나 위치는 방광 내측 입구에 걸려 압력을 받는 위치에 따라 그 설치 위치가 다서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벌룬 자체에 형성되기도 하지만 벌룬과 배액관이 만나는 경계부에 터짐유도부가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터짐유도부(35)의 위치와 방향은 탄력적으로 방광 내부에서 유동되는 벌룬(30)의 유동특성이나 소재(素材) 특성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요로 카테터(C′)에서 배액관(10)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구형으로 팽창된 벌룬(30)의 중심부 수직절단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벌룬의 외주면에 일측에 형성되는 터짐유도부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벌룬의 특성상 터짐유도부가 다른 부위보다 압력에 취약하도록 칼집형태로 성형되어 파열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거나, 주변에 비해 단면 두께가 더 얇게 형성되어 카테터를 잡아당기는 인장력에 의해 유체가 유동되면서 벌룬의 내벽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대적으로 단면 두께가 얇게 형성된 터짐유도부가 찢겨지면서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여 벌룬 수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로 카테터(C′)가 환자의 방광(B) 내부에 유치되어 벌룬(30)이 팽창된 상태에서 방광 외부로 인출된 배액관(10)을 강제로 잡아 당기는 상태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방광 내부로 요로 카테터(C′)가 유치된 상태에서 신체 외부에서 카테터를 강제로 잡아당길 경우, 배액관이 방광 입구측으로 이동하면서 배액관(10)의 말단부 근처에 부풀어 오른 벌룬(30)도 함께 이동하면서 벌룬의 일측이 벌룬의 직경보다 작은 요도 입구, 즉 방광의 소변출구(40)측에 맞닿게 된다.
배액관을 방광 외부로 잡아 당기는 힘(F)이 작용하게 되면, 소변출구(40)에 걸린 벌룬의 외표면에 외력이 작용하면서 벌룬 내부에 채워져 있는 유체는 배액관의 잡아 당기는 힘(F)과 반대 방향으로 반력(F′)이 작용하면서 소변출구(40)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있는 벌룬의 내벽에 압력을 가하면서 배액관의 인장력과 반대방향으로 벌룬이 팽창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신체 외부에서 카테터를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강제로 잡아 당기게 되면(F방향), 방광 내부에 위치하면서 일정 크기로 팽창된 벌룬이 요도의 입구, 즉 방광의 소변출구(40)에 걸리면서 마찰저항력이 발생되어 배액관(10)이 잡아당겨지는 방향(F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벌룬 내부의 유체가 이동(F′)하면서 소변출구(40)와 접촉하고 있는 원주방향의 벌룬 외표면에 신장력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칼집이나 단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터짐유도부(35)가 찢겨지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되었던 벌룬이 터져 벌룬 내부에 차 있던 유체가 유출되면서 벌룬이 수축되고, 벌룬의 수축으로 소변출구(40)에 걸렸던 배액관(10)의 말단부가 요도를 통해 자연스럽게 빠져나가게 되면서 요도 내벽에 손상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7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위치에 터짐유도부(35)가 형성된 요로 카테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로 카테터는 방광 내부에서 유체의 주입에 따라 부풀어 오르는 벌룬이 방광 외부에서 배액관을 강제로 잡아 당길 경우 잡아당기는 힘(F)에 의해 벌룬 내부의 유체가 이동하면서 벌룬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력(F′)이 발생될 경우, 상기 가압력(F′)에 의해 신장이 이루어지는 배액관의 외주면과 벌룬의 연결부 또는 벌룬의 말단부에 터짐유도부가 형성되어 벌룬의 후단부에서 터짐유도부가 찢겨지면서 벌룬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배액관의 외주면에 소정의 유체 출입통로가 마련되도록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지는 배액관의 말단부 외주연에 상기 벌룬의 말단이 접착되어 유체의 배출이 차단되면서 유체의 주입압력에 의해 일정 부피로 팽창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유체의 주입압력에 의해 팽창되는 벌룬을 배액관의 외주연에 접착시키는 접착부 또는 벌룬의 말단부와 배액관의 외주면 연결부에 칼집형상이나 상대적으로 단면 두께가 얇은 터짐유도부(35)를 형성시켜 벌룬이 팽창된 상태에서 일정한 압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다른 부위보다 강도나 접착력이 약한 상기 터짐유도부(35)가 찢어지면서 벌룬 내부에 차 있던 유체가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부인 벌룬의 터짐유도부는 상대적으로 주변의 다른 부위보다 단면 두께를 얇게 하거나 접촉강도를 낮추거나 미세한 칼집을 형성하여 구형으로 팽창되는 과정에서는 쉽게 파열되지 않지만, 배액관을 잡아 당기는 측면방향의 외력으로 벌룬 외표면에 측방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쉽게 파열될 수 있는 구조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원활한 파열을 위해 상기 터짐유도부를 기준으로 좌우측 벌룬의 소재를 서로 다른 이종재로 구성되어 팽창률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배액관의 잡아당기는 외력에 의해 벌륜 내부의 유체가 이동하면서 벌룬 내벽에 압력을 가할때 서로 다른 이종재 사이의 신장률 차이로 인해 터짐유도부가 쉽게 터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벌룬 또는 벌룬과 배액관 사이에 구성되는 터짐유도부의 일부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배액관 11 : 소변유입구
12, 30 : 벌룬 13 : 소변배출구
14 : 유체주입구 15 : 카테터 유닛
20 : 소변수집백
35 : 터짐유도부 40 : 소변출구
50 : 요도
B : 방광 C, C′: 요로 카테터

Claims (3)

  1. 소변을 배출시키기 위한 소변배출로가 중심부에 형성되어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지는 중공형의 배액관(10); 상기 배액관(10) 내부로 소변이 유입되도록 방광 내부로 진입하는 배액관(10)의 말단부에 복수개가 관통 형성된 소변유입구(11); 상기 소변유입구(11)로 유입된 소변이 배액관(10)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소변유입구(11)의 반대쪽에 구비되는 소변배출구(13); 이중관 구조의 배액관 외주연에 형성된 유체통로를 통해 유체를 진입시키도록 상기 소변배출구(13)의 일측 카테터유닛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유체주입구(14); 방광 내부에 위치한 상기 배액관(10)의 말단부가 요도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상기 유체주입구(14)로 주입되는 유체의 주입압력에 의해 부풀어 오르도록 배액관의 말단 외주연에 구비되는 벌룬(balloon,30);을 포함하되,
    상기 벌룬(30)이 팽창된 상태에서 신체 외부에서 카테터를 잡아 당기는 외력이 작용할 경우 소변출구(40)에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접촉압력이나 벌룬 내부의 유체이동에 따른 가압력에 의해 팽창된 벌룬이 터지면서 유체가 배출되어 벌룬의 팽창상태가 해제되도록 벌룬(30)의 외주연 또는 벌룬(30)과 배액관(10)의 연결부에 터짐유도부(35)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로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짐유도부(35)는 배액관을 잡아 당기는 인장력의 작용방향에 대해 직각방향 또는 방사형으로 한 개 이상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로 카테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짐유도부(35)는 주변 벌룬의 단면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되거나 좌우 벌룬의 소재가 신축률이 다른 이종소재의 접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로 카테터.
PCT/KR2019/007331 2018-07-12 2019-06-18 요로 카테터 WO202001346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109 2018-07-12
KR1020180081109A KR20200007243A (ko) 2018-07-12 2018-07-12 요로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3467A1 true WO2020013467A1 (ko) 2020-01-16

Family

ID=6914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7331 WO2020013467A1 (ko) 2018-07-12 2019-06-18 요로 카테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07243A (ko)
WO (1) WO202001346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2870A (zh) * 2022-07-08 2022-10-18 湖南依微迪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输尿管导管
CN116712661A (zh) * 2023-08-10 2023-09-08 昆明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防止尿道水肿的医用导尿套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628A (ko) 2021-03-03 2022-09-14 배성곤 원터치 도뇨관 및 도뇨관용 마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7668A1 (en) * 2004-03-02 2005-09-08 Scimed Life Systems, Inc. Occlusion balloon catheter with longitudinally expandable balloon
US20080009793A1 (en) * 2005-04-21 2008-01-10 Dabbs Clifton R Foley Catheter Adaptor
US20110071506A1 (en) * 2009-09-18 2011-03-24 Gardner Bruce A Balloon catheter
WO2014147620A1 (en) * 2013-03-20 2014-09-25 Androphin Ltd A tearable endourethral catheter
JP2016052452A (ja) * 2014-09-04 2016-04-14 テルモ株式会社 カッティングバルーンカテ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872B1 (ko) 2008-02-29 2010-11-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도 카테터
KR101730426B1 (ko) 2016-09-02 2017-04-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마개가 구비된 소변배출용 카테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7668A1 (en) * 2004-03-02 2005-09-08 Scimed Life Systems, Inc. Occlusion balloon catheter with longitudinally expandable balloon
US20080009793A1 (en) * 2005-04-21 2008-01-10 Dabbs Clifton R Foley Catheter Adaptor
US20110071506A1 (en) * 2009-09-18 2011-03-24 Gardner Bruce A Balloon catheter
WO2014147620A1 (en) * 2013-03-20 2014-09-25 Androphin Ltd A tearable endourethral catheter
JP2016052452A (ja) * 2014-09-04 2016-04-14 テルモ株式会社 カッティングバルーンカテーテ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2870A (zh) * 2022-07-08 2022-10-18 湖南依微迪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输尿管导管
CN116712661A (zh) * 2023-08-10 2023-09-08 昆明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防止尿道水肿的医用导尿套件
CN116712661B (zh) * 2023-08-10 2023-12-29 昆明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防止尿道水肿的医用导尿套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243A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13467A1 (ko) 요로 카테터
CN111902182B (zh) 女用导管定位器末梢
KR100470519B1 (ko) 백-업 보유 부재 배출 카테테르
US83431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tracting objects from the body
US5441485A (en) Bladder catheter
US5188595A (en) Method for enhanced retention of balloon catheter in body cavity
WO2013129827A1 (ko) 대장내시경 검사 보조 기구
JP2004505690A (ja) 無バルーン型尿道カテーテル
WO2017078292A1 (ko) 접힘부를 갖는 요도카테터
WO2018110999A1 (ko) 자동 췌공장 문합 스텐트
US20050033448A1 (en) Body implantation tube
WO2023066033A1 (zh) 导尿装置及包括该导尿装置的导尿组件
WO2016148432A1 (ko) 요도 카테터 삽입용 가이더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요도 카테터 키트
WO2022092503A2 (ko) 도뇨장치
WO2021045311A1 (ko) 요도 협착 억제장치
JP5332184B2 (ja) 腸管内挿入用カテーテル
TWM551482U (zh) 導尿管
WO2021107296A1 (ko) 의료용 카테터
WO2011093626A2 (ko) 관장용 카테타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시술방법
WO2016108481A1 (ko) 풍선이 장착된 스텐트 삽입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KR102190984B1 (ko) 요도 카테터
EP1405612A1 (en) Transanal device
KR20030069757A (ko) 방광내 유치 도뇨관
WO2023229090A1 (ko) 약물 유도 풍선 확장 요도 카테터
WO2005044146A1 (en) Transa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3404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5.05.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3404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