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74280A1 -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측위 주기 조절 - Google Patents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측위 주기 조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74280A1
WO2019074280A1 PCT/KR2018/011927 KR2018011927W WO2019074280A1 WO 2019074280 A1 WO2019074280 A1 WO 2019074280A1 KR 2018011927 W KR2018011927 W KR 2018011927W WO 2019074280 A1 WO2019074280 A1 WO 201907428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positioning
adjusting
period
positioning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192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노현구
차지훈
주영현
김정희
박기석
Original Assignee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907428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7428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Definitions

  • the description below relates to a technique for adjusting the positioning period.
  •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cked to provide various location based service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 mobile termi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while exchang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tracked from a relationship with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23680 (registered May 23, 2007) discloses a technique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GPS i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 a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a positioning cycle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re provided.
  •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adjusting a positioning period in a server comprising: determining a movement type of a user of the mobile device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of the mobile device; And adjusting the positioning period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movement type of the user.
  • the motion type may be classified through pattern learning on an output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 the determining step may determine the movement type by receiving an output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from the mobile device.
  • the determining includes receiving information on a motion type determined through the output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from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 the movement type is divided into a walking state, a vehicle movement state, and a stop state
  • the adjusting step includes positioning the mobile device in a default cycle without positioning the mobile device in the stop state; And a period shorter than the default period in the case of the walking state and the vehicle movement state.
  •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sitioning peri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n AP (access point) based positioning value of the mobile device is in the same place as a previous positioning location, And the adjusting step includes positioning the mobile device in a default period or not when the mobile device is in the same place as the previous positioning place.
  • the positioning period adjustment method further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o accompany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location adjacency with at least one other mobile device associated with the mobile device, And adjusting the positioning period of either the mobile device or the other mobile device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device or not.
  •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accompany the mobile device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o accompany the mobile device using the search result of the peripheral device of the mobile device.
  •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accompany the mobile device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mobile device using the similarity of an access point (AP) based positioning value between the mobile device and the other mobile device .
  • AP access point
  •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accompany the mobile device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device is traveling with the other mobile device by using the distance of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other mobile device.
  • the step of controlling the positioning period of either the mobile device or the other mobile device includes the step of sharing the positioning value with the remaining one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other mobile device .
  • the adjusting step includes clustering the positioning period of the mobile device by time zone or location.
  •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positioning period adjusting method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positioning period adjusting method.
  • a positioning cycle adjustment system in a computer-implemented server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execute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contained in a memory, the at least one processor comprising: A motion determiner for determining a motion type of a user of the mobile device; And a positioning control unit for adjusting a positioning period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movement type of the user.
  • battery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by dividing the behavior of the user based on the pattern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adjusting the positioning cycle in accordance with the behavior of the user.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mponents that a processor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that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 5 to 7 show examples of acceleration sensor output values for each motion typ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user of a mobile device and a user of another mobile device are traveling togeth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shows an example of a positio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junction with another mobile device.
  • 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a processor of a mobile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adjusting a position measurement period of a 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capable of adjusting a positioning period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 Embodiments including those specifically disclosed herein can adjust the positioning period by predicting the user's behavior in the pattern of the acceleration sensor, thereby achieving significant advantages in terms of battery management, cost reduction, efficiency, and the like.
  •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140, a plurality of servers 150, 160, and a network 170 are included. 1, th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and the number of servers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
  •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140 may be a fixed terminal implemented as a computer device or a mobile terminal.
  • Examples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include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navigation device, a computer, a notebook, a digital broadcast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 A tablet PC, a game console, a wearable device, a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a virtual reality (VR) device, and an augmented reality (AR) device.
  • FIG. 1 illustrates the shape of a smartphone as an example of the first electronic device 110, but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nic device 110 transmits the network 170 using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
  • any of a variety of physical computer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120, 130, 140 and / or servers 150 any of a variety of physical computer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120, 130, 140 and / or servers 150,
  • the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d Internet, a wireless Internet, a broadcasting network, a satellite network, etc.) .
  • the network 170 may be a personal area network (L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campus area network (C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the like.
  • the network 170 may also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network topology including a bus network, a star network, a ring network, a mesh network, a star-bus network, a tree or a hierarchical network, It is not limited.
  • Each of the servers 150 and 160 is a computer device or a plurality of computers that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through a network 170 to provide commands, codes, files, Lt; / RTI > devices.
  • the server 150 may be a system that provides a first service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140 connected through a network 170, 170, and 140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respectively.
  • the server 150 may provide a service (for example, a location-based service or the like) for a corresponding application through an application as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i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To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as a first service.
  • the server 160 may provide a service for distributing a file for installing and running the application to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as a second service.
  •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 (110) and the server 150 as an example of the electronic device. Other electronic devices 120, 130, 140 and server 160 may also have the same or similar internal configuration as electronic device 1 110 or server 150 described above.
  • the electronic device 1 110 and the server 150 may include memories 211 and 221, processors 212 and 222, communication modules 213 and 223 and input / output interfaces 214 and 224.
  • the memories 211 and 221 ar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and can be used to store non-transient computer readable media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disk drive, solid state drive (SSD), flash memory And may include a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
  • the non-decaying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ROM, an SSD, a flash memory, a disk drive, or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10 or the server 150 as a separate persistent storage device separate from the memories 211 and 221.
  • the memory 211 and the memory 221 are provided with an operating system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for example, a program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1 (110) and used for a browser or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1 Code) can be stored.
  • 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from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ies 211 and 221.
  •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 / CD-ROM drive, and a memory card.
  • th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memory 211, 221 via communication modules 213, 223 rather tha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At least one program may be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by files provided by a file distribution system (e.g., the server 160 described above) that distributes installation files of developers or application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211, 221 based on the application (e.g., the application described above).
  • a file distribution system e.g., the server 160 described above
  • the application e.g., the application described above.
  • Processors 212 and 222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instruction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basic arithmetic, logic, and input / output operations.
  • the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processors 212 and 222 by the memories 211 and 221 or the communication modules 213 and 223.
  • the processor 212, 222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a command received in accordance with a program cod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memory 211, 221.
  • the communication modules 213 and 223 may provide functions for the electronic device 1 110 and the server 15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170 and may be provided to the electronic device 1 110 and / May provide a function for communicating with another electronic device (e.g., electronic device 2 120) or another server (e.g., server 160).
  • another electronic device e.g., electronic device 2 120
  • another server e.g., server 160
  • the request generated by the processor 212 of the electronic device 1 110 according to the program code stored in the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memory 211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170 via the network 170 under the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module 213 150 < / RTI > Conversely, control signals, commands, contents, files, and the like provided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22 of the server 150 ar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23 of the electronic device 110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223 and the network 170 213 to the electronic device 1 (110).
  • control signals, commands, contents, files, and the like of the server 150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13 can b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212 or the memory 211, (The above-mentioned persistent storage device), which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medium 110.
  •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14 may be a means for interfacing with the input / output device 215.
  • 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keyboard, a mouse, a microphone, a camera, and the like
  • the out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display, a speaker, a haptic feedback device
  •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14 may be a means for interfacing with a device having integrated functions for input and output, such as a touch screen.
  • the input / output device 215 may be composed of the electronic device 1 (110) and one device.
  •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24 of the server 150 may be a means for interfacing with the server 150 or an interface with a device (not shown) for input or output that the server 150 may include.
  • the configu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data provided by the server 150 or the electronic device 2 (120)
  • a service screen or content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14.
  • electronic device 1 110 and server 150 may include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of FIG. However, there is no need to clearly illustrate most prior art components.
  • electronic device 1 11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input / output devices 215 described above, or may be implemented with other components such as a transceiver,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camera, Elements. More specifically, when the electronic device 1 (110) is a smart phone, the acceleration sensor, the gyro sensor, the camera module, various physical buttons, buttons using a touch panel, input / output ports, A vibrator,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 (110).
  •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all mobile devices requiring positioning such as smart phones, wearable devices such as a smart watch, VR devices, and AR devices are targeted.
  • Mobile devices have limited battery capacity, which means they consume a lot of battery power if they are constantly positioned. 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ing cycle of the mobile device can be adjusted by analogizing the behavior of the user, thereby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of the mobile device.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mponents that a server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that a server can perfor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rver 150 serves as a platform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to a mobile devic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do. At this time, the server 150 can provide the location-based service through positioning of the mobile device in cooperation with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
  • the processor 222 of the server 150 includes a motion determination unit 310, a movement determination unit 320, a coincidence determination unit 320, (330), and a positioning control unit (340).
  • the components of processor 222 may optionally be included or excluded from processor 222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 the components of the processor 222 may be separate or merged for the representation of the functionality of the processor 222.
  • the processor 222 and the components of the processor 222 may control the server 150 to perform the steps S410 to S450 included in the positioning period adjustment method of FIG.
  • the components of processor 222 and processor 222 may be implemented to execute instru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ode of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code of at least one program that memory 221 contains.
  • processor 222 may be representations of different functions of processor 222 performed by processor 222 in accordance with instructions provided by the program code stored in server 150 .
  • the motion determiner 310 may be used as a functional representation of the processor 222 that controls the server 150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s described above, such that the server 150 determines the type of motion of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
  • step S410 the processor 222 can read the necessary commands from the loaded memory 221 with instruction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server 150.
  • the read command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the processor 222 to execute the steps (S420 to S450) to be described later.
  • the motion determiner 310 may determine the motion type of the mobile device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mobile device.
  • a movement of a mobile device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ypes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for example, a walk, a motorized, and a non-move. This is to change the positioning period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type of movement, for example, to apply the positioning period long when there is no movement and to shorten the positioning period when there is movement.
  • the acceleration sensor is a means for detecting a motion state of a user who possesses a mobile device. For example,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that senses an acceleration applied to three coordinates of the x, y, and z axes may be used.
  • FIG. 5 shows an example of an acceleration sensor output value in a non-moving state in which a user of the mobile device stays in a seat or the like
  • 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aboard a moving object such as a bus
  • FIG. 7 shows an example of the acceleration sensor output value in a state where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is walking.
  • the motion determiner 310 may determine the current motion type of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received acceleration sensor output value after receiving the acceleration sensor output value from the mobile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movement type of the user by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output value of the mobile device directly by the motion determiner 310 of the server 150 side.
  • the motion determination unit 310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motion type in the applic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application on the mobile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type of movement of the mobile device.
  • the movement determining unit 320 may determine whether movement is within the same place by using the similarity of an AP (access point) based positioning value of the mobile device.
  • the movement determiner 320 may compare the current AP-based positioning value of the mobile device with the previous positioning value, and determine whether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at the same place as the previous positioning loc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al value similarity. This is to avoid repeating the unnecessary positioning when the user is walking while walking in the same place (for example, when walking in the classroom, etc.) as the same place.
  • the movement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AP-based positioning value of the mobile device is in the same place as the previous positioning position when the current AP-based positioning value is similar to the previous positioning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
  • the similarity of the AP positioning values is used to determine the movement in the same plac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also possible to use indoor positioning techniques.
  • the coincidence determining unit 330 may determine whether to accompany the mobile device with at least one other mobile device related to the mobile device.
  • the coincidence judgment unit 330 judges whether or not a user of the mobile device coexists with a user of another mobile device set in advance. For example, the coincidence judgment unit 330 judges whether a wearer wearing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and a guardian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it is accompanied. This means that if both the guardian and the protected person are together, one of the two persons is not to be positioned but to share the position of another person.
  • the travel determiner 330 searches for a Bluetooth device (S801).
  • the coincidence judging unit 330 can request a peripheral device search using a mobile device. If the mobile device determines that there is another mobile device previously set through a peripheral device search based on BT (bluetooth) / BLE (Bluetooth low energy) And can provide a search result as to whether or not.
  • the coincidence determining unit 330 may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device is in contact with another mobile device using the similarity of the AP-based positioning values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other mobile devices (S802).
  • the coincidence determining unit 330 receives the AP-based positioning value including the MAC address and the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AP from the mobile device and the other mobile devices, and calculates a cosine distance for the two positioning values The similarity of the AP-based positioning values can be obtained.
  • the coincidence determining unit 330 may determine whether to accompany the mobile device to another mobile device by using the coordinates of the mobile device (S803).
  • the travel determination unit 330 receives the positional / longitudinal coordinate values from the mobile device and the other mobile devices via GPS, .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is accompanied by the user of the other mobile device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three methods (S801 to S803) and to use all three methods for accuracy.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a known technique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adjacency between mobile device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 the positioning control unit 340 may adjust the positioning period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vement type in step S420. For example, if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is in a stationary state, the positioning control unit 340 does not perform positioning of the mobile device or is positioned in a default period (for example, 30 minutes) And perform positioning of the mobile device with a period (e.g., 3 minutes). In the case of the walking state and the moving state of the vehicle, the positioning period can be adjusted differently, and the positioning period of the vehicle moving state is set shorter than the walking state.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is walking, it is positioned every five minutes, and when the vehicle is moving, it can be positioned every two minutes.
  • the positioning control unit 340 may adjust the positioning period of the mobile device in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same location is determined in step S430. In other words, the positioning control unit 340 does not perform the positioning of the mobile device when positioning is determined to be in the same place as the previous positioning position even if the user is walking, or it is positioned at the default period.
  • the positioning control unit 340 may adjust the positioning period of any one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other mobile devices according to whether it is accompanied with at least one other mobile device related to the mobile device determined in step S440.
  • the positioning control module 340 may share another positioning without being positioned in either of them.
  • the server 150 can detect that the protected person 920
  • the positioning of the smartphone 911 having a battery capacity larger than that of the wearable 921 is not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wearable 921 of the smartphone 911 and the positioning value of the smartphone 911 is set to the guardian 910 and the guardian 920 .
  • the positioning control unit 340 of the server 150 may record the positioning value of the guardian 910 to the position of the guardian 920 as well as the guardian 910 in order to manage the history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Furthermore, the positioning control unit 340 may use clustering to prevent frequent changing of the positioning period of the mobile device. For example, the positioning control unit 340 clusters the positioning period of the mobile devic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type of the mobile device, whether the mobile device is in the same place or not, with the other mobile device, Can be adjusted.
  • the server 150 determines the movement type (walking, vehicle movement, and non-movement) of the user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mobile device in positioning the mobile device to provide the location-based service, The positioning period of the mobile device can be adjusted.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is walking in the same place, the server 150 may not perform positioning or may rarely be positioned in the default period. In addition, when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user of another mobile device set in advance are present together, the server 150 may share one positioning value with respect to only one of two users as the position value of the two users.
  • the server 150 performs the positioning of the mobile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entire operation including the determination of the movement type, the determination of the same place, Lt; / RTI >
  • the mobile device determines the movement type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device is in the same place and / or the same with the movement type, and adjusts the positioning perio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 the measured positioning data such as the AP MAC address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150.
  • the processor 212 of the mobile device e.g.,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1 1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may be used as a component for performing the positioning period adjusting method according to FIG. 10, a movement determination unit 1010, a movement determination unit 1020, a travel determination unit 1030, and a positioning control unit 1040 may be included.
  • the battery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by classifying the behavior of the user based on the pattern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adjusting the positioning cycle in accordance with the behavior of the user.
  • 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 programmable logic unit,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 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embodied in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for interpretation by a processing device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have.
  •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 the medium may be a program that continuously stores a computer executable program, or temporarily stores the program for execution or downloading.
  • the medium may be a variety of recording means or storage means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a single hardware or a plurality of hardware, but is not limited to a medium directly connected to any computer system, but may be dispersed on a network.
  • the medium examples include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CD-ROM and DVD,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tical disk, And program instructions including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 a recording medium or a storage medium that is managed by a site or a server that supplies or distributes an application store or various other software is also enum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측위 주기 조절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에서의 측위 주기 조절 방법은,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의 움직임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유형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위 주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측위 주기 조절
아래의 설명은 측위 주기를 조절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동 통신망 내에서 이동 중인 단말기는 복수의 기지국들과 고유 식별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통신하게 되는데, 복수의 기지국들과의 관계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최근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경제성 및 유용성으로 인해 급속도로 확장되어 현재에 이르러 가장 일반적인 항법 시스템으로 자리잡고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23680호(등록일 2007년 05월 23일)에는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위 주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행동을 유추하여 측위 주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에서의 측위 주기 조절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의 움직임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유형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위 주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위 주기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움직임 유형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에 대한 패턴 학습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을 전달 받아 상기 움직임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을 통해 판단된 움직임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움직임 유형은 걷는 상태와 차량이동 상태 및 정지 상태로 구분되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정지 상태의 경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위를 하지 않거나 디폴트 주기로 측위하는 단계; 및 상기 걷는 상태와 상기 차량이동 상태의 경우 상기 디폴트 주기보다 짧은 주기로 측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측위 주기 조절 방법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AP(access point) 기반 측위값을 이전 측위값과 비교한 유사도에 따라 이전 측위 장소와 동일 장소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 측위 장소와 동일 장소에 있는 경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위를 하지 않거나 디폴트 주기로 측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측위 주기 조절 방법은, 상기 모바일 기기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위치 인접성에 따른 동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 여부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측위 주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동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주변 기기 탐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동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의 AP(access point) 기반 측위값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동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의 위치 좌표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측위 주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 중 어느 하나를 측위하여 해당 측위값을 나머지와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위 주기를 시간대나 위치 별로 클러스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측위 주기 조절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측위 주기 조절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에서의 측위 주기 조절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의 움직임 유형을 판단하는 움직임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유형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위 주기를 조절하는 측위 제어부를 포함하는, 측위 주기 조절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속도 센서의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구분하고 사용자의 행동에 대응하여 측위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움직임 유형 별 가속도 센서 출력값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와 다른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의 동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에 따른 측위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위치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위 주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가속도 센서의 패턴으로 사용자의 행동을 예측하여 측위 주기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배터리 관리, 비용 절감, 효율성 등의 측면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들을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 1(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은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서버(160) 역시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150)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위치 기반 서비스 등)를 제1 서비스로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6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배포하는 서비스를 제2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 1(110), 그리고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상술한 전자 기기 1(110) 또는 서버(150)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1, 221)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전자 기기 1(110)이나 서버(1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 1(110) 및/또는 서버(150)가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 2(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 1(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 1(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15)는 전자 기기 1(11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5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4)는 서버(150)와 연결되거나 서버(150)가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 1(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기반 기술로서 모바일 기기의 측위 주기를 조절하는 기술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smart watch)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VR 디바이스, AR 디바이스 등 측위가 요구되는 모든 모바일 기기를 대상으로 한다.
모바일 기기의 경우 한정적인 배터리 용량을 가지고 있어 지속적으로 측위를 할 경우 배터리 소모가 심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행동을 유추하여 모바일 기기의 측위 주기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150)는 클라이언트(client)인 모바일 기기(예를 들어,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중 적어도 하나)를 대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이때, 서버(150)는 모바일 기기 상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모바일 기기의 측위를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50)의 프로세서(222)는 도 4에 따른 측위 주기 조절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판단부(310), 이동 판단부(320), 동행 판단부(330), 및 측위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2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2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측위 주기 조절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410 내지 S450)을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2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서버(15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222)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가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의 움직임 유형을 판단하도록 상술한 명령에 따라 서버(15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22)의 기능적 표현으로서 움직임 판단부(310)가 이용될 수 있다.
단계(S410)에서 프로세서(222)는 서버(15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21)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드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드린 명령은 프로세서(222)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S420 내지 S450)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움직임 판단부(310)는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의 움직임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의 움직임을 복수 개의 유형, 예를 들어 걷기(walk), 차량이동(motorized), 비이동(정지)(non-mov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움직임의 유형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측위 주기를 달리 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움직임이 없을 때 측위 주기를 길게 적용하고 움직임이 있을 때 측위 주기를 짧게 적용하기 위함이다. 가속도 센서는 모바일 기기를 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례로 x, y, z축의 3좌표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감지하는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3축 가속도 센서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등 움직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기 공지된 기술의 센서를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착석 상태 등 한 자리에 머물러 있는 비 이동 상태에서의 가속도 센서 출력값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버스, 지하철, 자동차 등의 이동체에 탑승하여 이동하고 있는 차량 이동 상태에서의 가속도 센서 출력값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걷는 상태에서의 가속도 센서 출력값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취하고 있는 움직임의 유형에 따라 가속도 센서 출력값의 패턴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이러한 가속도 센서의 패턴을 학습함으로써 움직임의 유형을 걷는 상태, 차량이동 상태, 정지 상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움직임 판단부(310)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가속도 센서 출력값을 전달 받은 후 전달 받은 가속도 센서 출력값을 통해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유형을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서버(150) 측의 움직임 판단부(310)에서 직접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 센서 출력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유형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른 예로는 모바일 기기 상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 센서 출력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 유형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서버(150)로 전달함으로써 움직임 판단부(310)에서 모바일 기기 상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판단된 움직임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는 형태로 모바일 기기의 움직임 유형을 판단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다시 도 4에서, 단계(S430)에서 이동 판단부(320)는 모바일 기기의 AP(access point) 기반 측위값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동일 장소 내 이동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동 판단부(320)는 모바일 기기의 현재 AP 기반 측위값을 이전 측위값과 비교하여 측위값 유사도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이전 측위 장소와 같은 장소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걷는 중이더라도 같은 장소에서 걷고 있을 때(예를 들어, 교실 안에서 걷고 있을 때 등)는 동일한 장소로 판단하여 불필요한 측위를 반복하지 않기 위함이다. 이동 판단부(320)는 사용자의 움직임 유형이 걷는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모바일 기기의 현재 AP 기반 측위값이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서 이전 측위값과 유사한 경우 이전 측위 장소와 같은 장소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같은 장소 내에서의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해 AP 측위값의 유사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비콘(beacon) 등 기 공지된 실내 측위(indoor positioning) 기술을 이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단계(S440)에서 동행 판단부(330)는 모바일 기기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행 판단부(330)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와 사전에 설정된 다른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함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피보호자와 스마트폰을 소지한 보호자의 동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보호자와 피보호자가 같이 있는 경우 두 사람 중 한 사람은 측위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측위를 공유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 용량이 작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측위를 하지 않고 배터리 용량이 비교적 큰 스마트폰의 측위를 통해 보호자와 피보호자에 대한 위치로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와 다른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의 동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로, 동행 판단부(330)는 모바일 기기의 블루투스 탐색 결과를 이용하여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01). 동행 판단부(330)는 모바일 기기로 주변 기기 검색을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모바일 기기에서는 BT(bluetooth)/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 등에 기반한 주변 기기 검색을 통해 사전에 설정된 다른 모바일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탐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동행 판단부(330)는 모바일 기기와 다른 모바일 기기의 AP 기반 측위값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02). 동행 판단부(330)는 모바일 기기와 다른 모바일 기기 각각으로부터 AP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와 수신 세기 정보를 포함한 AP 기반 측위값을 수신하여 두 측위값에 대한 코사인 디스턴스(cosine distance)를 산출함으로써 AP 기반 측위값의 유사도를 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동행 판단부(330)는 모바일 기기와 다른 모바일 기기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03). 예를 들어, 동행 판단부(330)는 모바일 기기와 다른 모바일 기기 각각으로부터 GPS를 통한 위/경도 좌표 값을 수신하여 두 좌표 값의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인 경우 다른 모바일 기기와 동행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세 가지 방법(S801~S80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와 다른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의 동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정확성을 위해 세 가지 방법을 모두 이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한 방법 이외에도 모바일 기기 간의 위치 인접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 공지된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4에서, 단계(S450)에서 측위 제어부(340)는 단계(S420)에서 판단된 움직임 유형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측위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측위 제어부(340)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 모바일 기기의 측위를 하지 않거나 디폴트 주기(예컨대, 30분)로 측위하고 걷는 상태나 차량이동 상태에 있는 경우 디폴트 주기 보다 짧은 주기(예컨대, 3분)로 모바일 기기의 측위를 수행할 수 있다. 걷는 상태와 차량이동 상태의 경우에도 측위 주기를 다르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걷는 상태보다 차량이동 상태의 측위 주기가 짧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걷고 있을 때는 5분마다 측위하고 차량이동 시에는 2분마다 측위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걷는 중이더라도 같은 장소에서 걷고 있을 때는 동일한 장소로 판단하여 불필요한 측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측위 제어부(340)는 움직임 유형이 걷는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S430)에서 판단된 동일 장소 여부를 고려하여 모바일 기기의 측위 주기를 다시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측위 제어부(340)는 사용자가 걷고 있더라도 이전 측위 장소와 동일한 장소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기기의 측위를 수행하지 않거나 디폴트 주기로 측위한다. 그리고, 측위 제어부(340)는 단계(S440)에서 판단된 모바일 기기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 여부에 따라 모바일 기기와 다른 모바일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측위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측위 제어부(340)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와 사전에 설정된 다른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함께 있는 경우 둘 중 하나에서 측위하지 않고 다른 하나의 측위를 공유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보호자(910)가 스마트폰(911)을 소지하고 있고 보호자(910)와 함께 있는 피보호자(92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921)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서버(150)는 피보호자(920)의 웨어러블(921)에 대해 측위하지 않고 웨어러블(921)에 비해 배터리 용량이 큰 스마트폰(911)의 측위를 수행하여 보호자(910)와 피보호자(920)에 대해 스마트폰(911)의 측위값을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서버(150) 측의 측위 제어부(340)는 위치 기반 서비스의 히스토리 관리를 위해 보호자(910)의 측위값을 보호자(910)는 물론 피보호자(920)의 위치로 기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측위 제어부(340)는 모바일 기기의 측위 주기를 빈번하게 바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측위 제어부(340)는 모바일 기기의 움직임 유형, 동일 장소 여부,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 여부에 따라 조절된 모바일 기기의 측위 주기를 시간대 또는 위치 별로 클러스터링 하여 클러스터의 평균치로 해당 시간대나 위치에서의 측위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50)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모바일 기기의 측위를 수행함에 있어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유형(걷기, 차량이동, 비이동)을 판단하고 움직임 유형에 맞게 모바일 기기의 측위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서버(150)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동일한 장소에서 걷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측위하지 않거나 디폴트 주기로 드물게 측위할 수 있다. 또한, 서버(150)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와 사전에 설정된 다른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함께 있는 경우 둘 중 하나만 측위하여 하나의 측위값을 두 사용자의 위치값으로 공유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서버(150)에서 모바일 기기의 측위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움직임 유형 판단, 동일 장소 여부 판단, 동행 여부 판단, 및 측위 주기 조절 등을 포함한 측위 전반의 동작이 모바일 기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기기 내에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임 유형을 판단하고 움직임 유형과 아울러 동일 장소 여부 및/또는 동행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한 판단 결과를 바탕으로 측위 주기를 조절하게 되며, 모바일 기기에서 측위된 결과와 측정된 AP 맥 어드레스 등의 측위 데이터가 서버(150)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기기(예컨대, 도 1과 도 2를 통해 설명한 전자 기기 1(110)과 대응됨)의 프로세서(212)는 상기한 도 4에 따른 측위 주기 조절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판단부(1010), 이동 판단부(1020), 동행 판단부(1030), 및 측위 제어부(10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속도 센서의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구분하고 사용자의 행동에 대응하여 측위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에서의 측위 주기 조절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의 움직임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유형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위 주기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측위 주기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유형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에 대한 패턴 학습을 통해 구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주기 조절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을 전달 받아 상기 움직임 유형을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주기 조절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을 통해 판단된 움직임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측위 주기 조절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유형은 걷는 상태와 차량이동 상태 및 정지 상태로 구분되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정지 상태의 경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위를 하지 않거나 디폴트 주기로 측위하는 단계; 및
    상기 걷는 상태와 상기 차량이동 상태의 경우 상기 디폴트 주기보다 짧은 주기로 측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측위 주기 조절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주기 조절 방법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AP(access point) 기반 측위값을 이전 측위값과 비교한 유사도에 따라 이전 측위 장소와 동일 장소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 측위 장소와 동일 장소에 있는 경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위를 하지 않거나 디폴트 주기로 측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측위 주기 조절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주기 조절 방법은,
    상기 모바일 기기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위치 인접성에 따른 동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 여부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측위 주기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측위 주기 조절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주변 기기 탐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측위 주기 조절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의 AP(access point) 기반 측위값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측위 주기 조절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의 위치 좌표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측위 주기 조절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측위 주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 중 어느 하나를 측위하여 해당 측위값을 나머지와 공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측위 주기 조절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위 주기를 시간대나 위치 별로 클러스터링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측위 주기 조절 방법.
  13. 제1항의 측위 주기 조절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4.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에서의 측위 주기 조절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의 움직임 유형을 판단하는 움직임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유형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위 주기를 조절하는 측위 제어부
    를 포함하는, 측위 주기 조절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유형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에 대한 패턴 학습을 통해 구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주기 조절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유형은 걷는 상태와 차량이동 상태 및 정지 상태로 구분되고,
    상기 측위 제어부는,
    상기 정지 상태의 경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위를 하지 않거나 디폴트 주기로 측위하고,
    상기 걷는 상태와 상기 차량이동 상태의 경우 상기 디폴트 주기보다 짧은 주기로 측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주기 조절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AP(access point) 기반 측위값을 이전 측위값과 비교한 유사도에 따라 이전 측위 장소와 동일 장소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판단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위 제어부는,
    상기 이전 측위 장소와 동일 장소에 있는 경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위를 하지 않거나 디폴트 주기로 측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주기 조절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기기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위치 인접성에 따른 동행 여부를 판단하는 동행 판단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위 제어부는,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 여부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측위 주기를 조절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주기 조절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행 판단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주변 기기 탐색 결과와,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의 AP(access point) 기반 측위값의 유사도, 및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의 위치 좌표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모바일 기기와의 동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주기 조절 시스템.
PCT/KR2018/011927 2017-10-13 2018-10-11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측위 주기 조절 WO201907428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220 2017-10-13
KR1020170133220A KR102097465B1 (ko) 2017-10-13 2017-10-13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측위 주기 조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4280A1 true WO2019074280A1 (ko) 2019-04-18

Family

ID=66101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1927 WO2019074280A1 (ko) 2017-10-13 2018-10-11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측위 주기 조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7465B1 (ko)
WO (1) WO20190742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1478A (zh) * 2020-08-20 2021-04-30 浙江利尔达物芯科技有限公司 一种定位终端低功耗运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3613A (ko) * 2021-09-24 2023-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343A (ko) * 2010-03-08 2011-09-16 한국과학기술원 이동단말기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위치값 인식 업데이트 주기 조절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20049595A (ko) * 2010-11-09 2012-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황인지기술을 기반으로 지역 서비스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장치 및 휴대용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20140094147A (ko) * 2013-01-21 2014-07-30 네무스텍(주)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gps 전력 사용량 절감 방법
KR20170010593A (ko) * 2015-07-20 2017-02-01 아이데카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170024869A (ko) * 2015-08-26 2017-03-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 탐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5842A (ja) * 2012-12-10 2014-06-26 Ricoh Co Ltd コンテンツ管理サーバ、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KR102209523B1 (ko) * 2014-08-14 2021-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측위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343A (ko) * 2010-03-08 2011-09-16 한국과학기술원 이동단말기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위치값 인식 업데이트 주기 조절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20049595A (ko) * 2010-11-09 2012-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황인지기술을 기반으로 지역 서비스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장치 및 휴대용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20140094147A (ko) * 2013-01-21 2014-07-30 네무스텍(주)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gps 전력 사용량 절감 방법
KR20170010593A (ko) * 2015-07-20 2017-02-01 아이데카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170024869A (ko) * 2015-08-26 2017-03-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 탐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1478A (zh) * 2020-08-20 2021-04-30 浙江利尔达物芯科技有限公司 一种定位终端低功耗运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465B1 (ko) 2020-04-07
KR20190041695A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83647A1 (en) Venue-based real-time crowd modeling and forecasting
WO201815144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for determining orientation of the device
WO2016208838A1 (ko) 실내 측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A3073457A1 (en)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2144833A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nd using location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CN107534949B (zh) 一种室内定位方法及设备
KR10259490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
US11194781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pdating geomagnetic information
WO2019235653A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근처 지인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21913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ata relating to a target to a mobile device
US20160366547A1 (en) Locating devices by correlating time series datasets
WO2019240452A1 (ko) 실 공간에서 관심지점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 및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090248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based command and control of targets in wireless network
CN107803030B (zh) 用于虚拟地图上资源据点的刷新方法及装置
US10274323B1 (en) Method and system of pedestrian localization
EP3291617B1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US10257658B1 (en) Self-learning localization data repository
WO2014178693A1 (ko)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WO2019074280A1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측위 주기 조절
CN108917766B (zh) 一种导航方法和移动终端
WO2021125578A1 (ko) 시각 정보 처리 기반의 위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44101A (ko) 제스처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간 관계를 설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90199A (ko) 무선 신호를 이용한 실내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WO2019156263A1 (ko) 대화방을 3차원 형태로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230003529A1 (en)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665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665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