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84370A1 -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84370A1
WO2018084370A1 PCT/KR2016/015320 KR2016015320W WO2018084370A1 WO 2018084370 A1 WO2018084370 A1 WO 2018084370A1 KR 2016015320 W KR2016015320 W KR 2016015320W WO 2018084370 A1 WO2018084370 A1 WO 201808437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eacon
smart
unit
server
green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532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명훈
여현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808437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8437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hecking the work of a smart greenhouse worker using beacons.
  • the automatic switching control device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and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greenhouse,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d outputting the inside of the plastic house,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the intrusion by sending an infrared signal into the plastic house, and As the user manipulates the control switch,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amera or the infrared sensor is changed so that the user can open or close a part of the plastic house by using a predetermined switch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switches, while the user controls the control switch.
  • a predetermined switch of the driv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amera and the infrared sensor, and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displaying the room temperature and room humidity check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humidity sensor.
  • the commute system of the worker working in the smart greenhouse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for checking the attendance management of workers as well as paying by checking the participation status of the workers. Therefore, employers identify employees' participation in work by checking attendance at each working hour and use it for evaluation. Most time and attendance checks rely on the employer's manual work, so some of the work time is devoted to processing, and this time has a problem that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harvest contents are hardly achiev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system capable of checking the work attitude to improve the quality of labor by improving the above problems.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sensor and the smart phone design and implement a worker identification system to apply the convenience of the Internet of Things to agricultural sites.
  • beacons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and smart greenhouse doorway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e access information to be reflected in the time and attendance.
  • employers can check the attendance status changes of workers in real time.
  • a beacon may be used as a sensor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entrance and exit of a smart greenhouse, and BLE communication provided by a worker and an employer's smartphone may be used as an intermediary means.
  • Smart greenhouse workers identification system using a beacon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e access information by using beacons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and the smart greenhouse doorway to reflect the time and attendance.
  • employers can check the attendance status changes of workers in real time.
  • using a beacon as a sensor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smart greenhouse entry and exit of the smart greenhouse workers using a beacon that can be used as a medium means BLE communication provided by the worker and employer's smartphone Can provide smart greenhouse workers identification system.
  • the employer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working hours confirmation time of the worker can invest more time in the harvest to improve the quality of labor.
  •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mart greenhouse workers identification system using a beac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nsor unit (1) including a beacon (10) is installed in the smart greenhouse to periodically transmit the BLE packet 100;
  • a client unit (2) comprising a smart phone (20) including an app for receiving a packet from the beacon (10) and predicting the distance to the beacon (10);
  • a server unit (4) comprising a server (60) which transmits and stores access information of the smart greenhouse through the internet unit (3)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uilt in the smartphone.
  • the sensor unit 1 periodically transmits the BLE packet 100 and the app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20 receives the packet, and then estimates a distance from the beacon 10. do.
  • the client unit 2 is divided into the employer 50, the worker 30 according to the role of the client to participate, the worker 30 receives the signal of the beacon 10 through their smartphone 20 Producing attendance status information and receiving attendance determin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60).
  • the Internet unit 3 utilizes the HTTP protocol-based communication 200, and utilizes the REST API and library 400, the push notification channel is GCM (Google Cloud Messaging) 80 of the push notification service for smartphones It characterized in that to use.
  • GCM Google Cloud Messaging
  • Syick server unit 4 includes the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web server 60, processes the HTTP-based request and response, authenticates at the first connection of the client unit 2 and generates client and session information after authentication ( 500)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agement.
  •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mart greenhouse workers identification system using the beacon of the present invention.
  • smart greenhouse workers identification system using a beacon is a worker 30 having a sensor unit 1
  • smart phone 20 including a beacon 10 is installed in a smart greenhouse 30
  • Time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in a smart greenhouse uses the indoor location as the main technology.
  • the beacon 10 periodically transmits the BLE packet 100 and the app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 of the worker 30 estimates the distance from the beacon 10 after receiving the packet.
  • access information of the smart greenhouse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server 6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uilt in a smart phone such as 3G, LTE, and Wi-Fi.
  • Figure 2 shows the system configuration for building a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in a smart greenhouse.
  • the main components are composed of the sensor unit 1, the client unit 2, the Internet unit 3, the server unit 4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role.
  • the sensor unit 1 determines whether the workers 30 enter or leave the greenhouse by transmitting a signal 100 from the beacon 10 installed in the smart greenhouse.
  • the client unit 2 is divided into the employer 50, the worker 30 according to the role of the client to participate, the worker 30 receives the beacon 10 through the smart phone 20, the attendance status information Produces and receive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unit 70.
  • Employer 50 receives attendance status information and produces attendance determination information that requires manual recording.
  • the Internet unit 3 uses LAN and WA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currently being used, such as Wi-Fi, 4G LTE, and 3G communication, such as wireless Internet and wired LAN. 300 is used.
  • Wi-Fi Wireless Fidelity
  • 4G LTE Long Term Evolution
  • 3G communication such as wireless Internet and wired LAN. 300 is used.
  • the push notification channel uses GCM (Google Cloud Messaging) 80 of the push notification service for smartphones.
  • the server unit 4 constitutes a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web server 60, and processes HTTP-based requests and responses.
  • the client authenticates and generates and manages the client and session information (500).
  •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time and attendan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70 through the authentication, and when the server 20 request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the server searches for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nd delivers the information to the app.
  • the information used in the system is the time and atten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orkers entering the smart greenhouse, the information is a beacon ( 10)
  • the signal is processed through the worker's smart phone 20. Al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erver 60 to be automatically delivered to the requestor when a request for the information occurs. Particip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mployees 30 and employers 50 and each is responsible for collecting and requesting the following information.
  • the main purpose of the beacon (10) -based time and attendance information collection and management i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by automatically updating and checking the information. Therefore, the system participant's involvement should be minimized in transferring and request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60.
  • the application can use the push notification service to automaticall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온실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BLE 패킷(100)을 송신하는 비콘(10)을 포함하는 센서부(1), 상기 비콘(10)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비콘(10)과의 거리를 예측하는 앱을 포함하는 스마트폰(20)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부(2), 및 상기 스마트 온실의 출입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인터넷부(3)를 통해 전송되어 저장되는 서버(60)를 포함하는 서버부(4)로 구성되는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
본 발명은 비콘을 이용하여 스마트 온실 종사자의 작업을 확인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농작물 재배용 비닐하우스의 각종 시설들은 농민들이 직접 현장에서 가서 확인하고 수동으로 조정해 왔으나 최근 자동화 시스템이 개발되어 개인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현장의 영상 및 온도, 습도 등의 환경 정보를 확인하고 원격 제어를 통해 개폐, 관수, 보일러 작동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현재 온실 재배 농가에서는 자동 온실 제어장치를 사용하는데, 이는 작업자가 직접 온실에 접근하여 관찰하고 조작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나 제어장치의 결함으로 인한 작물이 고온장애나 저온장애 등 그 피해가 많은 게 현실이다.
자동 개폐 제어장치는 온실의 실내 온도 및 실내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와, 비닐 하우스 내부를 촬영하여 출력하는 카메라와, 비닐 하우스 내부로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여 침입 여부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와, 사용자가 제어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카메라 또는 적외선센서의 현재위치가 변경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제어스위치 중 소정 스위치를 이용하여 비닐 하우스의 일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가 제어스위치 중 소정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동시켜 상기 카메라 및 적외선 센서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통해 체크된 실내 온도 및 실내 습도를 표시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 온실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출퇴근 시스템은 작업자들의 참여 상태를 확인하여 임금부여뿐만 아니라 종사자들의 근태 관리를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용주는 매 근무시간 출석 확인을 통하여 종사자들의 근무참여도를 파악하고, 이를 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근태 확인은 고용주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근무시간 중 일부를 할애하여 처리하고 있으며, 이 시간은 수확내용과 관련된 활동이 거의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여 노동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근무태도 체크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센서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사물인터넷의 편의성을 농업현장에 적용시킬 수 있는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센서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사물인터넷의 편의성을 농업현장에 적용시키기 위해 종사자 확인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과 스마트 온실 출입구에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출입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한 후 근태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폰의 푸시 알림 서비스를 사용하여 고용주가 실시간으로 종사자들의 출석 상태변경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온실 출입을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한 센서로 비콘을 사용하고, 종사자와 고용주의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BLE 통신을 매개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스마트 온실 출입구에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출입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한 후 근태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폰의 푸시 알림 서비스를 사용하여 고용주가 실시간으로 종사자들의 출석 상태변경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온실 종사자의 스마트 온실 출입을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한 센서로 비콘을 사용하고, 종사자와 고용주의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BLE 통신을 매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용주는 종사자의 근무시간 확인 시간을 최소화하여 좀 더 수확에 시간을 투자할 수 있어 노동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 온실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BLE 패킷(100)을 송신하는 비콘(10)을 포함하는 센서부(1); 상기 비콘(10)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비콘(10)과의 거리를 예측하는 앱을 포함하는 스마트폰(20)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부(2); 및 상기 스마트 온실의 출입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인터넷부(3)를 통해 전송되어 저장되는 서버(60)를 포함하는 서버부(4)로 구성되는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센서부(1)는 주기적으로 상기 BLE 패킷(100)을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폰(20)에 설치되는 상기 앱은 상기 패킷을 수신한 후 상기 비콘(10)과의 거리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라이언트부(2)는 참여하는 클라이언트의 역할에 따라 고용주(50), 종사자(30)로 나뉘며, 상기 종사자(30)는 자신의 스마트폰(20)을 통하여 상기 비콘(10)의 신호를 수신하여 근태 상태정보를 생산하고 출근확정정보를 상기 서버(60)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넷부(3)는 HTTP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200)을 사용하여, REST API 및 라이브러리(400)를 활용하고, 상기 푸시 알림 채널은 스마트폰용 푸시 알림 서비스 중 GCM(Google Cloud Messaging)(80)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익 서버부(4)는 상기 근태관리 웹서버(60)를 포함하고, HTTP 기반의 요청 및 응답을 처리하며, 클라이언트부(2)의 최초 접속 시 인증을 하며 인증 후 클라이언트 및 세션 정보를 생성(500)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 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은 스마트 온실에 설치되는 비콘(10)을 포함하는 센서부(1), 스마트폰(20)을 구비하는 종사자(30)와 스마트폰(20)을 구비한 고용주(50)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부(23), 및 근태관리 웹서버(60)와 데이터베이스(70)와 메시지 서비스(80)를 포함하는 서버부(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온실에서의 근태관리 시스템은 실내위치 파악을 주요 기술로 사용한다. 비콘(10)은 주기적으로 BLE 패킷(100)을 송신하고 종사자(30)의 스마트폰(20)에 설치된 앱은 패킷을 수신한 후 비콘(10)과의 거리를 예측한다. 도 1에서 스마트 온실의 출입 정보는 3G, LTE, Wi-Fi 등 스마트폰에 내장된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자동으로 서버(60)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도 2에서 스마트 온실에서의 근태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주요 구성 요소는 역할에 따라 센서부(1), 클라이언트부(2), 인터넷부(3), 서버부(4) 등으로 구성된다.
센서부(1)에서는 스마트 온실에 설치된 비콘(10)에서 신호(100)를 송신하여 종사자(30)들의 온실 출입여부를 판별한다.
클라이언트부(2)에서는 참여하는 클라이언트의 역할에 따라 고용주(50), 종사자(30)로 나뉘며, 종사자(30)는 자신의 스마트폰(20)을 통하여 비콘(10)의 신호를 받아 근태 상태 정보를 생산하고 출근확정정보를 서버부(70)로부터 수신한다. 고용주(50)는 근태 상태정보를 수신, 수동으로 기록이 필요한 출석확정정보를 생산한다.
인터넷부(3)는 Wi-Fi, 4G LTE, 3G 통신 등 무선 인터넷과 유선 랜 등 현재 사용되고 있는 LAN, WAN 통신 인프라를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 통신시 요청 및 응답 채널(200), 푸시 알림 채널(300)을 사용한다. HTTP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200)을 사용하면 기존의 다양한 REST API 및 라이브러리(400)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현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푸시 알림 채널은 스마트폰용 푸시 알림 서비스 중 GCM(Google Cloud Messaging)(80)을 사용한다.
서버부(4)는 근태관리 웹서버(60)를 구성하는 것으로, HTTP 기반의 요청 및 응답을 처리한다. 클라이언트의 최초 접속 시 인증을 하며 인증 후 클라이언트 및 세션 정보를 생성(500)하여 관리한다. 수집된 정보는 인증을 거쳐 근태정보 관리 서버(70)에 저장되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스마트폰(20) 앱에서 요청을 하면 서버는 해당정보를 검색 후 앱에게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받아 처리하는 시스템에 따르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보는 종사자들의 스마트 온실 출입에 따른 근태 정보이며, 이 정보는 스마트 온실에 설치된 비콘(10) 신호를 종사자의 스마트폰(20)을 통해서 수신하여 처리된다. 모든 정보는 서버(60)에 저장돼 해당 정보의 요청이 발생할 시 요청자에게 자동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참여자는 종사자(30)와 고용주(50)이며 각각 다음의 정보 수집 및 요청을 담당한다. 비콘(10) 기반의 근태정보 수집 및 관리의 주요 목적은 자동으로 정보를 갱신하고 확인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보를 서버(60)에 전달하고 요청하는 작업에 시스템 참여자의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애플리케이션은 푸시 알림 서비스를 사용하여 서버의 정보를 자동으로 수신할 수 있다.

Claims (5)

  1. 스마트 온실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BLE 패킷(100)을 송신하는 비콘(10)을 포함하는 센서부(1);
    상기 비콘(10)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비콘(10)과의 거리를 예측하는 앱을 포함하는 스마트폰(20)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부(2); 및
    상기 스마트 온실의 출입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인터넷부(3)를 통해 전송되어 저장되는 서버(60)를 포함하는 서버부(4)로 구성되는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는 주기적으로 상기 BLE 패킷(100)을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폰(20)에 설치되는 상기 앱은 상기 패킷을 수신한 후 상기 비콘(10)과의 거리를 예측하는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부(2)는 참여하는 클라이언트의 역할에 따라 고용주(50), 종사자(30)로 나뉘며, 상기 종사자(30)는 자신의 스마트폰(20)을 통하여 상기 비콘(10)의 신호를 수신하여 근태 상태정보를 생산하고 출근확정정보를 상기 서버(60)로부터 수신하는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부(3)는 HTTP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200)을 사용하여, REST API 및 라이브러리(400)를 활용하고, 상기 푸시 알림 채널은 스마트폰용 푸시 알림 서비스 중 GCM(Google Cloud Messaging)(80)을 사용하는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익 서버부(4)는 상기 근태관리 웹서버(60)를 포함하고, HTTP 기반의 요청 및 응답을 처리하며, 클라이언트부(2)의 최초 접속 시 인증을 하며 인증 후 클라이언트 및 세션 정보를 생성(500)하여 관리하는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
PCT/KR2016/015320 2016-11-01 2016-12-27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 WO201808437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612 2016-11-01
KR20160144612 2016-1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4370A1 true WO2018084370A1 (ko) 2018-05-11

Family

ID=6207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5320 WO2018084370A1 (ko) 2016-11-01 2016-12-27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08437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066A (ko) * 2000-06-30 2002-01-17 이승재 건설 현장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7048127A (ja) * 2005-08-11 2007-02-22 Adc Technology Kk 出退管理システム、携帯通信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44454A (ko) * 2010-10-28 2012-05-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장에서의 인력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05098A (ko) * 2012-03-16 2013-09-25 이정록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KR20160112048A (ko) * 2015-03-17 2016-09-28 디에이치산업안전(주) 비콘을 이용한 건설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066A (ko) * 2000-06-30 2002-01-17 이승재 건설 현장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7048127A (ja) * 2005-08-11 2007-02-22 Adc Technology Kk 出退管理システム、携帯通信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44454A (ko) * 2010-10-28 2012-05-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장에서의 인력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05098A (ko) * 2012-03-16 2013-09-25 이정록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KR20160112048A (ko) * 2015-03-17 2016-09-28 디에이치산업안전(주) 비콘을 이용한 건설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9702A1 (en) Monitoring system for securing networks from hacker drones
KR101892345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RU2706620C2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контролируемого доступа посетителей в здание
AU20183240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roperty using drone beacons
US9237267B2 (en) Imaging systems, moving bodies, and imaging control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of a moving target
AU2019295856B2 (en) Object tracking using disparate monitoring systems
CN104483462B (zh) 用于环境监测的水样取样方法及系统
CN104935883A (zh) 一种远程监控方法和服务器
EP34627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ly accessing video data streams and data between devices in a video surveillance system
US20210122495A1 (en) Drone landing ground station
CN109639967A (zh) 监控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072881B1 (ko)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20180089924A (ko) 휴대폰 이용 위치기반 출석처리시스템
CN113470211A (zh) 一种基于信标识别的巡检轨迹管理方法及装置
WO2018084370A1 (ko)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종사자 확인 시스템
CN210609244U (zh) 一种智能病房系统
KR102297916B1 (ko) IoT 순찰경비 방법
CN104486439B (zh) 一种基于智能终端的监控打猎相机的数据管理方法及后台系统
KR20120106326A (ko) 카메라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출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724476A (zh) 一种智能靶场
CN108259831B (zh) 一种摄像头及摄像头基站
KR101413730B1 (ko) Sns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무인감시장치
CN208044381U (zh) 一种分布式室内环境监控系统
US11442129B1 (en) Systemic certainty of event convergence
WO2020241938A1 (ko) 이동형 스마트 홈 모니터링 로봇의 모니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207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207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