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3613A -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3613A
KR20230043613A KR1020210126715A KR20210126715A KR20230043613A KR 20230043613 A KR20230043613 A KR 20230043613A KR 1020210126715 A KR1020210126715 A KR 1020210126715A KR 20210126715 A KR20210126715 A KR 20210126715A KR 20230043613 A KR20230043613 A KR 20230043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home appliance
communication module
controlling
r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호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6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3613A/ko
Priority to PCT/KR2022/014030 priority patent/WO2023048452A1/ko
Publication of KR2023004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613A/ko
Priority to US18/612,227 priority patent/US2024027563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209Systems with very large relative bandwidth, i.e. larger than 10 %, e.g. baseband, pulse, carrier-free, ultrawideb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65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with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interrogator and respon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6Combinations of radar systems with non-radar systems, e.g. sonar, direction fin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03Transmission of data between radar, sonar or lidar systems and remote stations
    • G01S7/006Transmission of data between radar, sonar or lidar systems and remote stations using shared front-end circuitry, e.g. anten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의 센싱 값을 기계학습 모델에 입력하고, 기계학습 모델의 출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에 기초하여, UWB (ultrawide band) 통신 모듈의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이 켜진 경우, 모바일 장치의 가속도의 크기에 기초하여 레인징(ranging)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레인징 간격에 따라서 UWB 통신을 통해 레인징을 수행하여, 모바일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장치,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및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UWB(ultra wide band) 통신은, 장치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가전기기들에도 사용자의 편의와 통신 성능 향상을 위해 UWB 안테나를 포함하는 UWB 통신 모듈이 내장되고 있으며, UWB 통신 모듈을 내장한 모바일 장치들 또한 가전기기들과 UWB 통신을 수행하여 보다 용이하게 가전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WB 통신 모듈을 내장한 모바일 장치는 가전기기들과 UWB 통신을 수행하여, 모바일 장치와 가전기기들 사이의 거리, 가전기기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가전기기들을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모바일 장치가 UWB 통신 모듈을 내장하게 될 경우, UWB 통신 모듈로 인해 모바일 장치의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에서 UWB 통신 모듈로 인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장치가 UWB(ultra wide band) 통신을 사용하여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UWB 통신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의 센싱 값을 기계학습 모델에 입력하고, 기계학습 모델의 출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에 기초하여, UWB (ultra wide band) 통신 모듈의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이 켜진 경우, 모바일 장치의 가속도의 크기에 기초하여 레인징(ranging)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레인징 간격에 따라서 UWB 통신을 통해 레인징을 수행하여, 모바일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학습 모델은, 가속도 센서의 센싱 값을 입력 받아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FCNN (fully connected neural network)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는, 이동 상태, 진동 상태, 또는 정지 상태 중 하나이고,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는,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가 이동 상태 또는 진동 상태인 경우,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을 켜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은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가 진동 상태인 경우, 전원이 켜진 UWB 통신 모듈을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인징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는,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가속도 센서의 새로운 센싱 값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의 가속도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가속도의 크기에 반비례하도록 레인징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은,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모바일 장치가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제1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UI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은, 모바일 장치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면,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표시된 제1 UI를,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은, 표시된 제1 UI를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된 제1 UI는, 해제 입력을 수신하기 전까지 다른 UI로 전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은,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제1 가전기기 주변에 위치한 제2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제2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제2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은, 제2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제2 UI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제2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에 있어서, UWB (ultra wide band)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모듈; 가속도 센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으 실행함에 의해, 가속도 센서의 센싱 값을 기계학습 모델에 입력하고, 기계학습 모델의 출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하고,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에 기초하여,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을 제어하고,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이 켜진 경우, 모바일 장치의 가속도의 크기에 기초하여 레인징(ranging) 간격을 결정하고, 레인징 간격에 따라서 UWB 통신을 통해 레인징을 수행하여, 모바일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모바일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전기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사용한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및 가전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기계학습 모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레인징 간격에 따라서 레인징을 수행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화면에 고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들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들을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전환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들을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들을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모바일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항에 기재된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들의 원리를 설명하고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unit)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모듈” 또는 “부”가 하나의 요소(element)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모듈” 또는 “부”가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작용 원리 및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사용한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10)은 모바일 장치(100) 및 가전기기들(20, 30)을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100)는 원격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기술되는 모바일 장치(100)는 가전기기의 리모콘(remote controller), 복수의 가전기기를 통합 제어하는 리모콘, 모바일 단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바일 단말은,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액세서리 형 장치(예컨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 장치(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 장치(예컨대,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생체 이식형 장치(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기기들(20, 30)은 냉장고, 공기 청정기, 에어컨, 오디오 장치, 인덕션, 세탁기, 건조기, 의류 관리기, TV, 식기세척기, 오븐, 전자레인지, 에어 프라이어, 반려 동물을 위한 자동 급식기, 정수기, 조명 장치, 비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는 UWB (ultra wideband) 통신의 레인징(ranging) 기술을 통해 가전기기들(20, 30)을 식별할 수 있다. 레인징 기술은 UWB 통신을 통해 관측지점 또는 기준점으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장치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을 말한다. 여기서, 레인징을 수행하는 장치들은 UWB 안테나를 포함하고, UWB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레인징 기술을 사용한 거리 측정은, 레인징을 수행하는 장치 간에 송수신되는 UWB 신호들의 시간차를 계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 또는 모바일 장치(100)의 UWB 안테나가 기준점인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로부터 가전기기들(20, 30)까지의 거리를 레인징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레인징을 통해 기준점을 기준으로 원거리에 있는 물체가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 상에서 어느 방향에 있는지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레인징을 통해 레인징을 수행하는 장치(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 또는 LoS(Line of Sight)에 원거리에 있는 장치가 있는지, 또는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어느 각도 이내에 위치해 있는지가 측정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 레인징 기술은 레인징 또는 UWB 레인징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모바일 장치(100)와 가전기기들(20, 30)이 레인징을 수행하는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모바일 장치(100)는 TV(20)와 UWB 통신을 통해 레인징을 수행하여 TV(20)를 제어 가능한 가전기기로 식별하고, 식별된 TV(20)를 제어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레인징을 수행하여 식별한 가전기기가 모바일 장치(100)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한 경우, 식별된 가전기기를 제어 가능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이동하면서 UWB 통신을 통해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고, 에어컨(30)과 레인징을 수행하여 에어컨(30)을 식별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레인징을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TV(20)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식별된 에어컨(30)를 제어하기 위한 UI로 전환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UWB 통신을 사용한 레인징 기술을 통해 모바일 장치(100)와 가전기기들 사이의 거리, 가전기기들이 어느 방향에 위치하여 있는지 등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바일 장치(100)는 제어할 수 있는 가전기기들을 식별하고 어떤 가전기기를 제어할지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UWB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UWB 통신 모듈로 인해 모바일 장치(100)의 전력 소모량이 불필요하게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가 사용되지 않아 정지된 상태이거나, 제자리에서 사용중인 상태와 같이 새로운 가전기기를 식별할 필요가 없어 UWB 통신을 통한 레인징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UWB 통신 모듈의 동작으로 인해 전력이 낭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와 같이 모바일 장치(100)에서 불필요한 UWB 통신을 통해 전력이 낭비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 상태, 가속도의 크기 등에 기초하여 UWB 통신에 소모되는 전력을 줄이는 방법을 개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및 가전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통신 모듈(120), 전원 제어부(130), 메모리(140), 및 센서(150)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12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은 가전기기(200)와 통신한다. 통신 모듈(120)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가전기기(2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20)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UWB(ultra wideband),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근거리 무선 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 WLAN(와이파이), 지그비(Zigbee),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WFD(Wi-Fi Direct), Ant+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 모듈(120)은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은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가전기기(200)와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은 가전기기(200)로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가전기기(200)로부터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신 모듈(120)은 UWB 통신을 통해 레인징을 수행하는 UWB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UWB 통신 모듈(121)은 가전기기(200)와 UWB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UWB 통신은 초광대역(ultra wideband)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기술을 의미하며, 반송파 대신 펄스파를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적은 오차로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UWB 통신 모듈(121)은 레인징 간격(ranging interval)에 따라서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 레인징 간격은, UWB 통신 모듈(121)이 레인징을 수행하는 주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레인징 간격에 따라서 레인징을 위한 신호의 송수신 주기가 결정될 수 있다. 레인징 간격이 작을수록 레인징을 수행하는 주기가 짧아지므로, 거리 측정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고, 전력 소모는 증가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130)는 모바일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한다. 전원 제어부(130)는 ON/OFF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제어부(130)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프로세서(110), 통신 모듈(120), 메모리(140), 및 센서(1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130)는 UWB 통신 모듈(121)과 직접 연결되어, UWB 통신 모듈(121)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모바일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데이터, 명령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대응될 수 있다.
센서(150)는 가속도 센서(151)를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151)는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센싱 값을 x, y, z 축 방향의 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기기(200)는 프로세서(210), 통신 모듈(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한다. 가전기기(200)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이다. 가전기기(200)는 댁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전기기(200)는 예를 들면, 냉장고, 김치냉장고, 세탁기, TV, 에어컨, 공기청정기, 청소 로봇, 청소기, 의류관리기, 오븐, 전자레인지, 인덕션, 오디오 출력장치, 또는 스마트홈 허브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기기(200)는 소정의 가전 기능 모듈을 구비하여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가전 기능 모듈은 냉장고에 구비되는 냉각기, 컨테이너, 도어, 온도 센서, 도어 개폐 센서, 전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가전 기능 모듈은 세탁기에 구비되는 세탁조, 모터, 도어, 도어 개폐 센서, 급수부, 배수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가전 기능 모듈은 청소기에 구비되는 진공 흡입 어셈블리, 먼지통, 브러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가전기기(2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 또는 커맨드를 실행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가전기기(200)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 모듈(22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모바일 장치(100)와 통신한다. 통신 모듈(220)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220)은 블루투스, BLE, 또는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통해 모바일 장치(100)와 통신한다. 또한, 통신 모듈(220)은 원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12)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근거리 무선 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 WLAN(와이파이), 지그비(Zigbee),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Ant+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 모듈(220)은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장치(100)와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20)은 모바일 장치(100)로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모바일 장치(100)로부터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통신 모듈(120), 전원 제어부(130), 메모리(140), 센서(150),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120)은 UWB 통신 모듈(121), BLE 통신 모듈(122), 및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123)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WB 통신 모듈(121)은 BLE 통신 모듈(122) 및 와이파이 통신 모듈(123)과 개별 칩셋으로 구현된다. BLE 통신 모듈(122)과 와이파이 통신 모듈(123)은 단일 칩셋 또는 개별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UWB 통신 모듈(121)은 BLE 통신 모듈(122) 및 와이파이 통신 모듈(123)과 독립적으로 전원이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따라서, UWB 통신 모듈(121)은 모바일 장치(100)가 BLE 통신 및/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전원이 꺼진 상태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UWB 통신 모듈(121)로 인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와이파이 통신 모듈(123)과 BLE 통신 모듈(122)은 각각 와이파이 통신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가전기기(200)와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가전기기(200)는, 모바일 장치(100)가 제어 가능하다고 식별된 가전기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는 모바일 장치(100)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1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100)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는 터치스크린, 터치패널, 키, 펜 인식 패널, 마이크로 폰,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가전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가전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된 UI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프로세서(110)는 UI에 대한 입력을 사용하여 가전기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150)는 가속도 센서(151) 이외에도 이미지 센서, 자이로 센서, 홍채 센서, 지문 센서, 조도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홍채 센서, 지문 센서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가속도 센서(151)와 연동하여, 가속도 센서(151)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 및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가전기기(200)와 통신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가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100)에 대해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하고, 반대로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바일 장치(100)에 대한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하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은 본 개시에 개시된 모바일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그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402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의 센싱 값을 기계학습 모델에 입력하고, 기계학습 모델의 출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한다.
모바일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를 제어하여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센싱 값을 획득한다.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센싱 값은, x, y, z 축 방향의 가속도의 크기에 대한 센싱 값(예를 들어: (x, y, z))을 포함한다. 기계학습 모델은, 가속도 센서의 센싱 값을 입력 받아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학습 모델은 가속도 센서의 센싱 값을 입력 받아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FCNN (fully connected neutral network) 모델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FCNN 모델(500)은 하나의 레이어(layer)의 모든 노드가 그 다음 레이어의 모든 노드와 연결된 상태를 가진 네트워크 모델이다. FCNN 모델(500)은 가속도 센서의 센싱 값(x, y, z)과 시간(T)에 대한 [3 x T] 행렬(matrix)을 입력 데이터(501)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시간(T)은 특정한 시간 주기로 설정될 수 있으며, 입력 데이터(501)의 가속도 센서의 센싱 값(x, y, z)은 T 동안 획득된 값일 수 있다.
FCNN 모델(500)의 각 레이어들(502, 503)은 가중합(weighted sum)과 활성화 함수 ReLU(Rectified Linear Unit)
Figure pat00001
를 포함하고, 마지막 레이어(504)는 소프트맥스(softmax)
Figure pat00002
를 포함하며 클래스(class) 별 확률 값을 출력 데이터(505)로 출력한다. FCNN 모델(500)의 레이어는 출력 데이터(505)에서 얻고자 하는 확률 값들에 대응되는 클래스의 수에 따라 그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클래스가 3가지 클래스로 분류되는 예시이며, 클래스의 수가 작아가지거나 커지면 FCNN 모델(500)의 레이어의 크기도 작아지거나 커질 수 있다.
FCNN 모델(500)의 출력 데이터(505)인, 클래스 별 확률 값은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는, 이동 상태, 진동 상태, 또는 정지 상태 중 하나 일 수 있다. 출력 데이터(404)에 포함된 확률 값들에 대응되는 각각의 클래스는 이동 상태, 진동 상태, 또는 정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상태, 특정 방향으로의 이동 상태, 등으로 세분화된 움직임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FCNN 모델(500)의 출력 데이터(505)의 클래스들 또한 정의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FCNN 모델(500)의 출력 데이터(505)에서 가장 높은 확률 값에 대응되는 클래스에 따라,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데이터(505)의 3가지 클래스(이동, 진동, 또는 정지) 중 이동 클래스에 대한 확률 값이 가장 클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 상태를 이동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FCNN 모델(500)은 간단한 데이터의 분류(classification)에 사용되며, 각 레이어의 가중합 계산은 작은 행렬들의 곱 계산이므로 연산량이 적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를 때 FCNN 모델(500)을 사용함으로써, 적은 연산량으로 간단한 데이터들을 클래스로 분류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 상태에 기초하여,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 상태가 이동 상태 또는 진동 상태인 경우,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을 켤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가 이동 상태 또는 진동 상태인 경우, 모바일 장치(100)의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100)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일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100)는 제어할 가전기기(200)를 식별하기 위해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을 켤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 상태가 진동 상태인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전원이 켜진 UWB 통신 모듈을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가 진동 상태인 경우 모바일 장치(100)의 이동 범위가 좁은 상태일 수 있다. 즉,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이 소정의 범위 이내인 상태에서 모바일 장치(100)가 움직이는 상태일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가 소정의 범위 이내를 향하고 있으면, 모바일 장치(100)는 UWB 통신 성능이 낮더라도 소정의 범위 이내에 위치한 가전기기(200)와 용이하게 UWB 통신(또는, UWB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상태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UWB 통신 모듈을 절전모드로 전환하여, UWB 통신 성능을 낮추는 대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UWB 통신 모듈의 절전 모드는 복수의 UWB 안테나 채널 중 하나의 안테나 채널을 사용하는 모드, 낮은 전력으로 UWB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모드, 또는 UWB 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줄이는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UWB 통신 모듈의 절전 모드는 상기 예에 제한되지 않고, UWB 통신 모듈이 저전력으로 동작하기 위한 다양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의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은 파워 스위치를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WB 통신 모듈은 다용도 입출력(general-purpose input/output, GPIO) 포트와 같은 스위치를 사용하여 전원이 제어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다용도 입출력 포트(GPIO)는 전기적 입력을 받거나 출력을 하여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WB 통신 모듈은 UCI(UWB command interface)를 통해 절전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UCI는 FiRa(Fine Ranging) 컨소시움의 UWB에 대한 기술 요구사항(technical requirements)에 정의된 내용을 따를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UCI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수준 소프트웨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단순화하여 UWB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406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이 켜진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단계 S406을 수행한다. 단계 S404에서UWB 통신 모듈의 전원이 켜지지 않은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단계 S402부터 다시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이 켜진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기계학습 모델로의 가속도 센서의 센싱 값에 대한 입력을 중단한다. 모바일 장치(100)의 기계학습 모델은,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하여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이 켜진 경우에는, 기계학습 모델을 통한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판단 절차를 중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연산과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단계 S408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이 켜진 경우, 모바일 장치(100)의 가속도의 크기에 기초하여 레인징 간격(ranging interval)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인징 간격(ranging interval)은, 모바일 장치(100)가 레인징을 수행하는 주기를 의미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레인징 간격에 따라서 UWB 통신 모듈을 통해 레인징 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가전기기(200)로부터 수신하여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가 전송하는 레인징 신호는 레인징 시작 메시지(ranging initiation message)를 포함할 수 있고, 응답 신호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ranging response message)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레인징 방법은 FiRa 컨소시움의 UWB에 대한 기술 요구사항에 따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의 가속도의 크기에 반비례하도록 레인징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의 가속도의 크기가 클수록 모바일 장치(100)가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가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100)를 사용하여 가전기기(200)를 탐색하고자 하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가 빠르게 이동할수록, 모바일 장치(100)의 이동 경로 상에서 모바일 장치(100)가 지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들과 모바일 장치(100)가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100)가 빠르게 이동할수록, 이동 경로 상의 가전기기들과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해 보다 정밀하게 레인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레인징의 정밀도는 레인징 간격을 작게 할수록 높아질 수 있으므로, 모바일 장치(100)는 가속도의 크기가 커질수록 레인징 간격이 작아지도록 레인징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인 예시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601에서 607로 이동한다. 모바일 장치(100)가 이동하는 동안 모바일 장치(100)가 지향하는 방향에는 가전기기 A(611), 가전기기 B(612), 및 가전기기 C(613)가 위치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가 특정 레인징 간격으로 레인징을 수행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모바일 장치(100)가 느리게 이동하는 경우 (즉, 가속도의 크기가 작은 경우) 601부터 607까지의 위치에서 레인징을 수행하는 반면, 모바일 장치(100)가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즉, 가속도의 크기가 큰 경우) 601, 603, 605, 및 607 위치에서 레인징을 수행한다. 모바일 장치(100)는 느리게 이동하는 경우와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모두 601 위치에서 가전기기 A(611)와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느리게 이동하는 경우와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모두에서 가전기기 B(612)와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으나, 느리게 이동하는 경우가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에 비해 604 위치에서 레인징을 더 수행할 수 있어 레인징 정밀도가 더 높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는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에 606 위치에서 가전기기 C(613)와 레인징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전기기 C(613)를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가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에는 전력 소모가 늘어나더라도 레인징 간격을 작게하여 레인징을 보다 정밀하게 수행하고, 느리게 이동하는 경우에는 레인징 간격이 크더라도 레인징을 충분히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레인징 간격을 크게 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의 가속도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가속도 센서의 새로운 센싱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새로 획득된 센싱 값은, 모바일 장치(100)의 UWB 통신 모듈이 켜진 상태에서 가속도 센서로부터 새로 획득된 값일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새로운 센싱 값을 사용하여 가속도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새로운 센싱 값이 (x1, x2, x3)인 경우, 모바일 장치(100)의 가속도의 크기 a는 a
Figure pat00003
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결정된 가속도의 크기에 따라서 레인징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레인징 간격은 가속도의 크기에 따라 테이블의 형식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가속도의 크기가 결정되면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레인징 간격도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레인징 간격에 따라서 UWB 통신을 통해 레인징을 수행하여, 모바일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결정된 레인징 간격에 따라서 UWB 통신을 통해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이동 경로 상에서 레인징을 수행한 결과로, 모바일 장치(100)와 레인징을 수행한 가전기기(20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측정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가 이동 경로 상에서 복수의 가전기기와 레인징을 수행한 경우, 레인징을 수행한 결과로 모바일 장치(100)와 복수의 가전기기 각각 사이의 거리에 대한 측정 값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는 레인징을 수행한 결과로, 거리에 대한 측정 값과 함께 레인징을 수행한 가전기기의 방향에 대한 측정 값을 획득할 수 있다. 가전기기의 방향에 대한 측정 값은,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 또는 LoS (Line of Sight)에 대한 상대적인 방향의 측정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레인징을 수행한 결과로 획득한 측정 값들을 기초로 가전기기(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와 가전기기(20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측정 값과 방향에 대한 측정 값에 기초하여, 가전기기(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가전기기(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모바일 장치(100)와 가전기기(20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가전기기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는, 전술한 레인징을 수행하여 획득된 거리에 대한 측정 값, 방향에 대한 측정 값, 또는 위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12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식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100)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한 가전기기(200)를 식별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식별된 가전기기(200)를 제어 가능한 가전 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한 가전기기가 복수인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복수의 가전기기 각각을 제어 가능한 가전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가전기기 중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이내에 위치한 가전기기(200)를 제어 가능한 가전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는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에 대한 UI를 표시하고, UI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가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도 7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모바일 장치(100)의 가속도의 크기가 0에 가까운 상태(예를 들어, 가속도의 크기가 0에 가까운 임계 값 보다 작은 경우)가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된다면, 모바일 장치(100)는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을 끌 수 있다. 가속도의 크기가 0에 가까운 상태로 있다면, 모바일 장치(100)를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100)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UWB 통신을 통한 레인징 수행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을 끔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단계 S402부터의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702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제1 가전기기를 식별한다.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는 도 4의 단계 S412에서 제어 가능한 것으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에 대응되며, 거리 대한 정보는 단계 S410에서 획득된 거리에 대한 정보에 대응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가 현재 향하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가 어느 각도 이내에 위치해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가장 작은 각도 이내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제1 가전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가장 작은 각도 이내에 복수의 가전기기가 위치할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가전기기를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제1 가전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도 8a, 8b는, 모바일 장치(100)가 에어컨(810)과 TV(820)를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로 식별된 경우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다.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가 현재 향하는 방향을 결정하고, 에어컨(810)과 TV(820)에 대한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컨(810)을 결정된 방향에 위치한 제1 가전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704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UI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된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UI는, 제1 가전기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전기기가 에어컨인 경우,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UI는 에어컨의 온도, 풍향, 예약 시간, 등을 제어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UI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모바일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 또는 서버로부터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UI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8b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로 식별한 에어컨(810)을 제어하기 위한 제1 UI(1110)를 표시할 수 있다. 에어컨(810)을 제어하기 위한 제1 UI(1110)는 에어컨(810)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UI 엘리먼트(1111), 온도 조절 UI 엘리먼트(1112), 풍향 조절 UI 엘리먼트(1113), 등을 포함한다.
단계 S706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지 않았다고 결정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제1 UI를 계속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708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식별한다.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는, 도 4 의 단계 S412에서 제어 가능한 것으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하나일 수 있다. 또는,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는, 모바일 장치(100)가 레인징을 다시 수행하여 제어 가능한 것으로 식별한 가전기기일 수 있다.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은, 단계 S702에서 제1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710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표시된 제1 UI를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로 전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제1 UI가 표시된 영역에,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제1 UI가 표시된 영역에서, 제1 UI 대신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UI가 표시된 영역은, 모바일 장치(100)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
관련하여 도 8a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에어컨(810)을 향하는 방향에서 TV(8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모바일 장치(100)는 TV(820)를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로 식별하고, 도 8b에서와 같이 에어컨(810)을 제어하기 위한 제1 UI(1110)를 TV(820)를 제어하기 위한 UI(1120)로 전환한다. 이를 통해, 모바일 장치(100)가 이동되더라도,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화면에 고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된 제1 가전기기(예를 들어, 도 8의 에어컨(81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UI(1110)를 모바일 장치(100)의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은 모바일 장치(100)를 사용하여 제어할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표시된 제1 UI(1110)를 모바일 장치(100)의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가 제1 UI(1110)를 모바일 장치(100)의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1 UI(1110)를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장치(100)의 화면은 모바일 장치(100)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UI(1110)가 고정되는 일부 영역은, 모바일 장치(100)의 화면에서 제1 UI(1110)가 현재 표시된 제1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UI(1110)가 고정되는 일부 영역은, 모바일 장치(100)의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UI(1110)는 모바일 장치(100)의 화면의 전체 영역에 고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된 제1 UI(1110)는, 해제 입력을 수신하기 전까지 다른 UI로 전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모바일 장치(100)는 해제 입력을 수신하기 전까지 제1 UI(1110)를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하여 표시하며, 해제 입력이 수신되면 제1 UI(1110)는 다른 UI로 전환될 수 있다. 제1 UI(1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더라도, 제1 UI(1110)는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로 전환되지 않고,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계속 표시될 수 있다. 제1 UI(1110)에 대한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면 도 8에서와 같이 제1 UI(1110)는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UI(1110)를 모바일 장치(100)의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하는 입력은, 모바일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된 UI 엘리먼트에 대한 입력, 음성 입력, 모바일 장치(100)를 움직이는 제스처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에는 어떤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였을 때 제1 UI(1110)를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하여 표시되는지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고정 또는 해제에 대응되는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에 따라 제1 UI(1110)가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제1 UI(1110)가 제1 영역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1 UI(1110)를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하기 위한 UI 고정 엘리먼트(900)를 화면에 표시하고, UI 고정 엘리먼트(900)를 통해 제1 UI(1110)를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하는 입력과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UI(1110)가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UI 고정 엘리먼트(900)에는 "탐색" (901)과 같이 제1 UI(1110)가 모바일 장치(100)가 UWB 통신을 통해 탐색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로 전환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UI(1110)가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된 상태인 경우, UI 고정 엘리먼트(900)에는 "고정" (902)과 같이 제1 UI(1110)가 다른 UI로 전환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서 UI 고정 엘리먼트(900)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탐색", "고정"에 제한되지 않으며, 탐색과 고정을 나타내는 다른 용어 또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ON/OFF 버튼 또는 아이콘에서의 입력과 같이, UI 고정 엘리먼트(900)에 대한 입력이 수신될 때마다 화면에 표시된 제1 UI(1110)가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I(1110)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탐색" (901)으로 표시된 UI 고정 엘리먼트(900)를 통해 제1 UI(1110)를 고정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UI 고정 엘리먼트(900)는 "고정" (902)으로 표시되고 제1 UI(1110)는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제1 UI(1110)을 통해 수신하면, 제1 UI(1110)를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UI(1110)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는 상황은, 모바일 장치(100)를 사용하여 제1 가전기기가 제어되고 있는 상황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1 UI(1110)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제1 UI(1110)를 계속 표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UI(1110)가 화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통해 제1 UI(1110)가 화면에 고정되면,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더라도, 제1 UI(1110)는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계속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제1 UI(1110)가 화면에 고정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UI(1110)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1 UI(1110)에 대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UI(1110)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상황은, 모바일 장치(100)를 사용하여 제1 가전기기가 제어되지 않는 상황일 수 있으므로, 제1 UI(1110)가 전환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면 모바일 장치(100)를 사용하여 가전기기들이 보다 유연하게 제어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들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1002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제1 가전기기 주변에 위치한 제2 가전기기를 식별한다.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는 도 4의 단계 S412에서 제어 가능한 것으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에 대응되며, 거리에 대한 정보는 단계 S410에서 획득된 거리에 대한 정보에 대응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가전기기와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에 포함된 다른 가전기기 사이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에 포함된 다른 가전기기들을, 제1 가전기기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에서 제1 가전기기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제1 가전기기 주변에 위치한 제2 가전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가전기기 주변의 복수의 가전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된 수만큼 주변 가전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가전기기들은, 거리가 가까운 순서와 같이 특정한 조건에 따라 순서가 부여된 리스트로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수가 2인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2개의 가전기기를 주변 가전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제2 가전기기와 함께, 제1 가전기기로부터 두번째로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제3 가전기기를 주변 가전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식별된 가전기기들의 리스트는, 모바일 장치(100)가 이동함에 따라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면, 리스트가 생성된 조건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리스트의 업데이트에 따라, 추후 설명하는 UI들의 표시에 대한 실시예에서 UI들의 표시 또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예를 들어, 제1 가전기기를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이내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제2 가전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가 제1 가전기기를 향하고 있는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가장 작은 각도 이내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제2 가전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를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가전기기를 제1 가전기기 주변에 위치한 주변 가전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1004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제2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제2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제2 UI는 제2 가전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용어,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전기기가 TV인 경우, 제2 UI는 단어 "TV"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 UI는 TV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UI는 화면에서 제1 UI가 표시된 제1 영역과 다른 영역에 구분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제1 가전기기 주변의 복수의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UI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전기기와 제3 가전기기를 제1 가전기기 주변의 가전기기로 식별된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제2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제2 UI와 제3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제3 UI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복수의 가전기기를 특정한 조건에 따라 순서가 부여된 리스트로 식별한 경우, 해당 리스트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UI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의 순서에 맞게, 각각의 가전기기들을 나타내는 UI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1006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제2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제2 UI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제2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제2 UI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UI에 대한 입력은, 터치 입력, 드래그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제2 UI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제2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는, 제1 UI와 함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가 제1 UI와 함께 표시되는 경우, 제1 UI가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는 제1 영역에서 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는, 제1 UI 대신 표시될 수 있다. 즉, 제2 UI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100)는 제1 UI를 제2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로 전환(또는, 교체)할 수 있다. 제2 UI에 대한 입력이 드래그 입력인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드래그 입력이 끝나는 지점(종점)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2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식별된 주변 가전기기가 복수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제2 UI와 제3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제3 UI가 표시된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제3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제3 UI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제3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가 이동함에 따라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면, 제2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제2 UI 대신 다른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제1 UI를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모바일 장치(100)는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의 주변 가전기기를 새로 식별하고, 제2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제2 UI를 새로 식별된 주변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UI를 나타내는 UI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들을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모바일 장치(100)는 에어컨(810), TV(820), 및 공기청정기(830)를 제어 가능한 가전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에 에어컨(810)이 위치한 것으로 식별하고, 에어컨(810)을 제어하기 위한 제1 UI(1110)를 화면에 표시한다. 모바일 장치(100)는 TV(820)와 공기청정기(830)를 에어컨(810)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가전기기로 식별하고, TV(820)를 나타내는 제2 UI(1210)와 공기청정기(830)를 나타내는 제3 UI(1220)를 표시한다.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에어컨(810)과 다른 가전기기들(820, 830)의 상대적인 거리에 기초하여 제2 UI(1210)와 제3 UI(1220)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는 에어컨(810)으로부터의 상대적인 거리가 가까운 TV(820)를 나타내는 제2 UI(1210)를 제3 UI(1220)보다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제2 UI(1210)를 제3 UI(1220) 보다 크게 표시하거나, 다른 색상을 사용하여 표시하여 제2 UI(1210)를 제3 UI(1220) 보다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전환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도 11에서와 같이 제1 UI(1110), 제2 UI(1210), 및 제3 UI(1220)를 표시한다. 모바일 장치(100)는 제2 UI(1210)에 대한 드래그 입력(1211)을 수신한다. 드래그 입력(1211)은 제2 UI(1210)에서 시작하여 제1 UI(1110)에 대응되는 제1 영역에서 끝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드래그 입력(1211)에 따라서, 에어컨(810)을 제어하기 위한 제1 UI(1110)를 TV(820)를 제어하기 위한 UI(1120)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는 드래그 입력(1211)에 따라서, TV(820)를 나타내는 제2 UI(1210)를 표시하지 않고, 에어컨(810)을 나타내는 UI(123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에어컨(810)을 나타내는 UI(1230)와 공기청정기(830)를 나타내는 제3 UI(1220)는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에어컨(810)을 나타내는 UI(1230)와 제3 UI(1220)를 표시하는 방식은, 도 11의 제2 UI(1210)와 제3 UI(1220)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예시에 따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도 12의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장치(100)가 드래그 입력에 따라서 드래그 입력에 대응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화면에 표시된 UI와 함께 표시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는 드래그 입력(1211)에 따라서, TV(820)를 제어하기 위한 UI(1120)를 에어컨(810)을 제어하기 위한 제1 UI(1110)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드래그 입력에 대응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는, 기존에 표시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들을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도 11에서와 같이 제1 UI(1110), 제2 UI(1210), 및 제3 UI(1220)를 표시한다. 도 13에서는, 도 11에서와 달리 제1 UI(1110)가 화면에 고정된 상태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는 제1 UI(1110)를 고정하기 위한 UI 고정 엘리먼트(900)를 화면에 표시하고, UI 고정 엘리먼트(900)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제1 UI(1110)를 화면에 고정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장치(100)가 이동함에 따라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어도, 제1 UI(1110)는 다른 UI로 전환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는 제1 UI(1110)가 고정된 경우, 제1 UI(1110)에 대응되는 제1 가전기기의 주변 가전기기 대신 변경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 이내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가 이동하여,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이내에 공기청정기(830)와 오디오(미도시)가 위치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공기청정기(830)를 나타내는 제3 UI(1220)와 오디오를 나타내는 UI(124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더 작은 각도 이내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UI가 더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가 공기청정기(830)를 향하게 되면, 공기청정기(830)를 나타내는 제3 UI(1220)가 UI(1240)보다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들을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모바일 장치(100)는 복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들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복수 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단계 S702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 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가전기기를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들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는 에어컨(810)과 TV(820)를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복수의 가전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에어컨(810)을 제어하기 위한 제1 UI(1110)와 TV(820)를 제어하기 위한 UI(1120)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는 에어컨(810)과 TV(820)의 주변 가전기기로 식별된 공기청정기(830)를 나타내는 제3 UI(1220)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에어컨을 제어하기 위한 제1 UI(1110)와 TV(820)를 제어하기 위한 UI(1120)에 대해 개별적으로 화면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는 제1 UI(1110)를 고정하기 위한 UI 고정 엘리먼트(910)와 TV(820)를 제어하기 위한 UI(1120)를 고정하기 위한 UI 고정 엘리먼트(920)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1 UI(1110)를 고정하기 위한 UI 고정 엘리먼트(910)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어, 제1 UI(1110)가 화면에 고정되면, 모바일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더라도 제1 UI(1110)를 화면에 계속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TV(820)를 제어하기 위한 UI(1120)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면, 제1 UI(1110)와 별개로 TV(820)를 제어하기 위한 UI(1120)는 모바일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다른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500) 내의 모바일 장치(1501)의 블록도이다.
도 15의 모바일 장치(1501)는 도 2, 3에서 설명한 모바일 장치(10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2, 3에서 설명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1520)에 대응되고, 도 2, 3에서 설명한 통신 모듈(120)은 통신 모듈(1590)에 대응되고, 도 2, 3에서 설명한 센서(150)는 센서 모듈(1576)에 대응되고, 도 2, 3에서 설명한 전원 제어부(130)는 전력 관리 모듈(1588)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2, 3에서 설명한 메모리(140)는 메모리(1530)에 대응되고, 도 3에서 설명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는 입력 모듈(1550), 음향 출력 모듈(1555), 디스플레이 모듈(1560), 오디오 모듈(1570), 및 햅틱 모듈(1579)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설명한 가전기기(200)는 전자 장치(1502) 또는 전자 장치(1504)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500)에서 모바일 장치(1501)는 제 1 네트워크(15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5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5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504) 또는 서버(1508)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501)는 서버(15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5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501)는 프로세서(1520), 메모리(1530), 입력 모듈(1550), 음향 출력 모듈(1555), 디스플레이 모듈(1560), 오디오 모듈(1570), 센서 모듈(1576), 인터페이스(1577), 연결 단자(1578), 햅틱 모듈(1579), 카메라 모듈(1580), 전력 관리 모듈(1588), 배터리(1589), 통신 모듈(1590), 가입자 식별 모듈(1596), 또는 안테나 모듈(15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장치(15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5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576), 카메라 모듈(1580), 또는 안테나 모듈(15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5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5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5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520)에 연결된 모바일 장치(15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5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576) 또는 통신 모듈(15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5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5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5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20)는 메인 프로세서(15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5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501)가 메인 프로세서(1521) 및 보조 프로세서(15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523)는 메인 프로세서(15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523)는 메인 프로세서(15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5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5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5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5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521)와 함께, 모바일 장치(15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560), 센서 모듈(1576), 또는 통신 모듈(15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5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580) 또는 통신 모듈(15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5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모바일 장치(15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5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모바일 장치(15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520) 또는 센서 모듈(15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5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휘발성 메모리(15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5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540)은 메모리(15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542), 미들 웨어(1544) 또는 어플리케이션(15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50)은, 모바일 장치(15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5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15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5)은 음향 신호를 모바일 장치(15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60)은 모바일 장치(15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5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5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570)은, 입력 모듈(15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5), 또는 모바일 장치(15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576)은 모바일 장치(15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5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577)는 모바일 장치(15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5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578)는, 그를 통해서 모바일 장치(15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5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5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5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5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588)은 모바일 장치(15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5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589)는 모바일 장치(15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5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90)은 모바일 장치(15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2), 전자 장치(1504), 또는 서버(15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90)은 프로세서(15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590)은 무선 통신 모듈(15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5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5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5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5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5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5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598) 또는 제 2 네트워크(15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모바일 장치(15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5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5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5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592)은 모바일 장치(15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5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5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5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5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5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598) 또는 제 2 네트워크(15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5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5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5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5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599)에 연결된 서버(1508)를 통해서 모바일 장치(15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5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502, 또는 1504) 각각은 모바일 장치(15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5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502, 1504, 또는 15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15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모바일 장치(15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모바일 장치(1501)로 전달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5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5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5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5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504) 또는 서버(1508)는 제 2 네트워크(15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5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200)는 가전기기(1600)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600)는 센서(1610), 출력 인터페이스(1620), 입력 인터페이스(1630), 메모리(1640), 통신 모듈(1650), 가전 기능 모듈(1660), 전력 모듈(1680), 및 프로세서(1690)를 포함한다. 가전기기(1600)는 도 1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6에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도 16의 가전기기(1600)는 도 2에서 설명한 가전기기(200)에 대응되고, 메모리(1640)는 도 2에서 설명한 메모리(230)에 대응되고, 프로세서(1690)는 도 2에서 설명한 프로세서(210)에 대응되고, 통신 모듈(1650)은 도 2에서 설명한 통신 모듈(220)에 대응된다.
센서(1610)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센서(1610)는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라이다 센서, 인감지 센서, 동작 감지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출력 인터페이스(1620)는 디스플레이(1616), 스피커(16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620)는 프로세서(1690)에서 생성된 다양한 알림, 메시지, 정보 등을 출력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630)는 키(1631), 터치스크린(16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6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프로세서(1690)로 전달한다.
메모리(1640)는 가전기기(16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데이터, 명령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164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6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16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650)은 근거리 통신 모듈(1652) 또는 원거리 통신 모듈(1654)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50)은 다른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1652)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WLAN(와이파이)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모듈, WFD(Wi-Fi Direct) 통신 모듈, UWB(ultra wideband) 통신 모듈, Ant+ 통신 모듈, 마이크로 웨이브(uWave)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거리 통신 모듈(1654)은, 다양한 종류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능 모듈(1660)은 가전기기(1600)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모듈을 포함한다. 가전기기(1600)가 세탁기에 대응하는 경우, 가전 기능 모듈(1660)은 세탁 모듈을 포함한다. 세탁 모듈은 세탁조, 급수부, 배수부, 모터, 도어, 세제 투입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기기(1600)가 냉장고에 대응하는 경우, 가전 기능 모듈(1660)은 냉장/냉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냉동 모듈은 컨테이너, 냉각기, 도어,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기기(1600)가 건조기에 대응하는 경우, 가전 기능 모듈(1660)은 건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모듈은 세탁물 컨테이너, 모터, 제습부, 배수부, 도어, 먼지 필터, 컨덴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기기(1600)가 청소 모듈에 대응하는 경우, 가전 기능 모듈(1660)은 청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 모듈은 진공 흡입부, 먼지통, 필터, 먼지 이동 배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90)는 가전기기(16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690)는 메모리(16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가전기기(16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90)는 기계학습 모델의 동작을 수행하는 별도의 N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90)는 중앙 처리부(CPU),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GPU; Graphic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모바일 장치(110), 또는 가전기기(10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모바일 장치(110), 또는 가전기기(100))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의 센싱 값을 기계학습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기계학습 모델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에 기초하여, UWB (ultrawide band) 통신 모듈의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이 켜진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의 가속도의 크기에 기초하여 레인징(ranging)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레인징 간격에 따라서 UWB 통신을 통해 레인징을 수행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학습 모델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센싱 값을 입력 받아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FCNN (fully connected neural network) 모델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는, 이동 상태, 진동 상태, 또는 정지 상태 중 하나이고,
    상기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이동 상태 또는 상기 진동 상태인 경우, 상기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을 켜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진동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이 켜진 UWB 통신 모듈을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새로운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가속도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도의 크기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레인징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상기 모바일 장치가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제1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UI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제1 UI를, 상기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제1 UI를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된 제1 UI는, 해제 입력을 수신하기 전까지 다른 UI로 전환되지 않는,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상기 제1 가전기기 주변에 위치한 제2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제2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제2 UI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11. 모바일 장치에 있어서,
    UWB (ultra wide band)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모듈;
    가속도 센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으 실행함에 의해,
    상기 가속도 센서의 센싱 값을 기계학습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기계학습 모델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이 켜진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의 가속도의 크기에 기초하여 레인징(ranging) 간격을 결정하고,
    상기 레인징 간격에 따라서 UWB 통신을 통해 레인징을 수행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모바일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학습 모델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센싱 값을 입력 받아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FCNN (fully connected neural network) 모델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는, 이동 상태, 진동 상태, 또는 정지 상태 중 하나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에 의해,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이동 상태 또는 상기 진동 상태인 경우, 상기 UWB 통신 모듈의 전원을 켜는, 모바일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에 의해,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진동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이 켜진 UWB 통신 모듈을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모바일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에 의해,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새로운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가속도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가속도의 크기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레인징 간격을 결정하는, 모바일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에 의해,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상기 모바일 장치가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제1 가전기기를 식별하고,
    상기 제1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UI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모바일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에 의해,
    상기 모바일 장치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식별하고,
    상기 표시된 제1 UI를, 상기 변경된 방향에 위치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로 전환하는, 모바일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에 의해,
    상기 표시된 제1 UI를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화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된 제1 UI는, 해제 입력을 수신하기 전까지 다른 UI로 전환되지 않는, 모바일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에 의해,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상기 제1 가전기기 주변에 위치한 제2 가전기기를 식별하고,
    상기 제2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제2 UI를 표시하는, 모바일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126715A 2021-09-24 2021-09-24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43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715A KR20230043613A (ko) 2021-09-24 2021-09-24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2/014030 WO2023048452A1 (ko) 2021-09-24 2022-09-20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8/612,227 US20240275631A1 (en) 2021-09-24 2024-03-21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715A KR20230043613A (ko) 2021-09-24 2021-09-24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613A true KR20230043613A (ko) 2023-03-31

Family

ID=8572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715A KR20230043613A (ko) 2021-09-24 2021-09-24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275631A1 (ko)
KR (1) KR20230043613A (ko)
WO (1) WO20230484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08065B (zh) * 2023-06-27 2024-08-23 北京联盛德微电子有限责任公司 智能家居环境下低功耗蓝牙语音控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0359A (ko) * 2012-04-25 2013-11-04 박재현 절전 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 및 모바일 기기의 절전 방법
KR101618783B1 (ko) * 2014-05-12 2016-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그리고,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제어시스템
US10171129B1 (en) * 2017-07-03 2019-01-01 Apple Inc. Pulse shaping interoperability protocol for ultra wideband systems
KR102097465B1 (ko) * 2017-10-13 2020-04-07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측위 주기 조절
WO2020145526A1 (ko) * 2019-01-08 2020-07-16 삼성전자 주식회사 Uwb(울트라 와이드 밴드)를 통해 레인징을 수행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275631A1 (en) 2024-08-15
WO2023048452A1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1169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40275631A1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ame
US11989353B2 (en) Brightness adjustment method and HMD device
US202401291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US11941315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objec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30015240A (ko)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16710880A (zh) 电子装置和亮度调节方法
KR20220099730A (ko) 요청된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US20230280699A1 (en) Electronic device to create automation routines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230205157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2031163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vice for performing task by electronic device
KR20230072973A (ko) 가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9439A (ko) 가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30362256A1 (en) Electronic device and iot control information sharing method
US20230185421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US2024025747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controlling home appliance
KR20230090191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23007918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230171124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external device
US20240201644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US20230083823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multiple iot devices, method for operating same, and storage medium
KR20230068936A (ko) 디바이스 위치 결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30097919A (ko)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74614A (ko) 연결의 우선순위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240111272A (ko)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