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0211A -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0211A
KR20080020211A KR1020060083383A KR20060083383A KR20080020211A KR 20080020211 A KR20080020211 A KR 20080020211A KR 1020060083383 A KR1020060083383 A KR 1020060083383A KR 20060083383 A KR20060083383 A KR 20060083383A KR 20080020211 A KR20080020211 A KR 20080020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uxiliary dryer
auxiliary
drye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811B1 (ko
Inventor
박상호
이팔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3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811B1/ko
Priority to US11/896,100 priority patent/US20080053164A1/en
Priority to DE102007041073.7A priority patent/DE102007041073B4/de
Priority to CN2007101497115A priority patent/CN101135103B/zh
Publication of KR2008002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세탁장치에 결합되는 보조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조 건조기와 상기 세탁장치가 결합된 복합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 체적과 높이가 상기 본체의 체적과 높이보다는 각각 크고 높은 세탁장치의 본체 일측에 상기 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그리고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자외선으로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조 건조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하면 상대적으로 큰 세탁장치를 구동시키지 않고 보조 건조기를 통하여 소량의 의류 등에 대한 처리 및 살균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세탁장치, 세탁기, 건조기, 보조건조기, 자외선

Description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Auxiliary dryer and multiple laundry machine including the same}
도 1은 받침대를 구비한 종래의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를 포함한 복합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를 포함한 복합 세탁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복합 세탁장치 110 : 세탁장치 본체
120 : 보조 건조기 121 : 보조 건조기 본체
122 : 서랍 130 : 결합수단
140 : 공기 공급 장치 150 : 스팀 공급 장치
160 : 선반
본 발명은 보조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세탁장치에 결합되는 보조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조 건조기와 상기 세탁장치가 결합된 복합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하나의 세탁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타입이나 탑 로딩(top loading) 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세탁조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이 있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
이러한 세탁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세탁장치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들 중 세탁기인 경우에는 건조 기능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건조 기능을 원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건조기를 구비하여야 하거나, 건조 기능을 겸비한 세탁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 라서,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소비자가 부담하여야 하는 비용이 증가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장치들에 있어서 이러한 세탁장치들이 점차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소량의 의류 건조를 위해서 대형화된 건조기를 구동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드럼 타입의 건조기인 경우에는 신발이나 의류 등의 건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물론, 드럼 내부에 랙(rack)을 설치하여 신발 등이 상기 랙에 안착되고, 드럼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랙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여 신발 등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랙을 필요에 따라 탈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세탁장치에는 일반적으로 드럼이 회전됨으로 인하여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세탁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전면이나 상면에 위치하는 컨트롤 패널(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세탁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 패널을 조작함으로써 세탁이나 건조 등과 같은 의류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세탁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세탁기 겸 건조기 일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는 상기 본체(10)를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받침대(20) 상부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받침대(20)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소정 공간은 서랍(21) 형태로 이루어져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본체(10)를 지지함과 아울러 세제, 의류 등을 보관하는 보관함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받침대(20)가 의류 처리를 위한 어떠한 기능을 갖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큰 세탁장치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의류 등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보조 건조기를 제공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에너지를 절감시키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세탁 기능만을 구비한 세탁장치에 있어서, 용이하게 건조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복합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종래의 드럼 타입 방식 건조기를 통해서 건조하기가 어려웠던 신발이나 모자 등과 같은 의류 등의 건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복합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데도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세탁장치의 받침대와 같은 보조 공간을 보조 건조기로 활용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이 가능한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데도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 체적과 높이가 상기 본체의 체적과 높이보다는 각각 크고 높은 세탁장치의 본체 일측에 상기 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그리고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자외선으로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조 건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건조기는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보조 건조기는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서 세탁장치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보조 건조기는 보조 의류 처리를 위한 장치이므로 일련의 의류 처리 과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의류 처리를 위한 장치들이 한 장소에 집적됨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간 활용 차원에서도 상기 보조 건조기는 상기 세탁장치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여기서 상기 세탁장치는 주된 장치로서 세탁이나 건조 등을 수행하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세탁 겸 건조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세탁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탈수만을 수행하는 탈수기도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보조 건조기는 바닥에 대하여 상기 세탁장치를 지지하는 받침대임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의류 수용부는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의 전면 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서랍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LED 또는 자외선 램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LED는 하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어 세탁 또는 건조가 이루어지는 세탁장치; 체적과 높이가 상기 세탁장치 본체의 체적과 높이보다는 각각 작고 낮으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가 형성된 보조 건조기 본체; 상기 세탁장치 본체의 일측에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그리고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자외선으로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세탁장치를 통하여 의류를 세탁하거나 많은 양의 의류를 건조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건조기를 통하여 소량의 의류를 건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신발이나 모자 등과 같이 기존의 드럼 타입의 건조기를 통하여 건조가 어려웠던 의류 등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자외선 살균장치를 통하여 세탁물이나 의류 수용부 내부를 살균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세탁장치는 일반적인 세탁기, 건조기 또는 세탁기 겸 건조기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에 대해서 상 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0)가 구비된 형태의 세탁장치와 동일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가 단순히 받침대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보조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다르다. 그리고 상기 보조 건조기에 상기 세탁장치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130)이 구비된 것이 다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조 건조기 본체(121)는 세탁장치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세탁장치의 제어부, 특히 컨트롤 패널(111)은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 건조기(120)는 상기 세탁장치의 측면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공간 활용 측면이나 디자인 측면을 고려하면 상기 보조 건조기는 상기 세탁장치 본체(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120)는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121)와 상기 본체(12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10)와 상기 본체(121)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조 건조기(120)는 세탁장치의 본체(110)를 바닥에 대하여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건조기(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장치의 하부 레그(leg)들(116, 117)의 측면을 지지하는 레그 서포터(125)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레그 서포터(125)는, 세탁기 레그(116)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안착홀(126), 그리고 건조기 레그(117)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안착홀(127)이 형성된 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121)의 상면에 스크루 등을 통하여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는 세탁장치의 일 형태이며, 세탁기의 외형이 건조기의 외형 보다는 큰 것을 예로 하였다.
상기 레그 서포터(125)들은,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121) 상부의 각 모서리에 고정되며,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121) 전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두 개의 레그 서포터에 형성되는 상기 제1안착홀(126)과 제2안착홀(127)은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121) 후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두 개의 레그 서포터에 형성되는 상기 제1안착홀(126)과 제2안착홀(127)은 서로 구획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세탁기 레그(116)의 안착을 용이하기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세탁장치 본체(110) 하면의 대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안착홀(126)은 상기 제2안착홀(127)보다 바깥 측에 위치된다. 그 이유는 세탁기의 본체가 의류 건조기의 본체보다 통상 크게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결합수단(130)은, 상기 세탁기 또는 의류 건조기의 측면 하부와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121)의 측면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38),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세탁기 또는 의류 건조기의 측면과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121)의 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재는 도 3에서와 같이, 육면체 현상의 보조 건조기의 본체(121)와 육면체 형상의 세탁장치 본체(110)의 경계의 양측 면을 상호 고정시키는 두개 이상의 결합부재(138)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121)와 세탁장치의 본체(110)의 후면을 상호 고정시키는 제3의 결합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130)은 상기 세탁기 레그(116) 또는 의류 건조기 레그(117)의 높이 변화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135)는,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를 상기 세탁기 또는 상기 의류 건조기의 측면 하부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136),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의 하부를 상기 받침대 측면 상부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13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재(136) 또는 제2고정부재(137) 중 적어도 하나는 양면에 접착성 물질이 도포된 것,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달리, 상기 제1고정부재(136) 또는 제2고정부재(137) 중 적어도 하나는, 스크루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가 스크루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는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체결공을 가지는 것이 좋다.
한편, 전술한 바와는 달리 세탁장치 본체(110)과 보조 건조기 본체(121)의 결합을 위한 수단은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건조기 본체(121)의 체적은 상기 보조 건조기가 결 합되는 세탁장치 본체(110)의 체적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의 높이는 상기 세탁장치의 높이보다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조 건조기는 세탁장치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복합 세탁장치(100)의 안정성 측면이나 외관 디자인 측면을 고려하면, 상기 보조 건조기가 세탁장치의 받침대 기능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121)의 좌우 폭이나 전후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세탁장치 본체(110)의 좌우 폭이나 전후 폭 보다는 같거나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보조 건조기가 세탁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의 좌우 폭이나 전후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세탁장치 본체(110)의 좌우 폭이나 전후 폭 보다는 같거나 짧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보조 건조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120)는 세탁장치 본체(110)와 결합되어 하나의 복합 세탁장치(1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어 세탁 또는 건조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세탁장치는 세탁기이거나 건조기 또는 세탁 겸 건조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 세탁장치(100)는 상기 세탁장치 본체(110)의 일측에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121)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 에는 상기 결합수단(130)이 미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조 건조기(120)는 의류 처리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내부에 의류 수용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의류 수용부는 상기 본체(12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서랍(122)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1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 내부로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 건조기(120)의 본체(121)의 체적과 높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건조기와 결합되는 세탁장치 본체(110)의 체적과 높이보다는 각각 작고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 건조기(120)는 상기 본체(1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팀 공급 장치(150)는 분사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상부 또는 후방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스팀을 분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공급 장치(140)와 상기 스팀 공급 장치(150)의 구동은 제어부(123)을 통하여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121)의 전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23)는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3)는 상기 세탁장치의 제어부(111)와는 별도로 상기 보조 건조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111)을 통하여 상기 보조 건조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23)의 생략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공기 공급 장치(140)는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172)과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1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송풍팬(172)이 구동됨으로 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서랍(123)의 내부로 유입되어 다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공기는 상기 히터(171)를 통하여 가열된 후 상기 서랍(123)의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171)는 전기식, 가스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보조 건조기의 특성 상 설치 공간을 고려하면 전기식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기 공급 장치(140)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120)는 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171)는 상기 히터를 통해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용량 조절이 가능한 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특정 의류인 경우에는 열에 약한 경우가 있고, 또한 신발 등의 고무 재질 등은 특히 열에 약하기 때문이다.
상기 스팀 공급 장치(150)는 스팀을 상기 서랍 내부로 제공한다. 이러한 스팀은 상기 서랍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에 닿게 되어 살균, 구김 제거 등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 공급 장치(150)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120)는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리프레쉬 기능과 아울러 전술한 건조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121)의 후벽 상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71)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21)의 후벽 하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구(17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랍(122)의 후벽 상부는 상기 유입구(171)과 연통되며, 상기 서랍(122)의 후벽 하부는 상기 배출구(172)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21)의 후벽 상부와 상기 서랍의 상부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서랍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서랍의 하부와 상기 본체(121)의 후벽 하부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송풍팬(141)과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42)는 상기 서랍의 후벽과 상기 본체의 후벽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공기가 유입되고 유출되는 유로 상 어느 곳에는 이러한 송풍팬(141)과 히터(142)와 같은 공기 공급 장치(1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는 공기가 서랍의 상부로 유입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서랍의 하부로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123) 내부에는 세탁물(162)이 안착되며, 상기 서랍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되 상기 구획된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선반(16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선반은 상기 세탁물(162)로 공급된 공기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선반(160)에는 복수 개의 통공(160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통공들을 통해서 서랍 상부의 공기가 서랍 하부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선반은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반은 공기가 유입되는 곳을 향하여 하방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선반 위에 안착되는 세탁물에 골고루 공기가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랍의 후벽 상부에는 공기 가이드(16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가이드(161)는 서랍의 전방까지 공기가 원활히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건조 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는 자외선 살균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는 보조 건조기 본체(12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 수용부(122) 내부와 세탁물(162)를 살균하게 된다.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는 일정한 파장 영역 내의 자외선을 발생시켜 살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80)는 자외선 LED 또는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LED는 상기 자외선 램프에 비해서 설치가 간단하며 하나 이상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살균에 가장 효과적인 특정 파장의 자외선을 발생시키도록 제작하기가 상기 자외선 램프에 비해서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LED는 상기 자외선 램프에 비해서 설치 공간이 작고, 에너지 소비가 적으며, 수명이 더욱 긴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자외선 살균장치로서는 자외선 램프보다는 자외선 LED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자외선 LED는 상기 의류 수용부(122)의 상부에서 회전되는 회전 날개(미도시)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 날개가 회전됨에 따라 의류 수용부 내부 공간에 골고루 자외선을 조 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 날개에 의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킴으로 하여 자외선 살균 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4에는 자외선 살균장치(180)이 의류 수용부의 상부에만 구비된 것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의류 수용부(122)의 측면이나 하면에도 구비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에서 자외선 살균은 건조 동작과 수행될 수도 있지만 독자적으로 자외선 살균 동작만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건조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서랍(122)를 인출하여 선반(160)에 소량의 옷감이나 신발 또는 모자 등과 같은 세탁물(162)을 안착시킨다. 여기서 옷감인 경우에는 선반 위에 펼쳐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제어부(123)을 통하여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서 원하는 작동 모드를 선택한다. 상기 작동 모드는 다양한 형태의 건조 모드와 리프레쉬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형태의 건조 모드는 건조 시간이나 건조 온도 등으로 나뉘어질 수 있고, 이는 건조를 원하는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면으로 이루어진 소량의 옷감의 건조를 위해서는 건조 시간이 짧고 건조 온도가 높게 건조 모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신발과 같은 경우에는 건조 시간이 길고 건조 온도가 낮게 건조 모드가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작동 모드에 따라 세탁물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강제적으로 공기가 공급되되, 상기 공기의 온도 또는 공기 공급 시간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 모드가 리프레쉬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세탁물에 고온의 스팀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에 의해 의류의 리프레쉬가 이루어진다. 즉, 세탁물의 냄새 제거, 구김 제거 또는 살균 등이 이루어진다. 이 후 필요에 따라 건조를 위한 공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복합 세탁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복합 세탁장치는 보조 건조기의 의류 수용부(122)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140)는 보조 건조기 본체(121)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공기 공급 장치가 세탁장치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탁장치 본체(110) 내부에는 드럼 내부에 강제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 공급 장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90),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 장치는 공기가 상기 드럼(40)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건조유로(44)와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기가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유로(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공기 공급 장치는 상기 드럼뿐만 아니라 보조 본체(120)의 내부 공간, 즉 의류 수용부(122) 내부로 공기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공기 공급 장치는 보조 건조유로(45)와 보조 배기유로(8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조 건조유로(45)는 건조유로(44)에서 분지되어 형성될 수 있 으며, 상기 보조 건조유로(45)의 일단은 베이스(212)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271)과 연결된다. 상기 관통홀(271)은 상기 보조 건조기의 본체(121)의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128)와 연통되어 상기 서랍 내부 공간에 건조 공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배기유로(81)는 배기유로(80)에서 분지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배기유로(81)의 일단은 베이스(212)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272)과 연결된다. 상기 관통홀(272)은 상기 보조 본체(120)의 상부에 형성된 배기구(129)와 연통되어 상기 서랍 내부 공간, 즉 의류 수용부(122) 내부의 공기가 배기된다.
그러나, 상기 배기구(129)는 상기 관통홀(272)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배기구(126)를 통하여 직접 상기 의류 수용부(122) 내부 공간의 공기가 배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 배기유로(81)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히터(90)는 상기 보조 건조유로(45)가 분지되기 전의 상기 건조유로(44)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하나의 히터만 구비되어도 상기 드럼(40)과 서랍(122)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히터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온의 공기가 공급될 것이다.
또한, 상기 송풍팬(60)은 상기 보조 배기유로(81)가 분지된 후의 상기 배기유로(8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하나의 송풍팬만 구비되어도 상기 드럼(40)과 의류 수용부(122)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100)는 상기 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할뿐만 아니라 상기 의류 수용부(122)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의해서 상기 드럼만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서랍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물론, 양자에 동시에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건조유로(44)와 상기 보조유로(45)에는 각각 선택적으로 이들 유로를 개폐하는 수단, 예를 들어 댐퍼(28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100)는 상기 세탁장치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드럼(40)와 상기 의류 수용부(122)의 내부 공간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 공급 장치(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팀 공급 장치(300)는 상기 드럼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350) 외에 상기 서랍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 분사구들을 통해서 드럼이나 서랍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는 달리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의류 수용부(122)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서 하나의 스팀 분사구(355)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팀 공급 장치(300)은 상기 보조 건조유로(45)가 분지되기 전의 상기 건조유로(44)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하나의 스팀 분사구(3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건조유로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면 분사된 스팀은 각각 건조유로(44)와 보조 건조유로(45)를 통하여 상기 드럼과 의류 수용부 내부로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팬(60)이 함께 구동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121)에는 별도로 스팀이 공급되는 유입구가 형성될 필요가 없게 된다. 왜냐하면 보조 건조유로(45)를 통하여 스팀이 제공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서랍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것 은 의류 등의 리프레쉬를 위함이다. 즉, 드럼 내부와 의류 수용부 내부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 등의 구김 제거, 정전기 방지, 냄새 제거, 그리고 살균 등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스팀이 공급된 후에는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서랍 내부에 가열된 건조 공기를 제공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일부 의류 등에 남아있을 수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곧바로 의류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터(90), 송풍팬(60), 댐퍼(280), 그리고 스팀 공급 장치(300)의 구동은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컨트롤 패널(11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드럼과 의류 수용부 내부 공간에 강제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상기 공기의 온도 조절 및 공기의 공급 시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드럼과 의류 수용부 내부 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터(90)는 상기 히터를 통해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용량 조절이 가능한 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특정 의류인 경우에는 열에 약한 경우가 있고, 또한 신발 등의 고무 재질 등은 특히 열에 약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히터(90)의 용량 조절은 제어부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자외선 살균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는 세탁장치가 배기식 건조기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응축식 건조기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큰 세탁장치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의류 등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보조 건조기를 제공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세탁 기능만을 구비한 세탁장치에 있어서, 용이하게 건조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드럼 타입 방식 건조기를 통해서 건조하기가 어려웠던 신발이나 모자 등과 같은 의류 등의 건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종래 세탁장치의 받침대와 같은 보조 공간을 보조 건조기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비용과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켜 사용이 편리한 복합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살균이 가능하여 살균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7)

  1.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
    체적과 높이가 상기 본체의 체적과 높이보다는 각각 크고 높은 세탁장치의 본체 일측에 상기 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그리고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자외선으로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조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LED 또는 자외선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건조기.
  3.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어 세탁 또는 건조가 이루어지는 세탁장치;
    체적과 높이가 상기 세탁장치 본체의 체적과 높이보다는 각각 작고 낮으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가 형성된 보조 건조기 본체;
    상기 세탁장치 본체의 일측에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그리고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 구비되어 자외선으로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세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LED 또는 자외선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수용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는 상기 세탁장치 본체 내부 또는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 내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LED는 상기 의류 수용부 상부 구비되는 회전 날개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건조기는 바닥에 대하여 상기 세탁장치를 지지하는 받침대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
KR1020060083383A 2006-08-31 2006-08-31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KR101276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383A KR101276811B1 (ko) 2006-08-31 2006-08-31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US11/896,100 US20080053164A1 (en) 2006-08-31 2007-08-29 Auxiliary dryer and multiple laundry machine
DE102007041073.7A DE102007041073B4 (de) 2006-08-31 2007-08-30 Zusatztrockner und Bekleidungsbehandlungsmaschinenkombination
CN2007101497115A CN101135103B (zh) 2006-08-31 2007-08-31 辅助干燥机和复合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383A KR101276811B1 (ko) 2006-08-31 2006-08-31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211A true KR20080020211A (ko) 2008-03-05
KR101276811B1 KR101276811B1 (ko) 2013-06-18

Family

ID=3907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383A KR101276811B1 (ko) 2006-08-31 2006-08-31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53164A1 (ko)
KR (1) KR101276811B1 (ko)
CN (1) CN101135103B (ko)
DE (1) DE102007041073B4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995B1 (ko) * 2008-04-02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WO2019066316A1 (ko) * 2017-09-27 2019-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KR20210106802A (ko) * 2020-02-21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섬유 관리 장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160B1 (ko) * 2004-07-20 2011-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용 건조랙의 구조
US7913419B2 (en) * 2005-12-30 2011-03-29 Whirlpool Corporation Non-tumble clothes dryer
DE102007007354B4 (de) * 2006-02-20 2013-10-10 Lg Electronics Inc.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KR100830514B1 (ko) * 2006-06-12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7997006B2 (en) * 2007-01-12 2011-08-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115015A (ko) * 2008-04-30 200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2113595B1 (en) * 2008-04-30 2011-11-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ES2374768T3 (es) * 2008-04-30 2012-02-21 Lg Electronics Inc. Lavadora.
KR101608760B1 (ko) 2008-04-30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1818441B (zh) * 2010-05-10 2015-03-11 海尔集团公司 一种具有除味杀菌功能抽屉的洗衣机及除味方法
CN101899766B (zh) * 2010-05-19 2015-07-01 海尔集团公司 一种具有臭氧除味和负离子杀菌功能的洗衣机及其工作方法
US10180248B2 (en) 2015-09-02 2019-01-15 ProPhotonix Limited LED lamp with sensing capabilities
KR20170135209A (ko) * 2016-05-30 2017-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541894B (zh) * 2016-06-27 2022-08-23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干一体机
KR20180136140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2477A (en) * 1966-11-07 1968-09-24 Philco Ford Corp Dual compartment laundry apparatus
US3555701A (en) * 1969-05-15 1971-01-19 Philco Ford Corp Laundry apparatus
IT1078261B (it) * 1977-05-16 1985-05-08 Renzacci Spa Perfezionamento nelle macchine di lavaggio e asciugatura per indumenti e biancheria
CN2197380Y (zh) * 1993-02-07 1995-05-17 杜卫中 喷香、杀菌干衣机
US5852879A (en) * 1995-04-26 1998-12-29 Schumaier; Daniel R. Moisture sensitive item drying appliance
US20070151312A1 (en) * 2005-12-30 2007-07-05 Bruce Beihoff C Modular fabric revitalizing system
DE19838631A1 (de) * 1998-08-26 2000-03-02 Benjamin Blumenschein Sockelgestell für Haushaltsgeräte
CN2400481Y (zh) * 1999-06-16 2000-10-11 杨泰和 旋转离心风干式干衣机
KR20040006679A (ko) * 2002-07-13 2004-01-24 최윤관 의류건조기
KR101010689B1 (ko) * 2004-02-06 2011-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받침대
KR101041905B1 (ko) * 2004-06-04 2011-06-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건조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용 받침대
KR20060009082A (ko) * 2004-07-20 2006-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수평 조절용 받침대
KR100662364B1 (ko) * 2004-11-01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및 건조 장치
KR100672502B1 (ko) * 2004-12-09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의 운전 제어 방법
US20070151311A1 (en) * 2005-12-30 2007-07-05 Mcallister Karl D Fabric revitalizing system
US7913419B2 (en) * 2005-12-30 2011-03-29 Whirlpool Corporation Non-tumble clothes dryer
US7735345B2 (en) * 2005-12-30 2010-06-15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a manual fabric treatment sta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995B1 (ko) * 2008-04-02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WO2019066316A1 (ko) * 2017-09-27 2019-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US11618990B2 (en) 2017-09-27 202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yer
KR20210106802A (ko) * 2020-02-21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섬유 관리 장치 제어 방법
KR20230017902A (ko) * 2020-02-21 202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섬유 관리 장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811B1 (ko) 2013-06-18
DE102007041073A1 (de) 2008-03-20
CN101135103B (zh) 2011-09-28
DE102007041073B4 (de) 2016-06-02
CN101135103A (zh) 2008-03-05
US20080053164A1 (en)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811B1 (ko)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KR101276818B1 (ko)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KR101265623B1 (ko) 피티시 히터를 이용하는 페데스탈 건조기
RU2405077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0710315B1 (ko) 보조 의류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의류 처리장치
KR101221903B1 (ko) 페데스탈 건조기를 포함하는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복합장치
KR100808199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1265622B1 (ko) 페데스탈 건조기
RU2405076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KR101276815B1 (ko) 페데스탈 건조기
KR100774208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0774206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319881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0774207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755865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0774212B1 (ko) 복합 세탁장치
KR100767696B1 (ko) 복합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