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39210A1 - 동물 보조사료용 압출성형된 팽화미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동물 보조사료용 압출성형된 팽화미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39210A1
WO2019139210A1 PCT/KR2018/008859 KR2018008859W WO2019139210A1 WO 2019139210 A1 WO2019139210 A1 WO 2019139210A1 KR 2018008859 W KR2018008859 W KR 2018008859W WO 2019139210 A1 WO2019139210 A1 WO 201913921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eed
rice bran
present
puffs
ed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88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순태
장서진
Original Assignee
김순태
장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7573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084847A/ko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태, 장서진 filed Critical 김순태
Publication of WO201913921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3921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5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extru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imal feed additive, more particularly to an expanded animal feed for extruded animal feed for poultry, small and large animal feed,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Puffing is a biotechnology that increases the volume by absorbing liquids into elastic gels.
  • porosity puffs can be obtained by evaporating the vaporized water molecules (H 2 O) present in the cereal cell spaces.
  • Typical puffing Corn corn pop corn is a food.
  • the digestibility of pepper or trypsin is also very low as 30 ⁇ 35% level. Also, when the sour ruminant is used as an animal feed additive, It would be adversely affecting growth rate.
  • the lipase-mediated hydrolysis mechanism of rice bran oil contained in the rice bran which is a dispersion of rice bran, it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seed and horny layers of brown rice tissues than in the rice bran lipase (1983)
  • the activity is pH7.5 ⁇ 9.0
  • the lipase hydrolysis is higher in phospholipid and glycolipid than the neutral lipid during storage, higher in relative humidity and higher temperature, and lower than 0.8 in water activity
  • Enzymatic inactivation of the enzyme to maintain the inhibition at 30 or less was reported to be most appropriate at 100 ° C for 8.5 seconds.
  • the raw fish is composed of 19.4% fat, 12-14% protein, 23-27% dietary fiber, fatty acid composition of fatty acids is 38% oleic acid and 35% linoleic acid. According to this docu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ipase activity to 60% or less at a moisture content of 10%, a temperature of 220 ° C, and a temperature of 300 rpm under a dry extrusion condition using an extruder under the stabilized condition of rice bran.
  • dietary fiber was added to wheat flour at various concentrations to start noodles, baking, and souvenir foods.
  • the above-mentioned document discloses that the extract obtained by fermenting raw fish with A. oryzae and then extracted with an organic solvent has an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and an effect of reducing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blood.
  • rice bran was rapidly sickened over time after cultivating rice.
  • the factors involved in the oxidation of rice bran are determined by the interaction of lipases involved in autolysis of the metal ions present in the rice bran and the fat . This phenomenon is also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ase of pulverizing and storing the cellulosic soybean, lupine bean or cotton disappearance containing fat.
  • lupine seeds have been used as fertilizers and are often used as food ingredients due to high protein content.
  • the protein contained in the lupine soybean is 32% and the fat content is 5.5%.
  • ash content reaches 2.8% and is available for animal feed.
  • the content of fat contained in pods is as low as 7%,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when the lopin beans and pods are crushed in a crushing process, the fat content contained in the lopin beans and pods can rapidly proceed as fast as rice bran.
  • the cellulosic soybean, lupine bean and cotton disappearance include trypsin inhibitors, which interfere with the action of protease, trypsin, to lower protein utilization and digestibility in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It is concerned about the growth and the physiological side effect. Therefore, inactivation of the enzyme is necessarily required when the above-mentioned feedstock as the fat-containing protein and energy source is used as an auxiliary feed. In such a pretreatment, heat treatment is necessarily required. Even when pretreated, the blending ratio to general feed is less than 25%.
  • the feedstuffs such as biofuel feedstock, bio-lupine bean or missing noodles contain urease enzymes to rapidly decompose urea in the ruminal stomach to accumulate ammonia (NH 3 ) Therefore, if the enzyme is not inactivated by heat treatment, the feed value and the utilization rate will be lowered.
  • urease enzymes to rapidly decompose urea in the ruminal stomach to accumulate ammonia (NH 3 ) Therefore, if the enzyme is not inactivated by heat treatment, the feed value and the utilization rate will be lowered.
  • the concentrated feed materials which are the fat-containing protein and the energy source
  • the growth inhibiting factors de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amino acid and the fat utilization rate without proper heat treatment.
  • the heat treatment process when the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protein denaturation or coagulation The solubility is decreased and the degradation degree of the protein in the ruminant stomach is lowered.
  • the feedstuffs have lowered palatability due to volatile components such as hexanal, hexanol, or ethylvinylketone, thereby lowering the value of the feed use. These components are particularly effective in the heat treatment process.
  • feed materials inactivate the related enzymes such as lipase, urease and trypsin inhibitors because they contain feedstock and reduce the stability of the feedstuff in the digestion process in the digestion process of fat in the storage period including the raw fish.
  • the heat treatment process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 the present inventors selected EDTA as a suitable material for binding and inactivating metal ions which are a factor in oxidative induction in air exposure of raw feed materials such as rice bran and the like, and at the same time, Respectively.
  • Korean Patent No. 10-1157618 discloses a feed composition which is prepared by feeding water to soybean meal and then expanding the soybean meal using a screw of an extrusion molding machine and then fermenting the soybean meal using microorganisms.
  • the defatted soybean has an extrusion temperature of 130 to 200
  • the puffing method of soybean puff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59199.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as a raw material for feed containing fat, the raw meal is finely pulverized to a size of 250 mesh or more and the most preferable screw for producing puffs or flak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ffs or flakes extruded by using an extruder equipped with the screw to minimize the moisture content and proper hardness of the feed material, To provide this extruded extrudate.
  •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ruded extrudate of feedstock containing crude oil or the like containing feedstock, such as raw material feedstocks containing moisture at a moisture content of 20% or more by spraying as described below,
  • feedstock such as raw material feedstocks containing moisture at a moisture content of 20% or more by spraying as described below
  • EDTA is added or the finely pulverized raw material is put into the hopper again, and EDTA is added to the feed material at an internal temperature of 120 to 130 ° C., By rapid extrusion at 1200 to 1500 rpm within 8 to 12 seconds.
  • the raw material may be dry extrusion molded.
  • the extruder is made by wet extrusion molding so that it is uniformly mixed with the EDTA added at the time of extrusion molding by contacting at least 20% of water vapor before passing through the extruder.
  • the lipase and urease enzymes are completely inactivated and the microorganisms are killed by the high-temperature frictional heat, and the particles have a free water content of 7.8% or less due to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 the acid value is rapidly reduced to 30 or less,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stored for 12 months or longer.
  • EDTA when EDTA is treated with a feedstock-containing feed material such as raw fish, it is added in an amount of not less than 1.0% by weight within 12 hours after pulverization of rice bran or crushing of the feed raw material to be finely pulverize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rate of conductor growth relative to the rust inhibition rate and feed consumption rate.
  •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inal puffs by selecting the most preferable screw for the ungrained steel, as well as the effect of providing the extruded extrudate capable of maintaining the optimum hardness desired for storage 1.0 wt% of EDTA is added to the whole of the rice bran pulverized product within 12 hours after the brewing, thereby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raw corpuscle and animal feed, and maximizing the rate of carbohydrate growth.
  • Figure 1 is a paradigm flow diagram of a manufacturing process showing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lverization process of a feed-containing feed material by a screw for crushing feed raw material 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each screw (Figs. 3A and 3B) suitable for extrusion molding of a fat-containing raw material raw material and a cellulosic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roduct of the final rice bran puff (Fig. 4 (b)) after passing through the extruder (Fig. 4a) It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tat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esh-brewed mez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rancidity was rapidly progressed after lapse of 12 hours from the rice planting. Especially, in the summer, it was very fast at the temperature of 30 °C and 80% relative humidity. In the case of freshly packed specimens under the summer and winter conditions, there was no effect of addition of EDTA in the case of freshwater biomass after 24 hours. In addition of EDTA in an amount exceeding 1.0 wt% did not inhibit the activity of the lipase present in the conventional corn steep liquor.
  • EDTA when fresh corn steep liquor is added to EDTA at least 1.0% by weight of the whole rice bran content within 12 hours, it appears to inactivate the metal ion which induces oxidation, thereby effectively suppressing the enzyme activity such as lipase urease Respectively.
  • the best powder f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metal ions and lipase activity of fresh rice bran immediately after ripening should be at least 250 meshes of fine flour powder, which is a proper size for maximizing the effect of EDTA treatment.
  • free amino acids obtained from the rice seeds of Milyang 23 were rapidly aged at 30 ° C. and 80% relative humidity for 4 weeks, and the free fatty acids (oleic acid content) , 3.5%, 12.2% after 24 hours, 34% after 1 week, 62.5% after 4 weeks and 32.5 meg / kg after 12 hours and 32.5 meg / kg after 24 hours, respectively. It was rapidly increased to 78.2 meg / kg in the week and 91.2 meq / kg in the fourth week.
  • the lipase activity of the cereal by-products was about 7 times faster than that of the wheat bran average 2.3 mg oleic acid / 24 hr and the rice bran 15 mg oleic acid / 24 hr.
  • EDTA is mixed with the granules to a size of not less than 250 mesh, and further pulverization is further pretreated to pulverize the cornstal size to pass through a high pressure extruder Most preferred ( Figure 2).
  • Figure 2 both the simple addition of EDTA to fresh corn and the addition of EDTA after passing through an extruder have both proven to be meaningless pretreatment.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pare fresh corn and fresh corn by simply adding 1 wt% of EDTA to fresh corn and fresh corn, adding 1 wt% of EDTA to fresh corn, finely pulverized through a specific screw to a size of 250 mesh or mor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1.78g and 648.04g of rice bran were added to fresh corn steeped bran in terms of feed consumption and body weight gain, respectively. In addi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which EDTA was added to the rice corn that had been consumed for one month after sowing and the slaughtered rice bran, the amount of feed consumption and the amount of body weight increased to 2.00g and 480.7g, respectively. Even though the feed consumption increased, Respectively.
  • the shape and shape of the extruder such as the screw shape and the shape of the raw material such as fresh rice barn, battery soybean, battery lupine, size,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o affect the lipase activity and the storage properties of the bulge, ie rice bran, soybean bulb, cell lupine bulge and bulge of bullion disappearance.
  • FIG. 3A the configuration of a suitable screw for extrusion molding for uniform powdering and uniform expansion of fresh rice bran is shown in FIG. 3A and in the case of uniform powdering and homogenization of pulp, such as cell bean, lupine or cotton missing,
  • the structure of the screw preferable for the compression molding for the die is shown in Fig. 3B.
  • a screw suitable for pulverization and pulverization of a raw material-containing raw material having a shape and shape of a screw whose storage amount is 15% or more of the total amount of water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S1) in the 2/3 point (L 1 + L 2) 1/2 from the narrowing (50%) is narrowed in the one-half (l 1), a spiral shaft (S2) at least one or more protruding to the lower portion to the outside (Fig. 3A) is preferable, and in the case of the battery head, it is narrowed from 2/3 point (l 2 ) to 1/2 (50%) or mor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Fig. 3B) in which at least four protruding discs 20, 21, 22, and 23 are interposed in the spiral shaft portion S20 which is narrowed by the protrusion 20 (Fig.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arified as a specific embodim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can be imita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by changing the materials and numerical values uniformly in the production of the puff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imitation and modification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 the screw of the above structure if desired, it has a homogeneous powdery degree of 250 mesh or more. Further,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dd starch in the case of pulverization and extrusion of powdered rice bran, Alpha (alpha) and the protein is thermally denatured to enable rapid production of animal feed puffs with significantly improved digestibility (Figs. 4A and 4B).
  • Example 2 The raw fish purchased in Example 1 was pulverized to a size of 250 mesh using a single screw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3A.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powder of raw fish was crushed to 150 ⁇ 300 mesh size as a control (Table 1). In Examples 7 to 11 in which EDTA was added at 0.1, 0.2, 1.0, 1.5 and 2.0 wt%, respectively, in addition to Example 6 in which EDTA was not added to the screw hopper, (Table 2).
  • the untreated powdery sample (FIG. 4A) obtained by adding 1.0% (w / w) of EDTA to the raw fish obtained in Example 10 and finely pulverized was applied to a screw extruder model TPH200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3A And the resulting mixture was extruded into a hopper to produce an untreated rice bran perpap (Fig. 4B).
  • the temperature of the unoxidized steel in the extruder was set to 125 ° C,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crew was set to 9 seconds at 1350 rpm.
  •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inal product (rice puffs) was 7.8% and the acid value was 29.5.
  • the product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was used as an experimental sample of animal-supplemented feed.
  •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EDTA on the average feed consumption (g) and average weight gain (g) of chichen at the time of pulverization of raw fish was as shown in [Table 3].
  • the addition of 1.0% or more of EDTA to the raw fish and the powdering at 250 mesh were evaluated as the best for the feed water and the growth effect.
  • raw milk stored in the absence of EDTA for 3 months was used as a control, and the powder containing 0.1% EDTA and finely pulverized was stored for 3 months in an extruder model (1) and EDTA- (2), 6 months (3), and 12 months (4), respectively, of the rice bran puffs prepared in the hopper of TPH 200 Respectively.
  • Exampl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sample of the product obtained in Exampl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uxiliary feed, repeate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wice over 28 days for 500 poultices, and the amount of feed and the feed conversion ratio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using 10% by we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t in the general diet, the weight gain of the broiler was increased by 50 g on average and the feed conversion rate was lowered by an average of 100 g,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iciency was increased at the same time.
  • Exampl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mple of the product obtained in Exampl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as an auxiliary feed, and 10% by weight of the product was added to the general feed, and from 9 April to 6 June Blood was collected every 3 weeks for about 6 weeks and biochemical data were collected by serum test.
  • the biochemical values of chicken were found to be lowered in the numbers of 1 to 2, 4 to 7 and 9, except for the numbers 3 and 8, as shown in Table 6 below And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ovement of blood circulation of the chicken individual was promoted when the present invention product was supplied as an auxiliary feed except for the above two stressed individuals.
  • Exampl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mple of the product obtained in Exampl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as an auxiliary feed and added to the general feed in an amount of 10% by weight. ,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every 3 weeks for 6 weeks, and immunoglobulin (IgG) epidemiologic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serum test.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as shown in Table 7, and the first 3 weeks were reduced except for the 1st to 2nd and 8th individuals, and at the 6th week, the 8th individuals were excluded.
  • IgG immunoglobulin epidemiologic survey
  • the commercial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upplemented with 10% of each of the commercial feeds as an auxiliary feed, and 50 piglets of each of the pigs were bred for 20 weeks.
  • the control was increased to 621.9 g in the case of the half - body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verage daily gain was 579.6 g, and the growth effect was confirmed.
  • the feed conversion ratio was 1.63 kg / day for the control, whereas the feed conversion ratio was 1.63 kg / day for the control.
  • ruminant feed contains antibiotics, minerals, vitamins and antioxidants. Therefore, small and medium-sized livestock are susceptible to disease, and antibiotics are also poor in meat quality, odor and color.
  • the puffs or flake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fed to three calves (average weight 175 kg / 7 months) for 24 months (720 days)
  • the average weight gain of 850g / day was 780g / day and 825g / day, respectively, and the body weight gain was improved to about 6%.
  • [Table 8] shows the result of random sampling of 20 individuals, each of 10 adult males and 10 females, by slaughtering 1 mouse among 3 control calves in the breeding calf experimental group.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ded animal feed additive, more particularly to an expanded animal feed for animal feed extruded for poultry, small and large animal feed,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puffs, and it is also effective to provide an extruded extrudate capable of maintaining the optimum hardness desired for storage. Further, the extruded extrudate can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at least 1.0 The addition of EDTA in weight% has an excellent effect of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raw corpse and feedstuffs and maximizing the conductor growth 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사료용 유지함유 원료물질로서 생미강, 전지대두유, 루핀콩 또는 면실종자분쇄물에 EDTA를 첨가하여 미분쇄 분말화하고 이를 압출성형하여 펠렛화되는 퍼핑물(puffs)과 동물 보조사료로서 그 이용가치를 증대시킨 뛰어난 효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동물 보조사료용 압출성형된 팽화미강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동물 사료첨가제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금류, 중소 및 대가축 사료용 압출성형된 동물 보조사료용 팽화미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팽화(puffing)는 탄성이 있는 겔(Gel)에 액체를 흡수시켜 체적을 증가시키는 생명공학기술이다. 식품공학에서는 곡류(Grain)를 가압하여 가열시킨 다음 상압으로 급격히 환원시키면 곡류세포 간극에 존재하던 기화된 물분자 (H2O)가 증발하면서 다공질성 팽화물(porus puffs)을 얻을 수 있는데 대표적인 팽화식품으로 옥수수 유래의 팝콘(pop corn)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미곡 부산물인 생미강이나 단백질 사료원으로서 전지대두, 루핀콩 및 면실종자 등을 원료로 한 팽화미강, 팽화 전지대두, 팽화루핀콩 및 팽화면실종자를 시도한 사실은 매우 미흡하다. 특히, 소, 말, 낙타, 코끼리 등 대가축이나 중소가축으로서 양, 염소, 돼지, 닭, 오리 등 가금류 송어, 연어, 게 등 어류용 동물 사료의 첨가제로서 연구된 바는 희소하다.
도정된 미곡부산물인 생미강을 사료자원화를 위해 자체에 함유된 lipase등 효소에 의한 autolysis나 미생물에 의하여 20% 이상 함유된 지방의 산패방지를 위해 열처리한 미강의 이화학적 특성과 경시적 산가변화 및 용매추출특성 함수율의 저감, 산가변화억제 및 유지추출효율 증대효과를 달성하였다(국내 특허 1980-0785).
특히, 지금까지 상기 기술을 이용하여 동물사료 자원으로 사용하고자 시도한 실적은 미미하다. 이는 도정후 생산된 생미강 (Rice bran)의 경우, Lipase 활성이 매우 활발하여 생미강 1g 당 3일 경과후 리파제에 의하여 생성되는 oleic acid 양을 본 발명자들이 조사한 바에 의하면 평균 6.6~10.0 mg/g 생미강/1일 수준에 이르기 때문이다. 이는 생밀겨 2.2g 수준의 3배 이상의 효소활성이 강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생미강은 30℃, 상대습도 80% 하에서 과산하물가가 peroxode 값으로 도정 즉시 32.8 meq/kg 에서 저장후 4주 약 1개월 경과시 90.6으로 약 3배가 급격히 증가되고 지방산의 경우 oleic acid(%)는 도정즉시 3.6%에서 61.8%로 약 20배 수준으로 급격히 상승하였다.
생미강의 펩신 또는 트립신에 의한 소화율도 30~35% 수준으로 매우 낮을뿐만 아니라, 산패된 생미강을 동물사료첨가제로 사용하는 경우 산패된 유리지방산과 2.0(PER) 이하의 낮은 단백질 효율에 의해 도체 성장율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편, 미곡분산물인 생미강에 함유된 미강유지의 lipase에 의한 가수분해기작에 따르면 (최흥식, Characterisitics of lipolysis mechanism by rice bran lipase, 1983)에는 현미조직중 종피와 호분층에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Lipase 최적효소활성은 pH7.5~9.0, 저장기간중 생미강의 lipase 가수분해는 중성지질보다는 인지질과 당지질에서 높고 상대습도와 고온에서 높고 그리고 수분활성이 0.8 이상에서는 오히려 효소활성이 저하되며 저장중 미강내 산가증가 억제를 30 미만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의 효소불활성화 열치리 조건은 100℃에서 8.5초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발표된 바 있다.
또, 생미강을 스낵제품화 하기 위한 연구성과도 개시된 바 있다 (한국심품개발연구원,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rice bran as foodstuff, 1997). 상기 문헌에 따르면 생미강은 지방 19.4%, 단백질 12-14%, 식이섬유 23~27%, 지방중 지방산 조성이 oleic acid 38%, linoleic acid 35%로 구성되 있다. 상기 문헌은 미강의 안정화된 조건으로 extruder를 사용한 건식 압출성형조건으로 수분함량 10%, 온도 220℃, 300rpm으로서 lipase activity를 60% 이하로 저감시킬수 있다고 하였다. 또 생미강 식이섬유를 다양한 농도로 밀가루에 첨가하여 국수, 제빵, 장류식품을 개시한 바 있다. 이 밖에도 상기 문헌은 생미강을 A. oryzae로 발효시킨 후 유기용매 추출한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증대되고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감소효과를 개시하였다.
본 발명자들이 조사한 바로는 미강(rice bran)은 벼를 도정한 후 경시적으로 급격히 산패하였다. 또, 본 발명자들이 관찰에 따르면 미강의 산화(oxidation)에 관여하는 인자(factors)는 미강내 존재하는 금속이온과 지방의 자가분해 (autolysis)에 관여하는 지방분해효소 (lipase)의 상호작용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유지가 함유된 전지대두, 루핀콩 또는 면실종자를 분쇄하여 보관하는 경우에도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한편,루핀종자(lupin seed)는 비료로 사용되어 왔고 고단백 함유 특성으로 식품재료로 간혹 사용되었다. 루핀콩에 함유된 단백질은 32%에 이르고 지방함유량도 5.5%에 이른다. 또 조회분함량도 2.8%에 이르러 동물사료용으로 사용가능한 자원이다. 특히, 꼬투리에도 함유지방성분이 7%에 이르기 때문에 루핀콩과 꼬투리채 분쇄하는 경우 함유하는 지방성분에 의하여 산패가 미강 못지않게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전지대두는 미국산이 전세계의 55%를 차지하며 국내에서는 주로 미국산 두 산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루핀종자보다 더 높아 40.5%에 이르고 조지방 함량도 17.9%, 회분함량 5.7%에 이르므로 동물사료용 단백질 급원이기도 하며 높은 지방함유량 때문에 (통상적으로 16~19%) 에너지 공급원으로도 유용한 사료원이 되어있다. 지금까지 동물사료에는 전지대두에서 지질을 추출하고 남은 대두박을 사용하여 왔을 뿐 전지대두를 축산용 사료 특히 단백질원 및 에너지원의 농후사료로 시도된 사례는 희소하다. 특히, 젖소의 경우 산유량 저하, 케토시스 발생, 발정주기 지연 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전지대두나 앞의 루핀콩의 사료자원화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루핀콩이나 전지대두의 경우 분쇄하거나 특히 미분쇄하는 경우 함유된 유지성분에 의해 신속히 산패되어 사료가치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면실종자는 사용실적이 전무하다.
한편, 전지대두, 루핀콩 및 면실종자에는 트립신 저해요소(Trypsin inhibitors)가 포함되어 있어 단백질 분해효소인 트립신의 작용이 방해되어 가소화양분총량(TDN)에서 단백질의 이용율과 소화율을 저하시켜 가축의 성장을 저해하고 생리적 부작용이 우려된다. 따라서, 유지함유 단백질 및 에너지원이 되는 상기 사료원료를 보조사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효소의 불활성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전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열처리가 필요하다. 전처리를 하는 경우에도 일반사료에 대한 배합비는 25% 이하로 알려져 있다. 이밖에도 생전지대두, 생루핀콩 또는 생면실종사와 같은 사료원료에는 유레아제(urease) 효소가 함유되어 있어 반추 위장 내에서 요소(urea)를 신속하게 분해하여 암모니아(NH3)가스를 축적시켜 암모니아 중독을 일으킬수 있으므로 반드시 열처리하여 효소들을 불활성화시키지 않으면 사료가치와 이용율이 저하된다.
이처럼, 유지함유 단백질 및 에너지원이 되는 상기 농후사료원료들은 적절한 열처리를 하지 않으면 성장저해인자들이 아미노산의 이용율이나 지방의 이용율을 떨어뜨려 사료가치가 없으며 반대로 부적절한 열처리과정을 거치면 단백질 변성이나 응고작용으로 용해도가 떨어져서 반추동물 위장 내에서의 단백질의 분해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 상기 사료원료들은 hexanal, hexanol 또는 ethylvinylketone 등 휘발성 비린맛 성분으로 인하여 기호성을 저하시켜 사료이용가치를 떨어뜨려 왔는데 이러한 성분은 특히 열처리과정이 유효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들 사료원료들은 생미강을 포함하여 저장기간의 지방의 산패 및 장관 내에서 분해과장에서 사료 안정성(safty)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이와 관련효소 즉, Lipase, Urease 및 Trypsin inhibitors들을 불활성화를 위한 열처리 공정이 필수적으로 사료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현상에 기초하여 미강 등 유지함유 사료원료의 공기중 노출시 산화유발에 요인이 되는 금속이온을 결합하여 불활성화시키는데 적절한 물질로 EDTA를 선택하고 동시에 이를 처리하는 가장 바람직한 시기에 착안하였다.
또, 미강내 지방분해효소 Lipase 및 Urease의 작용을 억제하기 위하여 열처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분말도와 수분함량을 최소화하는데 탁월하게 제작된 스크류(screw)를 선택하였다.
지금까지 미강이나 대두박, 루핀 또는 전지면실종자 등을 이용한 동물사료 조성물로 공지된 문헌은 대한민국 국내특허등록 제10-1320048호, 이들을 이용한 동물용 발효사료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840145호와 10-1157618호 및 10-1732313호를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57618호는 대두박에 수분을 공급한 후 압출성형기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팽화한 다음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이때, 탈지대두의 압출온도는 130~200℃로 대두퍼프(puff)의 팽화방법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5919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어디에도 유지가 함유된 상기 사료원료 미강, 전지대두, 루핀 또는 전지면실종자에 EDTA를 첨가한 후 250 메쉬 이상으로 미분쇄한 후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팽화물(puffs) 또는 플레이크(flakes)를 제조하여서 된 제품의 저장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사료의 이용가치를 증진시킨 기술은 개시되거나 암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유지가 함유된 사료원료로서 생미강을 250 메쉬 크기 이상으로 미분쇄하고 팽화물(puffs) 또는 플레이크(flakes)를 제조하기에 가장 바람직한 스크류(screw)를 선택하여 상기 스크류가 장착된 압출성형기(extruder)를 사용하여 압출성형한 팽화물(puffs) 또는 플레이크(flakes)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료원료로부터 수분함량의 최소화와 경도의 적정화를 갖으며 저장안정성이 극대화된 압출성형 팽화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습식 압출성형 팽화물 제조 전 12시간 이내에 1.0%(중량) 이상의 EDTA를 첨가하여 250 메쉬 이상의 입자로 미분쇄하는 전처리공정을 도입함으로써 사료 원료의 산패억제 및 사료소모량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및 도체 증체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지성분이 함유된 단백질 사료원료로부터 동물사료 첨가제의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생미강 등 유지가 함유된 사료원료 유래의 압출성형 팽화물을 제공함에 있어서 하기와 같이 spray로 20% 이상의 수분함량으로 가수한 생미강 등 유지함유 사료 원료를 하기 도면과 같은 구조의 single screw를 배럴에 삽입하여 250 메쉬 이상의 입자크기로 미분쇄할 때 EDTA를 첨가하거나 또는 미분쇄한 원료를 다시 Hopper에 투입한 다음 EDTA를 첨가하여 사료 원료의 내부온도 120~130℃로, 1200~1500 rpm에서 8~12초 이내에 신속히 압출성형함으로써 달성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생미강의 경우는 건식압출성형하여도 좋으나, 전지대두, 전지루핀콩, 및 전지면실종자등 단백질 원료의 경우는 반드시 수분함량을 20%이상 함유되게 흡수시켜 미분쇄하거나 또는 Extruder에 통과전 20% 이상의 수증기를 접촉시켜 압출성형할 때 첨가하는 EDTA와 먼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여 습식압출성형하여 달성한다.
상기와 같은 수단을 통하여 제조된 미강 등 유지함유 사료원료의 팽화물은 고온마찰열에 의해 lipase, urease 효소들은 완전히 불활성화되고 미생물은 사멸되며 입자들은 고온 고압에 의해 유리수분의 함량이 7.8% 이하, 산가는 30 이하로 급속히 저감되어 그결과 12개월 이상의 장기저장이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생미강 등 유지함유사료 원료 분쇄물에 EDTA를 처리함에 있어서, 미강의 도정 또는 사료원료의 분쇄후 12시간 이내에 1.0중량% 이상 첨가하여 미분쇄하는 경우 미강 등 유지함유 사료원료의 산패억제율과 사료소비율 대비 도체증체율의 극대화를 달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장 바람직한 미강용 스크류의 선택으로 최종 퍼핑물(puffs)의 수분함량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을뿐만 아니라, 보관유지에 바람직한 경도의 적정화를 유지할 수 있는 압출성형 팽화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도정후 12시간 이내에 최소한 미강분쇄물 전체에 대하여 1.0중량%의 EDTA를 첨가하여 생미강 산패와 사료 소비량을 최소화하고 도체증체율은 오히려 극대화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제조공정의 페러다임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사료 원료물질 분쇄용 스크류에 의해 유지함유 사료원료의 분말화 과정을 보인 시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지함유 원료 생미강 및 전지대두, 전지류핀콩 또는 전지면실종자의 압출성형에 적합한 각 스크류(도 3a 및 도 3b)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EDTA가 첨가된 유지함유 사료원료 미분쇄물로부터 압출성형기(Extruder)를 통과하기 전 (도 4a)과 통과시킨 후 최종 팽화미강 (rice bran puff)(도 4b)의 제품 상태를 보인 사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구현예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현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침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신선한 생미강을 경기도 파주군 내 도정공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벼 도정후 12시간이 경과하면서 급격히 산패가 진행되었다. 특히 하절기 고온다습한 기후조건 예컨대 30℃ 80%의 상대습도에서 도정된 생미강의 산패진행속도는 매우 빨랐다. 하계, 우기조건에서 특히 단단하게 포장된 경우 24시간이 경과된 생미강의 경우에는 EDTA 첨가효과가 없었다. 또 EDTA의 첨가량이 1.0중량%가 초과되어 첨가하더라도 통상으로 도정된 미강에 존재하는 lipase의 활성을 전혀 억제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정직후 신선한 미강을 12시간 이내에 EDTA를 적어도 전체 미강함량의 1.0중량% 이상 첨가하는 경우 산화를 유발하는 금속이온을 불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강내 존재하는 lipase urease 등 효소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강의 산패를 억제하기 위해서 신선한 미강을 가열하지 않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일정크기 이하로 미분쇄를 수행하여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EDTA를 처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도 1).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정직후 신선한 미강의 금속이온활성 및 lipase 활성억제에 가장 바람직한 분말도는 고운 밀가루 분말도 즉 최소 250 메쉬 이상이어야 이 때, EDTA 처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적정 size임을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양 23호 벼를 도정하여 얻은 신선한 미강을 30℃, 80% 상대습도에서 4주간 경시적 실험을 수행한 결과 유리지방산 (올레인산 함량%)이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3.2%에서 12시간후, 3.5% 24시간후 12.2%, 제1주후 34%, 제4주후에는 62.5%까지 증가되었고 과산화물가 (peroxide value)도 30.5에서 12시간후 32.0 meg/kg, 24시간후 32.5meg/kg, 제1주후 78.2meg/kg 그리고 제4주후 91.2meq/kg로 급속히 증가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물 부산물 중에서 lipase 활성이 밀기울 평균 2.3 mg oleic acid/24hr에 비교하여 미강은 15 mg oleic acid/24hr로 약 7배나 빠른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정직후 신선한 미강에 EDTA를 12시간내에 혼합처리함에 있어서 미강의 입도를 250 메쉬 이상으로 추가로 더 미쇄분쇄 전처리하여 미강 size를 분말화한 후 고압의 Extruder를 통과시켜 성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도 2).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EDTA를 신선한 미강에 단순히 첨가하는 것과 Extruder를 통과시킨 후에 EDTA를 첨가하는 것은 두 가지 모두 의미없는 전처리법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선한 미강, 신선한 미강에 EDTA를 1중량% 단순첨가한 것, 신선한 미강에 1중량%의 EDTA를 첨가한 것을 특정 스크류를 통하여 250 메쉬 이상의 싸이즈로 미분쇄한 것 및 도정한 미강을 1개월 이상 장기 저장한 미강을 chiken의 사료첨가제로 투여하여 실험한 결과 사료소비량과 증체량(body weight gain)에 있어서 신선한 미강에 EDTA를 단순첨가한 실험구에서 각각 1.78g 및 648.04g으로 바람직하였다. 또, 도정후 1개월이 경과되어 산패된 미강과 그 산패된 미강에 EDTA를 단순첨가한 실험구는 사료소비량과 증체량이 각각 2.00g 및 480.7g수준으로 사료소비량은 증가되더라도 도리어 증체량은 현저히 떨어져 사료가치가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출성형기(Extruder)의 스크류(Screw) 형상과 모양 등 구조(configuration)가 신선하 미강(fresh rice barn) 및 전지대두, 전지루핀 그리고 전지면실 종자 등 원료물질의 분말도(size)에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지방분해효소활성도(lipase activity) 나아가 팽화물 즉 미강팽화물, 전지대두 팽화물, 전지루핀 팽화물 그리고 전지면실종자 팽화물의 저장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 신선한 미강의 균일한 분말화와 균질한 팽화를 위한 압출성형에 람직한 스크류의 구조(configuration)는 도 3a에 그리고 전지대두, 루핀 또는 면실종자 등 두류의 균일한 분말화와 균질한 팽화를 위한 압착성형에 바람직한 스크류의 구조는 도 3b에 각각 도시해 두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한 스크류의 형상과 모양은 유지함량이 전체물량중 15% 이상이 되는 유지함유 생미강의 미분쇄 및 분말화에 적합한 스크류는 나사산(1)의 폭 (S1)이 스크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2/3 지점(L1+L2)부터 1/2(50%)로 좁아지고 그 1/2로 좁아지는(l1) 나선축(S2) 하부부분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형 원반(2)을 개재한 것(도 3a)이 바람직하고, 전지 두류의 경우에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2/3 지점(l2)부터 1/2(50%) 이상으로 좁아지고 그 1/2이상으로 좁아지는 나선축 부분(S20)에 적어도 4개 이상의 돌기형 원반(20, 21,22,23)을 개재한 것(도 3b)이 바람직하였다.
이하,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로 명료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팽화물(puffs) 제조에 균등한 재료와 수치의 변경에 의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모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방과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구조의 스크류(도 3a 및 도 3b)에 따르면 원하는 경우 250 메쉬 이상의 균질한 분말도를 가지며 나아가 각각 유지함유 미강과 전지대두, 전지루핀콩, 전지면실의 미쇄 분말화와 압출성형시 적절히 전분을 알파(α)화하고 단백질은 열변성되어 소화율이 현저히 증진된 동물사료용 퍼핑물(puff)의 신속한 제조가 가능하다(도 4a 및 도 4b).
[실시예 1] 미강의 준비
*경기도 파주군내 동정공장으로부터 2017.10.12일 생미강을 구입하였다. 생미강의 산가(AV)는 130.22 mgKOH/g(한국단미사료협회사료연구소)으로 분석되었다 (2017.10.13: 검정번호 4010-20).
또, 상기 준비된 생미강을 개봉하여 성분검사를 수행한 바, 수분(135℃, 2시간) 14.48%, 조단백 14.92%, 조지방(EE) 18.12%, 조섬유 6.15%, 조회분 7.38%로 분석되었다 (2017.10.16: 한국단미사료협회 사료연구소: 검정번호 4009-747).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 및 실시예 6 내지 11]
상기 실시예 1에서 구입한 생미강을 도 3a에 도시된 구조의 싱글 스크류를사용하여 250 메쉬(mesh) 입도로 분말화 하였다. 이때 비교실험을 위하여 생미강의 분말도를 각각 대조구로 하기위해 150~300 메쉬 size로 분쇄하였다(표 1). 그리고 생미강을 가장 바람직한 250 mesh의 크기로 분말화할 때 스크류호퍼에 EDTA를 첨가하지 않은 실시예 6 외에 EDTA를 각각 0.1, 0.2, 1.0, 1.5, 2.0 중량%를 각각 첨가한 실시예 7~11로 구분하였다(표 2).
생미강의 분말도
구분 생미강 size 우레아제역가 (UA)
실시예 2 150 0.02
실시예 3 200 0.02
실시예 4 250 0.02
실시예 5 300 0.02
EDTA 첨가량
구분 첨가량 (w/w) 우레아제역가 (UA) 펩신소화율(%) 비고
실시예 6 0.0% (무첨가) 0.02 74.35
실시예 7 0.1% 0.02 86.00
실시예 8 0.5% 0.01 80.00
실시예 9 1.0% 0.001 81.32
실시예 10 1.5% 0.00 84.35
실시예 11 2.0% 0.00 84.95
EDTA를 첨가한 미강을 250 메쉬 이상으로 분쇄하여 우레아역사(UA), KOH용해도 및 펩신소화율을 확인한 결과 250 메쉬 이상의 분말도에서 각각 76.95% 및 84.35%로 나타나 사료적성으로 바람직하였다. 이하, 모든 실험에서는 유지함유 동물사료원료는 미분쇄전에 EDTA의 첨가량을 1.0%로 하고 250 메쉬 이상으로 분말화하였다.[실시예12] 본 발명 미강 puffs 제조
상기 실시예10에서 얻은 생미강에 1.0%(w/w)의 EDTA가 첨가되고 미분쇄하여 얻은 미강분말 시료(도 4a)를 도 3a에 도시된 구조의 스크류가 장착된 Extruder 모델 (TPH200)의 호퍼에 투입하여 압출성형하여 α화된 미강 퍼핑물을 제조하였다(도 4b). 이때 압출성형기의 내부의 미강 온도는 125℃, 스크류의 회전수는 1350 rpm에서 9초로 설정하였다. 최종제품(미강 puffs)의 수분함량은 7.8%, 산가는 29.5로 측정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우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제품을 동물 보조사료의 실험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생미강에 EDTA 첨가량이 chicken 성장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에서는 생미강을 미분쇄할 때 EDTA 첨가량이 chichen의 평균 사료소비량(g)과 평균 증체량(g)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실험결과, 생미강에 1.0% 이상의 EDTA를 첨가후 250 메쉬에서 분말화한 것이 사료이용물과 증체효과에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생미강 분말도 EDTA 첨가량 (%)
0.1 0.2 1.0 1.5 2.0
증체량 소비량 증체량 소비량 증체량 소비량 증체량 소비량 증체량 소비량
150 (메쉬) 531.1 1.29 530.3 1.31 580.1 1.42 581.1 1.51 571.1 1.61
200 (메쉬) 542.1 1.32 542.1 1.31 582.1 1.47 580.3 1.57 570.2 1.69
250 (메쉬) 543.2 1.33 550.2 1.32 592.1 1.59 583.1 1.63 581.2 1.67
300 (메쉬) 545.3 1.32 551.2 1.32 590.3 1.58 581.2 1.73 580.1 1.71
[주] 실험결과 수치는 투여후 24일째 chichen 각 2마리씩 2반복구 실험결과의 평균치임 (p<.05)[실험예 2] 본 발명 최종제품 (rice bran puffs)의 저장 안정성과 사료적 가치
저장기간 평균 증체량(g) RAT 10Feed/Gain Antitrypsin Activity units/g pancreatic size(%/body weight)
3개월 725.1 2.25 0 0.42
6개월 722.1 2.30 0 0.35
12개월 721.2 2.31 0 0.34
[주] 실험결과 수치는 투여후 24일째 chichen 각 2마리씩 2반복구 실험결과의 평균치임 (p<.05)상기와 같은 실험결과는 생미강을 3개월 이상 저장사용이 불가능한 점을 감안하면 본 발명 제품은 일반적인 비닐패킹하거나 질소충전하여 저장할 경우 사료가치가 저하되지 않으므로 12개월 이상 저장성이 향상되었다고 평가되었다.
[실험예 3] 미강의 산패가 chicken 성장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에서는 EDTA가 첨가되지 않고 3개월 이내 저장된 생미강을 대조구로, 0.1% EDTA가 첨가되고 미분쇄한 분말을 3개월 저장된 생미강(1) 및 EDTA가 첨가되고 미분쇄한 분말을 Extruder 모델(TPH 200)의 호퍼에 투입하여 제조된 미강퍼핑물 (rice bran puffs)을 3개월(2), 6개월(3) 및 12개월 각각 저장한 것(4)을 각 실험구로 하여 병아리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결과는 표 5와 같다.
구분 평균 증체량(g) 평균사료 소비량(g) 비고
대조구 572.3 1.80
실험구(1) 648.2 1.70
실험구(2) 725.1 1.62
실험구(3) 722.3 1.64
실험구(4) 721.1 1.62
[주] 실험결과 수치는 투여후 24일째 chichen 각 2마리씩 2반복구 실험결과의 평균치임 (p<.05)이상의 실험결과 본 발명제품이 평균 사료소비량은 감소하지만 평균 증체량은 생미강보다 증가되어 그 우수성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생미강은 3개월이상 저장이 불가하지만 본 발명 α화된 퍼핑물은 제조후 12개월까지도 저장성을 증대시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료 이용율을 현저히 증대시켰음이 입증되었다.
[실험예4] 본 발명 제품의 보조사료로서의 양계사육 효과
본 발명 실시예12에서 얻은 제품의 샘플을 보조사료로 사용하여 양계 500수에 대하여 28일에 걸쳐 2회 반복실험을 수행하고 증체량과 사료 요구율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시판용 일반배합시료를 사용하고 실험구는 일반사료에 본 발명 제품을 보조사료에 10 중량% 첨가하여 사용한 결과, 육계의 증체량은 평균 50g 증가했고, 사료요구율은 평균 100g 정도 낮게 나타나 증체효과 및 사료효율이 동시에 증대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5] Chicken 생화학 검사
상기 본 발명 실시예12에서 얻은 제품의 샘플을 보조사료로 사용, 일반사료에 10 중량% 첨가하여 chicken 개체번호 1~9 총 부화후 3주령 9수에 대하여 4월 26일부터 6월 6일까지 약 6주간에 걸쳐 매 3주마다 혈액을 체취하여 혈청검사를 통하여 생화학적 Data를 수집하였다. 혈액내 HDL과 LD을 측정한 결과, chicken의 생화학적 수치는 하기 [표 6]과 같이 3번 및 8번 개체수를 제외하고 1~2, 4~7 및 9번 개체수에서 LDL의 수치저하가 확인되어 본 발명제품을 stress를 받은 상기 2개의 개체를 제외하고 보조 사료로 공급한 경우 chicken 개체의 혈행개선이 촉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체번호 1st(180426) 2nd(180518) 3rd(180604)
HDL(mg/dL) LDL(mg/dL) HDL(mg/dL) lDL(mg/dL) HDL(mg/dL) LDL(mg/dL)
1 91.71 18.37 73.32 20.82 86.83 13.7
2 100.72 15.44 86.88 13.27 87.78 12.77
3 86.55 17.55 83.06 14.71 76.09 16.04
4 88.68 11.6 100.86 32.51 83.12 13.51
5 96.45 21.76 98.12 29.86 67.44 14.9
6 90.89 23.61 90.89 21.01 66.07 20.98
7 76.12 18.88 75.6 25.75 85.28 12.68
8 87.37 15.1 84.66 18.55 72.43 19.21
9 104.72 17.95 93.9 27.75 96.24 17.98
mean 91.47 17.81 87.48 24.91 80.14 16.86
[실험예 6] Chiken 혈청단백질 IgG 역학조사
상기 본 발명 실시예 12에서 얻은 제품의 샘플을 보조 사료로 사용하여 일반 사료에 10 중량%씩 첨가하여 chicken 개체 번호 1~9 총 부화후 3주령 9수에 대하여 4월 26일부터 6월 6일까지 약 6주간에 걸쳐 매 3주마다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검사를 통하여 면역글로불린(IgG)의 역학조사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표 7]과 같았으며 처음 3주는 제1~2 및 8번 개체만 제외하고 감소되다가 제6주 때에는 제8번 개체만 제외하고 다시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다.
개체번호 1st(180426) 2nd(180518) 3rd(180604)
IgG(ng/mL) IgG(ng/mL) IgG(ng/mL)
1 3647.4 3139.5 5989.3
2 2684.6 2702.3 4085.7
3 6096.4 2605.6 4514.5
4 3304.3 1416.7 5116.2
5 3322.8 1749.7 3765.7
6 4883.3 2563.7 4241.8
7 3299.3 1965.0 3664.1
8 3169.9 4254.7 2146.0
9 3531.1 2002.2 2955.9
mean 3771.01 2489.04 4053.24
SD 1054.76 852.14 1129.34
[실험예 7] 양돈의 보조사료로서 사육효과
본 발명 제품을 시판중인 일반배합사료를 대조구로하여 보조사료로써 10%씩 첨가하여 각각 자돈 50두씩을 20주간 사육하였다. 실험결과, 대조구는 일일평균 증체량이 579.6g인 반명 본 발명 제품의 첨가구에서는 621.9g으로 증가되어 증체효과가 확인되었다. 한편,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가 1일 1.78 kg인데 반하여 실험구는 1.63 kg으로 사료이용율이 증대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8] 반추동물(송아지)의 보조사료 용도실험
반추동물용 사료에는 항생제가 함유되어 있고 무기물과 비타민, 항산화제가 다소 부족한 것이 공지된 사실이다. 그러므로 중소대가축은 질병에 취약하고 항생제 투여도 육질이 저하되고 냄새나 색깔이 불량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팽화제품 (puffs 또는 flakes)을 송아지 각각 3마리씩(평균체중 175 kg/7개월령)에 24개월(720일) 급여하고 대조구와 송아지의 체중변화와 사료급여량을 조사한 결과 평균 1일 급여량 850g에 평균 1일 증체량은 대조구 780g, 실험구 825g으로 체중증가율이 약 6%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실험예 9] 반추동물(송아지)의 육질관능검사
상기 실험예 6에 의거 사육한 송아지 실험구 3마리 대조구 3마리 중에서 각 1마리씩 도축하여 성인남녀 각 10명씩 총 20명을 랜덤샘플링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육질 관능검사
구분 육질 감칠맛 냄새 색(굽기전)
실시예 1 5 4 3 4
비교예 1 4 4 2 3
[주] 매우좋음: 5, 좋음:4, 보통:3, 나쁨:2, 매우나쁨:1상기 실험결과, 육질, 냄새, 굽기전 색상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품을 보조사료로 급여한 결과 그 개선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동물 사료첨가제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금류, 중소 및 대가축 사료용 압출성형된 동물 보조사료용 팽화미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장 바람직한 미강용 스크류의 선택으로 최종 퍼핑물(puffs)의 수분함량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을뿐만 아니라, 보관유지에 바람직한 경도의 적정화를 유지할 수 있는 압출성형 팽화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도정후 12시간 이내에 최소한 미강분쇄물 전체에 대하여 1.0중량%의 EDTA를 첨가하여 생미강 산패와 사료 소비량을 최소화하고 도체증체율은 오히려 극대화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유지함유 생미강에 EDTA를 첨가하고 250 메쉬 이상으로 미분쇄하여 생미강분말을 얻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생미강분말을 나선축 하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용 원반(2)이 게재된 스크류가 장작된 압출성형기에서 펠렛화하는 것이 특징인 미강 퍼핑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미강퍼핑물.
  3. 제2항의 미강 펴핑물이 포함된 동물 보조사료.
PCT/KR2018/008859 2018-01-09 2018-08-03 동물 보조사료용 압출성형된 팽화미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913921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2900 2018-01-09
KR10-2018-0002900 2018-01-09
KR1020180075735A KR20190084847A (ko) 2018-01-09 2018-06-29 동물 보조사료용 압출성형된 팽화미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018-0075735 2018-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9210A1 true WO2019139210A1 (ko) 2019-07-18

Family

ID=6721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8859 WO2019139210A1 (ko) 2018-01-09 2018-08-03 동물 보조사료용 압출성형된 팽화미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13921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2523A (ja) * 1999-08-04 2003-07-29 マ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酸処理によるパーボイル米糠の安定化
JP2010100716A (ja) * 2008-10-23 2010-05-06 Hayashi Kohei 植物質固形物の製造方法
JP2013005750A (ja) * 2011-06-24 2013-01-10 Univ Of Tokyo 改質処理した穀類糠或いは穀類粉砕物を配合した動物飼料
KR101437063B1 (ko) * 2013-03-08 2014-09-03 주식회사 대호 복합 산화방지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2523A (ja) * 1999-08-04 2003-07-29 マ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酸処理によるパーボイル米糠の安定化
JP2010100716A (ja) * 2008-10-23 2010-05-06 Hayashi Kohei 植物質固形物の製造方法
JP2013005750A (ja) * 2011-06-24 2013-01-10 Univ Of Tokyo 改質処理した穀類糠或いは穀類粉砕物を配合した動物飼料
KR101437063B1 (ko) * 2013-03-08 2014-09-03 주식회사 대호 복합 산화방지제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USSEIN, AHMED S. ET AL.: "Effect of rancidity on the feeding valuve of rice bran for chickens", POULTRY SCIENCE, vol. 61, no. 12, December 1982 (1982-12-01), pages 2450 - 245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8549A1 (en) Animal feed compositions capable of reducing the incidence of fescue toxicosis in mammals
KR101782110B1 (ko) 오메가-3 지방산 강화 사료첨가제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가축사육방법
KR20080081892A (ko) 옥수수 단백질 농축물
RU2344619C2 (ru) Питатель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детоксикации и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рака
KR20020003389A (ko) 살균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카르바크롤 및 티몰을 함유하는조성물
CN105595005A (zh) 一种改善肠道健康的仔猪教槽料及其制备方法
Enyidi et al. Use of solid state fermented bambaranut meal as substitute of fishmeal in the diets of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KR100903865B1 (ko)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소사료 및 이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
CN106720956A (zh) 一种鲤鱼饲料
KR102473715B1 (ko) 커피가 함유된 가축용 보조사료의 제조방법
WO2019139210A1 (ko) 동물 보조사료용 압출성형된 팽화미강 및 그 제조방법
Chabi et al. Development and bioefficacy study of plant-based proteins diets for juvenile African catfish
KR100937552B1 (ko) 쑥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96251B1 (ko) 동물사료용 전지대두 팽화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387407A (zh) 一种提高消化能综合利用海带黑猪饲料添加剂
KR101864840B1 (ko) 미선나무를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그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EP0424055B1 (en) Feedstuffs
KR20190084847A (ko) 동물 보조사료용 압출성형된 팽화미강 및 그 제조방법
CN111758834A (zh) 一种专门用于畜禽养殖业的菌种配方
KR20190084848A (ko) 동물사료용 루핀콩 팽화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96252B1 (ko) 동물사료용 면실팽화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2131493A1 (ko) 기능성 발효 녹차 복합 생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7453425B2 (ja) 家畜用飼料
KR100877800B1 (ko) 사육동물의 사료 조성물
KR101833491B1 (ko) 자이언트 켈프를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의 사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002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002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EPC (EPO FORM 1205A DATED 01.02.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002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