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17295A1 -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17295A1
WO2018117295A1 PCT/KR2016/015046 KR2016015046W WO2018117295A1 WO 2018117295 A1 WO2018117295 A1 WO 2018117295A1 KR 2016015046 W KR2016015046 W KR 2016015046W WO 2018117295 A1 WO2018117295 A1 WO 20181172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acility
facilities
mobile terminal
management service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50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에스텍
Priority to PCT/KR2016/01504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17295A1/ko
Publication of WO20181172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172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effectively managing a plurality of facilities using a mobile terminal.
  • public institutions or corporations register the current status of each facility in the computer and perform the maintenance by checking the facilities located on the site based on the registered data.
  • each facility was attached to the identification plate with the classification code to identify the classification code while identifying each facility and could be individually inspected.
  • the identification procedure is cumbersome because the classification code entered in the facility data and the classification code attached to each facility must be compared and the facilities under inspection must be distinguished.
  •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in which an RFID tag inputting classification code information is attached to each facility and an inspector recognizes the tag using an RFID reader to immediately check facility data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 a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for managing a plurality of facilities in a mobile terminal, and setting a moving path for checking a plurality of facilities. ; Calculat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dentifying the facilities closest to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the calculated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location data of each of the facilities, and displaying the facility status.
  • the preset movement path is modified based on a check start point according to a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provides a service for managing a plurality of facilities, the terminal location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current location; Proximit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oximity to each facility using the calculated current location data and the location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And a facility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controlling to automatically display a facility information display window displaying the facility status associated with the adjacent facilit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acility is close to any one of the facilities.
  •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current location data and the location data of each of the facilitie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close to the facility, and if determined to be close to one or more of the facilities and the A mobile terminal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a facility information display window displaying related facility information on a display; And a main server storing location data of the facilities and facility information, transmitting data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updating history management data of facil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mobile terminal.
  •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on in a computer.
  •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may b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 the facility status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may be automatically displayed without a separate input procedure so that the checked contents can be directly input or checked.
  • the inspector checks the classification cod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acilities to check the facilities Can be easily selected.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alculating a current position of a mobile terminal.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roximity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facility.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displaying a facility information display window on a display of a mobile terminal.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displaying a movement route including a check order and a movement direction.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displaying a facility selection display window on a display of a mobile terminal.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displaying a movement route display window on a display of a mobile terminal.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modifying a movement rout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nearest facilit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 the 'management zone' mentioned below is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facilities to be managed through a system are arranged within a certain area, for example, a park, a factory, and the like. It may mean a management target installation disposed in the management zone, such as a facility, a walkway, a play facility, a mechanical device, and the like.
  • the term "inspector” referred to below refers to an administrator who performs a task of sequentially checking facilities in a management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general person carry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facility management service application installed therein.
  • a 'mobile terminal is a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facility management information through various display windows for carrying a checker to manage the facility,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Request to receive data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r transmit the input data, including a conventional smart phon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d run and display that can display a variety of data, such as a display window Any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 a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es a service for managing a plurality of facilities in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a movement path for checking a plurality of facilities; Calculat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dentifying the facilities closest to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the calculated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location data of each of the facilities, and displaying the facility status.
  • the preset movement path is modified based on a check start point according to a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 the movement path may include a check order and a movement direction for sequentially checki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 the display step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facility information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facility associated with the adjacent facility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 controlling the facility selection display window including the classification cod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close to the display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It further includes; may be selected from the user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djacent facilities.
  •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manufactured as an application and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is a system for providing a management service for managing a plurality of facilities specified in the management area using a mobile terminal
  • facilitie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lication as shown in FIG. 1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bile terminal 10 and the main server 200 is installed.
  •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lication 11 may b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 carried by the inspector who sequentially checks the facilities in the management area A to provide a management service for managing each facility.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shown in the mobile terminal 10 It is performed by the provided modules, the rest of the can be performed by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lication 11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
  •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terminal location calculation unit 110, a proximity determination unit 120, and a facilit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 the terminal location calculator 110 is a means for obtaining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mobile terminal 10 using the received communication signal, and calculates a current location using a GPS signal or a radio signal.
  •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uses the GPS module 160 to receive a GPS signal when the GPS signal is used, and the map data received by accessing the map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p data providing unit 170 for providing (Map data).
  • the terminal position calculating unit 110 may calculate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mobile terminal 10 on the received map data using the GPS signal, and thus map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in conjunction with the map data. It can be displayed on the image, and the desired data can b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respective position data.
  • a plurality of wireless AP modules 500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radio signal in the management area (A) It may be distributed.
  • the terminal location calculator 110 receives the wireless signals received from the wireless AP modules 500 disposed in the management area A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0, and each of the previously confirmed wireless AP modules 500. Using the location data of th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calculated by applying a positioning technique u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 the terminal position calculating unit 110 estimates the position by estimating the distance from the wireless AP module 500 using a propagation attenuation model of the signal of the positioning technique using the strength information of the radio signal.
  •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by applying a trilateration positioning technique.
  • the signal strength measured in advance from the wireless AP module 500 is stored in the memory, and when the signal strength value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0 is transmitted,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strength value is called and located.
  •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by applying a fingerprinting technique of fingerprint estimation.
  • Proximity determination unit 120 calculate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 and each facility 30 carried by the inspector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proximity, and whether to selectively display the facility status of each facility 30. It may be means for obtaining the basic data for determining.
  • the proximity determination unit 120 uses the current position data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the position data of each facility 30 calculated by the terminal position calculation unit 110 and each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each.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facilities 30 are close to each other.
  • the location data of each facility 3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80 or may be obtained by receiving the location data of each facility 30 in real time by accessing the main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 the location data of each facility 30 may be data in coordinate format so as to be compatible with the location data of the mobile terminal 10 on the map data and displayed and arithmetic processing.
  •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mobile terminal is close to a facility, and the proximity determining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0 is close to the facility 30. To explain the principle of operation.
  • 'C' is the central location of any facility 30, 'P' i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D1' i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acility 30 and the mobile terminal (10) , 'R' represents a predetermined proximity region, and 'D2' represents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proximity region, respectively.
  • preset proximity determination reference distance data or proximity area data is stored to determine proximity, and the proximity determiner 120 reads or requests the stored data as necessary. It is available.
  • the proximity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the proximity between each facility 30 and the mobile terminal 10, the central position (C) of the arbitrary facility 30 and the current position (P) of the mobile terminal 10.
  • the separation distance (D1) is calculated on the coordinates to reach within the predetermined proximity determination reference dista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inspector is located close to the facility 30, and falls short of the proximity determination reference distance. In one case, the inspector may determine that the facility is located far from the facility (30).
  • the inspector may determine that the facility is located in proximity to the facility 30, and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any facility 30. If determined to be close to the), the determination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facilit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 the facilit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is a means for selectively providing the facility status according to the proximity to each facility 30, and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any facilit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data received from the proximity determination unit 120. If it is determined to be close to 30, as shown in Figure 5, the facility information display window 131 for displaying the facility status associated with the facility 30 can be controlled to be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10). have.
  • the facility data may be obtained by requesting the main server 200 stored in the memory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 or connected to the facility information provider 130 upon request.
  • the facility information display window 131 includes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facility 30, such as a photograph, a classification code, a name, a location, and an unusual matter of the facility 30, and checks and measures to be checked by the inspector. It may contain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necessary for facility inspection and history management.
  • an operation button for reading th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30 adjacent to or placed on the front and rear on the facility list may be included, and when necessary or checked using a camera (not shown) of the mobile terminal 10. It may include a shooting button for taking a picture of the facility (30).
  • the terminal position calculating unit 110, the proximity determining unit 120,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the insp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the map data providing unit 170, and the like, which are described below, ar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 It may be a functional configuration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application installed in 10).
  • the facility information display window 131 displaying the facility status of the facility 30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without a separate input procedure, so that the checked contents can be entered or checked.
  • the classification code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facility 3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80 or the main server 200 to distinguish each facility 30 from each other.
  • the facility selection setting unit 150 that controls the selection display window 133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be included in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the facility selection display window 133 including the classification cod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3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the facility selection setting unit 150, the inspector checks and checks the classification cod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acility 30.
  • the target facility 30 can be selected easily, and the error of data processing can be prevented beforehand.
  •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30 located in the management area (A) on the display so that you can easily go to the facility (30) Information can be provided.
  • the proximity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0 has entered the management area A using the location data of the management area A, and the mobile terminal 10 determines the management area ( If it is determined to be close to A), as shown in FIG. 6, the mobile terminal 10 includes movement path data including a check sequence and a moving direction for sequentially checking each facility 30 in the management area A.
  • the insp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may be included in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so a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 the movement route data may include arrow data indicating the surrounding image of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next inspection target facility 30 in the direction, in addition, the location of each facility 30 on the map data, the mobile terminal ( An inspection order display window 134 indicating a position and an inspection order of 10) may be included.
  • the route information display window 135 indicating the movement distance data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to the position of the next inspection target facility 30 and the estimated time data required to reach the corresponding facility 30. ) May be further included.
  • FIG. 8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displaying a movement route display window on a display of a mobile terminal.
  • the mobile terminal 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10 enters the management area A using the location data of the management area A in which the plurality of facilities 30 are located and the location data of each facility 30, Since the movement path data including the inspection order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for sequentially checking each facility 30 in the management area 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10, the inspector is consumed to find each facility location. The time required for inspection can be minimized and the possibility of missed inspection of some facilities can be prevented.
  • each facility 30 is arranged in the management area A, and the inspection procedure of each facility 30 is sequentially checked from (A) facilities to (H) facilities. If it is set to,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tart the inspection by mov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inspection target facility (30) in the state in which the inspector is located close to the facility (E).
  • Proximity determination unit 120 extracts the nearest facility 30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30) by using the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mobile terminal 10 of the inspection start point and the location data of each facility (30).
  • the insp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searches for optimal movement route data starting from the position of the nearest facility 30 among a plurality of movement route data for sequentially checking each facility 30, and FIG. As shown in FIG. 9, the extracted movement route data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 the insp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sets the optimum movement rout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nearest facility 30 so that the predetermined movement route is modified based on the inspection starting point of the mobile terminal 10. Can be.
  • the route information is selected by selecting the facility (E) as the maximum inspection target and selecting a path from which all the facilities (30) in the management area (A) can be inspected. Will be provided.
  • the inspector does not need to move to the predetermined initial inspection target facility 30,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and shortening the inspection time.
  • the main server 200 is a device for storing the various data necessary for providing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and providing the requested data from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10, each facility 30 Location data and facility information is stored and transmits the data requested by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and the history management data of the facil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mobile terminal (10) Update
  • the server 200 stores this in addition to the history management data of each facility 30 previously stored, so that the updated history management data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 later.
  •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is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to display each facility information on the display 410 and various It may further include a manager terminal 400 for inputting data.
  • a general PC, a notebook, a tablet, or the like may be used, and a system administrator or inspector may perform management such as modifying or supplementing input data using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is produced as a program for execution on a computer, an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 ROMs, magnetic tapes,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방법은 복수의 시설물들을 점검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모바일단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모바일단말의 현재 위치와 시설물들 각각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단말에 가장 근접한 시설물을 식별하여 시설물현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동 경로 설정 단계는 산출된 모바일단말의 현재 위치에 따른 점검 시작 지점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이동 경로를 수정한다.

Description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본 발명은 모바일단말을 이용하여 다수의 시설물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기관이나 기업체에서는 관할구역에 위치한 시설물(설치물)을 관리하기 위해 각 시설물의 현황을 전산에 등록하고 등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점검자가 현장에 위치한 시설물을 점검하면서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각 시설물에는 분류코드가 기재된 식별판을 부착하여 분류코드를 확인하면서 각 시설물을 구분하며 개별적인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시설물 데이터에 입력된 분류코드와 각 시설물에 부착된 분류코드를 일일이 비교하며 점검중인 시설물을 구분해야 하기 때문에 식별절차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 시설물에 분류코드정보를 입력한 RFID 태그를 부착하고 점검자가 RFID 리더를 이용하여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해당 시설물의 시설물 데이터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시설물마다 RFID 태그를 부착해야 할 뿐만 아니라 부착된 RFID 태그가 훼손되거나 분실된 경우 해당 시설물의 현황을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검색하여 추출해야 하고 RFID 태그를 새로이 발급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RFID 태그를 통해 시설물의 설치일, 분류코드정보, 품목 등 기본적인 정보만 알 수 있어 시설물의 현황관리 중심으로 사용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원이나 공장과 같이 다수의 시설물이 넓은 면적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경우 점검자가 각 시설물의 위치를 찾아다니면서 점검해야 하기 때문에 점검소요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게 되며 일부 시설물의 점검이 누락될 소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시설물들을 효과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은 모바일단말에서 다수의 시설물들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복수의 시설물들을 점검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모바일단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모바일단말의 현재 위치와 시설물들 각각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단말에 가장 근접한 시설물을 식별하여 시설물현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경로 설정 단계는 상기 산출된 모바일단말의 현재 위치에 따른 점검 시작 지점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상기 이동 경로를 수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는 다수의 시설물들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단말위치 산출부; 상기 산출된 현재 위치데이터와 복수의 시설물들 각각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시설물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근접판단부; 및 상기 시설물들 중 어느 하나의 시설물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근접한 시설물과 관련된 시설물현황을 표시하는 시설물정보 표시창이 디스플레이에 자동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시설물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은, 현재 위치데이터와 시설물들 각각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설물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며, 하나 이상의 시설물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근접한 시설물과 관련된 시설물정보를 표시하는 시설물정보 표시창이 디스플레이에 자동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모바일단말; 및 상기 시설물들의 위치데이터 및 시설물 정보가 저장되어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상기 모바일단말에서 요청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모바일단말의 입력에 따라 시설물정보의 이력관리데이터를 갱신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시설물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단말을 휴대한 점검자가 임의 시설물에 근접하게 되면 별도의 입력절차 없이 자동적으로 해당 시설물의 시설물현황이 표시되도록 하여 점검된 내용을 바로 입력하거나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권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시설물들을 순차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이동경로를 점검 시작 지점에 따라 수정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검자가 각 시설물의 위치를 일일이 찾는데 소비되는 점검소요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일부 시설물의 점검이 누락될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단말이 복수의 시설물들에 함께 근접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근접한 시설물들의 분류코드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점검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검자는 시설물에 표시된 분류코드정보를 확인하여 점검대상 시설물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시설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RFID 태그를 시설물마다 부착해야 할 필요가 없어 유지관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모바일단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모바일단말과 시설물 간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시설물정보 표시창이 모바일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점검 순서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이동경로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시설물선택 표시창이 모바일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이동경로 표시창이 모바일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모바일단말의 위치에 따라 가장 근접한 시설물의 위치를 기점으로 이동 경로를 수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용어들을 정의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관리권역'은 일정 영역 내에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고자 하는 다수의 시설물들이 배치된 공간으로 공원, 공장 등을 예로 들수 있으며, 상기 '시설물'은 벤치, 가로등을 포함하여 주차시설, 자전거 시설, 산책로, 놀이시설, 기계장치 등과 같이 상기 관리권역에 배치된 관리대상 설치물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점검자'는 관리권역 내의 시설물들을 순차적으로 점검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관리자를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설물 관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을 휴대한 일반인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모바일단말)'은 점검자가 휴대하며 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한 각종 표시창을 통해 시설물관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로서, 통신망을 통해 메인서버에 접속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요청하거나 입력된 데이터를 전송하며 통상적인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시설물 관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표시창 등의 각종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통신단말이면 종류에 한정됨이 없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은 모바일단말에서 다수의 시설물들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복수의 시설물들을 점검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모바일단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모바일단말의 현재 위치와 시설물들 각각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단말에 가장 근접한 시설물을 식별하여 시설물현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경로 설정 단계는 상기 산출된 모바일단말의 현재 위치에 따른 점검 시작 지점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상기 이동 경로를 수정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경로는 상기 복수의 시설물들을 순차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점검 순서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모바일단말이 상기 시설물들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근접한 시설물과 관련된 시설물현황을 표시하는 시설물정보 표시창이 상기 모바일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자동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설물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모바일단말이 2 이상의 시설물들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근접한 복수의 시설물들의 분류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시설물선택 표시창이 상기 모바일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근접한 복수의 시설물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은 어플리케이션으로 제작되어 모바일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은 모바일단말을 이용하여 관리권역 내에 지정된 다수의 시설물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11)이 설치된 모바일단말(10)과 메인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11)은 관리권역(A) 내의 시설물들을 순차적으로 점검하는 점검자가 휴대한 모바일단말(10)에 설치되어 각 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블럭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100)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 일부는 모바일단말(10)에 구비된 모듈들에 의해 수행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모바일단말(10)에 설치된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1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100)는 단말위치 산출부(110), 근접판단부(120) 및 시설물정보 제공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위치 산출부(110)는, 수신된 통신신호를 이용하여 모바일단말(10)의 현재 위치데이터를 획득하는 수단으로서, GPS신호 또는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100)는 GPS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GPS신호를 수신하는 GPS모듈(160)과, 통신망(20)을 통해 맵서버(300)에 접속하여 수신되는 맵 데이터(Map data)를 제공하는 맵데이터제공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위치 산출부(110)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된 맵데이터 상에서 모바일단말(10)의 위치좌표를 산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맵데이터와 연동하여 모바일단말(10)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각 위치데이터를 비교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모바일단말(1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권역(A) 내에 소정의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무선 AP 모듈들(500)이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위치 산출부(110)는 무선통신모듈(190)을 통해 관리권역(A)에 배치된 무선 AP 모듈들(500)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와, 기확인된 각 무선 AP 모듈(500)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의 세기 정보(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사용하는 측위 기법을 적용해 모바일단말(1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위치 산출부(110)는 무선 신호의 세기 정보를 사용하는 측위 기법 중 신호의 전파(Propagation) 감쇠 모델을 사용하여 무선 AP 모듈(500)과의 이격된 거리를 추정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삼변법(Trilateration)의 측위 기법을 적용하여 현재 측위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사전에 측정된 무선 AP 모듈(500)로부터의 신호 세기가 메모리에 저장되고, 무선통신모듈(190)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값이 전달되면 상기 신호 세기값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호출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핑거 프린트(Fingerprint)의 측위 기법을 적용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근접판단부(120)는, 점검자가 휴대한 모바일단말(10)과 각 시설물(30) 간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여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선택적으로 각 시설물(30)의 시설물현황을 표시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를 획득하는 수단일 수 있다.
그를 위해, 근접판단무(120)는 상기 단말위치 산출부(110)를 통해 산출된 모바일단말(10)의 현재 위치데이터와 각 시설물(30)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단말(10)과 각 시설물(30) 간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각 시설물(30)의 위치데이터는 메모리(180)에 저장되어 있거나, 통신망(20)을 통해 메인서버(200)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각 시설물(30)의 위치데이터를 전송받아 획득할 수 있으며, 각 시설물(30)의 위치데이터는 맵데이터 상에서 모바일단말(10)의 위치데이터와 호환되어 표시 및 연산처리할 수 있도록 좌표형식의 데이터일 수 있다.
도 4는 모바일단말과 시설물 간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근접판단부(120)가 모바일단말(10)과 시설물(30) 간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C'는 임의 시설물(30)의 중심위치, 'P'는 모바일단말(10)의 현재 위치, 'D1'은 해당 시설물(30)과 모바일단말(10) 간의 이격거리, 'R'은 기설정된 근접영역, 'D2'는 근접영역의 기설정된 반경을 각각 나타낸다.
메모리(180) 또는 메인서버(200)에는 근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근접 판단 기준 거리 데이터나 근접영역 데이터가 저장되며, 근접판단부(12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 또는 요청하여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접판단부(120)는 각 시설물(30)과 모바일단말(10) 간의 근접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임의 시설물(30)의 중심위치(C)와 모바일단말(10)의 현재 위치(P)간의 이격 거리(D1)를 좌표 상에서 산출하여 이격 거리(D1)가 기설정된 근접판단기준거리 내에 도달한 경우 점검자가 해당 시설물(30)에 근접하여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근접판단기준거리에 미달한 경우 점검자가 해당 시설물(30)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단말(10)의 현재 위치(P)가 해당 시설물(30)의 중심위치(C)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근접영역(R)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원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점검자가 이동하여 모바일단말(10)의 현재 위치(P)가 근접영역(R) 내에 진입한 경우 점검자가 해당 시설물(30)에 근접하여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모바일단말(10)이 임의의 시설물(30)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데이터가 시설물정보 제공부(130)로 전송될 수 있다.
시설물정보 제공부(130)는 각 시설물(30)로의 근접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설물현황에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근접판단부(120)로부터 수신된 판단데이터에 따라 모바일단말(10)이 임의의 시설물(30)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시설물(30)에 관련된 시설물현황을 표시하는 시설물정보 표시창(131)이 모바일단말(10)의 디스플레이에 자동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현황에 대한 데이터는 모바일단말(10)의 메모리(180)에 저장되거나 시설물정보 제공부(130)의 요청에 따라 접속된 메인서버(200)에 요청하여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시설물정보 표시창(131)에는 해당 시설물(30)의 사진, 분류코드, 명칭, 위치 및 특이사항과 같이 시설물(30)의 기본정보를 포함하여, 점검자가 체크해야 할 점검사항, 조치사항 등 시설물 점검 및 이력관리에 필요한 각종 부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접되거나 시설물 리스트 상에서의 전후에 배치된 시설물(30)의 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조작버튼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필요 시 모바일단말(10)의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하여 점검하거나 조치한 해당 시설물(30)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말위치 산출부(110), 근접판단부(120) 및 시설물정보 제공부(130)와, 후술되는 점검정보 제공부(140), 맵데이터제공부(170) 등은 모바일단말(10)에 설치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구현되는 기능적 구성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말위치 산출부(110), 근접판단부(120) 및 시설물정보 제공부(130)의 구성을 통해, 모바일단말(10)을 휴대한 점검자가 임의 시설물(30)에 근접하게 되면 별도의 입력절차 없이 자동적으로 해당 시설물(30)의 시설물현황이 표시된 시설물정보 표시창(131)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점검된 내용을 입력하거나 체크할 수 있다.
한편, 점검자가 복수의 시설물(30) 사이에 배치되고 각 시설물(30)에 대해 설정된 근접판단기준거리나 근접영역(R)이 상호 중첩되는 경우,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각 시설물(30)에 대한 시설물 현황이 동시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각 시설물(30)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시설물(30)별로 부여된 분류코드정보가 메모리(180) 또는 메인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근접판단부(120)에 의해 모바일단말(10)이 복수의 시설물들(30)에 함께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한 시설물들(30)의 분류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시설물선택 표시창(133)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시설물선택 설정부(150)가 시설물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시설물(30)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시설물(30)별로 부여된 분류코드정보가 저장되고, 모바일단말(10)이 복수의 시설물(30)에 함께 근접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시설물선택 설정부(150)를 통해 해당 복수의 시설물(30)의 분류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시설물선택 표시창(133)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므로, 점검자는 시설물(30)에 표시된 분류코드정보를 확인하여 점검대상 시설물(30)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의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100)는 해당 관리권역(A) 내에 위치한 시설물(30)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여 손쉽게 시설물(30)로 찾아갈 수 있도록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를 위해, 근접판단부(120)는 상기 관리권역(A)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단말(10)이 관리권역(A) 내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모바일단말(10)이 관리권역(A)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관리권역(A)의 각 시설물(30)을 순차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점검 순서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이동경로 데이터를 모바일단말(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점검정보 제공부(140)가 시설물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경로 데이터에는 현재 위치의 주변 영상과 다음 점검 대상 시설물(30)의 위치를 방향으로 표시하는 화살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밖에 맵데이터 상에서 각 시설물(30)의 위치, 모바일단말(10)의 위치 및 점검순서를 나타내는 점검순서 표시창(134)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모바일단말(10)의 현재 위치로부터 다음 점검 대상 시설물(30)의 위치까지의 이동거리 데이터와, 해당 시설물(30)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예상시간 데이터를 나타내는 경로정보 표시창(13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이동경로 표시창이 모바일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시설물(30)이 위치한 관리권역(A)의 위치데이터와 각 시설물(30)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단말(10)이 관리권역(A)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관리권역(A)의 각 시설물(30)을 순차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점검순서 및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이동경로 데이터를 모바일단말(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므로 점검자가 각 시설물의 위치를 일일이 찾는데 소비되는 점검소요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일부 시설물의 점검이 누락될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관리권역(A)에 8개의 점검대상 시설물(30)이 배치되고, 각 시설물(30)의 점검순서가 (A)시설물로부터 (H)시설물까지 순차적으로 점검하는 것으로 기설정된 경우, 점검자가 (E)시설물에 근접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첫번째 점검대상 시설물(30)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점검을 시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근접판단부(120)는 점검시작 지점의 모바일단말(10)의 현재 위치데이터와 각 시설물(30)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수의 시설물(30) 중 최근접된 시설물(30)을 추출한다.
또한, 점검정보 제공부(140)는 각 시설물(30)을 순차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복수의 이동경로 데이터 중 상기 가장 근접한 시설물(30)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최적의 이동경로 데이터를 탐색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이동경로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점검정보 제공부(140)가 가장 근접한 시설물(30)의 위치에 따라 최적의 이동경로를 설정함으로써, 기설정된 이동경로가 모바일단말(10)의 점검 시작 지점에 기초하여 수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점검자가 (E)시설물에 근접하여 위치한 상태라면 (E)시설물을 최대점검대상으로 지정하고 이로부터 관리권역(A)의 모든 시설물(30)을 점검할 수 있는 경로를 선택하여 경로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설정된 최초점검 대상 시설물(30)까지 점검자가 이동할 필요가 없어 편의를 증대시키며 점검소요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서버(200)는 시설물 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며 접속된 모바일단말(10)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각 시설물(30)의 위치데이터 및 시설물 정보가 저장되어 통신망(20)을 통해 접속된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100)에서 요청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며, 모바일단말(10)의 입력에 따라 시설물정보의 이력관리데이터를 갱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100)를 이용하여 점검자가 관리권역(A)의 각 시설물(30)을 점검하고 점검에 따른 점검사항과 조치사항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면 메인서버(200)는 이를 기존에 저장된 각 시설물(30)의 이력관리데이터에 덧붙여 함께 저장하여, 차후 갱신된 이력관리 데이터가 모바일단말(1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에는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메인서버(200)에 접속하여 각 시설물 정보를 디스플레이(410)에 표시하고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관리자단말(40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단말(400)로 일반적인 PC나 노트북, 테블릿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시스템 관리자나 점검자는 이러한 관리자단말(400)을 이용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보충하는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모바일단말 20...통신망
100...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 110...단말위치 산출부
120...근접판단부 130...시설물정보 제공부
140...점검정보 제공부 161...GPS모듈
162...무선통신모듈 170...맵데이터제공부
180...메모리 200...메인서버
300...맵서버 400...관리자단말

Claims (16)

  1. 모바일단말에서 다수의 시설물들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시설물들을 점검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모바일단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모바일단말의 현재 위치와 시설물들 각각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단말에 가장 근접한 시설물을 식별하여 시설물현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경로 설정 단계는
    상기 산출된 모바일단말의 현재 위치에 따른 점검 시작 지점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상기 이동 경로를 수정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상기 복수의 시설물들을 순차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점검 순서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모바일단말이 상기 시설물들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근접한 시설물과 관련된 시설물현황을 표시하는 시설물정보 표시창이 상기 모바일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자동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이 2 이상의 시설물들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근접한 복수의 시설물들의 분류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시설물선택 표시창이 상기 모바일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한 복수의 시설물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
  8. 다수의 시설물들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단말위치 산출부;
    상기 산출된 현재 위치데이터와 복수의 시설물들 각각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시설물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근접판단부; 및
    상기 시설물들 중 어느 하나의 시설물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근접한 시설물과 관련된 시설물현황을 표시하는 시설물정보 표시창이 디스플레이에 자동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시설물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판단부는
    상기 시설물들이 위치하는 관리권역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관리권역 내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관리권역(A)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시설물들을 순차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점검 순서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이동 경로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판단부는,
    점검 시작 지점의 현재 위치데이터와 시설물들 각각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장 근접한 시설물을 식별하며,
    상기 가장 근접한 시설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경로가 수정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근접한 시설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시설물들을 순차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복수의 이동 경로들 중 최적의 이동 경로가 선택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시설물)별로 부여된 분류코드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고,
    2 이상의 시설물들에 함께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근접한 2 이상의 시설물들의 분류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시설물선택 표시창이 표시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
  13. 모바일단말을 이용하여 관리권역 내에 지정된 다수의 시설물들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현재 위치데이터와 시설물들 각각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설물과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며, 하나 이상의 시설물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근접한 시설물과 관련된 시설물정보를 표시하는 시설물정보 표시창이 디스플레이에 자동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모바일단말; 및
    상기 시설물들의 위치데이터 및 시설물 정보가 저장되어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상기 모바일단말에서 요청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모바일단말의 입력에 따라 시설물정보의 이력관리데이터를 갱신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은
    상기 복수의 시설물들을 점검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모바일단말의 점검 시작 지점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상기 이동 경로가 수정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상기 복수의 시설물들을 순차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점검 순서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은
    2 이상의 시설물들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근접한 복수의 시설물들의 분류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시설물선택 표시창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근접한 복수의 시설물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PCT/KR2016/015046 2016-12-21 2016-12-21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WO201811729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5046 WO2018117295A1 (ko) 2016-12-21 2016-12-21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5046 WO2018117295A1 (ko) 2016-12-21 2016-12-21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7295A1 true WO2018117295A1 (ko) 2018-06-28

Family

ID=62626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5046 WO2018117295A1 (ko) 2016-12-21 2016-12-21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11729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180A (ko) * 2006-02-24 2007-08-2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지하매설관로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0955592B1 (ko) * 2009-12-02 2010-04-30 (주) 지오매틱스 Rfid와 gis를 활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04669A (ko) * 2011-03-14 2012-09-24 김준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독립된 특정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08444A (ko) * 2013-02-27 2014-09-11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Qr코드를 활용한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그 점검 방법
KR101626022B1 (ko) * 2015-09-02 2016-06-01 주식회사 자재쿱 순찰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180A (ko) * 2006-02-24 2007-08-2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지하매설관로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0955592B1 (ko) * 2009-12-02 2010-04-30 (주) 지오매틱스 Rfid와 gis를 활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04669A (ko) * 2011-03-14 2012-09-24 김준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독립된 특정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08444A (ko) * 2013-02-27 2014-09-11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Qr코드를 활용한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그 점검 방법
KR101626022B1 (ko) * 2015-09-02 2016-06-01 주식회사 자재쿱 순찰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44025A2 (en) Method of creating and joining social group, user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server, and storage medium
WO2016208838A1 (ko) 실내 측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2173381A2 (ko) 위치기반 건설 현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16003060A1 (ko) 실내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2148179A2 (en) Method for displaying marker in a map service
WO2017003094A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3172689A1 (ko) 실내 측위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9235653A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근처 지인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5182857A1 (ko) 셀 정보를 이용한 위치 정보 결정 시스템 및 방법
WO201208188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4092380A1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WO2019112109A1 (ko) 정적 마커 그리드 기반 실시간 실내 위치 측위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2260264A1 (ko)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
WO2012091313A2 (ko) 실내 위치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5080468A1 (ko) 차량 위치 제공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
WO2017061698A1 (ko) 스마트 도어폰 시스템 및 그 호출 방법
WO2016195333A1 (ko) 원터치 결제 시스템, 결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WO2016143936A2 (ko) 다중검침기능이 적용된 단말기 무선검침 시스템과 단말기 무선 검침 제어방법
WO2020209454A1 (ko) 컴퓨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장 주문 시스템
WO2014007507A1 (ko) 그룹 차량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4107000A1 (ko) 보행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WO2018117295A1 (ko)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WO2015186875A1 (ko) 대중교통 수단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9151806A1 (ko) 위치 기반 오프라인 모바일 자동 결제방법
WO2011093619A2 (ko) Rfid를 이용한 선반 내 물품 위치 확인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245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245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