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157A - 개방형 청취장치 - Google Patents

개방형 청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157A
KR20080058157A KR1020070094424A KR20070094424A KR20080058157A KR 20080058157 A KR20080058157 A KR 20080058157A KR 1020070094424 A KR1020070094424 A KR 1020070094424A KR 20070094424 A KR20070094424 A KR 20070094424A KR 20080058157 A KR20080058157 A KR 20080058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housing
listening device
user
speaker
crimp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5252B1 (ko
Inventor
김주대
Original Assignee
(주)준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준성테크 filed Critical (주)준성테크
Publication of KR20080058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5Determination of the acoustic seal of ear moulds or ear tips of hear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시에 개폐가 가능하며 개폐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를 구비하여, 장소에 따라 이어폰이나 소형 스피커의 기능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상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사용자의 청력을 보호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개방형 청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얼굴부위에 밀착되는 압착지지부; 상기 압착지지부에 밀착되어 연결되며 개폐동작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내부에 스피커를 구비한 스피커하우징; 상기 압착지지부에 밀착되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을 사용자의 귀 쪽으로 열릴 수 있는 구조로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압착지지부의 말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착용부위에 고정되는 고정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폰, 이어폰 등의 착용시에 개폐가 가능하며 개폐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를 구비하여, 장소에 따라 이어폰이나 소형 스피커의 기능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상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사용자의 청력을 보호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헤드폰, 이어폰, 헤드셋

Description

개방형 청취장치{receiving device with opening structure }
본 발명은 헤드폰, 이어폰, 헤드셋 등의 청취장치에 있어서, 스피커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귀에 꽂고 음악이나 방송을 듣는 경우, 스피커가 장착되는 청취부인 스피커 하우징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되는 압착지지부를 구비하되, 이 두 구성요소를 분리가 가능하며 각 구성요소를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부를 구비하여 이어폰 식으로 귀에 밀착하여 들을 수 있으며, 동시에 사람이 없는 장소 등에서 귀에서 일정간격 이격시켜 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이어폰과 스피커의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는 한편, 사용자의 청력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성 개방형 청취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어폰은 라디오나 DVD플레이어, 무전기 등 음향을 외부로 유출됨 없이 사용자가 직접 귀에 착용하여 귀의 고막에 전달되도록 하는 기계이다. 음향기기의 출력전기신호를 음으로 변환하고, 귓바퀴 내에 직접 장착함으로써 개인적으로 청취가능하게 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어폰은 외이도(外耳道)에 삽입하는 타입이나 머리띠가 부착된 헤드폰에 대신하여, 보다 손쉽고 소형 경량의 귓바퀴 오목부 내에 직접 장착하는 이어폰이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또, 휴대용음향기기의 신장에 따라 보다 경쾌한 장착성이 요구되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이어폰은 도 1을 참조하면, 귀에 꽂아 소리를 듣도록 구성된 외부 하우징(110)내에 이어폰 스피커(미도시)가 내장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한 쌍이 구성되며 각 한쌍의 이어폰 스피커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연결전선(120)과 외부잭(130)으로 구성된다. 전기음향변환소자(미도시)를 내장한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앞면 바깥둘레를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의 거의 원형상으로 형성해서 귓바퀴오목부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한 형상이 일반적이며, 상기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고정되어 내장한 전기음향변환소자의 작용으로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구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어폰은, 항상 형상과 그 치수가 일정하기 때문에 귓바퀴가 큰 사람에 있어서는, 벗겨지기 쉽고, 반대로 귓바퀴가 작은 사람에 있어서는 귀가 아프거나, 또는 들어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이어폰은 고막에 직접적인 자극을 주게 되는바,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청력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에 주변의 소리를 들을 수 없어 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은 문제가 발생했다. 그리고 구조요원들이 무전기 등에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고지역에서 미량의 구조신호를 흘려 들을 수 있어 적절한 구조를 할 수 없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시에 개폐가 가능하며 개폐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를 구비하여, 장소에 따라 이어폰이나 소형 스피커의 기능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상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사용자의 청력을 보호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개방형 청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부위에 밀착되는 압착지지부와 상기 압착지지부에 밀착되어 연결되며 개폐동작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내부에 스피커를 구비한 스피커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압착지지부에 밀착되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을 사용자의 귀 쪽으로 열릴 수 있는 구조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헤드폰 또는 이어폰으로 사용하는 도중에 필요에 따라 소정의 각도만큼 귀에서 이격시켜 청취효율의 하락없이 청취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청력을 보호하고 사용자의 인체 구조에 따른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폰, 이어폰 등의 착용시에 개폐가 가능하며 개폐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를 구비하여, 장소에 따라 이어폰이나 소형 스피커의 기능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 상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사용자의 청력을 보 호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부위에 밀착되는 압착지지부; 상기 압착지지부에 밀착되어 연결되며 개폐동작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내부에 스피커를 구비한 스피커하우징; 상기 압착지지부에 밀착되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을 사용자의 귀 쪽으로 열릴 수 있는 구조로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압착지지부의 말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착용부위에 고정되는 고정걸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장소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 직접 밀착하여 음향을 청취하거나, 사용자의 귀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켜, 스피커형식으로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청력을 보호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각도조절 수단이 구비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귀에 밀착시켜 청취하다가, 다양한 간격으로 귀에서 이격시켜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다. 특히 귀에 삽입하는 구조가 아니라 귀에 단순히 밀착시키는 구조인바, 사용자의 귀의 구조에 따라 사용의 불편성을 해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스피커하우징과 연결되는 연결부중단과, 상기 압착지지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말단으로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중단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연결부말단에 형성되는 고정돌기 삽입홈이 결합되 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말단의 2곳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중단의 고정돌기에 장착되는 탄성부재가 상기 빈 공간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전면에 사용자의 귀와 닿는 부위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 버퍼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를 제공하여 밀착부위에 스피커 그릴과 맞닿는 부분에 마찰을 완화시켜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걸이부는 상기 압착지지부 한 쌍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를 제공하여 헤드폰 형식으로 머리나 목에 다양하게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걸이부는 상기 압착지지부 한 쌍을 분리형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를 제공하여 헤드폰 형식이 아닌 직접 귀에 걸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고정걸이부는 상기 압착지지부 한 쌍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구조이되, 사용자의 착용부위를 뒷머리부위에 고정하고,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위에 밀착되는 상기 압착지지부와 연결하는 백타입(back-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의 다양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환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를 제 공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스피커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위를 상기 연결부의 내측으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의 용이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환부는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의 범용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피커하우징은 상기 압착지지부에 형성된 삽입홈 내부로 삽입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를 제공하여 보다 슬림한 구조의 청취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방형 청취장치는 상기 압착지지부 또는 상기 고정걸이부에 장착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구체적인 작용을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청취장치는 사용자의 얼굴부위에 밀착되는 부분인 압착지지부(10)와 상기 압착지지부에 밀착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스피커(20)를 구비한 스피커하우징(30), 그리고 상기 압착지지부의 일측과 스피커하우징의 일측을 개폐가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40)로 구성된다. 여기서 개폐가능하다는 말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좌우로 열리거나 닫히는 접척식 개폐가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압착지지부(10)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다른 압착지지부에 연결되는 고정걸이부(5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걸이부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머리위로 두르는 헤어밴드형이 될 수 있으며, 머리 뒷부분에 거는 형태로도 제작가능하다.
상기 연결부(40)에 의해 좌우로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스피커하우징(30)의 작용은 상기 개방형 청취장치를 머리에 쓰는 경우에, 사용자의 귀에 곧바로 쓰는 구조가 아니라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분에 상기 압착지지부(10)가 밀착되도록 착용한다. 이후 압착지지부(10)에 접혀있는 스피커하우징을 사용자의 귀쪽으로 열어서 사용자의 귀구멍에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내부에 있는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음향이 나오는 출구인 스피커 그릴(31) 부분이 위치하도록 한다.
도 2b는 상기 압착지지부와 연결부, 스피커그릴이 완전히 열린상태를 귀와 얼굴에 닿는 부위쪽에서 바라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2a에서 압착지지부(10)에서 안쪽면(10a)과 스피커그릴(31)이 있는 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즉, 우선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걸이부를 통해 착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청취장치는 귀의 앞쪽의 관자놀이 부분에 압착지지부가 밀착되는 구조로 착용된다. 이 경우 착용상태를 살펴보면 스피커그릴(31)이 보이는 부분이 외부로 향하게 된다(도 3a).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를 매개로 우측방향으로 귀쪽으로 상기 스피커 하우징(20)을 열어 귀에 밀착시킨다(도 3b). 이러한 형식으로 착용을 하게 되면, 이어폰처럼 귀에 삽입되는 구조가 아니라도 귀에 밀착되는 구조로 음원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청취함에 있어서 이어폰이나 헤드폰처럼 사용할 수 있게되며, 장시간 사용시 귀가 아프거나 삽입으로 인한 귓바퀴의 통증을 유발시키지 않게 된다. 특히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를 테면 사람이 없는 경우라던가, 외부의 소리를 들어야할 경우(구조대원이 무전기 등에 연결하여 무전 신호를 들으면서도 근처의 다친 부상자의 구조신호를 직접 들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을 완전히 귀에 밀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소정 각도만큼 귀에서 이격시키는 구조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연결부(40)은 접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3c를 참고하여 상기 연결부(40)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압착지지부(10)와 연결되는 연결부말단(41)과 상기 스피커하우징(42)과 연결되는 연결부중단(42)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도 3c의 (a)). 이러한 결합구조를 위해서 상기 연결부의 내부는 도 3c의 (b)에 도시된 것 처럼, 상기 연결부중단(42)의 상면과 하면에 고정 돌기(42a)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 말단(41)에 형성된 고정돌기 삽입홈(42b)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연결부의 구조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개폐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연결부 말단(41)의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내부가 비어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이 공간에 상기 연결부중단(42)의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탄성부재(43)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하우징(30)을 좌우로 열 때에 적절한 각도에서 일시적으로 고정이 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러한 각도조절은 상기 스피커하우징을 완전히 열 경우에는 180도, 2/3 정도 열 경우에는 135도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다. 각도조절을 위해서는 상기 연결부중단(42)의 상면에 각 도조절용 돌기를 형성하거나, 스토퍼 등의 구조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피커하우징을 귀에서 이격시켜 소리를 청취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조절된 각도에서 고정이 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 하우징(30)의 스피커 그릴(31)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에는 스피커 그릴의 귀와 닿는 부위의 마찰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버퍼부재(70)을 부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퍼부재는 인체에는 무해한 소재로 연질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스폰지, 고무, 폴리에틸렌,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개방형 청취장치에, 상기 연결부(40)에 연결되는 스피커하우징(30)를 180도 회전시킬 수 있는 전환부(60)를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전환부(60)은 상기 압착지지부(10)와 상기 연결부(40)가 연결되는 부분에 일정한 홈을 두어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회전이 가능한 부재(61)지를 구비하여 전환부(60)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전환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40)에 형성되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30)이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을 위해서 귀에 밀착시키기 위해 개방시킨 스피커하우징(30)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도 4의 (a))에서 상기 전환부(60)를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반대 면인 스피커 그릴이 있는 부분이 위로 나타나게 되며(도 4의 (b)), 이 상태에서 접으면 상기 스피커 그릴(31)이 상기 압착지지부(10)와 밀착되어 접히게 된다(도 4의 (c)). 이렇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청취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피커 그릴이 외부로 도출되지 않도록 하여 스피커 하우징의 내부로 먼지나 오염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고정걸이부(50)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압착지지부(10)와 스피커하우징(30)이 밀착되어 연결부(40)를 통하여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은 동일하며, 다만 상기 고정걸이부(50)가 한쪽 귀에 걸 수 있는 구조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는 스피커가 하나인 이어폰형식으로 활용하거나 , 양쪽 귀에 각각 걸 수 있도록 하여 머리를 누르거나 뒷 머리를 누르지 않고도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청취장치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압착지지부와 스피커하우징의 개폐구성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압착지지부와 스피커하우징은 좌우로 개폐식으로 열리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다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형식의 개폐구조로 열리는 구성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압착지지부(10)와 상기 스피커하우징(30)이 상기 연결부(40)로 연결되는 점은 유사하나,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하우징(30)이 상기 연결부를 중심축으로 회전하며 열리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좌우로 180도로 열리는 구조가 아닌 연결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슬라이딩되며 회전개폐되는 구성으로 되는 것이다. (b)는 이러한 열리는 동작을 위쪽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방이 가능한 구조의 청취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백타입(back-type)의 고정걸이부를 형성하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 뒷부분에 고정걸이부를 걸게 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조는 헤드 셋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콜센타 직원, 전화교환원이나, 어학공부를 하는 학생들의 경우처럼 장시간 마이크 통화를 해야하는 직종에 종사자들의 경우, 청력의 손상을 방지하고 장시간 사용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a를 보면, 상술한 개방형 구조의 청취장치의 압착지지부(10)와 스피커하우징(30), 그리고 상기 압착지지부와 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동일하며, 다만 고정걸이부(50)을 상술한 바와 같이 뒷 머리 부분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압착지지부(10)는 귀 근방의 얼굴 면에 압착시키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걸이부(50)와 상기 스피커하우징의 연결부위나 또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이 위치하는 면에 마이크(80)를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미도시)를 형성하여 마이크를 부착한 채 전화통화나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가 연결되는 부위가 스피커 하우징이 위치하는 면인 경우에는 상기 개방형 청취구조를 한쪽에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b는 다른 형태의 헤드 셋 타입을 도시한 것이며, 이와 같은 형상의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요지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80)부분이 한쪽 스피커 하우징에 형성된다면, 본 발명의 기술요지인 압착지지부와 스피커하우징의 개폐구성은 마이크가 부착되지 않는 어느 한쪽에만 형성시키는 방안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만일 마이크를 상기 압착지지부의 말단에 부착하는 경우라면, 양 쪽 모두 개폐구조로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c 역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c 역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상술한 바와 동일하지만, 고정걸이부(50)의 형상을 백타입으로 활용하여 압착지지부와 스피커하우징(30) 부분을 위로 형성하고, 상기 압착지지부(10) 일단에 마이크(80)를 부착하여 본 개방형 청취장치에 활용도를 넓힐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마이크(80)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착지지부(10)일단에 형성하였으나, 고정걸이부 또는 고정걸이부와 압착지지부의 연결부위에 별도의 고정부재 등을 마련하여 위치상의 변경을 줄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이어폰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청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청취장치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청취장치의 작용상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연결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버퍼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환부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1)

  1. 사용자의 얼굴부위에 밀착되는 압착지지부(10);
    상기 압착지지부에 밀착되어 연결되며 개폐동작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내부에 스피커(20)를 구비한 스피커하우징(30);
    상기 압착지지부에 밀착되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을 사용자의 귀쪽으로 열릴 수 있는 구조로 연결시키는 연결부(40); 및
    상기 압착지지부의 말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착용부위에 고정되는 고정걸이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0)는 내부에 각도조절 수단이 구비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스피커하우징과 연결되는 연결부중단(42)과, 상기 압착지지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말단(41)으로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중단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연결부말단에 형성되는 고정돌기 삽입홈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말단(41)의 2곳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중단의 고정돌기에 장착되는 탄성부재가 상기 빈 공간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전면에 사용자의 귀와 닿는 부위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 버퍼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걸이부는 상기 압착지지부 한 쌍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걸이부는 상기 압착지지부 한 쌍을 분리형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걸이부는 상기 압착지지부 한 쌍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구조이되, 사용자의 착용부위를 뒷머리에 고정하고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위에 밀착되는 상기 압착지지부와 연결하는 백타입(back-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환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하우징은 상기 압착지지부에 형성된 삽입홈 내부로 삽입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청취장치는 상기 압착지지부 또는 상기 고정걸이부에 장착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
KR1020070094424A 2006-12-20 2007-09-17 개방형 청취장치 KR100905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30952 2006-12-20
KR1020060130952 2006-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157A true KR20080058157A (ko) 2008-06-25
KR100905252B1 KR100905252B1 (ko) 2009-06-29

Family

ID=3980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424A KR100905252B1 (ko) 2006-12-20 2007-09-17 개방형 청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25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0697A (zh) * 2016-07-25 2016-10-26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旋钮拉杆式耳机微调结构和耳机
KR101682614B1 (ko) * 2015-06-15 2016-12-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셋
KR101682613B1 (ko) * 2015-06-15 2016-12-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셋
KR101687750B1 (ko) * 2015-06-15 2016-12-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셋
WO2019103583A1 (ko) * 2017-11-23 2019-05-31 구본희 귀 개방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
KR102624445B1 (ko) * 2022-11-14 2024-01-15 주식회사 리텍 헤드셋용 부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488A (ja) 2000-09-26 2002-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ヘッドホン
TW510142B (en) 2001-12-14 2002-11-11 C Media Electronics Inc Rear-channel sound effect compensation device
KR200364444Y1 (ko) * 2004-07-14 2004-10-11 세황전자 주식회사 흡음재가 내장된 헤드폰
KR100627665B1 (ko) * 2004-11-08 2006-09-25 이은승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614B1 (ko) * 2015-06-15 2016-12-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셋
KR101682613B1 (ko) * 2015-06-15 2016-12-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셋
KR101687750B1 (ko) * 2015-06-15 2016-12-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셋
CN106060697A (zh) * 2016-07-25 2016-10-26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旋钮拉杆式耳机微调结构和耳机
CN106060697B (zh) * 2016-07-25 2019-11-19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旋钮拉杆式耳机微调结构和耳机
WO2019103583A1 (ko) * 2017-11-23 2019-05-31 구본희 귀 개방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
KR102624445B1 (ko) * 2022-11-14 2024-01-15 주식회사 리텍 헤드셋용 부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5252B1 (ko)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5602B2 (ja) 身体セット型スピーカ装置
JP4239404B2 (ja) ヘッドホン装置
US11206474B2 (en) Bluetooth headset
US10003878B2 (en) In-the-ear earphone, its variations and methods of wearing the earphone
US20040105566A1 (en) Body set type speaker unit
EP2611210A1 (en) Ear speaker
JPWO2009116272A1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それを用いた聴取装置
JP2012010393A (ja) 自動車電話、電話、スイッチボード又はこれに類するもののためのマイクロホン/イヤホン
KR100905252B1 (ko) 개방형 청취장치
US20160050477A1 (en) In-the-ear earphone, (its variantions) and methods of wearing
US20080002145A1 (en) Adaptor For Signal Communicative Members For Eyewear
AU2689300A (en)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bone conduction speaker
JP2003032772A (ja) 耳掛け式イヤホン
EP2346267A2 (en) Personal receiving set
US8611580B2 (en) Cheek stabilizer for audio headset
WO2019104494A1 (zh) 一种可灵活调节骨传导耳机位置的太阳眼镜
JP4135042B2 (ja) ヘッドホン
CN202035121U (zh) 一种耳麦内置式耳机
KR100689881B1 (ko) 리시버를 이용한 스테레오 무선 헤드셋
CN1930857B (zh) 免手持个人通信装置
KR101382528B1 (ko) 이어팁 및 이어폰
KR101754032B1 (ko) 머리띠 타입 이어셋
KR101524764B1 (ko)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
CN211630352U (zh) 便于携带的tws蓝牙耳机
KR102664819B1 (ko) 골전도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