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17482A1 -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17482A1
WO2018117482A1 PCT/KR2017/014097 KR2017014097W WO2018117482A1 WO 2018117482 A1 WO2018117482 A1 WO 2018117482A1 KR 2017014097 W KR2017014097 W KR 2017014097W WO 2018117482 A1 WO2018117482 A1 WO 201811748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ss
excluding
steel
resistant steel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40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승호
정문영
정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CN201780078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139942A/zh
Priority to EP17884425.4A priority patent/EP3561128B1/en
Priority to US16/471,313 priority patent/US11332802B2/en
Priority to JP2019534254A priority patent/JP6803987B2/ja
Publication of WO201811748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1748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7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o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ear resistant steel used in construction machinery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 hardness wear resistant ste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the wear resistance and hardness of steel are correlated, and in steel where wear is concerne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hardness.
  • the method of hardening after reheating to the temperature of Ac3 or more after rolling is widely used.
  • Patent Documents 1 and 2 disclose a method of increasing the C content and increasing the surface hardness by adding a large amount of hardenability improving elements such as Cr and Mo.
  • 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996-041535
  • Patent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986-166954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 hardness wear-resistant steel having a high strength and high impact toughness while having excellent wear resistance to a thickness of 40t (mm) or les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the microstructure provides a high hardness wear resistant steel comprising martensite of at least 97% area fraction and bainite at 3% or less.
  •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preparing a steel slab that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alloy composition and relation 1; Reheating the steel slab in a temperature range of 1050-1250 ° C .; Rough rolling the reheated steel slab in a temperature range of 950-1050 ° C .; Manufacturing a hot rolled steel sheet by finishing rolling at a temperature range of 750 to 950 ° C. after the rough rolling; Air-cooling the hot rolled steel sheet to room temperature, and then reheating and heat-treating it for at least 20 minutes in a temperature range of 850 to 950 ° C .; And cooling the hot-rolled steel sheet to 100 ° C. or less at a cooling rate satisfying the following relational formula 2 after the reheating heat treatment.
  • CR cooling rate (° C./s) during cooling after reheating heat treatment
  • [C] weight content
  • Figure 1 shows a microstructure measurement photograph of Inventive Example 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in depth the material applicable to construction machinery and the like.
  • the above-described physical properties are optimized by optimizing the content of hardenable elements as an alloy composition and optimizing manufacturing condi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wear-resistant steel having a microstructure advantageous for securing can be provided,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 High hardness wear-resistant steel in weight%, carbon (C): 0.08 ⁇ 0.16%, silicon (Si): 0.1 ⁇ 0.7%, manganese (Mn): 0.8 ⁇ 1.6%, phosphorus (P ): 0.05% or less (excluding 0), sulfur (S): 0.02% or less (excluding 0), aluminum (Al): 0.07% or less (excluding 0), chromium (Cr): 0.1 to 1.0%, nickel (Ni): 0.01 to 0.1%, molybdenum (Mo): 0.01 to 0.2%, boron (B): 50 ppm or less (excluding 0), cobalt (Co): 0.04% or less (excluding 0) preferably Do.
  •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means weight%.
  • Carbon (C) is an effective element for increasing strength and hardness in steel having a martensitic structure and is an effective element for improving hardenability.
  • Silicon (Si) is an effective element for improving strength due to deoxidation and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 Si in an amount of 0.1% or more, but if the content exceeds 0.7%, the weldability is deteriorated.
  • the content of Si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content of Si to 0.1 to 0.7%. More advantageously it may comprise 0.2 to 0.5%.
  • Manganese (Mn) is an element that suppresses the formation of ferrite and effectively increases the hardenability by lowering the Ar3 temperature to improve the strength and toughness of the steel.
  • Mn 0.8% or more.
  • segregation zones such as MnS are encouraged in the center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cracking during cutting, and also deteriorate weldability.
  • Phosphorus (P) is an element which is inevitably contained in steel, and is an element which inhibits the toughness of stee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content of P to be 0.05% or less by lowering it as much as possible. However, 0% is excluded in consideration of the inevitable level.
  • S Sulfur
  • S is an element that inhibits toughness of steel by forming MnS inclusions in stee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content of S to be as low as 0.02% or less, more preferably 0.01% or less, except 0% in consideration of the inevitable level.
  • Aluminum (Al) is a deoxidizer of steel and is an effective element for lowering oxygen content in molten steel.
  • Al content exceeds 0.07%,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eanliness of the steel is hindered, which is not preferable.
  • the Al content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Al content to 0.07% or less, and 0% is excluded in consideration of load,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etc. during the steelmaking process.
  • Chromium (Cr) increases the hardenability and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steel, and is an advantageous element to secure hardness.
  • Nickel (Ni) is an effective element for increasing the hardenability together with the Cr to improve the strength and toughness of the steel.
  • Ni it is preferable to add Ni to 0.01% or more, but if the content exceeds 0.1%, it becomes a cause of raising the manufacturing cost with expensive elements.
  • Molybdenum (Mo) increases the hardenability of steel, and is an element particularly effective for improving the hardness of steel.
  • Mo is an expensive element and its content exceeds 0.2%, not only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but also the weldability is inferior. .
  • Boron (B) is an element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rength by effectively raising the hardenability of steel even with a small amount of addition.
  • the content is excessive, there is a problem of inhibiting the toughness and weldability of the steel,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content to 50ppm or less, and 0 is excluded.
  • Co Co is an element that is advantageous in securing hardness as well as the strength of steel by increasing the hardenability of steel.
  • Co it is preferable to add Co to 0.04% or less in this invention, and 0% is excluded. More preferably, the content is preferably 0.005 to 0.035%, and even more advantageously 0.01 to 0.03%.
  • the wear-resistant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elements advantageous for securing physical properties targeted by the present invention.
  • copper (Cu): 0.1% or less (excluding 0), titanium (Ti): 0.02% or less (excluding 0), niobium (Nb): 0.05% or less (excluding 0), vanadium (V): 0.02% or less (excluding 0) and calcium (Ca): may be further included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 to 100ppm.
  • Copper (Cu) is an element that improves the hardenability of steel and improves the strength and hardness of steel by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 the content of Cu exceeds 0.1% and causes surface defects, and there is a problem of inhibiting hot workability, it is preferable to add the Cu content to 0.1% or less.
  • Titanium (Ti) is an element that maximizes the effect of B, which is an effective element for improving the hardenability of steel. Specifically, the Ti is combined with nitrogen in the steel (N) to form a TiN precipitate to suppress the formation of BN to increase the solid solution B to maximize the hardenability improvement.
  • Nb 0.05% or less (excluding 0)
  • Niobium (Nb) is dissolved in austenite to increase the hardenability of austenite, and is effective in forming carbonitrides such as Nb (C, N) to increase the strength of steel and to suppress austenite grain growth.
  • the addition of Nb is preferably added at 0.05% or less.
  • V 0.02% or less (excluding 0)
  • Vanadium (V) is an element that is advantageous in forming VC carbides upon reheating after hot rolling, thereby suppressing the growth of austenite grains, improving the hardenability of steel, and securing strength and toughness.
  • V is an expensive element and its content exceeds 0.02%, it become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 Calcium (Ca) has an effect of suppressing the production of MnS segregated at the center of steel thickness by generating CaS because of its good bonding strength with S.
  • CaS produced by the addition of Ca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rrosion resistance in a humid external environment.
  • the content of Ca is preferably controlled to 2 to 100pp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of arsenic (As): 0.05% or less (excluding 0), tin (Sn): 0.05% or less (excluding 0), and tungsten (W): 0.05% or less (excluding 0). It may further include.
  • As arsenic
  • Sn tin
  • W tungsten
  • W is an element that is effective in increasing hardness and increasing hardness at high temperatures by increasing the hardenability.
  • the remaining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ron (Fe).
  • impurities which are not intended from the raw material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ay be inevitably mixed, and thus cannot be excluded. Since these impurities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ll of them a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wear-resistant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al formula (1).
  • the value of the relation 1 is less than 360,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surface hardness of the wear-resistant steel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HB400 grade (preferably, 360 to 440 HB), whereas when the value exceeds 440, it is used together in the final product.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mismatch with other members and welding materials.
  • the wear-resistant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alloy composition and relational formula 1 preferably includes a martensite phase as a microstructure.
  • the wear-resistant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rtensite phase in an area fraction of 97% or more (including 100%), and other structures may include a bainite phase.
  • the bainite phase is preferably 3% or less in area and may be formed at 0%.
  • heating temperature is less than 1050 °C re-use of Nb, etc. is not enough, while if the temperature exceeds 1250 °C austenite grains coarse, there is a fear that a non-uniform structure is formed.
  • the heated steel slab into a hot rolled steel sheet through rough rolling and finish rolling.
  • the heated steel slab is roughly rolled at a temperature range of 950 to 1050 ° C. to produce a bar, and then it is preferable to finish hot rolling at a temperature range of 750 to 950 ° C.
  • the temperature during the rough rolling is less than 950 ° C.
  • the rolling load increases and the pressure decreases relatively, so that deformation may not be su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center of the slab thickness direction, and thus defects such as voids may not be removed.
  • the temperature exceeds 1050 ° C., recrystallization occurs at the same time as rolling, and the particles grow, which may cause the initial austenite particles to be too coarse.
  • finishing temperature range is less than 750 ° C.
  • the two-phase reverse rolling may cause ferrite to be generated in the microstructure.
  • the temperature exceeds 950 ° C., the rolling roll load is severe and the rolling property is inferior.
  • the reheating heat treatment is for inverse transformation of a hot rolled steel sheet composed of ferrite and pearlite into an austenite single phase, and if the temperature is less than 850 ° C. during the reheating heat treatment, the austenitization is not sufficiently performed so that coarse soft ferrite is mixed, thereby caus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rdness is low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950 ° C, the austenite grains are coarsened and the hardenability is increased, but the low temperature toughness of the steel is inferior.
  • the reheating time is less than 20 minutes during the reheating in the above-described temperature range, austenitization does not occur sufficiently, and thus, the phase transformation due to subsequent rapid cooling, that is, the martensite structure cannot be sufficiently obtained.
  • the material time exceeds 60 minutes, austenite grains coarsen and there is a problem of inferior low temperature toughness of the steel.
  • CR cooling rate (° C./s) during cooling after reheating heat treatment
  • [C] weight content
  • the cooling rate is less than the value of the relation 2 or the cooling end temperature exceeds 100 °C during the cooling there is a fear that the ferrite phase is formed during cooling or the bainite phase is excessively formed.
  • the cooling may be performed at a cooling rate of 1.25 ° C./s or more, more preferably at 2.5 ° C./s or more, even more advantageously at 5.0 ° C./s or more.
  • the upper limit of the cooling 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equipment specifications.
  • Hot-roll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conditions include a martensite phase as a main phase as a microstructure, Brinell hardness value is 360 ⁇ 440HB has the effect of having a high hardness.
  • microstructures were prepared by cutting specimens in arbitrary sizes, and then corroded using a nital etching solution, and then observed 2 mm in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surface layer using an optical microscope and an electron scanning microscope.
  • Tensile strength, hardness and toughness were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nsile tester, Brinell hardness tester (load 3000kgf, 10mm tungsten indentation) and Charpy impact tester,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tensile test was used as the specimen of the entire thickness of the plate, Brinell hardness was used as the average value of three measurements after milling 2m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n the surface. In addition, the Charpy impact test result used the average value of what was measured 3 times at -40 degreeC.
  • Comparative Examples 1 to 3 using Comparative Steel 1 having insufficient C content had low hardness values
  • Comparative Examples 4 to 9 using Comparative Steel 2 or 3 having excessive C content were found to have excessively high hardness values. have.
  • Comparative Example 10 having a high cooling end temperature upon cooling after reheating heat treatment was inferior in hardness due to insufficient martensite phase formation.
  • Comparative Example 11 which had insufficient re-heating time during the reheating heat treatment, and Comparative Example 12 having a low reheating temperature, were also inferior in hardness as the martensite phase was not sufficiently formed.
  • 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central microstructure of Inventive Example 8, it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that the martensite phase is form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두께 40t(mm) 이하에 대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고강도 및 고충격인성을 갖는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것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건설기계 등에 사용되는 내마모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 토목, 광산업, 시멘트 산업 등 많은 산업분야에 사용되는 건설기계, 산업기계들의 경우 작업시 마찰에 의한 마모가 심하게 발생됨에 따라 내마모의 특성을 나타내는 소재의 적용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강의 내마모성과 경도는 상관이 있어, 마모가 염려되는 강에서는 경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보다 안정적인 내마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 내부(t/2 근방, t = 두께)에 걸쳐 균일한 경도를 갖는 것(즉, 강판의 표면과 내부에서 동일한 정도의 경도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통상, 두께가 일정 이상인 강판에서 고경도를 얻기 위해 압연 후 Ac3 이상의 온도로 재가열 후 소입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C 함량을 높이고, Cr와 Mo 등의 경화능 향상 원소를 다량 첨가함으로써 표면경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일정 두께를 갖는 강판의 제조를 위해서는 강판 중심부에서의 경화능 확보를 위하여 더 많은 경화능 원소의 첨가가 요구되어, C와 경화능 합금을 다량으로 첨가함에 따라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용접성 및 저온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경화능의 확보를 위해 경화능 합금 첨가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고경도의 확보로 내마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강도 및 고충격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6-041535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86-166954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두께 40t(mm) 이하에 대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고강도 및 고충격인성을 갖는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것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탄소(C): 0.08~0.16%, 실리콘(Si): 0.1~0.7%, 망간(Mn): 0.8~1.6%, 인(P): 0.05% 이하(0은 제외), 황(S): 0.02%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 0.07% 이하(0은 제외), 크롬(Cr): 0.1~1.0%, 니켈(Ni): 0.01~0.1%, 몰리브덴(Mo): 0.01~0.2%, 보론(B): 50ppm 이하(0은 제외), 코발트(Co): 0.04% 이하(0은 제외)를 포함하고, 구리(Cu): 0.1% 이하(0은 제외), 티타늄(Ti): 0.02% 이하(0은 제외), 니오븀(Nb): 0.05% 이하(0은 제외), 바나듐(V): 0.02% 이하(0은 제외) 및 칼슘(Ca): 2~100ppm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고,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고,
미세조직이 면적분율 97%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3% 이하의 베이나이트를 포함하는 고경도 내마모강을 제공한다.
[관계식 1]
360 ≤ (869×[C])+295 ≤ 440
(여기서, [C]는 중량 함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술한 합금조성 및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강 슬라브를 1050~1250℃의 온도범위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950~1050℃의 온도범위에서 조압연하는 단계; 상기 조압연 후 750~950℃의 온도범위에서 마무리 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을 상온까지 공냉 후, 850~950℃의 온도범위에서 재로시간 20분 이상으로 재가열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재가열 열처리 후 상기 열연강판을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냉각속도로 100℃ 이하까지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경도 내마모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관계식 2]
CR ≥ 0.2/[C]
(여기서, CR은 재가열 열처리 후 냉각시 냉각속도(℃/s)를 의미하며, [C]는 중량 함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께 4~40t(mm)의 강재에 대해 고경도 및 고강도를 갖는 내마모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예 8의 미세조직 측정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건설 기계 등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소재에 대하여 깊이 연구하였다. 특히, 핵심적으로 요구되는 물성인 내마모성의 확보를 위해 고경도와 더불어, 고강도 및 고인성을 갖는 강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합금조성으로서 경화능 원소들의 함량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제조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위와 같은 물성 확보에 유리한 미세조직을 가지는 내마모강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경도 내마모강은 중량%로, 탄소(C): 0.08~0.16%, 실리콘(Si): 0.1~0.7%, 망간(Mn): 0.8~1.6%, 인(P): 0.05% 이하(0은 제외), 황(S): 0.02%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 0.07% 이하(0은 제외), 크롬(Cr): 0.1~1.0%, 니켈(Ni): 0.01~0.1%, 몰리브덴(Mo): 0.01~0.2%, 보론(B): 50ppm 이하(0은 제외), 코발트(Co): 0.04% 이하(0은 제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경도 내마모강의 합금조성을 위와 같이 제어한 이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각 성분의 함량은 중량%를 의미한다.
C: 0.08~0.16%
탄소(C)는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갖는 강에서 강도와 경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며 경화능 향상을 위하여 유효한 원소이다.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0.08% 이상으로 C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만일 그 함량이 0.16%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성 및 인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C의 함량을 0.08~0.16%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유리하게는 0.10~0.14%로 함유할 수 있다.
Si: 0.1~0.7%
실리콘(Si)은 탈산과 고용강화에 따른 강도 향상에 유효한 원소이다.
위와 같은 효과를 유효하기 얻기 위해서는 0.1% 이상으로 Si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함량이 0.7%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성이 열화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Si의 함량을 0.1~0.7%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유리하게는 0.2~0.5%로 포함할 수 있다.
Mn: 0.8~1.6%
망간(Mn)은 페라이트 생성을 억제하고, Ar3 온도를 낮춤으로써 소입성을 효과적으로 상승시켜 강의 강도 및 인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두께 40mm 이하 강재의 경도 확보를 위해 상기 Mn을 0.8% 이상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그 함량이 1.6%를 초과하게 되면 중심부에 MnS와 같은 편석대가 조장되어 절단 작업시 크랙(crack)이 발생할 확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용접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Mn의 함량을 0.8~1.6%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 0.05% 이하(0은 제외)
인(P)은 강 중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이면서, 강의 인성을 저해하는 원소이다. 따라서, 상기 P의 함량을 가능한 한 낮추어서 0.05%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수준을 고려하여 0%는 제외한다.
S: 0.02% 이하(0은 제외)
황(S)은 강 중 MnS 개재물을 형성하여 강의 인성을 저해하는 원소이다. 따라서, 상기 S의 함량을 가능한 한 낮추어서 0.0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수준을 고려하여 0%는 제외한다.
Al: 0.07%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은 강의 탈산제로서 용강 중에 산소 함량을 낮추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다. 이러한 Al의 함량이 0.07%를 초과하게 되면 강의 청정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Al의 함량을 0.07%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강공정시 부하, 제조비용의 상승 등을 고려하여 0%는 제외한다.
Cr: 0.1~1.0%
크롬(Cr)은 소입성을 증가시켜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경도 확보에도 유리한 원소이다.
상술한 효과를 위해서는 0.1% 이상으로 Cr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함량이 1.0%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성이 열위하며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Cr의 함량을 0.1~1.0%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i: 0.01~0.1%
니켈(Ni)은 상기 Cr과 함께 소입성을 증가시켜 강의 강도와 더불어 인성을 향상시키는데에 유효한 원소이다.
상술한 효과를 위해서는 0.01% 이상으로 Ni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함량이 0.1%를 초과하게 되면 고가의 원소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Ni의 함량을 0.01~0.1%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 0.01~0.2%
몰리브덴(Mo)은 강의 소입성을 증가시키며, 특히 강의 경도 향상에 유효한 원소이다.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0.01% 이상으로 Mo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Mo 역시 고가의 원소로서 그 함량이 0.2%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용접성이 열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Mo의 함량을 0.01~0.2%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50ppm 이하(0은 제외)
보론(B)은 소량의 첨가로도 강의 소입성을 유효하게 상승시켜 강도를 향상시키는데에 유효한 원소이다.
다만, 그 함량이 과도하면 오히려 강의 인성 및 용접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그 함량을 50ppm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은 제외한다.
Co: 0.04% 이하(0은 제외)
코발트(Co)는 강의 소입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강의 강도와 더불어 경도 확보에 유리한 원소이다.
다만, 그 함량이 0.04%를 초과하게 되면 강의 소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고가의 원소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0.04% 이하로 Co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는 제외한다. 보다 유리하게는 0.005~0.035%, 보다 더 유리하게는 0.01~0.03%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마모강은 상술한 합금조성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물성의 확보에 유리한 원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리(Cu): 0.1% 이하(0은 제외), 티타늄(Ti): 0.02% 이하(0은 제외), 니오븀(Nb): 0.05% 이하(0은 제외), 바나듐(V): 0.02% 이하(0은 제외) 및 칼슘(Ca): 2~100ppm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Cu: 0.1% 이하(0은 제외)
구리(Cu)는 강의 소입성을 향상시키며, 고용강화로 강의 강도 및 경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이러한 Cu의 함량이 0.1%를 초과하게 되며 표면결함을 발생시키며, 열간가공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Cu를 첨가하는 경우 0.1%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 0.02% 이하(0은 제외)
티타늄(Ti)은 강의 소입성 향상에 유효한 원소인 B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원소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Ti은 강 중 질소(N)와 결합하여 TiN 석출물을 형성시켜 BN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고용 B를 증가시켜 소입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만, 상기 Ti의 함량이 0.02%를 초과하게 되면 조대한 TiN 석출물이 형성되어 강의 인성이 열위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Ti의 첨가시 0.02%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b: 0.05% 이하(0은 제외)
니오븀(Nb)은 오스테나이트에 고용되어 오스테나이트의 경화능을 증대시키고, Nb(C,N) 등의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강의 강도의 증가 및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는데에 유효하다.
다만, 상기 Nb의 함량이 0.05%를 초과하게 되면 조대한 석출물이 형성되며, 이는 취성파괴의 기점이 되어 인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Nb의 첨가시 0.05%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V: 0.02% 이하(0은 제외)
바나듐(V)은 열간압연 후 재가열시 VC 탄화물을 형성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하고, 강의 소입성을 향상시켜 강도 및 인성을 확보하는데에 유리한 원소이다.
다만, 상기 V은 고가의 원소로 그 함량이 0.02%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V의 첨가시 그 함량을 0.02%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 2~100ppm
칼슘(Ca)은 S과의 결합력이 좋아 CaS를 생성함으로써 강재 두께 중심부에 편석되는 MnS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Ca의 첨가로 생성된 CaS는 다습한 외부 환경 하에서 부식 저항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를 위해서는 2ppm 이상으로 상기 Ca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함량이 100ppm을 초과하게 되면 제강조업시 노즐 막힘 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Ca의 첨가시 그 함량을 2~100ppm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비소(As): 0.05% 이하(0은 제외), 주석(Sn): 0.05% 이하(0은 제외) 및 텅스텐(W): 0.05% 이하(0은 제외) 중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s는 강의 인성 향상에 유효하며, 상기 Sn은 강의 강도 및 내식성 향상에 유효하다. 또한 W은 소입성을 증가시켜 강도 향상과 더불어 고온에서의 경도 향상에 유효한 원소이다.
다만, 상기 As, Sn 및 W의 함량이 각각 0.05%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강의 물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As, Sn 및 W 중 1종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경우, 그 함량을 각각 0.05%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내마모강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1]
360 ≤ (869×[C])+295 ≤ 440
(여기서, [C]는 중량 함량을 의미한다.)
상기 관계식 1의 값이 360 미만이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내마모강의 표면 경도를 HB400급(바람직하게, 360~440HB)으로 확보하기 어려우며, 반면 그 값이 440을 초과하게 되면 최종 제품에 함께 사용되는 기타 부재 및 용접재료와의 부조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술한 합금조성 및 관계식 1을 만족하는 본 발명의 내마모강은 미세조직으로 마르텐사이트 상을 기지조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내마모강은 면적분율 97% 이상(100% 포함)으로 마르텐사이트 상을 포함하며, 그 외 조직으로는 베이나이트 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나이트 상은 면적분율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마르텐사이트 상의 분율이 97% 미만이면 목표 수준의 강도 및 경도의 확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인, 고경도 내마모강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간략히 설명하면, 앞서 서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준비한 다음, 상기 강 슬라브를 [재가열 - 조압연 - 마무리 압연 - 공냉 - 재가열 열처리 - 냉각]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각 공정 조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합금조성 및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준비한 후, 이를 1050~125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시 온도가 1050℃ 미만이면 Nb 등의 재고용이 충분하지 못하며, 반면 그 온도가 1250℃를 초과하게 되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화되어 불균일한 조직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강 슬라브의 가열시 1050~1250℃의 온도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된 강 슬라브를 조압연 및 마무리 압연을 거쳐 열연강판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상기 가열된 강 슬라브를 950~1050℃의 온도범위에서 조압연하여 바(bar)로 제조한 후, 이것을 750~950℃의 온도범위에서 마무리 열간압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압연시 그 온도가 950℃ 미만이면 압연 하중이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약압하 됨으로써 슬라브 두께 방향 중심까지 변형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여 공극과 같은 결함이 제거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면, 그 온도가 1050℃를 초과하게 되면 압연과 동시에 재결정이 일어난 후 입자가 성장하게 되어 초기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지나치게 조대해질 우려가 있다.
상기 마무리 온도범위가 750℃ 미만이면 2상역 압연이 되어 미세조직 중에 페라이트가 생성될 우려가 있으며, 반면 그 온도가 950℃를 초과하게 되면 압연롤 부하가 심해져 압연성이 열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에 따라 제조된 열연강판을 상온까지 공냉한 후, 850~950℃의 온도범위에서 재로시간 20분 이상으로 재가열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가열 열처리는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로 구성된 열연강판을 오스테나이트 단상으로 역변태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재가열 열처리시 온도가 850℃ 미만이면 오스테나이트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조대한 연질 페라이트가 혼재하게 됨으로써 최종 제품의 경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그 온도가 950℃를 초과하게 되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해져 소입성이 커지는 효과는 있으나, 강의 저온인성이 열위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온도범위에서 재가열시 재로시간이 20분 미만이면 오스테나이트화가 충분히 일어나지 못하여 후속하는 급속냉각에 의한 상변태 즉,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된다. 반면, 재료시간이 60분을 초과하게 되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해져 강의 저온인성이 열위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재가열 열처리를 완료한 후,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냉각속도로 100℃ 이하까지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2]
CR ≥ 0.2/[C]
(여기서, CR은 재가열 열처리 후 냉각시 냉각속도(℃/s)를 의미하며, [C]는 중량 함량을 의미한다.)
상기 냉각시 냉각속도가 상기 관계식 2의 값 미만이거나 냉각종료온도가 100℃를 초과하게 되면 냉각 중 페라이트 상이 형성되거나 베이나이트 상이 과다하게 형성될 우려가 있다.
보다 유리하게는, 상기 냉각시 1.25℃/s 이상의 냉각속도로 행할 수 있으며, 보다 유리하게는 2.5℃/s 이상, 보다 더 유리하게는 5.0℃/s 이상의 냉각속도로 행할 수 있다. 상기 냉각속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하며, 설비 사양을 고려햐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제조조건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열연강판은 미세조직으로 마르텐사이트 상을 주상으로 포함하며, 브리넬 경도값이 360~440HB로 고경도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표 2에 나타낸 합금조성을 갖는 강 슬라브를 준비한 후, 상기 각각의 강 슬라브를 1050~125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한 후, 950~1050℃의 온도범위에서 조압연하여 바(bar)를 제작하였다. 이후, 상기 각각의 바(bar)를 하기 표 3에 나타낸 온도에서 마무리 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한 후, 상온까지 냉각(공냉)하였다. 그 다음, 상기 열연강판을 재가열 열처리한 후, 100℃ 이하까지 냉각하였다. 이때, 상기 재가열 열처리 및 냉각 조건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후, 각각의 열연강판에 대해 미세조직 및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미세조직은 임의의 크기로 시편을 절단하여 경면을 제작한 후 나이탈 에칭액을 이용하여 부식시킨 다음 광학현미경과 전자주사현미경을 활용하여 표층으로부터 두께 방향 2mm 위치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인장강도, 경도 및 인성은 각각 만능 인장시험기와 브리넬 경도 시험기(하중 3000kgf, 10mm 텅스텐 압입 구) 및 샤르피 충격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인장시험은 판의 전 두께를 시편으로 사용하였으며, 브리넬 경도는 표면에서 두께 방향으로 2mm를 밀링 가공한 후 3회 측정한 것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또한, 샤르피 충격시험 결과는 -40℃에서 3회 측정한 것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강종 합금 조성 (중량%) 관계식 1
C Si Mn P S Al Cr Ni Mo B(ppm) Co
A 0.065 0.32 1.95 0.0092 0.0021 0.031 0.51 0.85 0.42 0 0 351
B 0.170 0.45 1.22 0.0100 0.0004 0.012 0.29 0.06 0.14 14 0.01 443
C 0.224 0.34 1.55 0.0059 0.0005 0.031 0.01 1.12 0.01 0 0 490
D 0.086 0.31 1.37 0.0066 0.0018 0.025 0.79 0.014 0.04 20 0.02 370
E 0.153 0.30 1.20 0.0076 0.0006 0.019 0.41 0.012 0.03 18 0.01 428
F 0.121 0.24 0.89 0.0083 0.0009 0.024 0.15 0.075 0.05 21 0.01 400
G 0.104 0.29 1.23 0.0054 0.0013 0.038 0.24 0.011 0.03 23 0.03 385
강종 합금조성 (중량%)
Cu Ti Nb V Ca(ppm)
A 0.24 0.021 0.041 0.050 10
B 0.01 0.019 0.015 0.001 8
C 0.47 0.016 0.024 0.002 7
D 0.03 0.017 0.016 0.002 12
E 0.02 0.015 0.005 0.004 8
F 0.04 0.014 0.014 0.018 7
G 0.02 0.016 0.011 0.003 15
강종 제조조건 두께(mm) 구분
마무리열간압연(℃) 재가열 열처리 냉각
온도(℃) 재로시간(분) 냉각속도(℃/s) 종료온도(℃) 관계식2만족여부
A 900 905 42 36.2 51 12 비교예 1
900 919 36 54.1 148 비교예 2
912 888 38 50.2 43 비교예 3
B 867 933 35 21.0 124 10 비교예 4
878 914 24 67.1 38 비교예 5
876 876 40 50.2 64 비교예 6
C 912 860 56 35.1 207 20 비교예 7
1010 921 63 41.2 165 비교예 8
1015 915 60 38.3 58 비교예 9
D 927 913 46 54.0 251 12 비교예 10
915 920 48 48.6 28 발명예 1
924 911 50 58.7 32 발명예 2
E 950 905 18 31.5 25 30 비교예 11
946 911 69 28.7 40 발명예 3
937 897 65 26.0 32 발명예 4
F 933 912 56 43.2 57 20 발명예 5
935 934 66 45.6 42 발명예 6
940 838 54 51.3 32 비교예 12
G 900 922 40 63.9 54 8 발명예 7
898 904 38 75.2 81 발명예 8
912 917 41 68.7 61 발명예 9
구분 미세조직 (분율%) 기계적 물성
마르텐사이트 베이나이트 인장강도(MPa) 경도(HB) 인성(J)
비교예 1 99 1 1088 351 58
비교예 2 90 10 973 314 72
비교예 3 99 1 1103 356 45
비교예 4 95 5 1333 443 32
비교예 5 100 0 1404 465 28
비교예 6 100 0 1394 460 77
비교예 7 87 13 1377 453 85
비교예 8 92 8 1440 472 44
비교예 9 100 0 1499 490 12
비교예 10 84 16 1059 345 68
발명예 1 100 0 1146 372 45
발명예 2 100 0 1159 375 38
비교예 11 73 27 942 304 108
발명예 3 99 1 1288 428 31
발명예 4 98 2 1271 421 36
발명예 5 100 0 1215 401 40
발명예 6 100 0 1234 406 37
비교예 12 96 4 1086 356 68
발명예 7 100 0 1178 385 39
발명예 8 100 0 1200 391 40
발명예 9 100 0 1195 388 35
상기 표 1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 합금조성, 관계식 1과 제조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 1 내지 9는 열연강판의 경도(HB)값이 본 발명의 수준을 만족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C 함량이 불충분한 비교강 1을 이용한 비교예 1 내지 3은 경도값이 낮았으며, C 함량이 과도한 비교강 2 또는 3을 이용한 비교예 4 내지 9는 경도 값이 과도하게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강 합금조성 및 관계식 1은 만족하지만, 재가열 열처리 후 냉각시 냉각종료온도가 높은 비교예 10은 마르텐사이트 상이 충분히 형성되지 못하여 경도값이 열위하였다. 또한, 재가열 열처리시 재로시간이 불충분한 비교예 11과 재가열 온도가 낮은 비교예 12 역시 마르텐사이트 상이 충분히 형성되지 못함에 따라 경도 값이 매우 열위하였다.
반면, 강 합금조성, 관계식 1 및 제조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9는 모두 마르텐사이트 상이 97% 이상으로 형성되었으며, 고강도 및 고인성(-40℃에서 30J 이상)은 물론이고 경도값이 목표로 하는 수준으로 형성되었다.
도 1은 발명예 8의 중심부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마르텐사이트 상이 형성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중량%로, 탄소(C): 0.08~0.16%, 실리콘(Si): 0.1~0.7%, 망간(Mn): 0.8~1.6%, 인(P): 0.05% 이하(0은 제외), 황(S): 0.02%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 0.07% 이하(0은 제외), 크롬(Cr): 0.1~1.0%, 니켈(Ni): 0.01~0.1%, 몰리브덴(Mo): 0.01~0.2%, 보론(B): 50ppm 이하(0은 제외), 코발트(Co): 0.04% 이하(0은 제외)를 포함하고, 구리(Cu): 0.1% 이하(0은 제외), 티타늄(Ti): 0.02% 이하(0은 제외), 니오븀(Nb): 0.05% 이하(0은 제외), 바나듐(V): 0.02% 이하(0은 제외) 및 칼슘(Ca): 2~100ppm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고,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고,
    미세조직이 면적분율 97%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3% 이하의 베이나이트를 포함하는 고경도 내마모강.
    [관계식 1]
    360 ≤ (869×[C])+295 ≤ 440
    (여기서, [C]는 중량 함량을 의미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강은 비소(As): 0.05% 이하(0은 제외), 주석(Sn): 0.05% 이하(0은 제외) 및 텅스텐(W): 0.05% 이하(0은 제외) 중 1종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인 고경도 내마모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강은 두께가 40mm 이하이고, 브리넬 경도가 360~440HB인 고경도 내마모강.
  4. 중량%로, 탄소(C): 0.08~0.16%, 실리콘(Si): 0.1~0.7%, 망간(Mn): 0.8~1.6%, 인(P): 0.05% 이하(0은 제외), 황(S): 0.02%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 0.07% 이하(0은 제외), 크롬(Cr): 0.1~1.0%, 니켈(Ni): 0.01~0.1%, 몰리브덴(Mo): 0.01~0.2%, 보론(B): 50ppm 이하(0은 제외), 코발트(Co): 0.04% 이하(0은 제외)를 포함하고, 구리(Cu): 0.1% 이하(0은 제외), 티타늄(Ti): 0.02% 이하(0은 제외), 니오븀(Nb): 0.05% 이하(0은 제외), 바나듐(V): 0.02% 이하(0은 제외) 및 칼슘(Ca): 2~100ppm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고,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강 슬라브를 1050~125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950~1050℃의 온도범위에서 조압연하는 단계;
    상기 조압연 후 750~950℃의 온도범위에서 마무리 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을 상온까지 공냉 후, 850~950℃의 온도범위에서 재로시간 20분 이상으로 재가열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재가열 열처리 후 상기 열연강판을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냉각속도로 100℃ 이하까지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경도 내마모강의 제조방법.
    [관계식 1]
    360 ≤ (869×[C])+295 ≤ 440
    (여기서, [C]는 중량 함량을 의미한다.)
    [관계식 2]
    CR ≥ 0.2/[C]
    (여기서, CR은 재가열 열처리 후 냉각시 냉각속도를 의미하며, [C]는 중량 함량을 의미한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 열처리 후 냉각은 1.5℃/s 이상의 냉각속도로 행하는 것인 고경도 내마모강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강 슬라브는 비소(As): 0.05% 이하(0은 제외), 주석(Sn): 0.05% 이하(0은 제외) 및 텅스텐(W): 0.05% 이하(0은 제외) 중 1종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인 고경도 내마모강의 제조방법.
PCT/KR2017/014097 2016-12-22 2017-12-04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17482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78976.2A CN110139942A (zh) 2016-12-22 2017-12-04 高硬度耐磨钢及其制造方法
EP17884425.4A EP3561128B1 (en) 2016-12-22 2017-12-04 High-hardness wear-resistant st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6/471,313 US11332802B2 (en) 2016-12-22 2017-12-04 High-hardness wear-resistant st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9534254A JP6803987B2 (ja) 2016-12-22 2017-12-04 高硬度耐摩耗鋼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142 2016-12-22
KR1020160177142A KR101899687B1 (ko) 2016-12-22 2016-12-22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7482A1 true WO2018117482A1 (ko) 2018-06-28

Family

ID=6262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4097 WO2018117482A1 (ko) 2016-12-22 2017-12-04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32802B2 (ko)
EP (1) EP3561128B1 (ko)
JP (1) JP6803987B2 (ko)
KR (1) KR101899687B1 (ko)
CN (1) CN110139942A (ko)
WO (1) WO201811748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7520A1 (zh) * 2019-07-31 2021-02-04 江阴兴澄特种钢铁有限公司 一种表面质量优良的耐磨钢及其制备方法
EP4026928A4 (en) * 2019-09-04 2023-04-12 Posco STEEL PLATE EXHIBITING EXCELLENT STRENGTH AND LOW 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570B1 (ko) * 2018-09-27 2020-11-06 주식회사 포스코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164074B1 (ko) * 2018-12-19 2020-10-13 주식회사 포스코 내마모성 및 고온 강도가 우수한 차량의 브레이크 디스크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11118408A (zh) * 2020-01-14 2020-05-08 江苏拓展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抗氧化高温耐磨不锈钢合金材料
KR102498141B1 (ko) * 2020-12-18 2023-02-08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6337A (ko) * 2006-03-07 2008-12-04 아르셀러미탈 프랑스 매우 높은 강도, 연성 및 인성을 갖는 강 시트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강 시트
KR20110075613A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성, 두께방향 재질 편차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1615A (ko) *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내마모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6798A (ko) * 2012-09-19 2015-04-0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저온 인성 및 내부식 마모성이 우수한 내마모 강판
US20160002759A1 (en) * 2013-03-28 2016-01-07 Baoshan Iron & Steel Co., Ltd. High-toughness low-alloy wear-resistant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6954A (ja) 1985-01-18 1986-07-28 Sumitomo Metal Ind Ltd 高靭性耐摩耗鋼
JPH0653916B2 (ja) 1986-07-16 1994-07-20 日本鋼管株式会社 不安定破壊伝播停止能力に優れた耐摩耗性高性能レ−ル
JPH02179842A (ja) 1988-12-29 1990-07-12 Sumitomo Metal Ind Ltd 高靭性耐摩耗鋼板
JPH0841535A (ja) 1994-07-29 1996-02-13 Nippon Steel Corp 低温靱性に優れた高硬度耐摩耗鋼の製造方法
KR100328051B1 (ko) 1997-11-25 2002-05-10 이구택 고장력강판의제조방법
NL1010795C2 (nl) * 1998-12-11 2000-06-19 Skf Eng & Res Centre Bv Slijtvast dimensioneel stabiel lageronderdeel voor toepassingen bij hoge temperatuur.
KR20030054423A (ko)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비조질 고강도 내마모강의 제조방법
JP4650013B2 (ja) 2004-02-12 2011-03-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靱性に優れた耐摩耗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40135A (ja) 2004-02-27 2005-09-08 Jfe Steel Kk 曲げ加工性に優れた耐摩耗鋼の製造方法および耐摩耗鋼
JP2006104489A (ja) * 2004-09-30 2006-04-20 Jfe Steel Kk 曲げ加工性に優れた耐摩耗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35191B2 (ja) 2005-10-27 2011-07-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た耐摩耗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77648B2 (ja) * 2007-01-31 2013-08-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高張力鋼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WO2008093897A1 (ja) 2007-01-31 2008-08-07 Jfe Steel Corporation 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高張力鋼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
CN101270439A (zh) 2007-03-23 2008-09-2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度热轧防弹钢板及其制造方法
JP4998716B2 (ja) 2007-04-09 2012-08-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磨耗鋼板の製造方法
CN101586217B (zh) * 2009-06-25 2011-03-16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低成本超高强韧马氏体钢及其制造方法
KR20130046967A (ko) 2011-10-28 2013-05-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2592168B1 (en) * 2011-11-11 2015-09-16 Tata Steel UK Limited Abrasion resistant steel plate with excellent impact properti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steel plate
JP5906147B2 (ja) 2012-06-29 2016-04-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母材靭性およびhaz靱性に優れた高張力鋼板
SG11201505732RA (en) * 2013-03-15 2015-08-28 Jfe Steel Corp Thick, tough, high tensile strength steel pl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6007847B2 (ja) 2013-03-28 2016-10-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靭性を有する耐磨耗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194684B (zh) * 2013-03-28 2016-08-0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耐磨钢板及其制造方法
JP6212956B2 (ja) 2013-05-24 2017-10-1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曲げ加工性と耐摩耗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225874B2 (ja) 2014-10-17 2017-11-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摩耗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99686B1 (ko) * 2016-12-22 2018-10-04 주식회사 포스코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6337A (ko) * 2006-03-07 2008-12-04 아르셀러미탈 프랑스 매우 높은 강도, 연성 및 인성을 갖는 강 시트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강 시트
KR20110075613A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성, 두께방향 재질 편차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1615A (ko) *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내마모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6798A (ko) * 2012-09-19 2015-04-0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저온 인성 및 내부식 마모성이 우수한 내마모 강판
US20160002759A1 (en) * 2013-03-28 2016-01-07 Baoshan Iron & Steel Co., Ltd. High-toughness low-alloy wear-resistant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61128A4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7520A1 (zh) * 2019-07-31 2021-02-04 江阴兴澄特种钢铁有限公司 一种表面质量优良的耐磨钢及其制备方法
EP4006191A4 (en) * 2019-07-31 2022-08-31 Jiangyin Xingcheng Special Steel Works Co., Ltd WEAR RESISTANT STEEL WITH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ITS PRODUCTION PROCESS
AU2020322810B2 (en) * 2019-07-31 2023-03-30 Jiangyin Xingcheng Special Steel Works Co., Ltd A wear-resistant steel with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a production method
EP4026928A4 (en) * 2019-09-04 2023-04-12 Posco STEEL PLATE EXHIBITING EXCELLENT STRENGTH AND LOW 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687B1 (ko) 2018-10-04
US20190382866A1 (en) 2019-12-19
EP3561128B1 (en) 2021-06-09
KR20180073379A (ko) 2018-07-02
CN110139942A (zh) 2019-08-16
EP3561128A1 (en) 2019-10-30
JP2020503450A (ja) 2020-01-30
EP3561128A4 (en) 2019-11-06
US11332802B2 (en) 2022-05-17
JP6803987B2 (ja)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17481A1 (ko)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17482A1 (ko)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104975A1 (ko) Pwht 후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0067685A1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5099373A1 (ko) 용접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용접구조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25621A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25083A1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7497A1 (ko) 길이방향 균일 연신율이 우수한 용접강관용 강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관
WO2018117676A1 (ko) 내마모성과 인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7105026A1 (ko) 화성처리성 및 구멍확장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67686A1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7105025A1 (ko) 화성처리성 및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34216A1 (ko) 고 경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8088761A1 (ko)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0111874A2 (ko) 용접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24776A1 (ko) 굽힘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17470A1 (ko) 저온역 버링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17507A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9132310A1 (ko) 재질 균일성이 우수한 내마모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7111398A1 (ko) 저온인성 및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후판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9124809A1 (ko) 취성균열 전파 저항성이 우수한 구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9124765A1 (ko) 내충격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7111345A1 (ko) 저항복비형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0226301A1 (ko) 전단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0130436A2 (ko) 냉간 벤딩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844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3425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844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