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82175A1 -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 Google Patents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82175A1
WO2018182175A1 PCT/KR2018/002012 KR2018002012W WO2018182175A1 WO 2018182175 A1 WO2018182175 A1 WO 2018182175A1 KR 2018002012 W KR2018002012 W KR 2018002012W WO 2018182175 A1 WO2018182175 A1 WO 201818217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houlder
neck
gastric acid
reflux esophag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20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진평
Original Assignee
김진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평 filed Critical 김진평
Publication of WO201818217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8217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53Pillow sl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Definitions

  • the pillow integrated with the backrest having a neck and shoulder protection function for gastric acid reflux esophagitis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ckrest member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support the back of the body and
  • the shoulderrest member is formed to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backrest portion to support the shoulder portion of the body, and includes a headrest member formed in the shape of a waveform having a different height to support the head portion of the body, the backrest This can be achieved by making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member higher than the member and forming the shoulder support member lower than the backrest member.
  • the backrest member and the shoulder support member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10 ⁇ 20 ° to prevent the acid flow back due to reflux esophagitis
  • the backrest member is a groove portion formed so that air is introduced, and the air flow through the groove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blower installed at one end of the groove.
  • FIG. 1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pillow integrated with a backrest having a neck and shoulder protection function for gastric acid reflux esophagitis patien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pillow integrated with a backrest having a neck and shoulder protection function for gastric acid reflux esophagitis patien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low integrated with a backrest having a neck and shoulder protection function for gastric acid reflux esophagitis patient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Pillows integrated with the backrest with neck and shoulder protection for gastric acid reflux esophagitis patients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support the back of the body 10
  • Shoulderrest member 2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backrest member 10 to support the part, and includes a headrest member 30 formed in the shape of a wave shape having a different height to support the head of the body. do.
  •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40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rest member 3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ackrest member 10, the shoulderrest member 20 and the headrest member 3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do.
  • the backrest member 10 is formed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o support the back of the user's body, the backrest member 10 is inclined so as to maintain the user's upper body lying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
  • Both sides of the backrest member 10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shoulder support member (20).
  • the shoulder support member 20 is formed to support the shoulder portion when the user is lying on the side.
  • the shoulder support member 2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backrest member 1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10 to 20 °, more preferably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15 °.
  • the reason for installing the shoulder support member 20 lower than the back support member 10 is to make the position of the head support member 30 higher than the back support member 10 and at the same time to achieve a straight line without bending the cervical spine and spine. to be.
  • the vertical plate 21 is formed to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backrest member 10.
  • the headrest member 30 is a neck portion of the user, that is,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for supporting the cervical spine,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 for stably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 and the user's head does not lean back. It consists of a third support portion 33.
  •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neck bone so as to support the user's cervical spine, that is, the neck bone area more stably. That is, the first support part 31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protruding upwards,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back head part so as to stably support the back head part of the head.
  • the third support part 33 is formed to protrude upwardly lower than the first support part 31 so that the head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sagging in the lying state of the user.
  • the headrest member 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polyurethane, latex, and the like to elastically support the user's head.
  • the height adjusting member 40 is made of a cylinder or the like is provided with a controller (not shown) for adjust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 Figure 4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pillow integrated with a backrest having a neck and shoulder protection function for gastric acid reflux esophagitis patien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pillow integrated with a backrest having a neck and shoulder protection function for gastric acid reflux esophagit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neck and shoulder protection function for gastric acid reflux esophagitis pati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pillow integrated with the backrest.
  • the backrest member 10 has a size that can stably support the user's back portion,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backrest member 10 has a groove portion 11 formed to allow air to flow, and the groove portion 11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ckrest member 10 and the first groove portion 11a and the first groove portion 11a. And a second groove portion 11b intersecting with the second groove portion 11b.
  • the groove 11 i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12 flows, thereby supplying air to the user's back, thereby maintaining a cooler and more comfortable lying down state.
  • the first groove 11a is formed from the backrest member 10 to the tip of the headrest member 30, and a blower 12 for supplying air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irst groove 11a.
  • Both sides of the backrest member 10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shoulder support member 20, the backrest member 10 and the shoulder support member 2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 one side of the back support member 10 and the shoulder support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head support member 30 for supporting the user's head portion
  • the head support member 30 is to support the cervical spine, that is, the neck bone area
  •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is formed in an arc shape so as to support the back head portion of the head stably,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 formed in an arc shape so as to support the back head portion of the user
  • the third support part 33 for stably supporting the head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tinuous waveform.
  • Pillow integrated with the backrest having neck and shoulder protection for gastric acid reflux esophagitis patient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ight triangle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backrest member 10, the shoulderrest member 20 ) And the headrest member 30 are integrally formed.
  • the shell of the backrest member 10 and the shoulder restoring member 20 and the headrest member 30 can be configured to be used to put a liquid such as water or a gas such as air.
  •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 lies on a back pillow integrated pillow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lies on his back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rest member 10 in order to sleep, and the cervical spine portion is oppos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of the headrest member 30 and the hea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 the back of the head is lying in the state facing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
  • the back portion of the user's body is in contact with the backrest member 10
  •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of the headrest member 30 is in contact with the cervical spine, that is, the neck bone portion of the user's body
  • 2 support portion 32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hea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 the upper body of the user is located in the chest portion is the backrest member 10
  • the cervical spine is located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of the headrest member 30 in the highest position do.
  • the user's neck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user's upper body so that reflux of the patient with reflux esophagitis does not occur, which maintains a 15 ° angle that patients with reflux esophagitis can most preferably lie down.
  • the user is lying on the back back to the back member 10 during bedtime to turn to the side, as the user is lying on the side shoulder portion of the user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ackrest member (10) (20) abuts.
  • the chest area is increased by the shoulder, and the cervical spine area is lower than the chest area.
  • the cervical spine of the user is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chest, so that acid reflux of the patient with reflux esophageal cancer does not occur.
  •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40 by adjust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the user can be inclined to lean to the desired height.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pillows integrated with the backrest with neckbone and shoulder protection for gastric acid reflux esophagitis patients with gastric acid reflux esophagitis patients with acid reflux.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산이 역류하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갖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본 발명은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산이 역류하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갖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하루 24시간 중 약 8시간, 즉 일생의 3분의 1은 잠을 자는 데 소비하고 있다. 하루의 생활로 발생한 피로를 수면으로 풀어야만 다음날 건강하게 생활을 할 수 있다. 때문에 숙면을 취하기 위하여 인간은 베개를 사용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나무나 도자기를 베개로, 유럽에서는 자루에 동물의 털을 넣어 몸을 기대거나 베개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기술의 발달로 라텍스나 메모리폼 등의 첨단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나아가 목뼈 보호용, 안마용, 지압용 등 다양한 베개를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최근에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가 폭증하면서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위산 역류성 식도식염은 약을 먹으면 잘 치유되지만, 쉽게 재발하는 현대의 질병으로 식습관을 고치지 않으면 죽을 때까지 안고 가야할 만성적인 질병이다.
의사들은 약을 먹기보다는 어깨에 베개나 이불 등을 받쳐 상체의 기울기가 15°이상이 되도록 유지하고 수면을 취하면 위산 역류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환자들에게 권유한다.
이에 환자들은 의사의 권유에 따른 자세 변경을 시도해 보지만 오히려 낭패를 보는 경우가 있다. 한 자세로 오랫동안 잠을 자면 몸이 결리기 때문에 몸을 뒤척이거나 수면 자세를 바꾸게 된다.
이럴 경우 잠결에 베개를 놓쳐 베개 따로 사람 따로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데, 앙와위에서는 목뼈가 뒤로 꺾이고 측와위에서는 목뼈가 측면으로 꺾일 뿐만 아니라 꺾인 머리 때문에 어깨가 짓눌리게 된다.
이런 나쁜 자세가 수면 중에 오랜 시간 동안 계속 되므로, 그 결과 목 디스크나 목 질환 그리고 척추 디스크나 척추질환 등에 노출되어 아주 끔찍한 고통을 겪을 수 있다.
베개 없이 자다가 엄청난 통증과 함께 목을 움직일 수조차 없었던 경험, 짓눌린 어깨의 통증과 결림 현상, 손과 팔이 저릿저릿하며 쥐가 나고 무감각했던 경험을 한번쯤 겪게 된다.
역류성 식도염은 치료가 잘 되기도 하지만 식습관을 고치지 않으면 재발이 잦아 결국에 만성적인 식도염이 되어 평생을 관리해야 하는 질병이 되어 버린다. 평생을 관리해야 한다는 것은 식도염 환자용 등받이, 쿠션, 침대, 매트 등을 평생 사용해야 되는 필요성이 높아지게 된다.
식도염 환자용 등받이, 쿠션, 침대, 매트, 등을 평생 사용해야만 한다는 상황이 사실이라면, 목뼈와 척추 그리고 어깨가 보호되는 제대로 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만약 목뼈와 척추 그리고 어깨가 보호되지 않는, 즉 허술하게 만들어진 베개 등을 사용하게 되면, 상상하기도 싫은 끔찍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완치가 어려운 만성 식도염을 치료하다가 더 큰 질병인 목과 척추 디스크 그리고 목과 척추에 관련된 질병에 평생 노출시키는 우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말한 경험을 몇 차례 겪고 나서 베개와 매트를 결합시켜 베개 따로 사람 따로 취침하게 되는 자세를 방지하여 목뼈와 어깨를 보호해야 되는 필요성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3098598호에 '흉소방지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흉소방지매트'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목뼈 보호 기능이 없다. 상기 흉소방지매트는 베개 따로 사람 따로 눕게 되는 문제를 해결했을 뿐 역C자 타입의 목뼈를 받쳐줄 장치를 구비하지 않았다. 때문에 유용성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위험한 제품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앙와위에서는 목뼈가 뒤로 지나치게 꺾이게 된다. 이러한 수면자세는 목과 척추에 아주 나쁜 자세로, 목과 척추 디스크나 목과 척추질환에 노출 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측와위에서도 목뼈 보호 기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목이 꺾임으로 인하여 짓눌리는 어깨를 보호하는 기능도 없다.
셋째, 앙와위에서 목뼈 보호, 측와위에서 목뼈 보호 기능과 목이 측면으로 꺾임으로 인하여 짓눌리는 어깨를 보호할 기능이 없어 목과 척추 디스크나 질환 등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비용과 자원 낭비가 크다.
왜냐하면, 상기의 흉소방지매트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몇 십만 원 이상의 고가 매트를 버리고 새로운 매트를 구매해야 하기 때문이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환자 수가 약 400만 명이라 할 때, 400만 개의 기존 매트를 버리고 400만 개의 매트를 새로 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07-0081086호는 "뼈마디와 근육이 이완되고, 이로 인하여 신체의 신경조직 및 혈관을 강화시켜 질병예방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식도염 환자용 매트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목뼈 보호장치를 살펴보면 앙와위에서는 굴곡을 사용하였으며, 측와위에서는 머리가 젖혀지지 않게 보조머리지지부를 두고 있다. 즉 머리가 놓이는 부분의 위치를 높여줌으로써 목뼈가 꺾이지 않게 하고 있다.
이 방법은 앙와위에서 측와위로 잠자리 자세를 바꿀 때마다. 높은 보조머리지지부로 머리를 들어 옮겨 놓아야 하고, 측와위에서 앙와위로 자세를 바꿀 때마다. 수면자가 보조머리지지부에서 머리지지부로 머리를 들어 내려놓아야 한다.
이는 아주 짧은 순간이지만 머리가 절벽으로 떨어지는 스릴을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매일 밤 여러 번 느껴야만 하는 문제점과 더불어 머리를 들어올리고 내리고 하는 행위를 잠자는 중에 계속해서 반복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러한 행위는 의식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수면 자의 숙면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혈지압이 목적이라 위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의사 권장사항인 15도 각도에 대하여 언급하지도 않았으며 이를 구현한 바도 없다.
국내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0079942호에는 누었을 때 상체가 지면으로부터 완만한 경사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기구로, 등받이부와 받침부가 접촉되는 더 완만한 기울기의 마찰면이 있어 쿠션과 받침 사이의 밀림을 방지하며, 의료용으로 쓰일 수 있는 메모리폼 경사 등받이 쿠션이 공개되어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20-2016-0004497호는 공기튜브의 팽창량에 따라 경추받침부 또는 어깨받침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국내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76067호는 '수면 중인 사용자의 정상적인 머리 이동선에 대응되는 형상과 경추 받침부를 일반 베개를 사용하도록 구성하여 일자목이나 거북목을 예방하거나 교정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위산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모든 수면 자세에서 식도염 환자의 목뼈와 어깨를 보호하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와 베개의 표면에 신체의 굴곡에 따라 굴곡을 주어 편안함과 U자형 홈을 통한 송풍장치로 환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는 신체의 등 부위를 받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등받이부재와, 신체의 어깨 부위를 받치도록 상기 등받이부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어깨받침부재, 신체의 머리 부위를 받치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파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침부재보다 머리받침부재의 위치를 높게 하고 어깨받침부재를 등받이 부재보다 낮게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재 및 상기 어깨받침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머리받침부재의 일단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재 및 어깨받침부재는 역류성 식도염에 의한 위산이 역류되지 않도록 10~20°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등받이부재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상기 홈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등받이부재, 상기 어깨받침부재 및 상기 머리받침부재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등받이부재 및 어깨받침부재와 머리받침부재의 외피를 튜브화 하여 물과 같은 액체 또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그리고 등받이부재 및 어깨받침부재와 머리받침부재의 외피와 내부 공간을 모두 스펀지, 라텍스, 폴리우레탄, 경질플라스틱 등의 재료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에 의하면, 역류성 식도염 환자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누울 수 있게 되어 위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가슴 부위보다 경추 부위가 항상 높은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등을 맞대고 누운 상태뿐만 아니라 옆으로 돌아눕게 되더라도 경추 부위를 가슴 부위보다 높게 유지시켜 위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일체형 베개에 사용자가 누워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본 발명은 신체의 등 부위를 받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등받이부재; 신체의 어깨 부위를 받치도록 상기 등받이부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어깨받침부재; 신체의 머리 부위를 받치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파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침부재보다 머리받침부재의 위치를 높게 하고 어깨받침부재를 등받이부재보다 낮게 형성하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는 신체의 등 부위를 받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등받이부재(10), 신체의 어깨 부위를 받치도록 상기 등받이부재(10)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어깨받침부재(20), 신체의 머리 부위를 받치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파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받침부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는 사용자의 등 부위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유지시킴은 물론 머리 부위를 적정 높이로 유지시켜 주어 역류성 식도염 환자의 위산 역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즉, 사용자의 등 부위와 머리 부위를 상체보다 높게 유지시켜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일어나지 않게 하여 역류성 식도염 환자가 취침 시 숙면을 취하도록 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는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부재(10),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어깨 부위를 지지하도록 상기 등받이부재(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어깨받침부재(20), 사용자의 머리 부위를 적정 높이로 지지하는 머리받침부재(3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등받이부재(10), 어깨받침부재(20) 및 머리받침부재(3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머리받침부재(30)의 저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4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등받이부재(10)는 사용자의 신체 중 등 부위를 받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등받이부재(10)는 사용자의 상체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누운 상태를 유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등받이부재(10)는 대략 10~20°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역류성 식도염 환자가 위산의 역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등받이부재(10)의 양 측면에는 각각 어깨받침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어깨받침부재(20)는 사용자가 측면으로 돌아누웠을 때 어깨 부위를 받쳐주도록 형성된다.
상기 어깨받침부재(20)는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눕게 되면, 어깨부위를 지지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어깨받침부재(20)와 머리받침부재(30)에 의해 등받이부재(10)에 누워 있는 상태로 동일하게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누울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어깨받침부재(20)는 등받이부재(10)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대략 10~20°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어깨받침부재(20)를 등받이부재(10)보다 낮게 설치하는 이유는 등받침부재(10)보다 머리받침부재(30)의 위치를 높게하면서 동시에 경추와 척추가 꺽임이 없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어깨받침부재(20)는 등받이부재(10)보다 낮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재(10)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수직판(21)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등받이부재(10) 및 어깨받침부재(20)의 일단에는 사용자의 머리 부위를 상체와 동일한 각도로 받치도록 머리받침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머리받침부재(30)는 사용자의 목 부위, 즉 경추를 지지하는 제1 받침부(31)와 사용자의 뒤통수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제2 받침부(32) 및 사용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하는 제3 받침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받침부(31)는 사용자의 경추, 즉 목 뼈 부위를 보다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도록 목 뼈 부위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 받침부(31)는 상부로 돌출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받침부(32)는 머리의 뒤통수 부위를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도록 뒤통수 부위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3 받침부(33)는 사용자의 누워 있는 상태에서 머리가 처지지 않고서 안정되게 받쳐질 수 있도록 제1 받침부(31)보다 낮게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머리받침부재(30)는 사용자의 머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합성수지, 폴리우레탄, 라텍스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머리받침부재(30)의 저면에는 머리받침부재(30) 및 등받이부재(10)와 어깨받침부재(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40)는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높이 조절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재(10), 어깨받침부재(20)의 저면에는 등받이부재(10) 및 어깨받침부재(20)를 지지하는 바닥판(41)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41)은 등받이부재(10), 어깨받침부재(20) 및 머리받침부재(30)를 지지하는 높이조절부재(40)가 설치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제2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등받이부재(10)는 사용자의 등 부위를 안정되게 받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등받이부재(10)에는 공기가 통하도록 홈부(11)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11)는 등받이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홈부(11a) 및 상기 제1 홈부(11a)와 교차되는 제2 홈부(11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홈부(11)는 송풍기(12)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흐르는 유로로써, 사용자의 등 부위에 공기를 공급하여 줌으로써, 보다 시원하고 쾌적하게 누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홈부(11a)는 등받이부재(10)에서부터 머리받침부재(30)의 선단까지 형성되며, 상기 제1 홈부(11a)의 끝단에는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2)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12)는 홈부(11)에 공기를 공급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등받이부재(10)에 누워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 부위를 시원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등받이부재(10)의 양측에는 각각 어깨받침부재(20)가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부재(10) 및 어깨받침부재(20)는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등받이부재(10) 및 어깨받침부재(2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머리 부위를 지지하는 머리받침부재(30)가 설치되며, 상기 머리받침부재(30)는 경추, 즉 목 뼈 부위를 지지하는 제1 받침부(31), 머리의 뒤통수 부위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원호상으로 높게 형성되는 제1 받침부(31), 사용자의 뒤통수 부위를 지지하도록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제2 받침부(32) 및 머리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제3 받침부(33)가 연속된 파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머리받침부재(30)의 저면에는 등받이부재(10) 및 어깨받침부재(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40)가 설치된다.
<제3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는 전술한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와 달리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술한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부재(10), 어깨받침부재20) 및 머리받침부재(30)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등받이 일체형 베개는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되며, 재질은 사용자의 체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폴리우레탄, 라텍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등받이부재(10) 및 어깨받침부재(20)와 머리받침부재(30)의 외피를 튜브화 하여 물과 같은 액체 또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등받이부재(10) 및 어깨받침부재(20)와 머리받침부재(30)의 외피와 내부 공간을 모두 스펀지, 라텍스, 폴리우레탄, 경질플라스틱 등의 재료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음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일체형 베개에 사용자가 누워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취침하기 위하여 등받이부재(10)의 상면에 등을 맞대고 눕게 되며, 경추 부위는 머리받침부재(30)의 제1 받침부(31)에 맞대고, 머리 부위의 뒤통수는 제2 받침부(32)에 맞댄 상태로 눕게 된다.
즉, 등받이부재(10)에는 사용자의 신체 중 등 부위가 맞닿게 되고, 머리받침부재(30)의 제1 받침부(31)에는 사용자의 신체 중 경추, 즉, 목 뼈 부위가 맞닿으며, 제2 받침부(32)에는 머리 부위 중 뒤통수 부위가 맞닿게 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상체 부위는 가슴 부위가 등받이부재(10)에 위치하게 되고, 경추 부위는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머리받침부재(30)의 제1 받침부(31)에 위치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목 부위는 사용자의 상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역류성 식도염 환자의 역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는 역류성 식도염 환자가 가장 바람직하게 누울 수 있는 15°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취침 중에 등받이부재(10)에 등을 맞댄 상태로 누워있다가 측면으로 돌아눕게 되는데,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 눕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어깨 부위는 등받이부재(10)의 측면에 형성된 어깨받침부재(20)에 맞닿게 된다.
사용자가 수평으로 누워 있는 상태에서 옆으로 돌아 눕게 되면, 어깨에 의해 가슴 부위가 높아지게 되고, 경추 부위가 가슴 부위보다 낮아지게 된다.
사용자가 등받이부재(10)에 앙와위 자세로 누워 있다가 옆으로 돌아눕게 되더라도 사용자의 어깨는 등받이부재(10)보다 낮게 형성된 어깨받침부재(20)에 위치하게 되고, 사용자의 경추 부위는 머리받침부재(30)의 제1 받침부(31)에 의해 가슴 부위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눕게 되더라도 사용자의 경추 부위가 가슴 부위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되어 역류성 식도암 환자의 위산 역류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높이조절부재(40)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경사지게 누울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위산이 역류하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갖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신체의 등 부위를 받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등받이부재;
    신체의 어깨 부위를 받치도록 상기 등받이부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어깨받침부재;
    신체의 머리 부위를 받치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파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침부재보다 머리받침부재의 위치를 높게 하고 어깨받침부재를 등받이부재보다 낮게 형성하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재 및 상기 어깨받침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머리받침부재의 일단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재 및 어깨받침부재는 역류성 식도염에 의한 위산이 역류되지 않도록 10~20°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재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홈부;
    상기 홈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상기 홈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재, 상기 어깨받침부재 및 상기 머리받침부재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6. 등받이부재 및 어깨받침부재와 머리받침부재의 외피를 튜브화 하여 물과 같은 액체 또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7. 등받이부재 및 어깨받침부재와 머리받침부재의 외피와 내부 공간을 모두 스펀지, 라텍스, 폴리우레탄, 경질플라스틱 등의 재료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PCT/KR2018/002012 2017-03-28 2018-02-19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WO201818217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39229 2017-03-28
KR10-2017-0039229 2017-03-28
KR1020170099731A KR101828021B1 (ko) 2017-03-28 2017-08-07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KR10-2017-0099731 2017-08-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2175A1 true WO2018182175A1 (ko) 2018-10-04

Family

ID=6119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2012 WO2018182175A1 (ko) 2017-03-28 2018-02-19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8021B1 (ko)
WO (1) WO20181821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118B1 (ko) 2019-11-28 2020-09-09 김진평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
KR102608342B1 (ko) * 2023-07-27 2023-11-30 박우성 위산역류방지용 베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2964B1 (en) * 2001-02-05 2001-09-25 Macarena M. Rose Inclined support pillow
US6898812B2 (en) * 2003-08-04 2005-05-31 Lucas M. Smart Infant reflux mattress suspense system and bed
KR200455637Y1 (ko) * 2011-03-16 2011-09-16 조민희 베이비 쿠션
KR20140079942A (ko) * 2012-12-20 2014-06-30 박찬희 메모리폼 경사 등받이 쿠션
KR20160149121A (ko) * 2015-06-17 2016-12-27 신유진 수면 쿠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2964B1 (en) * 2001-02-05 2001-09-25 Macarena M. Rose Inclined support pillow
US6898812B2 (en) * 2003-08-04 2005-05-31 Lucas M. Smart Infant reflux mattress suspense system and bed
KR200455637Y1 (ko) * 2011-03-16 2011-09-16 조민희 베이비 쿠션
KR20140079942A (ko) * 2012-12-20 2014-06-30 박찬희 메모리폼 경사 등받이 쿠션
KR20160149121A (ko) * 2015-06-17 2016-12-27 신유진 수면 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021B1 (ko)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8691B2 (en) Medical support pillow
WO2017195988A1 (ko) 점진적 근육 이완법이 적용된 안마의자에서의 취침 모드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이 동작 가능한 안마의자
WO2015178686A1 (ko) 기능성 베개
US5216771A (en) Leg pillow
US7441293B1 (en) Support for a lower shoulder and extended arms of a person lying on their side
US4918774A (en) Medical support pillow
WO2011096663A9 (ko) 숙면용 정형 베개
WO2016153225A2 (ko) 자세 교정용 기능성 취침구
JP5798929B2 (ja) 気道拡張用具及びこれを備えた気道拡張ユニット
WO2015119403A1 (ko) 체형교정이 가능한 건강베개
WO2021101057A1 (ko) 코골이 방지 베개
WO2013116658A1 (en) Therapeutic cushion systems and methods
JP2004081641A (ja) 整体治療の前後において使用する整体治療用補助具
WO2018182175A1 (ko)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US5865181A (en) Medical post operation recovery device
JP2016135249A (ja) 首枕及び首枕と楔部材との組み合わせ並びに首枕の使用方法
WO2017126915A1 (ko) 취침중 후두의 자유운동과 뇌척수액의 흐름을 유도하는 수면베개
US6810543B2 (en) Orthopedic body segment support
JP5592094B2 (ja) 腹臥位用敷き寝具
WO2010082758A4 (ko) 베개
WO2019135607A1 (ko) 기능성 베개
KR20180000455A (ko) 다기능 허리베개
KR102154118B1 (ko)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
WO2014014138A1 (ko)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
KR100444950B1 (ko) 기능성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747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7747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