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115A -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115A
KR20190038115A KR1020170128174A KR20170128174A KR20190038115A KR 20190038115 A KR20190038115 A KR 20190038115A KR 1020170128174 A KR1020170128174 A KR 1020170128174A KR 20170128174 A KR20170128174 A KR 20170128174A KR 20190038115 A KR20190038115 A KR 20190038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ermented tea
tea extract
aging
inflam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346B1 (ko
Inventor
김형준
황경환
박준성
이태룡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12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346B1/ko
Priority to CN201880077666.3A priority patent/CN111432797B/zh
Priority to CA3077005A priority patent/CA3077005A1/en
Priority to US16/651,878 priority patent/US20200261351A1/en
Priority to AU2018341302A priority patent/AU2018341302B2/en
Priority to PCT/KR2018/009719 priority patent/WO2019066261A1/ko
Publication of KR2019003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발효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산화, 염증 또는 노화를 일으키는 자극원에 의해 발현량이 영향을 받는 피부 세포 내 유전자인 IL-1B(NM_000576), PTGS2(NM_000963) 및 XDH(NM_000379)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현량을 정상 수준으로 조절하는 항산화 조성물, 항노화 조성물 및 항염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항산화 조성물, 항노화 조성물 또는 항염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산화, 염증 또는 노화를 일으키는 자극원에 의해 변화되는 유전자 발현량을 정상 수준으로 되돌려 피부 세포의 손상을 저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tea extract for anti-oxidation, anti-aging or anti-inflammation}
본 명세서에는 항산화, 항노화 및 항염 조성물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 정상 상태의 피부 세포와 비교하여 노화 및 염증에 의해 발현 정도가 변화되는 피부 세포 유전자인 바이오마커 등을 유의미하게 변화시켜서 피부 세포의 산화, 노화 및 염증을 저하시키는,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된다.
요즘과 같이 환경의 변화나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 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염증 및 피부 노화 등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받는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 자외선 및 스트레스 등은 피부의 정상기능을 저하시키고 탄력손실, 각질화, 주름생성, 염증 등의 현상을 촉진시키게 되는데, 특히 자외선, 황사 또는 먼지가 산화의 자극원, 노화의 자극원 또는 염증의 자극원이 되고 있다.
인터류킨 1 은 노화관련분비표현형(senescence-associated secretory phenotype, SASP)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특히, 인터류킨 1b(IL-1b)는 대표적인 노화 마커로 세포 노화(Cellular senescence)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 참조). IL-1b 및 PTGS2는 피부 염증에 관여하고, XDH는 자극원에 장기간 노출된 경우에 유발된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나타내고, 그 결과 외인성 피부노화를 나타내는 지표라는 점도 알려졌다(비특허문헌 2 참조). 또한, 피부 염증 관련하여 PTGS2(=COX-2)가 자극원에 노출된 피부 세포에서 발현량이 향상된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으며(비특허문헌 3 참조), XDH(xanthine dehydrogenase)는 피부의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나타내는 지표로, 피부 노화에 관여하는 것도 역시 알려져 있다. 상기 문헌들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통합된다.
Jean-Philippe Coppe, et al, "The Senescence-Associated Secretory Phenotype: The Dark Side of Tumor Suppression", Annual Review of Pathology: Mechanisms of Disease, volume 5, 2010. Kim, H.J., et al, "Transcriptome analysis of airborne PM2.5-induced detrimental effects on human keratinocytes", Toxicology Letters 273, 26-35, 2017. Natalia D Magnani, et al, "Skin Damage Mechanisms Related to Airborne Particulate Matter Exposure", toxicological sciences, 149(1), 2016, 227-236.
이에 본 발명자는 산화, 염증 또는 노화를 일으키는 자극원이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에 의하여 피부 세포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피부 세포 산화, 노화 및 염증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발견하다.
따라서,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항산화 조성물, 항노화 조성물 및 항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발효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산화, 염증 또는 노화를 일으키는 자극원에 의해 발현량이 영향을 받는 피부 세포 내 유전자인 IL-1B(NM_000576), PTGS2(NM_000963) 및 XDH(NM_000379)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현량을 정상 수준으로 조절하는 항산화 조성물, 항노화 조성물 및 항염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항산화 조성물, 항노화 조성물 및 항염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염증 또는 노화 자극에 의해 변화되는 유전자 발현량을 정상 수준으로 되돌려 피부 세포의 손상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은 자극원 처리에 의한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며, 여기에서 ADSP는 아시아 먼지 바람 입자(Asian dust storm particle)로서 황사를 나타내고, PM10(Particulate matter 10)은 입자크기가 10㎛인 미세먼지를 나타내며, PM2.5(Particulate matter 2.5)는 입자크기가 2.5㎛인 미세먼지를 나타낸다.
도 2a는 산화, 염증 또는 노화를 일으키는 자극이 가해진 피부 세포 내에서 IL-1B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발효차의 처리에 의해 정상 수준으로 되돌아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산화, 염증 또는 노화를 일으키는 자극이 가해진 피부 세포 내에서 PTGS2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발효차의 처리에 의해 정상 수준으로 되돌아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산화, 염증 또는 노화를 일으키는 자극이 가해진 피부 세포 내에서 XDH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발효차의 처리에 의해 정상 수준으로 되돌아감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High Resolution LC-MS)을 통하여 발효차 성분을 분석한 결과로서, 각각 원료 TIC, 원료 내 퀴닉 에씨드, 퀴닉 에씨드 표준품의 크로마토그램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발효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발효차"라 함은, 발효된 상태의 차(tea)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후발효차(post-fermented tea)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후발효차”는 적정한 수분과 온도 등의 조건 하에서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 및 숙성시킨 차를 의미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후발효차는 후발효차 자체의 분쇄물, 또는 후발효차의 건조 분쇄물로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발효차는 퀴닉 에씨드(quinic acid)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에서, 상기 차는 녹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차는 녹차를 발효시킨 차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발효차는 발효 및 숙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발효차는 상기 발효차는 내부 효소가 불활성화된 차 잎을 자연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발효차는 특정 추출용매로 추출되어 발효차 추출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상기 발효차 추출물은 발효차를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효차를 물, C1 -C6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발효차 추출물은 상온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발효차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로 추출된 이후에, 여과, 농축, 분리 또는 건조 과정 중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거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발효차 추출물은 1회 이상의 여과 과정을 거친 것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2회의 여과 과정을 거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과정은 원심분리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은 물, C1 - C6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및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극성 용매 및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을 포함하는 저극성 용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50 - 90%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60 - 80% 또는 65 - 75%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용매가 50 - 90%의 에탄올 수용액인 경우, 발효차에서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매는 약 70%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에서 적정 온도로 감압 농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발효차 추출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발효차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1 내지 3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그 함량이 0.000001 내지 30중량%인 경우, 발효차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항노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였다.
구체적으로, 0.0000001 중량% 이상, 0.0000005 중량% 이상, 0.0000007 중량% 이상, 0.0000009 중량% 이상, 0.000001 중량% 이상, 0.000002 중량% 이상, 0.000004 중량% 이상, 0.000006 중량% 이상, 0.000008 중량% 이상, 0.00001 중량% 이상, 0.00003 중량% 이상, 0.00005 중량% 이상, 0.00007 중량% 이상, 0.00009 중량% 이상, 0.0001 중량% 이상, 0.0003 중량% 이상, 0.0005 중량% 이상, 0.0007 중량% 이상, 0.0009 중량% 이상, 0.001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17 중량% 이상, 19 중량% 이상, 21 중량% 이상, 23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27 중량% 이상, 29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1 중량% 이상일 수 있고, 32 중량% 이하, 31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9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6 중량% 이하, 24 중량% 이하, 22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 0.09 중량% 이하, 0.04 중량% 이하, 0.01 중량% 이하, 0.006 중량% 이하, 0.001 중량% 이하, 0.0009 중량% 이하, 0.0007 중량% 이하, 0.00005 중량% 이하, 0.00003 중량% 이하, 0.00001 중량% 이하, 0.000009 중량% 이하, 0.000007 중량% 이하, 0.000005 중량% 이하, 0.000003 중량% 이하, 0.000001 중량% 이하, 0.0000009 중량% 이하, 0.0000007 중량% 이하, 0.0000005 중량% 이하, 0.0000003 중량% 이하, 0.0000002 중량% 이하, 0.0000001 중량% 이하, 0.00000009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산화 용도, 항노화 용도 및 항염 용도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산화, 염증 또는 노화 자극에 의해 손상된 피부 세포에서 특정 유전자의 발현량을 정상 수준으로 조절함으로써, 산화, 염증 또는 노화를 억제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산화, 염증 또는 노화 자극에 의해 발현량이 영향을 받는 피부 세포 내 유전자로는 IL-1B(NM_000576), PTGS2(NM_000963), XDH(NM_000379) 등을 포함한다. 상기 IL-1B(NM_000576), PTGS2(NM_000963), XDH(NM_000379)는 산화, 염증 또는 노화 자극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하는 유전자이므로, 이들 유전자의 발현량을 억제하여 정상 수준으로 조절함으로써 피부 세포의 산화, 염증 또는 노화를 억제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산화, 염증 또는 노화 자극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되는 유전자는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표에서 Name은 NCBI의 genebank accession ID를 의미하는 것이고, Gene Symbol은 공식 유전자 심볼을 의미하며, Gene title은 각 유전자의 이름을 의미한다.
증가유전자
Name Gene
Symbol
Gene title
NM_000576 IL1B interleukin 1, beta
NM_000963 PTGS2 Cyclooxygenase-2 (COX-2)
NM_000379 XDH xanthine dehydrogenase
상기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량 분석은 마이크로어레이, PCR, NGS(Nest Generation Sequencing; 차세대 염기서열분석), 웨스턴 블럿, 노던 블럿, ELISA, 방사선 면역 분석, 방사 면역 확산법,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고,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컨대, 각종 크림, 로션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 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미용액 등이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상기 발효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첨가된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인 화장료는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젤, 파우더,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패취, 미용액,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클렌징워터,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샴푸, 린스, 바디세정제, 비누, 염모제, 분무제 등과 같은 제형을 들 수 있다.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발효차 추출물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인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제형으로는, 상기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캡슐, 산제 또는 시럽 등의 경구제, 또는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 등의 외용제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의해 투여되는 유효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증상의 중증도, 선택된 투여 경로,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상태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0.0001mg/kg/일 내지 3000mg/kg/일, 예를 들어 10 mg/kg/일 내지 500mg/kg/일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건강 기능식품 조성물에서, 건강식품은, 일상 식사에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나 성분(기능성원료)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인체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거나 생리기능 활성화를 통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식품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식품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가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법률에 따라 어떤 형태로든지 제조, 가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건강 기능식품 조성물에 의해 투여되는 유효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증상의 중증도, 선택된 투여 경로,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상태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0.0001mg/kg/일 내지 1000mg/kg/일, 예를 들어 0.02 mg/kg/일 내지 6mg/kg/일 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발효차 제조
1-1 발효 단계
발효차는 건조된 녹차 잎을 두텁게 쌓아서 준비 하였으며, 녹차 잎의 수분함량이 30-50%가 될 수 있도록 고온 다습한 환경을 만들어 주어 자연 발효 시켰다. 준비된 녹차 잎은 45℃의 온도에서 6주간 발효하였다.
1-2 숙성 단계
1-1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차를 제주 옹기에 담아 50일간 숙성시켜서 발효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발효차의 성분 분석
써모 社(Thermo)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Q Exactive High Resolution LC-MS)를 통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발효차 성분을 분석하였다. 도 3의 크로마토그램에서 알 수 있듯이, 퀴닉애시드 표준품은 0.65분에서 검출되었고 이론상 음이온 모드(negative ion mode)에서 m/z 191.05556의 값을 갖는다. 발효차의 음이온 모드 TIC(negative ion mode TIC)에서 분자량 191.05400에서 191.05650의 범위로 이온 추출(ion extraction) 하였을 때 표준품과 동일한 RT 0.65분에서 피크가 검출되었다. 해당 피크는 191.05505의 m/z 값을 나타냈으며 이는 퀴닉애시드의 이론상 m/z 191.05556과 error ppm 2.6 내 값으로 소수점 넷째자리까지 동일한 분자량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원료 내 0.65분 피크는 퀴닉애시드로 동정 할 수 있다.
[실시예 3] 발효차 추출물 제조
실시예 1의 발효차를 정제수와 에탄올을 3:7의 비율로 혼합한 추출용매, 즉 7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하여 상온 추출하였다. 상온 추출 후 1차 여과를 하여 추출물에 포함된 고형상의 재료를 제거하였고, 그런 뒤 추출물을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한 후 이를 분리 및 정제하였다. 그리고 원심분리 및 2차 여과 후 건조하여 발효차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산화, 노화 및 항염 자극원의 준비
산화, 노화 및 항염 자극원인 미세먼지의 포집은 로우 볼륨 에어 샘플러(Sensidyne, Gillian, Low Volume Air Sampler, FL, U.S.A.)를 이용하였고, Filter pack은 매 측정일 오전 10시 전후에 필터와 디누더를 교체하여 약 24시간 동안 시료를 채취하였다. 28일간 서울의 풍하지역(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소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 종합연구센터 생활관 6층 옥상)에서 매일 미세먼지를 포집하였으며, 측정시간은 진공펌프를 켜면서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진공펌프를 끌 때 타이머의 시간을 기록하였다. 채취 유량은 16.7L/min으로 하여 측정 시작시 유량계(Model 4143, TSI Inc.)로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이 끝날 때 다시 유량을 측정하였다. 필터팩(filter pack)에 들어가는 Teflon 필터는 시료 채취 전과 후에 무게를 측정하였다. Teflon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기 전 24 시간 동안 상대습도 40%의 데시케이터(NIKKO, Japan)에 항량시킨 후 소수점 5자리가 표시되는 전자저울(DVG215CD, Ohaus)에 무게를 두 번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시료를 채취한 후에도 무게를 측정하기 전에 데시케이터에서 24시간 항량시킨 후 무게를 두 번 측정하여 채취 전에 측정한 무게와 비교하여 질량농도를 산출하였다. 미세먼지의 추출은 Teflon 필터를 1mL의 에탄올에 적신 후 14mL의 DW를 넣어 필터의 에어로졸 포집면이 수면에 닿도록 한 상태에서 뚜껑을 닫은 후 초음파 세척기로 30분간 초음파를 주어 실행하였다. 여과단계에서 수분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건조기(decicator)에서 48시간 동안 필터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후, 0.1mg까지 측정할 수 있는 초정밀저울계(Mettler Toledo Company 社)를 이용하여 필터의 무게를 칭량하여 필터의 추출 전, 후 무게를 칭량하였다.
[실시예 5] (정상사람)각질형성세포주의 배양
(정상사람)각질형성세포주(Human normal epidermal keratinocytes)는 론자 社(Lonza, Inc. 미국 메릴랜드주 워커스빌 소재)에서 구입하여 계대배양한 후 CO2 배양기(CO2 incubator)에서 37℃,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은 론자 社의 지침서에 따랐다. 500ml의 KBM-2(KBMTM-2, CC-3103) 배지에 KGM-2 불렛 키트 CC-4152(KGM TM-2 Bullet kit, CC-4152)(성분: BPE(Bovine pituitary extract)), 인간표피 성장인자(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hEGF), 인슐린(Insulin),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트랜스페린(Transferrin), 에피네프린(Epinephrine), 및 젠타마이신 설페이트 + 암포페리신-B(Gentamycin Suflate + Amphofericin-B: GA-1000))를 첨가한 KGM-2 불렛키트 CC-3107(KGM TM-2 Bullet Kit, CC-3107)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 (정상사람)각질형성세포주에 자극원의 처리 및 세포독성 측정
자극원 처리를 통한 세포독성 여부 확인을 위하여, Mossman 등(J.Immunol. Methods, 65, 55-63, 1983)의 방법으로 (정상사람)각질형성세포주를 이용한 MTT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24-웰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상기 실시예 4의 채취하여 얻은 직경이 2.5㎛인 미세먼지를 정제수에 분산시켜서 미세먼지 분산액을 제조한 다음, 실시예 5의 세포배양조건으로 2.5 × 105 웰 세포수인 조건에서 배양한 세포에 상기 미세먼지 분산액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3-4,5-dimethylthiazol-2,5-diphenyltetra zolium bromide) 5㎎/㎖을 혼합하여 37℃에서 3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이 후 배지를 제거하고 형성된 포르마잔 크리스탈(formazan crystal)을 DMSO 500㎕에 용해하였다. 그 용해물을 96-웰 플레이트로 옮겨 분주(aliquot)하고 흡광도 540nm에서 OD값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포주에서 2.5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를 분산시킨 분산액에 의한 세포독성에 대하여 80% 생존율을 보이는 농도(IC20)값은 2.5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 수용성 추출액의 경우 12.5㎍/㎖ 이었다.
[실시예 7]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통한 미세먼지의 세포 유전자 변화 확인
RNA-염기서열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위해, Trapnell et al.(2012)에 의해 개발된 일반적인 분석 단계를 참조하였다. FastQC(http://www.bioinformatics.babraham.ac.uk/projects/fastqc/)를 사용하여 RNA-seq 데이터 품질을 확인하였고, FASTX(http://hannonlab.cshl.edu/fastx_toolkit/)를 사용하여, 정확도가 떨어지는 베이스 및 어탭터 서열을 제거하였다. 이후 Tophat(Trapnell et al., 2009)과 인간 유전체(hg19)를 사용하여 얼라인먼트를 수행하였고, 각 샘플의 데이터량을 RSeQC로 재명명된 EVER-seq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Wang et al., 2012). 또한, Cufflinks를 사용하여 전사체(transcript)의 발현 수준을 정량하였고, 미세먼지 분산액 처리 샘플과 정상 샘플의 사이에서 전사 수준을 비교하였다(Trapnell et al., 2010). FDR adjusted p-value<0.05로, ≥2.0 fold-change의 엄격한 컷오프를 적용하여, 직경이 2.5㎛인 미세먼지의 분산액의 처리시 유의미한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유전자를 결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나 있다.
증가유전자
Name Gene
Symbol
배수 변화량
NM_000576 IL1B 10.7
NM_000963 PTGS2 3.7
NM_000379 XDH 2.4
[실시예 8] 실시간 RT-PCR 정량
실시예 4에서 추출한 직경이 2.5㎛인 미세먼지를 실시예 5에서 배양한 인간정상각질피부세포에 세포배양배지 1ml에 12.5㎍의 양으로 처리하고, 하기 표 3에 나타낸 유전자의 프라미어(applied biosystems TaqMan® Primers)로 상대적 mRNA 발현양을 측정하였다. 발효차 추출물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증가유전자
Name Gene
Symbol
TaqMan® 프라이머
NM_000576 IL1B Hs01555410_m1
NM_000963 PTGS2 Hs00153133_m1
NM_000379 XDH Hs00166010_m1
배지에 발효차 추출물을 20 ppm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경과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2ml의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포를 세척한 다음, 트리졸 시약(Trizol reagent,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여 세포 내의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를 키아젠사의 RNA 키트(QIAGEN RNeasy kt, QIAGEN, Valencia, CA)로 한번 더 정제한 후, 애질런트 社의 바이오어낼라이저 2100 모델 기기(Agilent 2100 BioAnalyzer,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를 사용하여 RNA의 질(quality)을 확인하였다. 인비트로젠사의 역전사키트(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RT) kit, Invitrogen, Carlsbad, CA)를 이용하여 상기 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였고, 이를 상기 [표 3]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실시간 역전사 중합 효소 연쇄반응(Q-RT-PCR: real time-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유전자의 발현 패턴 변화를 어플라이드바이오시스템사의 택맨 유전자 발현 시스템(TaqMan gene expression assay kit,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을 이용하여 세포의 유전자 변화를 실시간 PCR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내었다. 이용한 Q-RT-PCR과 실시간 PCR은 모두 라이프테크놀로지에서 배포하는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서 실행하였으며, 구체적으로 95℃에서 20초 동안 처리한 후, 95℃에서 3초 및 60℃에서 30초를 처리하는 공정을 40주기 진행하였다.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먼지에 의해 자극된 피부 세포에서 발현량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유전자가 존재하며, 발효차 추출물의 처리에 의하여 인터류킨 1 베타(IL-1B), 프로스타글라딘-엔도과산화물 합성효소 2(PTGS2), 잔틴 탈수소효소(XDH) 유전자의 발현량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발효차 추출물은 산화, 염증 또는 노화 자극으로 인한 피부 세포 손상으로부터 피부 세포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상기 산화, 염증 또는 노화 자극에 의하여 전술한 특정 유전자의 발현량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여, 정상 수준의 발현량을 갖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정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발효차 추출물 100mg, 락토오스 400mg, 옥수수 전분 40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mg)
발효차 추출물 100
락토오스 400
옥수수 전분 4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제형예 2] 캡슐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발효차 추출물 100mg, 락토오스 400mg, 옥수수 전분 40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mg)
발효차 추출물 100
락토오스 400
옥수수 전분 4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제형예 3] 과립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발효차 추출물 50mg, 무수결정 포도당 250mg 및 전분 55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배합성분 함량(mg)
발효차 추출물 50
무수결정 포도당 250
전분 550
[제형예 4] 비누
배합성분 함량(%)
발효차 추출물 5.00
유지 적량
수산화나트륨 적량
염화나트륨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로션
배합성분 함량(%)
발효차 추출물 5.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감초 엑기스 0.20
1,3-부틸렌글리콜 3.00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크림
배합성분 함량(%)
발효차 추출물 3.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알레이트 2.0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세틸알코올 4.00
스쿠알렌 6.0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6.00
스핑고당지질 1.00
1.3-부틸렌글리콜 7.00
정제수 잔량
[제형예 7] 연고
배합성분 함량(%)
발효차 추출물 5.00
폴리비닐알코올 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수용성 콜라겐 (1 %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5.00
정제수 잔량
[제형예 8] 미용액 제조
배합성분 함량(%)
발효차 추출물 3.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2 % 수용액) 12.00
크산탄검(2 %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진한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 (1 % 수용액) 2.00
정제수 잔량
[제형예 9] 건강식품
배합 성분 함량
발효차 추출물 2mg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μg
비타민 E 1.0mg
비타민 B1 0.13mg
비타민 B2 0.15mg
비타민 B6 0.5mg
비타민 B12 0.2μg
비타민 C 10mg
비오틴 10μg
니코틴산아미드 1.7mg
엽산 50μg
판토텐산 칼슘 0.5mg
황산 제1철 1.75mg
산화아연 0.82mg
탄산마그네슘 25.3mg
제1인산칼륨 15mg
제2인산칼슘 55mg
구연산칼륨 90mg
탄산칼슘 100mg
염화마그네슘 24.8mg
[제형예 10] 건강음료
배합성분 함량
발효차 추출물 50mg
구연산 1000mg
올리고당 100 g
타우린 1g
정제수 잔량

Claims (12)

  1. 발효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2. 발효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3. 발효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차는 내부 효소가 불활성화된 차 잎을 자연 발효시킨 것인,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차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01 내지 30중량%로 포함된,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차 추출물은 물, C1 - C6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인,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L-1B(NM_000576), PTGS2(NM_000963) 및 XDH(NM_000379)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현을 억제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에 적용되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차 추출물은 10 내지 500 mg/kg/일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인,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 기능식품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170128174A 2017-09-29 2017-09-29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KR102164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174A KR102164346B1 (ko) 2017-09-29 2017-09-29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CN201880077666.3A CN111432797B (zh) 2017-09-29 2018-08-23 含有发酵茶提取物的用于护理由微尘引起的皮肤细胞损伤、增强皮肤屏障及抗氧化、抗老化或抗炎的组合物
CA3077005A CA3077005A1 (en) 2017-09-29 2018-08-23 Antioxidizing, antiaging, or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skin barrier and caring for skin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including fermented tea extract
US16/651,878 US20200261351A1 (en) 2017-09-29 2018-08-23 Antioxidizing, antiaging, or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skin barrier and caring for skin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including fermented tea extract
AU2018341302A AU2018341302B2 (en) 2017-09-29 2018-08-23 Antioxidizing, antiaging, or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skin barrier and caring for skin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including fermented tea extract
PCT/KR2018/009719 WO2019066261A1 (ko) 2017-09-29 2018-08-23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피부장벽 강화용, 및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174A KR102164346B1 (ko) 2017-09-29 2017-09-29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115A true KR20190038115A (ko) 2019-04-08
KR102164346B1 KR102164346B1 (ko) 2020-10-13

Family

ID=66164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174A KR102164346B1 (ko) 2017-09-29 2017-09-29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533B1 (ko) * 2020-10-30 2021-09-07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378A (ko) * 2014-03-21 2015-10-02 (주)아모레퍼시픽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378A (ko) * 2014-03-21 2015-10-02 (주)아모레퍼시픽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ean-Philippe Coppe, et al, "The Senescence-Associated Secretory Phenotype: The Dark Side of Tumor Suppression", Annual Review of Pathology: Mechanisms of Disease, volume 5, 2010.
Kim, H.J., et al, "Transcriptome analysis of airborne PM2.5-induced detrimental effects on human keratinocytes", Toxicology Letters 273, 26-35, 2017.
Natalia D Magnani, et al, "Skin Damage Mechanisms Related to Airborne Particulate Matter Exposure", toxicological sciences, 149(1), 2016, 227-23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533B1 (ko) * 2020-10-30 2021-09-07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346B1 (ko)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9703A (ko)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진단용 조성물 및 갈랑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64345B1 (ko)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2164346B1 (ko)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KR102087188B1 (ko) 매화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KR102212626B1 (ko) 박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2090133B1 (ko) 무궁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KR102152753B1 (ko)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KR102212625B1 (ko) 박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KR102212627B1 (ko) 박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KR102429851B1 (ko)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KR102429852B1 (ko)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AU2018341302B2 (en) Antioxidizing, antiaging, or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skin barrier and caring for skin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including fermented tea extract
KR102429850B1 (ko) 차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JP7158426B2 (ja) メンタアルベンシス抽出物を含む微塵による皮膚細胞損傷ケア用、皮膚バリア強化用、及び抗老化又は抗炎症組成物
KR102087189B1 (ko) 무궁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 펩티드 저해용 조성물
US11666620B2 (en) Method for treatment of fine dust-caused skin cell damage, reinforcement of skin barrier, anti-aging, and anti-inflammation
US20200230186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fine dust-caused skin cell damage or for inhibiting antimicrobial peptide, comprising hibiscus syriacus extr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