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36019A1 -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전류 차단구조 - Google Patents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전류 차단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8236019A1 WO2018236019A1 PCT/KR2018/000308 KR2018000308W WO2018236019A1 WO 2018236019 A1 WO2018236019 A1 WO 2018236019A1 KR 2018000308 W KR2018000308 W KR 2018000308W WO 2018236019 A1 WO2018236019 A1 WO 2018236019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groove
- electrode tab
- region
- secondary batter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WABPQHHGFIMREM-NOHWODKXSA-N lead-200 Chemical compound [200Pb] WABPQHHGFIMREM-NOHWODKXSA-N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classified into a cylindrical type, a square type,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attery case.
-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has advantages such as easy deformation according to products, low manufacturing cost, It is suitable to be applied to various IT devices such as mobile devices which are becoming smaller.
- An electrode connection part 112 which is divided by the second welding area F1 and the break part connecting area 12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a rupture portion connecting region 120 connecting the second welding region F2 and the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12 and separating the second welding region F2 and the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12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stress, ; And a control unit.
- the breaking groove 122 is a triangular (V) groove formed of a first beveled portion a and a second beveled portion b forming a predetermined first internal angle A.
- the rupture line 124 is formed to have a height of a third oblique portion c and a fourth oblique portion d forming a predetermined second internal angle B and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tab 110 (h) in the form of triangular grooves.
- the rupture lines 124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upturing portion connecting region 120 in the form of facing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upture grooves 122.
- the predetermined first internal angle A is at least 150 degrees.
- a triangular groove is designed to have a double structure at a portion where an electrode ta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ode lead and a region where the electrode ta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ode assembly, so that a stress It can be concentrated and accurately and neatly broken, thereby blocking the current flow in the battery, thereby preventing various risk problems caused by the swelling phenomenon.
- Figure 2 is a cross-
- FIG. 3 is a plan view of an electrode tab and an electrode l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rupture operation in the state of Fig. 4,
-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being broken by a fract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00, an electrode tab 110, an electrode lead 200, a pouch case 300, And a connection region 120.
- the electrode tabs 110 ar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by separate conductive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electrode assembly or by welding or the like. Although not illustrated in detail in FIG. 1, the electrode tab 110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lectrode lead 200 through a region welded to the electrode lead 200.
- the electrode tab 110 When the swelling phenomenon occurs due to an overcharge state or an internal short circuit of the battery, the electrode tab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 200 (200) by a force generated by deformation of the pouch and the cell, And a reg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0, which is the remaining region of the electrode tab 110, is separated from the electrode tab 110. That is, Can be performed.
- the breakable portion connecting region 120 is shown as a separate portion for the naked eye division of the breakable portion connecting region 120.
- the breakable portion connection region 120 is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electrode tab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 200 and the remaining region of the electrode tab 110, Are areas included in the electrode tab 110 designed to separate the regio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0.
- FIG. 2 is a side view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1.
- FIG. 2 is a side view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1.
- the electrode tab 110 is adhesively connected to the upper pouch case 300 and the electrode lead 200 is adhesively connected to the lower pouch case 300.
- the electrode tab 110 and the electrode lead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welding region in a state where the electrode tab 200 and the electrode tab 110 are welded to each other.
- Lt; / RTI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is increased.
-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increases due to vaporization of the electrolyte or the like.
- a swelling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battery cell swells.
- the pouch case 300 is deformed as the battery cell is swollen.
- the electrode tabs 110 and 110 are welded to the electrode leads 200 and 110, respectively.
- the electrode tabs 110 and 110 are welded to the electrode leads 110 and 110, respectively.
- the breakage groove 122 and the break line 124 are formed in the auxiliary connection region 120 so that the stress due to the twist phenomenon is concentrated so that the break line 124 breaks and the electrode tab 110 contacts the electrode lead 200 and the region 11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0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region F1 and F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current flow between the electrode lead 200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0 can be cut off.
- the electrode tab 110 is separated from an area where the electrode tab 110 is welded to the electrode lead 200 to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lectrode tab 110, and the electrode tab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0 Region is referred to as an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12.
-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electrode tab 110 and the electrode lead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Referring to FIG. 3, the structure of the breakable portion connecting region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electrode lead 200 may have a first welding region F1 that is welded to the electrode tab 110 and electrically coupled thereto.
- each of the electrode tabs 110 includes a second welding area F2 that is welded and electrically coupled to each first welding area F1 provided in the electrode lead 200, An electrode connection part 112 which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welding area F2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a second welding area F2 and the electrode connection part 112, And a rupturing portion connecting region 120 for breaking the second welding region F2 and the electrode connecting portion 112 when stress is generated due to the swelling phenomenon.
- the break connection region 120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the second welding region F2 of the electrode tab 110 and the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12 is shown as four regions .
- the four ridge connecting regions 120 designed to have the rupture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roken, And the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12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welding region F2 provided in the electrode tab 110 which is welded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lectrode tabs F1.
- the electrode tabs 110 and the electrode leads 200 are formed in the regions indicated by F1 and F2 as shown in FIG. 4, that is, the first welding region F1 provided in the electrode lead 200, A second welding of the electrode tabs 110 electrically connected / connected to the first welding areas F1, wherein the second welding areas F2 of the tabs 110 are welded /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0 by the regions F2
- the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12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 200.
- connection region 120 serves as a path for current flow between the electrode lead 200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0.
-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breakable portion connecting region 120 includes a line-shaped break line 124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tab 100, and at both ends of the break line 122, (122)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 a part of the rupture groove 122 and the rupture line 124 are enlarged and refer to Fig. 5 (a)
- the rupture line 124 is linear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tab 110 so that the rupture line 124 is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tab 110 when stress is generated due to a twis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broken line 124 is a predetermined second internal angle B
- the third diagonal portion c and the fourth diagonal portion d and the triangular groove having the height 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tab 110 .
- the rupture line 124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idge connecting region 120 in the form of a triangular groove facing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upture groove 122 .
- the height h may be three-dimensionally described as the depth of the groove form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tab 110 in the fracture connection region 120.
- the break groove 122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reak line 124 in which the triangular groove is extend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tab 110
- the breaking groove 122 is also formed in the form of a triangular (V) groove formed by a first diagonal portion a and a second diagonal portion b, which form a predetermined first internal angle A And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upture line 124 so as to face each other.
- the fracture groove 122 and the fracture line 124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V) groove, so that the stress is concentrated in the triangular groove through the double structure of the triangular (V) groove.
- the shape becomes closer to a flat shape than the triangular shape V
- the stress concentrating effect due to the triangular (V) shape that is, the effect of causing the stress to concentrate on the rupture line 124 may be reduced, so that the size of the predetermined first internal angle A is not more than 150 degrees .
- the rupture groove 122 and the rupture line 124 formed in the rupture portion connecting region 120 when the stress is generated, the rupture groove 122 and the rupture groove 122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fracture line 124 formed by extending a triangular (V) groov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racture portion connecting region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tab 110 by the fracture, The regions F1 and F2 where the electrode tab 110 is welded to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 200 and the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12 that is a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0 are separated. That is, since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electrode lead 200 ar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urrent can be cut off.
- V triang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전류 차단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각(V) 형상의 파단 홈(122)과 삼각 홈이 연장된 형태의 파단라인(124)으로 구성되는 이중 파단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스웰링 현상 발생 시상기 파단 홈에 의해 파단 라인에 응력이 집중됨으로써 정확하고 깔끔하게 파단 됨으로써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는 전류 차단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전류 차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탭의 일부 구조로서 스웰링 현상으로 인한 응력에 의해 파단되도록 하여 전류 차단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모바일 기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IT 기기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IT 기기들의 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이차전지 또한 기술 개발 및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차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 각형, 파우치형 이차전지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여기서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제품에 따른 형태 변형이 용이하고, 저렴한 제조비용, 작은 중량 등의 장점으로 최근 소형화되는 추세인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IT 기기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 연장되는 전극 탭, 상기 전극 탭과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합 연결되는 전극 리드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 외장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허용 가능한 전류/전압을 초과하는 과충전 상태 또는 내부 단락 등에 의하여 전지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 전지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전해액 기화 등에 의하여 전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전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셀이 부풀어오르는 스웰링(Sweeling)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스웰링 현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전지의 발화나 폭발 등과 같은 위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전지 내부의 적절한 시점에서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켜 전지의 발화나 폭발 등과 같은 위험 문제 발생의 방지 가능할 수 있도록 전지 내부 구조의 특정 영역들을 전류 차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스웰링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전지 내부의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적용 가능한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음극판이 적층되는 전극 조립체(100); 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 연장되는 전극 탭(110); 상기 전극 탭과 접합 연결되는 전극리드(200); 상기 전극 리드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감싸 밀봉하는 파우치 외장재(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극 리드(200)는, 상기 전극 탭(110)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1 용접영역(F1)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 탭(110)은, 상기 제 1 용접영역(F1)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2 용접 영역(F2); 상기 제 2 용접 영역(F1)과 파단부 연결 영역(120)에 의하여 구분되며, 상기 전극 조립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112); 및 상기 제 2 용접 영역(F2)과 상기 전극 연결부(112)를 연결하고, 응력 발생 시 판단되어 상기 제 2 용접 영역(F2)과 상기 전극 연결부(112)를 분리 하는 파단부 연결영역(1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파단부 연결영역(120)은, 상기 전극 탭(110)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응력 발생 시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꺾어져 파단되는 홈이 선형으로 형성된 파단 라인(1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파단 라인의 양 단부에는, 상기 전극 탭(110)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파단 홈(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단 홈(122)은, 소정의 제 1 내각(A)을 이루는 제 1 빗면부(a)와 제 2 빗면부(b)로 형성되는 삼각(V) 홈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단 라인(124)은, 소정의 제 2 내각(B)을 이루는 제 3 빗면부(c)와 제 4 빗면부(d) 및 상기 전극 탭(110)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를 높이(h)로 하는 삼각 홈의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단 라인(124)은, 상기 파단 홈(122)의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파단부 연결영역(120)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소정의 제 1 내각(A)은, 적어도 150도 이하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제 2 내각(B)은, 적어도 90도 이하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극 탭이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영역과 상기 전극 탭이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영역이 연결되는 부분에 삼각 형상의 홈을 이중 구조로 설계하여, 스웰링 현상 발생 시 응력이 집중되어 정확하고 깔끔하게 파단되어 전지 내부의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켜 스웰링 현상이 지속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위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상면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전극 탭과의 전극 리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 상태에서의 파단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파단 구조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단 구조에 의해 파단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내부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크게 전극 조립체(100), 전극 탭(110), 전극 리드(200), 파우치 외장재(300), 그리고 상기 전극 탭(110)의 일부 영역인 파단부 연결영역(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00)는 하나 이상의 양극판, 분리막 및 음극판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양극판 및 음극판은 알루미늄, 구리 등의 얇은 판상형 금속 집전판에 전극활 물질을 도포 및 건조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전극 탭(110)은, 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 연장되는 구조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된 별도의 도전부재로 양극판 및 음극판과 연결된다. 여기서, 도 1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전극 탭(110) 은 전극 리드(200)와 용접되는 영역을 통하여 상기 전극 리드(2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파단부 연결영역(120)은, 전지의 과충전 상태 또는 내부 단락 등으로 인한 스웰링 현상이 발생되면 이로 인해 파우치 및 셀이 변형됨에 따라 발생하는 힘으로 상기 전극 탭(110)이 전극 리드(200)와 전기적으로 접속/연결되는 영역과 상기 전극 탭(110)의 그 나머지 영역인 전극 조립체(100)와 전기적으로부터 연결된 영역이 분리되도록 설계된 영역으로서, 이는 즉 전지 내부의 전류 흐름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 1 에는 파단부 연결영역(120)의 육안상의 구분을 위하여 파단부 연결 영역(120)을 별도의 부분으로 표시하였지만. 상기 파단부 연결 영역(120)은 별도의 장치나 구성이 아닌 상기 전극 탭(110)이 전극 리드(200)와 전기적으로 접속/연결되는 영역과 상기 전극 탭(110)의 그 나머지 영역인 전극 조립체(100)와 전기적으로부터 연결된 영역이 분리되도록 설계된 전극 탭(110)에 포함되는 영역들이다.
상기 파단부 연결 영역(120)에는 상기 전극 탭(110)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스웰링 현상으로 인한 응력 발생 시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꺾어져 파단되는 홈이 선형으로 형성된 파단 라인(124)과 상기 전극 탭(110)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의 파단 홈이 상기 파단 라인(124)의 양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도 1 에는 파우치 외장재(300) 중 하측 부분과 전극 리드(200)가 연결된 상태만이 도시된 것으로 실제로는 파우치 외장재(300)가 전극 탭(110)의 상면에도 접착 연결된다.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과 같은 구조의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내부 구조를 옆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전극 탭(110)은 상부 측의 파우치 외장재(300)와 접착 연결되고 전극 리드(200)는 하부 측의 파우치 외장재(300)와 접착 연결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 탭(110)과 전극 리드(200)는 각각 구비된 용접 영역을 용접하여 접합 연결된 상태로, 상기 용접 영역을 통하여 전극 탭(110)과 전극 리드(200)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2의 상태에서,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허용 가능한 전류나 전압, 즉 기준 전류/전압을 초과하는 과충전 상태 또는 내부 단락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전지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된다. 상기 전지 내부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전해액 기화 등으로 인하여 전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지 셀이 부풀어오르게 되는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전지 셀이 부풀어오름에 따라 파우치 외장재(300)가 변형된다.
즉, 상측의 파우치 외장재(300)는 위 방향으로, 하측의 파우치 외장재(300)는 아래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상측의 파우치 외장재(300)와 하측의 파우치 외장재(30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비틀림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파우치 외장재(300)의 상부 측에 접착 연결된 전극 탭(110)과 하부 측에 접착 연결된 전극 리드(200) 또한 각각 위, 아래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전극 탭(110)이 전극 리드(200)와 용접으로 접합된 영역(F1, F2)과 그 나머지 영역에 해당하는 전극 조립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영역(112)이 연결되는 영역인 파단부 연결영역(120)에 파단 홈(122)과 파단 라인(124)을 형성하여 비틀림 현상에 의한 응력이 집중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이에 따라 파단 라인(124)이 파단 되어 전극 탭(110)이 전극 리드(200)와 용접으로 접합된 영역(F1, F2)과 그 나머지 영역에 해당하는 전극 조립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영역(112) 이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분리됨에 따라 전극 리드(200)와 전극 조립체(100) 간의 전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후 설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탭(110)이 전극 리드(200)와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영역과 구분되며, 상기 전극 탭(110)이 전극 조립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영역을 전극 연결부(112)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전극 탭(110)과 전극 리드(200)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파단부 연결영역(12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전극 리드(200)는 전극 탭(110)과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1 용접영역(F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탭(110)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리드(200)에 구비된 각각의 제 1 용접영역(F1)과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각각의 제 2 용접영역(F2)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용접영역(F2)과 구분되며, 상기 전극조립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112), 그리고 상기 제 2 용접영역(F2)과 상기 전극 연결부(112)를 연결하고, 스웰링 현상으로 인한 응력 발생 시 파단되어 상기 제 2 용접영역(F2)과 상기 전극 연결부(112)를 분리하는 파단부 연결영역(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 탭(110)의 제 2 용접영역(F2)과 상기 전극 연결부(112)를 연결 및 분리하는 상기 파단부 연결영역(120)은 네 개의 영역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스웰링 현상으로 인한 응력 발생 시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단구조로 설계된 네 개의 파단부 연결영역(120)이 파단 됨으로써 상기 전극 리드(200)에 구비된 각각의 제 1 용접영역(F1)과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된 상기 전극 탭(110)에 구비된 각각의 제 2 용접영역(F2)과 상기 전극 연결부(112)가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극 탭(110)과 전극 리드(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 F2으로 표시된 영역들 즉, 전극 리드(200)에 구비된 각각의 제 1 용접영역(F1)과 상기 전극 탭(110)에 구비된 각각의 제 2 용접영역(F2)을 용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연결되며, 상기 제 1 용접영역(F1)들과 전기적으로 접속/연결된 전극 탭(110)의 제 2 용접영역(F2)들에 의하여 전극 조립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112)가 전극 리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탭(110)에서, 상기 제 1 용접영역(F1)들과 전기적으로 결합된 상기 제 2 용접영역(F2)들과 전극 연결부(112)가 연결된 영역인 파단부 연결영역(120)이 전극 리드(200)와 전극 조립체(100)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확대도를 참조하여 파단부 연결영역(12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파단부 연결영역(120)의 전체적인 구조는, 전극 탭(100)의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라인 형태의 파단 라인(124)이 형성되며, 상기 파단 라인(122)의 양단부에는 상기 전극 탭(110)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파단 홈(122)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파단 홈(122)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파단 홈(122)은 소정의 제 1 내각(A)을 이루는 제 1 빗변부(a)와 제 2 빗변부(b)로 형성되는 삼각(V) 홈의 형태일 수 있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탭(110)의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파단 라인(124)의 양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파단 라인(124)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삼각(V)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파단 홈(122)과 파단 라인(124)의 보다 정확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파단 홈(122)과 파단라인(124)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 5의 (a)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파단 라인(124)은 전극 탭(110)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비틀림 현상으로 인한 응력 발생 시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꺾어져 파단 되도록 홈이 선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a)를 위에서 바라본 방향으로 하여 도시한 파단 라인(124)의 단면인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파단 라인(124)은 소정의 제 2 내각(B)을 이루는 제 3 빗변부(c)와 제 4 빗변부(d), 그리고 상기 전극 탭(110)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를 높이(h)로 하는 삼각 홈의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단 라인(124)은 도면에서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파단 홈(122)의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삼각 홈의 형태로 파단부 연결영역(120)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높이(h)는 입체적으로 설명하면, 파단부 연결영역(120)에서 전극 탭(110)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홈의 깊이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단부 연결영역(120)에서, 상기 전극 탭(110)의 표면에 삼각 홈이 연장된 형태의 파단 라인(124)의 양 단부에 파단 홈(122)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파단 홈(122) 또한 소정의 제 1 내각(A)을 이루는 제 1 빗변부(a)와 제 2 빗변부(b)로 형성되는 삼각(V) 홈의 형태로 상기 파단 라인(124)의 상단 및 하단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웰링 현상으로 인한 응력 발생 시, 삼각(V) 홈 형태의 파단 홈(122)에 의하여 삼각 홈이 연장된 형태의 파단 라인(124)에 응력이 집중되고, 이에 따라 파단 라인(124)에서 전극 탭(110)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꺾어지는 힘이 강력하게 발생하여 도 6과 같이 파단부 연결영역(120)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형성된 파단 라인(124)을 따라 깔끔하고 정확하게 파단 될 수 있다.
이는 파단 홈(122)과 파단 라인(124)을 각각 삼각(V) 홈의 형태로 형성하여 삼각(V) 홈의 이중구조로 이를 통하여 응력이 삼각 홈으로 집중되어 강하게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파단 라인(124)이 파단 됨으로써 상기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결합된 영역(F1, F2)들과 상기 전극 조립체(1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전극 연결부(112)가 분리되는 것으로써, 이는 도 5에 120으로 표시되었던 네 개의 파단부 연결영역(120)이 각각 파단 되어 도 6과 같이 전기적으로 결합된 세 개의 상기 제 1 용접영역(F1)과 제 2 용접영역(F2)들 각각이 전극 연결부(112)와 분리된 형태가 되는 것이다. 즉, 전극 탭(110)이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영역(F1, F2)들과 전극 탭(110)이 전극 조립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영역(전극 연결부, 112)이 분리됨으로써 전극 리드(200)와 전극 조립체(100) 간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차단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빗변부(a)와 제 2 빗변부(b)가 이루는 소정의 제1 내각(A)의 크기가 너무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삼각 형상(V)보다는 평평한 형상에 가까운 형태가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삼각(V) 형상으로 인한 응력 집중 효과, 즉 파단 라인(124)으로 응력이 집중되도록 하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소정의 제 1 내각(A)의 크기는 150도 이하의 크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빗변부(c)와 제 4 빗변부(d)가 이루는 소정의 제 2내각(B) 또한 마찬가지로 각의 크기가 너무 크게 형성되는 경우 응력이 삼각(V) 형상의 홈에 집중되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정의 제 2 내각(B)을 이루는 부분은 직접 파단 되는 부분이므로 파단라인(124)에 보다 정확하고 깔끔하게 파단 되기 위하여 상기 소정의 제 1 내각(A)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90도 이하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단부 연결영역(120)에 형성된 파단 홈(122)과 파단라인(124)의 구조에 따라, 응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삼각(V)형상의 파단 홈(122)에 의해 전극 탭(110)의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파단부 연결영역(120)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삼각(V) 홈이 연장되어 형성된 파단라인(124)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단 됨으로써 도 6과 같이 전극 탭(110)이 전극 리드(200)와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접속/연결되는 영역(F1, F2)과 전극 조립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분인 전극 연결부(112)가 분리된다. 이는 즉, 전극 조립체(100)와 전극 리드(200)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됨으로써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스웰링 현상 시 삼각(V) 형상의 파단 홈(122)에 의해 파단 라인(124)으로 응력이 집중 발생되어, 상기 파단 라인에 형성된 삼각 홈에 응력이 크게 작용하여 상기 파단 라인(124)이 보다 정확하고 깔끔하게 파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음극판이 적층되는 전극 조립체(100);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 연장되는 전극 탭(110);상기 전극 탭과 접합 연결되는 전극리드(200);상기 전극 리드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감싸 밀봉하는 파우치 외장재(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전극 리드(200)는, 상기 전극 탭(110)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 용접영역(F1)을 구비하고,상기 전극 탭(110)은,상기 제1 용접 영역(F1)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 용접 영역(F2);상기 제2 용접 영역(F1)과 파단부 연결영역(120)에 의하여 구분되며, 상기 전극 조립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112); 및상기 제2 용접 영역(F2)과 상기 전극 연결부(112)를 연결하고, 응력 발생 시 파단되어 상기 제2 용접 영역(F2)과 상기 전극 연결부(112)를 분리하는 파단부 연결영역(1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파단부 연결영역(120)은,상기 전극 탭(110)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응력 발생 시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꺾어져 파단되는 홈이 선형으로 형성된 파단 라인(1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파단 라인의 양 단부에는, 상기 전극 탭(110)의 표면에 평행인 방향으로 파단 홈(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파단 홈(122)은,소정의 제1 내각(A)을 이루는 제1 빗변부(a)와 제2 빗변부(b)로 형성되는 삼각(V) 홈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파단 라인(124)은,소정의 제2 내각(B)을 이루는 제3 빗변부(c)와 제4 빗변부(d) 및 상기 전극 탭(110)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를 높이(h)로 하는 삼각 홈의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파단 라인(124)은,상기 파단 홈(122)의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파단부 연결영역(120)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소정의 제2 내각(B)은, 상기 소정의 제1 내각(A)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6/467,903 US11978926B2 (en) | 2017-06-21 | 2018-01-05 | Current blocking structure applied to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JP2019525978A JP7037014B2 (ja) | 2017-06-21 | 2018-01-05 | パウチ型二次電池に適用される電流の遮断構造 |
EP18819988.9A EP3531478B1 (en) | 2017-06-21 | 2018-01-05 | Current blocking structure applied to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CN201880004714.6A CN110036505B (zh) | 2017-06-21 | 2018-01-05 | 应用于袋型二次电池的电流阻挡结构 |
US18/628,396 US20240283113A1 (en) | 2017-06-21 | 2024-04-05 | Current blocking structure applied to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8347A KR102320114B1 (ko) | 2017-06-21 | 2017-06-21 |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전류 차단구조 |
KR10-2017-0078347 | 2017-06-21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US16/467,903 A-371-Of-International US11978926B2 (en) | 2017-06-21 | 2018-01-05 | Current blocking structure applied to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US18/628,396 Continuation US20240283113A1 (en) | 2017-06-21 | 2024-04-05 | Current blocking structure applied to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236019A1 true WO2018236019A1 (ko) | 2018-12-27 |
Family
ID=6473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8/000308 WO2018236019A1 (ko) | 2017-06-21 | 2018-01-05 |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전류 차단구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11978926B2 (ko) |
EP (1) | EP3531478B1 (ko) |
JP (1) | JP7037014B2 (ko) |
KR (1) | KR102320114B1 (ko) |
CN (1) | CN110036505B (ko) |
WO (1) | WO2018236019A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7280B1 (ko) * | 2012-05-30 | 2014-07-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KR101500101B1 (ko) * | 2013-07-10 | 2015-03-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
KR20150025974A (ko) * | 2013-08-30 | 2015-03-1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US20160315355A1 (en) * | 2011-11-03 | 2016-10-27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Llc | Cathode active material for overcharge protection in secondary lithium batteries |
KR20160131657A (ko) * | 2015-05-08 | 2016-11-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셀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리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980962A (fi) | 1998-04-30 | 1999-10-31 | Nokia Mobile Phones Ltd | Järjestely suojauksen toteuttamiseksi akussa ja akku |
KR100477750B1 (ko) * | 2002-09-23 | 2005-03-1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
JP2005044523A (ja) * | 2003-07-22 | 2005-02-17 | Toyota Motor Corp | 二次電池の電流遮断構造およびその構造を備えた二次電池 |
JP4495994B2 (ja) * | 2004-03-29 | 2010-07-07 | 株式会社東芝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EP1999805B1 (en) | 2006-03-30 | 2014-08-06 | Lg Chem, Ltd. |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safety |
JP5037308B2 (ja) * | 2006-11-21 | 2012-09-26 |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 二次電池モジュール |
KR101255171B1 (ko) * | 2009-09-28 | 2013-04-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KR101192077B1 (ko) | 2009-11-02 | 2012-10-1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및 그를 이용한 전지 팩 |
US20110104520A1 (en) | 2009-11-02 | 2011-05-05 | Changbum Ahn |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
KR101252981B1 (ko) * | 2010-08-05 | 2013-04-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
JP5958841B2 (ja) * | 2011-06-17 | 2016-08-02 |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 二次電池用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部品を使用して製造された二次電池及びマルチ電池システム |
KR20130050654A (ko) * | 2011-11-08 | 2013-05-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드와 탭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 전지 |
KR101335122B1 (ko) | 2011-11-25 | 2013-12-03 | 세방전지(주) | 파단홈을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
DE112012005761T5 (de) | 2012-01-27 | 2014-11-20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Abgedichtete Batterie |
JP5712954B2 (ja) | 2012-03-13 | 2015-05-07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蓄電装置および車両 |
JP5729334B2 (ja) | 2012-03-13 | 2015-06-03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蓄電装置および車両 |
KR101441204B1 (ko) | 2012-12-27 | 2014-09-17 |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 전류 차단을 용이하게 하는 커트 라인 적용 셀 모듈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1808312B1 (ko) * | 2013-09-26 | 2017-12-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 및 이에 적용되는 전극 리드 조립체 |
KR101709567B1 (ko) | 2014-01-10 | 2017-02-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가스 배출 방향 제어 수단을 구비한 전지모듈 |
KR20160030688A (ko) * | 2014-09-11 | 2016-03-21 |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
KR101867650B1 (ko) * | 2014-09-19 | 2018-06-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만입형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
KR101704127B1 (ko) * | 2014-11-14 | 2017-02-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
KR101662742B1 (ko) | 2015-04-13 | 2016-10-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계층적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
KR101846050B1 (ko) * | 2015-05-07 | 2018-04-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류 제한 기능의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US10741822B2 (en) * | 2015-05-07 | 2020-08-11 | Lg Chem, Ltd.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electrode lead having electrical current limiting function |
KR101858317B1 (ko) * | 2015-05-07 | 2018-05-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류 제한 기능의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KR102056363B1 (ko) * | 2015-08-17 | 2019-12-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 셀 |
KR102055853B1 (ko) * | 2015-08-31 | 2019-12-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개선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
US10109842B2 (en) | 2015-10-16 | 2018-10-23 | Hyundai Motor Company | Battery cell |
KR101766047B1 (ko) * | 2015-10-22 | 2017-08-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배터리 셀 |
KR101734703B1 (ko) * | 2015-11-04 | 2017-05-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배터리 셀 |
CN106207726A (zh) | 2016-10-08 | 2016-12-07 | 山东海富光子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非相干合束的高能量纳秒脉冲全光纤激光器 |
KR102050923B1 (ko) | 2017-05-30 | 2020-01-08 | 고유길 | 관절 보정 시스템 |
JP2018206452A (ja) | 2017-05-30 | 2018-12-27 |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内容参照メモリ及び半導体装置 |
-
2017
- 2017-06-21 KR KR1020170078347A patent/KR10232011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1-05 JP JP2019525978A patent/JP7037014B2/ja active Active
- 2018-01-05 EP EP18819988.9A patent/EP3531478B1/en active Active
- 2018-01-05 US US16/467,903 patent/US11978926B2/en active Active
- 2018-01-05 CN CN201880004714.6A patent/CN110036505B/zh active Active
- 2018-01-05 WO PCT/KR2018/000308 patent/WO2018236019A1/ko unknown
-
2024
- 2024-04-05 US US18/628,396 patent/US20240283113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315355A1 (en) * | 2011-11-03 | 2016-10-27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Llc | Cathode active material for overcharge protection in secondary lithium batteries |
KR101417280B1 (ko) * | 2012-05-30 | 2014-07-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KR101500101B1 (ko) * | 2013-07-10 | 2015-03-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
KR20150025974A (ko) * | 2013-08-30 | 2015-03-1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20160131657A (ko) * | 2015-05-08 | 2016-11-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셀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리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See also references of EP3531478A4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531478B1 (en) | 2023-03-01 |
JP2019536225A (ja) | 2019-12-12 |
US20200075925A1 (en) | 2020-03-05 |
JP7037014B2 (ja) | 2022-03-16 |
US20240283113A1 (en) | 2024-08-22 |
EP3531478A4 (en) | 2020-04-01 |
EP3531478A1 (en) | 2019-08-28 |
CN110036505A (zh) | 2019-07-19 |
KR102320114B1 (ko) | 2021-11-01 |
KR20180138308A (ko) | 2018-12-31 |
CN110036505B (zh) | 2022-05-17 |
US11978926B2 (en) | 2024-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6178540A1 (ko) | 전류 제한 기능의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
WO2016178539A1 (ko) | 전류 제한 기능의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
WO2018105847A1 (ko) |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 |
KR20090103404A (ko) | 리튬 이차전지 | |
CN112243549B (zh) | 二次电池模块 | |
WO2011037335A2 (ko) |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WO2018030836A1 (en) |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cap assembly | |
JP2009231138A (ja) | 電池パック | |
WO2015115731A1 (ko) |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지셀 | |
WO2015080380A1 (ko) | 단락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 |
WO2017061707A1 (ko)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WO2018052209A1 (ko) | 이차 전지 | |
WO2018216930A1 (ko) | 이차전지 및 그러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
CN115663419A (zh) | 保护构件及电池单体的制备方法 | |
WO2016039503A1 (ko) |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 |
KR20170024842A (ko) | 전지 모듈 | |
WO2021107319A1 (ko) |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 |
WO2018236019A1 (ko) |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전류 차단구조 | |
US20220352596A1 (en) | Battery cell, battery,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battery cell | |
KR102137756B1 (ko) | 간단한 센싱 구조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 |
WO2022114487A1 (ko) |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
WO2018101634A1 (ko) | 이차 전지 | |
WO2018208043A1 (ko) | 이차전지 및 그러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
WO2015046692A1 (ko) |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WO2018012788A1 (ko) | 이차 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88199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ENP |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 201952597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
|
ENP |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 20188199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520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