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88639A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88639A1
WO2019088639A1 PCT/KR2018/012985 KR2018012985W WO2019088639A1 WO 2019088639 A1 WO2019088639 A1 WO 2019088639A1 KR 2018012985 W KR2018012985 W KR 2018012985W WO 2019088639 A1 WO2019088639 A1 WO 20190886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antennas
data
communication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298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경도
김준태
이권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8874051.8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05798A4/en
Priority to US16/760,129 priority patent/US11493223B2/en
Publication of WO20190886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886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plurality of air conditioner units transmit and receive data wirelessly.
  •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to provid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humans by discharging cold air to the room to adjust the room temperature and purify the room air to creat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unit which is constituted by a heat exchanger and installed in a room, and an outdoor unit which is constituted by a compressor, a heat exchanger and the like and supplies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refrigerant pipe, and the refrigerant compressed from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is supplied to the heat exchanger of the indoor unit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 the refrigerant heat-exchanged in the heat exchanger of the indoor unit flows into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again. Accordingly, the indoor unit discharges the cold air into the room through the heat exchange using the refrigerant.
  • the air conditioner interconnects and transmits data to buildings or small groups, and monitors and controls the status of each unit through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 Each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line and uses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 the indoor unit typically transmits data to the outdoor unit
  • the outdoor unit receives the data of the indoor unit and transmits the data of the indoor unit to the controller.
  • the indoor unit since the indoor unit needs to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unit without directly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ler, and the outdoor unit processes the data of a plurality of indoor units, the indoor unit needs to communicate step by step, so that a delay occurs and the data generated thereby can not be responded quickly have.
  •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6-336883 discloses tha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in an indoor unit and is us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relay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the room.
  • the antenna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ceiling-mounted indoor unit toward the bottom surface.
  •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has an additional antenna, which must be installed separately, and has a problem that it is protruded to the outside.
  • the unit and the unit communicate wirelessly in the air conditioner, smooth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one layer, but there is a limit in signal transmission in a five or more-story building, and communication is not eas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plurality of units constituting an air conditioner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monitor and control an operation in an air conditioner.
  • An air conditioner is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s including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wherein the plurality of units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input / output and controll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a communication method,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antennas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multiple inputs and outputs.
  •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first to fourth antennas, and the plurality of antennas are installed in a case of the unit. And the plurality of antennas are installed at four corners of the case of the unit.
  • the first unit among the plurality of units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to fifth units using the plurality of antennas, respectively.
  • the first unit of the plurality of units transmits the same data to the second unit using the plurality of antennas.
  • the first unit of the plurality of units transmits a plurality of data to the second unit using the plurality of antennas.
  • the first unit transmits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unit via the first one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and transmits the first data to the third unit through the second antenna.
  • the first unit transmits first data to the second unit through a first one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and transmits second data to a third unit through a second antenna.
  • the first unit transmits first data to the second unit through a first one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and receives third data from the third unit through a second antenna.
  • the first unit transmits first data to the second unit through a first one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and transmits second data to the second unit through a second antenna.
  • the first unit transmits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unit via the first antenna to the fourth antenna, respectively, and the second unit receives the first data through the plurality of antennas a plurality of times .
  • the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a frequency set corresponding to an inter-layer los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antenna, the signal loss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the number of transmission layers.
  • the plurality of antennas are omnidirectional antennas that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 the communication unit 125 supports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 th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s using signals in any one of a 400 MHz band and a 900 MHz ban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installation country of the plurality of units.
  • th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tenna connection unit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ntennas and a plurality of antenna connection units for applying signals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o the plurality of antennas through the plurality of antenna connection units, .
  • the plurality of units of the air conditioner ar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indoor unit, indoor unit, indoor unit, The indoor unit and the controller can communicate directly with each oth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outdoor unit.
  •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ommunication line, so that it is easy to install, and the cost of installation and operation can be reduced, and an antenna can be installed inside to expect an aesthetic effect on the appearance of the unit.
  •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es a frequency of a signal to be used in consideration of obstacles and installation distances in a building, performs multi-input / output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thereby ensuring communication coverag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fficiency is increased and the stability is improved in opera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installed in a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unit and an antenna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red to explain communication between unit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outdoor unit 10 and an indoor unit 20. As shown in Fig.
  •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ventilator, an air purifier, a humidifier, a heater,
  • the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units.
  • the air conditioner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nd can operate in connection with a building, a mobile device, a security device, an alarm device, and the like.
  • the outdoor unit (10) i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20) by a refrigerant pipe, and supplies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 the outdoor unit 10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indoor units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xchanges data with each other, and changes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tting changed from the indoor unit.
  • the indoor unit 20 includes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not shown)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 10, an in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for exchanging heat of the refrigerant,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for exposing the indoor unit, a plurality of sensors (not shown), and control means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 the indoor unit 20 includes a discharge port (not shown) for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air, and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with a wind direction adjusting unit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and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 the indoor unit controls the intake air and the air to be discharg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and adjusts the air flow rate.
  • the indoor unit 20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and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an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setting data. At this time, the indoor unit 20 transmits setting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o a connected remote controller (not shown), outputs the se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and receives data.
  • the outdoor unit 10 operates in the cooling mode or the heating mode in response to the data received from the indoor unit 20 or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supplies the refrigerant to the connected indoor unit.
  • the outdoor units When a plurality of outdoor units are connected, the outdoor units can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the refrigerant can be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through the distributor.
  • the outdoor unit 10 includes at least one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to discharge a high-pressure gas refrigerant, an accumulator for separating the gas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from the refrigerant to prevent the liquid refrigerant, which has not been vaporized, from flowing into the compressor, An oil recovery device for recovering oil in the refrigerant, an outdoor heat exchanger for condensing 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by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air, an outdoor heat exchanger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to smooth the heat exchang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A four-way valve for changing 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outdoor unit, at least one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an outdoor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And a control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 the outdoor unit 10 further includes sensors, valves, supercoolers, and the like, bu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 the air conditioner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other air conditioners through a network connection such as the Internet.
  • the air conditioner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ice center (not shown), a management server (not shown), a database (not shown) or the like, and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terminal (not shown)
  • a terminal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to monito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s a second controller.
  •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and outdoor units (10)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the air conditioner can communicate using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 the outdoor unit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indoor units 21 to 23 through a refrigerant pipe P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lso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the refrigerant pipe (P) Since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connected by the refrigerant pipe (P), the refrigerant is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 to the indoor unit when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mutually operate.
  • the outdoor unit (10)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to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and change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d operation setting from the indoor unit.
  • the controller can also communicate with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 a plurality of indoor units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outdoor units by pipes, or a plurality of indoor units may be connected to a single outdoor unit by pipes, respectively, .
  • the indoor unit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and the refrigerant pipe are set as one group in consideration of the refrigerant flow,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ame channel, Can be set.
  • the drawings are merely an example, and are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outdoor units and indoor units or the form of indoor units.
  • the air conditioner may separately set communication channels including the controller,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
  • the indoor unit 20 sets the operation and transmits data to the outdoor unit in accordance with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data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 or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 the outdoor unit 10 calculates the data of the received indoor unit and the loads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s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controls the compressor.
  • the outdoor unit (10) and the indoor unit (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output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and data on a failure or abnormality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irrespective of the occurrence of a failure or abnormality.
  •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driving unit 140, a sensing unit 170, a communication unit 120, an output unit 160, an input unit 150, a data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the first half.
  • a driving unit 140 a sensing unit 170, a communication unit 120, an output unit 160, an input unit 150, a data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the first half.
  • the outdoor unit 10 includes a compressor, an outdoor fan, and a plurality of valves.
  • the driving unit of the outdoor unit can be divided into a compressor driving unit, an outdoor fan driving unit, and a valve control unit.
  • the indoor unit 20 may include a louver or a vane as a wind direction adjusting unit, and may include an indoor fan, a plurality of valves, and an indoor fan driving unit, a valve control unit, and a wind direction control unit.
  • the types, the number,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sensors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unit.
  • the data part 130 stores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 communication data for address setting or group setting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units,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externally, and operation data generated or sensed during operation .
  • the data unit 130 stores an execution program for each function of the unit, data for operation control, and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 the data unit 130 may be hardware, a variety of storage devices such as a ROM, a RAM, an EPROM, a flash drive, a hard drive, and the like.
  • the input unit 150 includes at least one input means such as a button, a switch, and a touch input means.
  • the input unit 150 applies a user command or predetermined data to the control unit 110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the input unit.
  • the outdoor unit may include a power key, a test key, and an address setting key.
  • the indoor unit may include a power key, a menu input key, an operation setting key, a temperature control key, an airflow key, a lock key, and the like.
  • the output unit 160 includes at least one of a lamp, a speaker, and a display unit that is controlled to be on or off, and outputs the operation state of the unit.
  • the lamp outputs whether or not the unit is operating according to lighting, lighting color, whether it is blinking or not
  • the speaker outputs a predetermined warning sound, sound effect and voice guidance to output the operation state.
  • the display unit may output a menu screen for controlling the unit, and may output a warning message or warning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letters, numbers, and images, and an operation setting or operation state of the unit.
  • the sensing unit 17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 the sensing unit 170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gas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 flow rate sensor.
  •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are provided to sense the indoor temperature, the outdoor temperature,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the out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and the piping temperature, and input them to the controller 110.
  • the pressure senso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refrigerant pipe, and measure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 and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respectively, and input them to the controller 110.
  • the pressure sensor can be installed not only in refrigerant piping but also in water pipes.
  • the driving unit 140 supplies operating power to the control targe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110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target.
  • the driving unit 140 may include a compressor driving unit, an outdoor fan driving unit, and a val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pressor, the outdoor fan, and the valve, respectively.
  • the driving unit 140 applies operating power to each of the compressor, the outdoor fan, the valve, and the like so that the designated operation is performed as the motor operates.
  • the communication unit 120 includes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communicates with other unit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110.
  • the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 receives data to / from the controller,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through a designa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lies the received data to the controller.
  •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and may communicate through the same or different communication modules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unit and other indoor units, with the remote controller, and with the controller.
  •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communicate with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according to objects by selectively changing the communication methods corresponding to the objects to be communicated.
  •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setting a channel according to an object to be communicated.
  • the communication unit 120 communicates using a sub-GHz frequency band having excellent transmission and diffraction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the attenuation effect of the radio signal due to the wall in the building and the inter-layer obstacle.
  • the communication unit 120 communicates using any one of the 400 MHz band and the 900 MHz band, which are license-exempt bands available for a specific small-output radio station.
  •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selectively use frequencies in the 400 MHz band and the 900 MHz band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regulations depending on the region or country.
  •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Zigbee, Bluetooth, or NFC, which is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ystem.
  •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Zigbee, Bluetooth, or NFC, which is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ystem.
  •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input / output data through the input unit 150 and the output unit 160, manages data stored in the data unit 130, and controls transmission / reception of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 the control unit 110 generates a control command to operate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nother unit or a set operation setting, and applies the control command to the driving unit 140.
  • the driving unit 140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connected components, for example, a compressor, an outdoor fan, a valve, an indoor fan, and a wind direction control unit.
  • controller 110 determines an operation state corresponding to data input from a plurality of sensors of the sensing unit 170 while the unit is in operation, determines an error, and outputs an error.
  •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munication unit 120 includes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121, regulators 123a and 123b, a transceiver unit 125, antenna connection units 129a to 129d, ports 124a and 124b, A display unit 126, and a signal conversion unit 128.
  •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antennas 180.
  • the main connector 122 connects the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 the main connector 122 may be a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a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provided in the unit.
  • the main connector 122 inputs and outputs a voltage and a communication signal necessary for the communication unit 120 to operate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 the main connector 122 applies a signal applied from the unit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21 and transmits the signal of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21 to the control unit 110 of the unit.
  • the signal converting unit 128 converts the voltage of the signal input from the main connector and applies it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 the signal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signal to 3.3V and inputs it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 the regulator converts the voltage of operating power applied in the indoor unit.
  • the first regulator 123b converts the voltage of the operating power source applied from the unit through the main connector 122 from 12V to 5V and the second regulator 123a converts the applied 5V to 3.3V.
  • the first regulator 123b is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or 122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gulator 123a so that when the voltage of the operating power of 12V is converted to 5V by the first regulator,
  • the second regulator 123a converts the voltage of 5V input from the first regulator 123b to 3.3V and supplies it to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1.
  • the second regulator 123a is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or 122 and converts the voltage of 5V inputted from the main connector 122 to 3.3V and supplies it to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1.
  • the indoor unit applies an operation power of 12 V to the communication unit 120
  • the outdoor unit applies an operation power of 5 V to the communication unit 120.
  • the operation power input from the indoor unit is input through the main connector 122 and is stepwise converted from 12V to 3.3V via the first and second regulators and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 the operation power input from the outdoor unit is 5 V, is input through the main connector, is converted from 5 V to 3.3 V by the second regulator, and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 the communication section is operated by the operating power source supplied thereto.
  • a regulator for converting the voltage of the operating power source may be further added.
  • the display unit 126 outputs an oper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unit 120, a network connection state,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of data.
  • the second port 124a is a connection terminal for debugging a program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unit
  • the first port 124b is a connection terminal used for updating the program or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communication unit to the outside.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21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25, the regulator, the signal convers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etting so that the data of the unit applied through the main connector is transmitted . It also processes the received data and applies it to the unit.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21 controls the data to be converted into the designated form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used.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21 confirms the communication status of the network to be connecte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outputs the result through the display unit 126.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21 outputs a warning via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121 transfers the communication abnormality to the unit via the main connector 122.
  • the first to fourth antenna connection units 129a to 129d are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antennas 181 to 184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unit to apply a signal applied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25,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25).
  • the antenna connection part 129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antennas to be connected.
  • the antenna 180 is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used in the sub-band, the 400 MHz band, or the 900 MHz band. Depending on the frequency band used, the shape of the antenna can be changed.
  • the antenna 180 transmits a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25 to the air, receives a signal of a specified frequency band in the air, and applies the signal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25.
  •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25 controls the output of a signal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21.
  • the transceiver 125 controls the output of the signal by controlling the output impedance, that is, the impedance of the antenna 180 to have a set value.
  •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25 adjusts the impeda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of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80.
  •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25 is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can perform multiple input and output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ed antennas.
  •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transmits data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over a plurality of paths and detects a signal received through each path at a receiving end.
  • MIMO is an antenna system capable of spatial multiplexing, spatial diversity and beamforming.
  • Spatial multiplexing is a technique for improving transmission speed by transmitting a plurality of information through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tennas. The sa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several times to control an error.
  • Beamforming is a technique for reducing interference by transmitting a radio wave in a desired direction.
  •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transmits signals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through MIMO, and mutually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units distributed in a building or the like as they are received.
  • FIG.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installed in a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ntenna 180 is an antenna installed inside the unit. Since the antenna 180 is installed inside the unit, the antenna gain is lower than that of the external antenna protruding to the outside, thereby reducing the communication coverage.
  • the communication unit can improve the communication coverag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by applying the MIMO technique.
  • the antenna is easily provided inside the unit.
  •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is not specified in the unit of the air conditioner but the installation posi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building, the purpose of use, and the lik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tenna 180 is an omnidirectional antenna rather than a directional antenna in which radiation and reception patterns are set in a specific direction.
  • the length of the antenna 180 is se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frequency, and the length needs to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For example, in case of ceiling type indoor unit, if the length of the antenna is too long, the possibility of installation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eiling.
  • the frequency should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antenna among available frequency bands.
  • the antenna length is? / 2 or? / 4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447 MHz
  • the wavelength is 0.67 m. Therefore, when? / 2 is calculated, the length of the antenna is 34 cm and? / 4 is 17 cm.
  • the antenna length can be about 16.6 cm for? / 2.
  • the antenna does not protrude outward from the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ntenna from being damaged, and the aesthetic effect on the appearance of the unit can be improved.
  • FIG. 5 is a view showing a unit and an antenna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conditioner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a plurality of uni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Since a plurality of units are not installed in a single layer but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ayer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obstacles such as an interlayer wall and furniture are pres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a frequency band.
  • a plurality of antennas 180 are provided in the unit, and the first to fourth antennas 181 to 184 are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respectively.
  • the number of antennas is one example, and the number thereof may be changed.
  • the ceiling-mounted indoor units may be provided with first to fourth antennas 181 to 184 at the respective corners of the outer case where the inlet and outlet of the indoor unit are formed.
  • the antennas 180 and 181 to 184 may be installed at the four sides of the outer case of the indoor unit,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5 (b). Each of the antennas may be provided on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outer case so as to be parallel to either side of the case.
  •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of the indoor unit can be used as the ground.
  • the installation positions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to be used.
  • sub-band and ISM band (100MHz, 200MHz, 400MHz, 900MHz)
  • ISM band 100MHz, 200MHz, 400MHz, 900MHz
  • channels of 170 MHz, 200 MHz, 300 MHz and 400 MHz are allocated as frequency bands for data transmission among low power radio devices.
  • the length of the antenna 18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band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in the case of the 100 MHz band and the 200 MHz band, the antenna becomes longer, which results in a restriction on the installation.
  •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using the frequency band of 400 MHz or 900 MHz among the frequency band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inter-layer communication and antenna length.
  • the frequency band of 400 MHz or 900 MHz 21 channels of 424.7 MHz to 424.95 MHz, 11 channels of 447.8625 MHz to 447.9875 MHz, There are 32 channels of 917 to 923.5 MHz for wireless facilities such as / USN,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using these channels.
  • the license-exempt frequency bands for countries are 902 to 928 MHz (FCC Part 15.247) for North America and South America and 433 MHz, 915 MHz, 863 to 868 MHz (ETSIEN 300220), Japan 920 to 928 MHz (ARIB STD- , Korea 424 to 447 MHz, 917 to 923.5 MHz (KC), India 865 to 867 MHz (GSR 564 (E)), Australia 433, 915 MHz, South Africa 433 MHz, worldwide 2.4 GHz and 5.725 GHz are available.
  •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referred to explain communication between unit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conditioner transmits and receives mutual data among a plurality of units through MIMO which is an antenna system capable of a plurality of input and output. Each unit performs multiple input / output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by applying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 the first indoor unit 21 can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devices through the first to fourth antennas 181 to 184, respectively.
  •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st indoor unit may transmit different data through each antenna.
  •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independent signals using the same frequency to the four transmission antennas at the same time.
  • the transmitted signals are subjected to spatially different fad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radio waves is rapidly vari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medium through which the received radio waves are transmitted) on the radio channel, and thus the signals received by the respective antennas become non- .
  • spatially different fad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radio waves is rapidly vari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medium through which the received radio waves are transmitted
  •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same one data through four antennas.
  • the communication unit determines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each antenna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state of the data, the size of the transmitted data, and the like.
  • the first indoor unit 21 can communicate with the controller, the outdoor unit 10, the second indoor unit 22 and the third indoor unit 23 through the first to fourth antennas 181 to 184.
  • the outdoor unit 10, the second indoor unit 22, and the third indoor unit 23 may each include four antennas.
  • the first indoor unit 21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unit 10 via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181 through 184 and the second indoor unit 22 through the third antenna.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third indoor unit 23 via the fourth antenna.
  • the first indoor unit 21 may transmit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indoor unit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may transmit the outdoor air to the outdoor unit through the second antenna.
  • the first indoor unit may transmit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indoor unit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may transmit the second data to the outdoor unit through the second antenna at the same time.
  • the first indoor unit can transmit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indoor unit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simultaneously transmit the second data to the second indoor unit through the second antenna.
  • the first indoor unit can simultaneously transmit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indoor unit via the first through fourth antennas. Accordingly, the second indoor unit can receive the first data through the four antennas, respectively, and receive the first data four times in total.
  • the first indoor unit may transmit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indoor unit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may receive the third data from the second indoor unit through the second antenna.
  • the first indoor unit 21 transmits the same data through the first to fourth antennas 181 to 184,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errors. Since four identical data are sent, the error-free data can be received by the outdoor unit.
  • the plurality of units of the air conditioner ar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wirelessly communicate directly with indoor units, indoor units, indoor units and outdoor units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You can communicate directly without passing data.
  •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transmit a large amount of data with a wide coverage by performing multiple input / output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s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and operated in on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ll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selectively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 control unit 120 communication unit
  • Communication control unit 125 Transmitting /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은, 입출력을 제어하고 설정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유닛 간에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연결부 및 상기 복수의 안테나연결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여 다중입출력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어, 복수의 유닛이 무선으로 직접 통신할 수 있고, 건물 내의 장애물 및 설치 거리를 고려하여 사용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특정하고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중입출력을 수행함으로써 통신 커버리지를 확보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통신이 가능하여 공기조화기의 관리 및 운영에 따른 효율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공기조화기 유닛이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공기조화기는 건물단위 또는 소그룹 단위로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통해 각 유닛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공기조화기는 각 유닛이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유선통신 방식을 사용한다. 통신선을 연결하는 구조에 따라, 일반적으로 실내기는 실외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실외기가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기로 실내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통신구조에서는 실내기가 제어기가 직접 통신하지 못하고 실외기를 통해야 하고, 실외기는 복수의 실내기의 데이터를 처리하게 되므로, 단계적으로 통신해야하므로 지연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에 빠르게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특허출원 2006-336883 에는 실내기에 무선 통신기기를 구비하여 실내에서 이용되는 통신단말의 무선 통신용 중계기로써 이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무선 통신용 안테나를 실내기에 설치하는 것으로, 천장형 실내기로부터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안테나가 설치된다.
그러나 일본 특허출원은 추가설치되는 안테나로써,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에서 유닛과 유닛이 무선으로 통신하는 경우, 하나의 층에서는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나, 5층 이상의 건물에서는 신호 전달에 한계가 있어 통신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실외기가 건물의 지하에 설치되거나 옥상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설치 환경에서, 실외기와 실내기간의 거리로 인하여 무선으로 통신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건물 내의 벽이나 가수 등의 장애물로 인하여 신호가 감쇄되는 등, 신호의 품질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통신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일본 공개특허 2006-336883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유닛이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은, 입출력을 제어하고 설정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유닛 간에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여 다중입출력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제 1 내지 제 4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상기 유닛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상기 유닛의 케이스의 4개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제 1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제 2 내지 제 5 유닛과 각각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제 1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제 2 유닛으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제 1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데이터를 제 2 유닛으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유닛은 제 1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 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2 유닛으로 전송하고, 제 2 안테나를 통해 제 3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 1 안테나는 통해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2 유닛으로 전송하고, 제 2 안테나를 통해 제 2 데이터를 제 3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 1 안테나를 통해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2 유닛으로 전송하고, 제 2 안테나를 통해 제 3 데이터를 상기 제 3 유닛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 1 안테나를 통해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2 유닛으로 전송하고, 제 2 안테나를 통해 제 2 데이터를 상기 제 2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유닛은, 제 1 데이터를 제 1 안테나 내지 제 4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2 유닛으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1 데이터를 복수회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안테나의 길이, 거리에 따른 신호손실, 투과 층수에 따른 층간 손실에 대응하여 설정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방향성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송수신부(125)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유닛의 설치위치 및 설치국가에 대응하여 400Mhz 대역 및 900Mhz 대역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연결부 및 상기 복수의 안테나연결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복수의 유닛이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설치환경에 관계없이 실내기와 실내기, 실내기와 실외기간에 무선으로 직접 통신할 뿐 아니라, 실내기와 제어기가 실외기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별도의 통신선을 설치하지 않아,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및 운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안테나가 내부에 설치되어 유닛의 외관에 미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내의 장애물 및 설치 거리를 고려하여 사용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특정하고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중입출력을 수행함으로써 통신 커버리지를 확보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통신이 가능하여 공기조화기의 관리 및 운용에 있어서 효율이 증대되고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에 설치되는 안테나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 및 안테나 설치위치가 도시된 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 간의 통신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10), 실내기(20)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실내기 및 실외기 이외에도,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히터, 규모에 따라 칠러, 공조유닛, 냉각탑 등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각 유닛이 상호 연결되어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또한, 건물 내, 이동장치, 보안장치, 경보장치 등과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각각 실내기(20)에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또한, 실외기(10)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복수의 실내기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로부터 변경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을 변경한다.
실내기(20)는 실외기(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자팽창밸브(미도시), 냉매의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 실내공기가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하고,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노출되도록 하는 실내기팬(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실내기(2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하고, 토출구에는 토출구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실내기는 실내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 및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며, 풍량을 조절한다. 실내기(20)는 실내기의 운전상태 및 설정정보가 표시되는 출력부 및 설정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20)는 공기조화기 운전에 대한 설정정보를 연결되는 리모컨(미도시)으로 전송하여 리모컨을 통해 출력하고,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실외기(10)는 무선통신을 통해 실내기(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기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하며, 연결된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복수의 실외기가 연결되는 경우, 각 실외기는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분배기를 통해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와 액체냉매를 분리하여 기화되지 않은 액체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회수기,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되도록 하는 실외열교환기,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실외기팬, 실외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사방밸브,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한다. 실외기(10)는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과냉각기 등을 더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다른 공기조화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외부의 서비스센터(미도시), 관리서버(미도시), 데이터베이스(미도시) 등에 접속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의 단말(미도시)과 통신할 수 있다. 단말(미도시)은 공기조화기에 접속하여 제 2의 제어기로써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내기(20), 실외기(10)가 상호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설치 환경에 따라 공기조화기는 유선통신과 무선통신을 모두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제 1 내지 제 3 실내기(21 내지 23)와 냉매배관(P)으로 연결되고, 무선통신방식으로 상호 통신한다. 복수의 실내기 또한 상호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실외기와 실내기는 냉매배관(P)으로 연결됨에 따라,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실외기 및 실내기가 상호 동작하면, 실외기로부터 실내기로 냉매가 공급된다.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2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로부터 변경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을 변경한다. 제어기가 구비되는 경우 제어기 또한 실내기 및 실외기와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복수의 실외기가 구비되는 경우, 실외기간의 연결방식에 따라 복수의 실내기가 복수의 실외기에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배관으로 각각 연결되고, 복수의 실외기는 상호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복수의 실외기가 구비되는 경우, 냉매의 유동을 고려하여, 실외기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는 실내기가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되어, 동일한 채널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고, 실내기의 설치위치를 기반으로 그룹이 설정될 수 있다. 도면은 일예일 뿐, 실외기 및 실내기의 수 또는 실내기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매의 유동을 고려하여 실외기와 실내기간에 그룹을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간의 통신채널 이외에도, 제어기, 실외기, 실내기를 포함하는 통신채널이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실내기(20)는 구비되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운전을 설정하고 실외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실외기(10)는 수신되는 실내기의 데이터와, 복수의 실내기의 동작 상태에 따른 부하를 산출하여 압축기를 제어한다.
실외기(10)와 실내기(20)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상호 통신하고,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기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어기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고장 또는 이상 발생 시 주기에 관계없이 제어기로 고장 또는 이상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유닛은, 구동부(140), 감지부(170), 통신부(120), 출력부(160), 입력부(150), 데이터부(130), 그리고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이는 각 유닛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구성으로, 제품의 특성에 따라 별도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10)는 압축기, 실외기팬, 복수의 밸브를 포함한다. 실외기의 구동부는 압축기 구동부, 실외기팬구동부, 밸브제어부로 구분될 수 있다. 실내기(20)는 풍향조절수단으로 루버 또는 베인이 구비되고, 실내기팬, 복수의 밸브를 포함함에 따라 실내기팬구동부, 밸브제어부, 풍향제어부 등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닛의 종류에 따라 감지부에 포함되는 센서의 종류 및 그 수, 설치 위치는 상이하게 구성된다.
데이터부(130)에는,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다른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주소 또는 그룹설정에 대한 통신데이터, 외부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 동작 중 발생하거나 또는 감지되는 동작데이터가 저장된다. 데이터부(130)는 유닛의 기능별 실행프로그램, 동작 제어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데이터부(1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입력부(15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과 같은 입력수단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입력부(150)는 입력수단의 조작에 대응하여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데이터에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예를들어 실외기에는 전원키, 시운전키, 주소설정키가 구비될 수 있고, 실내기에는 전원키, 메뉴입력키, 운전설정키, 온도조절키, 풍량키, 잠금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출력부(160)는 점등 또는 점멸제어되는 램프,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유닛의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램프는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유닛이 동작중인지 여부를 출력하고, 스피커는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 음성안내를 출력하여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유닛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을 출력하고, 유닛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상태를, 문자, 숫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된 안내 메시지 또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감지부(17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감지부(170)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가스센서, 습도센서, 유량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는 복수로 구비되어, 실내온도, 실외온도, 실내열교환기온도, 실외열교환기온도, 배관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압력센서는 냉매배관의 입출입구에 각각 설치되어,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압력센서는 냉매배관뿐 아니라, 수관에도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대상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그 구동을 제어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외기의 경우, 구동부(140)는 압축기, 실외기팬, 및 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압축기구동부, 실외기팬구동부, 밸브제어부가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압축기, 실외기팬, 밸브 등에 각각에 구비되는 모터로 동작전원을 인가하여 모터가 동작함에 따라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통신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다른 유닛과 통신한다. 통신부(120)는 제어기, 실외기, 실내기 간에 지정된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로 인가한다.
통신부(120)는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실외기 및 다른 실내기와의 통신, 리모컨과의 통신, 제어기와의 통신 시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통신모듈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통신하고자하는 대상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통신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대상에 따라, 각각 상이한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실내기와의 통신, 제어기와의 통신에 있어서 상이한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채널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건물 내 벽체 및 층간 장애물에 의한 무선 신호의 감쇠 영향을 고려하여 투과 및 회절 특성이 우수한 서브기가(Sub-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통신부(120)는 특정 소출력 무선국용으로 활용가능한 비면허 대역인 400MHz대역과 900MHz 대역 중 어느 하나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통신부(120)는 지역 또는 나라에 따라 상이한 규정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400MHZ대역, 900MHZ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방식인 지그비, 블루투스, NFC 등의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50) 및 출력부(16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고, 데이터부(13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며, 통신부(120)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다른 유닛으로부터의 요청 또는 설정된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구동부(140)로 인가한다. 그에 따라 구동부(140)는 연결되는 구성, 예를 들어 압축기, 실외기팬, 밸브, 실내기팬, 풍향조절수단 등이 각각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유닛이 동작중인 상태에서, 감지부(170)의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이상을 판단하여 에러를 출력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20)는, 통신제어부(121), 레귤레이터(123a, 123b), 송수신부(125), 안테나연결부(129a 내지 129d), 포트(124a, 124b), 메인커넥터, 표시부(126), 신호변환부(128)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는 복수의 안테나(180)를 포함한다.
메인커넥터(122)는 유닛과 통신부(120)를 연결한다. 메인커넥터(122)는 유닛에 구비되는 송수신포트에 결합되는 연결단자일 수 있다. 메인커넥터(122)는 통신부(120)가 동작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전압 및 통신신호를 입출력한다.
메인커넥터(122)는 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통신제어부(121)로 인가하고, 통신제어부(121)의 신호를 유닛의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신호변환부(128)는 메인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을 변환하여 통신제어부로 인가한다. 신호변환부는 신호를 3.3V로 변환하여 통신제어부로 입력한다.
레귤레이터는 실내기에서 인가되는 동작전원의 전압을 변환한다.
제 1 레귤레이터(123b)는 메인커넥터(122)를 통해 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전원의 전압을 12V에서 5V로 변환하고, 제 2 레귤레이터(123a)는 인가되는 5V를 3.3V로 변환한다.
제 1 레귤레이터(123b)는 메인커넥터(122)에 연결되고, 제 2 레귤레이터(123a)와 연결되어, 12V의 동작전원의 전압이 제 1 레귤레이터에 의해 5V로 변환되면, 제 2 레귤레이터로 입력한다.
제 2 레귤레이터(123a)는 제 1 레귤레이터(123b)로부터 입력되는 5V의 전압을 3.3V로 변환하여 통신제어부(121)로 공급한다. 또한, 제 2 레귤레이터(123a)는 메인커넥터(122)와 연결되어, 메인커넥터(122)로부터 입력되는 5V의 전압을 3.3V로 변환하여 통신제어부(121)로 공급한다.
실내기는 12V의 동작전원을 통신부(120)로 인가하고, 실외기는 5V의 동작전원을 통신부(120)로 인가한다. 실내기로부터 입력되는 동작전원은 메인커넥터(122)를 통해 입력되어 제 1 및 제 2 레귤레이터를 통해 12V에서 3.3V로 단계적으로 변환되어, 통신제어부로 공급된다. 실외기로부터 입력되는 동작전원은 5V로, 메인커넥터를 통해 입력되어 제 2 레귤레이터에 의해 5V에서 3.3V로 변환되어 통신제어부로 공급된다. 그에 따라 공급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통신부가 동작한다.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 중 12V 또는 5V 이외의 전압으로 신호를 인가하는 유닛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동작전원의 전압을 변환할 레귤레이터가 더 추가될 수 있다.
표시부(126)는 통신부(120)의 동작상태, 네트워크 연결상태, 데이터의 송수신상태를 출력한다.
제 2 포트(124a)는 통신부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연결단자이고, 제 1 포트(124b)는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또는 통신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연결단자이다.
통신제어부(121)는 통신설정에 따라 송수신부(125), 레귤레이터, 신호변환부 및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메인커넥터를 통해 인가된 유닛의 데이터가 설정된 출력으로,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송출되도록 한다. 또한,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유닛으로 인가한다. 또한, 통신제어부(121)는 사용되는 통신방식에 따라 데이터가 지정된 형태로 변환되도록 제어한다.
통신제어부(121)는 연결되는 네트워크의 통신상태를 확인하고,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표시부(126)를 통해 출력하고, 통신에 이상이 있는 경우, 그에 따른 경고가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통신제어부(121)는 통신 이상에 대하여 메인커넥터(122)를 통해 유닛으로 전송한다.
제 1 내지 제 4 안테나 연결부(129a 내지 129d)는 유닛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4 안테나(181 내지 184)와 연결되어 송수신부(125)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인가하고, 또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송수신부(125)로 인가되도록 한다. 안테나 연결부(129)는 연결되는 안테나의 수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안테나(180)는 서브기가 대역의, 400MHz대역 또는 900MHz 대역 중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사용되는 주파수대역에 따라 안테나는 그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안테나(180)는 송수신부(12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공기 중으로 송출하고, 공기 중의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송수신부(125)로 인가한다.
송수신부(125)는 통신제어부(121)의 제어명령에 따라 송출하고자 하는 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송수신부(125)는 출력임피던스, 즉 안테나(180)의 임피던스가 설정값을 갖도록 제어함으로써 신호의 출력을 조절한다. 송수신부(125)는 안테나(180)를 통해 송출 및 수신할 신호의 주파수대역에 맞춰 임피던스를 조절한다.
송수신부(125)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이다. 송수신부는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다중의 입출력이 가능하다. 송수신부는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여러 경로로 전송하고 수신단에서 각각의 경로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한다.
MIMO는 공간다중화, 공간 다이버시티, 빔포밍이 가능한 안테나 시스템으로, 공간다중화는 다수의 송신안테나를 통해 여러개의 정보를 전송하여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고, 공간 다이어비시티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로 동일한 정보를 여러번 전송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기술이며, 빔포밍은 원하는 방향으로 전파를 송출하여 간섭을 감소시키는 기술이다.
송수신부는 MIMO를 통해,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함에 따라 건물 등에 분산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유닛 간에 상호 통신하도록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에 설치되는 안테나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80)는 유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테나(Intenna) 이다. 안테나(180)는 유닛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익스터널 안테나에 비하여 안테나 게인이 낮아지고 그로 인해 통신 커버리지가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부는 MIMO기술을 적용하여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여 통신커버리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의 (a) 및 (b)와 같이, 안테나는 유닛의 내부에 설치되기 용이하게 구성된다.
공기조화기의 유닛은, 실내기와 실외기 등의 설치위치가 지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건물의 형태나 구조,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설치위치가 상이하다. 그에 따라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의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되므로, 안테나(180)는 방사 및 수신 패턴이 특정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지향성 안테나보다는 전방향성의 안테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테나(180)는 전송 주파수에 따라 그 길이가 설정되고, 길이는 설치환경을 고려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천장형 실내기의 경우 안테나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 천장의 내부 공간의 크기에 따라 설치 가능 여부가 좌우될 수 있다.
안테나는 전송 주파수가 작을수록 안테나 길이가 길어지므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 중, 안테나의 길이를 고려하여 주파수가 설정되어야 한다.
안테나 길이는 전송 주파수의 λ/2 또는 λ/4이다. 예를 들어, 전송 주파수가 447MHz인 경우, 파장이 0.67m이므로, λ/2를 연산하면, 안테나의 길이는 34cm, λ/4의 경우 17cm가 된다. 900MHz대역의 경우, 안테나 길이는 λ/2의 경우 약 16.6cm가 될 수 있다.
안테나는, 유닛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지 않음에 따라 안테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유닛의 외관에 대한 미적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 및 안테나 설치위치가 도시된 도이다.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유닛이 상호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복수의 유닛은 단일 층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층에 각각 설치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되므로, 층간 벽, 가구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므로, 건물 내의 장애물을 통과하면서 일정거리 이상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도 5의 (a)와 같이 안테나(180)는 유닛에 복수개, 제 1 내지 제 4 안테나(181 내지 184)가 각각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안테나의 갯수는 일 예로, 그 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장형 실내기는 실내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의 각 모서리에 각각 제 1 내지 제 4 안테나(181 내지 18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180, 181 내지 184)는 도 5의 (b)와 같이, 실내기의 외부케이스의 네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각 안테나는 외부 케이스의 4개의 변에 각각, 케이스의 어느 하나의 변과 평행하도록 어느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의 (c)와 같이, 안테나는 실내기 케이스에 설치됨에 따라, 실내기의 외부케이스의 모서리 안쪽면을 그라운드로 사용할 수 있다.
안테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되는 주파수대역에 따라 그 길이가 상이해지므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설치위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서브 기가 대역 중, ISM대역(100MHz, 200MHz, 400MHz, 900MHz)의 경우 건물내 투과 특성이 우수하여 층간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주파수 대역의 사용은, 국가별로 사용에 규제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에서, 소출력 무선기기 중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대역으로는 170MHz, 200MHz, 300MHz와 400MHz 대역 채널이 할당되어 있다.
한편, 전송 주파수의 대역에 따라 안테나(180)의 길이가 결정되므로, 100MHz, 200MHz 대역의 경우 안테나가 길어지므로 설치에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층간 통신 및 안테나 길이를 고려하여, 앞서 개시된 주파수 대역 중, 400MHz 또는 900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대한민국의 전파법 규정에 따르면, 400MHz 또는 900MHz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용 특정 소출력무선국용 무선설비를 위해, 424.7MHz 내지 424.95MHz 의 21개 채널, 447.8625MHz 내지 447.9875MHz 11개 채널, 그리고, RFID/USN 등의 무선설비를 위한 917 내지 923.5MHz 32개 채널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국가별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살펴보면, 북미, 남미지역은, 902 내지 928MHz(FCC Part 15.247)이고, 유럽은 433MHz, 915MHz, 863 내지 868MHz(ETSIEN300220), 일본 920 내지 928MHz(ARIB STD-T108), 중국 920MHz, 한국 424 내지 447MHz, 917 내지 923.5MHz(KC), 인도는 865 내지 867MHz(G.S.R 564(E))이고, 호주 433, 915MHZ, 남아프리카 433MHz, 전세계 공통으로 2.4GHz와, 5.725GHz 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북미 및 남미지역은, 902 내지 928MHz이고, 유럽은 863 내지 868MHz, 일본 920 내지 928MHz, 한국 917 내지 923.5MHz, 인도는 865 내지 867MHz 전세계 공통으로 2.4GHz와, 5.725GHz 을 이용하는 경우 전송속도 50kbps 이상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 간의 통신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공기조화기는 다중의 입출력이 가능한 안테나 시스템인 MIMO를 통해 복수의 유닛 간에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각 유닛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적용하여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다중의 입출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 1 실내기(21)는 제 1 내지 제 4 안테나(181 내지 184)를 통해 복수의 기기와 각각 통신할 수 있다. 제 1 실내기의 통신부는 각 안테나를 통해 상이한 데이터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는 4개의 송신안테나에 동일시간에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여 독립적인 신호를 전송한다. 이렇게 송신된 신호들은 무선채널 상에서 공간적으로 다른 페이딩(수신되는 전파가 지나온 매질의 변화에 따라 그 수신전파의 강도가 급격하게 변동되는 현상)을 겪게 되어 각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간에는 비상관성을 갖게 된다. 송신안테나마다 다른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안테나의 수만큼 더 많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동일한 하나의 데이터를 4개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부는 데이터의 전송상태, 전송한 데이터의 크기 등에 따라 각 안테나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결정한다.
제 1 실내기(21)는 제 1 내지 4 안테나(181 내지 184)를 통해 제어기, 실외기(10), 제 2 실내기(22), 제 3 실내기(23)와 통신할 수 있다. 실외기(10), 제 2 실내기(22), 제 3 실내기(23)는 각각 4개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내기(21)는 제 1 내지 제 4 안테나(181 내지 184)를 통해 제 1 및 제 2 안테나를 통해 실외기(10)와 통신하면서, 제 3 안테나를 통해 제 2 실내기(22)와 통신하고, 또한, 제 4 안테나를 통해 제 3 실내기(23)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실내기(21)는 제 1 안테나를 통해 제 1 데이터를 제 2 실내기로 전송하고, 제 2 안테나를 통해 실외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내기는 제 1 안테나는 통해 제 1 데이터를 제 2 실내기로 전송하고, 동시에 제 2 안테나를 통해 제 2 데이터를 실외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실내기는 제 1 안테나는 통해 제 1 데이터를 제 2 실내기로 전송하고, 동시에 제 2 안테나를 통해 제 2 데이터를 제 2 실내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 1 실내기는 제 1 내지 제 4 안테나를 통해 제 1 데이터를 제 2 실내기로 동시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2 실내기는 4개의 안테나를 통해 제 1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제 1 데이터를 총 4회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내기는 제 1 안테나를 통해 제 1 데이터를 제 2 실내기로 전송하고, 제 2 안테나를 통해 제 2 실내기로부터 제 3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중에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제 1 실내기(21)는 제 1 내지 제 4 안테나(181 내지 184)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오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동일한 데이터가 4개 발송되므로 오류가 없는 데이터를 실외기가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4개의 안테나가 각각 상이한 위치에 설치됨에 따라 특정 신호에 대하여 수신이 잘되는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복수의 유닛이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설치환경에 관계없이 실내기와 실내기, 실내기와 실외기간에 무선으로 직접 통신할 뿐 아니라, 다른 유닛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달하지 않고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다중입출력을 수행함에 따라 넓은 커버리지로 많은양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실외기 20, 21 내지 23: 실내기
110: 제어부 120: 통신부
130: 데이터부 140: 구동부
150: 입력부 160: 출력부
170: 감지부
180, 181 내지 184: 안테나
121: 통신제어부 125: 송수신부
129a 내지 129d: 안테나 연결부

Claims (18)

  1.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은,
    입출력을 제어하고 설정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복수의 안테나;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상기 복수의 유닛 간에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한 다중입출력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제 1 내지 제 4 안테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상기 유닛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상기 유닛의 케이스의 4개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제 1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제 2 유닛 내지 제 5 유닛과 각각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제 1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 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2 유닛으로 전송하고, 제 2 안테나를 통해 제 3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 1 안테나는 통해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2 유닛으로 전송하고, 제 2 안테나를 통해 제 2 데이터를 제 3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 1 안테나를 통해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2 유닛으로 전송하고,
    제 2 안테나를 통해 제 3 데이터를 제 3 유닛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제 1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제 2 유닛으로 복수 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제 1 데이터를 제 1 안테나 내지 제 4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2 유닛으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1 데이터를 복수회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제 1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데이터를 제 2 유닛으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 1 안테나를 통해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2 유닛으로 전송하고, 제 2 안테나를 통해 제 2 데이터를 상기 제 2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안테나의 길이, 거리에 따른 신호손실, 투과 층수에 따른 층간 손실에 대응하여 설정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소출력 무선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대역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유닛의 설치위치 및 설치국가에 대응하여 400Mhz 대역 및 900Mhz 대역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연결부; 및
    상기 복수의 안테나연결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유닛과 연결되는 메인커넥터;
    상기 유닛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크기로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변환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유닛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통신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CT/KR2018/012985 2017-10-30 2018-10-30 공기조화기 WO20190886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874051.8A EP3705798A4 (en) 2017-10-30 2018-10-30 AIR CONDITIONER
US16/760,129 US11493223B2 (en) 2017-10-30 2018-10-30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582 2017-10-30
KR1020170142582A KR102411200B1 (ko) 2017-10-30 2017-10-30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639A1 true WO2019088639A1 (ko) 2019-05-09

Family

ID=6633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2985 WO2019088639A1 (ko) 2017-10-30 2018-10-30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93223B2 (ko)
EP (1) EP3705798A4 (ko)
KR (1) KR102411200B1 (ko)
WO (1) WO2019088639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6883A (ja) 2005-05-31 2006-12-14 Daikin Ind Ltd 空調機
KR20130045747A (ko) * 2011-10-26 2013-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4003483A (ja) * 2012-06-19 2014-01-09 Sharp Corp 送信装置、表示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20140129779A (ko) * 2013-04-30 2014-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CN204063466U (zh) * 2014-10-24 2014-12-31 刘子曼 空调控制系统
KR20160004712A (ko) * 2014-07-04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4810B2 (ja) * 1991-02-21 2001-03-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950003465Y1 (ko) * 1992-09-28 1995-05-02 성기설 회로차단기의 절연판
US6141356A (en) 1997-11-10 2000-10-31 Amerite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voice and data information over wireless and wireline networks
SG91835A1 (en) 1999-02-26 2002-10-15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module and initialization method for multi-air conditioner system
JP3443094B2 (ja) 2000-12-27 2003-09-02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4273760B2 (ja) 2002-12-17 2009-06-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通信ネットワーク
US20060082489A1 (en) 2004-10-15 2006-04-20 Liu Jiewen J Radar presence alert for WLAN
US7634194B2 (en) 2006-06-05 2009-12-15 Ciena Corporation Multi-channel protection switching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ed reliability and reduced cost
JP4138831B2 (ja) 2006-09-19 2008-08-27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79842B1 (ko) 2009-02-09 201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통신방법
KR20100123486A (ko) 2009-05-15 201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61940B1 (ko) 2009-10-13 2011-09-05 주식회사 해빛솔루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다기능 hci이동 통신 단말기 및 hci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방법
US8526935B2 (en) 2009-12-15 2013-09-03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demand response antenna design for improved gain within the home appliance network
KR101277212B1 (ko) * 2010-03-29 2013-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관 통신 장치, 이를 포함한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배관 통신 방법
US8385387B2 (en) 2010-05-20 2013-02-26 Harris Corporation Time dependent equalization of frequency domain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ing decision feedback equalization
JP2012039407A (ja) * 2010-08-06 2012-02-2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空調制御システム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US20120057651A1 (en) 2010-09-08 2012-03-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294305B1 (ko) 2011-01-21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앙 관제 시스템 및 이의 관제점 설정 방법
US9194897B2 (en) 2011-03-10 2015-11-2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onic watt-hour meter and electronic watt-hour measuring method
US8989102B2 (en) 2011-04-26 2015-03-24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low power wireless networks
KR20130026353A (ko) 2011-09-05 2013-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1442955B1 (ko) 2013-02-01 2014-09-23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쇼케이스 시스템 및 그의 통신 어드레스 설정 방법
US10359791B2 (en) * 2013-02-07 2019-07-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building component of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9642146B2 (en) 2013-06-05 2017-05-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n agile wireless access network
KR102140069B1 (ko) * 2013-11-07 2020-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06684B1 (ko) * 2014-01-27 2014-06-17 (주) 이콘테크 무선랜을 이용한 팬코일 유닛의 원격제어 시스템
JP6359423B2 (ja) * 2014-10-24 2018-07-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の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及び空調システムの制御装置の異常判定方法
KR101655797B1 (ko) 2014-11-21 201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0433347B2 (en) 2015-01-30 2019-10-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providing carrier selection and related network nodes
US9866252B2 (en) 2015-04-22 2018-01-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015259B1 (en) 2015-04-27 2018-07-03 Los Alamos National Security, Llc Deployable sensor system using mesh networking and satellite communication
KR102329730B1 (ko) * 2015-06-08 202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빔 정보 및 채널 품질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9807619B2 (en) 2015-08-04 2017-10-31 Network Performance Research Group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e of simultaneous multiple channels in the dynamic frequency selection band in wireless networks
KR102386389B1 (ko) * 2015-10-05 2022-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16507B1 (ko) * 2016-02-18 2022-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US10638326B2 (en) 2016-02-19 2020-04-2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Long term evolution (LTE) system operating in an unlicensed spectral band with active network discovery and optimization of the unlicensed channels
JP6299785B2 (ja) * 2016-02-19 2018-03-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KR102468952B1 (ko) * 2016-03-07 202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644746B2 (en) 2016-04-29 2020-05-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seudo channel hopping using scan dwell times in mesh networks without time synchronization
KR101970666B1 (ko) * 2016-06-20 201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이의 통신방법
US20180166794A1 (en) 2016-12-14 2018-06-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2d-mimo radar antenna array geometry and design method
KR102341820B1 (ko) 2017-05-26 2021-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79278B1 (ko) 2017-09-28 2019-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6883A (ja) 2005-05-31 2006-12-14 Daikin Ind Ltd 空調機
KR20130045747A (ko) * 2011-10-26 2013-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4003483A (ja) * 2012-06-19 2014-01-09 Sharp Corp 送信装置、表示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20140129779A (ko) * 2013-04-30 2014-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20160004712A (ko) * 2014-07-04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CN204063466U (zh) * 2014-10-24 2014-12-31 刘子曼 空调控制系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705798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56579A1 (en) 2020-08-13
KR102411200B1 (ko) 2022-06-17
KR20190048076A (ko) 2019-05-09
EP3705798A4 (en) 2021-08-11
US11493223B2 (en) 2022-11-08
EP3705798A1 (en)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69305A1 (ko) 공기조화기
WO2018174512A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20193437A1 (en) Wireless thermostat adapter system
WO2019088639A1 (ko) 공기조화기
KR10239360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0240809B1 (en) Wireless condenser controller
KR101275561B1 (ko) 기지국의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5051728A (ja) 負荷制御システム
WO2020145729A1 (ko) 공기조화기
JP4333995B2 (ja) 空気調和機
KR10206363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001215045A (ja) 空気調和装置
JPH1144447A (ja) 空調制御システム
KR102169277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JP2001091026A (ja) 空気調和装置
KR102000069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4306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3948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WO2024070492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空気調和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3329293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8010551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11252135A (ja) 分散処理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分散処理ネットワークの通信制御方法
JP2005249337A (ja) 冷凍・空調装置、冷凍・空調装置の制御方法
CN107228460A (zh) 新风净化器的一点多址无线通讯系统及其通讯方法
KR20030031429A (ko) 공기 조화 장치의 어드레스 절환 방법 및 공기 조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740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740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