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16723A1 -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 Google Patents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16723A1
WO2019216723A1 PCT/KR2019/005681 KR2019005681W WO2019216723A1 WO 2019216723 A1 WO2019216723 A1 WO 2019216723A1 KR 2019005681 W KR2019005681 W KR 2019005681W WO 2019216723 A1 WO2019216723 A1 WO 201921672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arness
aircraft
motor
arm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56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Lee Jeong Yo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ee Jeong Yong filed Critical Lee Jeong Yong
Publication of WO201921672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167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6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for use as personal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30Parts of fuselage relatively movable to reduce overall dimensions of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00Wings
    • B64C3/38Adjustment of complete wings or parts thereof
    • B64C3/56Folding or collapsing to reduce overall dimensions of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3/00Ornithopters
    • B64C33/02Wings; Actuating 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205/00Aircraft with means for ground manoeuvring, such as taxiing, using an auxiliary thrust system, e.g. jet-engines, propellers or compressed ai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and worn on the body, such as paragliding or hang gliding, freely flying up, down, left and right in the air close to birds and landing on the roof of a tree or building or the railing of a building.
  • the technical field is a plane that can land on land.
  •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ackground of the paraglide harness, folding drones, robot birds, robot bees and the lik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and worn on the body, such as paragliding or hang gliding, freely flying up, down, left and right in the air close to birds, and landing on the roof of a tree or building or the railing of a building.
  • a drone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and worn on the body, such as paragliding or hang gliding, freely flying up, down, left and right in the air close to birds, and landing on the roof of a tree or building or the railing of a building.
  •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lane that can land on land,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take off and land while standing on the body and to make the body parallel to the ground after takeoff or to fly when landing. Allow the propeller and body angle to be more than 90 degrees wide enough to land so that the legs reach the ground first, such as when a flying beast lands, and fly on a tree like a bird or dragonfly and land on the tree.
  • Canine companion or banryeomyo make the same drone is formed, you can enjoy a stroll to fly through the air with your canine companion and banryeomyo a canine companion, or drones for the harness is formed banryeomyo and canine companion or banryeomyo also nalraseo as birds perched on trees or sleep or rest to take The problem to be solved is to provide a leisure equipment.
  • Dogs and cats can also fly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when flying.When landing, a plate that can be adjusted with the servomotor between the main body and a plate with a harness like a flying beast is forme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ans of flight that allows them to land.
  •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to make drones, robot birds, robot bees, etc. large enough to fly people, but to form a folding arm to support the wings or wings, to fold the body into the body and spread it on the back of the person
  • the harness is formed so that the robot arm can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fix and support the body integrated with the main body when sitting on a railing of a tree or a building.
  •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the drone, worn on the body, such as paragliding or hang gliding, worn on the body to fly freely close to the bird up, down, left and right in the air and land on the roof of the tree or building or the railing of the building.
  • the robot arm can be attached to the part that came ou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rness formed in the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wing that is not a foldable propeller type.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rness formed on the wings of the robot bird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rocket type injector is formed on the robot bird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ervomotor module of the robot bird is formed in the main body and the rod.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ervomotor module of the robot bir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and the rod.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at take-off of the harness formed in the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flight of the harness formed in the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is fixed to a tree branch using a robot arm and the angle of the main body is conveniently adjusted for reading using a servo motor to land on the tree and rest.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a controller is formed at an end of an electric cord and an electric cord that can control a drone of a companion wired to one side of a drone in which a harness that can be worn on a pet is formed.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wheels, boards, and handles formed on a drone in which a harness is formed.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propeller is formed on the wing of the robot bird of the present invention.
  • main body 2 propeller
  • first rotating shaft 24 second rotating shaft
  • a drone forms a harness that attaches to a human or pet's body and attaches it to a human or pet.
  • the drone is formed with a propeller at the end of the arm, but the arm is formed to be foldable, and then it enters and expands inside the main body, or it is folded inward and unfolded.
  • a servo motor 15 and an arm panel 32 which are joints capable of rotating the main body up and down, ar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lso the lower part of the servo motor 15 and the arm panel 32 are formed.
  • the servo motor 15 and the arm panel 32 which are the joints capable of rotating the servo motor 15 and the arm panel 32, which are jointed around the lower part, are rotated up and down.
  • One or more servomotors and panels are articulated from the top, allowing the drone to be vertical or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or to adjust the rotary vanes at various angles for flight.
  • the main body itself has a servo motor 15 and an arm panel 32 which are joints capable of rotating the main body up and down about the lower part, and also the servo motor 15 and the arm.
  • the servo motor 15 and the arm which are the joints capable of rotat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ervo panel 15 and the arm panel 32, which are articulated about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nel 32, respectively.
  • One or more servo motors and panels, in which the arm-type panel 32 is articulated from the bottom, can be used to allow the drone to be vertical or horizontal to the ground, or to adjust the rotary vanes at various angles necessary for flight.
  • drones can be worn on the body, such as paragliding or hang gliding, and can fly freely up, down, left and right in the air, close to birds, and land on the roof of trees, buildings, or railings of buildings. If you attach a robot arm to a tree or tree, railing between a building, or a roof, you can pick up and carry things like a bird. It can be attached and can be used as a vehicle or toy of a child or an adult, or a toy of a dog or cat.
  • a drone is a propeller formed at the end of an arm, but an arm is formed to be foldable, and then it is moved into the main body and then unfolded.
  • the main body itself has a servo motor 15 and an arm panel 32 which are joints capable of rotating the main body up and down about the upper part, and the servo motor 15 and the arm are formed thereon.
  • the servo motor 15 and the arm that are the joints that can rotate the upper and lower servo panels 15 and the arm panel 32 are also articulated about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nel 32.
  • One or more servo motors and panels, in which the panel 32 is articulated from the top, allow the drone to be vertical or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or to adjust the rotary vanes at various angles for flight.
  • the main body itself has a servo motor 15 and an arm panel 32 which are joints capable of rotating the main body up and down about the lower part, and also the servo motor 15 and the arm.
  • the servo motor 15 and the arm which are the joints capable of rotat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ervo panel 15 and the arm panel 32, which are articulated about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nel 32, respectively.
  • One or more servo motors and panels, in which the arm-type panel 32 is articulated from the bottom, can be used to allow the drone to be vertical or horizontal to the ground, or to adjust the rotary vanes at various angles necessary for flight. It is.
  • At least one robot arm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 Figure 3 shows that the wing is formed to be foldable.
  • FIG. 4 illustrates that a rocket engine or a jet engine is formed on a drone having a folding wing of FIG. 3.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rvomotor of a robot bird or a wing of a robot bee;
  • the servomotor of the robot bird or the wing of the robot bee is formed to be able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n the X, Y, and Z axes, and each one is combined in the X, Y, and Z axes to function as a module.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the servomotor module formed on the rod and the main body of the robot bir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and the rod;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the servomotor module of the robot bir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and the rod.
  • the harness that attaches to the human body is formed on the wing of the robot bird and mounted on the human or animal body.
  • the wing of the robot bird is one or more rods are foldable to be folded and unfolded by the motor, and the one or more rods are mainly driven by the motor in the middle and the main body.
  • Orientation is directed by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uman body
  • the wing of the robot bird is one or more rods that are foldable and folded and unfolded by a motor, and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wind and the wind speed are sensed by the motor formed in the middle of one or more rods or by a motor formed in each joint of the wing.
  • the controller When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re inputted by the sensor, the controller outputs the speed and the speed of each motor to reach the target point, and the operation means such as the motor is operated by the output electric signal.
  • the target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going left and right) is often entered by a person or by GPS.
  • a harness is attached to the human or animal body and attached to the human body.
  • the wing of the robot bee is one or more rods formed to be foldable to be folded and unfolded by a motor, and the wing is made by a servo motor attached to the body of one or more rods.
  • the motors of the joints of the robot are formed to be able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n the X, Y, and Z axes, and each one of the X, Y, and Z axes is combined to function as a module.
  • the motor of the wing of a robot bird or robot bee is formed to be able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n the X, Y, and Z axes, and each one is combined in the X, Y, and Z axes to function as a module.
  • the motor of the robot joint is formed to be able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n the X, Y, and Z axes, and the motors in the X, Y, and Z axes are combined to function as one module.
  • the motor is formed in the Z axis, one of the X, Y, and Z axes of the motor is fixed to the main body, and the servo motor, which is one of the remaining axes, is fixed to the part rotated by the fixed motor and rotated by the fixed motor.
  • One of the motors of the remaining shafts is fixed to the part, and a moving part such as an arm or a rod of a leg blade is formed at a rotation part of the motor fixed at the end.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at take-off of the harness formed in the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body itself has a servo motor and an arm that can rotate the main body up and down about the upper part at the upper part, and a servo motor and an arm that can rotate the main body up and down about the lower part also in the lower part.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flight of the harness formed in the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is fixed to a tree branch using a robot arm and the angle of the main body is conveniently adjusted for reading using a servo motor to land on the tree and rest.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a controller is formed at an end of an electric cord and an electric cord capable of controlling a drone of a pet in a wire at one side of a drone in which a harness that can be worn on a pet is formed;
  • an electric wire that can control the animal's drone in a wired manner and a controller or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wheels, boards, and handles formed on a drone in which a harness is formed;
  • At least one wheel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craft in which the harness is formed.
  • the hand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craft in which the harness is formed.
  • At least one wheel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craft in which the harness is formed is a wheel driven by an electric motor, and a kickboard board is formed on the wheel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craft in which the harness is formed.
  •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propeller is formed on the wing of the robot bi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ropell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wing formed after the joint.
  • Industrial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which is worn on the body and worn on the body, such as paragliding or hang gliding, freely flying up, down, left, and right in the air, close to birds, and on the roof of a tree or building, or railing of a building.
  • It can be attached to the protruding part of the middle layer by a robot arm, and can be used as a vehicle or toy of a child or an adult, and also a toy of a dog or a cat.

Abstract

드론에 사람 몸에 부착하게 되는 하네스를 형성하여 사람 몸에 장착하게 되며 드론은 암(arm)의 단부에 프로펠러가 형성이 되되 암(arm)이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본체 내부로 들어 보냈다가 펼쳤다가 하는 것이며 본체 자체는 상부에는 상부를 중심으로 본체를 위와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서보모터가 형성되며 또한 하부에도 하부를 중심으로 본체를 위와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서보모터가 형성되어 드론이 지면에 대해서 수직 또는 수평이 될 수 있게 하거나 비행에 필요한 여러 각도로 회전 날개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체의 일측에는 접이식 프로펠러식이 아닌 날개가 형성되도록 하며 여기에 본체의 일측에 로봇팔이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본 발명은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몸에 착용이 되며 패러글라이딩이나 행글라이드와 같이 몸에 착용하여 공중의 상하좌우를 새에 가깝게 자유자재로 비행하고 나무나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의 난간등에 착륙할 수 있으며 물론 육지에도 착륙할 수 있는 비행기구가 기술분야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패러글라이드의 하네스와 접이식 드론이나 로봇새나 로봇벌등의 기술이 배경이 된다.
본 발명은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몸에 착용이 되며 패러글라이딩이나 행글라이드와 같이 몸에 착용하여 공중의 상하좌우를 새에 가깝게 자유자재로 비행하고 나무나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의 난간등에 착륙할 수 있으며 물론 육지에도 착륙할 수 있는 비행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몸에 착용한 상태로 서서 있는 상태로 이륙과 착륙이 가능하게 하며 이륙후에 몸이 지면과 평행이 되도록 하여 비행 하거나 착륙시에는 비행하게 하는 프로펠러와 신체의 각도가 착륙에 적당하도록 90도 이상으로 벌어 지게 해서 다리가 날짐승이 착륙하는 상태와 같이 지면에 먼저 닿도록 할 수 있고 새나 잠자리와 같이 나무에 날라서 나무에 착륙할 수 있게 하며 나무에 착륙한 채로 드론의 프로펠러를 본체내로 넣고 로봇팔로 나무의 가지등에 고정시키고 본체와 하네스가 부착된 판과의 사이의 서보모터로 각도 조정이 가능한 판을 형성하여 나무위에서 알맞은 각도로 몸을 세워서 앉아서 쉬거나 잠을 잘 수 도 있고 독서도 할 수 있으며 날짐승과 같이 날라서 나무 위에 앉거나 잠을 자거나 휴식도 취할 수 있으며 건물의 중간층의 튀어 나온 부분에도 로봇팔로 붙어 있을 수가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과
반려견이나 반려묘도 동일하게 드론이 형성된 반려견이나 반려묘용 하네스가 형성된 드론으로 반려견이나 반려묘와 함께 공중을 비행하는 산책을 즐길 수 있으며 반려견이나 반려묘도 날짐승과 같이 날라서 나무 위에 앉거나 잠을 자거나 휴식도 취할 수 있는 레저용 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반려견이나 반려묘도 비행시에는 지면과 수평으로 비행하게 할 수 있으며 착륙시에는 날짐승과 같이 본체와 하네스가 부착된 판과의 사이의 서보모터로 각도 조정이 가능한 판을 형성하여 뒷 다리부터 지면에 닿아서 착륙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비행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과제의 해결 방법은 드론이나 로봇새, 로봇벌등이 사람을 비행시킬만하게 크게 만들되 날개나 날개를 지지하는 암(arm)을 접이식으로 형성하여 본체에 접어서 넣고 펴질 수 있게 하며 사람의 등뒤에 짊어 질 수 있게 하네스를 형성하며 본체의 일측에는 로봇팔을 형성하여 나무나 건물의 난간등에 앉을 경우에 본체와 일체화된 몸을 고정시키고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해결 수단이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몸에 착용이 되며 패러글라이딩이나 행글라이드와 같이 몸에 착용하여 공중의 상하좌우를 새에 가깝게 자유자재로 비행하고 나무나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의 난간등에 착륙할 수 있으며 물론 육지에도 착륙할 수 있게 되며 나무와 나무 사이나 건물과 건물사이의 난간이나 옥상등을 자유자재로 로봇팔등을 부착하면 새와 같이 물건을 집어서 나를 수 있고 나무나 건물의 중간층의 튀어 나온 부분에도 로봇팔로 붙어 있을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론에 하네스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의 일측에는 접이식 프로펠러식이 아닌 날개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로봇새의 날개에 하네스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로봇새에 로켓식 분사장치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로봇새의 서보모터 모듈을 형성한 것이 본체와 봉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로봇새의 서보모터 모듈을 형성한 것이 본체와 봉의 중심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드론에 하네스를 형성한 것의 이륙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드론에 하네스를 형성한 것의 비행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로봇팔을 이용하여 본체를 나무 가지에 고정시키고 본체의 각도를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독서에 편리하게 조정하여 나무위에 착륙하여 쉬는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반려동물에 착용할 수 있는 하네스가 형성된 드론의 일측에 반려동물의 드론을 유선으로 조종할 수 있는 전기줄과 전기줄의 단부에 조종기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하네스가 형성된 드론에 바퀴와 보드와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로봇새의 날개에 프로펠러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프로펠러
3 : 모터 5 : 암(arm)
10 : 하네스 11 : 접이식 날개
15 : 서보모터 20 : 로봇팔
21 : 로켓식 분사장치 22 : 날개
23 : 제 1 회전축 24 : 제 2 회전축
25 : 제 3 회전축 26 : 봉
27 : 반려동물 드론 조종줄
28 : 반려동물 드론 조종기
29 : 바퀴 30 : 보드
31 : 손잡이 32 : 암(arm)식 판넬
드론에 사람이나 반려동물의 몸에 부착하게 되는 하네스를 형성하여 사람 몸이나 반려동물에 장착하게 되며
드론은 암(arm)의 단부에 프로펠러가 형성이 되되 암(arm)이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본체 내부로 들어 보냈다가 펼쳤다가 하던가 또는 내측으로 접혀졌다가 펴졌다가 하는 것이며 본체 자체는 상부에는 상부를 중심으로 본체를 위와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는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이 형성되며 또한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의 하부에도 하부를 중심으로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을 위와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는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이 상부로 부터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와 판넬이 1개 이상이 형성되며 드론이 지면에 대해서 수직 또는 수평이 될 수 있게 하거나 비행에 필요한 여러 각도로 회전 날개를 조정할 수 있게 하거나
반대로 본체 자체는 하부에는 하부를 중심으로 본체를 위와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는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이 형성되며 또한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의 상부에도 상부를 중심으로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을 위와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는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이 하부로 부터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와 판넬이 1개 이상이 형성되며 드론이 지면에 대해서 수직 또는 수평이 될 수 있게 하거나 비행에 필요한 여러 각도로 회전 날개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몸에 착용이 되며 패러글라이딩이나 행글라이드와 같이 몸에 착용하여 공중의 상하좌우를 새에 가깝게 자유자재로 비행하고 나무나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의 난간등에 착륙할 수 있으며 물론 육지에도 착륙할 수 있게 되며 나무와 나무 사이나 건물과 건물사이의 난간이나 옥상등을 자유자재로 로봇팔등을 부착하면 새와 같이 물건을 집어서 나를 수 있고 나무나 건물의 중간층의 튀어 나온 부분에도 로봇팔로 붙어 있을 수가 있게 되어서 어린이나 어른의 이동수단이나 장난감으로서 또한 반려견이나 반려묘의 장난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로서
드론에 하네스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드론은 암(arm)의 단부에 프로펠러가 형성이 되되 암(arm)이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본체 내부로 들어 보냈다가 펼쳤다가 하는 것이며
본체 자체는 상부에는 상부를 중심으로 본체를 위와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는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이 형성되며 또한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의 하부에도 하부를 중심으로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을 위와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는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이 상부로 부터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와 판넬이 1개 이상이 형성되며 드론이 지면에 대해서 수직 또는 수평이 될 수 있게 하거나 비행에 필요한 여러 각도로 회전 날개를 조정할 수 있게 하거나
반대로 본체 자체는 하부에는 하부를 중심으로 본체를 위와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는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이 형성되며 또한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의 상부에도 상부를 중심으로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을 위와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는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이 하부로 부터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와 판넬이 1개 이상이 형성되며 드론이 지면에 대해서 수직 또는 수평이 될 수 있게 하거나 비행에 필요한 여러 각도로 회전 날개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여기에 본체의 일측에 로봇팔이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시도로서
본체의 일측에는 접이식 프로펠러식이 아닌 날개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날개는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접이식 날개를 형성한 드론에 로켓엔진이나 제트 엔진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로봇새나 로봇벌의 날개의 서보모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로봇새의 봉과 본체에 형성된 서보모터 모듈을 형성한 것으로서
로봇새나 로봇벌의 날개의 서보모터는 X,Y,Z축으로 순방향과 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이 되며 X,Y,Z축으로 각 각 1개씩이 합쳐져서 한개의 모듈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이며
도 5는 로봇새의 봉과 본체에 형성된 서보모터 모듈을 형성한 것이 본체와 봉의 중심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6은 로봇새의 서보모터 모듈을 형성한 것이 본체와 봉의 중심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로봇새의 날개에 사람 몸에 부착하게 되는 하네스를 형성하여 사람이나 동물 몸에 장착하게 되며
로봇새의 날개는 1개 이상의 봉이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모터에 의하여 접고 펴게 되며 1개 이상의 봉의 주로 가운데와 본체의 모터에 의하여 날게 되며
방향 조정은 사람몸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의하여 방향을 잡게 되는 것이며
로봇새의 날개는 1개 이상의 봉이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모터에 의하여 접고 펴게 되며 1개 이상의 봉의 가운데 모터에 의하여 또는 날개의 각 각의 관절에 형성되어 있는 모터에 의하여 중력과 바람의 풍향과 풍속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하여 바람의 풍향과 풍속이 입력되면 제어부에서 목표지점으로 향하기 위한 각 각의 모터의 날개짓의 여부와 속도를 출력하게 되고 출력된 전기신호에 의하여 모터등의 동작수단이 동작하게 되는 것이며 제어부의 목적 방향(좌,우 직진)은 수시로 사람이 입력하게 되거나 GPS에 의하여 입력하게 되는 것이며
로봇벌의 날개에 사람이나 동물 몸에 부착하게 되는 하네스를 형성하여 사람 몸에 장착하게 되며
로봇벌의 날개는 1개 이상의 봉이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모터에 의하여 접고 펴게 되며 1개 이상의 봉의 본체에 붙은 서보모터에 의하여 날개짓을 하게 되는 것이며
로봇의 관절의 모터는 X,Y,Z축으로 순방향과 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이 되며 X,Y,Z축으로 각 각 1개씩이 합쳐져서 한개의 모듈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이며
로봇새나 로봇벌의 날개의 모터는 X,Y,Z축으로 순방향과 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이 되며 X,Y,Z축으로 각 각 1개씩이 합쳐져서 한개의 모듈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이며
로봇 관절의 모터는 X,Y,Z축으로 순방향과 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이 되며 X,Y,Z축으로 각 각 1개씩이 합쳐져서 한개의 모듈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에 있어서 모터가 X,Y,Z축으로 형성이 될 때에 모터의 X,Y,Z축 중의 하나는 본체에 고정되며 고정된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부분에 나머지 축중의 하나인 서보모터가 고정되며 그 고정된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부분에 나머지 축의 모터중의 하나가 고정되는 것이며 맨 마지막에 고정되는 모터의 회전부에 팔(arm)이나 다리 날개의 봉등의 운동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드론에 하네스를 형성한 것의 이륙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본체 자체는 상부에는 상부를 중심으로 본체를 위와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서보모터와 암(arm)이 형성되며 또한 하부에도 하부를 중심으로 본체를 위와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서보모터와 암(arm)이 형성되어 드론이 지면에 대해서 수직 또는 수평이 될 수 있게 하거나 비행에 필요한 여러 각도로 회전 날개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몸에 착용하여 공중의 상하좌우를 새에 가깝게 자유자재로 비행하고 나무나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의 난간등에 착륙할 수 있으며 물론 육지에도 착륙할 수 있는 비행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몸에 착용한 상태로 서서 있는 상태로 이륙과 착륙이 가능하게 하며 이륙후에 몸이 지면과 평행이 되도록 하여 비행 하거나 착륙시에는 비행하게 하는 프로펠러와 신체의 각도가 착륙에 적당하도록 90도 이상으로 벌어 지게 해서 다리가 날짐승이 착륙하는 상태와 같이 지면에 먼저 닿도록 할 수 있고 새나 잠자리와 같이 나무에 날라서 나무에 착륙할 수 있게 하며 나무에 착륙한 채로 드론의 프로펠러를 본체내로 넣고 로봇팔로 나무의 가지등에 고정시키고 본체와 하네스가 부착된 판과의 사이의 서보모터로 각도 조정이 가능한 판을 형성하여 나무위에서 알맞은 각도로 몸을 세워서 앉아서 쉬거나 잠을 잘 수 도 있고 독서도 할 수 있으며 날짐승과 같이 날라서 나무 위에 앉거나 잠을 자거나 휴식도 취할 수 있으며 건물의 중간층의 튀어 나온 부분에도 로봇팔로 붙어 있을 수가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드론에 하네스를 형성한 것의 비행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로봇팔을 이용하여 본체를 나무 가지에 고정시키고 본체의 각도를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독서에 편리하게 조정하여 나무위에 착륙하여 쉬는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몸에 착용하여 공중의 상하좌우를 새에 가깝게 자유자재로 비행하고 나무나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의 난간등에 착륙할 수 있으며 물론 육지에도 착륙할 수 있게 되며 나무와 나무 사이나 건물과 건물사이의 난간이나 옥상등을 자유자재로 로봇팔등을 부착하면 새와 같이 물건을 집어서 나를 수 있고 나무나 건물의 중간층의 튀어 나온 부분에도 로봇팔로 붙어 있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반려동물에 착용할 수 있는 하네스가 형성된 드론의 일측에 반려동물의 드론을 유선으로 조종할 수 있는 전기줄과 전기줄의 단부에 조종기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반려동물에 착용할 수 있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의 일측에 반려동물의 드론을 유선 으로 조종할 수 있는 전기줄과 전기줄의 단부에 조종기가 형성되거나 무선 조종기가 형성된 것이다.
도 11은 하네스가 형성된 드론에 바퀴와 보드와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의 일측에는 1개 이상의 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바퀴중 1개 이상은 전동모터로 구동되는 바퀴인 것이며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바퀴위에는 킥보드 식의 보드가 형성되는 것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로봇새의 날개에 프로펠러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관절에 이어서 형성되는 날개의 일측에 프로펠러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산업상 이용가능성은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몸에 착용이 되며 패러글라이딩이나 행글라이드와 같이 몸에 착용하여 공중의 상하좌우를 새에 가깝게 자유자재로 비행하고 나무나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의 난간등에 착륙할 수 있으며 물론 육지에도 착륙할 수 있게 되며 나무와 나무 사이나 건물과 건물사이의 난간이나 옥상등을 자유자재로 로봇팔등을 부착하면 새와 같이 물건을 집어서 나를 수 있고 나무나 건물의 중간층의 튀어 나온 부분에도 로봇팔로 붙어 있을 수가 있게 되어서 어린이나 어른의 이동수단이나 장난감으로서 또한 반려견이나 반려묘의 장난감이 될 수 있다.

Claims (19)

  1. 드론에 사람이나 반려동물의 몸에 부착하게 되는 하네스를 형성하여 사람 몸이나 반려동물에 장착하게 되며
    드론은 암(arm)의 단부에 프로펠러가 형성이 되되 암(arm)이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본체 내부로 들어 보냈다가 펼쳤다가 하던가 또는 내측으로 접혀졌다가 펴졌다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2. 제 1항에서 본체 자체는 상부에는 상부를 중심으로 본체를 위와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는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이 형성되며 또한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의 하부에도 하부를 중심으로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을 위와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는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이 상부로 부터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와 판넬이 1개 이상이 형성되며 드론이 지면에 대해서 수직 또는 수평이 될 수 있게 하거나 비행에 필요한 여러 각도로 회전 날개를 조정할 수 있게 하거나
    반대로 본체 자체는 하부에는 하부를 중심으로 본체를 위와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는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이 형성되며 또한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의 상부에도 상부를 중심으로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을 위와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는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15)와 암(arm)식 판넬(32)이 하부로 부터 관절이 되는 서보모터와 판넬이 1개 이상이 형성되며 드론이 지면에 대해서 수직 또는 수평이 될 수 있게 하거나 비행에 필요한 여러 각도로 회전 날개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3. 제 1항 내지 제 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의 일측에는 접이식 프로펠러식이 아닌 날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4. 제 3항에서
    본체의 일측에는 접이식 프로펠러식이 아닌 날개는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5. 로봇새의 날개에 사람 몸에 부착하게 되는 하네스를 형성하여 사람이나 동물 몸에 장착하게 되며
    로봇새의 날개는 1개 이상의 봉이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모터에 의하여 접고 펴게 되며 1개 이상의 봉의 주로 가운데와 본체의 모터에 의하여 날게 되며
    방향 조정은 사람몸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의하여 방향을 잡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6. 제 5항에서
    로봇새의 날개는 1개 이상의 봉이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모터에 의하여 접고 펴게 되며 1개 이상의 봉의 가운데 모터에 의하여 또는 날개의 각 각의 관절에 형성되어 있는 모터에 의하여 중력과 바람의 풍향과 풍속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하여 바람의 풍향과 풍속이 입력되면 제어부에서 목표지점으로 향하기 위한 각 각의 모터의 날개짓의 여부와 속도를 출력하게 되고 출력된 전기신호에 의하여 모터등의 동작수단이 동작하게 되는 것이며 제어부의 목적 방향(좌,우 직진)은 수시로 사람이 입력하게 되거나 GPS에 의하여 입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7. 로봇벌의 날개에 사람이나 동물 몸에 부착하게 되는 하네스를 형성하여 사람 몸에 장착하게 되며
    로봇벌의 날개는 1개 이상의 봉이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모터에 의하여 접고 펴게 되며 1개 이상의 봉의 본체에 붙은 서보모터에 의하여 날개짓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8. 로봇의 관절의 모터는 X,Y,Z축으로 순방향과 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이 되며 X,Y,Z축으로 각 각 1개씩이 합쳐져서 한개의 모듈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관절모듈.
  9. 제 5항 내지 제 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봇새나 로봇벌의 날개의 모터는 X,Y,Z축으로 순방향과 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이 되며 X,Y,Z축으로 각 각 1개씩이 합쳐져서 한개의 모듈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10. 제 8항 내지 제 9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봇 관절의 모터는 X,Y,Z축으로 순방향과 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이 되며 X,Y,Z축으로 각 각 1개씩이 합쳐져서 한개의 모듈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에 있어서 모터가 X,Y,Z축으로 형성이 될 때에 모터의 X,Y,Z축 중의 하나는 본체에 고정되며 고정된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부분에 나머지 축중의 하나인 서보모터가 고정되며 그 고정된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부분에 나머지 축의 모터중의 하나가 고정되는 것이며 맨 마지막에 고정되는 모터의 회전부에 팔(arm)이나 다리 날개의 봉등의 운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관절모듈.
  11. 제 1항 내지 제 7항과 제 9항 내지 제 10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의 일측에 로봇팔이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12. 제 1항 내지 제 7항과 제 9항 내지 제 11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의 일측에 로켓식 분사장치가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13. 제 1항 내지 제 7항과 제 9항 내지 제 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있어서
    본체의 일측에 제트 엔진이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14. 제 1항 내지 제 7항과 제 9항 내지 제 1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려동물에 착용할 수 있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의 일측에 반려동물의 드론을 유선 으로 조종할 수 있는 전기줄과 전기줄의 단부에 조종기가 형성되거나 무선 조종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15. 제 1항 내지 제 7항과 제 9항 내지 제 1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의 일측에는 1개 이상의 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16. 제 1항 내지 제 7항과 제 9항 내지 제 1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17. 제 1항 내지 제 7항과 제 9항 내지 제 1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바퀴중 1개 이상은 전동모터로 구동되는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18. 제 17항에서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바퀴위에는 킥보드 식의 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19. 제 3항 내지 제 5항 및 제 8항 내지 제 10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절에 이어서 형성되는 날개의 일측에는 프로펠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PCT/KR2019/005681 2018-05-11 2019-05-11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WO201921672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586 2018-05-11
KR20180054586 2018-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6723A1 true WO2019216723A1 (ko) 2019-11-14

Family

ID=6846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5681 WO2019216723A1 (ko) 2018-05-11 2019-05-11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29770A (ko)
WO (1) WO201921672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9319A (zh) * 2021-07-28 2021-10-08 惠州工程职业学院 一种多自由度的遥感无人机
WO2023067339A1 (en) * 2021-10-21 2023-04-27 Maverick Aviation Ltd A vtol aerial vehicl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3673A (ja) * 1993-09-21 1996-04-23 ビル−イノヴェイションズ−シュティフツング 飛行装置
KR200262006Y1 (ko) * 2001-10-06 2002-02-06 조 원 장 슬라이드 장치가 장착된 날개짓 비행체
US20080142644A1 (en) * 2006-12-15 2008-06-19 O'roark Corey Flight apparatus having movable motors
KR20120131370A (ko) * 2011-05-25 2012-12-05 주식회사 로보테크 7자유도 로봇의 아암
KR101713669B1 (ko) * 2016-03-31 2017-03-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접이식 날개를 갖는 드론
KR20170092367A (ko) * 2016-02-03 2017-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인항공체
KR20170122550A (ko) * 2016-04-27 2017-11-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울기 제어 날개를 가지는 비행체
JP2018034284A (ja) * 2016-09-02 2018-03-08 株式会社プロドローン ロボットアームおよびこれを備える無人航空機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3673A (ja) * 1993-09-21 1996-04-23 ビル−イノヴェイションズ−シュティフツング 飛行装置
KR200262006Y1 (ko) * 2001-10-06 2002-02-06 조 원 장 슬라이드 장치가 장착된 날개짓 비행체
US20080142644A1 (en) * 2006-12-15 2008-06-19 O'roark Corey Flight apparatus having movable motors
KR20120131370A (ko) * 2011-05-25 2012-12-05 주식회사 로보테크 7자유도 로봇의 아암
KR20170092367A (ko) * 2016-02-03 2017-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인항공체
KR101713669B1 (ko) * 2016-03-31 2017-03-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접이식 날개를 갖는 드론
KR20170122550A (ko) * 2016-04-27 2017-11-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울기 제어 날개를 가지는 비행체
JP2018034284A (ja) * 2016-09-02 2018-03-08 株式会社プロドローン ロボットアームおよびこれを備える無人航空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9319A (zh) * 2021-07-28 2021-10-08 惠州工程职业学院 一种多自由度的遥感无人机
WO2023067339A1 (en) * 2021-10-21 2023-04-27 Maverick Aviation Ltd A vtol aerial vehicle
GB2614228A (en) * 2021-10-21 2023-07-05 Maverick Aviation Ltd A VTOL aerial vehicle
GB2614228B (en) * 2021-10-21 2023-12-20 Maverick Aviation Ltd A VTOL aerial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770A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4191B2 (en) Remotely controlled modular VTOL aircraft and re-configurable system using same
CN110506003A (zh) 具有垂直起飞和着陆能力的模块化飞行器
WO2019216723A1 (ko)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CN204563394U (zh) 一种高楼消防空中平台
WO2019225859A1 (ko) 비행체 및 비행체 자세 제어 시스템
US20160368597A1 (en) Torque balanced, lift rotor module providing increased lift with few or no moving parts
CN111731475B (zh) 一种垂直起降倾转复合翼飞行器
KR20210134858A (ko)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CN108438218A (zh) 一种仿生蜂鸟飞行器
US11926417B2 (en) Flight vehicle with mounting unit having moving means, and mouning unit
KR20210125623A (ko) 하네스가 형성된 항공기
CN206050074U (zh) 垂直起降固定翼飞行器
US11899470B2 (en) Airframe of a volitant body
CN104627368A (zh) 一种地效飞行喷药机
WO2022004967A1 (ko) 드론
CN105799922A (zh) 一种多旋翼无人机
CN113277062A (zh) 可伸缩机翼、机翼间距调节模块、飞行器及控制方法
KR20220051910A (ko) 드론이 형성된 반려동물이 탈 수 있는 캐빈
KR20210112501A (ko) 로봇 다리를 포함하는 드론
KR20220044232A (ko) 드론이 형성된 반려동물이 탈 수 있는 캐빈
CN203975232U (zh) 多功能无人机
CN106628138A (zh) 一种太阳能供电垂直升降无人机
KR20220048492A (ko) 드론이 형성된 반려동물이 탈 수 있는 캐빈
KR20220051107A (ko) 드론이 형성된 반려동물이 탈 수 있는 캐빈
CN105799920A (zh) 一种多旋翼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006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006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