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881B1 -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881B1
KR101072881B1 KR1020090074512A KR20090074512A KR101072881B1 KR 101072881 B1 KR101072881 B1 KR 101072881B1 KR 1020090074512 A KR1020090074512 A KR 1020090074512A KR 20090074512 A KR20090074512 A KR 20090074512A KR 101072881 B1 KR101072881 B1 KR 101072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 terminal
remote
livestock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038A (ko
Inventor
오성진
Original Assignee
오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진 filed Critical 오성진
Priority to KR102009007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8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관리자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마치 관제 단말을 직접 조작하는 것처럼 농축산 시설을 관리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를 위한 농축산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은 농축산 시설의 온도, 습도, 풍향, 풍속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농축산 시설의 온도 조절수단 및 습도 조절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으로부터 상기 센서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반에 상기 온도 조절수단 및 습도 조절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관제 단말 및 상기 관제 단말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90074512
농축산 시설, 온실, 축사, 원격 제어, CCTV

Description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al and stockbreeding facilities}
본 발명은 관리자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마치 관제 단말을 직접 조작하는 것처럼 농축산 시설을 관리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제화 및 개방화라는 세계적인 흐름과 정보 통신의 발달로 기존의 노동집약형 농업 형태에서 기술집약형 농업 형태로 전환하려는 많은 시도들이 있다.
이러한 시도의 일환으로 생물학적 지식과 공학적 지식을 결합하여 작물 생육에 필요한 각종 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상태의 작물을 안정적으로 수확하는 온실 자동화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한편 급속히 발전하는 정보통신산업은 산업계 전반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인터넷 및 이동통신망의 발달과 하드웨어의 발달로 인해 정보의 공유와 저장, 이동이 크게 발전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종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빠른 속도로 정보가 공유되고 유통되고 있다.
특히 UMTS, CDMA2000, 와이브로 등으로 대변되는 3세대 이동통신은 수 Mb~수 십 Mb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고 차후 와이맥스, LTE 등으로 대변되는 4세대 이동통신에서는 이동하는 차량 안에서도 수백 Mb 이상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최근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농업에 적용하여 정보화하려는 연구 내지 시도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데이터의 전송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CDMA 등의 2세대 이동통신으로 농업 현장의 환경 정보를 원격으로 파악하는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아직 온실 자동화 시스템을 대상으로 3세대 내지 4세대 이동통신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접목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온실 등의 환경 정보를 핸드폰으로 받아본다 하더라도 문자 메시지 등의 간단한 정보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고, 2세대 이동통신의 한계로 인해 핸드폰의 화면에는 단순한 구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만을 출력할 수밖에 없으므로 온실 환경의 확인 및 자동화 장치의 제어를 직관적으로 수행하지 못해 오작동의 위험이 상존하고 제어의 범위에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제안된 것으로서, 관제 단말의 각종 프로그램이 가지는 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모바일 단말에서 그대로 활용하여 농축산 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인 감시 카메라에 인기척이 감지되면 이를 곧바로 방범 센터나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태는, 농축산 시설의 온도, 습도, 풍향, 풍속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농축산 시설의 환경조절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으로부터 상기 센서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반에 상기 환경조절수단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관제 단말 및 상기 관제 단말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환경조절수단은 상기 농축산 시설의 도어개폐장치, 창문개폐장치, 환풍장치, 냉방장치, 난방장치, 관수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반은 상기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환경조절수단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기 센서, 상기 환경조절수단 및 상기 관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1통신인터페이스 및 제2통신인터페이스와, 상기 센서의 측정값을 상기 관제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관제 단말의 제어 명령을 상기 센서, 환경조절수단 중 어느 하나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센서는 온도, 습도, 풍향, 풍속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디지털화하는 감지부와, 주기적으로 또는 상기 제어반의 제어 명령에 의해 상기 감지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반과 직렬 유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3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제어반 및 상기 모바일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4통신인터페이스 및 제5통신인터페이스와, 상기 센서의 측정값, 상기 환경조절수단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관리자로부터 동작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원격 제어 요청을 감시하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관제 단말과 이동통신망을 통한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6통신인터페이스 및 상기 관제 단말에 접속하여 상기 관제 단말의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농축산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은 상기 농축산 시설의 내관 및 외관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여 디지털화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상기 관제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관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7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감시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시 카메라는 촬영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를 더 포함 할 수 있으며, 상기 관제 단말의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은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에 상기 감시 카메라로부터 움직임이 통보되면 방범 서버 및 상기 모바일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농축산 시설의 운영을 위한 경영 관리 프로그램 및 회계 관리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관제 단말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상기 경영 관리 프로그램 및 회계 관리 프로그램을 원격으로 실행한다.
상기 환경조절수단은 가청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와 증폭된 가청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향출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센서의 측정값에 미리 매칭된 음원 데이터를 음원 DB로부터 불러와서 재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 단말의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음원 재생에 따른 출력 신호를 제어반(200)을 통해 상기 음향출력장치로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은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화재 감지시 상기 제어반에 화재발생경보를 송신하는 화재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관제 단말의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반으로부터 화재발생경보가 수신되면 소방 서버 및 상기 모바일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관리자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도 마치 관제 단말의 앞에 있는 것처럼 농축산 시설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자는 관제 단말의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이 가지는 각종 복잡하고 다양한 관리 기능을 모바일 단말에서도 빠짐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이 가지는 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모바일 단말에서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는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농축산 시설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농축산 관리를 위한 직접적인 관리 프로그램 외에도 경영 관리 프로그램, 회계 관리 프로그램을 원격지에서도 관제 단말과 동일하게 운용함으로써 보다 종합적인 관리 운영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무인 감시 카메라의 고화질 영상을 모바일 단말로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을뿐더러, 인기척 감지에 따른 자동 방범 경고 기능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감시로 인한 인력 및 시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관제 단말과 원격으로 통신하는 모바일 단말이 관제 단말과 동일한 화면을 통하여 제어반을 조작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농축산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농축산 시설(100)의 센서들(110), 제어반(200), 관제 단말(300), 모바일 단말(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관제 단말(300)과 모바일 단말(400) 간에 게이트웨이서버(500) 및 원격지원서버(60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제 단말(300)에는, 농축산 시설(100)에 설치된 환경 조절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화면에 출력하고, 관리자가 상기 환경 조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소정의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실행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400)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관제 단말(300)에 접속하기 위한 원격 접속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관리자는 모바일 단말(400)의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관제 단말(300)에 접속하고, 관제 단말(300)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상기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마치 관제 단말(300)을 직접 조작하는 것처럼 농축산 시설을 관리할 수 있다.
관제 단말(300)은 소정의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통해 원격지원서버(600)에 미 리 접속하여 모바일 단말(400)의 원격 제어 요청을 기다리고 있어야 하며, 모바일 단말(400)은 원격지원서버(600)를 통해 관제 단말(300)에 접속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한다.
이하, 이를 위한 원격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농축산 시설(100)은 채소, 과일 등의 식용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비닐하우스나, 선인장, 난, 허브 등의 관상용 식물 등을 재배하기 위한 온실, 또는 소, 돼지, 닭 등의 가축을 양육하기 위한 축사 등이 이에 해당한다.
농축산 시설(100)에서 양육되는 식물이나 동물은 얼마나 적절한 환경을 유지시켜 주느냐에 따라 생육 속도나 생육 결과에 커다란 차이를 가져오기 때문에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갖가지 장치들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도어(또는 출입문), 창문(또는 환기창), 환풍기, 냉방장치, 난방장치 등이 설치되며,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도어(또는 출입문), 창문(또는 환기창), 환풍기 외에 관수파이프 등이 설치된다.
이들은 농축산 시설 관리인의 수조작에 의해 개폐 또는 동작/정지될 수도 있지만 소정의 구동 수단을 장착하여 제어반(200)을 통해 자동화될 수 있다. 상기 조절 장치들에 자동화를 위한 구동 수단이 더해진 것을 각각 도어개폐장치(11), 창문개폐장치(12), 환풍장치(13), 냉방장치(14), 난방장치(15) 및 관수장치(16)라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이들 장치(11~16)들을 통칭하여 환경 조절 장치라 부르기로 한다. 도 2는 농축산 시설(100)에 설치되는 자동화된 환경 조절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여기서, 상기 조절 장치들의 구동 수단은 동력 수단, 동력 전 달 수단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농축산 시설(100)에는 생육 환경을 계측하기 위한 각종 센서들(110)이 설치된다. 이러한 센서들(110)로 농축산 시설(100)의 내부, 외부 및/또는 지층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도면에 미도시), 농축산 시설(100)의 내부, 외부 및/또는 지층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 센서(도면에 미도시), 농축산 시설(100)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풍향 센서(도면에 미도시) 및 풍속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온도의 경우, 농축산 시설(100)의 내부라도 고도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높이별로 복수의 온도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센서(110)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서, 본 실시예의 센서(110)는 감지부(111), 제어부(112), 제3통신인터페이스(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감지부(111)는 온도, 습도, 풍향, 풍속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소자(111-1)와, 측정된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111-2)를 포함한다.
제어부(112)는 주기적으로 또는 제어반(2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감지부(111)를 구동시켜 환경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값을 제3통신인터페이스(113)를 통해 제어반(200)으로 송신한다.
제3통신인터페이스(113)는 블루투스(blu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RFID를 위한 RF 통신 등의 직렬 무선통신을 지원하거나 RS-232C, UART 등의 직렬 유선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적절한 형태의 포트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어반(200)은 센서(110)를 선택하여 해당 센서에 환경 정보 측정을 명령하거나, 환경 조절 장치(11~16)를 선택하여 해당 환경 조절 장치에 개/폐/동작/정지 중 어느 하나를 명령한다. 또한, 센서(110)로부터 측정값이 수신되면 이를 관제 단말(300)로 전달하고, 관제 단말(300)로부터 센서(110) 또는 환경 조절 장치(11~16)의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그에 따라 해당 센서 또는 환경 조절 장치를 제어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어반(200)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에서, 본 실시예의 제어반(200)은 표시부(21), 제1통신인터페이스(22), 제2통신인터페이스(23), 제어부(24) 및 조작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표시부(21)는 센서(110)의 측정값과 환경 조절 장치(11~16)의 동작 상태를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출력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브라운관 등의 모니터, LCD 등의 액정, LED나 전구 등의 점등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제1통신인터페이스(22)는 센서(110)로부터 측정값을 수신하고, 센서(110)에 환경 정보 측정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통로이다. 또한, 환경 조절 장치(11~16)의 개/폐/동작/정지 중 어느 하나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통로이기도 하다.
제2통신인터페이스(23)는 관제 단말(300)로 센서(110)의 측정값을 송신하고, 관제 단말(300)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로이다.
제1통신인터페이스(22) 및 제2통신인터페이스(23)는 각각 블루투 스(blu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RFID를 위한 RF 통신 등의 직렬 무선통신을 지원하거나 RS-232C, UART 등의 직렬 유선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적절한 형태의 포트를 제공한다.
제어부(24)는 센서(110)로부터 측정값이 수신되면 이를 표시부(21)에 전달하는 한편 제2통신인터페이스(23)를 통해서 관제 단말(300)에 송신한다. 또한, 관리자의 입력 또는 관제 단말(300)이 보내온 제어 명령에 따라 제1통신인터페이스(22)를 통해 센서(110)에 환경 정보 측정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거나, 관리자 또는 관제 단말(300)이 지정하는 환경 조절 장치(11~16)에 개/폐/동작/정지 중 어느 하나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조작부(35)는 관리자로부터 특정 센서(110) 또는 특정 환경 조절 장치(11~16)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키,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 수단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관제 단말(300)은 제어반(200)으로부터 센서들(11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화면에 출력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반(200)에 특정 센서의 구동이나 특정 환경 조절 장치의 구동을 명령하며, 원격 접속한 모바일 단말(400)의 원격 제어에 따라 제어반(200)에 특정 센서의 구동이나 특정 환경 조절 장치의 구동을 명령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관제 단말(300)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에서, 본 실시예의 관제 단말(300)은 제4통신인터페이스(31), 제5통신인터페이스(32),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에이전트 프로그램/ 경영 관리 프로그램/회계 관리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33), 중앙처리부(34), 조작부(35) 및 표시부(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4통신인터페이스(31)는 제어반(200)과 통신하기 위한 통로이고, 제5통신인터페이스(32)는 모바일 단말(400)과 통신하기 위한 통로이다.
제4통신인터페이스(31)는 블루투스(blu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RFID를 위한 RF 통신 등의 직렬 무선통신을 지원하거나 RS-232C, UART 등의 직렬 유선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적절한 형태의 포트를 제공한다. 또한, 제5통신인터페이스(32)는 유선 인터넷을 지원하는 위한 적절한 형태의 포트를 제공하거나 와이브로(Wibro), HSDPA, 와이맥스(Wimax), IEEE 802.11a~n, IEEE 1394,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메모리(33)는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에이전트 프로그램/경영 관리 프로그램/회계 관리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보조 메모리 및 이들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코어 파일이 로딩되는 주 메모리를 함께 포함하는 개념이다.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은 농축산 시설(100)에 설치된 센서들(110)을 통해 수집된 온도, 습도, 풍속, 풍향 등의 각종 환경 정보를 출력하고, 농축산 시설(100)의 환경 조절 장치들(11~16)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며, 관리자가 특정 센서를 선택하여 구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특정 환경 조절 장치를 선택하여 개/폐/동작/정지 중 어느 하나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의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인증하는 로그인 프 로세스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원격지원서버(600)에 접속하여 모바일 단말(400)의 원격 제어 요청을 기다리고 있다가 모바일 단말(400)의 원격 제어 요청이 있으면 모바일 단말(400)과 통신 세션을 연결하고, 원격지원서버(600)를 통해 모바일 단말(400)과 원격 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 정보를 주고 받는다. 이를 위해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모바일 단말(400)의 원격 제어 프로그램과 동등계층통신(P2P)을 수행하거나, 중간의 원격지원서버(600)를 경유하여 준 동등계층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동등계층통신에 의할 때 모바일 단말(400)에서는 관제 단말(300)과 동일한 화면을 보면서 프로그램들을 원격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준 동등계층통신에 의할 때는 관제 단말(300)이 송신하는 화면 정보 및 원격 제어 정보는 원격지원서버(600)를 경유하면서 모바일 단말(400)에서 수행 가능한 정도의 해상도, 화면 크기, 화면 구성 등으로 조정된 후에 모바일 단말(400)로 전달된다. 따라서 이 경우, 모바일 단말(400)에서는 관제 단말(300)의 화면에 비해 간략화된 화면을 보면서 프로그램들을 원격으로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원격지원서버(600)에 접속할 때 관리자의 인증을 위한 로그인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경영 관리 프로그램은 농축산 시설을 이용하여 진행중인 사업에 대한 생산/재고 관리, 영업/구매 관리, 인사/급여 관리 등의 경영 업무를 전산으로 처리하여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총칭하며 통상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ERP)으로 알려진 관리 프로그램의 전체 또는 일부 기능을 수행한다.
회계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경영 관리 프로그램의 일부일 수 있으며 경리, 미수금, 부기, 세무 등의 회계 업무를 전산으로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총칭한다.
중앙처리부(34)는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에이전트 프로그램/경영 관리 프로그램/회계 관리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시킨다.
조작부(35)는 관리자가 상기 프로그램들을 선택하여 실행시키고 환경 조건, 환경 조절 장치의 동작 명령, 경영 정보, 회계 정보 등을 입력하여 상기 프로그램들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 수단을 제공한다.
표시부(36)는 상기 프로그램들의 실행 장면, 센서들(110)의 측정값, 환경 조절 장치들(11~16)등의 동작 상태, 경영 정보, 회계 정보 등을 화면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모바일 단말(400)은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제 단말(300)의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경영 관리 프로그램/회계 관리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으로 실행한다. 프로그램들의 원격 실행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400)은 스마트 폰, PDA 폰 등과 같이 일반 PC와 대등한 수준의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수 Mb 내지 수백 Mb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3세대 이상의 핸드폰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단말(400)의 제6통신인터페이스(도면에 미도시)는 관제 단말(300)과 이동통신망을 통한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담당하고, 모바일 단 말(400)의 중앙처리부(도면에 미도시)는 관제 단말(300)에 접속하여 상기 관제 단말(300)의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경영 관리 프로그램/회계 관리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원격 제어 프로그램은 원격지원서버(600)에 접속하여 미리 대기하고 있는 특정 관제 단말(300)과 통신 세션을 연결한다. 그리고 원격지원서버(600)를 통해 관제 단말(300)의 화면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해당 화면에 대한 모바일 단말(400)에서의 입력을 원격지원서버(600)를 통해 관제 단말(300)로 전송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모바일 단말(400)의 액정 화면으로 관제 단말(300)의 모니터 화면을 동일하게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다.
그 외에, 게이트웨이 서버(500)는 이동통신망의 프로토콜에 따르는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르도록 변환하거나 그 역변환을 수행한다.
또한, 원격지원서버(600)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통해 접속해온 관제 단말(300)과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접속해온 모바일 단말(400) 간에 P2P 통신을 위한 통신 세션을 연결해준다. 아울러 관제 단말(300)과 모바일 단말(400) 간에 준 P2P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원격지원서버(600)는 관제 단말(300)이 송신하는 화면 정보 및 원격 제어 정보를 모바일 단말(400)에서 수행 가능한 정도의 해상도, 화면 크기, 화면 구성 등으로 조정된 후에 모바일 단말(400)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지원서버(600)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접속에 대해 로그인 아이디 및 로그인 암호를 요청하여 관리자를 인증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한편 원격 제 어 프로그램의 접속에 대해 마찬가지로 로그인 아이디 및 로그인 암호를 요청하여 관리자를 인증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관제 단말(300)에서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원격지원서버(600)에 로그인하는 과정을 거치고, 관제 단말(300)을 원격 제어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400)에서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원격지원서버(600)에 로그인하는 과정을 한 번 더 거쳐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원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농축산 시설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과정을 관제 단말 및 모바일 단말의 측면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관제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의 원격 관리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관리자는 먼저 관제 단말에 설치된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S101), 로그인 절차를 통해 원격지원서버에 접속하여(S102) 모바일 단말로부터의 원격 제어 요청을 기다린다(S103).
관리자는 모바일 단말을 소지하고 외출한 상태에서 농축산 시설의 확인 또는 관리가 필요해질 때,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104). 그리고 로그인 과정을 통해 원격지원서버에 접속하고(S105), 원격으로 제어할 단말(즉 관제 단말)을 선택하여(S106) 해당 단말과 통신 세션을 연결한다(S107). 여기서 원격으로 제어할 단말이 미리 선택되어 있거나 상기 원격지원서버가 하나만의 단말에 대한 원격 제어를 지원하는 경우라면 상기 S106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S107 단계의 통신 세션 연결로 관리자는 모바일 단말의 화면으로 관제 단말의 화면을 그대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통해 관 제 단말의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경영 관리 프로그램/회계 관리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각종 정보를 확인하고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등으로 농축산 시설을 원격으로 관리한다(S108).
도 7은 관제 단말과 모바일 단말 간에 원격 제어를 위한 통신 세션이 연결된 경우의 화면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화면예에서 관리자는 원격지에서 모바일 단말(400)을 이용하여 관제 단말(300)의 무주 반딧불이 환경 테마공원 관리 프로그램(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의 일례임)을 실행하려고 한다. 여기서 관리자는 이미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로그인 절차 및 원격 제어 프로그램의 로그인 절차를 마치고 모바일 단말(400)을 통해 관제 단말(300)에 원격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관리자는 무주 반딧불이 환경 테마공원 관리 프로그램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한 후(S201), "온실 환경 체크" 등과 같은 메뉴를 선택하여 특정 온실의 온도 및 습도를 확인할 수 있다(S202). 이때 확인할 온실(예를 들어 원형 온실, 배양실 A, 배양실 B)을 선택하거나, 선택된 온실의 특정 지점(예를 들어 내부, 천장 A, 천장 B, 복도, 측창 A, 측창 B)을 선택하여 해당 지점의 온도 및 습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온실 설비 제어" 등과 같은 메뉴를 선택하여 특정 온실의 환경 조절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S203, S204). 예를 들어 관리자는 배양실을 선택한 후 "수동조작" 메뉴를 선택하여 배양실의 측창 1-3, 측창 1-4, 측창 2-1, 관수모터1, 관수모터 2, 환풍기 팬 등의 환경 조절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개/폐 또 는 기동/정지시킬 수 있다(S203).
선택적으로, 관리자는 "자동조작" 메뉴를 선택하여 배양실의 실내 온도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S204). 이 경우,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무주 반딧불이 환경 테마공원 관리 프로그램)은 배양실의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값과 상기 관리자가 입력한 온도값을 주기적으로 비교하고, 현재 온도가 입력 온도보다 높으면 측창 1-3, 측창 1-4, 측창 2-1 중 적어도 하나를 적절한 시간 동안 개방하는 한편 환풍기 팬을 가동하여 배양실의 온도를 낮추고 현재 온도가 입력 온도보다 낮으면 그 반대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반을 제어한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관제 단말과 원격으로 통신하는 모바일 단말이 관제 단말과 동일한 화면을 통하여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확인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농축산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1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어반(200), 관제 단말(300), 모바일 단말(400) 및 관제 단말(300)과 모바일 단말(400) 간에 구비되는 게이트웨이서버(500) 및 원격지원서버(600) 등의 구성들은 본 실시예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다만 실시예 1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비해 농축산 시설(100)에 감시 카메라(700)가 더 포함되고, 방범센터의 방범 서버(800) 및/또는 SMS 서버(900)가 더 포함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관제 단말(300)에는, 농축산 시설(100)에 설치된 환 경 조절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화면에 출력하고, 관리자가 상기 환경 조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소정의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실행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400)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관제 단말(300)에 접속하기 위한 원격 접속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그리고, 관리자는 모바일 단말(400)의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관제 단말(300)에 접속하고, 관제 단말(300)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상기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마치 관제 단말(300)에서 감시 카메라를 확인하는 것처럼 농축산 시설을 감시할 수 있다. 도 9는 관제 단말과 모바일 단말 간에 원격 제어를 위한 통신 세션이 연결된 경우의 감시 카메라 확인을 위한 화면예를 도시한 것이다.
감시 카메라(700)는 농축산 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내관 또는 외관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제 단말(3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감시 카메라(700)의 촬상 수단(도면에 미도시)은 농축산 시설의 내관 및 외관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여 디지털화하고, 제어부(도면에 미도시)는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제6통신인터페이스(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관제 단말로 전송한다.
제7통신인터페이스는 저용량의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blu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등의 직렬 무선통신 또는 RS-232C, UART 등의 직렬 유선통신을 지원하거나, 고용량의 영상 정보를 지원하기 위한 병렬 유선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적절한 형태의 포트를 제공한다.
감시 카메라는 촬영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도면에 미도 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관제 단말(300)의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은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에 감시 카메라(700)로부터 움직임 감지가 통보되면 방범센터의 방범 서버(800) 및/또는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40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40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은 인터넷을 통해 이동통신망의 SMS 서버(900)에 모바일 단말의 이동번호를 포함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농축산 시설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에 화재가 감지되면 이를 소방서 서버 및 모바일 단말로 경보해주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10은 실시예 3에 따른 농축산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1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어반(200), 관제 단말(300), 모바일 단말(400) 및 관제 단말(300)과 모바일 단말(400) 간에 구비되는 게이트웨이서버(500) 및 원격지원서버(600) 등의 구성들은 본 실시예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다만 실시예 1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비해 농축산 시설(100)에 화재 감지 센서(1000) 및 스프링쿨러(1100)가 더 포함되고, 소방센터의 경보 서버(1200) 및/또는 SMS 서버(900)가 더 포함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관제 단말(300) 역시, 농축산 시설(100)에 설치된 환경 조절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화면에 출력하고, 관리자가 상기 환경 조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소정의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이 설 치되어 실행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400)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관제 단말(300)에 접속하기 위한 원격 접속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화재 감지 센서(1000)는 농축산 시설(100)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한 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이를 화재 발생으로 인식하여 제어반(200)에 화재 경보를 통보한다. 화재 감지 센서(1000)는 온도 외에도 연기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화재 감지 센서(1000)는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예 1의 온도 센서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온도 센서의 제어부는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제어반(200)에 화재 경보를 통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제어반(200)은 화재 감지 센서(1000)로부터 화재 감지가 통보되면 스프링쿨러(1100)에 동작 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한편, 관제 단말(300)에 화재 발생을 통보한다. 관제 단말(300)은 다시 소방 센터의 경보 서버(1200) 및/또는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40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400)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은 인터넷을 통해 이동통신망의 SMS 서버(900)에 모바일 단말의 이동번호를 포함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농축산 대상물의 생육을 촉진하기 위해 농축산 시설 내에 적절한 음악을 출력하는 한편 이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11은 실시예 4에 따른 농축산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1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어반(200), 관제 단말(300), 모바일 단말(400) 및 관제 단말(300)과 모바일 단말(400) 간에 구비되는 게이트웨이서버(500) 및 원격지원서버(600) 등의 구성들은 본 실시예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다만 실시예 1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비해 농축산 시설(100)에 음향출력장치(17)가 더 포함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여기서, 음향출력장치(17)는 가청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도면에 미도시)와 증폭된 가청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관제 단말(300) 역시, 농축산 시설(100)에 설치된 환경 조절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화면에 출력하고, 관리자가 상기 환경 조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소정의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실행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400)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관제 단말(300)에 접속하기 위한 원격 접속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제 단말(300)의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은 제어반(200)으로부터 수신한 각종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농축산물의 컨디션 상태를 판단하고, 분석된 컨디션에 미리 매칭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관제 단말(300)의 음원 DB(30-1)로부터 불러와서 재생하고, 재생에 의해 출력되는 가청 신호를 제어반(200)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제어반(200)의 제어부(24)는 상기 가청 신호를 스피커(17)로 전달한다.
일례로, 농축산 시설에 소나 돼지 등의 가축을 양육하는 경우에 있어서 농축 산 관리 프로그램은 수신된 온도값이 40℃이고 습도값이 80%이면 가축의 현재 상태를 "불쾌"로 판단하고 음원 DB(30-1)에서 "불쾌"에 상응하는 음악인 발랄한 느낌의 왈츠곡 01번의 음원 데이터를 불러와 재생한다. 재생에 따라 출력되는 가청 신호는 제어반(200)을 통해 스피커(17)로 전달되어 축사 내에 출력된다.
한편, 관리자는 모바일 단말(400)의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관제 단말(300)에 접속하고, 관제 단말(300)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상기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마치 관제 단말(300)을 직접 조작하는 것처럼 농축산 시설을 관리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모바일 단말(400)로 관제 단말(300)의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축사 내의 온도, 습도 및 풍속 등을 파악하고, 현재 상황에 적절한 음악을 선택하여 재생하거나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음악 재생이 실행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하여 당업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농축산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농축산 시설에 설치되는 자동화된 환경 조절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센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어반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관제 단말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관제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의 원격 관리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관제 단말과 모바일 단말 간에 원격 제어를 위한 통신 세션이 연결된 경우의 화면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농축산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관제 단말과 모바일 단말 간에 원격 제어를 위한 통신 세션이 연결된 경우의 감시 카메라 확인을 위한 화면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 3에 따른 농축산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실시예 4에 따른 농축산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농축산 시설 200 : 제어반
300 : 관제 단말 400 : 모바일 단말
500 : 게이트웨이 서버 600 : 원격지원서버
700: 감시 카메라 800 : 방범 서버
900 : SMS 서버 1000: 화재감지수단
1100 : 스프링쿨러 1200 : 소방 서버
11: 도어개폐장치 12 : 창문개폐장치
13 : 환풍장치 14 : 냉방장치
15 : 난방장치 16 : 관수장치
17 : 음향출력장치

Claims (16)

  1. 농축산 시설의 온도, 습도, 풍향, 풍속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농축산 시설의 환경조절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반;
    상기 제어반으로부터 상기 센서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반에 상기 환경조절수단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관제 단말; 및
    상기 관제 단말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하는 스마트폰/테블릿 피씨(PC)
    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센서의 측정값 및 상기 환경조절수단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관리자로부터 동작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과, 상기 스마트폰/테블릿 피씨(PC)의 원격 제어 요청을 감시하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폰/테블릿 피씨(PC)는 상기 관제 단말에 접속하여 상기 관제 단말의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을 관제 단말과 동일한 화면을 통하여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환경조절수단은 가청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와 증폭된 가청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향출력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 단말의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센서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농축산물의 컨디션 상태를 파악하고 미리 매칭된 컨디션 개선용 음원 데이터를 음원 DB로부터 불러와서 재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재생된 음원 신호는 상기 제어반을 통해 상기 환경조절수단의 음향출력장치로 송출되는 것과,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농축산 시설의 운영을 위한 경영 관리 프로그램 및 회계 관리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테블릿 피씨(PC)는 상기 관제 단말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상기 경영 관리 프로그램 및 회계 관리 프로그램을 원격 실행하는 것과,
    상기 경영 관리 프로그램은 농축산 시설을 이용하여 진행중인 사업에 대한 생산/재고 관리, 영업/구매 관리, 인사/급여 관리의 경영 업무를 전산으로 처리하여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이고,
    상기 회계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경영 관리 프로그램의 일부일 수 있으며 경리, 미수금, 부기, 세무의 회계 업무를 전산으로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조절수단은 상기 농축산 시설의 도어개폐장치, 창문개폐장치, 환풍장치, 냉방장치, 난방장치, 관수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상기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환경조절수단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센서, 상기 환경조절수단 및 상기 관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 및
    상기 센서의 측정값을 상기 관제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관제 단말의 제어 명령을 상기 센서, 환경조절수단 중 어느 하나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의 통신인터페이스는
    상기 센서와 직렬 유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통신인터페이스와,
    상기 관제 단말과 직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통신인터페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 습도, 풍향, 풍속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디지털화하는 감지부;
    주기적으로 또는 상기 제어반의 제어 명령에 의해 상기 감지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반과 직렬 유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3통신인터페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관제 단말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어반과 무선 직렬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4통신인터페이스와,
    스마트폰/테블릿 피씨(PC)와 이동통신망을 통한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5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스마트폰/테블릿 피씨(PC)는 원격제어프로그램을 통해 도어개폐장치, 창문개폐장치, 환풍장치, 냉방장치, 난방장치, 관수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산 시설의 내관 및 외관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여 디지털화하는 촬상 수단;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상기 관제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관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7통신인터페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감시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는 촬영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제 단말의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은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에 상기 감시 카메라로부터 움직임이 통보되면 방범 서버 및 스마트폰/테블릿 피씨(PC) 중 적어도 하나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은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화재 감지시 상기 제어 반에 화재발생경보를 송신하는 화재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단말의 농축산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반으로부터 화재발생경보가 수신되면 소방 서버 및 스마트폰/테블릿 피씨(PC) 중 적어도 하나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20090074512A 2009-08-13 2009-08-13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072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512A KR101072881B1 (ko) 2009-08-13 2009-08-13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512A KR101072881B1 (ko) 2009-08-13 2009-08-13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038A KR20110017038A (ko) 2011-02-21
KR101072881B1 true KR101072881B1 (ko) 2011-10-17

Family

ID=43775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512A KR101072881B1 (ko) 2009-08-13 2009-08-13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8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339B1 (ko) * 2012-02-10 2013-10-28 주식회사 광명전기 환경기초시설용 다이렉트 동적감시관리장치 및 방법
KR101304379B1 (ko) * 2012-04-02 2013-09-11 최영동 인터넷을 통한 원격 애완동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314089B1 (ko) * 2013-02-21 2013-10-02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제어설비 무인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CN103197656B (zh) * 2013-04-19 2015-01-21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基于Android平台的水产养殖物联服务系统
CN106647570A (zh) * 2016-12-13 2017-05-10 湖南万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粮情监测系统及方法
KR102517559B1 (ko) * 2020-09-16 2023-04-04 칸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스마트팜 통합관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038A (ko) 201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7192B2 (en) Managing sensors and computing devices associated with a premises
KR101072881B1 (ko) 농축산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682066B1 (ko) IoT 기술을 활용한 하우스 운영 관리 시스템
KR101876491B1 (ko) 반려동물 관리 장치
US10586114B2 (en) Enhanced doorbell camera interactions
US109867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or-assisted indoor gardening
US10635907B2 (en) Enhanced doorbell camera interactions
KR101733439B1 (ko) 사물 인터넷과 이동형로봇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 제어 기반의 맞춤형 주말 농장 관리 시스템
CN206819195U (zh) 温室大棚管控系统及温室大棚
CN205193568U (zh) 一种智慧农业监控系统
KR20090074884A (ko) 유비쿼터스 영농일지 시스템
KR20200045219A (ko) 카메라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스마트 팜
CN104065931A (zh) 一种白蚁视频远程监测及诱杀系统
CN109102688A (zh) 一种基于物联网的鸭养殖棚舍远程信息采集系统及方法
CN203968270U (zh) 一种白蚁视频远程监测及诱杀系统
CN105278488A (zh) 一种基于3g网络的棉花仓库安全监控方法
KR20190134884A (ko) 사설 클라우드가 구축된 시설원예용 프로파일 기반 스마트 팜 시스템
KR101082836B1 (ko) 정원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1702892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환경관리 시스템
CN201146573Y (zh) 一种彩信监控装置
KR20210074087A (ko) 반려동물을 위한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
KR20130118101A (ko) 가금류 원격사육시스템
KR20120075526A (ko) 시설재배장의 원격 관리시스템
JP2003018918A (ja) 農場管理システム
KR102478480B1 (ko) 통신 데이터 사용량을 최소화한 스마트팜 제어 및 동작확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