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03227A1 -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9103227A1 WO2019103227A1 PCT/KR2017/014106 KR2017014106W WO2019103227A1 WO 2019103227 A1 WO2019103227 A1 WO 2019103227A1 KR 2017014106 W KR2017014106 W KR 2017014106W WO 2019103227 A1 WO2019103227 A1 WO 2019103227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artificial blood
- biocompatible material
- mesh
- blood vessel
- cylindrical mes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61L27/34—Macromolecular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blood vessel utilizing a biocompatible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ylindrical mesh-type structure using a biocompatible material, To an artificial blood vessel preventing coagula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rtificial blood vessel.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blood vessel utilizing a biocompatible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tificial blood vessel having no toxicity, preventing blood coagulation, and having elasticity and flexibility.
- a blood vessel is a passage through which blood circulates between the heart and the organs and tissues of the human body. It is a pathway for carrying blood from the heart to the whole body and returning the circulated blood back to the heart. Therefore, the supply of nutrients, hormones or oxygen contained in the blood, and the transfer of waste to the organs, so that abnormalities in the blood vessels can lead to arteriosclerosis, cerebrovascular disease, vasculitis, varicose veins or venous thrombosis.
- the blood vessels usually have a three-layer structure consisting of an inner membrane composed of endothelial cells, an intermediate membrane composed of smooth muscle cells and elastic tissue, and an outer membrane composed of connective tissue. If these blood vessels can not be recovered due to surgery or drugs due to the disease, they will be replaced with artificial blood vessels.
- Artificial blood vessels are artificial blood vessels that are used when performing an aneurysm, thrombosis, or trauma to blood vessels. They should be excellent in antithrombotic properties, be bent and stretched like natural blood vessels, be easy to adapt to living bodies, There should be less leukemia at the time of transplantation. In addition, if the artificial blood vessel material is selected incorrectly, it is important to select a material capable of producing an artificial blood vessel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because the inner diameter is narrowed and blood clotting may occur.
- the materials of artificial blood vessels can be classified into non-absorbable artificial blood vessels made of biocompatible materials and absorbable artificial blood vessels.
- a biocompatible material means a material that performs the function expected by a living body without any undesirable effect on the biological system.
- Non-absorbable materials are materials that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but not absorbed into the living body.
- Absorbent materials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it means.
- the endothelial cells of the natural blood vessels prevent the coagulation of blood through secretion of anticoagulant substances, but the artificial blood vessels become clogged with blood coagulation. Therefore, artificial blood vessels with small caliber are not used well and only artificial blood vessels with large caliber are utilized.
- human umbilical cord, body, and living tissue obtained from animals are chemically treated with artificial blood vessels, but the problem of causing blood clotting and immune reactions has not been completely solved.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developing an artificial blood vessel carrying an anticoagulant so that blood in the blood vessel does not coagulate utilizing a biocompatible material.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blood vessel utilizing a biocompatible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ylindrical mesh-type structure using a biocompatible material, Thereby preventing the blood from solidifying,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artificial blood vessel.
- an artificial blood vessel utilizing a biocompatible materi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artificial blood vessel.
- the artificial blood vessel is free from toxicity, and has an anti-blood coagulation function and elasticity and flexi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lindrical mesh-like structure made of a monofilament made of a biocompatible material; An inner membrane formed by coating an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sh structure with a biocompatible material solution by foam coating, and an inner membrane formed by supporting an anticoagula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sh structure and then foam coating the solution with a bioabsorbable polymer solution Artificial blood vessels to solve technical problems.
- the biocompatible material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ester, polylactide, polyglycolide, polylacticoglycolide, polydioxanone and polycaprolactone, or a composite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blood vessel,
- a monofilament made of a biocompatible material has a thickness of 0.05 mm to 0.45 mm.
- the bioabsorbable polymer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aluronic acid, gelatin, collagen, polylactide, polyglycolide, polylactic acid glycolide, polydioxanone and polycaprolactone, or a complex thereof It is aimed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by providing artificial blood vessel which is characterized.
- an artificial blood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of the mesh is 50 mu m to 1 mm in the structure of the cylindrical mesh type, thereby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abricating a monofilament, which comprises a first step of making a monofilament using a biocompatible material, a second step of weaving the monofilament into a cylindrical mesh-like structure, A third step of foam co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sh-like structure with a biocompatible material solution; A fourth step of supporting an anticoagula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sh-like structure and foam coating with a bioabsorbable polymer solution; And a fifth step of immersing the structure in the form of a coated cylindrical mesh structure made by the steps 1 to 4 in an alkaline solution to hydrophilize, washing with water and drying.
- the cylindrical mesh-like structure in the second step, may be monofilaments having a thickness of 0.1 to 0.2 mm at a diameter of 2 to 5 mm of the artificial blood vessel, monofilaments having a thickness of 0.2 to 0.5 mm at a diameter of 5 to 10 mm of artificial blood vessels Filaments, and the mesh of the mesh is 50 mu m to 1 m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blood vessels.
- the biocompatible material solution for foam coating is prepared by stirring 1 to 15 parts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polymer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portion by a homogenizer to introduce air, and the size of the bubble is 1 to 5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rtificial blood vessel,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tificial blood vessel is manufactured.
- the hydrophilization is performed by immersing in 5 to 10 N of potassium hydroxide, calcium hydroxide or sodium hydroxide solution for 10 to 30 minutes to hydrophilize the hydrophilized water. .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blood vessel utilizing a biocompatible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ylindrical mesh-type structure using a biocompatible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rtificial blood vessel preventing coagula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ficial blood vessel utilizing a biocompatible material.
- FIG. 2 is a reference photograph for understand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ficial blood vessel using a biocompatible material.
- Artificial blood vessels are artificial blood vessels used for aneurysm, thrombosis, or trauma. They should be excellent in antithrombotic properties, be bent and stretched like natural blood vessels, be easy to adapt to the living body, Sutures should be done well during surgery and less leucopenia at the time of transplantation. In addition, if the artificial blood vessel material is selected incorrectly, it is important to select a material capable of producing an artificial blood vessel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because the inner diameter is narrowed and blood clotting may occur.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ficial blood vessel utilizing a biocompatible material.
- FIG. 2 is a reference photograph for understand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ficial blood vessel using a biocompatible material. 2, a monofilament manufactured using the biocompatible material manufactur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a cylindrical mesh-shaped structure woven with the monofilament, a foamed solution for coating, and a finished artificial blood vessel Photographs are presented.
- Step 1 is the step of making a monofilament using a biocompatible material.
- Biocompatibility is a material that can coexist with a living body while performing its original functions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living body over a long period of time. Refers to the ability to carry out in vivo functions without damaging the biological system without toxic substances and without undesirable effects on the biological system.
- non-absorbent materials includ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ester or a composite thereof, and absorbent materials include polylactide, polyglycolide, polylactic acid glycolide, polydioxanone, Lactones, or a combination thereof to produce monofilaments (see (1) in Fig. 2).
- the monofilament is a single filament in which the fibers radiated from one nozzle are not combined with other fibers and the final product is manufactured as a single product.
- the thickness of the monofilament is made 0.05 mm to 0.45 mm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artificial blood vessel using the biocompatible material.
- Step 2 is a step of fabricating the monofilament into a cylindrical mesh-like structure.
- the 6 to 32 strands of the monofilaments are woven using a knitting machine in the form of a mesh net.
- the mesh shape is a shape in which holes are densely arranged like a net, and a knitting machine is a machine for knitting a band-shaped knitted fabric (see 2 in FIG. 2).
- small-diameter artificial blood vessels having an artificial blood vessel diameter of 5 mm or less are woven with monofilaments having a diameter of 0.2 mm or less and monofilaments having a diameter of 0.2 mm or more are woven with 5 mm or more of large-diameter artificial blood vessels.
- Mesh mesh represents the size of the hole between the net.
- the small-diameter artificial blood vessels are weaved with 6 to 18 monofilaments, the mesh is 50 to 1 mm, the large-diameter artificial blood vessels are woven with 15 to 32 monofilaments, and the mesh mesh is 50 to 1 mm Or less.
- Step 3 is a step of foaming and co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sh-like structure with a biocompatible material solution having flexibility and elasticity.
- the woven cylindrical mesh-like structure is foam-coated by a method of immersing, heating and curing a biocompatible rubber liquid or a biocompatible material solution having flexibility and elasticity.
- the outer wall layer can be thickened by immersion-hardening at least two times.
- the biocompatible rubber liquid or biocompatible material solution having flexibility and elasticity is stirred at a high speed using a homogenizer to introduce air into the solution to produce a homogeneous foaming solution (see 3 in FIG. 2).
- a homogenizer to introduce air into the solution to produce a homogeneous foaming solution (see 3 in FIG. 2).
- the size of the bubble is 5 mu m or less.
- the size of the pores may become 10 ⁇ ⁇ or more because the bubbles expand during the curing of the foaming solution and are poured.
- the biocompatible rubber liquid having flexibility and elasticity it is preferable to use a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of 10 to 30% (w / v) as a solution in which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is dispersed in water, and dissolve in an organic solvent The residual solvent is removed.
- the biocompatible material solution having flexibility and elasticity is difficult to dissolve the polymer at a high concentration of 15% or more and has a high viscosity, so it is not easy to obtain uniform pores of 10 ⁇ or less by the solvent evaporation metho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phase transformation method in which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mesh is immersed in a biocompatible foamed polymer solution dissolved at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15% (w / v) Is preferably applied.
- non-absorbable materials includ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ester or a composite thereof and absorbent materials include polylactide, polyglycolide, polylactic acid glycolide, polydioxanone, polycaprolactone or Biocompatible material solutions are prepared using these composites.
- the organic solvent used herein is preferably chloroform, dichloromethane or a mixed solution of these solutions. However, 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sh formed in step 2 are confirmed, the solvent is selected. Particularly, when a mesh made of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is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chloroform or dichloromethane as a solvent.
- step 4 an anticoagulant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sh-like structure, and the inner membrane of the artificial blood vessel is formed by foam coating with a bioabsorbable polymer.
- a membrane containing an anticoagulant component In order to inhibit thrombus formation, it is a membrane containing an anticoagulant component. Since it is a bioabsorbable material, it acts to prevent thrombus formation until the membrane is decomposed and the anticoagulant component flows out to form vascular endothelial cells.
- Anticoagulants are substances that inhibit blood clotting, and include (1) anticoagulants that inhibit coagulation by adding them to blood. It is mainly oxalate and citrate, which bind to Ca2 + and inhibit coagulation. In addition, an ion exchange resin,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is used. (2) Physiological anticoagulants of blood against active blood coagulation factors present in blood. Antithrombin III and specifically binding heparin inhibit the action of various blood coagulation factors such as thrombin. (3) It is an anticoagulant substance that reversibly and irreversibly inhibits the activity of blood coagulation factors, which occurs after a pathological condition.
- a known inhibitor of Factor VIII is known to be a kind of antibody and is made after blood transfusions in people with hemophilia. Antibodies to factor IX, factor V, factor VII, and factor XIII are also known. In addition, patients with autoimmune disease may exhibit blood clotting disorders due to specific or nonspecific anticoagulants.
- An anticoagulant that inhibits the activity of a coagulation factor by oral administration The combination of coumarin (eg, warfarin) and indanthione, or the like, inhibits the reduction of vitamin K, thereby inhibiting the synthesis of vitamin K-dependent coagulation factors II, VII, IX and X in hepatocytes .
- the anticoagulant is supported and foam-coated by a method of immersion in a bioabsorbable polymer foamed solution, stirring, heating and curing.
- bioabsorbable polymer examples include polylactide, polyglycolide, polylactic acid glycolide, polydactoxanone, and polycaprolactone, which are synthetic polymers having a low absorption rate in the body and materials derived from the human body such as hyaluronic acid, gelatin and collagen
- the bioabsorbable polymer scaffold is prepared with a selected one of lactones and foam coated.
- the synthetic polymer is in a solid phase, it is preferably dissolved after dissolving in an organic solve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onfirm the solubility of the cylindrical mesh structure formed in Step 2 before application.
- the method of foaming is a method of high-speed stirring in the case of viscous liquid such as hyaluronic acid, gelatin and collagen, and polylactide, polyglycolide, polylactic acid glycolide, polydioxanone or polycaprolactone are used in three stages It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and used.
- viscous liquid such as hyaluronic acid, gelatin and collagen
- polylactide, polyglycolide, polylactic acid glycolide, polydioxanone or polycaprolactone are used in three stages It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and used.
- Step 5 is a process of hydrophilizing a coated cylindrical mesh-like structure made through steps 1 to 4 above.
- the coated cylindrical mesh-like structure is immersed in an alkali solution to make the water-absorbing polymer having an ester group or a ketone group partially hydrophilized.
- the alkaline solution a solution prepared by adding sodium hydroxide to distilled water at a concentration of 5 to 10 N is preferable, and the solution is dipped in this solution for 10 to 30 minutes and then washed and dried.
- the alkali used herein may be potassium hydroxide or calcium hydroxide.
- the degree of cell growth and degree of dissolution were observed using a microscope. Observation results are graded according to the table below. If the cell to which the negative control substance effluent is applied is of grade 0 and the cell to which the positive control effluent is applied is of grade 4 or higher, the test i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cells to which the test substance was applied, it was judged that the test substance effluent was not cytotoxic when the judgment grade was 2 or less.
- the cell to which the negative control substance eluate was applied was grade 0, and the cell to which the positive control substance eluent was applied was the fourth grade.
- the result of the test material effluent was 0, indicating that the degree of dissolution of the cells and degree of growth were scarcely observed. Therefore, the artificial blood vessels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used under the present test conditions are not tox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하여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을 제조하고,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의 내부는 항응고제를 담지하여,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는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인공혈관은 독성이 없고, 혈액응고 방지 및 탄성과 유연성을 보유한 인공혈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하여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을 제조하고,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 내부는 항응고제를 담지하여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는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인공혈관은 독성이 없고, 혈액응고 방지 및 탄성과 유연성을 보유한 인공혈관에 관한 것이다.
혈관은 혈액을 심장과 인체 각 장기 및 조직 사이를 순환시키는 통로로서,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을 온몸으로 운반하고, 순환한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려 보내는 통로이다. 따라서 혈액에 포함된 영양분, 호르몬 또는 산소를 공급하고 노폐물을 기관으로 이송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혈관에 이상이 생기면 동맥경화, 뇌혈관 질환, 혈관염, 정맥류 또는 정맥혈전증이 발생할 수 있다.
혈관은 일반적으로 내피세포로 구성된 안쪽막, 평활근세포와 탄성조직으로 된 중간막, 결합조직으로된 바깥막의 3층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혈관이 질환으로 인해 수술이나 약물로 인해 회복이 불가능한 경우, 인공혈관으로 대체하게 된다.
인공혈관은 동맥류, 혈전 또는 외상으로 혈관이식수술을 할 때에 사용하고 있는 인공적인 혈관으로서, 항혈전성이 뛰어나고 천연 혈관처럼 굴곡 및 신장이 이루어져야 하며, 생체에 적응하기 쉽고 혈관과 잘 결합해야 하고, 이식 시 누혈이 적어야 한다. 또한, 인공혈관 소재 선정이 잘못될 경우, 내경이 좁아져서 혈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내경이 가는 인공혈관을 제조할 수 있는 소재의 선정이 중요하다.
먼저 인공혈관의 소재를 살펴보면, 생체적합성 소재로 제조하는 비흡수성 인공혈관과 흡수성 인공혈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생체적합성 소재는 생체 시스템에서 어떠한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주지 않고, 생체가 기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생체적합성 소재는 비흡수성 소재와 흡수성 소재로 분류되며, 비흡수성 소재는 인체에 무해하나 생체 내로 흡수되지 않는 소재를 의미하고, 흡수성 소재는 인체에 무해하며, 생체 내에서 분해되어 흡수되는 소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인공혈관을 사용할 때 가장 큰 문제점은 인공의 소재로 제조되기 때문에 면역작용으로 인해 혈관 내 혈액이 응고되는 것이다.
즉, 자연혈관의 내피세포는 항응고물질의 분비를 통해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지만, 인공혈관은 혈액응고로 인해 혈관이 막히게 된다. 따라서 구경이 작은 인공혈관은 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큰 구경을 가진 인공혈관만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사람의 탯줄이나 시신, 동물로부터 얻은 생체조직을 화학적으로 처리한 생체인공혈관이 사용되고 있지만, 혈액응고나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하여, 혈관 내 혈액이 응고되지 않도록 항응고제를 담지한 인공혈관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선행발명에 따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1986호(인공 혈관 제작용 생체관 스캐폴드 및 그 제작방법)'의 청구항 1항에는, 키토산을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물질의 전기 방사에 의해 제작되는 나노섬유관; 및 상기 나노섬유관의 외측면에 3D 프린팅에 의해 폴리카프로락톤 스트랜드 적층으로 형성되는 스캐폴드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생체적합성 물질은, 조성비 7:3 ~ 9.5:0.5의 범위를 가지는 키토산/폴리카프로락톤 혼합물로 구성되는 인공 혈관 제작용 생체관 스캐폴드에 대해 기재된 바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하여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을 제조하고,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 내부는 항응고제를 담지하여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는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인공혈관은 독성이 없고, 혈액응고 방지 및 탄성과 유연성을 보유한 인공혈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모노필라멘트로 만든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 상기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의 외면에 생체적합성 소재 용액으로 발포코팅하여 형성된 외막: 및 상기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의 내면에 항응고제를 담지하고, 그 후에 생체흡수성 고분자 용액으로 발포코팅하여 형성된 내막을 포함하는 인공혈관을 제공함으로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생체적합성 소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틱코글리콜리드, 폴리디옥사논 및 폴리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복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을 제공함으로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생체적합성 소재로 제조한 모노필라멘트의 굵기는 0.05mm ~ 0.4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을 제공함으로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생체흡수성 고분자는 히알루론산, 젤라틴, 콜라겐,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틱코글리콜리드, 폴리다이옥사논 및 폴리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복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을 제공함으로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원통형 메쉬 형태의 구조물에서 메쉬의 망목은 50㎛ ~ 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을 제공함으로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소재를 이용하여 모노필라멘트를 만드는 제 1 단계 ;상기 모노필라멘트를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로 직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 외면에 생체적합성 소재 용액으로 발포코팅하는 3단계; 상기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 내면에 항응고제를 담지하고, 생체흡수성 고분자 용액으로 발포코팅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1~4 의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 코팅된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을 알카리용액에 침지하여 친수화하고, 수세 및 건조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2단계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메쉬 형태의 구조물은 인공혈관의 직경 2 ~ 5mm 에서는 0.1 ~ 0.2mm 두께의 모노필라멘트, 인공혈관의 직경 5~10mm 에서는 0.2 ~ 0.5 mm 두께의 모노필라멘트를 각각 이용하고, 메쉬의 망목은 50㎛ ~ 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3단계에 있어서, 발포코팅을 위한 생체적합성 소재 용액은 총중량부 대비 생체적합성 고분자 1 ~ 15 중량부를 호모게나이저로 교반하여 공기를 유입하고, 기포의 크기는 1 ~ 5㎛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5단계에 있어서, 상기 친수화는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또는 수산화나트륨 용액 5~10N으로 10 ~ 30분 침지하여 친수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하여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을 제조하고,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 내부는 항응고제를 담지하여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는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의 제조방법을 이해하기 위한 참고 사진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참조예 및 도면에 기술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 제조방법
인공혈관은 동맥류, 혈전 또는 외상으로 혈관이식수술을 할 때 사용하는 인공적인 혈관으로서, 항혈전성이 뛰어나고 천연 혈관처럼 굴곡 및 신장이 이루어져야 하며, 생체에 적응하기 쉽고 혈관과도 잘 결합해야 하며, 수술시 봉합이 잘 되고 이식시 누혈이 적어야 한다. 또한, 인공혈관 소재 선정이 잘못될 경우, 내경이 좁아져서 혈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내경이 가는 인공혈관을 제조할 수 있는 소재의 선정이 중요하다.
도 1은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의 제조방법을 이해하기 위한 참고 사진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기 단계를 통해 제조한 ① 상기 생체적합성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모노필라멘트, ② 상기 모노필라멘트로 직조한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 ③ 코팅을 위한 발포용액 및 ④ 완성된 인공혈관의 사진들이 제시되어 있다.
1) 생체적합성 소재를 이용하여
모노필라멘트를
만드는
제 1 단계
1단계는 생체적합성 소재를 이용하여 모노필라멘트를 만드는 단계이다.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이란 장기간에 걸쳐 생체에 악영향을 나타내지 않고, 원래의 기능을 다하면서 생체와 공존할 수 있는 소재다.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독성 물질을 가지지 않고 손상을 주지 않으며, 생체 시스템에 어떠한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주지 않고, 생체 내 기능을 수행하는 능력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생체적합성 소재로서, 비흡수성 소재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복합물과 흡수성 소재로는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틱코글리콜리드, 폴리디옥사논,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이들의 복합물을 이용하여 모노필라멘트를 제조한다(도2의 ①참조).
모노필라멘트는 단독 필라멘트로서, 하나의 노즐에서 방사되는 섬유를 다른 섬유와 합치지 않고, 단일상품으로서 최종 제품을 제조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체적합성 소재를 이용하여 모노필라멘트의 굵기를 인공혈관 직경에 따라 0.05mm~0.45mm로 제조한다.
2) 상기
모노필라멘트를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로 제조하는
제 2단계
2단계는 상기 모노필라멘트를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로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6 ~ 32가닥의 모노필라멘트를 메쉬형태의 그물모양으로 편조기를 이용하여 직조한다. 메쉬형태는 그물망처럼 구멍이 촘촘하게 뚫려 있는 형태이며, 편조기는 띠모양으로 된 편물을 짜는 기계이다(도2의 ②참조).
바람직하게는 인공혈관 직경 5mm 이하의 소구경 인공혈관은 직경 0.2mm이하 굵기의 모노필라멘트로 직조하였고, 5mm 이상 대구경 인공혈관의 경우 직경 0.2mm 이상 굵기의 모노필라멘트로 직조한다. 메쉬의 망목은 그물사이의 구멍의 크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소구경 인공혈관은 6~18가닥의 모노필라멘트로 직조하며, 망목은 50㎛ ~ 1mm 이고, 대구경 인공혈관은 15~32 가닥의 모노필라멘트로 직조하며, 메쉬의 망목은 50㎛ ~ 1mm 이하가 되도록 한다.
3) 상기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의 외면에 생체적합성 소재 용액으로 발포코팅하는
제 3단계
3단계는 상기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 외면에 유연성과 탄성을 갖는 생체적합성 소재 용액으로 발포코팅하는 단계이다. 상기 직조된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을 유연성과 탄성을 갖는 생체적합성 고무액 또는 생체적합성 소재 용액에 침지, 가열 및 경화하는 방법으로 발포코팅한다.
대구경 혈관의 경우 2회 이상 침지 경화하여 외벽층을 두껍게 할 수 있다.
상기 유연성과 탄성을 갖는 생체적합성 고무액 또는 생체적합성 소재 용액을 호모게나이저로 고속 교반하여 용액에 공기가 유입되어 균질한 발포용액을 제조한다(도 2의 ③참조). 이때 기포의 크기는 5㎛ 이하가 되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 용액의 경화시 기포가 팽창되어 파포 되기 때문에 기공의 크기가 10㎛ 이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유연성과 탄성을 갖는 생체적합성 고무액으로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물에 분산시킨 용액으로 고형분 함량 10~30%(w/v)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이 아닌 유기 용제에 용해시킨 경우에는 잔류 용제를 제거한다.
상기 유연성과 탄성을 갖는 생체적합성 소재 용액은 고분자를 15% 이상 고농도로 용해시키기 어려우며 점도가 높아 용매 증발 방법으로는 10㎛ 이하의 균일한 기공을 얻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15%(w/v) 미만의 농도로 용해된 생체적합성 발포고분자 용액에 침지하여 코팅된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을 비용매 용액에 침지시켜 용매와 비용매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상전이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체적합성 소재로서, 비흡수성 소재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복합물과 흡수성 소재로는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틱코글리콜리드, 폴리디옥사논,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이들의 복합물을 이용하여 생체적합성 소재 용액을 제조한다.
또한, 이때 사용되는 유기 용제로는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 용액의 혼합용액이 바람직하지만 2단계에서 만들어진 메쉬가 용해되는지 그 특성을 확인 한 후에 용제로 선정한다. 특히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재질의 메쉬를 사용하여 제조한 경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을 용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 내면에 항응고제를
담지하고
, 생체흡수성 고분자 용액으로 발포코팅하는
제 4단계
4단계는 상기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 내면에 항응고제를 담지하고, 생체흡수성 고분자로 발포코팅하여 인공혈관의 내막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인공혈관을 체내에 이식하면 혈관 내피세포가 인공혈관의 가장자리에는 잘 형성되지만 인공혈관의 길이가 2cm이상 길어질 경우 인공혈관의 중심부에는 내피세포가 잘 형성되지 않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과, 5mm 이하의 소구경 혈관은 혈액의 이동속도가 느려 혈전이 생성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수행되는 공정이다.
혈전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항응고제 성분이 함유된 막으로 생체흡수성을 갖는 재질이므로 막이 분해되면서 항응고제 성분이 유출되어 혈관 내피세포가 형성될때까지 혈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항응고제는 혈액응고를 저해하는 물질로서, (1) 혈액에 첨가함으로써 응고를 저지하는 항응혈제가 있다. 주로 옥살산염, 시트르산염으로 이들은 Ca2+과 결합하여 응고를 저지한다. 그 밖에 이온교환수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을 사용한다. (2) 혈액에 존재하는 활성형 혈액응고인자에 대한 혈액의 생리적 항응혈소로서, 트롬빈와 같은 여러 혈액응고인자의 작용을 저지하는 항트롬빈 Ⅲ 및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헤파린이 있다. (3) 병적 상태에서 후천적으로 출현하여 가역적, 비가역적으로 혈액응고인자의 활성을 억제하는 항응혈물질이다. 제VIII인자에 대한 저지물질이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일종의 항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혈우병환자에게 수혈을 한 후 만들어진다. 그 밖에 제Ⅸ인자, 제Ⅴ인자, 제Ⅶ인자, 제ⅩⅢ인자에 대한 항체가 알려져 있다. 또한 자가면역질환환자에서는 특이적 또는 비특이적 항응혈물질에 의한 혈액응고 장애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4) 경구 투여에 의해 응혈인자의 활성을 저해하는 항응혈약제이다. 쿠마린계(예: 와파린), 인단디온계 등의 약제를 경구 투여하면 비타민 K의 환원을 저해함으로써 간세포에서 비타민 K 의존성 응혈인자인 제Ⅱ인자, 제Ⅶ인자, 제Ⅸ인자, 제Ⅹ인자들의 합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상기 항응고제를 담지하고, 생체흡수성 고분자 발포용액에 침지, 교반, 가열 및 경화하는 방법으로 발포코팅한다.
이때 사용되는 생체흡수성 고분자로는 히알루론산, 젤라틴, 콜라겐과 같은 인체유래의 물질과 체내 흡수속도가 느린 합성고분자인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틱코글리콜리드, 폴리다이옥사논 및 폴리카프로락톤 중 선택된 하나로 생체흡수성 고분자 용앵을 제조하여 발포코팅 한다.
그러나 합성고분자의경우 고체상이므로 유기용매에 녹여서 사용하기 때문에 2단계에서 만들어진 원통형 메쉬 구조물의 용해성 여부를 확인한 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하는 방법은 히알루론산, 젤라틴, 콜라겐과 같은 점조액의 경우 고속교반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틱코글리콜리드, 폴리다이옥사논 또는 폴리카프로락톤은 3단계와 같이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사용한다.
5) 상기 코팅된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을
알카리용액에
침지하여
친수화하고
, 수세 및 건조하는
제 5단계
5단계는 상기 1~4의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 코팅된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을 친수화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코팅된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를 알카리용액에 침지시켜 에스테르기, 케톤기를 갖는 흡수성 고분자를 부분적으로 용출 되도록 하여 친수화 한다.
알카리 용액으로는 증류수에 수산화나트륨을 5~10N 농도로 제조한 용액이 바람직하며, 이 용액에 10~30분간 침지시킨 후 수세 건조한다.
이때 사용되는 알카리로는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칼슘도 가능하다. 상기의 과정을 거치면 접촉각이 20도 이하로 낮아지므로 인공혈관벽에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2의 ④은 상기 과정을 통해 완성된 인공혈관이다.
실험예
1. 세포독성시험
EA.hy926 내피세포의 단층배양과 그 형태 및 세포의 양을 현미경으로 확인하고, 6 Well Plate에 각 Well에 세포배양액 5 x 105 cell/㎖ 을 4ml 씩 분주하였다. 1일 배양 후 세포의 단층배양상태를 확인하고, 세포의 Confluency가 80%이상이면, 각Well의 배양액을 제거한 후, 배양액, 시험물질은 음성대조물질, 양성대조물질(natural Rubber), 생체적합성 소재(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틱코글리콜리드, 폴리디옥사논 또는 폴리카프로락톤)을 시험물질로 선정하여 같은 조건에서 용출하여 시험에 사용 하였다. 시험물질의 준비는 ISO 10993-12:2012에 따라 수행하였다.
배양 후 24시간, 48시간에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의 성장정도 및 용해정도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는 아래의 표에 따라 등급을 판정한다. 음성대조물질 용출액을 적용한 세포의 등급이 0등급, 양성대조물질 용출액을 적용한 세포의 등급이 4등급 이상일 경우, 시험상태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시험물질을 적용한 세포를 관찰한 결과, 판정 등급이 2이하일 경우, 시험물질 용출액에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등급 | 반응도 | 배양세포의 상태 |
0 | 없음(None) | 세포질내 과립(intracytoplasmic granule)의 분리, 세포 용해 없음,세포성장의 저해 없음 |
1 | 아주미약(Slight) | 세포의 모양이 둥글게 되고, 느슨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세포질 내 과립이소실되었거나, 형태에 변화를 보인 세포가 20%를 넘지 않음. 때때로 용해된세포가 존재하고; 약간의 성장 저해가 관찰됨 |
2 | 미약(Mild) | 세포의 모양이 둥글게 되고, 세포질 내 과립이 소실된 세포가 50%를 넘지 않고, 광범위한 세포 용해는 보이지 않음. 세포의 성장 저해가 50%를 넘지 않음. |
3 | 중증도(Moderate) | 세포의 모양이 둥글게 되었거나 용해된 세포가 70%를 넘지 않음. 세포층이완전히 파괴되지는 않았으나 50%이상의 성장 저해를 보임 |
4 | 심함(Severe) | 세포층이 거의 또는 완전히 파괴 됨 |
세포독성시험결과, 음성대조물질 용출액을 적용한 세포는 0등급, 양성대조물질 용출액을 적용한 세포는 4등급으로서, 시험과정 및 시험조건 중 특이사항은 없었다. 시험물질 용출액의 결과는 0으로서 세포의 용해 정도나 성장저해 정도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본 시험 조건하에서 사용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인공혈관은 독성이 없다.
Claims (9)
- 생체적합성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모노필라멘트로 만든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상기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의 외면에 생체적합성 소재 용액으로 발포코팅하여 형성된 외막: 및상기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의 내면에 항응고제를 담지하고, 그 후에 생체흡수성 고분자 용액으로 발포코팅하여 형성된 내막을 포함하는 인공혈관.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생체적합성 소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틱코글리콜리드, 폴리디옥사논 및 폴리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복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생체적합성 소재로 제조한 모노필라멘트의 굵기는 0.05mm ~ 0.4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생체흡수성 고분자는 히알루론산, 젤라틴, 콜라겐,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틱코글리콜리드, 폴리다이옥사논 및 폴리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복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원통형 메쉬 형태의 구조물에서 메쉬의 망목은 50㎛ ~ 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
- 생체적합성 소재를 이용하여 모노필라멘트를 만드는 제 1 단계 ;상기 모노필라멘트를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로 직조하는 제 2단계;상기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 외면에 생체적합성 소재 용액으로 발포코팅하는 3단계;상기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 내면에 항응고제를 담지하고, 생체흡수성 고분자 용액으로 발포코팅하는 제 4단계; 및상기 1~4 의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 코팅된 원통형 메쉬형태의 구조물을 알카리용액에 침지하여 친수화하고, 수세 및 건조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의 제조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제2단계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메쉬 형태의 구조물은 인공혈관의 직경 2 ~ 5mm 에서는 0.1 ~ 0.2mm 두께의 모노필라멘트, 인공혈관의 직경 5~10mm 에서는 0.2 ~ 0.5 mm 두께의 모노필라멘트를 각각 이용하고, 메쉬의 망목은 50㎛ ~ 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의 제조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제3단계에 있어서, 발포코팅을 위한 생체적합성 소재 용액은 총중량부 대비 생체적합성 고분자 1 ~ 15 중량부를 호모게나이저로 교반하여 공기를 유입하고, 기포의 크기는 1 ~ 5㎛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의 제조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제5단계에 있어서, 상기 친수화는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또는 수산화나트륨 용액 5~10N으로 10 ~ 30분 침지하여 친수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5856 | 2017-11-21 | ||
KR20170155856 | 2017-11-21 | ||
KR1020170165002A KR102129059B1 (ko) | 2017-11-21 | 2017-12-04 |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2017-0165002 | 2017-12-0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03227A1 true WO2019103227A1 (ko) | 2019-05-31 |
Family
ID=66630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7/014106 WO2019103227A1 (ko) | 2017-11-21 | 2017-12-04 |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WO (1) | WO2019103227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67112A (zh) * | 2021-10-15 | 2022-01-25 | 东华大学 | 一种具有抗凝血功能的3d打印血管内可吸收支架的制备方法 |
WO2022116794A1 (zh) * | 2020-12-02 | 2022-06-09 | 武汉杨森生物技术有限公司 | 一种抗弯折人工血管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11226A (ko) * | 1989-12-13 | 1991-08-07 | 채영복 | 인공혈관과 그 제조방법 |
JP2004188037A (ja) * | 2002-12-12 | 2004-07-08 | Nipro Corp | コラーゲン製人工血管 |
KR20150053528A (ko) * | 2013-11-08 | 2015-05-1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인공혈관용 구조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
KR20160142613A (ko) * | 2015-06-03 | 2016-12-13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탄성 및 신축성이 강화된 관형 지지체 |
-
2017
- 2017-12-04 WO PCT/KR2017/014106 patent/WO201910322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11226A (ko) * | 1989-12-13 | 1991-08-07 | 채영복 | 인공혈관과 그 제조방법 |
JP2004188037A (ja) * | 2002-12-12 | 2004-07-08 | Nipro Corp | コラーゲン製人工血管 |
KR20150053528A (ko) * | 2013-11-08 | 2015-05-1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인공혈관용 구조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
KR20160142613A (ko) * | 2015-06-03 | 2016-12-13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탄성 및 신축성이 강화된 관형 지지체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PAMULA, E.: "Structural changes in surface-modified polymers for medical applications", ACTA PHYSICA POLONICA-SERIES A, vol. 113, no. 5, 2008, pages 1485 - 1494, XP055618397 *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16794A1 (zh) * | 2020-12-02 | 2022-06-09 | 武汉杨森生物技术有限公司 | 一种抗弯折人工血管及其制备方法 |
CN113967112A (zh) * | 2021-10-15 | 2022-01-25 | 东华大学 | 一种具有抗凝血功能的3d打印血管内可吸收支架的制备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38248B2 (en) | Electrospinning with sacrificial template for patterning fibrous constructs | |
US10738152B2 (en) | Methods of electrospinning and compositions made therefrom | |
KR100932688B1 (ko) | 인공혈관용 이중막 구조의 튜브형 다공성 스캐폴드 및 그의제조방법 | |
Vaquette et al. | Aligned poly (l‐lactic‐co‐e‐caprolactone) electrospun microfibers and knitted structure: A novel composite scaffold for ligament tissue engineering | |
Gui‐Bo et al. | Study of the electrospun PLA/silk fibroin‐gelatin composite nanofibrous scaffold for tissue engineering | |
JP5986535B2 (ja) | 心血管系組織培養用基材及び移植用心血管系組織の製造方法 | |
US10463469B2 (en) | Artificial blood vessel, method for producing artificial blood vessel, and method for producing porous tissue regeneration substrate | |
KR0131012B1 (ko) | 조직 분리용 다공성 가요성 시이트 | |
TWI264301B (en) | Multi-channel bioresorbable nerve regeneration conduit and preparation method for the same | |
US20080109070A1 (en) | Biodegradable elastomeric scaffolds containing microintegrated cells | |
Stoltz et al. | Electrospun nanofibrous 3D scaffold for bone tissue engineering | |
CN105536055B (zh) | 一种形状记忆型高弹性活性纳米纤维支架及其应用 | |
Gu et al. |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GF-β1-loaded electrospun poly (lactic-co-glycolic acid) core-sheath sutures | |
JP5313142B2 (ja) | 生体器官用補綴材 | |
JP2004321484A (ja) | 医療用高分子ナノ・マイクロファイバー | |
Kim et al. | Fabrication of a new tubular fibrous PLCL scaffold for vascular tissue engineering | |
Wang et al. | Hemocompatible polyurethane/gelatin-heparin nanofibrous scaffolds formed by a bi-layer electrospinning technique as potential artificial blood vessels | |
WO2010041816A2 (ko) | 벌키 구조를 가지는 생분해성 멀티필라멘트 가연사,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의료용 용도 | |
WO2019103227A1 (ko) |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06390208A (zh) | 一种含多级孔结构的三维立体支架材料及制备与应用 | |
CN103876859A (zh) | 一种由微米纤维构成的具有大孔结构的人工血管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KR102129059B1 (ko) |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919356A (zh) | 人造血管丝素蛋白预凝涂层 | |
WO2012134024A1 (ko) | 이중막 구조의 튜브형 다공성 스캐폴드와 줄기 세포를 이용한 인공 혈관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인공 혈관 | |
CN109793935A (zh) | 一种人造血管用材料的制备方法及由此制得的人造血管和应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79326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79326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