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819B1 - 골전도 헤드셋 - Google Patents

골전도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819B1
KR102664819B1 KR1020230163622A KR20230163622A KR102664819B1 KR 102664819 B1 KR102664819 B1 KR 102664819B1 KR 1020230163622 A KR1020230163622 A KR 1020230163622A KR 20230163622 A KR20230163622 A KR 20230163622A KR 102664819 B1 KR102664819 B1 KR 102664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onduction
headset
connection part
earr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3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수한
한창민
박은영
Original Assignee
안수한
한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수한, 한창민 filed Critical 안수한
Priority to KR1020230163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전도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헤드 밴드; 상기 헤드 밴드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귀걸이부; 상기 귀걸이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유양돌기에 접촉하여 소리를 진동으로 전달하는 골전도부; 및 상기 헤드 밴드는 원호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연결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다양한 두상 크게에 맞추어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골전도 헤드셋{Bone Conduction Headset}
본 발명은 골전도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맞추어 귀 주변의 뼈를 압박하는 가압력 및 머리를 감싸는 배드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에 따라 헤드셋 커버를 장착할 수 있는 골전도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귀에 들리는 소리는 파동의 형태로 전달된다. 외부 소리는 인간의 외이를 통해 들어와서 고막을 진동시키며, 고막 안쪽의 내이에서 세포들이 자극을 받아 뇌로 전달된다.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 범위는, 약 20 - 20000Hz이며, 인간이 서로 대화하는 소리의 주파수 범위는, 약 500 - 2000Hz이다.
그러나, 난청자의 경우에는, 소리의 주파수 범위 중, 모든 주파수 또는 일부 주파수의 소리를 듣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두개골의 진동을 통해, 소리를 전달하는 골 전도 방식이 사용된다.
골 전도 방식은, 두개골을 진동시킨 소리가 달팽이관에 전달되며, 청각 신경을 거쳐 뇌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소리 인식 메커니즘에서 진동이 고막과 고막 속에 자리 잡고 있는 3개의 뼈를 경유하는 과정을 생략한 것이다.
즉, 귀 주변의 피부 표면에 가해지는 음향 진동이 두개골을 통하여 직접 와우에 전달됨으로써, 고막이나 이소골(耳小骨)에 이상이 있는 난청자라도, 와우와 청각 신경이 정상이라면 피부를 통한 골 전도로 확실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공기전도형 헤드셋의 경우 귀를 막고 사용함으로써, 주변 외부의 소음 등을 들을 수가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하여 선진국에서는 귀를 막고 사용하는 공기전도형 이어폰 및 헤드폰을 착용하고 도로상에서 음악 등을 청취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법률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또한, 최근 디지털음향 및 통신기기의 눈부신 보급으로 세계적으로 청소년들의 소음성 난청증가는 인구대비 10% 이상으로 난청을 호소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고령화 시대에서도 노인성 난청증가도 사회적으로 문제시되어 수신되는 스피커의 음량을 감소하고 사용시간을 줄이는 것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골전도 헤드셋은 일반인의 경우 귀를 열어놓고 사용함으로서 주변의 소음을 동시에 수신하므로 안전사고의 예방과 고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골전도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하므로 난청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골전도 헤드셋은 귀 주변의 뼈를 진동시켜 소리를 전달하므로 청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소음이 심한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골전도 헤드셋은 장시간 착용시 인체에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구성품의 강성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증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골전도 헤드세은 소음이 심각한 도심 한복판이나 공장 등에서 사용하게 되면, 개방된 귀를 통해 그 주변의 차량 운행 및 기계 작동으로 인한 소음이 함께 흡음되어 골전도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음향을 정확하게 들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210900호(2021.01.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맞추어 귀 주변의 뼈를 압박하는 가압력 및 머리를 감싸는 배드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에 따라 헤드셋 커버를 장착할 수 있는 골전도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헤드셋은, 사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헤드 밴드; 상기 헤드 밴드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귀걸이부; 상기 귀걸이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유양돌기에 접촉하여 소리를 진동으로 전달하는 골전도부; 및 상기 헤드 밴드는 원호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연결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는 평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의 하우징 양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상부에는 회전 조작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평기어부와 치합되고 상기 회전 조작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타측 양 단부에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힌지 고정부와 제2 힌지 고정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제2 연결부와 제1, 제2 힌지 고정부는 상호 상보적으로 끼움결합되는 끼움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연결부의 끼움 단차부 또는 제1, 제2 힌지 고정부의 끼움 단차부에는 자세 유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며, 다른 끼움 단차부에는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귀걸이부는 사용자 귀에 걸쳐지는 외측 걸이부, 상기 외측 걸이부의 내측면 상부에 일측이 체결피스로 체결되고,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골전도부가 결합되는 내측 걸이부, 상기 외측 걸이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측 걸이부의 하부를 외측 걸이부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탄성 이동시키는 가압 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 밴드와 귀걸이부를 감싸는 상태로 착탈 결합되는 헤드셋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셋 커버는 상기 헤드 밴드가 삽입되는 밴드 커버와, 상기 귀걸이부가 삽입되는 골전도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할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길이조절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다양한 두상 크게에 맞추어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헤드 밴드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힌지 고정부와 제2 힌지 고정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사용자의 머리 위쪽 또는 머리 뒤쪽으로 회동시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 위치를 바꿀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귀걸이부는 외측 걸이부, 내측 걸이부 및 가압 조작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내측 걸이부에 결합되는 골전도부가 사용자의 유양돌기에 접촉하는 압력을 조율할 수 있어 그에 따른 국부적인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밴드와 귀걸이부를 감싸는 상태로 착탈 결합되는 헤드셋 커버를 구성함으써, 겉에서 볼 때에는 통상의 헤드셋을 착용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어 외부 활동을 할 때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헤드셋을 나타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길이조절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힌지 고정부와 제2 힌지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귀걸이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귀걸이부의 작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헤드셋 커버를 추가적으로 구성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헤드셋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은 물론 그 이후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헤드셋은 사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헤드 밴드(100), 상기 헤드 밴드(100)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귀걸이부(200), 상기 귀걸이부(20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유양돌기에 접촉하여 소리를 진동으로 전달하는 골전도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헤드 밴드(100)는 사용자의 머리 정수리측 또는 후두부측을 탄력적으로 감싸는 원호형의 띠이다.
이러한 상기 헤드 밴드(100)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외장재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소재로 하고 내부에 별도로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탄성력을 가지는 원호형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헤드 밴드(100)는 원호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를 연결하는 하우징(131)을 구비한 길이조절수단(130)을 포함한다.
즉, 상기 헤드 밴드(100)는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로 분할하고 이를 연결하는 상기 길이조절수단(130)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마다 다른 다양한 두상 크게에 맞추어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는 평기어부(10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수단(130)의 하우징(131) 양측면에는 삽입홈(1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131)의 삽입홈(132)에 상기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의 일측 단부가 각각 끼워진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31) 상부에는 회전 조작부(133)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31) 내부에는 상기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의 평기어부(301)와 치합되고 상기 회전 조작부(133)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133a)가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 조작부(13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조작부(133)에 연결되는 상기 회전기어(133a)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가 서로 근접하여 길이를 줄이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의 타측 양 단부에는 상기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힌지 고정부(140)와 제2 힌지 고정부(150)가 설치된다.
상기 헤드 밴드(100)는 상기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힌지 고정부(140)와 제2 힌지 고정부(150)를 추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를 사용자의 머리 위쪽 또는 머리 뒤쪽으로 회동시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 위치를 바꿀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연결부(110,120)와 제1, 제2 힌지 고정부(140,150)는 상호 상보적으로 끼움결합되는 끼움 단차부(110a,120a,140a,150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연결부(110,120)의 끼움 단차부(110a,120a) 또는 제1, 제2 힌지 고정부(140,150)의 끼움 단차부(140a,150a)에는 자세 유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B1)가 형성되며, 다른 끼움 단차부에는 상기 고정 돌기(B1)에 대응하는 돌기 수용홈(B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돌기(B1) 및 돌기 수용홈(B2)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쪽 또는 머리 뒤쪽에 위치하는 제1, 제2 연결부(110,120)가 임의로 회동하지 않고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귀걸이부(200)는 상기 헤드 밴드(100)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귀에 걸치는 상태로 장착되기 위한 걸이용 홈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귀걸이부(200)는 사용자 귀에 걸쳐지는 외측 걸이부(210), 상기 외측 걸이부(210)의 내측면 상부에 일측이 체결피스(221)로 체결되고,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골전도부(300)가 결합되는 내측 걸이부(220), 상기 외측 걸이부(210)에 설치되며 상기 내측 걸이부(220)의 하부를 외측 걸이부(2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탄성 이동시키는 가압 조작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 걸이부(210)에는 외부소리를 수신하는 마이크(212)를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마이크(212)는 사용자의 목소리를 받아들여 전화통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음원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콘덴서를 적용하는 일렉트로스태틱 마이크와 같은 콘덴서 마이크이거나 주변 소리를 포집하여 노이즈캔슬링을 통해 보청기능의 마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반도체 제작기법으로 만들어지는 ㅈ저전기적이고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멤스(Micro Electro Mechanics System) 마이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걸이부(210)에는 음량버튼, 전원버튼과 같은 다수의 버튼 및 각종 버튼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내측 걸이부(220)는 상기 외측 걸이부(210)의 상부에 대해 착탈이 가능하게 체결피스(221)로 체결되되, 상기 가압 조작부(230)의 조작에 의해 유연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걸이부(220)의 하부에는 상기 골전도부(300)가 결합되는 결합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 조작부(230)는 상기 외측 걸이부(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내측 걸이부(220)를 전후방향으로 탄성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가압 조작부(230)을 회전시켜 상기 내측 걸이부(220)를 사용자의 유양돌기 쪽으로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골전도부(300)에 대한 접촉 가압력을 조절 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골전도부(300)의 국부적인 압박으로부터 사용자에게 통증을 주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헤드셋은 상기 헤드 밴드(100)와 귀걸이부(200)를 감싸는 상태로 착탈 결합되는 헤드셋 커버(4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셋 커버(400)는 상기 헤드 밴드(100)가 삽입되는 밴드 커버(410)와, 상기 귀걸이부가 삽입되는 골전도 커버(4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셋 커버(400)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 및 크기를 가지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헤드셋 커버(400)는 사용자가 먼저 골전도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셋 커버를 덧붙여 착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겉에서 볼 때에는 통상의 헤드셋을 착용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어 외부 활동을 할 때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헤드 밴드
110... 제1 연결부
120... 제2 연결부
130... 길이조절수단
140... 제1 힌지 고정부
150... 제2 힌지 고정부
200... 귀걸이부
210... 외측 걸이부
220... 내측 걸이부
230... 가압 조작부
300... 골전도부
400... 헤드셋 커버

Claims (7)

  1. 사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헤드 밴드;
    상기 헤드 밴드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귀걸이부;
    상기 귀걸이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유양돌기에 접촉하여 소리를 진동으로 전달하는 골전도부; 및,
    상기 헤드 밴드는 원호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연결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귀걸이부는,
    사용자 귀에 걸쳐지는 외측 걸이부,
    상기 외측 걸이부의 내측면 상부에 일측이 체결피스로 체결되고,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골전도부가 결합되는 내측 걸이부,
    상기 외측 걸이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측 걸이부의 하부를 외측 걸이부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탄성 이동시키는 가압 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커버를 구비한 골전도 헤드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는 평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의 하우징 양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상부에는 회전 조작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평기어부와 치합되고 상기 회전 조작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셋.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타측 양 단부에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힌지 고정부와 제2 힌지 고정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셋.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연결부와 제1, 제2 힌지 고정부는 상호 상보적으로 끼움결합되는 끼움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연결부의 끼움 단차부 또는 제1, 제2 힌지 고정부의 끼움 단차부에는 자세 유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며, 다른 끼움 단차부에는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셋.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밴드와 귀걸이부를 감싸는 상태로 착탈 결합되는 헤드셋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셋.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 커버는 상기 헤드 밴드가 삽입되는 밴드 커버와, 상기 귀걸이부가 삽입되는 골전도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셋.
KR1020230163622A 2023-11-22 2023-11-22 골전도 헤드셋 KR102664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3622A KR102664819B1 (ko) 2023-11-22 2023-11-22 골전도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3622A KR102664819B1 (ko) 2023-11-22 2023-11-22 골전도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819B1 true KR102664819B1 (ko) 2024-05-10

Family

ID=9107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3622A KR102664819B1 (ko) 2023-11-22 2023-11-22 골전도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8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306Y1 (ko) * 2004-11-18 2005-04-14 박해권 오디오기기의 휴대사용이 가능한 이중밴드 헤드폰
KR102210900B1 (ko) 2019-10-31 2021-02-02 이명재 골전도 헤드셋
US20210136476A1 (en) * 2019-11-06 2021-05-06 American Future Technology Headphone adjustment structure
KR20210061261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엠아이제이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이명치료 전용 골전도 헤드셋
US20230199361A1 (en) * 2021-12-20 2023-06-22 Faith Uti Headphone Earcup Cover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306Y1 (ko) * 2004-11-18 2005-04-14 박해권 오디오기기의 휴대사용이 가능한 이중밴드 헤드폰
KR102210900B1 (ko) 2019-10-31 2021-02-02 이명재 골전도 헤드셋
US20210136476A1 (en) * 2019-11-06 2021-05-06 American Future Technology Headphone adjustment structure
KR20210061261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엠아이제이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이명치료 전용 골전도 헤드셋
US20230199361A1 (en) * 2021-12-20 2023-06-22 Faith Uti Headphone Earcup Cove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3094B2 (en) Helmet having dual mode headphone and method therefor
JP5473640B2 (ja) スピーカー装置
US7925038B2 (en) Earset assembly
KR100937159B1 (ko) 골전도 헤드폰
JP2001320790A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受話装置
JP2002058085A (ja) 身体セット型スピーカ装置
US20160050477A1 (en) In-the-ear earphone, (its variantions) and methods of wearing
CN101795143A (zh) 内置骨骼传导麦克风的头戴式送受话器
KR20050037435A (ko)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KR102195936B1 (ko)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이명치료 전용 골전도 헤드셋
KR102482897B1 (ko) 청음 장치
CN112188351B (zh) 一种改进的骨传导耳机
CN115396771A (zh) 一种贴耳的骨传导耳机及其使用方法
KR100905252B1 (ko) 개방형 청취장치
CN105940683B (zh) 耳塞套及其助听器及耳机
KR102163194B1 (ko) 청취력 향상을 위한 보조장치가 구비된 골전도 이어폰
WO2019104494A1 (zh) 一种可灵活调节骨传导耳机位置的太阳眼镜
JP6263791B1 (ja) 骨伝導を利用した聴音構造及びその構造を備えた骨伝導を利用した聴音装置
KR102115270B1 (ko) 골 전도용 헤드셋
KR102664819B1 (ko) 골전도 헤드셋
KR20200005255A (ko) 듀얼 마이크를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KR102089729B1 (ko) 골전도 이어폰 및 골전도 이어폰 패키지
CN209821540U (zh) 一种可调节骨传导耳机位置的眼镜
KR102667202B1 (ko) 골 전도용 헤드셋
KR101945769B1 (ko) 골전도 블루투스 증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