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087A - 반려동물을 위한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을 위한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087A
KR20210074087A KR1020190165105A KR20190165105A KR20210074087A KR 20210074087 A KR20210074087 A KR 20210074087A KR 1020190165105 A KR1020190165105 A KR 1020190165105A KR 20190165105 A KR20190165105 A KR 20190165105A KR 20210074087 A KR20210074087 A KR 20210074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smart
mobile terminal
companion anima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영한
박철훈
강소연
박재형
안상준
오세찬
Original Assignee
국영한
오세찬
박재형
안상준
박철훈
강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영한, 오세찬, 박재형, 안상준, 박철훈, 강소연 filed Critical 국영한
Priority to KR1020190165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4087A/ko
Publication of KR20210074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01K1/0356Feeding or drinking devices associated with cag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rd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케이지와 이동 단말이 인터넷으로 연결된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으로서, 스마트 케이지는, 반려동물이 생활하는 케이지 본체; 상기 케이지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설정된 예약 정보 또는 이동 단말에서 받는 신호에 의해서 저장된 사료에 대한 자동 배식을 수행하는 배식장치; 상기 케이지 본체 내부의 생활환경을 감지하는 센서; 설정된 생활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생활환경 정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환경조절장치; 및 상기 케이지 본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동 단말에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은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스마트 케이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에 의하면, 반려동물의 양육을 관리하기 쉬워지고 장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반려동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을 위한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SMART CAGE SYSTEM FOR PETS}
본 발명은 반려동물을 키우기 위한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고슴도치나 햄스터와 같이 크기가 작은 반려동물을 키우기 위한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핵가족화와 1인 가구 증가, 인구 고령화에 따라 외로움을 타는 현대인이 증가하면서 애완동물을 가족으로 인식하는 이들이 많아졌다. 이른바 '반려동물' 문화가 생성되고 있다. 반면, 반려동물 문화의 확산에 비하여 반려동물을 위한 위탁시설이나 펫시터 등의 관련 산업의 발전은 그 추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고슴도치, 햄스터, 이구아나, 뱀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다양한 소동물을 관리해주는 곳은 개나 고양이에 비하여 더욱 부족한 형편이다.
이와 같이, 반려동물의 증가만큼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과정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특히, 여행 등으로 장기간 집을 비울 수밖에 없는 경우 반려동물의 관리에 대한 어려움이 문제가 되고 있다. 크기가 작고 품종별로 특성에 차이가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관리가 어려운 소동물을 키우는 경우에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증가하는 실정이다.
최근 스마트 폰의 증가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의 발달과 함께 외부에서 반려동물을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모니터 기술(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23974)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단순히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2397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기가 작은 반려동물의 관리를 자동화하고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은, 스마트 케이지와 이동 단말이 인터넷으로 연결된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으로서,
스마트 케이지는,
반려동물이 생활하는 케이지 본체;
상기 케이지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설정된 예약 정보 또는 이동 단말에서 받는 신호에 의해서 저장된 사료에 대한 자동 배식을 수행하는 배식장치;
상기 케이지 본체 내부의 생활환경을 감지하는 센서;
설정된 생활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생활환경 정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환경조절장치; 및
상기 케이지 본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동 단말에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은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스마트 케이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 단말에 설치된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다수의 사용자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인터넷에 연결된 스마트 케이지의 배식장치를 통해서 반려동물에 대한 자동 배식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인터넷에 연결된 스마트 케이지에 설치된 각종 센서와 환경조절장치를 통해서 반려동물의 생활에 적합한 환경조건을 설정하고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인터넷에 연결된 스마트 케이지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서 반려동물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거나 저장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을 통해서 스마트 케이지를 제어함으로써, 제어 및 설정의 변경이 용이하고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스마트 케이지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단말의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반려동물 양육에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에 의하면, 반려동물의 양육을 관리하기 쉬워지고 장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반려동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이 송수신하는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에서 내부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반려동물을 위한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은 스마트 케이지(100)와 외부의 이동 단말(200)을 포함한다. 스마트 케이지(100)는 케이지 본체(110), 배식장치(120), 센서(130), 환경조절장치(미도시) 및 카메라(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외부의 이동 단말(2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케이지 본체(110)는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공간으로, 내부 공간에는 반려동물이 서식할 수 있다. 케이지 본체(110)는 반려동물의 종류 및 특징에 따라 다양한 형태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에서 반려동물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케이지 본체(110)는 투명한 재질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소동물에 적합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때문에, 도 1에서는 투명한 벽체로 구성된 케이지 본체(110)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지 본체(110)는 철망 또는 철창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은 별도의 덮개를 설치하지 않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케이지 본체(110)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려동물의 종류 및 특징에 따라 덮개를 구비하여 상부가 개폐될 수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
배식장치(120)는 반려동물의 사료가 담겨 있는 상태에서, 해당 반려동물에의 1회 배급에 적합한 양만큼이 자동으로 배식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자동 배식 방법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배식 방법은 소정 시간마다 정해진 양만큼의 사료가 배식 되도록 구성되거나, 이동 단말(200)로부터 사료 배식에 대한 신호를 전달 받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자동 배식을 수행하거나, 상기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하여 자동 배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케이지(100)는 외부의 이동 단말(20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외부 또는 원격에서도 이동 단말(200)을 통해 배식장치(120)의 자동 배식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130)는 케이지 본체(110) 내부의 생활 환경을 감지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지 본체(110)의 내부에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광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여 소정 인자에 대해 측정하고, 측정값의 평균값을 취함으로써, 오류나 노이즈가 최소화된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환경조절장치(미도시)는 케이지 본체(110) 내부의 생활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온도 조절을 위한 열선과 습도 조절을 위한 가습기 산소 생성을 위한 산소 발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 본체(110) 내부에 서식하는 반려동물의 종류에 따라, 환경조절장치(미도시)는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경조절장치(미도시)는 복수개의 센서(130)와 연동되어, 설정된 온도와 습도 등의 환경조건을 유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환경조건을 설정하는 경우, 이동 단말(200)을 통해서 환경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면, 케이지 본체(110) 내부에 환경조건 설정을 위한 별도의 입력 장치를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의해, 전체 시스템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환경조절장치(미도시)는 반려동물의 종류 및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설정된 생활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 동물에게 있어서 온도와 습도는 매우 민감하다. 그러나 고슴도치의 경우 습도는 생활하는 데 있어서 민감한 정보가 아니므로, 습도 정보는 획득만 하고 제어하지는 않는다. 고슴도치가 가장 편안하게 생각하는 온도 환경은 약 25도이므로, 측정된 온도가 25도로 변화할 수 있도록 내부 생활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동일한 케이지로 다양한 종류의 소 동물을 사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조절장치(미도시)는 이동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반려동물의 종류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여 케이지 본체(110) 내부의 생활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소 동물의 경우 종류가 다양하고, 개나 고양이 등에 비해 기르는 사용자가 많지 않아 양육 특성에 대한 정보가 많이 부족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케이지에서 사육하는 반려동물의 특성이나 생활환경을 정확히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반려동물의 종류를 입력하면, 환경조절장치(미도시)가 반려동물의 종류에 대응하여 내부 생활환경을 자동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반려동물을 안전하게 사육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케이지(100)는 외부의 이동 단말(200)과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외부 및 원격에서도 이동 단말(200)을 통해 현재 케이지 본체(1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등을 확인하고, 생활환경 조건을 적합하게 변경할 수 있다.
카메라(140)는 케이지 본체(110) 내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이동 단말(200)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140)에서 촬영된 케이지 본체(110) 내부의 반려동물에 대한 영상은, 이동 단말(200)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140)의 위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카메라(140)는 케이지 본체(110) 외부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의하면, 카메라(140)는 케이지 본체(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40)에서 촬영된 영상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반려동물의 생활을 추후에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때, 모든 영상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저장 데이터양이 많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소정 조건에 만족하는 영상만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 동물이 케이지 본체(110)를 탈출하는 경우 영상을 녹화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전송하면, 사용자는 즉시 반려 동물이 탈출하지 못하도록 원격에서 스마트 케이지(100)를 제어하거나 이후에 탈출 영상을 확인하여 반려동물이 케이지 본체(110)를 탈출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탈출을 방지하는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200)은 본 발명의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에 특화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별도 제작된 장치일 수도 있으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 등과 같은 장치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것일 수도 있다.
이동 단말(20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케이지(100)와 연결되며, 배식장치(120)와 환경조절장치를 제어하고 카메라(140)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이 송수신하는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지 본체(110) 내부의 센서(130) 및 환경조절장치(미도시)는 다음과 같이 측정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습도 센서와 온도 센서는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값을 측정 신호로 생성하여 시스템의 제어부에 전송한다. 배식장치(120)에 구비된 사료량 감지 센서는 저장된 사료 및 배식된 사료량을 측정하고 측정값을 측정 신호로 생성하여 시스템의 제어부에 전송한다. 또한, 카메라(140)는 소정 조건에 만족하는 경우 케이지 본체(110) 내부를 촬영하고, 이에 대한 영상을 통신부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 시스템의 제어부는 아두이노로 구현되어 있다. 시스템의 제어부는 수신한 측정 신호를 통신부에 전달한다. 도 2의 경우, 통신부는 라즈베리 파이로 구현되어 있다. 통신부는 이동 단말(200)에 측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20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입력되면, 이에 기초하여 시스템을 스마트 케이지(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생성된 제어신호를 시스템의 통신부에 전송하고, 통신부는 수신한 제어 신호를 시스템의 제어부에 전달한다. 이 경우, 시스템의 제어부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케이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의 제어부는 케이지 본체(110)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를 소정 값으로 조절하거나, 자동배식을 수행하거나, 카메라(140)가 케이지 본체(110)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녹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에서 내부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가 최소화된 온도 및 습도 정보를 시리얼 통신을 이용하여 라즈베리 파이로 전송한다. 라즈베리 파이에서는 JSON 변환 후 연동된 AWS IoT로 mqtt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설정한 규칙에 따라 AWS IoT에서 Dynomo DB로 실시간 기록되어 저장된다. 소정 반려동물에 맞는 온도 값을 이동 단말(200)의 앱을 통해 전달하면, 디바이스 섀도어에 온도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온도 및 습도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값과 센서로 측정된 값을 비교하여 설정 값이 더 큰 경우, MOSFET이 off되어 발열 패드가 동작하지 않아 설정 온도 값을 유지할 수 있다.
라즈베리 파이의 noir camera V.2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와 호환되는 850nm 파장의 적외선 LED가 추가되는 경우, 주간 및 야간구분 없이 반려동물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적외선 LED의 경우 CDS광 센서를 통해 야간에만 On되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적외선 거리 센서를 사용하여 반려동물이 케이지 탈출을 시도하면, 적외선 거리 센서의 측정값이 달라짐을 감지하고 이미지 영상이 녹화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녹화된 영상을 확인하여 이후 반려동물의 탈출 방지 대책을 세울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영상을 http 통신(포트 8090)을 통해 웹으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리밍된 웹에 외부 IP에서도 접근할 수 있도록, 포트 포워딩을 수행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studio에서는 웹 뷰어 설정으로 앱에서 케이지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게 한다.
아두이노에서 설정된 타이머 동작에 따라 서보모터가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식장치(120)와 서보모터가 연결되어 설정된 타이머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사료가 배급될 수 있다. 앱을 통해 얻어진 신호가 들어오면 인터럽트 동작에 의해 타이머 동작이 정지되고 즉시 서보모터가 구동하여 자동으로 먹이가 배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소 동물의 사육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키우고 있는 개나 고양이와 달리, 고슴도치나 햄스터, 이구아나, 뱀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다양한 소동물에 대해서는 양육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소 동물의 사육에 대한 커뮤니티는 려동물의 종류별로 각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는 커뮤니티에서 수집 및 교환되는 정보를 기준으로 배식 시간과 배식량을 설정할 수 있고, 온도와 습도 등의 환경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소 동물에 특화된 동물병원의 숫자가 부족하여, 이러한 소 동물을 진료할 수 있는 병원의 위치를 알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은 커뮤니티에 기초하여 반려동물별로 적합한 병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이동 단말(200)의 GPS 정보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병원을 추천해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 케이지 110: 케이지 본체
120: 배식장치 130: 센서
140: 카메라 200: 이동 단말

Claims (4)

  1. 스마트 케이지와 이동 단말이 인터넷으로 연결된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으로서,
    스마트 케이지는,
    반려동물이 생활하는 케이지 본체;
    상기 케이지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설정된 예약 정보 또는 이동 단말에서 받는 신호에 의해서 저장된 사료에 대한 자동 배식을 수행하는 배식장치;
    상기 케이지 본체 내부의 생활환경을 감지하는 센서;
    설정된 생활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생활환경 정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환경조절장치; 및
    상기 케이지 본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동 단말에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은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스마트 케이지를 제어하되,
    상기 환경조절장치는 상기 반려동물의 종류 및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된 생활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 단말에 설치된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다수의 사용자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적외선 거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적외선 거리 센서의 측정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스마트 케이지로부터 탈출을 시도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케이지 내부에 대한 영상을 녹화하는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용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반려동물의 상기 종류가 입력되면, 상기 환경조절장치는 이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지 본체 내부의 상기 생활환경을 제어하는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
KR1020190165105A 2019-12-11 2019-12-11 반려동물을 위한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 KR20210074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105A KR20210074087A (ko) 2019-12-11 2019-12-11 반려동물을 위한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105A KR20210074087A (ko) 2019-12-11 2019-12-11 반려동물을 위한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087A true KR20210074087A (ko) 2021-06-21

Family

ID=7660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105A KR20210074087A (ko) 2019-12-11 2019-12-11 반려동물을 위한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40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49453A (zh) * 2022-09-23 2022-11-18 曹洋 智能作战犬笼
KR20230007074A (ko)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디디케어스 동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사료 권장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3974A (ko) 2013-08-23 2015-03-06 홍충식 애완동물 스마트 모니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3974A (ko) 2013-08-23 2015-03-06 홍충식 애완동물 스마트 모니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074A (ko)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디디케어스 동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사료 권장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N115349453A (zh) * 2022-09-23 2022-11-18 曹洋 智能作战犬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2003B2 (en) Managing sensors and computing devices associated with a premises
KR101749860B1 (ko) 축사 환경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73179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operating a plurality of farm houses
US10080343B1 (en) Pet monitoring and recommendation system
KR101815496B1 (ko) 동물 배변 훈련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배변 훈련 시스템
AU2016201066A1 (en) Low-light trail camera
KR101122644B1 (ko)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74087A (ko) 반려동물을 위한 스마트 케이지 시스템
KR101671588B1 (ko) 임베디드 기반으로 한 농업 자동화 시스템
GB2454658A (en) Automatic pet feeder
KR101889460B1 (ko)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Handigolkar et al. Iot based smart poultry farming using commodity hardware and software
KR101402732B1 (ko)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
KR20070005211A (ko) 축산 통합관리시스템
KR20140098975A (ko)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KR20140104653A (ko) 반려 동물 관리 시스템
US20190012497A1 (en) Monitoring an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for animal housing
KR101918762B1 (ko) 축사용 질병 확산방지 시스템
US8918475B2 (en) Method of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one or more agricultural devices
JP2003310078A (ja) 有線・無線通信を使用した遠隔飼育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01831928B1 (ko) 맞춤형 실험동물 사육 시스템
KR20190067616A (ko) 반려 동·식물 케어를 위한 방법, 시스템
KR102072784B1 (ko) 반려식물 관리용 챗봇 시스템
KR20110007924A (ko) 원격 사육장 관리 시스템
KR20210123081A (ko)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