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800B1 - 사육동물의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육동물의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800B1
KR100877800B1 KR1020060095472A KR20060095472A KR100877800B1 KR 100877800 B1 KR100877800 B1 KR 100877800B1 KR 1020060095472 A KR1020060095472 A KR 1020060095472A KR 20060095472 A KR20060095472 A KR 20060095472A KR 100877800 B1 KR100877800 B1 KR 100877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weight
composition
animal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9398A (ko
Inventor
신동호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95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800B1/ko
Publication of KR2008002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8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잎을 포함하거나 대잎 이외에 대숯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증체량 증가, 사료효율 향상, 육질개선(지방 축적 억제) 등의 기능성을 갖는 사료 조성물과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대잎, 대숯, 증체량 증가, 사료효율 향상, 육질개선

Description

사육동물의 사료 조성물{Feed Composition for Livestock}
본 발명은 사육동물의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육동물의 증체량 증가, 사료효율 향상 및/또는 지방 축적 억제의 효능을 갖는 사육동물의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료는 축산물이나 수산물을 얻기 위해 사육 동물에 급여되는 것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사료는 사육동물의 성장에 필수적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의 성분들을 포함하는데, 최근의 사료에 대한 기술 개발은 대체로 사료에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기능성으로서는 예컨대, 증체량 증가, 소화율 향상, 육질 개선(지방 함량 감소), 번식 장애 예방, 수태율 향상,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 예방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육질개선에 관한 기술로서는 발명의 명칭이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6-0013291호, 발명의 명칭이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한우 비육용 사료 조성물"인 특허출원 제2000-0063391호, 발명의 명칭이 "반추가축용 보조사료 조성물 및 이의 급여방법"인 특허출원 제2000-0070664호 등을 들 수 있고, 소화율 향상에 관한 기술로서는 발명 의 명칭이 "육계용 분말 사료 조성물"인 특허출원 제1996-0013290호, 발명의 명칭이 " 가축 사료 첨가제용 미생물 조성물"인 특허출원 제2001-0023409호, 발명의 명칭이 "돼지 사료 조성물"인 특허출원 제1999-7001506호 등을 들 수 있으며, 사료효율 향상에 관한 기술로서는 발명의 명칭이 "키토산올리고당이 함유된 사료 첨가용 영양제 조성물"인 특허출원 제1998-0041584호, 발명의 명칭이 "키토산 올리고당 및 타우린이 함유된 사료 및 음수 첨가용 영양제 조성물"인 특허출원 제2000-0000033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도 사료에 기능성을 부가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증체량 증가, 사료효율 향상, 육질개선(지방 축적 억제) 등의 기능성을 갖는 사육동물의 사료 조성물과 사육동물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기타의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 등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대잎이 사료에 첨가되었을 때 그것이 어떠한 효능을 갖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용 일반 분말사료에 대잎 분쇄물을 일정량 첨가하여 5주 동안 실험동물에 급여하면서 증체량과 사료효율, 주요지방조직의 상대지방중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시험군의 증체량과 사료효율 그리고 주요지방조직의 상대지방중량이 대조군(시험물질인 대잎을 첨가하지 아니하고 분말사료만을 급여한 군)에 비하여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감소함을 확인할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미 사료 첨가제로서 그 효능이 잘 알려진 대숯이 전술한 바의 대잎이 가지는 효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숯 분말 또는 대숯 분말과 대잎 분쇄물의 혼합물을 각각 실험동물용 분말 사료에 첨가하고 마찬가지로 5주 동안 실험동물에 급여하면서 증체량과 사료효율 그리고 주요지방조직의 상대지방중량을 측정하였는데, 대숯 분말만을 급여한 경우에 비하여, 그 효과가 모두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대잎 분말만을 첨가하여 급여한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도 그 효과가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실험 결과에 기초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는 유효성분으로 대잎을 포함하거나 대잎에 대숯을 추가로 포함하는 사육동물의 증체량 증가용 사료 조성물, 사육동물의 사료효율 증가용 사료 조성물 또는 사육동물의 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유효성분으로 대잎을 포함하거나 대잎에 대숯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동일한 용도를 갖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로서도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대잎 또는 대잎/대숯이 처음부터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혼합되어 제조되는 조성물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대잎 또는 대잎/대숯만을 포함하거나 이들 성분을 주로 포함하여 제조됨으로써, 유통 중에 또는 사육동물에 급여하기 전에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혼합되어 유통되거나 급여되는 조성물로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하기에 정의된 용어는 하기에서 정의된 바의 의미를 가진다.
<1> 대잎
"대잎"이란 그것을 얻기 위해 사용된 대나무 종류를 불문하고 대나무에서 채취된 직후의 대잎, 그 대잎을 증숙, 팽숙, 건조 및/또는 분쇄하여 얻어지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대나무 종류를 불문하므로, 왕대속(Phyllostachys)에 속하는 대나무로부터 얻어졌든지, 해장죽속(Arundinaria)에 속하는 대나무로부터 얻어졌든지, 조릿대속(Sasa)에 속하는 대나무로부터 얻어졌든지 또는 이대속(Pseudosasa)에 속하는 대나무로부터 얻어졌든 지를 불문하고 식물 분류학상 대나무로 분류되는 식물의 종으로부터 얻어진 것이면 된다.
하기에서 실시예로서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분죽의 대잎 이외에 왕대 및 조릿대의 대잎을 가지고 하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증체량과 사료효율 그리고 주요지방조직의 상대지방중량을 측정하였을 때도,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분죽 대잎의 경우와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잎이 그것이 얻어지는 대나무 종류를 불문하고 본 발명의 목적하는 바의 효능을 보일 것임을 말해준다.
또한 상기 대잎에는 그 대잎이 분쇄되었는가를 불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분쇄되었다면 그 분쇄물의 평균입도가 어느 정도인가도 불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것은, 본 발명이 사육동물의 증체량 증가용 사료 조성물, 사육동물의 사료효율 증가용 사료 조성물 또는 사육동물의 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대잎을 개시하고 있는 한, 그 대잎을 분쇄하여 사용할 것인가, 분쇄한다면 그 분쇄물의 평균입도를 어느 정도로 할 것인가는 모두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 속하기 때문이다.
<2> 대숯
"대숯"이란 그것을 얻기 위해 사용된 대나무 종류를 불문하고 또 그 제조방법에 상관없이 대나무에 직·간접으로 고온의 열을 가하여 얻어지는 탄화된 모든 고체 덩어리, 분쇄물, 분말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3> 사육동물
"사육동물"이란 젖, 고기, 알, 털, 피혁, 깃털 등 인간에게 유용한 축산물 및 수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동물 및 애완동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예컨대 말, 당나귀, 소, 물소, 면양, 염소, 낙타, 순록, 돼지, 개, 고양이, 토끼, 다람쥐 등의 포유류와, 닭, 칠면조, 거위, 집오리, 화조, 집비둘기, 메추리 등의 조류인 가금류와, 이구아나 등의 파충류와, 방어, 돔, 조피볼락, 잉어, 메기, 송어, 뱀장어, 은어, 연어 등의 양식 어류 등이 상기 사육동물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 다.
<4> 증체량 및 증체량 증가
"증체량"이란 정해진 기간 동안에 있어서 동물의 체중의 증가 정도를 의미하며, 그리고 "증체량 증가"란 정해진 기간 동안에 있어서 동물의 체중의 증가 정도가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를 보면, 대잎 또는 대잎/대숯을 사용하였을 때가 이들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증체량이 증가 정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성장 촉진이 체중 증가의 의미로 사용되는 한, 증체량 증가는 성장 촉진과 동일한 의미로서 받아들여져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증체량 증가용 조성물은 성장 촉진용 조성물로서도 이해될 수 있다.
<5> 사료효율 및 사료효율 증가
"사료효율"이란 일정 기간의 증체량을 동일 기간의 사료 섭취량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며, "사료효율 증가"는 같은 양의 사료를 섭취하더라도 체중의 상대적인 증가 정도가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6> 지방 축적 억제
"지방 축적 억제"란 사육동물의 체중은 증가시키면서도 사육동물의 지방 축적량은 감소시킨다는 의미로서 정의된다. 사육동물의 체중은 증가하면서 사육동물의 지방 축적량이 감소한다는 것은 단백질 등의 함량은 높아지면서 지방 함량은 감소한다는 의미로서도 받아들 수 있다. 그러므로 육질 개선의 의미가 지방 함량은 감소하면서도 단백질 등의 함량은 높아진다는 것의 의미로 사용되거나 지방은 함량 은 감소하면서도 체중은 증가한다는 것의 의미로 사용되는 한, 지방 축적 억제와 동일한 의미로서 받아들여지며, 따라서 본 발명의 지방 축적 억제용 조성물은 육질 개선용 조성물로서도 이해될 수 있다.
<7>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란 사육동물의 종류에 따라 급여되는 사료 조성물로서 정의된다. 이러한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는 사육동물의 종류에 따라서 그 필요한 성분 및 조성 그리고 적합한 조성 비율이 모두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시판되고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누구나 매우 용이하게 이를 제조 또는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는 그 사료의 구성 성분으로서 사육동물의 종류 등에 따라 적합한 전분 함유 물질, 단백질 함유 물질, 지방 함유 물질, 비타민 함유 물질, 무기질 함유 물질, 산화 방지 물질, 항생제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분 함유 물질은 그것이 사육동물의 성장을 유지할 수 있는 한 모두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분 함유 물질은 일반적으로 옥수수, 콩, 밀, 수수, 보리, 귀리 등으로부터 얻어진다. 적합한 전분 함유 물질로서는 옥수수 분쇄물이나 분말, 귀리 분쇄물이나 분말, 콩 분쇄물이나 분말, 밀 분쇄물이나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적합한 전분 함유 물질은 귀리 분말, 옥수수 분쇄물, 밀 분쇄물, 콩 분말 등이다. 이러한 전분 함유 물질은 사육동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포함되는 그것의 농도 는 특정 범위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전분 함유 물질은 약 30 내지 약 8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70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 %의 범위로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포함될 수 있다.
단백질 함유 물질도 사육동물의 성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한,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포함될 수 있다. 경제적인 이유로 어분, 콩 분말 등과 같은 단백질 함유 물질이 사용되고 있는데, 다른 것들로서는 콩 단백질 농축물, 혈분, 혈장 단백질, 탈지유 건체물, 유(乳) 단백질 농축물, 옥수수 글루텐(Gluten) 분말, 밀 글루텐 분말, 이스트, 해바라기씨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단백질 함유 물질은 어분, 혈분, 혈장 단백질, 콩 분말 등이다. 단백질 함유 물질도 사육동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한,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포함되는 그것의 농도는 중요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함유 물질은 약 10 내지 약 5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40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0 중량 %의 범위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는 지방 함유 물질도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지방 함유 물질로서는 라드(Lard), 우지, 콩기름, 레시틴, 코코넛유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지방 함유 물질은 콩기름, 코코넛유 및 라드 등이다. 지방 함유 물질도 사육동물의 성장을 유지할 수 있는 한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포함되는 그것의 농도는 중요하지 않다. 지방 함유 물질은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약 2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15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중량 %의 범위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는 또한 수용성·지용성 비타민과 미량의 무기물이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비타민으로서는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리보플라빈,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나이아신, 비타민 B12, 엽산, 비오틴, 비타민 C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미량의 무기물로서는 구리, 아연, 요오드, 셀렌, 망간, 철, 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미량"이 의미하는 바는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사용된 이들 성분들의 양이 다른 성분들의 양보다 실질적으로 적은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비타민이나 무기질이 미량으로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포함될 경우에 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5 중량 %로 존재한다.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는 또한 BHT(Butylated Hydroxytoluene), BHA(Butylated Hydroxyanisole), 비타민 E, 아스코르브산 등의 산화방지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 설파메타진, 페니실린 등의 항생제도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산화방지물질이나 항생제는 극소량, 즉 약 0.0001 내지 약 1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는 통상 전술한 바의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유효성분으로서 대잎 또는 대잎/대숯이 포함될 것인데, 여기서 그 대잎 또는 대잎/대숯은 사육동물의 종류에 따라 본 발명의 의도하는 바의 효능 즉 증체량 증가, 사료효율 증가 및/또는 지방축적 억제라는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사육동물에 부작용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잎만이 포함될 때는 1 중량% ~ 10 중량%의 범위일 것이고, 대숯이 더 포함될 때는 대잎/대숯의 총량이 1.5 중량% 내지 15 중량%의 범위가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모든 중량 %는 사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100으로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경우에는 그 유효성분인 대잎 또는 대잎과 대숯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전술한 바의 범위로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의 유통 중에 첨가되거나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를 사육동물에 급여하기 전에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첨가되어 사육동물에 급여될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소화율 향상, 질병에 대한 내성 등의 기능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벤토나이트, 산화마그네슘 등의 광물질, 아연, 구리 등의 미네랄, 유산균, 효모 배양물 등의 생균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사료 조성물을 사육동물에 급여하거나 또는 전술한 바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배합하여 사육동물에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육동물의 증체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사육동물의 사료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또는 사육동물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파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의 이유에서, 사육동물의 증체량 증가방법은 사육동물의 성장 촉진방법으로도 이해될 수 있고, 사육동물의 지방 축적 억제 방법은 사육동물의 육질 개선 방법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 실시예 > 대잎의 사료 첨가제로서의 효능 검토
<실시예 1> 대잎의 사료 첨가제로서의 효능 검토
1. 실험 방법
<1> 시험계 및 사육환경
4주령의 암컷 특정 병원체 부재 ICR 마우스를 입수하여 실험동물실에서 1주간 순화한 후 건강한 동물만을 선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의 개체식별은 흑색매직을 이용한 미부표시법과 사육상자별 개체식별카드 표시법을 이용하였다. 사료는 실험동물용 분말사료(삼양사료, 원주)를, 물은 상수도수를 자유급식시켰다.
<2> 시험물질 및 부형제대조물질
시험물질은 대잎 분쇄물로서, 분죽의 잎을 80℃ 내지 100℃의 온도 범위에서 약 1시간 증숙하고 건조시켜 곱게 분쇄하여 얻어진 것을 실험동물용 분말사료에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3> 시험방법
1) 시험군의 구성: 시험물질 급여군과 음성대조군을 두었다. 시험물질 급여군에는 대잎 분쇄물을 분말사료와 혼합하여(대잎 분쇄물의 분말사료 내 첨가용량은 2%로 하였다) 급여하였고, 음성대조군에는 대잎 분쇄물이 혼합되지 않은 분말사료만을 급여하였다.
2) 시험물질의 급여 기간: 시험물질은 사료 내에 혼합하여 5주간 급여하였다.
3) 관찰항목
① 체중과 증체량 측정: 각 동물의 체중을 자동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측정하 였다. 측정일은 급여 개시 직전과 주 1회씩 급여 기간이 종료한 후에 측정하였다.
② 사료섭취량 측정: 사료 섭취량은 시험 개시일과 주 1회의 빈도로 측정하였으며, 사육상자별로 측정일에 정량을 급여하고 익일에 잔량을 측정하여 개체별 일일사료섭취량을 계산하였다.
③ 사료효율 측정: 잔량을 측정하는 날에는 동물의 1일 증체량을 산출하여 평균 증체량에 평균 사료 섭취량을 나누어 사료효율을 계산하였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사료효율(Food efficiency) = 평균 증체량(mean body weight gain)/평균 사료 섭취량(mean food intake)
④ 주요 장기 지방 조직의 중량측정: 급여 개시 후 5주째에 부검을 실시하고 신장주위(후복강), 자궁주위, 장간막 피하지방 및 견갑골 사이 지방조직을 각각 분리·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하였고, 체중 대비 상대중량(%)으로 환산하였다.
3) 통계학적 분석
부형제 대조군과 시험물질 급여군과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1997)를 이용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는 가능한 한 평균값과 표준편차로 표기하였다. Bartlett test (1937)에서 분산이 균일하게 나온 검사항목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고, 균일하지 않은 자료는 비모수적 방법인 Kruskal-Wallis test (1952)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군간 차이가 인정되면 Dunnett's multiple comparison test (1964)로 군간 차이를 검정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5% 및 1%로 정하여 검정하 였다.
2. 실험 결과
<1> 실험동물의 증체량
시험물질 급여 개시 후 5주간 마우스의 체중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대조군 시험군
실험동물의 수 12 12
시험개시일 28.7±2.21 29.4±1.34
1주 후 30.2±1.76 31.6±1.87.
2주 후 31.5±2.02 34.2±3.02
3주 후 32.4±1.46 36.5±2.74
4주 후 33.9±1.57 37.9±3.26
5주 후 34.9±2.32 39.1±1.91
증체량 6.17±1.63 9.64±1.42*
- 상기 측정값은 평균값±SD(g) - * and **는 각각 통계학적 유의수준이 5% 이하 및 1%이하를 나타낸다.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잎 분쇄물을 분말사료와 함께 급여한 시험군의 경우 증체량이 분말 사료만을 급여한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2> 마우스의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
마우스의 일일사료섭취량(Daily feed intake)과 일일증체량(Daily body weight gain) 및 사료효율(Feed efficiency)은 하기 <표 2>에 요약하였다.
구분 대조군 시험군
실험동물의 수 12 12
일일사료섭취량 5.27±0.25 5.35±0.253
일일 증체량 0.17±0.024 0.28±0.034**
사료효율 0.032±0.004 0.052±0.006**
- 상기 측정값은 평균값±SD(g) - * and **는 각각 통계학적 유의수준이 5% 이하 및 1%이하를 나타낸다.
상기 <표 2>는 일일 증체량과 사료효율 모두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음을 보여준다.
<3> 마우스의 주요 장기 상대 지방 중량
투여개시 후 5주에 부검한 마우스의 주요 장기의 상대지방중량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대지방중량은 장기의 지방 중량을 장기의 중량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계산하였다.
구분 대조군 시험군
실험동물의 수 12 12
신장주위 상대지방중량 6±2.7 2.6±1.6*
자궁 주위 상대지방중량 46±13.4 23±11.7*
장간막 피하 상대지방중량 57±12.7 28±12.7*
견갑골 사이의 상대지방중량 45±13.5 22±9.5*
- 상기 측정값은 평균값±SD(%) - * and **는 각각 통계학적 유의수준이 5% 이하 및 1%이하를 나타낸다.
신장 주위, 자궁 주위, 장간막 피하 및 견갑골 사이의 상대지방중량에 있어서 시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실시예 2> 대잎의 사료 첨가제로서의 효능 검토
대잎과 대숯이 사료 첨가제로서 상승적인 효능을 가지는가를 검토하였다.
1. 실험방법
실험방법은 시험물질만 다르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즉 시험물질 급여군에는 대숯 분말과 대잎 분쇄물의 혼합물을 분말사료와 혼합하여(대숯 분말과 대잎 분쇄물의 혼합물의 분말사료 내 첨가용량은 각각 대숯과 대잎을 2%로 하였다) 급여하였고, 양성대조군에는 대숯 분말(대숯 분말의 혼합물의 분말사료 내 첨가용량은 2%로 하였다)을 분말사료와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여기서 대숯 분말은 왕대를 탄화시키고 곱게 분쇄하여 얻어진 것이다.
2. 실험결과
실험결과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나타내었다.
<1> 실험동물의 증체량
구분 대조군 시험군
실험동물의 수 12 12
시험개시일 29.7±1.23 28.2±1.67
1주 후 31.4±2.04 30.6±2.42.
2주 후 32.7±2.42 33.1±2.96
3주 후 33.9±2.64 35.5±1.52
4주 후 35.3±1.64 38.1±2.54
5주 후 36.9±1.57 39.7±1.37
증체량 7.15±1.63 11.64±2.23*
- 상기 측정값은 평균값±SD(g) - * and **는 각각 통계학적 유의수준이 5% 이하 및 1%이하를 나타낸다.
상기 <표 4>는 증체량이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음을 보여준다.
<2> 마우스의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
구분 대조군 시험군
실험동물의 수 12 12
일일사료섭취량 5.47±0.142 5.64±0.214
일일 증체량 0.21±0.024 0.33±0.027**
사료효율 0.038±0.003 0.059±0.004**
- 상기 측정값은 평균값±SD(g) - * and **는 각각 통계학적 유의수준이 5% 이하 및 1%이하를 나타낸다.
상기 <표 5>는 일일 증체량과 사료효율 모두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음을 보여준다.
<3> 마우스의 주요 장기 상대 지방 중량
구분 대조군 시험군
실험동물의 수 12 12
신장주위 상대지방중량 8±2.7 2.1±1.6*
자궁주위 상대지방중량 43±15.3 19±12.4
장간막 피하 상대지방중량 39±12.6 23±15.7
견갑골 사이의 상대지방중량 38±11.7 17±8.5*
- 상기 측정값은 평균값±SD(%) - * and **는 각각 통계학적 유의수준이 5% 이하 및 1%이하를 나타낸다.
<표 6>를 참조하여 보면, 신장 주위 및 견갑골 사이의 상대지방중량은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나, 자궁 주위 및 장간막 피하 지방의 상대지방중량은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육동물의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사료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지방 축적을 억제시킬 수 있는 사료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대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육동물의 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숯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대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육동물의 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숯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제3항 또는 제4항의 조성물을 사육동물에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육동물의 지방 축적을 억제시키는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7항 또는 제8항의 조성물을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배합하고 사육동물에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는 전분 함유 물질, 단백질 함유 물질, 지방 함유 물질, 비타민 함유 물질, 무기질 함유 물질, 산화 방지 물질 및 항생제를 포함하는 사육동물의 지방 축적을 억제시키는 방법.
KR1020060095472A 2006-09-29 2006-09-29 사육동물의 사료 조성물 KR100877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472A KR100877800B1 (ko) 2006-09-29 2006-09-29 사육동물의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472A KR100877800B1 (ko) 2006-09-29 2006-09-29 사육동물의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398A KR20080029398A (ko) 2008-04-03
KR100877800B1 true KR100877800B1 (ko) 2009-01-12

Family

ID=3953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472A KR100877800B1 (ko) 2006-09-29 2006-09-29 사육동물의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318B1 (ko) * 2020-12-08 2023-07-04 문현아 제주조릿대를 포함하는 펫푸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제주조릿대가 포함된 펫푸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784A (ko) * 1984-09-07 1987-03-28 히로아끼 코지마 사 료
KR20060035444A (ko) * 2004-10-22 2006-04-26 담양군 동물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물의 사육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784A (ko) * 1984-09-07 1987-03-28 히로아끼 코지마 사 료
KR20060035444A (ko) * 2004-10-22 2006-04-26 담양군 동물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물의 사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398A (ko)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rgozliev et al. Growth performance and endogenous losses of broilers fed wheat-based diets with and without essential oils and xylanase supplementation
KR100931852B1 (ko) 사육동물의 사망 억제용 사료 조성물
CN103734550A (zh) 一种保育猪浓缩饲料
US9668500B2 (en) Feeding methods and systems for young livestock animals using sensory compounds
Ososanya et al.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of corncob and cowpea husk diets by West African dwarf sheep
US20110189347A1 (en) Use of succinic acid
CN104106737A (zh) 一种粉粒混合型断奶仔猪饲料及其制备方法
Soltan Effect of essential oil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health condition of Holstein male calves during pre-and post-weaning periods
Hao et al. Replacing soybean meal with flax seed meal: Effects on nutrient digestibility, rumen microbial protein synthesis and growth performance in sheep
Mlambo et al. Nutritional evaluation of marula (Sclerocarya birrea) seed cake as a protein supplement for goats fed grass hay.
JP4477700B2 (ja) 飼料
KR100877800B1 (ko) 사육동물의 사료 조성물
Biswas et al. Evaluation of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to partially replace soybean meal in the diet of growing-finishing pigs.
Lee et al. Influence of fermented fish meal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fecal microflora of weaning pigs
Putra et al. The utilization of vegetable waste silage as feed ingredient in diets for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Hammod et al. The effect of partial replacement of maize by date pits on broiler performance
KR20060035444A (ko) 동물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물의 사육 방법
Oduntan et al. Pineapple Pomace as Replacement for Wheat Bran in a Practical Extruded Diet for Catfish (Clarias gariepinus)
Gençoglu et al. In situ ruminal crude protein and starch degradability of some grains and by-product feeds in Turkey
Ukachukwu et al. Performance of weaned rabbits fed graded dietary levels of composite Cassava meal
Sobolewska et al. The effect of inulin extraction method or powder from inulin-producing plants in fattener diets on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Rasha et al. Effect of dietary hyacinth bean (Lablab purpureus) on broiler chicks performance
Wilamune et al. Feeding and handling of dairy cattle: An integrative review
Adeniji et al. Effect of Replacing Wheat Offal with Sugarcane Scrapings Rumen Content Mixture (SCSRCM) on the Performance of Growing Pullets
Hamedi-Maralani et al. Feeding of steam flaked wheat and barley on starter consumption and performance of milking cal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128

Effective date: 200809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