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240A -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240A
KR20230015240A KR1020210096745A KR20210096745A KR20230015240A KR 20230015240 A KR20230015240 A KR 20230015240A KR 1020210096745 A KR1020210096745 A KR 1020210096745A KR 20210096745 A KR20210096745 A KR 20210096745A KR 20230015240 A KR20230015240 A KR 20230015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home appliance
network
information
uw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6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5240A/ko
Priority to PCT/KR2022/010783 priority patent/WO2023003425A1/ko
Priority to US17/901,450 priority patent/US20230026235A1/en
Publication of KR20230015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UWB 통신을 통해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기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와 사용자 단말 간의 UWB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가전 기기, 가전 기기 제어 방법,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제품들이 널리 보급되면서, 주변의 사물들이 인터넷에 연결됨에 의해, 사람들의 삶이 이전보다 윤택 해져가고 있다. 하지만 많은 IoT 제품들은 스마트폰과 같이 터치스크린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 입력이 매우 제한적이다. 이런 제약 사항은 사용자가 IoT 제품들이 네트워크 설정 모드로 동작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IoT 제품이 네트워크 설정 모드로 동작된 경우라도, 권한 없는 사용자를 통해서 연결 시도가 가능하도록 주변 네트워크에 노출이 될 위험성이 존재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네트워크 접속 전인 신규 제품 상태의 가전 기기를 네트워크 접속시키는 과정에서, 스마트 가전 기기의 사용자가 네트워크 접속을 위하여 겪는 어려움을 개선하고, 네트워크 연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상의 취약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한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UWB 통신을 통해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기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UWB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가전 기기에 포함된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를 통해, 기기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한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인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접속 가능한 AP(Access Point)에 대한 정보, 상기 AP에 대한 비밀번호, 및 보안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중인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관련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다고 판단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의 로컬 네트워크와 관련된 접속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로컬 네트워크와 관련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버 연결을 위한 사용자 계정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전 기기의 속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의 속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가전 기기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또는 언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한 동일 타입의 가전 기기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전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UWB 안테나;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UWB 통신 모듈;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로부터 UWB 통신을 통해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간의 UWB 통신 채널을 생성하고,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가전 기기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 사용자 단말, 및 AP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UWB 연결 요청 신호를 전달받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좌표로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로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기기 등록 G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전달 받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기기 등록 G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가전 기기의 속성 정보를 전달받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기기 등록 G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이전에 사용한 동일 타입의 가전 기기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전달받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서버에 등록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서버에 등록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600) 내의 사용자 단말(1601)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본 개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이하,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 가전 기기(120), AP 장치(130),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UWB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사용자 단말(110)과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AP 장치(130)와 와이파이 통신을 할 수 있으며, AP 장치(130)를 통해 네트워크 망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에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AP 장치(130)를 통해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AP 장치(130)를 통해 네트워크 망에 접속할 수 있다. 가전 기기(120)는 AP 장치(130)를 통해 네트워크 망에 접속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AP 장치(13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110)과 네트워크 통신을 할 수 있다. 가전 기기(12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가전 기기(120)의 모니터링, 제어, 자동화, 보이스 어시스턴트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AP 장치(130)를 통해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서버(140)에 접속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서버(140)에 접속하고, 서버(140)에 등록될 수 있다. 가전 기기(120)는 서버(140)에 등록되고, 소정의 계정에 연결될 수 있다. 가전 기기(120)는 소정의 계정의 기기로 관리되면서, 연결된 계정으로 로그인된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제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서버(140)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가전 기기(120)의 모니터링, 제어, 자동화, 보이스 어시스턴트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전 기기(120)가 AP 장치(130)를 통해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거나, 서버(140)에 접속해서,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을 수립해야만 한다. 그런데, 가전 기기(120)가 공장에서 출시된 후 아직 AP 장치(130)를 통해 네트워크 망에 접속 전이거나 서버(140)에 등록 전인 신규 제품 상태에서는, 애플리케이션 기능 및 서버(14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없다. 이러한 신규 제품 상태를 OOB(out of box) 상태라고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규 제품 상태는 가전 기기(120)가 네트워크 망에 접속 전인 상태 또는 서버(140)에 등록 전인 상태를 의미한다. 신규 제품 상태인 가전 기기(120)가 AP 장치(130)를 통해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거나, 서버(140)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정보(AP 장치(130)의 SSID, AP 장치(130)의 ID, 비밀번호, 인증 방식, 암호화 방법, 인증 키 등) 또는 서버(140) 연결을 위한 사용자 계정 식별 정보를 전달받아야 한다.
이때, 일반적인 가전 기기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정보 또는 서버(140) 연결을 위한 사용자 계정 식별 정보를 전달받기 위해, 네트워크 연결 모드로 전환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가전 기기가 네트워크 연결 모드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가전 기기의 버튼 또는 가전 기기를 조작하는 리모컨의 버튼을 입력하는 행위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가 공기청정기인 경우, 사용자는 공기청정기의 풍량 버튼을 길게 누르거나 공기청정기의 리모컨의 예약 버튼을 길게 누름으로써 공기 청정기를 네트워크 연결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하지만, 각각의 가전 기기 별로 네트워크 연결 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입력해야 하는 버튼의 종류가 다르고, 버튼 입력을 구성하는 시간이 다르다. 또한, 일반적인 가전 기기는 현재 상태를 자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현재 상태가 네트워크 연결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가전 기기는 네트워크 연결 모드로 전환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서 검색 및 연결 시도가 가능하도록 주변 네트워크에 노출이 될 수 있다. 만약, 권한 없는 사용자 단말(150)이 네트워크 연결 모드로 전환된 가전 기기에 해킹 목적으로 접근하여, 잘못된 경로의 AP 정보(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제공해 준다면, 가전 기기는 진정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내부 정보가 탈취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120)가 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가전 기기의 버튼 조작이 필요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110)의 원터치 입력으로 통신 채널이 생성되는 기술이 제안된다. 또한, 보안상의 취약한 부분을 개선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이 가전 기기와 근접한 상태인 경우에만 통신 채널을 생성하도록하는 UWB(Ultra-wideband) 기술이 제안된다. 일반적인 통신 방법인 WiFi 또는 BLE 기술은 접속하려는 사용자 단말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할 수 없으나, UWB 기술은 사용자 단말의 근접 여부 및 정확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차별점이 존재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UWB 통신 채널 생성을 위한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가전 기기(120)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 단말(110)과 가전 기기(120) 간에 UWB 통신 채널 생성을 위한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기 연결 요청 신호는 사용자 단말(110)에 내장된 UWB 안테나에서 송출될 수 있고, 송출된 기기 연결 요청 신호는 가전 기기(120)에 내장된 UWB 안테나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수신된 기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단말(110)이 가전 기기(120)에 근접한 위치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UWB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전 기기(120)에 근접해 있지 않거나, 벽에 가로막힌 영역에 존재해서 통신 채널이 생성되기 위한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사용자 단말(150)의 경우, 권한 없는 단말로 판단하여 UWB 통신 채널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가전 기기(120)가 기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가전 기기(120)와 사용자 단말(110)간에 UWB 통신 채널을 생성하고,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정보 또는 서버(140) 연결을 위한 사용자 계정 식별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전달 받은 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정보(AP 장치(130)의 SSID, AP 장치(130)의 ID, 비밀번호, 인증 방식, 암호화 방법, 인증 키 등)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망에 접속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전달 받은 서버(140) 연결을 위한 사용자 계정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다. 가전 기기(120)는 서버(140) 연결을 위한 사용자 계정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140)에 접속(예: login 또는 sign-in)하여, 서버(140)에 가전 기기(120)를 등록하는 동작을 완료한다. 가전 기기(120)는 서버(140)의 특정 계정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가 네트워크 망에 접속이 된 경우 또는 서버(140)에 접속하여 등록된 경우에는, 가전 기기(120)는 사용자 단말(110) 간에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종료할 수 있다. 이때, 가전 기기(120)는 UWB 통신 채널의 종료를 사용자 단말(11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이 UWB 통신 채널의 종료를 전달받은 경우, 가전 기기(120)와 사용자 단말(110) 간에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은 종료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 사용자 단말, 및 AP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120)는 프로세서(220), 제1 UWB 통신 모듈(222), 제2 UWB 통신 모듈(224), 메모리(226), 및 통신 모듈(228)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120)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이다. 가전 기기(120)는 댁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가전 기기(120)는 예를 들면, 냉장고, 김치냉장고, 세탁기, TV, 에어컨, 공기청정기, 청소 로봇, 청소기, 의류관리기, 오븐, 전자레인지, 인덕션, 오디오 출력장치, 또는 스마트홈 허브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120)는 소정의 가전 기능 모듈을 구비하여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가전 기능 모듈은 냉장고에 구비되는 냉각기, 컨테이너, 도어, 온도 센서, 도어 개폐 센서, 전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가전 기능 모듈은 세탁기에 구비되는 세탁조, 모터, 도어, 도어 개폐 센서, 급수부, 배수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가전 기능 모듈은 청소기에 구비되는 진공 흡입 어셈블리, 먼지통, 브러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가전 기기(1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2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26)에 저장된 인스트럭션 또는 커맨드를 실행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가전 기기(120)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 UWB 통신 모듈(222) 및 제2 UWB 통신 모듈(224)은, 사용자 단말(110)과 가전 기기(120)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UWB 통신 모듈(222) 및 제2 UWB 통신 모듈(224)은 UWB(Ultra-wideband)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UWB 통신은 초광대역 통신으로, 기존의 스펙트럼에 비해 매우 넓은 대역에 걸쳐 낮은 전력으로 대용량의 정보를 전달하는 무선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일정한 공간 내에 대략적인 사용자 단말의 존재 여부를 유추할 수 있는 BLE 통신 기술과 다르게, UWB 통신 기술은 근접한 영역에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UWB 통신 기술을 이용하면 사용자 단말이 가전 기기에서 근접 거리 및 일정 각도 이내에 있음을 판단할 수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허용 가능한 위치에 있음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권한 없는 사용자로부터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UWB 통신 모듈(222)에는 제1 UWB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2 UWB 통신 모듈(224)에는 제2 UWB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전달되는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UWB 통신 모듈(222) 및 제2 UWB 통신 모듈(224)은 프로세서(22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과 UWB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제1 UWB 통신 모듈(222) 및 제2 UWB 통신 모듈(224)은 사용자 단말(110)로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226)는 가전 기기(12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데이터, 명령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226)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6)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6)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대응될 수 있다.
통신 모듈(228)은, 가전 기기(120)와 AP 장치(130)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통신 모듈(228)은, AP 장치(130)와 통신할 수 있으며, AP 장치(130)에 연결된 원거리 통신망을 통해 서버(140)와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모듈(228)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28)은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또는 원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는,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인터페이스,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Near Field Communication interface), WLAN(와이파이) 통신 인터페이스, 지그비(Zigbee) 통신 인터페이스,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인터페이스, WFD(Wi-Fi Direct) 통신 인터페이스, UWB(ultra wideband) 통신 인터페이스, Ant+ 통신 인터페이스, 마이크로 웨이브(uWave)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120)는 AP 장치(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 망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가전 기기(120)와 연결되는 외부 네트워크 망에는 지그비(Zig Bee) 통신망, 와이파이(WiFi)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망, 이동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 또는 점 대 점(point-to-point) 전화회선 연결과 같은 다양한 통신 링크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전 기기(120)는 AP 장치(130)를 통해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고, 서버(140)에 등록된 소정의 계정에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프로세서(210), UWB 통신 모듈(212), 메모리(214), 입출력 인터페이스(21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사용자 단말(1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14)에 저장된 인스트럭션 또는 커맨드를 실행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UWB 통신 모듈(212)은, 사용자 단말(110)과 가전 기기(120)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UWB 통신 모듈(212)은 UWB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WB 통신 모듈(212)에는 UWB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이 기기 등록 GUI를 통해 UWB 통신 채널 생성을 위한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UWB 안테나를 이용해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UWB 안테나를 이용해 가전 기기(120)로 전달된 기기 연결 요청 신호의 세기에 따라 가전 기기(120)는 사용자 단말(110)이 가전 기기(120)에 근접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전 기기(120)가 사용자 단말(110)이 가전 기기(120)에 근접하다고 판단한 경우, 가전 기기(120)와 사용자 단말(110) 사이에 UWB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UWB 통신 모듈(212)은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따라 가전 기기(120)와 통신을 수립할 수 있으며, UWB 통신 모듈(212)은 가전 기기(120)로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가전 기기(120)로부터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메모리(214)는 사용자 단말(11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데이터, 명령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214)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4)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4)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대응될 수 있다.
메모리(214)는 가전 기기(120)를 등록 또는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프로세서(21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가전 기기(120)를 등록 또는 제어한다. 애플리케이션은 가전 기기(120)의 등록, 모니터링, 제어, 자동화, 보이스 어시스턴트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메모리(214)는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저장하거나,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6)는 사용자 단말(110)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1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10)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6)는,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키(key),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216)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6)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G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6)는 가전 기기(12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비해 풍부한 리소스를 갖는다.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216)는 터치스크린, 키, 마이크, 스피커, 진동 디바이스 등을 구비하지만, 가전 기기(120)는 제한된 개수의 키와 소형 디스플레이만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가전 기기(120)에 비해 풍부한 입출력 리소스를 갖는 사용자 단말(110)을 이용하여, 가전 기기(1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입력을 수신한다.
AP 장치(130)는 무선 접속 장치로, 가전 기기(120)에 탑재된 통신 모듈(228)과 연결되어 가전 기기(120)를 외부 네트워크 망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AP 장치(130)는 AP 장치(130)에 연결된 원거리 통신망을 통해 가전 기기(120)와 서버(14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프로세서(210), UWB 통신 모듈(212), 메모리(214), 입출력 인터페이스(216), 및 센서(31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가전 기기(120)에 비해 풍부한 입출력 리소스 및 센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216)는 터치스크린(321), 터치 패널(322), 키(323), 펜 인식 패널(324), 마이크로 폰(325), 스피커(3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310)는 이미지 센서(311), 가속도 센서(312), 자이로 센서(313), 홍채 센서(314), 지문 센서(315), 조도 센서(3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이러한 입출력 인터페이스(216) 및 센서(310)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가전 기기(100)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가전 기기(120)와 통신 연결을 수립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 신호는 터치스크린(321), 터치 패널(322), 키(323), 펜 인식 패널(324), 마이크로 폰(325)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출력을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의 출력은 터치스크린(321), 스피커(326) 등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 및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사용자 단말(110) 및 서버(140)와 통신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가전 기기(120)가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가전 기기(120)에 대해 설명된 실시 예들은 가전 기기 제어 방법에 대한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하고, 반대로 가전 기기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된 실시 예들은 가전 기기(120)에 대한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하다.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은 본 개시에 개시된 가전 기기(12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그 실시 예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401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UWB 통신을 통해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기기 등록 G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수신한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UWB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서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기기 등록 GUI를 통해 기기 연결 요청을 나타내는 버튼을 터치하는 입력을 받음으로써,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기기 연결 요청은 가전 기기(120)가 네트워크 망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10)과 가전 기기(120) 간의 통신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요청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기 연결 요청 신호는 사용자 단말(110)에 내장된 UWB 안테나를 통해 송출될 수 있으며, 송출된 기기 연결 요청 신호는 가전 기기(120)에 내장된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단계 S402에서, 가전 기기(120)는 수신된 기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120)에 내장된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는 사용자 단말(110)의 UWB 안테나를 통해 송출된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는 기기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각도를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는 AOA(Angle of Arrival)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는 좌표로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403에서, 가전 기기(120)는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120)와 사용자 단말(110) 간에 UWB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120)는 기기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각도를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좌표로 획득할 수 있다. 가전 기기(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인 좌표가, 사용자가 가전 기기(120)에 대해서 연결 요청을 할 수 있는 유효한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좌표가 유효한 영역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UWB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가전 기기(120)에 대해서 연결 요청을 할 수 있는 유효한 영역이란, 가전 기기(120) 전면의 일정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가전 기기(120)의 전면에 위치하지만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 단말이나, 가전 기기(120)의 후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 단말은 권한 없는 사용자 단말로 취급될 수 있다. 또한, 권한 없는 사용자 단말과 가전 기기(120) 사이에는 UWB 통신 채널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가전 기기(120)에 대해서 연결 요청을 할 수 있는 유효한 영역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404에서, 가전 기기(120)는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120)는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120)는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AP 장치(130)의 SSID, AP 장치(130)의 ID, 비밀번호, 인증 방식, 암호화 방법, 인증 키 등을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이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 중인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곧바로 가전 기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기기 등록 GUI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네트워크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가전 기기(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현재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중이라는 결과를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중이라는 결과를 수신한 가전 기기(120)는, 사용자 단말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 위치의 로컬 네트워크와 관련된 접속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에 기반한 로컬 네트워크와 관련된 접속 정보를 가전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40) 연결을 위한 사용자 계정 식별 정보를 가전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40) 연결을 위한 사용자 계정 식별 정보란 서버 접속 계정 ID 정보, 서버 접속 경로 정보, 서버 계정 Token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가전 기기(120)는 수신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120)는 수신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130)와 가전 기기(120) 간의 연결을 수립하여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전 기기(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AP 장치(130)의 SSID, 장치 ID, 비밀 번호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130)와 연결되어 네트워크 망에 접속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가전 기기(120)가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해 전달받은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는 동작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501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기기 등록 GUI를 통해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가전 기기(120)의 제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기기 등록 G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기 연결 요청 신호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이 기기 등록 GUI를 통해 기기 연결 요청 신호에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502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기기 등록 요청 신호를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기기 등록 요청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10)에 내장된 UWB 안테나를 통해 기기 등록 요청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송출된 기기 연결 요청 신호는 가전 기기(120)에 내장된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감지하고, 기기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가전 기기(120)에 내장된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UWB 안테나를 통해 송출된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를 이용하여, 기기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는 AoA(Angle of Arrival) 기반의 위치 측위 방법을 이용하여, 기기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제1 각도 및 제2 각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각도는 사용자 단말(110)의 UWB 안테나에서 가전 기기(120)의 제1 UWB 안테나로 직선을 따라 이동하는 입사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각도는 사용자 단말(110)의 UWB 안테나에서 가전 기기(120)의 제2 UWB 안테나로 직선을 따라 이동하는 입사각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 S504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측정된 각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인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가전 기기(120)에 내장된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를 이용하여, 기기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제1 각도 및 제2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측정된 제1 각도 및 제2 각도를 이용하여,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와 동일 평면 상에서 정의되는 사용자 단말(110)의 2차원 상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가전 기기(120)로부터 제1 영역 이내에 사용자 단말의 좌표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가전 기기(120)와 사용자 단말(110) 간의 UWB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와 동일 평면 상에서 정의되는 사용자 단말(110)의 2차원 상 좌표가 유효한 영역인 제1 영역 이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유효한 영역인 제1 영역은 사용자가 가전 기기(120)에 대해서 연결 요청을 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유효한 영역인 제1 영역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 단말(110)은 권한 있는 사용자에 의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유효한 영역인 제1 영역 이외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 단말은 권한 없는 사용자에 의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영역은 가전 기기(120) 전면의 일정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가전 기기(120) 전면의 일정 영역이란, 제1 UWB 안테나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반원 형태의 범위와 제2 UWB 안테나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반원 형태의 범위가 겹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영역은 가전 기기(120) 전면의 소정의 기준 지점을 중심으로부터 소정 반경을 갖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소정의 기준 지점은 예를 들면, 제1 UWB 안테나와 제2 UWB 안테나 사이의 지점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2차원 상 좌표가 제1 영역 이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가전 기기(120)와 사용자 단말(110) 간의 UWB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06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507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08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이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접속 중인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곧바로 가전 기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중인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와이파이 공유기에 해당하는 AP 장치(130)의 SSID, ID, 비밀번호, 인증 방식, 암호화 방법, 인증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에 기반한 로컬 네트워크와 관련된 접속 정보를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509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전달받은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기초로 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진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120)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 또는 로컬 네트워크와 관련된 접속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 또는 로컬 네트워크와 관련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130)와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는 AP 장치(130)의 SSID, ID, 비밀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가전 기기(120)는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포함된 AP 장치(130)의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AP 장치(130)와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120)는 AP 장치(130)와 연결을 수립하여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51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UWB 통신 채널을 종료하고, 단계 S511에서, 가전 기기(120)는 UWB 통신 채널이 종료된 것을 사용자 단말(11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120)가 네트워크 망에 접속이 완료되고, 더이상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전달 받을 정보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 가전 기기(120)는, 가전 기기(120)와 사용자 단말(110) 사이에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종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120)는 UWB 통신 채널의 종료를 사용자 단말(11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이 UWB 통신 채널의 종료를 전달받은 경우, 가전 기기(120)와 사용자 단말(110) 간에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은 종료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UWB 연결 요청 신호를 전달 받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가전 기기(120)에 해당하는 에어컨이 네트워크 망에 접속할 수 있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의 기기 등록 GUI를 통해 설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기기 등록 GUI(601)에는, 복수의 가전 기기의 목록 및 새로운 가전 기기(120)를 등록하기 위한 기기 등록 아이콘(60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전 기기의 목록은,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전달받아 네트워크에 접속이 완료된 가전 기기 또는 서버에 등록된 가전 기기에 대한 목록일 수 있다. 복수의 가전 기기의 목록에는 가전 기기들의 명칭, 가전 기기의 아이콘 이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전 기기는 가전 기기가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 분류되어 기기 등록 GUI(601)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에 위치하는 TV는 Living room 목록에 표시될 수 있고, 부엌에 위치하는 냉장고는 Kitchen 목록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가전 기기 목록에 표시된 가전 기기를 확인함으로써, 댁내에 위치하는 가전 기기가 네트워크 연결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기기 등록 아이콘(602)은 아직 네트워크 망에 접속 전인 가전 기기(120)에 대해,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장에서 출시된 후 아직 네트워크 망에 접속 전인 신규 제품 상태인 가전 기기(120)인 에어컨을 네트워크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에어컨 근처에서 기기 등록 아이콘(602)을 터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10)이 기기 등록 아이콘(602)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으면,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유효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에 대한 조건을 포함하는 가이드(603)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사용자 단말(110)과 가전 기기(120) 간에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해 전달된다. UWB 통신 채널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110)이 가전 기기(120)와 근접해야 하는 조건이 필요하다. 즉, 가전 기기(120)로부터의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가 유효한 영역인 제1 영역 내에 있을 경우에만 UWB 통신 채널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는 가전 기기(120)에 내장된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와 동일 평면 상에서 정의되는 2차원 상 좌표로 획득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110)은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와 같은 높이에 위치해야 하는 조건(조건 1)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효한 영역인 제1 영역은 가전 기기(120) 전면의 일정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가전 기기(120) 전면의 일정 영역이란, 제1 UWB 안테나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반원 형태의 범위와 제2 UWB 안테나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반원 형태의 범위가 겹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이 제1 UWB 안테나와 제2 UWB 안테나 중앙에서 근접한 거리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이 유효한 영역인 제1 영역 내에 위치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두 안테나의 중앙과 가까운 곳에 위치해야하는 조건(조건 2)을 가이드(603)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가 조건 1 및 조건 2를 만족할 수 있게 위치시킨 다음, UWB 연결 요청 아이콘(604)을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이 UWB 연결 요청 아이콘(604)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기기 등록 GUI(601) 화면에 "UWB 연결 요청 중입니다"라는 문구(605)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UWB 연결 요청 중입니다"라는 문구(605)를 표시함과 동시에, 가전 기기(120)에 기기 연결 요청 신호인 UWB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606)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10)은 내장된 UWB 안테나를 통해 기기 등록 요청 신호인 UWB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송출된 기기 연결 요청 신호인 UWB 연결 요청 신호는 가전 기기(120)에 내장된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WB 통신 채널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110)이 가전 기기(120)와 근접해야 하는 조건이 필요하다. 즉, 가전 기기(120)로부터의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가 유효한 영역인 제1 영역 내에 있을 경우에만 UWB 통신 채널이 생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UWB 통신 채널이 생성되기 위해 사용자 단말(110)이 위치해야 하는 영역인 제1 영역(705)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가전 기기(120)의 전면에 제1 UWB 안테나(701) 및 제2 UWB 안테나(7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UWB 안테나(701)는 가전 기기(120)의 중심으로부터 왼쪽으로 L만큼 떨어진 위치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UWB 안테나(702)는 가전 기기(120)의 중심으로부터 오른쪽으로 L만큼 떨어진 위치에 내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UWB 안테나(701) 및 제2 UWB 안테나(702)는 같은 높이에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에 내장된 UWB 안테나를 통해 기기 등록 요청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송출된 기기 연결 요청 신호는 가전 기기(120)에 내장된 제1 UWB 안테나(701) 및 제2 UWB 안테나(70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도 7에서 사용자 단말(706, 707, 708)에서 제1 UWB 안테나(701) 및 제2 UWB 안테나(702)로 향하는 점선 표시는 사용자 단말에서 가전 기기(120)로 전달되는 기기 등록 요청 신호를 표시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이 위치해야 하는 영역인 제1 영역(705)은 가전 기기(120) 전면의 일정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가전 기기(120)의 전면의 일정 영역이란, 제1 UWB 안테나(701)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반원 형태의 범위(703)와 제2 UWB 안테나(702)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반원 형태의 범위(704)가 겹치는 영역(705)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UWB 안테나(701)는, 제1 UWB 안테나(701)를 중심으로 하는 가전 기기(120) 전면의 반경 R을 가지는 반원 형태의 범위(703)를 유효한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UWB 안테나(702)는, 제2 UWB 안테나(702)를 중심으로 하는 가전 기기(120) 전면의 반경 R을 가지는 반원 형태의 범위(704)를 유효한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UWB 안테나(701) 및 제2 UWB 안테나(702)가 동시에 유효한 영역으로 인식하는 영역인 제1 영역(705)은, 제1 UWB 안테나(701)가 유효한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는 영역(703)과 제2 UWB 안테나(702)가 유효한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는 영역(704)이 겹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10)이 제1 영역(705) 내에 위치한 경우에만 UWB 통신 채널이 생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영역(705)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708)의 경우, 기기 연결 요청에 대응해서 가전 기기(120)와 사용자 단말(708) 사이에 UWB 통신 채널이 생성될 수 있다. 하지만, 가전 기기(120)의 전면에 위치하지만, 제1 영역(705) 이외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706)의 경우, 사용자 단말(706)이 가전 기기(120)로 기기 연결 요청을 전달하더라도 UWB 통신 채널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전 기기(120)의 후면에 위치해서 제1 영역(705) 이외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707)의 경우, 사용자 단말(707)이 가전 기기(120)로 기기 연결 요청을 전달하더라도 UWB 통신 채널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좌표로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제1 UWB 안테나(801)와 제2 UWB 안테나(802)와 동일 평면 상에서 정의되는 사용자 단말(110)의 2차원상 좌표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가전 기기(120)를 위에서 내려다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UWB 안테나(801)의 좌표는 (
Figure pat00001
)(803), 제2 UWB 안테나(802)의 좌표는 (
Figure pat00002
)(804)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에서 제1 UWB 안테나(801)로 수신되는 기기 연결 요청 신호의 입사각인 제1 각도는
Figure pat00003
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에서 제2 UWB 안테나(802)로 수신되는 기기 연결 요청 신호의 입사각인 제2 각도는
Figure pat00004
일 수 있다.
이때, 제1 UWB 안테나의 좌표, 제2 UWB 안테나의 좌표, 제1 각도 및 제2 각도로 사용자 단말(110)의 좌표(
Figure pat00005
)(805)가 공식화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6
위의 식은 다음과 같이 변환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7
제1 각도인
Figure pat00008
, 제2 각도인
Figure pat00009
는 다음과 같이 변환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10
결론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의 좌표인 (
Figure pat00011
)(805)는 다음의 공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12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사용자 단말(110)과 가전 기기(120) 사이에 UWB 통신 채널이 생성되고 난 이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901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중인 네트워크를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과 가전 기기(120) 사이에 UWB 통신 채널이 유효하게 생성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현재 접속중인 네트워크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현재 사용자 단말(110)이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902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이 AP1에 접속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AP1과 관련된 정보인 AP1의 ID, 비밀번호, 인증 방식, 암호화 방법, 인증 키 등을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접속 중인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곧바로 가전 기기(120)로 전달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네트워크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네트워크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11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903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전달받은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기초로 하여,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120)는 수신한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한 와이파이 정보와 관련된 AP 장치(130)와 가전 기기(120) 간의 연결을 수립하여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20)가 AP1과 관련된 접속 정보를 수신한 경우, 가전 기기(120)는 접속 정보에 포함된 AP1 장치의 ID 및 비밀번호 등을 이용하여 AP1 장치와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가전 기기(120)는 AP1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여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904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UWB 통신 채널을 종료하고, 단계 S905에서, 가전 기기(120)는 UWB 통신 채널이 종료된 것을 사용자 단말(11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120)가 네트워크 망에 접속이 완료되고, 더 이상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전달받을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가전 기기(120)는, 가전 기기(120)와 사용자 단말(110) 사이에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종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120)는 UWB 통신 채널의 종료를 사용자 단말(11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이 UWB 통신 채널의 종료를 전달받은 경우, 가전 기기(120)와 사용자 단말(110) 간에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로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사용자 단말(11)과 가전 기기(120) 사이에 UWB 통신 채널이 생성되고 난 이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1001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 중인 네트워크를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과 가전 기기(120) 사이에 UWB 통신 채널이 유효하게 생성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현재 접속중인 네트워크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현재 사용자 단말(110)이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002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중이라는 결과를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지 않은 경우,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현재 접속 중인 와이파이 공유기인 AP 장치(130)가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중이라는 결과를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1003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의 로컬 네트워크와 관련된 접속 정보에 대한 요청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중이라는 결과를 전달받은 가전 기기(120)는,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 가능한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1004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로컬 네트워크와 관련된 접속 정보를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컬 네트워크는,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에서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할 때,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공유기가 AP2 장치인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AP2 장치와 관련된 정보인 AP2의 ID, 비밀번호, 인증 방식, 암호화 방법, 인증 키 등을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공유기가 복수개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개의 와이파이 공유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 가능한 복수개의 와이파이 공유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11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1005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전달받은 로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기초로 하여,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20)가 AP2 장치와 관련된 접속 정보를 수신한 경우, 가전 기기(120)는 접속 정보에 포함된 AP2 장치의 ID 및 비밀번호 등을 이용하여 AP2 장치와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가전 기기(120)는 AP2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여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006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UWB 통신 채널을 종료하고, 단계 S1007에서, 가전 기기(120)는 UWB 통신 채널이 종료된 것을 사용자 단말(110)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1006과 단계 S1007에 대한 설명은, 단계 S904 및 단계 S905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기기 등록 G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전달받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네트워크(AP1, AP2, AP3, AP4, AP5) 중 가장 신호가 강한 AP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AP2와 관련된 접속 정보를 가전 기기(120)로 전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110)이 현재 와이파이 네트워크 중 AP1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라도, AP1과 관련된 접속 정보를 곧바로 가전 기기(120)로 전달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할 수 있는 와이파이 네트워크(AP1, AP2, AP3, AP4, AP5) 중 가장 신호가 강한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네트워크(AP1, AP2, AP3, AP4, AP5) 중 가장 신호가 강한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가전 기기(120)와 사용자 단말(110) 간에 UWB 통신 채널이 생성되어, 가전 기기(120)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할 준비가 완료된 경우, 기기 등록 GUI에는 "UWB 채널이 생성 되었습니다"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기기 등록 GUI에는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네트워크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WiFi 선택하기 아이콘(110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하고 있는 와이파이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정보를 가전 기기(120)로 전달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기기 등록 GUI에 표시된 WiFi 선택하기 아이콘(1101)을 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10)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중이라서 로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가전 기기(120)로 전달해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고,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 가능한 로컬 네트워크가 복수개라서 사용자가 선택해야하는 경우, 사용자는 기기 등록 GUI에 표시된 WiFi 선택하기 아이콘(1101)을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이 WiFi 선택하기 아이콘(1101)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기기 등록 GUI 화면에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대한 목록(1102)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네트워크인 AP1, AP2, AP3, AP4, AP5를 와이파이 세기 표시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대한 목록(1102)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1103)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네트워크 AP1 내지 AP5에서, AP2의 신호가 가장 센 것으로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가장 신호가 센 AP2에 대한 접속 정보를 가전 기기(120)에 전달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사용자가 AP2에 대한 접속 정보를 가전 기기(120)에 전달하기를 희망하는 경우, 사용자는 AP2를 선택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이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대한 목록(1202)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1103)을 수신한 경우, 선택된 와이파이 네트워크와 관련된 접속 정보를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P2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AP2와 관련된 접속 정보인 AP2의 ID, 비밀번호, 인증 방식, 암호화 방법, 인증 키 등을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1104).
도 1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기기 등록 G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가전 기기의 속성 정보를 전달받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에서는, 사용자 단말(110)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와 함께 가전 기기의 속성 정보를 결정하는 사용자 단말의 설정 정보를 UWB 통신 채널을 통해 가전 기기(120)로 전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네트워크 설정 과정에 있는 가전 기기(120)는 신규 제품 상태일 가능성이 크다. 신규 제품 상태인 가전 기기(120)는 아직 가전 기기(120)의 속성 정보가 설정되지 않았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가전 기기(120)를 조작해서 속성 정보를 설정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직접 가전 기기(120)의 버튼을 조작하여 가전 기기(120)의 위치 정보, 언어 정보, 시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가전 기기(120) 별로 상기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버튼의 종류가 다를 수 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네트워크 접속 정보와 함께 가전 기기의 속성 정보를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의 설정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가전 기기(120)의 속성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의 언어가 영어로 설정된 정보를 가전 기기(120)로 전달하는 경우, 가전 기기(120)의 언어와 관련된 속성 정보가 영어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네트워크 접속 정보와 함께 가전 기기 속성 정보를 가전 기기(120)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기기 등록 GUI에 표시된 "추가 정보 선택" 아이콘(1201)을 터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스마트폰 설정 정보" 아이콘(1202)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기기 등록 GUI 화면에 사용자 단말(110)의 설정 정보 목록(1203)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언어 정보(영어), 위치 정보(GMT +0), 시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의 설정 정보 목록(1203)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1204)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언어 정보를 가전 기기(120)에도 동일하게 설정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언어 정보를 선택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이 사용자 단말의 설정 정보 목록(1203)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1204)을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사용자 단말 설정 정보를 UWB 통신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 정보와 함께 가전 기기(120)에 전달할 수 있다(1305).
도 1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기기 등록 G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이전에 사용한 동일 타입의 가전 기기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전달받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b에서는, 사용자 단말(110)이 네트워크 접속 정보와 함께 이전에 사용한 동일 타입의 가전 기기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UWB 통신 채널을 통해 가전 기기(120)로 전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네트워크 설정 과정에 있는 가전 기기(120)는 신규 제품 상태일 가능성이 크다. 사용자가 이전에 동일 타입의 가전 기기를 사용한 이력이 있는 경우, 사용했던 가전 기기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신규 제품인 가전 기기(120)로 전달해 줄 수 있다면, 이전에 사용했던 가전 기기의 설정 정보를 가전 기기(120)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어 편리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했던 가전 기기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가전 기기(120)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기기 등록 GUI에 표시된 "추가 정보 선택" 아이콘(1201)을 터치하고, "백업 데이터" 아이콘(1206)을 터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백업 데이터" 아이콘(1206)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기기 등록 GUI 화면에 이전에 사용한 가전 기기의 이력 정보인 백업 데이터 목록(1207)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공기 청정기 백업 데이터", "냉장고 1 백업 데이터", "냉장고 2 백업 데이터", "에어컨 1 백업 데이터", "에어컨 2 백업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백업 데이터 목록(1207)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1208)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설정 중인 가전 기기(120)가 에어컨이고, 이전에 동일 타입의 에어컨을 사용한 적이 있고, 사용한 에어컨의 이력 정보가 "에어컨 1 백업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에어컨 1 백업 데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이 백업 데이터 목록(1207)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1208)을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이력 정보를 UWB 통신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 정보와 함께 가전 기기(120)에 전달할 수 있다(1209).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서버에 등록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사용자 단말(110)이 UWB 통신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가전 기기(120)에 전달한 이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1301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기기 등록 GUI를 통해 서버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전 기기(120)가 서버(140)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40)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는 문구를 포함하는 안내창을 기기 등록 GUI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을 네트워크에 접속시키기 위한 과정 중, 에어컨이 서버(14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식된 에어컨이 서버에 등록 전입니다. 서버에 에어컨을 등록할까요?"라는 문구가 포함된 안내창(1401)이 표시될 수 있다. 안내창(1401)은 "등록 안함" 아이콘(1402), "나중에" 아이콘(1403), "지금 등록" 아이콘(1404)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302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 연결을 위한 사용자 계정 식별 정보를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이 사용자로부터 "지금 등록" 아이콘(1404)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40) 연결을 위한 사용자 계정 식별 정보를 UWB 통신 채널을 통해 가전 기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1405).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120)는 서버(140) 연결을 위한 사용자 계정 식별 정보를 전달받아, 서버(140)의 소정의 계정에 연결된다. 따라서, 가전 기기(120)가 서버(140)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계정의 ID 및 비밀번호가 필요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서버(140) 연결을 위한 사용자 계정 식별 정보란, 서버 접속 계정 ID 정보, 서버 접속 계정 비밀번호 정보, 서버 접속 경로 정보, 서버 계정 Token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303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전달받은 서버 연결을 위한 사용자 계정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설정 클라우드에 서버 연결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서버(140)는 단계 S1304에서, 서버 연결을 위한 사용자 계정 식별 정보에서, 서버 접속 계정 ID 정보 및 비밀번호 정보가 서버(140)의 계정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가전 기기(120)를 서버(140)의 소정의 계정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40)는 단계 S1305에서, 서버 연결 정보를 가전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306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서버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140)에 가전 기기(120)를 등록하고,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40)는, 가전 기기(120)가 서버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140)에 접속함에 의해, 가전 기기(120)의 등록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가전 기기(120)는 서버(140)에 등록된 이후에, 서버(140)로 가전 기기(120)의 상태 정보, 모니터링 정보, 지원 요청, 데이터 처리 요청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가전 기기(120)는 서버(140)에 등록된 이후에, 서버(14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120)는 가전 기기(1500)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1500)는 센서(1510), 출력 인터페이스(1520), 입력 인터페이스(1530), 메모리(1540), 통신 모듈(1550), 가전 기능 모듈(1560), 전력 모듈(1580), 및 프로세서(1590)를 포함한다. 가전 기기(1500)는 도 1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5에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도 15의 가전 기기(1500)는 도 2에서 설명한 가전 기기(120)에 대응되고, 메모리(1540)는 도 2에서 설명한 메모리(226)에 대응되고, 프로세서(1590)는 도 2에서 설명한 프로세서(220)에 대응되고, 통신 모듈(1550)은 도 2에서 설명한 통신 모듈(228)에 대응된다.
센서(1510)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센서(1510)는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라이다 센서, 인감지 센서, 동작 감지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출력 인터페이스(1520)는 디스플레이(1521), 스피커(15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520)는 프로세서(1590)에서 생성된 다양한 알림, 메시지, 정보 등을 출력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530)는 키(1531), 터치스크린(15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5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프로세서(1590)로 전달한다.
메모리(1540)는 가전 기기(15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데이터, 명령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154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전 기기(2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550)은 근거리 통신 모듈(1552) 또는 원거리 통신 모듈(1554)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50)은 다른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1552)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WLAN(와이파이)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모듈, WFD(Wi-Fi Direct) 통신 모듈, UWB(ultra wideband) 통신 모듈, Ant+ 통신 모듈, 마이크로 웨이브(uWave)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거리 통신 모듈(1554)은, 다양한 종류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능 모듈(1560)은 가전 기기(1500)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모듈을 포함한다. 가전 기기(1500)가 세탁기에 대응하는 경우, 가전 기능 모듈(1560)은 세탁 모듈을 포함한다. 세탁 모듈은 세탁조, 급수부, 배수부, 모터, 도어, 세제 투입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1500)가 냉장고에 대응하는 경우, 가전 기능 모듈(1560)은 냉장/냉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냉동 모듈은 컨테이너, 냉각기, 도어,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1500)가 건조기에 대응하는 경우, 가전 기능 모듈(1560)은 건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모듈은 세탁물 컨테이너, 모터, 제습부, 배수부, 도어, 먼지 필터, 컨덴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1500)가 청소 모듈에 대응하는 경우, 가전 기능 모듈(1560)은 청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 모듈은 진공 흡입부, 먼지통, 필터, 먼지 이동 배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90)는 가전 기기(15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500)는 메모리(15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가전 기기(15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90)는 기계학습 모델의 동작을 수행하는 별도의 N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90)는 중앙 처리부(CPU),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GPU; Graphic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600) 내의 사용자 단말(1601)의 블록도이다.
도 16의 사용자 단말(1601)은 앞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11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설명한 프로세서(210)는 프로세서(1620)에 대응되고, 도 2에서 설명한 통신 모듈(212)은 통신 모듈(169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설명한 메모리(214)는 메모리(1630)에 대응되고, 도 2에서 설명한 입출력 인터페이스(216)는 입력 모듈(1650), 음향 출력 모듈(1655), 디스플레이 모듈(1660), 오디오 모듈(1670), 및 햅틱 모듈(1679)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가전 기기(120)는 전자 장치(1602) 또는 전자 장치(1604)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600)에서 사용자 단말(1601)은 제1 네트워크(16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6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6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604) 또는 서버(1608)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601)은 서버(16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6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601)은 프로세서(1620), 메모리(1630), 입력 모듈(1650), 음향 출력 모듈(1655), 디스플레이 모듈(1660), 오디오 모듈(1670), 센서 모듈(1676), 인터페이스(1677), 연결 단자(1678), 햅틱 모듈(1679), 카메라 모듈(1680), 전력 관리 모듈(1688), 배터리(1689), 통신 모듈(1690), 가입자 식별 모듈(1696), 또는 안테나 모듈(16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6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6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676), 카메라 모듈(1680), 또는 안테나 모듈(16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6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6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62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16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6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676) 또는 통신 모듈(16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6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6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20)는 메인 프로세서(16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6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601)이 메인 프로세서(1621) 및 보조 프로세서(16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623)는 메인 프로세서(16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623)는 메인 프로세서(16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6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6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6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6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621)와 함께, 사용자 단말(16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60), 센서 모듈(1676), 또는 통신 모듈(16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6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680) 또는 통신 모듈(16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6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16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6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630)는, 사용자 단말(16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620) 또는 센서 모듈(16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6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630)는, 휘발성 메모리(16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6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640)은 메모리(16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642), 미들 웨어(1644) 또는 어플리케이션(16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650)은, 사용자 단말(16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6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6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6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655)은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16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6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60)은 사용자 단말(16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6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670)은, 입력 모듈(16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655), 또는 사용자 단말(1601)과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6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676)은 사용자 단말(16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6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677)는 사용자 단말(16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6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6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678)는, 그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16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6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6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6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6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6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6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688)은 사용자 단말(16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6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689)는 사용자 단말(16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6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90)은 사용자 단말(1601)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602), 전자 장치(1604), 또는 서버(16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90)은 프로세서(16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690)은 무선 통신 모듈(16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6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6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6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6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6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6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698) 또는 제 2 네트워크(16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자 단말(1601)을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6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6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6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692)은 사용자 단말(16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6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6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6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6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6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6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698) 또는 제 2 네트워크(16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6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6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6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6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699)에 연결된 서버(1608)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1601)과 외부의 전자 장치(16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602, 또는 1604) 각각은 사용자 단말(1601)과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6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602, 1604, 또는 16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601)이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사용자 단말(1601)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사용자 단말(1601)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601)은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601)은,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6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6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604) 또는 서버(1608)는 제 2 네트워크(16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601)은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사용자 단말(110), 또는 가전 기기(12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사용자 단말(110), 또는 가전 기기(120))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UWB 통신을 통해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기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기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UWB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가전 기기에 포함된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기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인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기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UWB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전 기기로부터 제1 영역 이내에 상기 좌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가전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영역 이내에 상기 좌표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가전 기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접속 가능한 AP(Access Point)에 대한 정보, 상기 AP에 대한 비밀번호, 및 보안 설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중인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관련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다고 판단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의 로컬 네트워크와 관련된 접속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네트워크와 관련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버 연결을 위한 사용자 계정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전 기기의 속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의 속성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상기 가전 기기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또는 언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한 동일 타입의 가전 기기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적어도 하나의 UWB 안테나;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UWB 통신 모듈;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UWB 통신을 통해 기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기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UWB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생성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가전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가전 기기에 포함된 제1 UWB 안테나 및 제2 UWB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기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각도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측정한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인 좌표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기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가전 기기로부터 제1 영역 이내에 상기 좌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가전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영역 이내에 상기 좌표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가전 기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중인 상기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관련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다고 판단된 결과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의 로컬 네트워크와 관련된 접속 정보를 요청하는 동작; 및
    상기 로컬 네트워크와 관련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버 연결을 위한 사용자 계정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전 기기의 속성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의 속성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상기 가전 기기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언어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한 동일 타입의 가전 기기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20.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096745A 2021-07-22 2021-07-22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15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745A KR20230015240A (ko) 2021-07-22 2021-07-22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22/010783 WO2023003425A1 (ko) 2021-07-22 2022-07-22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7/901,450 US20230026235A1 (en) 2021-07-22 2022-09-01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745A KR20230015240A (ko) 2021-07-22 2021-07-22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240A true KR20230015240A (ko) 2023-01-31

Family

ID=8497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745A KR20230015240A (ko) 2021-07-22 2021-07-22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15240A (ko)
WO (1) WO202300342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643A (ko) * 2010-11-18 2012-05-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 위치 측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2688B1 (ko) * 2011-04-08 2013-04-09 (주)서원인텍 용이하게 홈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인터폰과 이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터폰시스템.
KR101832569B1 (ko) * 2015-12-15 2018-04-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홈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는 이동식 홈 로봇 및 그 동작 방법
EP3661147A4 (en) * 2017-07-25 2020-07-08 Cloudminds (Shenzhen) Robotics Systems Co., Ltd.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FOR INTELLIGENT DEVICE
KR102657527B1 (ko) * 2019-03-21 2024-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정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3425A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7527B1 (ko) 계정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30353555A1 (en) Iot device and method for onboarding iot device to server
US20230164033A1 (en) Edge computing system and method
US20230300197A1 (en) Hub device of iot environment, and method for processing event based on local network
EP4319255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network management oper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30018946A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의 동작 방법
KR20230015240A (ko)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0262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
US118633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KR20230072973A (ko) 가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9439A (ko) 가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30362259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4319062A1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home appliance
US20230127435A1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application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220417723A1 (en) Home applian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device communicating with home appliance
US20230025142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o provide private information in response to screen expansion
US20230132283A1 (e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ng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240056787A1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controlled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230353607A1 (en)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video calls
EP4297360A1 (en) Electronic devi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20230083823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multiple iot devices, method for operating same, and storage medium
KR20230157023A (ko) 사물 인터넷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01836A (ko) 가전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가전기기와 통신하는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KR20240021536A (ko) 피제어 장치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54610A (ko) 장치 인증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