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7435A -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7435A
KR20050037435A KR1020047018541A KR20047018541A KR20050037435A KR 20050037435 A KR20050037435 A KR 20050037435A KR 1020047018541 A KR1020047018541 A KR 1020047018541A KR 20047018541 A KR20047018541 A KR 20047018541A KR 20050037435 A KR20050037435 A KR 20050037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canal
speaker
occlusion means
ear
mobil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쿠다미키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Publication of KR2005003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43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별도로 귀마개를 준비하는 일이 없이 고소음 하에 있어서도 명료하게 청취 가능하며, 현상의 휴대전화기에 사용되고 있는 음압형스피커의 경우보다 약간 입력을 크게 하는 것만으로 충분한 청취음량을 얻는 것이 가능한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는 뇌전도 스피커와 함께 외이도 폐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외이도 폐색수단은 뇌전도 스피커와 별개로 하는 일도 있고, 혹은 일체로 하는 일도 있다.
상기한 외이도 폐색수단은 외이도 내에 삽입하는 구성의 것으로 할수가 있고, 혹은 외이도 입구의 귀밥돌출부를 압압해서 외이도 입구를 폐색시키는 구성의 것으로 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Portable telephone with bone conduction speaker}
본 발명은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고소음 하에서의 통화, 특히 음성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음성신호를 진동으로해서 전달하는 뇌전도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 뇌전도 스피커는 그 진동면을 머리 측면부에 맞닿게 하므로서 사용하는데 그때 개방되어 있는 귓구멍을 통해서 주위의 소음도 청취되기 때문에 고소음 하에서는 뇌전도음도 청취하기 어려운 것이 된다.
여기서 예를들면 뇌전도 스피커(21)를 헤드밴드(22)를 거쳐서 귀의 주위에 맞닿게 하는 한편 귀마개(23)로 외이도를 폐색시킨 상태에서 뇌전도음을 청취한다고 하는 방법을 생각할수가 있다(제7도 참조).
그러나 상기한 방법의 경우에는, 귀마개가 뇌전도 스피커와는 별개이기 때문에 별도로 소지하지 않으면 안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분실의 우려도 있고, 또 귀마개를 피하기 위해 뇌전도 스피커의 맞닿는 위치가 최적위치, 즉, 뇌진동을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귀의 주변의 외이도에 가까운 개소로부터 조금 떨어지게된다.
한편 이 뇌전도 스피커를 휴대전화기에 사용하는경우에는, 전지의 수명이 문제가 되고,큰 입력을 스피커에 가할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별도 귀마개를 준비하는 일이 없이, 고소음 하에 있어서도 명료하게 청취 가능하고, 현상의 휴대전화기에 사용되고 있는 음압형 스피커보다 약간 입력을 크게하는것만으로 충분한 청취음량을 얻는 것이 가능한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것을 과제로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뇌전도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의 다시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의 다시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관한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의 다시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관한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의 다시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종래의 뇌전도 스피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는 뇌전도 스피커와 함께 외이도 폐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한 외이도 폐색수단은 뇌전도 스피커와 별개로 하는 일도 있고 혹은 일체로 하는 일도있다.
또 상기한 외이도 폐색수단은 외이도 내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혹은 외이도 입구의 귀밥돌출부를 압압해서 외이도 입구를 폐색시키는 구성의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는 뇌전도 스피커와 함께 외이도 폐색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양자는 별개의 경우와 일체의 경우가 있다.
제1도는 뇌전도 스피커와 외이도 폐색수단이 별개의 경우의 외관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것은 전화기본체(1)정면의 상측에 뇌전도 스피커(2)를 조립하여 뇌전도 스피커(2)의 진동면(3)의 통상 중앙부에 외이도 폐색수단인 삽입부재(4)를 설치한 것이다.
삽입부재(4)는 프라스틱제, 또는 고무제로서 외이도 내에 밀접하게 끼워 넣을 수 있는 형상으로 한다.
삽입부재(4)는 진동면(3)에 대해서 끼워 넣음, 나사조임 등의 수단으로 부착 이탈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고, 또 후술하는 삽입부재(4a)와 같이해서 출몰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 휴대전화기는 회화시에 삽입부재(4)를 외이도 내에 삽입해서 사용한다.
삽입부재(4)를 외이도 내에 삽입하면, 뇌전도 스피커(2)의 진동면(3)이 외이도 주위의 귀밥에 맞닿는다.
이렇게 해서 삽입부재(4)에 의해 외이도가 폐색되므로서 고막을 거쳐서의 외음의 청취가 저지되는 한편, 소요의 음성은 진동면(3)으로부터 뇌전도음으로서 전달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내는 휴대전화기는 어느 것이나 뇌전도 스피커와 외이도 폐색수단과를 일체화한 것으로서 외이도 폐색수단인 삽입부재(4a)내에 뇌전도 스피커를 조립한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통상 삽입부재(4a)의 외측면전체가 진동면이 된다.
삽입부재(4a)는 전화기본체(1)의 정면 상부에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고, 돌출시킨 상태에서 삽입부재(4a)를 외이도 내에 삽입하므로서 외이도가 폐색됨과 동시에 삽입부재(4a)의 진동이 외이도 내에 있어서, 외이도 벽에 전달된다.
삽입부재(4a)를 출몰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들면 제2도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같이 삽입부재(4a)의 기초부를 삽입부재(4a)를 배치하는 전화기본체(1)의 구멍부(1a)내에 있어서 축지지시켜 전화기본체(1)의 후면으로부터 삽입부재(4a)의 선단부를 밀어서 회전시키는 구성을 생각할수가 있다.
또 다른 수단으로서 제3도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와 같이, 기초부에 탈락방지수단을 설치한 삽입부재(4a)를 구멍부(1a)내에 배치하고, 삽입부재(4a)를 전화기본체(1)의 후면으로부터 밀어내는 구성을 생각할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외이도 폐색수단으로서 외이도 내로 삽입하는 것이 아니고, 외이도 입구의 귀밥돌출부(6)를 압압해서 외이도의 입구를 폐색시키는 압압부재(5)를 채용해서 이것을 뇌전도 스피커의 조금 위에 배치한 것이다.
이 압압부재(5)는 압압되는 귀밥돌출부(6)에 통증을 주지 않도록 그 귀밥돌출부의 맞닿는 면은 평면 또는 곡면의 형상이 되도록하고, 또 맞닿는 면에 고무등의 연질자재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압압부재(5)의 높이는 삽입부재(4a)와 비교하면 상당히 낮고, 방해가 되지않기 때문에 돌출된 채로의 상태로 설치해도 되지만(제4도 참조), 삽입부재(4a)와 마찬가지로 전화기본체(1)의 정면상부에 출몰 가능하게 하고, 사용시에만 돌출시키도록 해도 된다.
출몰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한 삽입부재(4a)에 있어서와 같은 회전(제5도참조) 또는 밀어내는 수단외에 슬라이드시켜서 몰아내는 구조로 할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시에 전화기본체(1)를 귀에 대면 돌출하는 압압부재(5)가 귀밥 돌출부(6)를 밀어서 외이도에 뚜껑을 한 상태로 됨과 동시에, 그 상태에 있어서 외이도 근접부에 뇌전도 스피커(2)의 진동면이 밀착한 상태로되고, 이로써 뇌전도음으로서의 음성전달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삽입부재(4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압압부재(5) 내에 뇌전도스피커를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6도에 나타내는 예는 뇌전도 스피커를 조립한 압압부재(5a)를 전화기본체 (1)의 정면 상부에 설치한 오목한부(7)내에 쿠션자재(8)를 거쳐서 전화기본체(1)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상태로 매설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뇌전도 스피커를 내장시킨 압압부재(5a)를 쿠션자재 (8)로 띄우므로서 진동이 전화기본체(1)에 전달되기 어렵게 되기때문에 청문에 강한 것이 된다.
또 쿠션자재(8)가 있으므로서 귀밥에 밀어 붙인 때의 장착감이 좋아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고, 통상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별도 귀마개를 준비할 필요가 없이, 귀마개를 한 상태가 얻어지고, 이로써 고소음 하에서도 명료하게 청취 가능하고, 현상의 경우보다 약간 입력을 크게하는 것 만으로 충분한 청취음량을 얻는 것이 가능한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를 제공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뇌전도 스피커와 함께 외이도 폐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뇌전도 스피커와 상기한 외이도 폐색수단이 별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이도 폐색수단을 부착 이탈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이도 폐색수단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이도 폐색수단이 회전하므로서 출몰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6. 제1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이도 폐색수단이 외이도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7. 제1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이도 폐색수단이 외이도 입구의 귀밥돌출부를 압압해서 외이도입구를 폐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뇌전도 스피커와 상기한 외이도 폐색수단이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이도 폐색수단을 외이도 내에 밀접하게 끼워 넣을 수 있는 형상으로 하고, 거기에 상기한 뇌전도 스피커를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이도 폐색수단을 외이도 입구의 귀밥돌출부를 압압해서 외이도 입구를 폐색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하고, 거기에 상기한 뇌전도 스피커를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이도 폐색수단을 쿠션자재를 거쳐서 전화기본체에 약간 돌출하는 상태로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KR1020047018541A 2002-05-29 2003-05-27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KR200500374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54953 2002-05-29
JP2002154953A JP2003348208A (ja) 2002-05-29 2002-05-29 骨伝導スピーカを備えた携帯電話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435A true KR20050037435A (ko) 2005-04-21

Family

ID=2956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541A KR20050037435A (ko) 2002-05-29 2003-05-27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50176459A1 (ko)
EP (1) EP1524823A4 (ko)
JP (1) JP2003348208A (ko)
KR (1) KR20050037435A (ko)
CN (1) CN1656781A (ko)
AU (1) AU2003241799A1 (ko)
CA (1) CA2487456A1 (ko)
WO (1) WO20031010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9718A (ko) * 2003-12-26 2006-11-24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 장치
KR20060113892A (ko) * 2004-02-20 2006-11-03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골전도형 핸드세트
US7555136B2 (en) 2004-06-25 2009-06-30 Victorion Technology Co., Ltd. Nasal bone conduction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tting device
JP4541111B2 (ja) * 2004-11-17 2010-09-08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骨伝導スピーカの使用方法及び骨伝導受話装置の使用方法
JPWO2006059679A1 (ja) 2004-12-02 2008-06-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20090161893A1 (en) * 2005-11-17 2009-06-25 Young Co., Ltd. Handheld transmitter/receiver
JP4861079B2 (ja) * 2006-07-10 2012-01-25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骨伝導レシーバ
US20100278362A1 (en) * 2007-12-20 2010-11-04 Kim David K J Method and apparatus to interchange between bone conductive and normal mode in receiver
JP4946976B2 (ja) * 2008-06-04 2012-06-06 コスモギア株式会社 骨伝導スピーカの取付構造及び該取付構造を備えた骨伝導スピーカ付き機器
US11528547B2 (en) * 2009-06-19 2022-12-13 Dreampad Llc Bone conduction apparatus
US8918149B2 (en) 2010-12-27 2014-12-23 Rohm Co., Ltd. Mobile telephone
JP5714342B2 (ja) * 2011-01-20 2015-05-07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携帯電話
US9313306B2 (en) 2010-12-27 2016-04-12 Rohm Co., Ltd. Mobile telephone cartilage conduction unit for making contact with the ear cartilage
US8521239B2 (en) 2010-12-27 2013-08-27 Rohm Co., Ltd. Mobile telephone
KR101789401B1 (ko) * 2010-12-27 2017-10-23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송수화 유닛 및 수화 유닛
JP5663735B2 (ja) * 2011-02-14 2015-02-04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携帯電話、携帯電話システムおよび送受話ユニット
JP5250057B2 (ja) * 2011-02-07 2013-07-31 裕司 細井 携帯電話および通話方法
JP5783352B2 (ja) 2011-02-25 2015-09-24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会話システム、会話システム用指輪、携帯電話用指輪、指輪型携帯電話、及び、音声聴取方法
CN103597803A (zh) 2011-12-06 2014-02-19 株式会社坦姆科日本 使用骨传导装置的携带式电话机
TWI660618B (zh) 2012-01-20 2019-05-21 日商精良股份有限公司 mobile phone
WO2013145354A1 (ja) 2012-03-30 2013-10-0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KR101644261B1 (ko) 2012-06-29 2016-07-29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스테레오 이어폰
JP5250150B2 (ja) * 2012-11-30 2013-07-31 裕司 細井 携帯電話
EP3038330B1 (en) 2013-08-23 2020-05-06 FINEWELL Co., Ltd. Portable telephone
US9705548B2 (en) 2013-10-24 2017-07-11 Rohm Co., Ltd. Wristband-type handset and wristband-type alerting device
JP6551919B2 (ja) 2014-08-20 2019-07-3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検知装置および見守り通報装置
KR102110094B1 (ko) 2014-12-18 2020-05-12 파인웰 씨오., 엘티디 자전거 주행용 청취 장치 및 자전거 시스템
KR102056550B1 (ko) 2015-07-15 2019-12-16 파인웰 씨오., 엘티디 로봇 및 로봇 시스템
JP6551929B2 (ja) 2015-09-16 2019-07-3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受話機能を有する腕時計
KR102108668B1 (ko) 2016-01-19 2020-05-07 파인웰 씨오., 엘티디 펜형 송수화 장치
CN106803857A (zh) * 2017-01-13 2017-06-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骨传导扬声器的音频传输方法及移动终端
JP2020053948A (ja) 2018-09-28 2020-04-02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聴取装置
CN111385687B (zh) * 2018-12-29 2021-12-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防漏音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2833A (en) * 1979-08-27 1981-04-02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Speech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US5282253A (en) * 1991-02-26 1994-01-25 Pan Communications, Inc. Bone conduction microphone mount
EP0624021B1 (en) * 1993-04-16 1999-11-17 Nec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set with an earphone
JPH08181754A (ja) * 1994-12-21 1996-07-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機用送受話器
JPH09172479A (ja) * 1995-12-20 1997-06-30 Yokoi Kikaku:Kk 送受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話装置
US6775205B1 (en) * 1997-11-17 2004-08-10 Joseph S. Sporn Wrist-borne radiotelephone set
JP3050147U (ja) * 1997-12-24 1998-06-30 嘉正 平田 難聴者用簡易型携帯電話機
JP2000166959A (ja) * 1998-12-04 2000-06-20 Temuko Japan:Kk 骨導スピ−カ
JP2000324217A (ja) * 1999-05-07 2000-11-24 Ntt Docomo Inc 携帯機器における音情報伝達装置および携帯機器
JP3322849B2 (ja) * 1999-06-03 2002-09-09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骨伝導スピーカー付モバイル通信装置
JP3463063B2 (ja) * 2000-01-12 2003-11-05 株式会社マイクロエムズ マイク機能を有した1個のイヤホンを用いる携帯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101075A1 (fr) 2003-12-04
AU2003241799A1 (en) 2003-12-12
JP2003348208A (ja) 2003-12-05
EP1524823A4 (en) 2005-08-24
CN1656781A (zh) 2005-08-17
US20050176459A1 (en) 2005-08-11
EP1524823A1 (en) 2005-04-20
CA2487456A1 (en) 200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7435A (ko)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US10200778B2 (en) Earpiece with ergonomic extension
JP4401396B2 (ja) 音出力装置
US7899200B2 (en) Universal-fit hearing device
JP5473640B2 (ja) スピーカー装置
JP4966304B2 (ja) 短い通気孔を有する開放耳当てを備えた聴取装置
US20060177080A1 (en) Earpiece with flanged extension
US20070116309A1 (en) Earpiece with extension
EP2061273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US20070254725A1 (en) Cellular telephone cable assembly
US20080085030A1 (en) Inconspicuous communications assembly
US11381897B2 (en)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KR100878597B1 (ko) 이어폰
WO2006070229A2 (en) Earphone
KR102482897B1 (ko) 청음 장치
EP2025202B1 (en) Universal-fit hearing device
KR20160135473A (ko) 이어셋
JP2000166959A (ja) 骨導スピ−カ
JP2000300599A (ja) 耳せん
KR102210900B1 (ko) 골전도 헤드셋
JP7452948B2 (ja) 音響出力装置
KR20040066765A (ko) 지향성 조절을 향상시킨 양이 귓속형 디지털 보청기 구조설계
CN212752573U (zh) 耳机、耳机密封套
CN115039416A (zh) 用于真无线立体声耳麦的自适应耳塞
JP2001008294A (ja) 補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