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03486A2 -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피부장벽 강화용, 항노화 및 항염 조성물 - Google Patents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피부장벽 강화용, 항노화 및 항염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9103486A2 WO2019103486A2 PCT/KR2018/014447 KR2018014447W WO2019103486A2 WO 2019103486 A2 WO2019103486 A2 WO 2019103486A2 KR 2018014447 W KR2018014447 W KR 2018014447W WO 2019103486 A2 WO2019103486 A2 WO 2019103486A2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root extract
- tea root
- extract
- ski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60
- 210000004927 Skin cells Anatomy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0
- 235000006468 Thea sinensis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1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108010005256 S100 Calcium Binding Protein A7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102100017877 S100A7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102100017875 S100A8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37380 skin dama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10000002510 Keratinocyte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
- XEKOWRVHYACXOJ-UHFFFAOYSA-N acetic acid ethyl ester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NIEGILROZYGXMJ-UHFFFAOYSA-N [3,5-dihydroxy-4,6-bis[(3,4,5-trihydroxybenzoyl)oxy]oxan-2-yl]methyl 3,4,5-trihydroxybenzoate;2-(3,4-dihydroxyphenyl)-3,4-dihydro-2H-chromene-3,5,7-triol;1,3,7-trimethyl-4,5-dihydropurine-2,6-dione Chemical compound O=C1N(C)C(=O)N(C)C2C1N(C)C=N2.OC1CC2=C(O)C=C(O)C=C2OC1C1=CC=C(O)C(O)=C1.O1C(OC(=O)C=2C=C(O)C(O)=C(O)C=2)C(O)C(OC(=O)C=2C=C(O)C(O)=C(O)C=2)C(O)C1COC(=O)C1=CC(O)=C(O)C(O)=C1 NIEGILROZYGXM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PUPZLCDOIYMWBV-UHFFFAOYSA-N but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1 di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0.000 claims description 6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VLKZOEOYAKHREP-UHFFFAOYSA-N 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8079 hex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2100013658 SORD Human genes 0.000 claims 2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102100018762 IL36G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4
- 101700001289 IL36G Proteins 0.000 description 14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101710023380 S100A8 Proteins 0.000 description 13
- 102000005773 Xanthine Dehydrogen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3
- 108010091383 Xanthine Dehydroge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3
- 235000017709 sapon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9 eth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4027 cells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8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0160 (ribonucleotides)n+m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6210 lo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633 protec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57 reverse transcription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40058015 1,3-butylene glycol Drug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GUBGYTABKSRVRQ-UUNJERMW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O[C@@H]1CO)[C@H]1[C@@H](O)[C@@H](O)[C@H](O)[C@H](CO)O1 GUBGYTABKSRVRQ-UUNJERMW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437 butane-1,3-di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34 butanolic fra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GUBGYTABKSRVRQ-XLOQQCSPSA-N 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53 phosphate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829 reduced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90 bio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3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135 cy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86 esse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7 fra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74 oint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01000004681 psoria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024606 Amino Acids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024 Ceanothus sanguine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6 Complementary DNA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08010037462 Cyclooxygenas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D-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CEAZRRDELHUEMR-URQXQFDESA-N Gentamicin Chemical compound O1[C@H](C(C)NC)CC[C@@H](N)[C@H]1O[C@H]1[C@H](O)[C@@H](O[C@@H]2[C@@H]([C@@H](NC)[C@@](C)(O)CO2)O)[C@H](N)C[C@@H]1N CEAZRRDELHUEMR-URQXQFDE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3553 Leptospermum scopa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459 Lycium barb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ACFGRWJEQJVZTM-LEJBHHMKSA-L Magnesium L-ascorbic acid-2-phosphate Chemical compound [Mg+2].OC[C@H](O)[C@H]1OC(=O)C(OP([O-])([O-])=O)=C1O ACFGRWJEQJVZTM-LEJBHHMKSA-L 0.000 description 2
- TWRXJAOTZQYOKJ-UHFFFAOYSA-L MgCl2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09 Moistur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2100015381 PTGS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YYGNTYWPHWGJRM-RUSDCZJESA-N Squal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YYGNTYWPHWGJRM-RUSDCZJE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XOAAWQZATWQOTB-UHFFFAOYSA-N Taurine Chemical compound NCCS(O)(=O)=O XOAAWQZATWQO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RYYVLZVUVIJVGH-UHFFFAOYSA-N caffeine Chemical compound CN1C(=O)N(C)C(=O)C2=C1N=CN2C RYYVLZVUVIJ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188 collage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54 dam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7 detriment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VBPIULPVIDEAO-LBPRGKRZSA-N folic acid Chemical compound C=1N=C2NC(N)=NC(=O)C2=NC=1CNC1=CC=C(C(=O)N[C@@H](CCC(O)=O)C(O)=O)C=C1 OVBPIULPVIDEAO-LBPRGKRZ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76 glycan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862 health statu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500002601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29940116978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Drugs 0.000 description 2
- NOESYZHRGYRDHS-UHFFFAOYSA-N insulin Chemical compound N1C(=O)C(NC(=O)C(CCC(N)=O)NC(=O)C(CCC(O)=O)NC(=O)C(C(C)C)NC(=O)C(NC(=O)CN)C(C)CC)CSSCC(C(NC(CO)C(=O)NC(CC(C)C)C(=O)NC(CC=2C=CC(O)=CC=2)C(=O)NC(CCC(N)=O)C(=O)NC(CC(C)C)C(=O)NC(CCC(O)=O)C(=O)NC(CC(N)=O)C(=O)NC(CC=2C=CC(O)=CC=2)C(=O)NC(CSSCC(NC(=O)C(C(C)C)NC(=O)C(CC(C)C)NC(=O)C(CC=2C=CC(O)=CC=2)NC(=O)C(CC(C)C)NC(=O)C(C)NC(=O)C(CCC(O)=O)NC(=O)C(C(C)C)NC(=O)C(CC(C)C)NC(=O)C(CC=2NC=NC=2)NC(=O)C(CO)NC(=O)CNC2=O)C(=O)NCC(=O)NC(CCC(O)=O)C(=O)NC(CCCNC(N)=N)C(=O)NCC(=O)NC(CC=3C=CC=CC=3)C(=O)NC(CC=3C=CC=CC=3)C(=O)NC(CC=3C=CC(O)=CC=3)C(=O)NC(C(C)O)C(=O)N3C(CCC3)C(=O)NC(CCCCN)C(=O)NC(C)C(O)=O)C(=O)NC(CC(N)=O)C(O)=O)=O)NC(=O)C(C(C)CC)NC(=O)C(CO)NC(=O)C(C(C)O)NC(=O)C1CSSCC2NC(=O)C(CC(C)C)NC(=O)C(NC(=O)C(CCC(N)=O)NC(=O)C(CC(N)=O)NC(=O)C(NC(=O)C(N)CC=1C=CC=CC=1)C(C)C)CC1=CN=CN1 NOESYZHRGYRD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834 intracell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80 kerati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33 moisturize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27 radioimmuno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3 real-time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65 ro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434 stratum corne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73 wrinkle 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WSWZBCSFZAYOB-CABCVRRESA-N (2S,4R)-1-dodecanoyl-4-hydroxypyrrolidi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O)N1C[C@H](O)C[C@H]1C(O)=O BWSWZBCSFZAYOB-CABCVRRE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19746 Antifibrinolytic amino acids Drugs 0.000 description 1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76 Body Wat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7769 Calcium Carbonate 100 MG Drugs 0.000 description 1
- BXWNKGSJHAJOGX-UHFFFAOYSA-N Cetyl alcoh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 BXWNKGSJHAJO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647 Citric Acid 1000 MG Drugs 0.000 description 1
- JYGXADMDTFJGBT-VWUMJDOOSA-N Cortisol Chemical compound O=C1CC[C@]2(C)[C@H]3[C@@H](O)C[C@](C)([C@@](CC4)(O)C(=O)CO)[C@@H]4[C@@H]3CCC2=C1 JYGXADMDTFJGBT-VWUMJDOO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7362 Cyclodextr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QWWZWVQMSA-N D-Thre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O UNXHWFMMPAWVPI-QWWZWVQM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438 Dermatitis atop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NEFBYIFKOOEVPA-UHFFFAOYSA-K Dicalc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O-]P([O-])([O-])=O NEFBYIFKOOEVPA-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39 Dicalcium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PWVASYFFYYZEW-UHFFFAOYSA-L Dipotass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K+].OP([O-])([O-])=O ZPWVASYFFYYZE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UCTWMZQNUQWSLP-VIFPVBQESA-N Epinephrine Chemical compound CNC[C@H](O)C1=CC=C(O)C(O)=C1 UCTWMZQNUQWSLP-VIFPVBQE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43 Erythrocyt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12 FEMA 460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04 Fo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RFVNOJDQRGSOEL-UHFFFAOYSA-N Glycol stear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O RFVNOJDQRGSO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MYOOOWEV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2[C@H](O)[C@@H](O)[C@H](O)[C@H](C(=O)O)O2)[C@@H](O[C@@H]2C(C)(C)[C@H]3[C@@](C)([C@H]4C(=O)C=C5[C@](C)([C@]4(C)CC3)CC[C@]3(C)[C@H]5C[C@](C(=O)O)(C)CC3)CC2)O1 LPLVUJXQOOQHMX-MYOOOWEV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691 Houttuynia cord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015 I.V. solution additive Amino Acids Drugs 0.000 description 1
- 102100018955 IL1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700006191 IL1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877 Ins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1061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0589 Interleukin-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2352 Interleukin-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BAUYGSIQEAFULO-UHFFFAOYSA-L Iron(II) sulfate Chemical compound [Fe+2].[O-]S([O-])(=O)=O BAUYGSIQEAFU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102100000110 LCE3D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700057329 LCE3D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445 LICORICE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ZLNQQNXFFQJAID-UHFFFAOYSA-L Magnes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Mg+2].[O-]C([O-])=O ZLNQQNXFFQJAI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999 Messenger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VMGAPWLDMVPYIA-HIDZBRGKSA-N N'-amino-N-iminomethanimidamide Chemical compound N\N=C\N=N VMGAPWLDMVPYIA-HIDZBRGK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6 Northern blo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09000578 Oxidative Stres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EEAPRPFLLJWCF-UHFFFAOYSA-K Potassium citrate Chemical compound [K+].[K+].[K+].[O-]C(=O)CC(O)(CC([O-])=O)C([O-])=O QEEAPRPFLLJWCF-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425 Protein Deficienc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6 RNA-Seq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SEAGSNCFSA-N Rebaudioside A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CO)O1)[C@@]1(C)[C@@H]2[C@](C)([C@H]3[C@@]4(CC(=C)[C@@](O[C@H]5[C@H](O[C@H]6[C@H](O)[C@@H](O)[C@H](O)[C@@H](CO)O6)[C@@H](O[C@H]6[C@H](O)[C@@H](O)[C@H](O)[C@@H](CO)O6)[C@H](O)[C@@H](CO)O5)(C4)CC3)CC2)CCC1 HELXLJCILKEWJH-SEAGSNCF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77 Riboflavin Drugs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13674 S-100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700033826 S-100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880 Skin irr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882 Skin le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0747 Sodium Hyalur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85 Sodium hyalur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1439 Squal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132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NCGAPWICSA-N Stevioside A3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080 Tau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338 Transferr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901 Transferr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HRXKRNGNAMMEHJ-UHFFFAOYSA-K Trisodium citrate Chemical compound [Na+].[Na+].[Na+].[O-]C(=O)CC(O)(CC([O-])=O)C([O-])=O HRXKRNGNAMMEHJ-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41001442055 Vipera b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779 Vitamin B1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71 Vitamin B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3203 Vitamin B6 0.5 MG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13 antiperspi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937 atopic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99 bactericid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YBJHBAHKTGYVGT-ZKWXMUAHSA-N biotin Chemical compound N1C(=O)N[C@@H]2[C@H](CCCCC(=O)O)SC[C@@H]21 YBJHBAHKTGYVGT-ZKWXMUAH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85 bio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58 bio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16 bio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PELXLSAUQHCOX-UHFFFAOYSA-M bromide Chemical compound [Br-] CPELXLSAUQHCOX-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948 caffe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FAPWYRCQGJNNSJ-UBKPKTQASA-L calcium D-pantothenic acid Chemical compound [Ca+2].OCC(C)(C)[C@@H](O)C(=O)NCCC([O-])=O.OCC(C)(C)[C@@H](O)C(=O)NCCC([O-])=O FAPWYRCQGJNNSJ-UBKPKTQASA-L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079 calcium pantothe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65 catechi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6253 catech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87 catec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13 cel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43 cell culture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541 cetyl alco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46 cobalamin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99 complementary DN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8472 dicalcium phosph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90 di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9910 diseases by infectious ag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0 du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4 emollie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4 emulsify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139 epineph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MROMDMJAWUWLK-UHFFFAOYSA-N ethenol Chemical group OC=C IMROMDMJAWUW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0 ferrous sul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1 ferrous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2 fo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4 fo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3 gelatin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33 gene expression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18 hair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6 hair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890 hydrocortis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23 inorganic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59 iron(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66 lys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95 magnesium 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6 magnesium 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1 magnes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9 magnes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09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06 messenger RNA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93 micro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1 modify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81 next generation sequenc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DFPAKSUCGFBDDF-UHFFFAOYSA-N nicotinamide Chemical compound NC(=O)C1=CC=CN=C1 DFPAKSUCGFBD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152 nicotinam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0 nicotin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11 normal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343 nutrient deficienc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KQVRZJOMJRTOY-UHFFFAOYSA-N octadecanoic acid;propane-1,2,3-triol Chemical compound OCC(O)CO.CCCCCCCCCCCCCCCCCC(O)=O CKQVRZJOMJRT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2 oxidative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25 pharmaceutical prepar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90 physiolog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7 pituita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98 polar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8 potass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35 potassium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11 protein immuno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41 reaction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3 rebaudioside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25 regulation of water loss via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42 retino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73 retinyl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0 ret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GNJRVVDBSJHIZ-QHLGVNSISA-N ret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C(/C)\C=C\C=C(/C)\C=C\C1=C(C)CCCC1(C)C QGNJRVVDBSJHIZ-QHLGVNSI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39 reverse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56 skin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75 skin irrita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44 skin les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9 sod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MAKUBRYLFHZREJ-JWBQXVCJSA-M sodium;(2S,3S,4R,5R,6R)-3-[(2S,3R,5S,6R)-3-acetamido-5-hydroxy-6-(hydroxymethyl)oxan-2-yl]oxy-4,5,6-trihydroxyoxane-2-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Na+].CC(=O)N[C@@H]1C[C@H](O)[C@@H](CO)O[C@H]1O[C@@H]1[C@@H](C([O-])=O)O[C@@H](O)[C@H](O)[C@H]1O MAKUBRYLFHZREJ-JWBQXVCJ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08 sphingo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QAOWNCQODCNURD-UHFFFAOYSA-L sulfate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YMBYSLLVAOCFI-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KYMBYSLLVAOC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027 toxicolog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97 transcri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81 transfer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1 tripotass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0 tripotassium ci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8 trisod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3 vitamin B1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5 vitamin B1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12 vitamin 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62 western blo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30 xanthan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5 xanthan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2509 xanthan g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93 xanthan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23L33/155—Vitamins A or 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미세먼지에 의해 발현량이 영향을 받는 피부 세포 내 유전자인 IL-36G(NM_019618), S100A7(NM_002963), S100A8(NM_002964), 및 XDH(NM_000379)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현량을 정상 수준으로 조절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케어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에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을 케어하는 조성물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 정상 상태의 피부 세포와 비교하여 미세먼지에 의해 발현 정도가 변화되는 피부 세포 유전자인 바이오마커 등을 유의미하게 변화시켜서 피부 세포 손상을 케어하는,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된다.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신체 부위로서, 우리 몸의 중요한 기관들을 보호하는 보호막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수분 증발을 조절하고 외부 감염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아무리 외부로부터의 바이러스 침투를 막아내는 피부일지라도 과도한 자외선이나 오염물질 등에 노출되면 피부 자극을 유발하게 되고, 특히 강한 바람과 흙먼지를 동반한 황사에 의해 상처를 입게 된다.
황사는 중국 및 몽고 등의 내륙에 위치한 사막에서 작은 모래나 황토가 부유하여 상층바람을 타고 멀리 수송되어, 지면 가까이 낙하하는 현상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봄철이면 황사가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황사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복합체로 발생시기와 장소에 따라 물리적 특성과 구성성분이 매우 다양하며, 생물학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금속 성분도 포함하고 있다. 황사와 같은 크기가 큰 입자들은 주로 발원지나 주변에 머물며, 그 중 입자 크기가 작은 먼지들이 국내에까지 유입되며, 이러한 먼지가 흡입시에 하부기관지 및 폐의 가스-교환부분까지 침착하여 호흡기계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황사, 먼지가 많은 지역에 주거하는 사람들의 피부에서는 피부 세포의 손상이 늘어나는 것이 관찰된 바 있다.
피부의 구성층 중 표피는 인체 내부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피는 외부로부터 순서대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분되며,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 사이의 세포간 지질들은 모르타르와 같은 역할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한다. 또한, 건강한 사람의 각질세포에는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의 수분 보유를 돕는데, 예를 들면 아미노산과 같은 물질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수분과 결합하여 피부에서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러나, 요즘과 같이 환경의 변화나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 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푸석거리고 촉촉함을 잃어 생기가 없어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 보습제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받는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은 피부의 정상기능을 저하시키고 탄력손실, 각질화, 주름생성 등의 현상을 촉진시키게 되는데, 특히 자외선에 의해 표피 진피 경계부는 심하게 손상을 받는다. 또한, 외부로부터 받는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 자외선 및 스트레스 등은 피부의 정상기능을 저하시키고 탄력손실, 각질화, 주름생성 등의 피부노화현상을 촉진시키게 되는데, 특히 자외선에 의해 표피 진피 경계부는 심하게 손상을 받는다.
XDH는 자극원에 장기간 노출된 경우에 유발된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나타내고, 그 결과 외인성 피부노화를 나타내는 지표라는 사실이 현재 알려졌다(비특허문헌 1 참조).
IL-36G는 피부장벽 약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건선 등에 있어서의 유용한 바이오마커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2 참조). 또한, S100A7 및 S100A8은 피부장벽 기능의 장애로 인한 아토피 피부염 및 건선과 관련된 지표임이 알려져 있다. 특히, S100A8의 발현량 증가는 각질형성세포의 활성화 상태와 관계된 것이고 이에 수반하는 염증에 의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 개시되어 있어서(비특허문헌 3 참조) 피부에서의 염증 현상과는 구분된다.
선행기술문헌
비특허문헌
(비특허문헌 1) Kim, H.J., et al, "Transcriptome analysis of airborne PM2.5-induced detrimental effects on human keratinocytes", Toxicology Letters 273, 26-35, 2017.
(비특허문헌 2) AM D'Erme et al, "IL-36c (IL-1F9) Is a Biomarker for Psoriasis Skin Lesions",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Volume 135, 2015.
(비특허문헌 3) Eckert et al, "S100 Proteins in the Epidermis", J Invest Dermatol, 123(1):23-33, 2004 Jul.
이에 본 발명자는 미세먼지가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에 의하여 피부 세포 유전자의 발현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피부 세포 손상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본원의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을 완화시키는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피부장벽 약화를 일으키는 자극원이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에 의하여 피부 세포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피부장벽 약화를 일으키는 자극원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본원의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피부장벽을 강화시키는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염증 또는 노화를 일으키는 자극원이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에 의하여 피부 세포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피부 세포 노화 및 염증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본원의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항노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의 손상 케어용, 피부장벽 강화용, 항노화용, 및 항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미세먼지에 의해 발현량이 영향을 받는 피부 세포 내 유전자인 IL-36G(NM_019618), S100A7(NM_002963), S100A8(NM_002964), 및 XDH(NM_000379)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현량을 정상 수준으로 조절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피부장벽 약화를 일으키는 자극원에 의해 발현량이 영향을 받는 피부 세포 내 유전자인 IL-36G(NM_019618), S100A7(NM_002963), 및 S100A8(NM_00296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현량을 정상 수준으로 조절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염증 또는 노화를 일으키는 자극원에 의해 발현량이 영향을 받는 피부 세포 내 유전자인 XDH(NM_000379) 의 발현량을 정상 수준으로 조절하는 항노화 조성물 및 항염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케어용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미세먼지에 의해 변화되는 유전자 발현량을 정상 수준으로 되돌려 피부 세포의 손상을 케어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피부장벽 약화를 일으키는 자극원에 의해 변화되는 유전자 발현량을 정상 수준으로 되돌려 피부 세포의 손상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항노화 조성물 및 항염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염증 또는 노화 자극에 의해 변화되는 유전자 발현량을 정상 수준으로 되돌려 피부 세포의 손상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은 미세먼지 추출액의 처리에 의한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며, 여기에서 ADSP는 아시아 먼지 바람 입자(Asian dust storm particle)로서 황사를 나타내고, PM10(Particulate matter 10)은 입자크기가 10㎛인 미세먼지를 나타내며, PM2.5(Particulate matter 2.5)는 입자크기가 2.5㎛인 미세먼지를 나타낸다.
도 2a는 PM2.5 미세먼지에 의해 자극된 피부 세포에서 변화한 IL-36G 유전자의 발현량이 차나무 뿌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정상 수준으로 되돌아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PM2.5 미세먼지에 의해 자극된 피부 세포에서 변화한 S100A7 유전자의 발현량이 차나무 뿌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정상 수준으로 되돌아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PM2.5 미세먼지에 의해 자극된 피부 세포에서 변화한 S100A8 유전자의 발현량이 차나무 뿌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정상 수준으로 되돌아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d는 PM2.5 미세먼지에 의해 자극된 피부 세포에서 변화한 XDH 유전자의 발현량이 차나무 뿌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정상 수준으로 되돌아감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녹뿌1"은 차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실시예 1)을 1 ppm 처리한 것, "녹뿌5"는 차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실시예 1)을 5 ppm 처리한 것, "녹사1"은 차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실시예 2)을 1 ppm 처리한 것, "녹사5"는 차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실시예 2)을 5 ppm 처리한 것, "NT"는 미세먼지 처리하지 않은 것, "cont1" 및 "cont2"는 각각의 대조군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차나무(Camellia
sinensis)는 차나무과(the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식물로서 열대, 아열대, 온대지방에 분포되고 차나무의 주요성분으로는 카테킨, 사포닌, 카페인, 아미노산,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이 있으며, 이들 화학성분들은 여러 가지 생리활성과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오늘날 건강에 기여하는 생리활성물질로서 활발한 연구가 되고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사포닌을 포함하는 추출물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사포닌을 30 내지 7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사포닌을 5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사포닌이 상기 함량 범위인 경우, 차나무 뿌리 추출물에 의한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케어 효과, 피부장벽 강화 효과, 및 항노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였다.
구체적으로, 30 중량% 이상, 31 중량% 이상, 32 중량% 이상, 33 중량% 이상, 34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36 중량% 이상, 37 중량% 이상, 38 중량% 이상, 39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41 중량% 이상, 42 중량% 이상, 43 중량% 이상, 44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46 중량% 이상, 47 중량% 이상, 48 중량% 이상, 49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51 중량% 이상, 52 중량% 이상, 53 중량% 이상, 54 중량% 이상, 또는 55 중량% 이상일 수 있고, 70 중량% 이하, 69 중량% 이하, 68 중량% 이하, 67 중량% 이하, 66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64 중량% 이하, 63 중량% 이하, 62 중량% 이하, 61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59 중량% 이하, 58 중량% 이하, 57 중량% 이하, 56 중량% 이하, 또는 55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차나무 뿌리는 특정 추출용매로 추출되어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차나무 뿌리를 물 또는 유기용매인 1차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추출용매는 물, C1 -C6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은 물, C1 - C6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및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극성 용매 및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을 포함하는 저극성 용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50 - 90%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60 - 80% 또는 65 - 75%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용매가 50 - 90%의 에탄올 수용액인 경우, 차나무 뿌리에서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매는 약 70%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상기 1차 추출용매로 추출하고, 2차 추출용매로 분획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차 추출용매는 무수 또는 함수 부탄올 일 수 있다. 상기 분획을 통하여 추출물에 포함된 특정 성분의 함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에 포함된 사포닌의 함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추출용매로 추출한 차나무 뿌리 추출물보다 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2차 추출용매로 분획한 추출물의 사포닌 함량은 전체 추출물의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14 중량% 이상, 또는 15 중량% 이상 더 증가된 것일 수 있고, 5-15 중량% 더 증가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70% 에탄올을 1차 추출용매로 추출하고 부탄올을 2차 추출용매로 분획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70% 에탄올을 1차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한 차나무 뿌리 추출물의 사포닌 함량은 전체 추출물 중량에 대하여 약 55.8 중량%일 수 있고, 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부탄올을 2차 추출 용매로 하여 분획한 추출물의 사포닌 함량은 전체 추출물 중량에 대하여 약 67.6 중량%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획을 통하여 추출물의 사포닌 함량은 약 11.8 중량%가 증가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로 추출된 이후에, 여과, 농축, 분리 또는 건조 과정 중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거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1회 이상의 여과 과정을 거친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에서 적정 온도로, 구체적으로 약 50 ℃의 온도로 감압 농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1 내지 4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0001 내지 40중량%인 경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한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케어 효과, 피부장벽 강화 효과, 및 항노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였다.
구체적으로, 0.0000001 중량% 이상, 0.0000005 중량% 이상, 0.0000007 중량% 이상, 0.0000009 중량% 이상, 0.000001 중량% 이상, 0.000002 중량% 이상, 0.000004 중량% 이상, 0.000006 중량% 이상, 0.000008 중량% 이상, 0.00001 중량% 이상, 0.00003 중량% 이상, 0.00005 중량% 이상, 0.00007 중량% 이상, 0.00009 중량% 이상, 0.0001 중량% 이상, 0.0003 중량% 이상, 0.0005 중량% 이상, 0.0007 중량% 이상, 0.0009 중량% 이상, 0.001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17 중량% 이상, 19 중량% 이상, 21 중량% 이상, 23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27 중량% 이상, 29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1 중량% 이상, 32 중량% 이상, 33 중량% 이상, 34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36 중량% 이상, 37 중량% 이상, 38 중량% 이상, 또는 39 중량% 이상 일 수 있고, 40 중량% 이하, 39 중량% 이하, 38 중량% 이하, 37 중량% 이하, 36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4 중량% 이하, 33 중량% 이하, 32 중량% 이하, 31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9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6 중량% 이하, 24 중량% 이하, 22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 0.09 중량% 이하, 0.04 중량% 이하, 0.01 중량% 이하, 0.006 중량% 이하, 0.001 중량% 이하, 0.0009 중량% 이하, 0.0007 중량% 이하, 0.00005 중량% 이하, 0.00003 중량% 이하, 0.00001 중량% 이하, 0.000009 중량% 이하, 0.000007 중량% 이하, 0.000005 중량% 이하, 0.000003 중량% 이하, 0.000001 중량% 이하, 0.0000009 중량% 이하, 0.0000007 중량% 이하, 0.0000005 중량% 이하, 0.0000003 중량% 이하, 0.0000002 중량% 이하, 0.0000001 중량% 이하, 또는 0.00000009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조성물의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케어 용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미세먼지"라 함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물질로 대기 중에 오랫동안 떠다니거나 흩날리는 입자상의 물질로서, 입경 10μm 이하의 물질을 말한다. 특히 입경이 2.5μm 이하인 입자상의 물질은 "초미세먼지"라 하는데, 본원발명에서 "미세먼지"는 "초미세먼지"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케어"라 함은, 자극으로부터 피부 세포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상기 자극에 의하여 특정 유전자의 발현량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 방지 또는 복구(복원) 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대상의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케어를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차나무 뿌리 추출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케어를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차나무 뿌리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케어를 위한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미세먼지에 의해 손상된 피부 세포에서 특정 유전자의 발현량을 정상 수준으로 조절함으로써,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의 손상을 억제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미세먼지에 의해 발현량이 영향을 받는 피부 세포 내 유전자로는 IL-36G(NM_019618), S100A7(NM_002963), S100A8(NM_002964), 및 XDH(NM_000379) 등을 포함한다. 상기 IL-36G(NM_019618), S100A7(NM_002963), S100A8(NM_002964), 및 XDH(NM_000379)는 미세먼지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하는 유전자이므로, 이들 유전자의 발현량을 억제하여 정상 수준으로 조절함으로써 피부 세포의 손상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세먼지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되는 유전자는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표 1]은 미세먼지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되는 유전자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들 표에서 Name은 NCBI의 genebank accession ID를 의미하는 것이고, Gene Symbol은 공식 유전자 심볼을 의미하며, Gene title은 각 유전자의 이름을 의미한다. 이러한 내용은 비특허문헌 1에 기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증가유전자 | ||
Name | GeneSymbol | Gene title |
NM_002963 | S100A7 | S100 calcium binding protein A7 |
NM_032563 | LCE3D | late cornified envelope 3D |
NM_019618 | IL36G | interleukin 36, gamma |
NM_000576 | IL1B | interleukin 1, beta |
NM_000575 | IL1A | interleukin 1, alpha |
NM_000963 | PTGS2 | Cyclooxygenase-2 (COX-2) |
NM_000379 | XDH | xanthine dehydrogenase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장벽 강화 용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대상의 피부장벽 강화를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차나무 뿌리 추출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피부장벽 강화를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차나무 뿌리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피부장벽 강화를 위한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피부장벽 약화를 일으키는 자극에 의해 손상된 피부 세포에서 특정 유전자의 발현량을 정상 수준으로 조절함으로써, 피부장벽을 강화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피부장벽 약화를 일으키는 자극에 의해 발현량이 영향을 받는 피부 세포 내 유전자로는 IL-36G(NM_019618), S100A7(NM_002963) 및 S100A8(NM_002964) 등을 포함한다. 상기 IL-36G(NM_019618), S100A7(NM_002963) 및 S100A8(NM_002964)는 피부장벽 약화를 일으키는 자극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하는 유전자이므로, 이들 유전자의 발현량을 억제하여 정상 수준으로 조절함으로써 피부장벽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부장벽 약화를 일으키는 자극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되는 유전자는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표에서 Name은 NCBI의 genebank accession ID를 의미하는 것이고, Gene Symbol은 공식 유전자 심볼을 의미하며, Gene title은 각 유전자의 이름을 의미한다.
증가유전자 | ||
Name | GeneSymbol | Gene title |
NM_019618 | IL36G | interleukin 36, gamma |
NM_002963 | S100A7 | S100 calcium binding protein A7 |
NM_002964 | S100A8 | S100 calcium binding protein A8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노화 용도 또는 항염 용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일 수 있고,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대상의 항노화 또는 항염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차나무 뿌리 추출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항노화 또는 항염을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차나무 뿌리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항노화 또는 항염을 위한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염증 또는 노화 자극에 의해 손상된 피부 세포에서 특정 유전자의 발현량을 정상 수준으로 조절함으로써, 염증 또는 노화를 억제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염증 또는 노화 자극에 의해 발현량이 영향을 받는 피부 세포 내 유전자는 XDH(NM_00037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DH(NM_000379)는 염증 또는 노화 자극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하는 유전자이므로, 이들 유전자의 발현량을 억제하여 정상 수준으로 조절함으로써 피부 세포의 염증 또는 노화를 억제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염증 또는 노화 자극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되는 유전자는 [표 3]에 제시되어 있다. 표에서 Name은 NCBI의 genebank accession ID를 의미하는 것이고, Gene Symbol은 공식 유전자 심볼을 의미하며, Gene title은 유전자의 이름을 의미한다.
증가유전자 | ||
Name | GeneSymbol | Gene title |
NM_000379 | XDH | xanthine dehydrogenase |
상기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량 분석은 마이크로어레이, PCR, NGS(Nest Generation Sequencing; 차세대 염기서열분석), 웨스턴 블럿, 노던 블럿, ELISA, 방사선 면역 분석, 방사 면역 확산법,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될 수 있다.
미세먼지에 의해 피부 세포의 손상이 일어나며, 이 때 염증이 유도되어 다시 피부 세포의 손상이 추가로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피부 세포 손상의 악순환을 차나무 뿌리 추출물이 케어함으로써 피부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고,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컨대, 각종 크림, 로션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 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미용액 등이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첨가된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즉,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는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젤, 파우더,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패취, 미용액,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클렌징워터,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샴푸, 린스, 바디세정제, 비누, 염모제, 분무제 등과 같은 제형을 들 수 있다.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제형으로는, 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캡슐, 산제 또는 시럽 등의 경구제, 또는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 등의 외용제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의해 투여되는 유효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증상의 중증도, 선택된 투여 경로,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상태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0.0001mg/kg/일 내지 3000mg/kg/일, 예를 들어 10 mg/kg/일 내지 500mg/kg/일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건강 기능식품 조성물에서, 건강식품은, 일상 식사에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나 성분(기능성원료)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인체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거나 생리기능 활성화를 통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식품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식품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가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법률에 따라 어떤 형태로든지 제조, 가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건강 기능식품 조성물에 의해 투여되는 유효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증상의 중증도, 선택된 투여 경로,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상태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0.0001mg/kg/일 내지 1000mg/kg/일, 예를 들어 0.02 mg/kg/일 내지 6mg/kg/일 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차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제주 오설록 목장에서 입수한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뿌리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세말화하여 얻어진 차나무 뿌리 가루 100g을 70% 에탄올 수용액 1L에 넣고 상온에서 12시간 이상 교반하여 추출한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50℃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차나무 뿌리 70% 에탄올 추출물(건조중량 21.05g)을 얻었다. 상기 과정으로 얻은 차뿌리 70% 에탄올 추출물의 사포닌 함량은 추출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55.8 중량% 였다.
[
실시예
2] 차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 10g을 증류수 200mL에 녹여 1L들이 분액 깔대기에 넣은 후, 부탄올 200mL를 가하고 흔들어서 잘 섞어준 다음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되면 상층(부탄올 층)을 취하였다. 하층(물 층)은 분액 깔대기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을 두 번 더 반복하여 추출한다. 각각의 추출 과정에서 분리된 상층을 모두 합한 뒤,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50℃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차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건조중량 4.83g)을 얻었다. 상기 과정으로 얻은 차나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의 사포닌 함량은 추출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67.6 중량% 였다.
[
실시예
3] 미세먼지
포집
및 추출
미세먼지의 포집은 로우 볼륨 에어 샘플러(Sensidyne, Gillian, Low Volume Air Sampler, FL, U.S.A.)를 이용하였고, Filter pack은 매 측정일 오전 10시 전후에 필터와 디누더를 교체하여 약 24시간 동안 시료를 채취하였다. 28일간 서울의 풍하지역(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소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 종합연구센터 생활관 6층 옥상)에서 매일 미세먼지를 포집하였으며, 측정시간은 진공펌프를 켜면서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진공펌프를 끌 때 타이머의 시간을 기록하였다. 채취 유량은 16.7L/min으로 하여 측정 시작시 유량계(Model 4143, TSI Inc.)로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이 끝날 때 다시 유량을 측정하였다. 필터팩(filter pack)에 들어가는 Teflon 필터는 시료 채취 전과 후에 무게를 측정하였다. Teflon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기 전 24 시간 동안 상대습도 40%의 데시케이터(NIKKO, Japan)에 항량시킨 후 소수점 5자리가 표시되는 전자저울(DVG215CD, Ohaus)에 무게를 두 번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시료를 채취한 후에도 무게를 측정하기 전에 데시케이터에서 24시간 항량시킨 후 무게를 두 번 측정하여 채취 전에 측정한 무게와 비교하여 질량농도를 산출하였다. 미세먼지의 추출은 Teflon 필터를 1mL의 에탄올에 적신 후 14mL의 DW를 넣어 필터의 에어로졸 포집면이 수면에 닿도록 한 상태에서 뚜껑을 닫은 후 초음파 세척기로 30분간 초음파를 주어 실행하였다. 여과단계에서 수분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건조기(decicator)에서 48시간 동안 필터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후, 0.1mg까지 측정할 수 있는 초정밀저울계(Mettler Toledo Company 社)를 이용하여 필터의 무게를 칭량하여 필터의 추출 전, 후 무게를 칭량하였다.
[
실시예
4] (정상사람)
각질형성세포주의
배양
(정상사람)각질형성세포주(Human normal epidermal keratinocytes)는 론자 社(Lonza, Inc. 미국 메릴랜드주 워커스빌 소재)에서 구입하여 계대배양한 후 CO2 배양기(CO2 incubator)에서 37℃,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은 론자 社의 지침서에 따랐다. 500ml의 KBM-2(KBMTM-2, CC-3103) 배지에 KGM-2 불렛 키트 CC-4152(KGM TM-2 Bullet kit, CC-4152)(성분: BPE(Bovine pituitary extract)), 인간표피 성장인자(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hEGF), 인슐린(Insulin),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트랜스페린(Transferrin), 에피네프린(Epinephrine), 및 젠타마이신 설페이트 + 암포페리신-B(Gentamycin Suflate + Amphofericin-B: GA-1000))를 첨가한 KGM-2 불렛키트 CC-3107(KGM TM-2 Bullet Kit, CC-3107)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5] (정상사람)
각질형성세포주에
미세먼지의 처리 및 세포독성 측정
미세먼지 처리를 통한 세포독성 여부 확인을 위하여, Mossman 등(J.Immunol. Methods, 65, 55-63, 1983)의 방법으로 (정상사람)각질형성세포주를 이용한 MTT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24-웰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상기 실시예 2의 채취하여 얻은 직경이 2.5㎛인 미세먼지를 정제수에 분산시켜서 미세먼지 분산액을 제조한 다음, 실시예 3의 세포배양조건으로 2.5 Х 105 웰 세포수인 조건에서 배양한 세포에 상기 미세먼지 분산액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3-4,5-dimethylthiazol-2,5-diphenyltetra zolium bromide) 5㎎/㎖을 혼합하여 37℃에서 3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이 후 배지를 제거하고 형성된 포르마잔 크리스탈(formazan crystal)을 DMSO 500㎕에 용해하였다. 그 용해물을 96-웰 플레이트로 옮겨 분주(aliquot)하고 흡광도 540nm에서 OD값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포주에서 2.5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를 분산시킨 분산액에 의한 세포독성에 대하여 80% 생존율을 보이는 농도(IC20)값은 2.5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 수용성 추출액의 경우 12.5㎍/㎖ 이었다.
[
실시예
6]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통한 미세먼지의 세포 유전자 변화 확인
RNA-염기서열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위해, Trapnell et al.(2012)에 의해 개발된 일반적인 분석 단계를 참조하였다. FastQC(http://www.bioinformatics.babraham.ac.uk/projects/fastqc/)를 사용하여 RNA-seq 데이터 품질을 확인하였고, FASTX(http://hannonlab.cshl.edu/fastx_toolkit/)를 사용하여, 정확도가 떨어지는 베이스 및 어탭터 서열을 제거하였다. 이후 Tophat(Trapnell et al., 2009)과 인간 유전체(hg19)를 사용하여 얼라인먼트를 수행하였고, 각 샘플의 데이터량을 RSeQC로 재명명된 EVER-seq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Wang et al., 2012). 또한, Cufflinks를 사용하여 전사체(transcript)의 발현 수준을 정량하였고, 미세먼지 분산액 처리 샘플과 정상 샘플의 사이에서 전사 수준을 비교하였다(Trapnell et al., 2010). FDR adjusted p-value<0.05로, ≥2.0 fold-change의 엄격한 컷오프를 적용하여, 직경이 2.5㎛인 미세먼지의 분산액의 처리시 유의미한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유전자를 결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2a] 내지 [도 2d]에 나타나 있다.
[
실시예
7] 실시간 RT-
PCR
정량
실시예 3에서 추출한 직경이 2.5㎛인 미세먼지를 실시예 4에서 배양한 인간정상각질피부세포에 세포배양배지 1ml에 12.5㎍의 양으로 처리하고, 하기 표 3에 나타낸 유전자의 프라미어(applied biosystems TaqMan® Primers)로 상대적 mRNA 발현양을 측정하였다. 차나무 뿌리 추출물 및 부탄올 분획물은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증가유전자 | ||
Name | GeneSymbol | TaqMan® 프라이머 |
NM_019618 | IL36G | Hs00219742_m1 |
NM_002963 | S100A7 | Hs00161488_m1 |
NM_002964 | S100A8 | Hs00374263_m1 |
NM_000379 | XDH | Hs00166010_m1 |
배지에 차나무 뿌리 추출물 및 차나무 뿌리 사포닌 추출물을 각각 1 ppm 및 5 ppm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경과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2ml의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포를 세척한 다음, 트리졸 시약(Trizol reagent,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여 세포 내의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를 키아젠사의 RNA 키트(QIAGEN RNeasy kt, QIAGEN, Valencia, CA)로 한번 더 정제한 후, 애질런트 社의 바이오어낼라이저 2100 모델 기기(Agilent 2100 BioAnalyzer,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를 사용하여 RNA의 질(quality)을 확인하였다. 인비트로젠사의 역전사키트(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RT) kit, Invitrogen, Carlsbad, CA)를 이용하여 상기 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였고, 이를 상기 [표 3]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실시간 역전사 중합 효소 연쇄반응(Q-RT-PCR: real time-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유전자의 발현 패턴 변화를 어플라이드바이오시스템사의 택맨 유전자 발현 시스템(TaqMan gene expression assay kit,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을 이용하여 세포의 유전자 변화를 실시간 PCR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이용한 Q-RT-PCR과 실시간 PCR은 모두 라이프테크놀로지에서 배포하는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서 실행하였으며, 구체적으로 95℃에서 20초 동안 처리한 후, 95℃에서 3초 및 60℃에서 30초를 처리하는 공정을 40주기 진행하였다.
[도 2a] 내지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먼지에 의해 자극된 피부 세포에서 발현량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유전자가 존재하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하여 인터류킨 36 감마(IL-36G), S100 칼슘 바인딩 프로틴 A7(S100A7), S100 칼슘 바인딩 프로틴 A8(S100A8), 잔틴 탈수소효소(XDH) 유전자의 발현량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자극으로부터 피부 세포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상기 자극에 의하여 전술한 특정 유전자의 발현량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여, 정상 수준의 발현량을 갖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피부장벽 약화를 일으키는 자극으로 인한 피부 세포 손상으로부터 피부 세포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상기 피부장벽 약화를 일으키는 자극에 의하여 전술한 특정 유전자의 발현량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여, 정상 수준의 발현량을 갖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염증 또는 노화 자극으로 인한 피부 세포 손상으로부터 피부 세포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상기 염증 또는 노화 자극에 의하여 전술한 특정 유전자의 발현량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여, 정상 수준의 발현량을 갖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
제형예
1] 정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차나무 뿌리 추출물 100mg, 락토오스 400mg, 옥수수 전분 40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 함량(mg) |
차나무 뿌리 추출물 | 100 |
락토오스 | 400 |
옥수수 전분 | 4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 2 |
[
제형예
2]
캡슐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차나무 뿌리 추출물 100mg, 락토오스 400mg, 옥수수 전분 40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 함량(mg) |
차나무 뿌리 추출물 | 100 |
락토오스 | 400 |
옥수수 전분 | 4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 2 |
[
제형예
3] 과립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차나무 뿌리 추출물 50mg, 무수결정 포도당 250mg 및 전분 55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배합성분 | 함량(mg) |
차나무 뿌리 추출물 | 50 |
무수결정 포도당 | 250 |
전분 | 550 |
[
제형예
4] 비누
배합성분 | 함량(%) |
차나무 뿌리 추출물 | 5.00 |
유지 | 적량 |
수산화나트륨 | 적량 |
염화나트륨 | 적량 |
향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
제형예
5] 로션
배합성분 | 함량(%) |
차나무 뿌리 추출물 | 5.00 |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 1.00 |
수용성 콜라겐 (1 % 수용액) | 1.00 |
시트르산나트륨 | 0.10 |
시트르산 | 0.05 |
감초 엑기스 | 0.20 |
1,3-부틸렌글리콜 | 3.00 |
정제수 | 잔량 |
[
제형예
6] 크림
배합성분 | 함량(%) |
차나무 뿌리 추출물 | 3.00 |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알레이트 | 2.00 |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 5.00 |
세틸알코올 | 4.00 |
스쿠알렌 | 6.00 |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 6.00 |
스핑고당지질 | 1.00 |
1.3-부틸렌글리콜 | 7.00 |
정제수 | 잔량 |
[
제형예
7] 연고
배합성분 | 함량(%) |
차나무 뿌리 추출물 | 5.00 |
폴리비닐알코올 | 13.00 |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 1.00 |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 1.00 |
수용성 콜라겐 (1 % 수용액) | 2.00 |
1,3-부틸렌글리콜 | 3.00 |
에탄올 | 5.00 |
정제수 | 잔량 |
[
제형예
8] 미용액 제조
배합성분 | 함량(%) |
차나무 뿌리 추출물 | 3.00 |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2 % 수용액) | 12.00 |
크산탄검(2 % 수용액) | 2.00 |
1,3-부틸렌글리콜 | 6.00 |
진한 글리세린 | 4.00 |
히알루론산나트륨 (1 % 수용액) | 2.00 |
정제수 | 잔량 |
[
제형예
9] 건강식품
배합 성분 | 함량 |
차나무 뿌리 추출물 | 2mg |
비타민 A 아세테이트 | 70μg |
비타민 E | 1.0mg |
비타민 B1 | 0.13mg |
비타민 B2 | 0.15mg |
비타민 B6 | 0.5mg |
비타민 B12 | 0.2μg |
비타민 C | 10mg |
비오틴 | 10μg |
니코틴산아미드 | 1.7mg |
엽산 | 50μg |
판토텐산 칼슘 | 0.5mg |
황산 제1철 | 1.75mg |
산화아연 | 0.82mg |
탄산마그네슘 | 25.3mg |
제1인산칼륨 | 15mg |
제2인산칼슘 | 55mg |
구연산칼륨 | 90mg |
탄산칼슘 | 100mg |
염화마그네슘 | 24.8mg |
[
제형예
10] 건강음료
배합성분 | 함량 |
차나무 뿌리 추출물 | 50mg |
구연산 | 1000mg |
올리고당 | 100 g |
타우린 | 1g |
정제수 | 잔량 |
Claims (18)
-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케어용 조성물.
-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사포닌을 포함하는 추출물인, 조성물.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사포닌을 30 내지 70 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물, C1 - C6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1차 추출용매로 추출되고, 무수 또는 함수 부탄올인 2차 추출용매로 분획된 것인, 조성물.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무수 또는 함수 에탄올로 1차 추출되고, 무수 또는 함수 부탄올로 2차 분획된 것인,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01 내지 40중량%로 포함된,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IL-36G(NM_019618), S100A7(NM_002963), S100A8(NM_002964), 및 XDH(NM_000379)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현을 억제하는, 조성물.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IL-36G(NM_019618), S100A7(NM_002963) 및 S100A8(NM_00296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현을 억제하는, 조성물.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XDH(NM_000379)의 발현을 억제하는,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에 적용되는,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미세먼지는 입자크기가 PM 2.5 이하인,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차나무 뿌리 추출물은 10 내지 500 mg/kg/일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인,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건강 기능식품 조성물인,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880087463.2A CN112004519A (zh) | 2017-11-22 | 2018-11-22 | 包含茶树根提取物的用于护理由微尘引起的皮肤细胞损伤、用于增强皮肤屏障的抗老化及抗炎组合物 |
CA3085302A CA3085302A1 (en) | 2017-11-22 | 2018-11-22 | Use of a tea plant root extract for treating fine dust-caused skin cell damage, reinforcing skin barrier, anti-aging, and anti-inflammation |
US16/766,158 US20210038673A1 (en) | 2017-11-22 | 2018-11-22 | Anti-aging and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tea plant root extract for treatment of fine dust-caused skin cell damage and reinforcement of skin barrier |
AU2018370663A AU2018370663A1 (en) | 2017-11-22 | 2018-11-22 | Method for treatment of fine dust-caused skin cell damage, reinforcement of skin barrier, anti-aging, and anti-inflamm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6642A KR102429852B1 (ko) | 2017-11-22 | 2017-11-22 |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
KR1020170156619A KR102429850B1 (ko) | 2017-11-22 | 2017-11-22 |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
KR10-2017-0156631 | 2017-11-22 | ||
KR10-2017-0156642 | 2017-11-22 | ||
KR10-2017-0156619 | 2017-11-22 | ||
KR1020170156631A KR102429851B1 (ko) | 2017-11-22 | 2017-11-22 |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03486A2 true WO2019103486A2 (ko) | 2019-05-31 |
WO2019103486A3 WO2019103486A3 (ko) | 2019-07-18 |
Family
ID=6663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8/014447 WO2019103486A2 (ko) | 2017-11-22 | 2018-11-22 |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피부장벽 강화용, 항노화 및 항염 조성물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038673A1 (ko) |
CN (1) | CN112004519A (ko) |
AU (1) | AU2018370663A1 (ko) |
CA (1) | CA3085302A1 (ko) |
WO (1) | WO2019103486A2 (ko)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133203A1 (de) * | 2001-07-07 | 2003-01-16 | Beiersdorf Ag | Catechine oder Extrakte von grünem Tee enthalten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zur Behandlung und aktiven Prävention trockener Haut und anderer negativer Veränderungen der physiologischen Homöostase der gesunden Haut |
JP2006045168A (ja) * | 2004-08-09 | 2006-02-16 | Kao Corp | S100a8発現調節剤 |
KR101914157B1 (ko) * | 2011-08-24 | 2018-12-31 | (주)아모레퍼시픽 |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101824897B1 (ko) * | 2011-09-30 | 2018-02-05 | (주)아모레퍼시픽 |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KR101956155B1 (ko) * | 2011-11-23 | 2019-06-25 | (주)아모레퍼시픽 | 데아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KR20160119703A (ko) * | 2015-04-06 | 2016-10-14 | (주)아모레퍼시픽 |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진단용 조성물 및 갈랑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
-
2018
- 2018-11-22 CN CN201880087463.2A patent/CN112004519A/zh active Pending
- 2018-11-22 CA CA3085302A patent/CA3085302A1/en active Pending
- 2018-11-22 AU AU2018370663A patent/AU2018370663A1/en active Pending
- 2018-11-22 WO PCT/KR2018/014447 patent/WO2019103486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11-22 US US16/766,158 patent/US20210038673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3085302A1 (en) | 2019-05-31 |
US20210038673A1 (en) | 2021-02-11 |
CN112004519A (zh) | 2020-11-27 |
AU2018370663A1 (en) | 2020-07-09 |
WO2019103486A3 (ko) | 2019-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19703A (ko) |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진단용 조성물 및 갈랑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 |
WO2020111674A1 (ko) | 녹차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탈모 케어용 조성물 | |
WO2018026103A1 (ko) |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포 재생용 조성물 | |
WO2012093738A1 (ko) | 항산화용 및 황사에 의한 피부 유해영향 완화용 조성물 | |
KR102164345B1 (ko) |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 |
WO2019103486A2 (ko) |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피부장벽 강화용, 항노화 및 항염 조성물 | |
WO2018190501A1 (ko) |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 |
WO2019059527A1 (ko) | 매화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 |
WO2019004590A1 (ko) | 박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피부장벽 강화용, 및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 |
KR102212626B1 (ko) | 박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 |
KR102164346B1 (ko) |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 |
WO2019066261A1 (ko) |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피부장벽 강화용, 및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 |
WO2016163698A1 (ko) |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진단용 조성물 및 갈랑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 |
KR102429852B1 (ko) |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 |
KR102090133B1 (ko) | 무궁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 |
WO2019078463A1 (ko) |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 |
KR102429851B1 (ko) |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 |
WO2019088421A1 (ko) | 녹차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 |
KR102429850B1 (ko) |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 |
WO2018186724A1 (ko) |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
KR102212627B1 (ko) | 박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 |
KR102152753B1 (ko) |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 |
WO2019066252A2 (ko) | 무궁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또는 항균성 펩티드 저해용 조성물 | |
KR102212625B1 (ko) | 박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 |
WO2014163413A1 (ko) |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명 연장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ENP |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 3085302 Country of ref document: CA |
|
ENP |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 2018370663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81122 Kind code of ref document: A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88806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