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36126A1 -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 - Google Patents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236126A1
WO2018236126A1 PCT/KR2018/006909 KR2018006909W WO2018236126A1 WO 2018236126 A1 WO2018236126 A1 WO 2018236126A1 KR 2018006909 W KR2018006909 W KR 2018006909W WO 2018236126 A1 WO2018236126 A1 WO 201823612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und
unit
sound input
le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690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지문
Original Assignee
(주)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선 filed Critical (주)시선
Publication of WO201823612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361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6Hear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tacle having a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tacle having a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 output unit which outputs sound in a bone conduction manner by touching a tragus portion or a rear- And a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for sensing the generated sound to allow the user to recognize an external risk element in advance.
  • a supplemental device that amplifies the sound.
  • the body that amplifies the input sound is worn on any part of the bod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olume is too large and the lead wire is long in length because it is used to lead the voice output part and insert it into the ear.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ne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und output apparatus and a sound output apparatus which are capable of outputting sound in a bone conduction manner by contacting a tragus portion or a rear- And a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an external risk element in advance.
  • an eyeglass having a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comprising: a leg portion connected to both sides of a lens frame portion and extending to the wearer's ear; A sound output unit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g unit and configured to listen to sounds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in a bone conduction manner, and a sound output unit provided in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leg unit to adjust a rotation angle of the sound output unit And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light source.
  • the sound output unit may include a pivoting portion hingedly connected to the leg portion,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pivoting portion, and a speaker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outputting sound input to the sound input portion. do.
  • the angle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rotary gear unit having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ly arranged rotary units, and a fixed gear unit provided on the legs to be engaged with the rotary unit.
  •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guide member connected to the rotation portion and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slide member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portion to be slidably supported to support the speaker portion.
  • the slide member is fixed to the guide member by a position fixing portion.
  • the sound output section is made of a hard material, and is contacted with a tragus portion of the ear or a hoof leg portion at the time of rotation.
  • the eyeglasses having the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 the sound in a bone conduction manner in a state in which the sound output portion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tragus portion or the back leg portion of the ear by the angle adjusting portion, Since the sound and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urroundings can be simultaneously he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the failure to hear the outside soun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ound output unit folded in a spectacle having a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und output unit rotated in spectacles having a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ctacle having a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a sound output unit in a spectacle having a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sound output unit in a spectacle having a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ound output section shown in Fig.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ound output unit folded in a spectacle having a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 output unit rotated in a spectacle having a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ctacle having a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a sound output unit in a spectacle having a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sound output unit in a spectacle having a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ound output unit shown in FIG.
  • a spectacle having a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includes a lens frame 100, a leg 200, a sound input unit 300, a sound output unit 400, And an angle adjusting unit 500.
  • the lens frame 100 fixes the rim of the lens in order to correct visual acuity or protect the eyes,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made of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 the leg portion 200 is rotatably hinged to both sides of the lens frame 100 to be worn on the wearer's ear when worn.
  • the leg portion 200 is formed with the outer leg portion 200a and the outer leg portion 200a so that the receiving space portion 210, in which the sound output portion 400 is received when the sound output portion 400 is folded by the angle adjusting portion 500, And an inner leg portion 200b.
  • the leg unit 200 may be equipped with a bluetooth module that is linked to an external device in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 the sound input unit 300 is provided in the lens frame unit 100 or the leg unit 200 to receive external sound and transmit the sound to the sound output unit 400.
  • the sound input unit 300 is formed of a microphone which converts sound generated from the outside into electric pulses. That is, the sound input unit 300 transmits sound to the sound output unit 400 by inputting sounds generated in the surroundings, and transmits the voice of the wearer when the phone is interfaced with the mobile phone by the Bluetooth module.
  • the 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sound input unit 300 is provid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lens frame 100. Accordingly, since the sound entering the wearer's field of view is input more largely, a person with a hearing loss can listen to the sound naturally through the sound output section 40 when talking in daily life.
  • the sound output unit 400 outputs the sound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300 in a bone conduction manner,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g unit 200. At this time, the sound output unit 400 is made rigid and can touch the ear trassus 10 portion or the horseshoe leg 20 portion at the time of rotation.
  • the sound output unit 400 is selectively touched to the ear's tragus 10 or the hyaline gait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dy from being unreasonably worn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not hearing the outside sound, as well as to enhance the listening efficiency through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sound during the sound output.
  • the sound output unit 4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nd input unit 300 and outputs the sound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300.
  •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by the Bluetooth module, Outputs the sound source or outputs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to make a call.
  • the sound output unit 40 includes a rotary unit 410, a support unit 420, and a speaker unit 430.
  • the swing unit 410 is hinged to the leg unit 200 and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an external force.
  • the swivel unit 410 Since the swivel unit 410 has a structure that is freely rotatabl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t can be adjusted so as to be selectively touched to the tragus portion of the ear or the hoof leg portion at the time of use, And can be positioned in the folded state in the leg portion 200.
  • the supporting part 420 is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extended to the swivel part 41 to support the speaker part 430.
  • the support portion 420 may include a guide member 421 and a slide member 422 as shown in FIGS. 4 to 6, as the case may be.
  • One side of the guide member 421 is connected to the turning unit 410 and the guide groove 421a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guide member 421 so as to be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lide member 422.
  • One side of the slide member 422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portion 421a provided in the guide member 421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peaker portion 43.
  • the slide member 422 may be fixed in position by the frictional force or may be fixed in position by the position fixing portion 423.
  • the position fixing portion 423 includes the fixing groove portion 423a and the fixing projection portion 423b.
  • a plurality of the fixed groove portions 423a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portions 421a provided in the guide member 421.
  • the fixed protruding portion 423b is protruded and retracted by the elastic portion 424 from one side of the slidable member 422 so as to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xed groove portions 423a.
  • the fixed protrusion portion 423b is positioned in a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slide member 422 And is inserted into the slide member 422 if it is not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xed groove portion 423a.
  • the fixing protrusion 423b repeats the process of inserting / removing the slide member 422 into the fixing slot 423a,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lide member 422.
  • the speaker unit 430 can be appropriately disposed according to the wearer.
  • the elastic portion 424 is configured to provide elastic force such that the fixed protruding portion 423b protrudes and retracts from the slide member 422.
  • the elastic portion 424 includes an installation groove portion 424a which is formed in the slide member 422 so as to be housed in the mounting groove portion 424a so as to accommodate the fixed protruding portion 423b so as to protrude / retract and to be fixed to the fixed protruding portion 423b And a spring member 424b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 the speaker unit 430 is connected to the sound input unit 30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420 and outputs the sound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300.
  • the spurge portion 430 When the spurge portion 430 outputs sound in a state in which the spur portion 430 selectively contacts the tragus portion of the ear or the hoof leg portion, negative vibration applied to the skin surface around the ear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auditory nerve through the skull, Even i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has abnormal otoliths, if the auditory nerve is normal, bone conduction through the skin can reliably hear the sound.
  • the speaker unit 4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olume control unit so that the volume of sound output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 the angle adjusting unit 500 is provided in the sound output unit 400 and the leg unit 200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sound output unit 400.
  • the angle adjusting unit 500 includes a plurality of rotators 410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ry unit 410, And a fixed gear portion 520 provided on the leg portion 200 to be engaged with the fisher portion 510 and the rotary fisher portion 51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은 렌즈프레임부의 양측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다리부와, 상기 렌즈프레임부 또는 상기 다리부에 구비되어 사운드를 입력받는 음입력부와, 상기 다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귀의 트라거스 부분 또는 후이각근 부분에 접하여 고막을 통해 주변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청취하면서 상기 음입력부에 입력된 사운드를 골전도 방식으로 청취하는 음출력부 및 상기 음출력부와 상기 다리부에 구비되어 상기 음출력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
본 발명은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출력부가 각도조절부에 의해 착용자 귀의 트라거스 부분 또는 후이각근 부분에 접하여 골전도 방식으로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고막을 통해 주변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감지하여 외부 위험 요소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력에 이상이 있는 사람들은 소리를 증폭시켜주는 보조 장치(보청기)를 착용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보청기의 경우 입력된 소리를 증폭시켜주는 본체를 신체의 임의의 부위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로부터 음성출력부위를 리드하여 귀에 꽂아 사용하게 되므로 그 부피가 너무 크고, 리드선이 길수록 치렁치렁하여 보기에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본체로부터 곧바로 음성출력부위가 인출되는 형상의 보청기가 개발되어 이를 통째로 귀에 걸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런 경우 그 무게에 의해 귀에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난청을 가지면서 눈도 나빠 안경을 낄 수밖에 없는 사람의 경우 안경테의 귀걸이 부분과 보청기가 귀의 위쪽에 같이 위치될 수밖에 없어 사용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16313호(2006년05월08일, 명칭: 보청기 일체형 안경)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음출력부가 각도조절부에 의해 착용자 귀의 트라거스 부분 또는 후이각근 부분에 접하여 골전도 방식으로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고막을 통해 주변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감지하여 외부 위험 요소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은 렌즈프레임부의 양측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다리부와, 상기 렌즈프레임부 또는 상기 다리부에 구비되어 사운드를 입력받는 음입력부와, 상기 다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음입력부에 입력된 사운드를 골전도 방식으로 청취하는 음출력부 및 상기 음출력부 및 상기 다리부에 구비되어 상기 음출력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출력부는 상기 다리부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음입력부에 입력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회동부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회전기어부 및 상기 회전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다리부에 구비되는 고정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동부에 연결되고,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안내홈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스피커부를 지지하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위치고정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에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출력부는 경질로 이루어지고, 회동시 귀의 트라거스 부분 또는 후이각근 부분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은 음출력부가 각도조절부에 의해 귀의 트라거스 부분 또는 후이각근 부분에 선택적으로 접한 상태에서 사운드를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함으로써, 착용자가 음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와 주변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동시에 청취할 수 있으므로, 외부의 소리를 듣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에서 음출력부가 접혀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에서 음출력부가 회동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에서 음출력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에서 음출력부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음출력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에서 음출력부가 접혀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에서 음출력부가 회동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에서 음출력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에서 음출력부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음출력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은 렌즈프레임(100), 다리부(200), 음입력부(300), 음출력부(400) 및 각도조절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렌즈프레임(100)은 시력을 교정하거나 눈을 보호하기 위해 렌즈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리부(200)는 렌즈프레임(10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착용시 착용자의 귀에 걸쳐진다.
이때, 다리부(200)는 음출력부(400)가 각도조절부(500)에 의해 접힘시 음출력부(4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210)가 형성되도록 외측다리부(200a)와 내측다리부(200b)를 포함한다. 또한, 다리부(200)는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부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연동되는 블루투스모듈(bluetooth-module)이 탑재될 수 있다.
그리고, 음입력부(300)는 렌즈프레임부(100) 또는 다리부(200)에 구비되어 외부의 사운드를 입력받아 음출력부(4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음입력부(300)는 외부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전기 펄스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이루어진다. 즉, 음입력부(300)는 평상시 주변에서 발생되는 사운드를 입력하여 음출력부(400)에 전송하다가 블루투스모듈에 의해 휴대폰과 연동될 경우 통화시 착용자의 음성을 전송한다.
이러한 음입력부(300)가 다리부(100)에 구비될 경우 위치가 특별히 제한되진 않지만, 렌즈프레임(100)과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사운드가 더욱 크게 입력되므로 난청을 가진 사람의 경우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나눌 때 음출력부(40)를 통해 사운드를 자연스럽게 청취할 수 있다.
한편, 음출력부(400)는 음입력부(300)에 입력된 사운드를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다리부(2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음출력부(400)는 경질로 이루어지고, 회동시 귀의 트라거스(10) 부분 또는 후이각근(20) 부분에 접할 수 있다.
즉, 음출력부(400)는 귀의 트라거스(10) 부분 또는 후이각근(20) 부분에 선택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신체에 무리가 가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고막이 항상 개방되어 주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함께 청취할 수 있으므로 외부의 소리를 듣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운드 출력시 사운드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통해 청취 효율을 높아지게 한다.
한편, 음출력부(400)는 음입력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평상시 음입력부(300)에 입력된 사운드를 출력하다가 블루투스모듈에 의해 휴대폰 등의 외부기기와 연동될 경우 외부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하거나 통화하는 상대편의 음성을 출력한다.
이러한 음출력부(40)는 회동부(410), 지지부(420) 및 스피커부(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동부(410)는 다리부(200)에 힌지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회동부(410)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시 귀의 트라거스 부분 또는 후이각근 부분에 선택적으로 접하도록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사용시 음출력부(400)를 다리부(200)에 접힌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42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회동부(41)에 연장 형성되어 스피커부(430)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420)는 경우에 따라,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421) 및 슬라이드부재(42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421)는 일측이 회동부(410)에 연결되고, 내측에 슬라이드부재(422)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안내홈부(421a)가 구비된다.
슬라이드부재(422)는 일측이 가이드부재(421)에 구비된 안내홈부(421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이 스피커부(43)에 연결된다.
이러한 슬라이드부재(422)는 마찰력에 의해 억지끼움 방식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도 있고, 위치고정부(423)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위치고정부(423)는 고정홈부(423a) 및 고정돌부(423b)를 포함한다.
고정홈부(423a)는 가이드부재(421)에 구비된 안내홈부(42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돌부(423b)는 복수개의 고정홈부(423a)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부재(422)의 일측에서 탄성부(424)에 의해 출몰된다.
이러한 고정돌부(423b)는 슬라이드부재(422)가 안내홈부(42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과정에서 고정홈부(423a)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면, 슬라이드부재(422)에 돌출된 형태로 위치되고, 반대로 고정홈부(423a)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지 않으면 슬라이드부재(422)에 삽입된 형태로 위치된다.
즉, 고정돌부(423b)는 슬라이드부재(422)를 당기거나 밀었을 때 고정홈부(423a)에 삽입/이탈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슬라이드부재(422)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착용하는 사람에 따라 스피커부(430)를 적절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부(424)는 고정돌부(423b)가 슬라이드부재(422)에서 출몰 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424)는 슬라이드부재(422)에 함몰 형성되어 고정돌부(423b)를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는 설치홈부(424a)와, 설치홈부(424a) 내에 구비되어 고정돌부(423b)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424b)를 포함한다.
한편, 스피커부(430)는 지지부(420)에 지지되면서 음입력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입력부(300)에 입력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퍼커부(430)가 귀의 트라거스 부분 또는 후이각근 부분에 선택적으로 접한 상태에서 사운드를 출력하면, 귀 주변의 피부 표면에 가해지는 음의 진동이 두개골을 통하여 직접 청각 신경에 전달됨으로써 고막이나 이소골(耳小骨)에 이상이 있는 난청자라도 청각 신경이 정상이라면 피부를 통한 골전도로 확실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피커부(430)는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볼륨조절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출력되는 사운드의 볼륨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500)는 음출력부(400)와 다리부(200)에 구비되어 음출력부(40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회동부(410)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회전기어부(510) 및 회전기어부(510)와 맞물리도록 다리부(200)에 구비되는 고정기어부(5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렌즈프레임부의 양측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다리부;
    상기 렌즈프레임부 또는 상기 다리부에 구비되어 사운드를 입력받는 음입력부;
    상기 다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음입력부에 입력된 사운드를 골전도 방식으로 청취하는 음출력부; 및
    상기 음출력부 및 상기 다리부에 구비되어 상기 음출력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출력부는,
    상기 다리부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음입력부에 입력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회동부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회전기어부; 및
    상기 회전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다리부에 구비되는 고정기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동부에 연결되고,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안내홈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스피커부를 지지하는 슬라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위치고정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에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출력부는 경질로 이루어지고, 회동시 귀의 트라거스 부분 또는 후이각근 부분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
PCT/KR2018/006909 2017-06-19 2018-06-19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 WO201823612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590 2017-06-19
KR1020170077590A KR101853248B1 (ko) 2017-06-19 2017-06-19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6126A1 true WO2018236126A1 (ko) 2018-12-27

Family

ID=6208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6909 WO2018236126A1 (ko) 2017-06-19 2018-06-19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3248B1 (ko)
WO (1) WO2018236126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8304A (zh) * 2020-12-21 2021-03-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眼镜
WO2021066987A1 (en) * 2019-10-03 2021-04-08 Facebook Technologies, Llc Adjustment mechanism for tissue transducer
CN113281915A (zh) * 2021-04-29 2021-08-20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智能眼镜
CN113777804A (zh) * 2021-08-31 2021-12-10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音频装置及智能眼镜
US11310584B2 (en) * 2018-01-08 2022-04-19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ve sound generating device
WO2022198920A1 (zh) * 2021-03-26 2022-09-29 歌尔股份有限公司 智能眼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855B1 (ko) 2018-07-26 2019-05-1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전도 안경
US10609467B1 (en) 2018-09-21 2020-03-31 NextVPU (Shanghai) Co., Ltd. Head wearable equipment with adjustable bone-conductive acoustic device
CN110944272A (zh) * 2018-09-21 2020-03-31 上海肇观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可调节骨传导声学装置的头部穿戴设备
KR102277786B1 (ko) 2019-12-18 2021-07-1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전도 이어폰이 구비 가능한 경혈지압 안경 커버
KR102273325B1 (ko) 2019-12-18 2021-07-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전도 이어폰이 구비된 경혈지압 안경
CN111654771B (zh) * 2020-05-20 2022-03-22 头领科技(昆山)有限公司 一种收音部位可调的平板式骨传导耳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5839A (ja) * 2002-12-25 2004-07-22 Fuji Iryoki:Kk 補聴器具
JP2009069219A (ja) * 2007-09-10 2009-04-02 Vision Megane:Kk 骨伝導スピーカ付き先セル及び眼鏡フレーム
KR20130035290A (ko) * 2011-09-30 2013-04-09 주식회사 이랜텍 골전도 스피커가 구비된 3d 안경
JP2014059544A (ja) * 2012-08-24 2014-04-03 21:Kk 補聴器付き眼鏡
JP3202255U (ja) * 2015-11-10 2016-01-28 文澤 黄 メガネ付きイヤホ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255B2 (ja) * 1990-03-30 2001-08-27 マツダ株式会社 塗装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5839A (ja) * 2002-12-25 2004-07-22 Fuji Iryoki:Kk 補聴器具
JP2009069219A (ja) * 2007-09-10 2009-04-02 Vision Megane:Kk 骨伝導スピーカ付き先セル及び眼鏡フレーム
KR20130035290A (ko) * 2011-09-30 2013-04-09 주식회사 이랜텍 골전도 스피커가 구비된 3d 안경
JP2014059544A (ja) * 2012-08-24 2014-04-03 21:Kk 補聴器付き眼鏡
JP3202255U (ja) * 2015-11-10 2016-01-28 文澤 黄 メガネ付きイヤホン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0584B2 (en) * 2018-01-08 2022-04-19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ve sound generating device
US20220210540A1 (en) * 2018-01-08 2022-06-30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ve sound generating device
WO2021066987A1 (en) * 2019-10-03 2021-04-08 Facebook Technologies, Llc Adjustment mechanism for tissue transducer
US11082765B2 (en) 2019-10-03 2021-08-03 Facebook Technologies, Llc Adjustment mechanism for tissue transducer
US11671739B2 (en) 2019-10-03 2023-06-06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Adjustment mechanism for tissue transducer
CN112558304A (zh) * 2020-12-21 2021-03-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眼镜
WO2022198920A1 (zh) * 2021-03-26 2022-09-29 歌尔股份有限公司 智能眼镜
CN113281915A (zh) * 2021-04-29 2021-08-20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智能眼镜
WO2022227404A1 (zh) * 2021-04-29 2022-11-03 歌尔股份有限公司 智能眼镜
CN113281915B (zh) * 2021-04-29 2022-11-22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智能眼镜
CN113777804A (zh) * 2021-08-31 2021-12-10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音频装置及智能眼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248B1 (ko) 201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36126A1 (ko)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
EP1880572B1 (en) Audio equipment attachable to spectacles
JP4118934B2 (ja) メガネ型通信装置
WO2010126251A2 (ko) 골전도 헤드폰
JPWO2009116272A1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それを用いた聴取装置
US20080002145A1 (en) Adaptor For Signal Communicative Members For Eyewear
JP5766219B2 (ja) 通信用眼鏡
WO2017092166A1 (zh) 具有骨传导功能的智能眼镜
CN209911685U (zh) 一种眼镜
WO2019104494A1 (zh) 一种可灵活调节骨传导耳机位置的太阳眼镜
WO2015106500A1 (zh) 弹簧听筒式无线耳机眼镜
CN113168033A (zh) 具有音频回放功能的眼镜
KR20080058157A (ko) 개방형 청취장치
KR102033767B1 (ko) 안경 착탈형 골전도 이어폰
WO2019104503A1 (zh) 一种带有骨传导耳机的太阳眼镜
KR101899044B1 (ko) 안경 착탈용 이어폰
CN209821540U (zh) 一种可调节骨传导耳机位置的眼镜
WO2020040498A1 (ko) 골전도 이어폰 및 골전도 이어폰 패키지
JP2021162657A (ja) めがね
KR200251175Y1 (ko) 무선 통신용 안경
CN218213676U (zh) 一种骨传导眼镜
KR20180136167A (ko) 골전도 안경
WO2021101071A1 (ko) 슬림형 스마트 아이 웨어
WO2021101072A1 (ko) 슬림형 스마트 아이 웨어
JP2007158484A (ja) 密閉型ヘッドフォ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210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210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