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66316A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66316A1
WO2019066316A1 PCT/KR2018/010656 KR2018010656W WO2019066316A1 WO 2019066316 A1 WO2019066316 A1 WO 2019066316A1 KR 2018010656 W KR2018010656 W KR 2018010656W WO 2019066316 A1 WO2019066316 A1 WO 20190663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lter
drying chamber
exhaust
exhaust passag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065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방은숙
서동필
이형우
이상업
조황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880063008.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164256B/zh
Priority to US16/651,442 priority patent/US11618990B2/en
Publication of WO20190663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663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9Tray-like arrangements of filters in a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5/00Filter media structures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5/20Shape of filtering material
    • B01D2275/201Conic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ryer.
  • a dual type dryer having a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has appeared, and a dual type dryer can independently perform drying of the laundry to be loaded into each drying chamber independently provided.
  • the dryer having such a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can simultaneously perform drying of the laundry to be dried in a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according to the amount and type of the laundry to be dried,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drying.
  • the overall size of the dryer may be increased or the internal structure may be complicated due to a plurality of exhaust devices.
  • the dryer is install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dditional work for connection is required.
  • a conventional dryer having a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may have a plurality of filters for filtering pollutants such as dust or lint contained in air that has been dried from a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respectively,
  • the small small drying chamber did not have a separate filter but only a filter for filter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large drying chamber.
  • a plurality of filters are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they are separately required to be replaced or cleaned separately.
  • a small filter is not provided in the small drying chamber , The air in the small drying chamber containing the pollutant is direc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periphery of the dryer is contaminated with contaminants such as lint.
  • a drying apparatus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n exhaust port, a first drying chamber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o receive hot air, a second drying chamber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o receive hot air, And an exhaust unit for guiding air in the drying chamber to the exhaust port, wherein the exhaust unit includes: a first exhaust passage for connecting the first drying chamber and the exhaust port; a second exhaust passage for connecting the second drying chamber and the first exhaust passage A second exhaust passage, and a filter assembly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for filtering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xhaust passages.
  • the filter assembly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filter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exhaust passages, respectively.
  • first exhaust passage includes a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first opening opened to insert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exhaust passage has a second opening opened to insert the second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 the filter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tray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and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 the main body may include a filter tray accommod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opened to insert the filter tray.
  •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open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filter tray is coupled to the body to close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 the filter tray includes a grip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filter tray accommodating portion, first and second frames coupled to the grip portion to respectively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When coupled to the body, the first and second frames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lter receptacl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respectively.
  • the first exhaust passage includes a first upstream duct connecting an outlet of the first drying chamber and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and a first downstream duct connecting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exhaust port
  • the exhaust duct includes a second upstream duct connecting the outlet of the second drying chamber and the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econd downstream duct connecting the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first downstream duct
  • the second filter may 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upstream ducts.
  • the first and second filter receiving port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downstream duct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drying chamber and the second drying chamber.
  •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are disposed clos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filter tray accommodating portion can be opene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 the first drying chamber may be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drying chamber,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exhaust passage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exhaust passage.
  • the first exhaust passage may include a venturi tube, and the second exhaust passage may be connected to the venturi tube.
  • venturi tube includes a first portion having a decreasing diameter, a secon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and a third portion increasing in diameter from the second portion, and the second exhaust passage includes a third portion Lt; / RTI >
  • the first exhaust passage may include a damper disposed upstream of the venturi tube and upstream of the first exhaust passag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irst exhaust passage.
  •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may be disposed upstream of a portion where the first exhaust passage and the second exhaust passage are connected.
  • a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 drying drum having a main body having an exhaust po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first drying chamber rotatably disposed in the main body, A drying chamber having a second drying chamber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drying drum, a hot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inside of the drying chamber and the drying chamber, and air in the drying chamber and the drying chamber, And an exhaust unit for guiding the exhaust gas to the exhaust port, wherein the exhaust unit includes: a first exhaust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drying chamber and the exhaust port and having a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a second exhaust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drying chamber and the first exhaust passage A second exhaust passage having a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 and can bind to the second filter unit includes a receiving filter assembly having a first and a second filter for filtering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xhaust flow path.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first and second doors of a dryer are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a dr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S. 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n exhaust unit disposed inside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assembly of a dryer separated from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 is a plan view of an exhaust unit disposed within a drye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y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doors 11 and 21 of the dry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y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doors 11 and 21 of the dry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ryer (1) described below is an apparatus for drying a drying subject by supplying hot air, which is hot and dry, to a drying room containing the drying subject, and the drying subject includes all objects capable of drying through hot air.
  • the material to be dried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various types of fibers, such as clothing, towels, and the like.
  • the dryer 1 includes a main body 101 which forms an outer appearance.
  • the main body 101 may b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ide on which the first door 11 is installed (X-axis direction) is defined as a front side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side is defined as a rear side with reference to the dryer 1 shown in Fig. 1, (Y-axis)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 the main body 101 includes a first door 11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and a second door 21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 the first door 11 is hing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1 so as to be opened by rotating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1 and the second door 21 is rotated toward the top of the main body 101, (Not shown).
  • a drying drum 10 having a first drying chamber 10S to which hot air is supplied is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1 and a second drying chamber 20S through which hot air is su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drying drum 10,
  • the drying chamber 20 is disposed.
  • the drying drum 10 has a cylindrical shape opened toward the front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first door 11 through which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can be opened and closed.
  • drying chamber 20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second door 21 in the form of a basket of a hexahedron opened toward the upper side, through which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can be opened and closed.
  • the user can open the first door 11 to introduce the laundry into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and the laundry to be supplied to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um 10, .
  • the user can open the second door 21 to input the laundry into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and the laundry placed in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is heated by the hot air supplied to the drying chamber 20 Lt; / RTI >
  • a cover shelf 201 and a drying rack 202 may be disposed inside the drying chamber 20.
  • the cover shelf 201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e form of a plate arranged to face the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20.
  • the cover shelf 201 can guide the hot air introduc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20 and the cover shelf 201 to the upper side of the cover shelf 201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hot air can be guided so that the hot air can circulate uniformly in 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r 20S.
  • a drying rack 202 on which the laundry can be mounted can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ver shelf 201.
  • the drying rack 202 is a grill structure arranged so as to face the cover shelf 201.
  • the drying rack 202 can be mounted so that the laundry is spaced apart from the cover shelf 20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article to be laid on the drying rack 202 can be easily dried by the hot air moving upward from the through hole of the cover shelf 201.
  • the size of the drying drum 10 having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drying chamber 20 having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 the size of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and the capacity of the drying object which can be dried at one time through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is larger than the capacity of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
  • drying in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or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depending on the quantity and type of the object to be dried.
  • the dryer 1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drying a large amount of laundry to be dried through a rotating drying drum 10 and is capable of drying delicate clothes made of a material likely to be damaged by external force and heat Knit, or baby clothes) or a small amount of dried material is carried out through the drying chamber 20, effective drying can be performed depending on the quantity and kind of the dried material.
  • a control panel 10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 the control panel 102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oor 11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control panel 102.
  • the control panel 102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for operating the dryer 1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ryer 1.
  • the operation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or operation dials, etc., and the user can select the operation mode of the dryer 1 through the operation portion.
  • the display unit can display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ryer 1 in a visual image.
  •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for receiving a user's operation command, and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ryer 1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ntrol panel 102.
  • FIG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drye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rying drum 10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mounting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and may be in the shape of a cylinder rotating with respect to a rotation center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drum 10 may be formed with its rotation cen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may include an inlet opene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1 so that the laundry may be introduced into the drum.
  • the drying drum 10 can b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a driving roller (not shown)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1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ying drum 10. Thus, the drying drum 10 can apply hot air uniformly to the laundry placed in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 the first door 11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to open and close the loading port of the drying drum 10.
  • the first door 11 is pivotal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to open and close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 the object to be dried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of the drying drum 10 by opening the first door 11.
  • a drying drum 10 and a hot air supply unit 40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inside of the drying chamber 20 are disposed in the main body 101.
  • the hot air supply unit 40 can supply hot air for drying the laundry to the first and second drying rooms 10S and 20S, respectively.
  • the hot air supply unit 40 includes a first hot air unit 41 and a second hot air unit 42.
  • the first hot air unit 41 is connected to the drying drum 10 to supply the hot air to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and the first heater 411 and the first hot air duct 412).
  • the first heater 411 includes a first heating member (not shown) and a first blowing fan (not shown) blowing the air heated by the first heating member to the first hot air duct 412.
  • the air heated through the first heating member can be moved to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through the first hot air duct 412 by the first blowing fan.
  • the first hot air duct 412 may be a tube for connecting the drying drum 10 and the first heater 411 and may be connected to a rear portion opposite to an inlet opening toward the front of the drying drum 10 .
  • the hot air generated by the first heater 411 can flow into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of the drying drum 10 through the first hot air duct 412.
  • the first heating member may be constituted by an electric heater which generates hot air using the electric resistance heat of the coil or may be constituted by a gas heater which generates hot air using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gas.
  • a second hot air unit 42 connected to the drying chamber 20 and supplying hot air to the second drying room 20S is disposed behind the drying chamber 20.
  • the second hot air unit 42 is connected to the drying chamber 20 to supply hot air to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and the second heater 421 and the second hot air duct (422).
  • the second heater 421 includes a second blowing fan (not shown) blowing the air heated by the second heating member (not shown) and the second heating member to the second hot air duct 422.
  • the second hot air duct 422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20. Therefore, the air heated through the second heating member can be moved to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through the second hot air duct 422 by the second blowing fan.
  • the hot air generated by the second heater 421 can flow into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of the drying chamber 20 through the second hot air duct 422.
  • the second heating member may be constituted by an electric heater which generates hot air using the electric resistance heat of the coil or a gas heater which generates hot air by using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gas.
  • the size and the capacity of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and the second hot air unit 42 may be smaller in size than the first hot air unit 41 .
  • the first and second hot air units 41 and 42 connected to the drying drum 10 and the drying chamber 20 may be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hot air unit, 2
  • the hot air can be selectively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drying rooms 10S and 20S.
  • first and second hot air units 41 and 42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main body 101 includes an exhaust port 101H formed on one side thereof. As shown in Fig. 3, the exhaust port 101H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Fig.
  • An exhaust unit 30 (see Fig. 4) for guiding the drying drum 10 and the air inside the drying chamber 20 to the exhaust port 101H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101.
  • Air hereinafter, hot air and air are mix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 a large amount of moisture by finishing the drying of the object to be dried in the first and second drying rooms 10S, To the exhaust port 101H.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illustrated drye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entering on the exhaust unit 30, and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yer 1 shown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assembly 33 of the dry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detached.
  • the exhaust unit 30 includes a first exhaust passage 31, a second exhaust passage 32, a filter assembly 33, and an exhaust fan 34.
  •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connects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and the exhaust port 101H to allow humid air having been dried in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to pass through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101H).
  • the second exhaust passage 32 connects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and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to allow humid air having been dried in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to pass through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And the air that has moved to the first exhaust flow path 31 through the second exhaust flow path 32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1 through the exhaust port 101H.
  • the diameter of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exhaust passage 32.
  • the second exhaust passage 32 is connected to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to guide the air in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to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The air in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can be guided to the air outlet 101H.
  • the exhaust unit 30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and the second exhaust passage 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exhaust air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drying chambers 10S and 20S
  • the humid air having been dri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rying chambers 10S and 20S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single air outlet 101H.
  •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exhaust flow paths 31 and 3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 the filter assembly 3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1 and is capable of filtering and purifying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xhaust flow paths 31 and 32.
  • the air that has been dried in the first and second drying chambers 10S and 20S may contain contaminants such as dust, lint, etc. generated during the drying of the laundry.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xhaust passages 31 and 32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33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xhaust port 101H is cleaned to remove contaminants such as dust and lint Can be discharged.
  • the filter assembly 33 includes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which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exhaust flow paths 31 and 32, respectively.
  •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includes a first upstream duct 311, a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2, and a first downstream duct 313.
  • One end of the first upstream duct 311 is connected to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upstream duct 311 is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2.
  • One end of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is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101H.
  • the first downstream duct 311 connects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and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2 and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connects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2 and the exhaust port 101H. .
  •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2 includes a first opening 312H opened to insert the first filter 331 at a point connecting the first upstream duct 311 and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
  • the first upstream duct 31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bu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duct 3111 disposed in proximity to the inlet of the drying drum 10 to connect the first upstream duct 311 to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through the connection duct 311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 the connecting duct 3111 may be arranged close to the lower side of the inlet of the drying drum 10.
  • the connecting duct 3111 includes a first outlet 10H made up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ranged close to the inlet of the drying drum 10.
  • the air in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nnecting duct 3111 through the first outlet 10H, and the hot air moved to the connecting duct 3111 flows through the first upstream duct 311, 1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2 and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so as to be discharged to the exhaust port 101H.
  • an exhaust fan 34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duct 3111.
  • the exhaust fan 34 may include a suction fan (not shown) and a driving motor (not shown) that rotates the suction fan.
  • a suction fan (not shown)
  • a driving motor (not shown) that rotates the suction fan.
  • the hot air sucked into the connecting duct 3111 is easily moved by the exhaust fan 34 along the first upstream duct 311,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2 and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So that it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exhaust port 101H.
  • the first outlet 10H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first upstream duct 311 and may be formed on the drying drum 10 and connected to the first upstream duct 311 .
  • the second exhaust passage 32 includes a second upstream duct 321, a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22 and a second downstream duct 323.
  • the second downstream duct 321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22.
  • the second downstream duct 323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2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 the second upstream duct 321 connects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and the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22, and the second downstream duct 323 connects the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22 and the first downstream duct 322, (313).
  • the second filter receiving portion 322 includes a second opening 322H that connects the second upstream duct 321 and the second downstream duct 323 and is opened to allow the second filter 332 to be inserted.
  • the drying chamber 20 includes a second outlet 20H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one end of the second upstream duct 3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20H.
  • the second outlet 20H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drying chamber 20 clos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20 on the side thereof.
  • the air in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upstream duct 321 through the second outlet 20H, and the hot air, which has moved to the second upstream duct 321, The second downstream duct 322, and the second downstream duct 323 sequentially through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 the air in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which has moved to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101H.
  •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is smaller in size than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and the amount of the hot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through the second hot air unit 42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May be smaller than the amount of hot air supplied.
  • the air in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upstream duct 321 through the second outlet 20H without connecting the exhaust fan to the second exhaust passage 32.
  • the second exhaust passage 32 is connected to a separate exhaust fan (not shown), so that the air in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can be easily sucked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20H.
  • the first filter receiving portion 312 and the second filter receiving portion 322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disposed clos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 the first and second filter receiving portions 312 and 322 and the first and second downstream ducts 313 and 323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and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and the second downstream duct 323 are also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portion close to the exhaust port 101H.
  •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and 322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ading port of the drying drum 10 and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20.
  • first upstream duct 31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10H through the connecting duct 3111 disposed below the inlet of the drying drum 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upstream duct 311
  • the first upstream duct 311 may be vertically extended so that the first upstream duct 311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2.
  • the first upstream duct 311 is preferably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so that at least one portion thereof can be bent and its length can be minimized.
  •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extends from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2 disposed clos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And extends toward the exhaust port 101H of the main body 101 rearward.
  • the second upstream duct 3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20H formed on the side of the drying chamber 2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pstream duct 3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receiving portion 322 And may be vertically extended so as to be connected.
  • the second upstream duct 321 is preferably disposed clos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so that at least one portion thereof can be bent and its length can be minimized.
  • the second downstream duct 313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22 to exten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and the other end may be bent toward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1 downstream duct 313, respectively.
  •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and 322 are formed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drying chambers 10S and 20S passes first and second downstream ducts 313 and 323, (31) and the second exhaust passage (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upstream ducts 311 and 321,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and 322 and the first and second downstream ducts 313 and 323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drying drum 10 ,
  • the filter assembly 3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101 and includes a filter tray 333 that supports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can be moved together by the filter tray 333 when the filter assembly 33 is drawn into and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101. Therefore, the user can manage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together without managing them separately.
  • the main body 101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312H and 322H of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and 322 and the filter tray 333 is opened, And a tray accommodating portion 101S.
  • the filter tray 333 includes first and second frames 3331 and 3332 coupled to the grasping portion 3330 and the grasping portion 3330.
  •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are dispos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331 and 3332 and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331 and 3332 are coupled to the gripper 3330, 1 and the second filter 331, 332, respectively.
  •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331 and 3332 are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disposed therein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upstream ducts 311 and 321 and the first and second downstream ducts 313 and 323 of the first and second ducts 311 and 321 and the first and second ducts 311 and 313 opened toward the first and second ducts 313 and 323, And may include an opening H2.
  •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are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s H1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331 and 3332 respectively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s H1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331 and 3332,
  • the first filter H1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upstream ducts 311 and 321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are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s H1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331 and 3332, It is possible to filter the air that enters through the filter.
  • the second openings H2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331 and 3332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ownstream ducts 313 and 323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331 and 3332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and second downstream ducts 313 and 323 through the second openings H2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331 and 3332, respectively.
  •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lter receiving portions 312 and 322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331 and 3332, (311, 321).
  •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can filter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and 322 from the first and second upstream ducts 311 and 321 .
  •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may be prefilters with fine apertures that allow air to pass therethrough and not pollutants such as dust or lint in the air.
  •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pass pollutants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and 322 to the first and second downstream ducts 313 and 323,
  •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and 322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of filters capable of being filtered and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tructure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and 322.
  •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312H and 322H of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and 322 are opened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can be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
  • th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312H and 322H may correspond to th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331 and 3332.
  •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312H and 322H can be opene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1, and the filter tray accommodating portion 314,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312H and 322H, (101S) is also opene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1).
  • the filter tray 333 can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1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lter tray receiving portion 101S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1 and also can be inserted into the filter tray receiving portion 101S, Can constitute a part of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 the filter tray 333 can be engaged with the main body 101 to close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312H and 322H.
  • the filter tray 333 is inserted into the filter tray accommodating portion 101S so that the grip portion 3330 is coupled to the filter tray accommodating portion 101S and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331 and 3332 322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322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312H, 322H.
  •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upstream ducts 311 and 321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and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and 322, respectively.
  • the hot air of the first and second drying chambers 10S and 20S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dispos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and 322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 ≪ / RTI >
  •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moves along the first and second downstream ducts 313 and 323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and 322,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1 through the opening 101H.
  • the gripper 333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easily grasped by the user. In order to form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lter tray accommodating portion 101S, And a shape smoothly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plate 101.
  • the user grasps the gripping portion 3330 to couple the filter tray 333 to the filter tray accommodating portion 101S or to easily separate the filter tray 333 coupled to the filter tray accommodating portion 101S .
  • the first and second filter receiving portions 312 and 322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re equally opene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1, 101S.
  • the filter tray 333 is coupled to the filter tray accommodating portion 101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are easi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and 322 at the same time .
  •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are disposed on the filter tray 333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are separated by separating the filter tray 333 from the filter tray receiving portion 101S. 332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322 at the same time.
  •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can be simultaneously cleaned or replaced.
  • the dryer 1 has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and 322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exhaust flow paths 31 and 32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are disposed in the single filter tray 333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xhaust flow paths 31 and 32 Can be combined or separated.
  • the user can simultaneously replace or clean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31 and 332, which filter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xhaust flow paths 31 and 32,
  • the convenience of management of the sensors 331 and 332 can be improved.
  • the first and second filter accommodating portions 312 and 322 are disposed in proximity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and the filter tray 333 is inserted through the filter tray accommodating portion 101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 the filter tray 333 can be easi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01S by grasping the grasping portion 3330 since the user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1.
  •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ry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th the exhaust unit 30 as a center.
  •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may include a venturi tube 314.
  • venturi tube 314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to constitute a part of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 the second downstream duct 323 is connected to the venturi pipe 314 so that the air in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can be moved from the second downstream duct 323 to the venturi pipe 314.
  • the size of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so that the diameter of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exhaust passage 32.
  • the diameter d1 of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second downstream duct 323.
  • the venturi pipe 314 is connected to the upstream portion of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near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2 and is gradually reduced in diameter from the diameter d1 of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 the first portion 3141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3142 and the second portion 3142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3141 so that the diameter d1 of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from the second portion 3142, And a third portion 3143 whos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up to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diameter d3 of the second portion 3142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d1 of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 the second exhaust passage 32 is connected to the third portion 3143 of the venturi tube 314.
  • the second downstream duct 323 is connected to the third portion 3143 of the venturi tube 314 .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2 and moving along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may pass through the venturi pipe 314 and increase the moving speed.
  •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upstream portion of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and has moved to the first portion 3141 of the venturi tube 314 is lowered in pressure as it passes through the second portion 3142, Can be increased.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does not flow back to the second exhaust passage 32 and the air of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moving along the second exhaust passage 32 flows into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and can easily enter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and be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01H.
  •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includes a damper 315 disposed upstream of the venturi tube 314 on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 the damper 31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venturi tube 314 and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2 on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 the damper 315 is connected to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by the air moving toward the exhaust port 101H so as to prevent the air moving along the first exhaust flow path 31 from flowing back to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And can be a check damper 315 that is opened only in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to the exhaust port 101H by being pressurized.
  • the damper 315 discharges the air from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2 to the exhaust port 101H so as to prevent the air moving to the exhaust port 101H along the first downstream duct 313 from flowing back to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 a check damper 315 which opens and closes only in one direction.
  • the damper 315 is pressed by the air moving from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2 toward the exhaust port 101H without being separately transmitted from the first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12 to the exhaust port 101H, respectively.
  • the air having undergone drying in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can be guided to the exhaust port 101H through the first exhaust flow path 31,
  • the damper 315 can be open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air in the drying chamber 10S along the first exhaust flow path 31.
  • the diameter d2 of the second exhaust passage 32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d1 of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and the second exhaust passage 3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d1 of the third portion 321 of the venturi pipe 314.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exhaust passage 31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 the second exhaust passage 32 when the drying is performed only in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 the drying in the second drying chamber 20S is performed as if the air passes through the second exhaust flow path 32 to the third portion 3143 of the venturi tube 314 And can be discharged along the first lower duct 313 to the exhaust port 101H.
  • the air in the first drying chamber 10S is discharged to the exhaust port 101H along the first exhaust flow path 31,
  •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third portion 3143 of the venturi pipe 314 through the second exhaust flow path 32 and is discharged into the first lower duct 314 313 to the exhaust port 101H.
  • the first exhaust flow path 31 includes the venturi tube 314 and the damper 315, and the second exhaust flow path 32 is connected to the venturi tube 314,
  • the humid air in the first and second drying chambers 10S and 20S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single exhaust port 101H without flowing back to the first and second drying chambers 10S and 20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건조기가 개시된다. 건조기는 배기구를 구비한 본체,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열풍이 공급되는 제1 건조실,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열풍이 공급되는 제2 건조실, 및 제1 및 제2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배기구로 가이드하는 배기 유닛을 포함하고, 배기 유닛은, 제1 건조실과 배기구를 연결하는 제1 배기 유로, 제2 건조실과 제1 배기 유로를 연결하는 제2 배기 유로 및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및 제2 배기 유로를 지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기
본 개시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복수의 건조실을 구비한 듀얼 타입의 건조기가 등장하였으며, 듀얼 타입의 건조기는 독립적으로 구비된 각각의 건조실에 투입된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건조실을 구비한 건조기는 피건조물의 양과 종류에 따라 복수의 건조실에서 각각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건조의 성능 및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건조실을 구비한 종래의 건조기는 복수의 건조실에서의 건조를 마친 고온 다습한 열풍을 각각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기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였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소형 건조실의 경우 별도의 배기장치 없이 대형 건조실의 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기장치만을 구비하였다.
복수의 건조실 각각에 연결된 배기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건조기는 복수의 배기장치로 인해 건조기의 전체 크기가 증대하거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었으며, 건조기의 설치 시 복수의 배기관을 각각 설치장소의 실외로 연결하는 추가작업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아울러, 소형 건조실에 별도의 배기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건조기의 경우, 건조를 마친 후의 습한 공기가 건조실 내부에 누적됨으로써 건조 성능이 저하되거나, 건조기의 설치장소에 습한 공기가 노출됨으로써 곰팡이 등으로 인해 설치장소가 오염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복수의 건조실을 구비한 종래의 건조기는 복수의 건조실로부터 건조를 마친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린트(lint)와 같은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를 각각 구비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소형 건조실은 별도의 필터를 구비하지 않고 대형 건조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만을 구비하였다.
따라서, 복수의 필터를 구비한 종래의 건조기는 복수의 필터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이들을 각각 교체하거나 각각 청소를 해야 하는 별도의 관리가 요구되었으며, 소형 건조실에 별도의 필터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오염물질이 포함된 소형 건조실의 공기가 본체 외부로 그대로 배출됨으로써 건조기 주변이 린트 등과 같은 오염물질로 오염된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본 개시의 목적은 배기성능이 향상되고 관리가 용이한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배기구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열풍이 공급되는 제1 건조실,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열풍이 공급되는 제2 건조실 및 상기 제1 및 제2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가이드하는 배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제1 건조실과 상기 배기구를 연결하는 제1 배기 유로, 상기 제2 건조실과 상기 제1 배기 유로를 연결하는 제2 배기 유로,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기 유로를 지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및 제2 배기 유로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및 제2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기 유로는 상기 제1 필터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제1 개구를 구비한 제1 필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기 유로는 상기 제2 필터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제2 개구를 구비한 제2 필터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필터를 지지하는 필터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및 제2 개구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 트레이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필터 트레이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는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필터 트레이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트레이는, 상기 필터 트레이 수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필터를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트레이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기 유로는, 상기 제1 건조실의 배출구와 상기 제1 필터 수용부를 연결하는 제1 상류 덕트 및 상기 제1 필터 수용부와 상기 배기구를 연결하는 제1 하류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기 유로는, 상기 제2 건조실의 배출구와 상기 제2 필터 수용부를 연결하는 제2 상류 덕트 및 상기 제2 필터 수용부와 상기 제1 하류 덕트를 연결하는 제2 하류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필터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상류 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와 상기 제1 및 제2 하류 덕트는 상기 제1 건조실과 상기 제2 건조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필터 트레이 수용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건조실은 상기 제2 건조실보다 크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배기 유로의 직경은 상기 제2 배기 유로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기 유로는 벤투리 관(venturi tube)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기 유로는 상기 벤투리 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벤투리 관은 직경이 점점 감소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된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직경이 점점 증가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기 유로는 상기 제3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기 유로는 상기 벤투리 관보다 상기 제1 배기 유로의 상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배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배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1 건조실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건조실로부터 상기 배기구를 향해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제1 건조실로부터 상기 배기구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열리는 체크 댐퍼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는 상기 제1 배기 유로와 상기 제2 배기 유로가 연결되는 부분보다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외관을 형성하며, 일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열풍이 공급되는 제1 건조실을 구비한 건조 드럼, 상기 건조 드럼의 상측에 배치되며, 열풍이 공급되는 제2 건조실을 구비한 건조 챔버, 상기 건조 드림 및 상기 건조 챔버의 내측으로 열풍을 각각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 및 상기 건조 드림 및 상기 건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가이드하는 배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제1 건조실과 상기 배기구를 연결하며 제1 필터 수용부를 구비한 제1 배기 유로, 상기 제2 건조실과 상기 제1 배기 유로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필터 수용부와 근접하게 배치된 제2 필터 수용부를 구비한 제2 배기 유로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기 유로를 지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 및 제2 필터를 구비한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1 및 제2 도어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내부에 배치된 배기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필터 어셈블리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내부에 배치된 배기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개시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개시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의 제1 및 제2 도어(11, 21)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건조기(1)는 피건조물이 수용된 건조실에 고온 건조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피건조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피건조물은 열풍을 통해 건조가 가능한 모든 물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피건조물은 의류, 타월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섬유, 원단으로 구현된 것을 포함하며, 제한은 없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1)를 포함한다. 본체(10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건조기(1)를 기준으로 제1 도어(11)가 설치된 측(X축 방향)을 전방, 전방과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겠으며, 상기 전방을 기준으로 양측(Y축) 방향과 상하(Z축) 방향을 정의하여 설명한다.
본체(101)는 본체(101)의 전면에 결합된 제1 도어(11) 및 본체(101)의 상면에 결합된 제2 도어(21)를 포함한다.
제1 도어(11)는 본체(101)의 전방을 향해 회전함으로써 오픈될 수 있도록 본체(101)의 전면에 힌지 연결되며, 제2 도어(21)는 본체(101)의 상부를 향해 회전함으로써 오픈될 수 있도록 본체(101)의 상면에 힌지 연결된다.
본체(101)의 내부에는 열풍이 공급되는 제1 건조실(10S)을 구비한 건조 드럼(1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건조 드럼(10)의 상측에는 열풍이 공급되는 제2 건조실(20S)을 구비한 건조 챔버(20)가 배치된다.
건조 드럼(10)은 전방을 향해 개방된 원통의 형상으로, 제1 도어(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건조실(10S)이 개폐될 수 있다.
아울러, 건조 챔버(20)는 상측을 향해 개방된 육면체의 바스켓 형상으로, 제2 도어(21)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건조실(20S)이 개폐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도어(11)를 오픈하여 제1 건조실(10S)의 내부로 피건조물을 투입할 수 있으며, 제1 건조실(10S)로 투입된 피건조물은 열풍이 공급되는 건조 드럼(10)이 회전함으로써 건조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제2 도어(21)를 오픈하여 제2 건조실(20S)의 내부로 피건조물을 투입할 수 있으며, 제2 건조실(20S)에 투입된 피건조물은 건조 챔버(20)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챔버(20)의 내부에는 커버 선반(201) 및 건조 랙(rack)(202)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선반(201)은 건조 챔버(20)의 바닥면과 마주하게 배치된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다수의 통공을 포함한다.
커버 선반(201)은 건조 챔버(20)의 바닥면과 커버 선반(201) 사이로 유입된 열풍을 다수의 통공을 통해 커버 선반(201)의 상측으로 가이드(분사) 할 수 있으며, 제2 건조실(20S)의 내부에서 열풍이 균일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열풍을 가이드할 수 있다.
아울러, 커버 선반(201)의 상측에는 피건조물이 거치될 수 있는 건조 랙(202)이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건조 랙(202)은 커버 선반(201)과 마주하게 배치된 그릴 구조로서, 건조 랙(202)에는 피건조물이 커버 선반(201)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 랙(202)에 거치된 피건조물은 커버 선반(201)의 통공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이동하는 열풍에 의해 용이하게 건조될 수 있다.
제1 건조실(10S)을 구비한 건조 드럼(10)은 제2 건조실(20S)을 구비한 건조 챔버(20)보다 그 크기가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건조실(10S)의 크기는 제2 건조실(20S)보다 크게 구성되며, 제1 건조실(10S)을 통해 한 번에 건조될 수 있는 피건조물의 용량은 제2 건조실(20S)의 용량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건조물의 수량 및 종류에 따라 제1 건조실(10S) 또는 제2 건조실(20S)에서의 건조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건조기(1)는 회전하는 건조 드럼(10)을 통해 대량의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외력 및 열에 의해 손상을 입기 쉬운 재질로 이루어진 섬세의류(예를 들어, 울 소재의 니트, 또는 유아복 등) 또는 소량의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는 건조 챔버(20)를 통해 수행함으로써, 피건조물의 수량 및 종류에 따른 효과적인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본체(101)의 전면에는 컨트롤 패널(102)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02)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제1 도어(11)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 패널(102)은 건조기(1)의 작동을 위한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 및 건조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다수의 버튼 또는 조작 다이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조작부를 통해 건조기(1)의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건조기(1)의 동작 정보를 시각적인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다수의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102)의 내부에는 건조기(1)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피건조물의 건조를 위해 제1 및 제2 건조실(10S, 20S)로 열풍이 공급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는 제1 및 제2 건조실(10S, 20S)로 유입되는 열풍의 흐름을 화살표로서 도시하였다.
건조 드럼(10)은 본체(101)의 설치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원통의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건조 드럼(10)은 그 회전중심이 전후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피건조물이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본체(101)의 전방을 향해 개방된 투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드럼(10)은 본체(101)의 내부에 배치되어 건조 드럼(10)의 외주면과 접하는 구동 롤러(미도시)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 드럼(10)은 제1 건조실(10S)로 투입된 피건조물에 균일하게 열풍을 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1)의 전면에는 건조 드럼(10)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제1 도어(11)가 결합된다.
제1 도어(11)는 본체(101)의 전면에 피봇(pivot)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건조실(10S)을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피건조물은 제1 도어(11)가 열림으로써 건조 드럼(10)의 제1 건조실(10S)로 투입될 수 있다.
본체(101)의 내부에는 건조 드럼(10) 및 건조 챔버(20)의 내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40)가 배치된다.
열풍 공급부(40)는 피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열풍을 제1 및 제2 건조실(10S, 20S)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풍 공급부(40)는 제1 열풍 유닛(41)과 제2 열풍 유닛(42)을 포함한다.
제1 열풍 유닛(41)은 건조 드럼(10)과 연결됨으로써 제1 건조실(10S)로 열풍을 공급하며, 건조 드럼(10)의 하측에 배치된 제1 히터(411) 및 제1 열풍 덕트(412)를 포함한다.
제1 히터(411)는 제1 가열부재(미도시) 및 제1 가열부재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제1 열풍 덕트(412)로 불어내는 제1 송풍 팬(미도시)을 포함한다. 제1 가열 부재를 통해 가열된 공기는 제1 송풍 팬에 의해 제1 열풍 덕트(412)를 지나 제1 건조실(10S)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열풍 덕트(412)는 건조 드럼(10)과 제1 히터(411)를 연결하는 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건조 드럼(10)의 전방을 향해 개방된 투입구와 반대되는 후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히터(411)에서 발생된 열풍은 제1 열풍 덕트(412)를 지나 건조 드럼(10)의 제1 건조실(10S)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가열부재는 코일의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전기식 히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가스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가스식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건조 챔버(20)의 후방에는 건조 챔버(20)와 연결되어 제2 건조실(20S)로 열풍을 공급하는 제2 열풍 유닛(42)이 배치된다.
제2 열풍 유닛(42)은 건조 챔버(20)와 연결됨으로써 제2 건조실(20S)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으며, 건조 챔버(20)의 후방에 배치된 제2 히터(421) 및 제2 열풍 덕트(422)를 포함한다.
제2 히터(421)는 제2 가열부재(미도시) 및 제2 가열부재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제2 열풍 덕트(422)로 불어내는 제2 송풍 팬(미도시)을 포함한다. 제2 열풍 덕트(422)는 건조 챔버(20)의 후면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2 가열 부재를 통해 가열된 공기는 제2 송풍 팬에 의해 제2 열풍 덕트(422)를 지나 제2 건조실(20S)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히터(421)에서 발생된 열풍은 제2 열풍 덕트(422)를 지나 건조 챔버(20)의 제2 건조실(20S)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가열부재는 코일의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전기식 히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가스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가스식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건조실(20S)은 제1 건조실(10S)보다 그 크기 및 용량이 작게 구성될 수 있는바, 제2 열풍 유닛(42) 역시 제1 열풍 유닛(41)보다 그 크기가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건조 드럼(10)과 건조 챔버(20)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열풍 유닛(41, 42)은 일체로서 단일의 열풍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댐퍼를 통해 제1 및 제2 건조실(10S, 20S) 중 적어도 하나로 열풍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 열풍 유닛(41, 42)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101)는 일측에 형성된 배기구(101H)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구(101H)는 본체(101)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1)의 내부에는 건조 드럼(10) 및 건조 챔버(20) 내부의 공기를 배기구(101H)로 가이드하는 배기 유닛(30, 도 4 참조)이 배치된다.
제1 및 제2 건조실(10S, 20S)에서 피건조물의 건조를 마침으로써 다량의 습기를 포함한 열풍(공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열풍과 공기를 혼용하기로 한다)은 배기 유닛(30)을 통해 배기구(101H)로 배출될 수 있다.
배기 유닛(30)의 세부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된 건조기(1)의 내부를 배기 유닛(30)을 중심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된 건조기(1)의 내부를 배기 유닛(30)을 중심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의 필터 어셈블리(33)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배기 유닛(30)의 세부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는 제1 및 제2 건조실(10S, 20S)로부터 배기 유닛(30)을 통해 배기구(101H)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화살표로서 도시하였다.
배기 유닛(30)은 제1 배기 유로(31), 제2 배기 유로(32), 필터 어셈블리(33) 및 배기 팬(34)을 포함한다.
제1 배기 유로(31)는 제1 건조실(10S)과 배기구(101H)를 연결하며, 이를 통해 제1 건조실(10S)에서의 건조를 마친 다습한 공기를 제1 배기 유로(31)를 통해 배기구(101H)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배기 유로(32)는 제2 건조실(20S)과 제1 배기 유로(31)를 연결하며, 이를 통해, 제2 건조실(20S)에서의 건조를 마친 다습한 공기를 제1 배기 유로(31)로 가이드할 수 있으며, 제2 배기 유로(32)를 통해 제1 배기 유로(31)로 이동한 공기는 배기구(101H)를 통해 본체(10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배기 유로(31)의 직경은 제2 배기 유로(32)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2 배기 유로(32)는 제1 배기 유로(31)에 연결됨으로써, 제2 건조실(20S) 내부의 공기를 제1 배기 유로(31)로 가이드할 수 있으며, 제1 배기 유로(31)를 통해 제2 건조실(20S) 내부의 공기를 배기구(101H)로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배기 유닛(30)은 제1 배기 유로(31)와 제2 배기 유로(32)가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배기구(101H)를 통해 제1 및 제2 건조실(10S, 20S) 내부의 공기를 배기구(101H)로 가이드할 수 있는바, 제1 및 제2 건조실(10S, 20S) 각각에서 건조를 마친 다습한 공기가 단일의 배기구(101H)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배기 유로(31, 32)의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필터 어셈블리(33)는 본체(10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및 제2 배기 유로(31, 32)를 지나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정화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건조실(10S, 20S)에서의 건조를 마친 공기는 피건조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먼지, 린트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어셈블리(33)를 통해 제1 및 제2 배기 유로(31, 32)를 지나는 공기를 필터링 함으로써, 배기구(101H)를 통과하는 공기는 먼지나 린트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어셈블리(33)는 제1 및 제2 배기 유로(31, 32)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및 제2 필터(331, 332)를 포함한다.
제1 배기 유로(31)는 제1 상류 덕트(311), 제1 필터 수용부(312) 및 제1 하류 덕트(313)를 포함한다.
제1 상류 덕트(311)는 일단이 제1 건조실(10S)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1 필터 수용부(312)와 연결되며, 제1 하류 덕트(313)는 일단이 제1 필터 수용부(312)와 연결되고 타단이 배기구(101H)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상류 덕트(311)는 제1 건조실(10S)과 제1 필터 수용부(312)를 연결하고, 제1 하류 덕트(313)는 제1 필터 수용부(312)와 배기구(101H)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필터 수용부(312)는 제1 상류 덕트(311)와 제1 하류 덕트(313)를 연결하는 지점으로, 제1 필터(331)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제1 개구(312H)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1 상류 덕트(311)는 직접 제1 건조실(10S)에 연결될 수 있으나, 건조 드럼(10)의 투입구와 근접하게 배치된 연결 덕트(3111)를 더 포함함으로써 연결 덕트(3111)를 통해서 제1 건조실(10S)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덕트(3111)는 건조 드럼(10)의 투입구의 하측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덕트(3111)는 건조 드럼(10)의 투입구와 근접하게 배치된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된 제1 배출구(10H)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건조실(10S) 내부의 공기는 제1 배출구(10H)를 통해 연결 덕트(3111)로 유입될 수 있으며, 연결 덕트(3111)로 이동한 열풍은 제1 상류 덕트(311), 제1 필터 수용부(312) 및 제1 하류 덕트(313)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배기구(101H)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 덕트(3111)에는 배기 팬(34)이 결합될 수 있다.
배기 팬(34)은 흡입 날개(미도시) 및 흡입 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흡입 날개가 회전함으로써 제1 건조실(10S) 내부의 열풍이 제1 배출구(10H)를 통해 연결 덕트(3111)로 흡입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 덕트(3111)의 내부로 흡입된 열풍은 배기 팬(34)에 의해 제1 상류 덕트(311), 제1 필터 수용부(312) 및 제1 하류 덕트(313)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기구(101H)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제1 배출구(10H)는 전술한 구조 외에도, 제1 상류 덕트(311)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건조 드럼(10) 상에 형성되어 제1 상류 덕트(31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기 유로(32)는 제2 상류 덕트(321), 제2 필터 수용부(322) 및 제2 하류 덕트(323)를 포함한다.
제2 상류 덕트(321)는 일단이 제2 건조실(20S)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 필터 수용부(322)와 연결되며, 제2 하류 덕트(323)는 일단이 제2 필터 수용부(322)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 하류 덕트(313)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상류 덕트(321)는 제2 건조실(20S)과 제2 필터 수용부(322)를 연결하고, 제2 하류 덕트(323)는 제2 필터 수용부(322)와 제1 하류 덕트(313)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필터 수용부(322)는 제2 상류 덕트(321)와 제2 하류 덕트(323)를 연결하며, 제2 필터(332)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제2 개구(322H)를 포함한다.
건조 챔버(20)는 일측에 형성된 제2 배출구(20H)를 포함하며, 제2 상류 덕트(321)의 일단은 제2 배출구(20H)에 연결된다.
일 예로서, 제2 배출구(20H)는 건조 챔버(20)의 측면 상에서 건조 챔버(20)의 전면과 근접한 일부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건조실(20S) 내부의 공기는 제2 배출구(20H)를 통해 제2 상류 덕트(321)로 유입될 수 있으며, 제2 상류 덕트(321)로 이동한 열풍은 제2 필터 수용부(322) 및 제2 하류 덕트(323)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제1 하류 덕트(313)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하류 덕트(313)로 이동한 제2 건조실(20S) 내부의 공기는 배기구(101H)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건조실(20S)은 제1 건조실(10S)보다 그 크기가 작게 구성되는바, 제2 열풍 유닛(42)을 통해 제2 건조실(20S)로 투입되는 열풍의 양은 제1 건조실(10S)로 공급되는 열풍의 양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기 유로(32)는 별도의 배기 팬의 연결 없이도, 제2 건조실(20S) 내부의 공기가 제2 배출구(20H)를 통해 제2 상류 덕트(321)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기 유로(32)는 별도의 배기 팬(미도시)이 연결됨으로써, 제2 건조실(20S) 내부의 공기를 제2 배출구(20H)를 통해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 수용부(312)와 제2 필터 수용부(322)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본체(101)의 전면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아울러,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와 제1 및 제2 하류 덕트(313, 323)는 제1 건조실(10S)과 제2 건조실(20S)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하류 덕트(313)와 제2 하류 덕트(323) 역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배기구(101H)에 근접한 부분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는 건조 드럼(10)의 투입구의 상측에 배치되며, 건조 챔버(20)의 전면의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상류 덕트(311)의 일단은 건조 드럼(10)의 투입구의 하측에 배치된 연결 덕트(3111)를 통해 제1 배출구(10H)와 연결되며, 제1 상류 덕트(311)의 타단은 제1 필터 수용부(312)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상류 덕트(311)는 상하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상류 덕트(311)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구부러질 수 있으며, 그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본체(101)의 전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체(101)의 배기구(101H)는 본체(101)의 후면에 형성되므로, 제1 하류 덕트(313)는 본체(101)의 전면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1 필터 수용부(312)로부터 본체(101)의 배기구(101H)를 향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2 상류 덕트(321)의 일단은 건조 챔버(20)의 측면에 형성된 제2 배출구(20H)와 연결되고, 제2 상류 덕트(321)의 타단은 제2 필터 수용부(322)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제2 상류 덕트(321)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구부러질 수 있으며, 그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본체(101)의 전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 하류 덕트(313)는 제2 필터 수용부(322)에 연결되어 본체(101)의 후면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타단부가 제1 하류 덕트(313)를 향해 구부러짐으로써 제1 하류 덕트(313)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는 제1 및 제2 건조실(10S, 20S)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및 제2 하류 덕트(313, 323)보다 먼저 통과하도록 제1 배기 유로(31)와 제2 배기 유로(32)가 연결되는 부분보다 상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및 제2 상류 덕트(311, 321),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와 제1 및 제2 하류 덕트(313, 323)의 배치 및 구조는 건조 드럼(10), 건조 챔버(20) 및 배기구(101H)의 배치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배기 유로(31, 32)의 전체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어셈블리(33)는 본체(10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및 제2 필터(331, 332)를 지지하는 필터 트레이(33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필터(331, 332)는 필터 어셈블리(33)를 본체(101)에 인입 및 인출 시 필터 트레이(333)에 의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및 제2 필터(331, 332)를 별도로 관리하지 않고 함께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1)는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의 제1 및 제2 개구(312H, 322H)와 연결되고, 필터 트레이(333)가 삽입되도록 전방을 향해 개방된 필터 트레이 수용부(101S)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필터 트레이(333)는 파지부(3330)와 파지부(3330)에 결합된 제1 및 제2 프레임(3331, 333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프레임(3331, 3332)의 내측에는 제1 및 제2 필터(331, 332)가 배치되며, 제1 및 제2 프레임(3331, 3332)은 파지부(3330)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필터(331, 332)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3331, 3332)은 내부에 배치된 제1 및 제2 필터(331, 332)가 각각 제1 및 제2 상류 덕트(311, 321)와 제1 및 제2 하류 덕트(313, 323)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상류 덕트(311, 321)를 향해 개방된 제1 개구부(H1)와 제1 및 제2 하류 덕트(313, 323)를 향해 개방된 제2 개구부(H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필터(331, 332)는 각각 제1 및 제2 프레임(3331, 3332)의 제1 개구부(H1)와 연결되고, 제1 및 제2 프레임(3331, 3332)의 제1 개구부(H1)는 제1 및 제2 상류 덕트(311, 321)와 연결됨으로써, 제1 및 제2 필터(331, 332)가 제1 및 제2 프레임(3331, 3332)의 제1 개구부(H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프레임(3331, 3332)의 제2 개구부(H2)는 각각 제1 및 제2 하류 덕트(313, 323)와 연결됨으로써, 제1 및 제2 필터(331, 332)를 통과한 공기는 제1 및 제2 프레임(3331, 3332)의 제2 개구부(H2)를 통해 각각 제1 및 제2 하류 덕트(313, 323)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필터(331, 332)는 각각, 제1 및 제2 프레임(3331, 3332)을 통해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상류 덕트(311, 32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필터(331, 332)는 제1 및 제2 상류 덕트(311, 321)로부터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필터(331, 332)는 공기는 통과시키고 공기 중의 먼지 또는 린트와 같은 오염물질은 통과시키지 않는 미세한 통공을 구비한 프리 필터일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 필터(331, 332)는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를 통과하여 제1 및 제2 하류 덕트(313, 323)로 이동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의 제1 및 제2 개구(312H, 322H)는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됨으로써 제1 및 제2 필터(331, 332)가 동일한 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개구(312H, 322H)의 형상은 제1 및 제2 프레임(3331, 3332)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개구(312H, 322H)는 본체(101)의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개구(312H, 322H)와 연결된 필터 트레이 수용부(101S) 역시 본체(101)의 전방을 향해 개방된다.
따라서, 필터 트레이(333)는 본체(101)의 전방으로부터 필터 트레이 수용부(101S)에 삽입됨으로써 본체(10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아울러, 필터 트레이 수용부(101S)에 삽입됨으로써 본체(101)의 외관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필터 트레이(333)는 본체(101)에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개구(312H, 322H)를 폐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트레이(333)가 필터 트레이 수용부(101S)에 삽입됨으로써, 파지부(3330)는 필터 트레이 수용부(101S)에 결합하고, 제1 및 제2 프레임(3331, 3332)은 제1 및 제2 개구(312H, 322H)를 통해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의 내측에 삽입 결합한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필터(331, 332)는 제1 및 필터 수용부(312, 322)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제1 및 제2 상류 덕트(311, 321)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건조실(10S, 20S)의 열풍은 외부로 누출됨이 없이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의 내부에 배치된 제1 및 제2 필터(331, 332)를 통과함으로써 필터링 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필터(331, 332)를 통과한 공기는 각각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와 연결된 제1 및 제2 하류 덕트(313, 323)를 따라 이동하며, 배기구(101H)를 통해 본체(10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파지부(333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터 트레이 수용부(101S)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101)의 외관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도록 외면이 본체(101)의 전면과 부드럽게 이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지부(3330)를 파지하여 필터 트레이(333)를 필터 트레이 수용부(101S)에 결합시키거나, 필터 트레이 수용부(101S)에 결합된 필터 트레이(333)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는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본체(101)의 전방을 향해 동일하게 개방됨으로써 본체(101)의 전면에 형성된 필터 트레이 수용부(101S)와 연결된다.
따라서, 필터 트레이(333)가 필터 트레이 수용부(101S)에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필터(331, 332)가 동시에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필터(331, 332)는 필터 트레이(333) 상에 함께 배치되므로, 필터 트레이(333)를 필터 트레이 수용부(101S)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1 및 제2 필터(331, 332)를 동시에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트레이(333)를 본체(101)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1 및 제2 필터(331, 332)를 동시에 청소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는 제1 및 제2 배기 유로(31, 32)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를 서로 근접하게 배치하고, 단일의 필터 트레이(333)에 제1 및 제2 필터(331, 332)를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필터(331, 332)를 동시에 제1 및 제2 배기 유로(31, 32)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1 및 제2 배기 유로(31, 32)를 지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 및 제2 필터(331, 332)를 동시에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1 및 제2 필터(331, 332)의 관리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1)의 전면에 근접하게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312, 322)가 배치되고, 본체(101)의 전면에 형성된 필터 트레이 수용부(101S)를 통해 필터 트레이(333)가 본체(101)에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파지부(3330)를 파지하여 필터 트레이(333)를 필터 수용부(101S)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의 내부를 배기 유닛(30)을 중심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 배기 유로(31)와 제2 배기 유로(32)가 연결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기 유로(31)는 벤투리 관(venturi tube, 314)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벤투리 관(314)은 제1 하류 덕트(313) 상에 배치되어 제1 하류 덕트(313)의 일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하류 덕트(323)는 벤투리 관(314)에 연결됨으로써, 제2 건조실(20S)의 공기가 제2 하류 덕트(323)로부터 벤투리 관(314)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건조실(10S)의 크기는 제2 건조실(20S)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제1 배기 유로(31)의 직경은 제2 배기 유로(32)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류 덕트(313)의 직경(d1)은 제2 하류 덕트(323)의 직경(d2)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벤투리 관(314)은 제1 하류 덕트(313)의 제1 필터 수용부(312)에 근접한 상류 부분과 연결되어 제1 하류 덕트(313)의 직경(d1)으로부터 직경이 점점 감소하는 제1 부분(3141), 제1 부분(3141)과 연결된 제2 부분(3142) 및 제2 부분(3142)과 연결되어 제2 부분(3142)으로부터 제1 하류 덕트(313)의 직경(d1)까지 직경이 점점 증가하는 제3 부분(3143)을 포함한다.
제2 부분(3142)의 직경(d3)은 제1 하류 덕트(313)의 직경(d1)보다 작게 구성된다.
아울러, 제2 배기 유로(32)는 벤투리 관(314)의 제3 부분(3143)에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제2 하류 덕트(323)는 벤투리 관(314)의 제3 부분(3143)에 연결된다.
제1 필터 수용부(312)를 통과하여 제1 하류 덕트(313)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벤투리 관(314)을 통과하면서 이동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벤투리 관(314)에 연결된 제2 하류 덕트(323) 내부의 공기는 벤투리 관(314)으로 빨려들어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류 덕트(313)의 상류부분을 지나 벤투리 관(314)의 제1 부분(3141)으로 이동한 공기는 제2 부분(314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력이 낮아짐으로써 그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벤투리 관(314)의 제3 부분(3143)에 연결된 제2 하류 덕트(323) 내부의 공기는, 제2 부분(3142)을 지나면서 그 속도가 빨라진 제1 하류 덕트(313) 내부의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제3 부분(3143)으로 빨려들어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배기 유로(31)를 지나는 공기가 제2 배기 유로(32)로 역류하지 않으며, 제2 배기 유로(32)를 따라 이동하는 제2 건조실(20S)의 공기는 제2 건조실(20S)로 역류하지 않고 제1 배기 유로(31)로 용이하게 진입하여 배기구(101H)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배기 유로(31)는, 벤투리 관(314)보다 제1 배기 유로(31) 상의 상류에 배치되어 제1 배기 유로(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31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댐퍼(315)는, 제1 하류 덕트(313) 상에서 벤투리 관(314)과 제1 필터 수용부(3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댐퍼(315)는 제1 배기 유로(31)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제1 건조실(10S)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건조실(10S)로부터 배기구(101H)를 향해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1 건조실(10S)로부터 배기구(101H)를 향하는 일방향으로만 열리는 체크 댐퍼(31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315)는 제1 하류 덕트(313)를 따라 배기구(101H)로 이동하는 공기가 제1 건조실(10S)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필터 수용부(312)로부터 배기구(101H)를 향하는 일방향으로만 개폐되는 체크 댐퍼(315)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댐퍼(315)는 개폐를 위한 별도로 구동력을 전달받지 않고도, 제1 필터 수용부(312)로부터 배기구(101H)를 향해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1 필터 수용부(312)로부터 배기구(101H)를 향하는 일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건조실(10S)에서만 건조가 수행되는 경우, 제1 건조실(10S)에서의 건조 수행을 마친 공기는 제1 배기 유로(31)를 통해 배기구(101H)로 가이드 될 수 있으며, 제1 건조실(10S)의 공기가 제1 배기 유로(31)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댐퍼(315)는 오픈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배기 유로(32)의 직경(d2)은 제1 배기 유로(31)의 직경(d1)보다 작게 구성되고, 제2 배기 유로(32)는 벤투리 관(314)의 제3 부분(3143)에 연결되므로, 제1 건조실(10S)에서만 건조가 수행되는 경우에 제1 배기 유로(31)를 지나는 공기가 제2 배기 유로(32)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건조실(20S)에서만 건조가 수행되는 경우, 제2 건조실(20S)에서의 건조 수행을 마치 공기는 제2 배기 유로(32)를 통해 벤투리 관(314)의 제3 부분(3143)으로 유입되어 제1 하부 덕트(313)를 따라 배기구(101H)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벤투리 관(314)의 제3 부분(3143)으로 유입된 제2 건조실(20S)의 공기가 제1 필터 수용부(312)를 향해 이동하더라도, 일방향으로만 열리는 댐퍼(315)는 클로즈됨으로써 제2 건조실(20S)의 공기가 제1 필터 수용부(31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건조실(10S, 20S)에서 동시에 건조가 수행되는 경우, 제1 건조실(10S)의 공기가 제1 배기 유로(31)를 따라 배기구(101H)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댐퍼(315)는 오픈되고, 제2 건조실(20S)에서의 건조 수행을 마치 공기는 제2 배기 유로(32)를 통해 벤투리 관(314)의 제3 부분(3143)으로 유입되어 제1 하부 덕트(313)를 따라 배기구(101H)로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전술한 제1 배기 유로(31)는 벤투리 관(314) 및 댐퍼(315)를 포함하고, 제2 배기 유로(32)는 벤투리 관(314)에 연결됨으로써, 간단한 구성 및 구조 만으로도 제1 및 제2 건조실(10S, 20S)의 습한 공기가 제1 및 제2 건조실(10S, 20S)로 역류함이 없이 단일의 배기구(101H)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배기구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열풍이 공급되는 제1 건조실;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열풍이 공급되는 제2 건조실; 및
    상기 제1 및 제2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가이드하는 배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제1 건조실과 상기 배기구를 연결하는 제1 배기 유로;
    상기 제2 건조실과 상기 제1 배기 유로를 연결하는 제2 배기 유로;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기 유로를 지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및 제2 배기 유로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및 제2 필터를 포함하는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유로는 상기 제1 필터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제1 개구를 구비한 제1 필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기 유로는 상기 제2 필터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제2 개구를 구비한 제2 필터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필터를 지지하는 필터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및 제2 개구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 트레이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필터 트레이 수용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는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필터 트레이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개구를 폐쇄하는 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트레이는,
    상기 필터 트레이 수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필터를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트레이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에 삽입되는 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유로는, 상기 제1 건조실의 배출구와 상기 제1 필터 수용부를 연결하는 제1 상류 덕트 및 상기 제1 필터 수용부와 상기 배기구를 연결하는 제1 하류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기 유로는, 상기 제2 건조실의 배출구와 상기 제2 필터 수용부를 연결하는 제2 상류 덕트 및 상기 제2 필터 수용부와 상기 제1 하류 덕트를 연결하는 제2 하류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필터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상류 덕트와 연결되는 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와 상기 제1 및 제2 하류 덕트는 상기 제1 건조실과 상기 제2 건조실 사이에 배치되는 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필터 트레이 수용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개방된 건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실은 상기 제2 건조실보다 크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배기 유로의 직경은 상기 제2 배기 유로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되는 건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유로는 벤투리 관(venturi tube)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기 유로는 상기 벤투리 관에 연결되는 건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벤투리 관은 직경이 점점 감소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된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직경이 점점 증가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기 유로는 상기 제3 부분에 연결되는 건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유로는, 상기 벤투리 관보다 상기 제1 배기 유로의 상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배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건조기.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수용부는 상기 제1 배기 유로와 상기 제2 배기 유로가 연결되는 부분보다 상류에 배치되는 건조기.
PCT/KR2018/010656 2017-09-27 2018-09-12 건조기 WO201906631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63008.9A CN111164256B (zh) 2017-09-27 2018-09-12 烘干机
US16/651,442 US11618990B2 (en) 2017-09-27 2018-09-12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242 2017-09-27
KR1020170125242A KR102469104B1 (ko) 2017-09-27 2017-09-27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6316A1 true WO2019066316A1 (ko) 2019-04-04

Family

ID=6590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0656 WO2019066316A1 (ko) 2017-09-27 2018-09-12 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18990B2 (ko)
KR (1) KR102469104B1 (ko)
CN (1) CN111164256B (ko)
WO (1) WO2019066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1857A (zh) * 2021-01-29 2021-06-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干衣机及其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807A (ko) * 2002-12-24 200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KR20060004375A (ko) * 2004-07-09 2006-01-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KR100652459B1 (ko) * 2005-11-25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세탁 건조기
KR20070073144A (ko) * 2006-01-03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의 필터유닛
KR20080020211A (ko) * 2006-08-31 2008-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3811B2 (ja) 1992-01-30 1999-10-18 東京瓦斯株式会社 衣類乾燥機
CN2212599Y (zh) * 1994-12-06 1995-11-15 台湾电热股份有限公司 烘干机前置筒外过滤网装置
JP2004275488A (ja) * 2003-03-17 2004-10-07 Tosei Denki Kk 乾燥装置
KR20060031164A (ko) * 2004-10-07 200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세탁기
KR100677710B1 (ko) 2006-01-26 2007-02-02 일도레너지주식회사 환기시스템을 겸한 무동력 빨래건조기
KR100808199B1 (ko) * 2006-07-28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의류 처리 장치
RU2405077C2 (ru) * 2006-07-28 2010-11-27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1265623B1 (ko) * 2006-08-22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티시 히터를 이용하는 페데스탈 건조기
KR101265622B1 (ko) * 2006-08-22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건조기
US8312638B2 (en) * 2006-08-23 2012-11-20 Lg Electronics Inc.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EP2064383B1 (en) * 2006-08-23 2016-03-23 LG Electronics Inc. Multiple laundry machine
KR101276815B1 (ko) * 2006-08-29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건조기
KR101221903B1 (ko) * 2006-08-29 201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건조기를 포함하는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복합장치
KR101276818B1 (ko) * 2006-08-31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KR101314599B1 (ko) * 2006-09-05 2013-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세탁장치
KR101319881B1 (ko) * 2007-01-10 2013-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0830478B1 (ko) * 2007-04-04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건조기
KR100873142B1 (ko) * 2007-04-13 2008-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KR100896284B1 (ko) * 2007-05-15 2009-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20066549A (ko) * 2010-12-14 201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KR101745889B1 (ko) 2011-01-31 201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4955998A (zh) * 2012-12-29 2015-09-30 Lg电子株式会社 具有高频烘干装置的衣物处理机
KR102052373B1 (ko) * 2013-02-28 2019-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DE102014203071B4 (de) * 2013-02-28 2018-11-29 Lg Electronics Inc.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KR102118045B1 (ko) 2013-03-19 2020-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920469B2 (en) * 2014-05-20 2018-03-2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y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dryer appliance
WO2016140490A1 (en) * 2015-03-02 2016-09-0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80074402A (ko)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807A (ko) * 2002-12-24 200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KR20060004375A (ko) * 2004-07-09 2006-01-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KR100652459B1 (ko) * 2005-11-25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세탁 건조기
KR20070073144A (ko) * 2006-01-03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의 필터유닛
KR20080020211A (ko) * 2006-08-31 2008-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241A (ko) 2019-04-04
US11618990B2 (en) 2023-04-04
CN111164256A (zh) 2020-05-15
KR102469104B1 (ko) 2022-11-21
CN111164256B (zh) 2023-01-24
US20200318281A1 (en)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44067A1 (en) Oven
WO2019112384A1 (ko) 의류 처리 장치
WO2019112388A1 (ko) 의류 처리 장치
WO2017003182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3814566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117422A1 (ko)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WO2021010695A1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0251195A1 (ko) 다리미 장치,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124421A1 (ko) 듀얼 타입 건조기
WO2018164548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03170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0040420A1 (ko) 의류 관리기
WO2017003256A1 (ko) 건조기
WO2023080556A1 (ko)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EP418915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0055145A1 (en) Clothes care apparatus
WO2020040453A1 (ko) 의류관리기
WO2019066316A1 (ko) 건조기
WO2019112382A1 (ko) 의류 처리 장치
WO2020009355A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도어 내측을 건조시키는 방법
WO2019059516A1 (ko) 건조기
WO2019039775A1 (ko) 세탁기
WO2021149931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107020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1080153A1 (ko) 주름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630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630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