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69227A1 -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69227A1
WO2018169227A1 PCT/KR2018/002215 KR2018002215W WO2018169227A1 WO 2018169227 A1 WO2018169227 A1 WO 2018169227A1 KR 2018002215 W KR2018002215 W KR 2018002215W WO 2018169227 A1 WO2018169227 A1 WO 201816922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econdary battery
exterior member
packaging material
l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22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정두
양정엽
서준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494,51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239518B2/en
Publication of WO201816922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692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3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a cas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 the case of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ylindrical case, a rectangular case or a pouch type case.
  • the pouch type case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making cells of thin thickness and is mainly used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and easy manufacturing.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moisture permeability and flexibility.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econdary battery.
  •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first electrode ta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ta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first exterior member and a second exterior member configured to receive the electrode assembly and face each oth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and the second exterior member includ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t least one of a first lead portion for drawing the first electrode tab to the outside and a second lead portion for drawing the second electrode tab to the outside.
  •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substrate, a display panel positioned on a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substrate positioned on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to supply power.
  •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condary battery is provided.
  •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seal the exterior member in one process, the secondary battery has excellent moisture barrier property and excellent flexibility.
  • the display device may implement the display device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since the secondary battery is included as a power supply devic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f FIG. 1.
  • FIG. 3 is a plan view of xy as viewed from below the z-axis with the second sheathing material removed from FIG. 1.
  • FIG. 4 is a top plan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5 shows a modified variant of the third and fourth seals in FIG. 4.
  • FIGS. 6 and 7 are top plan views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spectively.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f FIG. 8.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f FIG. 1
  •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the removal of the second packaging material from FIG. This is the xy floor plan view.
  • a rechargeable battery 100 may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10, a first electrode tab 21, and a second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a first face member 151 and a second face member 152 for receiving the tab 22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and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10 therein.
  •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and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are attached to each other through a sealing region 150 positioned along an edge of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2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sealing region 150 is formed in the second packaging member 152, but the sealing region may be locat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packaging member 151.
  • At least one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and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lead portion 3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 the first lead portion 3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may be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at is, the first lead portion 3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may be positioned side by side in the x-axis direction at one end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lead portion 3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may be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first lead portion 3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are form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and / or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Accordingly, the first lead portion 31 draws the first electrode tab 21 to the out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and the second drawer 32 serves to draw the second electrode tab 22 to the out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
  • the first exterior member ( The shape formed by the portion penetrating the 151 and / or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first lead part 31 and the second lead part 32 are formed through the first outer member 151 and / or the second outer member 152,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21 and 22. It is necessary to seal it after) is withdrawn. That is, the first lead part 31 and the second lead part 32 may be sealed by the first seal part 41 and the second seal part 42, respectively.
  • At least one of the first seal 41 and the second seal 42 may be, for example, polyisobutyl (PIB), butyl rubber, or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 Epoxy, polydimethylsiloxane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propylene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olyethylene, PE), ceramic (ceramic)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PIB polyisobutyl
  •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 Epoxy polydimethylsiloxane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propylene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olyethylene, PE), ceramic (ceramic)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are alternately stacked, and a separator 13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 the first electrode 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ab 21
  • the second electrode 1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tab 22.
  • first electrode 11, second electrode 12, and separator 13 each having a rectangular sheet shape is illustrated, but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11 and second electrodes 12 are illustrated.
  • the separator 13 may be stacked alternately with the separator 13 interposed therebetween.
  • a separato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band-shaped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be wound and pressurized to form a flat structure.
  • the first electrode 11 may be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2 may be a cathode. In some cases, the first electrode 11 may be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2 may be an anode. .
  • the first electrode 11 i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2 is a cathod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first electrode 11 includes a coating portion 11b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pplied to a current collector of a thin metal plate, and a non-coating portion 11a which is set as a current collector exposed by not apply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the current collector of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first electrode tab 21 may be formed of aluminum (Al).
  • the second electrode 12 may include a coating part 12b in which the active materi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f the first electrode 11 are applied to a current collector of a thin metal plate, and a non-coating part that is set as a current collector exposed by not apply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12a).
  • the current collector of the second electrode 12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22 may be formed of copper (Cu).
  • the coating parts 11b and 12b may b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current collectors of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may b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energy density and thinning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e coating portions 11b and 12b are not formed i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may alternately arrange the plain portions 11a and 12a in both width directions (x-axis directions). That is, in FIG. 3, the uncoated portion 11a of the first electrode 11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the uncoated portion 12a of the second electrode 12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 first electrode tab 21 is connected to the uncoated portion 11a of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22 is connected to the uncoated portion 12a of the second electrode 12.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21 and 2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one side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and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21 and 22 may be connected to the plain portions 11a and 12a by welding,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20a and 12a may be formed to extend. 21) may be configured to serve.
  • the positions of the uncoated portion 11a of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uncoated portion 12a of the second electrode 12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lead portion 3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described above. As a result,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21 and 22 may also be changed.
  • the separator 13 may be used as long as the separator 13 separates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and provides a passage for moving ions.
  • it may be selected from glass fiber, polyester,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may be in the form of a nonwoven or a woven fabric.
  • a separator coated with a composition including a ceramic component or a polymer material may be used to secure heat resistance or mechanical strength, and may be optionally used as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structure.
  •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resin layer 151a, the moisture barrier layer 152b, and the second resin layer 151c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e second resin layer 151c is an electrode assembly.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10.
  •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 the first resin layer 151a serves as a substrate and a protective layer.
  • the first resin layer 151a for example, is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naphthalate, copolyester, polycarbonate and nylon film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oisture barrier layer 152b may serve to prevent moisture or the like from penetrating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the moisture barrier layer 152b is made of, for example, an alloy of iron (Fe), carbon (C), chromium (Cr) and manganese (Mn), iron (Fe), carbon (C), chromium (Cr), and nickel ( Ni, copper (Cu), aluminum (Al) or equivalents thereof, and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ramics such as silicon dioxide (SiO 2 ) and aluminum oxide (Al 2 O 3 ).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oisture barrier layer 152b is preferably formed as thick as possible 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flexi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in view of effects such as moisture barrier prevention.
  • the second resin layer 151c serves to adhere to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1 or the second electrode 12 which is not coated with the separator 13 or the active material. In some cases, the second resin layer 151c directly bonds the sealing part 150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and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using heat fusion or the like without a separate adhesive. You can also do, the second resin layer 151c may be formed of a polyolefin or a copolymer of polyolefin, and more specifically, the polyolefin may be made of polyethylene (PE) or polypropylene (PP).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E polyethylene
  • PP polypropylene
  • the electrode tab connected to each electrode in the secondary battery has a structure that is drawn ou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ckaging materials.
  • the sealing area has a rectangular ring shape and therefore has at least four sealing faces, and the electrode tabs are in direct and indirect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se sealing faces and can be drawn out.
  • the process of sealing the upper and lower facers may, for example, seal the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facers through thermal fusion.
  • the sealing surface from which the electrode tab is drawn out should be heated to avoid the portion where the electrode tab is located, the sealing process was performed separately from the sealing surface from which the electrode tab was not drawn out.
  • the first electrode tab 21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22 are not drawn ou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xterior members 151 and 152, but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or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 the first and second withdrawal portions 31 and 32 located at one end of the withdrawal are respectively drawn out. Therefore,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aling process of joining the edges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and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to each other is thermally fused or edged the entire edge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or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simultaneously. It can be carried out in one step of applying the adhesive to the whole. That is, all surfaces of the edges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and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may be joined at the same time.
  • the one-time bond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may improve the productivity significantly because the sealing process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on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in a batch type or an in-line type. .
  • FIG. 4 is a plan view of an xy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secondary battery 101 of the presen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FIGS. 1 to 3 will be omitted.
  • the secondary battery 101 further includes a third sealing part 43 covering the first drawing part 31 and a fourth sealing part 44 covering the second drawing part 32. It may include.
  • the third sealing part 43 and the fourth sealing part 44 may be at least one of, for example, an insulating tape, a sealing tape (3411 4411N), a Kapton tape, and a polyimide tape. Can be.
  • FIG. 5 shows a modification in which the third and fourth seal parts 43 and 44 are changed in FIG. 4.
  • the third and fourth seals may be integrally extended to form the fifth seal 45.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the sealing process is increased.
  • FIG. 6 is a plan view of an xy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6 is a xy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xterior member is removed as shown in FIG. 3 for convenience.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FIGS. 1 to 3 will be omitted.
  • other configurations and / or modifications of other secondary batteries 101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the first lead portion 31 is positioned at the first end E1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is the first end E1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 May be located at the second end E2.
  • the first lead portion 31 is positioned at the first end of the second sheathing material 152,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is the second facing the first end of the second sheathing material 152. It may be located at the end.
  • both the first lead portion 3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may be formed only at any one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2 or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and may be positioned at end portions facing each other.
  • the first drawing part 31 and the second drawing part 32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in the diagonal direction in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or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 FIG. 7 is a plan view of an xy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 is a plan view of xy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xterior member is removed as shown in FIG. 3 for convenience.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FIGS. 1 to 3 will be omitted.
  • additional configurations and / or modifications of the secondary battery 101 according to the other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may be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10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the first lead portion 31 is positioned at the first end E1 of the first sheathing material 15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is the first end E1 of the first sheathing material 151.
  • the second end portion E2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lead portion 3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may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103.
  • the first lead portion 31 is positioned at the first end of the second sheathing material 152,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is the second facing the first end of the second sheathing material 152.
  • the first lead portion 3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103.
  • first lead portion 3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are both formed on only one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2 or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each located at the end facing each other, y-axis
  • the first lead portion 31 and the second inlet portion 32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axis in the direction.
  • FIG. 7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lead portion 3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face each other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103.
  • the first and second lead portions 31 and 32 may face each other in the left region of the x-axis direction of FIG. 7 or may face each other in the right region of the x-axis direction. .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f FIG. 8.
  • the secondary battery 103 of the presen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FIGS. 1 to 3 will be omitted.
  • additional configurations and / or modifications of the secondary battery 101 according to the other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may be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10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the first lead portion 31 may be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may be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have.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lead portion 31 may be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econd sheathing material 152,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may be located at one end of the first sheathing material 151.
  • a first lead portion 31 and a second lead portion 32 are formed on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and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respectively, and are positioned at one end parallel to the z-axis direction.
  • the first drawing part 31 may be located on the left side in the x axis direction
  • the second drawing part 32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the x axis direction
  • the first drawing part 31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the x axis direction.
  • the two lead portions 32 may be located on the left side in the x-axis direction.
  • the first lead portion 3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axis in the z-axis direction.
  • first lead portion 31 is positioned in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 second lead portion 32 is positioned in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but the first lead portion 3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 The position of 32 may be form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first lead portion 31 is positioned in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 second lead portion 32 is located in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the first lead portion 31 and the xy plane.
  • the second lead-out part 32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S. 6 and 7. Accordingly, the first lead portion 31 and the second lead portion 32 may be positioned to face in the diagonal direction 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6, or 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7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located on the same axis.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secondary battery 105 of the presen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FIGS. 1 to 3 will be omitted.
  • additional configurations and / or modifications of the secondary batteries 101, 102, 103, and 104 according to the other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may be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10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At least one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and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in the secondary battery 105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have a single layer structure.
  • At least one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and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having the single layer structure is, for examp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 Polycarbonate (PC), Polyarylate (PAR), Polyetherimide (PEI), Polyethersulfone (PES) and Polyimide (PI), Polypropylene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 polymer resins including polyethylene, P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chlorotrifluoroethylene (CTFE), nylon (Nylon); And, it may be made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in ceramics including thin glass and thin Al 2 O 3 .
  • the thickness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and / or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having the single layer structure may be 5 ⁇ m to 500 ⁇ m, more preferably 50 ⁇ m to 200 ⁇ m or 50 ⁇ m to 20 ⁇ m. .
  • the flexible property may be improved and the capacity of the battery per unit volume may be improved, but may be weak to moisture or damage from the outside. If it is over 500 ⁇ m, it is resistant to moisture and damage from the outside, but loses its flexible characteristics, and the battery capacity per unit volume may decrease.
  • At least one of the first exterior member 151 and / or the second exterior member 152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positioned along the edge.
  • the adhesive layer may include, for example, glass frit, butyl rubber, hot butyl, epoxy adhesive, polyurethane urethane adhesive, and acrylate.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hesives, ceramic adhesives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adhesives.
  •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 the display device having better bending characteristics may be implemented.
  • FIG.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substrate 110, a display panel 200, and a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the substrate 110 may be a flexible substrate that is flexible and well bent, and may include, for example, plastic. More specifically, the substrate 110 is polyethylene ether 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carbonate (PC), polyarylate (PAR), polyetherimide (PEL), polyether sulfone (PES) And polymer resin consisting of polyimide (PI);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in ceramics consisting of thin glass, thin Al 2 O 3 , and the like.
  • PET polyethylene ether phthalate
  •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 PC polycarbonate
  • PAR polyarylate
  • PEL polyetherimide
  • PES polyether sulfone
  • PI polymer resin consisting of polyimide
  •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in ceramics consisting of thin glass, thin Al 2 O 3 , and the like.
  • the display panel 200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 the display panel 200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display panel 200 can be implemented as a flexible display device.
  • the display panel 20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an organic solar cell (OPV). It may be a display panel.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OV organic solar cell
  •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that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panel 200 is positioned.
  • 11 illustrates a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convenience,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may be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first passivation layer 300 is 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200.
  • the first passivation layer 300 seals and protects the display panel 200 positioned on the substrate 110 from the outside.
  •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400 is positioned below the secondary battery 100, and the third passivation layer 450 is positioned along the edges of the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400.
  • the second protective layer 400 and the third protective layer 450 seal and protect the secondary battery 100 positioned below the substrate 110 from the outs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기재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탭, 상기 제2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 탭, 그리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외장재 및 제2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장재 및 상기 제2 외장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전극 탭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전극 탭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2 인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본 기재는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양극과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로 구성된 전극 어셈블리와 상기 전극 어셈블리가 수납되는 케이스로 구성된다. 이차 전지의 케이스로는 원통형 케이스, 각형 케이스 또는 파우치형 케이스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파우치형 케이스는 얇은 두께의 셀 제작에 특히 적합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본 기재의 일 실시예는 내투습성 및 유연성이 향상된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기재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기재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탭, 상기 제2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 탭, 그리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외장재 및 제2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장재 및 상기 제2 외장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전극 탭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전극 탭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2 인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기재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본 기재에 따른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1회의 공정으로 외장재를 밀봉할 수 있기 때문에 수분 차단성이 매우 우수하면서도 뛰어난 유연성을 갖는다.
본 기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이차 전지를 전원 공급 장치로 포함하기 때문에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제2 외장재를 제거하고 z축 하부에서 바라본 xy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기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xy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제3 및 제4 밀봉부의 변경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기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xy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기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이차 전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기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제2 외장재를 제거하고 z축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바라본 xy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3을 참고하면,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10), 전극 조립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탭(21) 및 제2 전극 탭(22), 그리고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는 제1 외장재(151) 및 제2 외장재(152)를 포함한다.
제1 외장재(151) 및 제2 외장재(152)는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며, 내부에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한다. 제1 외장재(151) 및 제2 외장재(152)는, 제2 외장재(152)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는 밀봉 영역(150)을 통해 서로 부착된다. 도 2에는 제2 외장재(152)에 밀봉 영역(150)이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제1 외장재(15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봉 영역이 위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기재에서 제1 외장재(151) 및 제2 외장재(15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는 제1 외장재(151)의 일 단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는 제1 외장재(151)의 일 단부에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는 제2 외장재(152)의 일 단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는 제1 외장재(151) 및/또는 제2 외장재(152)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인출부(31)는 제1 전극 탭(21)을 외장재의 외부로 인출하고, 제2 인출부(32)는 제2 전극 탭(22)을 외장재의 외부로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전극 탭(21) 및 제2 전극 탭(22)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면,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외장재(151) 및/또는 제2 외장재(152)를 관통하는 부분이 이루는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는 제1 외장재(151) 및/또는 제2 외장재(152)를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제1 및 제2 전극 탭(21, 22)이 인출된 후 이를 밀봉할 필요가 있다. 즉,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는 제1 밀봉부(41) 및 제2 밀봉부(42)에 의해 각각 밀봉될 수 있다.
제1 밀봉부(41) 및 상기 제2 밀봉부(42)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면, 폴리이소부틸(Polyisobutyl, PIB), 부틸러버 (Butyl Rubber),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에폭시 (Epoxy), 폴리디메틸실록산 (polydimethylsiloxane, PDMS),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PE), 세라믹 (Ceramic)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0)는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이 교대로 적층되고,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 사이에는 분리막(13)이 개재된다. 또한, 제1 전극(11)은 제1 전극 탭(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극(12)은 제2 전극 탭(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에는 사각 시트(sheet)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전극(11), 제2 전극(12) 및 분리막(13)을 각각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복수 개의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이 분리막(13)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적층될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띠 형상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권취된 후 가압하여 납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제1 전극(11)은 양극이고, 제2 전극(12)은 음극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제1 전극(11)이 음극이고, 제2 전극(12)이 양극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 전극(11)은 양극이고, 제2 전극(12)은 음극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전극(11)은 금속 박판의 집전체에 양극 활물질을 도포한 코팅부(11b), 및 양극 활물질을 도포하지 않아 노출된 집전체로 설정되는 무지부(11a)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전극(11)의 집전체 및 제1 전극 탭(21)은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2)은 제1 전극(11)의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을 금속 박판의 집전체에 도포한 코팅부(12b), 및 음극 활물질을 도포하지 않아 노출된 집전체로 설정되는 무지부(12a)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2 전극(12)의 집전체 및 제2 전극 탭(22)은 구리(Cu)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부(11b, 12b)는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 집전체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극 조립체(10)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제1 전극(11) 및/또는 제2 전극(12)의 경우 에너지 밀도 및 전극 조립체(10)의 박막화 등을 고려할 때 제1 외장재(151) 및 제2 외장재(152)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코팅부(11b, 12b)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은 무지부(11a, 12a)를 폭 방향(x축 방향) 양측으로 번갈아 배치할 수도 있다. 즉, 도 3에서 제1 전극(11)의 무지부(11a)는 좌측에 배치되고, 제2전극(12)의 무지부(12a)는 우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전극 탭(21)은 제1 전극(11)의 무지부(11a)에 연결되고, 제2 전극 탭(22)은 제2 전극(12)의 무지부(12a)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외장재(151) 및 제2 외장재(152)의 일측 외부에서 제1 및 제2전극 탭(21, 22)은 소정의 간격을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제1 및 제2전극 탭(21, 22)은 무지부(11a, 12a)에 용접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무지부(11a, 12a)가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제1 및 제2전극 탭(20, 21)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전극(11)의 무지부(11a) 및 제2 전극(12)의 무지부(12a)의 위치는 전술한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전극 탭(21, 22)의 위치도 함께 변경될 수 있다.
분리막(13)은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을 분리하고 이온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차 전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이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부직포 또는 직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내열성 또는 기계적 강도 확보를 위해 세라믹 성분 또는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조성물로 코팅된 분리막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선택적으로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외장재(151)는 제1 수지층(151a), 투습 방지층(152b) 및 제2 수지층(151c)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으며, 제2 수지층(151c)이 전극 조립체(10)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2 외장재(152)는 제1 외장재(151)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먼저, 제1 수지층(151a)은, 기재 및 보호층의 역할을 한다. 제1 수지층(151a),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및 나일론필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습 방지층(152b)은 본 기재에 따른 이차 전지(100)에서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투습 방지층(152b)은, 예를 들면, 철(Fe), 탄소(C), 크롬(Cr) 및 망간(Mn)의 합금, 철(Fe), 탄소(C), 크롬(Cr) 및 니켈(Ni)의 합금,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그 등가물 및 이산화규소(SiO2), 산화 알루미늄(Al2O3) 등의 세라믹 (Ceramic)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투습 방지층(152b)은 이차 전지(100)의 유연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투습 방지 등의 효과 면에서 바람직하다.
제2 수지층(151c)은, 분리막(13) 또는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제1 전극(11) 또는 제2 전극(12)의 일 면과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경우에 따라, 제2 수지층(151c)은 제1 외장재(151) 및 제2 외장재(152)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밀봉부(150)를 별도의 접착제 없이 열 융착 등을 이용하여 직접 접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제2 수지층(151c)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올레핀의 공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PP)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에서 각 전극과 연결되는 전극 탭은 상부 외장재 및 하부 외장재 사이로 인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 외장재가 사각 형상인 경우 밀봉 영역은 사각 고리 형상이므로 적어도 4개의 밀봉 면을 가지고, 전극 탭은 이러한 밀봉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직,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외부로 인출될 수 있었다.
상부 및 하부 외장재를 밀봉하는 공정은,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 외장재의 가장자리를 열 융착을 통해 밀봉할 수 있다. 그런데 전극 탭이 인출되는 밀봉 면은 전극 탭이 위치하는 부위를 피해서 열을 가하여야 하므로 전극 탭이 인출되지 않는 밀봉 면과 별도로 밀봉 공정을 진행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밀봉 면들 중 일부는 두 번 이상 열 융착되는 영역이 존재하였고, 밀봉 공정에서 이러한 영역에 위치하는 외장재의 재료가 변형되거나 밀봉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는 외장재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거나 외장재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기재에서 제1 전극 탭(21) 및 제2 전극 탭(22)은 제1 및 제2 외장재(151, 152) 사이로 인출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외장재(151) 또는 제2 외장재(152)의 일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를 통해 각각 외부로 인출된다. 따라서, 본 기재에서 제1 외장재(151) 및 제2 외장재(152)의 가장자리를 상호 접합시키는 밀봉 공정은 제1 외장재(151) 또는 제2 외장재(152)의 가장자리 전체를 동시에 열 융착하거나 가장 자리 전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1회의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외장재(151) 및 제2 외장재(152)의 가장자리의 모든 면을 동시에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1회의 접합 공정은 배치 타입(batch type) 또는 인-라인 타입(in-line type)으로 복수의 이차 전지에 밀봉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본 기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xy 평면도를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의 이차 전지(101)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이차 전지(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이차 전지(101)는 제1 인출부(31)를 덮는 제3 밀봉부(43)와 제2 인출부(32)를 덮는 제4 밀봉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밀봉부(43) 및 제4 밀봉부(44)는, 예를 들면, 절연 테이프, 밀봉 테이프 (3M社 4411N), 캡톤 테이프 (Kapton tape), 폴리이미드 테이프 (polyimide tap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를 각각 덮는 제3 밀봉부(43)와 제4 밀봉부(44)를 더 포함하는 경우, 이차 전지(101) 내부의 전해액 등이 누출되는 것을 보다 잘 예방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에는 도 4에서 제3 및 제4 밀봉부(43, 44)를 변경한 변형예를 나타내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3 및 제4 밀봉부는 일체로 연장되어 제5 밀봉부(45)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밀봉 공정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6 에는 본 기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xy 평면도를 나타내었다. 도 6에는 편의상 도 3과 같이 제2 외장재를 제거한 상태의 xy 평면도를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의 이차 전지(102)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이차 전지(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2)에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에 다른 이차 전지(101)의 추가 구성 및/또는 변형예를 적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인출부(31)는 제1 외장재(151)의 제1 단부(E1)에 위치하고, 제2 인출부(32)는 제1 외장재(151)의 제1 단부(E1)와 마주보는 제2 단부(E2)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인출부(31)는 제2 외장재(152)의 제1 단부에 위치하고, 제2 인출부(32)는 제2 외장재(152)의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32)부는, 모두 제1 외장재(152) 또는 제2 외장재(152)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는 제1 외장재(151) 또는 제2 외장재(152)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위치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기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xy 평면도를 나타내었다. 도 7에는 편의상 도 3과 같이 제2 외장재를 제거한 상태의 xy 평면도를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의 이차 전지(103)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이차 전지(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3)에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1)의 추가 구성 및/또는 변형예를 적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인출부(31)는 제1 외장재(151)의 제1 단부(E1)에 위치하고, 제2 인출부(32)는 제1 외장재(151)의 제1 단부(E1)와 마주보는 제2 단부(E2)에 위치하되, 제1 인출부(31)와 제2 인출부(32)는 이차 전지(103)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인출부(31)는 제2 외장재(152)의 제1 단부에 위치하고, 제2 인출부(32)는 제2 외장재(152)의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하며, 제1 인출부(31)와 제2 인출부(32)가 이차 전지(103)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32)부는, 모두 제1 외장재(152) 또는 제2 외장재(152)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위치하며, y축 방향으로 동일한 축 상에 제1 인출부(31)와 제2 인츨부(32)가 위치할 수 있다.
도 7에는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가 이차 전지(103)의 폭 방향 중앙에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는 도 7의 x축 방향 좌측 영역에서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거나, x축 방향 우측 영역에서 서로 마주보고 위치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본 기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를 나타내었고, 도 9는 도 8의 이차 전지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의 이차 전지(103)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이차 전지(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4)에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1)의 추가 구성 및/또는 변형예를 적용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제1 인출부(31)는 제1 외장재(151)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제2 인출부(32)는 제2 외장재(152)의 일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인출부(31)는 제2 외장재(152)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제2 인출부(32)는 제1 외장재(151)의 일 단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9에는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가 제1 외장재(151) 및 제2 외장재(152)에 각각 형성되되, z축 방향으로 평행한 일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이때, 제1 인출부(31)는 x축 방향으로 좌측, 제2 인출부(32)는 x축 방향으로 우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1 인출부(31)는 x축 방향으로 우측, 제2 인출부(32)는 x축 방향으로 좌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가 z축 방향으로 동일한 축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인출부(31)는 제1 외장재(151)에 위치하고, 제2 인출부(32)는 제2 외장재(152)에 위치하되,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의 위치가,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것처럼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인출부(31)는 제1 외장재(151)에 위치하고, 제2 인출부(32)는 제2 외장재(152)에 위치한다는 점만 제외하면 xy 평면상에서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는 도 6 및 도 7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인출부(31) 및 제2 인출부(32)는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고 위치할 수도 있고,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것처럼 y축 방향으로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0에는 본 기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의 이차 전지(105)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이차 전지(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5)에 도 4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1, 102, 103, 104)의 추가 구성 및/또는 변형예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5)에서 제1 외장재(151) 및 제2 외장재(152) 중 적어도 하나는 단일층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일층 구조를 갖는 제1 외장재(151) 및 제2 외장재(152)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및 폴리이미드(PI),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P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Chlorotrifluoroethylene, CTFE), 나일론 (Nylon)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그리고, 박막 유리 (thin glass) 및 박막 산화알루미늄 (thin Al2O3)을 포함하는 박막 세라믹 (thin ceramic)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일층 구조를 갖는 제1 외장재(151) 및/또는 제2 외장재(152)의 두께는 5㎛ 내지 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또는 50㎛ 내지 20㎛일 수 있다. 제1 외장재 (151) 및/또는 제2 외장재(152)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에는 플렉서블 한 특성은 향상되고 단위 부피당 밧데리의 용량은 향상 될 수 있으나,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데미지에 약할 수 있고, 500㎛ 초과일 경우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데미지에는 강하지만 플렉서블 특성을 잃어 버리고 단위 부피당 밧데리 용량은 감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외장재(151) 및/또는 제2 외장재(152) 중 적어도 하나는 가장 자리를 따라 위치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예를 들면, 글라스 프릿(Glass frit), 부틸 러버(Butyl rubber),핫 부틸(Hot butyl),에폭시(Epoxy)계 접착제, 폴리 우레탄(Poly urethane)계 접착제, 아크릴레이트(Acrylate)계 접착제, 세라믹(Ceramic)계 접착제 및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외장재(151) 및 제2 외장재(152)가 단일층 구조로 형성된 이차 전지(105)를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벤딩 특성이 보다 우수한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에는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110), 표시 패널(200) 및 전술한 본 기재에 따른 이차 전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판(110)은 유연하여 잘 구부러지는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110)은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이미드(PEL), 폴리에테르술폰(PES) 및 폴리이미드(PI)로 이루어진 고분자 수지; 박막 유리 (thin glass) 및 박막 산화알루미늄 (thin Al2O3)등으로 이루어진 박막 세라믹 (thin ceramic)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110)의 제1 면에는 표시 패널(200)이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0)로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표시 패널(200)은 유기발광장치(OLED)의 표시 패널 또는 유기태양전지(OPV)의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기판(110)에서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 즉, 상기 표시 패널(200)이 위치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전술한 본 기재에 따른 이차 전지(100) 위치할 수 있다. 도 11에는 편의상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를 표시하였으나, 도 4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본 기재의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200) 위에는 제1 보호층(300)이 위치한다. 제1 보호층(300)은 기판(110) 위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200)을 외부로부터 밀봉시켜 보호한다.
이차 전지(100) 하부에는 제2 보호층(400)이 위치하고, 기판(110)과 제2 보호층(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3 보호층(450)이 위치한다. 제2 보호층(400) 및 제3 보호층(450)은 기판(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100)를 외부로부터 밀봉시켜 보호한다.
이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기재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기재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기재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부호의 설명]
31: 제1 인출부
32: 제2 인출부
41: 제1 밀봉부
42: 제2 밀봉부
151: 제1 외장재
151: 제2 외장재
100, 101, 102, 103, 104, 105: 이차 전지
10: 전극 조립체
21: 제1 전극 탭
22: 제2 전극 탭
11: 제1 전극
12: 제2 전극
13: 분리막

Claims (20)

  1.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탭;
    상기 제2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 탭; 그리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외장재 및 제2 외장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장재 및 상기 제2 외장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전극 탭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전극 탭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2 인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제1 외장재 및 상기 제2 외장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일 단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이차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부는 상기 제1 외장재의 제1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제1 외장재의 상기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이차 전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이차 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부는 상기 제2 외장재의 제1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제2 외장재의 상기 제1 단부와 마주보는 제2 단부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이차 전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이차 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부는 상기 제1 외장재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제2 외장재의 일 단부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부는 상기 제2 외장재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제1 외장재의 일 단부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탭은 제1 전극의 무지부와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전극 탭은 제2 전극의 무지부와 일체로 연장된 이차 전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인출부를 각각 밀폐하는 제1 밀봉부 및 제2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차 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제2 밀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이소부틸(Polyisobutyl, PIB), 부틸 러버(Butyl Rubber),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에폭시 (Epoxy), 폴리디메틸실록산 (polydimethylsiloxane, PDMS),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PE), 세라믹 (Ceramic)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부를 덮는 제3 밀봉부, 그리고
    상기 제2 인출부를 덮는 제4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13. 제12에 있어서,
    상기 제3 밀봉부 및 상기 제4 밀봉부는 일체로 연장된 것인 이차 전지.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밀봉부 및 제4 밀봉부는 절연 테이프, 밀봉 테이프, 캡톤 테이프 및 폴리이미드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인 이차 전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장재 및 상기 제2 외장재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수지층, 투습 방지층 및 제2 수지층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장재 및 상기 제2 외장재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및 폴리이미드(PI),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P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Chlorotrifluoroethylene, CTFE) 및 나일론 (Nylon)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그리고
    박막 유리 (thin glass) 및 박막 산화알루미늄 (thin Al2O3)을 포함하는 박막 세라믹 (thin ceramic)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인 이차 전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장재 및 상기 제2 외장재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는 5㎛ 내지 500㎛인 이차 전지.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장재 및 상기 제2 외장재 중 적어도 하나는 테두리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글라스 프릿(Glass frit), 부틸 러버(Butyl rubber),핫 부틸(Hot butyl),에폭시(Epoxy)계 접착제, 폴리 우레탄(Poly urethane)계 접착제, 아크릴레이트(Acrylate)계 접착제, 세라믹(Ceramic)계 접착제 및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20.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차 전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CT/KR2018/002215 2017-03-14 2018-02-22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816922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94,510 US11239518B2 (en) 2017-03-14 2018-02-22 Rechargeable batter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039A KR102341135B1 (ko) 2017-03-14 2017-03-14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7-0032039 2017-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9227A1 true WO2018169227A1 (ko) 2018-09-20

Family

ID=6352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2215 WO2018169227A1 (ko) 2017-03-14 2018-02-22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39518B2 (ko)
KR (1) KR102341135B1 (ko)
WO (1) WO2018169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5429A (zh) * 2017-12-22 2020-11-27 康明斯公司 用于大容量能量电芯的热失控缓解系统
KR102411149B1 (ko) * 2019-11-28 2022-06-1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고체 전지
CN113097436B (zh) * 2021-03-31 2022-07-12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7351A (ko) * 2005-09-06 2007-03-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JP5103691B2 (ja) * 1999-07-16 2012-12-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ポリマー電池
KR20130080071A (ko) * 2012-01-04 2013-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KR20140134185A (ko) * 2013-05-13 2014-11-21 주식회사희성화학 이차전지용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0698A (ko) * 2014-10-30 201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36354T2 (de) 1999-04-08 2008-05-29 Dai Nippon Printing Co., Ltd. Laminierte Mehrschichtstruktur für eine Lithiumbatterieverpackung
KR100865399B1 (ko) 2007-05-07 2008-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4802217B2 (ja) * 2008-06-13 2011-10-26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240753B1 (ko) * 2011-07-06 2013-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472202B1 (ko) 2012-02-29 2014-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101370265B1 (ko) 2012-04-17 2014-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이에 적용되는 이차전지용 부품 및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KR101986083B1 (ko) 2012-12-27 2019-06-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542411B1 (ko) * 2013-04-17 2015-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US20160087250A1 (en) 2013-05-13 2016-03-24 Heesung Chemical Ltd. Aluminium pouch film for secondary battery, packaging material comprising sam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588931B1 (ko) 2013-10-01 2016-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1583371B1 (ko) 2013-10-15 2016-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JP6289899B2 (ja) 2013-12-26 2018-03-07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組電池及び蓄電池装置
EP2993716B1 (en) * 2014-08-14 2017-12-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having cap plate coupled to electrode lead
WO2017018810A1 (ko) * 2015-07-27 2017-0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 부재가 포함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3691B2 (ja) * 1999-07-16 2012-12-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ポリマー電池
KR20070027351A (ko) * 2005-09-06 2007-03-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30080071A (ko) * 2012-01-04 2013-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KR20140134185A (ko) * 2013-05-13 2014-11-21 주식회사희성화학 이차전지용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0698A (ko) * 2014-10-30 201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135B1 (ko) 2021-12-17
KR20180105007A (ko) 2018-09-27
US11239518B2 (en) 2022-02-01
US20200020898A1 (en)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69227A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6064099A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046744A1 (ko) 전극리드-전극 탭 결합부 보호용 필름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WO2019190145A1 (ko) 배터리 셀 및 그 제조 방법
WO2015122594A1 (ko) 주름 방지용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4126358A1 (ko) 엇갈린 배열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8074773A1 (ko) 이차전지
WO2014126434A1 (ko) 전극 조립체
WO2018048165A1 (ko) 적층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이차 전지
WO2020101353A1 (ko) 파우치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WO2019098522A1 (ko) 미실링부를 갖는 파우치 타입 이차 전지
WO2014042397A2 (ko) 래핑 전극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8080080A1 (ko) 이차 전지
WO2022039442A1 (ko) 단열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8212466A1 (ko)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 및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WO2018216891A1 (ko) 이차 전지
WO2018030835A1 (ko) 이차 전지
WO2018056557A1 (ko) 이차 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WO2021235717A1 (ko) 이차 전지 및 그의 보수 방법
WO2019031688A1 (ko) 이차 전지용 외장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3141431A1 (ko) 배터리 셀
WO2021006543A1 (ko) 단위셀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WO2020179990A1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WO2020130455A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8084667A1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682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7682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