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66774A1 -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66774A1
WO2018066774A1 PCT/KR2017/002257 KR2017002257W WO2018066774A1 WO 2018066774 A1 WO2018066774 A1 WO 2018066774A1 KR 2017002257 W KR2017002257 W KR 2017002257W WO 2018066774 A1 WO2018066774 A1 WO 20180667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connector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22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정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Publication of WO20180667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667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connector that can firmly support a pipe made of a synthetic resin inserted into a connector, and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great force when separating the pipe from the connector. .
  • pipes are widely used to transport fluid such as water or oil or gas such as gas, and these pipes are manufactured and sold to a certain size (length) due to transport or handling constraints.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 connection socket 10 having a receiving portion 11 and an expansion portion 12 formed to receive an end portion of the pipe 5 as shown in FIG. 1, and a connecting socket ( Detachment ring 20 sequentially stacked in expansion part 12 of 10), auxiliary ring 30 and O-ring 40, and tightening nut 15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connecting socket 10 It is composed of
  • the separation prevention ring 20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bending pieces 21 bent inclined toward the pipe 5 side on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support ring 22, the end of the bending piece 21 is the pipe (5) It is pointed to make it easier to dig into it.
  • the end of the bending piece 21 is connected to the pipe 5 so as to prevent the pipe 5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pipe connector 1 and leaving. By being made to di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separate the pipe 5 from the pipe connector 1 if necessary.
  • the pipe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assemb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component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firmly supports the pipe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nserted into the connector, and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great force when separating the pipe from the connector.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ipe connec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pe connector that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easy to assemble and which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hollow hollow connector, and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respectively, the inner diameter and the outer diameter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and outer diameter of the first connector;
  • a connecting body including a pair of second connecting pipes which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bent pieces of elastic material and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connecting pipe and are hollow in a cylindrical shape.
  • a hollow connection release member having a cylindrical shape fit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to linearly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ipe, wherein the internal diameter of the connection release member and the internal diameter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are included.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release member is formed with a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protrusion
  • a groove is forme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onnecting member is formed to be stepped in two stages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end of the disconnecting member is relatively small,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is form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onnecting member.
  • one end of the bending piece is horizontally built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the other end of the bending piece
  • the connection release member When elastically supporting the pipe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on release member in a form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pressing the connection release member fit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 An inner end adjacent to the first connecting pipe of the disconnecting member presses the other end of the bent piece to elastically support the pipe to release the contact state with the pipe, and the disconnecting member fit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ipe.
  • a flange is formed at the outer end opposite to the inner end of the disconnecting member,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is preferably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piece of elastic material in the second connecting tube of the connecting body to firmly support the pipe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nserted into the connector, when the inner end of the disconnecting member when pressing the disconnecting member By releasing the contact state of the pipe and the other end of the bent piece by pressing the other end of the bent pie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a great force when separating the pipe from the connector.
  •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only the connection body and the release member, the configuration is simple, easy to assemble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flange on the outer end of the disconnection member, by form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to improve the appearance and work so that there is no protruding portion when the piping work There is an effect to improve the efficiency.
  •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release member, by forming a guide groove having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protrus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In the case of pressing the disconnecting member, the disconnecting member is guided by the guide groove to smoothly move linearly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the loss of the disconnection member from the connecting body. have.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2 is a view showing a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release member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release member is separated from one end of the connection body in th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pe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other end of the bent piece.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bent piece is pressed by the inner end of the disconnecting member in th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pipe and the bent piece is released.
  • FIGS 2 to 5 are views showing th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necting body 10 and a disconnecting member 20, as shown in Figs.
  •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only the connection body 10 and the disconnection member 20, so that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easy to assemble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 the connecting body 10 includes a cylindrical first hollow tube 11 and a pair of second cylindrical tubes which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or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hollow. 12).
  • the bending piece 14 of elastic material formed bent along the installation is provided.
  • the bending piece 14 is made of a leaf spring, it is possible to employ a leaf spring made of a metal or non-metal material excellent in elasticity.
  • One end 14a of the bending piece 14 is installed in the second connecting pipe 12 and fixed, and the other end 14b of the bending piece 14 is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pe 11. As shown in FIG. 4, it is elastically supporting the pipe P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serted through the disconnection member 20, and as shown in FIG. 5, as shown in FIG. 5.
  • the inner end 21 adjacent to the first connector 11 of the disconnection member 20 is a pipe (P). Presses the other end 14b of the bending piece 14 to elastically release the contact with the pipe P.
  • the bent pieces 14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1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disconnection member 20 is formed of a hollow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fit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ipe 12 so as to linearly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12.
  • a flange 22a is formed at the outer end 22 opposite to the inner end 21 of the disconnecting member 2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22a is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12. Is formed identically.
  • a protrusion 23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releasing member 20,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12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formed of the protrusion 23.
  • a wider guide groove 12a is formed than wide.
  • the protrusion 23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disconnecting member 20, and the width of the protrusion 23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12.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onnecting member 20 is formed stepped in two stages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end 21 of the disconnecting member 20 is relatively small, 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wo connecting pipes 12 is formed to be stepp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onnecting member 20.
  • a mounting groove 12b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ipe 12 so that the other end portion 14b of the) is s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연결구에 삽입된 합성 수지 재질의 파이프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연결구로부터 파이프를 분리하는 경우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 형태의 중공으로 된 제1연결관과, 상기 제1연결관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내경이 제1연결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관과 인접한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절곡 형성된 탄성 재질의 절곡편이 설치되고 원통 형태의 중공으로 된 한 쌍의 제2연결관을 포함하는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연결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상기 제2연결관에 끼워지는 원통 형태의 중공으로 된 연결 해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편의 일단부는 상기 제2연결관에 내설되며, 상기 절곡편의 타단부는 상기 제1연결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연결 해제 부재를 통해 삽입된 파이프를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2연결관에 끼워진 상기 연결 해제 부재를 상기 제1연결관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상기 제1연결관에 인접한 내측 단부는 상기 파이프를 탄성 지지하는 상기 절곡편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파이프와의 접촉 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연결구에 삽입된 합성 수지 재질의 파이프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연결구로부터 파이프를 분리하는 경우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나 기름과 같은 유체 또는 가스와 같은 기체를 이송하는데 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파이프는 운반이나 취급상의 제약에 의해 일정 규격(길이)으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파이프의 규격 길이보다 긴 구간을 시공한다든가 굽은 구간을 시공할 경우에는 파이프 연결 장치를 사용하거나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 용접하여야만 한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 파이프(연질파이프 또는 경질파이프) 또는 금속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파이프 연결구가 종래에 다수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5)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수용부(11) 및 확관부(12)가 형성된 연결소켓(10)과, 연결소켓(10)의 확관부(12)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이탈방지링(20)과, 보조링(30) 및 오링(40)과, 연결소켓(10)의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15)로 구성된다.
이탈방지링(20)은 원통형의 지지링부(22)의 상단에 파이프(5)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복수개의 절곡편(21)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데, 절곡편(21)의 끝단은 파이프(5)를 쉽게 파고 들어가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는, 파이프(5)가 파이프 연결구(1)에 삽입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절곡편(21)의 끝단이 파이프(5)에 파고 들어가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필요한 경우 파이프 연결구(1)로부터 파이프(5)를 분리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는 구성부품이 많아 구성이 복잡하므로 조립하기가 용이하기 않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결구에 삽입된 합성수지 재질의 파이프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연결구로부터 파이프를 분리하는 경우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하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 형태의 중공으로 된 제1연결관과, 상기 제1연결관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내경 및 외경이 제1연결관의 내경 및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며 절곡 형성된 탄성 재질의 절곡편이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제1연결관과 인접한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원통 형태의 중공으로 된 한 쌍의 제2연결관을 포함하는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연결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상기 제2연결관에 끼워지는 원통 형태의 중공으로 된 연결 해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내경과 상기 제1연결관의 내경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 폭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돌기부의 폭 보다 넓은 폭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내측 단부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2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관의 내주면은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편의 일단부는 상기 제2연결관의 내주면에 수평으로 내설되며, 상기 절곡편의 타단부는 상기 제1연결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연결 해제 부재를 통해 삽입된 파이프를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2연결관에 끼워진 상기 연결 해제 부재를 상기 제1연결관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상기 제1연결관에 인접한 내측 단부는 상기 파이프를 탄성 지지하는 상기 절곡편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파이프와의 접촉 상태를 해제시키며, 상기 제2연결관에 끼워진 상기 연결 해제 부재를 상기 제1연결관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내측 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절곡편의 타단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2연결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내측 단부와 반대 쪽에 위치한 외측 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외경은 상기 제2연결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연결 몸체의 제2연결관에 탄성 재질의 절곡편을 마련하여 연결구에 삽입된 합성수지 재질의 파이프를 견고하게 탄성지지할 수 있고, 연결 해제 부재를 가압하는 경우 연결 해제 부재의 내측 단부가 절곡편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파이프와 절곡편의 타단부의 접촉 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연결구로부터 파이프를 분리하는 경우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 몸체와 연결 해제 부재만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하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연결 해제 부재의 외측 단부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플랜지의 외경을 제2연결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외관미를 향상시키고 배관 작업을 하는 경우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 해제 부재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 폭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제2연결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돌기부의 폭 보다 넓은 폭의 가이드 홈을 형성함으로써, 연결 해제 부재를 가압하는 경우 연결 해제 부재가 가이드 홈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직선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 몸체로부터 연결 해제 부재가 이탈하여 분실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연결 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결 해제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일측으로 파이프가 삽입되어 절곡편의 타단부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연결 해제 부재의 내측 단부에 의해 절곡편의 타단부가 가압되어 파이프와 절곡편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몸체(10)와, 연결 해제 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 몸체(10)와 연결 해제 부재(20)만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하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연결 몸체(10)는 원통 형태의 중공으로 된 제1연결관(11)과, 제1연결관(11)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원통 형태의 중공으로 된 한 쌍의 제2연결관(12)을 포함한다.
이때, 제2연결관(12)의 내경 및 외경은 제1연결관(11)의 내경 및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연결관(11)과 인접한 제2연결관(12)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절곡 형성된 탄성 재질의 절곡편(14)이 설치된다. 이러한 절곡편(14)은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데, 탄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판 스프링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곡편(14)의 일단부(14a)는 제2연결관(12)에 내설되어 고정되며, 절곡편(14)의 타단부(14b)는 제1연결관(11)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서 자유단 형태로 설치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해제 부재(20)를 통해 삽입된 합성수지 재질의 파이프(P)를 탄성 지지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관(12)에 끼워진 후술할 연결 해제 부재(20)를 제1연결관(11)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연결 해제 부재(20)의 제1연결관(11)에 인접한 내측 단부(21)는 파이프(P)를 탄성 지지하는 절곡편(14)의 타단부(14b)를 가압하여 파이프(P)와의 접촉 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 몸체(10)의 제2연결관(12)에 탄성 재질의 절곡편(14)을 마련하여 파이프 연결구에 삽입된 합성수지 재질의 파이프(P)를 견고하게 탄성 지지할 수 있고, 연결 해제 부재(20)를 가압하는 경우 연결 해제 부재(20)의 내측 단부(21)가 절곡편(14)의 타단부(14b)를 가압하여 파이프(P)와 절곡편(14)의 타단부(14b)의 접촉 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파이프 연결구로부터 파이프(P)를 분리하는 경우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절곡편(1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마련되어 제2연결관(12)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해제 부재(20)는 원통 형태의 중공으로 이루어져 제2연결관(12)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제2연결관(12)에 끼워진다.
이때, 연결 해제 부재(20)의 내측 단부(21)와 반대 쪽에 위치한 외측 단부(22)에는 플랜지(22a)가 형성되고, 이러한 플랜지(22a)의 외경은 제2연결관(12)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처럼 연결 해제 부재(20)의 외측 단부(22)에 플랜지(22a)를 형성하고, 플랜지(22a)의 외경을 제2연결관(12)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외관미를 향상시키고 배관 작업을 하는 경우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 해제 부재(20)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 폭의 돌기부(23)가 형성되고, 제2연결관(12)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돌기부(23)의 폭 보다 넓은 폭의 가이드 홈(12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 해제 부재(2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 폭의 돌기부(23)를 형성하고, 제2연결관(12)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돌기부(23)의 폭 보다 넓은 폭의 가이드 홈(12a)을 형성함으로써, 연결 해제 부재(20)를 가압하는 경우 연결 해제 부재(20)가 가이드 홈(12a)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직선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 몸체(10)로부터 연결 해제 부재(20)가 이탈하여 분실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연결 해제 부재(20)의 외주면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해제 부재(20)의 내측 단부(21)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2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제2연결관(12)의 내주면은 연결 해제 부재(2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2연결관(12)에 끼워진 연결 해제 부재(20)를 제1연결관(11)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연결 해제 부재(20)의 내측 단부(21)에 의해 가압되는 절곡편(14)의 타단부(14b)가 안착되도록 제2연결관(12)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안착홈(12b)이 형성된다.
즉, 연결 해제 부재(20)를 제1연결관(11)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에는 파이프(P)와 접촉하고 있는 절곡편(14)의 타단부(14b)가 연결 해제 부재(20)의 내측 단부(21)에 의해 가압되어 안착홈(12b)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연결 해제 부재(20)를 제1연결관(1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절곡편(14)의 타단부(14b)는 탄성 복원되면서 파이프(P)와 다시 접촉하면서 파이프(P)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2)

  1. 원통 형태의 중공으로 된 제1연결관과, 상기 제1연결관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내경 및 외경이 제1연결관의 내경 및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며 절곡 형성된 탄성 재질의 절곡편이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제1연결관과 인접한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원통 형태의 중공으로 된 한 쌍의 제2연결관을 포함하는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연결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상기 제2연결관에 끼워지는 원통 형태의 중공으로 된 연결 해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내경과 상기 제1연결관의 내경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 폭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돌기부의 폭 보다 넓은 폭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내측 단부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2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관의 내주면은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편의 일단부는 상기 제2연결관의 내주면에 수평으로 내설되며, 상기 절곡편의 타단부는 상기 제1연결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연결 해제 부재를 통해 삽입된 파이프를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2연결관에 끼워진 상기 연결 해제 부재를 상기 제1연결관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상기 제1연결관에 인접한 내측 단부는 상기 파이프를 탄성 지지하는 상기 절곡편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파이프와의 접촉 상태를 해제시키며,
    상기 제2연결관에 끼워진 상기 연결 해제 부재를 상기 제1연결관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내측 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절곡편의 타단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2연결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내측 단부와 반대 쪽에 위치한 외측 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외경은 상기 제2연결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PCT/KR2017/002257 2016-10-07 2017-03-02 파이프 연결구 WO201806677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764 2016-10-07
KR1020160129764A KR101709723B1 (ko) 2016-10-07 2016-10-07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6774A1 true WO2018066774A1 (ko) 2018-04-12

Family

ID=5831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2257 WO2018066774A1 (ko) 2016-10-07 2017-03-02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9723B1 (ko)
WO (1) WO2018066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141B1 (ko) 2017-08-07 2019-06-19 주식회사 더윈테크 파이프 연결구조체
KR101977210B1 (ko) 2017-08-16 2019-05-10 주식회사 더윈테크 신축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0591A (ja) * 1988-11-29 1990-06-08 Junkosha Co Ltd 管継手
KR960034837A (ko) * 1995-03-31 1996-10-24 김태구 호스연결구
JPH09196269A (ja) * 1996-01-19 1997-07-29 Smc Corp 管継手
KR20110094866A (ko) * 2010-02-18 2011-08-24 박강훈 파이프 연결구
KR101218352B1 (ko) * 2011-06-27 2013-01-04 주식회사 애강그린텍 배관용 연결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499B1 (ko) 2012-01-26 2014-09-12 박강훈 파이프 연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0591A (ja) * 1988-11-29 1990-06-08 Junkosha Co Ltd 管継手
KR960034837A (ko) * 1995-03-31 1996-10-24 김태구 호스연결구
JPH09196269A (ja) * 1996-01-19 1997-07-29 Smc Corp 管継手
KR20110094866A (ko) * 2010-02-18 2011-08-24 박강훈 파이프 연결구
KR101218352B1 (ko) * 2011-06-27 2013-01-04 주식회사 애강그린텍 배관용 연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723B1 (ko) 201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3585A1 (en) Coupling Having Arcuate Stiffness Ribs
RU2459997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трубная муфта со встроенным захватом
CN205244245U (zh) 包括多关节支撑部件的电缆
WO2011126251A2 (en) Connection structure of corrugated pipe
WO2018066774A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007546B1 (ko) 이음관 내부에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구
WO2010140755A1 (ko) 봉 연결장치
WO2018012681A1 (ko) 내진용 무홈 커플링
WO2016036057A1 (ko) 돌출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용 실링부재
WO2012026760A2 (ko) 파이프 고정장치
US9341803B2 (en) Device for connecting together tubes for protecting an optical fiber cable, a segment of an optical transmission circuit including such a device, and a sealing element for such a device
KR200443803Y1 (ko) 파이프 접속용 그립링
CN110709636B (zh) 具有覆盖管道的功能的管道联接器
KR20200010495A (ko) 인입형 중앙 다리가 구비된 시일을 가지는 커플링
US10030799B2 (en) Pipe joint
US20070051419A1 (en) Duct
CN103635734B (zh) 软管耦接装置,尤其用于分离系统的液压高压管道
KR200269760Y1 (ko) 배관용 조인트
WO2002070940A1 (en) Coupling for connection of a tube or hose by pushing-in
US20070126230A1 (en) Device for connection to an end of a corrugated pipe
CN109300554A (zh) 一种柱腔连接器
KR20080083383A (ko) 전복양식용 전복부착판 설치틀
CN210372417U (zh) 管接头组件及空气源热泵机组的室内机
KR101995528B1 (ko) 신축 및 내진용 클램프가 구비된 경질 폴리염화비닐 관
KR200269752Y1 (ko) 배관용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585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585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