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916B1 - IoT 순찰경비 방법 - Google Patents

IoT 순찰경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916B1
KR102297916B1 KR1020210065169A KR20210065169A KR102297916B1 KR 102297916 B1 KR102297916 B1 KR 102297916B1 KR 1020210065169 A KR1020210065169 A KR 1020210065169A KR 20210065169 A KR20210065169 A KR 20210065169A KR 102297916 B1 KR102297916 B1 KR 102297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rol
terminal
point
iot device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선
Original Assignee
(주)피앤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앤피시스템 filed Critical (주)피앤피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65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 G01S2201/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environ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관리자 단말기가, 순찰자 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인 UUID와 순찰지점을 순찰경비 관제 서버에 등록하는 순찰자 등록 과정; 상기 순찰자 단말기가, 인식되는 순찰지점 IoT기기로 순찰자 단말기의 UUID와 순찰자 ID를 순찰지점 IoT기기로 전송하는 순찰자 정보 전송 과정; 상기 순찰지점 IoT기기가, 순찰자 단말기의 UUID를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순찰자 인증 요청 과정; 순찰자 단말기의 UUID의 인증 완료되는 경우, 상기 순찰지점 IoT기기가, 순찰자 ID, 순찰지점ID, 순찰지점위치데이터, 순찰시간을 포함하는 순찰정보를 순찰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순찰정보 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순찰정보 전송 과정; 상기 순찰자 단말기가, 상기 순찰지점 IoT기기로부터 수신한 순찰정보를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로 중계하는 순찰정보 중계 과정;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가, 상기 순찰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순찰정보를 저장하는 순찰정보 저장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순찰경비 방법{Method for patrolling using IoT}
본 발명은 순찰경비 방법으로서 IoT기기를 이용하여 순찰경비를 하는 IoT 순찰경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1세대 순찰시스템은 후래쉬 타입의 스캔단말기를 사용하여, 각 초소에 부착된 초소칩을 스캔하여 그 데이터를 단말기에 저장한 후 순찰업무를 마치고 관리실로 돌아온 후 데이터케이블로 스캔단말기와 메인컴퓨터를 연결시킨 후 순찰데이터를 이동시켜서 순찰동선이나 순찰자 순찰주기 순찰시간 등을 분석했다.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2세대 디지털 순찰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스마트폰), 초소칩(RFID 태그), 서버, 메인컴퓨터 등으로 단순화시켜서 시스템을 구성하여 순찰자, 순찰지점, 순찰코스 등의 순찰기록을 관리한다. 모바일용앱을 개발하여 스마트폰에 설치한 후 순찰데이터를 검색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기존의 디지털 순찰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초소칩에 태그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야간에 순찰시 초소가 조명이 없는 외부에 있을 경우 초소칩을 핸드폰으로 정확하게 태그하기가 쉽지 않다. RFID 태그는 인식거리가 통상 50cm 이하이기 때문에 조명이 없는 야간에는 정확하게 태그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추운겨울에는 장갑을 벗고 스마트폰으로 초소칩을 태그해야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어려움이 많다.
둘째, 순찰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어두워서 태그 위치를 정확하게 찾지 못해서 찾고 태그하는데 시간을 낭비할 수 있고 스마트폰을 대는 거리에 따라 태그가 되었다가 안되었다 할 수 있다.
셋째, 보안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보안이 중요한 회사의 순찰업무의 경우 누군가가 아니면 다른부서 사람이 대신 순찰을 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앱을설치한 스마트폰만 소지하면 가능하다. RFID 태그에는 초기제작시에 입력한 초소정보등 기본정보만 들어 있다. 정보를 수정하거나 추가입력할 수가 없어 보안이 필요한 회사의 순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초소 주변의 영상을 볼 수 없기 때문에 보안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실용 20-0401566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초소칩(RFID태그)을 사용하지 않고 IoT통신모듈을 초소에 설치하여 PC와 스마트폰에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관리자 단말기가, 순찰자 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인 UUID와 순찰지점을 순찰경비 관제 서버에 등록하는 순찰자 등록 과정; 상기 순찰자 단말기가, 인식되는 순찰지점 IoT기기로 순찰자 단말기의 UUID와 순찰자 ID를 순찰지점 IoT기기로 전송하는 순찰자 정보 전송 과정; 상기 순찰지점 IoT기기가, 순찰자 단말기의 UUID를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순찰자 인증 요청 과정; 순찰자 단말기의 UUID의 인증 완료되는 경우, 상기 순찰지점 IoT기기가, 순찰자 ID, 순찰지점ID, 순찰지점위치데이터, 순찰시간을 포함하는 순찰정보를 순찰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순찰정보 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순찰정보 전송 과정; 상기 순찰자 단말기가, 상기 순찰지점 IoT기기로부터 수신한 순찰정보를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로 중계하는 순찰정보 중계 과정;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가, 상기 순찰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순찰정보를 저장하는 순찰정보 저장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찰자 정보 전송 과정은, 상기 순찰자 단말기가, 비콘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 비콘신호를 감지한 순찰지점 IoT기기가, 상기 순찰자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망을 구축하는 과정; 상기 순찰자 단말기가, 순찰자 단말기의 UUID와 순찰자 ID를 블투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순찰지점 IoT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찰정보 저장 과정이 있은 후,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가 순찰정보를 미리 설정된 분석포맷의 데이터로 가공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분석포맷의 데이터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순찰정보 분석 출력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찰자 인증 요청 과정이 있은 후, 상기 순찰자 단말기의 UUID의 인증 완료되는 경우, 상기 순찰지점 IoT기기가, IoT기기에서 촬영되는 순찰영상을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로 직접 전송하는 순찰영상 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순찰영상 전송 과정;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가, 상기 순찰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순찰영상을 저장하는 순찰영상 저장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찰영상 전송 과정은, 순찰지점 IoT기기가 순찰자 단말기의 근무태도 등급을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UUID의 인증 완료된 순찰자 단말기의 근무태도 등급에 따라서 상기 순찰영상 전송 모드로서 순찰영상을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로 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음가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첫째, 순찰시간을 단축시키고 순찰자의 피로도가 감소하여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순찰일지 등도 별도로 작성할 필요가 없다. 필요시 PC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으로 데이터를 분석 필요한 시트를 인쇄하여 사용하면 된다. 관리자가 매일 매일 순찰일지 등을 체크하는 업무를 하지 않아도 된다.
둘째, 순찰자의 근무상태 즉 순찰시간 순찰지점, 순찰코스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보안관리를 철저히 할 수 있다. 순찰자를 위장한 외부 침입자 원천차단 등의 순찰보안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소형카메라가 IoT기기에 부착되어 있어 초소주변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가 있기 때문에 무단 침입,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순찰시스템과 CCTV감시시스템을 통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운용할 수가 있어 투자와 인건비를 크게 줄일 수 있고 보안을 더욱더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순찰경비 시스템을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순찰경비 시스템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순찰경비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순찰자 정보 전송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찰정보와 순찰영상이 분석되는 예시 그림.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순찰경비 시스템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IoT 순찰경비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400), 순찰자 단말기(100), 순찰지점 IoT기기(200),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스마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순찰자를 지휘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데스크탑 PC를 도시하였지만,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통신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에 등록되는 순찰자ID, 순찰지점의 ID를 지정 입력하고 수정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술찰경비 관제 서버(300)에 저장된 순찰정보, 순찰영상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분석포맷의 데이터로 가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 단말기(400)는, 순찰지점의 실시간 동영상을 볼 수 있고 서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PC로 검색하여 체크할 수 있다. 경비관리실에 PC와 함께 설치하여 운영한다.
순찰자 단말기(100)는, 순찰지점을 순찰하는 순찰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가 해당될 수 있다. 순찰자는 블루투스4.0 BLE(Bluetooth Low Energy),순찰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순찰지점을 순찰하게 된다.
순찰지점 IoT기기(200)는, 순찰자가 순찰하는 각 순찰지점마다 설치된 IoT기기이다. 참고로 알려진 바와 같이 IoT기기는, 사물 간 인터넷 혹은 개체 간 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으로서 고유 식별이 가능한 사물이 만들어낸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순찰지점 IoT기기(200)는, CCTV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형카메라가 부착되어 있으며 순찰자의 스마트폰과의 통신을 위하여 블루투스모듈, 영상정보를 촬영하고 전달하기 위한 CCTV모듈,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WiFi모듈, IoT기기가 모든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MCU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MCU에는 임베디드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스마트 스위치는, 순찰지점이 보안실일 경우 설치되는 스위치로서, 순찰지점 IoT기기(200)에 스마트스위치(비콘- WiFi)를 설치하여 인증된 UUID의 순찰자 단말기(100)가 순찰지점 IoT기기(200)에 접근하면 스마트스위치가 자동으로 ON되어 보안문이 열리고 보안문을 통과한후 일정거리 지나면 자동으로 스마트스위치가 OFF되어 보안문이 닫힌다. 마찬가지로 스마트 스위치가 보안등에 설치될 경우는 보안등이 자동으로 켜진후 순찰자가 일정거리 벗어나면 자동으로 꺼진다.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에는, 영상통합프로그램, 분석프로그램등이 설치되어 있다. 순찰자가 순찰지점에 접근하면 순찰지점의 IoT기기로부터 순찰자의 ID를 전송받아서 서버에 ID가 등록되어 있으면 인증하여 IoT기기로 보낸다. 인증이 되어 스마트스위치가 ON되면 그순간의 상태정보, 즉 순찰자ID, 순찰지점ID, 순찰시간, 순찰지점 위치 데이터 등을 전송받아서 저장한다. 영상정보는 순찰지점 IoT기기(200)로부터 실시간 전송받아 저장한다. 분석프로그램을 통해서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가공할 수 있다. 분석프로그램을 통해서 저장된 데이터가 자동으로 분석처리되어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순찰경비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순찰자 정보 전송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찰정보와 순찰영상이 분석되는 예시 그림이다.
본 발명의 IoT 순찰경비 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400)가, 순찰자 단말기(100)의 고유식별번호인 UUID와 순찰지점을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에 등록하는 순찰자 등록 과정(S310)과, 순찰자 단말기(100)가 인식되는 순찰지점 IoT기기(200)로 순찰자 단말기(100)의 UUID와 순찰자 ID를 순찰지점 IoT기기(200)로 전송하는 순찰자 정보 전송 과정(S320)과, 순찰지점 IoT기기(200)가 순찰자 단말기(100)의 UUID를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순찰자 인증 요청 과정(S330)과, 순찰자 단말기(100)의 UUID의 인증 완료되는 경우, 순찰지점 IoT기기(200)가, 순찰자 ID, 순찰지점ID, 순찰지점위치데이터, 순찰시간을 포함하는 순찰정보를 순찰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순찰정보 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순찰정보 전송 과정(S340)과, 순찰자 단말기(100)가 순찰지점 IoT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순찰정보를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중계하는 순찰정보 중계 과정(S350)과,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 순찰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순찰정보를 저장하는 순찰정보 저장 과정(S3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가 순찰정보를 미리 설정된 분석포맷의 데이터로 가공하여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하고, 관리자 단말기(400)가 분석포맷의 데이터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순찰정보 분석 출력 과정(S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다.
순찰자 등록 과정(S310)은, 관리자 단말기(400)가, 순찰자 단말기(100)의 고유식별번호인 UUID와 순찰지점을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에 등록하는 과정이다. 참고로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는, 범용 고유 식별자로서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모르는 개체들을 식별하고 구별하는 ID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인 관리자 단말기(400)별로 고유한 범용고유식별자(UUID)가 할당되어 있다.
순찰자 정보 전송 과정(S320)은, 순찰자 단말기(100)가, 인식되는 순찰지점 IoT기기(200)로 순찰자 단말기(100)의 UUID와 순찰자 ID를 순찰지점 IoT기기(200)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순찰자 정보 전송 과정(S3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찰자 단말기(100)가 비콘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과, 비콘신호를 수신한 순찰지점 IoT기기(200)가 순찰자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통신망을 구축하는 과정과, 순찰자 단말기(100)가 순찰자 단말기(100)의 UUID와 순찰자 ID를 블투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순찰지점 IoT기기(200)로 전송하는 과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순찰자 단말기(100)를 소지한 순찰자가 순찰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순찰지점 IoT기기(200)의 일정거리 안에 들어오면 순찰지점 IoT기기(200)가 순찰자 단말기(100)의 UUID가 포함된 비콘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비콘신호를 감지한 순찰지점 IoT기기(200)가 순찰자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통신망을 구축하고, 순찰자 단말기(100)는 순찰자 단말기(100)의 UUID와 순찰자 ID를 블투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순찰지점 IoT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순찰자 인증 요청 과정(S330)은, 순찰지점 IoT기기(200)가, 순찰자 단말기(100)의 UUID를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과정이다.
즉, 순찰자가 순찰지점의 일정거리안에 접근하면 순찰자 단말기(100)에서 발생하고 있는 UUID가 포함된 비콘신호를 블루투스모듈이 감지하여 그 신호를 순찰자 단말기(100)를 통해서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보내어 승인요청을 한다. 순찰자 단말기(100)를 거치지 않고 순찰지점 IoT기기(200)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바로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순찰자UUID를 보내어 승인요청을 할 수도 있다.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에 등록된 UUID이면 승인신호를 IoT기기로 보내어 승인을 하고 스마트스위치가 ON되어 보안문이 열리거나 순찰지점의 보안등을 점등시키도록 한다. 등록된 UUID가 아닐 경우는 승인거부가 되고 스마트스위치가 OFF상태로 유지되며 순찰시 정보를 서버로 보낼 수 없다. 보안문이 열리지 않고 보안등도 켜지지 않는다.
순찰자가 순찰지점의 일정거리안에 들어오면 자동으로 위의 행위가 실행되는데 거리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2미터로 하는 것이 좋다. 순찰자가 순찰업무를 마치고 순찰지점에서 설정된 거리를 벗어나면 스마트 스위치가 OFF되어 보안문은 닫히고 보안등은 꺼지게 된다.
순찰정보 전송 과정(S340)은, 순찰자 단말기(100)의 UUID의 인증 완료되는 경우, 상기 순찰지점 IoT기기(200)가, 순찰자 ID, 순찰지점ID, 순찰지점위치데이터, 순찰시간을 포함하는 순찰정보를 순찰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순찰정보 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이다. 즉, 순찰자 단말기(100)의 UUID의 인증 완료되는 경우, 스마트 스위치가 작동되며, 아울러 순찰자ID, 순찰지점ID, 순찰지점 위치정보, 순찰시간 등의 순찰정보를 순찰자 단말기(100)를 통해서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보내고 그 정보는 저장된다.
순찰정보 중계 과정(S350)은, 순찰자 단말기(100)가 순찰지점 IoT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순찰정보를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중계하는 과정이다. 순찰정보는 순찰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앱을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다.
순찰정보 저장 과정(S360)은,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가 순찰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순찰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이다.
순찰정보 분석 출력 과정(S390)은,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가 순찰정보를 미리 설정된 분석포맷의 데이터로 가공하여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하고, 관리자 단말기(400)가 분석포맷의 데이터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는 PC로 순찰관제 서버(300)의 분석프로그램을 구동시켜서 미리 만들어진 포맷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고 데이터를 가공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앱을 통해서는 분석데이터를 검색하여 볼 수만 있고 데이터를 가공할 수는 없다.
한편, 관리자는 필요한 경우 순찰지점의 영상을 볼 필요가 있다. 무단침입, 화재발생시 신속한 대응을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순찰지점 IoT기기(200)는, 순찰정보를 순찰자 단말기(100)를 통해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 이외에도, 순찰지점의 영상인 순찰영상을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한다. 순찰영상의 경우 데이터 용량이 크기 때문에 블루투스를 통해 순찰자 단말기(100)로 보내고, 이를 순찰자 단말기(100)가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중계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순찰지점 IoT기기(200)가 인터넷, 3G, 4G(LTE), 5G통신을 사용하여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순찰영상을 직접 전송하도록 한다.
따라서 순찰자 인증 요청 과정(S330)이 있은 후, 순찰자 단말기(100)의 UUID의 인증 완료되는 경우, 순찰지점 IoT기기(200)가, IoT기기에서 촬영되는 순찰영상을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직접 전송하는 순찰영상 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순찰영상 전송 과정(S370)과,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가 순찰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순찰영상을 저장하는 순찰영상 저장하는 과정을 가지도록 한다.
한편, 순찰정보를 순찰자 단말기(100)를 통해 전송하는 것 이외에도, 본 발명은 순찰자가 순찰을 올바르게 수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순찰자가 순찰지점에서 순찰하지 않고 그냥 들렀다 가버리는 순찰근무 태만을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순찰자의 순찰 모습을 촬영한 순찰영상을 전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순찰자 단말기가 인식되는 순간부터 순찰지점 IoT기기는 순찰자의 순찰 모습을 촬영한 순찰영상을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
다만, 순찰지점 IoT기기(200)가 순찰영상을 매번 전송하는 것은 통신망 사용료 부담 등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순찰자를 감시하는 것 같아 부담스럽다. 이에 근무태만으로 평가받은 순찰자에 대해서만 순찰영상을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순찰영상 전송 과정(S370)은, 순찰지점 IoT기기(200)가 순찰자 단말기(100)의 근무태도 등급을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UUID의 인증 완료된 순찰자 단말기(100)의 근무태도 등급에 따라서 순찰영상 전송 모드로서 순찰영상을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전송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근무태도 등급이 좋은 A순찰자인 경우에는 굳이 A순찰자의 순찰영상을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지 않으며, 근무태도 등급이 기준치에 미달하는 B순찰자인 경우에는 B순찰자의 순찰영상을 순찰경비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순찰자 단말기
200:순찰지점 IoT기기
300:순찰경비 관제 서버
400:관리자 단말기

Claims (5)

  1. 관리자 단말기가, 순찰자 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인 UUID와 순찰지점을 순찰경비 관제 서버에 등록하는 순찰자 등록 과정;
    상기 순찰자 단말기가, 인식되는 순찰지점 IoT기기로 순찰자 단말기의 UUID와 순찰자 ID를 순찰지점 IoT기기로 전송하는 순찰자 정보 전송 과정;
    상기 순찰지점 IoT기기가, 순찰자 단말기의 UUID를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순찰자 인증 요청 과정;
    순찰자 단말기의 UUID의 인증 완료되는 경우, 상기 순찰지점 IoT기기가, 순찰자 ID, 순찰지점ID, 순찰지점위치데이터, 순찰시간을 포함하는 순찰정보를 순찰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순찰정보 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순찰정보 전송 과정;
    상기 순찰자 단말기가, 상기 순찰지점 IoT기기로부터 수신한 순찰정보를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로 중계하는 순찰정보 중계 과정;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가, 상기 순찰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순찰정보를 저장하는 순찰정보 저장 과정;
    을 포함하는 IoT 순찰경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찰자 정보 전송 과정은,
    상기 순찰자 단말기가, 비콘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
    비콘신호를 감지한 순찰지점 IoT기기가, 상기 순찰자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망을 구축하는 과정;
    상기 순찰자 단말기가, 순찰자 단말기의 UUID와 순찰자 ID를 블투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순찰지점 IoT기기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IoT 순찰경비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찰정보 저장 과정이 있은 후,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가 순찰정보를 미리 설정된 분석포맷의 데이터로 가공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분석포맷의 데이터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순찰정보 분석 출력 과정;
    을 포함하는 IoT 순찰경비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찰자 인증 요청 과정이 있은 후,
    상기 순찰자 단말기의 UUID의 인증 완료되는 경우, 상기 순찰지점 IoT기기가, IoT기기에서 촬영되는 순찰영상을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로 직접 전송하는 순찰영상 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순찰영상 전송 과정;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가, 상기 순찰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순찰영상을 저장하는 순찰영상 저장 과정;
    을 포함하는 IoT 순찰경비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순찰영상 전송 과정은,
    상기 순찰지점 IoT기기가 순찰자 단말기의 근무태도 등급을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UUID의 인증 완료된 순찰자 단말기의 근무태도 등급에 따라서 상기 순찰영상 전송 모드로서 순찰영상을 상기 순찰경비 관제 서버로 전송할지를 결정하는 IoT 순찰경비 방법.
KR1020210065169A 2021-05-21 2021-05-21 IoT 순찰경비 방법 KR102297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169A KR102297916B1 (ko) 2021-05-21 2021-05-21 IoT 순찰경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169A KR102297916B1 (ko) 2021-05-21 2021-05-21 IoT 순찰경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916B1 true KR102297916B1 (ko) 2021-09-06

Family

ID=7778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169A KR102297916B1 (ko) 2021-05-21 2021-05-21 IoT 순찰경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95310A (zh) * 2022-01-14 2022-05-13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巡检检测方法和相关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566Y1 (ko) 2005-08-12 2005-11-17 (주)콘트론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경비 및 순찰시스템
KR20070055736A (ko) * 2005-11-28 2007-05-31 황현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단말기를 이용한 미팅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8702A (ko) * 2014-02-20 2015-08-31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순찰 관리 시스템
KR20160116849A (ko) * 2015-03-31 2016-10-10 (주)휴먼플래닛 순찰 및 차량 관리 시스템
KR20160121068A (ko) * 2015-04-09 2016-10-19 신기수 보안 알고리즘이 탑재된 듀얼밴드 방식의 rfid 순찰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566Y1 (ko) 2005-08-12 2005-11-17 (주)콘트론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경비 및 순찰시스템
KR20070055736A (ko) * 2005-11-28 2007-05-31 황현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단말기를 이용한 미팅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8702A (ko) * 2014-02-20 2015-08-31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순찰 관리 시스템
KR20160116849A (ko) * 2015-03-31 2016-10-10 (주)휴먼플래닛 순찰 및 차량 관리 시스템
KR20160121068A (ko) * 2015-04-09 2016-10-19 신기수 보안 알고리즘이 탑재된 듀얼밴드 방식의 rfid 순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95310A (zh) * 2022-01-14 2022-05-13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巡检检测方法和相关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0274B2 (en) Monitoring system for securing networks from hacker drones
US10812761B2 (en) Complex hardware-based system for video surveillance tracking
US11854357B2 (en) Object tracking using disparate monitoring systems
US20100033575A1 (en) Event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using network camera
KR101884309B1 (ko) 비콘을 이용한 건설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86591B1 (ko) 감시카메라 통합관리시스템
CN104205127A (zh) 基于识别的安全性
US11243965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rrelate mobile device wireless activity and security data
CN113971782B (zh) 一种综合监控信息管理方法和系统
Rao et al. Surveillance camera using IOT and Raspberry Pi
KR102297916B1 (ko) IoT 순찰경비 방법
CN110689693A (zh) 一种路径监控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666531B1 (ko) 순찰 및 차량 관리 시스템
KR101368757B1 (ko) 주차 차량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19223A (ko)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US20230274552A1 (en) Image-surveilled security escort
TWI559260B (zh) Patrol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KR20200063294A (ko) 차량용 블랙박스 영상의 자동 수집이 가능한 객체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05374150A (zh) 报警控制方法、装置和服务器
Hoq et al. Development of a QR-Code Based Smart Car Parking System
CN117423197B (zh) 一种智能安防软件监控方法及系统
KR102634961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얼굴 객체인식 출입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20151B1 (ko) 집합적 인지 추적 기반의 모바일 온디맨드 cctv 시스템
CN114157664B (zh) 工卡终端及其信息处理方法和基于云平台的信息处理方法
CN111432338B (zh) 一种检测蓝牙信标离身的方法、装置、服务器及蓝牙信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